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036B1 - 통기 유닛 - Google Patents

통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036B1
KR101958036B1 KR1020137031012A KR20137031012A KR101958036B1 KR 101958036 B1 KR101958036 B1 KR 101958036B1 KR 1020137031012 A KR1020137031012 A KR 1020137031012A KR 20137031012 A KR20137031012 A KR 20137031012A KR 101958036 B1 KR101958036 B1 KR 10195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ntilation
opening
waterproof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519A (ko
Inventor
아츠시 다이몬
고 우에무라
요조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Abstract

본 발명의 통기 유닛(1A)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는, 개구(11)를 덮기 위한 방수 통기막(4)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2)와, 하우징(10)과 통기 부재(2)의 사이의 갭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6)와, 내부에 통기 부재(2)가 끼워넣어지는 환상의 격벽 부재(7A)를 구비하고 있다. 격벽 부재(7A)는 하우징(10)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통기 부재(2)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었을 때 시일 부재(6)의 외측에 형성되는 통기 부재(2)의 주연부와 하우징(10)의 사이의 간극을 막는다.

Description

통기 유닛{VENTILATION UNIT}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자동차용 램프나 ECU(Electrical Control Unit) 등의 자동차 전장 부품, OA(오피스 오토메이션) 기기, 가전 제품, 의료 기기 등에서는, 전자 부품이나 제어 기판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온도 변화에 의한 하우징 내의 압력 변동을 완화하거나 하우징 내를 환기할 목적으로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 통기 부재가 설치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이 통기 부재는, 하우징의 내외에서의 통기를 확보하면서 하우징 내로의 먼지나 물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기 부재(100)가 개시되어 있다. 이 통기 부재(100)는 하우징(150)의 개구(151)를 덮기 위한 방수 통기막(120)과, 방수 통기막(120)을 지지하고, 하우징(150)에 고정되는 지지체(110)와, 방수 통기막(120)을 덮는 커버 부품(130)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110)는 전체적으로 관 형상을 이루고 있고, 방수 통기막(120)이 부착되는 플랜지부(112) 및 플랜지부(112)로부터 돌출되어서 하우징(150)의 개구(151)에 삽입되는 삽입부(111)를 갖고 있다. 삽입부(111)의 근원 부분에는 시일 부재(14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시일 부재(140)가 플랜지부(112)에 의해 하우징(150)에 가압됨으로써 통기 부재(100)와 하우징(150) 사이의 갭이 시일된다.
커버 부품(130)은 방수 통기막(120)과 대향하는 주벽(131)과, 주벽(131)의 주연부로부터 하우징(150)의 표면 가까이까지 연장되는 둘레벽(132)을 갖고 있다. 또한, 주벽(131)에는 방수 통기막(120)에 면하는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기 위한 관통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50)에 통기 부재(200)를 둘러싸도록 격벽(152)을 형성한 통기 구조(300)가 개시되어 있다. 격벽(152)은, 서로 이격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고, 통기 부재(200)보다 높은 높이를 갖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876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7425호 공보
그런데, 예를 들어 자동차 전장 부품에서는, 자동차가 고압수에 의해 세정 되는 경우가 있고, 자동차 전장 부품에도 고압수가 분사되는 경우가 있다. 통기 부재에서는, 시일 부재의 외측의 통기 부재의 주연부와 하우징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자동차 전장 부품에 고압수가 분사되면, 그 간극으로부터 고압수가 시일 부재에 작용하고, 고압수가 시일 부재를 변형시켜서 하우징 내에 물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통기 부재(100)와 같이, 커버 부품(130)이 둘레벽(132)을 갖고 있으면, 시일 부재(140)에 작용하는 고압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통기 부재(100)의 설치성 및 제작 오차의 관점에서, 둘레벽(132)과 하우징(150) 사이의 간극을 제로로 할 수는 없어, 시일 부재(140)에 고압수가 작용해서 하우징 내에 물이 침입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통기 구조(300)에서는, 격벽(152)과 통기 부재(200)의 사이에 통기로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격벽(152)과 통기 부재(200)의 사이의 간극을 제로로 할 수 없다. 그로 인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통기 구조(300)도,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통기 부재(100)와 마찬가지의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높은 외압이 작용하는 환경 하에서도 통기 부재와 하우징의 사이로부터 하우징 내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는,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방수 통기막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기 부재의 사이의 갭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내부에 상기 통기 부재가 끼워 넣어지는 환상의 격벽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된 격벽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통기 부재가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었을 때 시일 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통기 부재의 주연부와 하우징의 사이의 간극이 격벽 부재에 의해 막힌다. 따라서, 높은 외압이 작용하는 환경 하에서도 통기 부재와 하우징의 사이로부터 하우징 내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통기 유닛의 단면도.
