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248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248A
KR20140078248A KR1020120147405A KR20120147405A KR20140078248A KR 20140078248 A KR20140078248 A KR 20140078248A KR 1020120147405 A KR1020120147405 A KR 1020120147405A KR 20120147405 A KR20120147405 A KR 20120147405A KR 20140078248 A KR20140078248 A KR 20140078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condensed
condensed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133B1 (ko
Inventor
이창근
김영진
백고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1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 배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물 배출부를 통과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발생기; 및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이 상기 물 배출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분리하는 응축수 분리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물 배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물 배출부를 통과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발생기;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물 배출부로 안내하는 안내 배관; 및 상기 안내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안내 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정수를 저장하지 않고 바로 배출시키는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에는 밸브, 취수구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에는 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정수 또는 냉수가 저장되는 저수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 밸브, 취수구 및 저수조 등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일 수 있고, 미생물 등이 번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 주기로 상기 정수기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살균한다. 상기 정수기의 살균 방식으로는, 상기 정수기 내부로 세척액을 주입하여 살균하는 방식과, 고온의 스팀을 사용하여 상기 정수기를 살균하는 방식이 있다. 다만, 상기 정수기 내부로 세척액을 주입하여 살균하는 방식은 작업이 번거롭고 살균 후 세척액이 배관 내에 남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온의 스팀을 사용하여 상기 정수기를 살균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팀 살균 모드시, 상기 스팀이 살균을 위해 정수기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스팀이 응축수로 상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 작업이 수행된 스팀이 외부로 유출될 때 상기 스팀과 함께 고온의 응축수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스팀 살균시 상기 스팀과 함께 외부로 유출되는 응축수를 분리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 배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물 배출부를 통과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발생기; 및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이 상기 물 배출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분리하는 응축수 분리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물 배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물 배출부를 통과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발생기;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물 배출부로 안내하는 안내 배관; 및 상기 안내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안내 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세척액을 주입하는 행위 없이 스팀을 이용하여 정수기 내부 유로 및 저수조를 살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살균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는, 스팀과 함께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를 분리할 수 있는 응축수 분리부가 포함되므로 상기 응축수가 물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리부는 취수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정수기의 스팀 살균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취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분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분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분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에 구비되는 필터의 종류, 개수, 저수조의 개수, 배출 코크(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임)의 종류 등 내부 구성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레버(2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2)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온수 버튼과, 정수 버튼 및 냉수 버튼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정수기는 상기 냉수조(32) 또는 상기 온수조(33) 중 어느 하나와 정수조(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조(31)와 냉수조(32)를 통칭하여 저수조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유입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입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은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밸브(55)는 일 예로 체크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동관(56)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관(56)에는 밸브(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는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33)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4)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은 일 례로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4)은 일 례로 상기 냉수조(3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부(50)에는 응축수 분리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정수기의 스팀 살균 모드시, 다수의 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스팀이 응축수로 상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분리부(100)는, 상기 고온의 응축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 배출부(5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분리부(100)에서 분리된 응축수는, 배출관(101)을 따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이동된 응축수는, 상기 온수조(33) 내부로 유입되어 재생수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정수기의 스팀 살균 모드 작동시, 상기 온수조(33)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스팀으로 상 변화 되어 다시 정수기의 스팀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01)에는,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상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101)에는, 정수기가 일반 모드로 작동하면 닫히고 상기 정수기가 스팀 살균 모드로 작동하면 열리는 밸브(1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102)는 상기 스팀 살균 모드에서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102)는, 상기 역류 방지 밸브(미도시)와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20) 및 물 배출부(50)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정수조(31)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4)와,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는 온수를 취출하여 물을 가열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저수조 및 정수기(1) 내부의 유로를 살균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하여 물을 가열하는 스팀발생기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의 작동 모드는 물을 취출하기 위한 일반 모드와, 내부 유로 및 저수조를 살균하기 위한 스팀 살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에는 생성된 스팀이 유동하기 위한 스팀공급관(60)이 연결된다. 상기 스팀공급관(60)은 일 예로 상기 정수조(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2필터(22)와 연결되어 생활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는 일 예로 스팀 살균 모드 시의 정수기의 작동에 대한 내용이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정수기를 스팀 살균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팀 살균 모드는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살균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수된다(S1).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유입 밸브(27, 28)가 닫힌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상기 정수기(1)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 밸브(46)와 냉수 밸브(47)가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은 상기 물 배출부(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물은 스팀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물은 배수되지 않는다.
