KR102529863B1 -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863B1
KR102529863B1 KR1020220132387A KR20220132387A KR102529863B1 KR 102529863 B1 KR102529863 B1 KR 102529863B1 KR 1020220132387 A KR1020220132387 A KR 1020220132387A KR 20220132387 A KR20220132387 A KR 20220132387A KR 102529863 B1 KR102529863 B1 KR 102529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ramide
cosmetic composition
cholesterol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수
임미진
이석현
한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22013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라멜라 액정을 형성해 펄감을 구현함은 물론, 피부 탄력 개선, 콜라겐 합성 효과 등이 더 증진되도록 한,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Cosmetic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arious formulations showing pearl feeling using lamellar structure including ceramide}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라멜라 액정을 형성해 펄감을 구현함은 물론, 피부 탄력 개선, 콜라겐 합성 효과 등이 더 증진되도록 한,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 보호막이라고 불리는 각질층을 구성하는 지질 성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진 세라마이드(Ceramide)는 수분 증발을 억제함과 동시에 수분과 결합되어 피부의 수분을 함유하는 기능이 뛰어나 피부가 최적의 대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새롭게 성장하는 피부세포에는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적고 주로 당이 연결되어 있는 당스핑고지질의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새로운 피부세포가 외각층으로 이동하면서 각질층에 이르게 되면, 당이 떨어진 중성 세라마이드가 증가하여 각질층의 소수성 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세라마이드는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지질 장벽의 역할과 각질층의 정연한 구조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 각질층은 각화된 세포가 벽돌모양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화세포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피부세포는 인체의 다른 세포에 비해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높으며, 특히 비극성인 중성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많다. 이는 피부의 견고한 방어 장벽을 구성하기 위한 필요한 구조적 특징이다.
또한, 세라마이드는 피부표면에서 피토스핑고신으로 분해됨으로써 외부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장벽으로 작용하며 염증의 조절과 상처회복에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져 세라마이드의 피부과학적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세라마이드는 안정화가 어려워 제품 내에서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농도로 제제화하기 어렵고, 다량의 계면활성제 및 에탄올 등을 이용하거나 액정 상태로 만든 후 이용해야 하는 등의 사용 제한이 있다.
종래에는, 세라마이드 사용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피부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 및 장벽기능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지적된다.
이에 따라, 액상 제형 내에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고안하고, 세라마이드를 제형 내에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안정화시켜 피부 유효 물질의 전달이 쉽고, 콜라겐 합성 효과 및 보습력이 우수하면서도,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제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3007호, "세라마이드 및/또는 유사 세라마이드의 복합체가 표면처리된 메이컵용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라멜라 액정을 형성해 펄감을 구현함은 물론, 피부 탄력 개선, 콜라겐 합성 효과 등이 더 증진되도록 한,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방산은 라우릭애씨드12, 미리스틱애씨드14, 팔미틱애씨드17, 스테아릭애씨드18, 베헤닉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또는 올레익애씨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방알코올은 로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키딜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마이드 혼합물은 세라마이드엔피(NP), 세라마이드이오피(EOP), 세라마이드엔에스(NS), 세라마이드에이피(AP) 및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는 성분 준비 단계(S10); 및,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배합 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라멜라 액정을 형성해 펄감을 구현함은 물론, 피부 탄력 개선, 콜라겐 합성 효과 등이 더 증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의 펄감 생성 정도 평가 실험에 관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의 세라마이드 안정화 정도 확인 실험에 관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의 피부탄력 개선 확인 실험에 관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의 피부탄력 개선 확인 실험에 관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의 콜라겐 합성효과 확인 실험에 관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의 피부 보습 효과 확인 실험에 관한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방산은 라우릭애씨드12, 미리스틱애씨드14, 팔미틱애씨드17, 스테아릭애씨드18, 베헤닉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또는 올레익애씨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은 팔미틱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및 스테아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지방산은 팔미틱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또는 스테아릭애씨드 각각 개별일 수 있고, 또는 팔미틱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또는 스테아릭애씨드를 혼합한 혼합 지방산일 수도 있다.
상기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는, 동물 및 식물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포화지방산 중 하나로 동식물유에 일반적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목랍 및 팜핵유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천연유래 계면활성제, 유화제로 알려져 있는 성분이다.
