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339A - 프린터·플로터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플로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339A
KR20080088339A KR1020070094152A KR20070094152A KR20080088339A KR 20080088339 A KR20080088339 A KR 20080088339A KR 1020070094152 A KR1020070094152 A KR 1020070094152A KR 20070094152 A KR20070094152 A KR 20070094152A KR 20080088339 A KR20080088339 A KR 20080088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lamp
roller
slid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037B1 (ko
Inventor
마사노리 타카다
타다노리 잇폰야리
에이지 미야시타
데츠하루 이케다
아키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8008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Handling wide cop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using a cutting tool mounted on a reciprocating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3Roller pairs driving roller and idle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431Roller pairs driving roller and idler roller arrangement idler roll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3Arrangements of rollers facing a transport surface
    • B65H2404/1531Arrangements of rollers facing a transport surface the transport surface being a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65H2515/34Pressure, e.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36Plo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Ink Jet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명료한 구성으로 가공대상에 대응하여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 등을 제공한다. 시트형상 매체를 이송롤러(21)와 핀치롤러(130)의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가이드레일(4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200)를 구비한 프린터·플로터 장치에 있어서, 롤러 어셈블리(100)는 요동각도 위치에 따라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는 레버(155, 165)를 가지고, 슬라이더(200)에는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레버(155, 165)를 걸어맞출 수 있는 맞물림위치와, 레버와 맞물리지 않고 통과하는 대피위치로 변위할 수 있게 설치된 암(210)을 가지며, 슬라이더(200)를 이동시키면서 암(210)을 맞물림위치와 대피위치로 변위시켜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된다.
Figure P1020070094152
프린터, 플로터

Description

프린터·플로터 장치{PRINTER·PLOTTER APPARATUS}
본 발명은, 플래튼 위에 놓인 시트형상 매체를 이송롤러와 핀치롤러의 사이에 끼우고 앞뒤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플래튼의 위쪽에 이송롤러와 평행하게 좌우로 뻗어 설치된 가이드레일 위를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장치는 프린터헤드를 시트형상 매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상대이동시키면서 프린터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 등에 의해 시트형상 매체의 표면에 인쇄를 하고, 플로터 장치(커팅 플로터 장치)는 커팅헤드를 시트형상 매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상대이동시키면서 커팅헤드에 구비한 커터에 의해 시트형상 매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결가공하는 장치이며, 이 장치들은 모두 이미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플로터 장치에 프린터 장치로서의 기능을 부여한 장치(프린터 기능이 부여된 플로터 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 장치들에서는, 프린터헤드나 커팅헤드 등의 헤드를 시트형상 매체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상대이동시키는 기구구성으로서, 시트형상 매체를 이송롤러와 핀치롤러의 사이에 끼우고 이송롤러를 회전시켜 시트형상 매체를 전후방향으로 반송하 는 동시에, 이송롤러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따라 헤드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쇄 또는 절단가공을 하는 '1축재료이동, 1축헤드이동'의 구성, 시트형상 매체를 테이블 위에 고정하고, 헤드를 전후 및 좌우로 이동시켜 인쇄 또는 절단가공을 하는 '2축헤드이동'의 구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축재료이동, 1축헤드이동' 구성의 장치에서는, 이송롤러와 핀치롤러의 사이에 끼워넣은 시트형상 매체를, 이송롤러의 회전각도에 비례한 정확한 이송량만큼 반송하는 것이 인쇄품질이나 절단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이 때문에,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시트형상 매체가 이송롤러 위에서 부분적으로 미끄러지거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이송롤러의 위쪽에는 각각 회전가능한 핀치롤러를 가지는 롤러 어셈블리가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있다. 롤러 어셈블리에는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clamp)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있으며, 예를 들어, 핀치롤러를 이송롤러에 밀어붙여 시트형상 매체를 끼워넣는 클램프위치와, 핀치롤러를 이송롤러로부터 이격시켜 시트형상 매체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하는 클램프 계탈(係脫)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6-193303호 공보). 또한, 시트형상 매체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따라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핀치롤러의 압착력(클램프압이라고 함)을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는 클램프압 설정기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오퍼레이터가 해당하는 레버를 전환 조작해야 했다. 