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751B1 - 보습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751B1
KR102575751B1 KR1020230062070A KR20230062070A KR102575751B1 KR 102575751 B1 KR102575751 B1 KR 102575751B1 KR 1020230062070 A KR1020230062070 A KR 1020230062070A KR 20230062070 A KR20230062070 A KR 20230062070A KR 102575751 B1 KR102575751 B1 KR 102575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moisturizing cosmetic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홍종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진홍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홍종 filed Critical 진홍종
Priority to KR102023006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장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하여 세포간지질 구조인 라멜라 구조를 촘촘하게 형성하고, 피부장벽을 개선시켜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세부 구성으로서,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고급 지방산 및 정제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습 화장료 조성물{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장쇄 지방산을 포함하는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하여 세포간지질 구조인 라멜라 구조를 촘촘하게 형성하고, 피부장벽을 개선시켜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피하층, 진피층, 표피층의 세 가지 층으로 구성된다. 표피층은 피부의 가장 바깥 층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표피층에서도 각질층은 표피층의 가장 바깥에 위치한 층으로 노폐물 및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또한 각질층의 두께와 상태는 피부의 건강과 관련이 깊다. 상기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세포간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질세포는 핵이 사라져 죽어버린 표피 세포이고 각질층에서 겹겹이 쌓여 있어, 각질층의 수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과 유해물질 및 물리적 자극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세포간지질은 피부 장벽(Permeability barrier)이라 하며 체내 수분의 증발을 억제해 손실을 줄여주고, 항균, 항산화, 투과성 장벽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세포간지질의 구조는 라멜라 구조로 각질층의 세포 외 영역으로 지질 2중 층이 각질세포들 사이사이를 촘촘히 채우고 있는 구조이며, 성분은 크게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자유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의 피부장벽 지질함량은 중량비로 세라마이드 50%, 콜레스테롤 25 % 그리고 지방산 15%로 구성되고, 여러 층의 지질막(multi-lamellar lipid layer, lamellar membrane)형태로 존재하며 실제적으로 수분을 비롯한 물질의 투과를 제어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 및 형태에 의해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조합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장벽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요 세포간지질 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은 물에 잘 녹지 않으며 화장품에 배합이 되어도 석출되어 쉽게 탈리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세라마이드는 난용성 물질로 수성 및 유성 어느 것으로도 용해성이 지극히 낮아 유통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서 결정이 석출하는 등 조성물이 안정하게 배합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유화를 통해 분산하더라도 매우 낮은 함량의 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7883호는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킨 피부 보습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나 세라마이드 함량이 1중량% 미만으로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안정된 형태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더불어, 아토피 등의 트러블 피부에 부족하다고 알려진 장쇄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세라마이드는 단쇄 지방산을 가진 세라마이드 보다 지방산의 분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세라마이드 중에서도 유화되기가 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쇄 지방산 구조의 세라마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품화하기 어려우며, 세라마이드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유화 입자 크기를 작게 하여 분산시키더라도 세라마이드의 안정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으며 겔화(gelation)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석출이 발생하며 제품화시 떠짐성,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극성이 높은 용매를 사용하여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으나 높은 극성의 용매는 사용감이 좋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 각질층 세포간지질의 주요 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을 피부 장벽 개선에 효과적인 비율로 조합하여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가려움 개선, 피부 건조 개선에 효과적인 도움을 주며 발림성과 흡수성 등의 전반적인 사용감이 우수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장벽을 개선하여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에 도움을 주는 장쇄 지방산을 포함한 세라마이드가 고농도로 포함되면서도 결정화되어 석출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어 제형이 안정된 형태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고급 