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424A -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424A
KR20090014424A KR1020097001754A KR20097001754A KR20090014424A KR 20090014424 A KR20090014424 A KR 20090014424A KR 1020097001754 A KR1020097001754 A KR 1020097001754A KR 20097001754 A KR20097001754 A KR 20097001754A KR 20090014424 A KR20090014424 A KR 20090014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rding
area
file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145B1 (ko
Inventor
미유키 사사키
요시호 고토
요시히사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1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종래의 재기록형 디스크의 기록 방법은 동일 영역을 재기록에 의해 최신의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이것에 의해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디스크에서는 결함 블록이 발생하기 쉽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엔트리 섹터번호 이후의 미할당 영역으로부터 순차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내주로부터 외주로 시퀀셜로 데이터 기록을 반복함으로써, 재기록의 집중을 회피하는 신뢰성이 높은 정보 기록 매체와 정보 기록재생 방법 및 정보 기록재생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퀀셜 반복 기록, 볼륨 보전 기술자, 볼륨 기술자 포인터, 엔트리 섹터번호, 재기록

Description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동일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는 정보 기록 매체, 이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이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섹터(sector) 구조를 갖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광 디스크가 있다. 최근, 고밀도화, 대용량화, 멀티미디어화가 진전되고 있고, 광 디스크상에 기록된 복수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터랙티브(interactive)의 비디오나 오디오를 즐기고 있다. 인터랙티브의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디스크의 경우에는 복수의 MPEG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AV파일과 함께, AV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파일도 기록되어 있다.
이하에, 도 8의 디렉토리 구조도를 참조하여, AV 디렉토리 구조 및 AV파일과 제어 파일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한다. 비디오·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AV 디렉 토리는 루트 디렉토리의 기본에 위치하고,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자체가 포함되어 있는 AV파일(AVfile-a), (AVfile-c) 및 (AVfile-d)과 이 AV파일에 관한 정보를 갖는 제어 파일(Datafile)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어 파일(Datafile)은 디스크상에 기록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각 타이틀명이나, 타이틀마다의 재생 순서나, 슬로 재생이나 빨리 감기 등의 특수 재생에 필요한 I픽처(picture)나 P픽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파일과 AV파일을 1대1로 대응시키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제어 파일을 기록하여도 좋다. 또, 기록 재생 장치가 파일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파일은 소정의 디렉토리의 아래 미리 정해진 파일명으로 기록된다.
도 21을 참조하여, 이들의 파일을 ECMA167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볼륨·파일 구조를 사용하여, 재기록형 디스크인 DVD-RAM 디스크에 기록한 경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의 상측은 디스크의 내주부, 하측은 디스크의 외주부에 상당하고, 논리 섹터번호는 볼륨 공간의 선두로부터 섹터 단위로 할당된다. 볼륨 구조 영역(101)은 디스크를 볼륨으로서 논리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는 동시에, 스페이스 비트 맵(1021; space 비트 맵)의 위치정보와 루트 디렉토리의 파일 엔트리(1022; entry)의 위치정보도 기록되어 있다. 또, 일반적으로 각 파일로의 액세스는 논리 블록번호를 사용하여 행하여지지만, 본 예에서는 간단화를 위해, 각 파일은 논리 섹터번호를 사용하여 액세스되는 것으로 한다.
파일 구조 영역(1001)은 파일 구조를 규정하기 위한 기술자(記述者)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스페이스 비트 맵(1021)은 볼륨 공간 중에서 파일 구조 또는 데이 터를 할당할 수 있는 미할당 영역을 섹터 단위로 관리하는 비트 맵이며, 논리 섹터마다 기록 완료 영역이 미할당 영역인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고 있다. 파일 엔트리(1022; 루트 디렉토리)는 루트 디렉토리의 속성정보나 기록 위치정보를 갖는다. 루트 디렉토리(1023)는 루트 디렉토리의 바탕에 기록된 AV 디렉토리(AVDir)의 파일 엔트리(1024)의 위치정보를 갖는다.
그리고 파일 엔트리(1024; AVDir)는 AV 디렉토리(AVDir; 1025)의 속성정보나 기록 위치정보를 갖고, AV 디렉토리(1025; AVDir)는 AV 디렉토리(AVDir)의 바탕에 기록된 AV파일(AVfile-a), AV파일(AVfile-c), AV파일(AVfile-d) 및 제어 파일(Data, 파일) 각각의 파일 엔트리(1026, 1027, 1028 및 1029)의 위치정보를 갖는다.
또한 이들의 AV파일과 제어 파일의 파일 엔트리는 파일 영역(1002)에 기록된 AV파일(AVfile-a), AV파일(AVfile-c), AV파일(AVfile-d) 및 제어 파일(1030; Datafile)의 속성정보와 위치정보를 갖는다. 파일 영역(1002)은 AV파일이나 제어 파일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결함 관리 영역(1003)은 결함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DMA(1004; Defect Management Area)와 결함 영역에 기록되어야 할 데이터의 내용을 대체 기록하는 대체 영역(1005)으로 구성된다. DMA에는 대체원과 대체처를 관리하는 대체 엔트리가 등록된다. 대체 엔트리는 결함 영역의 어드레스(1045)와 대체처의 어드레스(1046)를 갖고 있다.
다음에, 새로운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AV파일(AVfile-d)에 덮어쓰기 기록 하는 처리를 도 22의 블록도, 도 23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덮어쓰기 기록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사이즈는 AV파일(AVfile-d)에 이미 기록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보다 큰 것으로 한다.
(S1201) 시스템 제어부(201)는 파일 구조 재생수단(1102)으로서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스페이스 비트 맵(1021)으로부터, AV파일(AVfile-d)에 대하여 부족분의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S1202) 시스템 제어부(201)는 파일 기록수단(213)으로서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AV파일(AVfile-d)을 덮어쓰기하고, 스텝(S1201)에 있어서 취득한 미할당 영역에 대한 기록 동작을,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데이터용 메모리(221)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시에, 관련되는 제어 데이터를 AV파일 제어 파일(Datafile)에 덮어쓰기 기록한다. 파일 기록 처리에 있어서 결함 영역이 검출되면,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결함 영역(1053)에 기록되어야 할 AV파일의 내용을 대체 영역(1005)에 대체 기록하고, DMA(1004)에 결함 영역(1053)의 어드레스(1045)와 대체처(1053)의 어드레스(1046)의 대응정보인 대체 엔트리(1051)를 등록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205)는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1203) 시스템 제어부(201)는 파일 구조 기록수단(1101)으로서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스텝(S1202)에 있어서 사용된 미할당 영역의 기록상태를 스페이스 비트 맵(1021)에 반영한다.
(S1204) 시스템 제어부(201)는 파일 구조 기록수단(1101)으로서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파일 구조 영역(1001)에 있어서 갱신된 스페이스 비트 맵(1021), 제어 파일(1030; Datafile)의 파일 엔트리(1029; Datafile)나, 기록된 AV파일의 파일 엔트리(1028; AVfile-d)의 기록 동작을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파일 구조용 메모리(1103)로부터 전송되는 이들의 파일 구조를 파일 구조 영역에서 덮어쓰기 기록하고,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결함 영역의 대체방법은 AV파일의 덮어쓰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제어 파일 등의 데이터 파일이나 볼륨 구조·파일 구조의 기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또, DVD-RAM 디스크의 리드 인 영역에는 볼륨 공간 내의 섹터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결함 관리를 위한 데이터 구조 영역 DMA(Defect Management Area)가 4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 영역은 결함이 발생할 때마다, 같은 위치에서 모든 DMA가 재기록된다.
또한,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서, 대체 영역은 리드 인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DVD-RAN4 디스크로서는 리드 인 영역과 볼륨 공간에 껴진 영역에 대체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체의 다발(多發)을 위해 대체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는 볼륨 공간의 외주에 추가 대체 영역이 형성된다.
동일 섹터에 대하여 10만회의 재기록이 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의 경우에는 동일 섹터에 대한 재기록이 집중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100회부터 1000회 정도로 재기록이 가능한 회수가 제한된 재기록형 디스크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파일의 신규작성·재기록이나 삭제를 한 경우, 동일 영역에 대하여 빈번히 재기록이 행하여지고,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져, 파일 구조나 제어 파일과 같은 중요한 데이터가 파손되거나, 매체에 기록을 할 수 없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디스크에 있어서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해서 AV파일 영역이나 기본 파일 구조 영역을 시퀀셜(sezuential)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일 영역에 대한 재기록의 집중을 회피하여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는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이며,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의 각각은 해당 블록의 버전(version)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pointer)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은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정보 기록 매체는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이며,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 중 어느 것이 유효한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 3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블록을 포 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의 각각은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 내의 특정한 영역에서 재기록되고, 상기 특정한 영역에 대한 기록이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 내의 상기 특정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재기록되어도 좋다.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은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며,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의 각각은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유효한 식별정보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방법은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이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복수의 블록 중 1개를 지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상기 지정된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 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정보 기록 방법은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이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제 3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 중 어느 것이 유효한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스텝과, 상기 유효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 하나를 지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상기 지정된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는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 1개를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상기 지정된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 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정보 기록 장치는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제 3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 중 어느 것이 유효한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수단과, 상기 유효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 1개를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상기 지정된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정보 재생 방법은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방법이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1개에는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재생 방법은 상기 복수의 블록 중 1개를 지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버전 정보에 따라서,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포인터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정보 재생 방법은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방법이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제 3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1개에는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 중 어느 것이 유효한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재생 방법은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으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서 나타내지는 유효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 1개를 지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버전 정보에 따라서,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포인터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는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이며, 상기 정보 기 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1개에는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재생 장치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 1개를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버전 정보에 따라서,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포인터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정보 재생 장치는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이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과,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제 3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1개에는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정보 기록 영역 중 어느 것이 유효한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재생 장치는 상기 제 3 정보 기록 영역으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서 나타내지는 유효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 1개를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지 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버전 정보에 따라서,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포인터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디스크에 있어서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해서 AV파일 영역이나 기본 파일 구조 영역을 시퀀셜(sezuential)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일 영역에 대한 재기록의 집중을 회피하여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용어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이하에 정의한다.
(1) 「시퀀셜 반복 기록」은 소정의 기록 영역에서 미할당 영역을 서치하고, 그 서치 결과에 근거하여 영역을 할당하고, 그 할당된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소정의 기록 영역에서 미할당 영역을 서치하는 것은 소정의 위치로부터 일정한 방향에 미할당 영역을 서치하고, 그 서치가 그 소정의 기록 영역의 종단(終端)에 도달한 경우에는 그 소정의 기록 영역의 시단(始端)으로부터 다음의 미할당 영역을 서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시퀀셜 반복 기록」을 「일정 방향의 반복 기록」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동의의 용어이다.
(2) 「AV 데이터」는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말한다.
(3) 「AV파일」은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말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1.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동일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는 정보 기록 매체와, 그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와, 그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약 100회부터 1000회로 제한되는 정보 기록 매체를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보다 적은 수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는 정보 기록 매체나, 그것보다 많은 수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는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정보 기록 매체는 임의의 타입의 정보 기록 매체(예를 들면, 광 디스크, 자기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일 수 있다. 이하, 정보 기록 매체가 광 디스크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정보 또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정보가, ECMA167 규격에 준거한 UDF(Universal Disk Format) 규격을 기본으로 하는 파일 구조를 사용하여 관리되는 파일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볼륨·파일 구조로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기 술자나 포인터 등은 특히 상세한 기재가 없는 한, ECMA167 규격 또는 UDF(Universal Disk Format) 규격에 규정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1. 1 광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
도 1은 광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광 디스크상에는 리드 인 영역과, 볼륨 공간과, 리드 아웃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 인 영역은 광 디스크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리드 아웃 영역은 광 디스크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볼륨 공간은 리드 인 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 사이에 있다.