상기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는, 동물 및 식물에서 발견되는 유기산으로, 로비지 오일, 코코넛 오일, 메이스 오일 등에서 얻는 고급 지방산이다. 주로 거품을 생성하는 세정 작용을 위해 사용되며, 상온에서 고체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는, 스테아린산이라고도 불리우며, 고급 포화지방산의 혼합물이다. 천연 지방산으로 동식물 유지 중 글리세라이드로써 널리 분포되어 있는 성분이다. 백색의 박편, 과립 또는 덩어리 모양의 결정성 고체로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다.
상기 지방산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0.003 ~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팔미틱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또는 스테아릭애씨드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팔미틱애씨드는 0.001 ~ 10.0 중량%, 미리스틱애씨드는 0.001 ~ 10.0 중량%, 스테아릭애씨드는 0.001 ~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방알코올은 로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키딜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알코올은 C12 ~ C22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방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인 것이 가장 적절하다. 상기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은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로 구성된 지방알코올의 혼합물이다. 하얀 고체 왁스 제형을 갖고 있으며, 야채나 열매 등에서 추출하는 식물성 성분이다.
상기 지방알코올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0.0000000001 ~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세라마이드 혼합물은 세라마이드엔피(NP), 세라마이드이오피(EOP), 세라마이드엔에스(NS), 세라마이드에이피(AP) 및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마이드 혼합물은 세라마이드엔피(NP), 세라마이드이오피(EOP), 세라마이드엔에스(NS), 세라마이드에이피(AP) 및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를 각각 0.0000000001 ~ 0.1 : 0.0000000001 ~ 0.1 : 0.0000000001 ~ 0.1 : 0.0000000001 ~ 0.1 : 0.0000000001 ~ 0.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Ceramide)는 스핑고지질(sphingolipid)의 한 종류로서 스핑고신(sphingosine)과 지방산으로 구성된 분자다. 피부장벽(Skin Barrier) 즉 각질층에 존재하며 피부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세포간 지질을 구성하는 물질 중의 하나이다.
상기 세라마이드이오피(Ceramide EOP)는 피부장벽을 이루고 피부 산화 작용을 억제하며, 아토피질환을 억제 및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세라마이드엔에스(Ceramide NS)는 피부의 수분 흡수력을 증가시키고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는 피부장벽의 중요한 구성물질 중 하나인 인지질과 여러 겹의 리포좀의 일부분이며, 삼투현상에 의한 보습효과를 극대화하며, 아토피 질환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세라마이드에이에스(Ceramide AS)는 아토피 질환을 억제하고, 피부 세포막을 강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세라마이드에이피(Ceramide AP)는 피부 작병을 보수하고 재생시키며, 각 세포 사이의 수분 활성화 및 피부에 생기를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세라마이드 혼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0.0000000005 ~ 0.5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세라마이드 혼합물이 세라마이드엔피(NP), 세라마이드이오피(EOP), 세라마이드엔에스(NS), 세라마이드에이피(AP) 및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세라마이드엔피(NP)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000001 ~ 0.1중량%, 상기 세라마이드이오피(EOP)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000001 ~ 0.1중량%, 상기 세라마이드엔에스(NS)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000001 ~ 0.1중량%, 상기 세라마이드에이피(AP)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000001 ~ 0.1중량%, 상기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000001 ~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세포의 세포막을 구성하고 신체기능에 중요한 호르몬을 합성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각종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비타민 D를 만드는 재료가 되므로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콜레스테롤은 혈액 안에 있는 단백질과 만나서 돌아다니는데 결합 정도에 따라 중성 지방, 저밀도지단백(LDL), 고밀도지단백(HDL)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000001 ~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은 각질세포간 지질인 세라마이드 성분의 전구체로, 항염증 항세균 효과로 문제성 피부의 원인이 되는 세균의 활동을 저해시켜 손상된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복원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물질이다. 또한, 상기 피토스핑고신은 손상된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하는 성분이다. 피토스핑고신은 체내 흡수되면 피부 지질막의 기능을 보강하고 세라마이드의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보습력 유지 기능을 갖는다.
