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301A - 프린터 및 프린팅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 및 프린팅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301A
KR20090101301A KR1020097016596A KR20097016596A KR20090101301A KR 20090101301 A KR20090101301 A KR 20090101301A KR 1020097016596 A KR1020097016596 A KR 1020097016596A KR 20097016596 A KR20097016596 A KR 20097016596A KR 20090101301 A KR20090101301 A KR 2009010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cassette
cassette support
ribbon
print hea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449B1 (ko
Inventor
젠씽 즈하오
레이 젱
레이 체
즈후안롱 유
Original Assignee
산둥 뉴 베이양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둥 뉴 베이양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산둥 뉴 베이양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10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4Ink-ribbon guides
    • B41J35/10Vibrator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41J35/12Vibrator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adjustable, e.g. for case shift
    • B41J35/14Vibrator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adjustable, e.g. for case shift for multicolour work; for ensuring maximum life of ink ribbon; for rendering ink-ribbon inoper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2Frames or holders for unwound short lengths of ink ribbons
    • B41J35/03Frames or holders for unwound short lengths of ink ribbons the holder being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e.g. by swinging upward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4Ink-ribbon guides
    • B41J35/10Vibrator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41J35/12Vibrator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adjustable, e.g. for case sh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22Mechanisms permitting the selective use of a plurality of ink ribbon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프린터 및 프린팅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프린터는 프린팅 영역 및 이동 영역에서 이동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을 연결하는 운반대, 및 다색 리본 카세트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과,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잉크 리본의 색상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서로 다른 레벨들로 상응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에 위치되는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과, 상기 운반대에 고정되는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으로서,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까지 들어올리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이동시켜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에 사용되는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과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을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리셋팅 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고정되는 리셋팅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린터 및 프린팅 제어방법 {PRINTER AND PRINTING CONTROL METHOD}
본 출원은 2007년 1월 17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번호 200710002431.1, 프린터 및 프린팅 제어방법의 명칭을 가지는 출원에 관한 이익을 청구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중국 출원은 온전하게 참조에 의하여 결합된다.
본 발명은 잉크 리본 이동(ink ribbon shifting)이 가능한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dot matrix printer) 및 프린팅 제어 방법에 관련된다.
요즈음,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에 의하여 사용되는 잉크 리본은 일반적으로 리본 카세트(ribbon cassette) 및 상기 리본 카세트 내부의 리본 와인딩(ribbon winding)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2가지의 색상들, 즉, 검정과 빨강은 상기 리본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제공된다. 상기 리본 카세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서로 다른 색깔의 리본을 프린트 헤드(print head)의 반대편 위치로 변경시키고, 이후에 상기 잉크 리본의 리본에 있는 잉크를 프린트 바늘을 가지는 프린트 매개체에 맞히는 것에 의하여 색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text)를 상기 프린터 헤드에 형성하는 것을 통하여, 색상 프린팅은 실행된다.
요즈음, 프린터는 "프린터"라는 발명의 명칭을 가지는 중국 특허 (출원번호 00102697.6)에 개시되며, 상기 중국 특허는 잉크 리본 카세트 및 잉크 리본 카세트 의 상승/하강 메카니즘(mechanism)을 포함하며, 상기 상승/하강 메카니즘은 기계 프레임의 일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탑재된다.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의 상승/하강 메카니즘은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는 구동 축의 회전을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탑재되는 브라켓(bracket)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메카니즘과, 상기 리본 카세트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캠(cam) 메카니즘과, 상기 기어 메카니즘의 회전을 상기 캠 메카니즘에 선태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clutch), 및 상기 클러치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엑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흑백 프린터는 다색 프린터로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캠의 회전 속도는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수단에서 흑백 프린터가 다색 프린터로서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몇가지 약점이 있는데, 즉 흑백 프린터가 다색 프린터로서 사용될 때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의 상승/하강 메카니즘의 구조는 상기 캠 메카니즘, 클러치, 엑츄에이터를 제공할 필요성에 기인하여 복작해지고, 그 결과 생산 및 제어를 위한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이에 더하여, "잉크 리본 이동 프린터"라는 명칭을 가지는 미국 특허에 개시되는 기술적 해결수단 (공개번호 US5468078)은 상기 프린터 헤드의 이동 영역이 3개의 영역, 즉 하나의 프린팅 영역과 2개 비 프린팅 영역들로 나누어지며, 상기 2개의 비 프린팅 영역들은 각각 상기 프린팅 영역의 2개의 단부들에 위치되며, 잉크 리본 상승장치 및 잉크 리본 해제장치들은 각각 상기 2개의 비프린팅 영역들의 종점들에 배치되며, 상기 잉크 리본 해제장치는 상기 잉크 리본을 원래 높이로 해제시키는 데 사용되는 반면에, 상기 잉크 리본 상승장치는 상기 프린트 헤드의 상대 적인 위치 및 상기 잉크 리본의 색상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어 상기 잉크 리본은 프린팅을 위하여 요구되는 색상에 배치된다.