리드 인 영역에는 기록정보 존(111)이 할당되어 있다. 기록정보 존(111)은 카운트 유닛과 복수의 등록 유닛을 포함한다.
볼륨 공간에는 볼륨 구조 영역(101)과,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1)과, AV파일 영역(102, 103, 105)이 할당되어 있다. 미할당 영역(121, 122, 124, 125)은 유효한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리드 아웃 영역에는 확장 기록정보 존(112)이 할당되어 있다.
1. 2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도 2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시스템 제어부(201)와, 메모리회로(202)와, 자기디스크장치(204)와,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요소는 I/O 버스(203)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볼륨 구조를 기록하는 볼륨 구조 기록수단(211)과, 볼륨 구조를 재생하는 볼륨 구조 재생수단(214)과, VAT 구조를 기록하는 VAT 구조 기록수단(212)과, VAT 구조를 재생하는 VAT 구조 재생수단(215)과, 공간 관리 구조를 기록하는 공간 관리 구조 기록수단(251)과, 공간 관리 구조를 재생하는 공간 관리 구조 재생수단(252)과, 기본 파일 구조를 기록하는 기본 파일 구조 기록수단(261)과, 기본 파일 구조를 재생하는 기본 파일 구조 재생수단(262)과, 파일 데이터를 기록하는 파일 기록수단(213)과, 파일 데이터를 재생하는 파일 재생수단(216)과, 결함 영역 관리수단(217)을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이나 연산용 메모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메모리회로(202)는 파일을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데이터용 메모리(221)와, VAT 구조의 연산이나 일시보존에 사용하는 VAT 구조용 메모리(222)와, 공간 관리 구조의 연산이나 일시보존에 사용하는 공간 관리 구조용 메모리(253)와, 기본 파일 구조의 연산이나 일시보존에 사용하는 기본 파일 구조용 메모리(263)와, 볼륨 구조의 연산이나 일시보존에 사용하는 볼륨 구조용 메모리(223)와, 결함 리스트용 메모리(224)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드라이브 제어부(231)와, 메모리회로(232)와, 기록 재생수단(234)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요소는 내부 버스(233)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기록정보 존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정보 존 기록수 단(271)과, 기록정보 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기록정보 존 재생수단(272)을 포함한다.
메모리회로(232)는 기록정보 존에 기록하는 정보의 연산이나 일시보존에 사용하는 기록정보 존용 메모리(273)와, 버퍼 메모리(241)를 포함한다.
기록 재생수단(234)은 광 디스크(235)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는 광 디스크(235)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한다.
또,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광 디스크(235)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과, 광 디스크(235)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기능을 아울러 가진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를 광 디스크(235)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 간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 디스크(235)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에 관계가 없는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를 광 디스크(235)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라고 간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 디스크(235)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기능에 관계가 없는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1. 3 포맷 처리
도 3은 광 디스크(235)를 포맷하는 포맷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다. 포맷 처리는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하, 도 3에 도시되는 각 스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S301) 시스템 제어부(201)는 볼륨명 등 미리 지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볼륨 구조를 작성하고, 그 볼륨 구조를 메모리회로(202)의 볼륨 구조용 메모리(223)에 격납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볼륨 구조용 메모리(223)에 격납된 볼륨 구조를 광 디스크(235)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볼륨 구조 기록수단(21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볼륨 구조를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고, 이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302)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본 파일 구조를 작성하고, 그 기본 파일 구조를 메모리회로(202)의 기본 파일 구조용 메모리(263)에 격납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본 파일 구조용 메모리(263)에 격납된 기본 파일 구조를 광 디스크(235)에 기록하도록 광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기본 파일 구조 기록수단(26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기본 파일 구조를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고,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303) 시스템 제어부(201)는 공간 관리 구조를 작성하고, 그 공간 관리 구조를 메모리회로(202)의 공간 관리 구조용 메모리(253)에 격납한다. 이 때, 스텝(S304)에서 할당되는 VAT 구조 영역의 용량을 고려하여, 미할당 영역(422)의 위치정보가 미할당 공간 엔트리(453)에 등록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공간 관리 구조용 메모리(253)에 격납된 공간 관리 구조를 광 디스크(235)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공간 관리 구조 기록수단(25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공간 관리 구조를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고,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304) 시스템 제어부(201)는 VAT 구조를 작성하고, 그 VAT 구조를 메모리회로(202)의 VAT 구조용 메모리(222)에 격납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VAT 구조용 메모리(222)에 격납된 VAT 구조를 광 디스크(235)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VAT 구조 기록수단(212)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VAT 구조를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고,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305)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록정보 존에 대한 기록을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엔트리 섹터번호(포인터 정보)와 유효한 등록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버전번호(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등록 블록(176)을 작성하고, 제 1 등록 블록(176)을 메모리회로(232)의 기록정보 존용 메모리(273)에 격납하고, 제 1 등록 블록(176)을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한다. 예를 들면, 드라이브 제 어부(231)는 제 1 등록 블록(176)을 제 1 등록 유닛(142)에 기록하고, 기록이 행하여진 등록 유닛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카운트 블록을 카운트 유닛의 선두에 기록한다. 드라이브 제어부(23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기록정보 존 기록수단(271)으로서 드라이브 제어부(23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등록 블록의 기록 동작과 카운트 블록의 기록 동작이 따로따로 행하여지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기록 동작이 동시에 행하여져도 좋다.
도 4는 포맷 처리가 실행된 후에, 광 디스크(23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다.
볼륨 구조 영역(101)에는 볼륨 구조가 기록되어 있다. 볼륨 구조는 볼륨의 인식정보를 갖는 볼륨 인식열(441)과, 볼륨의 속성정보를 갖는 기본 볼륨 기술자(442)와, 처리 시스템을 위한 정보를 갖는 처리 시스템용 기술자(443)와, 구획의 정보를 갖는 구획 기술자(444)와, 논리 볼륨의 식별정보를 갖는 논리 볼륨 기술자(445)와, 볼륨 공간 내의 미할당 영역의 정보를 갖는 미할당 공간 기술자(446)와, 기본적인 기술자열의 종단을 나타내는 종단 기술자(447)와, 논리 볼륨의 보전상태의 정보를 갖는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448)와, 볼륨에 대한 액세스 개시정보를 갖는 개시 볼륨 기술자 포인터(449)를 포함한다. 또, 이 볼륨 구조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는 이 순서 또는 이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341)의 기본 파일 구조 영역(432)에는 기본 파일 구조 가 기록되어 있다. 기본 파일 구조는 파일 집합 기술자(450)와 루트 디렉토리(451)와 파일 엔트리(452; 루트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341)의 공간 관리 구조 영역(421)에는 공간 관리 구조가 기록되어 있다. 공간 관리 구조는 미할당 공간 엔트리(453)를 포함한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341)의 VAT 구조 영역(401)에는 VAT 구조가 기록되어 있다. VAT 구조는 VAT(454)와 VATICB(455)를 포함한다. VAT(454) 및 VATICB(455)는 UDF 규격으로 규정된 데이터 구조이다. 광 디스크상의 데이터의 기록 위치는 가상 어드레스 공간상의 가상 어드레스와, 논리 어드레스 공간상의 논리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VAT(454)는 가상 어드레스와 논리 어드레스의 대응관계를 보유한다. VATICB(455)는 VAT(454)의 기록 위치를 나타낸다. VATICB(455)는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가장 후미의 섹터에 할당된다.
기록정보 존(111)은 유효한 등록 유닛의 번호를 지정하기 위한 카운트 유닛(141)과, 제 1 등록 유닛(142), 제 2 등록 유닛(143)을 포함하는 복수의 등록 유닛을 포함한다. 카운트 유닛(141)에는 제 1 등록 유닛(142)의 식별번호를 나타내는 제 1 카운트 블록(171)만이 기록되어 있다. 제 1 등록 유닛(142)에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431)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엔트리 섹터번호(464)를 갖는 제 1 등록 블록(176)이 기록되어 있다.
카운트 유닛(141) 내의 제 2 카운트 블록 이후는 미기록이며, 제 1 등록 유닛(142) 내의 제 2 등록 블록 이후도 미기록이며, 제 2 등록 유닛(143) 이후도 미기록이다.
1. 4 파일 기록 처리
도 5는 광 디스크(235)에 파일을 기록하는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다. 파일 기록 처리는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하, 도 4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235)에 AV파일(AVfile-a)과 AV파일(AVfile-b)과 그것들의 제어 파일을 기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5에 도시되는 각 스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S501) 시스템 제어부(201)는 공간 관리 구조용 메모리(253)에 판독되어 있는 미할당 공간 엔트리(453)로부터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467)를 취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공간 관리 구조 기록수단(25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502)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S501)에 있어서 취득된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에 따라서 미할당 영역을 할당하고, 그 할당된 영역에 AV파일(641; AVfile-a)의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AV파일, (641; AVfile-a)의 파일 엔트리(642; AVfile-a)를 작성하고, 이 파일 엔트리를 데이터용 메모리(221)에 격납하고, 이 파일 엔트리를 AV파일(641; AVfile-a)의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에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마찬가지로, 시스템 제어부(201)는 AV파 일(643; AVfile-b)의 데이터와 그 파일 엔트리(644; AVfile-b)를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파일 기록수단(213)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이들의 데이터를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고,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503)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본 파일 구조를 작성하고, 그 기본 파일 구제어부(201)는 기본 파일 구조용 메모리(263)에 격납한다. 기본 파일 구조를 광 디스크(235)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기본 파일 구조 기록수단(26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기본 파일 구조를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고,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504) 시스템 제어부(201)는 공간 관리 구조를 작성하고, 그 공간 관리 구조를 메모리회로(202)의 공간 관리 구조용 메모리(253)에 격납한다. 이 때, 스텝(S505)에서 할당되는 VAT 구조 영역(602)의 용량을 고려하여, 미할당 영역(#1(623))의 위치정보(666)와 미할당 영역(#2(621))의 위치정보(667)가 미할당 공간 엔트리(652)에 등록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공간 관리 구조용 메모리(253)에 격납된 공간 관리 구조를 광 디스크(235)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공 간 관리 구조 기록수단(25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공간 관리 구조를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고,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505) 시스템 제어부(201)는 VAT 구조를 작성하고, 그 VAT 구조를 메모리회로(202)의 VAT 구조용 메모리(222)에 격납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VAT 구조용 메모리(222)에 격납된 VAT 구조를 광 디스크(235)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VAT 구조 기록수단(212)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VAT 구조를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하고,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506)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록정보 존에 대한 기록을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엔트리 섹터번호(포인터 정보)와 유효한 등록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버전번호(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등록 블록(177)을 작성하고, 제 2 등록 블록(177)을 메모리회로(232)의 기록정보 존용 메모리(273)에 격납하고, 제 2 등록 블록(177)을 광 디스크(235)의 소정의 위치(제 1 등록 블록(176)이 기록된 영역에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한다. 드라이브 제어부(23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기록정보 기록수단(271)으로서 드라이브 제어부(23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 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기록 동작이 종료하면 기록 동작의 완료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도 6은 파일 기록 처리가 실행된 후에, 광 디스크(23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다.
볼륨 구조 영역(101)에는 볼륨 구조가 기록되어 있다. 볼륨 구조의 상세한 것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같다.
