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353A - 성형체의 표면코팅 - Google Patents

성형체의 표면코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353A
KR20080106353A KR1020087025137A KR20087025137A KR20080106353A KR 20080106353 A KR20080106353 A KR 20080106353A KR 1020087025137 A KR1020087025137 A KR 1020087025137A KR 20087025137 A KR20087025137 A KR 20087025137A KR 20080106353 A KR20080106353 A KR 2008010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terial
coating
acid
weight
acry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트마르 보텔러
볼프강 노보트니
죄르그 젠트코
Original Assignee
보텔러 라크파브리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0197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10635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보텔러 라크파브리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텔러 라크파브리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10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35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0Phosphorus bound to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97Phosphine 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산업의 몰드내코팅(IMC) 공정의 사용을 위한 성형체의 표면코팅에 관한 것으로, 표면코팅은 요구되는 제품 특성을 얻기 위한 적어도 40중량퍼센트의 하나 이상의 수지성분과, 60중량퍼센트에 이르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희석제와, 0.3% 내지 1.5중량퍼센트의 자외선 개시제를 포함하며, 표면코팅의 점도는 공정온도에서 500 내지 2500mPa.s 사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 하에서 몰드내코팅(IMC) 기계 내에서 목질 성형체의 코팅을 위한 표면코팅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성형체의 표면코팅 {SURFACE COATING FOR MOULDED ARTICLES}
본 발명은 성형체의 표면코팅용 도장물질에 관한 것이다.
코팅된 성형체, 예를 들어, 목재(wood), 목재기반물질(wood-based material), 플라스틱, 섬유복합물질(fiber composite material)(MDF, HDF, WPC)로 구성되는 코팅된 성형체들은 주로 자동차의 인테리어 트림(trim)에 사용된다. 특히, 입체부품 또는 베니어(veneered)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는 목질 성형체들이 이들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투명 도장물질(varnish) 또는 수지층(resin layer)이 주로 광택면(glossy surface)의 내구성(hard-wearing) 및 스크래치 방지를 위하여 목질 성형체의 가시부(visible side)에 도포된다.
이러한 수지/도장물질 층의 특성에 대한 자동차 산업의 요구가 높다.
경화된(cured) 도장물질 필름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의 방출은 주문자상표에 의한 제품제조(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에 관한 자동차 산업의 대응규격(예를 들면, 다임러클라이슬러(DaimlerChrysler)의 경우 100 ppm VOC (90°C) 미만, 80 ppm FOG (120°C) 미만, 테스트 방법, 예를 들어, VDA 278 (열탈착분석(thermal desorption analysis)), 또는, 예를 들어, BMW 또는 VW의 대응규격)에 만족하여야 한다.
DIN EN ISO 14577 (힘의 증가 0.1~1000 mN, t=60 s)을 바탕으로 결정되는 표면경도(미세경도, 마르텐스 경도(Martens hardness))는 80 내지 140 N/mm2 이어야 하며, 이 범위 내에서 문제없는 그라인딩, 연마(polishing) 및 밀링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코팅은 스크래치 저항성이 있어야 한다. 즉, 스크래치 저항(크로크미터 테스트(crockmeter test) 또는 내손상성 테스트(mar resistance test))에 대한 대응하는 자동차규격을 만족하여야 한다. 다임러클라이슬러의 경우, 내손상성은 9 뉴튼(newton)을 초과하여야 하며, 크로크미터 테스트에서 100 더블 스트로크를 초과하여야 한다.
