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416A - 접촉면이 개선된 조리 용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촉면이 개선된 조리 용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7416A KR20100017416A KR1020097024732A KR20097024732A KR20100017416A KR 20100017416 A KR20100017416 A KR 20100017416A KR 1020097024732 A KR1020097024732 A KR 1020097024732A KR 20097024732 A KR20097024732 A KR 20097024732A KR 20100017416 A KR20100017416 A KR 201000174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 insert
- contact surface
- orifices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 용품을 위한 하부 바닥부를 국부적으로 정의하며, 바닥에 수직인 구간을 따라 치형상 영역(toothed area)을 포함하는 금속 접시; 및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국부적인 위치에서 상기 금속 접시의 하부에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바닥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외형적인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금속 접시의 금속보다 경성인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치형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치형상 영역은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에 의해 상기 금속 접시의 치형상 영역에 부착되고, 상기 인서트의 둘레에는 상기 경성의 금속으로 구성되며 크라운-형상(crown-shaped)의 연속적인 솔리드 주변 접촉면 영역이 하방으로 배치되는 조리 용품에 있어서, 상기 바닥의 중심과 상기 바닥의 주변 모서리가 만나는 직선을 따라, 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은 2개의 연속한 치형상부들을 분리하는 최단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이 제공된다.
조리 용품, 치형상 영역, 부가 바닥 인서트, 맞물림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부 외면에서 그 바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금속 인서트(added metal insert)를 포함하는 조리 용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바닥을 포함하는 상기 용품은 알루미늄과 같은 연성 금속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조리 용품의 제조 방법 및/또는 부가 금속 인서트를 포함한 상기 용품의 바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명세서에서, "금속"이란 용어는 금속 및 금속 합금을 포함한다.
EP-A-0960667에 개시된 조리 용품은
- 상기 용품을 위한 하부 바닥(기저(base))부를 국부적으로 정의하며, 상기 바닥에 수직인 구간을 따라 치형상 영역(toothed area)을 가지는 금속 포트(접시), 및
- 그 바닥부의 적어도 국부적인 위치에서 상기 금속 접시의 하부에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 바닥 인서트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는 외형적인 하부면(apparent lower face)을 가지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금속 접시의 금속보다 더 경성인 금속으로 구성되며, 구간별로 적어도 하나의 천공 영역(perforated area) 또는 치형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 영역 또는 치형상 영역은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fit engagements)에 의해 상기 금속 접시의 치형상 영역과 부착한다.
상기 "치형상"은 바닥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패드들을 정의하는 판의 폴드들(folds) 또는 인출된 부분들(drawn parts)이며, 상기 치형상부가 지지부 상에 놓이면 불연속 부분(discontinuities)을 지지한다.
통상적으로, 인서트에 생성될 수 있는 적당한 오리피스들(origices)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치형상" 또는 패드들은 동심원을 따라 구성된다.
인서트가 천공된 경우, 오리피스들은 금속 접시의 연성 금속으로 채워진다.
다른 결점들을 언급하면;
- 인서트/"연성" 바닥 부착은 (돌이 박히는 방식으로) 고정 또는 압착과 실질적으로 유사함,
- 이러한 부착은 불완전함; 하부면에서 상기 인서트를 수용하는 연성 바닥이 선-인출됨(pre-drawn),
- 오리피스들이 불완전하게 채워질 수 있음,
- 연성 충전재가 부가 인서트의 하부 레벨로부터 돌출될 때, 특히 연성 물질이 알루미늄인 경우, 예를 들면 유리-세라믹 판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연성 충전재가 긁힐 위험이 있음.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들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방법이나 사용과 관련하여, 또는 연성 금속/부가 인서트의 경계면에 위치한 또 다른 부재들과 관련하여 결함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취성 표면의 긁힐 위험 및/또는 표면 접촉 결함을 방지하는 것이기도 하다.
실제로, 상기 용품이 놓일 때, 지지부 상에서 연성 금속의 증착(deposit) 및/또는 안정성에 결함을 일으킬 위험과 같은 불안전을 야기한다.
더욱이, 상기 용품이 적합한 발생기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하는 기능을 경성 금속 인서트가 가지는 경우, 인서트를 관통하는 오리피스들의 수가 많을수록, 유도 가열의 효율이 약화될 위험이 더 크다.
적어도 이러한 단점들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억제하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제1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부가 바닥 인서트의 상기 천공된 영역 또는 치형 영역의 둘레에서, 상기 경성 금속으로 구성된 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제안하며, 상기 영역은 하부쪽으로 내려가는 형상으로(lower down), 주변에서 연속적인 솔리드 크라운-형상(solid crown-shaped)의 접촉면을 정의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접촉면 영역이 상기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의 둘레에서 상기 접시의 바닥부를 덮고, 하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천공 영역 또는 치형상 영역의 하부 경계선 및/또는 상기 금속 접시의 치형상 영역의 하부 경계선에 비해 적어도 약간 더 낮게 내려간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리 용품이 지지 부재에 가하는 압력(지지력)은 상기 위치에 집중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은, 바닥의 중심과 상기 바닥의 주변 모서리가 만나는 직선을 따라 2개의 연속한 치형상부를 분리하는 최단 간격(d1)보다 큰 폭(이하, L)을 가지는 것이 권장된다.