AV파일 영역(601)에는 AV파일(641; AVfile-a)과, 그 파일 엔트리(642; AV파일-a)와, AV파일(643; AVfile-b)과, 그 파일 엔트리(644; AVfile-b)가 기록되어 있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631)의 기본 파일 구조 영역(632)에는 기본 파일 구조가 기록되어 있다. 기본 파일 구조는 AV파일의 관련정보를 갖는 제어 파일(645; Datafile)과, 그 파일 엔트리(646; Datafile)와, AV 디렉토리(647; AVDir), 파일 엔트리(648; AVDir)와, 파일 집합 기술자(649)와, 루트 디렉토리(650)와, 그 파일 엔트리(651; 루트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AV 디렉토리(647; AVDir)는 AV파일(641; AVfile-a)의 파일 엔트리(642; AVfile-a)의 위치정보와 AV파일(643; AVfile-b)의 파일 엔트리(644; AVfile-b)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또, 파일 집합 기술자(649)와, 루트 디렉토리(650)와, 파일 엔트리(651; 루트 디렉토리)는 새로운 기록 위치(논리 어드레스)에 기록되게 된다. 가상 어드레스와 논리 어드레스의 대응관계를 기술한 VAT(653)에 있어서의 논리 어드레스를 갱신함으로써, 이전과 같은 가상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그 새로운 기록 위치에 액세스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논리 볼륨 기술자(445)로부터 지정되는 파일 집합 기술자(649)의 기록 위치는 가상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파일 집합 기술자(649)가 새로운 기록 위치(논리 어드레스)에 기록되었다고 해도, 가상 어드레스와 논리 어드레스의 대응관계를 기술한 VAT(653)에 있어서의 논리 어드레스를 갱신함으로써, 파일 집합 기술자(649)가 새로운 기록 위치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631)의 공간 관리 구조 영역(622)에는 공간 관리 구조가 기록되어 있다. 공간 관리 구조는 미할당 공간 엔트리(652)를 포함한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631)의 VAT 구조 영역(602)에는 VAT 구조가 기록되어 있다. VAT 구조는 VAT(653)와 VATICB(654)를 포함한다.
기록정보 존(111)은 유효한 등록 유닛의 번호를 지정하기 위한 카운트 유닛(141)과, 제 1 등록 유닛(142), 제 2 등록 유닛(143)을 포함하는 복수의 등록 유닛을 포함한다. 카운트 유닛(141)에는 제 1 등록 유닛(142)의 식별번호를 나타내는 제 1 카운트 블록(171)만이 기록되어 있다. 제 1 등록 유닛(142)에는 제 1 등록 블록(176)과, 최신 파일 구조 영역(631)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엔트리 섹터번호(663)를 갖는 제 2 등록 블록(177)이 기록되어 있다. 제 2 등록 블록(177)이 유효한 엔트리 섹터번호(663)를 갖는 최신의 등록 블록인 것은 제 1 등록 블록(176)의 버전번호(463)와 제 2 등록 블록(177)의 버전번호(662)를 비교함으로써 인식된다.
1. 5 공간 관리 구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공간 관리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간 관리 구조는 볼륨 공간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연속한 영역인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구조이다. 공간 관리 구조는 광 디스크상에 어떠한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반드시 기록된다.
공간 관리 구조인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는 미할당 공간 엔트리인 것을 나타내는 기술자 태그(185)와, 볼륨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1개의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도 1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미할당 영역(#1)의 위치정보(186), 미할당 영역(#2)의 위치정보(187), 미할당 영역(#3)의 위치정보(188), 미할당 영역(#4)의 위치정보(189))를 포함한다.
최신정보를 광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로 이동하면서 기록하기 위해서,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1) 이후에 존재하는 미할당 영역에서 외주를 향해서 순차로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된다. 가장 외주의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가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되면,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는 가장 내주의 미할당 영역으로부터 외주를 향해서 순차로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된다.
도 1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미할당 영역(#1(124))이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1) 이후에 처음에 존재하는 미할당 영역이다. 따라서, 미할당 영역(#1(124))의 위치정보(186)가, 1번째의 위치정보로서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된다.
다음에, 볼륨 공간의 종단에 위치하는 미할당 영역(#2(125))의 위치정보(187)가 2번째의 위치정보로서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된다. 다음에, 볼륨 공간에서 가장 내주에 위치하는 미할당 영역(#3(121))의 위치정보(188)가 3번째의 위치정보로서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된다. 마지막으로, 미할당 영역(#4(122))의 위치정보(189)가 4번째의 위치정보로서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미할당 영역(#1(124)), 미할당 영역(#2(125)), 미할당 영역(#3(121)), 미할당 영역(#4(122))의 순차로, 그것들의 위치정보가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된다.
상술한 순서로 미할당 영역을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하여 두고,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서 데이터를 미할당 영역에 기록함으로써,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광 디스크상에서 이동시키면서 기록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의 재기록이 특정한 영역에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고, 결함 발생이나 데이터 결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이 삭제되거나 편집된 경우, 그때까지 사용했던 광 디스크상의 영역이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불필요하게 된 영역의 위치정보는 새로운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로서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된다.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새롭게 등록되는 새로운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의 순서는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로부터 산출된다. 그 결과, 새로운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는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 내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볼륨 공간 내의 미할당 영역의 위치에 의존하여,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를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데이터의 삭제에 의해 불필요하게 된 영역이 발생한 시점에서, 그 불필요하게 된 영역의 위치정보를 새로운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로서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의 마지막에 등록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된 영역을 새로운 미할당 영역으로서 회수한 시간에 의존하여, 미할당 영역의 위치정보를 미할당 공간 엔트리(155)에 등록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데이터의 재기록이 특정한 영역에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내주로부터 외주까지의 기록 방법은 추기(追記)형 디스크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도 8에 있어서 데이터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제어 파일이 하나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제어 파일을 광 디스크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어 파일은 기본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하여도 좋고, AV파일 영역에 기록하여도 좋다. 제어 파일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나 제어 파일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제어 파일을 기본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파일에 액세스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제어 파일의 사이즈가 큰 경우나 제어 파일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어 파일을 AV0 파일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사이즈를 작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 파일과 그 파일 엔트리를 AV파일 영역에 기록함으로써, 제어 파일의 갱신시에 데이터의 재기록이 특 정한 영역에 집중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또, 엔트리 섹터번호로 지정되는 다음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기록 위치정보로부터, 일정 방향의 반복 기록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보 기록 영역의 기록 가능한 위치정보는 공간 관리 구조로부터 취득된다.
1. 6 기록정보 존의 데이터 구조
도 9는 기록정보 존(111)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기록정보 존(111)은 1개의 카운트 유닛과 250개의 등록 유닛을 포함한다.
카운트 유닛은 10개의 카운트 블록을 포함한다. 10개의 카운트 블록의 각각은 예를 들면, 최소 기록 단위인 ECC 블록 단위로 형성되어 있다. 10개의 카운트 블록 중 1개에는 250개의 등록 유닛 중 어느 등록 유닛이 유효한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예를 들면, 유효한 엔트리 섹터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등록 블록이 소속하는 등록 유닛의 식별번호)가 기록된다. 카운트 유닛은 250개의 등록 유닛으로부터 유효한 등록 유닛을 검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카운트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등록 유닛을 판독하여 검색하지 않더라도, 1개의 유효한 등록 유닛만을 판독하는 것으로 최신의 엔트리 섹터번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운트 블록은 유효한 등록 유닛의 식별번호를 변경하는 경우에 재기록된다. 따라서, 카운트 블록이 재기록되는 회수는 등록 블록이 재기록되는 회수와 비교하여 대단히 작다.
카운트 블록은 카운트 유닛에 포함되는 10개의 카운트 블록 중 선두의 카운트 블록(제 1 카운트 블록)부터 순차로 사용된다. 1개의 카운트 블록은 그 카운트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질 때까지, 몇번이라도 반복하여 사용된다. 카운트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지는 원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한 회수를 상회하는 회수의 재기록이 행하여진 것, 먼지 등이 부착하여 결함상태가 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카운트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제 2 카운트 블록이 사용된다. 제 2 카운트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제 3 카운트 블록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카운트 블록은 기록 불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재기록되고, 그 카운트 블록이 기록 불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에는 다음의 카운트 블록이 사용된다. 따라서, 재기록 회수가 적을 수록 카운트 블록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다.
제 1 등록 유닛 내지 제 250의 등록 유닛의 각각은 10개의 등록 블록을 포함한다. 10개의 등록 블록의 각각은 최소 기록 단위인 ECC 블록 단위로 형성되어 있다. 10개의 등록 블록의 각각은 그 등록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번호(버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과,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엔트리 섹터번호(포인터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한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대한 기록이 행하여질 때마다, 1개의 등록 유닛 내의 제 1 등록 블록으로부터 제 10 등록 블록 중 선택된 1개의 등록 블록에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번호가 기록된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대한 기록이 행하여질 때마다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번호가 기록되는 등록 블록은 변경된다. 예를 들면, 처음에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대한 기록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번호는 제 1 등록 블록에 기록되고, 2번째로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대한 기록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번호는 제 2 등록 블록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번호는 제 1 등록 블록으로부터 제 10 등록 블록의 순차로, 등록 블록의 1개씩에 기록되어 간다.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번호가 제 10 등록 블록에 기록된 후에는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번호는 다시 제 1 등록 블록에 기록된다(덮어쓰기된다). 그 후, 다시,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번호는 제 1 등록 블록으로부터 제 10 등록 블록의 순차로, 등록 블록의 1개씩에 기록되어 간다(덮어쓰기되어 간다).
이와 같이, 등록 블록의 1개씩에 차례로 버전번호와 엔트리 섹터 번호를 기록하여 감으로써, 데이터의 재기록이 특정한 등록 블록에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엔트리 섹터번호(포인터 정보)에 의해서 나타내지는 위치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엔트리 섹터번호(포인터 정보)에 의해서 나타내지는 위치는 광 디스크(235)상의 임의의 영역(예를 들면,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일 수 있다. 제 2 정보 기록 영역은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250개의 등록 유닛의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가 시퀀셜로 반복 기록된다. 즉, 250개의 등록 유닛의 각각은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의 일례이다. 이와 같이, 분할된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를 시퀀셜로 반복 기록함으로써, 전체 영역의 신 뢰성 향상과, 각 영역에서의 판독의 고속화가 가능해진다.
최신의 등록 블록은 등록 블록이 소속하는 등록 유닛 내에서 최대의 버전번호를 갖도록 관리된다. 최대의 버전번호는 최신의 버전 정보를 나타낸다. 최대의 버전번호(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엔트리 섹터번호(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엔트리 섹터번호(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된다.
도 9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버전번호(3)를 갖는 제 3 등록 블록이 최신의 등록 블록이다. 이와 같이, 등록 유닛에 포함되는 등록 블록의 수를 10개로 함으로써, 최대 10개의 등록 블록을 판독하는 것만으로 최신의 등록 블록을 인식할 수 있다.
1개의 등록 유닛 내에서 1개 이상의 등록 블록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다음의 등록 유닛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제 1 등록 유닛 내의 등록 블록이 결함 블록이 된 경우(또는 제 1 등록 유닛 내의 등록 블록의 버전번호가 어떤 일정한 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 2 등록 유닛이 사용된다. 유효한 등록 유닛은 카운트 유닛에 의해 식별된다. 따라서, 유효한 등록 유닛을 식별하기 위해서, 250개의 등록 유닛의 모두를 검색할 필요가 없다.
