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102A -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 - Google Patents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102A
KR20080107102A KR1020070054998A KR20070054998A KR20080107102A KR 20080107102 A KR20080107102 A KR 20080107102A KR 1020070054998 A KR1020070054998 A KR 1020070054998A KR 20070054998 A KR20070054998 A KR 20070054998A KR 20080107102 A KR20080107102 A KR 2008010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
juice
pear juice
peppermint oil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7839B1 (ko
Inventor
김경섭
권휘정
Original Assignee
김경섭
권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섭, 권휘정 filed Critical 김경섭
Priority to KR102007005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83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에 관한 것으로, 배즙에 박하향이 첨가되어, 음용 시 배의 영양을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음용 후에 상쾌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은 배를 세척하는 세척 과정과, 세척한 배를 분쇄하는 분쇄 과정과, 분쇄한 배를 압착하여 착즙하는 착즙 과정과, 착즙된 배즙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살균 과정과, 살균된 배즙을 여과하는 여과 과정과, 여과된 배즙에 박하유(Peppermint oil)를 첨가하는 첨가 과정 및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을 포장하는 포장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Manufacturing Method of Pear Juice and Pear Juice Manufacture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여과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박하유의 첨가량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첨가 과정과 포장 과정의 시간차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번호의 설명>
100 : 세척 과정 110 : 분쇄 과정
120 : 착즙 과정 130 : 살균 과정
140 : 여과 과정 150 : 첨가 과정
160 : 포장 과정
본 발명은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에 관한 것이다.
과일 중에서 배는 주로 사계절이 뚜렷한 동북아시아 등지에서 재배되며, 특히 대한민국에서 재배된 배의 향 및 단맛이 매우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배는 기침해소, 이뇨, 소화, 숙취해소 및 갈증해소에 좋은 과일로 알려져 있으며, 고기나 곡물과 같은 산성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체질을 중성으로 유지하는 데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배는 광일의 특성상 그 보존기간이 짧고 또한 보존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하면서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은 배를 즙을 내어 음료로 만드는 배즙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은 배를 세척하는 세척 과정과, 세척한 배를 분쇄하는 분쇄 과정과, 분쇄한 배를 압착하여 착즙하는 착즙 과정과, 착즙된 배즙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살균 과정과, 살균된 배즙을 여과하는 여과 과정과, 여과된 배즙에 박하유(Peppermint oil)를 첨가하는 첨가 과정 및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을 포장하는 포장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살균 과정에서 착즙된 배즙에 생강과 도라지를 더 첨가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생강과 도라지는 슬라이스(Slice) 타입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첨가 과정에서 박하유가 첨가되는 배즙의 온도는 60도(℃)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첨가 과정에서 첨가되는 박하유의 양은 배즙 100kg당 50mg이상 150mg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과 과정에서는 살균된 배즙이 두 개 이상의 메쉬(Mesh) 타입의 여과망을 거쳐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즙음료는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여과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은 세척 과정(100), 분쇄 과정(110), 착즙 과정(120), 살균 과정(130), 여과 과정(140), 첨가 과정(150) 및 포장 과정(160)을 포함한다.
세척 과정(100)에서는 물을 이용하여 준비한 배(Pear)를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 과정(100)에서는 에어(Air)를 배에 분사하여 배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 먼지 등을 일차적으로 제거한 이후에, 스프레이(Spray) 방식으로 물을 배에 분사하여 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분쇄 과정(110)에서는 세척 과정(100)에서 세척한 배를 잘게 분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한 배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껍질과 씨 채로 분쇄할 수 있다.
