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384B1 - 컨텐트를 저장한 정보저장매체, 컨텐트 제공 방법, 컨테트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트를 저장한 정보저장매체, 컨텐트 제공 방법, 컨테트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384B1
KR102179384B1 KR1020130144995A KR20130144995A KR102179384B1 KR 102179384 B1 KR102179384 B1 KR 102179384B1 KR 1020130144995 A KR1020130144995 A KR 1020130144995A KR 20130144995 A KR20130144995 A KR 20130144995A KR 102179384 B1 KR102179384 B1 KR 102179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t
information
file
conten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409A (ko
Inventor
유성열
박봉길
양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93,228 priority Critical patent/US9454995B2/en
Priority to JP2015524204A priority patent/JP6026657B2/ja
Priority to PCT/KR2013/011013 priority patent/WO2014084666A1/en
Publication of KR2014007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포함하고, 컨테이너 파일은,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데이터 박스와;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컨텐트 내 위치 및 데이터 박스 내 위치 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박스에 배치되는 정보저장매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컨텐트를 저장한 정보저장매체, 컨텐트 제공 방법, 컨테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CONTENT,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컨텐트를 저장한 정보저장매체,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컨텐트를 재생하는 방법, 컨텐트 제공 장치 및 컨텐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저장매체로서,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디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컨텐트는 복수의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파일로 구성되어 있고 고유한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는 컨텐트를 이종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매체로 복사 또는 이동하는 경우, 해당 기능의 유지를 기대하거나 보장하기 어렵다. 즉, 다른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컨텐트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전달되는 컨텐트 컴포넌트 파일들(content component files)을 효율적으로 재구성한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저장매체, 상기와 같이 재구성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재구성된 컨텐트를 재생하는 방법, 재구성된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재구성된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제공 방법 또는 재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저장매체 중 로딩 속도가 느린 매체로부터 전달되는 컨텐트 컴포넌트 파일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로딩 속도가 느린 정보저장매체란 광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매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요인에 의해 매체의 일부를 억세스하기 곤란해진 경우 상기 매체로부터 전달되는 컨텐트 컴포넌트 파일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요인에 의해 억세스가 곤란한 매체란, 오염, 스크래치, 물리적 충격, 파괴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매체의 전체 또는 일부분으로부터, 독출부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독출할 수 없는 매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는,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파일은,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데이터 박스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박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들이 상기 데이터 박스 내의 연속되는 위치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재생시 접근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패턴은, 임의 접근, 복수 접근, 1회성 접근 및 프리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성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는지,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지, 상기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은, 상기 메타 박스의 복제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은, 상기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명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의 파일명은, 상기 데이터 박스를 구성하는 복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어떤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이 기록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제공 방법은,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데이터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박스 및 상기 메타 박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박스 생성 단계는,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 파일들을 상기 데이터 박스 내의 연속되는 위치에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제공 방법은, 상기 메타 박스의 복제본을 상기 컨테이너 파일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 생성 단계는, 상기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명을 상기 컨테이너 파일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방법은,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된 데이터 박스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가 기록된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포함하는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메타 박스에 포함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박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와 상기 데이터 박스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독출 단계는, 임의 접근 또는 복수 접근을 나타내는 특성 정보를 가진 컴포넌트 파일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정보저장매체 보다 로딩 속도가 빠른 다른 정보저장매체에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독출 단계는, 프리로드를 나타내는 특성 정보를 가진 컴포넌트 파일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소정 부분을 프리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단계는,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각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경로와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주소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 특성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방법은, 상기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거나 상기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 익스텐트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지 못한 경우, 해당 익스텍트의 독출을 재시도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해당 익스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방법은, 상기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 익스텐트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다른 익스텐트를 참조하여 해당 익스텐트 구간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제공 장치는,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데이터 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박스 및 상기 메타 박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장치는,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된 데이터 박스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가 기록된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포함하는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메타 박스에 포함된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컨텐트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박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상기 독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와 상기 데이터 박스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테이너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블루레이 디스크 상의 파일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타 정보와 컴포넌트 파일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메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컨테이너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트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트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트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트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컨텐트 재생 장치의 RAM에 복사된 컴포넌트 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익스텐트와 재생 시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타 박스의 백업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MEBO 박스가 포함된 컨테이너 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테이너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component file)을 하나의 파일(100)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파일(100)은 컨테이너 파일이라 칭하기로 한다. 컨테이너 파일(100)은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121, 122)을 포함하는 데이터 박스(120)와 컴포넌트 파일들(121, 122)에 대한 메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메타 박스(110)가 그것이다.