이하, 또한 두 제조 방법들이 제안된다. 상기 방법들은 적어도 부가 인서트가 천공들을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용품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완적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바닥, 특히 조리 용품용 바닥을 이미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되고, 안정적이며, 파괴적(aggressive)이지 않은 바닥이 얻어질 때, 용품의 나머지 부분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벽이 용품을 위하여 개발될 때까지 연성 금속의 본래 블록의 압력하에서 지속적인 변형이 요구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의 실시예들에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여, 특히 바닥의 내부면에 제공되는 것이 통상적인 부착 방지제와 같이 부가될 코팅(들)의 유도 가열 또는 고온 굽기(baking)동안 (탈착 문제, 기포 형성(blistering)) 또는 열 쇼크가 반복되는 동안을 포함하여, 용품 바닥의 열적 속성 및 기계적 속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예시들을 뒷받침하는 도면들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주변에 대해 수직인 단면도로서 조리 용품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품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일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부품들, 영역들, 수단들 등은 도 1에 도시된 것 과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나, 각각 프라임 (') 및 따옴표(")를 포함하여 표시한도면,
도 4는 동일한 단면도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 치형상 바닥을 포함한 대안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5b, 5c 및 6a, 6b, 6c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두 가지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배면도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도 1의 용품에 있어 실제로 만곡한 바닥을 도시한 도면을 보여준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핸들 및 가열하거나 끓일 준비가 된 용품을 수용하는 (중공형(hollow)) 접시를 포함하는 임의의 요리 용품은 "조리 용품"으로 통칭한다. 접시의 바닥은 적합한 소스로부터 열을 가장 많이 받으므로 민감한 부분이다. 예를 들면, 후라이팬, 쏘스팬(saucepan) 등이 해당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조리 용품(1, 1', 1")은 경성 금속부(1a, 1', 1a") 및 연성 금속부(1b, 1b', 1b")를 포함한다. 이러한 두 부분들은 성능 강화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용품 하부에 조립된다.
상기 부분(1a, 1a', 1a")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상기 부분(1b, 1b', 1b")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분(1b, 1b', 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이며, 가로형 바닥벽(21, 21', 21")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형 바닥벽으로부터 측벽(3, 3', 3")이 돌출한다. 이는 중공 접시 형태이다.
바닥벽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하부에서 천공 바닥 인서트로 제공된 경성 금속부(1a, 1a', 1a")에 의해 정렬된다.
도 1에서, 인서트(1a)는 접촉면 영역(25)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영역(23)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 영역을 통해 조리 용품(1)은 지지부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접촉면 영역(25)은 연속적인 솔리드형(solid)이며(즉 임의의 오리피스들을 포함하지 않음), 크라운 형태이다.
오리피스들(230)은 중앙 영역(23)을 직선으로 관통하여 지나가며, 상기 오리피스들은 조립을 위해 바닥벽(21)의 연성 금속으로 피트 충전된다(fit-filled). 상기 오리피스들은 규칙적으로 분포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동심형일 수 있는 일부 반경을 따라 분포하고, 판(1a)의 중심을 근접하기 시작할 수 있다(도 2 및 도 3의 해당 부분 참조).
그러므로, 도 1의 부분도에서 외부의 하부면(11a)을 제공하는 인서트(1a)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영역(231)을 제공하고, 상기 천공 영역은 금속 접시(1b)의 치형상 영역(210)과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에 의해 부착된다.
영역(210)의 전체 또는 일부의 둘레에서 연속적 솔리드형 영역(211)이 있고, 하부에서 주변 접촉면 영역(25)에 의해 덮이거나 정렬된다.
용품(1)이 상기 용품의 지지 부재에 가하는 압력이 접촉면 영역(25)을 향해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촉면이 포함하는 하부면의 전체 또는 일부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영역들(231, 210)의 최하 경계선(1)보다 더 낮게 내려가 있다(d). 그 러므로, 도 1, 도 2 및 도 3의 용품 바닥은 큰 치수로 도시된 것으로, 실제로 평편한 하부면(도 1의 11a와 같음)을 가지지 않으며, 접촉면 영역(25)의 하부에서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만곡되거나 리세스가 형성된 면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곡률부가 과장되어 있는 도 8의 도면과 같다.
예를 들면, 오리피스들(230)이 바닥벽(21)의 연성 금속으로 전체가 채워지지 않는 경우, 가드 높이(guard height)(d)는 천공 영역(231)의 바닥 하부 경계선에 비례하여 증가할 것이다.
도 8에서, 바닥의 중심 및 바닥의 주변 모서리(27)와 만나는 직선은 25a로 표시된다.
