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399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399A
KR20080111399A KR1020080056591A KR20080056591A KR20080111399A KR 20080111399 A KR20080111399 A KR 20080111399A KR 1020080056591 A KR1020080056591 A KR 1020080056591A KR 20080056591 A KR20080056591 A KR 20080056591A KR 20080111399 A KR20080111399 A KR 20080111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upport member
main body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495B1 (ko
Inventor
히데끼 고오쯔까
다까유끼 가또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레이저 빔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를 노광하는 노광 수단과, 서로 대면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제1 측판, 제2 측판, 상기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제3 지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폐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판, 제2 측판과 평행한 평면 상의 폐공간 단면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이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대형화 및 측판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광학 부품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감광 드럼, 카트리지, 전사 벨트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복사기나 레이저 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특히 장치 본체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고화상 품질의 화상 형성을 실행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 프레임(이하, 본체 프레임이라 함)의 강성이 향상된 구조가 제안되어 왔다. 본체 프레임의 강성이 낮으면 장치 본체 구동 시의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본체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감광 드럼, 레이저 스캐너와 같은 광학 부품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그 결과, 화상 변형, 색차와 같은 화상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도9은 종래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본체 프레임은 판금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펀칭하여 형성된 전방 측판(50) 및 후방 측판(51)을 구비하고,양 측판 간에 지지 부재(52, 53, 54, 55)가 제공되고, 보강 부재(56, 57)가 더 제공되어 있다. 또한,지지 부재(52, 53, 54, 55)는 나사 또는 용접에 의해 측판에 고정된다.
그러나,보다 고화상 품질이 요구되는 최근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 기 종래의 본체 프레임은 강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고품질 화상이 시트재 상에 형성될 수 없다.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체 프레임에 보강 부재를 제공하거나,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본체 프레임의 제조 비용이 증대된다.
이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66840호에는, 전방 측판과 후방 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에 의해 본체 프레임의 저부에 상자형 폐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에 보강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언급된 종래 예에서와 같이, 본체 프레임의 저부에 상자형 폐공간을 형성하면, 폐공간의 내부가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되어 장치 본체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전후 측판은 폐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 근방에서 서로에 대하여 비틀어진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의 저부에 폐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에서는, 본체 프레임의 저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측판의 비틀림이 커진다.
그 결과, 본체 프레임의 저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레이저 스캐너와 같은 광학 부품이 전후 측판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측판의 비틀림이 광학 부품의 위치 어긋남을 초래하기 때문에 고품질 화상이 얻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대형화 및 측판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광학 부품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 빔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를 노광하는 노광 수단과, 서로 대면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판, 제2 측판, 상기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제3 지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폐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판, 제2 측판과 평행한 평면 상의 폐공간 단면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예시적 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으로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대형화 및 측판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광학 부품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 구성]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 감광 드럼(1Y, 1M, 1C, 1K)이 구비된다.
감광 드럼(1Y, 1M, 1C, 1K)에는 각각 옐로(Y), 마젠더(M), 시안(C), 블랙(K)의 토너가 제공되며,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감광 드럼(1Y, 1M, 1C, 1K)의 표면에는 유기 광도전층이 도포되어 있다.
감광 드럼(1Y, 1M, 1C, 1K)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감광 드럼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3Y, 3M, 3C, 3K)와, 감광 드럼의 표면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4Y, 4M, 4C, 4K)가 제공된다. 그리고, 감광 드럼, 대전 롤러, 현상 롤러는 대응 토너에 대해 일체화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2Y, 2M, 2C, 2K)를 형성한다.
기록재인 시트재 상에 화상을 형성할 때는, 대전 바이어스가 대전 롤러에 인가됨으로써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그리고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노광 수단으로서 제공된 레이저 스캐너 장치(5)로부터 레이저 빔이 감광 드럼에 사출되어, 감광 드럼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후, 토너가 현상 롤러로부터 감광 드럼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공급되어, 감광 드럼 상의 정전 잠상이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 상은 감광 드럼과 1차 전사 롤러(9Y, 9M, 9C, 9K) 사이의 닙부에서 순차적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중간 전사 벨트(6)로 전사된다(1차 전사).
중간 전사 벨트(6)는 구동 롤러(7)와 종동 롤러(8) 사이에서 신장되고, 구동 롤러(7)가 회전함으로써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한다.
중간 전사 벨트(6) 상에 있어서의 토너 상이 1차 전사된 부분은, 중간 전사 벨트(6)로서 구동 롤러(7)와 2차 전사 롤러(15) 사이의 닙부로 반송되고, 이 닙부에서 중간 전사 벨트(6) 상의 토너 상이 시트재(11)로 전사된다(2차 전사).
