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397A - 공기 조화 장치 및 열원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및 열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397A
KR20080091397A KR1020087021849A KR20087021849A KR20080091397A KR 20080091397 A KR20080091397 A KR 20080091397A KR 1020087021849 A KR1020087021849 A KR 1020087021849A KR 20087021849 A KR20087021849 A KR 20087021849A KR 20080091397 A KR20080091397 A KR 20080091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source
unit
control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623B1 (ko
Inventor
타쿠야 코타니
키쿠지 호리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two pipes connecting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with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 F25B2313/025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two four-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9Pumping down refrigerant from one part of the cycle to another part of the cycle, e.g. when the cycle is changed from cooling to heating, or before a defrost cycle is sta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6Problems to be solved characterised by the startup of the refrigerat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5Refrigerant lev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비교적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과잉인 잉여 냉매가 실외 유닛에 체류하여 원활한 운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기 조화 장치(1)는, 복수의 실외 유닛(2, 102)과 실내 유닛(4)과 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7)과 제어부를 구비한다. 실외 유닛(2)은, 압축기(21)와 실외 열교환기(23)와 어큐뮬레이터(24)를 가진다. 실내 유닛(4)은, 실내 팽창 밸브(41)와 실내 열교환기(42)를 가진다. 제어부는, 운전 상태에 있는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정지 상태에 있는 다른 열원 유닛을 기동시키거나, 혹은, 운전 상태에 있는 제1 열원 유닛 이외의 열원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공기 조화 장치, 열원 유닛, 냉매, 실외 유닛, 실내 유닛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및 열원 유닛{AIR CONDITIONER AND HEAT SOURCE UNI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 및 열원 유닛, 특히, 하나의 냉매 회로 내에 복수의 열원 유닛이 존재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실외 유닛(열원 유닛)과 다수의 실내 유닛(이용 유닛)을 하나의 냉매 회로 내에 가지는 멀티 공기 조화 장치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복수의 실외 유닛의 운전 시간의 균일화를 도모하면서 복수대의 압축기의 운전 시간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멀티 공기 조화 장치가 나타내져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복수의 실외 유닛과, 복수의 실내 유닛과, 양 유닛에 공통의 가스 냉매 연락 배관 및 액 냉매 연락 배관과, 실외 유닛의 어큐뮬레이터 내의 액 냉매를 다른 실외 유닛의 실외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한 멀티 공기 조화 장치가 나타내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41528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63711호
이와 같이 복수의 실외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실외 유닛 중 일부의 실외 유닛에 냉매가 치우치면, 그 실외 유닛에 있어서 잉여 냉매가 발생하고, 실외 열교환기 등에 냉매가 고인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잉여 냉매를 많이 모을 수 있도록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을 크게 하여 둔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실외 유닛의 컴팩트화의 요청에 반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비교적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과잉인 잉여 냉매가 실외 유닛에 체류하여 원활한 운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복수의 실외 유닛(열원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복수의 열원 유닛과 이용 유닛과 액 냉매 연락 배관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열원 유닛의 하나가, 제1 열원 유닛이다. 열원 유닛은, 압축기와 열원 측 열교환기와 어큐뮬레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용 유닛은, 이용 측 팽창 기구와 이용 측 열교환기를 가지고 있다. 액 냉매 연락 배관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은, 복수의 열원 유닛과 이용 유닛을 접속하고, 하나의 주 냉매 회로를 형성시킨다. 제어부는, 운전 상태에 있는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정지 상태에 있는 다른 열원 유닛을 기동시키는 타(他) 유닛 기동 제어, 혹은, 운전 상태에 있는 제1 열원 유닛 이외의 열원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여기에서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주 냉매 회로를 흘러, 이용 측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져, 공기 조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운전 중인 제1 열원 유닛에서 냉매량이 과잉으로 되었을 때에, 정지 상태인 다른 열원 유닛을 기동시키거나, 다른 열원 유닛에서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제어(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전자의 타 유닛 기동 제어에 의하면, 다른 열원 유닛을 운전 상태로 하는 것으로, 냉매가 과잉으로 된 제1 열원 유닛으로부터 냉매를 다른 열원 유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타 유닛 기동 제어에 의하여 다른 열원 유닛에서 공기 조화를 행하게 하고, 냉매가 과잉으로 된 제1 열원 유닛을 정지시켜 제1 열원 유닛으로부터 다른 열원 유닛으로의 냉매의 이동을 촉구할 수도 있다. 또한, 냉매 모음 제어를 다른 열원 유닛에 있어서 행하게 하는 경우도, 제1 열원 유닛으로부터 다른 열원 유닛으로 냉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비교적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과잉인 잉여 냉매가 제1 열원 유닛에 체류하여 원활한 운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발명의 장치이고, 제어부는,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이 되었을 때에, 우선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고, 그 냉매 모음 제어 중에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제1 열원 유닛 이외의 열원 유닛에 있어서의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여기에서는, 타 유닛 기동 제어나 다른 열원 유닛에 있어서의 냉매 모음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우선은,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에 기초하여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냉매 모음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였을 때에, 우선은 어큐뮬레이터로 잉여 냉매를 이끄는 것으로 냉매량을 조정할 수 있어, 다른 열원 유닛에 영향을 주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장치이고, 열원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가 압축기의 흡입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원 유닛은, 바이패스 냉매 회로를 더 가지고 있다. 바이패스 냉매 회로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유량 조절 밸브를 가지고, 열원 측 열교환기와 액 냉매 연락 배관 사이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로 이끈다.
여기에서는, 압축기의 흡입 측에 배치되는 어큐뮬레이터가, 액 냉매와 가스 냉매를 분리하여 압축기로의 액 냉매의 흡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완수하지만, 그 어큐뮬레이터에 바이패스 냉매 회로를 통하여 액 냉매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잉여의 액 냉매를 확실히 어큐뮬레이터에 모을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3 발명의 장치이고, 열원 유닛은, 과냉각기를 더 가지고 있다. 과냉각기는, 바이패스 유량 조절 밸브로부터 어큐뮬레이터로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열원 측 열교환기로부터 액 냉매 연락 배관을 통하여 이용 유닛으로 보내지는 냉매를 냉각한다.
여기에서는, 잉여의 액 냉매를 어큐뮬레이터로 이끄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를 이용하여, 액 냉매의 과냉각을 행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이고, 제어부는, 압축기의 토출 측에 있어서의 가스 냉매의 과열도가 소정값을 하회하였을 때에,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압축기의 토출 측의 가스 냉매의 과열도가 작아졌을 때에, 타 유닛 기동 제어나 다른 열원 유닛에 있어서의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잉여 냉매가 과잉인 채로 운전이 이루어져 압축기에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가 흡입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4 발명의 장치이고, 제어부는, 바이패스 유량 조절 밸브가 완전 열림으로 되었을 때에, 혹은, 압축기의 토출 측에 있어서의 가스 냉매의 과열도가 소정값을 하회하였을 때에,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한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 발명의 장치이고, 냉방 운전 시의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은, 적어도,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을 포함한다. 제1 조건은, 열원 측 열교환기의 출구의 냉매 과냉각도가 소정값보다도 높다고 하는 조건이다. 제2 조건은, 압축기의 토출 측의 냉매 고압 압력이 소정값보다도 높다고 하는 조건이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 발명의 장치이고, 열원 유닛은 열원 측 팽창 기구를 더 가지고 있다. 이 열원 측 팽창 기구는, 열원 측 열교환기와 액 냉매 연락 배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난방 운전 시의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은, 적어도, 열원 측 팽창 기구의 팽창 밸브가 완전 열림이라고 하는 제3 조건을 포함한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이고, 제어부는, 운전 상태에 있는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정지 상태에 있는 열원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운전 상태에 있는 제1 열원 유닛 이외의 열원 유닛에 있어서의 냉매 모음 제어가 아니라, 타 유닛 기동 제어를 행하게 한다.
