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476A - 스펀-본디드 부직포 - Google Patents

스펀-본디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476A
KR20080092476A KR1020087021798A KR20087021798A KR20080092476A KR 20080092476 A KR20080092476 A KR 20080092476A KR 1020087021798 A KR1020087021798 A KR 1020087021798A KR 20087021798 A KR20087021798 A KR 20087021798A KR 20080092476 A KR20080092476 A KR 2008009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pun
bonded nonwoven
mfr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491B1 (ko
Inventor
다카시 히사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1Spun-bond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형성되는, MFR이 65~150g/10분이고 섬도가 0.01~1.5데니어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로서, 평량이 5~40g/㎡, 엠보싱 면적율이 6.5~2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

Description

스펀-본디드 부직포{SPUN-BONDED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내보풀성(fluffing resistance), 부드러움, 강도가 요구되고, 또한 동시에 우수한 생산성이 요구되는 분야, 예컨대 위생 재료의 표면 소재, 특히 백시트(backsheets)에 유용한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형성되는 스펀-본디드 부직포(spun-bonded nonwoven fabric)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위생 재료의 외측의 표면재, 대표적인 예로서 1회용 기저귀나, 생리(生理)용 냅킨 등의 백시트에는, 투습성 필름 단체, 에어-스루(air-through) 또는 포인트-본디드(point-bonded) 등의 단섬유 부직포가 투습성 필름과 복합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투습성 필름 단체에서는 보풀은 일지 않지만 감촉이 나쁘고, 에어-스루에서는 부드럽지만 강도나 내보풀성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단섬유 부직포는 경제성이나 내보풀성은 좋지만 부드러움이나 강도에 문제가 있는 등, 종래의 소재는 각각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백시트에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972호 공보(특허 문헌 1)에, 투습성 필름과 함께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포함하 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단섬유 부직포와 마찬가지로, 내보풀성을 중심으로, 강력, 유연성의 필요 특성 밸런스까지는 검토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 상황이다. 백시트 등의 항상 마찰에 노출되는 표면 소재로 사용되는 경우에 내보풀성은 중요한 특성이며, 예컨대 1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 보풀이 발생하면 보풀 덩어리로 되어, 유아가 입에 넣을 위험성이 생길 뿐만 아니라, 외관이 매우 나빠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위생용품의 백시트로서 이용했을 때는, 부드러움도 중요하게 된다. 왜냐하면, 부드러움은 사용자에게 있어 중요한 사용감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착용자, 간병인, 간호사 등이 닿았을 때의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도 부드러움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부직포에 관하여, 예컨대 유연성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3-288260호 공보(특허 문헌 2) 또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280267호 공보(특허 문헌 3) 등에 기재가 있으며, 또 이러한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강력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292256호 공보(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개의 특성의 개량은 행해지고 있지만, 백시트와 같은 표면 소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내보풀성과의 밸런스를 포함한 검토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종래의 방법으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백시트 용도로 제공하는 경우, 유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후(後) 가공에 의한 공정을 거치는 방법이나 열 엠보싱 롤에서의 압착을 약하게 하는 방법이 있지만, 전자의 방법으로는 생산성이나 경제성이 뒤떨어지고, 후자의 방법으로는 유연도는 얻어지지만 내보풀 성이 저하된다. 또한, 내보풀성과 유연성 양쪽을 얻고자 하여 단순히 평량(basis weight)을 작게 하면, 부직포의 강도가 작아져 기저귀 등의 제품 설계의 자유도가 제한되게 된다.
섬도(纖度)를 작게 하여 유연성을 얻고자 하는 것도 시도되고 있지만, 압착되지 않은 섬유 길이가 증대하기 때문에도 내보풀성의 저하가 예상된다. 그래서 압착 부분을 강고하게 하려고 가혹한 압착 온도 또는 접압(contact pressure)을 인가하면, 비압착부의 열 이력까지가 커져 섬유의 유연성이 없어지거나 압착부에서의 파손, 즉 핀 홀과 같은 과압착 현상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섬도를 작게 하는 경우, 방사 속도를 올리는 방법과 토출량을 내리는 방법이 있지만, 폴리프로필렌에서는, 압착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비결정부, 또는 느슨한 결정부는 오히려 방사 속도를 떨어뜨리는 편이 생성하기 쉽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미세한 섬도의 부직포를 만들기 위해서는, 토출량을 떨어뜨리고 방사 속도를 내리는 것과 함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서 수지 점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서는 방사성의 악화나, 생산성의 저하, 물성의 저하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5832호 공보(특허 문헌 5)에는 후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내보풀성이 좋고, 유연성이 있으며 강력도 겸비한 스펀-본디드 부직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5에서는 비교적 용융 유동 속도(melt flow rate)가 작은 폴리프로필렌을 원료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 끊어짐(thread breakage)의 발생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스 펀-본디드 부직포에는 아직도 충분한 유연성이 있다고는 말할 수 없기 때문에, 더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97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3-288260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280267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292256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583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래서, 본 발명은 내보풀성, 유연성,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생산성이 우수한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검토하여,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해서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평량, MFR, 섬도 및 엠보싱 면적율 등을 특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형성되는, MFR가 65~150g/10분이고 섬도가 0.01~1.5데니어(denier)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로서, 평량이 5~40g/㎡, 엠보싱 면적율이 6.5~2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디드 부직포이다.
