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941A - 통기 부재, 램프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941A
KR20180093941A KR1020187016969A KR20187016969A KR20180093941A KR 20180093941 A KR20180093941 A KR 20180093941A KR 1020187016969 A KR1020187016969 A KR 1020187016969A KR 20187016969 A KR20187016969 A KR 20187016969A KR 20180093941 A KR20180093941 A KR 20180093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line
cover member
projecting portion
holding membe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조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Abstract

통상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2)를 갖는 보유 지지 부재(20)와, 보유 지지 부재(20)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으로부터 보유 지지 부재(20)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막(10)과, 보유 지지 부재(20)의 주위에 설치되고, 측벽부(31)와, 측벽부(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막는 정상부(33)와, 측벽부(3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통기막(10)과 정상부(33) 사이에 기체가 유통하는 통기로 R을 형성하도록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와 접촉하는 내측 돌출부(32)를 갖는 커버 부재(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기 부재, 램프
본 발명은 통기 부재,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헤드 램프, 리어 램프, 포그 램프 및 턴 램프 등의 자동차용 램프, 인버터, 컨버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지 BOX 등의 기기는 온도 변화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차압을 해소하는 통기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 기기들은 하우징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방진성, 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내수성, 오일의 침입을 저지하는 발유성, 염의 침입을 저지하는 내CCT가 요구되고 있다. 그로 인해, 이들 통기성, 방진성, 내수성, 발유성, 내CCT의 기능을 구비한 통기 부재가 기기에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통기 캡(통기 부재)은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커버 부품 내에, 대략 원통상의 대략 통상체가 끼움 장착되고, 커버 부품의 내주와 대략 통상체의 외주 사이 및 커버 부품의 저면과 대략 통상체의 저부 사이가 통기로에 형성되고, 대략 통상체의 정상부 개구부가 기기 하우징의 설치용 개구에 설치하는 설치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략 통상체의 저부 개구가 통기성을 갖는 필터 부재로 피복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3524호 공보
커버 부품과 통기성을 갖는 통기체(필터 부재) 사이에 통기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커버 부품에 리브를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커버 부품의 리브와 통기체가 접촉하여, 통기체가 좌굴될 우려가 있다. 또한, 통기체 근방에 리브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가 통기 경로에 침입한 경우, 표면 장력으로 액체가 리브에 부착되어 통기체 상에 액체가 고일 우려가 있다. 통기체가 좌굴되거나 통기체 상에 액체가 고이거나 하면, 통기성, 방진성, 내수성, 발유성, 내CCT 등의 기능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통기체가 좌굴되거나 통기체 상에 액체가 고이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통기 부재,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본 발명은, 통상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2)를 갖는 통상 부재(20)와, 상기 통상 부재(20)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당해 통상 부재(20)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통상 부재(20)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당해 내측과 당해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체(10)와, 상기 통기체(10)의 주위에 설치되고, 통부(31)와, 당해 통부(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막는 덮개부(33)와, 당해 통부(3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통기체(10)와 당해 덮개부(33) 사이에 기체가 유통하는 통기로(R)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상 부재(20)의 상기 외측 돌출부(22)와 접촉하는 내측 돌출부(32)를 갖는 커버 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1)이다.
여기서, 상기 통상 부재(20)의 상기 외측 돌출부(22)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면(22a)과 상기 커버 부재(30)의 상기 내측 돌출부(32)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면(32aa)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통기로(R)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통상 부재(20)의 상기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 부재(30)의 상기 내측 돌출부(32)의 내면(32ba)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되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통상 부재(20)의 상기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은 상기 중심선 방향에 평행이고, 상기 커버 부재(30)의 상기 내측 돌출부(32)의 내면(32ba)은 상기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으로 들어가 있어도 된다.
다른 관점에서 파악하면, 본 발명은, 통상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322)를 갖는 통상 부재(320)와, 상기 통상 부재(320)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당해 통상 부재(320)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통상 부재(320)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당해 내측과 당해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체(10)와, 상기 통기체(10)의 주위에 설치되고, 통부(331)와, 당해 통부(3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막는 덮개부(333)를 갖는 커버 부재(330)이며, 상기 통기체(10)와 당해 덮개부(333) 사이에 기체가 유통하는 통기로(R)를 형성하도록 당해 통부(331)가 상기 통상 부재(320)의 상기 외측 돌출부(322)와 접촉하는 커버 부재(3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3)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 부재(330)의 상기 통부(331)는 상기 통상 부재(320)의 상기 외측 돌출부(322)에 대하여 압입되고, 압입부의 체결 여유는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보다도 타방측의 쪽이 커도 된다.
다른 관점에서 파악하면, 본 발명은, 통상의 통상부(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당해 통상부(21)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통상부(21)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당해 내측과 당해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체(10)와, 상기 통기체(10)의 주위에 설치된 주위부(31, 33)와, 상기 통기체(10)와 상기 주위부(31, 33)가 상기 중심선 방향에 근접하는 것을 당해 통기체(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서 억제하는 억제 수단(22, 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1)이다.
여기서, 상기 억제 수단(22, 32)은 통상부(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2)와, 상기 주위부(31, 33)에 있어서의 당해 통상부(21)의 주위에 설치된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 돌출부(32)이며 당해 외측 돌출부(22)와 중심선 방향으로 접촉하는 당해 내측 돌출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다른 관점에서 파악하면, 본 발명은, 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고, 액체 및 고체의 당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의 침입을 저지함과 함께 당해 하우징(100)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기체를 유통시키는 통기 부재(1)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재(1)는, 통상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2)를 갖는 통상 부재(20)와, 상기 통상 부재(20)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당해 통상 부재(20)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통상 부재(20)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당해 내측과 당해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체(10)와, 상기 통기체(10)의 주위에 설치되고, 통부(31)와, 당해 통부(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막는 덮개부(33)와, 당해 통부(3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통기체(10)와 당해 덮개부(33) 사이에 기체가 유통하는 통기로(R)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상 부재(20)의 상기 외측 돌출부(22)와 접촉하는 내측 돌출부(32)를 갖는 커버 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이다.
