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203A -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203A
KR20100016203A KR1020097023025A KR20097023025A KR20100016203A KR 20100016203 A KR20100016203 A KR 20100016203A KR 1020097023025 A KR1020097023025 A KR 1020097023025A KR 20097023025 A KR20097023025 A KR 20097023025A KR 20100016203 A KR20100016203 A KR 20100016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absorbent
dryer
polyest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야 엔더레
만프레트 슈미트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1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3/90Purification;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08Epoxidised polymerised poly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에 있어서, 중합체를 제1 용매(12)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중합체 용액을 강한 전단력의 영향하에 와류 전단장에서 제2 용매(41)와 긴밀하게 접촉시킨다. 이때, 제2 용매(41)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비-용매를 나타내며, 제1 용매(12)와 제한없을 정도로 혼화성이다. 이어서, 제2 용매(41)의 부가로부터 생성되는 중합체 현탁액을 드럼 전단 스크린(70)의 회전식 원통형 스크린 바디(71) 위로 또는 그 내부로 전달한 다음, 습윤된 중합체 매스를 스크린 바디(71)로부터 제거한 후, 건조시킨다. 본 방법은 높은 품질도를 갖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적합하며, 또한 공업적 규모로 비용면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드럼 전단 스크린

Description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n absorptive polyester}
본 발명은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법에 관한 것으로, 중합체를 제1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중합체 용액을 와류 전단장(turbulent shear field)에서 고전단력의 작용하에 제2 용매와 긴밀하게 접촉시키며, 제1 용매는 "순수(genuine)" 용매이고, 제2 용매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비-용매(non-solvent)이며 제1 용매와 제한없이 혼화성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또한 공정을 사용하여 정제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중합체를 제1 용매에 용해시키는 용해 용기, 중합체 현탁액으로부터 습윤된 중합체 매스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장치 및 중합체 매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를 이의 주요 부품으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정제하기 위한 정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는 락티드(L-락티드, D-락티드, DL-락티드, 메소-락티드), 글리콜리드, 엡실론-카프로락톤, 디옥사논,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델타-발레로락톤, 감마-부티로락톤 및 유사한 중합성 헤테로사이클을 기본으로 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중합체는 하나 또는 그 밖의 복수의 상 이한 단량체 모듈로 구성되거나,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단위와 같은 중합체 쇄에 추가로 모듈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L-락티드의 단독중합체, 상이한 조성의 D,L-락티드와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 및 상기 언급한 폴리에스테르 단위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는 흡수성 외과용 이식물의 제조시 및 또한 비경구 방출 시스템의 제형을 위한 약제학적 보조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원료이다. 예를 들면, 폴리(락티드) 및 다른 흡수성 폴리에스테르가 뼈 골절의 고정을 위한 외과적 이식물로, 조절된 조직 재생을 위한 망상과 막에 및 특히, 활성 성분의 조절된 방출을 위한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를 위한 마이크로캡슐 및 이식물에 사용된다. 몸으로 이식 또는 주사 후에, 흡수성 중합체는 느린 가수분해 반응으로 올리고머로 분해된다. 가수분해 최종 생성물(예: 락트산 또는 글리콜산)은 이산화탄소 및 물로 대사된다.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하이드록시카복실산(예: 락트산 및/또는 글리콜산)으로부터 중축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빈번히 일어나는 합성 경로는 상응하는 헤테로사이클의 개환 중합이다.
합성 경로와 무관하게, 조악한 중합체는 심지어 상응하는 합성 방법이 최적화될 지라도, 빈번히 1 내지 3%의 값 미만으로 감소되지 않을 수 있는 특정량의 비-전환된 단량체를 항상 함유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개환 중합이 평형 반응이고, 심지어 중축합 도중, 선형 폴리에스테르가 상응하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과 평형으 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중합체 중 단량체의 존재는 다음의 이유로 상당히 문제가 된다:
a) 사이클릭 단량체가 선형 폴리에스테르보다 가수분해적 분해와 관련하여 훨씬 더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들은 습기의 진입에 대해 폴리에스테르보다 훨씬 신속히 분해된다. 가수분해적 분해는 산 등가물을 생성하며, 이는 다시 폴리에스테르의 가수분해적 분해를 촉매화한다. 따라서, 단량체-함유 폴리에스테르의 이식은 몸에서 상기 물질의 상당히 가속화된 분해를 유도한다.