일반 모드에서는 상기 유동관(56)의 밸브(57)는 열려있고, 스팀 살균 모드에서는 상기 유동관(56)의 밸브(57)는 닫힌다. 그 이유는, 상기 저수조로 공급된 스팀이 상기 유동관(56)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온수조(33)가 스팀 살균 모드로 작동한다(S2). 구체적으로, 상기 온수조(33)는 일반 모드(또는 온수 모드)와 스팀 살균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상기 온수조(33)의 히터(34)는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작동한다. 일 예로 상기 설정 온도가 85도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34)는 85도 보다 높은 제1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오프되고, 85도 보다 낮은 제2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설정 온도는 가변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온수조(33)가 스팀 살균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온수조(33) 내의 물의 온도가 100도 이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온수조(33)가 작동한다. 즉,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34)가 작동한다. 즉, 일반 모드와 스팀 살균 모드는 온수조(33)의 히터(34)의 작동시간의 제어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모드에서는 히터(34)는 온/오프를 반복하나, 스팀 살균 모드에서는 히터(34)는 스팀 살균 모드의 종료 시까지 지속적으로 온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가 스팀 살균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조(33)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공급관(60)을 통하여 상기 저수조로 공급된다(S3). 상기 저수조로 공급된 스팀은 상기 저수조를 살균한 후에 상기 정수 배출관(43) 및 상기 냉수 배출관(44)을 따라 유동하면서 각 배출관(43, 44)을 살균한다. 상기 각 배출관(43, 44)을 따라 살균 작업을 수행한 스팀은, 공통 배출관(49)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팀은, 상기 정수기 내부를 이동하면서 온도가 하강하여 응축수로 상 변화 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배출관(43, 44)을 살균한 스팀 중 일부는 응축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통 배출관(49)에는 응축수 분리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 분리부(100)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응축수를 드레인 시킬 수 있다(S4).
그 다음 스팀은 상기 물 배출부(50)를 유동하면서 상기 물 배출부(50)를 살균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정수기의 스팀 살균 모드에서 상기 온수 밸브(48)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의 경우 고온의 온수가 유동하므로, 고온의 온수에 의해서 살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스팀 살균 모드에서 상기 온수 밸브(48)가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팀을 이용한 살균 중에는, 제어부는 살균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 구체적으로, 스팀 살균 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온수조(33) 내의 온도센서(332)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332)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일 예로 100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살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살균 모드가 시작되면, 스팀이 상기 정수조(31)로 공급되므로, 상기 정수조(31) 내의 온도센서(312)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312)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살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에서 판단 결과, 살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수조(33)는 일반 모드로 작동한다(S6). 그리고, 상기 정수 밸브(46) 및 상기 냉수 밸브(47)가 닫히고, 상기 유동관(56)의 밸브(57)는 개방된다. 이 때, 스팀 살균 모드에서 상기 온수 밸브(48)가 개방된 경우, 살균이 완료되면 상기 온수 밸브(48)는 닫힌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유입밸브(27, 28)가 열린다. 그러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저수조로 공급된다(S7). 상기 저수조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저수조의 물이 상기 온수조(33)로도 공급될 수 있다.
살균이 완료된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알림부에서 살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팀 살균 모드가 완료되었으나, 상기 물 배출부(50)가 원 위치로 복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취출하기 위한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알림부에서는 물 배출부(50)의 위치 복귀를 알리기 위한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팀 살균 모드 중에 상기 정수 밸브(46)와 냉수 밸브(47)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저수조 및 유로 상에 스팀이 정체되어 있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팀 살균 모드 중에 상기 정수 밸브(46)와 냉수 밸브(47)는 1회 이상 일정 시간 닫힌 후에 다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세척액을 주입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 없이 스팀을 이용하여 정수기 내부 유로 및 저수조를 살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팀 살균 모드 시 응축수가 물 배출부(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응축수에 의해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반 모드와 스팀 살균 모드에서 상기 온수조(33) 내의 히터의 작동시간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히터(34)의 출력이 가변되는 히터이고, 상기 온수조의 일반 모드에서는 히터가 제1출력으로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온수조의 스팀 살균 모드에서는 히터가 제1출력 보다 큰 제2출력(일 예로 최대출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살균 모드에서 히터가 제2출력으로 작동하는 이유는 스팀을 최소 시간 내에 발생시켜 살균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온수조(33) 내에 다수의 히터(34)가 구비되고, 일반 모드에서는 다수의 히터 중 일부 히터가 작동하고, 스팀 살균 모드에서는 다수의 히터 전부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분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분리부(100)는, 스팀과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50a); 상기 유입구(50a)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10); 및 상기 유입구(50a)로부터 상기 저장부(110)로 유입된 스팀이 외부로 토출되는 유출구(5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리부(100)는, 상기 유입구(50a)를 통하여 유입된 응축수가 낙하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판(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판(120)은 응축수의 낙하를 가이드 할 뿐만 아니라 온도가 하강된 스팀과 접촉하여 상기 스팀이 응축수로 상 변화가 발생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판(120)은, 상기 저장부(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 판(12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 판(120)은, 상기 유입구(50a)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리부(100)는,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응축수가 