메타 박스(110)에는 데이터 박스(120)에 기록되는 각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가 메타 정보(111, 112)로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공통되는 특성이 메타 박스(110)에 기록될 수도 있다. 컨텐트를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컨텐트 제공 장치는 입력된 특성 정보를 사용하여 컨텐트의 컴포넌트 파일들을 데이터 박스(120)에 배치한다. 컨텐트 재생 장치는 메타 박스(110)에 기록되는 특성 정보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파일들의 특성을 분류할 수 있으며 특성에 따라 컴포넌트 파일의 재생 및 로딩을 달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 파일들을 데이터 박스(120)에 기록할 때,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들을 시간상 또는 공간상으로 연속된 위치에 배치하여 제공하면, 컨테이너 파일(100)이 이종의 파일 시스템으로 복사 또는 이동되더라도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들의 시간상 또는 공간상의 위치가 연속되는 것이 보장되므로 재생이나 로딩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메타 정보(200)는 컴포넌트 파일의 오리지널 컨텐트 내의 논리적 위치(220)와 컨테이너 파일(100)에 포함된 데이터 박스(120) 내의 물리적 위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내의 논리적 위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로 구성된 컨텐트 내에서 해당 컴포넌트 파일이 위치했던 주소를 말한다.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의 /root/BDMV/CLIPINF/라는 디렉토리에 기록되어 있던 01000.clpi라는 컴포넌트 파일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에 배치되는 경우, 01000.clpi의 논리적 위치는 /root/BDMV/CLIPINF/01000.clpi가 될 것이다. 데이터 박스(120) 내의 물리적 위치는, 컨테이너 파일에 해당 컴포넌트 파일이 기록된 위치를 나타내는 오프셋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ot/BDMV/CLIPINF/01000.clpi가 데이터 박스(120)의 시작 위치 또는 기준 위치로부터 0x0100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 기록되는 경우, 메타 정보(200)에 기록되는 물리적 위치(230)는 0x0100가 될 것이다. 또한, 물리적 위치(230)에는 해당 컴포넌트 파일의 크기 정보나 주소의 범위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파일의 물리적 위치는 'e:\content_container.ndf, item_ID=1000, extent_entry#0 = 0x0100 ~ 0x1100'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컴포넌트 파일이 기록된 컨테이너 파일의 이름은 content_container.ndf이고, 아이템 식별자는 1000이고, 이 아이템을 구성하는 익스텐트들이 데이터 박스의 주소 범위 0x0100 ~ 0x1100에 기록되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메타 정보(200)는 해당 컴포넌트 파일의 특성 정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되는 컨텐트를 구성하고 있던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들은 각각에 대한 특성 정보(240)에 따라 데이터 박스(120)에 배치될 것이다.
또한, 메타 정보(200)는 해당 컴포넌트 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210)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210)에 의해 복수의 메타 정보 중 특정 메타 정보(200)를 식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자(210)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해당 컴포넌트 파일의 논리적 위치(220)를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블루레이 디스크 상의 파일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루레이 디스크의 오리지널 컨텐트는 root 디렉토리(300) 내에 복수의 디렉토리 및 컴포넌트 파일로 기록되어 있으며, index.bdmv(310), MovieObject.bdmv(311), 00000.mpls(312), 00001.mpls(313), 00002.mpls(314), 01000.clpi(315) 등의 컴포넌트 파일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제공 장치는 상기 오리지널 컨텐트를 재구성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로 만들어 제공한다. 오리지널 컨텐트에 포함되어 있던 컴포넌트 파일들은 컨테이너 파일의 데이터 박스에 기록되며, 각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위치는 입력되는 특성 정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타 정보와 컴포넌트 파일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포넌트 파일 01000.clpi(420)의 물리적 위치는 0x0100으로 결정되어 해당 위치에 기록되었으며, 01000.clpi(420)에 대응하는 메타 정보(410)는 해당하는 물리적 위치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3에 예시된 모든 컴포넌트 파일들이 데이터 박스(120) 내에 기록되고 각각에 대한 메타 정보가 생성되어 메타 박스(110)에 기록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메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컴포넌트 파일 01000.clpi(420)에 대한 메타 정보(410)는 식별자인 item_ID(510), 컨텐트 내의 위치에 해당하는 경로 정보 /root/BDMV/CLIPINF/01000.clpi(520), 데이터 박스(120) 내의 위치를 가리키는 오프셋 정보인 0x0100 및 복수 접근 특성을 가진 파일임을 나타내는 특성 정보(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 속도가 느린 매체 상의 컨텐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컨텐트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파일들의 특징에 따라 적합한 특성값을 부여하고, 그 특성값에 따라 재생 장치가 컨테이너 파일에서 컴포넌트 파일을 읽어들이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컴포넌트 파일은 컨테이너 파일에 물리적으로 삽입되어 제공될 수도 있지만, 실제로 삽입되지 않고 논리적으로 삽입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대응하는 메타 정보가 외부의 컨테이너 파일 내의 컴포넌트 파일을 지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컴포넌트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익스텐트(extent)로 나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컴포넌트 파일의 전체 익스텐트 또는 일부 익스텐트에 대해 특성 정보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재생 장치는 각 익스텐트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읽어 들여 그에 적합한 독출 동작, 로딩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컴포넌트 파일의 특성 정보는, 컴포넌트 파일의 종류 및/또는 접근 패턴에 따라, 메뉴, 배경 그림, 그림 글자(bitmap font), 폰트 등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재생 장치가 예상할 수 없는 시점 즉 임의의 