정지 상태인 다른 열원 유닛을 기동시키는 편이, 운전 상태인 다른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것보다도,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의 잉여 냉매의 과잉 상태의 해소에 대하여 효과가 높은 것으로부터, 여기에서는, 다른 열원 유닛에서 정지 상태에 있는 것이 있으면, 그것을 기동시키는 것을 우선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과잉인 잉여 냉매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제1 열원 유닛의 운전이 계속되는 것이, 빨리 해소되게 된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이고, 제어부는,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 열원 유닛에 냉매 모음 처리 완료 플래그를 세운다. 그리고 제어부는, 운전 상태에 있는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냉매 모음 처리 완료 플래그가 서 있지 않은 열원 유닛에 있어서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한 번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한 열원 유닛은, 어큐뮬레이터에 비교적 많은 액 냉매를 모으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의 과잉이 검지되었을 때에, 냉매 모음 처리 완료 플래그가 서 있는 열원 유닛이 아니라, 플래그가 서 있지 않은 열원 유닛에 있어서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과잉인 잉여 냉매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제1 열원 유닛의 운전이 계속되는 것이, 빨리 해소되게 된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열원 유닛은, 다른 열원 유닛 및 이용 유닛과 접속되어 하나의 주 냉매 회로를 형성하고, 공조 대상 공간의 공기와 이용 유닛의 이용 측 열교환기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는 유닛이다. 이 열원 유닛은, 압축기와 열원 측 열교환기와 어큐뮬레이터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정지 상태에 있는 다른 열원 유닛을 기동시키는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운전 상태에 있는 다른 열원 유닛에 있어서 그 열원 유닛의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타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여기에서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주 냉매 회로를 흐르고, 이용 측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져, 공기 조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운전 중에 냉매량이 과잉으로 되었을 때에, 정지 상태인 다른 열원 유닛을 기동시키거나, 다른 열원 유닛에서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제어(타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전자의 타 유닛 기동 제어에 의하면, 다른 열원 유닛을 운전 상태로 하는 것으로, 냉매가 과잉으로 된 열원 유닛으로부터 냉매를 다른 열원 유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타 유닛 기동 제어에 의하여 다른 열원 유닛에서 공기 조화를 행하게 하고, 냉매가 과잉으로 된 열원 유닛을 정지시켜 열원 유닛으로부터 다른 열원 유닛으로의 냉매의 이동을 촉구할 수도 있다. 또한, 타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경우도, 열원 유닛으로부터 다른 열원 유닛으로 냉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열원 유닛에서는, 비교적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과잉인 잉여 냉매가 열원 유닛에 체류하여 원활한 운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열원 유닛은, 제11 발명의 열원 유닛이고, 제어부는,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이 되었을 때에, 우선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자(自)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고, 그 자 유닛 냉매 모음 제어 중에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타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여기에서는, 타 유닛 기동 제어나 타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우선은, 자신(열원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에 기초하여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자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였을 때에, 우선은 어큐뮬레이터로 잉여 냉매를 이끄는 것으로 냉매량을 조정할 수 있어, 다른 열원 유닛에 영향을 주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의하면,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다른 열원 유닛에 있어서의 냉매 모음 제어에 의하여, 냉매가 과잉으로 된 제1 열원 유닛으로부터 다른 열원 유닛으로 냉매를 이동시킬 수 있어, 비교적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과잉인 잉여 냉매가 제1 열원 유닛에 체류하여 원활한 운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제7 및 제8 발명에 의하면, 잉여 냉매의 발생 시에, 우선은 어큐뮬레이터로 잉여 냉매를 이끌어 냉매량을 조정하기 때문에, 다른 열원 유닛에 영향을 주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잉여의 액 냉매를 확실히 어큐뮬레이터에 모을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잉여의 액 냉매를 어큐뮬레이터로 이끄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를 이용하여, 액 냉매의 과냉각을 행할 수 있다.
제5 및 제6 발명에 의하면,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잉여 냉매가 과잉인 채로 운전이 이루어져 압축기에 이상(二相) 상태의 냉매가 흡입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제9 및 제10 발명에 의하면, 과잉인 잉여 냉매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제1 열원 유닛의 운전이 계속되는 것이, 빨리 해소되게 된다.
제11 발명에 의하면,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타 유닛 냉매 모음 제어에 의하여, 냉매가 과잉으로 된 열원 유닛으로부터 다른 열원 유닛으로 냉매를 이동시킬 수 있어, 비교적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과잉인 잉여 냉매가 열원 유닛에 체류하여 원활한 운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잉여 냉매의 발생 시에, 우선은 자신의 어큐뮬레이터로 잉여 냉매를 이끌어 냉매량을 조정하기 때문에, 다른 열원 유닛에 영향을 주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열원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냉방 시의 잉여 냉매 제어의 플로도.
도 4는 난방 시의 잉여 냉매 제어의 플로도.
도 5는 실외 로테이션 제어의 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02 : 실외 유닛
4 : 실내 유닛
6 : 액 냉매 연락 배관
7 : 가스 냉매 연락 배관
10 : 냉매 회로
21, 121 : 압축기
23, 123 : 실외 열교환기(열원 측 열교환기)
24, 124 : 어큐뮬레이터
25, 125 : 과냉각기
41, 141 : 실내 팽창 밸브(이용 측 팽창 기구)
42, 142 : 실내 열교환기(이용 측 열교환기)
50 : 제어부
61, 161 : 바이패스 냉매 회로
62, 162 : 바이패스 밸브(바이패스 유량 조절 밸브)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를 도 1에 도시한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증기 압축식의 냉동 사이클 운전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빌딩 등의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주로, 복수대(도 1에서는 2대)의 열원 유닛으로서의 실외 유닛(2, 102)과, 그것에 병렬로 접속된 복수대의 이용 유닛으로서의 실내 유닛(4)과, 실외 유닛(2, 102)과 실내 유닛(4)을 접속하는 냉매 연락 배관으로서의 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7)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증기 압축식의 냉매 회로(10)는, 실외 유닛(2, 102)과 실내 유닛(4)과 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7)이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내 유닛>
실내 유닛(4)은, 빌딩 등의 실내의 천정에 매입이나 걸이 등에 의하여, 또는, 실내의 벽면에 벽걸이 등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실내 유닛(4)은, 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7)을 통하여 실외 유닛(2, 102)에 접속되어 있고, 냉매 회로(1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실내 유닛(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내 유닛(4)은, 주로, 냉매 회로(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내 측 냉매 회로(10b)를 가지고 있다. 이 실내 측 냉매 회로(10b)는, 주로, 팽창 기구로서의 실내 팽창 밸브(41)와, 이용 측 열교환기로서의 실내 열교환기(42)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 팽창 밸브(41)는, 실내 측 냉매 회로(10b) 내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의 조절 등을 행하기 위하여, 실내 열교환기(42)의 액측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2)는, 전열관과 다수의 핀에 의하여 구 성된 크로스 핀식의 핀·앤드·튜브형 열교환기이며,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 유닛(4)은 실내 팬(43)을 가지고 있다. 실내 팬(43)은, 유닛 내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에, 공급 공기로서 실내로 공급한다. 실내 팬(43)은, 실내 열교환기(42)로 공급하는 공기의 풍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팬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DC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원심 팬이나 다익 팬 등이다.