도 3은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된 통기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커버 부품의 하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의 단면도.
도 9a는 종래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 도 9b는 그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10a는 종래의 통기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0b는 그 통기 구조의 단면도.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은 이것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1A)을 도시한다. 이 통기 유닛(1A)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2)와, 하우징(10)과 통기 부재(2)의 사이의 갭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6)와, 내부에 통기 부재(2)가 끼워 넣어지는 환상의 격벽 부재(7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11)가 수평면보다 위를 향하는 방향(예를 들어, 연직 상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개구(11)가 개구되는 방향(도 2에서는 상측)을 상방, 그것과 반대 방향(도 2에서는 하측)을 하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을 구성하는 박판이 버링 가공됨으로써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11)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직경 축소되어 있다. 단, 개구(11)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을 구성하는 후판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통기 부재(2)는 하우징(10)의 개구(11)를 덮기 위한 방수 통기막(4)과, 방수 통기막(4)을 지지하고, 하우징(10)에 고정되는 지지체(3)와, 방수 통기막(4)을 덮는 커버 부품(5)을 포함한다.
방수 통기막(4)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막(수지 또는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등)이면,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수 통기막(4)은, 수지 다공질막에 보강층이 적층된 구성을 가져도 좋다. 보강층을 형성함으로써, 고강도의 방수 통기막(4)을 얻을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에는, 공지된 연신법,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질체나 폴리올레핀 다공체를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단량체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의 단량체를 단체로 중합하거나, 또는 공중합해서 얻은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소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이 높은 PTFE 다공질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다공질막에는, 하우징(10)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발액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수지 다공질막에 도포하고, 건조 후, 큐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발액 처리에 사용하는 발액제는, 수지 다공질막보다 낮은 표면 장력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발액제가 적합하다. 발액제의 도포는 함침, 스프레이 등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수지 다공질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0.0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층의 재료로는 수지 다공질막보다 통기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또는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폼, 다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과 보강층을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접착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이 있다.
방수 통기막(4)의 두께는 강도 및 지지체(3)에 대한 고정하기 용이함을 고려해서, 예를 들어 1㎛ 내지 5㎜의 범위에서 조정하면 된다. 수지 다공질막 또는 방수 통기막(4)의 통기도는 걸리(Gurley)값으로 0.1 내지 300sec/100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3)에는 방수 통기막(4)을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개방하는 내측 통기로(2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3)는, 전체적으로 관 형상을 이루고 있고, 표면에 방수 통기막(4)이 부착되는 플랜지부(31) 및 플랜지부(31)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하우징(10)의 개구(11)에 삽입되는 삽입부(32)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31)의 표면의 주연부는, 당해 플랜지부(31)의 이면을 향해서 직경 확장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삽입부(32)에는, 당해 삽입부(32)의 하부가 하단부로부터 복수 지점에 절입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도면 예에서는 3개)의 걸림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 결합편의 하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갈고리(33)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갈고리(33)가 하우징(10)의 개구 주변부에 걸어 결합한다.
커버 부품(5)은 방수 통기막(4) 및 지지체(3)와의 사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는 외측 통기로(22)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품(5)은, 방수 통기막(4)과 대향하는 주벽(51)과, 주벽(51)의 주연부에서 현수되는 복수(도면 예에서는 3개)의 현수벽(52)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51)의 직경이 지지체(3)의 플랜지부(31)의 외경과 같게 설정되어 있다.
현수벽(52)은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현수벽(52)은 주벽(51)의 주연부를 따르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현수벽(52)은, 주부(51)의 이면으로부터 방수 통기막(4)을 초과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은 플랜지부(31)의 표면이 편평한 부분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현수벽(52)의 선단의 내측 부분은, 플랜지부(31)의 테이퍼면과의 사이에 큰 공간이 확보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현수벽(52)의 중앙에는, 당해 현수벽(52)의 하단부로부터 플랜지부(31)의 이면까지 연장되는 연결편(5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부(31)에는 연결편(53)과 대응하는 위치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는, 연결편(53)이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편(53)의 선단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갈고리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갈고리가 오목부(31a)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어 결합함으로써, 커버 부품(5)이 지지체(3)에 연결된다. 또한, 커버 부품(5)이 지지체(3)에 연결되었을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53)의 외측면은 플랜지부(31)의 단부면과 함께 하나의 원통면을 형성한다.
