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281A -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281A
KR20080077281A KR1020087016828A KR20087016828A KR20080077281A KR 20080077281 A KR20080077281 A KR 20080077281A KR 1020087016828 A KR1020087016828 A KR 1020087016828A KR 20087016828 A KR20087016828 A KR 20087016828A KR 20080077281 A KR20080077281 A KR 20080077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membrane
casing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루 후루야마
도시끼 야나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5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ith semi-permeable membranes attached to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3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

Abstract

본 발명의 통기 구조(100A)는 케이싱(91)과,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설치된 통기 부재(13A)를 포함한다. 통기 부재(13A)는, 케이싱(91)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가 되는 관통 구멍(11h)을 갖는 지지체(11)와, 관통 구멍(11h)을 막도록 지지체(11)에 고정된 통기막(6)을 구비하고 있다. 통기막(6)의 두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했을 때, 지지체(11)는 케이싱(91)측의 개구 단부면인 제2 개구 단부면(11q)[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일치한다]부터 다른 쪽의 제1 개구 단부면(11p)까지의 높이(H1)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다.
통기막, 지지체, 관통 구멍, 케이싱, 개구 단부면

Description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VENTILATING MEMBER AND VENTIL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전자 부품 등을 수용하는 케이싱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기 부재를 이용한 통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램프, 센서,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같은 자동차의 전장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싱에는 케이싱의 내부와 외부의 통기를 확보하는 동시에, 케이싱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하는 통기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통기 부재의 일례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7425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368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74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통기 부재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202)이 배치된 지지체(203)와, 통기막(202)을 덮도록 지지체(203)에 설치된 커버 부품(20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통기 부재(201)를, O 링(205)을 개재하여 케이싱(206)의 개구부(207)에 고정한다. 통기막(202)을 기체가 투과함으로써, 케이싱(206) 내외부의 통기를 확보할 수 있다. 커버 부품(204)은, 외력에 의해 통기막(202)이 손상되거나, 진개의 퇴적에 의해 통기막(202)의 통기 성능이 저하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13에서 설명한 통기 부재는, 케이싱의 개구부에 간단히 설치하는 것이 가 능하다. 또한, 케이싱의 외표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비교적 작다. 이것은, 언뜻 보면, 통기 부재가 여분의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항상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통기 부재를 케이싱의 개구부에 설치한 상태로 통기 부재의 통기막과, 케이싱의 외표면의 거리가 근접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케이싱의 외표면에 물방울이나 기름 방울이 부착되면, 통기막을 고정하고 있는 지지체의 측면을 타고 물방울 등이 간단히 통기막의 표면을 향하여 흘러 갈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현상은, 통기 부재와 케이싱의 경계 근방에 물방울이나 기름 방울이 체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 내의 기압이 외기압보다도 갑자기 낮아진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케이싱의 외표면에 물방울 등이 부착된 경우에도 통기막을 향하여 물방울 등이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기 성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통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 통기 부재를 이용한 통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케이싱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관통 구멍을 막도록 지지체에 고정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통기막의 두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했을 때,
지지체는 한 쪽의 개구 단부면부터 다른 쪽의 개구 단부면에 이르기까지 관통 구멍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한 쪽의 개구 단부면부터 다른 쪽의 개구 단부면까지의 높이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케이싱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관통 구멍을 막도록 지지체에 고정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지지체는 케이싱에 접속되어야 할 부분으로서, 통기막이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케이싱에 접속되는 측을 향함에 따라, 통기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의 단면에 나타나는 외형이 이루는 면적이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기체부(基體部)를 포함하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케이싱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지지체와, 개구부를 막도록 지지체에 고정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통기막의 두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했을 때,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한 쪽의 단부면이 케이싱에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고정 예정면으로 되고, 고정 예정면부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쪽의 단부면까지의 높이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기를 행하여야 할 케이싱과, 케이싱의 개구부에 설치된 상술한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통기 부재(또는 통기 구조)는 케이싱의 외표면부터 반대측의 개구 단부면까지의 높이가 4㎜ 이상으로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 부재와 케이싱의 접속 개소 등에 물방울 등이 체류된 경우에도 물방울 등이 통기막 상으로 간단히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케이싱의 외표면에 물방울 등이 부착된 경우에도 통기 성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통기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통기 부재(또는 통기 구조)는 통기막을 고정하는 지지체에 포함되는 기체부의 횡단면적이, 케이싱에 근접함에 따라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통기 부재와 케이싱의 경계 부근에 물방울 등이 체류하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케이싱의 외표면에 물방울 등이 부착된 경우에도 물방울 등이 통기막 상으로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통기 성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통기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b는 도1a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2a는 도1a의 통기 부재의 변형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2b는 도1a의 통기 부재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3a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3b는 도3a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4a는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4b는 도4a의 통기 부재의 변형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5a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5b는 도5a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5c는 도5a의 통기 부재의 변형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5d는 도5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6a는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6b는 도6a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6c는 도6a의 통기 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6d는 종래의 통기 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7a는 제6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7b는 도7a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8a는 도7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8b는 도8a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8c는 도7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8d는 도8c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8e는 도7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9a는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9b는 도9a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10a는 제8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0b는 도10a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11은 제9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2는 통기 부재를 설치한 케이싱의 전체도이다.
도13은 종래의 통기 부재의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a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1b는 그 단면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a의 통기 부재를 설치한 케이싱의 전체도이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a, 도1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13A)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장 부품의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설치되어, 케이싱(91)의 내외부의 환기를 행하기 위한 통기 구조(100A)를 구성한다. 또한, 케이싱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자형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기를 필요로 하는 공간을 내부에 갖는 부품이나 물품이면,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설치 대상으로서의 케이싱이 될 수 있다.
