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179A -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179A
KR20200029179A KR1020180107650A KR20180107650A KR20200029179A KR 20200029179 A KR20200029179 A KR 20200029179A KR 1020180107650 A KR1020180107650 A KR 1020180107650A KR 20180107650 A KR20180107650 A KR 20180107650A KR 20200029179 A KR20200029179 A KR 2020002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slide
order processing
rack assembly
hol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274B1 (ko
Inventor
안지은
Original Assignee
안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은 filed Critical 안지은
Priority to KR102018010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2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는, 내측에 적어도 전방이 개구된 슬라이드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랙 프레임, 복수 개가 열과 행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공간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블록 및 용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구비되는 홀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드블록은, 상기 슬라이드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여유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공간 내에서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 for Order Processing}
본 발명은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주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과 같이 연속적인 주문을 받아 처리해야 하는 사업장에서는 주문의 종류, 순서 등이 섞이거나 혼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음식점 등에서는 식사 시간에 주문 처리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종래에는 한정된 인원으로 이와 같은 주문을 처리하기 위해서 주문 내용이 기재된 용지 등을 순서대로 끼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오더랙(Order Rack)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오더랙은 주문 내용이 기재된 용지를 순서대로 거치한 뒤, 이미 처리된 주문서를 떼어낸 이후 처리해야 할 나머지 주문서들을 작업대와 가깝게, 또는 더 들어올 주문서를 꽂기 위해 모두 떼어 앞으로 가져와 다시 꽂는 것을 반복하는 사용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매 주문마다 주문서를 일일이 탈부착하여 정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주문서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오더랙은 일반적으로 재질 자체의 탄성을 이용한 고정 방식, 스프링을 이용한 클립형 고정 방식 또는 핀을 이용한 고정 방식 등을 가지고 있어 주문서를 한 손으로 끼우기가 매우 어려우며, 주문서의 탈부착 과정에서 주문서가 찢어지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찢어진 주문서의 잔류물은 오더랙 사이에 끼어 고정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매번 뾰족한 물체를 이용하여 잔류물을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90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주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용지의 순서 정리 및 탈부착이 용이한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는, 내측에 적어도 전방이 개구된 슬라이드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랙 프레임, 복수 개가 열과 행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공간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블록 및 용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구비되는 홀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드블록은, 상기 슬라이드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여유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공간 내에서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둘레부 중 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느 한 슬라이드블록의 상기 제1결합부는 다른 슬라이드블록의 제2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 프레임의 둘레부 중 일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3결합부가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함몰 형성된 제4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를 서로 소정 각도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제2연결부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회전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전방에 구비되어, 적어도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탄성제공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록에는 상기 제1연결부가 관통하는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통과홀을 관통한 상기 제1연결부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랙 프레임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슬라이드블록을 통해, 주문 처리 순서를 신속하게 정리하고 주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용지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용지의 탈부착 과정에서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용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슬라이드블록 및 홀더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랙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주문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홀더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홀더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1)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1)는 랙 프레임(200)과, 슬라이드블록(100)과, 홀더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랙 프레임(200)은 내측에 슬라이드공간(S)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공간(S)은 적어도 전방이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슬라이드공간(S)은 후술할 슬라이드블록(1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나, 전방만이 개방되고 후방은 폐쇄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전방 및 후방이 모두 개구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슬라이드공간(S)에 구비되는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전면이 사용자에게 노출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 프레임(200)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부(210a)와, 좌측에 구비되는 제2프레임부(210b)와, 우측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부(210c)와, 하측에 구비되는 제4프레임부(210d)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룬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랙 프레임(200)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은 복수 개가 열과 행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공간(S)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은 상기 슬라이드공간(S) 전체를 채우도록 구비되지는 않으며,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이 점유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여유영역은 비어 