또한, 주벽(51)의 이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벽(52)보다 작은 원을 그리도록 복수(도면 예에서는 3개)의 원호 형상의 내벽(54)이 형성되어 있다. 내벽(54)은, 플랜지부(31)의 표면의 편평한 부분에 접촉하고, 방수 통기막(4)과 주벽(51)의 사이에 스페이스를 확보한다. 또한, 각 내벽(54)은 방수 통기막(4)을 외부로부터 숨기도록, 현수벽(52)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물러난 위치에서 현수벽(52)끼리의 사이의 간극을 덮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현수벽(52) 및 내벽(54)은, 방수 통기막(4)이 외측 통기로(22)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외측 통기로(22)의 개구 근방 부분에 래비린스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로 복귀하여, 시일 부재(6)는 지지체(3)의 삽입부(32)의 근원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6)는 플랜지부(31)에 의해 하우징(10)에 가압됨으로써 통기 부재(2)와 하우징(10)의 사이의 갭을 시일한다. 시일 부재(6)로는 O링이나 패킹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격벽 부재(7A)는, 하우징(10)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벽 부재(7A)가 자중에 의해 하우징(10) 위에 적재됨으로써 격벽 부재(7A)가 하우징(10)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격벽 부재(7A)는, 지지체(3)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보유 지지되는 본체부(71)와, 커버 부품(5)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본체부(71)로부터 상승되는 통 형상의 둘레벽(7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71)는 지지체(3)의 플랜지부(31)의 외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공차분만큼 큰 직경의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다.
본체부(71)는 하우징(10)과 접촉하면서, 또한 외측 통기로(22)의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 둘레벽(72)은 외측 통기로(22)의 개구와 대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71)의 외측면과 둘레벽(72)의 외측면이, 격벽 부재(7A)의 축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어서, 격벽 부재(7A)의 통 형상의 외주면(7a)을 구성한다.
격벽 부재(7A)(본체부(71) 및 둘레벽(72))는 고무 등의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본체부(71)의 내주면의 직경을 플랜지부(31)의 외경보다 작게 하고, 본체부(71)로의 플랜지부(31)의 압입에 의해 격벽 부재(7A)를 하우징(10)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벽 부재(7A)가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경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술한 치수 관계에 의해 본체부(71)가 플랜지부(31)에 대하여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격벽 부재(7A)의 높이는, 통기 부재(2)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었을 때의 하우징(10)의 표면으로부터 커버 부품(5)의 정점(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51)의 표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약간 작다」는 것은, 격벽 부재(7A)의 높이가 하우징(10)의 표면으로부터 커버 부품(5)의 정점까지의 거리의 90% 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렇게 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통기 부재(2)보다 큰 면적을 갖는 지그를 사용해서 통기 부재(2)를 개구(11)에 압입할 경우에는, 격벽 부재(7A)가 지그의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과도한 압입에 의해 통기 부재(2) 또는 하우징(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통기 유닛(1A)에서는, 통기 부재(2)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었을 때 시일 부재(6)의 외측에 형성되는 통기 부재(2)의 주연부와 하우징(10) 사이의 간극이 격벽 부재(7A)에 의해 막힌다. 따라서, 높은 외압이 작용하는 환경 하에서도 통기 부재(2)와 하우징(10)의 사이로부터 하우징 내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품(5)의 현수벽(52) 및 내벽(54)에 의해 방수 통기막(4)이 직접적으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방수 통기막(4)에, 예를 들어 고압수가 직접 분사되는 일이 없어, 방수 통기막(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1B)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점은, 후술하는 제3 내지 제5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통기 유닛(1B)은, 격벽 부재(7B)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유닛(1A)과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격벽 부재(7B)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격벽 부재(7A)에 돌출부(73)가 더해진 것이다.
