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684B1 -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684B1
KR101455684B1 KR20140051725A KR20140051725A KR101455684B1 KR 101455684 B1 KR101455684 B1 KR 101455684B1 KR 20140051725 A KR20140051725 A KR 20140051725A KR 20140051725 A KR20140051725 A KR 20140051725A KR 101455684 B1 KR101455684 B1 KR 10145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osmetic composition
skin
weight
phosphatidylse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주
최소라
유우영
김학철
김용선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주식회사 엔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Priority to KR2014005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세라마이드3(Ceramide 3), 스테아릭산 (Stearic Acid), 스쿠알란(Squalane) 및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로 구성된 액정(Liquid crystal) 베이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등 전반적인 피부 상태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Emulsion type-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iquid crystal for improvement of skin barrier and skin regeneration effect}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세라마이드 3(Ceramide 3),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스쿠알란(Squalane) 및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로 구성되는 액정(Liquid crystal) 베이스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피부 장벽 개선에 특징적으로 작용하는 효과가 있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 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 기능은 화학 물질, 대기오염 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에서 최외각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Corneocyte 또는 horny cell)와 그를 둘러싼 각질세포간 지질막(SC intercellular lipid lamella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하고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상기 세포간 지방질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유리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각각 각질층 지질 전체의 약 40~65%, 10% 및 25%를 차지한다. 또한, 이밖에 소량의 파이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및 스핑고신(sphingosine)이 함께 존재하는 조성을 가진다.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 들어 화장품 분야에서 유화 액정의 이용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액정(液晶, Liquid crystal)이란 고체와 액체의 중간 상으로서, 대개 친수부분과 친유부분을 동시에 갖고 있는 유기분자들이 친수부분은 친수부분끼리 소수부분은 소수부분끼리 일정하게 배열하여 여러층을 이루고 있을때(라멜라구조) 생성되는 계를 말한다. 액정은 점도 및 유동성 면에서는 액체처럼 행동하나, 빛의 산란과 반사같은 물성에 있어서는 결정성의 물성을 나타내는 등 독특한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화장품, 의약품, 식품 및 전자공업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 액정 유화는 독특한 기제로서 화장품의 피부미용 활성성분을 캡슐화할 수 있고, 구성 성분이 피부 지질과 유사하여 피부 세포간 지질층을 보상하고 개선하여 피부 수분의 증발을 막아주며, 외부의 이물질이 피부에 침투하는 것을 막아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지금까지 화장료 조성에서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구조로는 리포좀이라는 기제(Vehicle)가 있었다. 그러나 유화제와 첨가제가 다량 함유된 크림과 로션에서는 리포좀의 구조가 쉽게 파괴되므로 화장품 분야에의 응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액정 유화는 유효 성분을 내부에 함유하는 라멜라 구조로서, 클렌징 제품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극히 나쁜 비타민 A 및 비타민 C까지도 캡슐화하여 분해 속도를 지연시켜 주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라멜라형의 액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지질의 선택이 중요하며, 또한 라멜라의 층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극성용매층이 어떤 물질인가에 따라 활성물질의 안정성과 피부로의 전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액정기술에서 액정의 구조는 세포간 지질과 유사한 다중층(Multi-layer) 라멜라(Lamella)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그 지질의 종류가 주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유화제 및 지방산 등으로 이루어져 세포간 지질과 조성면에서 차이를 보여 실제 화장료에 적용하였을 때 일반 유화제품 보다 안정성은 우수하지만, 화장료의 피부 전달 면에서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실제 사람 피부의 세포간 지질막과 가장 유사한 액정 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해 지질의 종류 및 그의 조성비가 정확하게 선택되어 안정성이 뛰어나고, 유효 성분의 경피 흡수율을 현저하게 촉진시킬 수 있는 피부와 최적화된 액정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액정 유화 기술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등 전반적인 피부의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한 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4532호(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980호 (피부유사막을 갖는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8743호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등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기한 기술들을 포함한 다수의 기술들은 실질적으로 일반 유화제품 보다는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화장료의 피부 전달 면에서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여 피부장벽 기능을 현저하게 완화하거나 개선하는데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피부 장벽 개선의 효과를 현저하게 극대화시킬 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45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9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8743호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실제 화장료에 적용하였을 때 일반 유화제품 보다는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실제로 피부 장벽 기능을 