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261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261B1
KR101180261B1 KR1020100089392A KR20100089392A KR101180261B1 KR 101180261 B1 KR101180261 B1 KR 101180261B1 KR 1020100089392 A KR1020100089392 A KR 1020100089392A KR 20100089392 A KR20100089392 A KR 20100089392A KR 101180261 B1 KR101180261 B1 KR 10118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level sensing
reservoi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664A (ko
Inventor
강대병
Original Assignee
강대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병 filed Critical 강대병
Priority to KR102010008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2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저장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와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에 있어서,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여과될 원수가 수용되는 원수저장통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원수저장통의 안착위치를 제공하여 원수저장통의 하중이 전달되는 저장통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저장통 가이드에 의해 일측이 가압되고, 원수의 사용량에 따른 가압력의 가변상태에 대응하여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를 감지하는 교환시기 감지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수위감지 변형부와,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의 탄성변형 정도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수위감지 브라켓과,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선택적으로 접하면서 온/오프되는 수위감지 스위치와,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의 이동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변형에 따른 수위감지 스위치의 감도를 조절하는 텐션조절구가 포함되어 상기 텐션조절구의 회전방향에 따라 교환시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레벨이 조절된다. 이에 의하면,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 A water purifier }
본 발명은 원수저장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과 연결되는 배관을 통해 수돗물 혹은 지하수를 공급받아 필터를 통해 정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깨끗한 물을 제공하여 음용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는 주로 역삼투압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역삼투압 방식의 필터가 구비되는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침전필터, 모터펌프, 선카본필터, 폐수방출구, 역삼투압필터, 후카본필터, 유브이 살균장치 및 정수탱크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역삼투압필터에서 정수와 폐수로 유입된 원수가 분리되고 상기 폐수는 상기 폐수방출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에서는 상수원과 직접 배관을 통해 원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수도배관이 용이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이와 같은 정수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기 외부 일측에 원수저장통을 구비하고, 상기 원수저장통에 수용된 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필터로 이송시키는 형태의 정수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형태의 정수기에서는 별도의 원수저장통 설치공간을 더 요하게 되며, 외부로 원수저장통이 드러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별도의 원수저장통이 구비되는 정수기의 경우, 물 부족상태를 확인하여 원수저장통을 교환해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감지가 요구되며, 이러한 교환시기감지는 주로 저수조 내부에 플로트를 이용하는 기구 방식의 수위센서나, 저수조 내부의 정전용량(Electric capacity)을 측정하는 전기적 방식의 수위 센서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환시기 감지방식은 저수조 내부에 구비되므로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저장탱크 외부에 구비되고,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저장통의 수위에 따른 가압력의 변화상태에 대응하여 원수저장통의 교체시기가 감지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수저장통의 수위변화에 따른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 감지레벨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와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에 있어서,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여과될 원수가 수용되는 원수저장통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원수저장통의 안착위치를 제공하여 원수저장통의 하중이 전달되는 저장통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저장통 가이드에 의해 일측이 가압되고, 원수의 사용량에 따른 가압력의 가변상태에 대응하여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를 감지하는 교환시기 감지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수위감지 변형부와,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의 탄성변형 정도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수위감지 브라켓과,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선택적으로 접하면서 온/오프되는 수위감지 스위치와,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의 이동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변형에 따른 수위감지 스위치의 감도를 조절하는 텐션조절구가 포함되어 상기 텐션조절구의 회전방향에 따라 교환시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레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의 상하 이동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는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에 설치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에는 상기 저장통 가이드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가압력 전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력 전달부의 전단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통 가이드에는 상기 원수저장통의 교환 시 인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바퀴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수기의 교환시기 감지장치가 저수조의 외부에 구비되어 설치 및 교환 등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되고, 사용자가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교환시기 감지레벨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는 원수저장통의 일측을 탄성지지하고 있으므로, 원수저장통의 수위가 줄어들면서 원수저장통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저수위에서도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원수저장통에 의해 저수조로 물 공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를 감지하기 위한 교환시기 감지장치의 설치위치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교환시기 감지장치의 세부구성을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교환시기 감지과정을 보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교환시기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레벨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며, 복수의 커버에 의해 외관 및 정수 및 냉/온수의 생성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는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커버(10)에 베이스 플레이트(80)와 탑커버(20), 어퍼커버(30), 로워커버(40) 및 사이드커버(50)가 결합되어 외관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커버(10)에는 복수의 체결홀과 결합단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는 상기 베이스커버(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정수기(1)의 저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의 상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원수저장통(600)과 상기 원수저장통(600)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저장통 가이드(800) 및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교환시기를 감지하기 위한 교환시기 감지장치(500)가 구비된다.
