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822A -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822A
KR20090042822A KR1020097004043A KR20097004043A KR20090042822A KR 20090042822 A KR20090042822 A KR 20090042822A KR 1020097004043 A KR1020097004043 A KR 1020097004043A KR 20097004043 A KR20097004043 A KR 20097004043A KR 20090042822 A KR20090042822 A KR 2009004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s
width
transmission belt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409B1 (ko
Inventor
다이스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9004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용이하게 링과 엘리먼트를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링으로부터 엘리먼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 무단 환상의 링 (8) 을 수용하는 오목부 (7) 가 형성된 다수의 엘리먼트 (1) 를, 오목부 (7) 가 외주측이 되도록 환상으로 배열하고, 그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 (1) 의 열에서의 오목부 (7) 에 링 (8) 을 끼워넣고 걸어맞춰 이루어지는 전동 벨트 (V) 에 있어서,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 (1) 의 열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엘리먼트 (1) 끼리가 각각의 대향면의 면내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판편상 (板片狀) 의 다수의 엘리먼트를 서로 대면시켜 환상으로 배치하고, 그들 엘리먼트를 무단 환상의 링에 조립함으로써 환상으로 결속시켜 구성한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회전 부재끼리 사이에서 동력의 전달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변속기로서, 변속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유단 변속기와 변속비를 연속하여 즉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는 무단 변속기가 있다. 후자의 무단 변속기로서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및 도넛형 (toroidal type) 무단 변속기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벨트식 무단 변속기는, 구동측 풀리 및 종동측 풀리의 2 세트의 풀리와, 그들의 풀리에 감겨지는 전동 벨트를 사용하여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키는 변속기이다. 그러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사용되는 전동 벨트로서, 예를 들어, 엘리먼트 혹은 블록 등이라 칭해지는 다수의 판편을 그 판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서 환상으로 배열함과 함께, 그들 판편을 링 혹은 밴드 혹은 캐리어 등으로 불리는 환상의 띠 형상체로 환상으로 결속함으로써, 무단 환상으로 형성된 벨트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동 벨트가, 구동측 및 종동측의 2 세트의 풀리에 감긴 상태에서 구동측 풀리가 구동되면, 엘리먼트에는, 엘리먼트와 구동측 풀리의 접촉 부분의 마찰력, 및, 구동측 풀리의 토크에 따라 구동측 풀리로부터 엘리먼트에 대해 가해지는 엘리먼트의 적층 방향, 즉 엘리먼트의 두께 방향의 압축력이 작용된다. 그리고, 구동측 풀리에 접촉되어 있는 엘리먼트에 전달된 압축력은, 풀리에 감겨 있지 않은 엘리먼트를 경유하여, 종동측 풀리에 접촉되어 있는 엘리먼트에 전달된다. 이 종동측 풀리에 접촉되어 있는 엘리먼트에 압축력이 전달되면, 그 엘리먼트와 종동측 풀리의 접촉 부분의 마찰력, 및 전달된 압축력에 따라 종동측 풀리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토크가 발생한다. 이렇게 하여, 구동측 풀리와 종동측 풀리 사이로, 전동 벨트를 통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전동 벨트의 일례로서, 자동차나 농기구의 주 구동이나 보기 구동의 벨트 무단 변속에 사용되는 벨트로서, 센터 벨트와 내측압 (耐側壓) 을 보강하는 블록 으로 이루어지는 「고부하 전동 벨트」에 관한 발명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919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9195호에 기재되어 있는 전동 벨트는, 상단에 걸림부를 갖고 있는 2 개의 벨트 측부, 및 그들을 하단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에 의해 형성된 블록 (엘리먼트) 과, 그 엘리먼트의 양 걸림부 사이에 개구하고 있는 끼워맞춤홈에, 양 걸림부에 의해 엘리먼트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끼워넣어져 있는 2 개의 무단 캐리어 (링)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엘리먼트의 2 개의 벨트 측부의 전후면에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전후의 엘리먼트끼리의 사이에서 그들 볼록부와 오목부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엘리먼트가 벨트 주행중에도 정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93796호에는, 자동차의 무단 변속기 등에 사용되는 「금속 벨트용 엘리먼트 및 금속 벨트」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93796호에 기재되어 있는 금속 벨트는, 구동 풀리와 피구동 (종동) 풀리의 환상 홈 사이에서 감겨지는 무단 띠형상의 금속제 밴드 (링) 와, 풀리의 환상 홈과 접하는 몸체부, 및 몸체부에 세워져 있는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필러부, 및 각 필러부의 선단에 형성된 각 걸어맞춤 돌기 사이에 형성된 밴드 삽입 개구부 (오목부) 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금속제 엘리먼트와, 링보다 약간 폭이 넓고 또한 무단 띠형상을 이루는 금속제 탈락 방지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탈락 방지체는, 폭이 넓은 통상 상태로부터 폭이 좁은 요곡 (撓曲)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이 탈락 방지체를 엘리먼트의 각 걸어맞춤 돌기에 걸어맞춤으로써 엘리먼트의 링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상기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9195호에 기재되어 있는 전동 벨트는, 엘리먼트의 양단의 벨트 측부에 링과 엘리먼트를 거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 벨트 측부 상방의 평면 부분에 인접하는 엘리먼트 사이에서 서로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용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끼워맞춤용 요철부는, 엘리먼트의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2 군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벨트 측부의 사이에 형성된 끼워맞춤홈에 2 열의 링을 끼워넣고, 걸림부에서 걸리도록 조립함으로써, 전동 벨트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동 벨트에 있어서는, 링에 엘리먼트를 조립한 경우, 혹은 링에 조립된 엘리먼트를 링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2 열로 병렬되어 있던 링의 일부를 서로 겹쳐진 상태로 실현시킬 필요가 있다. 즉 2 열의 링에 대해 엘리먼트를 조립하거나 떼어내거나 하는 경우에는, 2 열의 링에 비틀림을 가하여 서로 겹치게 함으로써, 2 열의 링의 폭을 엘리먼트의 양 걸림부 사이의 개구폭보다 좁은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2 열의 링에 비틀림을 가하여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엘리먼트끼리를 각각의 대향면 내에서 상대 회전, 즉 롤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9195호에 기재되어 있는 전동 벨트는, 인접하는 엘리먼트사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지는 요철부가 엘리먼트의 좌우 양측으로 2 군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먼트끼리의 롤링 방향의 동작이 규제되어 버린다. 