b) 동일한 이유로, 단량체-함유 폴리에스테르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식물 또는 약제학적 제형의 저장시 안정성이 상당히 손상된다.
c)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안정성은 단량체의 잔류 함량이 존재한다면 열가소성 가공 도중 또한 손상된다.
d) 비-정제된 폴리에스테르의 캡슐화 거동은 방출 거동 및 분해 거동에서와 같이, 정제된 폴리에스테르의 것과 상이하다. 캡슐화된 활성 성분(예: 펩티드)은 정제된 중합체에 비하여 더 많은 양의 유리산으로 인하여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e) 합성 반응 도중, 조악한 중합체의 잔류 단량체 함량은 종종 조절하기 어렵다. 이어서, 잔류 단량체 함량의 가변성은 자동적으로 분해 속도, 저장시 안정성 및 가공 안정성에 있어서 또한 견딜수 없는 뱃치-대-뱃치 변환(batch-to-batch variation)을 유도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양의 물질은 잔류 단량체의 양을 감소시키는 후속 정제 단계없이 수득될 수 없다.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잔류 단량체를 분리하기 위한 정제 공정이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단량체는 추출 공정을 사용하여 부분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량체를 용해시키지만 중합체를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가 적합하다. 적절한 예는 유기 용매(예: n-헥산, 사이클로헥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EP 제0456246호는, 예를 들면, 용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추출 공정을 기술하고 있다.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관련 용매가 중합체를 또한 용해시키거나, 적어도 이를 팽윤시키는 경우, 추출 공정에 의해 정제할 수 없다. 초임계 또는 가압-액화 이산화탄소가 사용되는 경우에, 중합체 매스는 압력이 완화되면 상당히 팽창되고, 이는 또한 이러한 형태의 공정이 수행되는 것을 방해한다. 선행 기술 분야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정제를 위한 수많은 재침전 공정을 기술하고 있다. 이들은 적절한 용매 중 조악한 중합체의 용해를 포함한다. 그러나, 용매와 혼화성인, 과량의 비-용매의 부가로 중합체의 침전을 유발한다.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중 용해에 의한, 그리고 메탄올이나 메탄올/클로로포름 혼합물중 침전에 의한 폴리(L-락티드)-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L-락티드)의 재침전이 기술되어 있다(참조: J. Matsumotot et al.; Int. J. of Pharm.; 185; 1999; 93-101). 기술된 재침전 공정은 막대한 양의 유기 용매 및 또한, 고체/액체 상 분리를 사용하는 단점을 가지므로, 생성물 분리가 상당히 어렵다. 이는 특히 중합체 용액이 비-용매와 접촉되는 접촉 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응집되려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기인 한다. 따라서, 공업적 규모의 적용이 어렵다.
US-A 제4 810 775호는 결정도가 20% 이하인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정제 공정을 기술하고 있으며, 중합체는 용매에 용해되고, 중합체 용액은 이어서 와류 전단장에서 고전단력의 작용하에 침전물과 긴밀하게 접촉된다. 와류 전단장은 이중-유체 노즐과, 침전물로 충전되고 이중-유체 노즐이 돌출됨으로써 침전된 중합체가 매우 작은 입자로 분해되는 용기로 이루어진 장치에 의해 생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공정이 대규모로 경제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재침전 도중 형성된 중합체 현탁액의 상 분리는 원심 분리기에서 또는, 다량의 용매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규모의 뱃치에서도 커야하는 리셉터클에서 수거에 의해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할 수 있는 고품질의 흡수성 폴리에스테르가 심지어 공업적 규모로도 수득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앞서 언급한 형태의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특히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를 정제하기 위한 개선된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을 위한 상응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공정에 관한 목적은 이어서 제2 용매의 부가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 현탁액을 드럼 전단 스크린의 회전하는 원통형 스크린 바디 위로 또는 그 내부로 이동시킨 다음, 습윤된 중합체 매스를 스크린 바디로부터 분리하고, 그 즉시 건조시키는 본 발명에 따라 성취한다.