이 방법은 너무 많은 영역들 (3개의 영역들)을 포함하며, 반면에, 잉크 리본 이동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프린트 헤드는 전체 영역을 통과할 필요가 있는데, 즉 상기 프린트 헤드는 잉크 리본 이동을 위한 이동 방향의 단부에서 제 1 비 프린팅 영역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으며, 리셋(reset)이 되면 상기 프린트 헤드는 잉크 리본 해제를 위한 다른 단부에서 제 2 비 프린팅 영역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는 일련의 이동 및 해제를 완성하기 위하여 너무 긴 트랙을 이동할 필요가 있게 된다. 동시에, 2개의 장치들, 즉 잉크 리본 상승장치 및 잉크 리본 해제장치는 각각 종래의 잉크 리본 이동 및 리셋팅을 수행하기 하기 위하여 제공될 필요가 있게 된다. 종래에 제공되는 프린터는 너무 많은 장치들을 포함하며, 그 구조는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그러한 종래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너무 어렵고 전기 장치 및 제어 비용이 너무 많이 들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팅 제어 방법 뿐만 아니라, 간단한 디자인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생산 및 제어비용이 낮은, 잉크 리본이 이동 가능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상기 프린터는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상호간에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 상기 프린트 헤드 및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을 연결하는 운반대, 및 다색 잉크 리본을 위한 리본 카세트가 제공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 영역은 하나의 프린팅 영역 및 하나의 이동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린터는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 및 리셋팅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잉크 리본의 색상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서로 다른 레벨들로 상응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운반대에 고정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된 위치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이동시켜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도록 상기 이동 영역에서 사용되며; 및
상기 리셋팅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더 이상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에 접촉되지 않을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리셋팅 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를 지지하기 위한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지지 플레이트 충돌 표면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에 제공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에 마주보는 제 1 충돌 표면이 제공되는 캠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충돌 표면들의 접촉하에, 상기 캠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에는 이동 개구부가 더 제공되며, 상기 캠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로 유지시킨 후에, 계속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캠은 상기 이동 개구부로 이동하며, 전방으로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이동 개구부에서 상기 이동을 이행하며, 그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이동시켜 회전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에는 슬롯(slot)이 더 제공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상기 설정된 각도로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 후에 상기 슬롯으로 스냅(snap)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회전 블럭(swing block) 및 회전 블럭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블럭은 상기 회전 블럭 회전축 주위로 수평하게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 블럭에는 상기 슬롯과 협력하기 위한 단(step)들이 제공되며, 상기 회전 블럭이 설정된 각도로 상응하여 회전할 때 상기 회전 블럭은 상응하는 단이 상기 슬롯에 스냅 결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요구되는 색상이 상기 프린트 헤드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셋팅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원래 위치로 리셋팅 하기 위한 리셋팅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회전 축 및 운반대 회전축 홈으로서, 상기 캠은 상기 회전 축을 통하여 상기 운반대 회전축 홈에 설치되어, 상기 캠은 상기 회전 축을 따라 수직 평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축 및 운반대 회전축 홈; 및
상기 캠 및 운반대 사이에 고정되는 캠 탄성 부재로서, 상기 캠은 상기 캠 탄성 부재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리셋되는 캠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 하측에 지지되는 브라켓(bracket)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가 원래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을 싸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의 단부에는 브라켓 지지 모서리가 더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린터는 상기 브라켓과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는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린터는 이동될 색상에 상응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 이동의 단의 수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해결 수단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또한 프린팅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는 하나의 프린팅 영역 및 하나의 이동 영역을 구성하는 이동 영역에서 이동되며, 상기 프린트 색상을 이동시킬 때, 상기 프린트 헤드는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프린팅 영역으로부터 상기 이동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이 상기 프린트의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까지 들어 올려진 후에, 상응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서로 다른 레벨들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계속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과 접촉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어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까지 들어올린 후에,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원래 각도로 리셋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더 이상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접촉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원래 각도로 상응하여 회전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은 원래 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어 서로 다른 각도들로 특정하게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린터 헤드가 설정된 단의 수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계속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며, 차례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어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며;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특정하게 더 이상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트 헤드가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 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린팅 영역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새로운 색상에 상응한 프린트 헤드의 단의 수가 현재 색상에 상응한 프린트 헤드의 단의 수와 동일한지 결정되며, 만약 동일하다면 프린팅이 직접 이행되며, 그렇지 않다면 이동 작용이 이행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아래의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영역은 단지 2개의 영역들, 즉 하나의 프린팅 영역 및 하나의 이동 영역을 가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메카니즘 및 리셋팅 메카니즘은 서로 통합되므로, 상기 구조는 단순하고 작동 및 유지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이동 영역에서 잉크 리본의 이동 및 리셋팅을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가 잉크 리본 이동 또는 리셋팅을 이행할 때, 상기 프린트 헤드가 전체 영역을 가로질러 움직여 가는 것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프린트 헤드의 트랙(track)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전기 장치 및 제어를 위한 비용이 낮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외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프린터에 대한 프린팅 메카니즘 및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 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프린터에 대한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프린터에 대한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의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프린터에 대한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의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에 