상기 피토스핑고신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000001 ~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은 레시틴의 구조에서 알킬기의 이중결합에 수소가 첨가되어 단일결합으로 된 구조이다. 알킬기 이중결합이 남아 있으면 부분 수첨이라고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알킬기가 단일결합으로 된 구조를 말한다. 분산제,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미셀형성제, 리포좀형성제로 사용된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1 ~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 외에,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글리세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판테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및 솔비탄올리베이트를 포함하는 추가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방산은 0.003 ~ 30.0중량%, 상기 지방알코올은 0.0000000001 ~ 1.0중량%, 상기 세라마이드 혼합물은 0.0000000005 ~ 0.5중량%, 상기 콜레스테롤은 0.0000000001 ~ 0.1중량%, 상기 피토스핑고신은 0.0000000001 ~ 0.1중량%,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0.00001 ~ 1.0중량%, 상기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는 0.001 ~ 10.0중량%, 상기 글리세린은 0.001 ~ 10.0중량%, 상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0.00001 ~ 1.0중량%, 상기 솔비탄스테아레이트는 0.00001 ~ 1.0중량%, 상기 판테놀은 0.00001 ~ 1.0중량%, 상기 세테아릴올리베이트는 0.00001 ~ 1.0중량%, 상기 솔비탄올리베이트는 0.00001 ~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정제수가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자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팔미틱애씨드 0.001 ~ 10.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0.001 ~ 10.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0.001 ~ 10.0중량%, 상기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00001 ~ 1.0중량%, 세라마이드엔피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 0.0000000001 ~ 0.1중량%, 콜레스테롤 0.0000000001 ~ 0.1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00001 ~ 0.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0001 ~ 1.0중량%,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는 0.001 ~ 10.0중량%, 글리세린 0.001 ~ 10.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00001 ~ 1.0중량%,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00001 ~ 1.0중량%, 판테놀 0.00001 ~ 1.0중량%, 세테아릴올리베이트 0.00001 ~ 1.0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 0.00001 ~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잔량으로 정제수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워터타입부터 젤타입 까지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0 ~ 10,000cps의 점도를 갖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는 성분 준비 단계(S10); 및,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배합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함량에 맞게 준비한다.
이때,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지방산은 0.003 ~ 30.0중량%, 지방알코올은 0.0000000001 ~ 1.0중량%, 세라마이드 혼합물은 0.0000000005 ~ 0.5중량%, 콜레스테롤은 0.0000000001 ~ 0.1중량%, 피토스핑고신은 0.0000000001 ~ 0.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0.00001 ~ 1.0중량%로 포함되도록 준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팔미틱애씨드는 0.001 ~ 10.0중량%, 스테아릭애씨드는 0.001 ~ 10.0중량%, 미리스틱애씨드는 0.001 ~ 10.0중량%, 상기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00001 ~ 1.0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는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는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는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는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는 0.0000000001 ~ 0.1중량%, 콜레스테롤은 0.0000000001 ~ 0.1중량%, 피토스핑고신은 0.0000000001 ~ 0.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0.00001 ~ 1.0중량%로 포함되도록 준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성분 준비 단계(S10)를 수행하고, 추가성분을 더 준비하는 추가 성분 준비 단계(S15)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추가 성분 준비 단계(S15)에서, 추가성분으로는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글리세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판테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 준비 단계(S15)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는 0.001 ~ 10.0중량%, 글리세린은 0.001 ~ 10.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0.00001 ~ 1.0중량%, 솔비탄스테아레이트는 0.00001 ~ 1.0중량%, 판테놀은 0.00001 ~ 1.0중량%, 세테아릴올리베이트는 0.00001 ~ 1.0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는 0.00001 ~ 1.0중량%로 포함되도록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 단계(S20)에서는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한다.