상기 직선을 따라(즉 바닥에 대해 수직이면서 상기 직선을 포함하는 구간을 따라) 주변 접촉면 영역(25)의 폭(l)은 영역(210)의 2개의 연속한 치형상부(210a, 210b)를 분리하는 최단 간격(d1)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폭(L)은, 적어도 하나의 제3 치형상부(210b')에 의해 분리된 금속 접시의 2개의 외부 치형상부(210c') 및 내부 치형상부(210a')로 각각 이루어진 그룹의 각각의 내부 경계선(l2)과 외부 경계선(l1) 사이의 폭(L') 이상일 것이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약 7 mm이다.
따라서, 지지/부착/유도 수율 절충이 수행될 것이다.
가드 높이(d)를 보장하고, 바닥의 상기 하부면(11a)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영역(들)보다 낮게 아래로 배치하기 위해, 주변 접촉면 영역(25), 천공 영역(231), 그리고 중심부터 접촉면 영역(25)까지 이르는 전체 바닥판은 하부 곡면(100a)을 따 라 연장되며, 상기 하부 곡면은 아래쪽으로 가면서 오목해진다(그리고 상기 하부 곡면은 l과 부합한다).
부분들(1a, 1a', 1a" 및 1b, 1b', 1b")을 최상으로 서로 부착시키기 위해, 부가 바닥 인서트는 접촉면 영역(25) 및 그보다 더 중심에 있는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로부터 단형(set back)된 이격 배치된 영역(29, 29', 29")에서 상기 금속 접시에 맞물리는(삽입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암/수 피트 맞물림부는 도 1의 210a, 231 및 도 3의 210", 231"과 같다.
참조 번호 29와 같이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이 결합한 영역은 참조 번호 25와 같은 접촉면 영역의 주변부 및 참조 번호 211과 같은 접시 표면의 주변부 외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접시 표면은 상기 접촉면 영역에 의해 덮인다.
도 1에서, 영역(29)은 부착부(31)의 접시(1b)로의 부착을 수용하고, 상기 부착부는 인서트(1a)와 일체형으로 접촉면 영역(25)의 주변으로 연장되며 상기 영역(25)으로 상대적으로 단형되어 위치한 모서리를 정의한다.
상기 모서리(31)는 영역(25)의 외부를 둘러싸고, 스티프닝 폴드(stiffening fold)(33)에 의해 상기 영역에 연결되며, 접시(1b)의 금속으로 피트 충전되는 오리피스들(310)을 포함한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29)의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을 결합할 수 있다.
폴드(33)는 바깥쪽을 향해 임의의 각도로 경사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용품은, 주변 접촉면 영역(25', 25")과 일체형인 부착부(31', 31") 및 부가 바닥 인서트(1a', 1a")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선행한 1a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 이는 1b 및 21에 대해 바닥(21', 21")를 포함한 접시(1b', 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단, 상기 부품(1a', 1a")의 경우, 부착부(31', 31")는 돌출된 주변 모서리(35', 35")를 정의하며, 여기서, 금속 접시(1b', 1b")의 바닥에서(바닥 하부에서), 상기 접촉면 영역(25', 25")으로부터 단형된 위치의 영역에, 상기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암/수 피트 맞물림부가 있다는 점은 제외한다.
도 2에서, 상기 유지 기능을 하는 암/수 피트 맞물림부(29')는 부착부(31')와 교차하는 오리피스들(310')을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들은 접시의 금속으로 피트 충전된다. 오리피스들(310')은 곡률부에, 여기서는 반경부분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돌출된 주변부(35, 35')는 접시의 가장자리에 삽입될 뿐이어서, 전체적으로 가시적이다. 도 1에서, 상기 부분은 바닥에서 곡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률부는 모서리(35')와 영역(25')을 연결하며, 오리피스들(310')이 상기 곡률부를 교차한다. 도 1에서, 상기 돌출된 부분(35)은 천공된 외부 주변 모서리(31)를 정의한다.
도 3에서, 접힌 곡면의 주변 모서리(35")는 접시(1b")에서 종결되며, 상기 모서리는 상기 접시에 매립되고, 맞물린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유용하긴 하나 필수적이진 않은 특성들은 다음과 같이 공지해둔다:
- 영역(25, 25', 25")은 적어도 전면적으로 평편할 수 있음,
- 솔리드형 접촉면 영역은 연속적인 크라운이며; 상기 크라운부는 일부 부분 들에서 있을 수 있음,
- 연속적으로 솔리드형인 영역은 접시(1b, 1b', 1b")의 치형상 영역(210, 210', 210")을 둘러쌀 수 있음,
- 부착부(31, 31', 31")는 인서트와 일체형이며, 이는 접촉면 영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그렇지 않은 경우 부착부는 접촉면 영역을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더욱이 인서트의 중앙부는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삽입됨, 그러나 이는 제조를 복잡하게 만듦,
- 부가 인서트(1a, 1a', 1a")는 천공 영역(231, 231', 231")을 포함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의 그러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음-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물 또는 보완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치형상 암/수 맞물림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음, 그리고
- 바닥판의 천공 영역 또는 치형상 영역, 및/또는 금속 접시의 치형상 영역은 만곡한 하부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연장됨, 이 때 상기 금속 접시하부에 상기 바닥판이 설치됨: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하향 폴드와 같은 숄더(shoulder)가 제공될 수 있음.
