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028B1 -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028B1
KR101640028B1 KR1020140057564A KR20140057564A KR101640028B1 KR 101640028 B1 KR101640028 B1 KR 101640028B1 KR 1020140057564 A KR1020140057564 A KR 1020140057564A KR 20140057564 A KR20140057564 A KR 20140057564A KR 101640028 B1 KR101640028 B1 KR 101640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filter
water
filter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420A (ko
Inventor
이성근
조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to KR102014005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02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028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필터바디의 상면에 방수시트를 설치하여 사용과정에서 공기는 통과시키되, 물은 에어필터바디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필터층이 물에 젓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와, 침수된 물만 제거하면 즉시 제품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구현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수통을 받쳐주는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냉온수기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에 삽입되며 중앙으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된 에어필터바디, 상기 에어필터바디의 통과공을 가로지른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층, 기 에어필터바디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통과공과 연결하여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이 관통 형성된 에어필터캡 및 상기 에어필터바디와 상기 에어필터캡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에어필터바디의 통과공 상면을 덮어준 상태에서 물의 유입은 차단하되, 외부 공기는 상기 통과공으로 통과시키도록 하는 방수시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에어필터{FILTER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에어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인 에어 필터에 방수 시트를 더 설치하여, 에어는 통과시키되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에어 필터를 제공함으로써, 에어 필터 층이 물에 의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물을 제거 시 즉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냉온수기는 생수통에 저장된 물을 냉각 및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냉수와 온수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 사무실이나 음식점, 가정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냉온수기는 일반적으로 직사각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냉수(저수) 저장탱크와 온수 저장탱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냉온수기로 생수를 공급하는 워터가드와, 상기 커버에 올려지며 내부에는 생수가 저장되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커버의 삽입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워터가드를 통해 상기 냉수(저수) 저장탱크로 생수를 공급하는 생수통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커버의 일측면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냉수(저수) 저장탱크 내부로 유입 되거나 냉수(저수) 저장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서 탱크 내부에 대기압이 걸리도록 하여 수위를 유지하게 하고 냉수 및 온수의 취출이 가능하게 해 준다.
그리고 종래의 냉온수기는 공기 유입구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에 함유된 각종 유해한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짐으로서 사용 과정에서 냉수/저수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수(저수)가 이물질 및 세균에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859067호 (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공기 유입 구에 헤파 필터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유해 이물질을 걸러내어 냉수(저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냉온수기는 사용 과정에서 생수통에 저장되어 있던 생수의 일부 혹은 워터가드에서 생수가 역류하여 생수통을 받쳐주는 커버의 상단 안치 홈에 고여지게 되는데, 이때 고여진 생수가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헤파필터를 적시게 되므로 필터의 기능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859067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는 에어필터바디의 상면에 방수시트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방수시트는 사용과정에서 에어는 통과시키되, 물은 에어필터바디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에어필터층이 침수 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수기 에어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수통을 받쳐주는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냉온수기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에 삽입되며 중앙으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된 에어필터바디, 상기 에어필터바디의 통과공을 가로지른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층, 기 에어필터바디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통과공과 연결하여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이 관통 형성된 에어필터캡 및 상기 에어필터바디와 상기 에어필터캡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에어필터바디의 통과공 상면을 덮어준 상태에서 물의 유입은 차단하되, 외부 공기는 상기 통과공으로 통과시키도록 하는 방수시트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생수통의 파손등으로 커버의 상부 안치홈에 물이 넘친 경우, 에어필터바디의 상면에 방수시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물이 에어필터바디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므로써 필터층이 물에 젖어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필터는 물에 침수되면 필터를 교체하여야만 제품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필터를 장착한 제품은 침수된 물만 제거하면 즉시 제품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에어필터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온수기는 저수탱크가 구비된 본체(10)로 외형을 구성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생수를 공급하는 수단인 커버(2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본체(10)에 올려지는 생수통(70)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커버(20)의 상면에는 생수통(70)을 받쳐줄 수 있도록 안치홈(2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22)의 중앙에는 삽입홀(24)이 더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24)의 중앙으로 워터가드(26)가 설치된다.
상기 워터가드(26)는 상기 커버(20)에 올려지는 생수통(70)에 저장되어 있는 생수를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저수탱크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측면에는 높이가 다른 2개의 통과 구멍이 내부의 구멍에 연결되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면의 통과구멍과 내부의 구멍을 통하여 생수를 통과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홀(24)이 형성된 상기 커버(20)의 일측에는 공기유입구(28)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구(28)는 외부의 공기가 냉수(저수) 저장탱크 내부로 유입 되거나 냉수(저수) 저장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서 탱크의 수위를 유지하게 하며 냉수 및 온수의 취출이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공기유입구(28)에는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 물질을 걸러내는 에어필터(30)가 더 설치된다.
첨부된 도 2는 상기 에어필터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에어필터(30)는 상기 공기유입구(28)에 삽입되며 중앙으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공(34)이 관통 형성된 에어필터바디(32)와, 상기 에어필터바디(32)의 통과공(34)을 가로지른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층(36) 및 상기 에어필터바디(32)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통과공(34)과 연결하여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40)이 관통 형성된 에어필터캡(3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에어필터(30)는 외부 공기가 상기 에어필터캡(38)의 연결구멍(40)을 통해 에어필터바디(32) 내부로 유입되면, 유입된 외부 공기는 필터층(3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상태에서 상기 에어필터바디(32)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통과공(34)을 통해 본체(10) 내부의 저수탱크로 유입되어지며, 탱크에 대기압이걸리게 하여 탱크의 수위를 유지하게 하고 냉수 및 온수의 취출이 가능하게 해 준다. 한편, 상기 에어필터바디(32)와 상기 에어필터캡(38) 사이에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방수시트(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방수시트(50)는 공기는 통과시키되, 물은 통과시키지 않도록 가공 처리된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한 방수시트(50)는 상기 에어필터캡(38) 및 상기 에어필터바디(32)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에어필터바디(32)의 통과공(34) 상면을 덮어주게 되며, 이를 통해 외부 공기는 상기 방수시트(50)를 통과하여 통과공(34)을 통해 본체(10) 내부의 저수탱크로 유입될 수 있으나 물은 상기 방수시트를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통과공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층이 물의 유입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즉, 냉온수기는 사용과정에서 생수통(70)에 저장되어 있는 생수의 일부 혹은 워터가이드(26)에서 생수가 역류하여 생수통(70)을 받쳐주는 커버(20)의 상단 안치홈(22)에 고여있는 경우가 많은 데, 이때 고여진 생수의 일부가 상기 공기유입구(28)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필터(30)로 유입될 경우, 물에 취약한 구조인 필터층(34)이 침수로 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에어필터바디(32)와 상기 에어필터캡(38) 사이에 방수시트(50)를 설치함으로서 필터층(36)이 설치된 통과공(34)으로 생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됨으로서 필터층(36)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에어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필터는 물에 침수되면 필터를 교체하여야만 제품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필터를 장착한 제품은 침수된 물만 제거하면 즉시 제품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에어필터바디(32)의 둘레에는 돌기상면 부(33)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33) 위로 상기 방수시트(50)가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33)에 접촉하는 상기 방수시트(50)의 접촉면을 열 융착시켜 방수시트(50)를 에어필터바디(32)의 상면에 접합 고정토록 한다. 상기 돌기부(33)는 상기 방수시트(50)를 열 융착할 때, 쉽게 녹아내려 방수시트(50)의 접합력을 높일 목적으로 제공된다.
10: 본체 30: 에어필터
32: 에어필터바디 50: 방수시트