그 결과, 2 열의 링을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하기가 곤란해져, 전동 벨트를 조립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93796호에 기재되어 있는 전동 벨트는, 엘리먼트의 좌우 양단의 필러부에 각각 걸어맞춤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각 걸어맞춤 돌기간의 폭보다 폭이 좁은 1 열의 링에 의해 다수의 엘리먼트가 환상으로 결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엘리먼트에 링을 삽입하는 조립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조립 후의 엘리먼트의 링으로부터의 탈락 방지를 위해서, 링과는 별도 부재의 탈락 방지체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이하게 링과 엘리먼트를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링으로부터 엘리먼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단 환상의 링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다수의 엘리먼트를, 상기 오목부가 외주측이 되도록 환상으로 배열하고, 그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의 열에서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링을 끼워넣고 걸어맞춰 이루어지는 전동 벨트에 있어서, 상기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의 열에서의 인접하는 엘리먼트끼리가 각각의 대향면의 면내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벨트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가, 상기 오목부의 개구폭이 상기 링의 폭보다 좁아지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저부측의 폭이 상기 링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동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가, 인접하는 다른 엘리먼트 측으로 돌출되는 끼워맞춤 볼록부를 일방의 측면에 갖고 또한 그 끼워맞춤 볼록부에 여유있게 끼워지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타방의 측면에 갖고 있음과 함께, 이들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를 통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전동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 및 끼워맞춤 오목부가 상기 각 측면의 각각 1 군데에 형성되어 있는 전동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 및 끼워맞춤 오목부가 상기 엘리먼트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전동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가, 상기 오목부에서의 개구단측 내측면에 상기 링을 걸어맞춰 그 이탈을 방지하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측을 향한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들 각 돌기부의 간격이 상기 링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동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이,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전동 벨트의 외주측으로 적층됨과 함께, 상기 각 돌기부의 사이에 배치된 외층부를 갖고 있는 전동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이,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2 열로 병렬되어 있는 전동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단 환상 2 열의 링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다수의 엘리먼트를, 상기 오목부가 외주측이 되도록 환상으로 배열하고, 그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의 열에서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링을 끼워넣고 걸어맞춰 이루어지는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2 열의 링에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그들 2 열의 링이 서로 겹쳐진 중첩 상태와, 서로 병렬된 병렬 상태를 동시에 설정하고, 상기 중첩 상태 부분에서 상기 2 열의 링을 상기 오목부에 끼워넣고, 그 후, 상기 엘리먼트를 상기 병렬 상태 부분으로 이동시켜 상기 2 열의 링을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첩 상태를 설정했을 때에, 그 중첩 상태 부분에서의 상기 2 열의 링의 폭을 상기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좁게함과 함께, 상기 병렬 상태 부분에서의 상기 2 열의 링의 폭을 상기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넓게 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저부측의 폭보다 좁게 하는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상기 2 열의 링이 걸어맞춰져 배열되어 있는 상기 엘리먼트를, 인접하는 다른 엘리먼트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중첩 상태를 설정하는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무단 환상의 링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엘리먼트가, 인접하는 엘리먼트사이에서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즉 인접하는 엘리먼트끼리의 사이에서 엘리먼트를 롤링시킬 수 있게 되도록, 구성되어 연결된다. 그 때문에, 엘리먼트를 롤링시키면서 엘리먼트의 오목부에 링을 끼워넣고 걸어맞출 수 있어, 엘리먼트와 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의 개구부측에서의 개구폭이 링의 폭보다 좁아짐과 함께, 오목부의 저부측에서의 폭이 링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엘리먼트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오목부에 링을 용이하게 끼워넣고, 엘리먼트와 링을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먼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에 끼워맞춤 볼록부 및 끼워맞춤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들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가, 인접하는 엘리먼트사이에서 서로 소정의 간극을 갖고 끼워맞춤으로써, 각 엘리먼트끼리가 연결된다. 그 때문에, 환상으로 배열되는 각 엘리먼트가 적정하게 위치 결정됨과 함께, 그들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의 끼워맞춤 부분이 슬라이딩되어 엘리먼트를 롤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먼트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가, 엘리먼트의 각 측면의 각각 1 군데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환상으로 배열되는 각 엘리먼트가 적정하게 위치 결정됨과 함께, 1 군데의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의 끼워맞춤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용이하게 엘리먼트를 롤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먼트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가, 엘리먼트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혹은 거의 중앙부의, 엘리먼트의 각 측면의 각각 1 군데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환상으로 배열되는 각 엘리먼트가 적정하게 위치 결정됨과 함께, 엘리먼트의 중앙 부분의 1 군데의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의 끼워맞춤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엘리먼트를 폭 방향에 있어서 좌우가 균형있게 롤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먼트의 오목부의 개구단측 내측면에 형성된 각 돌기부의, 오목부의 중심측을 향한 각각의 선단 사이의 거리, 즉 오목부의 개구폭이, 링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에 링을 끼워넣어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어, 엘리먼트와 링이 이탈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먼트의 오목부에 끼워넣어져 걸어맞춰지는 링에 대해, 그 외주측에서 엘리먼트의 오목부의 각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외층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엘리먼트의 오목부의 각 돌기부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엘리먼트의 오목부에 링을 끼워넣고 걸어맞출 수 있다. 