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457A -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457A
KR20160107457A KR1020150030202A KR20150030202A KR20160107457A KR 20160107457 A KR20160107457 A KR 20160107457A KR 1020150030202 A KR1020150030202 A KR 1020150030202A KR 20150030202 A KR20150030202 A KR 20150030202A KR 20160107457 A KR20160107457 A KR 2016010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eramide
weight
crystal bas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452B1 (ko
Inventor
이중규
김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코스
Priority to KR102015003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45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액정 베이스는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유화제 및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정 베이스는 스테롤 성분으로 제조한 액정 베이스보다 액정 형성 및 피부 장벽 회복 효과가 훨씬 뛰어나고, 다양한 온도에서 장기간 제형 안정성을 보이며, 피부 재생효과도 우수한 바,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LIQUID CRYSTAL BASE FOR RECOVERING DISRUPTED SKIN BARRIER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액정 베이스는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유화제 및 오일을 포함한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체내의 제 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기타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표피는 인체 내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을 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J. Invest . Dermatol. 54, 24-31, 1970).
그러나,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기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푸석거리고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세라마이드, 필라그린 등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를 피부외용제에 배합하거나, 세라마이드를 직접 피부외용제에 도입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접근법들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기술로서 항상성을 유지하게끔 도와주고 보습에 대한 근원적인 접근법이라는 점에서 선호되나(J. Invest . Dermatol . (5), 731-740, 1994), 이러한 성분들, 특히 세라마이드는 결정성이 매우 강한 난용성 물질이어서, 액정 유화 기술을 이용하여 화장품 제형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액정 베이스들은 콜레스테롤 유도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용 사용하거나 콜레스테롤과 비타민 유도체 및 레시틴 등을 혼용 사용하여 액정을 만들었으며, 이렇게 형성된 액정 베이스를 겔베이스나 로션, 화운데이션 등에 소량 첨가하여 액정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구체적인 예로 미국특허 제4,999,348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4-112807호 및 제3-034097호 등이 있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액정은 사용성이 오일리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패되어 원료자체의 불쾌한 냄새가 있어 화장료에 사용시 주의를 요하며 열호변성(thermotropic)이기 때문에 온도에 특히 민감하다.
미국등록특허 제4,999,348호(1991.03.12. 공개) 일본공개특허 제4-112807호(1992.04.14. 공개) 일본등록특허 제3-034097호(1993.05.29. 공개)
이에 본 발명자는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스테롤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액정 베이스를 개발하던 중, N-아세틸피토스핑고신(N-Acetyl Phytosphingosine), 세라마이드(ceramide), 지방알코올, 지방산, 유화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가 액정 형성이 뚜렷하고, 피부 재생 기능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유화제, 지방산 및 오일을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a)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유화제 및 오일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 구성부; 및 폴리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각각 7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각각 가열된 액정 베이스 구성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35 내지 60℃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피부 장벽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유화제, 지방산 및 오일을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베이스는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0.3 내지 1.4 중량부, 세라마이드 0.1 내지 5 중량부, 지방알코올 0.5 내지 15 중량부, 유화제 2 내지 15 중량부, 지방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오일 2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게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3B,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및 세라마이드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방알코올은 세틸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 디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이트, 솔비탄 팔미테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이트, 수첨(Hydrogenated) 레시틴 및 수첨 팜 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팔미틴산, 스테아릭산, 아라키딘산, 라우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액상 파라핀, 파라핀 왁스, 스쿠알란 및 친유성 식물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70 내지 90 중량%, 및 상기 액정 베이스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0 내지 2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에센스, 크림, 클렌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선크림, 립글로스, 겔 및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유화제 및 오일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 구성부; 및 폴리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각각 7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각각 가열된 액정 베이스 구성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35 내지 60℃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피부 장벽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정 베이스는 스테롤 성분을 N-아세틸피토스핑고신으로 대체하여 제조한 액정 베이스로서, 스테롤 성분으로 만든 액정 베이스보다 액정 형성 및 피부 장벽 회복 효과가 훨씬 뛰어나고, 피부 재생효과도 우수한 바, 피부미용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액정 형성의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2 및 17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유화제, 지방산 및 오일을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액정(液晶, liquid crystal) 베이스'는 고체와 액체의 중간상태로서, 본 발명의 액정베이스는 N-아세틸피토스핑고신(N-acetyl phytosphingosine), 세라마이드(ceramide), 지방알코올(fatty alcohol), 지방산, 유화제 및 오일를 함유함으로써, 친수부분은 친수부분끼리 소수부분은 소수부분끼리 일정하게 배열되어 견고하고 튼튼한 다중층을 형성하는 계를 의미한다.
