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019A -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019A
KR20090033019A KR1020080093241A KR20080093241A KR20090033019A KR 20090033019 A KR20090033019 A KR 20090033019A KR 1020080093241 A KR1020080093241 A KR 1020080093241A KR 20080093241 A KR20080093241 A KR 20080093241A KR 20090033019 A KR20090033019 A KR 20090033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late
base joiner
outer edge
mount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906B1 (ko
Inventor
사토시 히카이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04F19/02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for outside use, e.g. imitating brick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씰링재를 사용하지 않고, 맞댐 접합부의 빈틈이 눈에 띄기 어렵고, 작업성이 좋은,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시공하는 외측 모서리 부재 및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2개의 판재가 대략 직각 형상으로 배치되어, 좌우에 인접되는 외벽판과 서로의 경사 단면을 맞대어 이루어지는 맞댐 접합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맞댐 접합부의 후방에 노치부를 갖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갖는 베이스 조이너, 및,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상기 베이스 조이너를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와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으로,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맞대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가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단부의 노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8066809966-PAT00001
모서리부 시공, 모서리부용 외벽재, 씰링재, 빌딩

Description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Outer corner members, structur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outer corner parts of bulding using the sames}
본 발명은, 씰링재(sealing material)를 사용함이 없이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외벽재를 시공하기 위한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딩 등의 외벽판을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시공하는 경우에,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가 사용되고, 그 좌우측에 외벽판이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와 상기 외벽판의 좌우 접속부에는 씰링재가 타설되고, 이러한 것에 의해, 상기 접속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고 있다. 이 씰링재로는, 실리콘 등의 수지를 시공현장에서 타설, 건조시켜 이루어지는 습식 씰링재와, 미리 성형한 방수재를 채워 넣어 이루어지는 건식 씰링재가 알려져 있다.
도 8에 습식 씰링재를 사용한 종래의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외장은, 기둥(F)의 외장측에 방수 지(G), 몸통 프레임(H)이 순차로 장착되고,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J) 및 외벽판(K)이 체결금구(I)에 의해서 몸통 프레임(H)을 통해 기둥(F)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J)와 외벽판(K)의 사이에 씰링재(M)를 타설하기 위하여,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J)와 외벽판(K)의 접속부의 내장측에 해트 조이너(L)가 장착되고, 해트 조이너(L)의 해트형의 돌기부에 의해, 씰링재(M)를 타설하기 위한 공간(폭, 깊이)이 확보된다. 그리고, 씰링재(M)는, 이 해트 조이너(L)의 돌기부의 표면과,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J)와 외벽판(K)의 접속부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도포, 타설되어,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J)와 외벽판(K)의 측면부를 서로 접착하는 동시에, 물이 옥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차례로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J)와 외벽판(K)을, 시공한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J)와 외벽판(K)의 위에 접속하는 것으로 외벽을 완성한다.
한편, 씰링재를 사용함이 없이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외벽재를 시공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도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도 9에 씰링을 사용하지 않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에서는 외측 모서리를 구성하는 모서리재(N)의 양측의 측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사이딩(O)이 반턱 쪽매 이음(shiplap)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씰링재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도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도 10에 씰링을 사용하지 않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모서리재(P)와 외벽 패널(Q)은 맞대어 접합되어 있고, 외측 모서리재(P)와 외벽 패널(Q)의 세로 접속부의 내장측에는, 방수재(R)가 장착된 해트 조이너(S)와 패킹(E)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45682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28529호
그러나, 씰링재의 타설을 필수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에서는, (1) 노출된 씰링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어, 그 내구성, 방수성 등의 성능이 저하되는 동시에, 변색 등에 의해 외관이 악화되고, (2) 씰링재의 사용이 필수이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상승하고, (3) 씰링재를 시공하는 시간과 수고가 든다는 작업면에서의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에서는 모서리재(N)와 사이딩(O)의 접합부에 씰링재를 타설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1) 내지 (3)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4) 시공현장에서의 반턱 쪽매 이음 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손이 많이 가고, 시공비가 상승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에서는 외측 모서리재(P)와 외벽 패널(Q)의 접합부에 씰링재를 타설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1) 내지 (3)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또한 외측 모서리재(P)와 외벽 패널(Q)은 맞댐 접합이기 때문에, 상술한 (4)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지만, 맞댐 접합을 하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 외벽 패널(Q)을 절단할 필요가 있고, (5) 맞댐 접합부에 빈틈이 생기기 쉬워, 빈틈이 눈에 띄기 쉬워지고, 또한, (6) 외벽 패널(Q)의 절단 개구를 시공현장에서 도장할 필요도 있지만, 외벽 패널(Q)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먼저 외측 모서리재(P)를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시공 후에는 외벽 패널(Q)의 절단 개구를 도장할 수 없어,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1) 내지 (6)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씰링재를 사용함이 없이 맞댐 접합부의 빈틈이 눈에 띄지 않고, 작업성이 좋고,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시공할 수 있는,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좌우에 외벽판을 인접 배치함으로써 외측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로서, 2개의 판재가 대략 직각 형상으로 배치되고, 좌우에 인접되는 외벽판과 서로의 경사 단면을 맞대어 이루어지는 맞댐 접합부를 갖고, 상기 맞댐 접합부의 후방에 노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이다.