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436A -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436A
KR20080100436A KR1020087020827A KR20087020827A KR20080100436A KR 20080100436 A KR20080100436 A KR 20080100436A KR 1020087020827 A KR1020087020827 A KR 1020087020827A KR 20087020827 A KR20087020827 A KR 20087020827A KR 20080100436 A KR20080100436 A KR 2008010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support
opening
cover part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588B1 (ko
Inventor
요오조오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Abstract

통기 부재(1)는, 지지체(2), 통기막(10) 및 커버 부품(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2)는 하우징(50)과의 접속부가 되는 저면부(4)와, 통기막(10)을 설치하는 측면부(5)를 갖는다. 저면부(4)에 제1 개구(4h)가 형성되고, 측면부(5)에 제2 개구(5h)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막(10)은 제2 개구(5h)를 막도록 측면부(5)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품(3)은 지지체(2)를 내측으로 끼워 넣은 조립 상태에 있어서, 지지체(2)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통 형상 측벽부(3b)를 갖는다. 제2 개구(5h)는, 통기막(10)이 통 형상 측벽부(3b)와 대향하여 보호되도록 지지체(2)의 측면부(5)에 있어서의 형성 위치가 조정되고 있다.
통기 부재, 지지체, 통기막, 커버 부품, 저면부

Description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VENTILATION MEMBER AND VENTI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장착하는 통기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통기 부재를 이용한 통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램프, 모터, 센서, ECU 등의 자동차의 전장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의 통기를 확보하는 기능, 온도 변화에 따른 하우징 내의 압력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기능 및 하우징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을 가진 통기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통기 부재의 일례가, 일본 특허 공개2001-143524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평10-855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2001-1435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통기 부재(60)는 도12a 및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을 구비하는 통 형상의 커버 부품(61)과, 고무제의 통 형상체(62)와, 통기막(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체(62)는 커버 부품(61)보다도 약간 소경이며, 이 통 형상체(62)의 한쪽의 개구를 막도록 통기막(63)이 배치된다. 통 형상체(62)를 통기막(63)측으로부터 커버 부품(61)의 내측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커버 부품(61)의 내주면과 통 형상체(62)의 외주면 사이 및 커버 부품(61)의 저면과 통기막(63) 사이에 통기 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50)에 형성된 통 형상 개구부(50a)를 통 형상체(62)에 삽입함으로 써 이러한 통기 부재(60)를 하우징(50)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소형이면서 충분한 통기 성능을 갖고, 게다가 물방울이나 진개 등의 이물질에 대한 내구성에도 우수한 통기 부재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2001-143524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평10-855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통기 부재의 통기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으로서, 통 형상체의 개구 면적을 확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도12a나 도12b로부터 바로 이해할 수 있듯이 통 형상체의 개구 면적을 확대하면 통기 부재가 전체적으로 대형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 충분한 통기 성능을 갖고, 게다가 물방울이나 진개 등의 이물질에 대한 내구성에도 우수한 통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그러한 통기 부재를 이용한 통기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통기를 행해야 할 하우징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하우징의 내외의 통기 경로가 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가 형성된 저면부와, 동일하게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개구가 형성된 측면부를 갖고, 제1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부가 하우징에 접속되어야 할 접속부로 되는 지지체와,
제2 개구를 막도록 지지체의 측면부에 설치된 통기막과,
저면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지지체가 내측으로 끼워 넣어지는 커버 부품을 구비하고,
커버 부품의 내측으로 지지체를 끼워 넣을 때의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정의했을 때 커버 부품의 내측으로 지지체를 끼워 넣은 조립 상태에 있어서,
커버 부품은 지지체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통 형상 측벽부와, 통 형상 측벽부의 일단측에 연결되어 저면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지지체를 덮는 천정부를 갖고,
통기막이 통 형상 측벽부와 대향하여 보호되도록 축방향에 관한 통 형상 측벽부의 길이가 조정되며,
커버 부품의 천정부와 지지체 사이에는 통기 경로로서 기능하는 제1 간극이 형성되고, 커버 부품의 통 형상 측벽부와 통기막 사이에는 제1 간극과 연통된 제2 간극이 형성되고, 그 제2 간극이 커버 부품의 천정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외부로 통해 있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는 커버 부품의 통 형상 측벽부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되도록 통기막을 지지체의 측면부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체의 대폭적인 치수 확대를 수반하는 일 없이, 통기막으로 덮어야 할 제2 개구의 개구 면적, 즉 통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품 내에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에도 커버 부품의 통 형상 측벽부에는 이물질이 비교적 체류하기 어렵다. 이것에 인하여, 커버 부품의 통 형상 측벽부와 통기막이 대향하도록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통기막에 이물질이 부착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소형이면서 높은 통기 성능을 갖고, 또한 물방울이나 진개 등의 이물질에 대한 내구성에도 우수하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주요부의 축방향에 관한 투영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8은 도5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주요부의 축방향 투영도이다.