있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은 총 12개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공간(S) 내에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되, 상기 슬라이드블록(100) 4개에 해당하는 면적은 여유영역으로 비어 있는 상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크기, 개수 및 여유영역의 면적 등은 제한 없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유닛(150)은 별도의 용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록(150)에 구비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용지는 사업장에서 주문 내역을 기재한 용지일 수도 있으며 또는 기타 용도를 위한 용지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가지는 본원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드블록(100)이 상기 슬라이드공간(S)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여유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공간(S) 내에서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보다 자세한 형태와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1)에 있어서, 슬라이드블록(100) 및 홀더유닛(15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1)에 있어서, 랙 프레임(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블록 본체(110)와, 상기 블록 본체(110)의 둘레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112) 및 제2결합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112)는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둘레부 중 일부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113)는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둘레부 중 상기 제1결합부(112)가 형성된 둘레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결합부(112)는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둘레부 중 상측의 제1둘레부(111a) 및 좌측의 제2둘레부(111b)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113)는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둘레부 중 우측의 제3둘레부(111c) 및 하측의 제4둘레부(111d)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어느 한 슬라이드블록(100)의 상기 제1결합부(112)는 인접한 다른 슬라이드블록(100)의 제2결합부(11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112)는 상기 제2결합부(113) 내에서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 프레임(200)의 둘레부 중 일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상기 제2결합부(113)가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3결합부(212)가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상기 제1결합부(112)가 결합 가능하도록 함몰 형성된 제4결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랙 프레임(20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프레임부(210a) 및 제2프레임부(210b)에 제4결합부(213)가 형성되며, 제3프레임부(210c) 및 제4프레임부(210d)에 제3결합부(212)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은 서로의 제1결합부(112) 및 제2결합부(113)가 맞물리고, 또한 상기 랙 프레임(200)의 제3결합부(212) 및 제4결합부(213)와도 맞물린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랙 프레임(200)의 슬라이드공간(S)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를 가진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유닛(15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80)와, 상기 회전부재(180)를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에 고정시키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160)는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162)와, 상기 회전부재(180)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163)와, 상기 제1연결부(162) 및 상기 제2연결부(163)를 서로 소정 각도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162) 및 상기 제2연결부(163)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161)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블록 본체(110)에는 상기 제1연결부(162)가 관통하는 통과홀(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통과홀(114)을 관통한 상기 제1연결부(162)의 끝단을 상기 블록 본체(110)의 후방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유닛(150)은, 상기 제2연결부(163)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18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회전연결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재(170)는 롤러 형태로 형성된 상기 회전부재(180)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공(182)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18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고정부(172)와,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부(172)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탄성부재(160)의 제2연결부(163)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보조부(171)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홀더유닛(15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적어도 상기 탄성부재(160)의 상기 탄성제공부(16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하우징(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하우징(152)은 상기 탄성부재(160)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탄성부재(160)를 보호하는 한편,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홀더유닛(150)에 의해, 사용자는 용지(P)를 상기 슬라이드블록(100)의 블록 본체(110)와 상기 회전부재(180) 사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재(180)의 회전과 상기 탄성부재(160)의 탄성에 의해 한 손으로도 상기 용지(P)를 쉽게 끼우거나 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1)를 이용하여 주문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1)를 이용하여 주문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주문을 받아, 내역을 기입한 복수의 용지(P)를 주문 순서대로 상부 행에 위치된 슬라이드블록(100)에 순차적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용지(P)가 고정된 복수의 슬라이드블록(100)의 측부에는 슬라이드블록(100)이 위치되지 않은 여유영역이 형성된다.
