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468A - 묘식기 - Google Patents

묘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468A
KR20090043468A KR1020080106489A KR20080106489A KR20090043468A KR 20090043468 A KR20090043468 A KR 20090043468A KR 1020080106489 A KR1020080106489 A KR 1020080106489A KR 20080106489 A KR20080106489 A KR 20080106489A KR 20090043468 A KR20090043468 A KR 20090043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reliminary
seedlings
storag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952B1 (ko
Inventor
타카히데 시오자키
이치로 와타나베
미츠타카 이즈미
야스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묘식기(苗植機)에 있어서, 모 공급의 작업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주행 차체(2)의 후부에 모 이식부(4)를 설치하고, 주행 차체(2)의 좌우 양측부에 기체 전단측으로부터 묘상(苗箱)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을 공급하는 예비 묘재부(7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예비 묘재부(72)를 좌우의 바깥 테두리와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재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에 묘상의 좌우 양측부의 저면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의 좌우 양측부의 저면을 받치는 회동 롤러(95)를 각각 설치하고, 좌우의 바깥 테두리 간에는 공간부(S)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앞부분을 주행 차체(2)의 전단보다 앞쪽으로 돌출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평면 시에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앞부분의 좌우 간격(L1)이 상기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뒷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식기.

Description

묘식기{Seedling planter}
본 발명은, 기체 앞 부분에 예비 묘재대를 설치한 묘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의 앞 부분 좌우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긴 예비 묘재대를 배치하고, 상기 예비 묘재대에 다수의 회전 롤러를 설치한 것이 있다. 이 예비 묘재대는, 기체의 앞 부분을 밭두둑 즈음에 가까이하여 기체를 정지시켜 사용하고, 밭두둑에 있는 작업자가 밭두둑에서 예비 모를 연속적으로 예비 묘재대 앞 부분에서 보급하여, 예비 모를 예비 묘재대 상에서 뒷부분까지 이동시키고, 기체에 탑승하고 있는 작업자가 예비 묘재대 뒷부분에서 예비 모를 집어서, 묘식기(苗植機)의 묘재대에 공급하는 것이며, 모의 공급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5-176680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된 좌우 예비 묘재대는, 기체 전후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좌우 예비 묘재대의 전단부 간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밭두둑에 있는 작업자가 좌우 예비 묘재대의 전단부에 묘상(苗箱)을 실을 때, 좌우 예비 묘재대의 전단부 간을 이동하여 작업을 할 필요가 있고, 작업성 및 작업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예비 묘재대에는 좌우 프레임간에 있는 회전 롤러를 설치하고 묘상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예비 묘재대에는 묘상을 실었을 때에 진흙이나 모의 뿌리 등이 밭두둑으로 낙하하는 공간이 적고, 회전 롤러에 진흙이나 모의 뿌리가 휘감기고, 회전 롤러의 회전이 나빠지며, 묘상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없게 되는 사태가 발생하여, 작업성에 과제가 있었다.
또한, 좌우 예비 묘재대의 기체 전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은 일정하고, 밭과 밭두둑(도로)과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모 공급 작업을 실시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밭과 밭두둑(도로)과의 사이에 수로 등이 있어서 밭과 밭두둑(도로)과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좌우 예비 묘재대 전단부가 밭두둑(도로)까지 이르지 않아 모 공급 작업을 실시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주행 차체(2)의 뒷부분에 모 이식부(4)를 설치하고, 주행 차체(2)의 좌우 양측부에 기체 전단측에서 묘상(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 기 판을 공급하는 예비 묘재부(7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예비 묘재부(72)를 좌우의 바깥 테두리(91)와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9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재(92)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91)에 묘상(C)의 좌우 양측부의 저면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의 좌우 양측부의 저면을 받는 회동 롤러(95)를 각각 설치하고,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간에는 공간부(S)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앞 부분을 주행 차체(2)의 전단보다 앞쪽으로 돌출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평면시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앞 부분의 좌우 간격(L1)이 상기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뒷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식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기체 전단측으로부터 묘식기에 모를 공급하는 작업에 있어서, 예비 묘재부(72)의 앞 부분에 놓은 묘상(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은, 그 좌우 양측부의 저면이 회동 롤러(95)에 지지되며, 회동 롤러(95)가 자유 회전함으로써 예비 묘재부(72)의 뒷부분에 순조롭게 이동한다. 그때, 묘상(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은 그 좌우 양측부의 저면이 회동 롤러(95)에 지지되며, 좌우 바깥 테두리(91) 간에는 공간부(S)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묘상(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에 부착하고 있는 진흙이나 모종의 뿌리는, 상기 공간부로부터 낙하하고, 좌우 바깥 테두리(91)에 설치한 묘상(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의 좌우 양측부의 저면을 받는 회동 롤러(95)에 부착하거나 휘감기는 듯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묘상(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을 회동 롤러(95)의 회전에 의해 적정하게 예비 묘재부(72)의 뒷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모 공 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체전단 측에 있는 작업자는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전단 사이에 서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양쪽 모두의 전 단부에 작업성 좋고 편하게 묘상(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을 재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좋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예비 묘재부(72)의 기체전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변경 자재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묘식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밭과 밭두둑(도로)과의 거리에 맞춰서, 예비 묘재부(72)의 기체전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조건이 다른 밭에서도 작업성 좋게 적절한 모 공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주행 차체(2)의 뒷부분에 시비 장치(5)의 비료 호퍼(60)를 배치하고, 상기 비료 호퍼(60)의 상단면과 예비 묘재부(72)의 회동 롤러(95)의 상단을 대략 같은 높이로 함과 동시에, 예비 