이는 중합체 현탁액이 높은 재생성으로 고체 및 액체상으로 분리될 수 있도 록 하는 연속 작동 분리 공정을 제공한다. 연속 작동 모드는 일정한 양의 뱃치가 양에 무관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1 용매로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1,4-디옥산,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또는 또 다른 할로겐화 탄화수소나, 상기한 용매들의 혼합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적절한 용매는 폴리에스테르의 형태 및 용액중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에 따라 제공된다. 아세톤,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이 제1 용매로서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제2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또는 물이나, 상기 언급한 용매들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특히 효과적인 침전 반응은 사용되는 제1 용매에 따라 성취될 수 있으며, 물이 특히 제2 용매로서 사용된다. 물은 비독성이고 비폭발성이지만, 비용면에서 효과적이고, 특히 환경적으로 허용된다.
진행시킴에 따라, 제1 용매에 용해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여과한 다음, 이중-유체 노즐을 통해 제2 용매와 혼합한다. 이는 최적의 철저한 혼합이 성취됨으로써, 와류 전단장에서 고전단력의 작용하에 긴밀하게 접촉된다. 다른 강력한 철저한 혼합은 두 매질이 두 개의 별도 노즐로부터 유동관으로 주입되어, 유동층( fluidised bed)이 신속히 회전하는 교반기에 의해 접촉 지점에서 생성되는 경우에 또한 성취될 수 있다.
유용하게, 습윤 중합체 매스는 중력에 의해, 그리고 회전식 원통형 스크린 바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으로 결합된 컨베이어 레일(conveyor rail) 및/또 는 가이드 블레이드(guide blade)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이는 중합체 매스가, 예를 들면, 리셉터클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한된 전달을 제공한다.
낮은 잔류 수분 또는 잔류 용매 함량을 수득하기 위하여, 습윤 중합체 매스를 건조시키는 경우, 질소 또는 공기가 이를 통해 건조기로 편의상 통과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은, 특히 무정형 또는 부분 결정성 구조를 갖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면서 일정한 품질로 정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정제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락티드(L-락티드, D-락티드, DL-락티드, 메소-락티드), 글리콜리드,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엡실론-카프로락톤, 감마-부티로락톤, 디옥사논, 델타-발레로락톤 및/또는 유사한 중합성 헤테로사이클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단위를 함유한다. D,L-락티드 또는 원하는 조성을 갖는 D,L-락티드와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 또는 D,L-락티드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원하는 조성을 갖는 D,L-락티드-코-글리콜리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정제 후 잔류 단량체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하며, 1% 미만, 특히 0.5% 미만, 0.1% 미만의 잔류 단량체 함량이 성취될 수 있다.
건조 후,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용매 및/또는 수분 함량은 2% 미만, 1% 미만의 값, 특히 0.5% 미만의 값이 유용한 설정하에 성취된다. 특히 강력히 건조되면,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용매 및/또는 수분 함량은 < 0.1%이다.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특히 바람직한 사용은 약제학적 제형 또는 흡수성 이식물의 제조를 위해 제공된다.
정제 장치에 관련된 목적은 분리 장치가 회전식 원통형 스크린 바디를 포함하는 드럼 전단 스크린으로서 제작된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예를 들면, 높은 고체 부하의 연속 탈수를 위해 다른 분야에서 앞서 사용된 것과 같이, 이러한 형태의 분리 장치를 사용하면, 놀랍게도 그 장치가 심지어 배출이 변동될 지라도, 침전 반응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현탁액이 중합체 매스 및 용매 잔사로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면서 일정한 품질로 분리될 수 있도록 허용함을 발견하였다.
원통형 스크린 바디 내부의 컨베이어 레일 및/또는 가이드 블레이드는 스크린 바디의 회전 운동과 함께, 중합체 매스를, 예를 들면, 리셉터클로 연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유용한 양태로, 드럼 전단 스크린은 특히 상부 하우징 커버에 회전식 원통형 스크린 바디 위에 흡인 노즐을 포함하는 흡인 장치를 갖는다. 이는 흡인에 의한 용매 증기의 제거를 제공하며, 이는 특히, 예를 들면, 아세톤, 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사용되는 경우에, 흡인 장치가 방폭형 주변 빌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유동층 건조기, 순환식 공기 건조기 또는 관형-유동 건조기(tubular-flow dryer)로서 배열되는 건조기가 습윤 중합체 매스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에 특히 적합하다. 건조기는 바람직한 양태로 원뿔형 부분 및 원통형 부분을 가지며, 건조 되는 중합체 매스의 강력한 소용돌이는 아래로부터 유동하는 건조제, 예를 들면, 질소 또는 공기로 인하여 건조기의 원뿔형 부분에서 성취된다. 응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래이터(grater)가 중합체에 대해 제공된다. 건조 도중, 건조되는 중합체 매스는 건조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건조가 계속된 후, 그레이터를 통해 그래이팅(grate)된다.