도1a,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13A)는 케이싱(91)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11h)을 갖는 지지체(11)와, 관통 구멍(11h)의 한 쪽의 개 구를 막도록 지지체(11) 상에 배치된 통기막(6)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11)는 대략 원통 형상이다. 원통 형상의 지지체(11)의 한 쪽의 개구 단부면인 제1 개구 단부면(11p) 상에 원 형상의 통기막(6)을 배치하고 있다. 통기막(6)의 직경은, 제1 개구 단부면(11p)에 있어서의 지지체(11)의 외경보다도 작고 내경보다도 크다. 지지체(11)의 관통 구멍(11h)과, 통기막(6)과, 케이싱(91)의 개구부(91k)가 동심 형상의 배치가 되도록, 통기 부재(13A)를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고정하고 있다. 즉, 지지체(1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11h)의 한 쪽의 개구가 통기막(6)에 의해 막혀 있고, 다른 쪽의 개구가 케이싱(91) 내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통기막(6)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케이싱(91) 내로 물방울이나 진개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통기막(6)의 기체 투과 작용에 의해, 케이싱(91) 내의 압력은 외부의 압력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통기 부재(13A)의 지지체(11)는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통기막(6)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통기막(6)을 덮는 지붕부(16)를 포함한다. 즉, 지지체(11)의 2개의 개구 단부면(11p, 11q) 중 케이싱(91)에 접하는 제2 개구 단부면(11q)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개구 단부면(11p)은 지붕부(16)에 덮여 있다. 제1 개구 단부면(11p)과 지붕부(16)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이 통기막(6)의 면내와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16h)에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통기막(6)을 물방울이나 진개로부터 보호하고, 통기막(6)을 개재하여 케이싱(91)의 내외부의 통기가 확보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11h)을 갖는 지지체(11)와는 별 도의 부품으로서 지붕부(16)를 제작하고, 제1 개구 단부면(11p) 상에 통기막(6)을 고정한 후 그 지붕부(16)를 지지체(11)에 합체시키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체(11)는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절삭 등의 일반적인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지지체(11)의 재료에는 성형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A(나일론),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11)의 재료는, 카본 블랙, 티탄 화이트 등의 안료류, 글래스 입자, 글래스 섬유 등의 보강용 필러류, 발수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체(11)는 그 표면에 발액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액체(물이나 오일)를 배제하기 쉬워진다. 용이한 접착 처리, 절연 처리, 반도체 처리, 도전 처리 등의 다른 처리를 지지체(11)에 실시해도 된다.
한편, 통기막(6)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막이면,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 다공질막에 보강층을 적층한 통기막(6),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층의 상하로 수지 다공질막을 적층한 3층 구조의 통기막(6)[예를 들어, 닛토덴코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TEMISH(등록 상표)]을 예시하고 있다. 보강층을 설치함으로써, 고강도의 통기막(6)으로 할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에는, 공지의 연신법,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체나 폴리올레핀 다공체를 이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 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 1부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모노머를 단체로 중합하거나, 또는 공중합하여 얻은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유산을 이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소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어, 케이싱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이 높은 PTFE 다공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통기막(6)을 구성하는 수지 다공질막에는 케이싱의 용도에 따라 발액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수지 다공질막에 도포하고, 건조 후, 경화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발액 처리에 이용하는 발액제는 수지 다공질막보다도 낮은 표면 장력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는데, 예를 들어 퍼플루오르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발액제가 적합하다. 발액제의 도포는, 함침, 스프레이 등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수지 다공질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O.O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막(6)을 구성하는 보강층의 재료로서는, 수지 다공질막보다도 통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폼, 다공체(예를 들어, 닛토덴코사로부터 입수 가능 한 선 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과 보강층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가열 용착, 레이저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의 사용 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통기막(6)의 두께는, 강도 및 지지체(11)에의 고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5㎜의 범위에서 조정하면 된다. 통기막(6)의 환기도는 걸리(Gurley)값으로 O.1 내지 300sec/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통기막(6)을 지지체(11)에 열 용착하고 있으나, 초음파 용착법이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의 다른 방법으로 통기막(6)을 지지체(11)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지지체나 통기막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 원용한다.
이하, 다른 실시 형태를 포함하여, 통기막(6)의 두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통기막(6)에 대해 케이싱(91)측에 위치하는 면을 하면, 이것과 반대측을 상면으로 한다.
도1a,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기 부재(13A)를 둘러싸는 케이싱(91)의 외표면(91p)은 통기막(6)의 주면에 대략 평행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6)이 고정되어 있는 제1 개구 단부면(11p)과는 반대측의 개구 단부면인 제2 개구 단부면(11q)은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직접 접합된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1h)은 제2 개구 단부면(11q)부터 제1 개구 단부면(11p)에 이르기까지, 높이 방향으로 거의 똑바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11)는, 제2 개구 단부면(11q)부터 통기막(6) 까지의 높이(H1), 바꾸어 말하면 통기 부재(13A)를 둘러싸는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통기막(6)까지의 높이(H1)가 4㎜ 이상이 되도록 치수 조정이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하면,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부착된 물방울 등이 통기막(6) 상으로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상기 높이(H1)를 4㎜ 이상으로 하면, 통상의 조건 하에서 케이싱(91)에 부착되는 물방울 등이 통기막(6)에 도달하기 어렵다. 더 확실하게 물방울 등과 통기막(6)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높이(H1)는 6㎜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단, 케이싱(91)의 외표면(91p)으로부터의 통기 부재(13A)의 돌출량이 너무 커지지 않도록, 상기한 높이(H1)는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치수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도 원용한다.