또한, 본란에 있어서의 상기 부호는 본 발명의 설명 시에 예시적으로 부여한 것이고, 이 부호에 의해 본 발명이 감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체가 좌굴되거나 통기체 상에 액체가 고이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의 II-II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의 VI-VI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7의 VIII-VIII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0의 XI-XI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의 단면도이고, 도 1의 II-II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부의 단면도이다.
통기 부재(1)는 헤드 램프, 리어 램프, 포그 램프 및 턴 램프 등의 자동차용 램프, 인버터, 컨버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지 BOX 등의 기기의 기기 하우징(100)에 장착된다. 도 2에는 기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통기 부재(1) 장착용의 부위이며 단부가 개구된 피장착부(110)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통기 부재(1)는 기기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액체 및 고체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와 기기 하우징(100)의 외부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통기체의 일례로서의 통기막(10)을 갖고 있다.
또한, 통기 부재(1)는 통기막(10)을 보유 지지하는 통상 부재의 일례로서의 보유 지지 부재(20)와, 통기막(10)의 주위를 덮는 커버 부재(30)를 갖고 있다.
《통기막(10)》
통기막(10)은 원반상으로 성형된 막이다. 통기막(10)의 외경은 후술하는 원 C1의 직경보다도 크고, 커버 부재(30)의 후술하는 측벽부(31)의 내주면(31a)의 직경보다도 작다.
통기막(10)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막이라면,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막(10)은 메쉬상 또는 섬유상의, 천, 수지 또는 금속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막(10)은 직포, 부직포, 수지 메쉬, 네트, 스펀지, 금속 다공체, 금속 메쉬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막(10)은 수지 다공질막에, 통기막(10)을 고강도로 하기 위한 보강층을 적층한 막이다.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로서는, 공지의 연신법,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질체나 폴리올레핀 다공체를 예시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것들의 단량체를 단체로 중합한, 또는 공중합하여 얻은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로서, 상기한 폴리올레핀을 2종류 이상 블렌드한 것이어도 되고, 층 구조로 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로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 등을 예시할 수도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막(10)은 작은 면적에서도 충분한 통기량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기기 하우징(100) 내부로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이 높은 것을 감안하여, PTFE 다공질막을 사용하고 있다.
통기막(10)에 형성된 구멍의 평균 구멍 직경은 0.01㎛ 이상 100㎛ 이하의 범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도, 평균 구멍 직경은 0.1㎛ 이상 5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 1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기막(10)에 형성된 평균 구멍 직경이 0.01㎛ 미만인 경우, 통기막(10)을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통기막(10)의 평균 구멍 직경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통기막(10)을 통해 기기 하우징(100) 내부에 액체나 고체가 침입하기 쉬워진다.
통기막(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통기막(10)의 두께가 과도하게 얇으면, 통기막(10)의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통기막(10)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우면, 통기 부재(1)의 크기가 커지기 쉽다.
통기막(10)의 표면(특히, 외측의 부위)에는 발수 처리나 발유 처리 등의 발액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통기막(10)에 발액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통기막(10)에 대한 오염 등의 부착이 억제된다. 그 결과, 통기막(10)의 막힘이 억제된다.
통기막(10)의 발액 처리는, 예를 들어 불소로 포화한 탄화수소기(퍼플루오로알킬기)를 측쇄에 포함하고, 주쇄가 아크릴계, 메타크릴계, 실리콘계 등인 화합물을 성분으로 하는 발액제를 통기막(10)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통기막(10)의 표면에 발액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그라비아 도포 시공, 스프레이 도포 시공, 키스 코팅, 침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발유 처리로서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발유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형성 방법으로서는, 에어 스프레이법, 정전 스프레이법, 딥 코트법, 스핀 코트법, 롤 코트법, 커튼 플로우 코트법, 함침법 등에 의한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의 용액 혹은 디스퍼전의 코팅이나, 전착 도장법이나 플라스마 중합법에 의한 피막 형성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유 지지 부재(20)》
보유 지지 부재(20)는 원통상의 원통상부(21)와, 원통상부(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2)를 갖는다.
보유 지지 부재(20)는 원통상부(21)에 있어서의 중심선 CL의 방향(이하, 「중심선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의 한쪽의 단부(21a)에 통기막(10)을 보유 지지한다. 통기막(10)은 원통상부(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개구를 덮는다. 통기막(10)을 원통상부(21)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0)는 원통상부(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21b)가 기기 하우징(100)의 피장착부(110)에 압입됨으로써 기기 하우징(100)에 장착된다. 즉, 원통상부(21)의 다른 쪽의 단부(21b)측의 내주면(21c)과 기기 하우징(100)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 압력으로 보유 지지 부재(20)가 기기 하우징(100)의 피장착부(1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원통상부(21)의 다른 쪽의 단부(21b)측의 내측의 부위에는 모따기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돌출부(22)는 원통상부(21)의 외주면(21e)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원통상의 부위이다. 외측 돌출부(22)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면인 일방측 단부면(22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이다. 또한,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22b)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이다.
보유 지지 부재(20)의 재료는 성형이 용이한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술폰(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ABS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이것들의 복합재 등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0)의 재료로서,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 외에, 열가소성 수지에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강화재나 금속 등을 복합하여, 내열성, 치수 안정성, 강성 등이 향상된 복합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0)의 재료로서, 금속이나, NBR(니트릴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 등의 합성 고무를 사용해도 된다.