현저하게 완화하거나 개선하는데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피부지질구조와 유사한 성분 및 활성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 성분들의 조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유화 상태가 가장 안정한 액정을 개발함으로써, 실제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피부지질구조와 유사한 제형으로 구성되어 피부장벽 개선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재생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최적의 조성비로 구성된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을 개발하기 위해 다각적인 창작력과 오랜 시간을 투입한 결과, 피부 보호 및 피부 장벽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에 피부지질구조와 유사한 성분으로 구성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세라마이드 3(Ceramide 3), 스테아릭산 (Stearic acid), 스쿠알란(Squalane) 및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를 필수적으로 함유하여 액정유화 화장료를 제조하였을 때 유화 상태가 안정하고, 입자의 선명도가 높아 액정이 잘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안정성이 높고, 경피수분증발량의 회복력이 우수하여 피부 장벽 개선의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포스파티딜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라마이드3, 스테아릭산, 스쿠알란 및 쉐어버터를 필수적으로 화장료에 적용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었지만,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가장 현저하게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각 성분들의 구체적인 조성에 따라 효과 및 안정성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각 성분들의 조성비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각 성분들의 함량을 최적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액정유화 화장료를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능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제형 개발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외부자극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시켜주는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에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세라마이드 3(Ceramide 3), 스테아릭산 (Stearic acid), 스쿠알란(Squalane) 및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로 구성되는 액정(Liquid crystal) 베이스를 최적 함량 비율로 함유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등 전반적인 피부 상태의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액정(液晶, Liquid crystal)’이라 함은 고체와 액체의 중간 상으로,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하이드로제네이티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세라마이드 3(Ceramide 3), 스테아릭산 (Stearic Acid), 스쿠알란(Squalane) 및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를 함유함으로써, 친수부분은 친수부분끼리 소수부분은 소수부분끼리 일정하게 배열하여 견고하고 튼튼한 다중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세라마이드3’이라 함은 9,10,16-트리하이드록시팔미틴산 및 알킬옥시-3-하이드록시-2-아미노프로판의 축합반응으로 합성되는 원료를 의미하며, 이 원료는 정량할 때 세라마이드(C33H67O6N : 573.0) 98.0% 이상을 함유한다.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PS)은 천연에 존재하는 지방질(유지류)인 인산지방질의 일종으로서, 세린기(serine group), 인산기, 글리세롤 및 2개의 지방산기가 결합된 물질이다. 일반 기름과는 달리 수용성 및 유용성 양쪽 모두의 성질을 갖고 있다. 포스파티딜세린의 화학 구조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4041118206-pat00001
인간의 뇌는 총 건조 중량 중 레시친(Lecithin)의 중량이 약 반을 차지하는데, 이러한 레시친의 대부분은 신경 세포막을 형성하고 있다. 포스파티딜세린은 세포막의 중요한 성분인 레시친 유도체의 일종으로서 특히 뇌에 많이 존재하고 있는 물질인데, 신경세포막에서 생명유지 활동을 위한 에너지의 출입,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이나 시냅스의 활동 등의 정보전달 등 신경세포의 기능발현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포스파티딜세린은 신경전달 촉진, 기억력 및 학습능력 향상, 치매예방, 주의력 결핍 개선, 항우울증 효과가 있는 물질로 미국, 유럽 등에 널리 알려져 있다.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은 포스파티딜세린 성분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해 ‘노인의 인지 능력 저하와 치매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는 표시를 허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포스파티딜세린에 관련된 학회발표나 연구논문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① 기억력 집중력 저하 억제, ② 알쯔하이머증 초기의 치매증 개선, ③ 정신불안의 해소, ④ 스트레스 내성 향상 ⑤ 아이들의 ADHD (주의력 결핍증,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기능 및 보조식품에 이용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 피부 구성 세포에 전반적으로 존재하는 PPAR(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ors)이 알려져 있는데, PPAR은 피부의 장벽 복원 및 염증치유 과정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PPAR은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인자로, 특히 PPAR이 다양한 기전을 통해 피부장벽의 투과성 조절, 표피층 증식억제, 표피층의 분화유도 등과 같은 피부 상태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PPAR은 염증관련 피부질병뿐만 아니라 표피층의 과증식으로 인한 건선, 상처치유, 여드름 등 다양한 피부질환의 핵심조절자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의 항상성에 기여하는 물질의 구체적인 신호 전달이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최근 알려진 PPAR과 관련한 인지질(Phospholipid)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도모되고 있다. PPAR은 3개의 서브타입(Subtype)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 PPAR 알파(Alpha)가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의 수용체(Receptor)로서의 가능성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피부 유사막 구조를 갖으면서 액정유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활성물질의 경피흡수(Transepidermal absorption of drugs) 촉진 뿐만 아니라, 약물전달 후 피부장벽(Skin barrier)까지도 복원함으로써,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와 더불어 피부 보습 및 민감성 피부에도 