중합체가 건조기로부터 공급 시스템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기는 원통형 부분 내부에 하나 이상의 스크린 삽입장치를 갖는다. 정제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수거하기 위하여, 건조기는 편의상 필터 백(bag)을 포함한다. 프레임에 건조기의 스위블 베어링(swivel bearing)은 건조기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말단면에서 건조기에 고정되고, 쉽게 제거되는 건조된 중합체 분말을 포함하는 필터 백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건조된 중합체 매스는 건조 공정 도중 보다 용이하게 철저히 혼합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드럼 전단 스크린 및 건조기의 적어도 생성물-유도 부품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됨으로써, 약물학적 요건면에서 높은 생성물 품질을 보장한다.
상기 언급한 특징 및 이후에 기술되는 것들은 각각 명시된 조합으로 뿐만 아니라, 오히려 다른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간단히 한정된다.
본 발명은 이후에 예시적 양태를 사용하여, 그리고 다음과 같은 관련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정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르는 드럼 전단 스크린의 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르는 건조기의 투시도이다.
정제 장치(1)는 제1 공정 단계를 위한 이의 주요 부품으로서, 정제되는 폴리에스테르 조 생성물(11)이 위치하는 용해 용기(10)를 포함한다. 용해 용기(10)의 통상적인 크기는 50 내지 1,000 ℓ의 범위이며, 보다 큰 시스템의 경우에는, 2,000ℓ 이상 만큼 클 수 있다. 제1 용매(12)의 부가는 교반기(13)에 의해 및/또는 용액의 일정한 재순환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조 생성물(11)의 용해 용기(10)에서 용해를 유발한다. 예를 들면, 린트(lint)의 형태인 폴리에스테르 조 생성물(11) 중 불순물은, 예를 들면, 여과에 의해 분리된다. 하기의 용매는, 예를 들면, 바람직한 제1 용매(12)로서 밝혀졌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1,4-디옥산,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또는 또 다른 할로겐화 탄화수소나, 상기한 용매들의 혼합물.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에서, 아세톤,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이 제1 용매(12)로서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펌프, 예를 들면, 격막 펌프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 미 세한-메쉬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필터(30)를 통해 중합체 용액을 펌핑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단계에서, 불용성 불순물이 분리된다. 이 경우에, 통상의 메쉬 크기는 수 ㎛이며, 통상 1 내지 10 ㎛의 범위이다.
이어서, 중합체 용액을 중합체용 비-용매인 제2 용매(41)와 이중-유체 노즐(40)을 통해 강력히 혼합하고, 이로부터 생성된 중합체 현탁액은 가장 간단한 경우에 직접 또는 유동관이나 파이프를 통하여, 컨베이어(60)를 통해 드럼 전단 스크린(70)의 회전식 스크린 바디(71)의 내부로 유도하며, 이때 전달은 중력에 의해, 통상적인 펌프 또는 기체에 의한 가압화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사용되는 제2 용매(41)는 에탄올, 메탄올 또는 물이나, 침전을 위해 상기 언급한 용매들의 혼합물이다. 물은 이의 독성학적 안전성 및 환경적 허용성으로 인하여 특히 바람직한 제2 용매(41)이다.
드럼 전단 스크린(70)의 회전식 스크린 바디(71) 내부에서, 중합체 현탁액을 용매 혼합물과 침전된 중합체 매스로 분리할 수 있다. 스크린 바디(71) 내부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으로 결합된 가이드 레일 및/또는 가이드 블레이드(72)는 중합체 매스에 제한된 전달을 허용함으로써, 중합체 매스가 고체 배출구(75)로 운반된다. 용매 혼합물은 이 경우에 액체 배출구(73)를 통해 하부로 유동될 수 있다. 용매 증기는 흡인 장치(74), 예를 들면, 스크린 바디(71) 위에 드럼 전단 스크린(70)의 하우징 커버(76)에 있는 흡인 노즐을 통한 흡인에 의해 제거할 수 있고, 이는 방폭형 주변 빌딩에 유용하다.
