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332A -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및 내연 기관 - Google Patents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및 내연 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332A
KR20090128332A KR1020090050733A KR20090050733A KR20090128332A KR 20090128332 A KR20090128332 A KR 20090128332A KR 1020090050733 A KR1020090050733 A KR 1020090050733A KR 20090050733 A KR20090050733 A KR 20090050733A KR 20090128332 A KR20090128332 A KR 20090128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gas
intake
cylinder head
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211B1 (ko
Inventor
무네히로 사가따
고오지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아이치기카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치기카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치기카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8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13/0416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arranged in valve-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6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lubricant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F01M13/02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 F01M13/02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using engine inlet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6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labyrin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6Camshaft or pushrod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8Connections of intake systems to the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각 흡기 통로에 블로바이 가스를 안정적이면서 균등화하여 공급할 수 있는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를 제공한다.
일단부가 흡기 포트를 통하여 연소실에 개방되고, 타단부가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에 개방되는 실린더 헤드(3)에 형성된 복수의 흡기 통로(21A, 21B, 21C, 21D)로 블로바이 가스를 환류시키는 구조로서, 실린더 헤드(3)의 복수의 흡기 통로(21A, 21B, 21C, 21D) 사이에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측이 개방되는 캐스트 공간(25a, 25c)을 형성하고, 이 캐스트 공간(25a, 25c)으로부터 연통 오목부(26, 26)를 통하여 각 흡기 통로(21A, 21B, 21C, 21D)로 블로바이 가스를 환류시킨다.
Figure P1020090050733
흡기 통로, 블로바이 가스, 흡기 포트, 연소실, 실린더 헤드

Description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및 내연 기관{BLOW-BY GAS RECIRCULATION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블로바이 가스의 환류 구조, 및 블로바이 가스의 환류 구조를 구비한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액 분리실에서 유분을 제거한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 통로를 통하여 연소실로 환류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서는 실린더 헤드의 흡기 매니폴드 설치면으로서, 흡기 통로보다도 상방의 위치에 기통 열방향으로 연속하는 비교적 큰 용량을 갖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를 통하여 블로바이 가스를 각 흡기 통로로 분산 공급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 내의 압력 맥동을 충분히 흡수하고 나서 각 기통으로 블로바이 가스를 환류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5-15545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서는, 압력 맥동 흡수만을 위해 실린더 헤드의 흡기 매니폴드 설치면에 별도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목부를 형성할만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비효율적으로 될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및 내연 기관은, 각 흡기 통로에 블로바이 가스를 안정적이면서 균등화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취했다.
본 발명은, 일단부가 흡기 포트를 통하여 연소실에 개방되고 타단부가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에 개방되는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복수의 흡기 통로로 블로바이 가스를 환류시키는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로서, 상기 실린더 헤드의 상기 복수의 흡기 통로 사이에 상기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측이 개방되는 캐스트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트 공간을 통하여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로 환류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서는, 일반적으로 구조상, 두꺼운 부분이 되는 흡기 통로 사이에 비교적 큰 용량의 캐스트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흡기 통로 사이를 박육화할 수 있어 주조 성형 시에 형성되는 수축공(shrinkage cavity) 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비교적 큰 용량의 캐스트 공간을 통하여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 통로로 환류시키기 때문에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 맥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형성하는 캐스트 공간을 압력 맥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각 흡기 통로에 블로바이 가스를 안정적이면서 균등화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 및 / 또는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상기 실린더 헤드에의 설치면에, 상기 흡기 통로와 상기 캐스트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 오목부에 의해 상기 캐스트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로 환류시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실린더 헤드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이나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실린더 헤드에의 설치면에, 흡기 통로와 캐스트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캐스트 공간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측으로 환류시키는 구조를 간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통 오목부는, 상기 캐스트 공간을 사이에 두는 양측의 상기 흡기 통로의 양쪽과 상기 캐스트 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캐스트 공간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를 캐스트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흡기 통로의 양쪽으로 한번에 환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기 통로는, 상기 연소실로의 흡기 유동 상태를 변화 가능하게 복수의 통로를 구획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항상 흡기가 공급되는 통로와 상기 캐스트 공간을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연소실에의 흡기 유동 상태를, 예를 들어 텀블류(tumble flow)나 스월류(swirl flow)와 같은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흡기 통로를 복수의 통로로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항상 흡기가 흐르는 통로와 캐스트 공간을 연통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를 항상 환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에는 실린더 헤드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 커버는 내부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중의 유분을 분리 가능한 기액 분리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기액 분리부에 연통되는 연통부와, 상기 실린더 헤드로의 설치면측에 개방되는 개구부를 갖는 유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 헤드는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유로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캐스트 공간에 연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액 분리부로부터 상기 유로로 도입된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캐스트 공간을 통하여 상기 흡기 통로로 환류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외부 배관을 형성하지 않고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 통로로 환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연 기관은,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간극으로부터 유출되 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 의해, 상기 흡기측으로 환류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내연 기관에서는, 상술한 각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가 구비하는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 예를 들어 각 흡기 통로에 블로바이 가스를 안정적이면서 균등화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내연 기관의 주요부 종단면 구성도이다.