효과적인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세라마이드3(Ceramide 3), 스테아릭산 (Stearic acid), 스쿠알란(Squalane) 및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로 구성된 액정(Liquid crystal)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포스파티딜세린 0.05 내지 1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 내지 8중량%, 세라마이드3 0.1 내지 2중량%, 스테아릭산 0.5 내지 5중량%, 스쿠알란 1 내지 10중량%, 쉐어버터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피부 외부자극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5 내지 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낮은 농도로 인해 이를 화장료에 적용시 바람직한 피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을 함유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견고한 이중층의 액정을 형성함으로써 안정한 액정유화의 제형을 제조하는 기능을 하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액정을 형성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유화력으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고, 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표면장력과 경시변화에 따른 안정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세라마이드3은 피부 지질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손상된 피부 장벽(Barrier)을 회복시켜 주고 경피의 수분 손실을 막아 주며 높은 보습 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가격이 합리적이고 원료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장벽손상으로 인해 심화되는 아토피 증상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라마이드3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3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시 변화에 따른 액정 타입의 상안정도가 떨어지고,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정이 가속화되어 제형의 안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스테아릭산은 견고한 이중층의 액정을 형성함으로써 안정한 액정 유화를 제조하는 기능을 하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릭산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액정을 형성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유화력으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고,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경도와 점도가 증진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스쿠알란은 유상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액정 내부를 단단하게 채워주어 액정의 안정의 향상을 도와줌과 동시에 피부에 유연효과와 보습효과를 증진하는 기능을 부여하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쿠알란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상 성분의 용해가 어려워져 액정 내부의 불균일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막이 크게 형성되어 발생하는 합일이 일어나는 등의 안정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쉐어버터는 유상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피부의 보습제로 보습효과를 증진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처를 재생하는 효능을 부여하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쉐어버터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상 성분의 용해가 어려워 액정 내부의 불균일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 막이 커지게 되어 안정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포스파티딜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라마이드3, 스테아릭산, 스쿠알란 및 쉐어버터로 구성된 액정 베이스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65 내지 36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베이스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3.6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화력이 약하고 유상분의 용해가 떨어져 석출이 일어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3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막의 크기가 커져 합일되는 등의 안정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액정이 2 내지 30㎛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카프릴릭애씨드 및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펜틸렌글라이콜을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수분증발량(TEWL)의 회복율이 10 내지 30%로 경피수분증발량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피흡수증발량((TEWL)의 회복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고, 피부 세포 회복의 정도가 우수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재생용 화장료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피부 장벽의 기능이 불완전함으로서 생기는 피부 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유화 타입인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로션, 에센스, 크림, 클렌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선크림, 립글로스, 젤 및 페이스트 등 다양한 제형에 적용이 가능하다. 액정 유화 타입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 제조되고 있는 바에 따라 제조하면 충분하다.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세라마이드3(Ceramide 3), 스테아릭산 (Stearic acid), 스쿠알란(Squalane) 및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로 구성된 액정(Liquid crystal)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포스파티딜세린 0.05 내지 1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 내지 8중량%, 세라마이드3 0.1 내지 2중량%, 스테아릭산 0.5 내지 5중량%, 스쿠알란 1 내지 10중량%, 쉐어버터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베이스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65 내지 36중량%를 포함된다.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액정이 2 내지 30㎛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카프릴릭애씨드 및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펜틸렌글라이콜을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수분증발량(TEWL)의 회복율이 10 내지 30%이다.