도 4에서, 241d는 접시(10b)의 치형상 영역(210d)과 연동하는 인서트(10a)의 치형상 암/수 피트 맞물림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접시의 치형상 영역의 하부에서 상기 인서트는 평편해진다. 상기 도면에는 하부쪽으로 내려간 접촉면 영역(25d)도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부착과 관련하여 효과가 덜하나, 유도(induction)를 위해선 유리하다.
도시된 조리 용품 또는 그러한 용품용인 적어도 하나의 바닥을 얻기 위해 2개의 제조 방법이 더욱 상세히 제안된다. 실제로, 이후에, 한편으로는 바닥이 얻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상기 바닥에 이어서, 용품의 나머지 부분들이 제조될 수 있음이 설명된다.
이하, 인서트(1a, 1a' 또는 1a")는 단일 부품이고, 치형상부로 형성되기 보단 천공되며, 치형상부 해결안을 위한 변형(예를 들면 도 4 참조)은 당업자의 역량 범위내에 있다. 이후, 오리피스의 충전은 치형상부들 사이에 수행되는 단계들 중 충전 단계로 대체된다. 천공형 및 치형상부형의 두 해결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제1 방법에 따라 상술되며, 다음의 단계들이 실행된다:
우선, 한편으로는, 사전 성형되지 않은 본래의 것으로, 경량 금속- 또는 경량 합금-소재의 블록(block)(37)을, 다른 한편으로는 원하는 인서트를 이용하여 시작한다.
상기 인서트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필요한 부분에서 이미 천공되어 있다(그리고/또는 치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이 도 3의 용품(1a")일 경우를 고려한다. 통상적으로(도 5a 참조), 시작 단계에서 상기 용품은 블록(37)의 재질보다 더 경성인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된 중공형 인서트(소위 캡(cap))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중앙 부분에 관통 오리피스들(230")을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들은 연속적인 반경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오리피스들의 둘레에서 솔리드형 영역(25")의 폭(L)은 상기 중앙 부분의 오리피스들의 2개의 평균적 연속 반경을 분리하는 최단 간격(d1)보다 크다. 그러므로, 솔리드형 영역은 상기 영역의 주변의 가장 자리에서 돌출된 주변 모서리(35")로 형성된다.
이후, 중공형 판 및 블록은 서로 마주하여 압력을 받는데(도 5b 참조), 이는: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판의 리세스(41) 및 상기 오리피스들(230")을 채우고, 상기 판의 돌출된 주변 모서리의 말단이 블록에 매립되면서, 상기 주변 모서리가 블록의 물질에 맞물리도록(삽입되도록), 상기 금속 또는 연성 합금이 상기 압력에 의해(압력을 통해) 되밀리고, 그리고
- 그 결과 상기 솔리드형 영역(25")의 하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중앙 부분의 오리피스들의 최하 경계선에 비해 적어도 약간은 더 낮게 아래로 배치되어, 얻어진 조립체에서 원하는 지지성 솔리드형 주변 접촉면 영역을 얻을 때까지 그러하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주변 모서리(35")가 본래 수직인 경우, 캡 및 블록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주변 모서리는 안쪽으로 그리고/또는 바깥쪽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인서트의 중앙 부분에 대한 상대적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도 5b). 이는 부착을 증진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6a, 6b에 도시된 제2 방법에 따르면, 특히 도 1 및 도 2의 해결안을 얻기 위해, 이하와 같이 진행될 것이다.
도 1의 해결안을 달성하려 한다고 가정한다: 한편으로, 경금속 또는 경합금 재질이며 사전 형성되지 않은 본래의 블록(37)을, 다른 한편으로 이용하여 소기의 인서트를 가지고 시작한다.
인서트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필요한 부분에서 이미 천공되어 있다(또는 치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인서트는 평판의 상태로 유지되거나,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약간 만곡되어 있고, 하부쪽으로 내려가는 원하는 위치(d)를 제공하기 위해 전술한 캐비티를 포함한다(이미 표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목적을 가지며 주변에서 숄더형인 형상도 고려될 수 있다). 중앙 부분의 오리피스들(230)은 연속한 반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반경의 둘레에서 솔리드형 영역(25)의 폭(L)은 (d1)보다 크다. 여기서 상기 영역(25)은 그 자체로, 상기 영역의 주변에서, 오리피스들(310)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오리피스들은 동일한 반경을 따라 전부 규칙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영역(25)은 오리피스들(310)에 의해 불규칙하게만 둘러싸일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상기 판 및 블록(37)은 서로 마주하여 압력을 받을 수 있고(항상 압력을 통함)(도 6b 참조), 이는:
블록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영역(25)의 주변과 외부 모서리(250) 사이에 폴드(33)가 생성되고, 상기 폴드가 중앙 부분(23)에 대해 상대적인 각도로 위치하며, 상기 폴드의 외부를 둘러싸는 모서리(31)가 생성되고, 상기 모서리가 전체 인서트와 유사하게 블록(37)의 가장자리로 맞물릴 때까지(도 1 참조), 상기 판이 상기 솔리드형 영역의 주변에서 블록을 향해 접히고, 그 이후,
연성 금속(합금)이 상기 판(1a)으로 하여금 표면에서 삽입되고, 상기 판의 오리피스들이 (전부) 채워지도록 (되)밀리며,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솔리드형 영역(25)의 하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중앙 부분의 오리피스들(230)의 최하 경계선에 비해 적어도 약간은 더 낮게 아래로 배치되어,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대로 하부쪽으로 내려간 접촉면 영역이 생성될 때까지 그러하다.
