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848A -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848A
KR20170094848A KR1020160016081A KR20160016081A KR20170094848A KR 20170094848 A KR20170094848 A KR 20170094848A KR 1020160016081 A KR1020160016081 A KR 1020160016081A KR 20160016081 A KR20160016081 A KR 20160016081A KR 20170094848 A KR20170094848 A KR 20170094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skin
ceramid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규
김진욱
이은옥
박장서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4848A/ko
Publication of KR2017009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Ceramide),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Glycerin fatty acid ester), 식물성 오일 및 극성용매를 포함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실제 피부에 존재하는 성분만을 포함함으로서, 피부각질세포간 지질의 층상구조인 헥사고날 구조를 가져, 피부 장벽을 빠르게 복원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mposition of non-water liquid crystalline phase comprising ceramid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산업에서는 피부의 구조 및 구성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고 있으며, 피부와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그 조성적으로도 유사한 액정유화제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각질층은 크게 각질세포와 각질세포의 사이를 메우고 있는 세포간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구조는 벽돌과 시멘트로 비유한 'Brick and Mortar Model'로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각질층의 주요 기능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과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 수분을 유지하는 보습기능이다. 이러한 피부 각질층의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질세포간 지질성분들이 형성하는 라멜라 구조이다. 이러한 지질성분들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지방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특히 세라마이드는 전제 지질성분의 약 50%를 차지하여 매우 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세포간지질은 대략적으로 세라마이드 약 50%, 콜레스테롤 20 ~25%, 자유지방산 20 ~ 25%, 10% 정도의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1 ~ 2% 콜레스테롤 설페이트, 소량의 인지질, 소량의 파이토스핑고신 및 소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장벽기능의 이상은 피부각질세포간 지질의 구조 및 함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피부장벽기능이 약화되면 여러 가지 피부질환이 발생한다. 특히 심한 건조피부와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피부 각질층의 세라마이드 함량의 감소에 따른 피부장벽의 손상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이러한 피부에 세라마이드 등의 각질세포간 지질성분을 공급하는 것은 피부 각질층의 정상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화장품 분야에서 유화 액정의 이용이 크게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液晶, Liquid crystal)이란 고체와 액체의 중간 상으로서, 대개 양친매성 유기분자들이 규칙성을 가지고 일정하게 배열하여 여러층을 이루고 있을 때(라멜라구조) 생성되는 계를 의미한다. 액정은 점도 및 유동성 면에서는 액체처럼 행동하나, 빛의 산란과 반사같은 물성에 있어서는 결정성의 물성을 나타내는 등 독특한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화장품, 의약품, 식품 및 전자공업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 액정 유화는 화장품의 활성성분을 캡슐화 할 수 있고, 구성 성분이 피부 지질과 유사하여 피부 세포간 지질층을 복원하여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획득하게 한다.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액정 구조는 액정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액정을 가질 수 있다. 화장품에 주로 이용되는 액정은 리오트로픽(Lyotropic) 액정으로 양친매성 분자와 극성용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액정을 말한다. 양친매성 분자인 계면활성제는 극성 용매인 물에 녹으면서 물과 공기의 계면에 단일층(monolayer)으로 존재하거나 미셀을 형성하게 된다. 극성용매 중에서 양친매성 물질은 용해 또는 수화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다가 농도에 높아짐에 따라서 구형미셀(spherical micelle)을 형성하게 되고 농도가 점점 더 높아짐에 따라 구형 미셀은 원통형 미셀(Cylinderical micelle), 원통형 미셀이 쌓여서 형성되는 육방상(Hexagonal phase), 입방상(Cubic phase), 라멜라상(lamellar phase)을 이루게 되고 농도가 더 높아지면 친수성과 친유성 부분이 바뀌어서 더 밀집된 입방상, 역육방상(Reverse hexagonal phase)이 된다. 외부가 친유성을 띄고 내부가 친수성을 띄는 역육방상의 액정은 피부 각질층과 같은 액정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외부가 친유성을 띄고 있어 피부 각질층과 친화도가 높아 각질층과 상호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역 육방형 구조의 액정의 경우 연속상이 물인 O/W 에멀젼에 잘 분산되어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며, 화장품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으로 인해 그 구조를 온전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산업적으로 주로 이용되는 라멜라 구조에는 생체막 구조와 비슷한 리포좀 형태로서 다막리포좀(MLV:Multi Lamella Vesicle)과 단막리포좀(ULV:Uni Lamella Vesicle)으로 구분되고, 이 중 MLV는 각질세포간 지질구조인 라멜라 구조를 가져서 피부와 친화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국 특허공개 제2003-0007990호). 