상기 액정 베이스의 액정 직경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2 내지 3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베이스는 스테롤을 첨가하여 만든 액정 베이스보다 액정 형성이 뚜렷하고, 피부 장벽 회복 효과가 훨씬 더 뛰어나다. 따라서 상기 액정 베이스는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에 적용될 수 있고, 피부 세포 회복의 정도가 우수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재생용 화장료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피부 장벽의 기능이 불완전함으로서 생기는 피부 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N-아세틸피토스핑고신(N-acetyl phytosphingosine)은 각질층에 약 1~3% 정도 존재하는 천연항균성분으로 여드름 치료에 주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N-아세틸피토스핑고신은 피부 표피지질의 구성성분인 세라마이드의 전구체로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어 낮은 농도로도 진정작용을 한다. 하기는 N-아세틸피토스핑고신의 구조이다.
Figure pat00001
스핑고지질의 한 종류인 세라마이드는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 지질 장벽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질층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의 일부는 세라마이다제에 의해 피토스핑고신과 스핑고신으로 변환되고, 이중 피토스핑고신은 인체의 각질층에서 미생물 침투에 대해 인체를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액정 베이스에 포함되는 세라마이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3B,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및 세라마이드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세라마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3일 수 있다.
'세라마이드 3'이라 함은 9,10,16-트리하이드록시팔미틴산 및 알킬옥시-3-하이드록시-2-아미노프로판의 축합반응으로 합성되는 원료를 의미하며, 이 원료는 정량할 때 세라마이드(C33H67O6N : 573.0) 98.0% 이상을 함유한다. 하기는 세라마이드 3의 구조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지방알코올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세틸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테아릴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팔미틴산, 스테아릭산, 아라키딘산, 라우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릭산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글리세릴-10 디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이트, 솔비탄 팔미테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이트, 수첨(Hydrogenated) 레시틴 및 수첨 팜 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 에스테르(gly)계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올레이트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액상 파라핀, 파라핀 왁스, 스쿠알란 및 친유성 식물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베이스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비율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0.3 내지 1.4 중량부, 세라마이드 0.1 내지 5 중량부, 지방알코올 0.5 내지 15 중량부, 유화제 2 내지 15 중량부, 지방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오일 2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일 때, 액정 형성이 매우 뚜렷하고, 저온 및 고온에서도 장기간 동안 제형 안정성을 가지며, 뛰어난 피부 장벽 회복 기능을 보인다. 상기 액정 베이스의 피부장벽 회복률(%)은 65 내지 99%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일 수 있다.