유리하게는, 폴드(33)는 상기 영역(25)과 주변 오리피스들(310) 사이에 생성될 것이고, 따라서 상기 폴드는 모서리의 위치에 있게 된다.
도 2의 대안에 맞추어, 돌출된 외부 주변 모서리(35')는 블록의 가장 자리에 삽입되기 위해 단 1회 접힐 것이며, 그와 연결된 원형부에 위치한 주변 오리피스들(310')은 지지부의 간섭 없이 부착이 수행되도록 하는 데 유리하다.
도 5a, 5b 및 6a, 6b는 각각의 인서트와 블록(37)에 인가된 압력이, 자연적으로, 상기 블록의 변형을 야기하며, 상기 블록(21 또는 21')은 결국 바닥의 형상을 갖게 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계 외에, 유리하게도, 블록의 압력에 의한 변형은 측벽(도 5c의 3, 도 6c의 3")이 발전하여 바닥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때까지 바람직하게 지속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류된 인서트와 블록(37)사이에 인가되는 압력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의 인가 단계는, 2000톤에 달할 수 있는 압력을 이용한 냉각 주조의 범위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경량 금속의 측벽의 가장자리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다이(die)와 펀치 사이의 스탬핑(stamping)에 의한 제조 방법도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측벽을 형성하기 위해 플로우-터닝(flow-turning)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인서트의 맞물림을 위한 인출부의 높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는 상기 인서트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할 것이다.
접촉면 영역의 하부면이 바닥의 나머지 부분의 하부에 놓이도록 상기 접촉면 영역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러한 접촉면 영역 형성 단계는, 인서트(또는 판), 예를 들면 직선으로 만곡형의 인서트가 제조되자마자, 또는 차후에 연성 금속의 블록과 인서트 사이에 압력이 제공되는 동안, 또는 심지어 용품의 측벽이 개발될 때, 또는 심지어 상기 바닥에 인가된 압력을 이용하는 이후의 재가공 범위 내에서도 삽입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더욱이, 형성된 암/수 피트 맞물림부의 형태와 관련하여, 인서트가 천공된 경우, 특히, EP-A-6885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립(lip)을 포함한 천공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천공 영역 및 치형상 영역을 모두 병합하는 인서트 해결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을 주지할 것이다.
도 7의 배면도는 도 2의 절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데(II-II구간), 상기 도면은 폭(L)을 가지며 천공되지 않은 주변 접촉면(25') 및 최외각의 보완적 부착 오리피스들(310')과 함께, 천공들 또는 중앙홀(210')의 동심원 구성을 도시한다. 부가 경성 인서트(1a')은 35'로 주변에서 차단되어 있으며, 연성 바닥(1b)는 주변 크라운부의 위치, 즉 35'와 27 사이에, 그리고 충전된 천공들(210', 310')의 위치에 제 공된다.
Claims (18)
- - 조리 용품을 위한 하부 바닥부를 국부적으로 정의하며, 바닥에 수직인 구간을 따라 치형상 영역(toothed area)(210, 210", 210d)을 포함하는 금속 접시(1b, 1b', 1b", 10b); 및-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국부적인 위치에서 상기 금속 접시의 하부에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바닥 인서트(1a, 1a', 1a", 10a)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외형적인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금속 접시의 금속보다 경성인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치형상 영역(231, 231", 241d)을 포함하고, 상기 치형상 영역은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230, 230", 210a, 210a')에 의해 상기 금속 접시의 치형상 영역(210, 210", 210d)에 부착되고, 상기 인서트의 둘레에는 상기 경성의 금속으로 구성되며 크라운-형상(crown-shaped)의 연속적인 솔리드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 25d)이 하방으로 배치되는 조리 용품(1, 1', 1")에 있어서,상기 바닥의 중심과 상기 바닥의 주변 모서리(27)가 만나는 직선(25a)을 따라, 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 25d)은 2개의 연속한 치형상부들(210, 210", 210d)을 분리하는 최단 간격(d1)보다 큰 폭(L)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 조리 용품을 위한 하부 바닥부를 국부적으로 정의하며, 바닥에 수직인 구 간을 따라 치형상 영역(210, 210", 210d)을 포함하는 금속 접시(1b, 1b', 1b", 10b); 및-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국부적인 위치에서 상기 금속 접시의 하부에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바닥 인서트(1a, 1a', 1a", 10a)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외형적인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금속 접시의 금속보다 경성인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천공 영역(perforated area)(231, 231", 241d)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 영역은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230, 230", 210a, 210a')에 의해 상기 금속 접시의 치형상 영역(210, 210", 210d)과 부착되고, 상기 인서트의 둘레에는 상기 경성의 금속으로 구성되며 크라운-형상의 연속적인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 25d)이 배치되는 조리 용품(1, 1', 1")에 있어서,상기 바닥의 중심과 상기 바닥의 주변 모서리(27)가 만나는 직선(25a)을 따라, 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 25d)이 하부 쪽으로 내려간 형상이며, 2개의 연속한 치형상부들(210, 210", 210d)을 분리하는 최단 간격(d1)보다 큰 폭(L)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 