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768B1 - 정립식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정립식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768B1
KR100691768B1 KR1020040117339A KR20040117339A KR100691768B1 KR 100691768 B1 KR100691768 B1 KR 100691768B1 KR 1020040117339 A KR1020040117339 A KR 1020040117339A KR 20040117339 A KR20040117339 A KR 20040117339A KR 100691768 B1 KR100691768 B1 KR 10069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water
bottled
suction pipe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200A (ko
Inventor
박정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Priority to KR102004011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7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립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생수가 저장되는 생수용기를 간편하게 냉온수기에 수납할 수 있고, 생수용기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보관 등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는,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가열/냉각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생수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생수용기 수납수단,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생수용기 수납수단은, 상기 캐비넷의 생수용기 수납실에 가이드수단(62)을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61a),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며 상기 생수용기가 수용되는 제2플레이트(61b), 상기 제1/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수납플레이트(61) 및 상기 수납플레이트이 제1,2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에 수용되는 상기 생수용기의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웨이트 센서(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수수단은 생수흡입관을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생수흡입관을 수동으로 생수용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냉온수기, 정립식, 생수용기, 비닐, 박스, 생수흡입관, 승강

Description

정립식 냉온수기{A ERECT STANDING WATER COOLING AND HEATING UNI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수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의 커버가 열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용기 수납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용기와 생수용기 박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용기와 생수용기 박스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공급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공급수단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가이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용기 마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흡입관의 다른 예의 설치 상태를 보인 냉온수기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흡입관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정립식 냉온수기에 따른 생수흡입관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정립식 냉온수기의 생수흡입관에 적용된 캡과 캡홀더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정립식 냉온수기에 적용된 생수흡입관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온수기, 20 : 캐비넷
21,22,23 ; 구획판, 24 : 냉각실
25 : 가열실, 26 : 생수공급실
27 : 생수용기 수납실, 27a : 커버
28 : 취출콕, 30 : 생수용기
34 : 생수용기 박스, 40 : 생수공급수단
41 : 생수공급관, 42 : 펌프
43 : 생수흡입관, 44 : 커넥터
47 : 캡, 48 : 와셔
49 : 캡홀더, 50 : 생수온도조절시스템
60 : 생수용기 수납수단, 61 : 수납플레이트
62 : 가이드레일, 63 : 웨이트 센서
64 : 교체표시램프, 70 : 생수흡입관 승강수단
71 : 구동모터, 72 : 구동기어
73 : 종동기어, 74 : 권취드럼
75 : 케이스, 76 : 가이드
본 발명은 정립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용기의 교체시 무리한 힘이 들지 않도록 하고,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공급하기 위한 생수흡입관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정립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일반 가정이나 직장에서는 상수도를 식수로 사용하지 않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생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생수를 급속 냉각, 가열시키는 냉온수기를 설치하여 취향에 따라 냉,온수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냉온수기(1)는, 냉/온수 취출콕(2a)이 구비된 본체(2)와, 본체(2)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 생수가 충진되는 생수용기(3)와, 그리고, 생수용기(3)에 채워진 생수를 급속 냉각/가열하는 냉각시스템 및 가열시스템(미도시)을 구비한다. 이하, 상기 생수 냉각시스템과 가열시스템을 간략히 설명 한다.
상기 냉각시스템은 상기 생수용기에서 공급되는 생수를 냉각하여 냉수통에 저장하는 것으로, 예컨대, 작동유체인 프레온 가스와 같은 냉매를 냉각 사이클을 통해 순환시킴으로써 냉수통 내부의 식수를 냉각하도록 되어 있는데, 압축기, 이 압축기와 흡수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냉수통을 감고 있는 증발기, 이 증발기와 캐피럴리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드라이어 및 상기 드라이어와 인접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시스템은 생수용기에서 공급되는 생수를 가열하여 온수통에 저장하는 것으로, 온수통의 바닥부에는 생수를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단 일측에는 온수를 외부로 급수하는 온수밸브가 설치되며, 외부 측면에는 온수가 항상 적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2개 1조의 바이메탈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온수기는 냉각시스템에 의하여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어 저온 고압의 냉매로 열 교환된 후 팽창변을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가 되고, 이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에서 열 교환된 후 다시 압축기로 순환된다.
삭제
삭제
온수통에 공급된 상온의 식수는 바닥면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소정 온도의 온수로 가열되고, 온수는 온수밸브를 개폐함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면, 배출된 양만큼 식수가 냉수통에서 온수통에 유입되어 히터에 의해 가열된다.