복수의 시트재(11)는 급송 카세트(10)에 적재된다. 이들 시트는 규정된 타이밍으로 구동되는 급송 롤러(12)로 급송된 후, 반송 롤러 쌍(13), 레지스트 롤러 쌍(14)을 통과해서 중간 전사 벨트(6)와 2차 전사 롤러(15) 사이의 닙부로 반송된다.
2차 전사에 의해 토너 상이 전사된 시트재(11)는 정착 롤러 쌍(16)에 반송되고, 정착 롤러 쌍(16)의 닙부에서 시트재(11) 상의 토너 상이 가열, 가압됨으로써 시트재(11)에 정착된다.
토너 상이 정착된 시트재(11)는 정착 롤러 쌍(16)으로부터 배출 롤러 쌍 (17)으로 반송되고, 배출 롤러 쌍(17)으로부터 배출 트레이(18) 상에 배출된다.
[본체 프레임의 구성]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프레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에는 제1 측판을 구성하는 전방 측판(20)과 제2 측판을 구성하는 후방 측판(21)이 구비되며, 또한 전방 측판(20)과 후방 측판(21)의 사이에는 전방 측판(20)과 후방 측판(21)을 연결하는 판형 지지 부재(23, 24, 25, 26, 27)가 제공된다. 지지 부재(23 ~ 27)는 나사에 의해 전방 측판(20)과 후방 측판(21)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부재(23 ~ 27)가 전방 측판(20)과 후방 측판(21)에 연결됨으로써 양 측판 간의 위치 관계가 결정되며, 본체 프레임의 강성이 확보된다.
또한, 전방 측판(20)과 후방 측판(21)은 절결부(22)를 가진다. 절결부(22)는 본체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Y, 2M, 2C, 2K)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므로, 절결부(22)는 전방 측판(20)과 후방 측판(21)의 각각에 4곳 설치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의 설치면에 대하여 경사져 배열된다(도4 참조). 따라서, 절결부(22)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열 방향과 평행하도록 전방 측판(20) 및 후방 측판(21)에 경사져 형성된다(도1 참조).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위치 결정부(도시 생략)가 구비되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부를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를 절결부(22)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단부는 절결부(22)에서 전방 측판(20)과 후방 측판(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 부재(23)와 지지 부재(24), 지지 부재(24)와 지지 부재(25), 지지 부재(25)와 지지 부재(23)를 각각 나사(60a, 60b, 60c)에 의해 연결한다.
이 결과, 실질적인 폐공간이 프레임 본체 내부에 전방 측판(20), 후방 측판(21), 지지 부재(제1 지지 부재; 23), 지지 부재(제2 지지 부재; 24), 지지 부재(제3 지지 부재; 25)에 의해 형성된다. 양 측판과 평행한 폐공간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이다. 또한, 노광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 장치(5)는 폐공간 내에 배치된다.
또한,레이저 스캐너 장치(5)는 그 단부에 지지면(5a, 5b)을 가지며, 이 지지면(5a, 5b)에서 레이저 스캐너 장치(5)는 4개의 나사(61)에 의해 지지 부재(23)의 내벽면에 설치된다(도1 참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전방 측판(20)과 후방 측판(21)이 복수의 판형 지지 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이들의 지지 부재를 서로 연결시켜 폐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보강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양측판과 평행한 폐공간의 단면 형상을 실질적으로 삼각형으로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5)가 전방 측판(20), 후방 측판(21), 복수의 지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폐공간의 내에 배치되므로,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들이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할수록, 전방 측판과 후방 측판의 강성은 더 높아진다. 특히, 폐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전방 측판 및 후방 측판의 영역은 강성이 높아진다. 한편,지지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전방 측판 및 후방 측판이 지지 부재 근방에서 비틀리는 양은 커진다.
