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304U -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304U
KR20120005304U KR2020110000321U KR20110000321U KR20120005304U KR 20120005304 U KR20120005304 U KR 20120005304U KR 2020110000321 U KR2020110000321 U KR 2020110000321U KR 20110000321 U KR20110000321 U KR 20110000321U KR 20120005304 U KR20120005304 U KR 201200053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water
filter assembly
raw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889Y1 (ko
Inventor
강대병
Original Assignee
강대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병 filed Critical 강대병
Priority to KR2020110000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88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8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0Pressure-related systems for filters
    • B01D2201/202Systems for applying pressure to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와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상기 원수공급관 일측에 구비되어 원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이송시키는 원심펌프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며, 여과되지 못한 원수를 회수하는 원수회수관과, 상기 원수공급관과 원수회수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원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구비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순환경로를 형성 또는 폐쇄하는 바이패스 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순환경로는 정수기의 재기동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원심펌프가 작동하여 설정시간 동안 원수를 순환시키고,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차폐되면서 상기 순환경로가 폐쇄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원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필터어셈블리와 원심펌프 사이의 공기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초기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 supply tank }
본 고안은 교체방식의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과 연결되는 배관을 통해 수돗물 혹은 지하수를 공급받아 필터를 통해 정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깨끗한 물을 제공하여 음용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수기에서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을 거르기 위하여 주로 역삼투압 방식의 필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역삼투압필터에서는 필터막을 통과한 원수만 정수로 공급되고, 필터막을 통과하지 못한 나머지 원수는 폐수로 방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에서는 상수원과 원수공급관이 직접 연결되어 원수가 원활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원수가 역삼투압필터를 통과하기 위한 압력이 충분히 제공되므로, 원활하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수원과 원수공급관이 직접 연결되지 못하는 지역에서는 이와 같은 정수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정수기 중에는 정수기의 외부 일측에 원수통을 구비하고, 상기 원수통에 수용된 물을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필터로 이송시키는 형태의 정수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서는 원수통에 수용된 원수를 필터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원심펌프에는 자흡성능이 미약하거나 결여되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원심펌프는 유체의 속도 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전환하여 유체를 수송하게 되는데, 원심펌프 내부에 원수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하게 될 경우 자흡능력이 미흡하여 필터어셈블리가 원심펌프의 가압력에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원심펌프가 원수를 흡입하여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흡능력 및 가압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정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게다가, 정수기의 최초 이용 시 또는 정수기가 장기간 사용되지 않다가 재사용될 경우에는 원심펌프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공기층이 자흡능력을 더 떨어뜨려 원수통의 물을 흡입할 수 없게 됨으로써 서비스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원심펌프를 자흡성능이 우수한 펌프로 교체하게 될 경우, 펌프의 단가가 높아져 정수기의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심펌프와 필터부 사이에 바이패스 밸브를 설치하여 원수통과 원심펌프를 경유하는 원수의 순환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원심펌프가 상기 순환 경로를 통해 저항 없이 원수를 순환시켜 원심펌프 내부를 원수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원심펌프에 자흡력이 발생되고 가압력도 확보가 되도록 하여 원수를 필터어셈블리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폐시점을 제어하기 위하여 타이머 또는 유량감지센서가 포함되는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와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상기 원수공급관 일측에 구비되어 원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이송시키는 원심펌프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며, 여과되지 못한 원수를 회수하는 원수회수관과, 상기 원수공급관과 원수회수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원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구비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순환경로를 형성 또는 폐쇄하는 바이패스 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순환경로는 정수기의 재기동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원심펌프가 작동하여 설정시간 동안 원수를 순환시키고,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차폐되면서 상기 순환경로가 폐쇄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원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고안은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와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상기 원수공급관 일측에 구비되어 원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이송시키는 원심펌프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며, 여과되지 못한 원수를 회수하는 원수회수관과, 상기 원수공급관과 원수회수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원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구비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순환경로를 형성 또는 폐쇄하는 바이패스 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순환경로는 정수기의 재기동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원심펌프가 작동하여 원수를 순환시키고, 상기 바이패스관 일측에 구비되는 유량감지센서에 설정된 설정 값에 유량이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차폐되면서 상기 순환경로가 폐쇄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원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원수순환버튼에 의해서도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상기 바이패스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수기의 재기동시에는 항상 상기 바이패스관과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순환경로를 따라 원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원심펌프 내부에 원수가 충만하여 충분한 자흡능력이 발휘되고, 이와 같은 자흡능력에 의해 충분한 가압력이 발생되어 정수기의 초기 작동, 장기간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다가 재사용할 경우에도 필터어셈블리로 원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원수순환버튼이 더 구비되어 원수통의 교체 이후에 사용자가 직접 상기와 같은 순환경로를 따라 원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심펌프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 예인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의 외부케이스 일부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 예인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의 수배관도를 보인 도면.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제어구성을 보인 도면.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원수순환과정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제어구성을 보인 도면.