보유 지지 부재(20)의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사출 성형이나 절삭 등에 의해 행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보유 지지 부재(20)의 표면(특히, 외측의 부위)에는 발수 처리나 발유 처리 등의 발액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보유 지지 부재(20)에 발액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20)에 대한 오염 등의 부착이 억제된다. 그 결과, 통기막(10)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보유 지지 부재(20)에 대한 발액 처리나 발유 처리는 상술한 통기막(10)에 대한 발액 처리나 발유 처리와 동일한 처리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통기막(10)을 보유 지지 부재(20)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보유 지지 부재(20)가 열가소성 수지인 경우에는, 다리미 용착, 초음파 용착, 레이저 용착 등의 열 용착이면 된다. 또한, 통기막(10)을 금형에 세트한 상태에서 수지를 흘리는 인서트 성형을 사용하여, 통기막(10)을 보유 지지 부재(20)에 고정해도 된다.
《커버 부재(30)》
커버 부재(30)는 기본 형상이 원통상인 통부의 일례로서의 측벽부(31)와, 측벽부(31)의 내주면(31a)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32)와, 측벽부(31) 및 내측 돌출부(32)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의 일례로서의 원반상의 정상부(33)를 갖는다. 도 2에 있어서는, 측벽부(31) 및 정상부(33)의 단면 형상을 중심선 CL의 우측에 기재하고, 내측 돌출부(32) 및 정상부(33)의 단면 형상을 중심선 CL의 좌측에 기재하고 있다.
측벽부(31)는 측벽부(31)의 내주면(31a)과,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22b) 사이에 간극 S1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제1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주위 방향으로는 소정 각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31)의 내주면(31a)으로부터 내측으로 2단계로 돌출된 부위 중,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부위인 제1 돌출부(32a)와,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인 제2 돌출부(32b)를 갖는다. 내측 돌출부(32)는 바꾸어 말하면, 측벽부(31)의 내주면(31a)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2b)와, 제2 돌출부(32b)로부터 내측으로 더욱 돌출된 제1 돌출부(32a)를 갖는다.
제1 돌출부(32a)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면인 타방측 단부면(32a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이다. 복수(제1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1 돌출부(32a)의 타방측 단부면(32aa)은 대략 동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32a)를 중심선 CL에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돌출부(32a)의 내면은 대략 동일 원 C1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돌출부(32a)는 원 C1의 직경이 원통상부(21)의 외주면(21e)의 외경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32b)를 중심선 CL에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제1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2 돌출부(32b)의 내면(32ba)은 대략 동일 원 C2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2 돌출부(32b)의 내면(32ba)은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32b)를, 중심선 CL을 포함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 제2 돌출부(32b)의 내면(32ba)을 그리는 직선 L1은 중심선 CL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직선 L1과 중심선 CL 사이의 거리는 작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술한 원 C2의 직경 D2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돌출부(32b)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의 원 C2의 직경 D2는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22b)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원 C2의 직경 D2는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22b)의 직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돌출부(32b)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의 내측의 부위에는 모따기부(32bb)가 형성되어 있다.
정상부(3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의 타방측 단부면(32aa)과 보유 지지 부재(20)의 일방측 단부면(22a)이 접촉한 상태에서, 통기막(10)과의 사이에 간극 S2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통기 부재(1)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의 내측 돌출부(32)의 제1 돌출부(32a)의 타방측 단부면(32aa)이,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의 일방측 단부면(22a)과 접촉하도록 조립 장착된다. 바꿔 말하면, 커버 부재(30)의 타방측 단부면(32aa)이 보유 지지 부재(20)의 일방측 단부면(22a)에 부딪칠 때까지, 커버 부재(30)가 보유 지지 부재(20)에 대하여 압입된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30)의 내측 돌출부(32)와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는, 통기막(10)과 커버 부재(30)의 주위부의 일례로서의 정상부(33)가 중심선 방향에 가까워지는 것을 통기막(1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서 억제하는 억제 수단의 일례이다.
통기막(10)의 외경은 커버 부재(30)의 복수의 제1 돌출부(32a)의 내면에서 형성되는 원 C1의 직경보다도 크므로, 커버 부재(30)가 보유 지지 부재(20)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는, 통기막(10)의 최외경부가 커버 부재(30)의 제1 돌출부(32a)의 내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의 타방측 단부면(32aa)과 보유 지지 부재(20)의 일방측 단부면(22a)이 접촉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30)의 측벽부(31)의 내주면(31a)과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22b) 사이에 형성된 간극 S1 및 커버 부재(30)의 정상부(33)와 통기막(10) 사이에 형성된 간극 S2 등이, 기체가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유통하는 통기로 R로서 기능한다.
또한, 커버 부재(30)의 제1 돌출부(32a)와 보유 지지 부재(20)의 원통상부(21)의 외주면(21e) 사이에 형성된 간극 S3도 통기로 R로서 기능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의 제1 돌출부(32a)의 내면은 통기막(10)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간극 S3을 통해, 액체 및 고체가 커버 부재(30)의 정상부(33)와 통기막(10) 사이에 형성된 간극 S2에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통기 부재(1)에 있어서는, 커버 부재(30)의 타방측 단부면(32aa)과 보유 지지 부재(20)의 일방측 단부면(22a)이 접촉한 상태[커버 부재(30)를 보유 지지 부재(20)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20)에 보유 지지된 통기막(10)은 커버 부재(30)와 보유 지지 부재(20)로 끼워 넣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통기막(10)은 보유 지지 부재(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30)로부터 힘을 받지 않으므로 좌굴되지 않는다.