내연 기관(1)은, 실린더 블럭(2) 위에 실린더 헤드(3)가 설치되고, 실린더 헤드(3)의 상면에 실린더 헤드 커버(4)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블럭(2)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5) 내에는 피스톤(6)이 설치되고, 실린더 헤드(3) 내의 밸브실(S) 내에는 캠 샤프트(8)에 의해 회전되는 캠(9)에 의해 개폐 이동되는 흡기 밸브(7)가 설치되고, 흡기 밸브(7)에 의해 연소실(C) 상면의 흡기 포트(10)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실린더 헤드(3)의 상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실린더 헤드(3)의 상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실린더 헤드(3)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흡기 포트(10)를 통하여 연소실(C)에 개방되고, 타단부가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에 개방되는 흡기 통로(21)(21A, 21B, 21C, 21D)가 기통 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형성되어 있으며,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에 가스킷(G)을 통하여 인테이크 매니폴드(11)의 설치 플랜지부(11a)가 설치되고, 인테이크 매니폴드(11)와 흡기 포트(10)가 흡기 통로(21)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 참조 부호 12는 연료관이며, 참조 부호 13은 연료관(12)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이다.
실린더 헤드(3)의 각 흡기 통로(21A, 21B, 21C, 21D) 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텀블 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이 텀블 플레이트(24)에 의해 각 흡기 통로(21A, 21B, 21C, 21D) 내는 상측의 상측 통로(21a)와 하측의 하측 통로(21b)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텀블 플레이트(24)는 연소실(C)에의 흡기의 유동 상태를, 예를 들어 텀블류나 스월류와 같은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측 통로(21a)는 항상 흡기가 흐르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실린더 헤드(3)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에는,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측이 개방되는 3개의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25a, 25b, 25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25a, 25b, 25c)을 각 흡기 통로(21A, 21B, 21C, 21D) 사이에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구조상 두꺼워지는 각 흡기 통로(21A, 21B, 21C, 21D) 사이의 두께를 박육화하여 주조 성형 시에 형성되는 수축 공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문에,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25a, 25b, 25c)은 비교적 큰 용량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에는 흡기 통로(21A, 21B) 각각의 상측 통로(21a)와 캐스트 구멍(25a)을 연통하는 연통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흡기 통로(21C, 21D) 각각의 상측 통로(21a)와 캐스트 구멍(25c)을 연통하는 연통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연통 오목부(26, 26)는 캐스트 구멍(25a)을 사이에 두는 양측의 흡기 통로(21A, 21B)의 양쪽과 캐스트 구멍(25a)을 연통하는 동시에, 캐스트 구멍(25c)을 사이에 두는 양측의 흡기 통로(21C, 21D)의 양쪽과 캐스트 구멍(25c)을 연통한다.
또한, 실린더 헤드(3)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커버 설치면(3a)으로부터 캐스트 구멍(25a, 25c)까지 관통하는 관통 구멍(22, 22)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실린더 헤드 커버(4)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볼트(B)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 구멍(3b)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측의 실린더 헤드 커버 설치면(3a)에는 흡기 통로(21A, 21B) 사이 및 흡기 통로(21C, 21D)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 2개소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벽부(3c, 3c)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볼트 구멍(3b) 중 2개가 이 팽출벽부(3c)에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실린더 헤드 커버(4)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실린더 헤드 커버(4)의 내부 구조의 상세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실린더 헤드 커버(4)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기(fresh air)가 흐르는 신기 도입 통로(15)와, 블로바이 가스 중의 유분을 분리 가능한 기액 분리부(16)와, 기액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가 흐르는 블로바이 가스 주통로(1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 배플 플레이트(14)가 설치됨으로써, 각각이 구획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밸브 기구가 배치되는 밸브실(S)로부터 격리된다.