한편,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냉온수기용 생수용기(3)는 내부에 생수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그 상방에 취출구가 형성되도록 합성수지가 고형(固形)으로 사출 성형되며, 통상 18~19ℓ의 생수가 저장되는 용량을 갖는다. 생수용기(3)는 사용시 취출구가 밑을 향하도록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냉온수기 본체(2)(도 1참조)에 꽂히어 사용된다. 즉, 통상의 냉온수기용 생수용기(3)는, 보관시 취출구가 상측을 향하고, 평평한 저면이 지면과 맞닿도록 세워져 유통 및 관리되다가, 사용시 마개가 제거된 후 취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즉 저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뒤집혀서 냉온수기 본체(2)에 꽂혀 취출구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생수를 중력에 의해 냉온수기로 공급하는 것이다.
생수용기(3)에 저장된 생수가 없어지면 새로운 생수통으로 교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생수가 저장된 생수용기(3)는 부피가 변하지 않는 고형이기 때문에 공간점유율이 크므로 운반, 보관이 어렵다. 또한, 회수된 생수용기(3)는 생수가 담겨있지 않지만 생수가 충진된 생수용기와 동일한 부피를 갖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생수용기(3)를 뒤집어 냉온수기 본체(2)에 꽂는 과정에서 생수용기(3)를 안전하게 잡을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둥글둥글한 생수용기(3)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져서 들어 올려졌던 생수용기(3)와 내부의 생수가 함께 낙하하여 지면과의 충돌로 크게 파손되고 생수에 의해 바닥이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그리고, 대략 19ℓ 정도의 무거운 무게를 갖는 생수용기(3)가 바닥에 충돌하는 경우, 생수용기(3)의 파손은 물론,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외상을 줄 수 있고, 바닥의 다른 물건이나 심지어 냉온수기까지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외에도, 이러한 냉온수기용 생수용기(3) 교체작업이 매우 어려워서 노약자는 생수용기(3)를 교체하지 못하고, 생수용기(3) 교체시 생수용기(3)를 잡기 위한 허리와 손의 무리한 동작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타박상이나 근육통 심지어 손가락 골절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수용기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고, 정립된 생수용기에서 생수를 펌핑하여 공급하도록 한 정립식 냉온수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생수용기를 들고 냉온수기의 캐비넷의 생수용기 수납실에 수납하여야 하는데, 생수용기 수납실의 공간이 사용자가 생수용기를 들고 수납하기에 협소하기 때문에 취급이 불편하다.
그리고, 생수용기의 사이즈에 따라 생수흡입관의 위치가 달라져야 하는데, 종래의 정립식 냉온수기는 이러한 점을 전혀 감안하지 않고 단순히 생수용기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수용기를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 정립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정립식 냉온수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공급하기 위한 생수흡입관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는, 생수가 저장된 생수용기를 똑바로 세운 상태로 수납하고, 상기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가열/냉각하여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생수용기를 냉온수기 캐비넷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넷에는 슬라이딩에 의해 외부로 인출 가능한 수납플레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똑바로 세워진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생수용기에 삽입되는 생수흡입관이 자동으로 권취되거나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 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10)는, 캐비넷(20)과, 캐비넷(20)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수납되며 생수가 채워진 생수용기(30)와, 생수용기(30)에 저장된 생수를 공급하는 생수공급수단(40)과, 생수공급수단(40)을 통해 공급되는 생수의 온도를 조절(냉각/가열)하는 생수온도조절시스템(50)(냉각시스템(51)/가열시스템(52))과, 그리고,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캐비넷(20)은, 그 내부가 각각의 구획판(21)(22)(23)에 의해 상측에서부터 생수 냉각실(24), 생수 가열실(25), 기계실(26) 및 생수용기 수납실(27)로 구분되며, 일측(설치 상태에서 앞쪽)에는 생수온도조절시스템(50)에 의해 생산된 냉수와 온수를 각각 취출할 수 있는 취출콕(28)(도 4와 도 6에 도시됨))이 구비되고,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의 바퀴 또는 풋레스트(29)가 설치된다.
생수 냉각실(24)과 생수 가열실(25)은 생수온도조절 시스템(50)의 냉각시스템(51)과 가열시스템(52)이 각각 설치된다.