그 결과, 링의 단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전동 벨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먼트의 오목부에 끼워넣어져 걸어맞춰지는 링이, 병렬로 배치된 2 열의 링에 의해 구성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엘리먼트를 롤링시킴으로써, 링에 비틀림을 가하여 2 열의 링을 서로 겹치게 하여, 2 열의 링이 병렬된 부분에 대해 링의 폭이 좁아진 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먼트와 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 열의 링을 엘리먼트에 조립하는 경우, 2 열로 병렬된 링에 비틀림이 가해져, 2 열의 링이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된다. 2 열의 링을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함으로써, 그 부분에서의 링의 폭을 2 열의 링을 병렬시키고 있는 부분의 링의 폭에 반해 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2 열의 링을 서로 겹치게 하여 링의 폭이 좁아진 부분에 엘리먼트의 오목부가 끼워넣어지고, 그 후, 엘리먼트가 링의 원주 방향으로 2 열의 링이 병렬되어 있는 부분까지 이동되어, 엘리먼트의 오목부에 2 열의 링이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엘리먼트의 오목부에 2 열의 링을 끼워넣고 걸어맞출 수 있어 엘리먼트와 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 열의 링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게 한 부분에서의 링의 폭이 엘리먼트의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좁아지도록, 또, 2 열의 링을 병렬시킨 부분에서의 링의 폭이 엘리먼트의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넓고 또한 오목부의 저부측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설정된다. 그 때문에, 2 열의 링을 서로 겹치게 한 부분에서, 링을 엘리먼트의 오목부의 개구부측에서 저부측까지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그리고, 2 열의 링을 서로 겹치게 한 부분이 오목부에 끼워넣어진 엘리먼트를 2 열의 링이 병렬된 부분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링을 엘리먼트의 오목부에 용이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먼트와 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병렬하는 2 열의 링이 걸어맞춰져 배열되어 있는 엘리먼트를 인접하는 다른 엘리먼트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즉 롤링시켜, 2 열로 병렬된 링에 비틀림을 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엘리먼트를 롤링시킴으로써 용이하게 2 열의 링을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할 수 있어, 엘리먼트와 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벨트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그 전동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벨트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그 전동 벨트의 일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의 전동 벨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를 롤링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전동 벨트를 구성하는 링을 겹쳐진 상태와, 병렬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벨트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 다.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전동 벨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를 롤링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벨트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벨트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벨트의 실시예로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에 의한 조립예를, 이하에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전동 벨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 및 링의 구성을, 도 1,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전동 벨트 (V) 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구동측 (입력축) 풀리와 종동측 (출력축) 풀리에 감겨, 그들 풀리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엘리먼트 (1) 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판편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폭 방향 (도 1 의 x 축 방향) 에서의 좌우 양 측면 (2, 3) 이 테이퍼상의 경사진 면으로서 형성된 기체 (본체) 부 (4) 를 갖고, 그 테이퍼상으로 경사진 좌우측면 (2, 3) 이 벨트식 무단 변 속기의 구동측 풀리 혹은 종동측 풀리인 풀리 (5) 의 벨트 걸이 홈 (V 형 홈) (5a) 에 마찰 접촉하여 토크를 전달하게 되어 있다.
기체부 (4) 의 폭 방향 (도 1 의 x 축 방향) 에서의 좌우의 양단 부분에, 엘리먼트 (1) 의 상하 방향 (도 1, 도 2 의 y 축 방향) 에서의 상방으로 연장된 기둥부 (6)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체부 (4) 의 도 1, 도 2 에서의 상측의 에지 부분인 상단면 (4a) 과, 좌우 양 기둥부 (6) 의 기체부 (4) 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을 향한 양 내측면 (6a) 에 의해, 엘리먼트 (1) 의 상측 (도 1 의 y 축 방향에서의 상측) 즉 전동 벨트 (V) 의 외주측으로 개구된 오목부 (7)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7) 는, 서로 밀착하여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 (1) 를 환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무단 환상 링 (8) 을 삽입하여 수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따라서 상단면 (4a) 이 링 (8) 의 내주면을 접촉시켜 탑재하는 새들면 (4a) 으로 되어 있다.
링 (8) 은, 예를 들어 금속제의 환상 띠 형상체를, 원주 방향으로 복수장 적층시켜 형성한, 소위 적층 링으로서, 오목부 (7) 의 내부에서 2 열로 병렬되는 2 개의 링 (8a) 과 링 (8b)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링 (8a, 8b) 은, 예를 들어 형상·치수, 재질, 강도가 동등한 2 개의 금속제 적층 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우 양 기둥부 (6) 의 상단 부분에는, 양 선단면 (9a) 이 각각 기체부 (4) 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된 돌기부 (9) 가 양 기둥부 (6) 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 (7) 의 개구단 (오목부 (7) 에서의 전동 벨트의 외주측의 단부) 측의 내측면 (6a) 에, 오목부 (7) 의 폭 방향 (도 1 의 x 축 방향) 에서의 중심측을 향한 돌기부 (9)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 (7) 의 개구폭이, 오목부 (7) 의 개구단측에서는, 대향하는 양 선단면 (9a) 사이의 거리 (W1) 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 (7) 의 저부 (7a) (즉 새들면 (상단면) (4a) 측에서는, 양 선단면 (9a) 사이의 거리 (개구폭) (W1) 보다 넓은 개구폭 (W2) 으로 되어 있다.