상기 유출구(50b)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13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판(130)은,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응축수와 상기 저장부(110)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상기 응축수가 상기 유출구(50b)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30)은, 상기 저장부(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단판(13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차단판(130)은, 상기 유입구(50a)의 일측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10)의 하측에는 배출관(10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01)은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응축수를 드레인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관(101)을 따라 이동되는 응축수는, 정수기 살균에 필요한 스팀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101)은, 배수 커넥터(5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이동된 응축수는, 히터가 구비된 온수조(33)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스팀 살균 모드시,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응축수는, 상기 히터에 의해 스팀으로 상 변화 되어 상기 정수기를 스팀 살균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응축수 분리부(100)를 통과하는 스팀과 응축수의 이동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유입구(50a)로 유입되는 스팀 및 응축수는, 상기 저장부(11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는, 상기 가이드 판(120)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 되어 상기 저장부(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는, 상기 배출관(101)을 따라 상기 온수조(33)로 유입되어 재생수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은, 상기 저장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구(50b)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50b)를 통과한 스팀은 물 배출부(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 배출부(50)는, 상기 스팀만을 배출할 수 있고,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분리기(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분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저장부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입관(50a)을 따라 유입된 응축수는, 저장부(21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부는, A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경사부(211) 및 상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2 경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경사부(211, 212)의 경사 각도에는 그 제한이 없다.
상기 경사부(211, 212)는, 상기 저장부(210) 내부에 저장되는 응축수가 상기 배출관(101)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분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 중 어느 한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저장부의 유무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입구(50a)를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는, 상기 유입구(50a)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관(101)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50a)를 따라 이동하는 스팀은, 상기 유입구(50a)로부터 수평 연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유출구(50b)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50a)와 상기 유출구(50b)는 스팀을 안내하므로 안내 배관(50c)이라 이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출관(101), 상기 유입구(50a) 및 상기 유출구(50b) 사이의 위치 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이전 실시 예와 다르게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50a)로 유입되는 스팀과 응축수 중 액상인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101)으로 이동되고, 기상인 스팀은 유출구(50b)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 내지 제3실시 예 중 어느 한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발생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팀 발생부는, 히터가 구비되어 정수된 물을 스팀으로 변화시키는 온수조이거나(제1 내지 제3 실시 예 참조) 상기 온수조와 연결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본 실시 예 참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는,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되는 유입관(63)과, 상기 유입관(63)을 통하여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62)와, 상기 스팀발생기(62)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저수조로 공급하는 스팀 공급관(6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조(33)에는 상기 온수조(33)에서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 공급관(61)으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관(64)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팀발생기(62)에 수용될 수 있는 물 용량은 상기 온수조(33)에 수용될 수 있는 물 용량 보다 적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스팀발생기(62)는 상기 정수 배관(42)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상기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정수기의 스팀 살균 모드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스팀 살균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수된다(S21).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유입 밸브(27, 28)가 닫힌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상기 정수기(1)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 밸브(46)와 온수 밸브(46)가 개방된다.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물은 고온의 상태이므로, 별도로 배출될 필요는 없다. 다만, 온수조(33)도 스팀으로 살균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온수조(33)의 물도 배수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스팀발생기(62)가 온된다(S22). 그러면, 상기 스팀발생기(62)에서 스팀이 생성되고,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공급관(61)을 통하여 상기 저수조로 공급된다.
상기 저수조로 공급된 스팀은 상기 저수조를 살균한 후에 상기 정수 배출관(43) 및 상기 냉수 배출관(44)을 따라 유동하면서 각 배출관(43, 44)을 살균한다(S23).
상기 스팀은, 상기 정수기 내부를 이동하면서 온도가 하강하여 응축수로 상 변화 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배출관(43, 44)을 살균한 스팀 중 일부는 응축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통 배출관(49)에는 응축수 분리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 분리부(100)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응축수를 드레인 시킬 수 있다(S24).