신기 도입 통로(15)와 기액 분리부(16)와 블로바이 가스 주통로(17)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커버(4)의 중앙부로부터 기통 열방향을 따르는 측벽측을 향하여 신기 도입 통로(15), 기액 분리부(16), 블로바이 가스 주통로(17)의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커버(4)는 블로바이 가스 주통로(17)가 인접하는 실린더 헤드 커버(4)의 기통 열방향을 따르는 측벽이 실린더 헤드(3)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측이 되도록 볼트 구멍(4b)으로부터 볼트(B)를 삽입 관통하여 볼트 구멍(3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실린더 헤드(3)에 설치된다. 또한, 실린더 헤드(3)의 실린더 헤드 커버 설치면(3a)과 실린더 헤드 커버(4)의 실린더 헤드 설치면(4a) 사이에는 가스킷(23)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기액 분리부(1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행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나 용적이 확대된 부분을 갖는다.
실린더 헤드 커버(4)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측이 되는 측벽에는, 팽출벽부(3c, 3c)에 대응하는 팽출벽부(4c, 4c)가 형성되어 있고, 팽출벽부(4c, 4c)에는 팽출벽부(4c, 4c) 외주면으로부터 블로바이 가스 주통로(17)까지 관통하는 연통 구멍(18, 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연통 구멍(18, 18)의 팽출벽부(4c, 4c) 외주면측은 마개(19)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팽출벽부(4c, 4c)에는 연통 구 멍(18, 18)으로부터 팽출벽부(4c, 4c)의 실린더 헤드 설치면(4a)측까지 도달하는 유로(20, 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20, 20)는 실린더 헤드 커버(4)가 실린더 헤드(3)에 설치되었을 때에 실린더 헤드(3)에 형성된 관통 구멍(22, 22)에 연통 접속된다.
다음에, 이러한 구조의 내연 기관(1)의 작용을 설명한다.
실린더 보어(5)와 피스톤(6)의 간극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 케이스 내로 유출되는 블로바이 가스는 실린더 헤드(3) 내를 통과하여 실린더 헤드 커버(4)의 기액 분리부(16)로 유입된다.
이 기액 분리부(16) 내로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는, 기액 분리부(16)가 사행된 부분이나 용적이 확대된 부분에 있어서 양호하게 유분이 분리된다.
유분이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는, 블로바이 가스 주통로(17)로부터 연통 구멍(18)을 통과하고, 또한 유로(블로바이 가스 도입로)(20)로부터 실린더 헤드(3)의 관통 구멍(블로바이 가스 환류로)(22) 내를 유하하여 캐스트 구멍(25a, 25c) 내로 유입된다.
캐스트 구멍(25a, 25c) 내로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오목부(26)로부터 좌우측 각각의 흡기 통로(21A, 21B, 21C, 21D)의 상측 통로(21a) 내로 유입하여 각 기통의 흡기 포트(10)로 환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교적 큰 용량으로 형성된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25a, 25c)으로 블로바이 가스를 유입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 케이스 내의 압력 맥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블로바이 가스를 안정적이면서 균등화하여 흡기 포트(10)로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형성한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25a, 25c)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압력 맥동을 흡수하기 위한 부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블로바이 가스를 안정적이면서 균등화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3)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에,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25a, 25b, 25c)과 연통 오목부(26, 26)를 형성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25a, 25c)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 통로(21A, 21B, 21C, 21D)측으로 환류시키는 구조를 간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소실(C)에의 흡기 유동 상태를, 예를 들어 텀블류나 스월류와 같은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각 흡기 통로(21A, 21B, 21C, 21D)를 복수의 통로(21a, 21b)로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항상 흡기가 흐르는 통로(21a)와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25a, 25c)을 연통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를 항상 환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통 오목부(26, 26)는 인테이크 매니폴드(11)를 설치하는 실린더 헤드(3)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에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나, 인테이크 매니폴드(11)의 설치 플랜지부(11a)에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6은 캐스트 구멍(25a, 25c) 근방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가스킷(G)의 개략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며, 도 8은 인테이크 매니홀드(11)의 설치 플랜지부(11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매니폴드(11)의 설치 플랜지부(11a)에 연통 오목부(180, 180)를 형성하는 동시에, 가스킷(G)에 흡기 통로(21A)와 흡기 통로(21B)에 대응하는 개구(21A', 21B')를 접속하는 접속 개구(210) 및 흡기 통로(21C)와 흡기 통로(21D)에 대응하는 개구(21C', 21D')를 접속하는 접속 개구(210)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한,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이나 설치 플랜지부(11a)에는 연통 오목부(26, 26, 180, 180)는 설치하지 않고, 가스킷(G)에 접속 개구(210, 210)만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거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3d)이나 설치 플랜지부(11a)의 양쪽에 연통 오목부(26, 26, 180, 180)를 형성하는 동시에 가스킷(G)에 접속 개구(210, 210)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에서는, 연통 오목부(26, 26)는 흡기 통로(21A, 21B) 및 흡기 통로(21C, 21D) 각각의 상측 통로(21a, 21a)와 캐스트 구멍(25a, 25c)을 연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나, 연통 오목부(26, 26)는 흡기 통로(21A, 21B) 및 흡기 통로(21C, 21D) 각각의 하측 통로(21b, 21b)와 캐스트 구멍(25a, 25c)을 연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지장이 없다. 이 경우, 하측 통로(21b, 21b)에 흡기가 흐를 때에만 블로바이 가스를 환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기액 분리부(16)는 실린더 헤드 커버(4)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했으나, 기액 분리부(16)는 실린더 헤드 커버(4)와는 별도로 기액 분리 장치로서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 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내연 기관의 주요부 종단면 구성도.