또한, 통기막(10)과 접촉하도록 통기막(10) 상에는 커버 부재(3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장력으로 커버 부재(30)에 부착된 액체가 통기막(10) 상에 고이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에 의하면, 통기막(10)이 좌굴되거나 통기막(10) 상에 액체가 고이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통기성, 방진성, 내수성, 발유성, 내CCT 등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커버 부재(3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2b)의 내면(32ba)은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다. 바꿔 말하면, 커버 부재(3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2b)의 내면(32ba)을 중심선 CL에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에 복수의 제2 돌출부(32b)의 내면(32ba)의 단면선으로 형성되는 원 C2의 직경 D2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한편,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22b)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이다. 그로 인해, 커버 부재(30)의 타방측 단부면(32aa)이 보유 지지 부재(20)의 일방측 단부면(22a)에 부딪칠 때까지, 커버 부재(30)를 보유 지지 부재(20)에 대하여 압입하면, 커버 부재(3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2b)는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에 대하여 압입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30)의 복수의 제2 돌출부(32b)와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 사이의 체결 여유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크다. 그 결과, 커버 부재(30)와 보유 지지 부재(20)의 끼워 맞춤부(압입부)에 압축 영구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끼워 맞춤부(압입부)의 체결 여유가 일정한 구성보다도, 커버 부재(30)가 보유 지지 부재(20)에 대하여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므로, 커버 부재(30)는 보유 지지 부재(20)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22b)은 커버 부재(30)의 제2 돌출부(32b)의 내면(32ba)과 마찬가지로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어도 된다. 보유 지지 부재(20)의 외측 돌출부(22)의 외주면(22b)이 걸리는 형상이라도, 커버 부재(30)는 보유 지지 부재(20)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짐과 함께, 커버 부재(30)가 보유 지지 부재(20)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보유 지지 부재(20)의 내주면(21c)의 변형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통기 부재(1)와, 광을 출사하는 광원의 일례로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수용하는 폐쇄된 기기 하우징(100)을 구비한, 헤드 램프, 리어 램프, 포그 램프 및 턴 램프 등의 자동차용의 램프에 대하여 생각한다.
램프의 기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되는 LED는 점등시킨 경우에 발열하여 고온이 된다. 이로 인해, LED를 점등시킨 경우, 램프의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따뜻해져 팽창한다. 한편, LED가 소등되면, LED의 발열이 정지하기 때문에, 따뜻해진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냉각되어 수축한다. 이와 같이,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팽창하여 내부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거나, 내부 공간의 공기가 수축하여 내부 공간의 압력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램프의 외부를 향해, 또는 램프의 외부로부터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향해, 통기 부재(1)의 통기로 R을 통해 기체가 흐른다. 그 결과,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기기 하우징(100) 등이 파손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2)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2)의 단면도이고, 도 5의 VI-VI부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에 비해, 보유 지지 부재(20)와 커버 부재(30)가 상이하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2)는 상술한 통기막(10)과, 후술하는 보유 지지 부재(220)와, 후술하는 커버 부재(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220)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20)와 상이한 점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230)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30)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이한 점은 주로 형상이고, 재질, 제법 및 발액 처리 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보유 지지 부재(220)》
보유 지지 부재(220)는 원통상의 원통상부(221)와, 원통상부(221)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22)를 갖는다.
보유 지지 부재(220)는 원통상부(2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통기막(10)을 보유 지지한다. 통기막(10)은 원통상부(2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개구를 덮는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20)는 원통상부(2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가 기기 하우징(100)(도 2 참조)의 피장착부(110)에 압입됨으로써 기기 하우징(100)(도 2 참조)에 장착된다.
외측 돌출부(222)는 원통상부(2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기본 형상이 원통상인 부위이다. 단, 외측 돌출부(222)의 외주면(222b)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제2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직사각 형상의 평면이 형성되어 있고, 원호상면(222ba)과 직사각 형상의 직사각 형상면(222bb)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외측 돌출부(222)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면인 일방측 단부면(222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이다. 외측 돌출부(222)의 외주면(222b)[원호상면(222ba) 및 직사각 형상면(222bb)]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이다.
《커버 부재(230)》
커버 부재(230)는 기본 형상이 원통상인 측벽부(231)와, 측벽부(231)의 내주면(231a)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232)와, 측벽부(231) 및 내측 돌출부(232)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원반상의 정상부(233)를 갖는다. 도 6에 있어서는, 측벽부(231) 및 정상부(233)의 단면 형상을 중심선 CL의 우측에 기재하고, 측벽부(231), 내측 돌출부(232) 및 정상부(233)의 단면 형상을 중심선 CL의 좌측에 기재하고 있다.
내측 돌출부(232)는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제2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주위 방향으로는 소정 각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232)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면인 타방측 단부면(232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이다. 복수의 내측 돌출부(232)의 타방측 단부면(232a)은 대략 동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232)를 중심선 CL에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 복수의 내측 돌출부(232)의 내면은 대략 동일 원 상에 형성되고, 그 원의 직경은 보유 지지 부재(220)의 원통상부(221)의 외주면의 외경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된다.
측벽부(231)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내측 돌출부(232) 사이의 부위에는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231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연통 구멍(231b)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제2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31)에 있어서의 내측 돌출부(232)가 설치된 부위보다도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는 대략 원통상이지만, 내주면(231a)은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231)를, 중심선 CL을 포함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 내주면(231a)을 그리는 직선 L2는 중심선 CL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직선 L2와 중심선 CL 사이의 거리는 작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내주면(231a)을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원의 직경 D22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 구멍(231b)보다도 약간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 근방의 내주면(231a)의 직경 D22는 보유 지지 부재(220)의 외측 돌출부(222)의 외주면(222b)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내주면(231a)의 직경 D22는 보유 지지 부재(220)의 외측 돌출부(222)의 외주면(222b)의 직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2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의 내측의 부위에는 모따기부(231c)가 형성되어 있다.