또한, 실내 유닛(4)에는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2)의 액측에는, 냉매의 온도(즉,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응축 온도 또는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증발 온도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를 검출하는 액측 온도 센서(44)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2)의 가스 측에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가스 측 온도 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유닛(4)의 실내 공기의 흡입구 측에는, 유닛 내에 유입하는 실내 공기의 온도(즉,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공기 온도 센서(4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측 온도 센서(44), 가스 측 온도 센서(45) 및 실내 공기 온도 센서(46)는, 서미스터(thermistor)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내 유닛(4)은, 실내 유닛(4)을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 유닛 제어부(50c, 도 2 참조)를 가지고 있다. 실내 유닛 제어부(50c)는, 실내 유닛(4)의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마이크로 컴퓨터나 메모리 등을 가지고 있고, 실내 유닛(4)을 개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도시하지 않음)과의 사이에 서 제어 신호 등의 교환을 행하거나, 도 2에 도시하는 제1 실외 유닛 제어부(50a)나 제2 실외 유닛 제어부(50b)의 사이에서 전송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제어 신호 등의 교환을 행하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외 유닛>
실외 유닛(2, 102)은, 빌딩 등의 실외에 설치되어 있고, 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7)을 통하여 실내 유닛(4)에 접속되고, 실내 유닛(4)과 함께 냉매 회로(10)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실외 유닛(2, 10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외 유닛(2)과 제2 실외 유닛(102)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1 실외 유닛(2)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제2 실외 유닛(102)의 구성에 대해서는, 각각, 제1 실외 유닛(2)의 각 부를 도시하는 부호 대신에 100을 가산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외 유닛(2)은, 주로, 냉매 회로(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외 측 냉매 회로(10a)를 가지고 있다. 이 실외 측 냉매 회로(10a)는, 주로, 압축기(21)와, 사방 전환 밸브(22)와, 열원 측 열교환기로서의 실외 열교환기(23)와, 팽창 기구로서의 실외 팽창 밸브(38)와, 어큐뮬레이터(24)와, 온도 조절 기구로서의 과냉각기(25)와, 액측 폐쇄 밸브(26)와, 가스 측 폐쇄 밸브(27)를 가지고 있다.
압축기(21)는, 운전 용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압축기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버터에 의하여 회전수가 제어되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용적식 압축기이다. 도 1에 있어서, 압축기(21)는 1대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2대 이상 의 압축기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대의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기(21)가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사방 전환 밸브(22)는,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밸브이며, 냉방 운전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23)를 압축기(21)에 의하여 압축되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또한, 실내 열교환기(42)를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응축되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킨다. 사방 전환 밸브(22)는, 압축기(21)의 토출 측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 측을 접속하는 것과 함께, 압축기(21)의 흡입 측(구체적으로는, 어큐뮬레이터(24))과 가스 냉매 연락 배관(7) 측을 접속하고(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실선을 참조), 난방 운전 시에는, 실내 열교환기(42)를 압축기(21)에 의하여 압축되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또한, 실외 열교환기(23)를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응축되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킨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22)는, 압축기(21)의 토출 측과 가스 냉매 연락 배관(7) 측을 접속하는 것과 함께, 압축기(21)의 흡입 측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 측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파선을 참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23)는, 전열관과 다수의 핀에 의하여 구성된 크로스 핀식의 핀·앤드·튜브형 열교환기이며,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실외 열교환기(23)는, 그 가스 측이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되고, 그 액측이 액 냉매 연락 배관(6)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외 팽창 밸브(38)는, 실외 측 냉매 회로(10a) 내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이나 유량 등의 조절을 행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23)의 액측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외 유닛(2)은 실외 팬(28)을 가지고 있다. 실외 팬(28)은, 유닛 내로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에, 실외로 배출한다. 이 실외 팬(28)은, 실외 열교환기(23)로 공급하는 공기의 풍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팬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DC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프로펠러 팬 등이다.
어큐뮬레이터(24)는, 사방 전환 밸브(22)와 압축기(21)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실내 유닛(4)의 운전 부하의 변동 등에 따라 냉매 회로(10) 내에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모으는 것이 가능한 용기이다. 또한, 어큐뮬레이터(24)는, 액 냉매와 가스 냉매를 분리하여 가스 냉매만을 압축기(21)에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저부(底部)에 모여 있는 냉매와 냉동기유의 혼합액을 오일 되돌림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압축기(21)에 흡입시켜, 압축기(21) 내부의 윤활에 필요한 유량을 적정하게 보지한다.
과냉각기(2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2중관식의 열교환기이며,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응축된 후에 액 냉매 연락 배관(6)을 통하여 실내 팽창 밸브(41)로 보내지는 냉매를, 냉각할 수 있다. 과냉각기(2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외 팽창 밸브(38)와 액측 폐쇄 밸브(26)의 사이에 개삽(介揷, 사이에 삽입하는 것)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과냉각기(25)의 냉각원으로서의 바이패스 냉매 회 로(61)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냉매 회로(10)로부터 바이패스 냉매 회로(61)를 제외한 부분을, 편의상, 주 냉매 회로라고 부르기로 한다.
바이패스 냉매 회로(61)는, 실외 열교환기(23)로부터 실내 팽창 밸브(41)로 보내지는 냉매의 일부를, 주 냉매 회로로부터 분기(分岐)시켜, 압축기(21)의 흡입 측으로 되돌리도록 주 냉매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61)는 분기 회로(61a)와 합류 회로(61b)를 가지고 있다. 분기 회로(61a)는, 실외 팽창 밸브(38)로부터 실내 팽창 밸브(41)로 보내지는 냉매의 일부를, 실외 열교환기(23)와 과냉각기(25) 사이의 위치로부터 분기시킨다. 합류 회로(61b)는, 과냉각기(25)의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측의 출구로부터, 압축기(21)의 흡입 측으로 냉매를 되돌리도록, 압축기(21)의 흡입 측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분기 회로(61a)에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61)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바이패스 밸브(6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밸브(62)는 전동 팽창 밸브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23)로부터 실내 팽창 밸브(41)로 보내지는 냉매는, 과냉각기(25)를 통과할 때에, 바이패스 밸브(62)에 의하여 감압되고 바이패스 냉매 회로(61)를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냉각된다. 즉, 과냉각기(25)는, 바이패스 밸브(62)의 개도(開度) 조절에 의하여 능력 제어가 행하여지게 된다.
덧붙여, 이 바이패스 냉매 회로(61)는, 후술하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에 있어서도 사용되고, 잉여 냉매를 어큐뮬레이터(24)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완수한다.