상기 스펀-본디드 부직포는 내보풀성이 1.0~2.0점 및 강연도(bending resistance)/평량으로 표시되는 유연 지수가 2.2㎜/20㎜/(g/㎡) 이하, 인장강도/평량으로 표시되는 인장강도 지수가 0.9N/25㎜/(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펀-본디드 부직포는 MFR이 60~150g/10분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드래프트비(draft ratio) 1500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는, 생산성이 좋고, 유연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보풀이 일기 어려운 부직포이며, 공업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펀-본디드 부직포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하여 스펀-본디드법에 의한 용융 방사로 형성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공중합하는 다른 α-올레핀으로는,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의 탄소수 2~20의 α-올레핀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는, 에틸렌이나 1-뷰텐이 바람직하며,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α-올레핀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공중합시켜도 좋다.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공중합체 중의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중합체, 착색제, 내열 안정제, 핵제(nucleating agent) 등을 배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평량은 5~40g/㎡이다. 투습성 필름과 조합하여 백시트 등에 이용하는 경우는, 5g/㎡~30g/㎡가 바람직하며, 6g/㎡~20g/㎡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하한값보다 낮은 평량에서는 부직포의 강도가 부족하고, 상기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면 전체가 두껍게 되어 딱딱한 촉감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MFR은 65~15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70~130g/10분이다.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MFR이 이 범위이면, 원료로서 MFR이 다른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MFR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을 하회하면 생산성이 저하되고, MFR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을 상회하면 섬유 자체의 강도가 부족하여 충분한 인장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MFR은 JIS K7210-1999에 따라, 온도 230℃, 하중 2.16㎏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이다. 이 MFR의 값은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형성한 후에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의 원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MFR는 통상은 60~150g/10분이며, 70~120g/10분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의 MFR을 갖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생산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가 우수한 스펀-본디드 부직포가 얻어진다. MFR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을 하회하면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원료의 MFR의 값은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제조하기 전의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대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섬도는 0.01데니어(이하, d)~1.5d이다. 바람직하게는 0.1~1.2d이다. 상기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면, 유연성이나 균일성(옷감의 질)의 저하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범위의 하한값을 하회하면, 안정한 방사가 곤란해져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드래프트비(노즐 구멍 직경의 면적과 섬유 직경의 면적의 비)((노즐 직경[㎜])2)/(섬유 직경[㎜])2)가 150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0~82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900~6300이다.