고체 배출구(75)에서 수거된 여전히 습윤된 중합체 매스는 고체 컨베이 어(80)를 사용하여 건조기(90)로 직접 또는 수거 용기로 운반된다. 수거 용기로부터 건조기(90)의 뱃치식 충전이 연속식 공급 이외에 가능할 수 있다. 건조기(90)는 원뿔형 부분(95)과 원통형 부분(96)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스크린 삽입장치(94)가 원통형 부분(96) 내부에 제공된다. 건조제(91), 예를 들면, 질소 또는 공기는 아래로부터 건조기(90)의 원뿔형 부분(95)으로 측면에서 도입시킴으로써, 강력한 소용돌이가 건조기(90) 내부에서 성취된다. 건조기(90)는 정제되어 건조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수거하기 위한 필터 백(92)을 갖는다.
도 2에 따르는 드럼 전단 스크린(70)의 형태에서, 중합체 현탁액이 U-형태 채널을 통해 도입될 수 있는 회전식 스크린 바디(71)를 내부에서 볼 수 있다. 스크린 바디(71)는 다소 기울어지게 위치한다. 스크린 바디(71)의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나선형으로 결합된 가이드 레일 및/또는 가이드 블레이드(72)는 중합체 매스를 고체 배출구(75)로 제한되게 전달하도록 한다. 용매 증기는 스크린 바디(71) 위에 드럼 전단 스크린(70)의 하우징 커버(76)에 있는 흡인 장치(74)를 통한 흡인에 의해 제거한다. 스크린 바디(71)는 이의 배면이 밀폐되어 스크린의 내부가 구동 유닛으로부터 마멸된 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면은 정제를 위해 개방할 수 있다.
움직일 수 있는 프레임(97)에 배열된 도 3에 따르는 건조기(90)는 스위블 베어링(93)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다. 필터 백(92)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드럼 전단 스크린(70)과 건조기(90)의 적어도 생성물-유도 부품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은 이후에 설명할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조 생성물(11)을 제1 용매(12)로서 먼저 계산된 양의 아세톤으로 용해시킨다. 폴리에스테르 조 생성물(11)을 칭량하고, 용해 용기(10)에 가한다. 계산된 양의 아세톤을 가하고, 조 생성물은 대략 24 내지 72 시간 이내에 재순환에 의해 용해시킨다. 혼합비는 사용된 출발 물질(단량체 또는 헤테로사이클) 및 조 생성물의 고유점도에 따라 좌우되며, 예를 들면, D,L-락티드와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인 경우, 50:50 mol%; 클로로포름 중 0.1% 용액으로서 측정된 고유점도: 0.5 ㎗/g; 침전을 위한 용액은 아세톤 중 8 중량%의 중합체로 분배된다.
중합체 용액은 메쉬 크기가 5 ㎛인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 필터(30) 및 유량계를 통해 펌프(20)에 의해 이중-유체 노즐(40)로 전달된다. 유동은 사용된 조 생성물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며, 일반적으로 20 ℓ/h 이하이다. 이 도면은 아세톤의 밀도로 조절된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침전되는 중합체 용액의 상이한 밀도는 정밀한 유동 측정을 방해한다(단, 질량 유량계의 경우는 제외). 이중-유체 노즐(40)에서, 중합체 용액은 대략 700 내지 1000 ℓ/h의 유속에서 워터 젯으로 도입되고, 용해된 조 생성물은 플레이크 또는 섬유의 형태로 즉시 침전된다.
물, 생성물 플레이크, 단량체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현탁액은 파이프를 통해 드럼 전단 스크린(70)으로 유도된다. 이 경우에, 현탁액은 드럼 전단 스크린(70)의 후면 영역으로 유도된다. 회전 운동으로 인하여, 분리된 단량체를 함유하는 방출된 물/아세톤 혼합물은 먼저 이 위치에서 생성물 층을 형성한다. 생성물 층이 충분히 무거우면,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생성물 군을 형성한다(스노우보울 시 스템). 앞으로 기울어지게 움직이는 가이드 블레이드(72) 및 회전 운동으로 인하여, 이들 생성물 군은 서서히 스크린 바디(71)에서 고체 배출구(75)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물/아세톤 혼합물은 중력에 의해, 다른 한편으론, 쐐기형 스크린 프로파일 바(wedge-shaped screen profile bar) 및 이로부터 생성된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분리된다.