기계실(26)에는 생수공급수단(40)의 기계 장치가 설치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생수용기 수납실(27)은 생수용기(30)가 교체 가능하게 수납되는 곳으로 커버(27a)에 의해 개폐되고, 생수용기(30)를 적은 힘으로 인출/삽입할 수 있으면서 생수용기(30)의 교체시기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생수용기 수납수단(60)이 포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용기 수납수단(60)은, 생수용기 (30)(도 4에 도시됨)가 수용되는 수납플레이트(61), 수납플레이트(61)의 인출/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62)(도 4참고) 및 수납플레이트(61)에 안착된 생수용기(30)의 하중을 통해 생수용기(30)의 잔량을 감지하는 웨이트 센서(63)를 포함한다.
수납플레이트(61)는, 캐비넷(20)의 생수용기 수납실(27)에 가이드수단(62)을 통해 인출/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61a), 제1플레이트(61a) 상에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61b) 및 제1/제2플레이트(61a,61b)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2플레이트(61b)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예컨대 코일스프링(6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납플레이트(61)의 제1플레이트(61a) 선단부 저부 중앙에는 수납플레이트(61)의 인출/삽입시 수납플레이트(61)가 흔들림없이 동작되도록 바닥면을 따라 구르면서 수납플레이트의 인출/삽입을 안내하는 바퀴(61d)(도 4에 도시됨)가 설치된다.
도 4에서와 같이, 가이드수단(62)은 생수용기 수납실(27)의 바닥부 양측에 각각 고정된 고정레일(62a) 및 수납플레이트(61)의 제1플레이트(61a) 저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고정레일(6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61a)의 인출/삽입을 안내하는 슬라이딩레일(6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웨이트 센서(63)는 제1/제2플레이트(61a,61b)의 사이에 장착되어 제2플레이트(61b)의 위치 변위(코일스프링(61c)의 변형량을 감지하는 방법 등)를 통해 제2플레이트(61b)에 안착된 생수용기(30)의 하중을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인가한다. 즉, 웨이트 센서(63)는 생수용기(30)의 하중에 대한 신호를 실시간으로 컨트롤러에 인가하고, 컨트롤러는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생수용기(30)의 교체를 위한 데이터)와 웨이트 센서(63)에서 인가되는 현재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와 같거나 작을 경우에는 생수용기(30)의 교체로 인정하여 표시창(64)(도 4참조)의 교체표시램프(미도시)가 점등되도록 한다.
생수용기(30)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고형의 플라스틱 용기와 비닐 수지처럼 유연성 있는 투명의 합성수지 용기 모두 사용 가능하며, 이하, 유연성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생수용기(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연성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생수용기(30)는 그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저장된 생수가 사용되면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접히기 때문에 보관/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예컨대, 비닐 수지처럼 유연성 있는 투명의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몸체(31) 및 몸체(31)에 채워진 생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몸체(31)의 일측(생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측)에 설치되는 취출관(32) 및 취출관(32)을 개폐하는 마개(33)로 구성된다. 마개(33)는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칭형상의 반원형부재(33a,33b)가 힌지 결합되어 생수용기(3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거나 원터치 스냅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취출관(32)과 연결고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생수용기(30)는 불순물이 없는 크린룸에서 제조되어 마개(33)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청정의 상태를 유지하며, 회수된 후에 다시 살균 처리되어 사용된다.
도 4와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수용기(30)의 운반, 보관 및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생수용기(30)는 박스(34)의 내부에 수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생수용기 박스(34)는 골판지 등의 지류(紙類)를 재질로 할 수 있으며, 절첩안내선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측에는 생수용기(30)의 취출관(3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박스(34) 내부를 개방하는 개구부(34a)를 갖는다. 개구부(34a)는 초기(생수용기(30)를 냉온수기에 수납하기 전)에 막음부(34b)에 의해 밀폐된다. 막음부(34b)는 박스(34)에 절취선을 통해 절취가능하게 형성되어 박스(34)에서 절취선을 따라 제거됨으로써 생수용기(30)의 취출관(32)을 개방한다.
생수용기(30)와 생수용기 박스(34)는 최소의 부피 예컨대, 각각 도 8과 도 9의 형태를 가지며, 사용시 도 4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공급수단(40)은 생수용기(30)에 저장된 생수를 생수온도조절시스템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생수공급관(41)을 통해 생수온도조절시스템(50)의 냉각시스템(51)의 냉각수통(51a)과 연결되며 생수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42)에 의해 생수를 흡입하는 급수수단을 포함한다.