통기 부재(13A)를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열 용착에 의한 방법, 초음파 용착에 의한 방법, 레이저 용착에 의한 방법,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1a, 도1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13A)에 있어서는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통기막(6)의 하면까지의 지지체(11)의 높이(H1)가 높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지지체(11)의 외경보다도 작게 조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통기 부재(13A)를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고정했을 때의 안정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어, 이물질 등 에 의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통기 부재(13A)가 케이싱(91)으로부터 탈락될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2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13B)와 같이 제2 개구 단부면(11q)측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는 리브(14, 14)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리브(14, 14)는,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 부재(13B)를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설치한 통기 구조(100B)에 의하면, 통기 부재(13B)와 케이싱(91)의 접합 강도를 용이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리브(14, 14)는 후술하는 모든 실시 형태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케이싱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인서트되어, 케이싱을 구성해야 할 수지와 일체화되는, 소위 인서트 성형에 제공될 경우가 있다. 그러한 인서트 성형법에 의하면, 통기 부재를 케이싱에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공정수의 감소가 되는 대신, 불량품의 발생율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인서트 성형의 실시 시에 통기 부재의 통기막에 높은 공기압이 가해져, 통기막이 지지체로부터 박리되거나 파단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은 개량이 유효하다.
즉 도2b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100B)에 포함되는 통기 부재(13C)와 같이, 수지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막 본체(6)와, 막 본체(6)의 적어도 한 쪽의 주면을 덮도록 막 본체(6)에 설치된 통기성을 갖는 보강재(7)를 포함하고, 보강재(7)에 의해 막 본체(6)가 보강된 통기막(8)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케이싱(91)의 성형시의 막 본체(6)의 박리·파단이라는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다. 막 본체(6)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도1a, 도1b에서 설명한 바로 그 통기막이다.
보강재(7)는 막 본체(6)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막 본체(6)보다도 박리나 파단이 용이하게 발생하기 어려운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보강재(7)가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메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보강재(7)가 메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막 본체(6)와 보강재(7)는 용착이나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7)가 실질적으로 지지체(11)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조성의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면,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레이저 용착 등의 용착 방법에 의해 지지체(11)와 보강재(7)를 한층 견고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금속제나 수지제의 메쉬는, 금속이나 수지의 선재를 짜넣은 것이어도 되고, 공지의 펀칭 메탈과 같이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시트이어도 되고, 금형을 이용한 공지의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체이어도 되며, 또한 강성이 높은 격자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2b의 예에서는, 보강재(7)가 막 본체(6)의 편면에만 접합되어 있으나, 막 본체(6)의 양면에 보강재(7)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이란, 불가피 불순물을 포함할 경우나, 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취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통기 부재는 지붕부 이 외의 부분에서 지지체가 상하로 분할 가능해도 된다. 또한, 지붕부를 갖지 않고 통기막이 상측으로 노출되는 형태의 지지체를 구비한 통기 부재를 채용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3a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3b는 그 단면 사시도이다. 도3a, 도3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23)를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싱(91)의 내외부의 환기를 행하기 위한 통기 구조(102)가 구성되어 있다.
통기 부재(23)는 케이싱(91)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21h, 21i)을 갖는 지지체(21)와, 관통 구멍(21h, 21i)을 막도록 지지체(21)에 고정된 통기막(6)을 구비하고 있다. 제2 개구 단부면(21q)이, 케이싱(91)에 직접 접합된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지지체(21)는 통기막(6)을 덮는 지붕부(26)를 포함한다. 통기막(6)과 지붕부(26) 사이의 간극이 통기막(6)의 면내와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26h)에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3)와 공통이다.
한편, 케이싱(91)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제1 개구 단부면(21p)은 지붕부(26)를 고정하고 있는 단부면으로 되어 있다. 이 제1 개구 단부면(21p)에 통기막(6)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기막(6)은 관통 구멍(21h, 21i) 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체(21)의 관통 구멍(21h, 21i)은 케이싱(91)의 외부측으로 되는 제1 부분(21h)과, 케이싱(91)의 내부측으로 되는 제2 부분(21i)으로 구성되며, 통기막(6)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 막(6)을 관통 구멍(21h, 21i) 내에 배치할 경우에는 제2 개구 단부면(21q)[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일치하는 단부면]부터 반대측의 제1 개구 단부면(21p)까지의 지지체(21)의 높이(H3)를 4㎜ 이상으로 조정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부착된 물방울 등이 지지체(21)을 타고 넘어 관통 구멍(21h)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개구 단부면(21q)부터 통기막(6)의 하면까지의 지지체(21)의 높이(H2)를 4㎜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케이싱(91)의 내부측으로 되는 관통 구멍(21i)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관통 구멍(21i)에 적절한 길이가 있는 경우, 케이싱(91) 내에 결로가 발생했을 때에도 물방울은 관통 구멍(21i) 내를 천천히 흘러가기 때문에, 물방울이 직접 통기막(6)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통기막(6)까지의 높이(H2)를 4㎜ 이상으로 함으로써,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제1 개구 단부면(21p)까지의 높이(H3)는 필연적으로 4㎜ 이상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21)는 관통 구멍(21h, 21i)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고,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에 관한 관통 구멍(21h, 21i)의 단면적이 불연속으로 변화되는 단차부(211)를 포함하고 있다. 