본 발명의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포스파티딜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라마이드3, 스테아릭산, 스쿠알란 및 쉐어버터가 함유된 피부지질구조와 유사한 액정 베이스를 최적화된 함량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경피수분증발량((TEWL)의 회복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건조피부 및 아토피성 피부 등 피부 장벽 기능이 손실된 피부의 장벽을 견고하고 튼튼하게 복원하여 피부 장벽 개선 효과 및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세포 회복의 정도가 우수하여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표피의 분화가 불완전함으로서 생기는 피부 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 전반적인 피부의 상태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피부 세포 회복 및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조군, 실시예 2 및 실시예 17을 처리한 사람 피부 각질 세포(Human Epidermal Neonatal Keratinocyte Cells)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24: 액정유화 화장료 제조
하기 표 1 내지 4에 나타낸 실시예 1 내지 24의 조성에 따라 액정유화 화장료를 제조하였으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표 1 내지 4에 나타낸 성분들 중에서 성분 1 내지 2와 3 내지 9를 각각 80℃로 각각 가열 후 혼합시킨 다음 HOMO MIXER를 사용하여 3000RPM, 10분간 유화하고 원료 10을 45℃로 냉각된 조성물에 넣어 동일한 RPM과 시간으로 HOMO MIXER로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부터 액정유화 화장료를 완성하였다. 하기 표 1 내지 4는 액정유화 타입의 화장료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각 성분의 함량 단위는 그램(g)이다.
No.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15 15 15 15 15 15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3.5 3.5 1 8 3.5 3.5
4 세라마이드 3 0.2 0.2 0.2 0.2 0.1 2
5 포스파티딜세린 0.05 1 0.1 0.1 0.1 0.1
6 스테아릭산 1.2 1.2 1.2 1.2 1.2 1.2
7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 12 12 12 12 12 12
8 스쿠알란 1.5 1.5 1.5 1.5 1.5 1.5
9 쉐어버터 2 2 2 2 2 2
10 펜틸렌글라이콜 5 5 5 5 5 5
No. 성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15 15 15 15 15 15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3.5 3.5 3.5 3.5 3.5 3.5
4 세라마이드 3 0.2 0.2 0.2 0.2 0.2 0.2
5 포스파티딜세린 0.1 0.1 0.1 0.1 0.1 0.1
6 스테아릭산 0.5 5 1.2 1.2 1.2 1.2
7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 12 12 12 12 12 12
8 스쿠알란 1.5 1.5 1 10 1.5 1.5
9 쉐어버터 2 2 2 2 1 10
10 펜틸렌글라이콜 5 5 5 5 5 5
No. 성분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15 15 15 15 15 15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3.5 3.5 0.5 10 3.5 3.5
4 세라마이드 3 0.2 0.2 0.2 0.2 0.01 5
5 포스파티딜세린 0.01 5 0.1 0.1 0.1 0.1
6 스테아릭산 1.2 1.2 1.2 1.2 1.2 1.2
7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 12 12 12 12 12 12
8 스쿠알란 1.5 1.5 1.5 1.5 1.5 1.5
9 쉐어버터 2 2 2 2 2 2
10 펜틸렌글라이콜 5 5 5 5 5 5
No. 성분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2 글리세린 15 15 15 15 15 15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3.5 3.5 3.5 3.5 3.5 3.5
4 세라마이드 3 0.2 0.2 0.2 0.2 0.2 0.2
5 포스파티딜세린 0.1 0.1 0.1 0.1 0.1 0.1
6 스테아릭산 0.1 10 1.2 1.2 1.2 1.2
7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 12 12 12 12 12 12
8 스쿠알란 1.5 1.5 0.5 15 1.5 1.5
9 쉐어버터 2 2 2 2 0.5 15
10 펜틸렌글라이콜 5 5 5 5 5 5
실험예 1: 액정 형성 관찰 및 항온조에서의 장기 상안정성
상기 표 1 내지 4로부터 수득된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상태를 400배율의 현미경(OLYMPUS BX 41, OLYMPUS)로 관찰하여 하기 표 5 내지 8과 같이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은 하기 1 내지 4와 같다.