시점에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접근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임의 접근 특성', 메뉴, 배경 그림, 그림 글자, 폰트 등 재생 장치가 1회 이상 접근할 것이 자명한 컴포넌트 파일임을 나타내는 '복수 접근 특성', 본편 동영상이나 예고편 동영상과 같이 컴포넌트 파일의 소비에 있어 1회 접근 후에 재접근의 가능성이 낮거나 해당 컴포넌트 파일의 크기가 복수 접근 특성을 갖는 컴포넌트 파일에 비해 현저히 큼을 나타내는 '1회성 소비 특성', 사용자 경험 향상 등의 목적으로 미리 읽어 두었다가 사용자 요청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필요가 있는 컴포넌트 파일임을 나타내는 '미리 읽기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컴포넌트 파일의 특성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효율적인 재생을 위해 소정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한 특성이라면 본 발명의 특성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외부 요인에 의해 매체의 일부를 억세스하기 곤란한 매체로부터 전달되는 컴포넌트 파일이 독출 불가능한 경우, 해당 컴포넌트 파일에 '스킵 가능'이라는 특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면, 재생을 중단하지 않고 다음 컴포넌트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익스텐트의 특성 정보는 익스텐트들 간의 상호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익스텐트들의 상호 중요도에 따라, 해당 익스텐트의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참조됨을 나타내는 '참조 특성', 해당 익스텐트의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 또는 실행에 필수불가결함을 나타내는 '필수 특성', 해당 익스텐트의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의 내용으로 대체 가능함을 나타내는 '중복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컨테이너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ISOFF(ISO/IEC 14496-12 ISO base media File Format) 포맷을 확장하여 컨테이너 파일과 특성 정보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과 특성 정보의 구현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포맷이나 다른 언어를 사용해서 컨테이너 파일 및 특성 정보를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FTYP 박스(610)는 파일 타입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파일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임을 나타내는 브랜드명(brand name)이 기록될 수 있다. FTYP 박스의 브랜드명이 미리 정해진 값을 가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이 저장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즉, FTYP 박스가 소정의 값을 가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가 해당 컨테이너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ISOFF의 MOOV 박스(620) 내의 META 박스(630)는 ILOC 박스(640), IINF 박스(650), INFE 박스(660), FDEL 박스(670) 및 ICHA 박스(680)를 포함할 수 있다.
ILOC 박스(640)는, 컨테이너 파일에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삽입되는 컴포넌트 파일들의 식별 정보(item_ID)와, 컴포넌트 파일의 비트열 조각이 컨테이너 파일 내 어디에 있는지 나타내는 위치(Offset)와 이 비트열 조각의 크기(Size)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나의 컴포넌트 파일은 연속된 하나의 비트열 또는 소정의 기준에 의해 나눠진 여러 개의 연속된 비트열로 컨테이너 파일 내에 저장될 수 있다. ILOC 박스(640)는 하나의 컴포넌트 파일 또는 여러 개의 컴포넌트 파일과 매핑될 수 있는 아이템(item)이라는 단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아이템은 연속된 비트열인 익스텐트 하나 또는 복수의 익스텐트로 구성된다. ILOC 박스(640)는 각 익스텐트의 컨테이너 파일 상의 위치와 크기를 기술할 수 있다. 또한, ILOC 박스(640)는 아이템에 포함되는 익스텐트의 수(extent_coun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파일에서는, ILOC 박스(640)의 아이템을 하나의 컴포넌트 파일과 매핑시키고, 컴포넌트 파일의 전체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연속 비트열의 컨테이너 파일 내 저장 위치와 각 연속 비트열의 크기를 익스텐트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IINF 박스(650)는 해당 아이템에 매핑되는 컴포넌트 파일의 이름(item_name)과 FDEL 박스(670)를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FDEL 박스(670)는 컴포넌트 파일의 논리적 주소(content_location)인 오리지널 컨텐트 내 경로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ICHA 박스(680)는 컴포넌트 파일의 익스텐트들의 위치와 크기를 서술하고 있는 ILOC 박스(640)의 각 아이템에 대한 특성 정보와 각 아이템에 포함되는 익스텐트들의 특성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MDAT 박스(601)는 데이터 박스로서 컴포넌트 파일(602)이 기록되는 공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ISOFF의 ICHA 박스를 이용하여 컴포넌트 파일들의 특성 정보를 구현한 예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ICHA 박스(680)는 ILOC 박스(640)에서 기술한 아이템들과 각 아이템의 익스텐트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특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tem_count(710)는 ICHA 박스(680)에서 기술하고 있는 아이템의 개수를 나타낸다. item_ID(711)는 ILOC 박스(640)에서 정의한 item_ID를 지시한다.
immediate_access_flag(712)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컴포넌트 파일의 '임의 접근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접근이 재생 장치가 예상할 수 없는 시점에 발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immediate_access_flag(712)의 값이 1인 경우 임의 접근 특성이 있음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임의 접근 특성의 여부는 알 수 없다.
multiple_access_flag(713)는 '복수 접근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접근이 1회 이상 발생할 것이 자명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multiple_access_flag(713)의 값이 1인 경우 복수 접근 특성이 있음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복수 접근 특성의 여부는 알 수 없다.
disposable_access_flag(714)는 '1회성 소비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접근이 1회만 이루어지고 재접근의 가능성이 낮은지 여부를 나타낸다. disposable_access_flag(714)의 값이 1인 경우 1회성 소비 특성이 있음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1회성 소비 특성의 여부는 알 수 없다.