상기 N-아세틸피토스핑고신은 0.3 중량부 미만일 때는 항균력과 액정의 피부침투 능력 및 액정 형성이 약하고, 1.4 중량부를 초과하면 액정이 뭉쳐서 잘 형성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0.3 중량부 미만 또는 1.4 중량부 초과시에는 제형 안정성이 매우 떨어진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경시 변화에 따른 액정 타입의 상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정이 가속화되어 제형의 안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방알코올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유화가 잘 되지 않아 액정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의 증가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 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화제가 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유화력을 가질 수 없어 액정을 형성할 수 없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의 증가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액정을 형성하는데 유화력이 충분하지 않아서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경도와 점도가 증진되어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오일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표면이 복구와 보습, 퍼짐성과 침투성이 떨어져 액정 형성에 영향을 주고, 15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높은 극성으로 인하여 액정이 한데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70 내지 90 중량%, 및 상기 액정 베이스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0 내지 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감이 부가되지 않으며, 액정이 불규칙한 유화입자가 많이 생기고 입자 크기가 너무 커져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화입자의 분포가 조밀해져서 액정의 형태인 다중상의 구조가 깨어질 우려가 있으며,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서 다중상의 형태를 갖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및 펜틸렌 글라이콜의 혼합물일 수 있다. 글리세린 및 펜틸렌 글라이콜이 폴리올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때에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글리세린 1 내지 20 중량% 및 핀텔린 글라이콜 2 내지 9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베이스는 화장 유효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장 유효성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의 기능성의 강화를 위한 생리활성물질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원료들로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생리활성물질들로는 통상 비타민B군과 비타민C군을 포함하는 수용성 비타민,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등의 비타민A군, 비타민D군, 비타민E군 및 비타민F군 등의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와 스쿠알란, 알부틴, 히아루론산 등의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의 추출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 유효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비타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서, 액정 베이스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로션, 에센스, 페이스트, 겔, 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메이크업베이스,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선크림, 립글로스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로션, 에센스, 크림, 클렌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선크림, 립글로스, 겔 및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클렌징인 경우에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고,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유화제 및 오일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 구성부; 및 폴리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각각 7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가열된 액정 베이스 구성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35 내지 60℃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a)는 액정 베이스 및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액정 베이스 및 수상부를 유화시켜 액정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물질들 및 물질들의 비율은 상기 액정 베이스에 대해 설명해 놓은 바와 동일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액정 베이스의 제조>
N-아세틸피토스핑고신(Abcam Biochemical)을 이용하여, 하기 표 1 내지 4에 기재된 성분 3 내지 8을 80℃의 온도로 가온하여 투명한 액체상태인 액정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내지 4에서 수상부인 성분 "정제수 및 글리세린"을 80℃로 가열 후, 상기에서 제조한 액정베이스와 혼합시켜서 다음 호모 믹서(T.K.Homomixer Mark)로 3000RPM, 10분간 유화하고 45℃로 냉각시킨 후, 원료 9 및 10을 넣어 동일한 RPM과 시간으로 유화시켜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내지 4는 액정유화 타입의 화장료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각 성분의 함량 단위는 그램(g)이다.
No.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5 5 5 5 5 5
3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0.5 0.5 0.5 0.5 0.5 0.5
4 세라마이드 3 0.2 1 0.2 0.2 0.2 0.2
5 세테아릴알코올 1 1 3 10 3 3
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1 3.5 10
7 스테아릭산 0.5 0.5 0.5 0.5 0.5 0.5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 1 1 1 1 1
9 비타민 C 1.5 1.5 1.5 1.5 1.5 1.5
10 펜틸렌글라이콜 5 5 5 5 5 5
No. 성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5 5 5 5 10 10
3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0.5 0.5 0.5 0.5 0.5 0.5
4 세라마이드 3 0.2 0.2 0.2 0.2 0.2 1
5 세테아릴알코올 3 3 3 3 3 3
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3.5 3.5 3.5 3.5 3.5 3.5
7 스테아릭산 1.5 5 1.5 1.5 1.5 1.5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 1 5 10 10 10
9 비타민 C 1.5 1.5 1 10 1.5 1.5
10 펜틸렌글라이콜 2 2 2 2 1 10
No. 성분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10 10 10 10 15 15
3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0.5 0.5 0.5 0.5 0.5 0.5
4 세라마이드 3 0.2 0.2 0.2 0.2 0.2 1
5 세테아릴알코올 10 3 3 3 3 3
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3.5 10 3.5 3.5 3.5 3.5
7 스테아릭산 1.5 1.5 5 1.5 1.5 1.5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10 10 5 10 10
9 비타민 C 1.5 1.5 1.5 1.5 1.5 1.5
10 펜틸렌글라이콜 5 5 5 5 5 5
No. 성분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15 15 15 15 15 15
3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0.5 0.5 0.5 0.5 0.2 1.5
4 세라마이드 3 0.2 0.2 0.2 0.2 0.2 0.2
5 세테아릴알코올 10 3 3 3 3 3
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3.5 10 3.5 3.5 3.5 3.5
7 스테아릭산 1.5 1.5 5 1.5 1.5 1.5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10 10 5 10 10
9 비타민 C 1.5 1.5 1.5 1.5 1.5 1.5
10 펜틸렌글라이콜 5 5 5 5 5 5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부터 스테롤 성분을 액정 베이스에 첨가한 비교예 1 내지 3을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하기 표 5는 액정유화 타입의 화장료 조성을 나타낸 것이며, 각 성분의 함량 단위는 그램(g)이다.