급수수단은 생수용기(30)의 내부에 삽입되어 펌프(42)의 펌핑에 의해 생수를 흡입하는 생수흡입관(43)을 기본구성으로 하며, 승강수단(70)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될 수도 있고, 수동으로 생수용기(30)에 탈착될 수 있다.
이하, 급수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수단은 승강수단(70)에 의해 생수흡입관(43)이 자동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생수흡입관 승강수단(70)은, 구동모터(71)(도 11참조), 구동모터(71)의 구동축(71a)(도 11참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구 동기어(72), 그 내주면에 구동기어(72)가 치합되는 종동기어(73)가 형성되며 생수흡입관(43)을 감거나 풀어 공급하는 권취드럼(7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생수흡입관 승강수단(70)의 구성요소들은 케이스(75)를 통해 캐비넷(20)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75)는 각각 일측을 향해 개구 형성되어 서로 개구부가 마주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생수흡입관 승강수단(70)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케이스부재(75a,75b)로 구성되며, 그 일측에는 생수흡입관(43)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75c)이 개구된다.
생수흡입관(43)은 그 일단이 펌프에 연결(생수흡입관(43)이 권취드럼(74)에 감기거나 풀릴 때 생수흡입관(43)이 꼬이지 않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생수용기(30)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권취드럼(74)에 대한 생수흡입관(43)의 권취구조는 예를 들어 생수흡입관(43)은 권취드럼(74)의 중앙부에 베어링(74a)을 통해 관통되면서 권취드럼(74)의 둘레부에 고정되어 권취드럼(74)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다르게는 생수흡입관(43)의 도중이 권취드럼(74)의 둘레부에 고정되어 권취드럼(74)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생수흡입관(43)은 사용자의 스위치(SW2) 조작에 의해 동작이 개시되어 권취드럼(74)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며, 구동상태의 권취드럼(74)의 정지는 리미트 센서(L1,L2)(도 10에 도시됨)에 의해 결정된다. 리미트 센서(L1,L2)는 고정상태인 케이스(75)의 상하 케이스부재(75a,75b)에 각각 설치되어 권취드럼(74)이 접촉되면 구동모터(71)가 정지되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제1리미트 센서(L1)는 생수흡입관(43)의 하강위치를 결정하는 것이고, 제2리미트 센서(L2)는 생수흡입관(43)의 상승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생수흡입관(43)은 그 위치가 생수용기(30)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수흡입관(4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리미트 센서(L1)는 하부 케이스부재(75b)의 가이드공(75d)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생수흡입관(43)이 생수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상시 생수용기(30) 내부의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생수흡입관(43)의 단부인 흡입부에는 웨이트(43a)(도 3참조)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생수흡입관 승강수단(70)은 기계실(26)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3에서와 같이, 기계실(26)을 구획하는 구획판(23)에는 생수흡입관(43)이 출입할 수 있는 통공(23a)(도 12참조)이 형성된다. 통공(23a)에는 생수흡입관(43)이 상시 생수용기(30)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76)가 더 채용된다.
여기서, 생수용기(30)의 사이즈에 따라 생수용기(30)의 입구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생수용기(30)의 입구 위치에 상관없이 가이드(76)가 생수용기(30) 입구에 대응되도록 통공(23a)은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아울러, 가이드(76)는 그 직경이 서로 다른 통체(76a,76b)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 조절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수용기(30)와 생수용기 박스(34)는 생수를 저장하지 않을 경우 도 8과 도 9처럼 각각 접어 보관된다. 즉, 이들이(30,34) 각각 접히어 최소의 부피를 가지므로 제한된 공간에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하다.