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로서는, 사이딩 등의 요업계 건재나, FRP 성형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맞댐 접합부의 경사 각도는 임의이지만, 이면에 대하여 110° 내지 1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표면측으로부터 맞댐 접합부에 걸쳐서, 맞댐 접합부와는 별도로 표면에 대하여 110° 내지 160°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접합부 단부의 파손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는 좌우에 인접되는 외벽판과 서로의 경사 단면을 맞대어 이루어지는 맞댐 접합부를 갖기 때문에, 좌우에 인접하는 외벽판과 맞대어 접합하였을 때,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의 사이에 다소의 빈틈이 발생하여도 눈에 띄지 않아서,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장착되는 베이스 조이너로서, 상기 베이스 조이너는,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구부러진 일체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측으로 돌출한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갖고, 상기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는,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단부의 후방에 형성된 노치부에 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조이너이다.
베이스 조이너는, 갈바륨 강판, 갈타이트 강판, 알루미늄 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합금도금 강판, 함석, 구리판 등의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강도, 비용면을 고려하여, 1장의 금속판의 굴곡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단부가 꺽여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재 장착 위치 가이드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맞댐 접합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노치부보다도 폭이 작게 되도록, 굴곡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직사각형상, 막대형상, 원주형상의 부재를 접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 조이너는,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구부러진 일체의 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시공하기 쉬운 동시에 시공 후에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갖기 때문에, 시공 후에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좌우에 인접 하는 외벽판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판을 먼저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로서, 상기 외벽재 장착 위치 가이드와 그 단부 사이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지수재(止水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조이너이다. 지수재로서는, EPDM으로 대표되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계나 염화 비닐계의 발포수지재 등의 탄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수재가 베이스 조이너에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공시에 지수재를 고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청구항 2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사용하는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로서, 상기 베이스 조이너는, 기둥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몸통 프레임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와 단부의 사이에는 지수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맞대어 접합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가 상기 맞댐 접합부의 후방에 형성된 노치부에 배치되어 있고, 패킹이 상기 외벽판의 상하 접합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지수재의 표면과 상기 외벽판의 이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이다. 상기 지수재, 및 상기 패킹으로서는, EPDM으로 대표되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계나 염화 비닐계의 발포수지재 등의 탄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와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가,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맞댐 접합부의 후방에 형성된 노치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좌우에 인접하는 외벽판은, 서로의 경사 단면을 맞대어 접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맞댐 접합부가 기울어진 경사이고, 좌우에 인접하는 외벽판과 맞대어 접합하였을 때,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의 사이에 다소의 빈틈이 발생하여도 눈에 띄지 않아서,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의 접합부로부터 침입한 빗물이 상기 접속부를 흘러내릴 때, 외벽판의 상하 접합부와의 교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지만, 패킹과 지수재를 외벽판의 상하 접합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빗물이 외벽판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청구항 3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사용하는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로서, 상기 베이스 조이너는 기둥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몸통 프레임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맞대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가 상기 맞댐 접합부의 후방에 형성된 노치부에 배치되어 있고, 패킹이 상기 외벽판의 상하 접합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지수재의 표면과 상기 외벽판의 이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외벽재를 시공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으로서, 기둥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몸통 프레임을 통하여 청구항 2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와 단부 사이에 지수재를 장착하는 공정과,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외벽판의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를,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보다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측으로 되지 않도록, 상기 몸통 프레임에 장착하는 공정과,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를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통하여 인접하는 외벽판과 맞대어 접합하는 공정과, 패킹을 상기 외벽판의 실부(實部)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수재의 표면 및 상기 외벽판의 이면에 접촉하도록 장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갖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의 몸통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외벽판의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의 