이 엘리먼트 (1) 는, 환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링 (8) 에 의해 결속되고, 그 상태로 구동측 및 종동측의 각각의 풀리 (5) 에 감긴다. 따라서 풀리 (5) 에 감긴 상태에서는, 각 엘리먼트 (1) 가 풀리 (5) 의 중심에 대해 부채꼴로 펼쳐지고 또한 서로 밀착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각 엘리먼트 (1) 의 도 1, 도 2 에서의 하측 부분 (환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의 중심측의 부분) 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즉, 기체부 (4) 의 일방의 면 (예를 들어 도 2 에서의 좌측의 면) 에서의 상기 새들면 (4a) 보다 소정 치수 내려간 (오프셋된) 부분으로부터 하측 부분이 깍여진 상태에서 점차 두께가 얇아져 있다. 따라서, 각 엘리먼트 (1) 가 부채꼴로 펼쳐져 접촉하는 상태, 바꾸어 말하면, 각 엘리먼트 (1) 가 풀리 (5) 에 감아 원호상으로 만곡하여 배열되어 벨트가 만곡되는 벨트 만곡 상태에서, 그 판 두께가 변화하는 경계 부분에서 접촉한다. 이 경계 부분의 에지가, 소위 록킹 엣지 (10) 로 되어 있다.
엘리먼트 (1) 의 기체부 (4) 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는, 엘리먼트 (1) 가 풀리 (5) 에 감기지 않고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벨트 직선 상태에 있어서 엘리먼트 (1) 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끼워맞춤 볼록부 (딤플) (11) 와 끼워맞춤 오목부 (홀) (12)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체부 (4) 의 일방의 면측 (도 2 의 예에서는, 록킹 엣지 (10) 가 있는 면측) 에 볼록해지는 원추 사다리꼴의 딤플 (1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딤플 (11) 과는 반대측의 면에, 인접하는 엘리먼트 (1) 에서의 딤플 (11) 을 느슨하게 끼워 맞추게 (여유있게 끼움) 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홀 (12)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 직선 상태에서 이들 딤플 (11) 과 홀 (12) 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그 상태에서의 엘리먼트 (1) 끼리의 도 1 에서의 좌우 방향 상하 및 방향의 상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벨트식 무단 변속기가 운전되는 경우에, 전동 벨트 (V) 의 덜컹거림을 방지하여 전동 벨트 (V) 를 안정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벨트 (V) 는, 엘리먼트 (1) 와 링 (8) 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엘리먼트 (1) 에는, 상기와 같이, 전동 벨트 (V) 로서의 외주측에 오목부 (7) 가 형성됨과 함께, 그 오목부 (7) 의 개구단측 내측면에, 오목부 (7) 의 중심측을 향한 돌기부 (9)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환상으로 배열될 때에 인접하는 다른 엘리먼트 (1) 측으로 돌출하는 딤플 (11) 이 엘리먼트 (1) 의 두께 방향에서 의 일방의 측면에 형성되고, 그 딤플 (11) 과 여유있게 끼워지는 홀 (12) 이 타방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딤플 (11) 및 홀 (12) 은, 기체부 (4) 의 엘리먼트 (1) 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각각 1 군데씩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체부 (4)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으로서, 엘리먼트 (1) 의 양 측면의 각각 1 군데에, 딤플 (11) 및 그 딤플 (11) 과 여유있게 끼워지는 홀 (12) 이 형성되고, 그들 딤플 (11) 과 홀 (12) 에 의한 끼워맞춤부가 1 군데에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엘리먼트 (1) 가 환상으로 배열되어 연결되었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엘리먼트 (1) 끼리를 각각의 대향면의 면내에서 상대 회전시키는 것, 즉, 서로 인접하는 엘리먼트 (1) 끼리 사이에서 롤링시킬 수 있다.
한편, 링 (8) 은, 상기와 같이, 2 개의 링 (8a) 과 링 (8b)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8a) 과 링 (8b) 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함으로써, 링 (8) 으로서, 링 (8a) 과 링 (8b) 이 서로 겹쳐진 중첩 상태 (도 4 의 A 부에 나타내는 상태) 와, 링 (8a) 와 링 (8b) 이 서로 병렬된 병렬 상태 (도 4 의 B 부에 나타내는 상태) 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또, 링 (8) 은, 엘리먼트 (1) 가 조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 혹은 비교적 소수의 엘리먼트 (1) 밖에 조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링 (8a) 과 링 (8b) 의 동작의 자유도가 있어, 비교적 용이하게 중첩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반해, 비교적 다수의 엘리먼트 (1) 가 조립된 상태 (예를 들어, 링 (8) 의 전체 둘 레의 대략 절반 이상의 범위에서 엘리먼트 (1) 가 조립된 상태) 에서는, 각 엘리먼트 (1) 의 열에 의해 링 (8a) 과 링 (8b) 의 동작이 규제되어, 중첩 상태를 설정하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전동 벨트 (V) 에서의 엘리먼트 (1) 는, 상기와 같이, 환상으로 배열되어 연결되었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엘리먼트 (1) 끼리의 사이에서 롤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링 (8) 에 비교적 다수의 엘리먼트 (1) 가 조립된 상태라도, 엘리먼트 (1) 를 롤링시킴으로써 링 (8) 에 비틀림을 작용시켜, 용이하게 중첩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병렬 상태 부분에서의 링 (8) 의 폭 (즉, 링 (8a) 의 폭과 링 (8b) 의 폭의 거의 합계) (L1) 이 상기 서술한 개구폭 (W1) 보다 넓어짐과 함께 또한 개구폭 (W2) 보다 좁아지도록, 각 링 (8a, 8b) 의 형상·치수 등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링 (8) 을 중첩 상태로 함으로써, 링 (8) 의 폭을 좁게 하여, 그 중첩 상태 부분에서의 링 (8) 의 폭 (L2) 을 개구폭 (W1) 보다 좁게 할 수 있도록, 각 링 (8a, 8b) 의 형상·치수 등이 설정되어 있다.