한편, 생수용기(30)는 그 내부에 생수가 채워지면 도 7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되며, 생수용기 박스(34)는 생수용기(30)를 수납하기 위하여 도 5의 형태처럼 접히게 된다. 생수가 저장된 생수용기(30)는 생수용기 박스(34)에 수납되고, 생수용기 박스(60)는 도 4에서처럼 밀봉된 상태로 운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가 생수용기(30)를 냉온수기(10)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에서처럼, 커버(27a)를 열어 생수용기 수납실(27)을 개방한다. 커버(27a)가 개방되면 커버(27a)에 의해 눌려 있던 도어 스위치(SW1)가 오프되어 컨트롤러는 기기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어서, 생수용기(30)를 수납할 때 생수흡입관(43)이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생수흡입관(43)을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셋팅한다. 그 방법으로 스위치(SW2)를 누르면, 도 3, 도 10 및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구동모터(71)에 정극성이 부여되어 구동축(71a)이 정회전(생수흡입관(43)이 상승하는 방향)하게 되고, 구동기어(72)와 종동기어(73)를 통해 권취드럼(74)이 정회전하여 생수흡입관(43)이 권취드럼(74)에 감겨 상승하게 된다. 권취드럼(74)의 회전에 의해 생수흡입관(43)이 상승하다가 권취드럼(74)이 제2리미트 센서(L2)에 접촉되면 구동모터(71)가 정지되어 생수흡입관(43)의 상승이 정지된다. 따라서, 생수흡입관(43)이 상승됨에 따라 생수용기(30)를 인출/삽입할 때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생수용기 수납플레이트(61)를 외부로 인출한 후, 제2플레이트(61b)에 생수용기 박스(34)(생수용기(30)가 수납된 박스)를 수납한다. 수납플레이트(61)의 인출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납플레이트(61)를 외부로 빼내면 가이드수단(62)의 고정레일(62a)을 따라 슬라이딩레일(62b)이 슬라이딩되면서 수납플레이트(61)가 외부로 인출되며, 이때, 수납플레이트(61)의 양측이 캐비넷(20)에 지지됨과 아울러 선단부의 바퀴(61d)가 바닥을 따라 구르기 때문에 수납플레이트(61)는 비틀림, 요동없이 인출되고, 인출 상태의 수납플레이트(61)에 생수용기 박스(34)를 올려놓으면, 생수용기 박스(34)의 하중에 의해 제2수납플레이트(61b)가 코일스프링(61c)을 통해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어서, 도 4에서처럼, 생수용기 박스(34)의 막음부(34b)를 제거한다. 막음부(34b)는 생수용기 박스(34)의 일부분으로서 절취선을 통해 형성된 것이므로, 절취선을 따라 막음부(32b)를 제거할 수 있다.
생수용기(30)가 수납된 수납플레이트(61)를 생수용기 수납실(27)측으로 밀면, 수납플레이트(61)는 슬라이딩레일(62b)과 바퀴(61d)의 안내를 받아 생수용기 수납실(27)에 수납되고, 이후, 하기의 방법을 통해 생수흡입관(43)을 생수용기(30) 내부에 삽입한다.
생수흡입관(43)의 삽입동작은 다음과 같다. 생수용기(30)의 입구와 가이드(76)가 대응되도록 가이드(76)의 위치를 통공(23a)에 셋팅하고, 가이드(76)의 길이를 조절한다. 스위치(SW2)를 누르면 도 3,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구동모터(71)에 부극성이 인가되어 구동축(71a)이 역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구동기어 (72)와 종동기어(73)에 의해 권취드럼(74)에 전달되며, 권취드럼(74)의 역회전에 의해 생수흡입관(43)이 권취드럼(74)에서 풀리면서 생수용기(30)의 바닥부로 하강하게 된다. 생수흡입관(43)이 하강하다가 권취드럼(74)이 리미트 센서(L1)에 접촉되면(이때 생수흡입관(43)의 위치는 생수용기(30)의 바닥부에 근접되는 것임)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모터(71)가 정지하게 된다. 생수흡입관(43)의 하강시 웨이트(43a)에 의해 생수흡입관(43)은 흔들림없이 하강할 수 있다.
생수흡입관(43)의 위치를 셋팅한 후, 커버(27a)를 닫으면 도어 스위치(SW1)를 통해 커버(27a)의 닫힘이 감지되어 컨트롤러는 기기를 작동한다.
사용자가 냉수 또는 온수 취출콕(28)을 통해 냉수 또는 온수를 취출하면 펌프(42)가 구동되어 그 펌핑력에 의해 생수가 생수흡입관(43)을 통해 흡입되어 생수공급관(41)을 따라 냉각시스템(51)의 냉각통(51a)에 공급되어 생수가 냉각되고, 한편, 생수는 가열시스템에 공급되어 가열된다.
생수용기(30) 내의 생수가 펌프(42)를 통해 공급되는 중에 살균수단(80)에 의해 생수가 살균되어 이물질 등이 제거된 상태의 청정한 생수가 공급된다.
한편, 생수를 섭취하여 저장된 생수가 없어지면, 생수용기(3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1c)의 변위가 발생되고, 웨이트 센서(63)는 코일스프링(61c)의 변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컨트롤러에 인가한다. 컨트롤러는 웨이트 센서(63)에서 인가되는 현재 변위와 기 저장된 변위를 비교하여 현재 변위가 기 저장된 변위를 벗어나면 생수교체 시기로 판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생수용기(30)를 교체하도록 교체표시램프(64)을 점등시키는 한편, 펌프(4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교체표시램프(64)가 점등되면 사용자는 전술한 방법에 의거하여 생수용기(30)를 새것으로 교체한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의 급수수단은 생수흡입관(43)을 수동으로 생수용기에 착탈하는 것이다.
