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915A -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915A
KR20240056915A KR1020220136985A KR20220136985A KR20240056915A KR 20240056915 A KR20240056915 A KR 20240056915A KR 1020220136985 A KR1020220136985 A KR 1020220136985A KR 20220136985 A KR20220136985 A KR 20220136985A KR 20240056915 A KR20240056915 A KR 20240056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cosmetic composition
water
clause
high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명훈
박창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이블
Priority to KR102022013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915A/ko
Publication of KR2024005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9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1Emulsions characterized by droplet sizes below 1 micr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면서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보습력 및 사용감이 모두 뛰어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igh concentration of ceram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라마이드는 각질층 지질에서 50% 이상을 차지하는 아주 중요한 성분으로, 피부의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각질 세포들 사이를 끈끈하게 이어주는 역할을 하여 피부 장벽을 탄탄하게 해준다. 표피에서 세라마이드의 생산에 이상이 발생하면 피부장벽 기능이 약화되어 피부 고유의 기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에 쉽게 노출되어 피부 트러블 및 피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나 건성 피부인 경우 세라마이드의 생산이 원활하지 않아 각질이 일어나고 더욱 건조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세라마이드 같은 지질 성분들은 유화 제형에서 유화 계면 막의 구조를 교란하여 제형 안정도를 저해하고 자체 겔링(Self-gelling)을 일으켜 제형의 물성이 경시적으로 변하는 문제가 있어 화장료로 응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보습용 화장품에 처방할 때 특정 제형에만 적용 가능하거나, 로션과 같은 저점도 제형에는 세라마이드를 극히 미량 사용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항 방법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세라마이드가 안정화되더라도 피부 흡수가 어렵거나,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가 다량 함유되어 피부 안전성 또는 사용감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2035호(2019.07.29.)
본 발명의 목적은 에멀전 제형 내에서 세라마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면서도 석출이나 상분리가 없이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보습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방산 및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부과 수상부를 혼합 및 유화하여 세라마이드가 유상에 함유된 수중유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상에 포함되는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은 카르복실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상에 포함되는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은 카르복실산 알칼리 금속염 함유 지환족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알킬기 치환 수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를 혼합한 후, 염기로 적정하여 pH를 6.5 내지 8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 혼합물 중 불포화 지방산이 포화 지방산보다 과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방산 및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마이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토스핑고신은 3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산은 150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상의 평균입경은 200 내지 1,00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저점도의 수상 내에서도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면서 석출되고 겔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수상 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피부 흡수율이 우수하여 피부 건조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및 가려움증 등에 즉효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대한 안전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여 다양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와 그 범위 내에서의 모든 값, 정의되는 범위의 형태와 폭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증분, 이중 한정된 모든 값 및 서로 다른 형태로 한정된 수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실험 오차 또는 값의 반올림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치범위 외의 값 역시 정의된 수치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또는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수중유형(Oil in water type, O/W)"은 수상을 연속상으로, 유상이 미세한 입자로 분산되는 분산상 형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상 내에서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면서도 석출이 되지 않아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 양태에 따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방산 및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부과 수상부를 혼합 및 유화하여 세라마이드가 유상에 함유된 수중유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조합을 사용함에 따라, 수상 내에서 세라마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며, 안정성 및 보습 효과가 매우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상에 포함되는 세라마이드(ceramide) 및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은 피부장벽 강화 및 보습 효과가 입증된 재료로,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을 함께 사용함에 따라 세라마이드의 석출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피부 보습 효과에 시너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로는 천연 세라마이드 또는 유사(pseudo) 세라마이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세라마이드는 자연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로서, 동물, 식물 및 미생물로부터 추출한 세라마이드일 수 있다. 