즉, 오목부 (7) 의 개구폭 (W1) 이 링 (8) 의 폭 (L1) 보다 좁고 또한 개구폭 (W2) 이 링 (8) 의 폭 (L1) 보다 넓어지도록, 엘리먼트 (1) 및 링 (8) 이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중첩 상태 부분에서의 링 (8) 의 폭 (L2) 이 오목부 (7) 의 개구폭 (W1) 보다 좁아짐과 함께, 병렬 상태 부분에서의 링 (8) 의 폭 (L1) 이 오목부 (7) 의 개구폭 (W1) 보다 넓어지고 또한 오목부 (7) 의 개구폭 (W2) 보다 좁아지도록, 엘리먼트 (1) 및 링 (8) 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 (8) 을 중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중첩 상태 부분을, 양 선단면 (9a) 사이를 통과시켜 오목부 (7) 에 끼워넣을 수 있다. 그리고, 링 (8) 의 중첩 상태 부분을, 양 선단면 (9a) 의 사이를 통과시켜 오목부 (7) 에 끼워넣은 후에, 엘리먼트 (1) 를 링 (8) 의 병렬 상태 부분까지 이동시키는 것, 혹은 오목부 (7) 가 끼워넣어진 부분을 병렬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오목부 (7) 내에서 링 (8) 을 양 돌기부 (9) 에 의해 걸어 고정시켜, 오목부 (7) 로부터의 링 (8) 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 즉 링 (8) 을 오목부 (7) 에 끼워넣고 걸어맞출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먼트 (1) 와 링 (8) 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전동 벨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 및 링의 구성을, 도 5, 도 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끼워맞춤 볼록부 및 끼워맞춤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 (딤플 (11) 및 홀 (12)) 이 기체부 (4) 의 엘리먼트 (1) 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예인데 반해, 이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의 끼워맞춤 볼록부 및 끼워맞춤 오목부에 각각 상당하는 부분이, 기체부 (4) 의 엘리먼트 (1) 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부 이외에, 각각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1, 도 2 에 나타낸 제 1 구성도와 동일한 구성인 부분에 대해서는, 도 1, 도 2 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도 6 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딤플 (11) 및 홀 (12) 과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 끼워맞춤 볼록부 (딤플) (21) 및 끼워맞춤 오목부 (홀) (22) 이 예를 들어 좌우 어느 일방 (도 5 의 예에서는 우측) 의 기둥부 (6) 의 평면 부분의 1 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즉, 좌우 어느 일방의 기둥부 (6) 의 일방의 면측 (도 5 의 예에서는, 록킹 엣지 (10) 가 있는 면측) 에 볼록해지는 원추 사다리꼴의 딤플 (2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딤플 (21) 과는 반대측의 면에, 인접하는 엘리먼트 (1) 에서의 딤플 (21) 을 느슨하게 끼워 맞추게 (여유있게 끼움) 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홀 (22)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딤플 (21) 및 홀 (22) 은, 좌우 어느 일방의 기둥부 (6) 의 평면 부분에, 각각 1 군데씩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 어느 일방의 기둥부 (6) 의 평면 부분으로서, 엘리먼트 (1) 의 양 측면의 각각 1 군데에, 딤플 (21) 및 그 딤플 (21) 과 여유있게 끼워지는 홀 (22) 이 형성되고, 그들 딤플 (21) 과 홀 (22) 에 의한 끼워맞춤부가 1 군데에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엘리먼트 (1) 가 환상으로 배열되어 연결되었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엘리먼트 (1) 끼리를 각각의 대향면의 면내에서 상대 회전시키는 것, 즉, 서로 인접하는 엘리먼트 (1) 끼리의 사이에서 롤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전동 벨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 및 링의 구성 을, 도 7,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링 (8) 이 모두 링의 폭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2 개의 링 (8a, 8b) 에 의해 구성된 예인데 반해, 이 제 3 실시예는, 모두 링의 폭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2 개의 링과, 그들 2 개의 링의 외주측에 각각 형성되고, 그들 2 개의 링의 폭보다 폭이 좁은 다른 2 개의 링에 의해 링 (8) 이 구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1, 도 2 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부분에 대해서는 도 1, 도 2 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에 있어서, 링 (31) 은, 2 개의 링 (8a, 8b) 에 의해 구성된 제 1 실시예에서의 링 (8) 에 대해, 2 개의 링 (31a, 31b) 과 그들 링 (31a, 31b) 의 외주면측 (도 7 에서의 상측) 에 각각 적층되고 또한 링 (31a, 31b) 의 폭보다 폭이 좁은 다른 2 개의 링 (31c, 31d)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실시예에서의 링 (8a, 8b) 과 마찬가지로, 링의 폭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형성된 링 (31a) 및 링 (31b) 이 2 열로 병렬되어 있고, 그들 링 (31a, 31b) 의 외주면측에 외층 링 (31c) 및 외층 링 (31d) 이 각각 적층됨과 함께, 양 돌기부 (9) 의 사이에 즉 개구폭 (W1) 의 범위 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병렬 상태 부분에서의 링 (31) 의 폭, 즉 링 (31a) 과 링 (31b) 이 병렬되어 있는 부분의 폭 (L3) 이 상기 서술한 개구폭 (W1) 보다 넓어짐과 함께 또한 개구폭 (W2) 보다 좁아지도록, 각 링 (31a, 31b) 의 형상·치수 등이 설정되어 있다. 또, 그들 링 (31a, 31b) 의 외주면에 각각 적층되어, 외층 링 (31c) 과 외층 링 (31d) 이 병렬되어 있는 부분의 폭 (L4) 이 개구폭 (W1) 보다 좁아지도록, 각 외층 링 (31c, 31d) 의 형상·치수 등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링 (31) 을 중첩 상태로 함으로써, 링 (31) 의 폭을 좁게 하여, 그 중첩 상태 부분 에서의 링 (31) 의 폭을 개구폭 (W1) 보다 좁게 할 수 있도록, 링 (31) 의 최대폭을 규정하고 있는 각 링 (31a, 31b) 의 형상·치수 등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링 (31) 을 중첩 상태로 함으로써, 그 중첩 상태 부분을 양 선단면 (9a) 사이를 통과시켜 오목부 (7) 에 끼워넣을 수 있다. 