No.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15 15 15
3 콜레스테롤 0.6 0.4 0.5
4 피토스테롤 1.5 1.0 2.0
5 세라마이드 3 0.2 0.2 0.2
6 세테아릴알코올 10 3 3
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3.5 10 3.5
8 스테아릭산 1.5 1.5 5
9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10 10
10 유효성분 1.5 1.5 1.5
11 펜틸렌글라이콜 5 5 5
실험예 1: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
피부장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부실한 피부장벽이 아토피 증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경피수분증발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피부 내부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양을 경피수분증발량 측정기(CM 825, 독일, CK Electronics)로 측정하였다. 시험에 앞서 10명의 아토피 증상이 있는 6세에서 50세까지의 사람들의 경피수분증발량을 측정한 후, 동일한 위치에 스카치 테이프를 붙였다 떼어 붙이는 것을 15~20회 정도 반복하면서 수분증발량이 40-50g/hm2 정도에 이를 때까지 반복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3을 각각 동일량으로 피부에 도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고, 상기 경피수분증발량 값을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피부장벽 회복률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3
경과 시간에 따른 피부장벽 회복률(%)
경과시간(h) 0 6 12 24
실시예1 0 61.2 67.4 70.6
실시예2 0 61.3 67.7 73.5
실시예3 0 56.9 64.1 69.2
실시예4 0 55.6 63.5 79.0
실시예5 0 64.9 70.9 73.6
실시예6 0 66.6 71.6 72.1
실시예7 0 51.6 64.8 75.6
실시예8 0 58.6 64.7 67.9
실시예9 0 61.1 65.9 74.6
실시예10 0 66.9 74.6 79.6
실시예11 0 62.5 69.9 72.4
실시예12 0 64.5 69.4 75.0
실시예13 0 68.2 78.4 81.2
실시예14 0 69.9 78.2 80.5
실시예15 0 73.2 79.8 83.0
실시예16 0 70.4 75.3 81.6
실시예17 0 73.8 87.0 92.4
실시예18 0 68.3 79.1 84.4
실시예19 0 74.2 78.6 86.1
실시예20 0 79.6 85.3 89.4
실시예21 0 72.3 78.5 82.4
실시예22 0 69.4 79.8 84.2
실시예23 0 68.7 76.6 80.8
실시예24 0 73.7 79.5 87.2
비교예1 0 61.2 53.0 51.2
비교예2 0 60.4 53.7 49.8
비교예3 0 64.0 55.9 50.6
그 결과,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4시간 경과 후 실시예 1 내지 24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부장벽 회복률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3 내지 22는 뛰어난 피부장벽 회복률을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피부장벽 회복률이 실시예 13 내지 22보다 현저히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N-아세틸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는 스테롤을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보다 피부 장벽 회복률이 월등하게 뛰어남을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다.
실험예 2: 액정 형성 관찰 및 항온조에서의 장기 상안정성
상기 표 1 내지 5로부터 수득된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상태를 400배율의 현미경(OLYMPUS BX 41, OLYMPUS)로 관찰하여 하기 표 7 내지 11과 같이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은 하기 1 내지 4와 같다.
1. 입자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5점 척도로 표시하였으며, 5점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너무 커져 두터운 외벽에 둘러싸인 입자가 관찰되고, 1점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 액정막을 형성시키지 못하므로, 3점 척도가 가장 적당한 입자 크기로 보여진다.