돌출부(73)는, 하우징(10)과 통기 부재(2) 사이에 끼워지도록 본체부(71)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있으며, 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73)가 형성된 격벽 부재(7B)를 사용하면, 격벽 부재(7B)의 높이가 낮아도, 통기 부재(2)를 개구(11)에 압입할 때 돌출부(73)가 통기 부재(2)의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과도한 압입에 의해 통기 부재(2) 또는 하우징(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등에 의해 격벽 부재(7B)가 통기 부재(2)로부터 어긋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73)의 두께는, 통기 부재(2)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었을 때의 통기 부재(2)의 주연부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 이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73)를 본체부(71) 및 둘레벽(72)과 같은 경질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고, 그것들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단, 돌출부(73)가 고무 등의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돌출부(73)의 자연체에서의 두께가, 통기 부재(2)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었을 때의 통기 부재(2)의 주연부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73)가 통기 부재(2)에 의해 하우징(10)에 가압됨으로써, 격벽 부재(7B)가 하우징(10)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개구(11)의 개구 방향이 어떤 방향(예를 들어, 연직 하향)이어도, 격벽 부재(7B)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고압수 등에 의해 격벽 부재(7B)에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했다고 하더라도, 격벽 부재(7)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시일 부재(6)의 외측에도 시일 구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73)를 본체부(71)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돌출부(73)를 접착제 등으로 본체부(71)에 접합하면 된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1C)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격벽 부재(7B)와 비교하여 외주면(7a)만이 상이한 격벽 부재(7C)가 사용되고 있다.
격벽 부재(7C)의 외주면(7a)은 하우징(10)을 향해서 확장되고 있다. 외주면(7a)은, 단면이 직선인 테이퍼면이어도 좋고, 단면이 곡선인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어도 좋다. 이러한 외주면(7a)을 갖는 격벽 부재(7C)를 사용하면, 높은 외압이 작용하는 환경 하에서는 그 외압에 의해 격벽 부재(7C)가 하우징(10)에 강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통기 부재(2)와 하우징(10)의 사이로부터 하우징 내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1D)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격벽 부재(7C)로부터 둘레벽(72)이 삭제된 격벽 부재(7D)가 사용되고 있다.
격벽 부재(7D)는 본체부(71)와 돌출부(73)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격벽 부재(7D)의 높이는 본체부(71)의 높이와 같다. 다시 말해, 본체부(71)의 상면이 격벽 부재(7D)의 상측의 단부면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벽 부재(7D)의 높이는, 통기 부재(2)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었을 때의 하우징(10)의 표면으로부터 방수 통기막(4)까지의 거리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이면, 외측 통기로(22) 내에 물이 유입되었다고 해도, 그 물이 즉시 격벽 부재(7D)를 넘어서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방수 통기막(4) 위에 물이 저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유닛(1E)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71)만으로 구성된 단면 직사각 형상의 격벽 부재(7E)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개구(11)가 스트레이트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고, 통기 부재(2)의 주연부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보다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이어도, 통기 부재(2)가 하우징(10)의 개구(11)에 설치되었을 때 시일 부재(6)의 외측에 형성되는 통기 부재(2)의 주연부와 하우징(10) 사이의 간극이 격벽 부재(7E)에 의해 막힌다. 따라서, 높은 외압이 작용하는 환경 하에서도 통기 부재(2)와 하우징(10)의 사이로부터 하우징 내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는,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방수 통기막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기 부재의 사이의 갭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내부에 상기 통기 부재가 끼워 넣어지는 환상의 격벽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된 격벽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방수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방수 통기막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하는 내측 통기로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방수 통기막을 덮고, 상기 방수 통기막 및 상기 지지체와의 사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는 외측 통기로를 형성하는 커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보유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고 상기 외측 통기로의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커버 부품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외측 통기로의 개구와 대향하는 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둘레벽은 경질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 부재의 높이는, 상기 통기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었을 때의 상기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커버 부품의 정점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통기 유닛.
  2.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는,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방수 통기막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기 부재의 사이의 갭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내부에 상기 통기 부재가 끼워 넣어지는 환상의 격벽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된 격벽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방수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방수 통기막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하는 내측 통기로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방수 통기막을 덮고, 상기 방수 통기막 및 상기 지지체와의 사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는 외측 통기로를 형성하는 커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보유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고 상기 외측 통기로의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의 높이는 상기 본체부의 높이와 같고,
    상기 격벽 부재의 높이는, 상기 통기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었을 때의 상기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방수 통기막까지의 거리 이하인 통기 유닛.
  3.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는,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방수 통기막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기 부재의 사이의 갭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내부에 상기 통기 부재가 끼워 넣어지는 환상의 격벽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된 격벽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방수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방수 통기막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하는 내측 통기로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방수 통기막을 덮고, 상기 방수 통기막 및 상기 지지체와의 사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는 외측 통기로를 형성하는 커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보유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고 상기 외측 통기로의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기 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통기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자연체에서의 두께는, 상기 통기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었을 때의 상기 통기 부재의 주연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보다 큰 통기 유닛.