묘재부(72)의 후단을 비료 호퍼(60)의 좌우 외측부 근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묘식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작업자는 기체 상의 비료 호퍼(60)의 앞 측에 서서 예비 묘재부(72) 뒷부분에 있는 묘상(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을 집어드는 작업을 실시할 때, 비료 호퍼(60)가 모 공급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고, 용이한 자세로 편하고 작업성 좋게 모 이식부(4)에 모를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예비 묘재부(72)의 기체 내측에 묘상(C)을 수납하 는 부위를 앞이 처진 경사 상태로 한 묘상 수납부(73)를 설치하고, 상기 묘상 수납부(73)를 고정 수납부(73a)와 가동 수납부(73b)에서 구성하고, 가동 수납부(73b)를 고정 수납부(73a) 측에 수납한 수납 상태와 기체 전단보다 앞쪽으로 돌출한 기체 전후 방향으로 긴 작업 상태와 변경 자재로 설치하고, 가동 수납부(73b)는 작업 상태로부터 수납 방향으로 이동 자재인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묘식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가동 수납부(73b)를 작업 상태로 하면, 묘상 수납부(73)는, 전단부가 기체 전단보다 앞이 처진 방향으로 크게 튀어나와 돌출한 위치가 되어 있으므로, 기체 상에 있는 작업자가 모 이식부(4)에 모를 공급한 후의 빈 묘상(C)을 묘상 수납부(73)의 후단부에 넣으면, 묘상(C)은 묘상 수납부(73) 내를 미끄러져 전단까지 이동한다. 그러면, 밭두둑(도로)에 있는 작업자가 그것을 집어 회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수납부(73b)는, 작업 상태로부터 수납 방향으로 이동 자재인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모 보급을 위해 밭두둑에 기체 앞 부분을 착용할 때 등에, 묘상 수납부(73)의 기체 전단보다 크게 돌출하고 있는 가동 수납부(73b)가 밭두둑 등의 장해물에 접당 해도, 가동 수납부(73b)는 수납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밭두둑(도로)으로부터 묘식기의 모 공급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되며, 작업 효율이 좋고, 간결한 구성으로 과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한 하나의 실시 예인 시비 장치부의 승용형 모내기기(1)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이 시비 장치부의 승용형 모내기기(1)는, 주행 차체(2)의 뒤 측에 승강 링크 장치(3)를 통하여 모 이식부(4)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행 차체(2)의 뒷부분 위쪽에 시비 장치(5)의 본체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차체(2)는, 구동륜인 좌우 한 쌍의 앞바퀴(10, 10) 및 좌우 한 쌍의 뒷바퀴(11, 11)를 갖춘 4륜 구동차량이며, 기체의 앞 부분에 미션 케이스(12)가 배치되며, 그 미션 케이스(12)의 좌우 측방에 각각 좌우 프런트 엑슬 케이스(13a, 13a)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 프런트 엑슬 케이스(13a, 13a)에 각각 좌우의 앞바퀴 파이널 케이스(13, 13)가 설치되며, 상기 좌우의 앞바퀴 파이널 케이스(13, 13)의 조향 방향을 변경 가능한 각각의 앞바퀴 지지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좌우 앞바퀴 차축(10a, 10a)에 좌우의 앞바퀴(10, 1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 미션 케이스(12)의 배면부에 메인프레임(15)의 전단부가 고착되어 있고, 그 메인프레임(15)의 후단 좌우 중앙부에 전후 수평으로 설치한 뒷바퀴 롤링 축(A)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뒷바퀴 기어 케이스(18, 18)는 연결 프레임(19a)에서 일체로 연결되며, 뒷바퀴 지지 부재로서의 뒷바퀴 전동 케이스(19)가 구성되어 있다.
뒷바퀴 전동 케이스(19)는, 그 좌우 중앙부가 상기 뒷바퀴 롤링축(A)에 회동 자재로 지지되며, 좌우의 뒷바퀴 기어 케이스(18, 18)로부터 각각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뒷바퀴 차축(11a, 11a)에 뒷바퀴(11, 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뒷바퀴 기어 케이스(18, 18)에는, 미션 케이스(12)의 후벽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한 좌우 뒷바퀴 구동 축으로 연결한 좌우 뒷바퀴 전동축(18b, 18b)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엔진(20)은 메인프레임(15) 위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엔진(20)의 회전 이동력이, 벨트 전동장치(21) 및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23)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12)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2)에 전달된 회전 이동력은, 상기 미션 케이스(12) 내의 트랜스미션에 의해 변속된 후, 주행 동력과 외부 취출 동력으로 분리하여 꺼내진다. 그리고, 주행 동력은, 일부가 앞바퀴 파이널 케이스(13, 13)에 전달되어 앞바퀴(10, 10)를 구동함과 동시에, 나머지가 좌우의 뒷바퀴 기어 케이스(18, 18)에 전달되어 좌우의 뒷바퀴(11, 11)를 구동한다. 또, 미션 케이스(12)의 우측 측면에서 취출된 외부 취출 동력은, 이식 전동축(26)에 의해서 모 이식부(4)에 전동 된다. 또한, 엔진(20)의 머플러(20a)는 엔진(20)의 좌측에서 왼쪽 링크 베이스 프레임(42)의 근처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엔진(20)을 냉각하는 냉각 팬은 엔진(20)의 우측면에 있어 냉각풍은 기체 우측에서 좌측으로 배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엔진(20)의 상부는 엔진 커버(30)로 덮여 있고, 그 위에 좌석(31)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31)의 앞쪽에는 각종 조작 기구를 내장하는 프런트 커버(32)가 있 고, 그 위쪽에 앞바퀴(10, 10)를 조향 조작하는 핸들(34)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커버(30) 및 프런트 커버(32)의 하단 좌우 양측은 수평 모양의 플로어 스텝(35)으로 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35)의 좌우 측에는 관통하는 구멍이 다수 설치된 격자 모양부(35a, 35a)가 형성되어 있고, 좌석(31)에 착석하여 기체를 조종하는 조종자가 좌우의 앞바퀴(10, 10)를 간파시킬 수 있어 조종이 용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플로어 스텝(35)을 걷는 작업자의 구두에 뭍은 진흙이 밭에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35)의 뒷부분은, 리어 스텝을 겸하는 뒷바퀴 펜다(36)로 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5)의 위쪽에는 좌우의 상부 프레임(15a, 15a)이 설치되어 있고, 플로어 스텝(35)은 상기 좌우의 상부 프레임(15a, 15a)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상부 프레임(15a, 15a)은, 그 전단부가 미션 케이스(12)의 앞 부분에 연결 지지되어 기체 좌우 방향으로 설치한 앞 부분 프레임(15b)에 연결되어 있고, 그 중도부가 좌우 지지 프레임(15c, 15c)을 통하여 각각 좌우 프런트 엑슬 케이스(13a, 13a)에 연결되어 있다. 또, 좌우의 상부 프레임(15a, 15a)의 후단부는, 후술의 메인프레임(15)의 후단부에 입설한 배면시문형의 링크 베이스 프레임(42)에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미션 케이스(12), 메인프레임(15), 좌우의 상부 프레임(15a, 15a), 앞 부분 프레임(15b), 좌우 지지 프레임(15c, 15c), 좌우 프런트 엑슬 케이스(13a, 13a), 링크 베이스 프레임(42)에 의해 틀 모양의 기체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또, 주행 차체(2)의 좌우 양측에는, 예비 묘재대(38, 38)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링크 장치(3)는 평행 링크 구성이며, 좌우 한 쌍의 상 링크(40, 40)와, 좌우 한 쌍의 하 링크(41, 41)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상 링크(40) 및 하 링크(41)는, 그 기초부 측이 메인프레임(15)의 후단부에 입설한 배면시문형의 링크 베이스 프레임(42)에 회동 자재로 장착되며, 첨단 측에는 세로 링크(4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링크(43)의 하단부에 모 이식부(4)에 회전 자재로 지승 된 연결축(44)이 삽입 연결되며, 연결축(44)을 중심으로서 모 이식부(4)가 롤링 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5)에 기초부를 회동 자재로 추지(樞支) 한 승강 유압 실린더(46)의 선단을 하 링크(41, 41)에 일체 형성한 스윙 암(41a)의 선단부에 연결하여 설치하고 있고, 상기 승강 유압 실린더(46)를 유압으로 신축시킴으로써, 승강 링크 장치(3)가 상하로 회동하여, 모 이식부(4)가 거의 일정 자세인 채 승강한다.