도 7 은 도 5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원수순환과정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 예인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의 외부케이스 일부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 예인 정수기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며 상면과 전면(前面) 일부분이 개구되어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前面)을 차폐하는 커버(2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을 차폐하는 탑커버(220)와,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前面) 상부를 차폐하는 전면상부커버(240) 및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前面) 하부를 차폐하는 전면하부커버(26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상부커버(240)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정수탱크(도 2 에서 도면부호 500) 내부에 수용된 정수 된 물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취출부(3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취출부(300)는 온수가 취출되는 온수취출부(340)와 냉수가 취출되는 냉수취출부(3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부(300)의 상측에는 정수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120)와, 아래에서 설명할 바이패스 밸브(720)에 작동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원수순환버튼(170)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120)에는 상기 원수통(600)의 물부족 여부에 따른 물통의 교체시기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와 원수순환 필요 여부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가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공간 하측에는 전술한 원수통(600)과 상기 원수통(600) 내부에 수용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400)가 구비되며, 상기 원수통(600)의 상측에는 저장통마개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원수통(600)의 하부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함몰부를 가지는 저장통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통 안착부의 폭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원수통(600)이 저장통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수통(600)의 후측으로 상기 필터어셈블리(400)가 구비되며, 이러한 필터어셈블리(400)는 전처리필터(420), 선카본필터(440), 역삼투압필터(460) 및 후카본필터(480)의 순서로 상기 원수통(600)에 구비된 원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 예인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의 수배관도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고, 도 3 에는 도 2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제어구성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며, 도 4 에는 도 2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원수순환과정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원수통(600)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원심펌프(900)를 통해 필터어셈블리(400)와 정수탱크(500)를 거쳐 취출부(300)를 통해 취출되어 사용자가 음용 가능하도록 하는 원수공급경로와, 상기 원수통(600)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를 통해 여과되지 못하고, 다시 상기 원수통(600)으로 회수되는 원수회수경로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원수통(600)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통마개를 관통한 원수공급관(660)이 원수통(600)의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까지 인입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원수공급관(660)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로 원수가 가압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원심펌프(9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심펌프(900)의 타측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400)가 연결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를 모두 통과하여 여과된 원수 즉, 정수는 원수공급관(660)을 통해 상기 정수탱크(500)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를 구성하는 역삼투압필터(460)에는 상기 정수탱크(500)로 공급되지 못한 원수를 다시 원수통(600)으로 회수하기 위한 원수회수관(68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원수회수관(680)은 상기 역삼투압필터(460)를 구성하는 멤브레인을 통과하지 못한 원수를 상기 원수통(600)으로 안내하여 버려지는 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원수회수관(680)에는 유량제한기(Flow Restrictor, 640)가 더 구비되어 회수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원수공급관(660)과 원수회수관(680) 사이에는 바이패스관(7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원수통(6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를 거치지 않고 순환할 수 있는 순환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바이패스관(700)은 상기 원심펌프(900)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심펌프(900)가 작동하게 될 경우 원수가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를 거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심펌프(900)의 자흡력이 별다른 저항 없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원심펌프(900)에 원수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심펌프(900)가 작동하게 되면, 미흡한 자흡성능에 의해 원수가 필터어셈블리(400)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가압력이 발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관(700)은 원심펌프(900)의 가압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상황까지 원수를 별다른 저항 없이 순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여 원심펌프(900) 내부에 원수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바이패스관(700)에는 상기와 같은 순환경로를 형성 또는 차폐하기 위한 바이패스 밸브(72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바이패스 밸브(720)가 개방(Open) 된 상태에서 상기 원심펌프(900)가 작동할 경우, 원수가 상기 원수공급관(660)과 바이패스관(700) 및 원수회수관(680)을 경유하는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하게 되고, 바이패스 밸브(720)가 차폐(Close) 된 상태에서는 상기 원심펌프(900)가 작동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로 원수를 가압하면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720)는 