예를 들어, 시트공급기 등의 자동송급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대형 나뭇잎 형상(홑잎(單葉))의 시트형상 매체를 가공대상으로 하는 경우, 1장에 대한 인쇄가공 또는 절결가공이 종료할 때마다, 오퍼레이터가 클램프 레버를 조작하여 핀치롤러를 클램프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하고 새로운 시트형상 매체를 도입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시트형상 매체의 재질이나 형상, 크기, 두께, 인쇄범위 등에 따라 세세한 클램프 상태를 조정설정할 수 있게 한 다기능 장치에서는, 클램프 계탈기구나 클램프압 설정기구 등이 롤러 어셈블리마다 독립하여 설치되고, 또한 클램프압은 각각 복수 단계(예를 들어, 강, 중, 약의 3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이 다른 시트형상 매체를 가공하는 경우, 가공대상마다 다수의 롤러 어셈블리에 대하여 하나하나 클램프 레버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를 조정하는 레버조작이 필요하여, 미세한 조정이 가능한 다기능을 가지는 반면, 설정작업이 번잡하다는 과제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외부신호에 따라 핀치롤러의 계탈 및 클램프압을 변화시키는 구조를 각 롤러 어셈블리에 부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개개의 롤러 어셈블리가 복잡화,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많은 롤러 어셈블리에 적용하기 위하여 장치 전체의 비용이 상승되고, 또한 제어 시스템의 복잡화를 초래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지 않고, 간단명료한 구성으로 다양한 가공대상에 대응하여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래튼 윗면과 대략 같은 높이 위치에 좌우로 뻗어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는 이송롤러, 및 각각 회전가능한 핀치롤러를 가지고 이송롤러의 위쪽에 좌우로 나란히 복수개 설치된 롤러 어셈블리를 가지고, 플래튼 위에 놓인 시트형상 매체를 이송롤러와 핀치롤러 사이에 끼우고 앞뒤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플래튼의 위쪽에 이송롤러와 평행하게 좌우로 뻗어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가이드레일에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이다. 이 장치에서 롤러 어셈블리는 좌우로 요동가능한 레버(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클램프 레버(155),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를 가지고,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핀치롤러와 이송롤러 사이에 끼워넣는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켰을 때 레버에 걸어맞추어져 레버를 요동시키는 맞물림위치와, 레버와 맞물리지 않고 통과하는 대피위치로 변위할 수 있게 설치된 암을 가지고,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암을 맞물림위치와 대피위치로 변위시켜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롤러 어셈블리에 의한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프린터·플로터 장치'란, 프린터 장치, 플로터 장치, 또는 이들의 기능을 모두 가진 장치(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프린터·플로터 장치)를 포함하고, '클램프 상태'란, 핀치롤러를 이송롤러에 밀어붙여 시트형상 매체를 끼울지 여부,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핀치롤러의 압착력,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핀치롤러의 둘레방향 위치 등, 핀치롤러와 이송롤러 사이에 시트형상 매체를 끼우는 조건을 말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롤러 어셈블리는,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핀치롤러를 이송롤러에 밀어붙여 시트형상 매체를 끼워넣는 클램프위치와, 핀치롤러를 이송롤러로부터 이격시켜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로(즉, 핀치롤러에 의한 클램프의 온/오프를) 전환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롤러 어셈블리는,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핀치롤러의 압착력(클램프압)을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레버는,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1 레버(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클램프 레버(155)) 및 제1 레버와 상하로 나란히 설치되어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2 레버(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로 이루어지고, 롤러 어셈블리는, 암에 의해 요동된 제1 레버의 요동각도 위치가 소정의 클램프 각도(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온/오프 전환각도)보다 클 때 핀치롤러를 이송롤러에 밀어붙여 시트형상 매체를 끼우는 클램프위치와, 소정의 클램프 각도보다 작을 때 핀치롤러를 이송롤러로부터 이격시켜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 계탈기구와, 클램프 각도보다 큰 요동각도 범위에서 제2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핀치롤러의 압착력을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압 설정기구를 구비하며,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암을 맞물림위치와 대피위치로 변위시켜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하여, 롤러 어셈블리에 의한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 및 핀치롤러의 압착력을 변경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레버는,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1 레버(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클램프 레버(155)) 및 제1 레버와 상하로 나란히 설치되어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2 레버(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로 이루어지고, 롤러 어셈블리는, 제1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핀치롤러를 이송롤러에 밀어붙여 시트형상 매체를 끼우는 클램프위치와, 핀치롤러를 이송롤러로부터 이격시켜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 계탈기구와, 제2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핀치롤러의 압착력을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압 설정기구를 구비하며, 암에는, 해당 암을 맞물림위치에 설정하고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켰을 때,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적어도 한 쪽과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재와,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다른쪽과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재를 가지고,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암을 맞물림위치와 대피위치로 변위시켜 제1 맞물림부재 및 제2 맞물림부재에 의해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하여, 롤러 어셈블리에 의한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 및 핀치롤러의 압착력을 변경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레일은, 