정상부(23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30)의 타방측 단부면(232a)과 보유 지지 부재(220)의 일방측 단부면(222a)이 접촉한 상태에서, 통기막(10)과의 사이에 간극 S22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2)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30)의 타방측 단부면(232a)이, 보유 지지 부재(220)의 외측 돌출부(222)의 일방측 단부면(222a)과 접촉하도록 조립 장착된다. 바꿔 말하면, 커버 부재(230)의 타방측 단부면(232a)이 보유 지지 부재(220)의 일방측 단부면(222a)에 부딪칠 때까지, 커버 부재(230)가 보유 지지 부재(220)에 대하여 압입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30)의 타방측 단부면(232a)과 보유 지지 부재(220)의 일방측 단부면(222a)이 접촉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230)의 측벽부(231)에 형성된 연통 구멍(231b) 및 커버 부재(230)의 정상부(233)와 통기막(10) 사이에 형성된 간극 S22가, 기체가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유통하는 통기로 R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2)에 있어서는, 커버 부재(230)의 타방측 단부면(232a)과 보유 지지 부재(220)의 일방측 단부면(222a)이 접촉한 상태[커버 부재(230)를 보유 지지 부재(220)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220)에 보유 지지된 통기막(10)은 커버 부재(230)와 보유 지지 부재(220)로 끼워 넣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통기막(10)은 보유 지지 부재(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230)로부터 힘을 받지 않으므로 좌굴되지 않는다.
또한, 통기막(10)과 접촉하도록 통기막(10) 상에는 커버 부재(23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장력으로 커버 부재(230)에 부착된 액체가 통기막(10) 상에 고이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2)에 의하면, 통기막(10)이 좌굴되거나 통기막(10) 상에 액체가 고이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통기성, 방진성, 내수성, 발유성, 내CCT 등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측벽부(231)에 있어서의 내측 돌출부(232)가 설치된 부위보다도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의 내주면(231a)은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다. 바꿔 말하면, 내주면(231a)을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원의 직경 D22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한편, 보유 지지 부재(220)의 외측 돌출부(222)의 외주면(222b)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이다. 그로 인해, 커버 부재(230)의 타방측 단부면(232a)이 보유 지지 부재(220)의 일방측 단부면(222a)에 부딪칠 때까지, 커버 부재(230)를 보유 지지 부재(220)에 대하여 압입하면, 커버 부재(230)의 측벽부(231)는 보유 지지 부재(220)의 외측 돌출부(222)에 대하여 압입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230)의 측벽부(231)와 보유 지지 부재(220)의 외측 돌출부(222) 사이의 체결 여유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크다. 그 결과, 커버 부재(230)와 보유 지지 부재(220)의 끼워 맞춤부(압입부)에 압축 영구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끼워 맞춤부(압입부)의 체결 여유가 일정한 구성보다도, 커버 부재(230)가 보유 지지 부재(220)에 대하여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므로, 커버 부재(230)는 보유 지지 부재(220)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20)의 외측 돌출부(222)의 외주면(222b)은 커버 부재(230)의 내주면(231a)과 마찬가지로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어도 된다. 보유 지지 부재(220)의 외측 돌출부(222)의 외주면(222b)이 걸리는 형상이라도, 커버 부재(230)는 보유 지지 부재(220)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짐과 함께, 커버 부재(230)가 보유 지지 부재(220)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보유 지지 부재(220)의 내주면의 변형이 억제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3)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3)의 단면도이고, 도 7의 VIII-VIII부의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3)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에 비해, 보유 지지 부재(20)와 커버 부재(30)가 상이하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3)는 상술한 통기막(10)과, 후술하는 보유 지지 부재(320)와, 후술하는 커버 부재(33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320)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20)와 상이한 점 및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330)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30)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이한 점은 주로 형상이고, 재질, 제법 및 발액 처리 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보유 지지 부재(320)》
보유 지지 부재(320)는 원통상의 원통상부(321)와, 원통상부(321)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322)를 갖는다.
보유 지지 부재(320)는 원통상부(3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통기막(10)을 보유 지지한다. 통기막(10)은 원통상부(3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개구를 덮는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320)는 원통상부(3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가 기기 하우징(100)(도 2 참조)의 피장착부(110)에 압입됨으로써 기기 하우징(100)(도 2 참조)에 장착된다.
외측 돌출부(32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상부(3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2단계로 돌출된 부위 중,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부위인 제1 외측 돌출부(323)와,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인 제2 외측 돌출부(324)를 갖는다. 제1 외측 돌출부(323)는 원통상부(321)의 외주면으로부터 원통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외측 돌출부(324)는 원통상부(321)의 외주면으로부터 도넛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1 외측 돌출부(323)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크기는 제2 외측 돌출부(324)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크기보다도 크다. 제2 외측 돌출부(324)에 있어서의 원통상부(321)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제1 외측 돌출부(323)에 있어서의 원통상부(321)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도 크다.
제1 외측 돌출부(323)의 외주면(323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이다.
제2 외측 돌출부(324)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면인 일방측 단부면(324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이다.
《커버 부재(330)》
커버 부재(330)는 원통상의 통부의 일례로서의 측벽부(331)와, 측벽부(3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원반상의 덮개부의 일례로서의 정상부(333)를 갖는다.
그리고, 커버 부재(330)는 측벽부(331)의 후술하는 타방측 단부면(331a)이,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2 외측 돌출부(324)의 일방측 단부면(324a)과 접촉하도록 조립 장착된다. 바꿔 말하면, 커버 부재(330)의 타방측 단부면(331a)이 보유 지지 부재(320)의 일방측 단부면(324a)에 부딪칠 때까지, 커버 부재(330)가 보유 지지 부재(320)에 대하여 압입된다.