25d)은 상기 부가 바닥 인서트(1a, 1a', 1a", 10a)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경성 금속의 인서트(1a, 1a', 1a", 10a)는 유도 방식으로 상기 용품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3에 있어서, 또는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 25d)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230, 230", 210a, 210a')로부터 단형되고 이격된 영역에서, 상기 부가 바닥 인서트는 상기 금속 접시(1b)에 국부적으로 삽입되는(29, 29', 2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3에 있어서, 또는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 25d) 및 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에 의해 덮힌 상기 접시 표면에서 상기 암/수 피트 맞물림부들(230, 230", 210a, 210')로부터 단형되고 이격된 곳 이외의 영역에서, 보완적으로, 상기 부가 바닥 인서트는 상기 금속 접시에 국부적으로 삽입되는(29, 29', 2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3에 있어서, 또는 청구항 3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d)은 상기 금속 접시에 부착되기 위해 주 변에서 상기 부가 바닥 인서트(1a, 1a', 10a)와 일체형인 부착부(31, 31')와 함께 연장되며, 상기 부가 바닥 인서트는 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d)으로 상대적으로 단형되어 있는 돌출부를 정의하고, 상기 금속 접시(1b, 1b', 10b)의 금속으로 피트 충전된(fit filled) 오리피스들(310, 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돌출된 주변부(31')는 상기 접시(1b')의 가장자리에 단지 삽입되며, 그의 바닥에서 곡률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접시의 금속으로 피트 충전되는 오리피스들(310')이 상기 곡률부를 교차(cross)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돌출된 주변부는 외부의 주변 모서리(31)를 정의하고, 상기 모서리에서 상기 오리피스들(310)은 상기 금속 접시(1b)의 금속으로 피트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3에 있어서, 또는 청구항 3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은 상기 금속 접시(1b")에 부착되기 위해, 주변에서, 상기 부가 바닥 인서트(1a")와 일체형인 부착부(31")와 함께 연장되며, 상기 인서트는 접힌 모서리(35")를 정의하고, 상기 접힌 모서리의 말단은 상기 블록의 물질에 매립되며, 상기 접힌 모서리는 상기 인서트의 중앙 부분에 대한 상대적 각도로 배치되는(도 5b 및 5c 참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주변 접촉면 영역(25, 25', 25", 25d)은 상기 바닥에 대해 수직인 구간을 따라, 그리고 상기 바닥의 중심과 상기 바닥의 주변 모서리(27)가 만나는 직선(25a)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3 치형상부(210b')에 의해 분리된 상기 금속 접시의 2개의 외부(210c') 및 내부(210a') 치형상부(210) 각각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각각의 내부 경계선과 외부 경계선 사이의 폭(L')이상의 폭(L)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품.
- 청구항 2에 따른 조리 용품, 또는 청구항 2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리 용품으로서, 금속 인서트(1a, 1a', 1a", 10a)가 적어도 하나의 천공 영역(231, 231", 241d)을 포함하는 조리 용품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 용품 바닥을 얻기 위해 사용되기에 적합하게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량 금속 또는 경량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며 천공되지 않은 본래의 블록(37)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블록의 금속 또는 금속 합금보다 경성인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며, 중앙 부분에서 연속적 반경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블록을 교차한 오리피스 들(230")을 포함하는 중공형 인서트(1a")를 제공하되, 상기 오리피스들의 둘레에서 상기 인서트(1a)의 중심과 주변(27)이 만나는 직선(25a)을 따라 솔리드 영역(25")이 가지는 폭(L)은 상기 중앙 부분의 2개의 연속적 오리피스 반경들(230")을 분리하는 최단 간격보다 크고, 상기 솔리드 영역(25")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주변 모서리(35")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공형 판과 상기 블록을 서로 마주하게 하여 압력을 인가하되:* 상기 인서트의 리세스 및 오리피스들(230")이 채워져, 상기 인서트의 돌출된 주변 모서리(35")의 말단이 상기 블록에 삽입되면서 상기 주변 모서리가 상기 블록의 물질에 맞물리도록 상기 블록(37)의 금속 또는 연성 합금이 압력에 의해 되밀리고, 그리고* 상기 솔리드형 영역(25")의 하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1b, 1b', 1b")이 상기 중앙 부분의 오리피스들(230")의 최하 경계선에 비해 적어도 약간은 낮게 아래로 배치되어, 솔리드형 주변 접촉면 영역(25")이 생성되고, 얻어진 조립체가 지지 부재상에 놓인 상태에서의 지지력이 상기 영역에 집중될 때까지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압력의 인가 단계동안, 상기 돌출된 주변 모서리(35")가 변형되고, 상기 인서트(1a)의 중앙 부분(231")에 대한 상대적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2에 따른 조리 용품(1, 1') 또는 청구항 2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리 용품으로서, 금속 인서트(1a, 1a')가 적어도 하나의 천공 영역(23, 231)을 포함하는 조리 용품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 용품 바닥을 얻기 위해 사용되기에 적합하게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량 금속 또는 경량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며 예비 성형되지 않은 본래의 