이후 제1주문과 제2주문을 처리한 것으로 가정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용지(P)는 슬라이드블록(100)으로부터 제거한 뒤, 새로 들어온 제5주문 및 제6주문 내역을 기입한 용지(P)를 하부 행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100)에 고정시킨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주문 및 제6주문 내역이 기입된 용지(P)가 고정된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100)을 여유영역을 이용하여 슬라이드시켜 제3주문 및 제4주문 내역이 기입된 용지(P)가 고정된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100)의 옆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5주문 및 제6주문 내역이 기입된 용지(P)가 고정된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100)이 원래 점유하고 있던 영역은 여유영역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행에 위치된 모든 슬라이드블록(100)을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종래 제1주문 및 제2주문 내역이 기입된 용지(P)가 고정되어 있던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100)을 상부 행으로부터 하부 행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주문, 제4주문, 제5주문 및 제6주문 내역이 기입된 용지(P)를 종래 제1주문 및 제2주문 내역이 기입된 용지(P)가 고정되어 있던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100)이 점유하던 여유영역 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전체 슬라이드블록(100)의 배치 형태는 최초 상태와 같은 배치를 가지게 되며, 이후 처리될 주문이 기입된 용지(P)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주문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1)에 있어서, 홀더유닛(15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홀더유닛(150)의 일부 구성요소가 제1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280)는 한 쌍이 상기 탄성부재(16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양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형태를 가지며, 회전연결부재(270)는 이와 같은 한 쌍의 회전부재(280) 사이와 상기 탄성부재(160)의 제2연결부(163)를 'T'자 형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용지와의 접촉 면적을 보다 작게 하여 용지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1)에 있어서, 홀더유닛(15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상기 홀더유닛(150)의 일부 구성요소가 제1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380)는 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연결부재(370)는 이와 같은 회전부재(280)의 양측과 상기 탄성부재(160)의 제2연결부(16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는 구 형태의 회전부재(380)가 용지와 점 접촉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용지에 가해지는 압력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100: 슬라이드블록
110: 블록 본체
112: 제1결합부
113: 제2결합부
150: 홀더유닛
152: 커버하우징
160: 탄성부재
170, 270, 370: 회전연결부재
180, 280, 380: 회전부재
190: 고정부재
200: 랙 프레임
212: 제3결합부
213: 제4결합부
S: 슬라이드공간
P: 용지

Claims (8)

  1. 내측에 적어도 전방이 개구된 슬라이드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랙 프레임;
    복수 개가 열과 행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공간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블록; 및
    용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구비되는 홀더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드블록은,
    상기 슬라이드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여유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공간 내에서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둘레부 중 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느 한 슬라이드블록의 상기 제1결합부는 다른 슬라이드블록의 제2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 프레임의 둘레부 중 일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3결합부가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함몰 형성된 제4결합부가 형성된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를 서로 소정 각도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제2연결부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회전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전방에 구비되어, 적어도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탄성제공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에는 상기 제1연결부가 관통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통과홀을 관통한 상기 제1연결부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KR1020180107650A 2018-09-10 2018-09-10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KR102142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650A KR102142274B1 (ko) 2018-09-10 2018-09-10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650A KR102142274B1 (ko) 2018-09-10 2018-09-10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179A true KR20200029179A (ko) 2020-03-18
KR102142274B1 KR102142274B1 (ko) 2020-08-10

Family

ID=6999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650A KR102142274B1 (ko) 2018-09-10 2018-09-10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2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78Y1 (ko) * 2000-09-04 2001-02-15 문경태 클 립
JP2004329256A (ja) * 2003-04-30 2004-11-25 Doho Group Of Educational Institutions Nagoya Zokei Univ Of Art & Design スライドパネル及びそれを組み込んでなるパズルボックス
KR100469063B1 (ko) 2001-05-17 2005-02-02 김광선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KR20100014703A (ko) * 2007-03-31 2010-02-10 마크 트라게서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KR101728695B1 (ko) * 2016-07-13 2017-04-20 (주)짜임 게시판용 클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78Y1 (ko) * 2000-09-04 2001-02-15 문경태 클 립
KR100469063B1 (ko) 2001-05-17 2005-02-02 김광선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JP2004329256A (ja) * 2003-04-30 2004-11-25 Doho Group Of Educational Institutions Nagoya Zokei Univ Of Art & Design スライドパネル及びそれを組み込んでなるパズルボックス
KR20100014703A (ko) * 2007-03-31 2010-02-10 마크 트라게서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KR101728695B1 (ko) * 2016-07-13 2017-04-20 (주)짜임 게시판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274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6552A1 (en) Protective film attaching instrument
US10470541B2 (en) Card wallet
US8662293B2 (en) Badge holder with ejector
US5186565A (en) Sliding ring mount for a pocket binder
KR20200029179A (ko)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EP1380345A2 (en) Disposable support for containers for treating biological samples in cytocentrifuges
US2284586A (en) Visible multiple record
JP4997576B2 (ja) 硬貨回収補助具
US2122934A (en) Key container
CN101983134B (zh) 装订工具固定装置、文件夹及装订工具固定方法
US3287814A (en) Mounting means
KR102340128B1 (ko) 샘플북
KR101979903B1 (ko) 패널 검사용 가이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US1211672A (en) Loose-leaf-binder device.
US3498640A (en) Bookkeeping apparatus
US1857229A (en) Card index file
US3336690A (en) Holding device
US1955592A (en) Card index
US2357744A (en) Scoring device for examination papers
US1651907A (en) Card index or record device
CN217654980U (zh) 一种试纸条卡盒
KR200476691Y1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끼움 장치
TWI781949B (zh) 檢驗用卡匣及檢驗用盤體
US20060021886A1 (en) Disk storage unit
CN210091041U (zh) 内存保护盖一体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