2. 입자의 선명도는 편광현미경에서 빛의 산란됨을 확실히 보여주는 정도를 판단하여 5점으로 갈수록 다중 라멜라형 액정 형성을 육안으로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3. 입자의 균일도는 5점으로 갈수록 액정형성의 균일성이 좋은 상태이며, 1점으로 갈수록 합일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가 발생하므로 상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4. 4℃, 25℃, 37℃, 50℃의 항온조에서의 상안정성을 비교하여 5점 척도로 갈수록 장기 상안정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저온에서의 침적현상과 고온에서의 상분리 현상을 고려하여 수치로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3 2 4 4 2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 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4 3 3 3 2 2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3 3 3 2 3 3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3 3 3 3 4 3
25℃에서 3개월간 4 3 3 3 4 3
37℃에서 3개월간 4 4 4 4 4 3
50℃에서 3개월간 4 4 4 4 4 3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구분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4 2 4 3 4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 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3 4 3 2 3 3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4 3 3 3 2 4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3 4 4 4 3 4
25℃에서 3개월간 4 3 3 3 2 3
37℃에서 3개월간 4 4 4 4 4 4
50℃에서 3개월간 4 4 4 4 4 4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구분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3 3 3 3 3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 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5 5 5 4 5 5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5 5 5 5 5 5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5 5 5 5 5 4
25℃에서 3개월간 5 5 4 5 5 5
37℃에서 3개월간 5 5 5 5 5 5
50℃에서 3개월간 5 5 5 5 5 5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구분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3 3 3 4 2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 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5 5 5 5 5 5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5 5 5 5 2 2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5 5 5 5 3 3
25℃에서 3개월간 4 5 5 5 3 3
37℃에서 3개월간 5 5 5 5 2 4
50℃에서 3개월간 5 5 5 5 2 4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2 4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4 4 3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4 4 3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5 5 5
25℃에서 3개월간 5 5 5
37℃에서 3개월간 5 5 5
50℃에서 3개월간 5 5 5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그 결과, 표 7 내지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액정 형성 및 안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실시예 13 내지 22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 상태가 대부분 매우 안정하고 입자의 선명도가 높아 액정 형성이 매우 잘 되었으며,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시예 1 내지 12와 같은 경우에는 액정 형성 및 안정도가 양호한 편이긴 하였지만 실시예 13 내지 22와 비교하였을 경우 상대적으로 입자의 선명도가 떨어졌고, 온도 및 시간의 조건에 따라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일부 확인 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내지 3은 저장 안정성은 실시예 13 내지 22만큼 양호하지만, 액정 형성에 있어서 입자의 선명도, 균일도가 떨어졌다. 상기 실시예 2 및 17의 액정 형성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3: 피부 세포 회복 및 재생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세포 회복 및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세포 수준에서의 회복 및 재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한 사람 피부 각질 세포(Human Epidermal Neonatal Keratinocyte Cells)를 배양기에서 25,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은 500ml의 KBM-2 (Clonetics CC-3103) 배지에 KGM-2 불렛 키트(Bullet kit: 비피이(BPE:Bovine pituitary extract: 2ml), 휴먼 이지에프(h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0.5ml), 인슐린(Insulin: 0.5ml),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0.5ml), 트랜스페린(Transferrin: 0.5ml), 에피네프린(Epinephrine: 0.5ml), 젠타마이신 설페이트+암포페리신-B(Gentamycin Suflate + Amphofericin-B: GA-1000, 0.5ml))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양한 사람 피부 각질 세포를 배양액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3을 각각 5ppm 첨가하고 24시간 세포를 배양하여 샘플을 준비하였고,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사람 피부 각질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3 내지 22는 대조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보다 세포 회복의 정도가 더 우수하여 세포 재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상기 실험예들을 통해서, 실시예 13 내지 22는 액정 형성, 저장 안정성, 피부 재생 효과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효과가 모두 뛰어난 조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3)

  1. N-아세틸피토스핑고신(N-acetyl phytosphingosine), 세라마이드(ceramide), 지방알코올, 유화제, 지방산 및 오일을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베이스가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0.3 내지 1.4 중량부, 세라마이드 0.1 내지 5 중량부, 지방알코올 0.5 내지 15 중량부, 유화제 2 내지 15 중량부, 지방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오일 2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가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3B,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및 세라마이드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액정 베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알코올이 세틸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액정 베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10 디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이트, 솔비탄 팔미테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이트, 수첨(Hydrogenated) 레시틴 및 수첨 팜 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액정 베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팔미틴산, 스테아릭산, 아라키딘산, 라우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액정 베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액상 파라핀, 파라핀 왁스, 스쿠알란 및 친유성 식물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액정 베이스.
