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703A -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703A
KR20100014703A KR1020097020464A KR20097020464A KR20100014703A KR 20100014703 A KR20100014703 A KR 20100014703A KR 1020097020464 A KR1020097020464 A KR 1020097020464A KR 20097020464 A KR20097020464 A KR 20097020464A KR 20100014703 A KR20100014703 A KR 20100014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tack
pin
foot
pushpin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513B1 (ko
Inventor
마크 트라게서
Original Assignee
마크 트라게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 트라게서 filed Critical 마크 트라게서
Publication of KR20100014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02Simple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5/00Drawing-pins, Thumb-t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9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flexible sheets to other sheets or plates or to strips or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4Combined diverse multipart fasteners
    • Y10T24/3484Hook
    • Y10T24/3495Hook having penetrating pro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6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6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4602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with separately operable, manually releasable, nonpenetrating means for mounting [e.g., drapery hoo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6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4693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specific wire penetrating po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6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4693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specific wire penetrating portion
    • Y10T24/4695Wire curved or b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6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4696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distinct head structure

Abstract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압핀 고정 장치가 공개된다.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에는 구멍을 내는 제1 말단부와 제 2 말단부가 있는 탄성·연장성 핀이 있다. 고정발은 상기 핀의 제2 말단부에 조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절삭면이 상기 핀의 제2 말단부에 있을 수 있다.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고 물체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압핀 고정 장치가 제공한다. 상기의 방법에는 지지표면에 압핀 장치의 핀 말단으로 구멍을 내는 방법과 고정발 또는 절삭면으로 물제의 일부를 지지표면으로 누르는 방법이 각각 존재한다.
압핀 고정 장치, 천공, 부착, 고정 발

Description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PUSHPIN RETAINING DEVICE AND METHOD FO RETAINING WITHOUT OBJECT PUNCTURE}
본 발명은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정와 압핀(소위 지도 핀)은 평면 또는 비평면의 물체를 적당한 지지표면에 부착하는 데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평면 물체에는 문서, 포스터, 사진, 카드 물품, 종이 레이블,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종이 품목 등이 있다. 기타 평면 물체에는 직물 견본, 직물 레이블 등과 같은 섬유 품목 등이 있다. 옷걸이, 가벼운 장난감, 의류 품목 및 의류 액세서리, 다양한 견본, 다른 물체를 넣어두는 보호상자 등의 일부의 비평면 물체도 압정과 압핀으로 부착되기도 한다. 실제로, 상기의 평면물체 및 비평면물체 목록은 한정없이 계속 증가할 수 있다. 적절한 지지표면에는 포말판재, 코르크판재, 합판, 석벽, 회반죽과 압정과 압핀으로 구멍을 뚫을 수 있는 표면 등이 있다. 예를 들면, 게시판과 칸막이 벽 (일반적으로 직물표면의 포말판재) 과 같은 지지표면은 압정과 압핀의 조합을 사용하여 물체를 이러한 표면에 부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존의 압정과 압핀은 머리와 핀으로 구성된다. 압정과 압핀을 표면에 대고, 상기의 압정과 압핀의 머리에 낮은 압력을 가하면, 상기 핀의 말단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결과를 얻게 된다. 만약 상기 표면이 적당한 지지표면이면, 상기 핀은 상기 표면에 구멍을 내게 된다. 구멍이 뚫릴 수 있는 물체가 상기 핀의 말단과 상기 지지표면의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의 물체도 또한 구멍이 나게 된다. 상기의 핀에 압력이 상기 지지표면으로 끝까지 들어가거나 상기 지지표면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의 압정 또는 압핀의 머리는 정지장치(stopper)로 작동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의 구멍 난 물체의 일부는 압정 또는 압핀의 머리와 지지표면 사이에서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물체는, 느슨해지는 부착부분 때문에 (심지어는 견고한 부착에도 불구하고), 상기 물체의 특성(중량, 재질, 형태 등)에 따라 구멍이 난 곳에서 흔히 인열응력(引裂應力, tearing stress)을 받게 된다.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흔히 있으며, 상기의 핀은 물체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지지표면에 구멍을 내도록 흔히 만들어 지며, 상기 물체의 일부는 압정 또는 압핀의 머리와 지지표면 사이에서 압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흔히 압핀 또는 압정의 머리와 지지표면 사이에서 평면 물체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킬 때 사용된다. 물체에 구멍을 내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라면, 이러한 방법으로 고정하는 데에 더욱 실패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물체에 구멍을 내는 것을 피하고 향후의 구멍이 난 지점에서 인력응력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T-핀(T-pin)은 물체를 매다는 데 사용되는 또 다른 종류의 장치이다. 그리고, 다양한 클립도 물체를 다른 물체에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물체를 부착하 기 위하여 지지표면에 붙이거나 연결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특수 클립(clip) 또한 알려져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체를 고정하는 압핀 장치는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가 있는 탄성·연장성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제1 말단부는 구멍을 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고정발(grip foot)은 상기의 핀의 제2 말단부와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고 물체를 고정하는 방법은 압핀 장치의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압핀 장치는 탄성·연장성 핀과 고정발로 특징 지워 질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은 또한 핀 말단부로 지지표면에 구멍을 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발로 지지표면에 물체 일부분을 누르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체를 고정하는 압핀 장치는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에 의해 둘러 싸인(bounded) 핀 몸체를 가진 탄성·연장성 핀을 포함한다. 핀 몸체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천공말단(puncture tip)은 제1 말단부에 있을 수 있다. 절삭면은 구멍을 내지 않고 사용되는 물체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은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3은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4는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의 반대쪽 측면도이다.