지방산 및 정제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 2 내지 16중량%; 및, 콜레스테롤 1 내지 8중량%; 고급 지방산 1 내지 8중량%; 정제수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로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ENP, 세라마이드 AP,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DS, 세라마이드 ADS, 세라마이드 EODS,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H, 세라마이드 AH, 세라마이드 EOH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는 결합된 지방산이 탄소수 18 내지 36개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아사이팜스테롤, 라노스테롤, 다이하드로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씨토스테롤, 카놀라스테롤, 쌀겨스테롤, 돌콩스테롤, 토오일스테롤, 유채스테롤, 석류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고급 지방산은 결합된 탄소수 사슬이 C14 내지 C22도의 체인 길이를 갖는 지방산으로 팔미틱애씨드 (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 (Stearic acid), 아라키딘애씨드(Arachidic acid), 베헤닉애씨드 (Behenic acid), 리놀레익애씨드 (Linoleic acid), 리놀레닉애씨드 (Linolenic acid), 아라키도닉애씨드 (Arachidon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와 고급알코올 및 오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PEG FREE 계면활성제이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수첨 팜 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palm glyceride), 솔비탄 팔미테이트(Sorbitan palmitate),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솔비탄 세스퀴스테아레이트(Sorbitan sesquistearate), 솔비탄 올레이트(Sorbitan oleate),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솔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수크로스 코코에이트(Sucrose cocoate), 메틸글루코오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C12-20 Alkyl Glucoside),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Arachidyl Glucoside) 및 그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3.6 내지 7.2중량%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고급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세틸, C14-22알코올, 아라키딜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바틸알코올 및 그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고급알코올은, 3.3 내지 12중량%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 오일류 및 에스테르 오일류로, 스쿠알란(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세칠에칠헥사노에트,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2-에칠헥사노에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에칠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쓰릴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은, 9 내지 19중량%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류, 폴리머류,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하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메틸 프로판디올(methyl propanediol), 글리세레스-26, 디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류는 7 내지 19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머류는, 카보머, 구아검, 잔탄검,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머류는, 0.2 내지 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을 피부 흡수에 효과적인 비율로 혼합하여 생리적 지질 혼합물을 제공하고 피부의 라멜라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져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다.
또한, 아토피 등의 트러블 피부에 부족한 장쇄 지방산 구조의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제공하여 손상된 피부장벽을 빠르게 복원시켜주며, 피부 깊숙히 침투하여 피부의 분화를 촉진시켜 줌으로써 피부의 항상성 유지와 보습 개선 및 가려움 개선을 통해 아토피, 건선 등의 피부 트러블 완화에 뛰어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용성의 피부성분인 장쇄 지방산 구조의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여도 안정화된 형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발림성, 흡수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피부 장벽 내 세라마이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념도로 (a)는 단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성상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성상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2의 성상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의 피부 수분 함유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의 경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의 가려움(VAS) 설문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에 대한 만족도 설문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에 대한 기호도 설문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장벽개선'이라 함은 피부 각질층(stratum corneum)의 피부 장벽기능을 보호, 강화 내지는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부 장벽개선'은 피부 각질층의 수분 감소 방지, 예를 들어 TEWL(경피수분손실)과 같은 피부 각질층의 수분감소 지표의 개선, 피부수분 함유량(skin hydration)의 증가, 세라마이드, 디히드로세라마이드 