또한 이러한 리포좀은 생리활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 양이 제한적이고, 제형 안정성이 낮으며, 친유성 생리활성성분의 안정도가 낮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새로운 제형으로서 다중 라멜라 에멀젼 상태의 피부 외용제를 개발하려는 시도로 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다중 라멜라 에멀젼으로 만든 것이나, 라멜라 구조가 액상 라멜라와 같이 비교적 유동성이 큰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 유화계에서 팽윤(swelling) 현상을 일으켜 제형의 점도와 경도를 상승시키거나, 불안정한 다중 라멜라 구조가 쉽게 소실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액정기술에서 액정의 구조는 세포간 지질과 유사한 다중층(Multi-layer) 라멜라(Lamella)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그 지질의 종류가 주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유화제 및 지방산 등으로 이루어져 세포간 지질과 조성면에서 차이를 보여 실제 화장료에 적용하였을 때 일반 유화제품 보다 안정성은 우수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피부간 지질의 조성변화를 유도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사람 피부의 세포간 지질막과 가장 유사한 액정 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해 지질의 종류 및 그의 조성비가 피부화 유사한 액정의 개발이 중요하다.
세포간지질 성분들, 특히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 등은 결정화 경향이 큰 난용성 물질로서 일반적인 수중유(Oil-in-water) 에멀젼 제형에서 분산상인 오일상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연속상인 수상에 일부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겔화(gelation)와 같은 제형 안정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세포간지질을 에멀젼내에서 안정화시키려는 시도로 액정베이스를 미리 제조하여 수중유 에멀젼의 맨 마지막 단계에서 후첨하는 방법이 고안되기도 했다(대한민국 특허등록 10-0452757, 10-0525842, 10-0830153, 10-0867679).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액정베이스는 대부분 실온에서 매우 높은 경도를 갖는 왁스상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공정에서의 상용성이 쉽지 않고 액정베이스 제조 시 과량으로 사용된 레시틴, 고급 지방알코올로 인해 화장품의 사용감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포간지질을 직접 유화공정을 통해 액정에멀젼을 만들려는 시도로서 계면활성제와 세포간지질 및 고급 지방알코올 등으로 이루어진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액정에멀젼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88743)이 있으나 이러한 액정에멀젼은 유화계에 팽윤을 일으키며, 제조공정이 쉽지 않고, 제조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특허출원 2011-0093634,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830153등 다양한 피부세로간 지질의 액정조성물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다.
액정 유화 기술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등 전반적인 피부의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한 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4532호(피부 자극 완화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980호 (피부유사막을 갖는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8743호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등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기술들을 포함한 다수의 기술들은 실질적으로 일반 유화제품 보다는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액정구조를 안정화시키기 실제 피부에는 존재하지 않는 화학분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장벽 기능을 현저하게 완화하거나 개선하는데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장기적인 사용에서는 오히려 피부장벽의 라멜라 구조를 변형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장벽 지질로만 구성되고 합성 유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실제 피부지질에 존재하는 성분만을 포함하는 유화 상태가 안정한 액정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실제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피부지질구조와 유사한 제형으로 구성되어 피부장벽 개선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재생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최적의 조성비로 구성된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Ceramide),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Glycerin fatty acid ester), 식물성 오일 및 극성용매를 포함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1 내지 10 중량%, 피토스핑고신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0.1 내지 5 중량%, 식물성 오일 15 내지 35 중량% 및 극성용매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극성용매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모노아실글리세린(mono-acyl glycerine), 및 디아실글리세린(di-acyl glycer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아르간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살구씨 오일, 헤이즐넛 오일, 선플라워 오일, 피마자유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 오일, 및 캐놀라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활성 성분 또는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극성용매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혼합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는 단계(S1);
식물성 오일에 피토스핑고신 및 세라마이드를 혼합하여 혼합물 B를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의 혼합물 A에 혼합물 B를 혼합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개발된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은 실제 피부에 존재하는 성분만 포함하는 것으로,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글리세린 지방산 등을 포함함으로서, 피부각질세포간 지질이 실제 피부에서 형성하고 있는 헥사고날 구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함으로써, 피부 세포간 지질과 친화성이 우수하며, 피지성분과 유사하여 피부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피지막을 생성시킬 수 있다.