preloading_access_flag(715)는 '미리 읽기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컴포넌트 파일의 적어도 일부 내용을 미리 메모리에 로딩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preloading_access_flag(715)의 값이 1인 경우, 해당 컴포넌트 파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읽어두면 재생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값이 0인 경우 미리 읽기 특성의 여부는 알 수 없다.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되는 컨텐트의 경우, 미리 읽기 특성의 예로 챕터 점프(chapter jump)를 들 수 있다.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하나의 챕터에서 다음 또는 이전 챕터로 이동하는 경우 독출부의 물리적 이동을 수반하므로 응답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미리 읽기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표시된 각 챕터의 시작 위치로부터 독출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한 길이 만큼의 데이터를 재생의 개시 이전에 미리 읽어둔다면, 사용자의 챕터 점프 요청에 따른 응답 지연에 대한 이득이 발생할 수 있다.
entry_count(757)는 ICHA 박스(680)에서 기술하고 있는 익스텐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extent_index(751)는 ILOC 박스(640)에서 기술한 익스텐트를 지시하는 것으로, 익스텐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ntry_count(757) 및 extent_index(751)를 이용하면 소정 아이템에 해당하는 모든 익스텐트에 대한 특성 정보를 기술하는 대신 일부 익스텐트에 대한 특성 정보만을 기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pendency_flag(752)는 '참조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참조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dependency_flag(752)의 값이 1인 경우 해당 익스텐트가 참조 특성을 가짐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참조 특성의 여부는 알 수 없다. 예를 들면, 비디오 컴포넌트 파일의 경우, I-Frame, P-Frame, I-Slice, P-Slice에 해당하는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참조되므로, '참조 특성'을 가지는 익스텐트로 설정될 것이다.
necessity_flag(753)는 '필수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 또는 실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necessity_flag(753)의 값이 1인 경우 필수 특성이 있음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필수 특성의 여부는 알 수 없다. 예를 들면, 비디오 컴포넌트 파일의 경우, GOP(Group Of Picture) 정보나 AU 바운더리 정보(boundary information)에 해당하는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 또는 실행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므로, '필수 특성'을 가지는 익스텐트로 설정될 것이다.
redundant_flag(754)는 '중복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의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redundant_flag(754)의 값이 1인 경우 중복 특성이 있음을 표시하고, 값이 0인 경우 중복 특성의 여부는 알 수 없다. 예를 들면, 비디오 컴포넌트 파일의 경우, B-Frame이나 B-Slice에 해당하는 익스텐트는 일부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중복 특성'을 가지는 익스텐트로 설정될 수 있다.
dependency_counter(756)는 dependency_flag(752) 또는 necessity_flag(753)의 값이 1인 경우 해당 익스텐트의 존재 여부에 영향을 받는 다음 익스텐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dependency_counter(756)의 값이 0인 경우 영향을 받는 익스텐트의 개수는 알 수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익스텐트별 특성 정보만 포함되어 있는 예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item_count(810)는 ICHA 박스(680)에서 기술하고 있는 아이템의 개수를 나타낸다. 컴포넌트 파일과 아이템이 일대일로 대응하는 실시예라면 item_count(810)는 컨텐트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파일의 수와 같을 것이다. item_ID(811)는 ILOC 박스(640)에서 기술한 item_ID를 지시한다.
entry_count(850)는 ICHA 박스(680)에서 기술하고 있는 익스텐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extent_index(851)는 해당 익스텐트에 대한 인덱스를 지시한다.
immediate_access_flag(852)는 '임의 접근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가 재생 장치가 예상할 수 없는 시점에 접근되는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immediate_access_flag(852)의 값이 1인 경우는 임의 접근 특성을 가짐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임의 접근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multiple_access_flag(853)는 '복수 접근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가 재생 장치에 의해 1회 이상 접근될 것이 자명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multiple_access_flag(853)의 값이 1인 경우 복수 접근 특성을 가짐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복수 접근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disposable_access_flag(854)는 '1회성 소비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는 1회 접근 후 재접근 가능성이 낮은 것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disposable_access_flag(854)의 값이 1인 경우 1회성 소비 특성을 가짐을 표시하고, 값이 0인 경우 1회성 소비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preloading_access_flag(856)는 '미리 읽기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를 미리 읽어둘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preloading_access_flag(856)의 값이 1이면 미리 읽기 특성이 있음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미리 읽기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dependency_flag(857)는 '참조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참조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dependency_flag(857)의 값이 1인 경우 참조 특성이 있음을 표시하고, 값이 0인 경우 참조 특성이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necessity_flag(858)는 '필수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 또는 실행에 필수불가결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necessity_flag(858)의 값이 1인 경우 필수 특성이 있음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필수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redundant_flag(859)는 '중복 특성'에 대한 것으로, 해당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 내용이 다른 익스텐트로 대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redundant_flag(859)의 값이 1인 경우 중복 특성이 있어 다른 익스텐트로 대체될 수 있음을 표시하며, 값이 0인 경우 중복 특성의 여부는 알 수 없다.