해당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플래튼 위를 앞뒤로 반송되는 시트형상 매체에 소정의 동작을 하는 헤드(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커팅헤드(50), 프린터헤드(60))가 설치되는 레일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는 프린터헤드와 커팅헤드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더는 프린터헤드와 커팅헤드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롤러의 위쪽에 설치된 각 롤러 어셈블리에, 좌우방향의 요동각도 위치에 따라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는 레버가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에 지지된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켰을 때 레버에 맞물려 레버를 요동시키는 맞물림위치와, 레버와 맞물리지 않고 통과하는 대피위치로 변위할 수 있게 설치된 암을 가지고 구성되며,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암을 맞물림위치와 대피위치로 변위시켜 각 롤러 어셈블리의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가공대상마다 하나하나 레버를 조작하여 클램프 상태를 전환하는 작업이 필요없으며, 또한 장치의 대형화나 복잡화를 억제한 간단명료한 구성으로, 시트형상 매체의 재질이나 형상 등에 따른 미세한 클램프 상태의 조정설정과 양호한 작업성을 모두 가진 프린터·플로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 클램프 상태의 변경설정에 관하여, 핀치롤러에 의한 클램프의 온/오프를 전환설정할 수 있는 구성에 따르면, 롤러 어셈블리마다 클램프 레버를 조작하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없고, 또한 핀치롤러의 압착력(클램프압)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에 따르면, 롤러 어셈블리마다 클램프압 설정레버를 조작하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없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하로 나란히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1 레버 및 제2 레버를 구비하고, 제1 레버의 요동각도 위치가 소정의 클램프 각도를 경계로 클램프위치와 개방위치로 바뀌도록 구성된 클램프 계탈기구와, 클램프 각도보다 큰 요동각도 범위에서 제2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클램프압을 변경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압 설정기구를 구비하며, 암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맞물림위치와 피맞물림위치로 변화시킴으로써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하여, 클램프의 온/오프 및 클램프압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구성에 따르면, 소형 롤러 어셈블리와 1개의 암이라는 간단명료하고 저가의 장치구성으로, 시트형상 매체를 재질이나 형상 등에 따른 미세한 클램프 상태의 조정설정과 양호한 작업성을 모두 갖춘 프린터·플로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하로 나란히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1 레버 및 제2 레버를 구비하고, 제1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클램프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 계탈기구와, 제2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클램프압을 변경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압 설정기구를 구비하며, 암에, 해당 암을 맞물림위치에 설정하여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켰을 때,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적어도 한쪽과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재와,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다른쪽과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재를 설치하고, 암의 이동방향, 암의 위치(맞물림위치와 대피위피), 및 걸어맞추는 맞물림부재(제1 맞물림부재와 제2 맞물림부재)와의 조합에 의해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하여, 클램프의 온/오프 및 클램프압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구성에 따르면, 소형 롤러 어셈블리와 1개의 암이라는 간단명료하고 저가의 장치구성으로, 시트형상 매체를 재질이나 형상 등에 따른 미세한 클램프 상태의 미세한 조정설정(예를 들어, 3단 이상의 다단 또는 무단계의 클램프압 설정)과 양호한 작업성을 모두 갖춘 프린터·플로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가 지지되는 가이드레일이, 시트형상 매체에 소정의 동작을 하는 헤드가 설치되는 레일부재인 구성, 즉 프린터헤드나 커팅헤드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더를 지지시키는 구성에 따르면, 기구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한 간단명료한 구조로, 상기 각 효과를 가진 프린터·플로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가 프린터헤드와 커팅헤드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더는 프린터헤드와 커팅헤드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인 구성에 따르면, 프린터헤드와 커팅헤드를 구비한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연결부재에 암과 그 구동기구를 설치한 간단명료한 구성으로, 상기 효과를 가지는 프린터·플로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는 프린터헤드 및 커팅헤드와 별개로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프린터헤드 및 커팅헤드의 어느 한쪽에 함께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명료한 구성으로 다양한 가공대상에 대응하여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 는 프린터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일례로서, 프린터 장치와 플로터 장치의 기능을 모두 갖춘 프린터·플로터 장치(P)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를 도 2에 예시하고 있으며, 먼저 이 도면을 참조하여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개요 설명한다. 한편, 이후의 설명에서 도 2에 표시한 화살표 F, R, U의 방향을 각각 앞쪽, 오른쪽, 위쪽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프린터·플로터 장치(P)는, 일반적으로 미디어라고 불리는 타포린(tarpaulin)이나 내후 염화비닐시트 등의 시트형상 매체(M)에 대하여 인쇄 등의 소정 동작을 하는 장치본체(1)가, 좌우 한쌍의 다리(2a)를 가진 지지부(2)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장치본체(1)는, 다리(2a)의 위끝에 고정된 바디(10)와, 시트형상 매체(M)를 앞뒤로 반송하는 반송기구(20)와, 시트형상 매체를 지지하는 플래튼(30)과, 플래튼의 위쪽에 이송롤러와 평행하게 좌우로 뻗어 설치된 가이드레일(40)과,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가이드레일에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200)를 가지고 구성된다.