  5.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는, 상기 개구를 덮기 위한 방수 통기막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기 부재의 사이의 갭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내부에 상기 통기 부재가 끼워 넣어지는 환상의 격벽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된 격벽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방수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방수 통기막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하는 내측 통기로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방수 통기막을 덮고, 상기 방수 통기막 및 상기 지지체와의 사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는 외측 통기로를 형성하는 커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보유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고 상기 외측 통기로의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품은, 상기 방수 통기막과 대향하는 주벽과, 상기 주벽의 주연부로부터 상기 방수 통기막을 초과하는 위치까지 현수되는 복수의 현수벽과, 상기 방수 통기막을 외부로부터 숨기도록, 상기 복수의 현수벽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물러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현수벽끼리의 사이의 간극을 덮는 복수의 내벽을 포함하는 통기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하우징을 향해서 확장되는 외주면을 갖는 통기 유닛.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7031012A 2011-04-27 2012-01-10 통기 유닛 KR101958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9879A JP5714402B2 (ja) 2011-04-27 2011-04-27 通気ユニット
JPJP-P-2011-099879 2011-04-27
PCT/JP2012/000080 WO2012147240A1 (ja) 2011-04-27 2012-01-10 通気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519A KR20140026519A (ko) 2014-03-05
KR101958036B1 true KR101958036B1 (ko) 2019-03-13

Family

ID=4707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012A KR101958036B1 (ko) 2011-04-27 2012-01-10 통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0059B2 (ko)
EP (1) EP2704542B1 (ko)
JP (1) JP5714402B2 (ko)
KR (1) KR101958036B1 (ko)
CN (1) CN103503587B (ko)
WO (1) WO20121472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4403B2 (ja) * 2011-04-27 2015-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ユニット
JP2014120579A (ja) * 2012-12-14 2014-06-30 Denso Corp 防水構造
JP2014123625A (ja) * 2012-12-20 2014-07-03 Denso Corp 防水部材
JP6150578B2 (ja) * 2013-03-2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30183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67658B2 (ja) * 2013-05-13 2017-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通気部材取付冶具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2015181153A (ja) * 2014-03-06 2015-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気体透過部材及び通気性容器
JP2015170469A (ja) * 2014-03-06 2015-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気体透過部材及び通気性容器
KR101640028B1 (ko) * 2014-05-14 2016-07-18 주식회사 진텍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CN106416443B (zh) * 2014-05-28 2020-07-07 日东电工株式会社 金属框体及使用了该金属框体的通气构造
CN104079106B (zh) * 2014-07-08 2017-02-01 上海博邦汽车技术有限公司 防水透气膜件
JP6330684B2 (ja) * 2015-02-18 2018-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EP3236722B1 (en) 2016-04-18 2020-09-30 W.L. Gore & Associates GmbH Vent
JP2018133374A (ja) * 2017-02-13 2018-08-23 株式会社東芝 圧力リリーフ機構
EP3306705B1 (en) 2016-10-04 2021-05-19 Kabushiki Kaisha Toshiba Pressure relief mechanism
JP2018078739A (ja) * 2016-11-10 2018-05-17 住友電装株式会社 外装通気部材
JP6724872B2 (ja) * 2017-06-29 2020-07-15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
CN109662655A (zh) * 2017-10-16 2019-04-23 青岛海尔施特劳斯水设备有限公司 一种水箱盖和水箱
US10986742B2 (en) * 2017-11-27 2021-04-2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Vent/drain covers, vented/drained enclosures, and methods of protecting vent/drain features in electronic assemblies
JP2019110096A (ja) * 2017-12-20 2019-07-04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109995170A (zh) * 2017-12-29 2019-07-09 北京佩特来电器有限公司 发电机
JP7040946B2 (ja) * 2018-01-15 2022-03-2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外装部材
KR102452791B1 (ko) * 2018-02-20 2022-10-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통기성 캡
US20190331312A1 (en) * 2018-04-25 2019-10-31 Jute Industrial Co., Ltd. Breathable element for lighting of vehicle
FR3081672B1 (fr) 2018-05-22 2021-04-09 A Raymond Et Cie Boitier de protection d'un dispositif electronique
EP3855873B1 (en) * 2018-09-21 2022-12-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ntilation mechanism for electronic equipment housing
JP7446233B2 (ja) * 2018-10-11 2024-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筐体