액측 폐쇄 밸브(26) 및 가스 측 폐쇄 밸브(27)는, 외부의 기기·배관(구체적 으로는, 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7))과의 접속구에 설치된 밸브이다. 액측 폐쇄 밸브(26)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 측 폐쇄 밸브(27)는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닛(2)에는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 유닛(2)에는, 압축기(21)의 흡입 압력을 검출하는 흡입 압력 센서(29)와, 압축기(21)의 토출 압력을 검출하는 토출 압력 센서(30)와, 압축기(21)의 흡입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온도 센서(31)와, 압축기(21)의 토출 온도를 검출하는 토출 온도 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 온도 센서(31)는, 어큐뮬레이터(24)와 압축기(21)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23)에는, 실외 열교환기(23)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즉,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응축 온도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증발 온도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를 검출하는 열교 온도 센서(33)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23)의 액측에는, 냉매의 온도 Tb를 검출하는 액측 온도 센서(34)가 설치되어 있다. 과냉각기(25)의 주 냉매 회로 측의 출구에는, 냉매의 온도(즉, 액관 온도)를 검출하는 액관 온도 센서(35)가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 냉매 회로(61)의 합류 회로(61b)에는, 과냉각기(25)의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측의 출구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패스 온도 센서(63)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유닛(2)의 실외 공기의 흡입구 측에는, 유닛 내에 유입하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外氣) 온도 센서(3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 온도 센서(31), 토출 온도 센서(32), 열교 온도 센서(33), 액측 온도 센서(34), 액관 온도 센서(35), 외기 온도 센서(36) 및 바이패스 온도 센서(63)는, 서미스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외 유닛(2)은, 실외 유닛(2)을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실외 유닛 제어부(50a, 도 2 참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실외 유닛 제어부(50a)는, 실외 유닛(2)의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마이크로 컴퓨터, 메모리, 압축기(21)의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회로 등을 가지고 있고, 실내 유닛(4)의 실내 유닛 제어부(50c)와의 사이에서 전송선을 통하여 제어 신호 등의 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 제어부(50c)와 제1 실외 유닛 제어부(50a)(및 제2 실외 유닛 제어부(50b))와 전송선에 의하여, 공기 조화 장치(1) 전체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50)가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
제어부(5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센서(29 ~ 36, 44 ~ 46, 63)의 검출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접속되는 것과 함께, 이러한 검출 신호 등에 기초하여 각종 기기 및 밸브(21, 22, 38, 41, 62)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기기 및 밸브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방 운전>
우선, 냉방 운전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냉방 운전 시는, 사방 전환 밸브(22, 122)가 도 1의 실선으로 도시되는 상 태, 즉, 압축기(21, 121)의 토출 측이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가스 측에 접속되고, 또한, 압축기(21, 121)의 흡입 측이 가스 냉매 연락 배관(7)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42)의 가스 측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실외 팽창 밸브(38, 138)는 완전 열림 상태로 되어 있다. 각 실내 팽창 밸브(41)는, 실내 열교환기(42)의 출구(즉, 실내 열교환기(42)의 가스 측)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가 과열도 목표값에서 일정해지도록 개도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실내 열교환기(4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는, 가스 측 온도 센서(45)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증발 온도에 대응)을 빼는 것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흡입 압력 센서(29, 129)에 의하여 검출되는 압축기(21, 121)의 흡입 압력을 증발 온도에 대응하는 포화 온도값으로 환산하고, 가스 측 온도 센서(45)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을 빼는 것에 의하여 검출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지만, 각 실내 열교환기(42)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이 온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증발 온도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값을, 가스 측 온도 센서(45)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빼는 것에 의하여, 각 실내 열교환기(4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바이패스 밸브(62, 162)는, 과냉각기(25, 125)의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가 과열도 목표값이 되도록 개도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과냉각기(25, 125)의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측의 출 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는, 흡입 압력 센서(29, 129)에 의하여 검출되는 압축기(21, 121)의 흡입 압력을 증발 온도에 대응하는 포화 온도값으로 환산하고, 바이패스 온도 센서(63, 163)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을 빼는 것에 의하여 검출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지만, 과냉각기(25, 125)의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측의 입구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이 온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을 바이패스 온도 센서(63, 163)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빼는 것에 의하여, 과냉각기(25, 125)의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냉매 회로(10)의 상태에서, 압축기(21, 121), 실외 팬(28, 128) 및 실내 팬(43)을 기동하면,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 121)로 흡입되고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로 된다. 그 후, 고압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22, 122)를 경유하여 실외 열교환기(23, 123)로 보내지고, 실외 팬(28, 128)에 의하여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하여, 고압의 액 냉매로 된다. 그리고 이 고압의 액 냉매는, 실외 팽창 밸브(38, 138)을 통과하여, 과냉각기(25, 125)에 유입하고,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한층 더 냉각되어 과냉각 상태가 된다. 이때,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있어서 응축한 고압의 액 냉매의 일부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로 분기되어, 바이패스 밸브(62, 162)에 의하여 감압된 후에, 압축기(21, 121)의 흡입 측으로 되돌려진다. 여기서, 바이패스 밸브(62, 162)를 통과하는 냉매는, 압축기(21, 121)의 흡입 압력 근처까지 감압되는 것으로, 그 일부가 증발한다. 그리고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의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출구로부터 압축기(21, 121)의 흡입 측으로 향하여 흐르는 냉매는, 과냉각기(25, 125)를 통과하여, 주 냉매 회로 측의 실외 열교환기(23, 123)로부터 실내 유닛(4)으로 보내지는 고압의 액 냉매와 열교환을 행한다. 그리고 과냉각 상태가 된 고압의 액 냉매는, 액 냉매 연락 배관(6)을 경유하여, 실내 유닛(4)으로 보내진다. 이 실내 유닛(4)으로 보내진 고압의 액 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41)에 의하여 압축기(21, 121)의 흡입 압력 근처까지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실내 열교환기(42)로 보내지고,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가스 냉매는, 가스 냉매 연락 배관(7)을 경유하여 실외 유닛(2, 102)으로 보내지고, 사방 전환 밸브(22, 122)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유입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유입한 저압의 가스 냉매는, 재차, 압축기(21, 121)로 흡입된다.
<난방 운전>
다음으로, 난방 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난방 운전 시는, 사방 전환 밸브(22, 122)가 도 1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상태, 즉, 압축기(21, 121)의 토출 측이 가스 냉매 연락 배관(7)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42)의 가스 측에 접속되고, 또한, 압축기(21, 121)의 흡입 측이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가스 측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실외 팽창 밸브(38, 138)는,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유입하는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있어서 증발 시키는 것이 가능한 압력(즉, 증발 압력)까지 감압하기 위하여 개도 조절된다. 실내 팽창 밸브(41)는, 실내 열교환기(4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가 과냉각 목표값에서 일정해지도록 개도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는, 토출 압력 센서(30, 130)에 의하여 검출되는 압축기(21, 121)의 토출 압력을 응축 온도에 대응하는 포화 온도값으로 환산하고,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으로부터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을 빼는 것에 의하여 검출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지만, 각 실내 열교환기(42)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이 온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응축 온도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값을,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빼는 것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4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바이패스 밸브(62, 162)는 닫혀 있다.
이 냉매 회로(10)의 상태에서, 압축기(21, 121), 실외 팬(28, 128) 및 실내 팬(43)을 기동하면,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 121)로 흡입되어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되고, 사방 전환 밸브(22, 122)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7)을 경유하여, 실내 유닛(4)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실내 유닛(4)으로 보내진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하여 고압의 액 냉매로 된 후, 실내 팽창 밸브(41)를 통과할 때에, 실내 팽창 밸브(41)의 밸브 개도에 따라 감압된다.
이 실내 팽창 밸브(41)를 통과한 냉매는, 액 냉매 연락 배관(6)을 경유하여 실외 유닛(2, 102)으로 보내지고, 과냉각기(25, 125) 및 실외 팽창 밸브(38, 138)를 경유하여 한층 더 감압된 후에,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유입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유입한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실외 팬(28, 128)에 의하여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가 되고, 사방 전환 밸브(22, 122)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유입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유입한 저압의 가스 냉매는, 재차, 압축기(21, 121)로 흡입된다.
<냉방 운전 시의 잉여 냉매 제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냉방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한 경우, 그 잉여 냉매를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24, 124)에 모으는 제어를 행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냉방 운전 시의 잉여 냉매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각 스텝의 주체는 제어부(50)이다.
우선, 스텝 S11에서, 소정의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다른 실외 유닛(도면에 있어서는, 타기(他機)라고 적는다.)의 플래그 G가 0이라고 하는 조건이다. 이 플래그 G는, 후술하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스텝 S14 ~ S16)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 시에 1로 되고, 실시하고 있지 않을 때에 0으로 된다. 두번째의 조건은, 그 실외 유닛 자신(도면에 있어서는, 자기(自機)라고 적는다.)의 액 냉매 포화 온도 Tcl과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액 냉매 온도 Tb의 차이, 즉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액측에 있어서의 과냉각도가, 소정값 SC1보다도 크다고 하는 조건이다. 액 냉매 온도 Tb는,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액측에 배치되어 있는 액측 온도 센서(34)의 검출값이다. 세번째의 조건은, 그 실외 유닛 자신의 고압 압력 HP가 소정값 HPb1을 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이다. 고압 압력 HP는, 압축기(21, 121)의 토출 압력을 검출하는 토출 압력 센서(30, 130)의 검출값이다. 두번째 및 세번째의 조건은,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냉매가 많이 모였을 때에 생기는 조건이다. 스텝 S11에서는, 이러한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스텝 S13으로 이행하고,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12로 이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스텝 S11과 다른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그 외에 실내 유닛의 플래그 G가 1이라고 하는 조건, 즉, 다른 실내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가 실시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이다. 두번째의 조건은, 다른 실외 유닛의 액 냉매 포화 온도 Tcl과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액 냉매 온도 Tb의 차이, 즉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액측에 있어서의 과냉각도가, 소정값 SC1보다도 크다고 하는 조건이다. 세번째의 조건은, 다른 실외 유닛의 고압 압력 HP가 소정값 HPb1을 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이다. 두번째 및 세번째의 조건은, 다른 실외 유닛에서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냉매가 많이 모였을 때에 생기는 조건이다. 스텝 S12에서는, 이러한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스텝 S13으로 이행하고,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11로 되돌린다.