도 5는 거친표면을 가진 발 표면에 대한 별도의 도면으로 첨부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지지표면과 물체가 닿는 부분과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지지표면과 물체의 부착과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지지표면과 물체의 부착과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지지표면과 물체의 부착과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압핀 고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압핀 고정 장치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압핀 고정 장치의 추가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압핀 고정 장치의 추가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압핀 고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지지표면과 물체와 연결된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지지표면과 물체가 휴지 상태일 때의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의 측 면도이다.
도 18은 지지표면과 추가 물체를 위한 위치와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지지표면과 휴지 상태일 때의 고정 물체와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지지표면과 물체를 고정하는 형태와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분할도이다.
도 21은 지지표면과 물체를 고정하는 또 다른 형태와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분할도이다.
도 22는 지지표면과 전도형 고정 형태로 걸개에 물체를 고정하는 것과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분할도이다.
도 23은 지지표면과 비전도형 고정 형태로 걸개에 물체를 고정하는 것과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분할도이다.
도 24는 지지표면과 물체를 고정하는 줄과 관련된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분할도이다.
도 25-42는 추가적인 압핀 고정 장치 실시예의 측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과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로 나타내는 관련 도면들을 통해 공개된다.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대체 실시예가 고안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요소들은 상세하 게 설명되지 않거나 본 발명의 관련 세부사항을 불명료하지 않을 정도이면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설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본 논의의 몇몇의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단어"예"는 여기서 "예, 실례, 도해"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실시예"로 기술된 "예"가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반드시 선호되거나 더 큰 이점을 가진 것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동일하게,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또는 "발명"와 같은 용어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당해 논의의 특성, 장점, 작동 방법을 포함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상용되는 압정이나 압핀과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핀 고정 장치는 다양한 평면과 비평면 물체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는 핀으로 구멍을 낼 수 있는 다양한 지지표면에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디자인인 상기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는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다 압핀 고정 장치는 상용되는 압정이나 압핀과 마찬가지로 대량으로 판매될 수 있다.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는 통상적인 당해 해당 기술 정도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내구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하는 압핀 고정 장치가 제시된다. 압핀 고정 장치 (2) 는 고정발 (6) 과 관련하여 작동하는 핀 (4) 을 가질 수 있다. 핀 (4) 은 금속, 플라스틱 및 통상적인 당해 해당 기술에서 알려진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핀 (4) 은 강철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고정발 (6) 은 플라스틱, 고무, 금속 및 통상적인 당해 해당 기술에서 알려진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고정발 (6) 은 어떠한 통상적인 주형 과정에 의한 주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고정발 (6) 은 부드럽고, 구부러질 수 있고, 폭신하며 그 질감에서 이와 유사하게 될 수 있다.
핀 (4) 은 가늘게 길고 탄련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압정이나 압핀과 비교하여 가늘고 길 수 있다. 핀 (4) 은 또한 비선형일 수 있다. 핀으로 사용하는 것에 추가하여 핀 (4) 은 건설이나 형상 물질과 유사한 탄력성 덕분으로 용수철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서 보이는 구성처럼, 핀 (4)는 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따라서 용수철로 사용될 만큼 탄성적일 수 있다.
핀 (4) 은 제1 말단부 (10) 와 제 2 말단부 (12) 에 의해 둘러싸인 핀 몸체 (8) 에 의해 특징지어 질 수 있다. 핀 몸체 (8) 는 가늘고 길며 비선형적일 수 있다. 제1 말단부 (10) 에 천공말단 (14)이 형성될 수 있다. 천공말단 (14) 은 지지표면에 구멍을 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천공말단 (14) 은 뾰족하거나 뭉툭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서 보여지는 천공말단 (14) 은 끝이 뾰족한 말단이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부착 말단에는 고정 장치가 지지표면에 나사못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파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부착 말단은 지지표면에 못으로 박을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영구적 혹은 비영구적인 부착을 위해 다양한 다른 종류로 부착 말단이 실시예에서 만들 어질 수 있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하는 압핀 고정 장치는 통상적인 압정이나 압핀이 적절하지 않은 다양한 지지표면에 맞도록 디자인 될 수 있다.
핀 몸체 (8) 를 참조하면, 용수철 고리 (16) 가 생성될 수 있다. 용수철 고리 (16) 는 핀 (4) 과 압핀 고정 장치 (2) 전체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용수철 고리 (16) 는 또한 사용자가 압핀 고정 장치 (16) 를 쥐고 지지표면에 누를 수 있도록 손가락 고정용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용수철 고리 (16) 는 인간의 손가락으로 단단하게 잡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수철 고리 (16) 에 추가적인 부분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것이 손가락 고정용 장치를 형성해도 된다. 추가적인 부분은 플라스틱, 고무, 금속 및 이와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부분은 플라스틱 손가락 고정용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굽어지는 부분이 용수철 고리 (16) 를 대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도 12 참조). 더욱이 하나 이상의 용수철 고리가 핀 몸체 (8)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도 12 참조).
계속하여 도 1-5를 참조하면, 용수철 고리 (16) 에서 확장하여, 핀 몸체 (8) 는 확장될 수 있고 제2 말단부 (12) 로 연결되는 굴곡부 (18) 에서 굽어질 수 있다. 굴곡부 (18) 는 핀 몸체 (8) 가 되구부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는, 상기의 핀 몸체 (8) 는 40도와 180도 사이의 각도로 구부러 질 수 있으며, 굴곡부 (18) 가 뒤로 구부러져 제2 말단부 (12) 로 이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굴곡 각도는 굴곡부 (18) 에 근접한 핀 몸체 (8) 의 부위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굴곡 (18) 을 따라서 제2 말단부 (12) 까지 이르는 것을 측정한 것이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굴곡부 (18) 는 제2 말단부 (12) 와 핀 (4) 중간점 사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의 중간점은 핀 (4) 의 길이를 측정하여 결정된다. 상기의 핀 (4) 길이는 비선형의 핀 몸체 (8) 경로를 따라서 제1 말단부 (10) 와 제2 말단부 (12) 에 의해 형성되는 경계로 측정된다. 그 다음, 상기 경로의 중간점이 따라서 찾아질 수 있다.