원심펌프(900)가 충분한 가압력을 발휘하여 원수가 필터어셈블리(400)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가압력이 발휘될 수 있을 경우에 차폐되고, 가압력이 미흡하여 원수가 필터어셈블리(400)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에는 개방되어 원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관(700)과 바이패스 밸브(720)를 이용하여 상기 원심펌프(900)가 충분한 가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본 고안에 따르면 우선 정수기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상기 정수탱크(500)에서는 수위센서를 통해 정수탱크(5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수위센서는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볼 탑 형태의 제 1 수위센서(520)와, 복수의 수위감지레벨을 구비하여 감지 레벨에 따라 정수탱크(5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5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위감지센서에서 저수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정수탱크(500) 내부에 물이 충만한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취출부(300)를 조작하기 전까지는 수위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저수위가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원심펌프(900)의 작동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원심펌프(900)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원수의 순환제어명령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심펌프(900)는 자흡성능이 미약하여 초기 작동이나 장기간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기동 시킬 경우 상기 원심펌프(900) 내부에 원수가 구비되지 않아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공기층은 상기 원수통(600)에 수용된 원수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로 공급하고자 할 때 원심펌프(900) 내부의 다이아프램이 실링(Sealing)이 되지 않아 자흡능력이 발휘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자흡능력이 발휘되지 않는 원심펌프(900)는 상기 역삼투압필터(460)의 멤브레인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원수를 가압하지 못하게 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에는 정수기가 동작을 멈추었다가 재기동할 때는 항상 제어부(800)에서 자동으로 상기 원심펌프(900)와 바이패스 밸브(7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원수가 바이패스관(700)을 통해 일정시간 동안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정수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원심펌프(900)에 원수가 충만하여 충분한 가압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바이패스관(700)을 통해 원수를 순환시키지 않고, 필터어셈블리(400)로 계속해서 원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원심펌프(9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원심펌프(900)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정수기의 초기 작동이나 장기간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사용하고자 할 경우 또는 원수통(600)의 교체 이후에는 이와 같은 공기층이 원심펌프(900)의 자흡력을 저하시키거나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정수기가 재 기동을 할 경우 항상 상기 제어부(800)에서 바이패스 밸브(720)를 개방하고, 상기 원심펌프(900)를 작동시켜 공기와 함께 원수통(600)에 수용된 원수를 전술한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공기층을 제거하여 원심펌프(900)의 자흡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원수의 순환은 타이머(820)에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상기 원심펌프(900)에 원수가 충만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를 원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가압력이 발휘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정시간 동안 원수가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하게 되면, 상기 원심펌프(900) 내부에는 공기층이 제거되고 원수가 충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에서는 원수의 순환이 이루어진 시간이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하였음으로 감지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720)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심펌프(900)에 의해 순환하던 원수는 상기 원심펌프(900)에 의해 생성된 가압력을 바탕으로 상기 원수공급관(660)을 통해 필터어셈블리(400)로 이송되어 여과된 뒤 상기 정수탱크(500)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500)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원심펌프(900)는 작동이 정지되고, 정수기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때까지 상기와 같은 과정은 반복해서 수행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의 재기동시는 물론 사용자가 원수통(600)을 교환 한 이후에도 원심펌프(900) 내부에 있는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수의 순환제어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면상부커버(240) 일측에 전술한 원수순환버튼(17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원수순환버튼(17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수순환버튼(170)은 정수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언제든지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원수순환버튼(170)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원심펌프(900)와 바이패스 밸브(7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원수가 바이패스관(700)을 통해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타이머(820)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원수의 순환시간을 제어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관(700)을 경유하는 원수의 유량을 확인하여 순환시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의 수배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도 5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제어구성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은 도 5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원수순환과정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720)의 개폐 시점의 제어기준을 결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유량감지센서(840)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감지센서(840)는 바이패스관(700)에 구비되어 바이패스관(700)을 따라 유동하는 원수의 양을 감지하게 된다.