  8. 제1항의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피부 장벽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70 내지 90 중량%, 및 상기 액정 베이스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폴리올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0 내지 25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액정 베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로션, 에센스, 크림, 클렌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선크림, 립글로스, 겔 및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13. a) N-아세틸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지방알코올, 지방산, 유화제 및 오일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 구성부; 및 폴리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각각 7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각각 가열된 액정 베이스 구성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35 내지 60℃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베이스를 포함하는 피부 장벽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30202A 2015-03-04 2015-03-04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02A KR101682452B1 (ko) 2015-03-04 2015-03-04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02A KR101682452B1 (ko) 2015-03-04 2015-03-04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57A true KR20160107457A (ko) 2016-09-19
KR101682452B1 KR101682452B1 (ko) 2016-12-05

Family

ID=5710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202A KR101682452B1 (ko) 2015-03-04 2015-03-04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4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205A (ko) * 2017-01-05 2018-07-16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65160A (zh) * 2019-04-04 2019-06-11 广东华润顺峰药业有限公司 一种类脂液晶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90088920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50375A1 (en) * 2018-02-05 2019-08-08 Dermafence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kin barrier disruptions
CN110859756A (zh) * 2019-10-30 2020-03-06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冬虫夏草透皮吸收的液晶缓释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1109319A1 (zh) * 2019-12-04 2021-06-1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高保湿功效的浴用润肤膏及其制备方法
WO2022231139A1 (ko) * 2021-04-29 2022-11-03 코스맥스 주식회사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302B1 (ko) * 2018-12-13 2021-07-05 (주)파이온텍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102404209B1 (ko) * 2021-11-05 2022-06-03 주식회사 뉴앤뉴 피부 투과성이 향상된 리포좀 베지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097A (ja) 1989-06-30 1991-02-14 Mitsubishi Electric Corp 侵入監視装置
JPH04112807A (ja) 1990-09-04 1992-04-14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
KR20000070718A (ko) * 1997-12-05 2000-11-25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 및 세라미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그것의 사용
JP4049216B2 (ja) * 2003-05-09 2008-02-2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液晶構造を有する製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097A (ja) 1989-06-30 1991-02-14 Mitsubishi Electric Corp 侵入監視装置
JPH04112807A (ja) 1990-09-04 1992-04-14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
KR20000070718A (ko) * 1997-12-05 2000-11-25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유리 스핑고이드 염기 및 세라미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그것의 사용
JP4049216B2 (ja) * 2003-05-09 2008-02-2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液晶構造を有する製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205A (ko) * 2017-01-05 2018-07-16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8920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50375A1 (en) * 2018-02-05 2019-08-08 Dermafence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kin barrier disruptions
CN111683643A (zh) * 2018-02-05 2020-09-18 德玛芬斯有限责任公司 治疗和预防皮肤屏障破坏的方法和组合物
CN109865160A (zh) * 2019-04-04 2019-06-11 广东华润顺峰药业有限公司 一种类脂液晶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859756A (zh) * 2019-10-30 2020-03-06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冬虫夏草透皮吸收的液晶缓释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1109319A1 (zh) * 2019-12-04 2021-06-1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高保湿功效的浴用润肤膏及其制备方法
WO2022231139A1 (ko) * 2021-04-29 2022-11-03 코스맥스 주식회사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452B1 (ko)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452B1 (ko)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8920A (ko)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618546B (zh) Emulsified composition
CN110339085A (zh) 一种含神经酰胺脂质体的组合物及其应用
JP6231624B2 (ja) オレアノール酸が捕集された化粧料用ナノ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KR101473198B1 (ko) 투명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ITMI991884A1 (it) Composizioni per la cura della pelle e loro impiego nel curare una pelle danneggiata
KR20010011241A (ko) 피부 보호용 크림조성물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04968B1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EP2247277A2 (en) Use of transesterified olive oil in the cosmetic field
KR101455684B1 (ko)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CN109939105A (zh) 青蒿素及其衍生物的用途
KR101338518B1 (ko)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KR101910962B1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3847B1 (ko) 피부유사 복합체 조성물
KR20120057020A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6141B1 (ko)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076551B1 (ko) 사방 결정구조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66384B1 (ko) 피부장벽 개선 및 필라그린 활성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35327B1 (ko)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56155B1 (ko)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3552814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