시공위치를 정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맞댐 접합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 가능한 형상, 크기, 위치이기 때문에,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을 맞대어 접합하여도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맞댐 접합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노치부에 배치되어, 불량은 생기지 않고, 오히려 외벽판의 엇갈림을 막는다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외벽 판을 먼저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외벽판의 절단 개구를 시공현장에서 도장하는 작업은 외벽판 시공 후에도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를 시공하기 전이면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외벽재를 시공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으로서, 기둥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몸통 프레임을 통하여 청구항 3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장착하는 공정과,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외벽판의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를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보다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측으로 되지 않도록, 상기 몸통 프레임에 장착하는 공정과,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를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통하여 인접하는 외벽판과 맞대어 접합하는 공정과, 패킹을 상기 외벽판의 실부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수재의 표면 및 상기 외벽판의 이면에 접촉하도록 장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지수재가 미리 고정되어 있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수재를 고정하는 작업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측 모서리 부재 및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에 의하면, 씰링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노출된 씰링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어, 그 내구성, 방수성 등의 성능이 저하되는 동시에, 변색 등에 의해 외관이 악화되고, 시공비용이 상승하고, 씰링재를 시공하는 시간과 손이 많이 간다고 하는 문제가 일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좌우에 인접 배치되는 외벽판은 맞댐 접합이기 때문에, 반턱 쪽매 이음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시공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맞댐 접합부가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맞댐 접합부의 빈틈이 눈에 띄기 어렵고, 외벽재를 먼저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외벽판 시공 후에도 외벽판의 절단 개구를 도장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고 하는 효과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6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정면 경사 위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1b는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는, 시멘트와, 모래와, 유리섬유를 원료로 한 두께 약 18mm, 2개의 판재가 대략 직각 형상으로 배치된 폭방향으로 좌우대칭인 형상의 건재이고,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좌우의 면 단부에는 경사면(A1)과, 경사면(A2)과, 노치부(A3)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A2)은 좌우에 인접하는 외벽판과의 맞댐 접합부가 되는 부분이고, 경사면(A2)의 각도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이면(A6)에 대하여 약 120°이다. 또한, 단부의 파손을 막기 위해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표면(A5)으로부터 맞댐 접합부가 되는 경사면(A2)에 걸 쳐서, 경사면(A2)과는 별도의 경사면(A1)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A1)의 각도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표면(A5)에 대하여 약 120°이다. 또한, 경사면(A2)보다도 이면(A6)측에는 시공하였을 때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후술함)에 대응하기 위해 노치부(A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단부에서는, 두께 약 18mm 중, 표면측으로부터 약 2mm까지가 경사면(A1)이고, 경사면(A1)으로부터 이면(A6) 측을 향해서 약 8mm까지가 경사면(A2)이고, 경사면(A2)으로부터 이면까지의 나머지 약 8mm가 노치부(A3)이다. 또한,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이면측의 폭 치수는 이면(A6)의 폭이 약 85mm, 노치부(A3)의 폭이 약 2mm, 경사면(A2)의 폭이 약 5mm이다.
또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상하의 단부에는 체결금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노치부(A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베이스 조이너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a는 정면 경사 위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2b는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베이스 조이너(C)는 약 0.35mm 두께의 갈바늄강판 1장을 굴곡가공한 것으로, 단부(C3)는 강도 보강 및 안전성을 위해서 꺽여 있다.
베이스 조이너(C)는,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와, 베이스부(C2)로 이루어진다.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는 베이스 조이너(C)의 2개의 변들의 교점(중앙)으로부터 약 84mm의 위치에 있고,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이면(A6)의 폭보다도 작다. 또한,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는 상기 갈바늄강판을 표면측에 굴곡가공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외 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의 폭은 약 1mm이고,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노치부(A3)의 폭보다도 작기 때문에,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노치부(A3)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베이스 조이너의 별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정면 경사 위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3b는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베이스 조이너(C')는 도 2에 도시한 베이스 조이너(C)에 지수재(D)를 배치한 것이다. 지수재(D)는 폭 10mm, 높이 8mm의 EPDM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재이고, 외벽재 장착 위치 가이드(C'1)과 단부(C'3)의 사이의 베이스부(C'2)에 접합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도 2에 도시한 베이스 조이너(C)를 시공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는 정면 경사 위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4b는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b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상기 외벽판(B)의 맞댐 접합부(Z)의 확대도이다.
상기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는 기둥(F)과, 방수지(G)와, 몸통 프레임(H)과, 상기 베이스 조이너(C)와, 지수재(D)와, 패킹(E)과,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로 이루어진다.