모 이식부(4)는 6조식의 구성으로, 프레임을 겸하는 전동 케이스(50), 매트 모를 실어 좌우 왕복 움직여 모를 1주분씩 각 조의 모 취출구(51a)에 공급함과 동시에 가로 일렬분의 모를 모두 모 취출구(51a)에 공급하면 모 보내기 벨트(51b)에 의해 모를 아래쪽으로 이송하는 묘재대(51), 모 취출구(51a)에 공급된 모를 밭에 이식하는 모 이식장치(52), 다음 행에 있어서의 기체 진로를 표토면에 선긋기 하는 좌우 한 쌍의 선긋기 마커(53, 53) 등을 갖추고 있다. 모 이식부(4)의 아래쪽에는 중앙에 센터 플로트(55), 그 좌우 양측에 사이드 플로트(56, 5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로트인 센터 플로트(55) 및 사이드 플로트(56, 56)를 밭의 진흙면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기체를 진행시키면, 이러한 센터 플로트(55) 및 사이드 플로트(56, 56)가 진흙면을 정지하면서 활주하여, 그 정지 자국에 모 이식장치(52)에 의해 모가 이식된다. 센터 플로트(55) 및 사이드 플로트(56, 56)의 각 플로트는 밭 표토면의 요철(凹凸)에 따라 전단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동 자재로 장착되어 있고, 이식 작업시에는 센터 플로트(55)의 앞 부분의 상하 이동이 제어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 유압 실린더(46)를 제어하는 유압 밸브를 전환하여 모 이식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모의 이식 깊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시비 장치(5)는, 비료 호퍼(60)에 저장되어 있는 알갱이 모양의 비료를 검출부(61)에 의해서 일정량씩 계속 내보내고, 그 비료를 시비 호스(62)로 센터 플로트(55) 및 사이드 플로트(56, 56)의 좌우 양측에 부착한 시비 가이드(62a)까지 이끌어, 시비 가이드(62a)의 전 측에 설치한 작구(作構)체(62b)에 의해서 모 이식조의 측부 근방에 형성되는 시비 홈 내에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다. 전동 모터로 구동하는 플로어(58)에서 발생시킨 에어가, 좌우 방향으로 긴 에어 챔버(59)를 경유하여 시비 호스(62)에 불어 넣어지며, 시비 호스(62) 내의 비료를 풍압에서 강제적으로 센터 플로트(55) 및 사이드 플로트(56, 56)의 각 플로트에 설치한 각 시비 가이드(62a)에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모 이식부(4)에는 밭의 흐트러진 진흙 면을 정지하여 고르게 하는 정지 로터(27)(좌우 사이드 플로트(56, 56)의 각각의 앞쪽에 배치된 좌우정지 로터(27a, 27a), 센터 플로트(55)의 앞쪽에 배치된 중앙정지 로터(27b)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정지 로터(27)는, 상기 오른쪽의 뒷바퀴 기어 케이스(18)에 정지 로터 구동용 케이스를 설치하고, 오른쪽의 뒷바퀴 기어 케이스(18)에서 구동력이 전동축(27c)에 전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63, 63)은 상부 프레임(15a)에 상단 기초부가 용접 고정된 철제의 좌우 보조 스텝이며, 작업자가 기체에 승하차 할 때에 다리를 싣는 스텝이다.
여기에서, 도면에 의거하여, 기체의 좌우 양측에 작업자의 작업 통로(B, B)를 형성하는 플로어 스텝(35)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의 구성을 설명한다.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는, 앞 부분 프레임(15b)의 좌우 측부에 각각 좌우의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70, 70)의 기초부를 볼트(71)에 고정하고, 좌우의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70, 70)의 상단부에 각각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와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를 회동 및 고정 자재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기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우의 상부 프레임(15a, 15a)과 좌우 프런트 엑슬 케이스(13a, 13a)에 연결한 좌우 지지 프레임(15c, 15c)으로부터 기체 좌우 외측 방향을 향하여 좌우 지지체(74, 74)를 설치하고, 좌우의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70, 70)의 상부와 좌우 지지체(74, 74)의 선단부를 각각 연결체(75, 75)에 연결하고, 좌우의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70, 70)을 보강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는, 평면 시에서 앞 부분의 좌우 간격(L1)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게 하여 배치 구성하고(평면 시에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앞 부분을 서로 좌우 안쪽에 배치 구성하여 좌우 간격(L1)을 작게 함으로써, 기체의 선회 반경 내에 기체전단에 위치하는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전단 외측을 받아들일 수 있고, 밭두둑가에서 선회할 때에 밭두둑이나 다른 장해물 등에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전단부가 접당하여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도, 평면 시에서 앞 부분의 좌우 간격(L3)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4)보다 작게 하여 배치 구성하고 있다. 또,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는, 측면 시에서 수평에 설치하고, 시비 장치(5)의 비료 호퍼(60) 상단과 대략 같은 높이에 설치하고 있다.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및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의 구성은 좌우 대칭으로 같기 때문에, 이하에 오른쪽의 예비 묘재대(38)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왼쪽의 예비 묘재대(38)는, 오른쪽의 예비 묘재대(38)와 좌우 대칭으로 같은 구성이다).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70)의 상부에 간격을 비워 상판(76)과 하판(77)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상판(76)과 하판(77)의 평면 시에서 같은 위치에 각각의 관통공으로 되는 제 1의 관통공(76a) 및 제 2의 관통공(77a)을 설치하고, 상기 제 1의 관통공(76a) 및 제 2의 관통공(77a)에 회동 프레임(78)으로 고정하여 설치한 회동 핀(79)을 위쪽으로부터 삽입하고, 회동 프레임(78)이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70)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프레임(78)의 회동 핀(79)의 주위에 원판(80)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원판(80)의 동일 원주상에 제 3의 관통공(81a)과 제 4의 관통공(81b)을 회동 핀(79)의 주위에 180도 빈 위치에 설치하고, 또한, 제 3의 관통공(81a)의 바깥 측방에 제 5의 관통공(81c)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판(76)과 하판(77)과 의 사이에 용접 고정한 평면시 コ자 모양의 접수도구(82)에 조작 레버(83)의 기초부를 상하 회동 조작 자재로 추지핀(84)에 축지하여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83)의 중도부에 회동 정지 핀(85)을 계지 핀(86)에 연계시켜서, 조작 레버(83)를 상하 조작하면 회동 정지 핀(85)이 상판(76)과 하판(77)에 설치한 제 6의 관통공(76b)과 제 7의 관통공(77b)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정지 핀(85)이 상동한 위치에서는, 그 상부가 상기 회동 프레임(78)의 원판(80)에 설치한 제 3의 관통공(81a)과 제 4의 관통공(81b)과 제 5의 관통공(81c)에 계합하여, 회동 프레임(78)의 회동을 고정한다. 또한, 하판(77)과 조작 레버(83)의 사이에는 압축 용수철(87)이 회동 정지 핀(85)의 외주에 꼭 맞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83) 및 회동 정지 핀(85)은 상동한 위치에 가세 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회동 정지 핀(85)이 상동하여 회동 프레임(78)의 원판(80)에 설치한 제 3의 관통공(81a)과 제 4의 관통공(81b)과 제 5의 관통공(81c)에 계합하여, 회동 프레임(78)의 회동을 고정한 상태에서 조작 레버(83) 및 회동 정지 핀(85)은 압축 용수철(87)에 의해서 보관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작 레버(83)를 하동 시켜 회동 정지 핀(85)을 제 3의 관통공(81a)과 제4의 관통공(81b)과 제 5의 관통공(81c)으로부터 제외하여 회동 프레임(78)을 회동시키며, 작업자가 조작 레버(83)를 옮겨 놓으면 조작 레버(83) 및 회동 정지 핀(85)은 압축 용수철(87)에 의해서 상동하려고 하고, 회동 프레임(78)을 회동시켜 제 3의 관통공(81a)과 제 4의 관통공(81b)과 제 5의 관통공(81c)이 회동 정지 핀(85)의 위치에 오면, 자동적으로 회동 정지 핀(85)은 제 3의 관통공(81a)과 제 4의 관통공(81b)과 제 5의 관통공(81c)에 계합하여 회동 프레임(78)의 회동은 고정된다.