도9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를 이용한 다른 통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의 A-A 단면도이다.
도11은 도9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의 B-B 단면도이다.
도12a는 종래의 통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b는 도12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하우징에 통기 부재를 설치한 상태, 즉 통기 구조의 A-A 단면도이다. 도3은 동일하게 B-B 단면도이다. 도2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 경로를 두꺼운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 다(도6, 도10도 마찬가지이다).
통기 부재(1)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장 부품의 하우징(50)의 개구부(50a)에 설치되고, 하우징(50) 내외의 통기를 행하기 위한 통기 구조(100)를 구성한다. 하우징(50)의 개구부(50a)는 당해 하우징(50)의 외부를 향해서 볼록한 노즐 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이 노즐 형상의 개구부(50a)를 통기 부재(1)에 삽입하여 하우징(50)에 통기 부재(1)를 고정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1)는 지지체(2), 통기막(10) 및 커버 부품(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2)는, 리브(9)를 제외한 본체 부분이 전체적으로 대략 기둥 형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커버 부품(3)은, 그 원기둥 형상의 지지체(2)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원통 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이들 지지체(2)와 커버 부품(3)은 축선(O)을 공유하는 동축의 배치로 되어 있다. 커버 부품(3)의 내측으로 지지체(2)를 끼워 넣을 때의 끼워 넣기 방향은 이 축선(O)에 평행한 방향이며, 이후 이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가 위치하는 측을 축방향의 상측, 이것과 반대측을 축방향의 하측이라고 정의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품(3)은 천정부(3c) 및 통 형상 측벽부(3b)로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 측벽부(3b)는 직경이 대략 일정하여, 지지체(2)를 커버 부품(3)의 내측으로 끼워 넣은 조립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 및 통기막(10)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 통기막(10)을 물방울이나 진개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천정부(3c)는 통 형상 측벽부(3b)의 일단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며, 지지체(2)를 축방향의 상측으로부터 덮는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는 하우징(50) 내외의 통기 경로가 되는 공간(SH0)이 내부에 형성된 중공 형태를 이루고, 그 내부의 공간(SH0)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4h)가 형성된 저면부(4)와, 동일하게 공간(SH0)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개구(5h)가 형성된 측면부(5)와, 저면부(4)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정부(頂部)(6)와, 측면부(5)를 따라 축방향의 상하로 연장되는 리브(9)를 포함한다. 저면부(4)는 하우징(50)의 개구부(50a)에 접속되는 접속부의 역할을 갖는다. 리브(9)는 지지체(2)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리브(9, 9)끼리의 사이에 제2 개구(5h)가 형성되어 있고, 리브(9)와 제2 개구(5h)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통기막(10)은 개개의 제2 개구(5h)를 막도록 측면부(5)에 설치되어 있다. 측면부(5)에 설치된 통기막(10)의 기체 투과 작용에 의해 하우징(50) 내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과 동등하게 유지된다.