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운반대에 대한 이동 영역의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색 이동을 위한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색 잉크 리본 이동에 대한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색 운반대에 대한 이동 영역의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프린팅 제어 방법에 대한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은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상기 프린터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가 상호간에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과,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을 연결하는 운반대, 및 다색 잉크 리본을 위한 리본 카세트가 제공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 영역은 하 나의 프린팅 영역과 하나의 이동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린터는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과,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 및 리셋팅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는 반면에, 잉크 리본 이동을 수행하는 서로 다른 레벨들로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상응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의 궤도 단부에서 상기 이동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운반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 영역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된 위치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이동시켜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에서 사용되며; 또는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된 위치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과 더 이상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리셋팅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으로부터 더 이상 작용력이 부여되지 않을 때에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리셋팅 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를 지지하기 위 한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지지 플레이트 충돌 표면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에 제공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에 마주보는 제 1 충돌 표면이 제공되는 캠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충돌 표면들의 접촉하에, 상기 캠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셋팅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원래 위치로 리셋팅 하기 위한 리셋팅 탄상 부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과 결부되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외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프린터는 용지 공급 메카니즘(1)과, 프린팅 메카니즘(2)과,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3)과, 프레임(4)과, 프린팅 압반(5)과, 잉크 리본(6)과,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7), 및 위치 센서(8)를 포함한다. 상기 프린팅 압반(5)은 상기 프레임(4)의 배면에서 좌측 및 우측 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용지 공급 메카니즘(1)은 상기 프린팅 압반(5)의 배면측에 배치되며, 및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3)은 상기 프린팅 압반(5)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상기 프린팅 메카니즘(2)은 상기 프린팅 압반(5)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지 공급 메카니즘(1)과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3)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용지 공급부(1)에는, 종이와 같은 프린팅 매개체를 구동시켜 상기 프린팅 압반(5)의 배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팅 압반(5)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용지 공급 모터(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되는 용지 공급 롤러(도면 미도시)가 제공된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메카니즘 및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관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프린팅 메카니즘(2)은 프린팅 헤드(20)와, 운반대(21)와, 안내 축(25), 및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은 프린트 헤드 구동 모터(22)와, 프린트 헤드 구동 모터기어(22a)와, 톱니 벨트(23)와, 톱니 벨트 구동풀리(24) 및 톱니 벨트 종동풀리(24')(이하 톱니 벨트 풀리(24,24')들이라 함)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린트 헤드(20)는 프린트 바늘을 통하여 잉크 리본을 맞혀서 잉크 리본의 잉크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프린트 매개체에 누르는 바늘 프린트 헤드이다. 상기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의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 모터기어(22a)는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 모터(22)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모터(22)에 따라 회전하며, 반면에,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 모터기어(22a)는 상기 톱니 벨트풀리(24)와 결합하며, 상기 톱니 벨트풀리(24,24')들은 상기 톱니 벨트(23)와 결합한다. 상기 프린트 헤드(20)는 갈고리(21e)를 통하여 톱니 벨트(23)와 결합되는 운반대(21)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모터(22)의 회전은 상기 모터 기어(22a), 상기 톱니 벨트 풀리(24,24')들 및 상기 톱니 벨트(23)를 경유하여 상기 운반대(21)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운반대(21)는 상기 프린트 헤드(20)를 구동시켜 수평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은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모터(22)의 정역 회전을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상호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안내 축(25)은 상기 운반대(21)를 가로지르며, 그 양단은 상기 프레임(4)의 좌측 및 우측 벽에 지지되며, 상기 프린팅 압반(5)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프린팅 헤드가 상기 프린팅 압반(5)에 대하여 그 사이에 어떠한 갭이 유지되도록 상기 프린팅 압반(5)에 평행하게 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3)에 배치되며, 축(40)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4)의 좌측 및 우측 벽에 지지되며, 동시에,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중심으로서 축(40)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4)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에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충돌 표면(30b)와, 이동 개구부(30c) 및 슬롯(30d)이 제공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리본 카세트의 상승/하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에 결합되도록 맞춰진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잉크 리본(6)은 리본 카세트(60)와 리본(61)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본 카세트(61)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에 설치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따라 회전한다. 상기 리본 카세트(60)의 제 1 아암부(60a) 및 제 2 아암부(60b)는 상기 리본 카세트의 양측면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 1 아암부(60a)의 단부로부터 안내되는 리본(61)은 상기 프린트 헤드(20) 및 상기 프린팅 압반(5) 사이의 갭을 통하여 지나며, 상기 제 2 아암부(60b)로 들어가서, 상기 리본 카세트 내부에 서 원형으로 감겨진다. 리본 감김 기어(미도시)는 회전하여 상기 리본의 계속적인 공급을 수행하기 위하여 잉크 리본 구동축(31)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리본(61)의 폭 방향 (도 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트랙(61a,61b)들은 나란히, 예를 들어, 서로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빨강 트랙(61b)은 상기 리본(61)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반면에, 검정 트랙(61a)은 상기 리본(61)의 상측에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리본 카세트(60)를 회전시키는 것을 통하여, 상기 트랙(61a,61b)들의 어떠한 색상들은 상기 프린트 헤드(20)에 대하여 마주보는 위치에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검정 또는 빨강 색상의 프린팅은 선택적으로 이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랙(61b)이 상기 프린트 헤드(20)에 대하여 마주볼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할 설정된 위치로서 설명되는 반면에, 상기 트랙(61a, 즉 최상의 리본)이 상기 프린트 헤드(20)에 대하여 마주볼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할 원래의 위치로서 설명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프린터에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상승/하강시켜 상기 잉크 리본(6)의 트랙(61a,61b)들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7)이 제공된다. 