고체는 고체 컨베이어(80)에 의해 건조기(90) 또는 수거 용기로 유도된다. 관형-유동 건조기로서 나타낸 건조기(90)에서, 습윤된 중합체 매스는 공기 또는 질소의 유동에 의해 건조된다.

Claims (22)

  1. 중합체를 제1 용매(12)(여기서, 제1 용매(12)는 "순수(genuine)" 용매이다)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중합체 용액을 와류 전단장(turbulent shear field)에서 고전단력의 작용하에 제2 용매(41)(여기서, 제2 용매(41)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비-용매이며 제1 용매(12)와 제한없이 혼화성이다)와 긴밀하게 접촉시키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으로서,
    제2 용매(41)의 부가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 현탁액을 드럼 전단 스크린(drum shear screen)(70)의 회전식 원통형 스크린 바디(71) 위로 또는 그 내부로 전달한 다음, 습윤된 중합체 매스를 스크린 바디(71)로부터 분리하고, 그 즉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된 제1 용매(12)가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1,4-디옥산,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또는 또 다른 할로겐화 탄화수소나, 상기한 용매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된 제1 용매(12)가 아세톤,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제2 용매(41)가 에탄올, 메탄올 또는 물이거나, 상기한 용매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용매(12)에 용해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여과한 다음, 이중-유체 노즐(40)을 통해 제2 용매(41)와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윤된 중합체 매스를 중력에 의해, 그리고 회전식 원통형 스크린 바디(71) 내부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으로 결합된 컨베이어 레일(conveyor rail) 및/또는 가이드 블레이드(guide blade)(72)에 의해 분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윤된 중합체 매스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질소 또는 공기를 건조기(90)를 통해 통과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8. 흡수성 폴리에스테르가 무정형 또는 부분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을 사용하여 정제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9. 흡수성 폴리에스테르가 락티드(L-락티드, D-락티드, DL-락티드, 메소-락티드), 글리콜리드,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엡실론-카프로락톤, 감마-부티로락톤, 디옥사논, 델타-발레로락톤 및/또는 유사한 중합성 헤테로사이클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단위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을 사용하여 정제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10. 흡수성 폴리에스테르가 락티드와 글리콜리드 및/또는 임의의 목적하는 조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공중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을 사용하여 정제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잔류 단량체 함량이 1%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및/또는 수분 함량이 2%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13. 약제학적 제형 또는 흡수성 이식물의 제조를 위한, 제8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용도.
  14. 중합체를 제1 용매(12)에 용해시키는 용해 용기(10), 중합체 현탁액으로부터 습윤된 중합체 매스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장치 및 중합체 매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90)를 이의 주요 부품으로서 포함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를 위한 정제 장치로서,
    상기 분리 장치가 회전식 원통형 스크린 바디(71)를 포함하는 드럼 전단 스크린(70)으로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를 위한 정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원통형 스크린 바디(71)가 이의 내부에 컨베이어 레일 및/또는 가이드 블레이드(72)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드럼 전단 스크린(70)이, 특히 상부 하우징 커버(76)의 회전식 원통형 스크린 바디(71) 위에 흡인 노즐을 포함하는 흡인 장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90)가 유동층 건조기, 순환식 공기 건조기 또는 관형-유동 건조기(tubular-flow dry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90)가 원뿔형 부 분(95) 및 원통형 부분(96)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장치.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90)가 원통형 부분(96) 내부에 하나 이상의 스크린 삽입장치(9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장치.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90)가 정제된 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수거하기 위한 필터 백(92)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장치.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90)에 스위블 베어링(swivel bearing)(93)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장치.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럼 전단 스크린(70) 및 건조기(90)의 적어도 생성물-유도 부품이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장치.