기록정보 존(111)에 기록되는 정보의 카피(copy)가 기록되는 예비 기록정보 존을 도 1에 도시하는 확장 기록정보 존(112)에 형성함으로써, 기록정보 존(11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판독 에러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기록정보 존(111)으로부터 엔트리 섹터번호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확장 기록정보 존(112)으로부터 엔트리 섹터번호를 판독하도록 하면 되기 때문이다.
정보 기록 존(111)은 반드시 리드 인 영역이나 리드 아웃 영역에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정보 기록 존(111)은 리드 인 영역의 더욱 내주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는 정보 기록 존(111)은 볼륨 구조 영역(101)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도, 데이터의 재기록이 특정한 섹터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퀀셜 반복 기록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엔트리 섹터번호가 기록한 영역의 종단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카운트 블록의 수는 10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운트 블록의 수는 1이상의 임의의 수일 수 있다. 등록 블록의 수도 10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등록 블록의 수도 1이상의 임의의 수일 수 있다.
등록 유닛의 수는 250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등록 유닛의 수는 1이상의 임의의 수일 수 있다. 등록 유닛의 수가 1인 경우에는 카운트 유닛은 생략될 수 있다. 유효한 등록 유닛을 검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하나의 등록 유닛만을 포함하도록 기록정보 존을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등록 블록의 수를 충분히 많게 한 경우에는 1개의 등록 유닛만을 포함하도록 기록정보 존을 구성할 수 있다.
또, 기록정보 존 내의 기록 단위는 섹터 단위이어도 되고, ECC 블록 단위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 기록정보 존이 광 디스크의 소정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가 광 디스크에 미리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식별정보에 의해, 재기록 회수의 제한이 있는 광 디스크에 대하여, 그 광 디스크의 출하시에 그 광디스크의 신뢰성이 높은 것을 보증할 수 있다. 기록정보 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시퀀셜로 반복 기록함으로써, 재기록 회수의 제한이 있는 광 디스크에 대하여, 그 재기록 회수의 제한을 보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추기형 디스크는 재기록 회수가 0회로 제한된 기록 가능한 디스크라고 간주할 수 있다. 상술한 기록정보 존을 사용함으로써, 추기의 회수가 많아진 경우에도, 유효한 등록 유닛과 그 중에 기록된 유효한 등록 블록을 고속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추기 회수가 증가하여 기록정보 존의 등록 유닛이 모두 사용된 경우에는 확장 기록정보 존 내에 기록정보 존을 할당함으로써, 더욱, 추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1개의 등록 유닛 내의 등록 블록수를 증가시키거나, 1개의 카운트 유닛 내의 카운트 블록수를 증가시키거나 함으로써, 추기형 디스크에 의해 적절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정보 존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운트 유닛 내의 카운트 블록의 수를 등록 유닛의 수와 같게 함으로써, 등록 유닛의 갱신 회수분과 같은 만큼 카운트 블록의 갱신이 가능하다. 또한, 카운트 유닛 내의 카운트 블록의 수를 등록 유닛의 수보다 크게 함으로써, 카운트 블록의 갱신이 결함 블록 등에 의해 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음의 카운트 블록에 갱신할 수 있다.
또, 카운트 유닛 내의 특정한 카운트 블록에 데이터의 재기록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카운트 유닛 내에서 데이터를 시퀀셜로 반복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카운트 유닛은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3 정보 기록 영역의 일례이다. 이 경우에는 카운트 유닛에 포함되는 각 카운트 블록이, 상술한 등록 블록과 같이, 그 카운트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번호(버전 정보)와, 등록 유닛의 식별번호(식별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최신의 카운트 블록은 카운트 유닛 내에서 최대의 버전번호를 갖도록 관리된다. 최대의 버전번호는 최신의 버전 정보를 도시한다. 최대의 버전번호(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등록 유닛의 식별번호(식별정보)가 유효한 등록 유닛의 식별번호(유효한 식별정보)로서 사용된다.
카운트 유닛 및 등록 유닛의 각각 대하여, 각 유닛 내에서, 데이터를 시퀀셜로 반복 기록함으로써, 카운트 블록 및 등록 블록에는 옛 정보가 남겨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갱신되기 전의 정보(파일)를 광 디스크상에 보유할 수 있고, 그 정보(파일)를 백업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록 방법은 재기록형 디스크에 더하여 추기형 디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기록형 디스크와 추기형 디스크로 기록 방법을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광 디스크에 있어서, 등록 유닛 내의 등록 블록은 시퀀셜의 반복 기록을 하는 대신에, 그 등록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질 때까지, 몇번이나 반복하여 사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등록 유닛으로부터의 판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등록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지는 원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한 회수를 상회하는 회수의 재기록이 행하여진 것, 먼지 등이 부착되어 결함상태가 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등록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다음의 등록 블록이 사용된다. 카운트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질 때까지 그 카운트 블록 을 몇번이나 반복하여 사용하는 동시에, 등록 블록이 기록 불가능해질 때까지 그 등록 블록을 몇번이나 사용함으로써, 카운트 유닛으로부터의 판독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등록 유닛으로부터의 판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 7 파일 재생 처리
도 7은 광 디스크(235)에 기록된 파일을 재생하는 파일 재생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다. 파일 재생 처리는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하, 도 1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235)로부터 AV파일(158; AVfile-d)을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7에 도시되는 각 스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1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235)는 도 6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235)로부터 AV파일(AVfile-b)을 삭제하고, AV파일(AVfile-c)과 AV파일(AVfile-d)을 기록함으로써 얻어진다.
(S701)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광 디스크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면,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기록정보 존(111)의 카운트 유닛(141)의 최초의 카운트 블록(171)의 위치를 지정한다.
(S702)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카운트 유닛(141) 내의 지정된 카운트 블록이 미기록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Yes」이면 처리는 스텝(S704)으로 진행하고, 「No」이면 처리는 스텝(S703)으로 진행한다.
(S703)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카운트 유닛(141) 내의 다음의 카운트 블록 의 위치를 지정한다.
(S704)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미기록상태가 아닌 카운트 블록 중 마지막의 카운트 블록으로부터 등록 유닛의 식별번호(식별정보)를 취득한다.
(S705)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등록 유닛의 식별번호에 의해 지정된 등록 유닛의 선두의 등록 블록에 대하여 재생동작을 실행하고, 버전번호(버전 정보)를 취득한다.
(S706)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지정된 등록 유닛의 다음의 등록 블록의 위치를 지정한다.
(S707)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지정된 등록 블록에 대하여 재생동작을 실행한다. 이 재생동작으로 지정된 등록 블록이 미기록상태인 경우, 또는 등록 블록에 기록된 버전번호가 먼저 취득한 버전번호보다 작은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S709)으로 진행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S708)으로 진행한다.
(S708)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지정된 등록 유닛 내의 다음의 등록 블록의 위치를 지정한다.
*(S709)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발견된 최신의 등록 블록에 기록된 엔트리 섹터번호를 취득하고, 그 엔트리 섹터번호를 기록정보 존용 메모리(273)에 격납한다.
또, (S701) 내지 (S709)에 있어서 설명한 드라이브 제어부(231)의 동작은 예를 들면, 기록정보 재생수단(272)으로서 드라이브 제어부(231)에 내장되어 있는 제 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710) 시스템 제어부(201)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의 기록정보 존용 메모리(273)에 격납된 엔트리 섹터번호를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포인터 정보)로서 취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에 기록된 VATICB(157)를 재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VAT 구조 재생수단(215)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에 기록된 VATICB(157)를 판독하여, 메모리회로(202)의 VAT 구조용 메모리(222)에 격납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판독된 VATICB에 포함되는 VAT의 위치정보를 해석하고, VATICB와 같은 제어 순서에 따라서 VAT 구조 영역(108)에 기록된 VAT(156)를 판독하여, 메모리회로(202)의 VAT 구조용 메모리(222)에 격납한다.
(S711)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S710)에서 취득된 VAT를 사용하여 가상 어드레스를 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처리를 하면서, 파일 집합 기술자(152)를 기점으로 하여, 파일 엔트리(154; 루트 디렉토리)와 루트 디렉토리(153)를 판독한다. 또한 이들과 동일 영역에 정리하여 기록하고 있는 파일 엔트리(151; AVDir), AV디렉토리(150; AVDir)와 함께 파일 엔트리(149; Datafile)와 제어 파일(148; Datafile)도 순차 판독함으로써, AV파일의 기록 위치나 관련정보를 취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기본 파일 구조 재생수단(261)으로 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712) 마지막으로, 시스템 제어부(201)는 파일 엔트리(159; AVfile-d) 및 AV파일(158; AVfile-d)의 판독 동작을 실행하고, 파일 재생 동작을 완료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파일 재생수단(216)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재생시에 판독 에러에 의해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그 데이터의 카피(copy)를 다른 장소에 기록하여도 좋다. 시퀀셜 기록에 의해서 이동하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2중화하고, 이들의 위치정보를 기록정보 존에 의해 지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비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3)과 주(主)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7)을 예비 기록정보 존(2101) 및 주 기록정보 존(2102)에 기록된 등록 블록에 기록되는 주 엔트리 섹터번호(2151)와 예비 엔트리 섹터번호(2152)로부터 지정하여도 좋다.
시퀀셜로 베리파이 첨부 기록을 한 후, 상처나 먼지 등의 원인에 의해 재생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도 최신 파일 구조를 판독할 수 있도록, 볼륨 공간 내에 주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7) 및 예비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3)을 형성하고, 그 위치정보를 각각 주 엔트리 섹터번호(2151) 및 예비 엔트리 섹터번호(2152)로서 리드 인 영역에 등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재생 신뢰성이 향상된다.
예비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3)에 기록되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주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7)에 기록되는 정보의 예비정보이지만, VAT 구조 영역(2110)에 기 록되는 VAT(2145)는 가상 어드레스와 주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7)에 기록된 최신 파일 구조의 논리 어드레스의 대응 테이블인 데 대하여, VAT 구조 영역(2106)에 기록되는 VAT(2135)는 가상 어드레스와 예비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3)에 기록된 최신 파일 구조의 논리 어드레스와의 대응 테이블이다.
또, 주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7)의 위치정보는 주 엔트리 섹터번호(2151)로서, 예비 최신 파일 구조 영역(2103)의 위치정보는 예비 엔트리 섹터번호(2152)로서, 리드 인 영역의 주 기록정보 존(2102) 및 예비 기록정보 존(2101)에 모두 등록되어도 좋다. 이때 예비 기록정보 존(2101)은 주 기록정보 존(2102)에 등록되는 정보의 예비정보가 등록되는 영역이다. 주 또는 예비 기록정보 존의 구성과 사용방법은 실시예 1에 개시한 기록정보 존과 같다.
*또, 예비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위치정보는 주 엔트리 섹터번호로부터의 오프셋 어드레스로 지정되어도 좋다. 오프셋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주 엔트리 섹터번호(1256)나, 주 엔트리 섹터번호(1512), 주 엔트리 섹터번호(1256), 주 엔트리 섹터번호(1512) 등으로 지정되어도 좋다. 또한 이 오프셋의 값이 정보 기록 존에 등록되어도 좋다.
또, 기록정보 존을, 리드 인 영역 내가 아니라, 볼륨 공간 내에 형성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엔트리 섹터번호는 예를 들면, 볼륨 구조 영역(101) 등의 볼륨 공간 내에 기록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엔트리 섹터번호가 리드 인 영역에 기록된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엔트리 섹터번호 등, 다음의 기록 개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기록 위치정보를 갖는 것으로, 재기록되는 영역이 정보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 영역에 분산하도록, 데이터를 일정 방향에 반복 기록할 수 있다.