만약, 세척한 배에서 씨와 껍질을 제거한 이후에 분쇄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씨와 껍질을 제거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이 증가할 수 있고, 또한 그 제조 단가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배를 껍질과 씨 채로 분쇄하게 되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껍질과 씨에 함유된 영양분을 배즙음료에 담을 수 있어서 배즙음료의 영양 성분을 더욱 충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쇄 과정에서 배를 과도하게 큰 크기로 분쇄하는 경우에는 이후의 착즙 과정(120)에서 배의 즙이 원활하게 착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배즙의 착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분쇄 과정(110)에서는 배를 3mm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착즙 과정(120)에서는 분쇄 과정(110)에서 분쇄한 배를 압착하여 착즙한다. 예를 들면, 분쇄한 배를 압착기에 투입하고, 압력을 가하여 분쇄한 배를 압착함으로써 배의 즙을 짤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착 방법으로 배의 즙을 짜게 되면, 배의 향이 살아있게 되고, 또한 배의 영양소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살균 과정(130)에서는 착즙 과정(120)에서 착즙한 배의 즙을 가열하여 살균한다. 예를 들면, 대략 100도(℃)의 온도로 착즙한 배의 즙을 대략 1시간 가열하여 배즙을 살균할 수 있다.
여과 과정(140)에서는 살균 과정(130)에서 살균한 배즙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 과정(140)에서는 도 2와 같이 살균된 배즙이 두 개 이상의 메쉬(Mesh) 타입의 여과망(210, 220)을 거쳐 여과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면, 충분히 맑은 배즙 원액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여과망(210, 220)은 100~150메쉬의 여과망일 수 있다.
만약, 여과 과정(140)에서 여과망을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살균된 배즙에서 불순물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여, 제조된 배즙이 과도하게 탁해질 수 있다.
첨가 과정(150)에서는 여과 과정(140)에서 여과된 배즙에 박하유(Peppermint oil)를 첨가한다.
박하유는 박하의 잎 또는 줄기를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는 정유(精油)로서 무색 또는 담황색의 액체이고, 특유한 향기와 강한 매운 맛을 가지는데, 물에는 녹지 않고, 알코올(Alcohol)에 녹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박하유가 배즙에 첨가되면 배즙의 향이 더욱 깊어질 수 있다. 또한, 배의 향과 더불어 박하의 향이 더 추가됨으로써 음용하는 사람은 배의 향과 더불어 박하의 시원하고 상쾌한 향을 함께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즙에 박하가 더 첨가됨으로써 음용하는 사람은 배의 영양을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목이 상쾌하고 시원해지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용하는 사람의 정신 집중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여과 과정(140) 이후 포장 과정(160) 이전에 박하유를 배즙에 첨가하는 이유의 일례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박하유는 박하의 기름을 농축한 것으로, 박하의 향을 진하게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박하유는 공기 중에 노출된 시간이 길어지면, 그 향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박하유는 끓는점(Boiling Point)이 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주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에서는 보다 쉽게 그 향이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배즙에서 박하향을 충분히 살리기 위해서는 박하유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고, 또한 박하유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최대한 짧아질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배즙의 여과 과정(140) 이후에 배즙의 포장 과정(160) 이전에 박하유를 배즙에 첨가함으로써, 배즙에 박하향이 충분히 가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박하유는 알코올에는 녹지만, 물에는 잘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첨가 과정(150)에서 배즙에 박하유가 잘 녹아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박하유가 첨가되는 배즙의 온도를 충분히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하유가 첨가되는 배즙의 온도는 박하유가 충분히 녹을 수 있을 만큼의 온도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첨가 과정(150)에서 박하유 가 첨가되는 배즙의 온도는 60도(℃)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살균 과정(130)에서 가열한 배즙의 온도가 낮아지기 전에, 여과 과정(140)에서 배즙을 여과하고, 이후 첨가 과정(150)에서 배즙의 온도가 60도(℃) 이하로 낮아지기 이전에 박하유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포장 과정(160)에서는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을 포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을 진공 포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을 진공 포장하게 되면, 배즙에서 박하향이 달아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배즙이 세균에 의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즙의 부패를 더욱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즙의 온도가 대략 60도(℃)이상일 때 배즙을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배즙의 온도가 60도(℃)이상으로 충분히 높은 상태에서 포장하게 되면 배즙에 침투한 세균이 모두 열에 의해 소멸될 수 있고, 또한 세균이 더 이상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즙의 보관 기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살균 과정(130), 여과 과정(140), 첨가 과정(150) 및 포장 과정(160)을 살펴보면, 살균 과정(130)에 가열된 배즙의 온도가 60도(℃)이하로 떨어지기 이전에 포장 과정(160)까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3은 박하유의 첨가량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배즙 100kg을 준비하고, 100kg의 배즙에 첨가되는 박하유의 양을 40mg에서 200mg까지 변경시키면서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의 풍미를 관찰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배즙 100kg에 박하유를 40mg이상 45mg이하로 첨가한 경우 에는 박하유의 첨가량이 미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하향이 매우 미미할 수 있고, 또한 배즙의 음용 시 음용한 사람의 입안에서 배의 단맛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또한 개운함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배즙 100kg에 박하유를 160mg이상 200mg이하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박하유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박하향이 과도하게 진할 수 있고, 또한 배즙의 음용 시 음용한 사람은 박하의 쓴맛을 과도하게 느낄 수 있다.