상기 탑커버(20)는 상기 베이스커버(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정수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하측에 구비되는 정수저장탱크(700)의 청소 등의 작업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30)는 상기 정수기(1)의 전면(前面)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후측에 구비되는 제어부(100)와 취출부(300) 등을 보호하며, 물받이(60)의 장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물받이(60)는 상기 어퍼커버(30)에 끼움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커버(30)에는 디스플레이(120)가 구비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온수 또는 냉수의 취출정보는 물론,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물부족 상태 등을 도시하여 사용자가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어퍼커버(30)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정수저장탱크(700)에 수용된 정수 된 물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취출부(3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취출부(300)는 온수가 취출되는 온수취출부(340)와 냉수가 취출되는 냉수취출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로워커버(40)는 상기 어퍼커버(30)의 하측에서 정수기(1)의 전면(前面)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로워커버(40)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에 결합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로워프레임(42)과 상기 로워프레임(42)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장착되는 데코플레이트(44)를 포함된다.
상기 사이드커버(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0)와 탑커버(20), 어퍼커버(30) 및 로워커버(40)가 결합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구성에 끼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커버(50)는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커버(50)의 분리 이후 필터어셈블리(400)의 교환과 같은 서비스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후면은 냉매의 순환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한 응축기(14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1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 및 베이스커버(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의 상측에는 저장통 가이드(80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이 수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인출/입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에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하면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저장통 안착부(810)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이동바퀴(840)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82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에는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 일측으로 교환시기 감지장치(500)가 구비된다.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500)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원수가 부족할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구성이며, 상세 설명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10)에는 복수의 구획판이 더 구비된다.
상기 구획판은 정수기(1)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냉수 또는 온수 및 정수의 취출을 위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상측으로 2개의 구획판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구분된 설치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구획판의 개수를 가변하여 설치공간을 보다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상측에 제 1 구획판(92)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구획판(92)에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에 수용된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어셈블리(400)와, 원수 및 정수의 순환을 위한 펌프(900) 및 압축기(120) 등이 설치된다.
상기 구획판에 설치되는 구성들은 공간 활용을 위해 구획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필터어셈블리(400)가 제 1 구획판(92)의 하측에 설치되고, 압축기(120) 및 펌프(900)가 제 1 구획판(92)의 상측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구획판(92)의 상측에는 또 다른 설치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2 구획판(94)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구획판(94)은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를 거쳐 여과된 원수와 냉수 및 온수의 저장공간이 마련된다.
즉, 상기 제 2 구획판(94)에는 하면에 온수탱크(740)가 설치되고, 상면에 정수저장탱크(700)가 구비되며, 상기 정수저장탱크(700)의 내부에는 분리판(710) 및 이에 의회 구획되어 냉수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냉수탱크(720)가 형성된다.(도 4 참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배관도를 살펴본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펌프(900)를 통해 필터어셈블리(400)와 정수저장탱크(700)를 거쳐 취출부(300)를 통해 취출되어 사용자가 음용 가능하도록 하는 원수공급경로와, 상기 원수저장통(600)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를 통해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를 상기 원수저장통(600)으로 회수하는 폐수회수경로가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내부에는 원수공급관(660)이 원수저장통(600)의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까지 인입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원수공급관(660)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400)로 원수가 고압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펌프(900)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900)는 고압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다이아프레임 펌프가 사용되며, 다이아프레임 펌프의 경우 자흡성능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상기 원수공급관(660)의 내측에 원수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원수공급관(660) 일측에는 상기 펌프(900)와 원수저장통(600) 사이에 체크밸브(662)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체크밸브(622)와 원수저장통(600) 사이에는 솔레노이드밸브(6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90)는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500)에 의해 감지되는 원수저장통(600)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한편, 상기 펌프(900)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400)는 주로 큰 입자를 포집하는데 사용되는 전처리필터(420)와, 활성 탄소의 미세공극을 통해 미생물과 불순물을 흡착하여 원수를 여과하는 선카본필터(440)와, 역삼투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고압으로 분사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하는 역삼투압필터(460) 및 상기 선카본필터(440)와 동일 기능의 후카본필터(480)가 순차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필터어셈블리(4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는 상기 정수저장탱크(700)에 원수공급관(660)을 통해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저장탱크(700)에 수용되는 정수는 냉수탱크(720)와 온수탱크(740)로 구분되어 수용되며, 상기 냉수탱크(720)에 저장되는 원수는 상기 압축기(120)와 응축기(140)를 포함하는 냉매의 순환사이클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온수탱크(740)에 구비되는 정수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히터와 같은 발열부재를 통해 가열되어 일정온도로 보관된다.