또, 주 기록정보 존에 기록되는 정보의 예비정보의 등록방법은 주 기록정보 존(2102)과 예비 기록정보 존(2101)에 있어서 각각 독립으로 행하여져도 좋다. 이 경우, 베리파이 첨부 기록을 사용하여 결함 영역을 피하면서 카운트 블록 또는 등록 블록이 기록되기 때문에, 주 기록정보 존(2102)과 비 기록정보 존(2101)에 있어서, 결함 영역이 되는 카운트 블록이나 등록 블록의 번호가 다르다.
또한, 예비 기록정보 존(2101)에는 주 기록정보 존(2102)과 같은 카운트 블록 및 등록 블록에 복제 정보가 기록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비 기록정보 존(2101)에서는 베리파이 첨부 기록을 할 필요는 없고, 결함상태이어도 기록이 실행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예비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된 정보는 주 최신 파일 구조의 복제 정보이다. 그러나, 기록시간의 단축을 위해, 예비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는 전회의 기록시로부터 갱신된 파일 구조만을 기록하여도 좋다. 주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이 판독 불가능할 때, 예비 최신 파일 구조와, 전회의 주 최신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백업을 복원할 수 있다. 전회의 주 최신 파일 구조는 전회의 등록 블록을 버전번호로부터 판별하고, 그 등록 블록에 기록된 엔트리 섹터번호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륨 공간에 기록되는 최신 파일 구조가 2중화 되어, 그 위치정보를 함께 리드 인 영역에 갖는 것에 의해 시퀀셜 기록을 하면서 파일로의 기록 재생에 빠뜨릴 수 없는 파일 구조 영역의 로버스트니스를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 다중화된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위치정보의 지정 영역인 기록정보 존을 확실히 기록하는 것으로, 상처나 먼지 등의 원인에 의해 재생이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는 디스크에 대하여 재생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이 최신 파일 구조 영역과 엔트리 섹터번호는 모두 3중화 등의 2중화 이상에도 대응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또, ECMA(167) 규격에 있어서 AV파일의 파일 엔트리는 파일 구조의 일부로서 정의되지만, 설명을 간단화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AV파일 영역에 기록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 AV파일이 기록되지 않은 정보 기록 매체의 경우, AV파일 영역에 기록되는 파일은 제어 파일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 때, 볼륨 공간 내에서는 제어 파일과 그 파일 구조가 시퀀셜로 기록된다.
또, 본 실시예로서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는 VAT 구조를 사용한 파일 구조가 기록되어 있지만, 엔트리 섹터번호로 지정되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는 예를 들면 MS-DOS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FAT 파일 시스템 등, 다른 파일 시스템의 파일 구조를 기록하여도 좋다. VAT 구조 이외의 파일 구조를 사용하여도, 기록정보 존에 기록된 엔트리 섹터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디스크에 있어서의 재기록의 집중을 회피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삽입시에 시스템이, 복수의 AV파일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 기본 파일 구조 영역에 제어 파일을 기록하는 예를 개시하였다. 또, 디스크상에 기록된 파일만을 인식하면 되는 경우에는 기본 파일 구조 영역에 제어 파일과 그 파일 엔트리를 기록할 필요는 없다. 이때 기본 파일 구조 영역은 더욱 작아지기 때문에 판독 시간이 단축된다. 이 기본 파일 구조 영역이, 판독 최소 단위인 1ECC 블록 이내에 기록된 경우, 드라이브장치는 1회의 판독을 하는 것만으로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포함하여 갱신 기록하는 데이터를 내주로부터 외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재기록 집중에 의한 데이터 결손이나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고, 데이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볼륨 공간에 미리 할당된 AV파일 영역 내에서 AV파일을 시퀀셜로 기록하는 방법과, 최신 파일 구조 영역쪽에 기록되는 정보의 결함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AV파일 영역에 기록되는 AV 데이터는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베리파이를 하지 않고 기록된다. 한편, 파일 집합 기술자 등의 파일 관리정보나 제어 파일은 데이터의 신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록 후에 베리파이가 행하여져, 기록시의 데이터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AV파일은 데이터의 사이즈가 크고, 제어 파일이나 파일 관리정보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작다. 이와 같이, AV 데이터의 특성과 비AV 데이터의 특성은 다르다. AV 데 이터를 기록하는 영역과, 비AV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분리하는 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과 같이 미할당 영역의 관리가 테이블 형식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경우, 미할당 영역의 관리정보의 등록 순서를 규정함으로써 시퀀셜로 기록이 행하여졌다. 실시예 2에서는 공간 관리 구조 영역에 기록되는 개량 비트 맵을 사용하여 미할당 영역의 관리를 행하고, 볼륨 공간 내의 AV파일 영역 내에서 시퀀셜 기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볼륨·파일 구조로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기술자나 포인터 등은 특별히 상세한 기재가 없는 한, ECMA167 규격 또는 UDF(Universal Disk Format) 규격에 규정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2. 1 광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
도 11은 광 디스크(235)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볼륨 공간에는 볼륨 구조 영역(101)과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1303)과 AV파일 영역(1308)이 미리 고정위치에 할당되어 있다.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1303)은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일부에 공간 관리 구조 영역(1306)을 갖고 있다. 이 공간 관리 구조 영역에는 개량 비트 맵이 기록된다.
비트 맵은 섹터나 ECC 블록 등 일정 단위의 영역마다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맵이다. 어떤 일정 단위의 영역의 기록상태는 기록 완료 상태이면 1, 미기록상태이면 O으로 하여, 1비트로 나타내진다. 모든 섹터의 기록 형태를 나타내는 비트의 집합을 비트 맵이라고 한다. 실시예 2에서는 비트 맵은 유닛의 기록상태를 나타낸다. 미할당 영역의 관리를 비트 맵으로 행하는 메리트는 관리하는 단위 영역마다 비트를 사용하여 할당을 지정하기 때문에, 비트 맵의 사이즈가 고정인 점이다.
유닛은 1섹터 이상으로 구성되는 기록 관리의 단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1 유닛이 약 5000섹터 정도의 예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리드 인 영역에는 기록정보 존(111)이 할당되어 있다. 기록정보 존(111)에는 대체 유닛번호(1310)와 대체 영역 어드레스 정보(1311)를 갖는 대체 지정정보 영역(1302)이 할당되어 있다. 이 대체 지정정보 영역은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04)을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1303)의 대체 가능 영역(1307)이나 다른 유닛으로 대체한다. 이것에 의해,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1307)의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04)에 재기록이 집중한 경우나, 또한 영역 전체가 기록 불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 대체함으로써 매체 전체가 기록 불가능해지지 않고, 계속해서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기록할 수 있다.
2. 2 파일 기록 처리
도 13은 광 디스크(235)에 파일을 기록하는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다. 파일 기록 처리는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하, 도 13에 도시되는 각 스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S1501) 시스템 제어부(201)는 공간 관리 구조용 메모리(253)에 판독되어 있는 개량 비트 맵(1313)의 선두로부터 개시 유닛번호(1330)를 취득한다. 시스템 제 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공간 관리 구조 기록수단(25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1502) 시스템 제어부(201)는 개시 유닛번호(1330)로 지정된 유닛(#40)으로부터 순차로 시퀀셜로 AV파일(146; AVfile-d)을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파일 기록수단(213)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1503)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록된 AV파일(AVfile-d)의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파일 구조를 갱신하고, 갱신된 파일 구조를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04)에 기록하도록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기본 파일 구조 기록수단(26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때,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1303)에 있어서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04)이 재기록 회수의 집중이나 상처나 먼지 등에 의해 기록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로부터 기록 에러가 돌아오면,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기본 파일 구조를 갱신하고, 대체 가능 영역(1307)에 대한 기록을 지시한다.
다시, 대체 가능 영역(1307)이 상처나 먼지 등에 의해 기록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광 디스크 드라이브장치(205)보다 기록 에러가 돌아오면, 시스템 제어부(201)는 AV파일 영역(1308)으로부터 시퀀셜로 기록하는 경우에 다음의 기록 개시 유닛이 되는 유닛(#56)을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유닛(#56)에 기록 위치의 변경을 반영한 기본 파일 구조 영역의 기록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기록시에 기록 에러가 발생하면, 미기록상태의 대체 가능 영역으로,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한 데이터를 갱신하여 기록한다. 또한, 대체 가능 영역에서 미기록상태의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개시 유닛번호를 사용하여, 미할당 영역인 유닛에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을 할당하고,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한 데이터를 갱신하여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의 선두에 기록한다. 미할당 영역인 유닛에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이 할당되면, 소정의 사이즈의 대체 가능 영역이 미기록상태로서 배치되기 때문에,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기록에 있어서, 기록 에러가 발생하여도 대체 기록이 가능해진다.
드라이브 제어부(232)는 기본 파일 구조를 유닛(#56)에 기록하도록 기록 재생수단(234)에 지시하고, 그 기록이 완수되면, 리드 인 영역의 기록정보 존(111)의 대체 유닛번호(1410)에 56을 기록하고, 대체 영역 어드레스 정보(1411)에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한다. 그 후, 드라이브 제어부(232)는 처리의 완수를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S1504) 마지막으로, 시스템 제어부(201)는 디스크의 미할당 영역의 상태를 반영한 개량 비트 맵(1412)을 형성하고, 유닛(#56)의 공간 관리 구조 영역(1403)에 기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공간 관리 구조 기록수단(25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개량 비트 맵의 선두의 개시 유닛번호에는 기록된 유닛 이후의 선두의 미할당 영역을 나타내는 유닛번호(57)가 등록되고, 이 처리로 기록이 행하여진 유닛(#40)으로부터 유닛(#56)의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는 기록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1로 변경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235)에 대하여 파일 기록 처리가 실행된 후에, 광 디스크(23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AV파일 영역 내에서의 내주로부터 외주로의 시퀀셜 기록의 2사이클번째를 개시하였다.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 개시 위치가 개시 유닛번호에 의해 지정되기 때문에, AV파일 영역 내에서,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해서 시퀀셜의 기록을 반복하여 행할 수 있다.
또, 다음번의 기록 개시 위치를 개시 유닛번호로 지정하는 대신에, 어드레스로 지정하여도 좋다. 다음번의 기록 개시 위치를 어드레스로 지정함으로써, 다음번의 기록 개시 위치를 개시 유닛번호로 지정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미세한 기록 개시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음번의 기록 개시 위치 대신에, 전회의 기록 종단위치를 지정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AV파일의 기록 가능한 미할당 영역의 지정은 유닛 단위로 하고, AV파일이 기록된 영역의 지정은 논리 섹터 단위로 하고 있지만, 간단화를 위해, AV파일이 기록된 영역의 지정도 유닛 단위로 하여도 좋다.