고정발 (6) 의 안쪽으로 보여지는 제2 말단부 (12) 에, 안전(securing) 고리 (20) 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말단부 (12) 는 안전하게 고정되거나 고정발 (6)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발 (6) 은 발 몸체 (22) 를 가질 수 있으며, 발 몸체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어떠한 통상적인 주형과정에 의한 주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발 몸체 (6) 는 안전용 고리 (20) 를 수용할 수 있다. 안전용 고리 (20) 는 사용시 존재하는 비트는 힘을 막는 고정발 (6) 을 지원할 수 있다.
고정발 (6) 은 발 표면 (24) 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24) 은 지지표면을 접촉하는 면으로 사용되거나 지지표면에 물체를 누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면 (24) 은 일부러 거친 면이 없게 하였으며, 실질적으로 반반하게 된다. 그러므로 표면 (24) 은 매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도 1, 도4, 도5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발 표면(24) 은 거친표면 (26) 을 가질 수 있다.
거친표면 (26) 은 표면 (24) 위에 통합적으로 형성 (예를 들면 주형)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거친표면 (26) 을 가진 별도의 부분이 응용되거나 혹은 다른 방법으로 표면 (24) 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거친표면 (26) 은 물체나 사용중인 지지표면을 접할 때 표면 (24) 사이의 정지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거친표면 (26) 은 패턴을 가진 양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하게 혹은 결합적으로, 질감은 거칠거나, 돌기가 있거나, 우툴두툴하거나 이와 유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굴곡부 (18) 에서 용수철 고리 (16) 까지 측정한 압핀 고정 장치 (2) 의 높이는 0.5 인치와 2 인치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0.5 인치, 0.8 인치, 2 인치). 추가로, 압핀 장치의 너비는 천공말단 (14) 의 끝에서 핀 몸체 (8) 의 끝부분까지 측정하여 0.4 인치와 1 인치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0.4 인치, 0.6 인치, 1 인치). 핀 몸체 (8)의 지름은 0.02 인치와 0.045 인치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0.02 인치, 0.025 인치, 0.045 인치). 용수철 고리 (16) 의 고리 지름은 0.125 인치와 0.3 인치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0.125 인치, 0.16 인치, 0.3 인치). 이러한 측정은 다만 예시를 위한 것이며, 통상적인 당해 해당 기술에서 인정되듯이 압핀 고정 장치 (2) 는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다시 도 1-5과 더불어 도 6과 도 7을 부가하여 참조하면, 핀 (4) 이 수직으로 지지표면 (30) 에 구멍을 내고 있는 것과 고정발 (6) 이 각각 지지표면 (30) 에 대하여 수직으로 평면물체를 고정 지지하는 것이 보여진다. 발 표면 (24) 은 구부러질 수 있다. 표면 (24) 은 해당 시간에 수직 지지표면 (30) 에 표면 (24) 전체보다 적은 부분이 평면 물체 (28) 에 닿는 부분에서 변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하게 혹은 결합적으로, 표면 (24) 은 해당 시간에 수직 지지표면 (30) 에 표면 (24) 전체보다 적은 부분이 평면 물체 (28)에 닿는 곳에서 흔들이로 기능하도록 굽 어질 수 있다. 그러한 접촉 부분은 사용 중인 물체 (28) 에 적용되는 다른 힘 (예를 들면, 힘 32 및 34)에 따라 다양하게 예측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접촉 부분은 변형된 형태로 그리고/또는 흔들거리는 상태로 물체 (28) 의 일부를 도 6, 도 7에서 결합적으로 보여 주듯이 지지한다.
굴곡부를 가진 표면 (24) 을 포함하는 고정발 (6) 은 사용중인 고정발 (6) 의 표면 (24) 와 지지표면 (30) 사이의 물체 (28) 의 삽입에 용이하도록 핀 (6) 과 결합되어 작동하도록 모양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역으로, 굴곡부를 가진 표면 (24) 을 포함하는 고정발 (6) 은 물체 (28) 에 작용하는 인력 (34) (예를 들면, 중력)에 의해 물체 (28) 의 동일한 부분을 고정하고 그 제거를 막도록 핀 (6) 과 결합되어 작동되도록 모양이 만들어 질 수 있다.