도2,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는 지지체(2)의 측면부(5)에 설치된 통기막(10)에 대향하여 이것을 보호하도록 축방향에 관한 길이가 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 형상 측벽부(3b)의 하단(3t)이 통기막(10)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리브(9)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와 지지체(2) 사이에는 통기 경로로서 기능하는 제1 간극(SH1)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 부(3b)와 통기막(10) 사이에는 상기 제1 간극(SH1)과 연통된 제2 간극(SH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의 하단(3t)과, 하우징(50)의 표면(50p) 사이에 간극(AH)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간극(SH1) 및 제2 간극(SH2)으로 이루어지는 통기 경로가 그 간극(AH)에 통해 있다. 통기막(10)을 지지체(2)의 측면부(5)에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지지체(2)의 대폭적인 치수 확대를 수반하는 일 없이, 제2 개구(5h)의 개구 면적, 바꾸어 말하면 통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체(2) 및 커버 부품(3)은 어느 한쪽을 엘라스토머로 구성하고, 다른 한 쪽을 고무 탄성을 갖지 않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2)를 엘라스토머로 구성하고, 커버 부품(3)을 경질의 수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다. 지지체(2)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당해 지지체(2)와 커버 부품(3)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2)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적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종류로서 폴리스틸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또는 불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모두 내열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또한, 지지체(2)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70℃, 22시간(JIS K6301)에 있어서의 압축 영구 왜곡이 70% 이하(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또한 A 형 스프링식 경도 시험기에 있어서의 경도가 100 이하(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영구 왜곡이 너무 크면 진동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하우징(50)의 개구부(50a)와 지지체(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경도가 지나치게 크면 하우징(50)에 설치하기 어려워진다. 지지체(2)의 경도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하우징(50)의 개구부(50a)를 삽입한 경우에 그 개구부(50a)에 충분한 긴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통기 부재(1)를 장기에 걸쳐 개체(50)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 부품(3)은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절삭 등의 일반적인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재료로서는, 성형성이나 강도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A(나일론),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품(3)의 재료는 카본 블랙, 티탄 화이트 등의 안료류, 글래스 입자, 글래스 섬유 등의 보강용 필러류, 발수재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커버 부품(3)의 표면에 발액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액체(물이나 기름)를 배제하기 쉬워진다. 역접착 처리, 절연 처리, 반도체 처리, 도전 처리 등의 다른 처리를 커버 부품(3)에 실시해도 좋다.
통기막(10)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막이면,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지 다공질막(10a)에 보강층(10b)을 적층한 통기막(10)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보강층(10b)을 설치함으로써 고강도의 통기막(10)으로 할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10a)의 재료에는 공 지의 연신법,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체나 폴리올레핀 다공체를 이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 1 부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모노머를 단체로 중합하거나, 또는 공중합하여 얻은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유산을 이용한 나노 파이버 필름 다공체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소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어, 하우징(50)의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이 높은 PTFE 다공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통기막(10)을 구성하는 수지 다공질막(10a)에는 하우징(50)의 용도에 따라 발수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수지 다공질막(10a)에 도포하고, 건조 후, 큐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발수 처리에 이용하는 발액제는 수지 다공질막(10a)보다도 낮은 표면 장력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는데, 예를 들어 파플루오르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발액제가 적합하다. 발액제의 도포는, 함침, 스프레이 등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수지 다공질막(10a)의 평균 구멍 직경은 0.0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막(10)을 구성하는 보강층(10b)의 재료로서는 수지 다공질막(10a)보다도 통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폰지, 폼, 다공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10a)과 보강층(10b)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통기막(10)의 두께는 강도 및 지지체(2)로의 고정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5㎜의 범위에서 조정하면 좋다. 통기막(10)의 환기도는 걸리(Gurley)값으로 0.1 내지 300sec/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막(10)을 지지체(2)에 열 용착하고 있으나, 초음파 용착법이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른 방법으로 통기막(10)을 지지체(2)에 고정해도 좋다.
하우징(50)은 커버 부품(3)과 마찬가지의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하우징(50)의 재료로서는 수지나 금속을 예시할 수 있으나, 수지인 것이 전기 절연성이나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수지의 종류로서는, 커버 부품(3)과 마찬가지의 열가소성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PBT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에 있어서, 제1 개구(4h)는 축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저면부(4)의 1개소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2 개구(5h)는 저면부(4)로부터 정부(6)에 이르는 구간에 위치하는 측면부(5)의 둘레 방향을 따른 4개소(복수 개소)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4개의 제2 개구(5h)를 개별로 막도록 복수의 통기막(10)이 측면부(5)에 설치되어 있다. 지 지체(2)의 내부의 공간(SH0)은 제1 개구(4h) 및 모든 제2 개구(5h)로 연결되어 있다.