또, AV파일 영역에는 AV파일만이 기록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V파일의 파일 엔트리를 AV파일 영역에 기록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 파일의 사이즈가 큰 경우나 제어 파일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AV파일 영역에 제어 파일과 그 파일 엔트리를 기록함으로써, 제어 파일의 갱신시에 데이터의 재기록이 특정한 영역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볼륨 구조 영역과 최신 파일 구조 영역과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베리파이 첨부 기록이 행하여지고, AV파일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베리파이 기록이 행하여진다. 베리파이 첨부 기록은, 기록을 한 후에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을지 확인하는 기록 방법이다. 베리파이 미첨부 기록은, 기록을 한 후에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지를 확인을 하지 않는 기록 방법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대체된 후의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시스템 제어부(201)가 관리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대체 영역을 드라이브 제어부(231)가 관리하는 시스템에서는,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linear replacement)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관리되어도 좋다. 리니어 리플레이스먼트는 드라이브 제어부가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지정된 논리 어드레스 정보와 실제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 어드레스 정보의 대응 관계를 관리하고, 재생시에는 지시된 논리 어드레스에 액세스하는 대신에, 대응하는 물리 어드레스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이다. 이 때, 시스템 제어부는 대체에 수반하는 기록 위치정보의 갱신을 기본 파일 구조에 대하여 행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대체 가능 영역으로의 대체와, 유닛으로의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의 할당의 2단계의 대체 처리를 함으로써, 파일 구조 영역이나 AV파일 영역의 사이즈가 규정된 매체에 있어서 예상 외로 재기록 회수가 증가하여도, 매체에 대한 기록 재생을 계속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3 파일 재생 처리
도 14는 광 디스크(235)에 기록된 파일을 재생하는 파일 재생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다. 파일 재생 처리는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하, 도 12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235)로부터 AV파일(158; AVfile-d)을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4에 도시되는 각 스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S1601) 광 디스크가 삽입되면, 드라이브 제어부(231)는 기록정보 존의 대체 지정정보 영역(1302)으로부터, 대체 유닛번호(1410)와 대체 영역 어드레스 정보(1411)를 판독하여,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한다. 드라이브 제어부(23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기록정보 존 재생수단(272)으로서 드라이브 제어부(23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판독된 대체 유닛번호(1410)가 0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0인 경우는 처리는 (S1603)으로 진행한다. 0이외의 경우는 처리는 (S1602)으로 진행한다.
(S1602) 시스템 제어부(201)는 대체 유닛번호와 대체 영역 어드레스 정보에 근거하여, 지정된 유닛번호를 갖는 유닛에 기록된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기본 파일 구조 영역에서 기본 파일 구조를 재생한다.
도 12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대체 유닛번호(1410)는 56이다. 따라서, 유닛(#56)에 기록된 최신 파일 구조 영역(1401)의 기본 파일 구조 영역(1402)으로부터 기본 파일 구조가 판독된다.
(S1603) 시스템 제어부(201)는 대체 영역 어드레스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할당되어 있는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된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기본 파일 구조 영역에서 기본 파일 구조를 재생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대체 유닛번호(1410)는 0이다. 따라서,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1303)에 기록된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04)의 기본 파일 구조 영역(1305)으로부터 기본 파일 구조가 판독된다.
또, (S1602), (S1603)에서 설명한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은 예를 들면, 기본 파일 구조 재생수단(262)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1604)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본 파일 구조를 해석하고, 목적의 AV파일(158; AVfile-d)을 재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파일 재생수단(216)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AV파일의 사이즈는 제어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기 때문에, AV파일은 유닛 단위로 관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AV파일의 기록 위치정보는 논리 섹터번호 대신에 유닛번호를 사용하여 지정함으로써, 기록 위치의 지정이 간단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미할당 영역은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의 순서로 비트 맵에 등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시 유닛번호로 다음번의 기록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시퀀셜의 반복 기록이 실현된다. 비트 맵이 아니라, 실시예 1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을 사용하여 미할당 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에서는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의 순서로 미할당 영역을 테이블에 등록하고, 엔트리 섹터번호에 의해서 다음번 기록 개시 위치를 지정한다.
실시예 2에서는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이 볼륨 공간에 미리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최신 파일 구조의 재기록이 집중되어 버리지만, 기록정보 존이 형성된 대체 지정정보 영역에 의해 다른 장소에 대한 기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체 전체가 사용 불가능한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공간 관리 구조 영역에 기록되는 개량 비트 맵에 형성된 개시 유닛번호를 사용함으로써, AV파일 영역에서의 기록 개시 위치를 취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재기록 집중을 회피하면서 시퀀셜로 AV파일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 관리 구조의 선두에 개시 유닛번호를 등록함으로써, 공간 관리 구조를 취득한 후, 곧, 기록 개시 위치로부터 기록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예 1에서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시퀀셜로 기록했었지만, 실시예 2에서는 데이터를 갱신할 때마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 중에서 데이터가 재기록되는 예를 개시하였다. 실시예 1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공간 관리 구조 영역에 기록된 빈 영역정보와 최신 파일 구조 영역으로서 할당된 위치를 나타내는 대체 영역 어드레스 정보를 사용하여,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 내에서 시퀀셜의 반복 기록을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갱신시,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까지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이 할당된 영역의 위치(즉, 포인터 정보에 의해서 나타내지는 위치)에 계속되는 위치로부터 일정 방향으로(예를 들면, 디스크의 내주측에서 외주측을 향해서) 미할당 영역을 서치하고, 그 서치 결과에 근거하여 영역을 할당하고, 그 할당된 영역에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의 종단에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의 선두로부터 일정 방향에 미할당 영역을 서치하고, 그 서치 결과에 근거하여 영역을 할당하고, 그 할당된 영역에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데이터를 기록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은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의 일부에 별도의 영역(예를 들면,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의 일부에 할당된 별도의 영역(예를 들면,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은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이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의 전체에 분산하도록, 데이터를 일정 방향에 반복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AV파일 영역과 대체 가능 파일 구조 영역 모두 시퀀셜로 반복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디스크 전역의 재기록 회수의 집중이 회피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시퀀셜의 반복 기록을 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 향상과 목적 파일 등의 판독을 고속화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파일을 기록하는 영역과 그 영역 내에서의 다음의 기록 개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기록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데이터를 일정 방향으로 반복 기록할 수 있다.
3.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하드디스크 등에 적용되는 FAT 파일 시스템과 같이 파일의 기록 위치와 미할당 영역의 위치를 동시에 관리하는 테이블에 의해, AV파일 영역 내에서 AV파일을 시퀀셜로 기록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하드디스크와 정합성이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광 디스크에 FAT 파일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으로, 하드디스크와 광 디스크를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취급하게 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볼륨 파일 구조로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기술자나 포인터 등은 특별히 상세한 기재가 없는 한, FAT 파일 시스템으로서 알려져 있는 ECMA107 규격에 규정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3. 1 광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
도 15는 광 디스크(235)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볼륨 공간에는 시스템 영역(1701)과, 최신 파일 구조 영역(1702)과, AV파일 구조 영역(1703)이 미리 할당되어 있다.
최신 파일 구조 영역(1702)은 FAT(File Allocation Table) 영역(1704)과, 루 트 디렉토리 영역(1705)과, AV 디렉토리 영역(1706)과, 데이터 파일 영역(1707)을 포함한다. FAT 영역(1704)에는 디렉토리나 파일의 기록 위치의 체인(chain) 정보나 클러스터(cluster)의 기록상태의 정보를 갖는 FAT가 기록되어 있다.
FAT는 클러스터마다의 기록정보를 갖는 클러스터 기록정보가 클러스터의 수만큼 기록되는 테이블이다. 루트 디렉토리 영역(1705)이나 AV 디렉토리 영역(1706)에 기록된 디렉토리 엔트리에는 그 디렉토리나 파일의 개시 클러스터번호가 등록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디렉토리 엔트리(1713; AVfile-a)는 AV파일(144; AVfile-a)의 개시 클러스터번호(1)를 갖는다. FAT의 체인정보는 AV파일(AVfile-a)의 개시 클러스터인 클러스터에, 계속되는 클러스터번호(2)를 등록하여 두는 것으로, 체인정보를 걸쳐 AV파일(AVfile-a)을 재생 가능하게 하고 있다. 체인정보의 값 난에 있어서, EOF는 파일의 종단을 나타내고, 구체적인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16진의 FF8이 들어간다.
또, 클러스터는 1섹터 이상으로 구성되는 기록 관리의 단위이며, 본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에 개신한 유닛과 같이 1클러스터가, 약 5000섹터 정도의 예를 개시하고 있다.
3. 2 파일 기록 처리
도 16은 광 디스크(235)에 파일을 기록하는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다. 파일 기록 처리는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하, 도 16에 도시되는 각 스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S1801) 시스템 제어부(201)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1702)의 선두의 FAT 영역(1704)으로부터 FAT를 판독하여, 개시점 정보로서 마크된 클러스터번호를 탐색하고, 마크된 클러스터번호로부터 승순으로 미할당 영역정보의 취득을 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공간 관리 구조 기록수단(25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1802) 시스템 제어부(201)는 지정된 개시점 클러스터로부터 순차로 시퀀셜로 AV파일을 기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파일 기록수단(213)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1803)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록된 AV파일의 정보를 더한 AV 디렉토리 영역이나 루트 디렉토리 영역이나 데이터 파일, 그리고 FAT 영역을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한다. 이때 기록되는 FAT는 기록된 파일의 체인정보나 개시점 정보가 등록되는 클러스터 정보가 갱신된다. 예를 들면, AV파일(146; AVfile-c)이 기록된 후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 15에 있어서, 다음의 기록 개시점은 클러스터(#56)이기 때문에, FAT(1710)의 클러스터(#56) 정보의 개시점 정보로서 1이 등록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기본 파일 구조 기록수단(26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AV파일 영역 내에서의 내주로부터 외주로의 대한 시퀀셜 기록의 2사이클번째를 나타내었다.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정보 기록 매체의 경우, AV파일 영역에 대한 기록은 1사이클번째 이상의 사이클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시퀀셜의 반복 기록이 행하여진다.
또, 설명의 간단화로부터, 데이터 파일인 제어 파일은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의 일부로서 기록하여 클러스터번호는 할당되지 않고, 논리 섹터번호로 관리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데이터 파일은 AV파일의 정보를 제어하는 데이터 파일로서 AV파일 영역 내의 클러스터에 기록되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기본 파일 구조 기록수단(261)에 따라서 AV 디렉토리 영역이나 루트 디렉토리 영역이나 데이터 파일 그리고 FAT 영역이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되는 것으로 하였다. FAT는 공간 관리 구조의 기능을 갖는 구조이지만 파일의 관리도 동시에 행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 파일 구조 기록수단이나 기본 파일 구조 재생수단에 의해서 취급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 실시예 3에서는 시퀀셜 기록을 하는 개시점 정보는 비트1을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FFh 등의 다른 값에 의해서 시퀀셜 기록의 개시점인 것을 나타내더라도 좋은 것은 자명하다.
실시예 3에서는 FAT와 같이 미할당 영역의 정보와 파일의 체인정보가 동일 테이블에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여도 시퀀셜 기록의 개시 위치를 취득할 수 있고, AV파일 영역에서 재기록 집중을 회피하면서 시퀀셜로 AV파일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예 2에서는 공간 관리 구조의 선두에 개시 유닛번호가 등록되어 있었지만, 실시예 3에서는 공간 관리 구조의 각 클러스터 정보의 일부로서 개시점 정 보가 등록된다. 각 클러스터 정보가 리서치된 바이트에 이 개시점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FAT 규격을 확장하지 않고 기존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과도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예 2에서 설명한 2단계의 결함 관리방법을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FAT 영역을 포함하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AV파일 영역에서 결함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사용 불가능해진 클러스터는 FAT 영역(1704)에 있어서의 FAT(1710)에 등록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개시점 정보의 값에 FFh를 등록한다.
4.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디스크에 대하여 시퀀셜로 AV파일, 제어 파일, 볼륨 파일 구조를 기록하였을 때의 결함 관리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실시예 1과 같이 시퀀셜 기록을 함으로써 재기록의 집중을 회피하여 결함 영역의 발생 자체를 방지한 경우에도, 디스크의 사용이 중첩되는 동시에 결함 영역은 증가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결함 영역은 기록을 할 수 없는 영역 또는 재생을 할 수 없는 영역을 포함하는 1ECC 블록을 최소 단위로 한다.