상기 범위의 하한값을 하회하면,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 또 얻어지는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강도가 부족하여, 위생용품의 백시트 등에 사용할 때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드래프트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통상, 드래프트비가 8200을 초과하면, 안정한 방사가 곤란해져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엠보싱 면적율은 6.5~25%이며, 바람직하게는 7.0~21%이다. 상기 범위의 하한값을 하회하면 내보풀성이 악화되고, 상기 범위의 상한값을 상회하면 촉감이 딱딱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내보풀성은 1.0~2.0점이다. 바람직하게는 1.0점이다. 상기 범위의 상한값을 상회하는 부직포는, 종이 기저귀의 백시트로서 이용하는 경우, 의류나 카페트 등의 마찰에 의해 보풀 덩어리가 발생하기 쉬워, 외관이 매우 나빠진다는 문제나 보풀 덩어리를 유아가 잘못하여 입에 넣을 위험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내보풀성이란, 부직포를 다른 부재와 반복하여 접촉시켰을 때에, 부직포의 표면에 보풀이 발생하기 어려운 정도에 대한 지표이며, 평점이 작은 것이 우수하다. 내보풀성은 얽힘(entanglement)의 형성 상태, 섬유 길이,섬유 직경, 섬유 강도, 압착 상태 등에 의해서 결정되는 특성이다.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유연 지수는 바람직하게는 2.2㎜/20㎜/(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20㎜/(g/㎡)이다. 유연 지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위생용품의 백시트로서 이용했을 때에 사용자에게 있어 중요한 사용감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고, 또한 착용자, 간병인, 간호사 등이 닿은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중요한 부드러움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부직포의 유연 지수는 부직포의 강연도/평량으로 정의되는 부직포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JIS L1096-1999의 8.19.1의 A법 「캔틸레버법(cantilever method)」에 근거하여 측정한 부직포의 강연도 및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측정한 부직포의 평량으로부터 산정되는 값이며, 실제의 부직포의 사용감에 관계되는 지표이다.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인장강도 지수는 바람직하게는 0.9N/25㎜/(g/㎡) 이상이다. 인장강도 지수가 0.9N/25㎜/(g/㎡)를 하회하면, 위생용품의 백시트 등에 사용할 때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부직포의 인장강도 지수는 부직포의 인장강도/평량으로 정의되는 부직포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JIS L1096-1999의 8.12.1의 (1)의 「A법(스트립법(strip method)」의 「컷(cut) 스트립법」에 근거하여 측정한 부직포의 인장강도 및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측정한 부직포의 평량으로부터 산정되는 값이며, 실제의 부직포의 사용감에 관계되는 지표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특성을 만족시키는 스펀-본디드 부직포는, 사용감이 좋은 것은 물론,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실 끊어짐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대단히 우수한 생산성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과 같은 섬유 직경이 1.5d 이하로 미세한,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얻기 위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385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사구로부터 방사된 다수의 연속 섬유를 냉각풍에 의해 냉각하고, 새롭게 도입한 연신풍(延伸風)에 의해 연신하는 제법,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286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각풍을 풍속이 다른 2단계로 분할하고, 냉각풍을 그대로 연신풍으로서 이용하는 제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생산성도 좋아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를 게시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이용한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장치는 이하와 같다.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3853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개시되어 있는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장치. 즉, 방적돌기(spinneret)로부터 방사된 섬유가 좁은 통로부(throat part)에서 서냉(徐冷)된 후, 냉각실에서 냉각풍에 의해 냉각되고, 냉각풍과는 별도로 도입된 연신풍에 의해 연신되도록 구성된 밀폐형 장치에서 연신된 후에 섬유가 분산되도록 섬유 분산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분산된 섬유가 이동 포집 장치 상에 퇴적하고, 그 퇴적한 섬유 집합체를 엠보싱 롤과 플랫 롤에 의해 압력과 온도를 조정하여, 부분적으로 압착을 실시하는 장치를 구비한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2>
방적돌기로부터 방사된 섬유가 한쪽으로부터의 냉각풍에 의해 냉각되고, 냉각풍과는 별도로 도입된 연신풍에 의해 연신되도록 구성된 개방형 장치에서 연신된 후에 섬유가 분산되도록 섬유 분산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분산된 섬유가 이동 포집 장치 상에 퇴적하고, 그 퇴적한 섬유 집합체를 엠보싱 롤과 플랫 롤에 의해 압력과 온도를 조정하여, 부분적으로 압착을 실시하는 장치를 구비한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2002-302862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장치, 즉, 냉각실에 도입되는 냉각풍 송풍부가 상하 방향으로 2단으로 분리되어 설치되고, 냉각풍이 연신풍을 겸하도록 구성된 밀폐형 장치에서 연신된 후에 섬유가 분산되도록 섬유 분산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분산된 섬유가 이동 포집 장치 상에 퇴적하고, 그 퇴적한 섬유 집합체를 엠보싱 롤과 플랫 롤에 의해 압력과 온도를 조정하여, 부분적으로 압착을 실시하는 장치를 구비한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이용한 측정법은 이하와 같다.
(1) MFR(용융 유동 속도[g/10분(230℃)])
하기에 나타낸 사항 이외는 모두 JIS K7210-1999의 7항 B법의 b「피스톤이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 제작한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샘플에 대하여, 시험편을 5g씩 5점 채취하였다. 채취 장소는, MD 방향에 대해서는 임의의 장소로 하고, CD 방향에 대해서는 부직포 샘플의 양단 20㎝을 제외하고, 직선상에 균일 간격으로 5개소로 하였다.
<2> 길이 160㎜×내경 9.550㎜의 실린더에 핀셋으로 시험편을 채워넣었다.
<3> 자동 압출하여 플라스토미터(plastometer)(테스터 산업(주) 제품, TP-406형)를 이용해서, 시험 온도 230℃, 하중 2.16㎏, 측정 거리 6㎜에서 MFR를 측정하였다.