도12b에 도시하는 종래의 통기 부재와 같이 통기막의 법선 방향과 통기 부재의 축방향이 일치하는 배치를 채용할 경우, 통기 면적의 확대는 지지체의 치수 확대로 직결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통기막(10)으로 막은 제2 개구(5h)를 측면부(5)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하면, 지지체(2)의 실질적인 치수 확대를 수반하는 일 없이 통기 면적을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1개의 통기막(10)에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도 남은 통기막(10)에 의해 통기 성능이 확보된다는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도1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10)이 배치되는 측면부(5)의 개구 주연면(5p)은 원기둥 형상의 지지체(2)의 외형을 따른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 부품(3)과 통기막(10)의 간격, 즉 제2 간극(SH2)의 넓이를 지지체(2)의 전체 주위에 걸쳐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 간극(SH2)의 넓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면 커버 부품(3) 내에 있어서의 환기 저항이 균일하게 되어, 환기 저항의 불균일에 기초하는 공기의 유통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기막(10)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된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통기막(10)에 부착된 경우에 그 이물질이 통기막(10)의 표면 상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제된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1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축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부터 통기 부재(1)를 관찰했을 때 측면부(5)에 형성된 제2 개구(5h)는 장방형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측면부(5)에 고정하는 통기막(10)도 마찬가지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장방형의 통기막(10)은 원형의 경우에 비하여 만곡된 개구 주연면(5p)에 확실하면서도 또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통기막(10)의 두께 방향이 축방향과 대략 수직이 되도록 지지체(2)의 측면부(5)에 제2 개구(5h)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통기막(10)은 축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도시된다. 이러한 자세로 통기막(10)을 지지체(2)에 고정하면,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통기막(10) 상에 체류될 가능성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에는 중앙에 지지체(2)의 정부(6)에 면하는 통기 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3a)은 대략 원형이며, 중심이 축선(O)과 일치하고 있다.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와 지지체(2)의 정부(6) 사이의 제1 간극(SH1) 및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와 통기막(10) 사이의 제2 간극(SH2)은 통기 구멍(3a)으로부터도 커버 부품(3)의 외부로 통해 있다. 이러한 통기 구멍(3a)에 따르면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가 연직 하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통기 부재(1)를 사용하여, 커버 부품(3) 내에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에도 그러한 이물질을 당해 통기 구멍(3a)으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커버 부품(3)에 통기 구멍(3a)을 형성해 둠으로써 어느 한 자세로 사용한 경우 에도 우수한 방진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는 축방향에 관하여 하단(3t)이 지지체(2)의 하면(2p)[저면부(4)의 개구 주연면에 상당한다]에 일치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통 형상 측벽부(3b)의 하단(3t)과 하우징(50) 사이에 충분한 넓이의 간극(AH)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도래하는 이물질로부터 통기막(10)의 전체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지지체(2)의 하단과 커버 부품(3)의 하단을 일치시키도록 하면 하우징(50)의 표면으로부터의 통기 부재(1)의 돌출량을 최대한 작게 설계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품(3)의 통기 구멍(3a)에 면하는, 지지체(2)의 정부(6)는 통기 구멍(3a)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약간 만곡된 돔 형상을 갖고 있다. 지지체(2)의 정부(6)는 지지체(2)의 내부의 공간(SH0)으로 통하는 개구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통기 구멍(3a)을 통해서 커버 부품(3) 내에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 이물질은 돔 형상의 정부(6)에서 미끄러 떨어져 제2 간극(SH2)을 통해서 반대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4의 투영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멍(3a)은 그 전부가 정부(6)의 외주연보다도 내측에 있다. 통기 구멍(3a)과 정부(6)의 위치 관계를 이렇게 규정하면, 통기 구멍(3a)으로부터 커버 부품(3)의 내부로 침입된 이물질이 지지체(2)의 정부(6)에 반드시 부딪히게 된다. 이에 의해, 통기막(10)이 이물질로부터 직접적인 충격을 받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다.