고품질의 화상을 시트재 상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노광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노광 정밀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방 측판 및 후방 측판의 비틀림에 의해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다면,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측판, 후방 측판 및 복수의 지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폐공간의 내에 노광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 장치(5)를 배치함으로써, 전방 측판(20) 및 후방 측판(21)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스캐너 장치(5)가 폐공간의 내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폐공간이 데드 스페이스가 되지 않고, 폐공간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폐공간의 형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 중,레이저 스캐너 장치(5)와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감광 드럼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23)에는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슬릿부(23a)가 제공된다. 레이저 스캐너 장치(5)로부터 사출된 레이저 빔은 슬릿부(23a)를 통과해서 감광 드럼으로 조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열 방향(즉, 장치 본체의 설치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과 평행하도록 지지 부재(23)가 배치된다(도1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지지 부재(23)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은 형 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들의 형상, 배열 방향 등을 고려하여 폐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의 배치 방향, 형상 등을 설정함으로써, 본체 프레임 내에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 4개의 감광 드럼이 제공되었지만, 감광 드럼의 수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이상의 감광 드럼이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되면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에 폐공간을 제공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대형화 및 측판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광학 부품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5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 내지 도8은 본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7은 본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지지 부재(33)를 제거했을 경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 구성은 상기 설명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여기에서는 다른 부분, 즉 본체 프레임의 구성, 특히 폐공간의 내에 배치되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고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체 프레임의 구성]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에는 서로 대면하 는 전방 측판(30)과 후방 측판(31)이 제공되며, 또한 전방 측판(30)과 후방 측판(31)의 사이에는, 전방 측판(30)과 후방 측판(31)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 부재(33, 34, 35, 36, 37)가 제공된다. 지지 부재(33 ~ 37)는 나사에 의해 전방 측판(30)과 후방 측판(31)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 부재(33)와 지지 부재(34), 지지 부재(34)와 지지 부재(35), 지지 부재(35)와 지지 부재(33)가 각각 나사(62a, 62b, 62c)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전방 측판(제1 측판; 30), 후방 측판(제2 측판; 31), 지지 부재(제1 지지 부재; 33), 지지 부재(제2 지지 부재; 34), 지지 부재(제3 지지 부재; 35)에 의해,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폐공간이 형성된다(도5 참조). 또한, 노광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 장치(5)가 상기 형성된 폐공간의 내부에 배치된다.
전방 측판(30)과 후방 측판(31)에 형성되는 절결부(32)의 구성 및 전방 측판(30)과 후방 측판(31)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설명된 제1 실시예에서는 지지면(5a, 5b)이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스캐너 장치(5)가 4개의 나사에 의해 지지 부재(23)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5)가 지지 부재(33)에 고정되지 않고, 폐공간의 내에 별도로 제공되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5)를 지지하기 위한 스캐너 지지 부재(노광 수단 지지 부재; 38, 39)에 고정된다(도5 및 도7 참조). 스캐너 지지 부재(38, 39)는 지지 부재(33, 34, 35, 36, 37)와 마찬가지로, 양 단부가 나사에 의해 전방 측판(30) 및 후방 측판(31)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레이저 스캐너 장치(5)는 도5의 전방 측과 깊이 측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돌기부(5c)를 가지며, 하나의 돌기부(5d)는 돌기부(5c)의 반대측에서 스캐너 지지 부재(39)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며, 돌기부(5c)는 스캐너 지지 부재(38)에 고정된다. 돌기부(5c, 5d)를 스캐너 지지 부재(38, 39)에 고정할 때에는, 스프링(도시 생략)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돌기부가 가압됨으로써, 돌기부(5c, 5d)를 스캐너 지지 부재(38, 39)에 고정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레이저 스캐너 장치(5) 및 스캐너 지지 부재(38, 39)는 폐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33), 지지 부재(34), 지지 부재(35)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구동시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기인하여, 지지 부재 (33, 34, 35)에 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레이저 스캐너 장치(5)는 상기 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위치 관계를 높은 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스캐너 장치(5)를 지지하는 스캐너 지지 부재(38, 39)는 전방 측판(30), 후방 측판(31)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캐너 지지 부재(38, 39)를 설치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방 측판(30), 후방 측판(31)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5)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레이저 스캐너 장치(5)에 대하여 높은 노광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스캐너 장치(5)가 폐공간의 내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폐공간이 데드 스페이스가 되지 않아, 폐공간의 형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 중, 레이저 스캐너 장치(5)와,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감광 드럼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33)에는, 레이저 빔이 통과하기 위한 슬릿부(33a)가 제공된다. 레이저 스캐너 장치(5)로부터 사출된 레이저 빔은 슬릿부(33a)를 통과해서 감광 드럼으로 조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열 방향(즉, 장치 본체의 설치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과 평행하도록 지지 부재(33)가 배치된다(도5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지지 부재(33) 사이에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들의 형상, 배열 방향 등을 고려하여 폐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의 배치 방향, 형상 등을 설정함으로써, 본체 프레임 내에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5)가 스캐너 지지 부재(38, 39)에 고정되지만, 스캐너 지지 부재(38, 39)를 제공하는 대신에, 레이저 스캐너 장치(5)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전방 측판(30), 후방 측판(31)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레이저 스캐너 장치(5)가 폐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 (33), 지지 부재(34), 지지 부재(35)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구동시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기인하여 지지 부재(33, 34, 35)에 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레이저 스캐너 장치(5)는 상기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레이저 스캐너 장치(5)에 대한 위치 관계를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 4개의 감광 드럼을 제공했지만, 감광 드럼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1개 이상의 감광 드럼이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되기만 하면 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에 폐공간을 제공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대형화 및 측판의 비틀림에 기인하는 광학 부품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상기 변형 및 등가 구조 및 기능을 모두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따른 본체 프레임의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따른 본체 프레임의 단면도.