<4> 각 부직포 샘플마다, 채취한 5점의 시험편에 대하여 따로따로 측정해서, 그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첫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의 MFR로 하였다.
(2) 섬도[데니어:d:9000m당 섬유의 그램수]
1d=1g/섬유 길이 9000m
<1> 제작한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샘플에 대하여 10㎜×10㎜의 시험편을 10점 채취하였다. 채취 장소는, MD 방향에 대해서는 임의의 장소로 하고, CD 방향에 대해서는 부직포 샘플의 양단 20㎝을 제외하고, 직선상에 균일 간격으로 10개소로 하였다.
<2> Nikon사 제품 ECLIPSE E400 현미경을 이용하여, 배율 20배로, 섬유의 직경을 ㎛ 단위로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읽어내었다. 1시험편마다 임의로 20개소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이것을 10점의 시험편에 대하여 각각 측정하였다(직경의 측정점은 합계 200점). 직경의 측정 결과로부터, 각 측정점마다 9000m당 섬유의 그램수를 구하였다. 이 때, 폴리프로필렌의 밀도를 0.91g/c㎥로 하여 계산하였다.
<3> 200점의 측정점마다 9000m당 섬유의 그램수를 별개로 환산하여, 그 환산값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섬도로 하였다.
(3) 드래프트비
상기 섬도의 측정으로 구해진 합계 200점의 직경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섬유 직경(단위: ㎛)으로 하였다.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에서 이용한 노즐 직경(단위:㎜)과 수득된 섬유의 섬유 직경으로부터 드래프트비를 아래 식으로부터 구하고, 열째 자리를 반올림해서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샘플의 드래프트비로 하였다.
드래프트=(노즐 직경[㎜])2/(섬유 직경[㎜])2
(4) 평량[g/㎡]
JIS L1096-1990의 6.4.2항의 「표준 상태에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에 따라 측정하였다.
<1> 제작한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샘플에 대하여 100㎠의 원형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채취 장소는, MD 방향에 대해서는 임의의 장소로 하고, CD 방향에 대해서는 부직포 샘플의 양단 20㎝을 제외하고, 직선상에 균일 간격으로 20개소로 하였다.
<2> 채취한 각 시험편에 관하여, 윗접지 전자 저울(시마즈 제작소 제품, EB-330형)을 이용해서 각각 질량(g)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편의 질량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구한 평균값으로부터 1㎡당 질량(g)으로 환산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해서 각 부직포 샘플의 평량으로 하였다.
(5) 내보풀성[점]
<1> 제작한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샘플에 대하여 300㎜(MD)×25㎜(CD)의 시험편을 40점 채취하였다. 채취 장소는, MD 방향에 대해서는 임의의 2개소(엠보싱 롤 측면의 평가용(표면), 플랫 롤 측면(이면)의 평가용)로 하고, CD 방향에 대해서는 부직포 샘플의 양단 20㎝을 제외하고, 직선상에 균일 간격으로 각 20개소로 하였다(총 40개소).
<2> JIS-L0849-2004의 5의 5.1의 b에 기재된 장치 「마찰 시험기 Ⅱ형(학진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장치로서 다이에 과학 정기사 제품 RT-100형을 이용하고, 마찰자의 하중을 200g로 하고, 포장용 점착 테이프(천) No.314(린레이 테이프사 제품)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과, 시험편의 측정면이 마찰 가능하도록 설치하였다. 이 때, 측정 중에 시험편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포 「400번」을 줄 면을 위로 하여 장치의 대상에 부착하고, 또 시험편을 평가면이 위가 되도록 줄 면의 위에 두고, 측정 장치의 대상에 부착하였다.
<3> 시험편을 부착한 후, 시험편의 측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비점착면을 50회 왕복 마찰시켰다.
<4> 시험편의 마찰면을 관찰하여, 내보풀성에 대해서, 이하의 기준으로 점수를 붙여 평가하였다.
1점 : 보풀이 일지 않음.
2점 : 1개소에 작은 보풀 덩어리가 나오기 시작하는 정도로 보풀이 일고 있음.
3점 : 뚜렷한 보풀 덩어리가 나오기 시작하고, 또한 작은 보풀 덩어리가 복수개 보임.
4점 : 보풀 덩어리가 크고 뚜렷하게 보이고, 복수 개소에서 섬유가 부상이 시작함.
5점 : 시험편이 얇아질수록 격심하게 섬유가 벗겨지고 있음.