또한, 도4의 투영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10) 전부가 천정부(3c)에 형성된 통기 구멍(3a)과, 통 형상 측벽부(3b)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체(2)의 제2 개구(5h)와 커버 부품(3)의 통기 구멍(3a)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통기막(10)이 이물질로부터 직접적인 충격을 받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의 내부의 공간(SH0)은 축선(O)의 위치로부터 제2 개구(5h)를 향함에 따라 넓이가 점차 확대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렇게 하면, 제1 개구(4h)로부터 삽입된 하우징(50)의 개구부(50a)를 체결하는 체결부(8)의 축방향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우징(50)의 개구부(50a)를 지지체(2)에 깊게 삽입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는 통기 부재(1)를 장기에 걸쳐 하우징(50)에 확실히 고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O)의 위치로부터 제2 개구(5h)를 향함에 따라 공간(SH0)의 넓이가 연속적으로 확대되도록 하고 있으나, 단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의 내부에는 노즐 형상의 개구부(50a)의 선단부(50b)가 맞닿아 축방향으로의 전진을 저지하는 위치 결정부(7)(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7)는 리브(9)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에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부(7)에 의해, 노즐 형상의 개구부(50a)가 지지체(2) 안으로 너무 들어가 공간(SH0)이 막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50)의 표 면(50p)과 지지체(2)의 하면(2p) 사이에 충분한 넓이의 간극(AH)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의 리브(9)는 정부(6)의 상측으로부터 측면으로 주회하여, 축방향을 따라 당해 지지체(2)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리브(9)는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와 지지체(2)의 정부(6) 사이에 위치하고 제1 간극(SH1)을 형성하는 제1 부분(9a)(제1 스페이서)과,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와 지지체(2)의 측면부(5) 사이에 위치하고 제2 간극(SH2)을 형성하는 제2 부분(9b)(제2 스페이서)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분(9a)은 탄성 변형되면서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에 밀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9b)은 탄성 변형되면서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에 밀착된다. 이들 리브(9a, 9b)에 의해 상기 제1 간극(SH1) 및 제2 간극(SH2)이 확보되는 동시에 지지체(2)가 커버 부품(3)의 내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브(9)를 약 90°의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하고, 인접하는 리브(9, 9) 사이에 통기막(10)이 위치하고 있다. 인접하는 리브(9, 9)끼리의 사이에 제1 통기로(SH1)가 형성된다.
또한, 리브(9)는 지지체(2)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브(9)를 커버 부품(3)의 일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브(9) 중 제1 부분(9a)을 지지체(2)와 일체로 형성하고, 제2 부분(9b)을 커버 부품(3)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떤 구성을 채용했다고 해도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5에 도시한 것은,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A-A 단면도이고, 도7은 도5의 B-B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21)는 지지체(22), 통기막(10) 및 커버 부품(3)을 구비하고, 하우징(50)의 개구부(50a)에 설치되고, 하우징(50)의 내외의 통기를 행하기 위한 통기 구조(102)를 구성한다. 통기막(10)과 커버 부품(3)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주요한 상이점은 지지체(22)의 구조에 있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21)의 지지체(22)는 기둥 형상의 형태를 갖고, 하우징(50)에 접속하는 저면부(24), 통기막(10)을 설치하는 측면부(25), 저면부(24)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정부(26) 및 커버 부품(3) 사이에 제1 간극(SH1)을 형성하는 리브(29)를 포함한다. 저면부(24)에 제1 개구(24h)가 형성되어 있는 점, 저면부(24)의 반대측이 커버 부품(3)의 통기 구멍(3a)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약간 만곡된 돔 형상의 정부(26)인 점, 측면부(25)에 제2 개구(25h)가 형성되어 있는 점, 지지체(22)의 내부의 공간(SH0)이 제1 개구(24h) 및 제2 개구(25h)로 통해 있는 점 등은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개구(25h)는 180°간격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25)의 개구 주연면(25p)은 축방향에 평행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통기막(10)의 주면(면적이 가장 큰 면) 전체를 축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통기막(10)의 지지체(22)에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2)의 2개소에 형성된 제2 개구(25h, 25h)는 축선(O)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이다. 또한, 도8의 투영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와 통기막(1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간극(SH2)은 축방향과 수직한 단면 형상이 초생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2)는 원통면을 갖는 측면부(22p)가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리브를 측면에 설치하지 않아도 커버 부품(3)의 내측에 지지체(22)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개구(25h)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간의 측면부(22p)를 축방향의 상측으로 연장된 위치에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에 밀착되는 리브(29)가 형성되어 있다. 그 리브(29)가 커버 부품(3)의 천정부(3c)에 접촉되어 정부(26)와 천정부(3c) 사이에 제1 간극(SH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8의 투영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커버 부품(3)의 통기 구멍(3a)은 지지체(22)의 정부(26)의 내측에 있다. 또한, 2개의 통기막(10)은 커버 부품(3)의 통 형상 측벽부(3b)과 통기 구멍(3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점도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를 이용한 다른 통기 구조의 예)