그 다음 스팀은 상기 물 배출부(5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스팀 살균 모드에서 상기 온수 밸브(48)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온수조(33)의 물이 배수된 경우에는 스팀은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될 수 있다. 스팀을 이용한 살균 중에는, 제어부는 살균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
단계 S25에서 판단 결과, 살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팀발생기(62)는 오프된다(S26). 그리고, 상기 정수 밸브(46) 및 상기 냉수 밸브(47)가 닫히고, 상기 유동관(56)의 밸브(57)는 개방된다. 이 때, 스팀 살균 모드에서 상기 온수 밸브(48)가 개방된 경우, 살균이 완료되면 상기 온수 밸브(48)는 닫힌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유입밸브(27, 28)가 열린다. 그러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저수조로 공급된다(S27). 상기 저수조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저수조의 물이 상기 온수조(33)로도 공급될 수 있다.
살균이 완료된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알림부에서 살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스팀발생기(62)에 저장된 적은 용량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므로, 스팀 발생 시간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살균 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스팀발생기(62)에는 온수조에 저장된 고온의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스팀 생성 시간은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살균 모드 시 상기 스팀발생기(62)를 온시켜 스팀을 생성하나, 이와 달리 살균 모드 시,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일 예로 80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온수조(33)가 스팀 살균 모드로 작동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기(62)가 온되어 스팀이 생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 중 어느 한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발생된 스팀이 최초로 공급되는 지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스팀 공급관(60a)의 일단은 온수조(33) 또는 스팀발생기(62)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제2필터(22)와 제3필터(23)를 연결하는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은 제3필터(23)를 살균한 후에 정수 배관(42)을 유동하여 저수조를 살균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필터의 살균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서 설명한 응축수 분리부(100)는, 본 발명의 제4 또는 제5 실시 예에 설명한 정수기의 수배관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물 배출부 52: 배수 커넥터
100: 응축수 분리부 101: 배출관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며,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 배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물 배출부를 통과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발생기; 및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이 상기 물 배출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분리하는 응축수 분리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생성되도록 히터를 구비하는 온수조인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는, 상기 필터로부터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가 구비된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조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분리부는,
    스팀과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는 스팀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을 따라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스팀 발생기로 이동하는 정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배출관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 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일반 모드에서 닫히고, 스팀 살균 모드에서 열리는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유입구을 통과하여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저장부 내부로 낙하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판이 구비된 정수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저장된 응축수가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이 구비되는 정수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관으로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정수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이 상기 물 배출부로 이동하기 위한 정수 배관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14. 외관을 형성하며,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물 배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물 배출부를 통과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발생기;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물 배출부로 안내하는 안내 배관; 및
    상기 안내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안내 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는 정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을 따라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스팀 발생기로 이동하는 정수기.
KR1020120147405A 2012-12-17 2012-12-17 정수기 KR101564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405A KR101564133B1 (ko) 2012-12-17 2012-12-17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405A KR101564133B1 (ko) 2012-12-17 2012-12-17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248A true KR20140078248A (ko) 2014-06-25
KR101564133B1 KR101564133B1 (ko) 2015-10-28

Family

ID=5112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405A KR101564133B1 (ko) 2012-12-17 2012-12-17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083A1 (ko) * 2016-12-09 2018-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1896A (ko) *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WO2023239063A1 (ko) * 2022-06-10 2023-12-14 주식회사 리빙케어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5393B2 (ja) * 2006-04-14 2012-02-01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気水分離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083A1 (ko) * 2016-12-09 2018-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049941A (zh) * 2016-12-09 2019-07-23 Lg电子株式会社 饮用水供应装置及其控制方法
AU2017371316B2 (en) * 2016-12-09 2020-09-17 Lg Electronics Inc. Drinking-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046570B2 (en) 2016-12-09 2021-06-29 Lg Electronics Inc. Drinking liquid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90081896A (ko) *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WO2023239063A1 (ko) * 2022-06-10 2023-12-14 주식회사 리빙케어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133B1 (ko)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860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7225252A (ja) 浄水器付き電気温水器
JP2010024780A (ja) トイレ装置
KR20120047141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564133B1 (ko) 정수기
KR20240117070A (ko) 정수기
KR100993891B1 (ko) 정수기
CN105776685B (zh) 净水器
KR102394470B1 (ko)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KR200472014Y1 (ko)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
JP3166606U (ja) アンダーカウンター式飲料用ディスペンサ
KR101491886B1 (ko) 정수기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35747B1 (ko) 정수기
JP5999420B2 (ja) 熱源機
KR101506068B1 (ko) 정수기
JP2009178664A (ja) 軟水化装置、並びに、給湯システム
KR20120113166A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N115196699B (zh) 净水器
KR20120047139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JP2013210115A (ja) 給湯装置
KR101211784B1 (ko) 냉온수기
KR101813266B1 (ko) 정수기
KR20240050791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