특히 도6 을 참조하면, 도 1의 압핀 고정 장치 (2) 는 척력 (32) 에 반응하여 수직 지지표면 (30) 에 대하여 평면 물체 (28) 를 수용하는 것이 보여진다. 역으로,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평면 물체 (28) 에 미치는 인력 (34) (예를 들면, 중력) 에도 불구하고 수직 지지표면 (30) 에 대하여 평면 물체 (28) 를 유지할 수 있다. 물체 (28)에 미치는 인력 (34) 에 반응하여, 고정발 (6)은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발 (6)이 받는 방향 (36)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고정발 (6)의 변형은 물체 (28) 와 접하는 표면 (24) 의 표면적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은 지지표면 (30) 에 대한 물체 (28) 의 고정발 (6) 의 지지력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물체 (28) 에 가해지는 인력 (34) 에 반응하여, 핀 (4) 의 핀 몸체 (8) 는 일반적으로 방향 (38) 쪽의 바깥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는 적어도 떨어질 때까지 지 지표면 (30) 에 대해 물체 (28) 를 고정하는 고정발 (6) 과 협응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당해 해당 기술을 가진 이에 의해 이해되듯이 압핀 고정 장치 (2) 는 위에서 기술된 도 7에서 참조한 물체 (28) 와 관련된다. 불필요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8 은 압핀 고정 장치 (2) 가 위에서 기술된 것처럼 압핀 고정 장치 (2) 를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고 각도가 있는 지지표면 (130) 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통상적인 당해 해당 기술을 가진 이들이 이해할 수 있듯이, 압핀 고정 장치 (2) 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힘들은 그 크기 그리고/또는 방향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서 지적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9는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압핀 고정 장치 (2) 는 압핀 고정 장치 (2)의 지지수단을 실질적으로 변형시키지 않고 수평 지지표면 (230) 에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통상적인 당해 해당 기술을 가진 이들이 이해할 수 있듯이, 압핀 고정 장치 (2) 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힘들은 그 크기 그리고/또는 방향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서 지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0-14를 참조하면, 보여지는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는 아래 논의되고 보여지는 바는 예외로 하고 구성에서 도 1의 압핀 고정 장치 (2) 와 유사하다. 사실,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는 모든 물질적 측면에서 압핀 고정 장치 (2) 와 똑같이 기능할 수 있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하는 압핀 고정 장치가 제시된다. 도 1의 압핀 고정 장치 2와 유사하게, 압핀 고정 장치 (202) 는 핀 (204) , 고정 발 (206) , 핀 몸체 (208) , 제 1 말단부 (210) , 제 2 말단부 (212) , 천공 말단 (214) , 굴곡부 (218) , 안전용 고리 (220) , 발 몸체 (222) , 발 표면 (224) 및 거친 표면 (226) 을 포함할 수 있다. 압핀 고정 장치 (202) 는 압핀 고정 장치 (2) 의 용수철 고리 (16) 의 반대쪽에 굴곡부 (216) 를 가질 수 있다. 굴곡부 (216) 는 용수철 고리 (16) 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같은 돌출된 손가락 고정용 장치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근접한 굴곡부 (216) 에서 압핀 고정 장치 (202) 를 잡고 조정하기 편리하다고 느끼게 될 것이다.
특히 도 11을 참조하면, 압핀 고정 장치 (302) 는 핀 (304) , 고정 발 (306) , 핀 몸체 (308) , 제1 말단부 (310), 제2 말단부 (312) , 천공 말단 (314) , 용수철 고리 (316) , 안전용 고리 (320) , 발 몸체 (322) , 발 표면 (324 ), 및 거친 표면 (326) 을 포함할 수 있다. 압핀 고정 장치 (302) 는 용수철 고리 (316) 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압핀 고정 장치 (2) 의 용수철 고리 (16) 와 같을 수 있다. 압핀 고정 장치 (302)는 압핀 고정 장치 (2) 의 굴곡부 (18)의 반대쪽의 용수철 고리 (318) 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12를 참조하면, 압핀 고정 장치 (402) 는 핀 (402) , 고정 발 (406) , 핀 몸체 (408) , 제1 말단부 (410) , 제2 말단부 (412) , 천공 말단 (414) , 안전용 고리 (420) , 발 몸체 (422) , 발 표면 (422) , 및 거친 표면 (426) 을 포함할 수 있다. 호환적으로, 압핀 고정 장치 (402) 는 압핀 고정 장치 (2) 의 용수철 고리 (16) 의 반대쪽에 굴곡부 (416) 를 가질 수 있으며, 역으로 용 수철 고리 (418) 는 굴곡부 (18) 의 반대쪽일 수 있다.
특히 도 13을 참조하면, 압핀 고정 장치 (502)는 핀 (504) , 고정 발 (506) , 핀 몸체 (508) , 제 1 말단부 (510) , 제 2 말단부 (512) , 천공 말단 (514) , 굴곡부 (518) , 안전용 고리 (520) , 발 몸체 (522) , 발 표면 (524) 및 거친 표면 (526) 을 포함할 수 있다. 압핀 고정 장치 (502) 는 압핀 고정 장치 (2) 의 용수철 고리(16) 의 반대쪽에 부품 (516) 을 가질 수 있다. 부품 (516) 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핀 (504) 에 잡힐 수 있다. 부품 (516) 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부품 (516) 은 용수철 고리 (16) 와 비교했을 때 더욱 크고 편안한 손가락 고정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특히 도 14를 참조하면, 압핀 고정 장치 (602) 의 핀 몸체 (608) 는 압핀 고정 장치 (2) 의 핀 몸체 (8) 와 비교하여 더욱 길고 가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해당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유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일부일 뿐이며 이 발명의 발표가 갖는 이점은 통상적인 당해 해당 기술을 가진 이들에 의해 즉시 인정될 것이다.