6점 : 시험편이 파손될수록 섬유가 벗겨지고 있음.
<5> 각 시험편마다 상기 <1>~<4>를 실시하였다. 표면 평가용 시험편에 대해서는 이면을 마찰하고, 이면 평가용 시험편에 대해서는 이면을 마찰하여 평가하였다.
<6> 상기 40점(표리(表裏) 각 20점)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내보풀성으로 하였다.
(6) 유연 지수
JIS L1096-1999의 8.19.1의 「A법(45° 캔틸레버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 제작한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샘플에 대하여 길이 150㎜, 폭 20㎜의 직사각형 시험편을, MD 방향으로 긴 시험편을 20점, CD 방향으로 긴 시험편을 20점의 총 40점 채취하였다. 채취 장소는, 각 부직포 샘플의 MD 방향에 대해서는 임의의 2개소(CD 방향으로 긴 시험편의 채취 장소와, MD 방향으로 긴 시험편의 채취 장소)로 하고, CD 방향에 대해서는 부직포 샘플의 양단 20㎝을 제외하고, 직선상에 균일 간격으로 각 20개소로 하였다(총 40개소).
<2> 채취한 시험편에 대하여, 각각 표면과 이면을 ㎜ 단위로 재측정해서 정수위까지 읽어내고, 평균값을 구하여, 소수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였다.
<3> 이것을 40점의 시험편에 대하여 각각 측정해서, 평균값을 구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해서 각 부직포 샘플의 강연도[㎜/20㎜]로 하고, 이하 식으로부터 유연 지수를 구하였다.
유연 지수=강연도의 평균값[㎜/20㎜]/평량[g/㎡]
(7) 인장강도, 인장강도 지수
하기에 나타낸 사항 이외는 모두 JIS L1096-1999의 8.12.1의 (1)의 「A 법(스트립법)」의 「컷 스트립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 제작한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샘플에 대하여, 길이 200㎜, 폭 25㎜의 시험편을 상기 (5)와 같은 요령으로, MD 방향으로 긴 시험편, CD 방향으로 긴 시험편을 각각 20점씩, 총 40점 채취하였다.
<2> 각 시험편에 대하여,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인스트론사 제품 5564형)를 이용하여, 척간 100㎜, 인장속도 100㎜/min의 조건 하에서,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 시험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하중을 가하고, 이 때의 최대 하중[N/25㎜]을 측정하였다.
<3> 이것을 40점의 시험편에 대하여 각각 측정해서, 최대 하중치의 평균을 구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해서 각 부직포 샘플의 인장강도[N/25㎜]로 하였다.
<4> 인장강도 지수는 아래 식으로 구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해서 각 부직포 샘플의 인장강도 지수로 하였다.
인장강도 지수=인장강도[N/25㎜]/평량[g/㎡]
(8) 생산성
생산성은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작시의 섬유의 실 끊어짐으로 평가하였다. 각 스펀-본디드 부직포 샘플의 제조 조건을 조정한 후, 상기 부직포 샘플을 10분간 연속하여 제작했을 때의 상기 제작시에서의 관찰 결과이다.
○ : 실 끊어지지 않음
× : 실 끊어짐
(실시예 1)
스펀-본디드 부직포 원료에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MFR(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에서 측정):65g/10분)을 이용하였다.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1>을 이용하여, 노즐 직경 0.60㎜, 싱글 홀(single hole) 토출량 0.35g/min, 수지 온도 225℃, 냉각 풍속 1.8m/s, 냉각 온도 20℃, 연신 풍량 3000㎥/hr/m로 하여 분산 장치를 조정해서 수득된 웹(web)을 엠보싱 롤(각인 형상 : 능형(菱形), 각인 치수 0.67㎜×0.67㎜, 피치 : 1.47㎜×1.47㎜, 엠보싱 면적율 21%, 스태거 배열(staggered arrangement), 각인 경사 : 45도)과 플랫 롤 사이를 통해 압력과 온도를 조정하여 열 엠보싱 처리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의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이동 포집 장치의 속도를 조정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평량 15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15℃, 냉각 풍속 1.6m/s, 연신 풍량 2600㎥/hr/m으로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13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7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 냉풍 속도 1.6m/s, 연신 풍량 4500㎥/hr/m으로 하여, 섬유 직경 0.8d, 드래프트비 2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7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45℃, 냉풍 속도 1.6m/s, 연신 풍량 6700㎥/hr/m으로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46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 냉풍 속도 1.6m/s, 연신 풍량 6700㎥/hr/m으로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46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가 11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4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5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온도 210℃, 냉각 풍속 1.6m/min, 연신 풍량 2000㎥/hr/m으로 하여, 섬유 직경 1.8d, 드래프트비 13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엠보싱 면적율이 6.3%인 엠보싱 롤(각인 형상 : 원형, 각인 치수 : 직경 0.43㎜, 피치 : 1.1㎜×2.1㎜, 스태거 배열)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가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스펀-본디드 부직포 원료에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MFR(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에서 측정):65g/10분)을 이용하였다.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2>를 이용하여, 노즐 직경 0.60㎜, 싱글 홀 토출량 0.35g/min, 수지 온도 225℃, 냉각 풍속 2.0m/s, 냉각 온도 20℃, 연신 에어 건 압력(a stretching air gun pressure) 5.0㎏f/㎠으로 하여 분산 장치를 조정해서 수득된 웹을, 엠보싱 롤(각인 형상 : 능형, 각인 치수 : 0.45㎜×0.45㎜, 피치 : 1.7㎜×1.7㎜, 엠보싱 면적율 7.0%, 스태거 배열, 각인 경사 : 45도)과 플랫 롤 사이를 통해 열 엠보싱 처리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가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7에 있어서, 이동 포집 장치의 속도를 조정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평량 15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7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를 215℃, 냉각 풍속을 1.8m/s, 연신 에어 건 압력을 4.0㎏f/㎠로 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13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7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7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 