상세히,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서도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정수기의 재기동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원수순환버튼(170)이 눌러졌을 경우, 상기 원심펌프(900)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720)를 개방하고 원수를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 밸브(720)가 개방되어 원수가 순환하게 되면, 상기 바이패스관(700)을 통과하는 원수의 양이 상기 유량감지센서(740)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유량감지센서(740)에서 감지되는 원수의 양이 상기 제어부(800)에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720)가 차폐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관(700)을 따라 유동하는 원수의 양은 상기 원심펌프(900)를 통과하여 감지되므로, 원심펌프(900)에 충분히 원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유량감지센서(740)에 감지되는 감지 값을 바이패스 밸브(720)의 차폐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어과정을 통해 바이패스 밸브(720)가 차폐되면 상기 원심펌프(900)에서 자흡성능을 발휘하여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은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로 원수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정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100..... 케이스 200..... 커버
300..... 취출부 400..... 필터어셈블리
500..... 정수탱크 600..... 원수통
660..... 원수공급관 680..... 원수회수관
700..... 바이패스관 720..... 바이패스 밸브
800..... 제어부 820..... 타이머
840..... 유량감지센서 900..... 원심펌프

Claims (4)

  1.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와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상기 원수공급관 일측에 구비되어 원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이송시키는 원심펌프;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며, 여과되지 못한 원수를 회수하는 원수회수관;
    상기 원수공급관과 원수회수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원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구비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순환경로를 형성 또는 폐쇄하는 바이패스 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순환경로는,
    정수기의 재기동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원심펌프가 작동하여 설정시간 동안 원수를 순환시키고,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차폐되면서 상기 순환경로가 폐쇄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원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2.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와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상기 원수공급관 일측에 구비되어 원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이송시키는 원심펌프;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원수통을 연결하며, 여과되지 못한 원수를 회수하는 원수회수관;
    상기 원수공급관과 원수회수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원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구비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순환경로를 형성 또는 폐쇄하는 바이패스 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순환경로는,
    정수기의 재기동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원심펌프가 작동하여 원수를 순환시키고, 상기 바이패스관 일측에 구비되는 유량감지센서에 설정된 설정 값에 유량이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차폐되면서 상기 순환경로가 폐쇄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원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원수순환버튼에 의해서도 개폐되는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상기 바이패스관에 마련되는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KR2020110000321U 2011-01-12 2011-01-12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KR200461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21U KR200461889Y1 (ko) 2011-01-12 2011-01-12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21U KR200461889Y1 (ko) 2011-01-12 2011-01-12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04U true KR20120005304U (ko) 2012-07-20
KR200461889Y1 KR200461889Y1 (ko) 2012-08-13

Family

ID=4687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321U KR200461889Y1 (ko) 2011-01-12 2011-01-12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8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906B1 (ko) 2021-10-13 2022-05-10 (주)메코텍티타늄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보관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097B1 (ko) * 2021-10-26 2022-07-06 최병렬 천연가스를 이용한 블루수소 생산장치와 원료 연소시 발생한 폐가스의 액화 장치, 고온의 증기를 이용한 증기 터빈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456Y1 (ko) 2002-10-25 2003-01-24 노정인 원수통이 내장된 정수기
KR200354955Y1 (ko) 2004-03-31 2004-07-01 (주) 시온텍 간이 급수 정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906B1 (ko) 2021-10-13 2022-05-10 (주)메코텍티타늄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보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889Y1 (ko) 201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2498B (zh) 一种浓缩水回用方法及一种带浓缩水回用的过滤系统
CN106830187A (zh) 具有防止反渗透膜二次污染功能的净水器
KR102020050B1 (ko) 정수기
KR200461889Y1 (ko)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JPH08132025A (ja) 浄水器の漏水感知装置
KR100927149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06666271U (zh) 反渗透膜净水装置和净水机
JP4807193B2 (ja) 軟水装置
JP2008286492A (ja) 加湿装置
KR20100084832A (ko) 드레인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얼음정수기
JP4726822B2 (ja) カセット式給水タンク
JP2009106882A (ja) 軟水器
CN204434332U (zh) 净水系统
CN206666273U (zh) 反渗透膜净水装置和净水机
KR20110026842A (ko) 정수기
KR20140078248A (ko) 정수기
KR101074960B1 (ko) 상방 역류형 정수 카트리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환형 정수장치
CN105380528B (zh) 咖啡机废水止漏装置及咖啡机
KR20130077383A (ko) 정수기
JP2017080733A (ja) 浄水器用原水供給装置
JP2010104907A (ja) 軟水化システム、並びに、給湯システム
JP2010221200A (ja) ロードヒ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気水分離器
CN205917781U (zh) 一种水箱组件以及净饮机
KR102223924B1 (ko) 정수기
CN109850994A (zh) 净水机之控制模块与u型滤胆仓之间的导电触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