및/또는 스핑고 염기의 생성량 증가 등과 같은 피부장벽지표 개선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피부 각질층의 피부장벽 기능의 보호, 강화 및/또는 개선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보습'은 피부의 수분 손실(수분 증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트러블'이란 외부 자극이나 신체적 변화에 의해 피부가 붉게 변하고 가려움증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작은 돌기나 뾰루지 등이 생기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개선을 위해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이 동반되어 있는 피부 질환으로 건선, 급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급성 직업성 피부염, 기저귀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만성 직업성 피부염, 건선, 비대성 반흔(hypertrophic scar), 켈로이드성 반흔(keloid scar), 구순염(cheilitis), 층판성 어린선(lamellar ichthyosis) 등이 있다. 또한, 민감성 피부나 건조 피부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피부 상태에 있어서도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이 동반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다양한 피부 질환이나 비정상적인 피부 상태에 있어 피부 장벽 기능의 정상화 또는 피부 장벽 기능의 강화는 피부 질환의 치료나 피부 기능의 정상화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은 피부장벽으로 각질세포와 세포간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질세포는 각질층의 수화 역할과 자외선 및 물리적인 성분이나 자극으로부터 장벽의 역할을 한다. 상기 세포간지질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유리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질층의 세포 외 영역으로 지질 2중 층이 각질세포들 사이 사이를 촘촘히 채우고 있는 라멜라 구조이다. 이러한 라멜라 구조는 친수성의 층과 친유성의 층이 교차적으로 계속 반복되어 쌓여 있는 다중 층상 구조이다. 상기 세포간지질은 라멜라 구조로 인하여 체내 수분의 증발을 억제해 손실을 줄여주고, 항균, 항산화 투과성 장벽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건조한 피부 및 아토피 피부의 경우에는 세포간지질내의 세라마이드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피부내 라멜라 액정구조가 불완전하게 형성되고 그 결과 피부에서의 수분 손실이 커져 피부장벽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세라마이드 및 세라마이드 관련 화합물들은 피부 내 세포들의 성장과 분화, 사멸과 관련된 신호들을 조절하는 등 피부 내에서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세포간지질의 주요성분인 세라마이드는 세포간지질 중 50%를 차지하는 가장 풍부한 성분으로 라멜라 구조는 세라마이드의 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세라마이드가 감소하면 피부의 노화와 주름, 아토피가 나타날 수 있고 반대로 세라마이드가 풍부한 혼합물이나 피부 유연화제를 사용했을 때 피부장벽 기능을 회복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스핑가닌이라는 스핑고지질 기본골격에 지방산이 아마이드 결합된 물질로서 지방산의 종류, 스핑고 염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라마이드로 분류된다. 피부에서는 현재까지 7∼9종의 세라마이드가 확인되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지질에 결합된 지방산이 C22, C24 등의 장쇄(ultra-long chain)지방산을 가지는 경우가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단쇄 및 중쇄 지방산을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각질 세포를 둘러싸고 있으며 세라마이드를 구성하는 지방산 체인의 길이가 짧으면 도1의 (a) 도시한 바와 같이 각질세포를 감싸는데 빈틈이 넓게 발생하고, 지방산 체인의 길이가 길면 도1의 (b)에 도시한바와 같이 단쇄 지방산에 비해 빈틈이 없어, 각질세포 사이 사이를 촘촘하게 메꿔서 상기 각질세포를 견고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세라마이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분포는 피부의 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아토피 등의 피부트러블이 있는 경우 상기 지방산 체인의 길이가 건강한 피부에 비해서 2 내지 4개 정도로 짧으며 장쇄 지방산의 분포가 비교적 낮다. 특히 C22, C24, C26의 장쇄 및 초장쇄 세라마이드가 아토피 피부에서 감소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건강한 사람들은 상기 지방산 체인의 길이를 늘려주는 효소의 활성으로 체내에서 장쇄 세라마이드 합성이 가능한 반면, 아토피, 건선 및 염증 등의 피부 트러블이 있는 환자들은 상기 지방산의 길이를 늘려주는 효소 활성이 떨어져 있어 체내에서 장쇄 세라마이드 합성이 어렵다. 따라서, 아토피 등의 트러블 피부에는 부족한 장쇄 지방산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세라마이드 및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무너진 피부장벽을 촘촘하게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 장벽이 손상된 건조하고 민감한 트러블성 피부의 경우 세라마이드의 감소뿐만 아니라 지질 구성 자체의 이상이 발견된다. 상기 세포간지질 성분들은 세라마이드 50%, 콜레스테롤 25 % 그리고 지방산 15 %의 비율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라마이드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의 구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피부 장벽의 항상성 (barrier homeostasis)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 장벽 개선을 위해서는 상기 세라마이드를 독자적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함께 사용했을 때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으로 구성된 지질 혼합물은 피부 지질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피부 깊숙히 침투하여 손상된 피부장벽을 빠르게 복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개선을 위하여 피부 지질과 유사한 구조인 장쇄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혼합한 지질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난용성의 장쇄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상기 지질 혼합물을 균일하게 수상부에 분산시키기 위해 PEG