냉풍 속도 1.8m/s, 연신 에어 건 압력 6.0㎏f/㎠으로 하여, 섬유 직경 0.8d, 드래프트비 2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4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7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7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45℃, 냉풍 속도 1.8m/s, 연신 에어 건 압력 7.0㎏f/㎠으로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46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4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7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 냉풍 속도 1.6m/s, 연신 에어 건 압력 7.0㎏f/㎠으로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46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116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7에 있어서, 원료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4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51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실시예 7에 있어서, 수지 온도 210℃, 냉각 풍속 1.8 m/min, 연신 에어 건 압력 3.0㎏f/㎠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8d, 드래프트비 13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7에 있어서, 엠보싱 면적율이 6.3%인 엠보싱 롤(각인 형상 : 원형, 각인 치수 : 직경 0.43㎜, 피치: 1.1㎜×2.1㎜, 스태거 배열)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스펀-본디드 부직포 원료에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MFR(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에서 측정):65g/10분)을 이용하였다. 스펀-본디드 부직포 제조 설비<3>을 이용하고, 노즐 직경 0.60㎜, 싱글 홀 토출량 0.35g/min, 수지 온도 225℃, 상단 냉각 풍속 0.4m/s, 냉각 온도 20℃, 상단 냉각 풍속 1.4m/s, 냉각 온도 20℃로 하여 분산 장치를 조정하고 수득된 웹를, 엠보싱 롤(각인 형상 : 능형, 각인 치수 0.88㎜×0.88㎜, 피치 : 1.52㎜×1.32㎜, 엠보싱 면적율 : 18%, 스태거 배열, 각인 경사 : 30도와 150도(CD 방향 1열마다 교대로 배치))과 플랫 롤 사이를 통해 열 엠보싱 처리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실시예 13에 있어서, 이동 포집 장치의 속도를 조정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평량 15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실시예 13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 120g/10분의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15℃, 상단 냉각 풍속 0.3m/s, 하단 냉각 풍속 1.2m/s로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13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실시예 13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7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수지 온도 235℃, 상단 냉각 풍속 0.6m/s, 하단 냉각 풍속 2.1m/s로 하고, 섬유 직경 0.8d, 드래프트비 2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실시예 13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7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45℃, 상단 냉각 풍속 1.0m/s, 하단 냉각 풍속 3.5m/s로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46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실시예 13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 상단 냉각 풍속 0.8m/s, 하단 냉각 풍속 3.2m/s로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46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112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13에 있어서,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4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로 한 이외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5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13에 있어서, 수지 온도 210℃, 상단 냉각 풍속 0.3m/s, 하단 냉각 풍속 1.1m/s로 한 이외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8d, 드래프트비 13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실시예 13에 있어서, 엠보싱 면적율이 6.3%인 엠보싱 롤(각인 형상 : 원형, 각인 치수 : 직경 0.43㎜, 피치 : 1.1㎜×2.1㎜, 스태거 배열)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19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부 스펀-본디드 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실시예 1에 있어서, 연신 풍량 2500㎥/hr/m으로 하여, 섬유 직경 1.5d, 드래프트비 15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실시예 5에 있어서, 노즐 직경 0.4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21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실시예 5에 있어서, 노즐 직경 0.5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32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실시예 5에 있어서, 노즐 직경 0.7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63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실시예 5에 있어서, 노즐 직경 0.8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82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노즐 직경 0.35㎜,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4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7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5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실시예 7에 있어서, 연신 에어 건 압력 3.5㎏f/㎠으로 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5d, 드래프트비 15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실시예 10에 있어서, 노즐 직경 0.4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21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4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실시예 