스텝 S13에서는, 스텝 S14 이후의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로 이행하기 위한 다른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동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오일 되돌림 운전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냉매의 자동 충전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 시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 냉매 누설 검지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 등에,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로 이행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판단이 스텝 S13에 있어서 이루어진다. 그 경우에는 스텝 S11로 되돌아온다.
스텝 S13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로 이행하여도 무방하다고 판단되면, 스텝 S14로 이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의 실시 중을 의미하는 플래그 G를 1로 하고, 또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실시하였다고 하는 이력을 나타내는 플래그 F를 1로 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23, 123)와 과냉각기(25, 125)의 사이로부터 액 냉매를 어큐뮬레이터(24, 124)로 이끄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의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를, 현상(現狀)의 개도보다도 소정 개도만큼 크게 한다. 이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의 증대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단, 그 사이에, 스텝 S15나 스텝 S16의 판단이 이루어져, 소정 조건으로 되었을 때에는 스텝 S14 ~ S16의 루프로부터 벗어난다.
스텝 S15에서는, 2개의 조건 중 어느 한 쪽을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압축기(21, 121)의 토출 측에 있어서의 가스 냉매의 과열도 SH(이하, 토출 SH라고 칭한다.)가 소정값 SH1을 하회하였다고 하는 조건이다. 두번째의 조건은, 바이패스 밸브(62, 162)가 완전 열림이 되었다고 하는 조건이다. 스 텝 S15에서는, 어느 한 쪽의 조건이 만족되고, 그 실외 유닛 자신에 있어서의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만으로는 잉여 냉매의 조정이 어렵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의 실시에 관한 플래그 G를 0으로 하는 것과 함께, 스텝 S18의 실외 로테이션 제어(후술)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5의 어느 조건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의한 잉여 냉매의 조정 여지가 남아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스텝 S11의 소정 조건을 만족하여 스텝 S14로 이행하여 온 경우에는 그 실외 유닛 자신에 있어서, 스텝 S12의 소정 조건을 만족하여 스텝 S14로 이행하여 온 경우에는 그러한 조건을 만족한 다른 실외 유닛에 있어서, 다음의 2개의 조건 중 어느 한 쪽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액 냉매 포화 온도 Tcl과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액 냉매 온도 Tb의 차이, 즉 실외 열교환기(23, 123)의 액측에 있어서의 과냉각도가, 소정값 SC2보다도 작다고 하는 조건이다. 소정값 SC2는, 상술의 소정값 SC1보다도 작은 값이다. 두번째의 조건은, 고압 압력 HP가 소정값 HPb2를 하회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이다. 소정값 HPb2는, 상술의 소정값 HPb1보다도 작은 값이다. 이러한 조건 중 어느 한 쪽이 만족된 경우는,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있어서의 냉매의 고임(체류)이 해소되었다고 판단하여,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빼고, 스텝 S17을 거쳐 스텝 S11로 되돌려진다. 스텝 S17에서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의 실시에 관한 플래그 G가 0으로 된다. 한편, 스텝 S16의 어느 조건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계속하여 실외 열교환기(23, 123)에 있어서의 냉매의 고임을 해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텝 S14로 되돌려진다.
<난방 운전 시의 잉여 냉매 제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냉방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한 경우, 그 잉여 냉매를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24, 124)에 모으는 제어를 행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난방 운전 시의 잉여 냉매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각 스텝의 주체는 제어부(50)이다.
우선, 스텝 S21에서, 소정의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다른 실외 유닛의 플래그 G가 0이라고 하는 조건이다. 두번째의 조건은, 그 실외 유닛 자신의 압축기(21, 121)의 흡입 측에 있어서의 과열도의 목표값 SHS가 소정값 SH5보다도 작다고 하는 조건이다. 세번째의 조건은, 그 실외 유닛 자신의 실외 팽창 밸브(38, 138)가 완전 열림이라고 하는 조건이다. 두번째 및 세번째의 조건은, 실내 열교환기(42)에 잉여 냉매가 체류하여 실내 팽창 밸브(41)의 제어가 곤란하게 되었을 때에 생기는 조건이다. 스텝 S21에서는, 이러한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스텝 S23으로 이행하고,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22로 이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스텝 S21과 다른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그 외에 실내 유닛의 플래그 G가 1이라고 하는 조건, 즉, 다른 실내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가 실시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이다. 두번째의 조건은, 다른 실외 유닛의 압축기(21, 121)의 흡입 측에 있어서의 과열도의 목표값 SHS가 소정값 SH5보다도 작다고 하는 조건이다. 세번째의 조건은, 다른 실외 유닛의 실외 팽창 밸브(38, 138)가 완전 열림이라고 하는 조건이다. 두번째 및 세번째의 조건은, 실내 열교환기(42)에 잉여 냉매가 체류하여 실내 팽창 밸브(41)의 제어가 곤란하게 되었을 때에 생기는 조건이다. 스텝 S22에서는, 이러한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스텝 S23으로 이행하고, 3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21로 되돌린다.
스텝 S23에서는, 스텝 S24 이후의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로 이행하기 위한 다른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동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오일 되돌림 운전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디프로스트(defrost) 운전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등에,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로 이행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판단이 스텝 S23에 있어서 이루어진다. 그 경우에는 스텝 S21로 되돌아온다.
스텝 S23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로 이행하여도 무방하다고 판단되면, 스텝 S24로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플래그 G를 1로 하고, 또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실시하였다고 하는 이력을 나타내는 플래그 F를 1로 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23, 123)와 과냉각기(25, 125)의 사이로부터 액 냉매를 어큐뮬레이터(24, 124)로 이끄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의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를, 현상의 개도보다도 소정 개도만큼 크게 한다. 이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의 증대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단, 그 사이에, 스텝 S25나 스텝 S26의 판단이 이루어져, 소정 조건으로 되었을 때에는 스텝 S24 ~ S26의 루프로부터 벗어난다.
스텝 S25에서는, 2개의 조건 중 어느 한 쪽을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토출 SH가 소정값 SH1을 하회하였다고 하는 조건이다. 두번째의 조건은, 바이패스 밸브(62, 162)가 완전 열림이 되었다고 하는 조건이다. 스텝 S25에서는, 어느 한 쪽의 조건이 만족되고, 그 실외 유닛 자신에 있어서의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만으로는 잉여 냉매의 조정이 어렵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의 실시에 관한 플래그 G를 0으로 하는 것과 함께, 스텝 S28의 실외 로테이션 제어(후술)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25의 어느 조건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의한 잉여 냉매의 조정 여지가 남아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26으로 이행한다.