즉, 단차부(211)는 관통 구멍(21h, 21i)의 제1 부분(21h)과 제2 부분(21i)의 경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이 단차부(211)에 통기막(6)을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통기막(6)을 관통 구멍(21h, 21i) 내에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관통 구 멍(21h, 21i) 내에 통기막(6)을 배치함으로써, 가로 방향으로부터 날아들어오는 물방울이나 진개로부터 통기막(6)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91)의 외부측으로 되는 관통 구멍(21h)의 직경을 통기막(6)의 직경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그 관통 구멍(21h)으로부터 통기막(6)을 삽입하여 단차부(211)에 고정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통기막(6)을 간단히 단차부(21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통기막(6) 대신에, 보강된 통기막(8)(도2b 참조)을 이용해도 된다. 그 경우, 보강재(7) 또는 막 본체(6)가 단차부(211)의 시트면에 접촉하도록 지지체(21)에 통기막(8)이 고정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4a에 도시하는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43A)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23)의 변형예이다. 통기 부재(43A)를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설치함으로써, 통기 구조(106A)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41)의 관통 구멍(41h, 41i)이 통기막(6)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어 있는 점, 지지체(41)가 지붕부(46)를 포함하는 점,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제1 개구 단부면(41p)까지의 높이(H7)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점 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서로 다른 점은, 통기막(6)을 지지체(41)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는 점이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6)은 관통 구멍(41h, 41i) 내에 있어서, 지지체(41)를 구성하는 수지에 주연부(6k)를 일체화함으로써, 그 지지체(41)에 고정되어 있다. 즉, 통기막(6)의 주연부(6k)가 지지체(41)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통기막(6)을 지지체(41)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통기 부재(43A)가 강한 수류에 노출되거나 한 경우에도 통기막(6)이 지지체(41)로부터 박리 및 파단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통기 부재(43A)의 지지체(41)는 케이싱(91)의 외표면(91p)[제2 개구 단부면(41q)에 일치한다]부터 통기막(6)까지의 높이(H6)가 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43A)에 있어서, 케이싱(91)에 접합되는 측의 개구부(41L)의 외경이 반대측 개구부의 외경보다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개구부(41L)를 포함하는 지지체(41)에 의하면, 접합면(41q)의 면적이 커지므로, 통기 부재(43A)와 케이싱(91)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물론, 이러한 개구부(41L)를 다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도4b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106B)에 포함되는 통기 부재(43B)와 같이, 막 본체(6)과 보강재(7)를 포함하는 통기막(8)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막 본체(6)와 보강재(7)의 양 쪽의 주연부가 지지체(41)의 내부에 매립된다. 보강재(7)에 의한 보강 효과와, 지지체(41)의 내부로의 매립 효과가 아울러, 지지체(41)에 통기막(8)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5a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5b는 그 단면 사시도이다. 도5a, 도5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53A)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지지체(51)의 관통 구멍(51h, 51i) 내에 통기막(6)을 배치하고 있는 점, 지지체(51) 가 지붕부(51a)를 포함하는 점,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제1 개구 단부면(51p)까지의 높이(H8)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점은 도3a, 도3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23) 및 통기 구조(102)와 공통이다. 지지체(51)의 제2 개구 단부면(51q)을 케이싱(91)에 대한 접합면으로 하고 통기 부재(53A)를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부착함으로써 통기 구조(108A)가 구성되어 있는 점도 마찬가지이다.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51)는 관통 구멍(51h, 51i) 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고,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에 관한 관통 구멍(51h, 51i)의 단면적이 불연속으로 변화되는 단차부(511)를 포함하고 있다. 즉, 단차부(511)는 관통 구멍(51h, 51i)의 제1 부분(51h)과 제2 부분(51i)의 경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511)에 통기막(6)을 배치하고 있다. 단, 통기 부재(53A)는 지지체(51)의 관통 구멍(51h, 51i) 중 케이싱(9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관통 구멍(51h)이 케이싱(91)의 내부측으로 되는 관통 구멍(51i)보다도 소경으로 되어 있다. 즉, 통기막(6)을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접속하는 제2 개구 단부면(51q)측으로부터 관통 구멍(51i) 내로 삽입하여, 이것을 단차부(511)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통기 부재(53A)에 의하면, 지지체(51)의 단차부(511)에 있어서, 가로 방향에 관한 관통 구멍(51h, 51i)의 단면적이 케이싱(91)에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불연속으로 축소되어 있으므로, 케이싱(91)측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의 공기압이 가해졌을 때, 통기막(6)이 단차부(511)의 시트면에 압박된다. 따라서, 통기 부재(53A)를 구비한 케이싱(91)을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통기막(6)의 박리나 파단의 발생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5c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108B)에 포함되는 통기 부재(53B)와 같이 보강재(7)로 보강된 통기막(8)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보강재(7)가 단차부(511)의 시트면에 접촉하도록 지지체(51)에 통기막(8)이 고정된다. 이 통기 부재(53b)에 의하면, 케이싱(91)측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의 공기압이 가해졌을 때, 막 본체(6)가 보강재(7)에 압박된다. 바람직한 보강재(7)는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메쉬, 혹은 다공체(예를 들어, 닛토덴코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선 맵)를 포함하고, 막 본체(6)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보강재(7)에 의하면, 인서트 성형 시에 가해지는 공기압에 의해 지지체(51)로부터 박리되거나 파단되거나 할 가능성은 낮아, 막 본체(6)를 항상 확실히 지지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재(7)가 실질적으로 지지체(51)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조성의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통기 부재(53A, 53B)의 지지체(51)는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통기막(6)까지의 높이(H9)가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지지체(51)의 지붕부(51a)를 관통 구멍(51h, 51i)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일체로 제작하고 있다. 단, 통기막(6)과 지붕부(51a) 사이의 간극이 통기막(6)의 면내와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52)에 연통되어 있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또한, 도5d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53D)도 적합하다. 즉, 통기 부재(53D)의 지지체(51D)는 통기막(6)으로부터 케이싱(91)을 향하는 통기 경로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관통 구멍(51i) 내에 있어서의 기체 또는 액체의 높이 방향에 관한 직진을 방해하는 방해판(51e, 51f)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해판(51e, 51f)을 관통 구멍(51i) 내에 배치함으로써, 케이싱(91) 내에 결로가 발생한 경우에도 물방울이 통기막(6)을 향하여 다이렉트로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통기막(6)의 통기성을 항상 확보할 수 있어, 케이싱(91) 내의 결로를 원활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해판(51e, 51f)은 다른 모든 실시 형태에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 실시 형태)