몸통 프레임(H)은 방수지(G)를 누르는 상태로 기둥(F)의 2개 변들에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장착되어 있어 건물 안으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베이스 조이너(C)는, 몸통 프레임(H)에, 기둥(F)의 직교하는 앞면에 따르도 록 장착되어 있고, 시공 후에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지수재(D)는 폭 10mm, 높이 8mm의 EPDM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재이고, 베이스 조이너(C)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와 단부(C3)의 사이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외벽판(B)은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맞대어 접합하는 단부에 경사면(B1)을 갖고 있고,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은 경사면(A2)과 경사면(B1)을 맞대는 동시에, 베이스 조이너(C)보다 외측이 되도록 체결금구(I)에 의해 몸통 프레임(H)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의 맞댐 접합부(경사면(A2)와 경사면(B1)의 맞댐 접합부)는 경사 접합면이 되어,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의 사이(경사면(A2)과 경사면(B1)의 맞댐 접합부의 사이)에 다소의 빈틈이 발생하여도 눈에 띄기 어려워, 시공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조이너(C)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맞댐 접합부의 후방에 형성된 노치부(A3)에 배치되어 있고, 불량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외벽판(B)은 이면이 지수재(D)의 표면에 접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의 접합부로부터 빗물이 침입하여 흘러내릴 때, 지수재(D)에 의해 외벽판(B)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패킹(E)은 EPDM으로 이루어지고, 폭은 10mm로 지수재(D)와 같은 폭이고, 외벽판(B)의 상측 실부(實部)에 형성된 노치부(B2)에 결합되는 동시에, 지수재(D)의 표면과 외벽판(B)의 이면에 접하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상하로는 별도의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가, 외벽 판(B)의 상하에도 별도의 외벽판(B)이 시공되어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가 완성된다. 외벽판(B)의 위에 별도의 외벽판(B)을 시공할 때는, 패킹(E)이 상측에 배치되는 외벽판(B)의 하측 실부에 형성된 노치부(B2)에 결합되는 동시에, 지수재(D)의 표면과 상측에 배치되는 외벽판(B)의 이면에 접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패킹(E)이 상측에 배치되는 외벽판(B)의 하측 실부에 형성된 노치부(B2)와, 하측에 배치된 외벽판(B)의 상측 실부에 형성된 노치부(B2)에 결합하기 때문에, 패킹(E)이 고정되는 동시에, 2장의 외벽판(B)을 상하로 접합함으로써 상하 접합부에 형성되는 수평방향의 공간은 막힌다. 또한, 외벽판의 이면(B3)과 지수재(D)의 표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의 접합부로부터 빗물이 침입하여, 흘러내리는 도중에, 외벽판(B)의 상하 접합부의 교점에 있어서, 외벽판(B)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베이스 조이너(C')를 사용하여도,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가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시공방법으로서는, 처음에, 기둥(F)가 직교하는 2표면에 방수지(G)를 누르는 상태로 몸통 프레임(H)을 망치로 쳐서 고정하고, 또, 기둥(F)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도 2에 도시한 베이스 조이너(C)를 망치로 쳐서 고정한다.
다음에, 베이스 조이너(C)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와 단부(C3)의 사이에 지수재(D)를 접합한다.
또,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에 인접하는 외벽판(B)의 외측 모서리부용 외 벽재(A)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에 경사면(B1)을 형성하여 두고, 상기 단부를 베이스 조이너(C)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보다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측이 되지 않도록, 체결금구(I)에 의해 몸통 프레임(H)에 장착한다. 또한, 경사면(B1)은 절삭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내수성이 나쁘지만, 본 시공방법에서는, 몸통 프레임(H)에 외벽판(B)을 장착한 후에도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를 맞대어 접합하기 전이면 경사면(B1)은 도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사면(B1)에 도장하는 것으로 내수성을 확보한다. 또한, 외벽판(B)는 이면(B3)이 지수재(D)의 표면에 접하도록 장착한다.
또,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를 경사면(A2)이 인접하는 외벽판(B)의 경사면(B1)과 접합하도록 맞대는 동시에, 노치부(A3)가 베이스 조이너(C)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에 대응하도록 배치하여, 체결금구(I)에 의해 몸통 프레임(H)에 장착한다.
그리고, 패킹(E)이 지수재(D)의 표면 및 외벽판(B)의 이면(B3)에 접하는 동시에, 외벽판(B)의 상측 실부에 형성된 노치부(B2)에 결합하도록 장착한다. 또, 외벽판(B)의 위에 별도의 외벽판(B)을 시공할 때는 패킹(E)이 상측에 배치되는 외벽판(B)의 하측 실부에 형성된 노치부(B2)에 결합하는 동시에, 지수재(D)의 표면과 상측에 배치되는 외벽판(B)의 이면에 접하도록 장착한다.