예비 묘재부(72)는, 중앙의 고정 묘재부(88)와 그 전후에 설치한 제 1 회동 묘재부(89), 제 2 회동 묘재부(9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중앙의 고정 묘재부(88)는, 알루미늄제 오목한 모양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를 연결하는 철제의 연결재(92)(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연결재(92)는, 제 1의 볼트(93)로 고정되어 있다)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 간의 좌우 중앙부에는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의 저면을 받쳐 예비 묘재부(72)의 긴 방향으로 안내하는 철제의 안내 받침재(94)를 상기 연결재(92)에 용접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안내 받침재(94)의 전 후단은 아래쪽에 구부려서 구성되어 있고, 묘상(C)이 이동할 때에 묘상(C) 전후 벽면이 안내 받침재(94)의 전 후단에 접당 하지 않도록 하여, 부드럽게 묘상(C)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안내 받침재(94)의 전후단부에는, 수지제의 캡(94a)을 씌우고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받침재(94)의 상면은 좌우에 배치되는 회동 롤러(95)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예비 묘재부(72) 상을 묘상(C)이 좌우의 회동 롤러(95)에 이동할 때에, 묘상(C)의 좌우 중앙부의 아래쪽에 휨부를 수신함과 동시에, 묘상(C)이 예비 묘재부(72)에 적정하게 실려 있지 않은 경우에 묘상(C)이 예비 묘재부(72)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의 오목 모양 부에는, 복수의 회동 롤러(95)를 추지축(96)에 회전 자재로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회동 롤러(95)가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의 저면을 수신하여 회전하고, 예비 묘재부(72)의 긴 방향으로 묘상(C)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각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의 전후 단부에 위쪽에 돌출하는 고정측 암(97)을 제 2의 볼트(98)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제 1 회동 묘재부(89) 측의 각 고정측 암(97)의 상단부에는 제 8의 관통공(97a)이 설치되며, 제 2 회동 묘재부(90) 측의 각 고정측 암(97)의 상단부에는 회동 추지핀(97b)가 용접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연결재(92)와 안내 받침재(94)의 사이는, 넓은 공간부(S)로 되어 있고, 고정 묘재부(88) 상을 이동하는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에 부착한 진흙이나 모종의 뿌리는 상기 넓은 공간부(S)로부터 아래 쪽에 낙하하고, 회동 롤러(95)에 부착하거나 휘감기거나 하지 않고, 회동 롤러(95)는 적정한 자유 회전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중앙의 고정 묘재부(88)의 연결재(92)에, 상기 회동 프레임(78)의 상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제 1 회동 묘재부(89)는, 고정 묘재부(88)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제 오목한 모양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를 연결하는 철제의 연결재(92)(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연결 재(92)는, 제 1의 볼트(93)로 고정되어 있다)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 간의 좌우 중앙부에는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의 저면을 받쳐 예비 묘재부(72)의 긴 방향으로 안내하는 철제의 안내 받침재(94)를 상기 연결재(92)에 용접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안내 받침재(94)의 전 후단은 아래쪽에 꺽어 구부리며, 묘상(C)이 이동할 때에 묘상(C) 전후 벽면이 안내 받침재(94)의 전 후단에 접당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부드럽게 묘상(C)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받침재(94)의 전후 단부에는, 수지제의 캡(94a)을 씌우고 있다.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가 오목한 상태부에는, 복수의 회동 롤러(95)를 추지축(96)에 회전 자재로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회동 롤러(95…)가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의 저면을 받쳐 회전하고, 예비 묘재부(72)의 긴 방향으로 묘상(C)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각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의 고정 묘재부(88) 측의 단부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 1 회동측 암(99)을 제 3 볼트(100)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각 제 1 회동측 암(99)의 상단부에는 회동 추지핀(99a)이 용접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 추지핀(99a)을 상기 고정 묘재부(88)의 고정측 암(97)의 제 8의 관통공(97a)에 삽입하여 외측부를 제 1의 분할 핀(99b)에 발지하고(빠지지 않도록 멈추고), 제 1 회동 묘재부(89)가 고정 묘재부(88)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전개 작업 상태와 고정 묘재부(88)의 위쪽에 회동하여 접어 갠 수납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연결재(92)와 안내 받침재(94)의 사이는, 넓은 공간부(S)로 되어 있고, 제 1 회동 묘재부(89) 상을 이동하는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에 부착한 진흙이나 모의 뿌리는 상기 넓은 공간부(S)에서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회동 롤러(95)에 부착하거나 휘감기거나 하지 않고, 회동 롤러(95)는 적정한 자유 회전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회동 묘재부(90)는, 고정 묘재부(88)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제 오목한 모양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를 연결하는 철제의 연결재(92)(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연결재(92)는, 제 1의 볼트(93)로 고정되어 있다)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 간의 좌우 중앙부에는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의 저면을 받쳐 예비 묘재부(72)의 긴 방향으로 안내하는 철제의 안내 받침재(94)를 상기 연결재(92)에 용접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안내 받침재(94)의 전 후단은 아래쪽에 꺽어 구부려 구성하고 있고, 묘상(C)이 이동할 때에 묘상(C) 전후 벽면이 안내 받침재(94)의 전 후단에 접당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부드럽게 묘상(C)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받침재(94)의 전후 단부에는, 수지제의 캡(94a)을 씌우고 있다.