경화된 도장물질에 관한 추가적인 요구는 황변현상(yellowing)의 정도 및 자외선 안정성(UV stability)이다. 경화된 도장물질 필름의 황변현상의 정도는, 자동차 산업에서 특정된 열적사이클(thermal cycling), 고온에서의 보관, 대기조건에서의 보관 등과 같은 대응하는 테스트에 따라, 적어도 레벨 4에 대응하는 그레이 스케일이 요구되는 ISO 105-A02에 따른 그레이 스케일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자외선 안정성에 관하여, 도장물질 및 코팅된 기질은, 광에 대한 적절한 노출 후, 자동차 제조자들에게 요구되는 규격을 사용하여 변색(color changes)이 테스트되며, 적어도 레벨 4에 대응하는 그레이 스케일이 요구되는 ISO 105-A02에 따른 그레이 스케일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도장물질이 몰드내코팅(in-mold coating)에 의하여 도포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이형제(release agent)없이, 몰드면(mold surface)으로부터의 코팅된 그리고 경화된 물질의 우수한 탈형성(demoldability)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또 다른 중요한 기준(criterion)은, 경화 후 또는 응력(열, 광에 대한 노출, 기후) 대응 후의 도장물질 필름, 즉, 경화된 도장물질 필름의 투명도가 어떠한 탁함(haze)를 가지지 않아야 하고, 비하중(load free) 참조부품(reference part)(배달된 상태)와 비교할 때 명백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주조물질(casting material)은 절대적으로 구성요소의 뒤틀림변형(warpage)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능한 적은 수축을 가져야 한다. 물론, 자동차의 충돌의 경우 도장물질 입자가 분리되거나 떼어지지 않아야 한다. 즉, 입자의 날림(flying)이 없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장물질은 코팅될 면에 분사되거나 도포된다. 또한, 코팅물질이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미국공개특허 US2004/0152799 A1 는 사출성형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기타 열가소성물질(thermoplastics)의 임프린팅 또는 코팅을 제공하는 유연성 있는 방사선 경화성 조성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수지성분 및 반응성 희석제로 구성되는 조성은 복합층 프린팅에 의하여, 즉, 다수의 얇은 층이 연속되도록, 플라스틱 물질에 도포된다. 얇은 층의 열가소성물질의 임프린팅용으로 제공하는 이러한 자외선 경화성(UV-curable) 조성은 모두 적어도 4중량퍼센트(% by weight)의 비율의 자외선 개시제(UV initiator)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층들의 두께는 약 5 내지 25μm이다. 코팅될 물질에 따라, 열가소성물질은 표면에너지 및 접착력의 차이, 수분흡수율, 수축량 및 팽창거동과 내용매성(solvent resistance)에서의 큰 차이로 인하여 목재와 완전히 다르다.
또한, 목질 성형체가 몰드내코팅(in-mold coating, IMC)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하여, 목질 성형체가 목질 성형체의 코팅될 면과 몰드부품의 벽과의 사이에 액체표면코팅물질이 주입되는 갭이 형성된 상태에서, 몰드부품의 캐비티 내에 배치된다. 몰드의 주입에 의하여, 공기 또는 선택적인 다른 가스 또는 혼합가스가 갭으로부터 배제된다. 캐비티의 내부에 존재하는 코팅물질은 대기와의 접촉에 대응하여 몰드내를 실질적으로 밀폐한다. 그리고, 코팅물질의 표면은, 독일특허 DE 43 20 893 C1 및 DE 199 61 992 A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자외선 방사가 사용될 수 있는 갭의 내부에서 경화된다. 이를 위하여, 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코팅되는 면의 영역이 자외선 방사에 투명하도록 형성된다. 생성된 도장물질 층의 두께에 대응하는 갭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300μm ~ 1000μm이다.
몰드내코팅에서, 전체층은 단일 동작으로 도포된다.
자외선 경화 코팅물질은 수지성분 및 자외선 개시제(UV initiator)로 구성된다.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자외선 개시제는 더 이상의 조사가 없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연쇄반응(chain reaction)을 개시하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을 형성한다. 자외선 방사에 의하여 활성화된 코팅물질의 표면은, 적어도 표면층과 함께 제공되는 인테리어 트림부가 몰드부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다루어질 수 있는 범위로, 몰드 내에서 수분, 예를 들어 3분 이내에 경화될 수 있다.
완전한 경화는 선택적인 자외선 또는 전자 조사(electron irradiation)에 의하여 몰드 내에서 또는 몰드의 외측에서 달성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적어도 300 mPa.s 미만의 점도를 갖는 자외선 경화 스프레이 또는 캐스팅 도장물질을 제시한다. 이러한 자외선 경화성 도장물질로 모두에 대하여 수행되는 어떠한 교차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 자외선 도장물질은, 도포된 층의 두께에 의존하여, 적어도 2 중량퍼센트의 자외선 개시제 함량을 가진다.