도6a, 도6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63)의 지지체(61)는 케이싱(91)에 접속되어야 할 부분으로서, 통기막(6)이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케이싱(91)에 접속되는 측을 향함에 따라 통기막(6)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의 단면에 나타나는 외형이 이루는 면적이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기체부(611)를 포함한다. 지지체(61)의 기체부(611)가 케이싱(91)의 개구부(91k)에 고정되어 있다. 기체부(611)에 인접하는 상측 부분[케이싱(91)과는 반대측]은 외경이 일정한 정경부(610)로 되어 있다. 통기막(6)을 덮는 지붕부(61a)는 그 정경부(610)에 포함된다. 통기막(6)과 지붕부(61a) 사이의 간극이, 통기막(6)의 면내와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62)에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 부재(63)를 케이싱(91) 의 개구부(91k)에 설치함으로써, 통기 구조(110)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61)의 기체부(611)는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부착된 물방울 등이 통기 부재(63) 주위에 고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6c, 도6d는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와 종래의 통기 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 우선,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91)을 향하여 아래가 넓어지도록 측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63)에 의하면, 통기 부재(63)와 케이싱(91)의 외표면(91p) 사이에 물방울(W)이 고이려고 하면, 물방울(W)은 표면적을 크게 해야 하므로 안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물방울(W)은 통기 부재(63)의 주위로부터 원활하게 배제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기 부재(201)는 측면이 똑바로 우뚝 솟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 부재(201)와 케이싱(91)의 외표면(91p) 사이에 고이는 물방울(W)은 표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다. 이 결과, 물방울(W)은 통기 부재(201)의 주위에 고이기 쉬워, 통기막(6) 상으로 흘러 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통기막까지의 높이가 부족한 종래의 통기 부재(201)(도13)에서 현저하게 된다.
도6a,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63)의 기체부(611)는 상기 단면에 나타나는 외형이 대략 원형이며, 또한 직경이 연속적으로 확대되어 있다. 기체부(611)의 대경측의 단부면(61q)으로부터 소경측의 개구 단부면(61p)에 이르기까지 관통 구멍(61h, 61i)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기막(6)은, 그 관통 구멍(61h, 61i) 내에 배치되어 있다. 원형 단면의 기체부(611)로 함으로써, 통기 부재(63)의 주위에 물방울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한층 더 높 아진다.
또한, 기체부(611)의 대경측의 단부면(61q)[제2 개구 단부면(61q) ;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일치하는 단부면]부터 소경측의 개구 단부면(61p)[제1 개구 단부면(61p)]까지의 높이(H10)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기체부(611)의 대경측의 단부면(61q)부터 통기막(6)까지의 높이(H11)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부착된 물방울 등이 통기막(6)을 향하여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방수성이 높은 통기 구조(11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6a, 도6b의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91)측에 근접함에 따라 외경이 연속적으로 확대되는 형태의 기체부(611)로 했으나, 예를 들어 계단 형상으로 외경이 확대되는 형상의 기체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구조를 다른 실시 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지붕부(61a)를 제거하고, 통기막(6)을 개구 단부면(61p) 상에 배치하면 매우 심플한 구조의 통기 부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기막(6) 대신에 보강된 통기막(8)(도5c 참조)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7a, 도7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73)는 상자형의 지지체(71)와, 그 상자형의 지지체(71)의 개구부(71k)를 막도록 지지체(71)에 고정된 통기막(6)을 구비하고 있다. 상자형의 지지체(71)는, 케이싱(91)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내부 공간(SH)과, 그 내부 공간(SH)과 당해 지지체(71)의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71k)를 갖는다. 통기막(6)의 두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했을 때,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체(71)의 한 쪽의 단부면(71q)은 케이싱(91)에 직접 접합된 접합면(71q)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91)의 개구부(91k)가 지지체(71)의 내부 공간(SH)에 노출되도록 통기 부재(73)를 케이싱(91)에 직접 고정하고 있다. 지지체(71)는 접합면(71q)부터 개구부(71k)가 형성되어 있는 단부면(71p)까지의 높이(H12)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부착된 물방울 등이 통기막(6) 상으로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73)에 있어서, 케이싱(91)의 개구부(91k)와 통기막(6)은 높이 방향에 수직인 면내 방향(가로 방향)에 있어서, 엇갈린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형의 통기막(6)의 중심축(O1)과, 케이싱(91)의 개구부(91k)(동일하게 원형)의 중심축(O2)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높이 방향의 투영도에 있어서, 지지체(71)의 개구부(71k)와, 케이싱(91)의 개구부(91k)가 면내에서 중합되지 않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에 의하면, 통기 부재(73)의 내부 공간(SH)이 면내 방향으로 확대되어, 물방울 등이 통기막(6)에 의해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8a,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76k, 76k)를 갖는 지지체(76)와, 그들 개구부(76k, 76k) 각각을 막도록 지지체(76)에 고정된 복수의 통 기막(6, 6)를 포함하는 통기 부재(78)를 채용할 수 있다. 지지체(76)가 인접하는 개구부(76k, 76k)의 거의 중간에 케이싱(91)의 개구부(91k)가 위치하는 배치로, 통기 부재(78)를 케이싱(91)에 고정함으로써, 통기 구조(115)가 구성되어 있다. 통기막(6, 6)의 중심축(O1, O3)은 케이싱(91)의 개구부(91k)의 중심축(O2)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통기 구조(115)에 의하면, 케이싱(91) 내의 통기 정도가 매우 양호하다.