상기 시공방법을 행하는 것으로, 외벽재를 먼저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져, 외벽판의 절삭 목구(木口)를 시공현장에서 도장하는 작업은, 외벽판 시공 후에 할 수 있고,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베이스 조이너(C')를 사용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는 지수재(D)를 장착하는 작업이 생략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도 2에 도시한 베이스 조이너(C)를 시공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별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는 정면 경사 위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6b는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b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이 맞댐 접합부(Z')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와 같이, 기둥(F)과, 방수지(G)와, 몸통 프레임(H)과, 베이스 조이너(C)와, 지수재(D)와, 패킹(E)과,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으로 이루어지지만, 지수재(D)와 패킹(E)이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측에도 형성되어 있는 점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와 다르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에 덧붙여, 별도의 지수재(D)가 표면을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이면(A6)에 접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또한, 지수재(D)와 같은 폭인 패킹(E)이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상측 실부에 형성된 노치부(A4)에 결합되는 동시에, 지수재(D)의 표면과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이면(A6)에 접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외벽판(B)의 접합부(Z)로부터 빗물이 침입하였다고 해도, 흘러내리는 도중에,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외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와 같기 때문에, 상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도 3에 도시한 베이스 조 이너(C')를 사용하여도,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가 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시공방법으로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시공방법과 유사하지만, 지수재(D)와 패킹(E)의 장착방법만이 다르다. 즉, 베이스 조이너(C)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와 단부(C3)의 사이에 지수재(D)를 접합하는 동시에, 별도의 지수재(D)를 베이스 조이너(C)의 중앙과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C1)의 사이에도 접합한다. 이것에 따라, 패킹(E)을 지수재(D)의 표면 및 외벽판(B)의 이면(B3)에 접하여, 외벽판(B)의 상측 실부에 형성된 노치부(B2)에 결합하도록 장착하는 동시에, 별도의 패킹(E)을 지수재(D)의 표면 및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이면(A6)에 접하여,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의 상측 실부에 형성된 노치부(A4)에 결합하도록 장착한다.
상기 시공방법을 행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시공방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는 다른 원료로 이루어지는 외벽판이나, 여러 가지의 두께의 외벽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외벽판의 실부는 여러 가지의 형상이 있기 때문에, 패킹의 상측 실부 타설부와 하측 실부 타설부의 형상은 외벽판의 실부의 형상을 맞추어 변경하면 좋고, 체결금구도 여러 가 지의 형상의 것을 사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측 모서리 부재 및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에 의하면, 씰링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노출된 씰링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어, 그 내구성, 방수성 등의 성능이 저하되는 동시에, 변색 등에 의해 외관이 악화되고, 시공비용이 상승하고, 씰링재를 시공하는 시간과 손이 많이 간다고 하는 문제가 일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좌우에 인접 배치되는 외벽판은 맞댐 접합이기 때문에, 반턱 쪽매 이음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맞댐 접합부가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맞댐 접합부의 빈틈이 눈에 띄기 어렵고, 외벽재를 먼저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외벽판 시공 후에도 외벽판의 절단 개구를 도장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고 하는 효과도 갖는다.
도 1a 및 도 1b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베이스 조이너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베이스 조이너의 별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도 2에 도시한 베이스 조이너(C)를 시공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b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맞댐 접합부의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A)와, 도 2에 도시한 베이스 조이너(C)를 시공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별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b에 도시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맞댐 접합부의 확대도.
도 8은 습식 씰링재를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씰링재를 사용하지 않는 종래의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씰링재를 사용하지 않는 종래의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의 별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 A1, A2, A3, A4, A5, A6 : 경사면
B : 외벽판 B1 : 경사면
B2 : 노치부 B3 : 이면
C : 베이스 조이너 C1 : 외벽재 장착 위치 가이드
C2 : 베이스부 C3 : 단부
D : 지수재 E : 패킹
F : 기둥 G : 방수지
H : 몸통 프레임 I : 체결금구
J : 외측 모서리용 외벽재 K : 외벽판
L : 해트 조이너 M : 씰링재
N : 모서리재 O : 사이딩
P : 외측 모서리재 Q : 외벽 패널
R : 방수재 S : 해트 조이너

Claims (7)

  1. 좌우에 외벽판을 인접 배치함으로써 외측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로,
    2개의 판재가 대략 직각 형상으로 배치되어, 좌우에 인접되는 외벽판과 서로의 경사 단면을 맞대어 이루어지는 맞댐 접합부를 갖고,
    상기 맞댐 접합부의 후방에 노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
  2. 제 1 항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장착되는 베이스 조이너로서,
    상기 베이스 조이너는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구부러진 일체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측으로 돌출한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갖고,
    상기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는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의 단부의 후방에 형성된 노치부에 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조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재 장착 위치 가이드와 그 단부의 사이에, 높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지수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조이너.