출원인의 전제로 한 내부적인 연구에서, 몰드내코팅(IMC) 공정의 몰드 내에서의 목질 성형체의 코팅을 위하여 이러한 조성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자외선 조사 후 상당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방출이 관찰되었고, 몇몇의 케이스에서는 도장물질이 황변화(yellow)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도장물질 층 전체의 경화가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갭의 폭이 약 300 ~ 1000μm, 바람직하게는, 700 ~ 900μm인 경우의 IMC(몰드내코팅)몰드 내에서 자외선 조사에 노출되는 몰드내코팅(IMC) 공정을 통하여 목질 성형체를 코팅하기 위한, 전체적으로 충분히 경화되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방출이 가능한 낮은, 자외선 경화성 도장물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물론, 이러한 도장물질은 자동차 산업의 다른 요구에 또한 만족하여야 하며, 특히, 투명하여야 하고, 크랙 저항성이 있어야 하며, 표면 스크래치 저항성을 가져야 하고, 매우 낮은 황변화 경향을 보여야 한다.
의외로, IMC(몰드내코팅)몰드 내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전체의 충분한 경화는 조성에서의 자외선 개시제의 비율을 1.5중량퍼센트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성 도장물질은 요구되는 생산품의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40중량퍼센트의 하나 이상의 수지성분을 가지며, 60중량퍼센트에 이르는(up to 60% by weight) 하나 이상의 반응성 희석제 및 0.3 ~ 1.5중량퍼센트의 자외선 개시제를 갖는다.
수지성분은 불포화된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아크릴레이트(acrylate) 또는 메타크릴레이트(metacrylate) 프레폴리머(prepolymer) 또는 올리고머(oligomer),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polyurethan-polyester) 프레폴리머(prepolymer)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말레산(male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메사콘산(mesaconic acid), 시트라콘산(citraconic acid), 이타콘산(itaconic acid), 오소프탈산(o-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tetrahydrophthalic acid), 아디핀산(adip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및/또는 세바식산(sebacic acid) 또는 그들의 무수물(anhydrides)을 기반으로 한다.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는 자외선 반응성 및/또는 전자빔 경화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올(polyol)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 컴파운드류의 혼합된 프레폴리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수지타입(들)은 경화된 도장물질이 만족하는 요구에 따라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지성분의 비율 또는 도장물질내의 조성성분은 45내지 90중량퍼센트이고, -각 수지성분 및 반응성 희석제에 의존하여-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내지 70중량퍼센트이다.
반응성 희석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스티렌(styrene) 또는 비닐톨루엔(vinyltoluene)과 같은 비닐모노머(vinylic monomers)와, 예를 들어, 핵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exandiol diacrylate), 하이드록시메틸레틸 아크릴레이트(hydroxymethyleth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2-(하이드록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methyl) methacrylate),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butanediol dimethacrylate),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및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isobornyl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단작용기(monofunctional), 이작용기(bifunctional) 및 다작용기(polyfunctional)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대표 반응 희석제의 선택은 각 수지 조성성분 및 요구되는 제품의 특성에 의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알파 하이드록시케톤(α-hydroxyketones), 벤조페논(benzophenone),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s), 벤질 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ketals), 알파 아미노케톤(α-aminoketones), 모노아실포스핀(monoacylphosphines (MAPO)), 바이사실포스핀(bisacylphosphines (BAPO)) 및 포스핀 옥사이드(phosphine oxides)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자외선 개시제(UV initi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지내에서의 자외선 개시제의 비율은 1.2중량퍼센트 미만이며, 특히, 0.5내지 1.0중량퍼센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물질은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s), HALS(장애아민광안정제,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나노입자(nanoparticles)를 바탕으로 한 첨가제, 방염재료(flameproofing agents), 계면활성제 및 내부윤활제(internal lubricants)등과 같은 일반적인 도장물질 첨가제를 바람직하게는 0내지 3중량퍼센트의 비율(나노입자 및 방염재료의 경우에는 30중량퍼센트에 이르는 비율이 가능하다)포함할 수 있다.