반면에, 배즙 100kg에 박하유를 50mg이상 150mg이하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박하유의 함유량이 적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즙의 음용 시 음용하는 사람의 입안에서 배의 단맛이 박하향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음용하는 사람은 음용 초기에는 배의 단맛을 한껏 맛볼 수 있고, 이후에는 박하의 상쾌함을 느낄 수 있다.
이상 내용을 고려하면, 첨가 과정(150)에서 첨가되는 박하유의 양은 배즙 100kg당 50mg이상 150mg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 도 4는 첨가 과정과 포장 과정의 시간차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첨가 과정에서 배즙에 박하유가 첨가되는 시점부터 포장 과정에서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이 포장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를 30초에서 15분 까지 변경하면서 배즙에서 박하향을 관찰한다.
도 4를 살펴보면, 배즙에 박하유가 첨가된 시점부터 배즙이 포장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가 30초에서 2분사이인 경우에는 배즙에 박하향이 충분히 남아 있을 수 있어서, 박하향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배즙에 박하유가 첨가된 시점부터 배즙이 포장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가 5분인 경우에는 배즙에서 박하유가 어느 정도 증발될 수 있지만, 이는 미미한 양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박하향은 양호(○)하다.
반면에, 배즙에 박하유가 첨가된 시점부터 배즙이 포장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가 10분 이상인 경우에는 박하유가 첨가된 이후 배즙이 포장되기 이전까지의 기간 동안 상당량의 박하유가 증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장된 배즙에서는 박하향이 미미해질 수 있어서 불량(X)하다.
이상의 내용을 고려하면, 배즙에 박하유가 첨가된 시점부터 5분 이내에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을 포장하는 것이 배즙에서 박하향을 충분히 살릴 수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5a 내지 도 5b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5a를 살펴보면 살균 과정(130)에서 도라지, 생강을 더 첨가하는 과정(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살균 과정(130)에서 배즙을 가열하는 동안 도라지와 생강을 더 첨가하여 배즙에 도라지와 생강의 영양 성분이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라지와 생강이 첨가되면, 음용하는 사람은 배의 영양 뿐만 아니라, 도라지 및 생강의 영양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서 건강에 더욱 유익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도라지와 생강(510)은 도 5b와 같이 슬라이스(Slice) 타입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도라지와 생강(510)을 분쇄하여 첨가한다면, 제조되는 배즙이 더욱 탁해질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와 같이 슬라이스 타입으로 잘라 첨가한다면, 도라지와 생각(510)의 영양 성분은 배즙에 원활히 베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즙이 과도하게 탁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후의 여과 과정(140)에서 용이하게 도라지와 생각(510)이 여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는 배즙에 박하향이 첨가되어, 음용 시 배의 영양을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음용 후에 상쾌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배를 세척하는 세척 과정;
    세척한 배를 분쇄하는 분쇄 과정;
    분쇄한 배를 압착하여 착즙하는 착즙 과정;
    착즙된 배즙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살균 과정;
    살균된 상기 배즙을 여과하는 여과 과정;
    여과된 상기 배즙에 박하유(Peppermint oil)를 첨가하는 첨가 과정; 및
    상기 박하유가 첨가된 배즙을 포장하는 포장 과정;
    을 포함하는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과정에서 상기 착즙된 배즙에 생강과 도라지를 더 첨가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과 도라지는 슬라이스(Slice) 타입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 과정에서 상기 박하유가 첨가되는 상기 배즙의 온도는 60도(℃)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 과정에서 첨가되는 상기 박하유의 양은 상기 배즙 100kg당 50mg이상 150mg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과정에서는 살균된 상기 배즙이 두 개 이상의 메쉬(Mesh) 타입의 여과망을 거쳐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즙음료.