스텝 S26에서는, 스텝 S21의 소정 조건을 만족하여 스텝 S24로 이행하여 온 경우에는 그 실외 유닛 자신에 있어서, 스텝 S22의 소정 조건을 만족하여 스텝 S24로 이행하여 온 경우에는 그러한 조건을 만족한 다른 실외 유닛에 있어서, 실외 팽창 밸브(38, 138)가 소정 개도 이하가 되었는지 여부, 혹은 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 조건은, 모든 실내 팽창 밸브(41)의 개도가 소정 개도보다도 작아져 제어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고 하는 조건이나, 스텝 S22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던 다른 실외 유닛에서 토출 SH가 충분히 높아졌다고 하는 조건이다. 이러한 조건 중 어느 한 쪽이 만족된 경우는, 실내 열교환기(42)에 잉여 냉매가 체류하고 있는 상태가 해소되었다고 판단하여,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빼고, 스텝 S27을 거쳐 스텝 S21로 되돌려진다. 스텝 S27에서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의 실시에 관한 플래그 G를 0으로 하는 것과 함께, 바이패스 밸브(62) 의 개도를 작게 한다. 한편, 스텝 S26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계속하기 위하여, 스텝 S24로 되돌려진다.
덧붙여, 상술의 냉방 운전 시의 잉여 냉매 제어 및 난방 운전 시의 잉여 냉매 제어에 있어서의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는, 복수의 실외 유닛에 대하여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라도, 1대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만 실시된다. 그 우선 순위는 미리 정해져 있다. 또한, 스텝 S12나 스텝 S22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타기(다른 실외 유닛)가 복수대 존재할 때에는, 토출 SH가 큰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가 우선된다.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 후의 실외 로테이션 제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상술과 같이, 냉방 시나 난방 시의 잉여 냉매 제어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잉여 냉매를 모으는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실시하고 있을 때에, 토출 SH가 소정값 SH1을 하회하거나, 바이패스 밸브(62)의 개도가 완전 열림이 되거나 하면,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있어서의 잉여 냉매 조정이 한계에 이르러, 그 실외 유닛에 있어서 잉여 냉매가 과잉으로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도 5에 도시하는 실외 로테이션 제어로 이행한다. 이 실외 로테이션 제어는, 상술의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의 동작을 다른 실외 유닛으로 옮기는 로테이션, 및, 정지하고 있는 실외 유닛을 기동시켜 잉여 냉매 조정이 한계에 이른 실외 유닛을 정지시키는 로테이션의 양방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의 스텝 S18이나 스텝 S28의 실외 로테이션 제어에 대하여, 이하,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각 스텝의 주체는 제어부(50)이다.
우선, 스텝 S41에서는, 모든 실외 유닛(도 5에서는, 전기(全機)라고 적는다.)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실시하였다고 하는 이력을 나타내는 플래그 F가 서 있는지 여부, 즉, 모든 실외 유닛에서 플래그 F=1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든 실외 유닛에서 플래그 F=1이면, 스텝 S42로 이행한다. 하나라도 플래그 F=0의 실외 유닛이 있으면, 스텝 S48로 이행한다.
스텝 S42에서는, 정지 상태인 실외 유닛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있으면 스텝 S46으로, 없으면 스텝 S43으로 이행한다.
스텝 S43에서는, 토출 SH가 소정값 SH1보다도 큰 실외 유닛(도 5에서는, 운전기라고 적는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와 같은 실외 유닛이 있으면 스텝 S44으로, 없으면 스텝 S47로 이행한다.
스텝 S44에서는, 소정의 동작 E를 행하게 한다. 동작 E에서는, 우선, 토출 SH가 소정값 SH1을 하회한 실외 유닛, 혹은, 바이패스 밸브(62, 162)가 완전 열림이 된 실외 유닛에 대하여,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를 소정의 작은 개도(혹은 완전 닫힘)로 한다. 그리고 토출 SH가 소정값 SH1보다도 큰 실외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그 후, 소정 시간 경과 등의 조건을 만족하면,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를 소정의 작은 개도(혹은 완전 닫힘)로 한 실외 유닛을 통상 제어로 되돌리고, 그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에 대해서도 통상 제어에 맡긴다. 덧붙여, 토출 SH가 소정값 SH1보다도 큰 실외 유닛이 복수대 존재하는 경우에는, 토출 SH가 큰 실외 유닛을 우선하여,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스텝 S45에서는, 토출 SH가 소정값 SH1보다도 큰 실외 유닛에 대하여,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 S44로 되돌아온다. 정지한 경우에는 스텝 S46으로 이행한다.
스텝 S46에서는, 소정의 동작 D를 행하게 한다. 동작 D에서는, 정지한 실외 유닛을 기동하고, 대신에 다른 실외 유닛(토출 SH가 소정값 SH1을 하회한 실외 유닛)을 정지하는 로테이션을 실시한다. 덧붙여, 이 동작 D가 소정 기간 내(예를 들면 1시간)에 3회 반복된 경우에는, 스텝 S46으로부터 스텝 S47로 이행한다.
스텝 S47에서는, 소정의 동작 A를 행하게 한다. 동작 A에서는, 토출 SH가 소정값 SH1을 하회한 실외 유닛에 있어서,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를 소정의 작은 개도(혹은 완전 닫힘)로 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등의 조건을 만족한 후,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를 소정의 작은 개도(혹은 완전 닫힘)로 한 실외 유닛을, 통상 제어로 되돌리고, 그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에 대해서도 통상 제어에 맡긴다.
스텝 S48에서는, 플래그 F=0인 정지 상태인 실외 유닛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와 같은 실외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1로 이행하고, 없는 경우에는 스텝 S49로 이행한다.
스텝 S49에서는, 소정의 동작 C를 행하게 한다. 동작 C에서는, 우선, 토출 SH가 소정값 SH1을 하회한 실외 유닛, 혹은, 바이패스 밸브(62, 162)가 완전 열림이 된 실외 유닛에 대하여,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를 소정의 작은 개도(혹은 완전 닫힘)로 한다. 그리고 플래그 F=0인 실외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 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그 후, 소정 시간 경과 등의 조건을 만족하면,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를 소정의 작은 개도(혹은 완전 닫힘)로 한 실외 유닛을 통상 제어로 되돌리고, 그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에 대해서도 통상 제어에 맡긴다. 덧붙여, 플래그 F=0인 실외 유닛이 복수대 존재하는 경우에는, 토출 SH가 큰 실외 유닛을 우선하여,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
스텝 S50에서는, 정지한 실외 유닛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지한 실외 유닛이 있으면 스텝 S51로 이행하고, 없으면 스텝 S49로 되돌아온다.
스텝 S51에서는, 소정의 동작 B를 행하게 한다. 동작 B에서는, 플래그 F=0인 정지 상태인 실외 유닛을 기동하고, 대신에 다른 실외 유닛(토출 SH가 소정값 SH1을 하회한 실외 유닛)을 정지하는 로테이션을 실시한다. 여기서, 플래그 F=0인 정지 상태인 실외 유닛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차례로 기동시키게 된다. 또한, 정지 상태여도 플래그 F=1인 실외 유닛에 대해서는 기동시키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그 제어부(50)에 의하여,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실시하였다고 하는 이력을 나타내는 플래그 F가 서 있지 않은(플래그 F=0인) 실외 유닛이 있으면, 그 실외 유닛을 우선시켜 기동시킨다(스텝 S41 및 스텝 S51). 또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실시하였다고 하는 이력을 나타내는 플래그 F가 서 있지 않은(플래그 F=0인) 실외 유닛이 있으면, 그 실외 유닛을 우선시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다(스텝 S41 및 스텝 S49). 나아가, 정지 상태에 있는 실외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운전 상태에 있는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가 아니라, 정지 상태에 있는 실외 유닛을 기동시키는 것을 우선한다(스텝 S42 및 스텝 S46).
덧붙여, 상기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2대의 실외 유닛(2, 102)만이 열원 유닛으로서 존재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으로서도 적합하지만, 3대 이상의 실외 유닛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동작으로 되어 있어, 실외 유닛에 부호를 붙이지 않고 설명을 행하고 있다.