한편, 상기 정수저장탱크(700) 내부에는 플로트(760)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760)는 수위에 따라 원수공급관(66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플로트(760)는 상기 정수저장탱크(700) 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을 넘어서는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적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냉수탱크(720)와 온수탱크(740)로 구분되어 수용되는 정수는 상기 냉수취출부(320)와 온수취출부(340)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냉수와 온수가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온수 취출의 경우 고온의 온수가 취출 될 때 화상 우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온수드레인벨브(7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400) 일측에는 상기 정수저장탱크(700)로 공급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가 상기 원수저장통(600)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폐수회수관(680)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폐수회수관(680)의 일측은 상기 역삼투압필터(460)로 상기 펌프(900)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의 원수 중 멤브레인 즉, 역삼투막을 통과하지 못한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상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원수저장통(600)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결되어 폐수가 상기 원수저장통(600)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폐수회수관(680)에는 상기 멤브레인의 폐수량을 조절하는 유량제한기(Flow Restrictor,68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폐수회수관(680)에 의해 회수되어 상기 원수저장통(600) 내부로 수용되는 폐수에 의해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내부에는 총용존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 : TDS, 이하 ‘티디에스’라고 함.)의 수치가 증가하게 되어 수질이 나빠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증가하는 티디에스(TDS) 수치를 감지하기 위한 티디에스(TDS) 센서(66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티디에스(TDS) 센서(664)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에서 상기 정수저장탱크(700)로 공급되는 원수의 이동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원수공급관(660)을 통해 이송되는 원수에 포함된 티디에스(TDS) 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티디에서(TDS)센서의 감지정보는 수질확인의 기준이 되며, 수질이 좋지 않을 경우 원수저장통(600)의 교환과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120)로 도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도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원수저장통(600)의 수질에 따른 교환시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에서는 원수저장통(600)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원수저장통(600)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시기 감지장치(500)가 구비된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를 감지하기 위한 교환시기 감지장치의 설치위치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교환시기 감지장치 세부구성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5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 일측에서 탄성에 의해 일정 범위에서 유동가능하며,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와 간섭되어 가압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500)에는 가압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 되는 수위감지 스위치(520)와,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와 간섭되는 수위감지 브라켓(510) 및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에 탄성을 제공하는 수위감지 변형부(5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은 판재가 복수회 절곡되어 대략“
Figure 112010059287297-pat00001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일면에는 수위감지 스위치(520)의 설치를 위한 스위치 체결공(516)이 마련된다. 즉,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은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540)에 의해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칭로드(52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설치 완료된 수위감지 스위치(520)는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스위칭로드(522)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540)는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내측에서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외압에 의한 탄성 변형 정도에 따라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온/오프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540)의 변형을 위한 압력은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수위에 의해 결정된다.
상세히,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에는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무게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판 형상의 가압력 전달부(512)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력 전달부(512)는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일면에서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 방향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와 베이스 플레이트(80)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력 전달부(512)의 전단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가 접근하게 될 경우 경사면을 따라 상기 가압력 전달부(512)가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수저장통(600)에 물이 일정량 이상 수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540)의 탄성 복원력보다 강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위치변화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칭로드(522)가 베이스 플레이트(80)에 접하여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원수저장통(600)에 수용된 원수의 양이 일정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540)의 복원력이 가압력 보다 크게 작용하여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오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540)에는 외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546)와, 상기 탄성부재(546)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하우징(544)과, 상기 탄성부재 하우징(544)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 지지부(542)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에는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540)에 의해 수위감지 브라켓(510)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안내 가이드(56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안내 가이드(5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에는 상기 이동안내 가이드(560)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스토퍼 체결홀(514)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체결홀(514)은 상기 이동안내 가이드(560)가 수용되어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최대 상승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퍼(570)는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상측에서 상기 스토퍼 체결홀(514)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안내 가이드(560)에 결합 된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에는 텐션조절홀(518)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조절홀(518)에는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540)와 수위감지 브라켓(51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변형에 따른 수위감지 스위치(520)의 감도를 조절하는 텐션조절구(53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텐션조절홀(518)은 상기 탄성부재(546)의 상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조절구(530)에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텐션조절홀(518)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텐션조절구(5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46)의 텐션 전달정도가 달라지게 되면서 교환시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레벨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교환시기 감지과정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원수저장통(600) 내부에 수용된 원수의 양이 충분할 경우에는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546)의 복원력보다 강하게 작용하여 수위감지 브라켓(510)이 베이스 플레이트(8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의 스위칭로드(522)가 베이스 플레이트(80)와 접하여 가압되면서 수위감지 스위치(520)는 온(On) 상태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의 온(On) 상태가 전달되면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수위가 충분한 것으로 인지하고 별도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반면,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원수 사용량이 증가하여 수위가“H”에서“H'”로 줄어들게 되면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546)의 복원력보다 약하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은 상기 탄성부재(546)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스위칭로드(522)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에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는 오프(Off) 상태가 되며 이를 감지한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원수저장통(600)의 수위가 줄어들어 원수저장통(600)을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원수저장통(600)의 교환을 위한 정보를 도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로워커버(40)를 제거한 다음 상기 원수저장통(600)을 인출하여 교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저장통 가이드(800)에 구비된 손잡이(820)와 이동바퀴(84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수저장통(600)의 교환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수위감지레벨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다.