상기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7)은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 및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브라켓(70)과, 회전 블럭(71)과, 회전 블럭 회전축(72) 및 회전 블럭 텐션(tension) 스프링(74)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블럭(71)은 상기 회전 블럭 회전축(72)을 통하여 수평으로 회전한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것을 수행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의 구동에 의하여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며, 이에 상응하여, 상기 카세트 고정 메카니즘은 상기 잉크 리본을 이동시키거나 리셋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레벨들로 상승 또는 하강된다.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캠(73)과, 상기 캠(73)이 고정되는 운반대(21)를 포함한다. 상기 캠(73)은 수평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호간에 이동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잉크 리본 이동을 위한 서로 다른 레벨들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게 된다. 상기 프린터는 또한 이동될 색상에 상응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의 단의 수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방법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이하의 프린팅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서 설명되며, 상기 프린트 헤드의 단의 수는 위치 센서(8)에 의하여 감지된다.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의 위치 센서(8)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설명의 간략을 위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될 것이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과 상기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 사이의 구조적이고 맞춰지는 관계들은 도 2,3,4 및 5와 관련하여 각각 설명될 것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70)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하측 오른쪽에 위치되며, 지지 모서리(70a)는 상기 브라켓(70)의 일측에 제공된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 트(30)가 원래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저면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70)의 지지 모서리(70a)를 감싼다. 상기 지지 모서리(70a)와 같은 측면의 브라켓(70)에는, 일측 단부가 상기 브라켓의 제 1 텐션 스프링 홈(70b)에 걸리고 타측 단부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홈(30a, 도 6 참조)에 걸리는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 텐션 스프링(76)이 더 제공된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 텐션 스프링(76)을 통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전체를 따라 하방으로의 장력이 부여되며, 그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항상 상기 브라켓의 지지 모서리(70a)를 안정적으로 감싸며, 작동중에 상기 프린트 헤드의 진동에 의하여 가능하게 야기되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상하방 회전에 기인한 프린트 색상의 혼합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프린터의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에 관한 사시도이다. 상기 브라켓(70)의 다른 측면에는, 회전 블럭(71)과, 회전 블럭 회전축(72) 및 회전 블럭 텐션 스프링(74)이 더 제공된다. 상기 회전 블럭(71)은 상기 회전 블럭 회전축(72)을 경유하여 상기 브라켓(7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블럭 회전축(72) 주위의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프린터의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의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관한 사시도이다. 상기 회전 블럭 텐션 스프링(74)의 일측 단부는 회전 블럭 홈(71a)에 걸리며, 반면에 상기 회전 블럭 텐션 스프링(74)의 타측 단부는 상기 브라켓(70)의 제 2의 텐션 스프링 홈(70c)에 걸린다. 상기 회전 블럭 텐션 스프링(74)의 장력하에, 상기 회전 블럭(71)은 수평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4)의 측벽(41)들로부터의 제한에 기인하여, 상기 회전 블럭(71)은 상기 측벽(41)들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으로부터의 작용에 영향받지 않을 때, 상기 회전 블럭 텐션 스프링(74)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상기 원래의 위치로 리셋하도록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블럭이 현재 위치되는 각도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회전 블럭의 원래 각도, 즉 도 4에서 도시되는 위치로서 설명된다. 3개의 단(71b,71c,71d)들이 상기 회전 블럭(71)에 더 제공되며, 상기 제 1 단(71b)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의 지지 모서리(70a)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 2 단(71c)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의 지지 모서리(70a)의 높이보다 크며, 상기 제 3 단(71d)의 높이는 상기 제 2 단(71c)의 높이보다 크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가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원래의 위치에 위치될 때, 즉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지지 모서리(70a)를 잘 감쌀 때, 여기에서 상기 회전 블럭(71)은 위에서 설명된 상기 원래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단(71b)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하측 오른쪽에 위치된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가 상기 설정된 위치에 있을 때, 즉 상기 리본 카세트(60)가 설정된 레벨로 회전될 때, 상기 회전 블럭(71)은 여기에서 어떠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단(71c)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하측 오른쪽에 있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 로, 상기 제 2 단(71c)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지지 모서리(70a)의 높이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제 2 단(71c)을 감싼다. 이 때, 상기 제 3 단(71d)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슬롯(30d)에 스냅 결합될 것이다. 상기 회전 블럭이 현재 위치되는 각도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블럭(71)의 제 2의 설정된 각도로 설명된다. 이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레벨은 상기 제 2 트랙(61b)이 상기 프린트 헤드(20)에 상응하는 위치, 즉 상기 설정된 위치의 레벨이다. 게다가, 상기 회전 블럭의 충돌 표면(71e)은 상기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에 접촉한 이후에, 상기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에 의한 충돌 구동하에 상기 회전 블럭(71)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카세트의 상승/하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블럭(71)에 제공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블럭(71)에 근접한 상기 운반대(21)의 일측면에는, 캠(73)과, 회전축(73a) 및 회전축 홈(21b)이 제공되며, 상기 캠(73)이 상기 회전축(73a)에 대한 수직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캠(73)은 상기 회전축(73a)을 통하여 상기 운반대의 상기 회전축 홈(21b)에 설치된다. 동시에, 상기 캠의 제 1 충돌 표면(73b)은 또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30b)에 접촉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설정된 레벨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30b)에 평행하게 마주보는 상기 캠(73)에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캠의 제 2 충돌 표면(21a)은, 상기 회전 블럭(71)의 이동을 상기 원래 각도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블럭의 상기 충돌 표면(71e)에 접촉 및 충돌하여, 상기 회전 블럭(71)을 이동시켜 일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블럭의 상기 충돌 표면(71e)에 평행하게 마주보는 상기 캠(73)에 더 제공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5는 도 1의 프린터에 대하여 잉크 리본 이동 메카니즘의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에 관한 사시도이다. 상기 캠(73)이 항상 상기 캠 텐션 스프링(75)의 장력하에 수직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캠 텐션 스프링(75)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운반대(21)의 텐션 스프링 홈(21c)에 걸리고 타측 단부가 상기 캠(73)의 저면(73c)에 걸리도록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에 더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운반대(21)의 측벽(21d)들로부터의 제한에 기인하여, 상기 캡(73)은 상기 운반대(21)의 상기 측벽(21d)들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캠(73)은 외력 없이 도 5에서 도시되는 위치에서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의 협력을 통하여 잉크 리본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도 1의 프린터 운반대의 이동 영역에 관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운반대(21)의 상호 이동 영역은 프린팅 영역 P와 이동 영역 Q로 나누어지며, 상기 이동 영역 Q는 제 1 이동 영역 Q1, 제 2 이동 영역 Q2 및 제 3 이동 영역 Q3로 더 나누어진다.