또는, 상기 배합 단계(S20)에서는, 추가 성분 준비 단계(S15)를 거쳐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글리세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판테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1. 지방산에 팔미틱애씨드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2. 지방산에 스테아릭애씨드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3. 지방산에 미리스틱애씨드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4. 지방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5. 세라마이드 중 세라마이드엔피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6. 세라마이드 중 세라마이드이오피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7. 세라마이드 중 세라마이드엔에스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8. 세라마이드 중 세라마이드에이피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8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0.005중량%이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9. 세라마이드 중 세라마이드에이에스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9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0.005중량%이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10. 피토스핑고신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10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비교예 11.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비교예 1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이 0.0000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으며,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실시예 2. 추가성분이 더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공정에 따라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준비 단계(S10):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팔미틱애씨드 5.0중량%, 스테아릭애씨드 5.0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0중량%, 세테아릴알코올은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5중량%, 콜레스테롤 0.000005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05중량%,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5.0중량%, 글리세린 5.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005중량%,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005중량%, 판테놀 0.005중량%, 세테아릴올리베이트 0.005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가 0.005중량%로 포함되고, 잔량으로 정제수가 포함되도록 준비하였다.
배합 단계(S20): 상기 성분 준비 단계(S10)에서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글리세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판테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된 함량비로 혼합하고 일정 속도로 교반하였다.
실험예 1. 펄감 확인
액정형성에 의한 펄감의 생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20명의 메이크업 전문가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11의 화장료를 관찰하여, 펄감이 나타난 정도를 확인하였다. 측정은 육안으로 하여 5점척도법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펄감이 높게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
펄감 생성정도 평가점수(평균)
실시예1 4.6
비교예1 2.4
비교예2 2.2
비교예3 2.6
비교예4 2.4
비교예5 2.4
비교예6 2.6
비교예7 2.2
비교예8 2.2
비교예9 2.0
비교예10 2.4
비교예11 1.4
실시예2 4.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는 펄감 생성 정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일부 성분이 결여된 비교예 1 내지 11의 펄감의 생성 정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라마이드 안정화 확인 실험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11의 화장료를 광학현미경으로 사진 촬영하여, 화장료 내의 세라마이드 분산 정도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2에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분산입자의 크기, 입도분포 및 제형 안정성을 나타냈다.
입자크기(㎛) 입도분포
(polydispers
ity Index)
제형안정성
실시예1 3 < 0.6 안정
비교예1 22 < 2.4 불안정
비교예2 24 < 2.3 불안정
비교예3 25 < 3.2 불안정
비교예4 24 < 2.6 불안정
비교예5 23 < 2.4 불안정
비교예6 22 < 3.1 불안정
비교예7 26 < 2.4 불안정
비교예8 27 < 2.8 불안정
비교예9 24 < 3.3 불안정
비교예10 25 < 2.6 불안정
비교예11 26 < 2.5 불안정
실시예2 2 < 0.4 매우 안정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는 입자크기가 2 내지 3 ㎛(마이크로미터)로 작은 입자로 형성되어 화장료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반면, 일부 성분이 결여된 비교예 1 내지 11의 화장료는 20 내지 30㎛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형성되어 실시예 대비 큰 입자크기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성분들의 해당 중량비의 조합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탄력 개선 확인
온도 22~24℃, 상대습도 55%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80명(평균연령 29.5세)을 각각 10명씩 8 그룹으로 나누고,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조성물을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12주간 도포(2회/일)한 후, 피부탄력측정기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개선도는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개선도(%) = ( △R5 / 도포전 ) X 100
△R5값 = [R5(12주)-R5(0주)]
상기 R5 값은 실탄성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에 가까워지면 보다 탄력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피부탄력 증진효과
(개선도(%))
피부탄력(△R5)
실시예1 36.42 0.25
비교예1 5.64 0.14
비교예2 4.33 0.15
비교예3 5.75 0.12
비교예4 5.43 0.14
비교예5 4.32 0.16
비교예6 4.24 0.12
비교예7 5.43 0.17
비교예8 4.12 0.13
비교예9 5.36 0.14
비교예10 4.92 0.14
비교예11 5.33 0.08
실시예2 42.42 0.28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는 피부탁력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반면, 일부 성분이 결여된 비교예 1 내지 11의 화장료는 피부탄력 개선효과가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각 성분들의 해당 중량비의 조합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콜라겐 합성 효과 확인