몰드내코팅(IMC) 공정에 의한 처리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장물질의 20°C에서의 점도는 500내지 2500 mPa.s (DIN 53019에 따라 측정)이다. 몰드내코팅(IMC) 공정이 도장물질의 상승된 온도(물론 온도는 도장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공정온도에서의 점도는 500내지 2500mPa.s 이다. 바람직하게는 도장물질의 20°C 또는 몰드내코팅(IMC)유닛 내의 공정온도에서의 점도는 700내지 1000mPa.s 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요구되는 제품의 특성을 달성하기 위한 적어도 40중량퍼센트의 하나 이상의 수지성분과, 60중량퍼센트에 달하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희석제로 구성되고, 공정온도에서의 점도가 500내지 2500mPa.s 인 도장물질은 전자 조사(electron irradiation)의 방법으로 경화를 얻을 수 있는 몰드내코팅(IMC) 공정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우 자외선 개시제는 요구되지 않는다. 전자빔 경화 도장물질의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자동차 산업의 규격에 만족되며, 도장물질은 적어도 80 N/mm2의 경도를 가지며,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방출은 제조자의 제한의 아래이다. 내손상성(mar resistance)은 9N 를 초과하며, 크로크미터 테스트(crockmeter test)에서 100 더블 스트로크를 초과한다. 황변현상의 정도와 자외선 안정성(UV stability)에 대해서는, 적어도 레벨 4의 그레이 스케일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조성예 및 비교실험과 관련하여 아래에 자세히 설명된다.
제1조성예
중합성 성분(polymerizable substance)의 98.9%: 높은 탄력성(resilient) 및 점탄성(viscoplastic)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체 혼합물의 69.0중량퍼센트와 반응성 희석제로서의 스티렌(styrene)의 31중량퍼센트로 구성된 중합성 성분
MAPO 타입의 자외선 개시제의 1.1%
제2조성예
높은 탄력성 및 점탄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체(69%) 및 반응성 희석제(스티렌)의 31%의 혼합물로 구성된 중합성 성분의 99.11%
MAPO 타입의 자외선 개시제의 0.17중량퍼센트
BAPO 타입의 자외선 개시제의 0.72중량퍼센트
제3조성예
중합성 성분의 99.4%: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49.4% 와 HDDA(핵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exanediol diacrylate)), HEMA(하이드록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ene methacrylate)),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및 트리프로필렌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 diacrylate)로 구성된 반응성 희석제 혼합물의 50.6%로 구성된 중합성 성분
MAPO 타입의 자외선 개시제의 0.4중량퍼센트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 타입의 자외선 개시제의 0.2중량퍼센트
예를 들어, Ciba Specialty Chemicals의 Irgacure TPO는 MAPO 타입의 자외선 개시제로서 적합하고, 예들 들어, Ciba Specialty Chemicals의 Irgacure 819는 BAPO 타입의 자외선 개시제로서 적합하며, Ciba Specialty Chemicals의 Darocur MBF는 페닐 글리옥실레이트 타입의 자외선 개시제로서 적합하다.
표 1은 또 다른 조성들의 예 및 몰드내코팅(IMC) 유닛에서 도장물질의 코팅 및 자외선 경화 후 얻은 측정결과를 열거한 것이다.
모든 비교실험 A 내지 R은 표면경도, 방출값 및 개시제의 양 및 타입의 기능에 따른 코팅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일한 자외선 수지혼합물로 수행되었다.
제1타입의 자외선 개시제는 MAPO 타입이었고, 제2타입의 자외선 개시제는 BAPO 타입이었으며, 제3타입의 자외선 개시제는 포스핀 옥사이드(phosphine oxide) 타입이었다.