도 1은 식물성 오일로 마카다미아 넛 오일을 사용한 액정 유화물을 촬영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식물성 오일로 아르간 오일을 사용한 액정 유화물을 촬영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피부의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한 후 각질층의 세라마이드 침투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액정 조성물은 합성 성분으로 합성 유화제나 지방산을 사용하여 계면 액정 형태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피부 장벽의 구성성분에 합성성분은 거의 존재하지 않은 바, 이 외의 합성성분들은 오히려 피부장벽의 규칙적인 배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피부장벽간 지질의 가장 중요한 성분인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과 피지성분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Ceramide),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Glycerin fatty acid ester), 식물성 오일 및 극성용매를 포함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의 최적 조성비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1 내지 10 중량%, 피토스핑고신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0.1 내지 5 중량%, 식물성 오일 15 내지 35 중량% 및 극성용매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은 상기 조성비에서 최적의 보습도 지속 효과 및 피부 침투 효과를 보인다.
상기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물을 제외한 극성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극성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는 조성물에서 피지 성분과 유사한 물질로 작용되는 것이며,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모노아실글리세린(mono-acyl glycerine), 또는 디아실글리세린(di-acyl glycerine)일 수 있다.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는 상기 범위 내에서 최적의 유분 조절 효과를 가진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아르간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살구씨 오일, 헤이즐넛 오일, 선플라워 오일, 피마자유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 오일, 또는 캐놀라 오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아르간 오일 또는 마카다미아 넛 오일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식물성 오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피부에 충분한 유분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기타 피부활성 성분 또는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극성용매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혼합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는 단계(S1);
식물성 오일에 피토스핑고신 및 세라마이드를 혼합하여 혼합물 B를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의 혼합물 A에 혼합물 B를 혼합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물을 제외한 극성용매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혼합하고 50 내지 90℃의 온도로 가온하여 용해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한다.
상기 S2 단계에서는 식물성 오일에 피토스핑고신과 세라마이드를 혼합한 후, 7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온하여 용해하여, 혼합물 B를 제조한다.
S3 단계에서 S1 단계의 혼합물 A와 S2 단계의 혼합물 B를 교반하여 혼합하여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제조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교반시키면서 진공탈포하면서 냉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세포간 지질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안정한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은 피부각질세포간 지질의 층상구조인 헥사고날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실시예 1), 피부장벽(Skin barrier)을 빠르게 복원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실시예 2 및 3), 심한 건조피부와 아토피와 같은 피부장벽 이상 질환에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은 피부각질세포간 지질이 실제 피부에서 형성하고 있는 헥사고날 구조와 동일한 형태가짐으로써, 피부 세포간 지질과 친화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천연 피지 성분과 유사하여 피부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피지막을 생성시켜 우수한 보습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제조
글리세린 70 g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글리세릴올리에이트(glyceryl oleate)와 글리세릴디올리에이트(glyceryl dioleate)를 각각 1 g을 첨가하여 70℃ 이상으로 가온하여 용해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였다.