10에 있어서, 노즐 직경 0.5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32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4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실시예 10에 있어서, 노즐 직경 0.7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63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4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실시예 10에 있어서, 노즐 직경 0.8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82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4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실시예 7에 있어서, 노즐 직경 0.35㎜,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4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7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5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단 냉각 풍속 0.3m/s, 하단 냉각 풍속 1.1m/s로 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5d, 드래프트비 15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0)
실시예 17에 있어서, 노즐 직경 0.4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21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1)
실시예 17에 있어서, 노즐 직경 0.5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32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2)
실시예 17에 있어서, 노즐 직경 0.7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63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3)
실시예 17에 있어서, 노즐 직경 0.80㎜을 이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0.5d, 드래프트비 82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75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실시예 13에 있어서, 노즐 직경 0.35㎜,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으로서 MFR이 4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수지 온도 235℃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직경 1.2d, 드래프트비 700,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MFR이 50g/10분, 평량이 17g/㎡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이 스펀-본디드 부직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특성의 평가 및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3308136-PCT00001
Figure 112008063308136-PCT00002
Figure 112008063308136-PCT00003

Claims (4)

  1.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형성되는, MFR이 65~150g/10분이고 섬도가 0.01~1.5데니어인 스펀-본디드 부직포로서,
    평량이 5~40g/㎡, 엠보싱 면적율이 6.5~2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디드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내보풀성이 1.0~2.0점 및 강연도/평량으로 표시되는 유연 지수가 2.2㎜/20㎜/(g/㎡) 이하, 인장강도/평량으로 표시되는 인장강도 지수가 0.9N/25㎜/(g/㎡) 이상인 스펀-본디드 부직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MFR이 60~150g/10분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스펀-본디드 부직포.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드래프트비 1500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펀-본디드 부직포.
KR1020087021798A 2006-02-06 2007-01-29 스펀-본디드 부직포 KR101116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9011 2006-02-06
JP2006029011 2006-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476A true KR20080092476A (ko) 2008-10-15
KR101116491B1 KR101116491B1 (ko) 2012-03-07

Family

ID=3834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798A KR101116491B1 (ko) 2006-02-06 2007-01-29 스펀-본디드 부직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67320B2 (ko)
EP (1) EP1983082B1 (ko)
JP (1) JP4943349B2 (ko)
KR (1) KR101116491B1 (ko)
CN (2) CN101374987B (ko)
DK (1) DK1983082T3 (ko)
MY (1) MY146004A (ko)
TW (1) TW200806850A (ko)
WO (1) WO2007091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1256B2 (ja) * 2008-03-21 2013-05-08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低目付け不織布
US20120116338A1 (en) 2009-01-29 2012-05-10 Ferry William M Polypropylene Nonwoven Fibers And Fabric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WO2012024576A1 (en) 2010-08-20 2012-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thereof having improved softness sign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US10639212B2 (en) 2010-08-2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thereof having improved softness sign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JP6012190B2 (ja) * 2012-02-07 2016-10-25 旭化成株式会社 柔軟性に優れる長繊維不織布
CN104640438B (zh) * 2012-09-19 2017-05-10 三井化学株式会社 农业用被覆材及其制造方法
TWI627321B (zh) 2012-09-20 2018-06-21 Asahi Kasei Fibers Corp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anitary material
US9322114B2 (en) 2012-12-03 2016-04-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fibers and fabrics
EP2925795B1 (en) 2012-12-03 2018-12-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 polymers
EP2952617B1 (en) * 2013-01-30 2019-03-06 Idemitsu Kosan Co., Ltd Fibrous nonwoven fabric
