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811Y1 -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 Google Patents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811Y1
KR200167811Y1 KR2019990016998U KR19990016998U KR200167811Y1 KR 200167811 Y1 KR200167811 Y1 KR 200167811Y1 KR 2019990016998 U KR2019990016998 U KR 2019990016998U KR 19990016998 U KR19990016998 U KR 19990016998U KR 200167811 Y1 KR200167811 Y1 KR 200167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tack
post
fix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환
박재열
Original Assignee
고정환
박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환, 박재열 filed Critical 고정환
Priority to KR2019990016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5/00Drawing-pins, Thumb-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외측탄지부(4)(6)로 구성되는 클립(8)의 후면에 상기 내.외측 탄지부의 간섭을 피해 압정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에 관한 것으로서, 게시판(14)의 적정 위치에 압정(12)을 이용하여 미리 꽂아두고 게 시물의 고정시에는 상기 게시물이 클립(8)에 의해 고정되게 하므로서 게시물의 교체시마다 압정(12)을 뽑지 않아도 되므로 아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되 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Tack which the clip is united on}
본 고안은 사용하기가 더욱 편리하도록 한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에 관 한 것이다.
압정은 주로 게시판에 각종 게시물을 게시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원판형 눌름부의 후면 중앙부에 핀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핀이 게시물의 각 모서리부를 관통하여 고정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게시물의 교체시마다 압정을 뽑아 주어야 하므로 게시판에 밀착 된 원판형의 눌름부를 잡고 핀을 뽑아 주기가 여간 힘들고 까다로운 일이 아닐 수 없고, 또 이 과정에서 압정의 손상으로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게시물까지도 손상시 키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게시물의 규격에 따라 압정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꽂아두고 게시물만 교체해 주면 되도록 하여 압정을 꽂 고 뽑는데 따른 까다롭고 번거로운 일이 없도록 하고, 또 압정의 사용수명을 연장 하고 게시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클립의 후면 중 내.외측 탄성부의 탄성 에 간섭을 주지 않는 부분에 압정을 일체로 형성하여 게시물이 클립에 의해 고정되 게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절개홈 (4)(6)--탄지부
(8)--클립 (10)--손잡이
(12)--압정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로서,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된 얇은 판재를 이용하여 일단의 일부를 남겨두고 그 테두리 선을 따라 적정 간격을 유지하는 절개홈(2)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홈(4)(6)을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 탄지부(4)(6)를 갖는 클립(8)을 형성하되, 외측탄지부(6) 단부에는 손잡이(10)를 형성하고, 상기 클립(8)의 후면에는 상기 탄지부(4)(6)의 탄성을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압정(12)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에 있어 클립(8)을 얇은 판재로 구성함은 압정(12)을 보다 쉽게 형성해 주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흔히 볼 수 있는 철선으로 된 클립을 이용할 수도 있 다.
즉, 철선으로 구성된 클립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 역시 내.외측 탄지 부의 탄성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압정을 고정 형성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클립은 하트모양이나 별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해 줄 수가 있으 며, 본 고안은 형태에 관계없이 내.외측 탄지부를 갖는 구조이면 만족한다.
클립(8)에 압정(12)을 고정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조시 일체로 형성해 줄 수 도 있고, 또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이나 또는 접착제로 접착 고정해 줄 수도 있다.
또한 클립(8)을 합성수지재로 제작해 주고자 할 경우에는 클립의 성형시 미 리 제작된 압정(12)의 머리부를 성형홈 내에 끼워 일체화 하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압정(12)을 이용하여 게시물의 규격에 따라 게 시판(14)의 적정위치에 꽂아두고 클립(8)을 이용하여 게시물을 고정해 주면된다.
즉, 압정(12)에 의해 고정된 클립(8)의 내측 탄지부(4)나 또는 외측탄지부(6)를 잡고 벌려서 내.외측 탄지부 사이에 게시물의 모서리부나 외측 부분을 끼워주게 되면 게시물이 고정된다.
이때 압정(12)에 의해 고정된 클립(8)은 게시판(14)과 밀접하게 되므로 클립(8)의 내측탄지부(4)나 또는 외측탄지부(6)에 내측에 요홈을 갖는 손잡이(10)를 형성해 주게 되면 요홈에 손가락을 끼워 넣어서 손잡이(10)를 잡고 탄지부(6)를 벌려 주면 되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게시물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꽂힌 압정(12)과 클립(8)은 그대로 둔체 게시물을 잡고 당겨서 클립(8)의 내.외측 탄지부(4)(6)로부터 분리시켜 주면 되므로 게시물이 전혀 손상됨 없이 분리시켜 줄 수가 있고, 분리후에는 새 게시물은 클립(8)의 내.외측 탄지부(4)(6) 사이에 끼워 고정해 주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압정(12)은 게시판(14)의 적정위치에 꽂아두고, 클립(8)을 이용하여 게시물을 고정해 주도록 하므로서 종래 게시물의 교체시마다 압정을 뽑았다가 다시 꽂아주어야 하는 힘들고 까다로운 일을 해소해 줄 수가 있고, 또 압정(12)의 수명이 그만큼 길어지게 됨은 물로 교체시에도 게시물이 전혀 손상될 우려가 없게 되는 등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외측 탄지부(4)(6)로 구성되는 클립(8)의 후면에 압정(12)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KR2019990016998U 1999-08-13 1999-08-13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KR200167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98U KR200167811Y1 (ko) 1999-08-13 1999-08-13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98U KR200167811Y1 (ko) 1999-08-13 1999-08-13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811Y1 true KR200167811Y1 (ko) 2000-02-15

Family

ID=1958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998U KR200167811Y1 (ko) 1999-08-13 1999-08-13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8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13B1 (ko) 2007-03-31 2014-03-13 마크 트라게서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13B1 (ko) 2007-03-31 2014-03-13 마크 트라게서 압핀 고정 장치 및 물체에 구멍을 내지 않는 고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24394A (en) Torch for attachment to a key
KR200167811Y1 (ko)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JPS61179148U (ko)
CN208523095U (zh) 一种把手、可拔插式模块以及电子设备
KR20090119335A (ko) 클립과 볼펜꽂이를 갖춘 압정
CN215182109U (zh) 一种方便型计数器
KR200171795Y1 (ko) 압정용 메모지 홀더
KR940001600Y1 (ko) 게시판과 체결핀
JP2909614B2 (ja) 折損防止装置付き折刃式カッター
JPS5927189Y2 (ja) カ−テンレ−ルのストツパ−
KR970002536Y1 (ko) 디프 스위치의 콘택트 결합구조
JPS6025187U (ja) プリント板抜脱構造
JP3065408U (ja) Cd―rom整理具
JP2570189Y2 (ja) 端子台用ターミナルカバー
JPS5921727Y2 (ja) 刃板固定具を具えた繰出しナイフ
JPS60176412U (ja) 光結合器
JPS6010272U (ja) 差込み型コネクタ
JPH10304925A (ja) マニキュアガードの製造方法
JPS60262492A (ja) 電気機器の導線取出構造
JPS60184218U (ja) 押しボタン構造
JPS6146306U (ja) ラツチフツク構造体
JPS6121085U (ja) テ−プカセツト
JPS60149384U (ja) 電気カミソリ
JPS5836579U (ja) ジヤツク用ガイドリング
JPH10166773A (ja) 紙葉類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