FREE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 및 오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우수한 유화 안정성을 갖으며,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낮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으로 구성된 지질혼합물과 정제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지질혼합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구성비는 장쇄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이 2:1:1, 3:1:1 등이 될 수 있으며 구성비는 제한하지 않으나, 상기 지질혼합물의 구성 성분 중에서 세라마이드가 가장 높은 비율로 혼합된 지질혼합물을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질혼합물의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ENP, 세라마이드 AP,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DS, 세라마이드 ADS, 세라마이드 EODS,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H, 세라마이드 AH, 세라마이드 EOH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NP 및 세라마이드 ENP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세라마이드에 결합된 지방산은 탄소수 14 내지 36개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 내지 30개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 내지 26 개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2 내지 1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이를 화장품에 배합시 피부장벽 복원 효과가 미미하고 16중량%를 초과하면 층이 분리되거나 결정이 탈리되고 석출되는 등 유화 안정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 지질혼합물의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아사이팜스테롤, 라노스테롤, 다이하드로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씨토스테롤, 카놀라스테롤, 쌀겨스테롤, 돌콩스테롤, 토오일스테롤, 유채스테롤, 석류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돌콩스테롤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의 바람직한 함량은 1 내지 8 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1중량% 미만이면 이를 화장품에 배합 시 피부장벽 복원 효과가 미미하고, 8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지질혼합물의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결합된 탄소수 사슬이 C14 내지 C22 정도의 체인 길이를 갖는 지방산으로 팔미틱애씨드 (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 (Stearic acid), 아라키딘애씨드(Arachidic acid), 베헤닉애씨드 (Behenic acid), 리놀레익애씨드 (Linoleic acid), 리놀레닉애씨드 (Linolenic acid), 아라키도닉애씨드 (Arachidon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릭애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의 함량은 1 내지 8 중량% 포함하는 것으로서, 1중량% 미만이면 이를 화장품에 배합시 피부장벽 복원 효과가 미미하고 8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성과 사용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3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은 친수성 및 친유성 성질을 모두 갖게 하여 무기 파우더가 물과 오일의 계면에 잘 위치하도록 하지만 PEG는 피부 점막을 자극해 피부 트러블이나 두드러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PEG를 포함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아 민감성 피부나 아토피 등의 트러블성 피부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EG FREE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PEG FREE계면활성제라면 제한이 없고,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수첨 팜 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palm glyceride), 솔비탄 팔미테이트(Sorbitan palmitate),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솔비탄 세스퀴스테아레이트(Sorbitan sesquistearate), 솔비탄 올레이트(Sorbitan oleate),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솔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수크로스 코코에이트(Sucrose cocoate), 메틸글루코오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C12-20 Alkyl Glucoside),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Arachidyl Glucoside) 및 그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PEG FREE계면활성제는 3.6 내지7.2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 내지 2중량%, 메틸글루코오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0.8 내지 1.2중량%, 세틸팔미테이트 0.5 내지 1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 0.5 내지 1중량%, 솔비탄팔미테이트 0.5 내지 1중량%,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0.2 내지 0.5중량%,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0.1 내지 0.5중량%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세라마이드를 충분히 유화시키기 어려워 층분리 및 석출현상이 나타나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끈적임과 이취가 심하게 발생되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 안정제로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고급 알코올은 액정유화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성분으로 계면에서 라멜라 구조를 이루는데 도움을 주고 점도를 상승시키며 제형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고급알코올은 자극이 적고 수분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어 피부를 보호한다.