  4. 제 1 항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제 2 항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사용하는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로서,
    상기 베이스 조이너는 기둥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몸통 프레임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와 단부의 사이에는 지수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맞대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가 상기 맞댐 접합부의 후방에 형성된 노치부에 배치되어 있고,
    패킹이 상기 외벽판의 상하 접합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지수재의 표면과 상기 외벽판의 이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5. 제 1 항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제 3 항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사용하는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로서,
    상기 베이스 조이너는 기둥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몸통 프레임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기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와 외벽판이 맞대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가 상기 맞댐 접합부의 후방 에 형성된 노치부에 배치되어 있고,
    패킹이 상기 외벽판의 상하 접합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지수재의 표면과 상기 외벽판의 이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6.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외벽재를 시공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으로서,
    기둥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몸통 프레임을 통하여 제 2 항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와 단부의 사이에 지수재를 장착하는 공정과,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외벽판의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를,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보다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측으로 되지 않도록, 상기 몸통 프레임에 장착하는 공정과,
    제 1 항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를,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통하여 인접하는 외벽판과 맞대어 접합하는 공정과,
    패킹을 상기 외벽판의 실부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수재의 표면 및 상기 외벽판의 이면에 접촉하도록 장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
  7. 건물의 외측 모서리부에 외벽재를 시공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으로서,
    기둥의 2개의 변을 따르도록 몸통 프레임을 통하여 제 3 항에 기재된 베이스 조이너를 장착하는 공정과,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외벽판의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를, 상기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보다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측으로 되지 않도록, 상기 몸통 프레임에 장착하는 공정과,
    제 1 항에 기재된 외측 모서리부용 외벽재를, 베이스 조이너의 외벽판 장착 위치 가이드를 통하여 인접하는 외벽판과 맞대어 접합하는 공정과,
    패킹을 상기 외벽판의 실부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수재의 표면 및 상기 외벽판의 이면에 접촉하도록 장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
KR1020080093241A 2007-09-28 2008-09-23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 KR101043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56525A JP5235374B2 (ja) 2007-09-28 2007-09-28 出隅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出隅部施工構造、出隅部施工方法
JPJP-P-2007-00256525 200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019A true KR20090033019A (ko) 2009-04-01
KR101043906B1 KR101043906B1 (ko) 2011-06-29

Family

ID=4045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241A KR101043906B1 (ko) 2007-09-28 2008-09-23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77943B2 (ko)
JP (1) JP5235374B2 (ko)
KR (1) KR101043906B1 (ko)
CN (1) CN101469568B (ko)
AU (1) AU2008227059B2 (ko)
CA (1) CA2639769C (ko)
DE (1) DE102008042365B4 (ko)
RU (1) RU2418924C2 (ko)