하기 실험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1에 대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DF: Human dermal fibroblast, Thermo사 제조)를 12웰 플레이트에 1 ㎖씩 분주하고, 37℃, 5% C02, 가습 조건하에서 2일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액은, DMEM mediu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사 제조)에 FBS(Gibco사 제조)를 10%로 함유한 배지를 각 웰당 1 ㎖씩 사용하였다. 이어서, FBS(Gibco)가 포함되지 않은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igma사 제조)으로 교환하고, 다시 1 ㎖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Sigma사 제조)로 세척한 후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1을 100 uM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용해하지 않는 PBS를 100㎕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콜라겐 생산 촉진 시험에 있어서는, 3일 배양한 후, 배양액을 채취하여, 배양액 중에 분비된 타입 I 프로 콜라겐의 농도를, 효소 결합 면역 측정법(ELSIA,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R&D system 제조)으로 정량하였다. 정량 결과를 기초로, 합성된 타입 I 프로 콜라겐의 양(p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타입 I 프로 콜라겐 생성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타입 I 프로 콜라겐 생성율(%) = (실험군 타입 I 프로 콜라겐 양 / 대조군 타입 I 프로 콜라겐 양) * 100
피부 섬유아세포 콜라겐 생산량(%)
실시예1 192.1
비교예1 145.6
비교예2 147.4
비교예3 143.7
비교예4 146.8
비교예5 144.3
비교예6 138.2
비교예7 143.4
비교예8 146.3
비교예9 142.2
비교예10 143.5
비교예11 124.4
실시예2 198.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는 콜라겐 합성이 우수한 반면, 일부 성분이 결여된 비교예 1 내지 11의 화장료는 콜라겐 합성이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각 성분들의 해당 중량비의 조합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보습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1에 대한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1 도포 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평균 나이 28.2세의 성인 여성 5명을 대상으로 제품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도를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 30분 전, 시험 부위를 미온수로 세정한 후 항온항습실 (22 ± 2℃, 40~60%RH)에서 10분간 대기 후, 시험 부위의 무도포 시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1을 시험 부위에 적용시킨 후, 제품도포 직후, 2시간 후, 8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단위는 단위상수인 A.U.이며 피부 보습량과 측정값은 비례한다. 측정값은 3회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사용 전 도포 직후 2시간 후 8시간 후
무도포 19.232±5.872 19.754±5.678 19.716±6.663 19.287±5.512
실시예1 19.663±6.564 58.328±9.444 38.425±8.254 34.156±7.434
비교예1 19.232±5.451 54.463±8.345 25.352±6.685 21.276±5.642
비교예2 19.426±5.688 55.642±7.453 24.544±7.546 23.734±5.543
비교예3 19.387±4.546 54.452±8.591 24.244±6.453 22.892±5.393
비교예4 19.245±6.715 53.673±8.324 25.473±6.622 23.353±5.437
비교예5 19.667±5.525 54.245±7.403 24.332±7.523 22.542±5.525
비교예6 19.821±5.432 54.537±8.543 24.563±6.437 21.332±5.473
비교예7 19.432±5.524 53.352±8.637 25.241±6.505 23.244±5.334
비교예8 19.387±6.559 53.263±7.468 26.344±7.664 21.545±5.334
비교예9 19.783±5.638 54.636±8.315 24.556±6.513 23.261±5.442
비교예10 19.492±4.423 53.768±8.303 23.147±6.422 21.245±5.532
비교예11 19.233±5.332 54.392±7.466 24.343±7.363 23.333±5.348
실시예2 19.562±5.561 62.412±8.654 42.933±8.641 37.524±7.825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2의 시료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1의 시료에 비해,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성분이 결여된 비교예 1 내지 11의 화장료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는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질 수 있어 이들의 조합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1을 통해 실험예 1 내지 5를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예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펄감의 생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입자의 크기, 입도분포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5를 통해 나타난 효과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성분들 중 어느 하나가 결여될 경우, 그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성분의 조합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펄감을 나타냄은 물론, 피부 탄력 개선, 콜라겐 합성 효과가 증진되도록 한,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S10): 성분준비 단계
(S20): 배합 단계

Claims (5)

  1. 팔미틱애씨드 0.001 ~ 10.0 중량%, 미리스틱애씨드 0.001 ~ 10.0 중량%, 스테아릭애씨드 0.001 ~ 10.0 중량%를 포함하는 지방산과;
    세테아릴알코올 0.0000000001 ~ 1.0중량%를 포함하는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00001 ~ 0.1중량% 및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00001 ~ 0.1중량%를 포함하는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0.0000000001 ~ 0.1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00001 ~ 0.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0001 ~ 1.0중량%,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1 ~ 10.0중량%, 글리세린 0.001 ~ 10.