코팅결과의 평가는 스크래치 저항성, 외관, 황변현상의 정도, 탈형성(demoldability) 및 가능한 버블현상(bubble formation)을 정성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실험의 결과는, 몰드내코팅(IMC) 유닛 내에서 단일코팅공정으로 약 800μm 의 두꺼운 층에 도포된 도장층의 경우,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2.5중량퍼센트의 높은 자외선 개시제 함량 및 0.3중량퍼센트의 매우 낮은 자외선 개시제 함량에서는 높은 방출이 이루어지나, 0.3 내지 1.5중량퍼센트, 특히, 0.5 내지 1중량퍼센트의 개시제 함량에서 매우 우수한 코팅결과 및 낮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방출 및 우수한 표면경도를 얻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08071710255-PCT00001

Claims (13)

  1. 몰드내코팅(IMC) 공정에 사용되고;
    요구되는 제품의 특성을 얻기 위한 적어도 40중량퍼센트(% by weight)의 하나 이상의 수지성분(resin component)과, 60중량퍼센트에 이르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희석제(reactive diluents)와, 0.3 내지 1.5중량퍼센트의 자외선 개시제(UV initiator)를 포함하며;
    공정온도(processing temperature)에서 점도가 500 내지 2500mPa.s 인;
    특히, 자동차 산업용 성형체의 표면코팅용 도장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분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프레폴리머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말레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오소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아디핀산, 숙신산 및/또는 세바식산 또는 그들의 무수물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는, 자외선 반응성 및/또는 전자빔 경화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 컴파운드류의 요구되는 프레폴리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비닐모노머와 단작용기, 이작용기 및 다작용기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특히, 스티렌, 비닐톨루엔, 핵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메틸레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개시제는, 알파 하이드록시케톤, 벤조페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 벤질 디메틸 케탈, 알파 아미노케톤, 모노아실포스핀(MAPO), 바이사실포스핀(BAPO) 및 포스핀 옥사이드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개시제의 비율은 1.2중량퍼센트 미만이며, 특히 0.5 내지 1.0중량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몰드 내에서 성형체에 도포된 도장물질층의 자외선 조사 및 경화 후, 표면경도는 적어도 80N/mm2 (힘의 증가 0.1~1000mN, t=60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몰드 내에서 성형체에 도포된 도장물질층의 자외선 조사 및 경화 후, 내손상성(mar resistance)은 9N 초과 및/또는 크로크미터 테스트(crockmeter test)에서 100 더블 스트로크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화된 도장물질필름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방출은 100ppm VOC (90°C 에서) 미만 및/또는 80ppm FOG (120°C 에서)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질.
  11. 몰드내코팅 유닛 내에서 자외선 조사로 목질 성형체(shaped wood articles)의 코팅을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도장물질의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단일 동작(single operation)으로 300 내지 1000μm 의 층 두께를 갖는 코팅 제품을 위한 도장물질의 용도.
  13. 몰드내코팅(IMC) 공정에 사용되고;
    전자 조사(electron irradiation)에 의하여 경화가 수행되며;
    요구되는 제품의 특성을 얻기 위한 적어도 40중량퍼센트의 하나 이상의 수지성분(resin component)과, 60중량퍼센트에 이르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희석제(reactive diluents)를 포함하며;
    공정온도(processing temperature)에서 점도가 500 내지 2500mPa.s 인;
    특히, 자동차 산업용 성형체의 표면코팅용 도장물질.