DE102019007454A1 (de) 2019-10-24 2021-04-29 Kaco Gmbh + Co. Kg Ventil zum Druckausgleich und/oder zur Notentlüftung eines Behälters, vorzugsweise eines Gehäuses einer Batterie von Elektrofahrzeugen, sowie Behälter mit einem solchen Ventil
DE102020119593A1 (de) * 2020-07-24 2022-01-27 Elringklinger Ag Gehäuseelement, Kombination aus einem Druckausgleichselement und einem Gehäuse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Kombination
US11866016B2 (en) * 2020-09-10 2024-01-09 Industrial Machine Service, Inc. Gas-liquid separating gas exchange device
CN114554743B (zh) * 2020-11-27 2023-10-03 北京亿华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透气装置以及电器设备
CN113484399B (zh) * 2021-05-20 2022-07-29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石墨烯膜的金属离子电池产气测试方法以及膜组件和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1304A (ja) * 2004-07-29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装置
JP2006135250A (ja) * 2004-11-09 2006-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制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974A (en) * 1982-12-13 1985-05-14 Imnetec Inc. Universal vent device and method for ostomy appliances
JPH01161507A (ja) * 1987-12-18 1989-06-26 Aisin Seiki Co Ltd 移動体上監視装置
JPH01161507U (ko) * 1988-04-30 1989-11-09
JPH03109202U (ko) * 1990-02-23 1991-11-11
JPH043307U (ko) 1990-04-24 1992-01-13
JPH0443307U (ko) * 1990-08-17 1992-04-13
JPH09135085A (ja) 1995-11-09 1997-05-20 Fujitsu Ten Ltd ケースの防水構造
US5891223A (en) * 1997-08-20 1999-04-06 Ultratech International, Inc. Multi-stage vent filter
US6524361B1 (en) * 2000-10-26 2003-02-25 Hubbell Incorporated Micro-porous filter
IT1319364B1 (it) * 2000-12-06 2003-10-10 Goglio Spa Luigi Milano Valvola selettrice di degasazione per contenitori di prodottiaromatici o odorosi, quali caffe' e simili.
JP2003336874A (ja) *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4213488B2 (ja) 2002-05-15 2009-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JP2004090875A (ja) * 2002-09-03 2004-03-25 Denso Corp 車載用電子制御装置
JP4498996B2 (ja) * 2005-08-10 2010-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筐体の通気構造
JP2007087666A (ja) * 2005-09-20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JP4560477B2 (ja) * 2005-11-15 2010-10-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および防水ケース
JP4672530B2 (ja) * 2005-11-1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US7678169B1 (en) * 2006-07-12 2010-03-16 Cummins Filtration Ip Inc. Oil fill cap with air/oil separator
JP2006332699A (ja) * 2006-07-28 2006-12-07 Keihin Corp 電子回路基板の収容ケース
JP5122347B2 (ja) * 2008-04-04 2013-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5205144B2 (ja) * 2008-07-02 2013-06-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JP5094644B2 (ja) * 2008-08-29 2012-12-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JP5253291B2 (ja) 2009-05-15 201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JP5746559B2 (ja) * 2011-05-19 2015-07-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
US20150070927A1 (en) * 2012-05-24 2015-03-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isture removal device, lighting device for mounting on vehicle, and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1304A (ja) * 2004-07-29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装置
JP2006135250A (ja) * 2004-11-09 2006-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制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31088A (ja) 2012-11-22
CN103503587A (zh) 2014-01-08
KR20140026519A (ko) 2014-03-05
JP5714402B2 (ja) 2015-05-07
EP2704542A1 (en) 2014-03-05
WO2012147240A1 (ja) 2012-11-01
US9120059B2 (en) 2015-09-01
EP2704542B1 (en) 2017-07-05
CN103503587B (zh) 2016-05-11
EP2704542A4 (en) 2015-08-12
US20140041520A1 (en)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036B1 (ko) 통기 유닛
KR101958035B1 (ko) 통기 유닛
KR102020681B1 (ko) 통기 구조
JP6150578B2 (ja) 通気部材
EP2787277B1 (en) Ventilation member
US9052119B2 (en) Ventilation member
JP2003336874A (ja)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WO2007058206A1 (ja) 通気部材
JP4498996B2 (ja) 筐体の通気構造
JP2014102970A (ja) 通気部材
WO2006062029A1 (ja) 通気部材と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および電装部品
JP5558761B2 (ja) 通気構造および通気部材
JP6132615B2 (ja) 通気部材
JP4555217B2 (ja) 通気部材と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および電装部品
JP5710359B2 (ja) 通気部材
JP6121210B2 (ja) 通気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