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00001 ~ 1.0중량%,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00001 ~ 1.0중량%, 판테놀 0.00001 ~ 1.0중량%, 세테아릴올리베이트 0.00001 ~ 1.0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 0.00001 ~ 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팔미틱애씨드 0.001 ~ 10.0 중량%, 미리스틱애씨드 0.001 ~ 10.0 중량%, 스테아릭애씨드 0.001 ~ 10.0 중량%를 포함하는 지방산; 세테아릴알코올 0.0000000001 ~ 1.0중량%를 포함하는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엔피(NP)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이오피(EOP)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엔에스(NS) 0.0000000001 ~ 0.1중량%, 세라마이드에이피(AP) 0.0000000001 ~ 0.1중량% 및 세라마이드에이에스(AS) 0.0000000001 ~ 0.1중량%를 포함하는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0.0000000001 ~ 0.1중량%; 피토스핑고신 0.0000000001 ~ 0.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0001 ~ 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는 성분 준비 단계(S10);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1 ~ 10.0중량%, 글리세린 0.001 ~ 10.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00001 ~ 1.0중량%,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00001 ~ 1.0중량%, 판테놀 0.00001 ~ 1.0중량%, 세테아릴올리베이트 0.00001 ~ 1.0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 0.00001 ~ 1.0중량%를 준비하는 추가성분 준비단계(S15); 및
    상기 추가성분 준비 단계(S15)를 거쳐 준비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혼합물;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글리세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판테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배합 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132387A 2022-10-14 2022-10-14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2529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387A KR102529863B1 (ko) 2022-10-14 2022-10-14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387A KR102529863B1 (ko) 2022-10-14 2022-10-14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863B1 true KR102529863B1 (ko) 2023-05-09

Family

ID=8640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387A KR102529863B1 (ko) 2022-10-14 2022-10-14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8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07A (ko) 2000-03-28 2001-10-27 김광수 세라마이드 및/또는 유사 세라마이드의 복합체가 표면처리된 메이컵용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15853A (ko) * 2013-03-22 2014-10-01 한국콜마주식회사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1876A (ko) * 2017-06-01 2018-12-11 (주) 바이오앤텍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 안정화된 세라마이드 복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2247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엔에프씨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8920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8692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위즈켐 다중 층상 라멜라 에멀젼 타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07A (ko) 2000-03-28 2001-10-27 김광수 세라마이드 및/또는 유사 세라마이드의 복합체가 표면처리된 메이컵용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15853A (ko) * 2013-03-22 2014-10-01 한국콜마주식회사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1876A (ko) * 2017-06-01 2018-12-11 (주) 바이오앤텍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 안정화된 세라마이드 복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2247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엔에프씨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8920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8692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위즈켐 다중 층상 라멜라 에멀젼 타입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6376A2 (de) Hautpflegeprodukte
KR101682452B1 (ko)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172A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E4021082A1 (de) Hautbehandlungsmittel mit hohen lipidgehalten unter verwendung eines bilayer enthaltenden systems, salzen organischer saeuren, alkohol und stabilisator
KR101473198B1 (ko) 투명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E102009013552A1 (de) Emulsion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6284257B1 (en) Cosmetic water emulsion containing at least one vegetable oil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18818B1 (ko) 유사지질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E19916090A1 (de) Hautpflegemittel
KR101325553B1 (ko) 아미노 레불리닉산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88743B1 (ko)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102529863B1 (ko)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DE102005008299A1 (de) Universalpflegecreme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013804B1 (ko)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745046A1 (en) Moisturizing mixture,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moisturizing mixture, use of the moisturizing mixture, and cosmetic method
KR100888752B1 (ko) 피부외용제
KR102514600B1 (ko) 아스코빅애씨드와 리포솜화 한 토코페롤, 메나다이온, 리놀레익애씨드, 레티닐팔미테이트를 함유하는 고형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0644A (ko) 액정형성능력이 우수한 유화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5153A (ko) 보습 펩타이드,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투명한 젤상 가용화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