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063B1 -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063B1
KR100469063B1 KR10-2001-0071689A KR20010071689A KR100469063B1 KR 100469063 B1 KR100469063 B1 KR 100469063B1 KR 20010071689 A KR20010071689 A KR 20010071689A KR 100469063 B1 KR100469063 B1 KR 10046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ball
fixing device
documents
frame
re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122A (ko
Inventor
김동암
Original Assignee
김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선 filed Critical 김광선
Publication of KR2002008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011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 B42F15/0017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filing individual loose sheets
    • B42F15/0023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filing individual loose sheets with single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7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with sliding clamping mea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선현장이나 사무실 등에서 작업시 일반적으로 잦은 작업공정 도면의 교체나 메모지 또는 게시물 형식의 자료를 수시로 삽입, 분리하는 곳에 사용되는 고정장치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의 저면부에 위치한 가이드 홈으로 도면을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삽입이 간편하며 삽입후 또다른 도면이나 서류를 밀어 올리는데에 있어 발생되는 선삽입도면이 고정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기위해 고정장치 내부의 원형볼 상부에 스프링 부재를 삽입하여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지속적인 지지력을 확보하여주며 또한 도면이나 서류의 삽탈시에도 분리하고자 하는 도면이나 서류를 전면에서 잡아 올리면 내부에 위치한 원형볼이 경사면으로 밀리면서 이동되어 도면을 누르고 있는 원형볼의 압력이 감소되고 이로써 도면이나 서류 등이 원활하게 인출되는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DRAWING AND FILE HOLDER}
본 발명은 일선현장이나 공장내부 등지에서 물품제작시의 작업 공정 도면을 수시로 간편하게 교체하며 관찰하거나 사무실 및 가정에서 간단한 서류나 메모지 등을 꽂아두는 등에 사용되어지는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각종 지류(紙類)의 삽입과 분리시의 용이함을 제공하고 신속한 업무에 적합하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고안된 도면 및 서류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01-2903호의 도면 고정기를 출원한 바있으나, 상기의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는 후면슬라이딩판과 전면슬라이딩판을 구비하여 외부면에 후면슬라이딩판을 장착하고 있어 상기의 도면 내지 서류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후면슬라이딩판의 하단부가 외부면과의 두께 편차에 의해 일정 둔 턱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의 둔 턱에 의하여 도면 내지 서류 등의 삽입시마다 이 둔 턱을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에 걸림으로써, 삽입이 용이하지 않았고 도면이나 서류 등이 구겨지며, 후면슬라이딩판에 의해 고정장치의 전체적인 무게증가와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01-27076호에서와 같이 작업공정 도면 및 서류의 분실 및 훼손을 방지하고 서류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면 슬라이딩판을 제거하는 한편 기존 전면슬라이딩판에 해당되는 하나의 프레임을 외벽에 직접 체결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제조단가를 낮추고 미관상의 수려함을 고취시키며 내부에 설치되어져 있던 차단판을 견고한 차단부재로 대체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의 고정장치는 차단부재에 들어있는 원형볼의 무게와 중력에 의한 고정방식으로써, 서류나 도면을 고정하여주는 압착력이 비교적 소형의 원형볼의 무게와 중력이 전적으로 의존함에 따라 1차로 서류나 도면을 삽입한 후, 순차적인 삽입과정을 반복할 시, 후삽입되는 서류나 도면에 의해 선삽입되어진 서류나 도면 등이 고정장치로부터 원형볼의 지지력 약화로 이탈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넓은 프레임의 면적에 비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진 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부재와 차단부재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삽입되어지는 서류나 도면의 삽입부 끝단이 구겨지는 주름현상이 발생되며, 차단부재가 고정장치의 프레임 내부에서 체결되어진 상태로 불필요하게 움직이게 됨으로써, 고정부재의 정확한 위치에 접착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과 그에 따른 작업능률 저하의 문제와 함께, 부적절한 움직으로 인한 고정부재의 프레임 한쪽으로 쏠림에 