dependency_counter(860)는 dependency_flag 또는 necessity_flag의 값이 1인 경우 해당 익스텐트의 존재 여부에 영향을 받는 다음 익스텐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dependency_counter의 값이 0인 경우 영향을 받는 익스텐트의 개수는 알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LOC 박스(640)의 아이템 중 예약된 값의 item_ID, 예를 들어 item_ID가 0인 값을 갖는 아이템은 컨테이너 파일의 전체 혹은 MDAT 박스(601) 전체에 대해 특성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장치는 컨테이너 파일을 읽을 때, item_ID가 0인 아이템에 해당하는 특성 정보를 먼저 독출하여 컨테이너 파일 전체 또는 MDAT 박스(601) 전체에 대한 특성값을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트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컨텐트 제공 장치(900)는 입력부(910), 제어부(920) 및 저장부(930)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910)는 컨텐트와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읽기 위한 픽업장치, 사용자나 컨텐트 제작자로부터 컨텐트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파일들의 특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외부 서버로부터 컨텐트나 특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되는 컨텐트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로 구성되며, 특성 정보는 각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 및/또는 각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익스텐트의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특성 정보에 따라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을 배치한 데이터 박스를 생성하고, 데이터 박스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 메타 박스에 포함되는 정보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컨텐트 내 위치 및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데이터 박스 및 메타 박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부(930)에 저장한다.
제어부(920)는, 데이터 박스 생성시, 특성 정보에 따라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 파일들을 데이터 박스 내의 연속되는 위치에 배열할 수 있다. 이때, 특성 정보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재생시 접근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 패턴은, 임의 접근, 복수 접근, 1회성 접근 및 프리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920)는, 컨테이너 파일을 생성할 때 특성 정보에 따라 같은 특성을 갖는 컴포넌트 파일들을 비트열 상 연속되는 위치에 배열하여, 재생 장치의 독출부(mechanical pick-up, header 등)로 하여금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ing) 혹은 논리적 주소에 대한 이동(seek)을 최소화하고, 연속적인(sequential) 읽기를 통해 해당 구간을 독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20)는 복수 접근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들을 데이터 박스의 연속되는 위치에 기록한다. 재생시 이들 컴포넌트 파일들은 빈번히 사용되는데, 연속되는 위치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접근 시간이 단축되어 효율적인 재생이 가능할 것이다.
특성 정보는,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익스텐트별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익스텐트들의 특성 정보는 익스텐트들 간의 상호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어떤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는지,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지, 상기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어부(920)는 메타 박스의 복제본을 컨테이너 파일에 기록하여, 원본 메타 박스가 훼손될 경우 전체 컨텐트를 재생할 수 없게 되는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컨테이너 파일의 파일명을 정할 때 컴포넌트 파일들의 특성 정보 및/또는 익스텐트들의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명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파일의 파일명은, 데이터 박스를 구성하는 복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어떤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이 기록되는지를 나타내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해당 구간의 크기나 해당 구간에 기록되는 컴포넌트 파일 또는 익스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컨테이너 파일의 이름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파일명에 사용되는 구간의 특성은 별도의 식별자와 구간의 크기를 결합하여 표현하거나, 구간 크기의 나열 순서에 따른 의미를 컨텐트 제공자와 재생 장치간 약속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100_d20000.ndf라는 컨테이너 파일명이 제공될 때, 컨테이너 파일의 시작으로부터 임의 접근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위한 공간이 100바이트이고 1회성 소비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위한 공간이 20000바이트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100_100.ndf라는 컨테이너 파일명이 제공될 때, 컨테이너 파일의 시작으로부터 100바이트가 임의 접근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위한 공간이고, 끝으로부터 100바이트 앞까지의 구간도 임의 접근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위한 공간임을 미리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파일명에 의해 같은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구간 정보가 있음이 판단되는 경우, 재생 장치로 하여금 동일 특성을 가진 각 구간에 대해 서로 다른 처리를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리소스의 배정에 있어 먼저 제시된 구간에 대해 더 좋은 리소스를 배정하고, 나중에 제시된 구간에 더 나쁜 리소스를 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i100_i300.ndf라는 컨테이너 파일명이 제공될 때, 재생장치는 최초 100바이트의 구간을 RAM에 로딩하고 다음 300바이트의 구간은 HDD에 기록하거나 아예 기록하지 않음으로써 구간의 표시순서에 따라 구별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파일명을 통해 구간의 특성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는, 컨테이너 파일의 일부를 읽어 별도의 처리를 하기 위한 구간을 결정한 후 별도의 처리를 하기 위한 데이터 구간을 읽어들이는 방법과 비교할 때, 효율적으로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연속적인 접근 흐름을 보이는 개선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트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을 획득한다(S1010). 컨텐트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 로딩 속도가 느린 매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S1010). 특성 정보는 컨텐트의 제작자에 의해 결정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특성 정보에 따라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데이터 박스를 생성한다(S1012).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컨텐트 내 위치 및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생성한다(S1014).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컨텐트 내 위치 및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는 오리지널 컨텐트 내의 컴포넌트 파일의 위치와 본 발명에 따라 컨텐트를 재구성하여 생성한 데이터 박스 내의 컴포넌트 파일의 위치를 매핑하기 위한 매핑 정보이다. 데이터 박스 및 메타 박스를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에 기록함으로써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생성한다(S1016). 생성된 컨테이너 파일은 컨텐트 제공 장치(900)의 저장부(930)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기록매체(도시되지 않음)에 기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트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컨텐트 재생 장치(1100)는, 독출부(1110), 제어부(1120) 및 재생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독출부(1110)는 재생 장치(1100)의 로컬 저장부(도시되지 않음), 탈착 가능한 정보저장매체(도시되지 않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컨테이너 파일을 읽어오기 위한 것이다. 컨테이너 파일은,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에 따라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된 데이터 박스와,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컨텐트 내 위치 및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가 기록된 파일이다. 정보저장매체에 컨테이너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독출부(1110)는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메타 박스에 포함된 정보를 먼저 독출할 것이다.