상기 고급 알코올은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세틸, C14-22알코올, 아라키딜알코올, 바틸알코올 및 그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베헤닐알코올, C14-22알코올, 아라키딜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알코올은 3.3 내지 12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세테아릴알코올 1 내지 6중량%, 베헤닐알코올 1 내지 3중량%, C14-22알코올 0.8 내지 1.5중량%, 아라키딜알코올 0.5 내지 1.5중량%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알코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세라마이드를 충분히 유화시키기 어려워 층분리 및 석출현상이 나타나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은 세라마이드를 충분히 용해시키고 계면막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피부표면으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 오일류 및 에스테르 오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스쿠알란(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세칠에칠헥사노에트,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2-에칠헥사노에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에칠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덴실 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메칠로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스쿠알란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는 카프릴릭과 파크릭애씨드 및 글리세린의 혼합 트라이에스터로써, 야자유 등에 존재하는 지방산을 글리세린과 반응시켜 혼합한 성분으로 산화 안정성이 뛰어나 천연 보존제의 역할을 하며 침투성이 좋아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쿠알란은 인체 피부 표층 지방의 약 12% 정도 구성하는 성분으로 친화력이 높고 피부 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입자가 작아 흡수력이 높고 피부 보습, 세균억제, 피부노화 방지 등의 다양한 기능이 있다. 또 다른 성분들과 혼화성이 좋으며 쉽게 배합할 수 있어 여러 제형의 화장품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오일은 9 내지 19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6 내지 12중량%와 스쿠알란 3 내지 7중량%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세라마이드를 충분히 용해시키기 어려우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상 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유화 입자를 형성하기가 어려워 제형의 분산과 장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 보습 기능의 폴리올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류는 세라마이드의 안정도가 향상되고 시간 경과에 따른 겔화 또는 침전의 발생이 억제되어 제형의 다양화를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메틸 프로판디올(methyl propanediol), 글리세레스-26, 디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7 내지 19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글리세린(Glycerin) 4 내지 9중량%와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3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의 범위보다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세라마이드가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렵고,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 방부제, 원료부산물, 금속이온봉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 함유되는 성분 중 점증제로 점도 조절을 위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머는 카보머, 구아검, 잔탄검,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바람직한 함량은 0.2 내지 2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을 0.1 내지 1 중량%,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0.1 내지 1 중량%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0.2 중량% 미만이면 점도형성이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상승으로 인한 제형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방부 기능을 위하여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방부 보조 물질로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을 0.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은 화장품을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보존제 또는 항균 원료의 하나로서 포함될 수 있고, 특히 미생물 세포막 파괴가 용이하여 화장품 방부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갖는 것 외에도 보습 및 용제 기능이 있으므로 복합적인 용도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은 글리세린의 한 종류로서, 항균 기능 외에도 데오드란트나 스킨컨디셔닝제로도 기능한 다기능성 원료이며, 친유성기와 친수성기의 정도를 알려주는 HLB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가 7.4이기 때문에 미생물 세포막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고 다른 항균제가 세포막에 접촉하도록 돕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다른 항균제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더욱 개선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원료부산물로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Sorbitan Isostearate) 가 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Sorbitan Isostearate)는 유화의 기능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인 수중유형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정제수와 폴리올류에 속하는 글리세린 및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55 내지 85ºC로 가열하여 제조한다.
2)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오일,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65ºC 내지 85ºC로 가열하여 제조한다.
3)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주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로 폴리머 및 방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호모 믹서를 이용할 수 있고, 교반 속도 및 시간은 사용하는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PM 3000 내지 7000에서 15분 내지 35분간 교반을 수행한다.