통기막(6, 6)을 배치하고 있는 측의 단부면(76p)과는 반대측 단부면(76q)은,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접하는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개구부(76k, 76k)가 형성되어 있는 단부면(76p)까지의 높이(H12)는 지금까지 설명해 온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4㎜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부착된 물방울 등이 통기막(6, 6) 상으로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8c, 도8d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78A) 및 통기 구조(115A)와 같이 개구부(76k, 76k)를 막는 통기막(6, 6)을 상자형의 지지체(76)의 내부 공간(SH)측으로부터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8e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115B)에서는 통기막(6, 6)을 덮는 지붕부(76a)를 구비한 통기 부재(78B)를 채용하고 있다. 통기 부재(78B)는 케이싱(91)에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통기막(6, 6)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통기막(6, 6)을 덮는 지붕부(76a)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지붕부(76a)를 설치함으로써, 통기막(6, 6)을 강한 수류나 진개로부 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지붕부(76a)는, 통기막(6)의 면내에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통기막(6)의 통기 정도를 저하시킬 우려도 없다.
(제7 실시 형태)
도9a, 도9b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117)는 서로 다른 높이의 상면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83)를 채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기 부재(83)의 지지체(81)는 통기막(6)을 배치하는 통 형상부(81a)와, 그 통 형상부(81a)에 연통되는 내부 공간(SH)을 갖는 상자 형상부(81b)로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부(81a)는,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81h)을 갖고 있다. 통기막(6)은 통 형상부(81a)의 개구 단부면(81p)에 배치되어 있고, 관통 구멍(81h)를 상자 형상부(81b)에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막고 있다. 케이싱(91)의 외표면(91p)부터 통기막(6)까지의 높이(H13)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4㎜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부(81a)와 상자 형상부(81b)는 계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케이싱(91)의 외표면(91p)에 부착된 물방울 등이 통기막(6)을 향하여 흘러 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통기 구조(117)를 구축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부분적으로 부족한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위치에 따라 높이가 상이한 통기 부재(83)를 채용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즉, 스페이스를 충분히 차지할 수 있는 개소에 통기막(6)을 배치한 통 형상부(81a)를 위치시키는 한편, 스페이스를 충분히 차지할 수 없는 개소에는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한 상자 형상부(81b)를 위치시키면 된다.
(제8 실시 형태)
도10a, 도10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153)는 형상은 상이하나, 주요한 특징은 도5c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53B)와 공통이다. 즉, 통기 부재(153)의 지지체(151)는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152h)의 횡단면이 비원형(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이며, 통기막(8)이 배치되는 단차부(512)와, 관통 구멍(151h)이 상측으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붕부(151a)를 포함한다. 관통 구멍(151h)은 가로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15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151)의 단차부(512)에는 통기막(8)[구체적으로는 보강재(7)의 부분]을 끼워 넣기 위한 스폿페이싱(512g)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체(151)에 대한 통기막(8)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53)에 의하면, 사각 형상의 통기막(8)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기 부재(153)의 지지체(151)는 초음파 용착용의 리브(154)를 포함한다. 통기 부재(153)를 케이싱에 접합할 때는 이 리브(154)에 초음파에 기초하는 마찰이 집중되어 신속하게 용융되므로, 접합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리브(154)를 다른 실시 형태의 지지체에 설치하여도 된다.