유사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의 이중사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통칭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P,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 드 EOS, 세라마이드 NG,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1A, 세라마이드 6 II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세라마이드 NP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농도의 세라마이드, 예를 들어, 3% 이상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함에도 우수한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3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 3 내지 1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8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상에 포함되는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은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및 지방산과 함께 사용되어 세라마이드의 석출 현상 개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흡수율 및 보습 효과를 탁월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토스핑고신이 3 내지 30 중량부, 또는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산이 150 내지 500 중량부, 또는 200 내지 500 중량부, 또는 200 내지 4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세라마이드의 석출 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보습 효과 또한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은 카르복실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은 카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치환족 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일 예로, 콜산(Cholic acid), 디옥시콜산(Deoxycolic acid). 케네디옥시콜산(Chenodeoxycholic Acid), 글리코콜산(Glycocholic acid), 타우로콜산(Taurocholic acid) 및 리토콜산(Lithocholic acid)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디옥시콜산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을 1 내지 30 중량부, 또는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에 포함되는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은,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르복실산 알칼리 금속염 함유 지환족 화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콜산(Cholic acid), 디옥시콜산(Deoxycolic acid). 케네디옥시콜산(Chenodeoxycholic Acid), 글리코콜산(Glycocholic acid), 타우로콜산(Taurocholic acid) 및 리토콜산(Lithocholic acid)의 알칼리 금속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은 디옥시콜산(Deoxycolic acid)의 나트륨 염인 디옥시콜산 나트륨 (deoxycholic acid sodium salt)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수상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점증제 역할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상 재료와의 조합으로 세라마이드의 석출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알킬기 치환 수용성 고분자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을 0.05 내지 5 중량%, 또는 0.1 내지 5 중량%, 또는 0.5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 고분자를 0.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안전성 및 보습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세라마이드의 석출 현상을 더욱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서,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더욱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 예로, 키토산,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의 중합체, 비닐 이미다졸린의 중합체, 메틸비닐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의 중합체, 아크릴산 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의 중합체, 메타크릴산 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의 중합체, 아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의 중합체, 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의 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디메틸아민 중합체, 에틸렌이민의 중합체, 에틸렌이민의 중합체의 4급화물, 알릴아민 염산염의 중합체, 폴리리신, 양이온 전분 및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키토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는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산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지방산 혼합물 중 불포화 지방산이 포화 지방산보다 과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 혼합물에서 포화 지방산:불포화 지방산은 1:0.5 내지 1:2 중량비, 또는 1:0.6 내지 1:2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 내지 1:2 중량비, 또는 1:1.2 내지 1:1.9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를 만족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보습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안정성을 더욱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를 혼합한 후, 염기로 적정하여 pH를 6.5 내지 8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방산 및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마이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방산,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 및 수용성 고분자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일 양태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유상의 평균입경은 200 내지 1,000 nm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0 내지 500 nm, 더욱 구체적으로 100 내지 300 nm일 수 있다. 상기 크기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함을 더욱 우수하게 하면서도 세라마이드의 석출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라마이드 NP 3g, 피토스핑고신 0.5g, 지방산 혼합물(팔미트산:스테아르산:올레산=20:25:55중량비) 9g, 디옥시콜산(deoxycholic acid) 0.5g,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g 을 투입하고 70 ℃에서 용해하여 유상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다른 반응기에 글리세린 3g, 1,2-헥산ㅇ다이올 3g, 디옥시콜산 나트륨 (deoxycholic acid sodium salt) 0.5g,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2g 및 수상 용액과 유상 용액의 총 중량이 100g이 되도록 잔량의 물을 투입하고 65 ℃에서 용해하여 수상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상 용액에 유상 용액을 투입하여 2000rpm으로 분산하여 유화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 용액을 1.0N KOH 수용액을 사용하여 pH를 7.5로 적정하여, 세라마이드가 유상에 함유된 수중유 에멀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지방산 혼합물에 포함되는 지방산의 비율을 팔미트산:스테아르산:올레산=30:30:40 중량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피토스핑고신을 0.3g 사용하고, 지방산 혼합물에 포함되는 지방산의 비율을 팔미트산:스테아르산:올레산=20:15:65 중량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수상 용액 제조 시, 수용성 키토산(Mn=3,000g/mol)을 0.3g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수상 용액 제조 시, 수용성 키토산(Mn=3,000g/mol)을 0.3g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피토스핑고신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지방산 혼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수상에 디옥시콜산 나트륨 (deoxycholic acid sodium salt)을 첨가하기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평가예>