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의 오목 모양부에는, 복수의 회동 롤러(95)를 추지축(96)에 회전 자재로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회동 롤러(95)가 묘상(C)(혹은, 묘 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의 저면을 받쳐 회전하고, 예비 묘재부(72)의 긴 방향으로 묘상(C)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각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의 고정 묘재부(88) 측의 단부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 2 회동측 암(101)을 제 4 볼트(102)에서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각 제 2 회동측 암(101)의 상단부에는 제 9의 관통공(101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9의 관통공(101a)에 상기 고정 묘재부(88)의 고정측 암(97)의 회동 추지핀(97b)을 삽입하여 외측부를 제 2의 분할 핀(97c)에 발지하고, 제 2 회동 묘재부(90)가 고정 묘재부(88)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전개 작업 상태와 고정 묘재부(88)의 위쪽에 회동하여 접어 갠 수납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91)와 연결재(92)와 안내 받침재(94)의 사이는, 넓은 공간부(S)로 되어 있고, 제 2 회동 묘재부(90) 상을 이동하는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에 부착한 진흙이나 모의 뿌리는 상기 넓은 공간부(S)에서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회동 롤러(95)에 부착하거나 휘감기거나 하지 않고, 회동 롤러(95)는 적정한 자유 회전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묘상(C)(혹은, 묘상(C)으로부터 매트 모양 모를 뜨는 모 뜨기 판)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비 묘재부(72)는,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70)에 지지시킨 회동 핀(79)의 주위에 회동 고정 자재의 회동 프레임(7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83)를 아래쪽을 향해 조작하여 회동 정지 핀(85)을 하동 시켜 회동 프레임(78)의 원판(80)에 설치한 제 3 관통공(81a)과 제 4 관통공(81b)과 제 5의 관통 공(81c)과의 계합을 제외하면, 회동 핀(79)의 주위에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평면 시에서 예비 묘재부(72)의 긴 방향의 중앙에서 긴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회동 핀(79)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즉, 회동 핀(79)의 회동 중심부터 일측단까지의 거리(L5)가 회동 핀(79)의 회동 중심부터 타측단까지의 거리(L6)보다 작아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예비 묘재부(72)를 도 2 상태로 하여, 회동 정지 핀(85)을 회동 프레임(78)의 원판(80)에 설치한 제 3 관통공(81a)에 계합시키고, 예비 묘재부(72)의 회동을 고정시키면,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는, 평면 시에서 앞부분의 좌우 간격(L1)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아지는 배치로 하고,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도, 평면 시에서 앞부분의 좌우 간격(L3)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4)보다 작아지는 배치 상태가 되며, 기체전단에서의 돌출량(L7)이 작은 상태가 된다. 또, 상기 돌출량(L7)이 작은 상태에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를 각각 180도 회전시켜 도 9의 상태로 하고, 회동 정지 핀(85)을 회동 프레임(78)의 원판(80)에 설치한 제 4 관통공(81b)에 계합시키고, 예비 묘재부(72)의 회동을 고정시키면,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는, 똑같이 평면 시에서 앞부분의 좌우 간격(L1)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게 하여 배치되며, 기체전단으로부터의 돌출량(L8)이 큰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는,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로부터 떼어내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안쪽으로 앞이 처진 경사 상태가 되도록 각각 다시 장착한다.
또한, 예비 묘재부(72)의 전후 단부, 즉, 제 1 회동 묘재부(89)의 전단부와 제 2 회동 묘재부(90)의 후단부에는, 예비 묘재부(72)에 재치한 묘상(C)이 낙하하지 않도록 단부 묘상 받침간(103, 103)이 설치되어 있다.
묘상 수납부(73)는, 상단부가 상기 고정 묘재부(88)의 안쪽의 바깥 테두리(91)에 고정측 암(97)을 장착하는 제 2의 볼트(98)에 동시 고정(함께 고정한다)하여 고정되어 있는 전방 시에서 오목한 모양의 철제의 전후 지지 프레임(110, 110)과 상기 전후 지지 프레임(110, 110)에 용접 고정한 5개의 평행으로 설치한 철제의 파이프재인 제 1의 파이프재(111a), 제 2의 파이프재(111b), 제 3의 파이프재(111c), 제 4의 파이프재(111d) 및 제 5의 파이프재(111e)로 이루어지는 고정 수납부(73a)와 상기 고정 수납부(73a)의 4개의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제 1의 파이프재(111a), 제 2의 파이프재(111b), 제 3의 파이프재(111c) 및 제 4의 파이프재(111d) 내에 삽입되어 앞이 처진 방향으로 이동 자재에 설치한 철제의 봉재인 제 1의 봉재(112a)와 제 2의 봉재(112b)와 제 3의 봉재(112c)와 제 4의 봉재(112d)에서 이루어지는 가동 수납부(73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위쪽에 위치하는 제 1의 봉재(112a)는, 제 1의 파이프재(111a) 내를 앞이 처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4의 직선 모양부(112a-1)와 상기 제 4의 직선 모양부(112a-1)의 전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꺽어 구부려 늘린 수하부(112a-2)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쪽의 중간부에 있는 제 2의 봉재(112b) 및 제 4의 봉재(112d)는, 제 2의 파이프재(111b) 및 제 4 파이프재(111d)의 각각의 파이프재 안을 앞이 처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의 직선 모양부(112b-1) 및 제 2의 직선 모양부(112d-1)와 상기 제 1의 직선 모양부(112b-1) 및 제 2의 직선 모양부(112d-1)의 전단으로부터 서로 대향할 방향 을 향해 꺽어 구부려 늘린 제 1의 대향 연장하여 연설(延說)부(112b-2) 및 제 2의 대향 연설부(112d-2)로 구성되어 있다.
