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842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842A
KR20110026842A KR1020090084661A KR20090084661A KR20110026842A KR 20110026842 A KR20110026842 A KR 20110026842A KR 1020090084661 A KR1020090084661 A KR 1020090084661A KR 20090084661 A KR20090084661 A KR 20090084661A KR 20110026842 A KR20110026842 A KR 20110026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water tank
ho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고봉
신성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842A/ko
Publication of KR2011002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정수를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에 의해 정수 된 물을 공급받아 냉각 또는 가열하고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수용공간이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저수조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조와 냉수탱크를 구분하며, 상기 온수탱크로 상기 저수조에 유입되는 정수 된 물의 일부를 공급하는 냉/온수 분리판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적어도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선택적인 취출을 위한 취출수단과, 상기 취출수단에 의해 선택된 온도의 물이 취출되는 취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냉수탱크의 저면에는 상기 냉/온수 분리판의 장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홀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작업 시 냉수탱크에 수용된 냉수의 배출이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정수기, 냉수탱크, 온수탱크, 저수조, 냉/온수 분리판

Description

정수기 { A water purifier }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생성된 정수 된 물을 저장조에 저장한 뒤 이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수조에서는 저장된 정수(淨水)를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로 구분하여 공급하고,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로 공급된 정수(淨水)는 각각 냉각 또는 가열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의 물이 취출부를 통해 취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저수조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은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게 될 경우 세균번식에 의한 수질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위생적인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저수조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청소가 요구되며, 청소작업시에는 상기 저수조와 냉수 탱크 및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모두 배출한 이후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스탠드형 정수기와 같이 저수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정수기의 경우에는 상기 저수조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가 각각 분리 구성되어 냉수탱크와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수유로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저수용량의 데스크형 정수기에서는 저수조와 냉수탱크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냉/온수 분리판에 의해 구획되도록 구성되며,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은 냉수레버를 작동시켜 냉수취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냉수 배출경로는 냉수취출구가 냉수레버에 의해 기구적으로 개폐되는 기계식 정수기의 경우에는 사용 가능하나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전기적 접점을 통해 냉수취출구가 개방되는 전자식 정수기의 경우에는 청소 작업을 위해 정수기 전원을 차단한 이후에는 냉수의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기계식 데스크형 정수기의 경우에도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배출하기 위해서는 냉수레버의 개방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냉수레버의 구조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외부 배출을 위하여 냉수탱크와 저수조를 구획하는 냉/온수 분리판의 체결부에 배수홀이 마련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수탱크와 저수조를 구획하는 냉/온수 분리판의 분리 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적 접점 방식의 취출구조를 가지는 전자식 정수기에 전원공급이 차단된 이후에도 기구적으로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정수를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에 의해 정수 된 물을 공급받아 냉각 또는 가열하고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수용공간이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저수조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조와 냉수탱크를 구분하며, 상기 온수탱크로 상기 저수조에 유입되는 정수 된 물의 일부를 공급하는 냉/온수 분리판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적어도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선택적인 취출을 위한 취출수단과, 상기 취출수단에 의해 선택된 온도의 물이 취출되는 취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냉수탱크의 저면에는 상기 냉/온수 분리판의 장착을 위한 체결부가 형 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수탱크와 저수조를 구획하는 냉/온수 분리판의 체결부에 배수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온수 분리판을 분리하여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배수홀에 의해 전기적 접점방식의 냉/온수 취출구조를 가지는 정수기에서도 정수기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이후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홀은 상기 냉/온수 분리판을 통해 온수탱크로 정수 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공급관과 연통되어 온수탱크를 통해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배출경로가 필요치 않은 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채용된 정수기(1)는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케이스(100) 및 다수의 커버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부(500 도 5 참조)와 상기 필터부(500 도 5 참조)를 통해 정수 된 물이 수용되는 저수조(600) 및 상기 저수조(600)로부터 정수 된 물을 공급받아 각각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냉수탱크(640)와 온수탱크(620)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의 원활한 관리를 위하여 일정부분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구된 본체(10)의 일측 개구부에는 필터커버(2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필터커버(20)의 제거 이후 상기 필터부(500 도 5 참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부(500 도 5 참조)에는 원수에 포함된 찌꺼기나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세디먼트 필터와, 잔류 염소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여과시키기 위한 프리 카본필터, 중금속이나 이온성 물질, 미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 필터 및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된 물에 잔존하는 세균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필터가 포함되며, 상기 각 필터는 필터하우징(510)에 끼움 장착된다.