블록(37)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블록의 금속 또는 금속 합금보다 경성인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며, 중앙 부분에서 연속적 반경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블록을 교차한 오리피스들(230)을 포함하는 판형 인서트(1a, 1a')를 제공하되, 상기 반경의 둘레에서 상기 판의 중심과 주변이 만나는 직선을 따라 솔리드 영역(25, 25')이 가지는 폭은 상기 중앙 부분의 2개의 연속적 오리피스 반경들(230)을 분리하는 최단 간격보다 크고, 상기 솔리드 영역 자체는 주변 오리피스들(310, 31)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둘러싸이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 및 블록(37)을 서로 마주하게 하여 압력을 인가하되,* 상기 판이 상기 솔리드 영역(25, 25')의 주변에서 상기 블록(37)을 향해 접히고,*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인서트의 오리피스들이 채워지면서 상기 인서트(1a, 1a')가 상기 블록의 가장자리에 맞물리도록 상기 블록의 금속 또는 연성 합금이 되밀리며, 그리고* 상기 솔리드 영역(25, 25')의 하부면(11a)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상기 중앙 부분(23, 231)의 오리피스들(230)의 최하 경계선에 비해 적어도 약간 낮게 아래로 배치되어, 솔리드 주변 접촉면 영역(25, 25')이 생성되고, 얻어진 조립체가 지지 부재상에 놓인 상태에서의 지지력이 상기 영역에 집중될 때까지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제조된 폴드(33)는 상기 솔리드형 접촉면 영역(25) 및 상기 주변 오리피스들(310)사이에서, 돌출된 외부 주변 모서리(31)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된 블록의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폴드(33)는, 상기 주변 오리피스들(310, 31)이 상기 폴드의 곡률부에 위치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37)의 압력에 의한 변형은 일체형 측벽(3, 3', 3")이 상기 인서트(1a, 1a, 1a")에 의해 외부에 정렬된 부분과 함께 개발될 때까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인서트는 상기 솔리드형 영역(25, 25', 25")의 하부면(11a)의 측벽에서 아래쪽으로 가면서 오목한 곡면(100a)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0703110A FR2915359B1 (fr) | 2007-04-27 | 2007-04-27 | Article culinaire a portee peripher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
FR0703110 | 2007-04-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7416A true KR20100017416A (ko) | 2010-02-16 |
Family
ID=3901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24732A KR20100017416A (ko) | 2007-04-27 | 2008-04-23 | 접촉면이 개선된 조리 용품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EP (1) | EP2142053A1 (ko) |
JP (1) | JP2010524617A (ko) |
KR (1) | KR20100017416A (ko) |
CN (1) | CN101668459A (ko) |
AU (1) | AU2008257251A1 (ko) |
FR (1) | FR2915359B1 (ko) |
RU (1) | RU2458616C2 (ko) |
WO (1) | WO200814592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62318B1 (fr) * | 2010-07-09 | 2012-08-17 | Seb Sa | Article culinaire a empreinte en v ou en u |
WO2012153444A1 (ja) * | 2011-05-10 | 2012-11-1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炊飯器および炊飯器用鍋 |
ITMI20120987A1 (it) * | 2012-06-07 | 2013-12-08 | Barazzoni Spa | Contenitore di cottura in alluminio con piattello o disco di fondo riportato in materiale ferroso |
ITVR20130039A1 (it) * | 2013-02-14 | 2014-08-15 | Marin Visino S N C | Fondo supplementare atto ad essere fissato alla superficie esterna del fondo di un recipiente |
FR3083681B1 (fr) | 2018-07-11 | 2020-07-10 | Seb S.A. | Recipient de cuisson compatible induction comportant une plaque de fond amelioree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70389U (ja) * | 1983-04-28 | 1984-11-14 | 有限会社南田総業 | 調理容器 |
US4544818A (en) * | 1982-07-29 | 1985-10-01 | Asahi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Cooking utensil for induction cooking apparatus |
JPS59146619A (ja) * | 1983-02-10 | 1984-08-22 | 有限会社南田総業 | 調理容器 |
JPS611293U (ja) * | 1984-06-08 | 1986-01-07 |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 電磁調理器用鍋 |
JPS6123292U (ja) * | 1984-07-17 | 1986-02-12 |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 電磁調理器用鍋 |
JPS6337752Y2 (ko) * | 1984-11-08 | 1988-10-05 | ||
JPH0642393B2 (ja) * | 1990-02-28 | 1994-06-01 | 株式会社イケダ | 電磁調理器用鍋類及びその製造法 |
JPH05130935A (ja) * | 1991-11-12 | 1993-05-28 |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 電磁誘導加熱調理用容器及び電磁誘導加熱調理器 |
FR2711051B1 (fr) * | 1993-10-13 | 1995-12-29 | Seb Sa | Récipient de cuisson à déformation de fond maîtrisée. |
JP2753448B2 (ja) * | 1994-07-19 | 1998-05-20 |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 電磁誘導加熱式調理器の調理容器 |