의해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밀착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차단부재를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하고 차단부재 내부에 일정홈을 형성하여 그 홈 내부에 원형볼을 삽입하고, 상기 원형볼의 상단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안치시킨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도면 및 서류 등의 고정을 원형볼의 중량이나 중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스프링의 장력으로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면 삽입시의 요부확대 사용상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면 고정상태의 요부확대 사용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면 분리시의 요부확대 실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절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개사시도
도 9는 도 8에 의한 고정장치의 측면부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장치 2. 경사면3. 가이드홈 4. 전방프레임5. 차단부재 5'.홈6. 원형볼 7. 탄성부재8. 고정부 9. 테이프
10,10'. 후방프레임 11.패널11'.절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공정도면이나 메모지 서류 등을 지지 및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방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내부에 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삽입되어진 원형볼과; 상기 원형볼을 밀어주기 위해 원형볼 상단에 안치되어진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내부의 탄성부재에 의해 원형볼이 상하 유동함에 의해 전후면프레임 사이에 끼워진 서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에 있어서;고정장치(1)의 상부배면에 접착테이프(9)에 의해 평탄한 외부면에 고정되어지는 후방프레임(10)과;상기 후방프레임(10)과 전방프레임(4)의 길이와 동일하게 내부에 구비되어진 차단부재(5)와;상기 차단부재(5)의 내부에 홈(5')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삽입되어진 통상의 원형볼(6)과 이를 밀어주기 위한 통상의 탄성부재(7)와;상부로 갈수록 넓은 면적을 갖는 경사면(2)을 형성하고 하향으로 향할수록 좁은 면적을 갖는 경사면(2)을 형성하여 원형볼(6)이 상하 유동함에 의해 서류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홈(5')과;상기 전방프레임(4)과 후방프레임(10)의 저면부는 도면이나 서류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향으로 만곡 형성되어져 가이드홈(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장치(1)의 후방프레임(10')은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부(11)가 형성되어 다수의 패널(11)부를 형성하여 가이드홈(3)으로 끼워지는 도면 또는 서류가 두께의 편차에 의하여 하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1)는 평탄한 벽면 또는 평면 가구 뿐만아니라 유리재 등으로 되어진 외벽부(13)에 상기 고정장치의 후방프레임이 접착방식에 의해 고정 장착되거나 또는 스크루 등에 의해 체결이나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나, 외관의 수려함과 함께 장착이 편리하도록 외벽부(13)와의 마찰면에 후방프레임의 접합부가 테이프(9)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특히 본 발명은 회사의 게시판, 컴퓨터의 메모지 부착판, 산업현장의 기계일측면에 고정장치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길이를 작게 또는 크게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 표기된 고정장치의 길이에 하는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프레임(4)(10) 내부에 설치되어진 차단부재(5)와 원형볼(6)은 고정장치(1)의 프레임(4)(10)의 길이와 삽입하고자하는 도면(12) 및 서류의 중량을 고려하여 상기 차단부재(5)는 고정장치(1)의 프레임(4)(10)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원형볼(6)은 프레임의 길이를 고려하여 수량을 증감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에 미기입된 미부호 12는 도면, 13은 외벽부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외벽부(13)와 후방프레임(4)의 고정은 테이프(9)에 의해 부착되어지며, 제 2도와 제 3도의 도면 삽입시의 요부확대 사용상태단면도와 도면 고정상태의 요부확대 사용상태단면도에서와 같이 도면(12)이나 서류의 삽입시 원형볼(6)이 좌측 경사면(2)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써, 도면(12) 등을 밀어 올릴 때 원형볼(6)이 제자리에서 상부로 약간 이동한 상태에서 회동하게 되며, 도면(12)이 정지시에는 원형볼(6)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7)의 장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전후방 프레임(4)의 가이드홈(3)에 밀착되어 도면(12)이나 서류 등을 밀착시킴으로 도면(12)이나 서류 등이 전후방 프레임(4)(10)의 하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즉,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서류 또는 도면을 붙여놓고자 하는 장소에 후면의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한 후 저부의 가이드 홈(3)을 통하여 서류 또는 도면의 상단부를 삽입후 밀어 올리면 차단부재(5)에 다수 형성된 홈(5')에 위치한 원형볼(6)이 밀리면서 상부에 개재된 탄성부재(7)인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로 후방프래임(10)과 원형볼(6)사이에 끼워진다.