1. 입자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5점 척도로 표시하였으며, 5점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너무 커져 두터운 외벽에 둘러싸인 입자가 관찰되고, 1점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 액정막을 형성시키지 못하므로, 3점 척도가 가장 적당한 입자 크기로 보여진다.
2. 입자의 선명도는 편광현미경에서 빛의 산란됨을 확실히 보여주는 정도를 판단하여 5점으로 갈수록 다중 라멜라형 액정 형성을 육안으로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3. 입자의 균일도는 5점으로 갈수록 액정형성의 균일성이 좋은 상태이며, 1점으로 갈수록 합일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가 발생하므로 상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4. 4℃, 25℃, 37℃, 50℃의 항온조에서의 상안정성을 비교하여 5점 척도로 갈수록 장기 상안정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저온에서의 침적현상과 고온에서의 상분리 현상을 고려하여 수치로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3 3 3 3 3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 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5 5 5 4 5 5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5 5 5 5 5 5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5 5 5 5 5 4
25℃에서 3개월간 5 5 4 5 5 5
37℃에서 3개월간 5 5 5 5 5 5
50℃에서 3개월간 5 5 5 5 5 5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구분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3 3 3 3 3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 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5 5 5 5 5 5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5 5 5 5 5 5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5 5 5 5 5 5
25℃에서 3개월간 4 5 5 5 5 5
37℃에서 3개월간 5 5 5 5 5 5
50℃에서 3개월간 5 5 5 5 5 5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구분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3 2 4 4 2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 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4 3 3 3 2 2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3 3 3 2 3 3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3 3 3 3 4 3
25℃에서 3개월간 4 3 3 3 4 3
37℃에서 3개월간 4 4 4 4 4 3
50℃에서 3개월간 4 4 4 4 4 3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구분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입자의 크기 및 두께 3 4 2 4 3 4
(척도: 5=매우 크다, 4=크다, 3=적당, 양호, 2=작다, 1=매우 작다)
입자의 선명도 3 4 3 2 3 3
(척도: 5=매우 선명, 4=선명, 3=보통, 2=희미함, 1=불분명)
입자의 균일도 4 3 3 3 2 4
(척도: 5=매우 균일, 4=균일, 3=보통, 2=다소 불균일, 1=매우 불균일)
4℃에서 3개월간 3 4 4 4 3 4
25℃에서 3개월간 4 3 3 3 2 3
37℃에서 3개월간 4 4 4 4 4 4
50℃에서 3개월간 4 4 4 4 4 4
(척도: 5=매우 안정, 4=안정, 3=보통, 2=분리 및 침적현상 보임, 1=분리 및 침적)
그 결과, 표 5 내지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액정 형성 및 안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실시예 1 내지 12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 상태가 대부분 매우 안정하고 입자의 선명도가 높아 액정 형성이 매우 잘 되었으며,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시예 13 내지 24와 같은 경우에는 액정 형성 및 안정도가 양호한 편이긴 하였지만 실시예 1 내지 12와 비교하였을 경우 상대적으로 입자의 선명도가 떨어졌고, 온도 및 시간의 조건에 따라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일부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세포 회복 및 재생 효과: 사람 피부 각질 세포의 배양
상기 실험예 1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24의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세포 회복 및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세포 수준에서의 회복 및 재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한 사람 피부 각질 세포(Human Epidermal Neonatal Keratinocyte Cells)를 배양기에서 25℃,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은 500ml의 KBM-2 (Clonetics CC-3103) 배지에 KGM-2 불렛 키트 (Bullet kit: 비피이(BPE:Bovine pituitary extract: 2ml), 휴먼 이지에프(h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0.5ml), 인슐린(Insulin: 0.5ml),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0.5ml), 트랜스페린(Transferrin: 0.5ml), 에피네프린(Epinephrine: 0.5ml), 젠타마이신 설페이트+암포페리신-B(Gentamycin Suflate + Amphofericin-B: GA-1000, 0.5ml))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양한 사람 피부 각질 세포를 배양액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24를 첨가하고 24시간 세포를 배양하여 샘플을 준비하였고,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사람 피부 각질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 내지 24를 처리한 세포의 경우 대부분 모두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12와 같은 경우에는 실시예 13 내지 24보다 효과적으로 세포 회복의 정도가 더 우수하여 세포 재생에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도 1은 가장 세포 회복 정도가 우수한 실시예 2와 가장 세포 회복의 정도가 떨어지는 실시예 17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2와 실시예 17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세포 회복의 정도가 우수하였고, 실시예 2는 실시예 17보다 세포 회복의 정도가 더 우수하여 피부 재생 효과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포스파티딜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라마이드3, 스테아릭산, 스쿠알란 및 쉐어버터를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였을 경우 일반적으로 세포 회복의 정도가 우수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각각의 성분들을 단순하게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함량으로 조합하였을 때 현저하게 우수한 세포 재생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