측벽부(331)에는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331b)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연통 구멍(331b)은 측벽부(3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면인 타방측 단부면(331a)이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2 외측 돌출부(324)의 일방측 단부면(324a)에 접촉한 상태(도 8의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1 외측 돌출부(323)보다도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31)의 타방측 단부면(331a)이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2 외측 돌출부(324)의 일방측 단부면(324a)에 접촉한 상태(도 8의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1 외측 돌출부(323)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323b)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중심선 방향으로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측벽부(331)의 내주면(331c)은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331)를, 중심선 CL을 포함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 내주면(331c)을 그리는 직선 L3은 중심선 CL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직선 L3과 중심선 CL 사이의 거리는 작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내주면(331c)을 중심선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원의 직경 D32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3)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30)(도 7 참조)의 측벽부(331)의 타방측 단부면(331a)이,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2 외측 돌출부(324)의 일방측 단부면(324a)과 접촉하도록 조립 장착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30)의 타방측 단부면(331a)과 보유 지지 부재(320)의 일방측 단부면(324a)이 접촉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330)의 측벽부(331)에 형성된 연통 구멍(331b) 및 커버 부재(330)의 정상부(333)와 통기막(10) 사이에 형성된 간극 S32가, 기체가 기기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유통하는 통기로 R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3)에 있어서는, 커버 부재(330)의 타방측 단부면(331a)과 보유 지지 부재(320)의 일방측 단부면(324a)이 접촉한 상태[커버 부재(330)를 보유 지지 부재(320)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320)에 보유 지지된 통기막(10)은 커버 부재(330)와 보유 지지 부재(320)로 끼워 넣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통기막(10)은 보유 지지 부재(3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330)로부터 힘을 받지 않으므로 좌굴되지 않는다.
또한, 통기막(10)과 접촉하도록 통기막(10) 상에는 커버 부재(33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장력으로 커버 부재(330)에 부착된 액체가 통기막(10) 상에 고이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3)에 의하면, 통기막(10)이 좌굴되거나 통기막(10) 상에 액체가 고이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통기성, 방진성, 내수성, 발유성, 내CCT 등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측벽부(331)의 타방측 단부면(331a)이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2 외측 돌출부(324)의 일방측 단부면(324a)에 접촉한 상태(도 8의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1 외측 돌출부(323)의 한쪽의 단부(323b)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중심선 방향으로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측벽부(331)의 내주면(331c)은 점차 내측으로 들어가 있다. 바꿔 말하면, 내주면(331c)을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원의 직경 D32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한편,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1 외측 돌출부(323)의 외주면(323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이다. 그로 인해, 커버 부재(330)의 타방측 단부면(331a)이 보유 지지 부재(320)의 일방측 단부면(324a)에 부딪칠 때까지, 커버 부재(330)를 보유 지지 부재(320)에 대하여 압입하면, 커버 부재(330)의 측벽부(331)는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1 외측 돌출부(323)에 대하여 압입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330)의 측벽부(331)와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1 외측 돌출부(323) 사이의 체결 여유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크다. 그 결과, 커버 부재(330)와 보유 지지 부재(320)의 끼워 맞춤부(압입부)에 압축 영구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끼워 맞춤부(압입부)의 체결 여유가 일정한 구성보다도, 커버 부재(330)가 보유 지지 부재(320)에 대하여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므로, 커버 부재(330)는 보유 지지 부재(320)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1 외측 돌출부(323)의 외주면(323a)은 커버 부재(330)의 내주면(331c)과 마찬가지로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어도 된다. 보유 지지 부재(320)의 제1 외측 돌출부(323)의 외주면(323a)이 걸리는 형상이라도, 커버 부재(330)는 보유 지지 부재(320)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짐과 함께, 커버 부재(330)가 보유 지지 부재(320)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보유 지지 부재(320)의 내주면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320)의 외측 돌출부(322)의 제1 외측 돌출부(323)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는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외주면(323a)의 직경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모따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330)의 변형예》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33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330)에 있어서, 연통 구멍(331b) 대신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 구멍(331b)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를, 측벽부(331)의 타방측 단부면(331a)까지 확대한 노치부(331d)를 형성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330)에 있어서, 연통 구멍(331b) 대신에 노치부(331d)를 형성해도, 상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4)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4)의 단면도이고, 도 10의 XI-XI부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에 대하여, 보유 지지 부재(20)와 커버 부재(30)가 상이하다. 즉,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4)는 상술한 통기막(10)과, 후술하는 보유 지지 부재(420)와, 후술하는 커버 부재(43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420)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20)와 상이한 점 및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430)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부재(30)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이한 점은 주로 형상이고, 재질, 제법 및 발액 처리 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보유 지지 부재(420)》
보유 지지 부재(420)는 원통상의 원통상부(421)와, 원통상부(4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422)를 갖는다.
보유 지지 부재(420)는 원통상부(4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통기막(10)을 보유 지지한다. 통기막(10)은 원통상부(4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개구를 덮는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420)는 원통상부(42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가 기기 하우징(100)(도 2 참조)의 피장착부(110)에 압입됨으로써 기기 하우징(100)(도 2 참조)에 장착된다.
외측 돌출부(422)는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제4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돌출부(42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상부(4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2단계로 돌출된 부위 중,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부위인 제1 외측 돌출부(423)와,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인 제2 외측 돌출부(424)를 갖는다. 제1 외측 돌출부(423)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크기는 제2 외측 돌출부(424)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크기보다도 크다. 제2 외측 돌출부(424)에 있어서의 원통상부(421)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제1 외측 돌출부(423)에 있어서의 원통상부(421)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도 크다.