상기와 같이 서류가 끼워진 후에는 홈(5')상부에서 압축된 스프링이 하향으로 탄발되면서 원형볼(6)을 밀어 끼워진 서류를 고정하게된다.상기 홈(5')은 후면벽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4)의 내측면이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게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원형 볼(6)이 홈(5')상부로 상승되었을 대는 공간부가 넓게 형성되고 하향되었을 때는 경사면에 의해 공간부가 홈게 형성되어 홈(5')에서 쐐기를 막은 형상을 하게되므로 끼워징 서류 또는 도면을 고정할 수 있게된다.이때 후방프레임과 원형볼 사이에 끼워진 서류 또는 도면의 두께에 의해 전후방프레임(4)이 외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나 고정장치 자체의 탄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의 고정장치의 저부 가이드홈(3)인 전부방프레임(4)(10)의 말단부가 외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시켜 서류를 서부에서 삽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제 7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8)를 확대하여 도시한 절단면도로써 프레임 (4)(10)에 의해 고정되어진 차단부재(5)에 삽입되어져있는 탄성부재(7)에 의해 눌려지고 있는 원형볼(6)이 차단부재(5)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부재(5) 끝단을 오므라들게 형성하여 그 양단의 길이를 원형볼(6)의 지름보다 작게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져 이탈을 방지하며 차단부재(5)는 원형볼(6)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상하로의 작동만으로 한정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견고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있다.
제 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면 분리시의 요부확대 실시단면도로써, 도면(12)을 상기 프레임(4)(10)으로부터 분리시에는 도면(12)을 전면에서 잡아 올리면 가이드홈(3)에 밀착되어 있는 원형볼(6)이 자연스럽게 경사면(2)을 따라 올라가고 도면(12)은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 8도인 본 발명의 프레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개사시도와 그에 따른 제 9도의 다른 실시예의 고정장치 측면부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전방 프레임에 대해 길게 늘어져 외벽 패널부를 형성하는 후방 프레임(10')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후방프레임(10')을 외벽부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차단부재가 프레임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고정장치(1)와 동일하며 이로써, 차단부재가 절편으로 삽입되어져 있는 경우에 발생되는 차단부재의 좌우로의 유동에 따른 원형볼의 불규칙한 움직임을 차단하여 상하로의 작동만으로 한정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견고한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배면사시도인 제 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후방 프레임(10)이 다수개의 패널(11)로 절개되어져 있어 서로 상이한 두께의 도면(12)이나 서류의 삽입시 두께의 편차에서 오는 상대적으로 얇은 지류의 밀착력이 약화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절개되어진 절개부(11')를 형성함으로써, 서로다른 밀착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고정장치의 후방 프레임(10)을 다수개의 패널(11)로 절개되어져 있어 끼워지는 도면 및 서류의 두께가 상이할 경우 각각의 두께에 따라서 대응 지지되도록 형성한 것이다.즉, 도 1과 같이 후방프레임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동일한 두께가 삽입된 경우에는 관계없으나 끼워진 부분의 두께가 일측부는 얇고 타측부는 두꺼울 경우 후방프레임과 끼워진 서류사이가 일부는 벌어지고 일부는 밀착되는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프레임을 도 5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부(11')를 형성하여 다수의 패널을 갖도록 함으로서 끼워진 서류 또는 도면의 두께가 상이하더라도 각각 대응 밀착되어 지지력을 갖도록 한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가이드홈에 도면을 간단하게 삽탈하는 것으로써, 작업현장이나 사무실, 가정 등에서 도면이나 메모지 등을 분실 또는 훼손으로부터 그 위험성을 배제시키고 편의성을 제공하며, 또한 도면이나 서류의 삽입시에 매끄러운 장착과 느슨한 원형볼에 의한 도면이나 서류의 완전하지못한 밀착력을 해소하기위해 차단부재 내부에 원형볼을 밀어주는 탄성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제조단가 대비 효과를 배가시키고, 중량감소 및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는 등의 전체적인 작업효율에 있어서 최적화를 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등록범위를 변형시키지 아니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작업공정도면이나 메모지 서류 등을 지지 및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내부에 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삽입되어진 원형볼과; 상기 원형볼을 밀어주기 위해 원형볼 상단에 안치되어진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내부의 탄성부재에 의해 원형볼이 상하 유동함에 의해 전후면프레임 사이에 끼워진 서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상부배면에 접착테이프에 의해 평탄한 외부면에 고정되어지는 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과 외면이 판판한 전방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게 내부에 구비되어진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의 내부에 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삽입되어진 통상의 원형볼과 이를 밀어주기 위한 통상의 탄성부재와;