이제 도 1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핀 고정 장치가 보여진다. 도 1의 압핀 고정 장치 (2) 와 유사하게, 압핀 고정 장치 (702) 는 핀 (704) , 핀 몸체 (708) , 제 1 말단부 (710) , 천공 말단 (714) , 용수철 고리 (716) , 및 굴곡부 (718)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말단부 (712) 에서, 압핀 고정 장치 (2) 는 절삭면 (706) 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물체나 지지 표면의 부분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이 될 수 있다. 절삭면 (706) 은 각이 지거나, 직선이거 나, 굴곡이 질 수 있다. 절삭면 (706) 은 구멍을 내지 않은 물체 또는 지지 표면을 위해 사용될 때 거칠거나 또는 거칠지 않은 면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물체나 지지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나 플라스틱 외피 (미도시)를 절삭면 (706) 에 부착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도 16-19를 참조하면, 물체에 대한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은 도 1의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2) 를 사용하여 보여진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엄지 (40) 와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들 (미도시) 의 동작을 통해 용수철 고리 (16) 에 가까운 압핀 고정 장치 (2) 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용수철 고리 (16) 는 손가락 고정용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물체 (28) 를 지지 표면 (30) 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압핀 고정 장치 (2) 를 상기 방향 (42) 으로 움직여 지지 구조 (30) 에 구멍이 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핀 (4) 으로 지지 표면 (30) 에 구멍을 낼 수 있다. 또한 물체 (28) 는 도 17에 보이는 것처럼 고정 발 (6) 과 지지 표면 (30) 이 협력하여 물체 (28)을 압박하여 지탱할 수 있도록 고정 발 (6) 과 지지 표면 (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압핀 고정 장치 (2) 는 휴지 위치에 있다. 물체 (28) 는 발 표면 (24) 에 닿을 수 있으며 고정발 (6) 에 의해 지지 표면 (30) 에 놓이도록 되어 충분히 동작이 가해 질 때까지 지지 표면 (30) 에 그 자체의 무게를 갖고 물체 (28) 가 고정되도록 한다. 압핀 고정 장치는 용수철의 탄성과 기계적 이점을 이용하여 지지 표면 (30) 에 물체 (28) 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는 압력이 고정 발 (6) 에 의해 물체 (28) 의 일부에 놓여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압핀 고정 장치 (2) 가 지탱할 수 있는 무게는 압핀 고정 장치 (2) 의 크기, 압핀 고정 장치 (2) 의 구성, 압핀 고정 장치 (2) 의 탄력성, 지지 표면 (30) 에 있을 때 제 1 말단부 (10) 의 각도, 지지 표면 (30) 의 물질, 물체 (28) 에 상대적인 고정 발 (6) 의 각도, 지지 표면 (30)에 들어간 핀 (4) 의 깊이, 물체 (28) 마찰의 반발 계수, 고정 발 (6) 마찰의 반발 계수 및 압핀 고정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 및 다른 변수들에 달려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물체 (28) 가 압핀 고정 장치 (2) 에 의해 지지 표면 (30) 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의 휴지 위치에서 압핀 고정 장치 (2) 에 의해 하나 이상의 물체 (28) 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첫 번째 물체 (28) 와의 접촉으로부터 압핀 고정 장치 (2) 를 사용자의 엄지 (40) 를 이용하여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고정 발 (6) 과 지지 표면 (30) 사이의 방향 (46) 으로 지지 물체를 위치시키고/거나 지지함으로써 모든 물체 (28) 는고정 발 (6)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도 19에 보이는 것처럼, 압핀 고정 장치 (2) 는 휴지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다. 물체 (28) 는 발 표면 (24) 에 닿을 수 있으며, 지지 표면 (30) 에 물체 (28) 를 고정시키도록 고정 발 (6) 로 지지 표면(30) 에 지탱 할 수 있다. 실제로, 여러 겹을 형성하는 복수의 평면 물체 (28) 는 고정 발 (6) 에 묶일 수 있다.
고정 발 (6) 은 물체 (28) 에 대한 중력과 같은 인력을 흔들기로 그리고/또는 변형을 통해 견딜 수 있다.
전반적으로 도20-24을 참조하면, 도 1의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 2) 는 지 지 표면 (30) 에 있는 실시예의 고정 배치에서의 위치를 보여준다. 도 20을 참조하면, 압핀 고정 장치는 도 17의 배치에 보인다. 보이는 것처럼, 서로 다른 크기의 여러 평면 물체 (28) 는 압핀 고정 장치 (2) 에 의해 지지 표면 (30) 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실시예처럼 압핀 고정 장치 (2) 가 위치로 놓이면, 핀 (4) 은 물체 (28)에 구멍을 내면서 동시에 고정발 (6) 이 추가적인 고정힘을 상기 물체 (28) 에 지지표면(30) 쪽으로 가한다. 상기의 핀 (4) 으로 상기의 물체 (28) 에 구멍을 뚫으면, 상기 물체 (28) 의 바깥 지지표면 (30) 에 구멍을 내는 것에 비교하여 추가적인 고정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도 20의 형태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 채용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 (2) 는 비전도형 형태로 지지표면 (3) 에 있을 수 있어서, 고정발 (6) 이 용수철 고리 (16) 위쪽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걸개 (148) 를 가진 물체 (128) 가 상기의 압핀 고정 장치 (2) 에 의해 지지표면 (30) 쪽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걸개 (148) 는 J 형의 걸개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의 걸개 (148) 는 제1 말단부 (10) 와 용수철 고리 (16) 사이의 압핀 고정 장치 (2) 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 (2) 는 비전도형 형태로 지지표면 (3)에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도 걸개 (148) 를 가지고 여전히 물체 (128) 를 지지표면 (30) 쪽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걸개 (148) 는 압핀 고정 장치 (2) 근접 굴곡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압핀 고정 장치 (2) 는 걸개 선 (248) 을 가지고 지지표면 (30) 쪽으로 물체 (228) 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걸개 선 (248) 은 제1 말단부 (10) 와 용수철 고리 (16) 사이의 고정 장치 (2) 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압핀 고정 장치가 제시된다. 압핀 고정 장치 (802) 는 핀 (804), 고정발 (806), 핀 몸체 (808), 제1 말단부 (810), 제 2 말단부 (812), 천공말단 (814), 충격 흡수부(blow acceptor) (816), 굴곡부 (818), 안전용 고리 (820), 발 몸체 (822), 발 표면 (824), 거친 표면 (826)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 (816) 는 연장, 예를 들면 쇠망치나 나무망치로 친 충격을 받는 곳으로 작동한다. 충격흡수부 (816) 에 충격을 가하면, 제1 말단부 (810) 가 구멍이 뚫어지는 표면으로 들어간다. 핀 몸체 (808)의 일부, 즉 충격흡수부 (816) 에서 제1 말단부 (810) 까지의 부위는 건축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못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전형적인 못으로 구멍을 낼 수 있는 표면은 압핀 고정 장치 (802)로 구멍을 낼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하는 다른 압핀 고정 장치가 제시된다. 압핀 고정 장치 (902) 는 핀 (904), 고정발 (906), 핀 몸체 (908), 제1 말단부 (910), 제2 말단부 (912), 천공말단 (914), 용수철 고리 (916), 굴곡부 (918), 안전 고리 (920), 발 몸체 (922), 발 표면 (924), 거친표면 (9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말단부 (910) 와 핀 몸체 (908) 의 부분(들)은 전형적인 나사못과 유사하게 홈이 파여져 있다. 그러므로, 전형적인 나사못으로 구멍을 낼 수 있는 표면은 압핀 고정 장치 (902) 로 구멍을 낼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하는 또 다른 압핀 고정 장치가 제시된다. 압핀 고정 장치 (1002) 는 핀 (1004), 고정발 (1006), 핀 몸체 (1008), 제1 말단부 (1010), 제2 말단부 (1012), 천공말단 (1014), 용수철 고리 (1016), 굴곡부 (1018), 안전 고리 (1020), 발 몸체 (1022), 발 표면 (1024), 거친표면 (1026)을 포함할 수 있다. 용수철 고리 (1016) 는 도 1의 용수철 고리보다 크다. 상기의 더 큰 용수철 고리 (1016) 는 손가락 고정용 장치로 작동할 수 있다. 보다 큰 손가락 고정용 장치는 상기 압핀 고정 장치 (1002) 를 가지고 사용자가 표면에 구멍을 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보다 큰 용수철 고리 (1016) 는 상기 압핀 고정 장치 (1002) 로 석벽 표면에 구멍을 내는 데에 도움을 준다.