113은 위치 조절 고정용 부재이며, 상부에 철제의 제 6의 파이프재(114)를 설치하고, 상기 철제의 제 6의 파이프재(114) 아래쪽에 이동간(115)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간(115)은, 철제의 제 6의 파이프재(114)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나고, 뒤쪽을 향하여 구부러지며, 제 1의 파이프재(111a), 제 2의 파이프재(111b), 제 3의 파이프재(111c), 제 4의 파이프재(111d) 및 제 5의 파이프재(111e)와 평행으로 뒤쪽에 늘어나는 제 3의 직선 모양부(115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3의 직선 모양부(115a)는 가장 아래쪽 위치에 있는 제 3의 파이프재(111c)의 선단 하부에 용접 고정된 가이드판(116)의 제 10의 관통공(116a)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 제 3의 직선 모양부(115a)에는, 수납 상태 계지용 관통공(115a-1)과 돌출 상태 계지용 관통공(115a-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조절 고정용 부재(113)의 철제의 제 6의 파이프재(114) 내에 양측분으로부터 상기 제 2의 봉재(112b) 및 제 4의 봉재(112d)의 제 1의 대향 연설부(112b-2) 및 제 2의 대향 연설부(112d-2)를 삽입하고, 이동간(115)의 철제의 제 6의 파이프재(114)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난 부위에 제 3의 봉재(112c)의 선단부를 용접 고정하고 있다. 또한, 제 1의 봉재(112a)의 아래쪽으로 향하여 꺽어 구부려 늘린 수하부(112a-2)는, 그 하부가 제 2의 봉재(112b)의 제 1의 대향 연 설부(112b-2)의 안쪽에 접당하여 아래쪽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멈추게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수납부(73b)는, 고정 수납부(73a)로부터 앞이 처진 방향으로 튀어나와 돌출한 상태에서 위치 조절 고정용 부재(113)의 이동간(115)에 설치한 돌출 상태 고정용 관통공(115a-2)에 계지용의 스냅 핀(117)을 끼면, 이동간(115)은 가이드판(116)에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멈춰지므로, 묘상 수납부(73)는 기체의 전단으로부터 크게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때, 묘상 수납부(73)의 안쪽 공간은, 묘상(C)을 2개 겹친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는 폭으로 설정하고 있고, 전후방향의 길이는 묘상(C)을 2개 전후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한쪽 편의 묘상 수납부(73)에 묘상(C)을 2개 겹친 상태에서 4개의 묘상(C)을 수납할 수 있다.
또, 묘상 수납부(73)는, 그 후단부가 핸들(34)의 측방 또는 플로어 스텝(35) 측방에 위치하고, 전단부가 기체전단보다 앞이 처진 방향으로 크게 튀어나와 돌출한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기체의 플로어 스텝(35) 상에 있는 작업자가 묘재대(51)에 모를 공급한 후에 비게 된 묘상(C)을 묘상 수납부(73)의 후단부에 넣으면, 묘상(C)은 묘상 수납부(73) 내를 미끄러져 전단까지 이동한다. 그러면, 밭두둑에 있는 작업자가 그것을 잡아 회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묘상 반환 장치로서의 기능이 있다.
또한, 고정 수납부(73a)는 고정되어 있지만, 가동 수납부(73b)는, 수납 방향에는 이동 자재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모 보급을 위해 밭두둑에 기체 앞부분을 댈 때 등으로, 묘상 수납부(73)의 기체전단보다 크게 돌출하고 있는 가동 수납부(73b)가 밭두둑 등의 장해물에 접당 해도, 가동 수납부(73b)는 수납 방향으 로 이동하기 때문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가 장착된 시비 장치부의 승용형 모내기기(1)에 실시하는 모내기 작업의 설명을 한다.
먼저, 밭 안에 기체를 넣고, 기체 전단부를 밭두둑(또는, 도로)에 댄 상태로 한다. 이때, 기체 전단부를 밭두둑에 접근하여 정지할 수 있는 밭에서는,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83)를 조작하여 회동 정지 핀(85)을 회동 프레임(78)의 원판(80)에 설치한 제 3의 관통공(81a)에 계합시키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가 평면 시에서 앞부분의 좌우 간격(L1)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게 하여 배치되며,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도, 평면 시에서 앞부분의 좌우 간격(L3)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4)보다 작게 하여 배치된 상태로 하고, 기체전단으로부터의 돌출량(L7)이 작은 상태로 한다. 또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는, 각각 제 1 회동 묘재부(89) 및 제 2 회동 묘재부(90)가 고정 묘재부(88)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전개 작업 상태(도 1의 실선 상태)로 해 둔다. 또, 묘상 수납부(73)는, 가동 수납부(73b)가, 고정 수납부(73a)로부터 앞이 처진 방향으로 튀어나와 돌출한 상태에서 위치 조절 고정용 부재(113)의 이동간(115)에 설치한 돌출 상태 고정용 관통공(115a-2)에 계지용의 스냅 핀(117)을 끼우고, 기체의 전단으로부터 크게 돌출한 상태로 해 둔다.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 하면,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는 평면 시에서 플로어 스텝(35)의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작업자는 핸들(34)의 좌우 양측에 있는 플로어 스텝(35) 상을 기체 전단부로부터 뒷부분의 시비 장치(5)의 비료 호퍼(60) 위치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밭두둑에 있는 작업자가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의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전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밭두둑으로부터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전단에 모를 육묘(育苗)한 묘상(C)을 재치하고, 묘상(C)을 누르면, 묘상(C)는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회동 롤러(95) 상을 후단을 향해 부드럽게 이동한다. 이때,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는 평면 시에서 앞부분의 좌우 간격(L1)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게 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밭두둑에 있는 작업자는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의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전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전단부에 작업성 좋고 편하게 묘상(C)을 재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좋다.
또한, 모내기 기체 상에 있는 작업자는,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어느 쪽의 후단부 위치 근처의 플로어 스텝(35) 위에 서서, 상기 예비 묘재부(72) 상을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동한 묘상(C)을 채택하고, 묘상(C)으로부터 모 뜨기 판으로 매트 모양 모를 뜨고, 뒤쪽의 묘재대(51)에 공급한다. 이때, 예비 묘재부(72)의 후단부는 플로어 스텝(35)의 외측 근처에서 또는 시비 장치(5)의 비료 호퍼(60) 좌우 외측부 근처에 있으므로, 작업자는 예비 묘재부(72) 뒷부분의 묘상(C)을 채택하고, 편한 자세로 작업성 좋게 묘재대(51)에 모 공급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묘재대(51)의 좌우 외측의 묘재부 및 중앙부의 묘재부의 모든 묘재부에 대한 모 공급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좋다.
그리고, 작업자가 플로어 스텝(35) 뒷부분에 선 채로, 모 공급을 끝내고 비 게 된 묘상(C)을 묘상 수납부(73)의 후단부에 넣으면, 묘상(C)은, 묘상 수납부(73) 내를 미끄러져 전단까지 이동한다. 그러면, 밭두둑에 있는 작업자가 그것을 잡아 용이하게 밭두둑 상에 회수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빈 상자 회수 작업 효율이 좋다. 또, 묘상 수납부(73)의 가동 수납부(73b)는, 수납 방향에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모 보급을 위해 밭두둑에 기체 앞부분을 댈 때 등으로, 묘상 수납부(73)의 기체전단보다 크게 돌출하고 있는 가동 수납부(73b)가 밭두둑 등의 장해물에 접당 해도, 가동 수납부(73b)는 수납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묘재대(51)의 모든 묘재부에 대한 모 공급 작업을 끝내면, 밭두둑에 있는 작업자는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전단측으로부터 차례차례 모를 육묘한 묘상(C)을 재치하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상에 각각 3개의 묘상(C)을 재치한다.