이 후, 20 g의 식물성 오일에 피토스핑고신 3 g 및 세라마이드 5 g을 첨가한 후 90℃ 이상으로 가온하여 용해하여 혼합물 B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혼합물 A 및 혼합물 B를 혼합하여 70℃의 온도에서 충분히 교반시킨 후 진공탈포시키면서 40℃까지 냉각시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 조성비
#1 #2
극성용매 글리세린(중량%) 70 70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모노아실글리세린
(중량%)
2 2
다이아실글리세린
(중량%)
식물성 오일 아르간 오일
(중량%)
20 -
마카다미아 넛 오일
(중량%)
- 20
세라마이드
(중량%)
5 5
피토스핑고신
(중량%)
3 3
합계
(중량%)
100 100
실시예 2: 액정상의 형태 확인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을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성된 액정상을 촬영한 영상을 도 1(#1 조성물) 및 도 2(#2 조성물)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은 전형적인 4개의 꽃잎모양(Maltesecross)의 형태를 갖는 액정조성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피부 보습도 측정
상기 #1의 액정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사람(N=5명)의 팔 부위에 액정조성물과 비액정 조성물을 각각 30μl/3cm2의 농도로 도포한 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에서의 보습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비 액정 조성물은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핑고신의 함량이 유사한 피부지질 조성물로서 세라마이드 3.5 중량%, 피토스핑고신 1.5 중량%, 유리지방산 2.5 중량%, 레시친 2.5 중량%, 트리글리세라마이드 2.5 중량%와 잔부의 물을 포함한 것을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도포 후 30분만에 피부의 수분량이 약 60% 상승하였으며 비교예의 경우는 약 40% 상승하였다. 또한 피부 수분량의 변화는 실시예의 경우 보습도가 오래 지속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 4: 피부침투 효과 확인
상기의 액정조성물을 사람의 팔부위에 도포한후(30mg/22mm circle) 30분이 경과한 후 피부 표면을 물로 잘 세척한 후 D-squame tape(Diameter 22mm, CuDerm, Dallas, USA)를 이용하여 15회 피부각질을 떼어냈다. 떼어낸 테이프에서 5장씩 모아 테이프에 붙은 피부각질에서 지질을 추출한 후 박층크래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유화물은 피부 도포후 30분에 15층의 각질층까지 세라마이드가 침투해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세라마이드(Ceramide),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Glycerin fatty acid ester), 식물성 오일 및 극성용매를 포함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1 내지 10 중량%, 피토스핑고신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0.1 내지 5 중량%, 식물성 오일 15 내지 35 중량% 및 극성용매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모노아실글리세린(mono-acyl glycerine), 및 디아실글리세린(di-acyl glycer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아르간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살구씨 오일, 헤이즐넛 오일, 선플라워 오일, 피마자유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 오일, 및 캐놀라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활성 성분 또는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극성용매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혼합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는 단계(S1);
    식물성 오일에 피토스핑고신 및 세라마이드를 혼합하여 혼합물 B를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의 혼합물 A에 혼합물 B를 혼합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16081A 2016-02-12 2016-02-12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4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081A KR20170094848A (ko) 2016-02-12 2016-02-12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081A KR20170094848A (ko) 2016-02-12 2016-02-12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848A true KR20170094848A (ko) 2017-08-22

Family

ID=5975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081A KR20170094848A (ko) 2016-02-12 2016-02-12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48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920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41535A (zh) * 2019-06-24 2019-08-20 广州澳希亚实业有限公司 一种含神经酰胺的液晶乳霜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920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41535A (zh) * 2019-06-24 2019-08-20 广州澳希亚实业有限公司 一种含神经酰胺的液晶乳霜及其制备方法
CN110141535B (zh) * 2019-06-24 2022-05-24 广州澳希亚实业有限公司 一种含神经酰胺的液晶乳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6954B (zh)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其製造方法
RU2459613C2 (ru) Композиция эмульсии "масло в воде"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100861980B1 (ko) 피부유사막을 갖는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52493B1 (ko) 베시클 분산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EP2167015A2 (de)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in schaum-cremes
KR20150022434A (ko) 나노 에멀젼 제조방법
KR102052621B1 (ko) 각질층의 라멜라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는 유사 피부 모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2839B1 (ko) 레티날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E4021082A1 (de) Hautbehandlungsmittel mit hohen lipidgehalten unter verwendung eines bilayer enthaltenden systems, salzen organischer saeuren, alkohol und stabilisator
KR101961649B1 (ko) 경피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101509579B1 (ko) 온도 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한 피부지질유사 막의 라멜라형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72216B1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마이셀을 함유하는 가용화 제형
KR101337214B1 (ko)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포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9277A (ko) 자가조합형 지질 베시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4848A (ko)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8118A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59075A (ko) 피부모사 리포좀 및 보습효능을 포함하는 이의 용도
KR100527346B1 (ko)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다중 라멜라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KR20210073957A (ko) 난용성 물질의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804B1 (ko)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4120A (ko) 화장료용 나노 베지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21435A (ko) 난용성 성분이 안정화된 나노베지클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99766B1 (ko) 투명한 다중층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9510432A (ja) アボカド油不鹸化物を含む脂質小胞
WO199902401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pos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