(제9 실시 형태)
인서트 성형 시에 통기막이 박리되거나 파단되거나 하는 문제는, 도11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160)에 포함되는 통기 부재(163)에 의해서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기 부재(163)는, 통기막(6)과, 통기막(6)이 한 쪽의 개구 단부면 상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지지체(161)와, 자신과 지지체(161) 사이에 통기막(6)을 끼우도록 지지체(161)에 주연부(9s)가 고정된 보강재(9)를 구비하고 있다. 보강재(9)의 주연부(9s)는 통기막(6)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 있어서의 지지체(161)의 개구 단부면보다도 외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주연부(9s)가 지지체(161)의 측면을 감돌아 지지체(161)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케이싱(91)측으로부터 강한 공기압이 가해진 경우에도 통기막(6)이 지지체(161)로부터 박리되거나 파단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보강재(7)와 마찬가지로, 보강재(9)가 다공체나 메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강재(9)가 금속제나 수지제의 메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9)가 가요성을 갖고 있으면, 주연부(9s)를 지지체(161)의 측면에 용이하게 따르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보강재(9)를 지지체(161)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지제의 메쉬는 가요성이 우수하고, 강도도 우수하므로 보강재(9)로서 적합하다. 또한, 보강재(9)와 통기막(6)은 직접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그렇지 않아도 된다. 즉, 보강재(9)를 통기막(6)에 씌우기만 하여도 된다. 보강재(9)의 주연부(9s)를 지지체(161)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착, 접착제의 사용, 접착 테이프의 사용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몇개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호 조합 가능한 것을 언급해 둔다.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램프, 모터, 센서, 스위치, ECU, 기어 박스 등의 자동차 부품의 케이싱에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내부에 결로가 발생되기 쉽거나, 직접 비바람에 노출되거나, 세차 시에 흐르는 물을 받거나 하는 케이싱에 본 발명의 통기 부재를 설치할 경우에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부품 이외에도 이동 통신 기기, 카메라, 전기 면도기, 전동 칫솔 등의 전기 제품의 케이싱에 본 발명의 통기 부재를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26)

  1.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관통 구멍을 막도록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막의 두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했을 때,
    상기 지지체는, 한 쪽의 개구 단부면부터 다른 쪽의 개구 단부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쪽의 개구 단부면부터 상기 다른 쪽의 개구 단부면까지의 높이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이 상기 한 쪽의 개구 단부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통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통기막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기막을 덮는 지붕부를 포함하는 통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이,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어 있는 통기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개구 단부면부터 상기 통기막까지의 높이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은, 상기 지지체의 상기 관통 구멍 내에서, 상기 지지체를 구성하는 수지에 주연부를 일체화함으로써,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의 상기 주연부가 상기 지지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통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이 수지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막 본체와, 상기막 본체의 적어도 한 쪽의 주면을 덮도록 상기 막 본체에 설치된 통기성을 갖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막 본체와 상기 보강재의 양쪽의 주연부가 상기 지지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통기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메쉬를 포함하는 통기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관통 구멍 내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 쳐 형성되고,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에 대한 상기 관통 구멍의 단면적이 불연속으로 변화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그 단차부에 상기 통기막이 배치되어 있는 통기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이 수지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막 본체와, 상기막 본체의 적어도 한 쪽의 주면을 덮도록 상기 막 본체에 설치된 통기성을 갖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가 상기 단차부의 시트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상기 통기막이 고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가로 방향에 관한 상기 관통 구멍의 단면적이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불연속으로 축소되는 통기 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메쉬를 포함하는 통기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가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체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용착에 의해 상기 지지체의 상기 단차부에 고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 기 관통 구멍 내에서의 기체 또는 액체의 직진을 방해하는 방해판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
  16. 제2항에 있어서, 자신과 상기 지지체 사이에 상기 통기막을 끼우도록 상기 지지체에 주연부가 고정된 보강재를 더 구비하는 통기 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상기 주연부는, 상기 통기막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서의 상기 지지체의 개구 단부면보다도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체의 측면을 감돌아,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메쉬를 포함하는 통기 부재.
  19.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관통 구멍을 막도록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케이싱에 접속되어야 할 부분이며, 상기 통기막이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싱에 접속되는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통기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의 단면에 나타나는 외형이 이루는 면적이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확대되어 있는 기체부를 포함하는 통기 부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는 상기 가로 방향의 단면에 나타나는 외형이 대략 원형이며 또한 외경이 연속적으로 확대되어 있고, 상기 기체부의 대경측의 단부면부터 소경측의 개구 단부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통기막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의 대경측의 단부면부터 상기 소경측의 개구 단부면까지의 높이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22.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의 통기 경로로서의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막의 두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했을 때, 상기 높이 방향에서의 상기 지지체의 한 쪽의 단부면이, 상기 케이싱에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접합되는 접합 예정면으로 되고, 상기 고정 예정면부터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쪽의 단부면까지의 높이가 4㎜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복수의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고, 이들 개구부 각각을 막도록 복수의 상기 통기막이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24.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에 설치된 제1항에 기재된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구조.
  25.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에 설치된 제19항에 기재된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구조.
  26. 환기를 행해야 할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에 설치된 제22항에 기재된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구조.
KR1020087016828A 2005-12-14 2006-10-12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KR200800772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1092 2005-12-14
JPJP-P-2005-00361092 2005-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281A true KR20080077281A (ko) 2008-08-21

Family

ID=3816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828A KR20080077281A (ko) 2005-12-14 2006-10-12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27544A1 (ko)
EP (2) EP2292473A1 (ko)
KR (1) KR20080077281A (ko)
CN (1) CN101331037B (ko)
TW (1) TW200722688A (ko)
WO (1) WO20070693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4B1 (ko) * 2013-10-28 2014-01-02 정인석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통기부재
KR20170083339A (ko) * 2016-01-08 2017-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용 마개
KR20170088842A (ko) * 2014-11-19 2017-08-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구동 장치, 통기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2530B2 (ja) * 2005-11-1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US20100068431A1 (en) * 2008-09-17 2010-03-18 Vishal Bansal Article and method for forming an article
JP4864074B2 (ja) * 2008-12-11 2012-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および通気構造の製造方法
JP5352253B2 (ja) * 2009-01-21 2013-11-2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799147B (zh) * 2009-02-10 2013-03-2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功率灯具的呼吸装置
DE102009017728A1 (de) * 2009-04-11 2010-10-1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20120114902A1 (en) * 2009-06-11 2012-05-10 Nitto Denko Corporation Gas-permeable composite film and venti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JP5519352B2 (ja) * 2010-03-19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852420B (zh) * 2010-06-29 2013-02-1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呼吸孔结构
FR2975038B1 (fr) * 2011-05-10 2014-03-07 Airbus Operations Sa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en materiau composite et piece ainsi obtenue.