도9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21)를 이용한 다른 통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0, 도11은 도9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104)는 하우징의 개구부의 형상이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구조와 상이하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50)의 개구부(51a)에 절결(50d)을 형성하고 있다. 절결(50d)은 노즐 형상의 개구부(51a)의 일부를 선단부(51b)측으로부터 반대측(기단측)을 향해서 절취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절결(50d)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가 지지체(22)의 제2 개구(25h)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겹치도록(바람직하게는 일치하도록), 통기 부재(21)의 하우징(50)으로의 설치 각도 조정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절결(50d)에 따르면, 도10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25h)가 형성되어 있는 각도 위치에서는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도11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25h)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각도 위치에서는 개구부(51a)의 지지체(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 전체에 측면부(22p)로부터의 긴축력이 작용하므로 지지체(22)를 하우징(50)의 개구부(51a)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22)의 측면에 통기막(10)을 배치할 경우에는 하우징(50)의 개구부(51a)에 절결(50d)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하우징(50)의 개구부(51a)에 절결(50d)을 형성해 두고, 이 절결(50d)과 제2 개구(25h)의 각도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하면 하우징(50)의 개구부(51a)가 지지체(22)의 내부에 너무 들어가 공간(SH0)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50)의 개구부(51a)와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스토퍼를 지지 체(22)의 내부에 형성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한, 절결(50d)의 수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21)의 지지체(22)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개구(25)의 수에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결(50d) 대신에, 또는 절결(50d)과 함께 노즐 형상의 개구부(51a)의 측면을 관통하는 통기 구멍을 형성함으로써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 부재(1, 21)가 어떤 자세로 사용될 경우라도 양호한 통기 성능을 잃지 않아,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커버 부품 내에 체류하기 어려운 소형의 통기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헤드 램프, 리어 램프, 포그 램프, 턴 램프, 백 램프, 모터 케이스, 압력 센서, 압력 스위치, ECU 등의 차량용 전장 부품의 하우징에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램프류나 ECU 등 직접 비바람에 노출되거나 세차 시에 수류를 받거나 하는 차량용 전장 부품의 하우징에 본 발명의 통기 부재를 설치할 경우에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전장 부품 이외에도 이동체 통신 기기, 카메라, 전기 면도기, 전동 칫솔 등의 전기 제품의 하우징에 본 발명의 통기 부재를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16)

  1. 통기를 행해야 할 하우징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하우징의 내외의 통기 경로가 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가 형성된 저면부와, 동일하게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개구가 형성된 측면부를 갖고, 상기 제1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저면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어야 할 접속부가 되는 지지체와,
    상기 제2 개구를 막도록 상기 지지체의 상기 측면부에 설치된 통기막과,
    상기 저면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지지체가 내측으로 끼워 넣어지는 커버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품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체를 끼워 넣을 때의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정의했을 때, 상기 커버 부품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체를 끼워 넣은 조립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품은, 상기 지지체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통 형상 측벽부와, 상기 통 형상 측벽부의 일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저면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지지체를 덮는 천정부를 갖고,
    상기 통기막이 상기 통 형상 측벽부와 대향하여 보호되도록 상기 축방향에 관한 상기 통 형상 측벽부의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천정부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는 통기 경로로서 기능하는 제1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통 형상 측벽부와 상기 통기막 사이에는 상기 제1 간극과 연통한 제2 간극이 형성되고, 그 제2 간극이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천정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외부로 통해 있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의 두께 방향이 상기 축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상기 지지체의 상기 측면부에 상기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천정부에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간극 및 상기 제2 간극은 상기 통기 구멍으로부터도 상기 커버 부품의 외부로 통해 있는 통기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중공 또한 기둥 형상의 형태를 갖고,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에 상기 제1 개구가 형성된 상기 저면부가 위치하고, 상기 저면부와는 반대측 부분이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통기 구멍에 면하는 정부(頂部)로 되어 있고, 상기 축방향에 관한 투영도에 있어서, 상기 통기 구멍의 전부가 상기 정부의 외주연보다도 내측에 들어가 있는 통기 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에 관한 투영도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 전부가 상기 천정부에 형성된 상기 통기 구멍과, 상기 통 형상 측벽부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통기 구멍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통기 부 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중공 또한 기둥 형상의 형태를 갖고,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제1 개구가 형성된 상기 저면부가 위치하고, 상기 