도6은 제2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
도7은 제2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
도8은 제2 실시예의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
도9는 종래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Y, 1M, 1C, 1K: 감광 드럼
2Y, 2M, 2C, 2K: 프로세스 카트리지
3Y, 3M, 3C, 3K: 대전 롤러
5: 레이저 스캐너 장치
6: 중간 전사 벨트
7: 구동 롤러
8: 종동 롤러
10: 급송 카세트
11: 시트재
12: 급송 롤러
13: 반송 롤러 쌍
14: 레지스트 롤러
20: 전방 측판
21: 후방 측판
22: 절결부
23, 24, 25, 26, 27: 지지 부재

Claims (4)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레이저 빔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를 노광하는 노광 수단과,
    서로 대면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판, 제2 측판,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제3 지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폐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과 평행한 평면 상의 폐공간 단면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는 복수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노광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 사이에 제공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제3 지지 부재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서로 연결하는 노광 수단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노광 수단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056591A 2007-06-18 2008-06-17 화상 형성 장치 KR100986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0033A JP5153222B2 (ja) 2007-06-18 2007-06-18 画像形成装置
JPJP-P-2007-00160033 2007-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399A true KR20080111399A (ko) 2008-12-23
KR100986495B1 KR100986495B1 (ko) 2010-10-08

Family

ID=4013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591A KR100986495B1 (ko) 2007-06-18 2008-06-1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77041B2 (ko)
JP (1) JP5153222B2 (ko)
KR (1) KR100986495B1 (ko)
CN (1) CN1013295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2423A (ja) * 2008-07-28 2010-03-1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5353506B2 (ja) * 2009-07-14 2013-11-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98584B2 (ja) * 2012-03-30 2016-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42665B2 (ja) * 2012-07-24 2016-06-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14235267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10052894B2 (en) 2014-06-02 2018-08-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handling system assembly
JP7035386B2 (ja) * 2017-09-05 2022-03-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99838B2 (ja) * 2018-05-31 2023-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7471815B2 (ja) 2019-12-25 2024-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507A (ja) * 1996-12-02 1998-06-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238320A (ja) * 1999-02-18 2000-09-05 Sharp Corp 画像出力装置
JP3728990B2 (ja) * 1999-08-31 2005-12-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08360B2 (ja) * 1999-10-05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154436A (ja) * 1999-11-24 2001-06-08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2091123A (ja) * 2000-07-14 2002-03-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2049197A (ja) * 2000-08-02 2002-02-15 Casio Electronics Co Ltd 画像形成装置の支持構造
JP2002287453A (ja) 2001-03-27 2002-10-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564958B1 (ko) * 2002-09-12 2006-03-30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JP4337467B2 (ja) * 2003-08-13 2009-09-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の検査方法
JP2005067066A (ja) * 2003-08-26 2005-03-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383807B2 (ja) * 2003-08-29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173455A (ja) 2003-12-15 2005-06-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616591B2 (ja) * 2004-07-20 2011-01-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568095B2 (ja) * 2004-11-24 2010-10-2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658650B2 (ja) * 2005-03-17 2011-03-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072380A (ja) * 2005-10-11 2006-03-16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4908894B2 (ja) * 2006-03-30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310232A (ja) 2008-12-25
CN101329531A (zh) 2008-12-24
US20080310879A1 (en) 2008-12-18
JP5153222B2 (ja) 2013-02-27
CN101329531B (zh) 2010-08-18
KR100986495B1 (ko) 2010-10-08
US7877041B2 (en)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495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7832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50589B2 (en) Tandem-type process unit removably loaded in image forming device
JP4683142B2 (ja) 画像形成装置
US8548355B2 (en) Support member for rotary member
CN107407904B (zh) 盒、处理盒和成像装置
JP459604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15588A (ja) 画像形成装置
US8918014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0754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693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60606A (ja) 画像形成装置
US100674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58941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22111A (ja) 現像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119977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ircuit board positioned to minimize damage from drops during shipping
US20230023209A1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frame having metal plates with improved resiliency
JP481797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23440A (ja) 画像形成装置
JP5454093B2 (ja) 露光装置収容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124237A (ja) 画像形成装置
CN114488733A (zh) 发光装置
JP20141195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958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9804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