4) 냉각 단계를 거쳐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리퀴드,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바디워시,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폼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일실시예로서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를 갖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1은 세라마이드 5.78중량%, 콜레스테롤 2.74중량%, 지방산 3.33중량%를 포함하는 지질혼합물과 정제수 48.34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지질혼합물을 유화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5.68 중량%, 고급알코올을 5.28중량%, 오일은 17.22중량%로 함유한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실시예1의 수상부에는 정제수 이외에도 폴리올 5.3중량%, 폴리머 1.37중량%, 방부제 및 기타 3.25중량%를 더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주)엘씨에스바이오텍社의 "HP EcoCeramide LCS"(Ceramide NP, C16~C24)를 이용하였다.(https://www.lcsbio.com/복제-기술-소개-ecoceramide)
상기 실시예1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수상부를 55ºC~85ºC로 가열하고, 유상부는 65ºC~85ºC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수상부에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했다. 이 때, 수상부와 유상부의 혼합은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RPM 3000~7000의 속도로 15분~35분 동안 교반하고, 냉각하여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
비교예1, 2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정제수의 조성이 실시예1과 같으며, 상기 지질혼합물을 유화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 고급알코올, 오일의 조성별 함량을 하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달리하였으며, 폴리올, 폴리머, 방부제 및 기타 성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2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유상부 세라마이드 5.87 5.87 5.87
콜레스테롤 2.74 2.74 2.74
지방산 3.33 3.33 3.33
계면활성제 5.68 2.54 5.68
고급 알코올 5.28 5.28 1.76
오일 17.22 21.33 21.33
수상부 정제수 48.34 48.34 48.34
실험예 1 : 성상 관찰
상기 실시예 1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 입자가 조밀하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유화되었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층분리나 석출이 나타나지 않았고 크림으로 적합한 성상을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 1과 같이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2.54중량%로 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한 계면활성제의 범위보다 낮게 함유하면, 오일을 21.33중량%로 함량을 높여 보충하더라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낮아 조성물의 수상부에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유화 안정성이 떨어져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층분리 현상과 결정이 석출되었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고급알코올의 함량이 1.76중량%로 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한 고급 알코올의 범위보다 낮게 함유하면,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오일을 21.33중량%로 높여 보충하더라도 고급알코올의 함량이 낮아 유화 안정성이 떨어져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층분리 현상과 결정이 석출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가 어려운 난용성 피부지질 성분을 계면활성제, 고급알코올 및 오일과의 용이한 배합을 통해 성상의 분리나 결정의 석출 없이 유화 안정화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피부테스트에 의한 효과 확인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포함하는 임상시험 제품의 인체적용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로 보습 효과, 가려움 완화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임상시험제품은 전체 중량에서 상기 실시예1을 54.50중량% 포함하고 부가원료를 45.50중량%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부가원료는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6.8중량%, 정제수 37중량%, 점증제 0.3중량%, 컨셉원료(판테놀 Panthenol, 흰목이버섯추출물 Tremella Fuciformis (Mushroom) Extract) 1.4중량%를 포함한다.
시험은 만40~60세의 피부 질환이나 피부 알레르기가 없고 피부 가려움을 느끼는 성인 총 22명 (45.9±8.71세)을 대상으로 제품을 2주 동안 전완부에 사용하였다. 본 시험은 피부 경피수분손실량이 12.0g/㎡h이상인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피험자들의 측정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시험 부위를 깨끗하고 마른 상태로 유지하였으며, 공기의 이동과 직사광선이 없는 항온 항습 조건(실내온도 20~24 °C, 습도 40~60%)에서 진행하였다.
1-1 피부 수분함유도 측정
피부 수분 측정은 측정기(Corneometer, CM825,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을 이용하여 전완부의 피부 수분함유도를 측정하였으며, 제품 사용 전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표와 같이 제품 사용 전 31.48A.U, 제품 사용 2주 후 53. 25A.U로 측정되었으며, 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제품 사용 2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피부 수분함유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5) 피부 수분함유도 개선율 분석결과에 따르면,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사용 전 대비 제품 사용 2주 후 70.47%의 개선율을 보였으며,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단위: g/㎡·h)
시점 측정값
(평균±표준오차)
개선율(%) p-value
제품 사용 전 31.48 ± 4.209 -
제품 사용 2주 후 53.25 ± 9.472 70.47 ± 30.392 0.000
1-2 경피수분손실량 측정