KR1020097023025A 2007-05-04 2008-05-02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KR20100016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0951A DE102007020951A1 (de) 2007-05-04 2007-05-0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resorbierbaren Polyesters
DE102007020951.9 2007-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203A true KR20100016203A (ko) 2010-02-12

Family

ID=3980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025A KR20100016203A (ko) 2007-05-04 2008-05-02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20100137550A1 (ko)
EP (2) EP2246381A3 (ko)
JP (1) JP5654342B2 (ko)
KR (1) KR20100016203A (ko)
CN (1) CN101675092B (ko)
AR (1) AR066434A1 (ko)
AU (1) AU2008248649A1 (ko)
BR (1) BRPI0810713A8 (ko)
CA (1) CA2686045A1 (ko)
DE (1) DE102007020951A1 (ko)
ES (1) ES2627727T3 (ko)
HK (1) HK1138027A1 (ko)
IL (1) IL201279A (ko)
MX (1) MX2009011077A (ko)
NZ (1) NZ580827A (ko)
RU (1) RU2473577C2 (ko)
TW (1) TWI428365B (ko)
WO (1) WO20081355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783A (ko) * 2013-08-29 2016-05-04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분말 형태의 생체재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242A1 (en) 2008-11-07 2010-05-14 Samyang Corporation Highly purified polylact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 salt of the same, and purification method thereof
DE102011014131A1 (de) 2011-03-15 2012-09-20 Thyssenkrupp Uhde Gmbh Verfahren zur Trocknung von feuchtem Polymerpulver und dafür geeignete Vorrichtung
US8735504B2 (en) 2012-05-02 2014-05-27 Warsaw Orthopedic, Inc. Methods for preparing polymers having low residual monomer content
CN103421172B (zh) * 2012-05-23 2016-01-20 上海现代药物制剂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聚酯的纯化工艺
WO2014108191A1 (en) 2013-01-10 2014-07-17 Evonik Industries Ag Electronic device unit comprising a polymer coating
CN103105047B (zh) * 2013-01-30 2014-10-22 青岛沃隆花生机械有限公司 连续式去水机
JP5959728B2 (ja) 2013-04-11 2016-08-02 三井化学株式会社 乳酸―グリコール酸共重合体の製造法またはその塩の製造法
CN106687077B (zh) 2014-09-07 2021-07-27 奥西奥有限公司 各向异性生物复合材料、包含各向异性生物复合材料的医疗植入物及其治疗方法
JP6707537B2 (ja) 2014-11-14 2020-06-10 レーム・ゲーエムベーハーRoehm GmbH 粒子の形の生体吸収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CA2971990C (en) 2014-12-26 2023-03-28 Orahn Preiss-Bloom Continuous-fiber reinforced biocomposite medical implants
EP3307247A1 (en) 2015-06-10 2018-04-18 Evonik Röhm GmbH Process for preparing a powder comprising a human coagulation factor protein and a lactic acid polymer
WO2018002917A1 (en) * 2016-06-27 2018-01-04 Ossio Ltd. Fiber reinforced biocomposite medical implants with high mineral content
CN111050677B (zh) 2017-09-07 2023-06-20 奥西西奥有限公司 纤维增强的生物复合材料带螺纹的植入物
JP2019167402A (ja) * 2018-03-22 2019-10-03 三井化学株式会社 乳酸−グリコール酸共重合体を含む粉体の製造方法
US11052053B2 (en) 2018-05-08 2021-07-06 Evonik Operations Gmbh Nanoparticle comprising a bio-resorbable polyester, a hydrophilic polymer and an acylated human lactoferrin-derived peptide
DE102019205941A1 (de) * 2019-04-25 2020-10-2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handlung mindestens einer Oberfläche eines Polymers
CN114058072A (zh) * 2020-08-07 2022-02-18 Apk股份公司 通过集成的滚筒干燥和挤出从聚合物溶液除去溶剂的方法
CN112595033B (zh) * 2020-12-10 2022-11-08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颜色稳定的聚碳酸酯粉末的制备方法
CN112694605B (zh) * 2020-12-29 2023-03-17 浙江圣兆药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酯类产品的纯化方法和生产设备
CN117337168A (zh) 2021-04-01 2024-01-02 渤健马萨诸塞州股份有限公司 向中枢神经系统的核酸递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4329B (en) * 1984-09-13 1988-05-05 British Uralite Plc Hydraulic cement compositions containing fibrous material
JPS61250025A (ja) * 1985-04-27 1986-11-07 Mitsubishi Gas Chem Co Inc 乾燥ポリカ−ボネ−ト固形粒子の製造法
DE3708916A1 (de) 1987-03-19 1988-09-29 Boehringer Ingelheim Kg Verfahren zur reinigung resorbierbarer polyester
SU1625876A1 (ru) * 1988-06-21 1991-02-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629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гликолида или лактида от примесей органических кислот