제어부(1120)는, 독출된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 박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독출부(1110)를 제어하고, 메타 박스의 정보와 데이터 박스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재생부(113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재생부(1130)는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20)는, 임의 접근 또는 복수 접근을 나타내는 특성 정보를 가진 컴포넌트 파일이나 익스텐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정보저장매체보다 로딩 속도가 빠른 다른 정보저장매체에 로드함으로써, 임의의 시간에 또는 자주 이용되는 컴포넌트 파일이나 익스텐트에의 접근 시간을 줄여 효율적인 재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로딩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정보저장매체의 예로,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SSD(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외부 저장장치, 외부 서버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저장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컨텐트의 재생시 필요한 데이터에 접근하기 전에, 필요한 데이터가, 메타 박스에 기술된 특성에 따라 로딩 속도가 빠른 정보저장매체에 기록된 컴포넌트 파일이나 익스텐트에 해당하는지 검토하고, 로딩 속도가 빠른 정보저장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인 경우는 해당 정보저장매체에서 독출할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120)는, 컨텐트 컴포넌트 파일들의 목록을 읽어들인 이후에 논리적인 주소(예: 광디스크에 기록된 컨텐트 내의 경로 등)와 물리적인 주소(예: 상기 컨텐트가 재구성되어 기록된 컨테이너 파일 상의 컴포넌트 파일 또는 익스텐트들의 위치, RAM에 로딩된 컴포넌트 파일 또는 익스텐트들의 RAM 상의 주소 등)를 연결지어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1120)는, 미리 읽기 특성을 가진 컴포넌트 파일이나 익스텐트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소정 부분을 미리 읽어 로딩 속도가 빠른 메모리에 저장해둘 수 있다. 제어부(1120)는 메타 박스에 기록된 컴포넌트 파일의 컨텐트 내 위치 및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각 컴포넌트 파일의 컨텐트 내 경로와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주소를 매핑할 수 있다.
특성 정보는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익스텐트별로도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성 정보는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20)는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 특성을 참조하여 복수의 익스텐트를 재생하도록 재생부(1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는지, 해당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지, 해당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120)는,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거나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 익스텐트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지 못한 경우는, 해당 익스텐트의 독출을 재시도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해당 익스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120)는,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 익스텐트를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지 못한 경우는, 해당 익스텐트 대신 다른 익스텐트를 참조하여 해당 익스텐트 구간을 재생하도록 재생부(1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트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컨테이너 파일에 포함된 메타 박스로부터 특성 정보와 매핑 정보를 독출한다(S1210). 독출된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컨테이너 파일의 데이터 박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S1212). 특성 정보에 따라 컴포넌트 파일이나 익스텐트를 독출하는 시점이나 메모리에 로딩하는 위치가 결정되며,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 박스에 기록된 컴포넌트 파일이 오리지널 컨텐트 내에서 어떤 경로를 가지는지 결정할 수 있다. 메타 박스의 정보와 데이터 박스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재생한다(S1214).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컨텐트 재생 장치의 RAM에 복사된 컴포넌트 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재생 장치(1300)는 CPU(1320), 디코더(1330), 디스크(136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부(1340), 로컬 스토리지(1350), 로딩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RAM(1310)을 포함할 수 있다. CPU(1320)는 특성 정보에 따라 컴포넌트 파일 전체 또는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일부 익스텐트를 RAM(1310)에 복사하여 재생시 접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RAM(1310)의 임의 번지에 01000.clpi라는 컴포넌트 파일(1311)이 복사되어 있으며, 이 예에서 01000.clpi의 물리적인 위치는 /dev/RAM/0x3000 ~ 0x4000이 될 것이다. 재생 장치(1300)는 디스크(1360)의 컨테이너 파일로부터 컨텐트 컴포넌트 파일들의 목록을 읽어들인 이후에 오리지널 컨텐트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논리적인 주소와, 로딩 속도가 느린 매체인 디스크(1360)에 있는 컴포넌트 파일의 익스텐트들의 위치 또는 로딩 속도가 빠른 매체인 RAM(1310)에 있는 컴포넌트 파일의 익스텐트들의 위치를 연결지어 관리함으로써, 재생시 필요한 데이터를 어디서 독출할지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익스텐트와 재생 시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외부 요인에 의해 매체의 일부를 억세스하기 곤란한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컨테이너 파일에 기록된 컨텐트를 재생할 때, 컨텐트 컴포넌트 파일에 부여된 특성 정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재생시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일부 익스텐트의 독출에 실패하는 경우, 재생 장치는 해당 익스텐트의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판단을 할 수 있다.