상기 잉크 리본 이동 과정은 상기한 원래 위치, 즉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위치는 상기 검정 트랙(61a)의 위치에 상응한다, 에 위치되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가지는 것이 전제이다. 상기 리본 카세트(60)의 상승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은 상기 운반대(21)를 구동하여 상기 프린팅 영역 P로부터 상기 이동 영역 Q로 이동시킨다. 제 1 단계에서, 상기 운반대(21)는 상기 프린팅 영역 P로부터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으로 이동한다. 상기 운반대(21)가 상기 프린팅 영역 P와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의 교차점으로 이동할 때, 도 3과 함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운반대(21) 옆에 위치한 상기 캠의 상기 제 1 충돌 표면(73b)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30b)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반대(21)가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에서 이동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30b)은 상기 캠의 상기 제 1 충돌 표면(73b)에 의하여 눌러지고, 이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구동하에 들어 올려진다.
상기 운반대(21)가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 및 상기 제 2 이동 영역 Q2의 교차점으로 이동할 때, 상기 캠의 상기 제 1 충돌 표면(73b)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최고 위치로 들어올리며, 상기 최고 위치의 높이는 상기 회전 블럭(71)의 제 3 단(71d)의 높이보다 크게 된다.
제 2 단계에서, 상기 운반대(21)는 상기 제 2 이동 영역 Q2로 이동하며, 전방으로 계속 이동한다. 상기 제 2 이동 영역 Q2에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은 상기 캠(73)의 지지하에 항상 상기 최고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캠의 상기 제 2 충돌 표면(21a)은 상기 회전 블럭의 상기 충돌 표면(71e)과 접촉하며, 상기 운반대(21)의 계속적인 구동하에 상기 회전 블럭의 상기 충돌 표면(71e)을 누른다. 이후에, 상기 회전 블럭(71)은 상기 운반대(21)의 구동하에, 상기 회전 블럭 텐션 스프링(74)의 장력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운반대(21)가 상기 제 2 이동 영역 Q2 및 상기 제 3 영역 Q3의 교차점으로 이동할 때, 상기 회전 블럭(71)은 상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회전 블럭(71)의 상기 제 2 단(71c)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하측 오른쪽에 있도록 회전한다.
제 3 단계에서, 상기 운반대(21)는 상기 제 2 이동 영역 Q2로부터 상기 제 3 이동 영역 Q3로 이동한다. 상기 캠(73)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이동 개구부(30c)로 스냅 결합되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캠의 상기 제 1 충돌 표면(73b)로부터 지지되지 않는 것에 기인하여 하강된다. 이 때, 상기 회전 블럭(71)의 상기 제 3 단(71d)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상기 슬롯(30d)으로 스냅 결합되며, 반면에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회전 블럭의 상기 제 2 단(71c)을 감쌀 것이며, 즉, 상기 회전 블럭(71)은 상기 캠(73)의 구동하에 상기 제 2 위치로 회전된다.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트랙(61b)이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반면에, 상기 회전 블럭(71)의 상기 제 3 단(71d)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슬롯(30d)에 스냅 결합되므로, 상기 회전 블럭(71)이 상기 회전 블럭 텐션 스프링(74)의 장력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슬롯(30d)의 제한에 의하여 억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블럭(71)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안정화될 수 있으며, 즉,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화될 수 있다.