피부장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부실한 피부장벽이 아토피 증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24로부터 제조된 액정 유화 조성물의 경피수분증발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의 회복율을 피부 내부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양을 측정하는 TEWAMETER(CM 825, 독일국, CK Electronics)로 측정하였다. 시험에 앞서 10명의 아토피 증상이 있는 6세에서 50세까지의 사람들의 경피수분증발량을 측정한 후, 동일한 위치에 스카치 테이프를 붙였다 떼어 붙이는 것을 15~20회 정도 반복하면서 수분증발량이 40-50g/hm2 정도에 이를 때까지 반복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냈다.
피부장벽 기능 개선 효과 측정
실시예1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8.6 78.6 81.5
실시예2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79.8 85.0 91.4
실시예3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73.7 77.8 81.0
실시예4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72.4 76.3 82.6
실시예5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9.3 78.3 80.0
실시예6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8.3 78.1 81.4
실시예7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72.2 78.4 85.1
실시예8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75.6 82.3 88.4
실시예9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71.3 78.6 82.5
실시예10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9.1 79.6 84.8
실시예11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8.5 76.2 80.1
실시예12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73.8 79.8 87.3
실시예13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0.6 67.6 71.6
실시예14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2.3 69.7 73.8
실시예15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58.9 65.1 69.7
실시예16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57.6 63.5 69.0
실시예17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5.9 72.9 78.6
실시예18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8.6 70.6 75.1
실시예19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58.6 63.8 72.6
실시예20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55.6 63.7 68.9
실시예21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0.1 68.9 75.6
실시예22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5.9 72.6 78.6
실시예23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1.5 68.9 72.6
실시예24 시간(h) 0 6 12 24
TEWL recovery(%) 0 64.6 69.6 75.1
그 결과,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4시간 경과 후 실시예 1 내지 24의 액정유화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피흡수증발량(TEWL)의 회복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12와 같은 경우에는 실시예 13 내지 24보다 경피수분증발량의 손실이 적어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포스파티딜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라마이드3, 스테아릭산, 스쿠알란 및 쉐어버터를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였을 경우 일반적으로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각각의 성분들을 단순하게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함량으로 조합하였을 때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포스파티딜세린 0.05 내지 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 내지 8중량%, 세라마이드3 0.1 내지 2중량%, 스테아릭산 0.5 내지 5중량%, 스쿠알란 1 내지 10중량%, 쉐어버터 1 내지 10중량%로 구성된 액정(Liquid crystal)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베이스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65 내지 3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액정이 2 내지 30㎛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카프릴릭애씨드 및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펜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수분증발량(TEWL)의 회복률이 80.0 내지 9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이 불완전한 피부 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에센스, 크림, 클렌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선크림, 립글로스, 젤 및 페이스트 중에서 선택되는 유화 타입인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1725A 2014-04-29 2014-04-29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5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1725A KR101455684B1 (ko) 2014-04-29 2014-04-29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1725A KR101455684B1 (ko) 2014-04-29 2014-04-29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684B1 true KR101455684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1725A KR101455684B1 (ko) 2014-04-29 2014-04-29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6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7629B2 (en) 2016-12-29 2020-04-14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20190015A1 (ko) * 2019-03-21 2020-09-24 주식회사 리포바이오메드 지방분자의 녹는점과 상전이 온도가 조절된 피부 적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적용 방법