그리고, 링 (31) 의 중첩 상태 부분을, 양 선단면 (9a) 의 사이를 통과시켜 오목부 (7) 에 끼워넣은 후에, 엘리먼트 (1) 를 링 (31) 의 병렬 상태 부분까지 이동시키는 것, 혹은 오목부 (7) 가 끼워넣어진 부분을 병렬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오목부 (7) 내에서 링 (31) 을 양 돌기부 (9) 에 걸어 고정시켜, 오목부 (7) 로부터의 링 (31) 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 즉 링 (31) 을 오목부 (7) 에 끼워넣고 걸어맞출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먼트 (1) 와 링 (31) 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엘리먼트 (1) 와 링 (31) 을 조립할 때에 엘리먼트 (1) 의 양 돌기부 (9) 사이에 배치되는 외층 링 (31c) 및 외층 링 (31d) 이 링 (31a) 및 링 (31b) 의 외주측에 각각 적층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엘리먼트 (1) 와 링 (31) 의 구성에 의한 양호한 조립성을 유지하면서, 링 (31) 의 단면적을 증대시켜, 링 (31) 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기존에 제조된 전동 벨 트 (V) 에 대해, 링 (8) 의 외주측에 상기와 같은 외층 링 (31c) 및 외층 링 (31d) 을 추가하여 적층시킴으로써, 양 돌기부 (9)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또 엘리먼트 (1) 의 형상·치수를 변경하지 않고, 전동 벨트 (V) 의 강도, 즉 전동 벨트 (V) 의 토크 용량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은, 상기 서술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있어서, 링 (32) 은, 링 (31) 과 마찬가지로, 2 개의 링 (32a, 32b) 과, 그들 링 (32a, 32b) 의 외주면측 (도 8 에서의 상측) 에 각각 적층되고 또한 링 (32a, 32b) 의 폭보다 폭이 좁은 다른 2 개의 링 (32c, 32d)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링의 폭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형성된 링 (32a) 및 링 (32b) 이 2 열로 병렬되어 있고, 그들 링 (32a, 32b) 의 외주면측에 외층 링 (32c) 및 외층 링 (32d) 이 각각 적층됨과 함께, 양 돌기부 (9) 의 사이에 즉 개구폭 (W1) 의 범위 내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링 (32) 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링 (32) 은, 링 (32a, 32b) 의 두께 (T1) 에 대해 링 (32c, 32d) 의 두께 (T2) 가 두꺼워지도록, 바꾸어 말하면, 링 (32a, 32b) 의 두께 (T1) 가 링 (32) 으로서의 강도상 및 기능상 필요한 두께의 범위에서 가급적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그것에 수반하여, 이 실시예에서의 엘리먼트 (1) 는, 엘리먼트 (1) 와 링 (32) 을 조립할 때, 즉 각 링 (32a, 32b) 이 양 돌기부 (9) 의 내주측 (도 8 에서의 하측) 에서 오목부 (7) 에 걸어맞춰졌을 때에, 엘리먼트 (1) 의 양 기둥부 (6) 에서의 각 링 (32a, 32b) 을 수용하는 부분 (기둥부 (6) 의 목부) (6b) 의 길이가, 각 링 (32a, 32b) 을 수용하기 위해서 기능상 필요한 길이의 범위에서 가급적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 (32a, 32b) 의 두께 (T1) 가 가급적 얇아지도록 링 (32) 을 형성하고, 그 링 (32a, 32b) 의 두께 (T1) 에 대응하여, 양 목부 (6b) 가 가급적 짧아지도록 엘리먼트 (1) 를 형성함으로써, 엘리먼트 (1) 의 중량 및 관성 모멘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들 엘리먼트 (1) 와 링 (32) 에 의해 구성되는 전동 벨트 (V) 가 주행될 때에, 링 (32) 이 엘리먼트 (1) 로부터 받는 관성 모멘트가 저감되어 링 (32) 의 내구성, 즉 전동 벨트 (V)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립예)
본 발명의 전동 벨트 (V) 의 조립예를, 도 1 내지 도 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병렬된 링 (8a) 및 링 (8b) 의 링 원주 방향에서의 소정의 부분을 서로 겹치게 하여 링 (8) 의 중첩 상태를 설정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 상태를 설정함으로써, 링 (8) 에서는 중첩 상태와 병렬 상태가 동시에 설정된다. 링 (8) 의 중첩 상태 부분에서는, 링 (8) 의 폭 (L2) 이 엘리먼트 (1) 의 개구폭 (W1) 보다 좁아지기 때문에, 이 중첩 상태 부분으로부터, 1 장 혹은 미리 배열된 복수장의 엘리먼트 (1) 의 오목부 (7) 에 링 (8) 이 끼워넣어진다.
계속해서, 오목부 (7) 에 링 (8) 의 중첩 상태 부분이 끼워넣어진 1 장 혹은 복수장의 엘리먼트 (1) 가 링 (8) 의 원주 길이 방향으로 링 (8) 의 병렬 상태 부 분까지 이동된다. 링 (8) 의 병렬 상태 부분에서는, 링 (8) 의 폭 (L1) 이 엘리먼트 (1) 의 개구폭 (W2) 보다 좁고 또한 엘리먼트 (1) 의 개구폭 (W1) 보다 넓어지기 때문에, 오목부 (7) 에 링 (8) 이 끼워넣어진 엘리먼트 (1) 가 링 (8) 의 병렬 상태 부분까지 이동되면, 그 병렬 상태 부분에서는, 링 (8) 이 오목부 (7) 의 양 돌기부 (9) 에 의해 걸려, 오목부 (7) 에 걸어맞춰진다. 즉, 엘리먼트 (1) 와 링 (8) 이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1 장 혹은 복수장의 엘리먼트 (1) 의 오목부 (7) 에 링 (8) 의 중첩 상태 부분을 끼워넣고, 그 1 장 혹은 복수장의 엘리먼트 (1) 를 링 (8) 의 병렬 상태 부분까지 이동시키는 작업이 순차 반복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 (1) 와 링 (8) 의 조립 초기의 단계에서는 링 (8a) 과 링 (8b) 을 자유롭게 동작시킬 수 있어, 비교적 용이하게 링 (8) 의 중첩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링 (8) 과 비교적 다수의 엘리먼트 (1) 가 조립된 단계에서는, 딤플 (11) 과 홀 (12) 이 끼워 맞춰져 연결된 각 엘리먼트 (1) 의 열에 의해 링 (8a) 과 링 (8b) 의 동작이 규제되어, 링 (8) 의 중첩 상태를 설정하기가 점차 곤란해진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벨트 (V) 의 조립 방법에서는, 링 (8) 이 조립된 부분의 엘리먼트 (1) 의 열에 대해 소정의 방법으로 외력을 가하여 엘리먼트 (1) 를 롤링시킴으로써, 링 (8) 에 링 (8) 을 비트는 방향의 힘이 작용되어, 링 (8) 의 중첩 상태가 설정된다.