RU2719524C1 (ru) * 2016-08-23 2020-04-21 Одзи Холдингз Корпорейшн Фильер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лист и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CN110234804A (zh) * 2017-01-27 2019-09-13 东丽株式会社 纺粘无纺布
JP6935805B2 (ja) * 2017-09-28 2021-09-15 東レ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102454637B1 (ko) * 2017-10-17 2022-10-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스펀본드 부직포
KR102455776B1 (ko) * 2017-11-01 2022-10-1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스펀본드 부직포
KR102278013B1 (ko) 2017-12-21 2021-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제조 방법
WO2019167851A1 (ja) * 2018-02-28 2019-09-06 東レ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
WO2019167852A1 (ja) * 2018-02-28 2019-09-06 東レ株式会社 積層不織布
WO2020152863A1 (ja) 2019-01-25 2020-07-30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エンボスロ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83764C (en) * 1986-09-29 1991-05-07 Mitsui Chemicals Inc. Very soft polyolefin 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its production method
JP2548725B2 (ja) 1987-05-18 1996-10-3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高柔軟性ポリオレフイン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H0697241B2 (ja) 1987-06-23 1994-11-30 国際電気株式会社 ウェーハ検査装置
JP3547780B2 (ja) * 1993-12-13 2004-07-2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高強度、高弾性率ポリプロピレン繊維
JP3442896B2 (ja) 1994-04-22 2003-09-02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10280267A (ja) * 1997-04-08 1998-10-20 Mitsui Chem Inc 柔軟性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3589549B2 (ja) 1997-04-18 2004-11-17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不織布
JPH11972A (ja) 1997-06-13 1999-01-06 Tokuyama Corp 透湿性複合フィルム
US5858293A (en) * 1997-09-30 1999-01-12 Montell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producing spunbonded materials with improved tensile strength
CN1300402C (zh) * 1998-10-09 2007-02-14 三井化学株式会社 聚乙烯无纺布和由其制得的无纺布层压物
JP2000328420A (ja) * 1999-05-17 2000-11-28 Mitsui Chemicals Inc 柔軟性不織布積層体
US20040038022A1 (en) * 2000-03-27 2004-02-26 Maugans Rexford A. Method of making a polypropylene fabric having high strain rate elong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1355172A (ja) * 2000-06-09 2001-12-26 Mitsui Chemicals Inc 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3529341B2 (ja) 2000-09-21 2004-05-24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
DK1369518T3 (da) 2001-01-29 2012-11-26 Mitsui Chemicals Inc Ikke-vævede tekstiler af vundet krympefiber og laminater deraf
JP2002302862A (ja) 2001-04-06 2002-10-18 Mitsui Chemicals Inc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4063519B2 (ja) * 2001-10-15 2008-03-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非弾性的な伸長性を有する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
JP2006500487A (ja) * 2002-09-25 2006-01-05 バセル ポリオレフィン イタリア エス.アール.エス.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に適するポリプロピレン繊維
MY139729A (en) * 2002-11-25 2009-10-30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 capable of being elongated and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id nonwoven fabric lamin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3082A4 (en) 2010-05-26
DK1983082T3 (da) 2013-11-04
WO2007091444A1 (ja) 2007-08-16
US8067320B2 (en) 2011-11-29
EP1983082A1 (en) 2008-10-22
US20090022956A1 (en) 2009-01-22
CN102677393A (zh) 2012-09-19
KR101116491B1 (ko) 2012-03-07
CN101374987B (zh) 2014-03-26
EP1983082B1 (en) 2013-09-18
TWI339695B (ko) 2011-04-01
JPWO2007091444A1 (ja) 2009-07-02
MY146004A (en) 2012-06-15
CN101374987A (zh) 2009-02-25
JP4943349B2 (ja) 2012-05-30
TW200806850A (en) 200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91B1 (ko) 스펀-본디드 부직포
US10174442B2 (en) Polypropylene fibers and fabrics
US7101622B2 (en) Propylene-based copolymers, a method of making the fibers and articles made from the fibers
KR101777433B1 (ko) 탄성 흡수 코폼 부직 웹
WO2011122277A1 (ja) 不織布
AU2013374986B2 (en) Spunbond nonwoven cloth
US9382411B2 (en) Propylene polymers
CN102021751A (zh) 纺粘无纺布及其制造方法
JP2007535624A (ja) 改善された不織布および繊維
TWI244520B (en) Thermally bonded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8524460A (ja) ポリマー・ブレンドおよび該ブレントからの不織布製品
KR100510952B1 (ko)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KR102256324B1 (ko) 열융착성 복합 섬유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JP4642063B2 (ja) 柔軟性のある長繊維不織布
JPWO2019065836A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102552774B1 (ko)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엠보스 롤
JP6897326B2 (ja) 不織布
KR101001042B1 (ko) 방사구 및 섬유 제조 방법
JP4544725B2 (ja) 柔軟性不織布
JPS63227814A (ja) 熱接着繊維及びその不織布
CN114787437A (zh) 增强机械强度的无纺布
JP2002105832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2018053399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