또, 작업자는, 플로어 스텝(35)을 다니며 기체전단으로부터 비료 호퍼(60)까지 비료를 옮겨 비료 호퍼(60) 내에 비료를 공급한다. 이때,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는, 플로어 스텝(35)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므로, 작업자는 넓은 플로어 스텝(35) 상의 비료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고, 안전하게 작업성 좋게 비료 공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 상의 작업자는, 좌석(31)에 착석하여 기체를 조종하고 각부를 구동하여 모내기 작업 및 시비 작업을 실시한다. 모내기 작업중에 묘재대(51)의 모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작업자는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상에 재치한 묘 상(C)으로부터 모를 집어 묘재대(51)에 공급하여 모내기 작업을 계속한다. 이때, 공간의 묘상(C)은, 좌우의 묘상 수납부(73)에 수납해 둔다(묘상 수납부(73)의 내부의 공간은, 묘상(C)을 2개 겹친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는 폭으로 설정하고 있고, 전후방향의 길이는 묘상(C)을 2개 전후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한쪽 편의 묘상 수납부(73)에 묘상(C)을 2개 겹친 상태에서 4개의 묘상(C)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상에 재치한 6개의 묘상(C)은, 모두 좌우의 묘상 수납부(73)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상에 재치한 묘상(C)의 모를 모두 사용하여 묘재대(51)에 재치한 모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상기의 밭 내에 기체를 넣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기체 전단부를 밭두둑(또는, 도로)에 댄 상태로 하여, 상기와 같게 하여 모 공급 작업을 실시한다.
또, 밭과 밭두둑(또는, 도로)과의 사이에 수로 등이 있고, 기체 전단부를 밭두둑(또는, 도로)에 댄 상태로 할 수 없는 경우(밭과 밭두둑과의 거리가 먼 경우)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83)를 조작하여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를 180도 회전시켜 회동 정지 핀(85)을 회동 프레임(78)의 원판(80)에 설치한 제 4의 관통공(81b)에 계합시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가 평면 시에서 앞부분의 좌우 간격(L1)이 뒷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게 해서 배치되며, 또한, 기체 전단으로부터의 돌출량(L7)이 큰 상태로 한다. 또한, 이때,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는,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에서 떼어내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안쪽으로 앞이 처진 경사 상태가 되도록 각각 다시 장착한다.
이 상태로 하면,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기체전단으로부터의 돌출량(L7)이 크기 때문에, 밭과 밭두둑(또는, 도로)과의 사이에 수로 등이 있어 기체 전단부를 밭두둑(또는, 도로)에 댄 상태로 할 수 없는 경우(밭과 밭두둑과의 거리가 먼 경우)에서도,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및 묘상 수납부(73)의 전단부를 밭두둑(또는, 도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한 자세로 효율좋게 밭두둑으로부터 기체(묘재대(51) 및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에 모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모내기 작업을 끝내고, 노상 주행하는 경우나 트럭에 기체를 싣는 경우나 헛간 등에 기체를 넣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83)를 조작하여 회동 정지 핀(85)을 회동 프레임(78)의 원판(80)에 설치한 제 5의 관통공(81c)에 계합시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가 평면 시에서 좌우 평행 상태에 배치되며, 또한, 기체전단으로부터의 돌출량(L7)이 작은 상태로 한다. 그러면, 평면 시에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각각의 내측부가 플로어 스텝(35)과 겹친 상태가 되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의 폭(L8)이 묘재대(51)의 폭(L9)보다 작아진다. 또한, 도면 중, 120은 상기 각 조의 모 취출구(51a)를 설치한 모 받침판이며, 그 묘재대(51)의 폭(L9)으로부터 좌우 외측에 돌출한 좌우 외측부(120a, 120a)는 묘재대(51)의 아래쪽 내측에 접어 갠 자재로 구성하고 있다. 또, 좌우 가이드체(121, 121)는 모 받침판(120)의 외측부에 배치되어 모 받침판(120)의 단부가 밭두둑이나 장해물에 접당하여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좌우 가이드체이며, 그 묘재대(51)의 폭(L9)으로부터 좌우 외측에 돌출한 상태로부터 묘재대(51)의 아래쪽 내측 접어 갠 자재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모내기 작업을 하지 않는 노상 주행하는 경우나 트럭에 기체를 싣는 경우나 헛간 등에 기체를 넣는 경우에는, 모 받침판(120)의 좌우 외측부(120a, 120a) 및 좌우 가이드체(121, 121)는 묘재대(51)의 아래쪽 내측에 접어 개서 기체 좌우 폭은 L9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제 1 회동 묘재부(89) 및 제 2 회동 묘재부(90)는, 고정 묘재부(88)의 위쪽에 회동하여 접어 갠 수납 상태로 하여, 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의 전단부가 기체 측면 시에서 기체 전단부와 대략 같은 위치로 한다. 또,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는, 가동 수납부(73b)를 고정 수납부(73a) 내에 수납한 상태로서 위치 조절 고정용 부재(113)의 이동간(115)에 설치한 수납 상태 계지용 관통공(115a-1)에 계지용의 스냅 핀(117)을 끼우고, 수납 상태로 고정하여, 좌우의 묘상 수납부(73, 73)의 전단이 기체 측면 시에서 기체 전단부와 대략 같은 위치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및 묘상 수납부(73, 73))를 수납 상태로 하면, 각부를 수납 상태로 한 기체 폭(L9) 내에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및 묘상 수납부(73, 73))는 알맞게 들어가고, 또한, 기체전단으로부터 크게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노상 주행하는 경우나 트럭에 기체를 싣는 경우나 헛간 등에 기체를 넣는 경우에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및 묘상 수납부(73, 73))이 방해가 되지 않고, 노상 주행 및 트럭에 짐을 싣는 작업 및 헛간 내에 기체 수납을 용 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및 묘상 수납부(73, 73))를 수납 상태로 하면, 기체가 콤팩트하게 됨과 동시에, 좌석(31)에 착석한 조종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조종이 용이하게 되어 안전하다.
더욱, 좌우의 예비 묘재대(38, 38)(좌우의 예비 묘재부(72, 72) 및 묘상 수납부(73, 73))를 수납 상태로 했을 때에, 기체 전후방향에서 기체전단과 핸들(34) 후단과의 사이(L10)에 알맞게 들어가도록 구성하면, 더욱, 기체가 콤팩트하게 됨과 동시에, 좌석(31)에 착석한 조종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조종이 용이하게 되어 안전하다.