TW (1) TW2009253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9035A (zh) * 2014-04-11 2014-07-02 南京斯贝尔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住宅产业化拼装式整体卫浴和整体厨房壁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5950B2 (en) * 2011-02-10 2014-06-10 Nichiha Corporation Construction structure of wall surface
US8661751B1 (en) * 2011-04-06 2014-03-04 James Robert Lawrie Alignment spacer for siding outside corner
RU2461689C1 (ru) * 2011-10-03 2012-09-20 Владимир Вениаминович Сергунин Облицовка наруж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здания, сооружения
US9045909B1 (en) * 2011-10-11 2015-06-02 Gunter Preuss Systems and methods for wide engineered siding
CN102733567A (zh) * 2012-06-20 2012-10-17 曾红 一种转角拼接结构
CN103243925A (zh) * 2013-04-27 2013-08-14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Apf自粘防水卷材施工方法
CN103603471B (zh) * 2013-12-04 2015-12-09 中建一局集团装饰工程有限公司 锯齿挂件立柱包封装置及其施工方法
US10081949B2 (en) 2015-06-26 2018-09-25 Jad Honein Interchangeable bracket flange system
JP6700760B2 (ja) * 2015-12-08 2020-05-27 ケイミュー株式会社 外壁の出隅構造及び出隅用下地材
USD870322S1 (en) * 2017-10-19 2019-12-17 Ludowici Roof Tile, Inc. Tile
CN107503484B (zh) * 2017-09-02 2022-10-11 楼里外硬核科技(北京)有限公司 灌注保温芯材的一体化阳角收边结构及凸构造柱
CN109505371B (zh) * 2018-11-28 2021-01-08 佛山市南海益通铝业有限公司 一种防水幕墙
US11773599B2 (en) * 2021-02-12 2023-10-03 Piazza Stone,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unting a lightweight architectural masonry product to a building
CN117306751B (zh) * 2023-11-28 2024-03-12 山东德卡斯铝业有限公司 一种节能建筑用保温隔热幕墙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3789A (en) * 1943-04-02 1945-04-17 Joseph H Bluechel Building structure
FR926258A (fr) * 1946-05-03 1947-09-26 Carreaux pour revêtement de parois en général
US3109207A (en) * 1960-11-30 1963-11-05 Jack A Cooper Corner strip for wallboard construction
US3559356A (en) * 1968-04-19 1971-02-02 Specialties Const Resilient corner bead
US3722166A (en) * 1971-03-12 1973-03-27 Nerney F Mc Corner furring strip
US4161853A (en) * 1977-11-25 1979-07-24 A. R. Nelson Co., Inc. Resilient wall protector
US4642957A (en) * 1984-12-11 1987-02-17 Edwards Troy C Interior wall trim system
US4621471A (en) * 1985-01-25 1986-11-11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Base trim system for partition corners
JPH0422654Y2 (ko) * 1985-04-24 1992-05-25
JPH0751826B2 (ja) * 1987-10-27 1995-06-0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ーナ外装部材の取付け構造
US5233804A (en) * 1991-06-27 1993-08-10 Miller Donald W Corner protector assembly and retainer clip therefor
CA2099548A1 (en) * 1992-07-20 1994-01-21 Richard Logan Decorative molding strip
CA2109676C (en) * 1993-02-25 2002-04-30 Robert J. Menchetti Multiple use corner clip
US20030024188A1 (en) * 1996-09-18 2003-02-06 Smythe Timothy D. Drywall finishing system
US5836123A (en) * 1996-05-24 1998-11-17 Gulino; Francesco Vinyl-siding corner block
JPH11200587A (ja) * 1998-01-16 1999-07-27 Shukichi Honda 外壁用出隅材とその製造方法
JP3940520B2 (ja) * 1999-03-24 2007-07-04 ニチハ株式会社 出隅材
JP2000345682A (ja) 1999-06-03 2000-12-12 Asahi Glass Co Ltd 外装材の出隅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3381679B2 (ja) * 1999-09-24 2003-03-04 ニチハ株式会社 成形出隅柱及びその施工構造
TW433312U (en) * 2000-05-04 2001-05-01 Jiu Ang Entpr Co Ltd Corner bumper
US6263630B1 (en) * 2000-06-21 2001-07-24 Inpro Corporation Multi-colored co-extruded corner guard
US6405503B1 (en) * 2000-06-27 2002-06-18 Ronnie E. Reed Decorative corner trim and mounting system for sheet siding used on wood and steel frame structures
US6779313B2 (en) * 2000-06-30 2004-08-24 Timothy D. Smythe, Jr. Boxable drywall corner bead
US6679010B2 (en) * 2001-01-05 2004-01-20 Nichiha Corporation Overhanging member
NL1018088C2 (nl) * 2001-05-17 2002-11-19 Wuestman Tuindecoraties B V Verbinding voor wandelementen.