Tewameter TM30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을 이용하여 전완부의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제품 사용 전과 비교 평가하였다. 경피수분손실량 측정결과, 제품 사용 전 15.91g/㎡·h, 제품 사용 2주 후 10.87g/㎡·h로 측정되었으며, 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제품 사용 2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경피수분손실량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경피수분량 개선율 분석결과, 도 6에 그래프로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사용 전 대비 제품 사용 2주 후 27.56%의 개선율을 나타내었고, 아래 표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단위: g/㎡·h)
시점 측정값
(평균±표준오차)
개선율(%) p-value
제품 사용 전 15.91 ± 6.223 -
제품 사용 2주 후 10.87 ± 1.482 27.56 ± 13.958 0.000
1-3 가려움 설문조사 (VAS)
설문평가를 이용하여 시험 대상자가 느끼는 가려움 정도를 측정하였다. 평가는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후의 피부 가려움 정도(Score)를 자가 평가하였고, 제품 사용 전과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대상자는 방문 시 최대 가려움에 대한 10점 척도를 가려움 평가도구인 visual analogue scale(VAS)로 평가하였다. 시험대상자가 느끼는 가려움의 정도를 10cm 선분 위에 시험대상자가 직접 표시하도록 하고, 그 정도를 평가하였다. 가려움 척도는 아래의 표 3과 같으며, 시험대상자들이 표시한 정도를 비교하여 가려움 개선도를 평가하여 VAS 점수가 낮아지면 가려움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점수 가려움의 정도
0점 가려움이 없음
1점 이상 3점 미만 경증의 가려움 (milde pruritus)
3점 이상 7점 미만 중증도의 가려움 (moderato pruritus)
7점 이상 9점 미만 중증 가려움 (severe pruritus)
10점 매우 중증 가려움 (very severe pruritus)
가려움 설문평가 결과, 제품 사용 전 4.75score, 제품 사용 2주 후 1.82score로 평가되었으며, 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제품 사용 2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가려움 완화를 나타내였다(p<0.05). 가려움 개선율 분석결과, 도 7에 그래프로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사용 전 대비 제품 사용 2주 후 69.65%의 개선율을 나타내었고, 아래 표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단위: score)
시점 측정값
(평균±표준오차)
개선율(%) p-value
제품 사용 전 4.75± 1.631 -
제품 사용 2주 후 1.82 ± 1.842 69.65 ± 36.396 0.000
1-4 안정성 평가
시험대상자 별 제품 사용 직후의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상반응 평가는 피험자가 매회 방문할 때마다 육안으로 이상반응(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 및 다른 이상반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험대상자 22명 모두 증상 없음에 답하였다.
1-5 제품 만족도 및 기호도 설문 평가
시험대상자는 시험 제품 사용 후 주관적 만족도 평가 및 제품 기호도 평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만족도 평가는 “제품 사용 후 가려움이 개선되었다.” 와 “제품 만족도”에 대하여 아주좋음 5점, 좋음 4점, 보통 3점, 나쁨 2점, 아주나쁨 1점으로 나누어 답하게 하였고, 결과를 합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제품 만족도 설문에 대한 분석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사용 후 가려움이 개선되었다.”에 90.9%가 긍정 응답하였으며, “제품 만족도” 또한 90.9%가 긍정 응답하여 가려움이 개선과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평가는 촉촉함, 매끄러움, 흡수성, 발림성, 향의 정도, 전반적인 사용감에 대하여 아주좋음 5점, 좋음 4점, 보통 3점, 나쁨 2점, 아주나쁨 1점으로 나누어 답하게 하였고, 결과를 합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기호도 설문에 대한 분석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촉촉함 95.5%, 매끄러움 81.8%, 흡수성 86.4%, 발림성 77.3%, 향의 정도 81.8%, 전반적 사용감 86.4%로 나타났다.
2 피부 일차자극 평가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하여 제조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인체 피부 일차자극 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 평가를 설명한다.
시험은 만 20~60세의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시험제품을 IQ Ultra Patch에 20ul씩 점적한 후 등에 부착하고, 3M Micropore Tape으로 고정하여 피부 자극지수를 평가 후 사진 촬영하였다. 1차 판정은 패치 부착 24시간 후, 제거 1시간 후에 판정하였고 2차 판정은 패치 제거 24시간 후 시점에서 판정하였다. 판정기준은 피부에 나타나는 자극 정도를 Frosch & Kligman과 CTFA guideline, ICDRG(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기준에 따라 육안평가 하였다
<피부 판정 기준>
(-) : 0.0 --------- 자극 전혀 없음
(±) : 0.5 -------- 매우 약한 발적
(+) : 1 ---------- 약한 발적
(++) : 2 --------- 강한 발적
(+++) : 3 -------- 매우 강한 발적 또는 부종 있음
<최종 판정 기준>
0.0 - 0.9: 저자극, 1.0 - 2.9: 경자극, 3.0 - 4.9: 중자극, 5.0 이상: 강자극
1차 판독 2차 판독 평균 피부 반응도 판정
반응자수 ± 1+ 2+ 3+ ± 1+ 2+ 3+
0 0 0 0 0 0 0 0 0 0.00 저(무)자극
상기 인체 피부 일차자극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평균 피부 반응도가 0.00으로, 저(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고급 지방산 및 정제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 2 내지 16중량%; 및, 콜레스테롤 1 내지 8중량%; 고급 지방산 1 내지 8중량%; 정제수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는 결합된 지방산이 탄소수 14 내지 36개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계면활성제와 고급알코올 및 오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계면활성제는, 3.6 내지 7.2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고급알코올은, 3.3 내지 12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오일은, 9 내지 19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쇄 지방산을 갖는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로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ENP, 세라마이드 AP,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DS, 세라마이드 ADS, 세라마이드 EODS,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H, 세라마이드 AH, 세라마이드 EOH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아사이팜스테롤, 라노스테롤, 다이하드로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씨토스테롤, 카놀라스테롤, 쌀겨스테롤, 돌콩스테롤, 토오일스테롤, 유채스테롤, 석류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산은 결합된 탄소수 사슬이 C14 내지 C22의 