    상부로 갈수록 넓은 면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향으로 향할수록 좁은 면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원형볼이 상하 유동함에 의해 서류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홈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저면부는 도면이나 서류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향으로 만곡 형성되어져 가이드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후방프레임은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다수 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KR10-2001-0071689A 2001-05-17 2001-11-19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KR100469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076 2001-05-17
KR20010027076 2001-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22A KR20020089122A (ko) 2002-11-29
KR100469063B1 true KR100469063B1 (ko) 2005-02-02

Family

ID=2770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689A KR100469063B1 (ko) 2001-05-17 2001-11-19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0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169A (ko) * 2017-09-08 2019-03-18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KR20200029179A (ko) 2018-09-10 2020-03-18 안지은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US10742009B2 (en) 2017-09-08 2020-08-11 Tozztech Co., Ltd. Power distribution box equipped with resistive leakage current det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205B1 (ko) * 2021-01-26 2022-12-09 최현수 경사부를 가지는 적층 메모지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169A (ko) * 2017-09-08 2019-03-18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KR102082688B1 (ko) * 2017-09-08 2020-04-23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US10742009B2 (en) 2017-09-08 2020-08-11 Tozztech Co., Ltd. Power distribution box equipped with resistive leakage current detector
KR20200029179A (ko) 2018-09-10 2020-03-18 안지은 주문처리용 랙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22A (ko)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422B1 (en) Article holder
US6792876B2 (en) Tabletop suspension system
US20120181401A1 (en) Device for displaying objects such as photos and sheets on laptop and video monitor surfaces
DK1599925T3 (da) Indretning til fastgøring af en tråd på et lastbærende element, der har mindst to åbninger
CA1291629C (en) Paper holder
KR100469063B1 (ko)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GB2249125A (en) A holder for sheet material
CA2324525C (en) Hangable calendar assembly
US20090045314A1 (en) Wall mount clip for sheet like material such as paper/pictures
US6286800B1 (en) Note paper holder
US6302362B1 (en) Paper holder
US5848772A (en) Kitchen cutting board storage apparatus
JP2008121337A (ja) シート体の保持具
EP1694171B1 (en) Clip for holding shelf accessories
CN211222692U (zh) 一种夹纸器
JP3387467B2 (ja) 枠体取付構造
KR200212941Y1 (ko) 메모지 꽂이
KR20020036623A (ko) 종이클립
KR200168470Y1 (ko) 화장지상자용 홀더
KR20050092490A (ko) 포스터 홀더 장치
JP3097772U (ja) 商品表示用具
JPH11157277A (ja) 文房具の収容を兼ねるキャップ外し具
JP2004081227A (ja) ラック用アタッチメント
JPH0726136Y2 (ja) カレンダーホルダー
JP3503034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