도 2는 실린더 헤드(3)의 상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실린더 헤드(3)의 상세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실린더 헤드 커버(4)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실린더 헤드 커버(4)의 내부 구조의 상세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6은 캐스트 구멍(25a, 25c) 근방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가스킷(G)의 개략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8은 인테이크 매니폴드(11)의 설치 플랜지부(11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연 기관
2 : 실린더 블럭
3 : 실린더 헤드
3d :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
4 : 실린더 헤드 커버
5 : 실린더 보어
6 : 피스톤
7 : 흡기 밸브
10 : 흡기 포트
11 : 인테이크 매니폴드
11a : 설치 플랜지부
16 : 기액 분리부
17 : 블로바이 가스 주통로
18 : 연통 구멍
20 : 유로(블로바이 가스 도입로)
20a : 개구부
21, 21A, 21B, 21C, 21D : 흡기 통로
21a : 상측 통로
21b : 하측 통로
21A', 21B', 21C', 21D' : 개구
22 : 관통 구멍(블로바이 가스 환류로)
24 : 텀블 플레이트
25a, 25b, 25c : 캐스트 구멍(캐스트 공간)
26, 180 : 연통 오목부
210 : 접속 개구
G : 가스킷

Claims (6)

  1. 일단부가 흡기 포트를 통하여 연소실에 개방되고 타단부가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에 개방되는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복수의 흡기 통로에 블로바이 가스를 환류시키는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이며,
    상기 실린더 헤드의 상기 복수의 흡기 통로 사이에 상기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측이 개방되는 캐스트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트 공간을 통하여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로 환류시켜 이루어지는,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의 인테이크 매니폴드 설치면 및 / 또는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상기 실린더 헤드에의 설치면에, 상기 흡기 통로와 상기 캐스트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 오목부에 의해 상기 캐스트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로 환류시켜 이루어지는,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오목부는, 상기 캐스트 공간을 사이에 두는 양측의 상기 흡기 통로의 양쪽과 상기 캐스트 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통로는, 상기 연소실로의 흡기 유동 상태를 변화 가능하게 복수의 통로를 구획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항상 흡기가 공급되는 통로와 상기 캐스트 공간을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에는, 실린더 헤드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 커버는, 내부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중의 유분을 분리 가능한 기액 분리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기액 분리부에 연통되는 연통부와, 상기 실린더 헤드에의 설치면측에 개방되는 개구부를 갖는 유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 헤드는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유로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캐스트 공간에 연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액 분리부로부터 상기 유로로 도입된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캐스트 공간을 통하여 상기 흡기 통로로 환류시켜 이루어지는,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6.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간극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제1항에 기재된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에 의해, 상기 흡기측으로 환류시켜 이루어지는, 내연 기관.