도 28-34을 참조하면, 추가적인 실시예가 제시된다. 압핀 고정 장치 1102, 1202, 1302, 1402, 1502, 1602, 1702에는 다음이 각각 있을 수 있다. 핀 1104, 1204, 1304, 1404, 1504, 1604, 1704; 고정발 1106, 1206, 1306, 1406, 1506, 1606, 1706; 핀 몸체 1108, 1208, 1308, 1408, 1508, 1608, 1708; 제1 말단부 1110, 1210, 1310, 1410, 1510, 1610, 1710; 제2 말단부 1112, 1212, 1312, 1412, 1512, 1612, 1712; 천공말단 1114, 1214, 1314, 1414, 1514, 1614, 1714; 발 몸체 1122, 1222,1322, 1422, 1522, 1622, 1722; 발 표면 1124, 1224, 1324, 1424, 1524, 1624, 1724; 거친표면 1126, 1226, 1326, 1426, 1526, 1626, 1726, 특히 도 28을 참조하면, 굴곡부 1116 가 유일한 굴곡부일 수 있다. 특히 도 29를 참조하면, 용수철 고리 1216는 추가적인 굴곡이 없을 수 있다. 특히 도 30-34를 참조하면, 굴 곡부 1316, 1516와 용수철 고리 1416, 1616가 각각 있을 수 있다. 고정발 1306, 1406, 1506, 1606은 구부러 져서 굴곡부 1318, 1418, 1518, 1618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34를 참조하면, 고정발 1706은 굴곡부 17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핀 1702로서 상기의 굴곡만이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다.
도 35-42을 참조하면, 추가적인 실시예가 제시된다. 압핀 고정 장치 1802, 1902, 2002, 2102, 2202, 2302, 2402, 2502 은 각각 고정발 1806, 1906, 2006, 2106, 2206, 2306, 2406, 2506 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압핀 고정 장치 1802, 1902, 2002, 2102, 2202, 2302, 2402, 2502에는 다음이 각각 있을 수 있다. 핀 1804, 1904, 2004, 2104, 2204, 2304, 2404, 2504; 핀 몸체 1808, 1908, 2008, 2108, 2208, 2308, 2408, 2508; 제1 말단부 1810, 1910, 2010, 2110, 2210, 2310, 2410, 2510; 천공말단 1814, 1914, 2014, 2114, 2214, 2314, 2414, 2514; 용수철 고리 1816, 1916, 2016, 2116, 2216, 2316, 2416, 2516; bend 1818, 1918, 2018, 2118, 2218, 2318, 2418, 2518; 발 몸체 1822, 1922, 2022, 2122, 2222, 2322, 2422, 2522. 제2 말단부(예를 들면, 1812, 2212, 2312, 2412)와 안전용 고리(예를 들면, 1820)가 각각 상기 실시예에서 있을 수도 있다.
도 35-42를 계속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고정발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고정발은 너비가 넓거나 좁게 만들어 질 수 있다. 고정발은 그 특성에서 만화캐릭터, 기묘한 모양, 예술적 즐거움 또는 상업성을 가질 수 있게 디자인될 수 있다. 고정발은 손, 발, 손가락, 애니메이션 캐릭터나 그 일부분, 회사/조직의 로고 및 다른 식별 부호 등과 같은 무제한의 많은 사례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처럼, 핀과 연결될 수도 있다. 특히 도 41을 참조하면, 핀 몸체 (2408) 는 또한 그 특성에서 만화캐릭터, 기묘한 모양, 예술적 즐거움 또는 상업성을 가질 수 있게 디자인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의 설명과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원칙, 선호되는 실시예 및 동작 방법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서 논의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어서만 구성되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논의된 실시예의 추가적인 변경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달한 자들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변경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달한 자들에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청구한다.

Claims (23)

  1. 물체를 고정하는 압핀 장치에 있어서: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를 가진 탄성·연장성 핀으로, 천공용 제1 말단부; 그리고
    제2 말단부의 조작과 관af련된 고정발(grip foot).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말단부가 뾰족한, 압핀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용수철로 작동하는, 압핀.