도 14에서 보이는 것처럼, 생수흡입관(43)은 외력이 가해져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고형(固形)으로 이루어지며, 펌프(42)에서 분기된 유연성 있는 분기관(42a)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생수흡입관(43)은 형태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생수용기(30)를 교체할 때 펌프(42)의 분기관(42a)과 영구적으로 고정되면 생수용기(30)의 교체가 번거롭다. 왜냐하면, 생수흡입관(43)의 길이는 생수용기(30)의 바닥에 근접할 정도의 길이인데 생수용기 수납실(27)은 생수용기(30)에서 생수흡입관(43)을 분리할 수 없는 좁은 공간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5에서와 같이, 생수용기(3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생수흡입관(43)은 펌프측 분기관(42a)과 커넥터(44)를 매개로 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커넥터(44)는 내부를 통해 생수가 흐를 수 있는 관의 형태이면서 생수흡입관(43)이 분리되어도 분기관(42a)에 흡입된 생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체크밸브(미도시)가 구비된 커넥터 본체(45)와 커넥터 본체(45)를 생수흡입관(43)에 탈착하기 위한 결속구(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44)의 결합구조는 예컨대, 커넥터 본체(45)와 결속구(46)는 결속구(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넥터 본체(45)의 둘레부에 형성된 원형의 삽입부를 갖는 고정판(46a)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넥터 본체(45)의 자유 단부는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를 통해 펌프(42)측 분기관(42a)에 수밀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며, 결속구(46)의 자유단부는 생수흡입관(43)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6과 같이, 생수흡입관(43)은 다수의 관(43-1,43-2,43-3,,,43-n)(도 16참조)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관의 수량을 달리함으로써 생수흡입관(4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생수흡입관(43)의 외경이 생수용기(30)의 취출구의 내경보다 작더라도 생수용기(30)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생수흡입관(43)의 도중에는 생수용기(30)의 취출구를 밀폐하는 캡(47)이 채용된다.
도 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캡(47)은 생수흡입관(43)에 끼워지는 관삽입부(47a)를 가지며 둘레부에는 생수용기(30)의 취출구에 끼워지는 벽(47b)이 형성된다. 캡(47)은 생수용기(30)의 크기가 달라지면 크기가 달라지며, 크기에 상관없이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이때, 캡(47)이 생수흡입관(43)의 하단까지 내려가지 못하도록 생수흡입관(43)의 도중에는 캡(47)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더 갖추어진다. 상기 걸림부는 캡(47)이 생수흡입관(43)에서 자유롭게 공회전되면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와셔(48)일 수도 있고, 생수흡입관(43)의 외주면 일정부분에만 형성되어 캡(47)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지는 홈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캡(47)이 생수흡입관(43)에 직접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17에서처럼, 캡(47)은 캡홀더(49)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캡홀더(49)는 관형의 캡홀더 본체(49a) 및 너트(49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홀더 본체(49a)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생수흡입관(43)의 외주부에 끼워진 관부(49c), 이 관부(49c)의 상단부에 외향되도록 직경이 커져 캡(45)의 상부에서 지지하는 캡지지부(49d)로 이루어지며, 너트(49b)는 캡(47)이 결합된 캡홀더 본체(49a)의 나사부에 하부에서부터 체결된다. 따라서, 캡(45)이 캡홀더 본체(49a)와 너트(49b)의 사이에 결합되는 것이다.
캡홀더 본체(49a)에 캡(47)이 하부에서부터 결합된 후 너트(49b)가 하부에서부터 관부(49c)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캡(47)이 상부의 캡지지부(49c)와 하부의 너트(49b)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안내수단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4와 같이 생수용기 수납실(27)에 수납된 생수용기(30)(생수용기(30)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구조의 생수용기가 사용 가능하다)에 생수흡입관(43)이 삽입되고, 캡(47)에 의해 생수용기(30)가 외부와 밀폐된다.
펌프의 펌핑에 의한 생수의 공급과정은 공지 기술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생수용기(30)에 저장된 생수의 잔량이 설정치보다 적으면(생수의 교체시기는 상술한 웨이트 센서(63)와 컨트롤러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된다) 생수용기(30)를 교체하여야 하며, 생수용기(30)의 교체작업은 다음과 같다.