JPH08124664A (ja) * | 1994-10-24 | 1996-05-1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の被加熱調理具 |
JP3758201B2 (ja) * | 1995-05-09 | 2006-03-2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の被加熱調理具 |
JPH09108850A (ja) * | 1995-10-13 | 1997-04-28 | Kobe Steel Ltd | 電磁調理器用容器の鍛造圧接方法 |
JPH09220627A (ja) * | 1996-02-15 | 1997-08-26 | Showa Alum Corp | 異種金属接合部材 |
RU2098995C1 (ru) * | 1996-03-12 | 1997-12-20 | Григорий Юрьевич Валов | Посуд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под гнетом |
KR0174213B1 (ko) * | 1996-05-03 | 1999-02-18 | 유재형 | 유도 가열 조리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EP1052055A1 (en) * | 1999-05-04 | 2000-11-15 | Società Italiana Pentole S.p.A. |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ooking vessels and vessel obtained according to such process |
DE60012583D1 (de) * | 2000-05-19 | 2004-09-02 | It Pentole S P A Soc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chgefässes |
JP3592670B2 (ja) * | 2001-07-04 | 2004-11-24 | アルコ工業株式会社 | 調理具およびその調理具の製造方法 |
JP3782082B2 (ja) * | 2003-02-13 | 2006-06-07 | 株式会社タイエイジャパン |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
FR2888486B1 (fr) * | 2005-07-12 | 2007-10-19 | Ekono Sarl | Ustensile de cuisson comportant un recipient forme par superposition d'aluminium et d'acier inoxydable et un fond encastre dans ledit recipient |
-
2007
- 2007-04-27 FR FR0703110A patent/FR2915359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4-23 EP EP08805691A patent/EP2142053A1/fr not_active Withdrawn
- 2008-04-23 WO PCT/FR2008/050737 patent/WO2008145927A1/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4-23 KR KR1020097024732A patent/KR201000174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04-23 CN CN200880013788A patent/CN101668459A/zh active Pending
- 2008-04-23 AU AU2008257251A patent/AU200825725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4-23 RU RU2009143922/12A patent/RU2458616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4-23 JP JP2010504802A patent/JP2010524617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009143922A (ru) | 2011-06-10 |
JP2010524617A (ja) | 2010-07-22 |
FR2915359B1 (fr) | 2012-08-10 |
WO2008145927A1 (fr) | 2008-12-04 |
AU2008257251A1 (en) | 2008-12-04 |
RU2458616C2 (ru) | 2012-08-20 |
EP2142053A1 (fr) | 2010-01-13 |
FR2915359A1 (fr) | 2008-10-31 |
CN101668459A (zh) | 2010-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17416A (ko) | 접촉면이 개선된 조리 용품 및 그 제조 방법 | |
TWI511695B (zh) | 多用途烹飪器皿及其製造方法 | |
US5809630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culinary vessel with reinforced bottom | |
WO2007025200A2 (en) | Cookware with flat interior surface | |
WO2005089052A2 (en) | Titanium based composite cookware | |
WO2008157093A1 (en) | Cookware article with substantially flush rivets | |
KR101709584B1 (ko) | 조리용기 및 구이판 제조방법 | |
US7337518B2 (en) | Method of fabricating titanium lined composite cookware | |
KR200498342Y1 (ko) | 개선된 바닥 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호환 가능한 조리 용기 | |
US20050204928A1 (en) | Cooking utensil the covering of which comprise an ornamental piec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 |
KR101667013B1 (ko)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
JP2015150396A (ja) | 調理鍋の製造方法および調理鍋 | |
US20140151381A1 (en) | Releasable connection between a handle and a pan, and a pan with said connection | |
AU644746B2 (en)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ing utensil | |
US20050241109A1 (en) | Pan handle | |
EP0481303B1 (en) | Cooking pans of capsular base type with a profiled lateral band | |
CN215604929U (zh) | 一种锅具 | |
JP5838592B2 (ja) | 調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279284Y1 (ko) | 음식 조리용 팬 | |
CN217785227U (zh) | 一种商用凹面电烹饪炉顶盖 | |
CN217696009U (zh) | 一种可锅内沥水的双层煮锅 | |
KR200248113Y1 (ko) | 조리용기 | |
CN208301457U (zh) | 一种烹饪金属锅具 | |
CN104207626A (zh) | 包括配备有经改进的钩挂机构的底部板的烹饪容器 | |
JP3790667B2 (ja) | 汁受け皿覆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