원하는 모든 엘리먼트 (1) 의 오목부 (7) 에 링 (8) 이 끼워넣어지면, 엘리 먼트 (1) 에 가해지고 있던 외력이 해제되고, 롤링되고 있던 엘리먼트 (1) 의 열이 소기의 상태로 되돌려짐으로써 링 (8) 의 중첩 상태가 해소된다. 즉 링 (8) 의 전체가 병렬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모든 엘리먼트 (1) 의 오목부 (7) 에 링 (8a, 8b) 이 병렬된 링 (8) 이 걸어맞춰져, 즉, 모든 엘리먼트 (1) 와 링 (8) 이 조립되고 전동 벨트 (V) 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벨트 (V) 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2 열로 병렬된 링 (8a, 8b) 에 의해 구성된 링 (8) 과 엘리먼트 (1) 를 조립하는 경우, 링 (8) 에 비틀림이 가해져, 링 (8a) 과 링 (8b) 이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된다. 링 (8a) 과 링 (8b) 을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함으로써, 그 부분에서의 링 (8) 의 폭 (L2) 을 링 (8a) 과 링 (8b) 을 병렬시키고 있는 부분의 링의 폭 (L1) 에 대해 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링 (8a) 과 링 (8b) 을 서로 겹치게 한 부분에 엘리먼트 (1) 의 오목부 (7) 가 끼워넣어지고, 그 후, 엘리먼트 (1) 를 링 (8) 의 원주 길이 방향으로 링 (8a, 8b) 이 병렬되어 있는 부분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엘리먼트 (1) 의 오목부 (7) 에 링 (8) 이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엘리먼트 (1) 의 오목부 (7) 에 링 (8) 을 용이하게 끼워넣고 걸어맞출 수 있어 전동 벨트 (V) 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비교적 다수의 엘리먼트 (1) 가 링 (8) 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딤플 (11) 과 홀 (12) 이 끼워 맞춰져 서로 연결되어 배열되어 있는 엘리먼트 (1) 의 열에 대해 엘리먼트 (1) 에 외력을 작용시켜 엘리먼트 (1) 를 롤링시킴으로써 링 (8) 에 비틀림을 가하여 링 (8a) 과 링 (8b) 을 서로 겹쳐진 상태로 설정하여, 엘리먼트 (1) 와 링 (8) 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 (1) 와 링 (8) 의 조립이 완료된 전동 벨트 (V) 에 대해, 엘리먼트 (1) 와 링 (8) 을 떼어내어 분해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엘리먼트 (1) 를 롤링시킴으로써 링 (8) 에 비틀림을 가하여 링 (8a) 과 링 (8b) 을 서로 겹쳐진 상태로 설정하여, 엘리먼트 (1) 와 링 (8) 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동 벨트가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사용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전동 벨트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와 풀리에 의해 구성되는 다른 감기 전동 장치의 전동 벨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무단 환상의 링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다수의 엘리먼트를, 상기 오목부가 외주측이 되도록 환상으로 배열하고, 그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의 열에서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링을 끼워넣고 걸어맞춰 이루어지는 전동 벨트에 있어서,
    상기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의 열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엘리먼트끼리가 각각의 대향면의 면내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오목부의 개구폭이 상기 링의 폭보다 좁아지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저부측의 폭이 상기 링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동 벨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인접하는 다른 엘리먼트 측으로 돌출되는 끼워맞춤 볼록부를 일방의 측면에 갖고 또한 그 끼워맞춤 볼록부에 여유있게 끼워지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타방의 측면에 갖고 있음과 함께, 이들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를 통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전동 벨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 및 끼워맞춤 오목부가 상기 각 측면의 각각 1 군데에 형성되어 있는 전동 벨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 및 끼워맞춤 오목부가 상기 엘리먼트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전동 벨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오목부에서의 개구단측 내측면에 상기 링을 걸어맞춰 그 이탈을 방지하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측을 향한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들 각 돌기부의 간격이 상기 링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동 벨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전동 벨트의 외주측에 적층됨과 함께, 상기 각 돌기부 사이에 배치된 외층부를 갖고 있는 전동 벨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2 열로 병렬되어 있는 전동 벨트.
  9. 무단 환상 2 열의 링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다수의 엘리먼트를, 상기 오목부가 외주측이 되도록 환상으로 배열하고, 그 환상으로 배열된 엘리먼트의 열에서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링을 끼워넣고 걸어맞춰 이루어지는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2 열의 링에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그들 2 열의 링이 서로 겹쳐진 중첩 상태와 서로 병렬된 병렬 상태를 동시에 설정하고, 상기 중첩 상태 부분에서 상기 2 열의 링을 상기 오목부에 끼워넣고, 그 후, 상기 엘리먼트를 상기 병렬 상태 부분으로 이동시켜 상기 2 열의 링을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상태를 설정했을 때에, 그 중첩 상태 부분에서의 상기 2 열의 링의 폭이 상기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좁아짐과 함께, 상기 병렬 상태 부분에서의 상기 2 열의 링의 폭이 상기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넓어지게 또한 상기 오목부의 저부측의 폭보다 좁아지는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상기 2 열의 링이 걸어맞춰져 배열되어 있는 상기 엘리먼트를, 인접하는 다른 엘리먼트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중첩 상태를 설정하는 전동 벨트의 조립 방법.