KR1020087025137A 2006-03-15 2007-03-14 성형체의 표면코팅 KR20080106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2274A DE102006012274A1 (de) 2006-03-15 2006-03-15 Lack zur Oberflächenbeschichtung von Formteilen
DE102006012274.7 2006-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353A true KR20080106353A (ko) 2008-12-04

Family

ID=3801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137A KR20080106353A (ko) 2006-03-15 2007-03-14 성형체의 표면코팅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227698A1 (ko)
EP (1) EP1888701B2 (ko)
JP (1) JP5133907B2 (ko)
KR (1) KR20080106353A (ko)
AT (1) ATE432968T1 (ko)
DE (2) DE102006012274A1 (ko)
ES (1) ES2327184T5 (ko)
MX (1) MX2008011741A (ko)
SI (1) SI1888701T2 (ko)
WO (1) WO2007104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456A1 (de) * 2007-07-20 2009-01-22 Evonik Röhm Gmbh Beschichtungsformulierung mit verbesserter Metallhaftung
DE102007051482A1 (de) * 2007-10-25 2009-04-30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eten Formkörpern
DE102008010346B4 (de) * 2008-02-14 2019-05-09 Karl Wörwag Lack- Und Farbenfabrik Gmbh & Co. Kg UV-härtbare Zusammensetzung, ihre Verwendung als Beschichtungsmittel und Verfahren zur Lackierung von Fahrzeugachsen
JP5253200B2 (ja) * 2009-01-22 2013-07-31 大日本塗料株式会社 型内被覆組成物及び型内被覆成形体
JP2012521469A (ja) * 2009-03-25 2012-09-13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
DE102011001905A1 (de) 2011-03-30 2012-10-04 Firma Votteler Lackfabrik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schichtung von dreidimensional verformten Bauteilen
DE102014015648B4 (de) * 2014-10-24 2016-09-01 Grammer Ag Verfahren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Bauteil
ES2715451T3 (es) 2015-06-03 2019-06-04 Weidplas Gmbh Componente
CN109852201A (zh) * 2018-12-29 2019-06-07 东莞市图创智能制造有限公司 数码喷墨烫金用光油及其制备方法
EP4164878A1 (en) * 2020-06-15 2023-04-19 Fritz Kohl GmbH & Co. KG Wood composite block, translucent wood vene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2017570A1 (en) 2020-07-20 2022-01-27 Bodotex International A/S Uv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s comprising reactive dilu-ent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9022A (en) 1970-02-05 1972-10-17 Reichhold Albert Chemie Ag Photopolymerizable unsaturated polyesters containing benzoin-ether,organic acid ester,organic phosphine initiators
DE2426602B2 (de) 1973-07-13 1977-03-24 Hoechst Ag, 6000 Frankfurt Durch uv-bestrahlung aushaertbare ueberzugs-, spachtel- oder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lufttrocknenden ungesaettigten polyesterharzen
US4188472A (en) * 1978-10-06 1980-02-12 Ppg Industries, Inc. Curable lactone derived resins
JPS63227307A (ja) * 1987-03-17 1988-09-21 Toyo Ink Mfg Co Ltd プラスチツク成型品に塗膜を形成する方法
JPH03247672A (ja) * 1990-02-26 1991-11-05 Nippon Oil & Fats Co Ltd 紫外線硬化型被覆組成物及び紫外線硬化塗膜の作成方法
DE4007519A1 (de) * 1990-03-09 1991-09-12 Rheydt Kabelwerk Ag Durch uv-strahlen haertbare farbgebende harzmischung
JPH04353570A (ja) * 1991-05-31 1992-12-08 Asai Bussan Kk 防曇性樹脂組成物、防曇性成形体および防曇方法
JP2688129B2 (ja) * 1991-07-17 1997-12-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被覆用シート
JP3334189B2 (ja) 1991-10-25 2002-10-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紫外線硬化性組成物、該硬化性組成物を用いるコート層を有する成形品、その製造方法、及び該硬化性組成物を用いる接着方法
JP3182661B2 (ja) 1992-02-26 2001-07-0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被覆材組成物
GB9410867D0 (en) * 1994-05-31 1994-07-20 Ucb Sa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JP3377301B2 (ja) 1994-06-27 2003-02-1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熱可塑性ノルボルネン系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71345A (ja) * 1999-09-03 2001-03-21 Yamakyu Tokushu Glass Kogyo Kk インモールドコーティング方法
DE19961992A1 (de) * 1999-12-22 2001-07-05 Behr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schichtung eines Innenausbauteiles für Kraftfahrzeuge
DE10027670A1 (de) * 2000-06-03 2001-12-13 Votteler Lackfabrik Gmbh & Co Durch UV-Strahlung härtbare Beschichtungsmitte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Überzügen aus diesen Beschichtungsmitteln und deren Verwendung