4. 1 광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
도 17은 광 디스크(235)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볼륨 공간에는 결함 영역(1902, l906, 1906 및 1910)이 존재한다. 또한 이들의 결함 영역을 등록하기 위한 결함 리스트 구조 영역(1908)이 할당되어 있다. 결함 리스트 구조 영역(1908)은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구조가 등록되는 시스템 스트림 디렉토리(1923)와 그 파일 엔트리(1924)와 비할당 공간 스트림의 파일 엔트리(1925)가 기록된다. 비할당 공간 스트림은 결함 영역이나, 볼륨 파일 구조를 할당할 수 없는 영역을 등록하기 위해서 정의된 데이터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할당 공간 스트림은 결함 영역의 위치정보를 등록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도 18은 광 디스크(235)에 파일을 기록하는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다. 파일 기록 처리는 도 2에 도시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하, 도 17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235)에 AV파일(AVfile-c)을 기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8에 도시되는 각 스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S2001) 시스템 제어부(201)는 지정된 엔트리 섹터번호 이후의 미할당 영역에서 순차로 시퀀셜로 AV파일(AVfile-c)을 기록한다. 이 AV파일의 기록에 있어서, 결함 영역(1906)이 검출되면, 시스템 제어부(201)는 결함 영역을 스킵(skip)하여 다음의 미할당 영역에 대하여 기록을 속행한다. 따라서, AV파일이 실제로 기록된 영역은 AV파일 영역(1905)의 제 1 익스텐트(1921; extent) 및 AV파일 영역(1907)의 제 2 익스텐트(1922)가 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상술한 동작은 예를 들면, 파일 기록수단(213)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S2002) 시스템 제어부(201)는 AV파일(AVfile-c)이 기록된 제 1 익스텐 트(1921)와 제 2 익스텐트(1922)의 위치정보를 등록한 파일 엔트리(147; AVfile-c)를 작성하고, 그 파일 엔트리(147; AVfile-c)를 메모리회로(263)의 기본 파일 구조용 메모리(235)에 격납한다.
(S2003) 시스템 제어부(201)는 계속되는 미할당 영역에 제어 파일(148; Datafile)을 기록한다. 이 제어 파일의 기록에 있어서 결함 영역이 검출된 경우, 스텝(S2001)에 나타낸 AV파일의 기록과 같이, 결함 영역을 스킵하여 계속되는 미할당 영역에 대하여 기록을 속행한다.
(S2004)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어 파일(148; Datafile)이 기록된 영역(익스텐트)의 위치정보를 등록한 파일 엔트리(149; Datafile)를 작성하고, 그 파일 엔트리(149; Datafile)를 메모리회로(263)의 기본 파일 구조용 메모리(235)에 격납한다. 결함 영역의 검출을 위해 제어 파일이 복수 익스텐트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이 제어 파일의 기록 위치정보의 등록에 있어서, AV파일과 같이 익스텐트 위치정보를 모두 등록한다.
(S2005) 시스템 제어부(201)는 결함 리스트 구조인 시스템 스트림 디렉토리(1924)와 그 파일 엔트리(1923)와 함께, 볼륨 공간 내에서 검출된 결함 영역의 위치정보가 등록된 비할당 공간 스트림의 파일 엔트리(1925)를 작성하고, 그 파일 엔트리(1925)를 기본 파일 구조용 메모리(235)에 격납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파일 기록 처리에 있어서 기록된 미할당 영역이나 검출된 결함 영역의 위치정보를 제외하고, 미할당 공간의 위치정보가 등록된 미할당 공간 엔트리(1925)를 작성하고, 그 미할당 공간 엔트리(1925)를 기본 파일 구 조용 메모리(235)에 격납한다.
또한 동시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록된 AV파일과 제어 파일의 정보를 가한 AV 디렉토리(150; AVDir), 파일 집합 기술자(152), 루트 디렉토리(153), 루트 디렉토리의 파일 엔트리(154), 그리고 기록 완료 AV파일(144; AVfile-a) 및 (158; AVfile-d)의 위치정보나 속성정보를 등록한 파일 엔트리(145, 159), 그리고 VAT(156) 및 VATICB(157)를 작성하고, 그것들을 기본 파일 구조용 메모리(235)에 격납한다.
(S2006)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S2002), (S2004) 및 (S2005)에 있어서 작성된 기본 파일 구조, 결함 리스트 구조, 공간 관리 구조(123) 및 VAT 구조를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1)에 기록한다.
(S2007)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1)에 대한 기록에 있어서 결함 영역이 검출된 경우, 스텝(S2008) 이후가 실행된다. 또한 결함이 검출되지 않고 기록을 완수할 수 있는 경우, 파일 기록 처리를 종료한다.
(S2008) 시스템 제어부(201)는 결함 리스트 구조와 공간 관리 구조의 등록 정보를 갱신 작성한다. 결함 리스트 구조인 비할당 공간 스트림에는 새롭게 검출된 결함 영역의 위치정보가 등록된다. 공간 관리 구조인 미할당 공간 엔트리로서는 이 결함 영역의 위치정보가 제외된다.
(S2009) 시스템 제어부(201)는 갱신된 최신 파일 구조를 기록하기 위해서, 계속되는 미할당 영역을 지정한다.
또, (S2002) 내지 (S2009)에서 설명한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은 예를 들 면, 기본 파일 구조 기록수단(261)으로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V파일의 기록 처리에서는 베리파이 미첨부 기록시에, 기록이 완수되지 않았다고 에러가 돌아온 영역을 결함 영역으로서 식별하고 있다.
또, 일반적으로, 볼륨 구조 영역과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베리파이 첨부 기록이 행하여지고, AV파일 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베리파이 미첨부 기록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AV파일 영역에 대한 베리파이 첨부 기록이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볼륨 구조 영역과 최신 파일 구조 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베리파이 미첨부 기록이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AV파일의 기록에 있어서는 대체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생략하기 위해서, 결함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기록을 하여도 좋다. 이때 파일 재생시에 결함 영역인 것이 판별된다.
또, 파일의 특성마다 결함 관리방법을 바꾸기 위해서, 어떤 결함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과, 별도의 결함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나눌 수 있다.
또, 파일의 재생시에 재생 불가능했던 영역도 결함 영역으로서 등록되어도 좋다.
또, 비할당 공간 스트림으로서 등록된 결함 영역의 위치정보는 매체의 재포맷이 행하여질 때 이용된다. 따라서, 재포맷시에 비할당 공간 스트림의 내용을 보유하여 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 검출된 결함 영역의 위치정보는 볼륨 공간 외에서 기록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록정보 존의 등록 블록 내에서 관리되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을 실시예 3에 적용하여도 좋다. 결함 관리를 하는 경우, AV파일을 결함을 스킵하면서 기록하고, 결함정보는 FAT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재기록형 매체에 대하여 시퀀셜로 기록을 반복하는 중에서, 대체를 하지 않고 검출된 결함 영역을 회피하면서, 다음의 영역에 대한 기록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사용상황에 따라서 검출되는 결함량이 크게 변화하는 재기록형 기록 매체에 있어서, 미리 대체 영역을 확보하거나 대체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 확장할 필요가 없고, 영역의 유효 이용이 가능해진다.
5.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디스크의 고밀도화에 의하여 물리적인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디스크에 있어서, 그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로 시퀀셜로 반복 기록을 하기 위한 엔트리 섹터번호에 관한 데이터 구조와 그 갱신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엔트리 섹터번호는 기록정보 존이 아니라, 파일 시스템으로 관리되는 볼륨 공간에 기록된다.
실시예 1에서는 기록정보 존에 카운트 유닛과 복수의 등록 유닛을 구성하는 것으로 재기록 회수가 제한된 디스크에서의 엔트리 섹터번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 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ECMA167에 규정된 데이터 구조를 단계적으로 갱신하는 것으로 엔트리 섹터번호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고, 엔트리 섹터번호를 기록하기 위해서 기록정보 존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범용의 디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9는 볼륨 구조 중에서 갱신 기록되는 엔트리 섹터번호에 관한 데이터 구성도이다.
엔트리 섹터번호(3032)의 기능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과 같고, 도 19에서는 최신 파일 구조 영역(131) 내의 VAT 구조 영역(104)의 VATICB(157)의 어드레스를 도시한다. 엔트리 섹터번호(3032)는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3011) 내의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3031) 중의 처리 시스템용에 확보되어 있는 필드에 기록된다.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에는 볼륨 공간에 기록된 파일 구조가 올바른 상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보전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엔트리 섹터번호를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에 기록하는 것으로, 더욱 엔트리 섹터번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3011)의 위치정보는 볼륨 기술자열(3010) 내의 논리 볼륨 기술자(3022)에 기록된다. 볼륨 기술자열(3010)은 볼륨에 관한 기술자를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 볼륨 기술자(3012)나 구획 기술자(3023)도 이 볼륨 기술자 내에 기록된다.
볼륨 기술자열(3010)의 위치정보는 개시 볼륨 기술자 포인터(3041)에 기록된다. 개시 볼륨 기술자 포인터는 논리 섹터번호(256)의 고정 섹터에 기록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시 볼륨 기술자 포인터는 볼륨 공간의 가장 외주의 논리 섹터번호를 N으로 하여, N-256의 논리 섹터에도 기록된다. 개시 볼륨 기술자 포인터가 2중 기록되기 때문에, 한쪽을 판독할 수 없게 되어도, 이미 한쪽의 개시 볼륨 기술자 포인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0은 엔트리 섹터번호를 갱신 기록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엔트리 섹터번호에 관한 갱신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3001)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은 예를 들면, 32섹터분의 영역이 확보된다.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는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의 선두로부터 순서로 기록되어, 마지막에 기록된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가 유효한 기술자로서 인식된다. 엔트리 섹터번호의 갱신은 후속의 논리 섹터에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를 기록하는 것으로 행하여지고, 후속하는 논리 섹터가 없어진 경우에는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의 전체의 논리 섹터를 OOh에서 기록하고,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의 선두에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를 기록한다.
(S3002)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의 기록시에, 기록하려고 한 논리 섹터가 결함 섹터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결함이 아니면 종료하지만, 결함인 경우에는 (S3003)으로서, 볼륨 구조 영역 내의 빈 영역에, 새롭게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을 확보하고,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를 기록한다.
이렇게 하여, 재기록 회수가 100회의 디스크에서는 32×100회, 논리 볼륨 보 전 기술자를 같은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을 사용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새롭게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을 할당한 경우에는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논리 볼륨 기술자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S3004) 볼륨 기술자열은 예를 들면, 16섹터분의 영역이 확보된다. 논리 볼륨 기술자는 볼륨 기술자 순서번호를 나타내는 필드를 갖고, 복수의 논리 볼륨 기술자가 볼륨 기술자열에 기록되는 경우, 가장 큰 볼륨 기술자 순서번호를 갖는 논리 볼륨 기술자가 유효하게 된다. 논리 볼륨 기술자의 기록에 대해서는 볼륨 기술자열의 선두로부터 비어 있는 논리 섹터를 찾아, 비어 있는 선두의 논리 섹터에 기록한다. 비어 있는 논리 섹터가 없는 옛 논리 기술자 전체를 0Oh에서 기록하여 비어 있는 논리 섹터를 작성한 후, 선두가 비어 있는 논리 섹터부터 기록한다.
(S3005) 논리 볼륨 기술자의 기록시에, 기록하려고 한 논리 섹터가 결함 섹터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결함이 아니면 종료하지만, 결함인 경우에는 (S3006)에서, 볼륨 구조 영역 내의 빈 영역에, 새롭게 볼륨 기술자열을 확보하고, 기본 볼륨 기술자와 구획 기술자와 함께, 논리 볼륨 기술자를 기록한다.