복수(제4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1 외측 돌출부(423)를 중심선 CL에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 복수의 제1 외측 돌출부(423)의 외주면(423a)은 대략 동일 원 C423 상에 형성된다. 제1 외측 돌출부(423)의 외주면(423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이고, 원 C423의 크기는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에 걸쳐서 동일하다. 단,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측 돌출부(423)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는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원 C423의 직경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모따기부(423b)를 형성 해도 된다.
제2 외측 돌출부(424)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면인 일방측 단부면(424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이다.
《커버 부재(430)》
커버 부재(430)는 원통상의 측벽부(431)와, 측벽부(4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원반상의 정상부(433)를 갖는다.
측벽부(431)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면인 타방측 단부면(431a)의 반경 방향의 크기는 보유 지지 부재(420)의 외측 돌출부(422)의 제2 외측 돌출부(424)의 일방측 단부면(424a)의 반경 방향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커버 부재(430)는 측벽부(431)의 타방측 단부면(431a)이, 보유 지지 부재(420)의 외측 돌출부(422)의 일방측 단부면(424a)과 접촉하도록 조립 장착된다. 바꿔 말하면, 커버 부재(430)의 타방측 단부면(431a)이 보유 지지 부재(420)의 일방측 단부면(424a)에 부딪칠 때까지, 커버 부재(430)가 보유 지지 부재(420)에 대하여 압입된다.
측벽부(431)의 타방측 단부면(431a)이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2 외측 돌출부(424)의 일방측 단부면(424a)에 접촉한 상태(도 11의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1 외측 돌출부(423)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중심선 방향으로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측벽부(431)의 내주면(431c)은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431)를, 중심선 CL을 포함하는 면으로 절단한 경우, 내주면(431c)을 그리는 직선 L4는 중심선 CL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직선 L4와 중심선 CL 사이의 거리는 작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내주면(431c)을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원의 직경 D42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4)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430)의 측벽부(431)의 타방측 단부면(431a)과 보유 지지 부재(420)의 외측 돌출부(422)의 일방측 단부면(424a)이 접촉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430)의 측벽부(431)와 보유 지지 부재(420)의 원통상부(42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 S41 및 커버 부재(430)의 정상부(433)와 통기막(10) 사이에 형성된 간극 S42가, 기체가 기기 하우징(100)(도 2 참조)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유통하는 통기로 R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4)에 있어서는, 커버 부재(430)의 타방측 단부면(431a)과 보유 지지 부재(420)의 일방측 단부면(424a)이 접촉한 상태[커버 부재(430)를 보유 지지 부재(420)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420)에 보유 지지된 통기막(10)은 커버 부재(430)와 보유 지지 부재(420)에 의해 끼워 넣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통기막(10)은 보유 지지 부재(4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430)로부터 힘을 받지 않으므로 좌굴되지 않는다.
또한, 통기막(10)과 접촉하도록 통기막(10) 상에는 커버 부재(43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장력으로 커버 부재(430)에 부착된 액체가 통기막(10) 상에 고이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4)에 의하면, 통기막(10)이 좌굴되거나 통기막(10) 상에 액체가 고이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통기성, 방진성, 내수성, 발유성, 내CCT 등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측벽부(431)의 타방측 단부면(431a)이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2 외측 돌출부(424)의 일방측 단부면(424a)에 접촉한 상태(도 11의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1 외측 돌출부(423)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중심선 방향으로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측벽부(431)의 내주면(431c)은 점차 내측으로 들어가 있다. 바꿔 말하면, 내주면(431c)을 중심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원의 직경 D42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한편,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1 외측 돌출부(423)의 외주면(423a)은 중심선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이다. 그로 인해, 커버 부재(430)의 타방측 단부면(431a)이 보유 지지 부재(420)의 일방측 단부면(424a)에 부딪칠 때까지, 커버 부재(430)를 보유 지지 부재(420)에 대하여 압입하면, 커버 부재(430)의 측벽부(431)는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1 외측 돌출부(423)에 대하여 압입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430)의 측벽부(431)와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1 외측 돌출부(423) 사이의 체결 여유는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크다. 그 결과, 커버 부재(430)와 보유 지지 부재(420)의 끼워 맞춤부(압입부)에 압축 영구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끼워 맞춤부(압입부)의 체결 여유가 일정한 구성보다도, 커버 부재(430)가 보유 지지 부재(420)에 대하여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므로, 커버 부재(430)는 보유 지지 부재(420)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1 외측 돌출부(423)의 외주면(423a)은 커버 부재(430)의 내주면(431c)과 마찬가지로 중심선 방향으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중심선 CL측)으로 들어가 있어도 된다. 보유 지지 부재(420)의 제1 외측 돌출부(423)의 외주면(423a)이 걸리는 형상이라도, 커버 부재(430)는 보유 지지 부재(420)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짐과 함께, 커버 부재(430)가 보유 지지 부재(420)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보유 지지 부재(420)의 내주면의 변형이 억제된다.
1 : 통기 부재
10 : 통기막
20 : 보유 지지 부재
21 : 원통상부
22 : 외측 돌출부
30 : 커버 부재
31 : 측벽부
32 : 내측 돌출부
33 : 정상부
100 : 기기 하우징
110 : 피장착부

Claims (9)

  1. 통상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를 갖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당해 통상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통상 부재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당해 내측과 당해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체와,
    상기 통기체의 주위에 설치되고, 통부와, 당해 통부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막는 덮개부와, 당해 통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통기체와 당해 덮개부 사이에 기체가 유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외측 돌출부와 접촉하는 내측 돌출부를 갖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외측 돌출부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돌출부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통기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외측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돌출부의 내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외측 돌출부의 외주면은 상기 중심선 방향에 평행이고,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돌출부의 내면은 상기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
  5. 통상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를 갖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당해 통상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통상 부재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당해 내측과 당해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체와,
    상기 통기체의 주위에 설치되고, 통부와, 당해 통부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막는 덮개부를 갖는 커버 부재이며, 상기 통기체와 당해 덮개부 사이에 기체가 유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하도록 당해 통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외측 돌출부와 접촉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통부는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외측 돌출부에 대하여 압입되고, 압입부의 체결 여유는 중심선 방향의 일방측보다도 타방측의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
  7. 통상의 통상부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당해 통상부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통상부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당해 내측과 당해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체와,
    상기 통기체의 주위에 설치된 주위부와,
    상기 통기체와 상기 주위부가 상기 중심선 방향에 근접하는 것을 당해 통기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서 억제하는 억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통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와, 상기 주위부에 있어서의 당해 통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 돌출부이며 당해 외측 돌출부와 중심선 방향으로 접촉하는 당해 내측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부재.