KR20210069962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메가코스 고순도 스쿠알렌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9039B1 (ko) * 2021-10-18 2022-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515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메가코스 스쿠알렌을 포함하는 나노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116A (ko) * 2002-03-13 2004-10-27 콜라제넥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수성-기재 전달계
KR20130011800A (ko) * 2011-07-22 2013-01-30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4532A (ko) * 2012-05-31 2013-12-10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116A (ko) * 2002-03-13 2004-10-27 콜라제넥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수성-기재 전달계
KR20130011800A (ko) * 2011-07-22 2013-01-30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4532A (ko) * 2012-05-31 2013-12-10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7629B2 (en) 2016-12-29 2020-04-14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369562B2 (en) 2016-12-29 2022-06-28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826456B2 (en) 2016-12-29 2023-11-28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20190015A1 (ko) * 2019-03-21 2020-09-24 주식회사 리포바이오메드 지방분자의 녹는점과 상전이 온도가 조절된 피부 적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적용 방법
KR20210069962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메가코스 고순도 스쿠알렌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1723B1 (ko) * 2019-12-04 2021-12-24 주식회사 메가코스 고순도 스쿠알렌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56515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메가코스 스쿠알렌을 포함하는 나노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7101B1 (ko) 2020-10-28 2023-05-30 주식회사 메가코스 스쿠알렌을 포함하는 나노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9039B1 (ko) * 2021-10-18 2022-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452B1 (ko)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E60029801T2 (de) Verwendung von einem produkt aus pflanzlichem öl zur erhöhung der hautlipiden produktion
KR101455684B1 (ko)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CN108938439A (zh) 液晶型乳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065772A2 (en) Water in 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177109A (zh) 一种复合神经酰胺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69912760T2 (de) Verwendung von topischen formulierungen des öl-in-wasser typs, enthaltend galaktolipid material als emulsionsmittel, um eine länger anhaltende wirkung eines darin enthaltenen aktiven wirkstoffs zu vermitteln
CN114159335A (zh) 一种燕窝酸保湿修复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一种化妆品
EP3338759B1 (en) Vesicles containing saccharide isomerate, hydrolyzed lupine protein, and intercorneocyte lipid mimetics as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the same
CN109414390B (zh) 皮肤外用剂
TWI671080B (zh) 摻混神經醯胺之外用劑組成物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910962B1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6141B1 (ko)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5844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N110638696A (zh) 一种修复皮肤屏障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01010946A (ja) 皮膚化粧料
CN113730289B (zh) 一种具有多重修护功效的眼唇护理组合物及其应用
EP3443949A1 (en) Skin mimicking emulsion
WO2010060171A1 (en) Moisturizing mixture,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moisturizing mixture, use of the moisturizing mixture, and cosmetic method
JP4067211B2 (ja) 皮膚外用剤
KR102453278B1 (ko) 유화제 조합으로 점도를 컨트롤하는 액정유화 조성물
KR102215013B1 (ko) 피토스핑고신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구형 결정 구조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