이렇게 하여, 재기록 회수가 100회의 디스크에서는 (16-2)×100회, 논리 볼륨 기술자를 같은 볼륨 기술자열에 기록할 수 있다.
(S3007) 새롭게 볼륨 기술자열을 할당한 경우에는 볼륨 기술자열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개시 볼륨 기술자 포인터를 갱신 기록한다.
이와 같이 엔트리 섹터번호가 단계적으로 갱신 기록되기 위해서, 재기록 회수가 100회의 디스크이어도, 합계 (32×100)×((16-2)×100)×100회의 기록이 가능 해진다.
또, 필요한 재기록 회수에 따라서 갱신 기록의 단계를 바꾸어도 좋다. 1000회 정도의 재기록으로 좋으면, 엔트리 섹터번호의 재기록은 동일 논리 볼륨 보전 기술자열 내에서 행하면 좋은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는 공간 관리 구조에 등록되는 미할당 영역의 이용 순서를 규정하고, 최신 파일 구조 영역을 내주로부터 외주로 이동하면서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동일 영역에 대한 재기록 집중에 의한 데이터 결손이나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고, 데이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포맷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포맷 처리가 행하여진 후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파일 기록이 행하여진 후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파일 재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8은 디스크에 기록된 파일을 관리하는 디렉토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록정보 존(zone)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복수의 엔트리 섹터번호를 가지는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 면.
도 12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유닛에 대한 대체 처리 후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1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파일 재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15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17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19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엔트리 섹터번호의 갱신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21은 종래의 DVD-RAM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종래의 DVD-RAM 디스크를 사용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3은 종래의 파일 기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Claims (5)

  1.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고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의 격납 장소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각각은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는, 정보 기록 매체.
  2.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고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의 격납 장소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1개를 지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상기 지정된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는, 정보 기록 방법.
  3.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고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의 격납 장소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1개를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상기 지정된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는, 정보 기록 장치.
  4.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고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의 격납 장소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적어도 1개에는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재생 방법은,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1개를 지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버전 정보에 따라서,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포인터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는, 정보 재생 방법.
  5. 동일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 회수가 제한되고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정보 기록 영역과, 시퀀셜 반복 기록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의 격납 장소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정보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정보 기록 영역은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1개에는 해당 블록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정보 재생 장치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1개를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버전 정보에 따라서, 상기 지정된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포인터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최신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 정보가 유효한 포인터 정보로서 사용되는, 정보 재생 장치.
KR1020097001754A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KR100896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4537 2001-08-02
JPJP-P-2001-234537 2001-08-02
JP2001245088 2001-08-10
JPJP-P-2001-245088 2001-08-10
JP2001262479 2001-08-30
JPJP-P-2001-262479 2001-08-30
JP2001277306 2001-09-12
JPJP-P-2001-277306 2001-09-12
JP2001292593 2001-09-25
JPJP-P-2001-292593 2001-09-25
JPJP-P-2001-346779 2001-11-12
JP2001346779 2001-11-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621A Division KR100893277B1 (ko)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24A true KR20090014424A (ko) 2009-02-10
KR100896145B1 KR100896145B1 (ko) 2009-05-12

Family

ID=2755497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640A KR100624359B1 (ko)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매체, 정보 기록방법, 정보 기록장치, 정보재생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KR1020037008621A KR100893277B1 (ko)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KR1020097001754A KR100896145B1 (ko)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KR1020097001715A KR100938773B1 (ko)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640A KR100624359B1 (ko)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매체, 정보 기록방법, 정보 기록장치, 정보재생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KR1020037008621A KR100893277B1 (ko)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715A KR100938773B1 (ko) 2001-08-02 2002-07-29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7062626B2 (ko)
EP (2) EP1414038A4 (ko)
KR (4) KR100624359B1 (ko)
CN (2) CN100437802C (ko)
BR (1) BR0206768A (ko)
HU (1) HUP0401105A2 (ko)
MX (1) MXPA04000855A (ko)
PL (1) PL367155A1 (ko)
WO (2) WO2003015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6623B2 (ja) * 2001-11-30 2011-08-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000462B2 (ja) * 2002-10-29 2007-10-3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483342B2 (en) * 2003-02-28 2009-01-27 Dell Products L.P. Method and system for reconditioning optical storage media to write updated information
US7869315B2 (en) * 2003-02-28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rite-once optical disc having update area and access area
KR100667750B1 (ko) * 2003-02-28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정보를기록하는 장치, 그 접근 시간 단축 방법 및 그 디스크
JP2005011429A (ja) * 2003-06-19 2005-01-13 Hitachi Ltd 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媒体
JP2005018233A (ja) * 2003-06-24 2005-01-20 Fujitsu Ltd 仮想記憶媒体に記録されたデータをバックアップする方法及び、仮想記憶媒体に記録されたデータのバックアップ装置
JP2007528090A (ja) * 2003-07-08 2007-10-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ィジタル情報信号を記録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331147C (zh) * 2003-09-12 2007-08-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磁盘存储方法
US7533421B2 (en) * 2003-09-19 2009-05-12 Cyberlink Corp.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confidential optical disc
JP2005148854A (ja) * 2003-11-11 2005-06-09 Hitachi Ltd ファイル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140516B2 (ja) * 2003-12-09 2008-08-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5076275A1 (ja) * 2004-02-03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制御装置、制御方法、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7970988B2 (en) * 2004-03-19 2011-06-2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with status information thereon which changes upon reformatting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KR101057060B1 (ko) * 2004-03-19 2011-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엑세스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A2559578C (en) * 2004-03-19 2012-07-2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with status information thereon which changes upon reformatting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WO2005091287A1 (ja) * 2004-03-23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記録装置、ホスト装置、記録方法、指示方法、プログラム、集積回路、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追記型記録媒体
KR101014725B1 (ko) * 2004-05-04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JP4736414B2 (ja) * 2004-06-11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353216A (ja) * 2004-06-11 2005-12-22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4595409B2 (ja) * 2004-07-08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67765B1 (ko) 2004-10-22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JP2006185509A (ja) * 2004-12-27 2006-07-13 Toshiba Corp 欠陥管理情報を格納する情報記憶媒体、欠陥管理情報の交替処理方法、および欠陥管理情報の交替処理を行なう装置
JP2007305225A (ja) * 2006-05-11 2007-11-22 Canon Inc ファイル記録方法及び装置
JP4872815B2 (ja) * 2007-06-11 2012-02-0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
US8051090B2 (en) * 2007-12-28 2011-11-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File management method of a ring buffer and related file management apparatus
JP4895308B2 (ja) * 2008-01-30 2012-03-14 東芝ストレージデバイス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装置の記録方法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8451701B2 (en) * 2010-01-15 2013-05-28 Laufer Teknik,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ressing jitter
US8995243B2 (en) 2010-01-15 2015-03-31 Laufer Teknik,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ressing jitter in digital data signals including image, video and audio data signals
CN102314490B (zh) * 2011-08-16 2013-07-10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一种Linux FAT文件系统修复方法及装置
US9009123B2 (en) * 2012-08-14 2015-04-14 Shuttersong Incorporated Method of combining image files and other files
KR102179384B1 (ko) * 2012-11-30 2020-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저장한 정보저장매체, 컨텐트 제공 방법, 컨테트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US10929346B2 (en) 2016-11-14 2021-02-23 Tuxe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large files using file allocation table based file systems
US10838913B2 (en) * 2016-11-14 2020-11-17 Tuxe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large files using file allocation table based file systems
US11588872B2 (en) 2017-06-12 2023-02-21 C-He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dec for combining disparate content
US10187443B2 (en) 2017-06-12 2019-01-22 C-Hear,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image data and other data types into one data format and decoding of s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21A (en) * 1878-02-19 Improvement in phonograph or speaking machines
US22521A (en) * 1859-01-04 warner
FR2602363B1 (fr) * 1986-07-31 1989-04-28 Picard Michel Procede pour definir et modifier une partition sur l'espace de memorisation d'un support non effacable
JPH04106761A (ja) * 1990-08-28 1992-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2945735B2 (ja) 1990-09-12 1999-09-06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処理装置
JPH0785603A (ja) * 1993-09-20 1995-03-31 Ricoh Co Ltd 情報記録媒体
JPH09115246A (ja) * 1995-10-19 1997-05-02 Sony Corp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H09259575A (ja) * 1996-03-22 1997-10-03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H1083658A (ja) * 1996-09-04 1998-03-31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928169B2 (ja) * 1996-09-09 1999-08-03 北海道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ディスクにおけるデータ領域管理方法
US6292625B1 (en) * 1996-09-30 2001-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suitable for recording/reproducing AV data on/from disc, recorder and reproducer for the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disc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H10289524A (ja) * 1997-04-11 1998-10-27 Sony Corp 記録媒体駆動装置
JPH1186512A (ja) * 1997-09-09 1999-03-30 Nec Corp 光ディスクのデータ書換方法
JPH1196690A (ja) * 1997-09-19 1999-04-09 Nippon Columbia Co Ltd 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SG93198A1 (en) 1998-04-20 2002-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recording real time data, defect managing method therefor, and real time data recording method
JP2000040305A (ja) * 1998-07-21 2000-02-08 Fujitsu Ltd 記録媒体及び記憶装置
JP3829268B2 (ja) 1999-04-19 2006-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2001084690A (ja) 1999-09-13 2001-03-30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への記録方法
US6647479B1 (en) 2000-01-03 2003-11-11 Avid Technology, Inc. Computer file system providing looped file structure for post-occurrence data collection of asynchronous events
US6839802B2 (en) 2000-12-08 2005-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writing files to zone formatted storage media to improve data transfer 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06768A (pt) 2004-02-25
CN1529887A (zh) 2004-09-15
HUP0401105A2 (en) 2004-09-28
US20040013059A1 (en) 2004-01-22
US20030172230A1 (en) 2003-09-11
CN1311462C (zh) 2007-04-18
US7188221B2 (en) 2007-03-06
EP1414037A4 (en) 2007-12-12
EP1414037A1 (en) 2004-04-28
KR20040016831A (ko) 2004-02-25
KR100624359B1 (ko) 2006-09-19
PL367155A1 (en) 2005-02-21
KR20090016770A (ko) 2009-02-17
US20060184727A1 (en) 2006-08-17
KR100938773B1 (ko) 2010-01-27
US20050169603A1 (en) 2005-08-04
KR20040017369A (ko) 2004-02-26
KR100893277B1 (ko) 2009-04-17
KR100896145B1 (ko) 2009-05-12
EP1414038A4 (en) 2007-12-12
US7062626B2 (en) 2006-06-13
MXPA04000855A (es) 2004-05-21
WO2003015095A1 (en) 2003-02-20
US7155566B2 (en) 2006-12-26
CN1539144A (zh) 2004-10-20
US7024534B2 (en) 2006-04-04
WO2003015094A1 (en) 2003-02-20
EP1414038A1 (en) 2004-04-28
CN100437802C (zh)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145B1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US6909838B2 (e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suitable for recording/reproducing AV data on/from disc, recorder and reproducer for the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disc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063746B1 (ko) Worm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재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
JP5128130B2 (ja) 追記形ディスクに対するデータ疑似書換え
KR100891088B1 (ko) 1회 기록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및반도체 집적 회로
JP4272195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US20060239144A1 (en) Access method, access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2003208759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4160334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4160588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TWI235361B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CN100412976C (zh) 信息记录介质、信息记录方法、信息记录装置、信息再现方法和信息再现装置
JP2004171739A (ja)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