EP0452111B1 (en) * 1990-04-13 1998-07-1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Biodegradable high-molecular polymers,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3200706B2 (ja) * 1990-04-13 2001-08-20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生体内分解型高分子重合物
DE4014974A1 (de) 1990-05-10 1991-11-14 Boehringer Ingelheim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oesungsmittel- und restmonomerenfreien in spritzgiess-, extrusions- und schmelzspinnverfahren einsetzbaren polymeren
RU2093246C1 (ru) * 1992-04-02 1997-10-20 Николай Прокофьевич Кохно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грубодисперсных суспенз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DE4218268C2 (de) * 1992-06-03 1997-01-16 Boehringer Ingelheim Kg Verfahren zur Reinigung bioresorbierbarer Polyester
DE19800591C2 (de) 1997-03-21 2002-04-25 Dyneon Gmbh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Fluorpolymersuspensionen
US6376643B1 (en) 2000-11-08 2002-04-23 Invigor Biotechnology Co., Ltd. Method of polymerization of lactide and polylactide homopolymer thereof
JP4214183B2 (ja) * 2003-04-10 2009-01-28 川口精機株式会社 スクリュー式脱水機
JP4403845B2 (ja) * 2004-03-22 2010-01-27 東レ株式会社 ラクチド含有量が少ないポリ乳酸の製造方法
JP2006026563A (ja) * 2004-07-16 2006-02-02 Fuji Photo Film Co Ltd 懸濁化学物質を含有した廃液の処理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783A (ko) * 2013-08-29 2016-05-04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분말 형태의 생체재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7036B1 (de) 2017-03-22
RU2473577C2 (ru) 2013-01-27
US20100137550A1 (en) 2010-06-03
NZ580827A (en) 2012-11-30
ES2627727T3 (es) 2017-07-31
AU2008248649A1 (en) 2008-11-13
AR066434A1 (es) 2009-08-19
WO2008135523A1 (de) 2008-11-13
US9156942B2 (en) 2015-10-13
IL201279A (en) 2013-11-28
EP2246381A2 (de) 2010-11-03
JP5654342B2 (ja) 2015-01-14
TW200909474A (en) 2009-03-01
IL201279A0 (en) 2010-05-31
HK1138027A1 (en) 2010-08-13
BRPI0810713A2 (pt) 2014-10-21
EP2246381A3 (de) 2017-10-25
JP2010526200A (ja) 2010-07-29
US20110288267A2 (en) 2011-11-24
DE102007020951A1 (de) 2008-11-06
EP2147036A1 (de) 2010-01-27
CN101675092B (zh) 2012-01-11
TWI428365B (zh) 2014-03-01
MX2009011077A (es) 2009-11-02
RU2009144850A (ru) 2011-06-10
US20110144301A1 (en) 2011-06-16
CA2686045A1 (en) 2008-11-13
BRPI0810713A8 (pt) 2016-06-07
CN101675092A (zh)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6203A (ko)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US4810775A (en) Process for purifying resorbable polyesters
EP0748398B1 (en) Spray processes using a gaseous flow for preparing biodegradable fibrils
ES2214171T5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producción de polímeros termoplásticos cargados
EP2814866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and device for producing polymer
Warth et al. Thermoplastic cellulose acetate and cellulose acetate compounds prepared by reactive processing
MX2013008402A (es) Polvo fino de poliester alifatico de origen biologico y su metodo de preparacion.
KR102468902B1 (ko) 미립자 형태의 생체재흡수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775804B1 (ko) 다공체, 그 제조 방법, 및 그 연속 제조 장치
KR100543541B1 (ko) 폴리락티드로부터 락티드를 분리하고 회수하는 방법
JP3471112B2 (ja) ポリ乳酸の重合方法及び重合装置
Wlodarczyk et al. Dual-jet electrospun PDLGA/PCU nonwovens and their mechanical and hydrolytic degradation properties
JP7000631B1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Anaya-Mancipe et al. Evaluation of the polycaprolactone (PCL) hydrolytic degradation in acid solvent and its influence on the electrospinning process
Andrade-Guel et al. Plastics Technology
CN116159035A (zh) 一种低熔点疏水性聚合物微球及其制备方法
RU2570904C2 (ru) Реактор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полимеризации лактон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076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16

Effective date: 2016071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16

Effective date: 2016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