저면부로부터 반대측 부분에 이르는 구간에 위치하는 상기 측면부의 둘레 방향을 따른 복수 개소에 상기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이들 복수의 제2 개구를 개별적으로 막도록 복수의 상기 통기막이 상기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통기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의 형태를 갖고, 상기 통기막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측면부의 개구 주연면이 이 원기둥 형상의 지지체의 외형을 따른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통기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이 배치된 상기 측면부의 개구 주연면이 상기 통기막의 주면 전체를 상기 축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유지 가능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통기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천정부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조립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1 간극을 형성하는 제1 스페이서를 더 구비한 통기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가 상기 커버 부품 및 상기 지지체 중 적어도 한 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통 형상 측벽부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조립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2 간극을 형성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구비한 통기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가 상기 커버 부품 및 상기 지지체 중 적어도 한 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천정부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조립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1 간극을 형성하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커버 부품의 상기 통 형상 측벽부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조립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2 간극을 형성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 및/또는 상기 제2 스페이서가, 상기 커버 부품 또는 상기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품 및 상기 지지체는 어느 한 쪽이 엘라스토머로 구성되고, 다른 쪽이 고무 탄성을 갖지 않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15. 외측 방향으로 볼록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통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재가 제1항에 기재된 통기 부재인 통기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절결 또는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결 또는 상기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가, 상기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겹치도록 상기 통기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통기 구조.
KR1020087020827A 2006-03-02 2007-02-15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KR101317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6684 2006-03-02
JP2006056684A JP4953663B2 (ja) 2006-03-02 2006-03-02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PCT/JP2007/052769 WO2007099782A1 (ja) 2006-03-02 2007-02-15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436A true KR20080100436A (ko) 2008-11-18
KR101317588B1 KR101317588B1 (ko) 2013-10-11

Family

ID=3845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827A KR101317588B1 (ko) 2006-03-02 2007-02-15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77295B2 (ko)
EP (1) EP1997685B1 (ko)
JP (1) JP4953663B2 (ko)
KR (1) KR101317588B1 (ko)
CN (1) CN101395037B (ko)
AT (1) ATE465052T1 (ko)
DE (1) DE602007005991D1 (ko)
WO (1) WO20070997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4B1 (ko) * 2013-10-28 2014-01-02 정인석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통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2530B2 (ja) * 2005-11-1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4986961B2 (ja) * 2008-09-05 2012-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5466166B2 (ja) * 2008-11-06 2014-04-09 日本ゴア株式会社 通気栓
DE102008054577A1 (de) 2008-12-12 2010-06-17 Robert Bosch Gmbh Überdruckventil eines Gehäuses für eine elektrische/elektronische Einheit
JP2011004097A (ja) * 2009-06-17 2011-01-06 Ube Industries Ltd 撥水性通気カバー、撥水性通気カバー付きトランスデューサー
JP5519352B2 (ja) * 2010-03-19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0025980B4 (de) * 2010-07-02 2019-12-05 Sew-Eurodrive Gmbh & Co Kg Anordnung und Gerät mit einer Anordnung zum Entlüften eines Raumbereichs
JP5567470B2 (ja) * 2010-12-28 2014-08-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5746559B2 (ja) * 2011-05-19 2015-07-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
DE102012203901A1 (de) * 2012-03-13 2013-09-19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nvorrichtung
KR101284669B1 (ko) * 2012-08-22 2013-07-16 (주)마루엠씨에스 산업용 배터리의 어댑터 플러그
JP2014102970A (ja) * 2012-11-20 2014-06-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US9919850B2 (en) * 2013-02-12 2018-03-20 Ecolab Usa Inc. Vented fitment for flexible pouch
JP6130183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30182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32615B2 (ja) * 2013-03-26 2017-05-2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50578B2 (ja) 2013-03-2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2015033682A (ja) * 2013-08-09 2015-02-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及び通気部材