US6841589B2 (en) * 2001-10-03 2005-01-11 3D Systems, Inc. Ultra-violet light curable hot melt composition
JP2003137943A (ja) * 2001-11-05 2003-05-14 Dainippon Toryo Co Ltd 型内被覆組成物及び型内被覆成形品の製造方法
DE10233521A1 (de) * 2002-07-23 2004-02-05 Basf Ag Strahlungshärtbare Lacksysteme mit tieftemperaturelastischer Unterschicht
DE10260067A1 (de) * 2002-12-19 2004-07-01 Röhm GmbH & Co. KG Beschichtungsmittel zur Herstellung von umformbaren Kratzfestbeschichtungen mit schmutzabweisender Wirkung, kratzfeste umformbare schmutzabweisende Formkörper sowie Verfahrn zu deren Herstellung
US20040152799A1 (en) * 2003-01-31 2004-08-05 Miller Christopher Wayne Flexible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JP4496424B2 (ja) * 2003-02-10 2010-07-07 株式会社シード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紫外線硬化性ハードコート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層の形成方法
EP1609538B1 (en) * 2003-03-05 2007-07-25 Tokuyama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d body
JP2006526046A (ja) * 2003-05-08 2006-11-16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サザン ミシシッピ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反応性希釈剤
JP4274538B2 (ja) * 2003-09-02 2009-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型内被覆透明成形体
JP4780912B2 (ja) * 2003-12-10 2011-09-28 日本ビー・ケミカル株式会社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基材のインモールドコート用塗料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DE102004031759A1 (de) * 2004-07-01 2006-01-26 Degussa Ag Strahlungshärtbare, haftungsverbessernde Zusammensetzung aus ungesättigten, amorphen Polyestern und Reaktivverdünnern
DE102004043538A1 (de) * 2004-09-09 2006-03-16 Bayer Materialscience Ag Herstellung von neuen strahlenhärtenden Bindemittel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8011741A (es) 2008-11-04
US20090227698A1 (en) 2009-09-10
EP1888701A1 (de) 2008-02-20
EP1888701B2 (de) 2012-08-15
JP5133907B2 (ja) 2013-01-30
WO2007104548A1 (de) 2007-09-20
EP1888701B1 (de) 2009-06-03
DE502007000818D1 (de) 2009-07-16
SI1888701T1 (sl) 2009-10-31
JP2009529595A (ja) 2009-08-20
ES2327184T3 (es) 2009-10-26
SI1888701T2 (sl) 2012-10-30
DE102006012274A1 (de) 2007-09-20
ES2327184T5 (es) 2012-11-29
ATE432968T1 (de)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6353A (ko) 성형체의 표면코팅
EP1299218B1 (en) Method for in-mold coating a polyolefin article
KR101127932B1 (ko) 자외선 경화도료 수지 및 조성물, 및 그 코팅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렌즈
US11174393B2 (en) Radiation-curable coating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surface properties of plastics
CN102498164B (zh) 包括含丙烯酸酯涂层的多层产品
KR101540657B1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KR20100114542A (ko) 플라스틱 기재용 도료 조성물, 그것에 의해 형성된 도막 및 그 형성체
JP5065036B2 (ja) 特に自動車の構築に使用される成形部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この目的で適切な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シート
MX2015003537A (es) Procedimiento de produccion de una pieza moldeada hecha de plastico y provista de una pintura curada con uv y dicha pieza moldeada.
JP6847197B2 (ja) 樹脂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2042800B1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20190092582A (ko)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493359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와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데코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23815B1 (ko) 코팅을 지닌 필름을 생산하는 방법, 이러한 방식으로수득된 필름, 및 특히 자동차 구조물에 사용하는 몰딩된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이의 용도
JP2004277725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光硬化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の製造方法
JPH06128502A (ja) 被覆材組成物
CN114867588A (zh) 生产结构化且任选涂敷的制品的方法以及由所述方法得到的制品
KR102598251B1 (ko) 지문오염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항균 방염 목재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EP3922657A1 (en) Uv-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vacuum forming and replica film of real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WO2004035697A1 (en) Coating for providing a tactile surface to molded articles
WO2004085549A2 (en) Optical quality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