상기 본체(10)의 전측에는 전면 및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스(100) 가 장착되며, 상측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커버(30)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후면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110)가 상기 본체(10)의 전측 가장자리에 천공 형성된 체결홀(11)에 끼워지면서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보다 견고한 결합관계를 위해서는 체결부재를 이용하는 결합구조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되는 케이스(100)에는 정수기의 작동상태 확인은 물론,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200)가 마련되며, 상기 조작부(200)의 하측으로, 물의 취수를 위한 취출부(400)와 취출수단(30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취출수단(300)은 상기 온수탱크(620)에 수용된 온수의 취출을 위한 온수레버(320)와, 상기 냉수탱크(640)에 수용된 냉수의 취출을 위한 냉수레버(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부(400)는 상기 온수레버(320)를 조작하여 온수가 취출되는 온수취출구(420)와 냉수레버(340)의 조작시 냉수가 취출되는 냉수취출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에는 상기 취출부(40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떨어질 경우 이를 수용하기 위한 물받이(140)와 상기 물받이(140)의 상측에 장착되는 물받이 커버(1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140)는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을 사용자가 직접 비워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정수기(1)의 청소작업 시 온수탱크(620)에 저장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배출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온수배출홀(12)은 아래에서 설명할 온수배출관(626 도 5 참조)과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정수기(1)의 청소를 위하여 저수조(600)와 온수탱크(620) 및 냉수탱크(640)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냉/온수 분리판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냉/온수 분리판이 제거된 냉수탱크의 저면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냉/온수 분리판에 의한 정수 된 물의 공급 경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에서 상면커버(30)가 제거되고 저수조(600)를 차폐하고 있는 저수조 덮개(미도시)가 제거되면, 상기 저수조(600) 내부가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수조(600)의 녹 발생 방지와 수용용량의 증대를 위하여 사각 형상의 알루미늄 재질로 저수조(60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저수조(600)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필터부(500)를 통해 정수 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정수유입관(920)이 연결되어 있으며, 저수조(600) 내부의 수위 감지를 위한 수위감지수단(700)과 전술한 냉/온수 분리판(800)이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을 일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저수조(600) 내부에서 냉/온수 분리판(800)을 분리하게 되고, 냉/온수 분리판(800)이 분리되면 상기 저수조(600)의 하측에 위치한 냉수탱크(640)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러나게 된다.
즉, 상기 저수조(600)와 냉수탱크(64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의 상측은 정수 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600)를 형성하고, 하측은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수탱크(64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 저면(642)에는 사용자가 상기 냉수레버(340)를 조작할 경우 내부에 수용된 냉수를 상기 냉수취출구(440)로 안내하기 위한 냉수출수홀(644)이 형성되며, 상기 냉수출수홀(644)은 냉수출수관(641)을 통해 상기 냉수취출구(440)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정수유입관(920)을 통해 상기 저수조(600)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 된 물의 일부를 상기 온수탱크(620)로 공급하기 위한 정수유입홀(810)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은 상기 저수조(600)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淨水) 중 일부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면 중앙부분이 일정부분 함몰 형성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함몰된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정수유입홀(8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의 하부는 상기 정수유입홀(810)과 연통되는 관상(管狀)으로 형성되며, 하단 내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부(646)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의 하단이 상기 체결부(646)에 회전하면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장착되는 냉/온수 분리판(800)의 하단은 상기 온수탱크(620)로 정수 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정수공급관(624)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정수공급관(624)에는 체크밸브(625)가 더 구비되어 온수탱크(620)에 저장되는 온수가 상기 정수공급관(624)을 통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620)의 상측에는 온수탱크(620)가 가열되면서 발생 되는 가열 공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공기유동관(622)과, 사용자의 온수레버(320) 조작시 상기 온수취출구(420)와 연결되어 온수탱크(620)에 저장된 온수가 취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온수출수관(62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646)는 상기 냉수탱크(64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외면에는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의 단부 내면에 형성된 나선홈에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상승하는 나선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646)의 하단에는 상기 냉수탱크(64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정수공급관(62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홀(648)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배수홀(648)은 상기 체결부(646)의 하단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냉수탱크(640)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배수홀(648)로 유입되지 않으나,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이 제거되면, 상기 배수홀(648)이 노출되면서 상기 냉수탱크(640)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홀(648)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홀(648)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온수탱크(620)로 정수 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공급관(624)을 따라 상기 온수탱크(620)로 공급되고, 상기 온수탱크(62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온수탱크(620)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온수배출관(626)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홀(648)은 상기 냉수탱크(640)에 수용된 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에서 청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수의 유입을 차단한 이후 상기 저수조(600)와 온수탱크(620) 및 냉수탱크(64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배출되는 물은 정수 된 물이므로 사용자는 이와 같은 물을 모아 두었다가 저수조(600)와 온수탱크(620) 및 냉수탱크(640)를 세척할 때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우선, 상기 온수배출홀(12)을 통해 온수를 배출하고, 온수배출홀(12)에서 배출되는 물을 일정 용기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상부커버(30)와 저수조 덮개를 제거한 이후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을 회전시켜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온수 분리판(800)이 제거되면, 상기 냉/온수 분리판(800)에 의해 차폐되어 있던 배수홀(648)이 노출되면서, 상기 냉수탱크(640) 및 저수조(6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배수홀(648)로 유입되어 정수공급관(624)을 따라 온수탱크(620)로 이송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수탱크(640) 및 저수조(600)에서 배출되는 물을 별 도 용기에 저장할 필요 없이 상기 온수배출홀(12)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용기에 모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수과정을 통해 저수조(600)와 온수탱크(620) 및 냉수탱크(640)의 배수가 완료되면, 저수조(600)와 온수탱크(620) 및 냉수탱크(640)를 세척한 이후 별도 용기에 저장해둔 물을 이용하여 헹궈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헹굼 작업이 완료되면, 분리해둔 냉/온수 분리판(800)을 상기 체결부(646)에 장착한 이후 저수조 덮개 및 상부커버(30)를 장착하고, 온수배출홀(12)을 차폐한 이후 원수를 재공급함으로써 정수기(1)의 청소작업이 완료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냉/온수 분리판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냉/온수 분리판이 제거된 냉수탱크의 저면을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냉/온수 분리판에 의한 정수 된 물의 공급 경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정수기 10...... 본체
12...... 온수배출홀 100..... 케이스
300..... 취출수단 400..... 취출부
600..... 저수조 620..... 온수탱크
624..... 정수공급관 626..... 온수배출관
640..... 냉수탱크 642..... 냉수탱크 저면
644..... 냉수출수홀 646..... 체결부
648..... 배수홀 800..... 냉/온수 분리판
810..... 정수유입홀