DE102013019181B3 (de) * 2013-11-18 2015-03-19 Mann + Hummel Gmbh Tankbelüftungsfilter
DE102013019328B4 (de) * 2013-11-20 2019-02-21 Mann+Hummel Gmbh Tankbelüftungsfilter mit einer Einschnürung im Lufteinlassbereich
JP2015207529A (ja) * 2014-04-23 2015-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装置、および車両用ランプ
JP2015207528A (ja) * 2014-04-23 2015-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装置、および車両用ランプ
DE102014106501A1 (de) * 2014-05-08 2015-11-12 AZ Ausrüstung und Zubehör GmbH & Co. KG Belüftungssystem für Fahrzeugbeleuchtungen
US9398710B2 (en) * 2014-08-07 2016-07-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nclosure for a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DE102014118541A1 (de) * 2014-12-12 2016-06-16 Endress + Hauser Gmbh + Co. Kg Druckausgleichselement für ein Feldgerät der Automatisierungstechnik
DE102014118740B4 (de) 2014-12-16 2022-10-13 HELLA GmbH & Co. KGaA Belüftungseinheit für ein Gehäuse, insbesondere für das Gehäuse eines Scheinwerfers
JP2017101793A (ja) * 2015-12-04 2017-06-0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装置およびフィルタ装置
JP6721978B2 (ja) * 2015-12-15 2020-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ランプ
EP3302011A1 (de) * 2016-09-29 2018-04-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onikbaugruppe mit einem gehäuse und einem druckausgleichskanal
JP6479080B2 (ja) * 2017-03-30 2019-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WO2019111881A1 (ja) * 2017-12-07 2019-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支持体の製造方法
DE102018205053A1 (de) * 2018-04-04 2019-10-10 Zf Friedrichshafen Ag Entlüfter, Getriebe sowie Kraftfahrzeug
EP3782440A4 (en) * 2018-04-16 2021-1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ENT FILTER AND RADIO REMOTE CONTROL
US20190331312A1 (en) * 2018-04-25 2019-10-31 Jute Industrial Co., Ltd. Breathable element for lighting of vehicle
US10281107B1 (en) * 2018-06-26 2019-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p assembly and vent body for a light housing on a vehicle
KR20210068441A (ko) * 2018-10-11 2021-06-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하우징
DE102018220186A1 (de) * 2018-11-23 2020-05-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ntilationsanordnung sowie Vorrichtung mit einer Ventilationsanordnung
US20220304172A1 (en) * 2019-10-16 2022-09-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al equip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6129A (en) * 1925-04-29 1927-04-26 Austin Herbert Window for motor vehicles
US5209992A (en) * 1990-12-20 1993-05-11 Exide Corporation Water by-passing, flame retardant battery vent plug
JP3219700B2 (ja) 1996-09-18 2001-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ベントフィルタ部材
JP4043674B2 (ja) * 1999-11-18 2008-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JP3452134B2 (ja) * 2000-06-30 2003-09-29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装置
NL1019310C2 (nl) * 2001-11-06 2003-05-07 Actuant Corp Hydraulische inrichting met ademsamenstel.
US7066337B2 (en) * 2002-01-05 2006-06-27 Hsu Wei K Lou Reusable filter port assembly for installation on the wall of a bag
JP2003318557A (ja) * 2002-04-25 2003-11-0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2003336874A (ja)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4431003B2 (ja) 2004-07-29 2010-03-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装置
DE202005014946U1 (de) * 2005-09-22 2006-01-19 Hidde, Axel R., Dr.-Ing. Druckausgleichsverschraub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4B1 (ko) * 2013-10-28 2014-01-02 정인석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통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09618A1 (en) 2009-04-30
EP1997685A4 (en) 2009-05-27
CN101395037A (zh) 2009-03-25
JP4953663B2 (ja) 2012-06-13
US8277295B2 (en) 2012-10-02
JP2007230448A (ja) 2007-09-13
KR101317588B1 (ko) 2013-10-11
EP1997685A1 (en) 2008-12-03
WO2007099782A1 (ja) 2007-09-07
ATE465052T1 (de) 2010-05-15
EP1997685B1 (en) 2010-04-21
DE602007005991D1 (de) 2010-06-02
CN101395037B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588B1 (ko)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JP4672530B2 (ja) 通気部材
KR101270328B1 (ko) 통기 부재
EP2787277B1 (en) Ventilation member
KR101958036B1 (ko) 통기 유닛
KR100564468B1 (ko) 통기성 캡과, 그것을 포함하는 옥외용 램프, 자동차용램프 및 자동차용 전장 부품
KR20080077281A (ko)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KR20030089459A (ko) 통기 부재와, 이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하우징
KR20140026518A (ko) 통기 유닛
JP4498996B2 (ja) 筐体の通気構造
JP2007087666A (ja)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JP2011255374A (ja) 通気部材
JP2007201110A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