제 4 단계에서, 상기 운반대(21)가 상기 제 3 이동 영역 Q3로부터 상기 제 2 이동 영역 Q2로 이동할 때, 상기 캠(73)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 개구부(30c)는 서로 누르게 된다. 상기 캠의 상기 텐션 스프링(75) 장력이 실질적으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이동 개구부(30c)의 모서리 누름력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캠(73)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캠의 상기 텐션 스프링(75)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이동 개구부(30c)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이후에, 상기 운반대(21)는 상기 제 3 이동 영역 Q3로부터 상기 제 2 이동 영역 Q2 및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으로 되돌아간다. 이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여전히 상기 회전 블럭(71)의 상기 제 2 단(71c)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후에 상기 리본 카세트의 이동 과정은 종료되며, 상기 운반대(21)는 프린팅 업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 Q로부터 상기 프린팅 영역 P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의 협력을 통하여 잉크 리본 리셋팅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작동 과정이 상기한 설정된 위치, 즉, 상기 빨강 트랙(61b)이 상기 프린트 헤드(20)에 대하여 마주보는 위치, 에 위치되는 상기 리본 카세트를 가지는 것은 전제이다. 상기 리본 카세트의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은 상기 운반대(21)를 구동하여 상기 프린팅 영역 P로부터 상기 이동 영역 Q로 이동시킨다. 제 1 단계에서, 도 3과 함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운반대(21)는 상기 프린팅 영역 P로부터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으로 이동한다. 상기 운반대(21)가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에서 이동할 때, 상기 캠의 상기 제 1 충돌 표면(73b)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30b)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반대(21)가 전방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30b)은 상기 캠의 상기 제 1 충돌 표면(73b)에 의하여 눌러지며, 이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구동하에 들어올려진다. 상기 운반대(21)가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 및 상기 제 2 이동 영역 Q2의 교차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캠의 상기 제 1 충돌 표면(73b)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최고 위치로 들어올리며, 상기 최고 위치의 높이는 상기 회전 블럭(71)의 상기 제 3 단(71d)의 높이보다 크며, 이후에 상기 회전 블럭(71)의 상기 제 3 단(71d)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슬롯(30d)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반면에, 상기 캠의 상기 제 2 충돌 표면(21a)은 상기 회전 블럭의 상기 충돌 표면(71e)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어떠한 작용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회전 블럭(71)은 상기 원래 각도로 되돌아올 때까지 상기 회전 블럭의 상기 텐션 스프링(74) 장력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 단계에서, 상기 운반대(21)는 상기 제 1 이동 영역 Q1으로부터 상기 프린팅 영역 P로 이동하며, 상기 캠의 상기 제 1 충돌 표면(73b)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 돌 표면(30b)로부터 연결 해제되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브라켓의 지지 모서리(70a)를 감쌀 때까지 낮춰진다. 이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은 상기 원래 위치로 리셋되며, 상기 프린트 헤드(20)를 가지는 잉크 리본의 상기 리본(61)에 상응하는 위치는 또한 상기 트랙(61b)의 위치로부터 상기 트랙(61a)의 위치로 리셋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리본 카세트를 리셋팅하는 작동은 종료된다. 그 이후에, 상기 운반대(21)는 프린팅 업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 Q로부터 상기 프린팅 영역 P로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제공되는 프린터는 또한 다색 잉크 리본 이동, 즉 2개의 리본들보다 많은 리본들의 이동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7은 본 발명의 다색 잉크 리본 이동을 위한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그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4색, 즉 검정색, 자주색, 녹색 및 빨강색 각각의 잉크 리본에 관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의 단의 수는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여 5개이다. 상기 색상들에 상응하는 단들은 상기 위치들을 규정하기 위하여 차례로 각각 제 1 단(71b), 제 2 단(71g), 제 3 단(71f), 제 4 단(71c) 및 가장 높은 제 5 단(71d)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71b)이 평면인 경우에, 상기 잉크 리본이 상기 원래의 위치, 즉 상기 검정 리본이 상기 프린트 헤드에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면, 이 때 상기 제 1 단(71b)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이동 영역에서, 상기 캠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올리며, 상기 캠과 상기 리본 카 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충돌 표면(30b)의 접촉으로부터 결과되는 구동에 따른 거리만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가장 높은 위치에 유지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블럭(71)의 가장 높은 제 5 단(71d)은 상기 슬롯(30d)으로 회전하며, 그 동안 상기 캠은 또한 상기 이동 개구부(30c)로 재빨리 낙하하게 된다. 그 이후에, 상기 캠이 전방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캠은 상기 회전 블럭(71)을 밀어서 요구되는 설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잉크 리본의 이동을 수행하면서, 상응하는 단에 의하여 요구되는 설정 레벨에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71b)은 또한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잉크 리본이 상기 원래의 위치, 즉 상기 검정 리본이 상기 프린트 헤드에 상응할 때, 에 있을 때 상기 제 1 단(71b)은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에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최고 위치로 들어올린 후에, 상기 캠은 즉시 상기 이동 개구부(30c)로 낙하한다. 이 때, 상기 회전 블럭(71)의 상기 제 5 단(71d)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그 경사면에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캠이 전방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5 단은 상기 슬롯(30d)로 이동한다. 그 이후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상기 캠은 상기 회전 블럭(71)을 밀어 요구되는 설정 각도로 회전시키며, 그 동안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잉크 리본의 이동을 수행하면서, 상응하는 단에 의하여 요구되는 설정 레벨에서 유지된다.
다색 잉크 리본의 리셋팅에 관하여, 그 과정은, 상기한 2색 잉크 리본의 바 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의 협력을 통하여 잉크 리본 리셋팅을 수행하기 위한 것과 유사하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을 위하여 생략될 것이다.
상기 설명된 개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또한, 구동 모터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가 상기 프린팅 영역 및 이동 영역에서 상호간에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프린팅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프린팅 제어 방법은: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이동 영역으로 이동하며, 상기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에 접촉하며, 상기 고정 메카니즘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까지 들어 올리며,
그 이후에,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계속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접촉하며, 상기 지지 메카니즘을 서로 다른 각도로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상기 이동을 이행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레벨들로 상기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지지하며; 또는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힘을 더 이상 작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상기 리셋팅 메카니즘에 의하여 리셋된다.
여기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상응하여 상기 원래 각도에 위치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원래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까지 들어올린 후에, 상기 잉크 리본의 이동 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어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킨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상응하여 설정된 각도에 위치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는 설정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까지 들어올리고 이후에 되돌아온다.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상기 잉크 리본의 리셋팅을 수행하면서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원래의 위치로 리셋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프린팅 제어 방법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플로우 챠트이다. 특히 상기 이동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901 : 상기 프린터는 초기화된다.
단계 902 : 제어 지시가 받아들여졌는지 결정된다. 받아들여졌다면, 단계 903이 이행되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단계 902가 반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지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린터가 새로운 일을 프린트하도록 유발하는 자료 정보이다. 그러한 제어 지시를 받은 후에, 상기 프린터는 이하의 이동 또는 프린팅을 이행한다.