Claims (6)

  1. 내부에 정수를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에 의해 정수 된 물을 공급받아 냉각 또는 가열하고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수용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저수조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조와 냉수탱크를 구분하며, 상기 온수탱크로 상기 저수조에 유입되는 정수 된 물의 일부를 공급하는 냉/온수 분리판;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적어도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선택적인 취출을 위한 취출수단;
    상기 취출수단에 의해 선택된 온도의 물이 취출되는 취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냉수탱크의 저면에는 상기 냉/온수 분리판의 장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홀이 마련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냉/온수 분리판의 분리 시 상기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냉/온수 분리판을 통해 온수탱크로 정수 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공급관과 연통되는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체결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체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은 상기 냉/온수 분리판의 분리 시 상기 배수홀을 통해 온수탱크로 유입되어 온수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기.
KR1020090084661A 2009-09-08 2009-09-08 정수기 KR20110026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61A KR20110026842A (ko) 2009-09-08 2009-09-08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61A KR20110026842A (ko) 2009-09-08 2009-09-08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842A true KR20110026842A (ko) 2011-03-16

Family

ID=4393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661A KR20110026842A (ko) 2009-09-08 2009-09-08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68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90B1 (ko) * 2011-07-08 201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80076B1 (ko) * 2013-05-10 2015-01-09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US9249038B2 (en)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102574178B1 (ko) * 2022-11-16 2023-09-04 주식회사 비.엘.아이 착탈식 물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9038B2 (en)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101426590B1 (ko) * 2011-07-08 201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80076B1 (ko) * 2013-05-10 2015-01-09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2574178B1 (ko) * 2022-11-16 2023-09-04 주식회사 비.엘.아이 착탈식 물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110026842A (ko) 정수기
KR20170142434A (ko) 정수기
KR102394470B1 (ko)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KR100852741B1 (ko) 냉장고의 디스펜스부
KR101146481B1 (ko) 정수기
CN110862166A (zh) 多功能水处理机
KR101564133B1 (ko) 정수기
CN216294756U (zh) 一种集成消毒柜
KR101074960B1 (ko) 상방 역류형 정수 카트리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환형 정수장치
CN214031752U (zh) 净饮机
KR200472378Y1 (ko) 스마트형 파우셋
CN213012230U (zh) 带预警功能的智能餐饮油污水处理设备
KR20110055883A (ko) 정수기
KR101584815B1 (ko) 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KR101291981B1 (ko) 빌트인 정수기
JP647098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594182B1 (ko) 데스크 및 스탠드형 정수기의 공용케이스
JP3819320B2 (ja) 浄水器
KR20110055877A (ko) 정수기
CN220684772U (zh) 一种多功能的切削废液回收装置
KR101180261B1 (ko) 정수기
CN219228682U (zh) 一种宠物净饮机
CN212199426U (zh) 氢气产生装置
KR101152749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피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