〔공기 조화 장치의 특징〕
(1)
공기 조화 장치(1)의 제어부(5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고, 그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 중에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스텝 S15 또는 스텝 S25)에, 정지 중인 실외 유닛을 기동시키거나 다른 운전 중인 실외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거나 하는 실외 로테이션 제어로 이행시킨다. 이와 같이, 우선은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실행하고, 잉여 냉매가 생긴 실외 유닛 자신에 있어서 잉여 냉매의 조정을 행하기 때문에, 다른 실외 유닛에 영향을 주는 횟수가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다.
(2)
그리고 제어부(50)는, 토출 SH가 소정값 SH1을 하회하거나 바이패스 밸브(62, 162)의 개도가 완전 열림이 되거나 하여, 어큐뮬레이터(24, 124)에 의한 잉여 냉매의 조정이 한계에 이르렀다고 판단하였을 때에, 즉, 실외 유닛에서 냉매량 이 과잉이 되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 정지 중인 실외 유닛을 기동시키거나 다른 운전 중인 실외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거나 하는 실외 로테이션 제어로 이행시킨다(스텝 S15, 스텝 S25). 이 실외 로테이션 제어에 의하면, 정지 상태인 다른 열원 유닛을 기동시키는 것으로, 혹은, 다른 열원 유닛에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것으로, 스텝 S15나 스텝 S25의 조건을 만족하고 잉여 냉매가 과잉으로 생기고 있는 실외 유닛으로부터, 냉매를 다른 실외 유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구성을 채용하면, 비교적 어큐뮬레이터(24, 124)의 용량을 작게 설계하여도, 과잉인 잉여 냉매가 실외 유닛(2, 102)에 체류하여 원활한 운전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잉여의 액 냉매를 어큐뮬레이터(24, 124)로 이끄는 회로로서, 과냉각기(25)의 냉각원으로서의 회로인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를 이용하고 있다. 즉, 실외 열교환기(23)로부터 실내 팽창 밸브(41)로 보내지는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회로와, 잉여 냉매를 어큐뮬레이터(24)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하나의 바이패스 냉매 회로(제1 실외 유닛(2)에서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제2 실외 유닛(102)에서는 바이패스 냉매 회로(161))에서 겸용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유닛(2, 102)의 코스트 다운이 도모되고 있다.
(4)
정지 상태인 실외 유닛을 기동시키는 편이, 운전 상태인 다른 실외 유닛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것보다도, 잉여 냉매가 과잉으로 된 실외 유닛으로부터 냉매를 다른 실외 유닛으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1)의 제어부(50)는, 다른 실외 유닛에서 정지 상태인 것이 있으면, 그것을 기동시키는 것을 우선하고 있다(스텝 S42 및 스텝 S46, 스텝 S48 및 스텝 S51). 이것에 의하여, 과잉인 잉여 냉매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실외 유닛의 운전이 계속되는 것이, 빨리 해소되도록 되어 있다.
(5)
한 번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한 실외 유닛은, 그 제어 종료 시에 어큐뮬레이터(24, 124)에 비교적 많은 액 냉매를 모으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그 후에 냉매의 이동이 있었다고 하여도, 어큐뮬레이터(24, 124)에 냉매가 많이 모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1)의 제어부(50)는, 실외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5, 스텝 S25)에,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실시하였다고 하는 이력을 나타내는 플래그 F가 서 있지 않은(플래그 F=0인) 실외 유닛이 있으면, 그 실외 유닛을 우선시켜 기동시키거나(스텝 S41 및 스텝 S51), 그 실외 유닛을 우선시켜 어큐뮬레이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거나(스텝 S41 및 스텝 S49)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과잉인 잉여 냉매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실외 유닛의 운전이 계속되는 것이, 빨리 해소되도록 되어 있다.
〔변형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과냉각기(25)의 냉각원으로서의 회로인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를 이용하여 잉여의 액 냉매를 어큐뮬레이터(24, 124)로 이동시키고 있지만, 잉여의 액 냉매를 어큐뮬레이터(24, 124)로 이끄는 다른 전용 회로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실외 로테이션 제어의 스텝 S47의 동작 A를 행하는 것이 반복된다는 것은,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10)에 과잉으로 냉매를 충전하여 버리고 있을 우려가 강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경우에 냉매 과충전을 알리는 알람을 발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의 동작 A가 실시된 경우에, 주의를 환기하는 표시를 리모컨 등에 출력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비교적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과잉인 잉여 냉매가 실외 유닛에 체류하여 원활한 운전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 하나의 냉매 회로 내에 복수의 열원 유닛이 존재하는 공기 조화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각각, 압축기(21, 121)와 열원 측 열교환기(23, 123)와 어큐뮬레이터(24, 124)를 가지고, 제1 열원 유닛(2)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열원 유닛(2, 102)과,
    이용 측 팽창 기구(41)와 이용 측 열교환기(42)를 가지는 이용 유닛(4)과,
    상기 복수의 열원 유닛과 상기 이용 유닛을 접속하여 하나의 주 냉매 회로(10)를 형성시키는 액 냉매 연락 배관(6)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7)과,
    운전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정지 상태에 있는 다른 상기 열원 유닛을 기동시키는 타(他) 유닛 기동 제어, 혹은, 운전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열원 유닛 이외의 상기 열원 유닛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제어부(50)
    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이 되었을 때에, 우선 상기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상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고, 그 냉매 모음 제어 중에 상기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상기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상기 제1 열원 유닛 이외의 상기 열원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유닛(2, 102)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24, 124)는 상기 압축기(21, 121)의 흡입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원 유닛(2, 102)은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를 더 가지고,
    상기 바이패스 냉매 회로(61, 161)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유량 조절 밸브(62, 162)를 가지고, 상기 열원 측 열교환기(23, 123)와 상기 액 냉매 연락 배관(6) 사이의 냉매를 상기 어큐뮬레이터(24, 124)로 이끄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유닛(2, 102)은 과냉각기(25, 125)를 더 가지고,
    상기 과냉각기(25, 125)는, 상기 바이패스 유량 조절 밸브(62, 162)로부터 상기 어큐뮬레이터(24, 124)로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상기 열원 측 열교환기(23, 123)로부터 상기 액 냉매 연락 배관(6)을 통하여 상기 이용 유닛(4)으로 보내지는 냉매를 냉각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압축기(21, 121)의 토출 측에 있어서의 가스 냉매 의 과열도가 소정값을 하회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열원 유닛(2, 102)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바이패스 유량 조절 밸브(62, 162)가 완전 열림으로 되었을 때에, 혹은, 상기 압축기(21, 121)의 토출 측에 있어서의 가스 냉매의 과열도가 소정값을 하회하였을 때에, 상기 열원 유닛(2, 102)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냉방 운전 시의 상기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은, 적어도, 상기 열원 측 열교환기(23, 123)의 출구의 냉매 과냉각도가 소정값보다도 높다고 하는 제1 조건 및/또는 상기 압축기(21, 121)의 토출 측의 냉매 고압 압력이 소정값보다도 높다고 하는 제2 조건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유닛(2, 102)은, 상기 열원 측 열교환기(23, 123)와 상기 액 냉매 연락 배관(6)의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밸브(38, 138)를 포함하는 열원 측 팽창 기구를 더 가지고,
    난방 운전 시의 상기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은, 적어도, 상기 열원 측 팽창 기구의 팽창 밸브(38, 138)가 완전 열림이라고 하는 제3 조건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운전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정지 상태에 있는 상기 열원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운전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열원 유닛 이외의 상기 열원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냉매 모음 제어가 아니라, 상기 타 유닛 기동 제어를 행하게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한 상기 열원 유닛에 냉매 모음 처리 완료 플래그를 세워 두고, 운전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열원 유닛에 있어서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상기 냉매 모음 처리 완료 플래그가 서 있지 않은 상기 열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상기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다른 열원 유닛(102) 및 이용 유닛(4)과 접속되어 하나의 주 냉매 회로(10)를 형성하고, 공조 대상 공간의 공기와 상기 이용 유닛(4)의 이용 측 열교환기(42)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열원 유닛(2)이고,
    압축기(21)와,
    열원 측 열교환기(23)와,
    어큐뮬레이터(24)와,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정지 상태에 있는 상기 다른 열원 유닛(102)을 기동시키는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운전 상태에 있는 상기 다른 열원 유닛에 있어서 그 상기 다른 열원 유닛의 어큐뮬레이터에 냉매를 모으는 타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제어부(50)
    를 구비한 열원 유닛(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소정의 냉매 모음 조건이 되었을 때에, 우선 상기 어큐뮬레이터(24)에 냉매를 모으는 자(自)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고, 그 자 유닛 냉매 모음 제어 중에 냉매량이 과잉이라고 판단하였을 때에, 상기 타 유닛 기동 제어, 혹은, 상기 타 유닛 냉매 모음 제어를 행하게 하는,
    열원 유닛(2).