  4. 제3 항에 있어서,
    금속과 플라스틱 중의 하나로 만들어진, 압핀
  5. 제1 항에 있어서,
    핀의 몸체가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로 둘러싸이고, 하나 이상의 용수철 고리를 가진, 압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용수철 고리 중의 최소한 하나의 손가락 고정용 장치로 작동하는, 압핀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용수철 고리 중의 최소한 하나의 플라스틱 손가락 고정용 장치의, 압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핀의 몸체가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로 둘러싸이고,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진, 압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핀의 몸체가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로 둘러싸이고, 핀의 몸체는 40도에서 180도 사이의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의 굴곡 각도는 굴곡부에 근접한 핀 몸체의 부위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굴곡을 따라서 제2 말단부까지 이르는 것으로 측정됨,
  10. 제1 항에 있어서,
    제2 말단부에 고정발에 안전하게 고정되는, 압핀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제2 말단부에 고정발에 안전하게 고정되는, 압핀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주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고정발이 있는, 압핀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고정 작업용의 거친 표면이 있는 면을 가진 고정발이 있는, 압핀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발은 구부러진 (curved) 표면을 포함하는, 압핀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구부러진 면이 흔들이로 기능하여 사용하는 물체를 고정시키는 부분이 흔들거릴 수 있도록 하는, 압핀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고정발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어, 사용되는 물체에 가해지는 인력에 의하여 고정된 물체의 제거를 저지할 수 있는, 압핀 장치.
  17. 제1 항에 대하여, 고정발이 안정적으로 제2 말단부에서 형성되는 고착 고리를 수용하는 발 본체를 가지고 있는, 압핀 장치.
  18.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탄성·연장성 핀과 고정발로 특징지어 지는 압핀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핀 말단으로 지지표면에 구멍을 내는, 방법; 그리고
    고정발로 물체의 일부를 지지표면 쪽으로 누르는, 방법.
  19. 제18 항의 방법에 있어서, 추가,
    각 압핀 장치는 두 번째 탄성 핀과 두 번째 고정발로 특징지어지는 최소 두 번째 압핀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두 번째 핀 말단으로 지지표면에 구멍을 내는, 방법; 그리고
    최소한 두 번째 고정발로 두 번째 물체의 일부를 지지표면 쪽으로 누르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물체가 누르는 부분이 상기 물체에 가해지는 인력에 변형되어 지탱하는, 방법
  21. 물체를 고정하는 압핀 장치에 있어서: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로 둘러싸이고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있는 몸체의 탄성·연장성 핀을 가진, 압핀 장치;
    제1 말단부에 천공 말단이 있는, 압핀 장치; 그리고
    제2 말단부의 절삭면이 구멍을 내지 않고 사용되는 물체의 일부와 맞닿아 있을 수 있는, 압핀 장치.
  22. 제19 항에 있어서,
    천공말단이 뾰족하거나 뭉툭한 말단인, 압핀 장치.
  23. 제19 항에 있어서,
    핀 몸체에 하나 이상의 용수철 고리가 있는, 압핀 장치.
KR1020097020464A 2007-03-31 2008-02-08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KR101373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095307P 2007-03-31 2007-03-31
US60/920,953 2007-03-31
US11/987,322 US8353656B2 (en) 2007-03-31 2007-11-29 Pushpin retaining device and method of retaining without object puncture
US11/987,322 2007-11-29
PCT/US2008/001704 WO2008121182A1 (en) 2007-03-31 2008-02-08 Pushpin retaining device and method fo retaining without object pun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703A true KR20100014703A (ko) 2010-02-10
KR101373513B1 KR101373513B1 (ko) 2014-03-13

Family

ID=3979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464A KR101373513B1 (ko) 2007-03-31 2008-02-08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8353656B2 (ko)
EP (1) EP2132046B1 (ko)
JP (1) JP5469055B2 (ko)
KR (1) KR101373513B1 (ko)
CN (2) CN101730628B (ko)
CA (1) CA2681576C (ko)
HK (1) HK1158144A1 (ko)
WO (1) WO20081211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79A (ko) * 2018-09-10 2020-03-18 안지은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393A1 (en) * 2009-11-03 2011-05-12 Alesia Innovation S.R.L. A quick coupling device for scaffold nets
FR2981102A1 (fr) * 2011-10-11 2013-04-12 Jean Marc Scherrer Dispositif de rehabilitation de panneau amovible de fausse paroi
CN103568631A (zh) * 2012-07-31 2014-02-12 游舒闵 不损伤被固定物的固定用品
WO2014019105A1 (zh) * 2012-07-31 2014-02-06 Yeu Su-Min 不损伤被固定物的固定用品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7335A (en) * 1926-06-01 Fred j
US749084A (en) * 1904-01-05 Pin-hook
US213007A (en) * 1879-03-04 Improvement in safety-pins
US551906A (en) * 1895-12-24 Territory
US546159A (en) * 1895-09-10 Apparatus for piling metal bars
US533992A (en) * 1895-02-12 Safety-pin
US772887A (en) * 1902-12-04 1904-10-18 Leigh E Johnson Pin.
US778287A (en) * 1904-03-28 1904-12-27 Fred D Van Buren Rug-pin.
US988809A (en) * 1910-09-24 1911-04-04 August Peter Garment-suspending device.
US1120656A (en) * 1914-01-14 1914-12-08 Hunt Specialty Mfg Company Push-pin.
US1187764A (en) * 1914-05-02 1916-06-20 Robert B Morden Hook.