단계 903에서 904 : 새로운 색상에 상응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 이동의 단의 수가 계산되며, 상기 단의 수가 현재 색상에 상응하는 프린터 헤드의 단의 수와 동일한지 결정된다. 동일하지 않다면, 단계 905가 이행되며; 그렇지 않다면, 단계 906이 이행된다.
단계 905 : 상기 프린트 헤드는 상기 잉크 리본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으로 이동한다. 테이블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 Q는 상기 잉크 리본의 상응하는 색상에 따라 4개의 영역들, 즉 상기 프린팅 영역 P에서 가장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가장 먼 영역까지, 상승 영역 Q1, 빨강색 이동 영역 Q2, 자주색 이동 영역 Q3, 및 녹색 이동 영역 Q4로 나누어진다. 상기 프린팅 영역 P 및 상기 이동 영역 Q의 교차점은 P2로 설정되며, 상기 상승 영역 Q1 및 상기 빨강색 이동 영역 Q2 사이의 교차점은 P3로 설정되며, 상기 빨강색 이동 영역 Q2 및 상기 자주색 이동 영역 Q3의 교차점은 P4로 설정되며, 상기 자주색 이동 영역 Q3 및 상기 녹색 이동 영역 Q4 사이의 교차점은 P5로 설정되며, 상기 녹색 이동 영역 Q4의 종점은 P6로 설정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캠은 상기 프린팅 영역 P로부터 상기 이동 영역 Q로 이동하며, 상기 캠이 상기 P2로 이동할 때, 상기 캠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의 충돌 표면은 접촉하며; 상기 캠은 상기 상승 영역 Q1으로 이동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를 들어올리며; 및 상기 캠이 상기 P3로 이동할 때, 상기 검정 색상이 상기 프린트 헤드에 대하여 마주보는 동안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최고 위치로 들어올려진다. 그 이후에, 상기 캠이 서로 다른 이동 영역들을 향하여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며 이 영역의 종점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30)는 상응하여 각각의 위치로 들어올려질 수 있고, 상기 잉크 리본은 이후에 이 영역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들어올려진다. 상기 프린터에 대한 상기 잉크 리본 이동 과정은 도 6에서 도시되는 것과 유사하며, 설명의 간략을 위하여 여기서 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색상 단의 수 위치
검정색 10 P3
빨강색 11 P4
자주색 12 P5
녹색 13 P6
Table 1
단계 906 : 상기 프린트 헤드는 프린팅을 위하여 상기 프린팅 영역 P로 되돌아온다. 상기 특정한 프린팅 방법은 종래 기술에 속하며, 설명의 간략을 위하여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위한 보호 범위에 제한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 내부의 모든 변형, 동등한 대안, 및 개선사항은 본 발명을 위한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상호간에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 상기 프린트 헤드 및 프린트 헤드 수송 메카니즘을 연결하는 운반대, 및 다색 잉크 리본을 위한 리본 카세트가 제공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 영역은 하나의 프린팅 영역 및 하나의 이동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린터는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 및 리셋팅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잉크 리본의 색상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서로 다른 레벨들로 상응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운반대에 고정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된 위치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이동시켜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도록 상기 이동 영역에서 사용되며; 및
    상기 리셋팅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더 이상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에 접촉되지 않을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리셋팅 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를 지지하기 위한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지지 플레이트 충돌 표면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에 제공되며;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충돌 표면에 마주보는 제 1 충돌 표면이 제공되는 캠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충돌 표면들의 접촉하에, 상기 캠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에는 이동 개구부가 더 제공되며, 상기 캠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로 유지시킨 후에 계속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캠은 상기 이동 개구부로 이동하는데, 이 경우 상기 캠은 전방으로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이동을 이행하며, 그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어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에는 슬롯(slot)이 더 제공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상기 설정된 각도로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 후에 상기 슬롯으로 스냅(snap)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회전 블럭(swing block) 및 회전 블럭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블럭은 상기 회전 블럭 회전축 주위로 수평하게 회전 가능하며; 및
    상기 회전 블럭에는 상기 슬롯과 협력하기 위한 단(step)들이 제공되며, 상기 회전 블럭이 설정된 각도로 상응하여 회전할 때 상기 회전 블럭은 상응하는 단이 상기 슬롯에 스냅 결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요구되는 색상이 상기 프린트 헤드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팅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원래 위치로 리셋팅 하기 위한 리셋팅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회전 축 및 운반대 회전축 홈으로서, 상기 캠은 상기 회전 축을 통하여 상기 운반대 회전축 홈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축을 따라 수직 평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축 및 운반대 회전축 홈; 및
    상기 캠 및 운반대 사이에 고정되는 캠 탄성 부재로서, 상기 캠은 상기 캠 탄성 부재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리셋되는 캠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은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 하측에 지지되는 브라켓(bracket)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가 원래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을 싸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의 단부에는 브라켓 지지 모서리가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는 리본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될 색상에 상응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 이동의 단의 수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1.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는 하나의 프린팅 영역 및 하나의 이동 영역을 구성하는 이동 영역에서 이동되며, 상기 프린트 색상을 이동시킬 때, 상기 프린트 헤드는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프린팅 영역으로부터 상기 이동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이 상기 프린트의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까지 들어 올려진 후에, 상응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서로 다른 레벨들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계속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과 접촉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어 서로 다른 각도들로 회전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을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으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위치까지 들어올린 후에,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원래 각도로 리셋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은 더 이상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이 원래 각도로 상응하여 회전할 때, 상기 리본 카세트 탑재 메카니즘은 원래 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어 서로 다른 각도들로 특정하게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린터 헤드가 설정된 단의 수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계속하여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며, 차례로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을 밀어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며; 및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이 상기 리본 카세트 지지 메카니즘에 특정하게 더 이상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트 헤드가 상기 리본 카세트 이동 메카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 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린팅 영역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제어 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새로운 색상에 상응한 상기 프린트 헤드의 단의 수가 현재 색상에 상응한 프린트 헤드의 단의 수와 동일한지 결정되며, 만약 동일하다면 프린팅이 직접 이행되며, 그렇지 않다면 이동 작용이 이행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제어 방법.