KR1020090050733A 2008-06-10 2009-06-09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및 내연 기관 KR101471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2335 2008-06-10
JP2008152335A JP5235512B2 (ja) 2008-06-10 2008-06-10 ブローバイガス還流構造および内燃機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332A true KR20090128332A (ko) 2009-12-15
KR101471211B1 KR101471211B1 (ko) 2014-12-09

Family

ID=4071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733A KR101471211B1 (ko) 2008-06-10 2009-06-09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및 내연 기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9350B2 (ko)
EP (1) EP2133521B1 (ko)
JP (1) JP5235512B2 (ko)
KR (1) KR101471211B1 (ko)
CN (1) CN1016034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7271B2 (ja) * 2008-07-16 2011-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ヘッド構造
FR2958335B1 (fr) * 2010-03-31 2013-03-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ulasse integrant un repartiteur de gaz de bas moteur recycles
JP2012097675A (ja) * 2010-11-02 2012-05-24 Aisin Seiki Co Ltd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5804696B2 (ja) * 2010-11-30 2015-11-0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Pcv構造
JP5335880B2 (ja) * 2011-11-25 2013-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通路構造
JP6461199B2 (ja) * 2015-01-06 2019-01-30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JP6250893B2 (ja) * 2015-02-13 2017-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および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CN107061075B (zh) * 2017-05-09 2019-12-3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进气歧管总成
KR101977340B1 (ko) 2017-12-13 2019-05-13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엔진 통합 내장형 크랭크 케이스 벤틸레이션 시스템
FR3082241B1 (fr) 2018-06-08 2020-11-20 Renault Sas Repartiteur d'admission pour moteur thermique avec dispositif de melange de gaz recircules
JP7063802B2 (ja) * 2018-12-31 2022-05-09 株式会社クボタ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9996A (en) * 1970-08-14 1974-10-08 Automotive Eng Res Inc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closed crankcase and intake valve cover operating under vacuum
JP2683046B2 (ja) * 1988-07-28 1997-11-2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JP2592095Y2 (ja) * 1991-09-21 1999-03-17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JPH0717912U (ja) * 1993-09-08 1995-03-3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ブローバイガス通路構造
DE19907398A1 (de) * 1999-02-20 2000-08-31 Volkswagen Ag Luftansaug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9920195B4 (de) * 1999-05-03 2007-12-06 Audi Ag Luftansaugsystem für eine mehrzylindrige Brennkraftmaschine
JP2002155721A (ja) * 2000-11-20 2002-05-31 Sanshin Ind Co Ltd 小型船舶の推進装置におけるブリーザ装置
JP4603206B2 (ja) * 2001-07-17 2010-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型エンジン
JP2003232210A (ja) * 2002-02-08 2003-08-22 Kawasak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4213968B2 (ja) * 2003-02-14 2009-01-28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DE10320493A1 (de) * 2003-05-08 2004-12-02 Volkswagen Ag Brennkraftmaschine mit Kurbelgehäuseentlüftung
JP2005076487A (ja) * 2003-08-29 2005-03-24 Suzuki Motor Corp 多気筒エンジンのシリンダヘッド
JP4020058B2 (ja) * 2003-10-10 2007-12-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3990344B2 (ja) * 2003-11-26 2007-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KR20050101895A (ko) * 2004-04-20 2005-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gr 시스템의 egr 챔버
DE102006038831B4 (de) * 2006-08-18 2018-03-15 Volkswagen Ag Brennkraftmaschine mit Rückführung von Blow-By-Gasen
JP2008152335A (ja) 2006-12-14 2008-07-03 Ntt Comware Corp 移動方向検出システム、移動方向検出方法、移動方向検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3521A2 (en) 2009-12-16
JP2009299512A (ja) 2009-12-24
CN101603480B (zh) 2012-12-19
EP2133521A3 (en) 2011-03-30
US8079350B2 (en) 2011-12-20
EP2133521B1 (en) 2017-03-22
KR101471211B1 (ko) 2014-12-09
US20090301448A1 (en) 2009-12-10
JP5235512B2 (ja) 2013-07-10
CN101603480A (zh)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8332A (ko) 블로바이 가스 환류 구조 및 내연 기관
US7770548B2 (en) Cooling structure of cylinder head
EP2599989B1 (en) Air-intake device
CN105626296B (zh) 具有水套的整体形成有排气歧管的汽缸盖
JP4213968B2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US10156180B2 (en) Cooling structure for multi-cylinder engine
US20080011264A1 (en) Oil return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384492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冷却構造
JP4486582B2 (ja) 内燃機関
CN110469419B (zh) 水套结构
KR20110126511A (ko) 실린더 헤드 및 그 형성 방법
CN110107421B (zh) 车载内燃机
JP2019002334A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KR101977340B1 (ko) 엔진 통합 내장형 크랭크 케이스 벤틸레이션 시스템
JP5459095B2 (ja) エンジンの上部構造
JP6933701B2 (ja) 吸気マニホールド
JP5927935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JP2011256731A (ja) エンジンのオイル分離装置
KR20180094795A (ko) 실린더 헤드
JP4423243B2 (ja) 内燃機関
JP2008057359A (ja) 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JP2009250193A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通路構造
CN114991986B (zh) 气缸盖罩以及发动机
JP2016125465A (ja) シリンダヘッド
CN113316681A (zh) 气缸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823

Effective date: 201407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