Claims (2)

  1. 생수통(70)을 받쳐주는 커버(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구(28)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냉온수기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28)에 삽입되며 중앙으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공(34)이 관통 형성된 에어필터바디(32);
    상기 에어필터바디(32)의 통과공(34)을 가로지른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층(36);
    상기 에어필터바디(32)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통과공(34)과 연결하여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40)이 관통 형성된 에어필터캡(38) 및;
    상기 에어필터바디(32)와 상기 에어필터캡(38)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에어필터바디(32)의 통과공(34) 상면을 덮어준 상태에서 물의 유입은 차단하되, 외부 공기는 상기 통과공(34)으로 통과시키도록 하는 방수시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에어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바디(32)의 상면 둘레에는 돌기부(33)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33) 위로 상기 방수시트(50)가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33)에 접촉하는 상기 방수시트(50)의 접촉면을 열 융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에어필터.















KR1020140057564A 2014-05-14 2014-05-14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KR10164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64A KR101640028B1 (ko) 2014-05-14 2014-05-14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64A KR101640028B1 (ko) 2014-05-14 2014-05-14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420A KR20150131420A (ko) 2015-11-25
KR101640028B1 true KR101640028B1 (ko) 2016-07-18

Family

ID=5484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64A KR101640028B1 (ko) 2014-05-14 2014-05-14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1694A1 (de) * 2015-12-14 2017-06-1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Luftreiniger mit Zusatzfunk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5960A (ja) 2010-05-10 2011-12-22 Air Water Inc 飲料水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845A (ko) * 2002-01-21 2003-07-28 이우현 냉 온수기의 워터가이드
KR100859067B1 (ko) 2007-06-08 2008-09-17 이성근 공기 여과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1367205B1 (ko) * 2009-09-23 2014-03-12 현봉석 가스배출용 패킹
JP5714402B2 (ja) * 2011-04-27 2015-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5960A (ja) 2010-05-10 2011-12-22 Air Water Inc 飲料水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420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5638A (zh) 吸滤器
KR102053784B1 (ko) 정수기용 냉수 탱크
KR101640028B1 (ko)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KR101328039B1 (ko) 수영장 또는 목욕장용 여과기
RU2730537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ерколяционного типа
KR20150131423A (ko) 냉온수기의 에어필터
KR101507771B1 (ko) 도금액 여과용 필터 하우징
KR200437653Y1 (ko) 정수기용 필터
JP2013136812A5 (ko)
JP2015512783A (ja) 液体を浄化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674609B2 (ja) 集塵装置及び集塵装置の洗浄方法
ES2336560T3 (es) Aparato de planchado que comprende un filtro.
US20200299152A1 (en) Combined water heater and water treatment unit
RU2016134232A (ru) Увлажнитель для увлажнения аэрозоля
KR101908118B1 (ko) 온수 매트 보일러용 필터 장치
KR200419584Y1 (ko) 냉온수기용 워터 가이드
JP2010007897A (ja) 噴霧装置の貯液タンク
CN112678899B (zh) 净水设备
KR102222068B1 (ko) 물저장탱크
KR102040685B1 (ko) 수처리장치
KR20120005304U (ko)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KR102201813B1 (ko) 수처리장치
CN112678898B (zh) 净水设备
JP2006341143A (ja) フィルタ装置
JP2008154851A (ja) ろ過器具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水出しコーヒー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