KR1020070054998A 2007-06-05 2007-06-05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 KR100877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98A KR100877839B1 (ko) 2007-06-05 2007-06-05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98A KR100877839B1 (ko) 2007-06-05 2007-06-05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02A true KR20080107102A (ko) 2008-12-10
KR100877839B1 KR100877839B1 (ko) 2009-01-08

Family

ID=4036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998A KR100877839B1 (ko) 2007-06-05 2007-06-05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8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766A (zh) * 2011-12-21 2012-06-13 张群 一种用于治疗咳嗽的中药有效部位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584227A (zh) * 2013-11-21 2014-02-19 芜湖张恒春药业有限公司 一种清咽润肺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29155A (ko) 2016-09-09 2018-03-20 한국식품연구원 무즙 및 배즙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6925A (ko) * 2017-11-17 2019-05-27 좋은영농조합법인 더덕, 맥문동 및 배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836B1 (ko) * 2011-06-20 2011-11-30 맑은세상영농조합법인 맑은 배즙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92395B1 (ko) 2012-08-10 2014-05-07 김영순 어린 배를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배즙
KR102116501B1 (ko) * 2018-05-10 2020-05-28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호박 착즙액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048A (ko) * 1999-10-05 2001-05-07 천경호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040087172A (ko) * 2003-04-04 2004-10-13 (주)한국나주배 기능성 배음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766A (zh) * 2011-12-21 2012-06-13 张群 一种用于治疗咳嗽的中药有效部位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584227A (zh) * 2013-11-21 2014-02-19 芜湖张恒春药业有限公司 一种清咽润肺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29155A (ko) 2016-09-09 2018-03-20 한국식품연구원 무즙 및 배즙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6925A (ko) * 2017-11-17 2019-05-27 좋은영농조합법인 더덕, 맥문동 및 배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839B1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839B1 (ko) 배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즙음료
JP5120616B2 (ja) オリーブ薬膳酒の製造方法
KR101671909B1 (ko) 율피를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0868A (ko) 국밥용 농축 육수 제조방법
KR101163507B1 (ko) 과실즙의 제조방법
KR100881702B1 (ko) 단감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CN108541855A (zh) 一种百香果果皮浆液的制备方法和百香果果皮饮料
CN103156245B (zh) 一种含白木香茶菌凝胶的解酒饮品的制作方法
KR20180080595A (ko) 아로니아과즙의 떫은맛을 제거한 건강과즙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6359831A (zh) 一种多风味百香果果砂冰及其制备工艺
JP2003274911A (ja) グァバ茶、羅漢果のエキス入り健康茶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437829B1 (ko) 생강시럽 제조방법
KR100986003B1 (ko) 무를 재료로 한 음료수의 제조방법
KR20080006285A (ko) 대추야자 음료
CN1290495A (zh) 杨梅制品及其制造工艺
KR101103035B1 (ko) 흑마늘과 천년초를 이용한 식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34510B1 (ko) 과채류의 주스 제조방법
KR20100118223A (ko) 배추뿌리 과립 및 그 제조방법
CN103393197A (zh) 大蒜保健饮料及制备方法
CN104207242A (zh) 甜橙、椰子复合果汁及制备方法
KR102393429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매실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실음료
KR100249281B1 (ko)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KR101789260B1 (ko) 나한과와 오미자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JP6232639B2 (ja) 種子酢の製造方法および種子酢を含む食酢飲料
KR102601021B1 (ko) 과일주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