KR1020087021849A 2006-02-20 2007-02-15 공기 조화 장치 및 열원 유닛 KR100989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2558A JP4120682B2 (ja) 2006-02-20 2006-02-20 空気調和装置および熱源ユニット
JPJP-P-2006-00042558 2006-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397A true KR20080091397A (ko) 2008-10-10
KR100989623B1 KR100989623B1 (ko) 2010-10-26

Family

ID=3843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849A KR100989623B1 (ko) 2006-02-20 2007-02-15 공기 조화 장치 및 열원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39175B2 (ko)
EP (1) EP1995536B1 (ko)
JP (1) JP4120682B2 (ko)
KR (1) KR100989623B1 (ko)
CN (1) CN101384866B (ko)
AU (1) AU2007218821B2 (ko)
WO (1) WO2007097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225A (ja) * 2005-11-15 2007-06-07 Hitachi Ltd 冷凍装置
JP5401806B2 (ja) * 2008-02-29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媒量判定方法
JP2010032104A (ja) * 2008-07-29 2010-02-12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10032105A (ja) * 2008-07-29 2010-02-12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4864110B2 (ja) * 2009-03-25 2012-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
JP5496182B2 (ja) * 2009-03-26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機
JP5484889B2 (ja) * 2009-12-25 2014-05-07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5484890B2 (ja) * 2009-12-25 2014-05-07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5409405B2 (ja) * 2010-01-12 2014-02-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352512B2 (ja) * 2010-03-31 2013-11-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610843B2 (ja) * 2010-05-24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712213B1 (ko) * 2011-04-22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02226600B (zh) * 2011-06-10 2012-10-17 江苏天舒电器有限公司 一种双系统热回收多功能泳池一体机
JP5257491B2 (ja) * 2011-06-30 2013-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機
JP6003160B2 (ja) * 2011-09-30 2016-10-0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KR20130041640A (ko) * 2011-10-17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5746962B2 (ja) * 2011-12-20 2015-07-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供給方法およびガス供給装置
JP5765278B2 (ja) * 2012-03-21 2015-08-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
JP6021943B2 (ja) * 2012-12-13 2016-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787102B2 (ja) * 2013-01-11 2015-09-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装置
EP3062045B1 (en) * 2013-10-24 2020-12-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JP6291794B2 (ja) * 2013-10-31 2018-03-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EP3098531B1 (en) * 2014-01-21 2018-06-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JP5751355B1 (ja) * 2014-01-31 2015-07-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CN104235978B (zh) * 2014-08-22 2017-04-12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蓄冷蓄热型空调机
JP6394683B2 (ja) * 2016-01-08 2018-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輸送用冷凍装置
JP6350577B2 (ja) * 2016-03-31 2018-07-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18062547A1 (ja) * 2016-09-30 2018-04-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19146023A1 (ja) * 2018-01-24 2019-08-0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6575625B1 (ja) * 2018-03-22 2019-09-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10655878B2 (en) * 2018-07-06 2020-05-1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 with sub-cooling temperature optimization using extremum-seeking control
EP3889521A4 (en) * 2018-11-30 2022-10-12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CONTROL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N111271892B (zh) * 2018-12-05 2021-11-05 约克广州空调冷冻设备有限公司 制冷系统
DE112018008199T5 (de) * 2018-12-11 2021-08-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limaanlage
DE112019006896T5 (de) * 2019-02-22 202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neneinheit und Klimaanlage
EP3967949A4 (en) * 2019-05-14 2023-01-11 Toshiba Carrier Corporation HEAT SOURCE SYSTEM
JP6881503B2 (ja) * 2019-05-31 2021-06-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US20230358432A1 (en) 2020-09-14 2023-11-09 Toshiba Carrier Corporation Air conditioner
KR20220040220A (ko) * 2020-09-23 202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환기 멀티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130B2 (ja) * 1990-03-30 1994-12-14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
JP2909190B2 (ja) * 1990-11-02 1999-06-23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
JP3163121B2 (ja) * 1991-06-28 2001-05-0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TW212224B (ko) 1992-02-28 1993-09-01 Sanyo Denki Kk
JP2966641B2 (ja) * 1992-04-09 1999-10-25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060770B2 (ja) * 1993-02-26 2000-07-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3289366B2 (ja) * 1993-03-08 2002-06-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H07234038A (ja) * 1994-02-18 1995-09-05 Sanyo Electric Co Ltd 多室型冷暖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H08189719A (ja) * 1995-01-12 1996-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3603514B2 (ja) * 1996-12-20 2004-12-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3263343B2 (ja) 1997-08-25 2002-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空気調和装置
JPH11108472A (ja) 1997-10-02 1999-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H11257762A (ja) 1998-03-12 1999-09-24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JP3327215B2 (ja) * 1998-07-22 2002-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冷媒充填量決定方法
JP3082752B2 (ja) 1998-11-04 2000-08-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3085296B2 (ja) * 1998-12-25 2000-09-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3598357B2 (ja) 1999-07-28 2004-1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形空気調和機
JP2001091071A (ja) * 1999-09-24 2001-04-06 Sanyo Electric Co Ltd 多段圧縮冷凍装置
JP3940840B2 (ja) * 2002-11-22 2007-07-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719246B2 (ja) * 2003-01-10 2005-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の冷媒量検出方法
JP4459776B2 (ja) * 2004-10-18 2010-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の室外機
KR100640855B1 (ko) * 2004-12-1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7238A1 (ja) 2007-08-30
KR100989623B1 (ko) 2010-10-26
EP1995536A4 (en) 2014-06-18
CN101384866B (zh) 2011-03-09
EP1995536A1 (en) 2008-11-26
EP1995536B1 (en) 2018-10-10
AU2007218821A1 (en) 2007-08-30
JP4120682B2 (ja) 2008-07-16
US20090056358A1 (en) 2009-03-05
AU2007218821B2 (en) 2010-05-27
CN101384866A (zh) 2009-03-11
US9239175B2 (en) 2016-01-19
JP2007218558A (ja)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623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열원 유닛
JP5326488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161240B1 (ko) 공기 조화 장치
JP4114691B2 (ja) 空気調和装置
EP3279580B1 (en) Air-conditioning device
JP5130910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冷媒量判定方法
US20090095000A1 (en) Air conditioner
KR20080022593A (ko) 공기 조화 장치
JP6468300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80071601A (ko) 공기 조화 장치
AU2009248466B2 (en) Refrigeration Apparatus
KR20070001078A (ko) 냉동장치
JP2007212134A (ja) 空気調和装置
JP2006292214A (ja) 空気調和装置の冷媒量判定機能追加方法、及び、空気調和装置
JP4562650B2 (ja) 空気調和装置
JP5138292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8132217A (ja) 空気調和装置
CN107110586B (zh) 制冷装置
JP5245576B2 (ja) 空気調和装置の冷媒量判定方法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5245575B2 (ja) 空気調和装置の冷媒量判定方法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18132218A (ja) 空気調和装置
JP6590945B2 (ja) 冷凍装置
JP2008111584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