익스텐트의 참조 특성이 1이면 해당 익스텐트를 참조하는 다른 익스텐트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해당 익스텐트가 없거나 훼손된 경우 디코딩 결과물의 품질에 대한 영향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익스텐트의 필수 특성이 1이면 해당 익스텐트가 없는 경우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재생 장치는 참조 특성이 1이거나 필수 특성이 1인 익스텐트의 독출이 실패한 경우, 다시 읽기 시도하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해당 익스텐트를 읽어올 수 있다. 이때 재생 장치는, dependency_counter의 값의 크기에 따라 다시 읽기 시도 회수나 외부 소스로의 요청 여부/대기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익스텐트의 중복 특성이 1이면 해당 익스텐트가 없어도 재시도 또는 외부 소스로의 요청은 하지 않아도 무방한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재생 장치는 해당 익스텐트가 독출되지 않는 경우, 다른 익스텐트를 이용하여 해당 익스텐트 구간을 재생하거나, 해당 익스텐트를 스킵하고 다음 익스텐트를 재생함으로써 재생을 계속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중복 특성이 1인 익스텐트(1420)의 독출이 실패하더라도 해당 익스텐트(1420)를 기준으로 이전 익스텐트(1410)의 재생 시간과 다음 익스텐트(1430)의 재생 시간은, 상기 세 익스텐트(1410, 1420, 1430)의 전체 재생 시간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해당 익스텐트(1420)가 독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독출된 다음 익스텐트(1430)의 재생시간을 컨텐트의 원래 재생시간에 맞추어 동기 재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기 재생을 위해, 독출되지 않은 익스텐트(1420)의 재생 구간에서는, 이전 익스텐트(1410)의 최종 프레임 k+1을 유지하거나, 프레임 k+1과 다음 익스텐트(1430)의 프레임 k+4의 영상을 근거로 중간 영상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타 박스의 백업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컨테이너 파일에서 메타 박스는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이름과 경로 등의 기본 정보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특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컨테이너 파일이 기록된 매체의 해당 부분의 억세스가 곤란한 경우 컨테이너 파일 전체에 대한 사용이 불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 박스의 복제본을 컨테이너 파일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5는 ISOFF 포맷의 META 박스에 대한 복제본을 컨테이너 파일에 부가하는 경우 백업 정보인 MEBO 박스를 기술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복제본의 수를 나타내는 number_of_metadata_backup(1510)과 각 복제본의 위치를 나타내는 offset(1520)을 포함한다. 원본 META 박스가 컨테이너 파일의 앞부분에 위치하므로, 복제본은 컨테이너 파일의 뒤쪽에 구비하고 해당 META 박스의 크기를 알려주는 MEBO 박스 역시 컨테이너 파일의 뒷부분에 포함시킬 수 있다. META 박스의 원본과 복제본이 가까운 위치에 기록되는 경우 원본과 복제본이 함께 훼손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MEBO 박스가 포함된 컨테이너 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MEBO 박스(1610)는 META 박스의 복제본(1620, 163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MEBO 박스(1610)에 기록되는 2개의 offset 정보(offset1, offset2)는 컨테이너 파일의 맨 마지막 바이트를 기준으로 얼마만큼의 바이트 오프셋(byte offset)에 META 박스의 복제본(1620, 1630)이 존재하는지 나타낸다. MEBO 박스(1610)는 컨테이너 파일의 맨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재생 장치는 META 박스(630)의 독출에 실패한 경우, MEBO 박스(1610)의 정보를 참조해 컨테이너 파일 내의 어디에 META 박스의 복제본(1620, 1630)이 존재하는지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47)

  1.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파일은,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데이터 박스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재생시 접근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들이 상기 데이터 박스 내의 연속되는 위치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패턴은, 임의 접근, 복수 접근, 1회성 접근 및 프리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는지,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지, 상기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파일은, 상기 메타 박스의 복제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파일은, 상기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명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파일의 파일명은, 상기 데이터 박스를 구성하는 복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어떤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이 기록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1. 컨텐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데이터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박스 및 상기 메타 박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재생시 접근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 파일들을 상기 데이터 박스 내의 연속되는 위치에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패턴은, 임의 접근, 복수 접근, 1회성 접근 및 프리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는지,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지, 상기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박스의 복제본을 상기 컨테이너 파일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명을 상기 컨테이너 파일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파일의 파일명은, 상기 데이터 박스를 구성하는 복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어떤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이 기록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컨텐트 재생 방법에 있어서,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된 데이터 박스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가 기록된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포함하는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메타 박스에 포함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박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와 상기 데이터 박스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재생시 접근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는, 임의 접근 또는 복수 접근을 나타내는 특성 정보를 가진 컴포넌트 파일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정보저장매체 보다 로딩 속도가 빠른 다른 정보저장매체에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는, 프리로드를 나타내는 특성 정보를 가진 컴포넌트 파일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소정 부분을 프리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각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경로와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주소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 특성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트의 상호 관계 특성은, 해당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는지, 해당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지, 해당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거나 상기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 익스텐트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지 못한 경우, 해당 익스텍트의 독출을 재시도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해당 익스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 익스텐트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다른 익스텐트를 참조하여 해당 익스텐트 구간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컨텐트 제공 장치에 있어서,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되는 데이터 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박스 및 상기 메타 박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재생시 접근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 파일들을 상기 데이터 박스 내의 연속되는 위치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삭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패턴은, 임의 접근, 복수 접근, 1회성 접근 및 프리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의 상호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트의 상호 관계 특성은,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는지, 상기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지, 상기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박스의 복제본을 상기 컨테이너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명을 상기 컨테이너 파일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파일의 파일명은, 상기 데이터 박스를 구성하는 복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어떤 특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파일이 기록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컨텐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컨텐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이 배치된 데이터 