US1385743A (en) * 1920-04-12 1921-07-26 Charles O Ellert Safety-pin
US1540531A (en) * 1924-08-01 1925-06-02 David A Boswell Protected pin
US1693875A (en) * 1927-01-08 1928-12-04 Tanaka Tombay Thumb tack
US1661165A (en) * 1927-01-13 1928-03-06 Cameron James Nisbet Paper fastener or clip
US1652939A (en) * 1927-01-31 1927-12-13 William H Holmes Paper-supporting device
US1841061A (en) * 1928-05-22 1932-01-12 Dickran M Sarkisian Drapery and heading hook
US1769477A (en) * 1929-07-05 1930-07-01 Le Roy J Thompson Safety pin
US2253022A (en) * 1940-07-15 1941-08-19 Evans Vernie Shoulder strap holder
GB546159A (en) 1941-04-23 1942-06-30 Allan Levin Improvements in drawing pins or like pin units for insertion in or attachment to a board or other surface
US2477723A (en) * 1944-07-27 1949-08-02 Merton L Crandall Safety pin
US2551063A (en) * 1948-11-10 1951-05-01 William H Sneirson Safety pin
FR1001085A (fr) 1949-12-08 1952-02-19 Punaise spéciale
US2823436A (en) * 1955-10-26 1958-02-18 Lew W Karalus Safety pin attachment
US2941269A (en) * 1956-01-26 1960-06-21 Roger J Keller Safety pins
DE959255C (de) * 1956-02-11 1957-02-28 Georg Wunschik Klemmzwecke
US3293712A (en) * 1965-01-21 1966-12-27 Emil H Mark Safety pin construction
JPS5383233U (ko) * 1976-12-10 1978-07-10
JPS5383233A (en) 1976-12-28 1978-07-22 Kayaba Ind Co Ltd Steering force adjusting valve for power steering device
JPS5883233A (ja) 1981-11-13 1983-05-19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赤血球の特性を測定する装置
DE3302688A1 (de) * 1983-01-27 1984-08-16 Gerhard 4040 Neuss Strahl Klammer-reisszwecke
DE3341249A1 (de) * 1983-10-24 1985-05-23 Gerhard 4040 Neuss Strahl Klammer-reisszwecke
US4664350A (en) * 1986-01-23 1987-05-12 Dodds Kathleen M Soft-wall hanger
JPS62189196U (ko) * 1986-05-23 1987-12-02
JPS63170197U (ko) * 1987-04-23 1988-11-07
FR2640332B1 (fr) * 1988-12-09 1991-02-15 Engel Pascal Pince de suspension multi-usages
US4901962A (en) * 1988-12-14 1990-02-20 Greer David A Clip for holding papers to a wall
US5029788A (en) * 1989-03-10 1991-07-09 Moore Push-Pin Company Clip-hanger for suspending articles from walls
JP2515789Y2 (ja) 1990-01-25 1996-10-30 善晶 春日井 ピ ン
JPH0679995A (ja) * 1992-09-01 1994-03-22 Kosuke Kikuchi 翼付き画びょう
JPH0731373U (ja) * 1993-11-15 1995-06-13 康之 浜本 紙に孔を開けない紙押さえピン
CN2192485Y (zh) * 1994-05-04 1995-03-22 邹之琴 一种多用回形大头针
US5507459A (en) * 1994-06-29 1996-04-16 Kiera; Heiko-Roberto Single piece mounting device for use on a bulletin board
KR200167811Y1 (ko) 1999-08-13 2000-02-15 고정환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US6196782B1 (en) * 1999-11-18 2001-03-06 Plush Pins, Llc Push pin
US6594865B2 (en) * 2001-01-11 2003-07-22 O'mahony Sean Patrick Retaining clip
JP2002362094A (ja) 2001-06-11 2002-12-18 Retasu:Kk 画 鋲
JP2005003970A (ja) * 2003-06-12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地図の位置情報圧縮方法と装置
JP3116575U (ja) 2005-05-02 2005-12-15 明 山口 万年鋲紙留めフックおよび鋲留めフック
JP4383503B2 (ja) * 2009-03-31 2009-12-16 要蔵 篠崎 紙片を掲示する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79A (ko) * 2018-09-10 2020-03-18 안지은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48579B2 (en) 2013-01-08
WO2008121182A1 (en) 2008-10-09
US8353656B2 (en) 2013-01-15
US8556562B2 (en) 2013-10-15
US20130067699A1 (en) 2013-03-21
KR101373513B1 (ko) 2014-03-13
US20110035913A1 (en) 2011-02-17
CN102139595A (zh) 2011-08-03
US8562267B2 (en) 2013-10-22
EP2132046A4 (en) 2010-09-08
EP2132046A1 (en) 2009-12-16
CN102139595B (zh) 2013-11-06
EP2132046B1 (en) 2012-11-28
JP5469055B2 (ja) 2014-04-09
CN101730628A (zh) 2010-06-09
US20080235923A1 (en) 2008-10-02
CA2681576C (en) 2015-06-16
HK1158144A1 (en) 2012-07-13
CA2681576A1 (en) 2008-10-09
US20130081237A1 (en) 2013-04-04
JP2010523371A (ja) 2010-07-15
CN101730628B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513B1 (ko)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WO2012176916A1 (ja) 壁装着具
JP2011000876A (ja) ボールクリップ装置
US5112177A (en) Flexible fastener
US7004703B2 (en) Push pin device
WO1991012437A1 (en) Flexible fastener having two pins and finger grips
US6089386A (en) Article display support
JP4680842B2 (ja) 棒状部材用ハンガ
US5370020A (en) Nail holder
JP4022129B2 (ja) 物品の固定具
US20040094682A1 (en) Device for suspending objects
KR101566251B1 (ko) 종이 클립
JP7244274B2 (ja) 棒状体支持具
KR200216417Y1 (ko) 괘지돌기를 갖는 걸이용 클립
KR20170006719A (ko) 다기능 압핀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게시구
JP2008142227A (ja) 器具取付座
JP4723360B2 (ja) 保持具
JP2003111254A (ja) コード固定具、その回し具及び穴明け具。
Prochazka Visco-elastic behavior of free hexagons applied to FRC
WO2008108997A1 (en) Notepad holder
JPH10332473A (ja) 振動感知装置
BRMU8802686U2 (pt) martelo com suporte para prego
JP2017089850A (ja) 掛け具
JP2005168273A (ja) ステップルホルダー
JP2013160258A (ja) 係着金具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