  9. 광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액체 및 고체의 당해 하우징의 내측으로의 침입을 저지함과 함께 당해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기체를 유통시키는 통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재는,
    통상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를 갖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가 당해 통상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당해 통상 부재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당해 내측과 당해 외측 사이에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체와,
    상기 통기체의 주위에 설치되고, 통부와, 당해 통부에 있어서의 중심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막는 덮개부와, 당해 통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통기체와 당해 덮개부 사이에 기체가 유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외측 돌출부와 접촉하는 내측 돌출부를 갖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KR1020187016969A 2015-12-15 2016-12-05 통기 부재, 램프 KR20180093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4283A JP6721978B2 (ja) 2015-12-15 2015-12-15 通気部材、ランプ
JPJP-P-2015-244283 2015-12-15
PCT/JP2016/086015 WO2017104457A1 (ja) 2015-12-15 2016-12-05 通気部材、ラ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941A true KR20180093941A (ko) 2018-08-22

Family

ID=5905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969A KR20180093941A (ko) 2015-12-15 2016-12-05 통기 부재,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1994B2 (ko)
EP (1) EP3392562A4 (ko)
JP (1) JP6721978B2 (ko)
KR (1) KR20180093941A (ko)
CN (1) CN108368996A (ko)
WO (1) WO2017104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0511A1 (en) * 2018-04-16 2019-10-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ent filter and radio remote unit
JPWO2020075857A1 (ja) * 2018-10-11 2021-09-02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筐体
KR20210068441A (ko) * 2018-10-11 2021-06-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하우징
DE112019005073T5 (de) * 2018-10-11 2021-07-22 Nitto Denko Corporation Belüftungsgehäuse
US11560962B2 (en) * 2018-10-25 2023-01-24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component
JP7451861B2 (ja) * 2019-07-29 2024-03-19 ニデックドライ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ストロボスコープ
CN114930993A (zh) * 2020-01-14 2022-08-19 日东电工株式会社 通气部件
KR20210121783A (ko) * 2020-03-31 2021-10-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기성 캡
JP2024011080A (ja) * 2022-07-13 2024-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品及び通気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524A (ja) 1999-11-18 2001-05-25 Nitto Denko Corp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7820466V0 (it) * 1978-01-12 1978-01-12 Elesa Spa Tappo a sfiato per camere olio di macchinari e simili provvisto di paraspruzzi.
KR200218158Y1 (ko) * 2000-05-24 2001-03-15 이동걸 헤드라이트 습기배출구 캡
KR101121269B1 (ko) * 2004-12-07 2012-03-2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부재와 이를 이용한 통기 하우징 및 전장 부품
JP4652121B2 (ja) * 2005-05-18 2011-03-1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と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2006334537A (ja) * 2005-06-03 2006-12-14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通気部材キット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通気筐体および通気タンク
JP4836677B2 (ja) 2005-08-24 2011-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CN100587332C (zh) * 2005-08-24 2010-02-03 日东电工株式会社 透气构件
JP2007087666A (ja) * 2005-09-20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JP4672530B2 (ja) * 2005-11-1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4953663B2 (ja) * 2006-03-02 2012-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JP5684634B2 (ja) * 2010-04-09 2015-03-1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5792603B2 (ja) * 2011-11-28 2015-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5963295B2 (ja) * 2011-12-08 2016-08-03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防水機能付蓋部材
JP2014032741A (ja) * 2012-07-31 2014-02-20 Shinshu Univ 通気性防水部品、通気防水膜及び自動車用電装品
WO2014021552A1 (ko) * 2012-07-31 2014-02-06 주식회사 톱텍 통기성 방수 부품, 통기 방수막 및 자동차용 전장품
JP2014102970A (ja) * 2012-11-20 2014-06-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2015033682A (ja) * 2013-08-09 2015-02-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及び通気部材
JP6173195B2 (ja) 2013-12-04 2017-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524A (ja) 1999-11-18 2001-05-25 Nitto Denko Corp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2562A1 (en) 2018-10-24
US10781994B2 (en) 2020-09-22
US20180356065A1 (en) 2018-12-13
JP2017111916A (ja) 2017-06-22
CN108368996A (zh) 2018-08-03
WO2017104457A1 (ja) 2017-06-22
JP6721978B2 (ja) 2020-07-15
EP3392562A4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3941A (ko) 통기 부재, 램프
US9255719B2 (en) Ventilation member
US9528622B2 (en) Ventilation member
US9332662B2 (en) Ventilation member
US9242198B2 (en) Ventilation member
JP4498996B2 (ja) 筐体の通気構造
EP2785160A2 (en) Ventilation member
EP3618589B1 (en) Ventilation member
WO2020075848A1 (ja) 通気筐体
WO2021145383A1 (ja) 通気部品
WO2021029386A1 (ja) 通気構造
EP2785161A2 (en) Ventilation member
KR102634104B1 (ko) 통기 부품
WO2019111881A1 (ja) 支持体の製造方法
JP2024057002A (ja) 通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