JP5792603B2 (ja) * 2011-11-28 2015-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FR2985699B1 (fr) * 2012-01-18 2015-02-13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protection d'une membrane respirante, groupe motoreducteur et systeme d'essuyage muni d'un tel dispositif
KR101577883B1 (ko) * 2012-03-28 2015-12-15 가부시끼가이샤 옵토니쿠스 세이미쯔 안전 밸브 및 전기 화학 소자
JP2014102970A (ja) 2012-11-20 2014-06-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6130182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30183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EP2842714B1 (de) 2013-08-16 2018-05-16 Oxyphen AG Druckausgleichselement
USD748472S1 (en) 2013-11-08 2016-02-02 W.L. Gore & Associates Gmbh Vent
USD763083S1 (en) 2013-11-08 2016-08-09 W.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KR101492095B1 (ko) * 2013-11-29 2015-0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 모듈
USD749197S1 (en) 2014-02-24 2016-02-09 W. 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USD748227S1 (en) 2014-02-24 2016-01-26 W. 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JP2015170469A (ja) * 2014-03-06 2015-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気体透過部材及び通気性容器
JP2015207529A (ja) 2014-04-23 2015-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装置、および車両用ランプ
US20160113131A1 (en) * 2014-10-17 2016-04-21 Garmin International, Inc. Vent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9667297B1 (en) * 2015-12-18 2017-05-30 Motorola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ng and seal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12816160B (zh) 2016-02-18 2023-10-24 太阳能安吉科技有限公司 用于气密性测试的方法和设备、通风塞
EP3236722B1 (en) * 2016-04-18 2020-09-30 W.L. Gore & Associates GmbH Vent
TWI568970B (zh) * 2016-05-03 2017-02-01 Waterproof construction of the lamp
CN106328214A (zh) * 2016-08-10 2017-01-11 重庆天盛仪表有限公司 防水防尘透气孔罩
US10897662B2 (en) 2016-09-14 2021-01-19 W. L. Gore & Associates Gmbh Assembly for protecting acoustic device
DE102016223278A1 (de) * 2016-11-24 2018-05-24 Robert Bosch Gmbh Kunststoffgehäuse, insbesondere einer Elektronikeinheit
KR20210068441A (ko) 2018-10-11 2021-06-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하우징
US11420816B2 (en) 2019-03-25 2022-08-23 Donaldson Company, Inc. Air reservoir assembly for a submergible enclosure
DE102020118081A1 (de) 2020-07-09 2022-01-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Entlüftung eines Hydrauliksystems
DE102021128949A1 (de) * 2021-11-08 2023-05-11 Mann+Hummel Gmbh Entlüftungs-Abscheidevorrichtung für ein Batteriegehäuse
CN115750866B (zh) * 2022-12-15 2023-06-06 深圳市富程威科技股份有限公司 防爆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9396A (ja) * 1985-12-13 1987-06-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JPH01138187A (ja) * 1987-11-25 1989-05-31 Ngk Spark Plug Co Ltd 通気栓の通気膜
JP3284677B2 (ja) * 1993-08-05 2002-05-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気的接続器
US5522769A (en) * 1994-11-17 1996-06-04 W. L. Gore & Associates, Inc. Gas-permeable, liquid-impermeable vent cover
DE19708116C2 (de) * 1997-02-28 1999-02-25 Telefunken Microelectron Anordnung zum Verschließen von Druckausgleichsöffnungen
DE59800974D1 (de) * 1997-11-28 2001-08-09 Siemens Ag Belüft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lektrische steuergeräte
AU2615000A (en) * 1999-02-10 2000-08-29 Donaldson Company Inc. Headlight assembly humidity control system
JP4043674B2 (ja) * 1999-11-18 2008-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DE10053681B4 (de) * 2000-10-28 2004-08-26 W.L. Gore & Associates Gmbh Gehäuse mit mindestens einem EMI abschirmender Kunststoffkörper bzw. Be- und Entlüft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unststoffkörpers
US6767441B1 (en) * 2001-07-31 2004-07-27 Nova Biomedical Corporation Biosensor with peroxidase enzyme
JP2003318557A (ja) * 2002-04-25 2003-11-0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2003336874A (ja)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4213488B2 (ja) * 2002-05-15 2009-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JP2004266211A (ja) * 2003-03-04 2004-09-24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DE102004052361A1 (de) * 2004-10-28 2006-05-11 Schreiner Group Gmbh & Co. Kg Belüftungseinrichtung zur Ermöglichung des Gasaustauschs durch eine Wandung eines Gehäus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4B1 (ko) * 2013-10-28 2014-01-02 정인석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통기부재
KR20170088842A (ko) * 2014-11-19 2017-08-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구동 장치, 통기 부재
KR20170083339A (ko) * 2016-01-08 2017-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용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1037B (zh) 2012-11-14
EP2292473A1 (en) 2011-03-09
CN101331037A (zh) 2008-12-24
EP1970258A4 (en) 2009-05-06
TW200722688A (en) 2007-06-16
EP1970258A1 (en) 2008-09-17
WO2007069387A1 (ja) 2007-06-21
US20100227544A1 (en)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7281A (ko)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JP4855203B2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KR101305683B1 (ko) 통기 부재
KR101317588B1 (ko)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EP2785163B1 (en) Ventilation member
KR101958036B1 (ko) 통기 유닛
KR100685555B1 (ko) 통기 부재와, 이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하우징
JP4043674B2 (ja)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EP2787277B1 (en) Ventilation member
KR101958035B1 (ko) 통기 유닛
US9332662B2 (en) Ventilation member
EP2733418A1 (en) Ventilation member
JP4498996B2 (ja) 筐体の通気構造
EP2785160A2 (en) Ventilation member
JP2007201110A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US20150306529A1 (en) Ventilation member
KR20180093941A (ko) 통기 부재, 램프
EP2785161A2 (en) Ventilation member
KR20170070301A (ko) 차량용 통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