박스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위치 및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박스가 기록된 하나의 컨테이너 파일을 포함하는 정보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메타 박스에 포함된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컨텐트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박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상기 독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와 상기 데이터 박스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파일에 대한 재생시 접근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 접근 또는 복수 접근을 나타내는 특성 정보를 가진 컴포넌트 파일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정보저장매체보다 로딩 속도가 빠른 다른 정보저장매체에 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프리로드를 나타내는 특성 정보를 가진 컴포넌트 파일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소정 부분을 프리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박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각 컴포넌트 파일의 상기 컨텐트 내 경로와 상기 데이터 박스 내 주소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 간의 상호 관계 특성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익스텐트를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트의 상호 관계 특성은, 해당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는지, 해당 익스텐트가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지, 해당 익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시 참조되거나 상기 다른 익스텐트의 재생에 필수적인 익스텐트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지 못한 경우, 해당 익스텐트의 독출을 재시도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해당 익스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익스텐트에 의해 대체 가능한 익스텐트를 상기 정보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다른 익스텐트를 참조하여 해당 익스텐트 구간을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11항 내지 제12항 및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컨텐트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7.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컨텐트 재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44995A 2012-11-30 2013-11-27 컨텐트를 저장한 정보저장매체, 컨텐트 제공 방법, 컨테트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9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93,228 US9454995B2 (en) 2012-11-30 2013-11-29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content,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2015524204A JP6026657B2 (ja) 2012-11-30 2013-11-29 コンテンツを保存した情報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PCT/KR2013/011013 WO2014084666A1 (en) 2012-11-30 2013-11-29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content,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407 2012-11-30
KR20120138407 2012-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409A KR20140070409A (ko) 2014-06-10
KR102179384B1 true KR102179384B1 (ko) 2020-11-16

Family

ID=5112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995A KR102179384B1 (ko) 2012-11-30 2013-11-27 컨텐트를 저장한 정보저장매체, 컨텐트 제공 방법, 컨테트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26657B2 (ko)
KR (1) KR1021793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886A (ja) * 2006-12-15 2008-07-03 Fujitsu Ltd 複合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編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再生装置
KR100893277B1 (ko) * 2001-08-02 2009-04-17 파나소닉 주식회사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JP2010136191A (ja) 2008-12-05 2010-06-17 Canon Inc 撮像装置、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621A (ja) * 2001-07-09 2003-01-24 Sharp Corp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変更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282703A (ja) * 2002-11-05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JP3891295B2 (ja) * 2003-07-09 2007-03-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2149264B1 (en) * 2007-07-02 2011-01-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reading a file having a media data container and a metadata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77B1 (ko) * 2001-08-02 2009-04-17 파나소닉 주식회사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JP2008153886A (ja) * 2006-12-15 2008-07-03 Fujitsu Ltd 複合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編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再生装置
JP4948147B2 (ja) 2006-12-15 2012-06-06 富士通株式会社 複合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編集方法および装置
JP2010136191A (ja) 2008-12-05 2010-06-17 Canon Inc 撮像装置、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24598A (ja) 2015-08-24
KR20140070409A (ko) 2014-06-10
JP6026657B2 (ja)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4995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content,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RU239355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с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использующие локальн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00601530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EP1486979B1 (en)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device
RU240809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с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JP2006294031A (ja) ネットワーク上での動作のための記憶ドライブ、ネットワークからシーケンシャルアクセス記憶媒体におけるファイルデータにアクセスする方法、ファイルに基づくコマンドを変換するための論理およびtocを格納するための論理を含む記憶論理、磁気テープ、ならびにテープのデータおよびtoc領域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論理
KR20060065474A (ko) 로컬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JP451378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014544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and method thereof
KR20070052642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와 데이터 전송방법
JP2011097604A (ja) プログラム管理情報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それを再生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535857A (ja) プログラミング機能を有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を記録した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KR102179384B1 (ko) 컨텐트를 저장한 정보저장매체, 컨텐트 제공 방법, 컨테트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JP2001101050A (ja) ファイル管理方法
CN103116492A (zh) 光盘或光盘文件收录方法及系统
JP5017317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
KR100677600B1 (ko) 복수의 저장매체에 걸쳐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관리 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에 따른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20008919A1 (en)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er, and data recording medium
TWI236002B (en) Data storage medium hav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buffered state of markup docum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data storage medium
JP2008517355A (ja) ローカルストレージを使用して記録媒体から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39504A (ko) 블루레이 디스크 재생 장치 및 블루레이 디스크 로딩 방법
RU23839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записанных на носителе записи, используя локальный накопитель
RU238394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с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локального запомин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CA2790051A1 (en) Method for preloading and recording preload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11138574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