도 18에서 보이는 것처럼, 생수용기 수납플레이트(61)를 외부로 인출한 후, 도 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결속구(46)의 고정판(46a)을 누르면 고정판 (46a)이 커넥터 본체(45)의 홈에서 빠지게 되어 커넥터 본체(45)와 커넥터 결속구(46)의 분리가 가능하다. 즉, 고정판(46a)을 누른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45)를 빼내면 커넥터 본체(45)와 커넥터 결속구(46)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커넥터 본체(45)는 펌프(42)측 분기관(42a)에 연결되고 커넥터 결속구(46)는 생수흡입관(43)에 연결된 상태이며, 커넥터 본체(45) 내부의 체크밸브에 의해 펌프(42)측 분기관(42a)에 흡입된 생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캡(47)을 생수용기(30)의 취출구에서 분리하고 생수흡입관(43)을 생수용기(30)에서 인출한다. 생수흡입관(43)을 외부로 인출하게 되면 캡(47)이 와셔(48)에 의해 생수흡입관(43)의 최하단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새로운 생수용기를 생수용기 수납플레이트(61)에 수납하고 생수흡입관(43)을 생수용기에 삽입한 후, 캡(47)을 생수용기의 취출구에 결합하여 생수용기를 밀폐하며, 펌프(42)와 생수흡입관(43)을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 본체(45)와 커넥터 결속구(46)를 서로 결합한다.
한편, 생수용기의 교체시 다른 사이즈의 생수용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2gallon 용기를 사용하다가 1gallon 용기로 교체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생수용기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생수흡입관(43)의 길이를 생수용기의 크기에 맞춘다. 생수흡입관(43)의 길이는 다수의 관(43-1,43-2,43-3,,43-n) 중 필요한 수량의 관을 제거(추가)함으로써 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립식 냉온수기에 의하면, 생수용기가 냉온수기의 하부에 직립 상태로 배치되며, 생수용기를 슬라이딩식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생수를 냉온수기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스위치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생수흡입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생수용기의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펌프와 생수흡입관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끼우고 분리하는 작업을 통해 생수용기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역시 생수용기의 교체작업이 편리하다.
그리고, 생수가 저장되지 않은 생수용기를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생수가 담기지 않은 생수용기의 부피가 최소화됨과 아울러 그 재질에 의해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운반, 보관이 용이해진다.
한편, 생수용기가 저렴한 비용의 비닐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생수용기는 접어 보관하기 때문에 이물질 침투를 막을 수 있으므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상부에서부터 생수 냉각실(24), 생수 가열실(25), 기계실(26) 및 생수용기 수납실(27)로 구획 형성되는 캐비넷(20)과; 상기 캐비넷의 생수용기 수납실에 설치되는 생수용기 수납수단과; 상기 생수용기 수납수단에 교체 가능하게 수납되며 그 내부에 생수가 저장되는 생수용기(30)와; 상기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냉각/가열함으로써 생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생수온도조절시스템(50)과; 상기 생수온도조절시스템과 생수공급관(41)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42) 및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생수용기에 삽입되어 상기 펌프에 의한 펌핑에 의해 상기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상기 생수온도조절시스템에 공급하는 생수흡입관(43)으로 이루어져 상기 생수용기에 저장된 생수를 펌핑하는 생수공급수단(40)과; 그리고,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정립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생수용기 수납수단은,
    상기 캐비넷의 생수용기 수납실에 가이드수단(62)을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61a),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며 상기 생수용기가 수용되는 제2플레이트(61b), 상기 제1/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수납플레이트(61) 및
    상기 수납플레이트의 제1,2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에 수용되는 상기 생수용기의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웨이트 센서(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모터(71),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72), 상기 생수흡입관이 감기며 그 내주면에 상기 구동기어가 치합되는 종동기어(7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생수흡입관을 권취하는 권취드럼(74) 및 상기 구동모터를 조작하는 스위치(SW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수흡입관 승강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기계실과 생수용기 수납실을 구획하는 구획판(23)에는 장공 형태의 통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상기 생수흡입관이 삽입되는 가이드(76)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통체(76a,76b)가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 조절되는 구조인 것을 정립식 냉온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수용기는, 외부와 밀폐되며 유연성 있는 비닐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를 재질로 하여 그 부피가 가변되고 그 내부에 생수가 저장되는 몸체(31), 이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저장된 생수가 취출되는 취출구(32) 및 상기 취출구를 개폐하는 마개(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수용기는,
    절첩선을 통해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생수용기의 취출구가 노출되도록 그 내부를 개방하는 개구부(34a)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막음부(34b)가 구비된 생수용기 박스(34)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수흡입관은 다수의 관(43-1,43-2,43-3,,,)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수흡입관은 체크밸브가 내장된 커넥터(44)를 매개로 하여 상기 펌프측의 분기관(42a)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단부가 상기 펌프측 분기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된 커넥터 본체(45) 및 상기 생수흡입관에 결합되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구(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수흡입관의 도중에는 생수용기의 취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생수용기의 취출구를 밀폐하는 캡(47)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수흡입관의 도중에는 상기 캡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생수흡입관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하단 외주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관형의 캡홀더 본체(49a) 및 상기 캡홀더 본체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49b)로 이루어진 캡홀더(49)를 통해 상기 생수흡입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립식 냉온수기.