KR1020097004043A 2006-08-28 2007-08-22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 KR101121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31268 2006-08-28
JP2006231268A JP4875950B2 (ja) 2006-08-28 2006-08-28 伝動ベルト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PCT/JP2007/066702 WO2008026613A1 (fr) 2006-08-28 2007-08-22 Courroie de transmission et son procédé d'assemb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822A true KR20090042822A (ko) 2009-04-30
KR101121409B1 KR101121409B1 (ko) 2012-03-19

Family

ID=3913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043A KR101121409B1 (ko) 2006-08-28 2007-08-22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258743A1 (ko)
EP (1) EP2058555A4 (ko)
JP (1) JP4875950B2 (ko)
KR (1) KR101121409B1 (ko)
CN (1) CN101512186B (ko)
BR (1) BRPI0715851A2 (ko)
RU (1) RU2413105C2 (ko)
WO (1) WO2008026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0898B2 (ja) * 2007-12-03 2011-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の製造方法
JP5115461B2 (ja) * 2008-12-09 2013-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装置および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JP2010138948A (ja) * 2008-12-09 2010-06-24 Toyota Motor Corp 伝動ベルトおよび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JP5251621B2 (ja) * 2009-03-09 2013-07-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伝達用ベルト
JP2010223405A (ja) * 2009-03-25 2010-10-07 Toyota Motor Corp 伝動ベルト
JP5146595B2 (ja) 2009-08-28 2013-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NL1041121B1 (en) * 2014-12-23 2016-10-11 Bosch Gmbh Robert A push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transmission provided therewith.
JP6852787B2 (ja) * 2017-06-02 2021-03-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伝動ベルト用エレメントおよび伝動ベルト
JP6740962B2 (ja) * 2017-06-09 2020-08-1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伝動ベルトおよび伝動ベルト用エレメント
JP2019065931A (ja) * 2017-09-29 2019-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
JP2019065930A (ja) * 2017-09-29 2019-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
JP6610636B2 (ja) * 2017-09-29 2019-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動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546U (ja) * 1981-07-10 1983-01-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ベルト
NL8302959A (nl) * 1983-08-24 1985-03-18 Gayliene Investments Ltd Drijfband.
NL8700156A (nl) * 1987-01-23 1988-08-16 Doornes Transmissie Bv Drijfriem, dwarselement voor een drijfriem en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JP3901356B2 (ja) * 1998-09-02 2007-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ベルト
JP3111186B1 (ja) * 1998-11-05 2000-11-20 福寿工業株式会社 金属ベルト用エレメント及び金属ベルト
WO2000028237A1 (fr) * 1998-11-05 2000-05-18 Fukuju Kogyo Kabushiki Kaisha Element de courroie metallique, courroie metallique et procede d'assemblage de la courroie metallique
JP2000205342A (ja) * 1999-01-19 2000-07-25 Mitsuboshi Belting Ltd 高負荷伝動ベルト
JP3755413B2 (ja) 2001-03-19 2006-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70529B2 (en) * 2001-05-30 2006-07-04 Mitsuboshi Belting Ltd. Power transmission belt
KR100771151B1 (ko) * 2003-08-26 2007-10-29 후꾸주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금속 벨트 및 이를 위한 푸시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2186B (zh) 2012-08-29
WO2008026613A1 (fr) 2008-03-06
BRPI0715851A2 (pt) 2013-07-23
RU2009111282A (ru) 2010-10-10
CN101512186A (zh) 2009-08-19
JP2008051322A (ja) 2008-03-06
EP2058555A4 (en) 2011-01-05
EP2058555A1 (en) 2009-05-13
KR101121409B1 (ko) 2012-03-19
JP4875950B2 (ja) 2012-02-15
RU2413105C2 (ru) 2011-02-27
US20090258743A1 (en)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409B1 (ko)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방법
JP4419998B2 (ja) 伝動ベルト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KR101076647B1 (ko) 전동 벨트 및 그 조립 장치 그리고 그 조립 방법
KR101132591B1 (ko) 전동 벨트 및 전동 벨트의 조립 장치 및 조립 방법 그리고 제조 방법
EP2233781A1 (en) Belt element and transmission belt
JP6838571B2 (ja) 伝動ベルト
KR101026973B1 (ko) 전동 벨트의 조립 장치 및 조립 방법 그리고 제조 방법
JP4858462B2 (ja) 伝動ベルト
JP5018545B2 (ja) 伝動ベルトおよび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JP4930412B2 (ja) 伝動ベルトおよび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JP4935712B2 (ja) 伝動ベルトおよび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JP2010242946A (ja) 伝動ベルト
EP3187750B1 (en)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mprising two types of transverse members of mutually different widths
JP2020085124A (ja) 伝動ベルト
JP4807351B2 (ja) 伝動ベルトおよび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EP3240963B1 (en) Method for assembling a drive belt with different types of transverse members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thus assembled drive belt
JP2010007860A (ja) 伝動ベルトの組付装置および組付方法ならびに製造方法
JP4968107B2 (ja) 伝動ベルトおよび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JP2009150424A (ja) ベルト用エレメントおよび伝動ベルト
JPH0756319B2 (ja) Vベルト
JP2009185842A (ja) 伝動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JP2014231882A (ja) Cvtベルト組み付け方法及び組み付け装置
JP2009197971A (ja) Vベルトおよびvベルトの組み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