US6526712B2 (en) * 2001-05-21 2003-03-04 Advanced Environmental Recycling Technologies, Inc. Extruded composite interlocking corner assembly
JP2003166327A (ja) * 2001-11-29 2003-06-13 Nichiha Corp 出隅柱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出隅柱を用いた出隅部施工構造
US6990776B2 (en) * 2002-01-25 2006-01-31 Berman Oscar G Wall covering with holder
US6631600B2 (en) * 2002-02-04 2003-10-14 Tapco International Corner brick block
JP4191429B2 (ja) * 2002-05-16 2008-12-03 ニチハ株式会社 外装材の縦目地構造
US7127869B2 (en) * 2002-06-05 2006-10-31 Nailite International Wall covering with improved corner mold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6817153B2 (en) * 2002-10-02 2004-11-16 Robert Steinberg Cornerboard assembly
US20040161853A1 (en) * 2003-02-13 2004-08-19 Zhongping Yang Implantable chemical sensor with rugged optical coupler
CN1553030A (zh) * 2003-06-06 2004-12-08 日吉华株式会社 拐角柱结构体和具有该结构体的建筑物拐角部结构
JP4336160B2 (ja) * 2003-07-18 2009-09-30 三晃金属工業株式会社 化粧柱
JP3736552B2 (ja) * 2003-08-25 2006-01-18 ニチハ株式会社 出隅部施工構造
JP4371770B2 (ja) * 2003-10-27 2009-11-25 神島化学工業株式会社 出隅材取付具
JP4399298B2 (ja) * 2004-03-09 2010-01-13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ーナー部の化粧部材及び化粧材の取付構造
JP4614433B2 (ja) * 2004-09-16 2011-01-19 ニチハ株式会社 曲面出隅材及びこれを用いた出隅部施工構造
US20060070324A1 (en) * 2004-09-29 2006-04-06 Daly James T Iv Stick on drywall corner cover
US20080092470A1 (en) * 2004-12-07 2008-04-24 Andrew Jackson Cornice/Skirting Mounting System
JP3868981B2 (ja) * 2005-05-27 2007-01-17 ニチハ株式会社 出隅柱および出隅柱頂角部に面取り加工を施す装置
JP4923656B2 (ja) 2006-03-22 2012-04-25 日立化成デュポ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
CN200952226Y (zh) * 2006-08-25 2007-09-26 李尚民 木工装潢梁柱包边构造
CN2934445Y (zh) * 2007-02-07 2007-08-15 福建省晋江协隆陶瓷有限公司 一种墙角用瓷砖
CA2638588A1 (en) * 2007-08-09 2009-02-09 Tapco International Corporation Exterior trim pieces with weather stripping and colored protective layer
US20090139168A1 (en) * 2007-11-29 2009-06-04 Lenny Grissom Interior trim system for use over existing mo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9035A (zh) * 2014-04-11 2014-07-02 南京斯贝尔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住宅产业化拼装式整体卫浴和整体厨房壁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25366A (en) 2009-06-16
AU2008227059A1 (en) 2009-04-23
US20090084053A1 (en) 2009-04-02
DE102008042365A1 (de) 2009-04-23
CN101469568B (zh) 2012-07-11
CA2639769A1 (en) 2009-03-28
CA2639769C (en) 2013-11-26
RU2418924C2 (ru) 2011-05-20
US7877943B2 (en) 2011-02-01
RU2008136623A (ru) 2010-03-20
KR101043906B1 (ko) 2011-06-29
JP2009084886A (ja) 2009-04-23
JP5235374B2 (ja) 2013-07-10
DE102008042365B4 (de) 2013-08-14
CN101469568A (zh) 2009-07-01
TWI361853B (ko) 2012-04-11
AU2008227059B2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906B1 (ko)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
US20070256386A1 (en) Joint member
CN110352282B (zh) 建筑物的墙壁结构、安装装置及板材的施工方法
JP5919584B2 (ja) 入隅部における外壁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用ジョイナー
JP2002138647A (ja) 外壁材の留め付け部品および留め付け構造
KR20040075176A (ko) 내외장패널 조립용 서브프레임과 패널시스템
JP2003074167A (ja) 外壁材の留め付け治具および留め付け構造
JP2019065543A (ja) 取付具及び建物の壁構造
KR200312362Y1 (ko) 내외장패널 조립용 서브프레임과 패널시스템
JP7150503B2 (ja) 金属サイディングの取付構造
JP3654264B2 (ja) オーバーハング部材及びオーバーハング部施工構造
JP7098858B2 (ja) 建築板
JP3809606B2 (ja) 収納庫
JP3974446B2 (ja) 外壁出隅構造及び外壁構造
JP6700760B2 (ja) 外壁の出隅構造及び出隅用下地材
JPH03208933A (ja) 外壁の防水構造
JP3551111B2 (ja) 窯業系建築板の施工構造
JP4162771B2 (ja) 折板屋根用防水断熱パネル及び防水断熱折板屋根構造
JP2002227364A (ja) パラペットの防水構造
JP2001152574A (ja) タイル貼り外壁パネル
JPH1061035A (ja) シート防水施工用役物及びシート防水施工方法
KR20190001464U (ko) 건축물 내외장용 조립식 패널
JP2000345630A (ja) 4辺合じゃくり外装材用止水部品および止水構造
JPH10252241A (ja) 建築用化粧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0096725A (ja) 水切り構造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