KR1020097016596A 2007-01-17 2008-01-17 프린터 및 프린팅 제어방법 KR101197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10002431.1 2007-01-17
CN2007100024311A CN101224678B (zh) 2007-01-17 2007-01-17 一种打印机及打印控制方法
PCT/CN2008/070121 WO2008089682A1 (fr) 2007-01-17 2008-01-17 Imprimante et procédé de commande d'impre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301A true KR20090101301A (ko) 2009-09-24
KR101197449B1 KR101197449B1 (ko) 2012-11-06

Family

ID=3964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596A KR101197449B1 (ko) 2007-01-17 2008-01-17 프린터 및 프린팅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46260B2 (ko)
EP (1) EP2105316B1 (ko)
JP (1) JP4874401B2 (ko)
KR (1) KR101197449B1 (ko)
CN (1) CN101224678B (ko)
WO (1) WO2008089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5915A (zh) * 2011-06-17 2012-12-1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装置
CN102991154B (zh) * 2011-09-19 2015-04-22 深圳市证通电子股份有限公司 打印机及其卡紧机构
JP6162416B2 (ja) * 2013-02-06 2017-07-12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プリンタ
CN106274065B (zh) * 2016-09-22 2017-11-10 江门市得实计算机外部设备有限公司 一种双色针式打印机及其使用方法
CN111746143A (zh) * 2020-06-30 2020-10-09 南京富士通电子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以双色打印的装置
CN115230351B (zh) * 2022-07-28 2024-02-2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凸字印卡质量自检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3075A (ja) * 1984-10-01 1986-04-26 Canon Inc プリンタ
US5017942A (en) * 1987-02-27 1991-05-21 Canon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ssette and recording apparatus which can be loaded with the ink ribbon cassette
JPH02238984A (ja) * 1989-03-10 1990-09-21 Fujitsu Ltd プリンタのインクリボンシフト機構
JPH02249681A (ja) * 1989-03-24 1990-10-05 Tokyo Electric Co Ltd リボン切替装置
JPH04344282A (ja) * 1991-05-22 1992-11-30 Fujitsu Ltd インクリボンシフト機構
JPH0585026A (ja) 1991-09-30 1993-04-06 Nec Niigata Ltd シリアルプリンタ
JPH05162427A (ja) * 1991-12-13 1993-06-29 Tokyo Electric Co Ltd 多色印字装置
US5468078A (en) * 1991-12-25 1995-11-2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color ink ribbon positioning control
JP3404777B2 (ja) 1991-12-25 2003-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該プリンタの制御方法
US5360279A (en) * 1991-12-25 1994-11-0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ink ribbon control
JPH06286279A (ja) * 1993-03-31 1994-10-11 Seikosha Co Ltd カラーインクリボン切換装置
FR2743090B1 (fr) 1995-12-29 1998-02-06 Rhone Poulenc Chimie Element cathodique exempt d'amiante utilisable pour l'electrolyse de solution de chlorure de sodium
US6431774B1 (en) * 1999-02-19 2002-08-13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data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the control method
JP3363399B2 (ja) * 1999-02-26 2003-01-0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4678B (zh) 2012-06-06
CN101224678A (zh) 2008-07-23
EP2105316A1 (en) 2009-09-30
EP2105316A4 (en) 2011-12-14
EP2105316B1 (en) 2016-07-27
WO2008089682A1 (fr) 2008-07-31
KR101197449B1 (ko) 2012-11-06
US8246260B2 (en) 2012-08-21
JP4874401B2 (ja) 2012-02-15
US20100221053A1 (en) 2010-09-02
JP2010516491A (ja)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449B1 (ko) 프린터 및 프린팅 제어방법
JP528946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10030270A (ja) 画像形成装置
US5372440A (en) Printing machines
JP200327627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ヘッドギャップ調整装置
US6132115A (en) Printer with a movable print head
JP5518170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0280567A (ja) プリンタ
JP5446827B2 (ja) 画像形成装置
JP5979346B2 (ja) 記録装置
JPH0547659Y2 (ko)
CN114851725B (zh) 一种喷墨式双面印刷机及其印刷方法
JP2004050462A (ja) 記録装置
JP5335766B2 (ja) ロール紙保持構造及びプリンタ
JP3061085B2 (ja) プリンタのリボンカセットシフト装置
JPH0719810Y2 (ja) プリンタの印字色切換え機構
JP381325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におけるカッタ機構
JPH0286469A (ja) プリンタ
KR20000017421U (ko)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리본 안내장치
JPH0531968U (ja) シリアルプリンタ
JPH0553944U (ja) インクジェットシリアルプリンタ
JPS61277480A (ja) サ−マル熱転写印字装置
JPH05238120A (ja) プリンタ装置
JPS63202488A (ja) プリンタのインクリボン切換装置
KR20000016546U (ko)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리본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