평가 1.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여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성물을 4℃, 25℃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4주간 보관하여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A: 보관 1주 후 석출 발생
2A: 보관 2주 후 석출 발생
3A: 보관 3주 후 석출 발생
4A: 보관 4주 후 석출 발생
-: 석출 발생 없음
4 ℃ 25℃ 50 ℃
실시예1 - - -
실시예2 - - -
실시예3 - - -
실시예 4 - - -
실시예 5 - - -
비교예1 2A 3A 4A
비교예2 1A 2A 4A
비교예3 2A 3A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실시예 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안정성이 매우 탁월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고함량 포함함에도,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4주간 보관하였을 때도 석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의 복합체는 고온(50℃)조건에서도 석출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가 2. 보습 효능 측정
19 ~ 26세 여성 20 명을 대상으로 각 10명씩 2개 그룹으로 나누어, 한 개의 그룹은 플라시보 그룹(placebo group)으로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다른 한 개의 그룹은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4일 간 하루에 두 번씩 피부에 도포하였다. 도포 전, 도포 1일 후, 2일 후, 3일 후 및 도포 4일 후의 피부 수분 함량을 각각 측정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 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측정기(corneometer CM820, Courage + Khazaka, Cologne, 독일)를 사용하였다.
도포 전 1일 후 2일 후 3일 후 4일 후
실시예 1 10 75 81 88 90
placebo 10 15 18 20 24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즉효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고함량 함유함에도 석출과 같은 상분리가 없이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보습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대한 안전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여 다양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방산 및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부과 수상부를 혼합 및 유화하여 세라마이드가 유상에 함유된 수중유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에 포함되는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은 카르복실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에 포함되는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은 카르복실산 알칼리 금속염 함유 지환족 화합물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알킬기 치환 수용성 고분자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를 혼합한 후, 염기로 적정하여 pH를 6.5 내지 8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혼합물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혼합물 중 불포화 지방산이 포화 지방산보다 과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고농도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방산 및 산기 함유 지환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
    이온성 지환족 화합물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마이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토스핑고신이 3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산이 150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의 평균입경은 200 내지 1,000 nm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36985A 2022-10-24 2022-10-24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6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85A KR20240056915A (ko) 2022-10-24 2022-10-24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85A KR20240056915A (ko) 2022-10-24 2022-10-24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915A true KR20240056915A (ko) 2024-05-02

Family

ID=9107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985A KR20240056915A (ko) 2022-10-24 2022-10-24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9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035B1 (ko) 2018-01-19 2022-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035B1 (ko) 2018-01-19 2022-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15379B (zh) 包括含有高含量的神经酰胺的粒子的化妆料组合物及其制造方法
DE3125710C2 (ko)
EP2335675B1 (de) Emulgatorfreie, Polymer-stabilisierte Schaumformulierungen
KR101123137B1 (ko) 2층상 화장수 제조 방법
EP1337226A1 (de) Kosmetisches oder dermatologisches mittel in form eines cremigen permanentschaums oder einer stabil aufgeschäumten creme
WO1995003061A1 (de) Präparat zur durchblutungsförderung das hartmagnetische teilchen enthält
EP2029089B1 (de) O/w emulsion zur pflege der hand
KR20130051705A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673068B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zur unterstützung des sauerstofftransports in die haut
CN108186679B (zh) 一种祛痘组合物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769709B1 (en) Pseudolipid complex mixture and a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2248067B1 (ko) 화장료 조성물
EP0713380B1 (de) Funktionelles sauerstoffhaltiges präparat enthaltend phospholipide und fluorcarbon
KR20240056915A (ko)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1204B1 (ko)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95983B1 (ko) 실리카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38983B1 (ko)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847243A1 (en) O/w emulsion composition
KR101690144B1 (ko) 한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178595B1 (ko) 2층상 화장수
KR101598210B1 (ko) 보습 펩타이드,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투명한 젤상 가용화 조성물
KR100681704B1 (ko)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10092142A1 (de) Kationisches trägersystem aus positiv geladenen lipidvesikeln
JP2005002020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