KR1020040117339A 2004-12-30 2004-12-30 정립식 냉온수기 KR100691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339A KR100691768B1 (ko) 2004-12-30 2004-12-30 정립식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339A KR100691768B1 (ko) 2004-12-30 2004-12-30 정립식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200A KR20060078200A (ko) 2006-07-05
KR100691768B1 true KR100691768B1 (ko) 2007-03-12

Family

ID=3717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339A KR100691768B1 (ko) 2004-12-30 2004-12-30 정립식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7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00B1 (ko) 2008-03-19 2010-07-26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로이유리 보관함
KR101180261B1 (ko) 2010-09-13 2012-09-06 강대병 정수기
WO2019143183A1 (ko) * 2018-01-18 2019-07-25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142B1 (ko) * 2019-11-06 2021-09-09 (주)진테크 액화 산소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507U (ko) * 1996-08-08 1998-05-15 오희범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
KR0148649B1 (ko) * 1995-08-31 1999-01-15 오희범 물통 정립형 냉,온수기
KR200215946Y1 (ko) 2000-10-04 2001-03-15 김가산 생수통정립식 냉온수기의 생수흡입관 승강장치
KR200339925Y1 (ko) 2003-10-29 2004-01-28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649B1 (ko) * 1995-08-31 1999-01-15 오희범 물통 정립형 냉,온수기
KR19980010507U (ko) * 1996-08-08 1998-05-15 오희범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
KR200215946Y1 (ko) 2000-10-04 2001-03-15 김가산 생수통정립식 냉온수기의 생수흡입관 승강장치
KR200339925Y1 (ko) 2003-10-29 2004-01-28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냉온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00B1 (ko) 2008-03-19 2010-07-26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로이유리 보관함
KR101180261B1 (ko) 2010-09-13 2012-09-06 강대병 정수기
WO2019143183A1 (ko) * 2018-01-18 2019-07-25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200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2689A (en) Bottled water cooler having vent on demand delivery system
US6443334B1 (en) Comestible fluid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ES2224955T3 (es) Dispositivo para vaciar recipientes de transporte y almacenamento de liquidos.
JP2007537947A (ja) 破裂ディスクを有するアルコール飲料装置
US10350345B2 (en) Cylindrical collapsible container
JP2007537952A (ja) 飲料ディスペンサー用の破裂ディスクを有する圧力抜きバルブ
CA2682823A1 (en) Bottom loading water cooler
BR112013026803B1 (pt) kit de partes para dispensar um líquido contido em um recipiente, e método para dispensar um líquido fora de um recipiente
KR100691768B1 (ko) 정립식 냉온수기
US20100252585A1 (en) Water probe for bottom loading water cooler
US79464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of viscous food product
US5771709A (en) Electric counter mounted beverage cooler and dispenser
KR200142419Y1 (ko)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
KR100528589B1 (ko) 냉온수기
KR200339925Y1 (ko) 냉온수기
KR20100123100A (ko) 소형 자동판매기용 급수장치
KR100920690B1 (ko) 벽걸이형 냉온수기
CN112956909A (zh) 便携充气装置及气泡水机
CN111071975A (zh) 一种多品类无菌饮品机
CN209750276U (zh) 一种茶水柜
CN213537271U (zh) 一种一体式医用分子筛制氧机
CN214964592U (zh) 一种自动泡茶机
CN220135838U (zh) 一种疫苗冷库控温设备
CN220334889U (zh) 一种制冰净饮机
CN117262352B (zh) 一种医疗病房辅料用回收堆叠包装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