체인 길이를 갖는 지방산으로 팔미틱애씨드 (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 (Stearic acid), 아라키딘애씨드(Arachidic acid), 베헤닉애씨드 (Behenic acid), 리놀레익애씨드 (Linoleic acid), 리놀레닉애씨드 (Linolenic acid), 아라키도닉애씨드 (Arachidon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PEG FREE 계면활성제이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수첨 팜 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palm glyceride), 솔비탄 팔미테이트(Sorbitan palmitate),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솔비탄 세스퀴스테아레이트(Sorbitan sesquistearate), 솔비탄 올레이트(Sorbitan oleate),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솔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수크로스 코코에이트(Sucrose cocoate), 메틸글루코오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C12-20 Alkyl Glucoside),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Arachidyl Glucoside) 및 그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세틸, C14-22알코올, 아라키딜알코올, 바틸알코올 및 그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 오일류 및 에스테르 오일류로 스쿠알란(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세칠에칠헥사노에트,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2-에칠헥사노에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에칠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쓰릴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류, 폴리머류,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메틸 프로판디올(methyl propanediol), 글리세레스-26, 디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류는 7 내지 19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류는, 카보머, 구아검, 잔탄검,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류는, 0.2 내지 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30062070A 2023-05-12 2023-05-12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575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070A KR102575751B1 (ko) 2023-05-12 2023-05-12 보습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070A KR102575751B1 (ko) 2023-05-12 2023-05-12 보습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751B1 true KR102575751B1 (ko) 2023-09-06

Family

ID=8797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070A KR102575751B1 (ko) 2023-05-12 2023-05-12 보습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67A (ko) * 2013-11-20 2015-05-2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투명도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455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0190A (ko) * 2017-09-13 2019-03-21 한국콜마주식회사 양친매성 용매 상에 다종의 세라마이드 입자가 분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8920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9693B1 (ko) * 2022-01-28 2023-03-15 에이드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67A (ko) * 2013-11-20 2015-05-2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투명도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455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0190A (ko) * 2017-09-13 2019-03-21 한국콜마주식회사 양친매성 용매 상에 다종의 세라마이드 입자가 분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8920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9693B1 (ko) * 2022-01-28 2023-03-15 에이드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276B1 (ko)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6709B1 (ko) 약산성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US20070098647A1 (en) Skin care products
EP2744474B1 (de) Medizinische hautschutz-zusammensetzung mit einer die hautbarriere verbessernden wirkstoffkombination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498382A (zh) 一种保湿共输送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38642B1 (ko)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14177109B (zh) 一种复合神经酰胺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34788B1 (ko) 미생물 유래 당지질계 유화제를 이용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02087B (zh) 修护组合物、应用及含有该修护组合物的护肤品组合物
KR20180109329A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A2433177C (en) Hypoallergenic and non-irritant skin care formulations
KR102217663B1 (ko)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658555A (zh) 一种纳米抗皱精华乳及其制备方法
KR101003847B1 (ko) 피부유사 복합체 조성물
KR100560092B1 (ko) 저알레르기성 및 비자극성 피부 보호 제제
US20090221625A1 (en) Cosmeceutical composition
KR102076551B1 (ko) 사방 결정구조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75751B1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3133B1 (ko)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199598A (ja) 皮膚化粧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308743B1 (ko) 피부 자극완화 복합물을 포함하는 라멜라 액정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5430A (ko)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5107733A1 (ja) 局所麻酔用皮膚外用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