도 8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교환시기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레벨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텐션조절구(5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기 텐션조절구(530)가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탄성부재(546)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546)의 복원력이 보다 강하게 수위감지 브라켓(510)으로 전달됨으로써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의 감지레벨이 보다 높은 수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텐션조절구(5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에는 상기 텐션조절구(530)가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546)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546)의 복원력이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510)으로 보다 약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감지 스위치(520)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수위감지 스위치(510)의 감지레벨이 보다 낮은 수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100..... 제어부 300..... 취출부
400..... 필터어셈블리 500..... 교환시기 감지장치
510..... 수위감지 브라켓 512..... 가압력 전달부
520..... 수위감지 스위치 530..... 텐션조절구
540..... 수위감지 변형부 542..... 탄성부재 지지부
544..... 탄성부재 하우징 546..... 탄성부재
560..... 이동안내 가이드 570..... 스토퍼
600..... 원수저장통 800..... 저장통 가이드
810..... 저장통 안착부 820..... 손잡이
840..... 이동바퀴

Claims (5)

  1. 삭제
  2.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와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에 있어서,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여과될 원수가 수용되는 원수저장통;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원수저장통의 안착위치를 제공하여 원수저장통의 하중이 전달되는 저장통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저장통 가이드에 의해 일측이 가압되고, 원수의 사용량에 따른 가압력의 가변상태에 대응하여 원수저장통의 교환시기를 감지하는 교환시기 감지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수위감지 변형부와,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 변형부의 탄성변형 정도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수위감지 브라켓과,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선택적으로 접하면서 온/오프되는 수위감지 스위치와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의 이동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변형에 따른 수위감지 스위치의 감도를 조절하는 텐션조절구;가 포함되어
    상기 텐션조절구의 회전방향에 따라 교환시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레벨이 조절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의 상하 이동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 가이드가 구비되는 정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는,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에 설치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구가 포함되는 정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 브라켓에는
    상기 저장통 가이드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가압력 전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력 전달부의 전단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정수기.
KR1020100089392A 2010-09-13 2010-09-13 정수기 KR10118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392A KR101180261B1 (ko) 2010-09-13 2010-09-1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392A KR101180261B1 (ko) 2010-09-13 2010-09-13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664A KR20120027664A (ko) 2012-03-22
KR101180261B1 true KR101180261B1 (ko) 2012-09-06

Family

ID=4613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392A KR101180261B1 (ko) 2010-09-13 2010-09-1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2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96Y1 (ko) 2002-05-24 2002-08-21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염소용기의 잔량 표시장치
KR200365863Y1 (ko) 2004-05-31 2004-10-27 (주)원봉 냉.온수기
KR200369055Y1 (ko) 2004-08-24 2004-12-04 (주)원봉 냉.온수기의 정수장치
KR100691768B1 (ko) 2004-12-30 2007-03-12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정립식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96Y1 (ko) 2002-05-24 2002-08-21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염소용기의 잔량 표시장치
KR200365863Y1 (ko) 2004-05-31 2004-10-27 (주)원봉 냉.온수기
KR200369055Y1 (ko) 2004-08-24 2004-12-04 (주)원봉 냉.온수기의 정수장치
KR100691768B1 (ko) 2004-12-30 2007-03-12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정립식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664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864B1 (ko)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JP5529199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210825540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US6872306B2 (en) Multifunctional pure water maker
KR20170142434A (ko) 정수기
KR101180261B1 (ko) 정수기
KR20090095052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27149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187084B (zh) 水盒组件与蒸汽消毒柜
CN209629475U (zh) 一种多功能饮水茶艺机
KR20110026842A (ko) 정수기
CN106073511A (zh) 带过滤功能的即热式饮用水加热装置
CN108457335B (zh) 一种城市居民节水装置
KR101074960B1 (ko) 상방 역류형 정수 카트리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환형 정수장치
KR200461889Y1 (ko) 원수통이 구비되는 정수기
CN216170231U (zh) 一种纯水装置的废水回收结构
KR20110055883A (ko) 정수기
KR100495694B1 (ko) 보조여과탱크를 갖는 상수도 여과장치
KR101584815B1 (ko) 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CN206089070U (zh) 一种移动式净水器
CN204607767U (zh) 冷热分离净水器
KR200428136Y1 (ko) 단체 급수를 위한 대용량 분수형 정수기
CN101008525A (zh) 矿山净化水热水器
KR20140036611A (ko) 정수기
CN218890235U (zh) 一种环保型一体化生活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