본 발명은, 모내기기 이외에, 야채 이식기나 풀 이식기 등의 다양한 묘식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모내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모내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예비 묘재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예비 묘재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예비 묘재대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예비 묘재대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묘상수납부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예비 묘재대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승용형 모내기기의 작용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10은, 승용형 모내기기의 작용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주행 차체 4. 모 이식부
5. 시비 장치 60. 비료 호퍼
72. 예비 묘재부 73. 묘상 수납부
73a. 고정 수납부 73b. 가동 수납부
91. 바깥 테두리 92. 연결재
95. 회동 롤러 C. 묘상
L1. 좌우의 예비 묘재부의 앞부분의 좌우 간격 S. 공간부
L2. 좌우의 예비 묘재부의 뒷부분의 좌우 간격

Claims (4)

  1. 주행 차체(2)의 뒷부분에 모 이식부(4)를 설치하고, 주행 차체(2)의 좌우 양측부에 기체 전단측으로부터 묘상(苗箱)(C)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을 공급하는 예비 묘재부(7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예비 묘재부(72)를 좌우의 바깥 테두리(91)와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9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재(92)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의 바깥 테두리(91)에 묘상(C)의 좌우 양측부의 저면 또는 모를 실은 모 뜨기 판의 좌우 양측부의 저면을 받는 회동 롤러(95)를 각각 설치하고, 좌우의 바깥 테두리(91) 간에는 공간부(S)를 설치하며, 상기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앞 부분을 주행 차체(2)의 전단보다 앞쪽으로 돌출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평면 시에서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앞 부분의 좌우 간격(L1)이 상기 좌우의 예비 묘재부(72)의 뒤 부분의 좌우 간격(L2)보다 작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식기(苗植機).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묘재부(72)의 기체전단에서의 돌출 길이를 변경 자재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식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의 뒤 부분에 시비 장치(5)의 비료 호퍼(60)를 배치하고, 상기 비료 호퍼(60)의 상단면과 상기 예비 묘재부(72)의 회동 롤러(95)의 상단을 같은 높이로 함과 동시에, 상기 예비 묘재부(72)의 후단을 상기 비료 호퍼(60)의 좌우 외측부 근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식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묘재부(72)의 기체 내 측에 상기 묘상(C)을 수납하는 부위를 앞이 처진 경사 상태로 한 묘상 수납부(73)를 설치하고, 상기 묘상 수납부(73)를 고정 수납부(73a)와 가동 수납부(73b)로 구성하여, 상기 가동 수납부(73b)를 상기 고정 수납부(73a) 측에 수납한 수납 상태와 기체 전단보다 앞쪽에 돌출한 기체 전후방향에 긴 작업 상태로 변경 자재에 설치하고, 가동 수납부(73b)는 작업 상태에서 수납 방향으로 이동 자재인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식기.
KR1020080106489A 2007-10-29 2008-10-29 묘식기 KR101009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0570 2007-10-29
JP2007280570A JP5023967B2 (ja) 2007-10-29 2007-10-29 苗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468A true KR20090043468A (ko) 2009-05-06
KR101009952B1 KR101009952B1 (ko) 2011-01-20

Family

ID=4061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489A KR101009952B1 (ko) 2007-10-29 2008-10-29 묘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23967B2 (ko)
KR (1) KR101009952B1 (ko)
CN (1) CN1014221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0227A (zh) * 2016-05-12 2017-06-30 栾翠莲 一种单毯苗双插二维宽窄插秧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6988B2 (ja) * 2009-09-25 2013-11-06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5290212B2 (ja) * 2010-01-08 2013-09-18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01861774B (zh) * 2010-06-09 2012-01-25 石河子大学 栽植、覆土一体化栽植器
JP5505258B2 (ja) * 2010-10-28 2014-05-28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5497581B2 (ja) * 2010-08-30 2014-05-21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KR101406856B1 (ko) * 2011-04-20 2014-06-2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JP5731287B2 (ja) * 2011-06-14 2015-06-10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CN109041710B (zh) * 2013-11-29 2021-11-19 井关农机株式会社 苗移植机
CN105052324A (zh) * 2015-07-15 2015-11-18 朱顺华 一种高效可调的水稻种植装置
WO2017161703A1 (zh) * 2016-03-24 2017-09-28 彭忠圣 抛秧机的横向对称宽幅抛秧系统及使用方法
WO2018016312A1 (ja) * 2016-07-20 2018-01-25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
JP6717275B2 (ja) * 2017-09-19 2020-07-0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14786467A (zh) * 2019-12-25 2022-07-22 株式会社久保田 移植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2512A (ja) * 1985-11-22 1987-06-03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植機
JP2004121039A (ja) * 2002-09-30 2004-04-22 Kubota Corp 苗すくい板ホルダー
JP2004194575A (ja) * 2002-12-19 2004-07-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車
JP4674888B2 (ja) * 2003-08-28 2011-04-20 三菱農機株式会社 乗用移植機
JP2004026157A (ja) 2003-09-29 2004-01-29 Iseki & Co Ltd 乗用苗植機
JP4537171B2 (ja) * 2004-10-15 2010-09-01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2005118054A (ja) 2005-01-28 2005-05-12 Iseki & Co Ltd 乗用苗植機
JP2005176854A (ja) 2005-01-28 2005-07-07 Iseki & Co Ltd 乗用苗植機
JP4638810B2 (ja) * 2005-11-21 2011-02-23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予備苗収容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0227A (zh) * 2016-05-12 2017-06-30 栾翠莲 一种单毯苗双插二维宽窄插秧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23967B2 (ja) 2012-09-12
CN101422104A (zh) 2009-05-06
KR101009952B1 (ko) 2011-01-20
JP2009106178A (ja) 2009-05-21
CN101422104B (zh)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952B1 (ko) 묘식기
JP2013132235A (ja) 水田作業機
JP2009131152A5 (ko)
JP2011244718A (ja) 作業機
JP2009131152A (ja) 苗植機
JP5733341B2 (ja) 苗植機
JP2007174930A (ja) 対地作業装置付きの苗移植機
JP5716264B2 (ja) 苗植機
JP5387654B2 (ja) 対地作業装置付きの苗移植機
JP3006027B2 (ja) 施肥装置
JP2015159777A (ja) 苗移植機
JP2009261330A (ja) 苗移植機
JP5493653B2 (ja) 苗植機
JP2010246450A5 (ko)
JP2022069142A (ja) 乗用型苗移植機
JP7081649B1 (ja) 乗用型苗移植機
JP2022073120A (ja) 苗移植機
JP2003102219A (ja) 移植機
JP4635511B2 (ja) 施肥装置付き苗移植機
JP2024042433A (ja) 乗用型苗移植機
JP5678811B2 (ja) 苗移植機
JP2024042441A (ja) 乗用型苗植機
JP2023088552A (ja) 乗用型苗植機
JP6020644B2 (ja) 苗植機
JP2016187362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