바디(10)는 중앙 위쪽의 프론트 커버 및 좌우의 사이드 커버에 둘러싸여 가로로 긴 상자형상을 이루며, 바디 중앙부에 시트형상 매체가 앞뒤로 삽입통과할 수 있는 미디어 삽입부가 형성된 문(門)형상의 본체 프레임(11)을 가지고 구성된다. 커버 내부의 개요 구성을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0) 은 좌우 끝부분이 본체 프레임의 측벽부(11a, 11b)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측벽부(11a, 11b) 사이를 좌우로 뻗어 설치되어 있다.
반송기구(20)는, 측벽부(11a, 11b) 사이를 좌우로 뻗어 설치된 이송롤러(피드롤러라고도 함)(21)와, 각각 회전가능한 핀치롤러를 가지고 이송롤러(21) 위쪽에 복수개(장치의 그림폭에 따라 10~20 세트 정도) 좌우로 나란히 설치된 롤러 어셈블리(1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송롤러(21)는 컨트롤 유니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플래튼(30) 위에 놓인 시트형상 매체(M)를 이송롤러(21)와 핀치롤러의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로 이송롤러(21)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롤러(21)에 눌린 시트형상 매체(M)가 이송롤러(21)의 회전각도에 따른 이송량만큼 앞뒤로 반송된다. 한편, 롤러 어셈블리(10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플래튼(30)은 좌우의 측벽부(11a, 11b) 사이에 위치하여 바디(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윗면측에 시트형상 매체(M)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지지면(30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30a)에는 다수개의 흡착구멍이 개구형성되는 동시에, 아랫면측에 감압실이 설치되어 부압(負壓)으로 설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감압실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인쇄나 커팅 등의 가공중에 시트형상 매체(M)가 지지면 위에 확실하게 흡착보유되도록 되어 있다. 플래튼(30)의 앞뒤는 미끄러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앞쪽의 종이배출영역에는 인쇄직후의 시트형상 매체를 가열하여 잉크를 건조시키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뒤쪽의 종이공급영역의 아래쪽에는 롤 형상으로 감긴 미가공 시트형상 매체를 보유하는 롤 홀더 및 이 것을 플래튼 위로 보내는 종이공급기구가, 플래튼(30)의 앞쪽에는 인쇄가 종료한 미디어를 감는 롤 홀더 및 종이배출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40)에, 뒤에 설명하는 슬라이더(200)와, 커팅헤드(50) 및 프린터헤드(60)가 설치되어 있다. 커팅헤드(50)는, 가이드레일(4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지(51)와, 캐리지(51)의 앞면측에 설치된 커터홀더(52)를 가지고 구성된다. 커터홀더(52)는 모두 도시하지 않은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캐리지(51)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회전기구에 의해 상하로 뻗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터홀더(52)에는 커터(53)가 착탈교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아래끝에 형성된 블레이드(날)에 의해 시트형상 매체(M)를 커팅(하프커트, 다이커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캐리지(51)와 본체 프레임(11)의 사이에는, 상하이동기구나 회전기구를 작동제어하거나 각종 신호를 주고받는 신호선이 설치되어, 예를 들어 굴곡성이 높은 띄형상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을 사용하여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프린터헤드(60)는, 가이드레일(4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지(61)와, 캐리지(61)의 화면측에 좌우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개의 프린터헤드 모듈(62)을 가지고 구성된다. 각 프린터헤드 모듈(62)의 아랫면에는 다수개의 잉크 분사구가 개구하여 미세한 잉크흐름을 분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프린터헤드 모듈마다 서로 다른 색채의 잉크를 분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프린터의 잉크분사구는 플래튼(30)의 지지면(30a)과 상하로 대향하고 있으며, 플래튼(30)의 지지면(30a)에 흡착보유된 시트형상 매체(M)의 표면에 잉크가 분사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각 프린터헤드 모듈(62)에는, 카트리지식 잉크저장부로부터 잉크를 잉크유로로 공급하는 튜브가 연결되며, 또한 잉크분사제어용 전력 및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이 상기 커팅헤드(50)와 마찬가지로 캐리지(61)와 본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잉크저장부는 바디(10)측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캐리지(61)에 탑재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바디(10)에서의 가이드레일(40)의 오른쪽끝측 아래쪽에 유지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장치(70)는,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스테이지(71)의 윗면측에, 보습성을 가지는 천이나 스폰지로 성형된 건조방지부재(72)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프린터헤드(60)가 가이드레일(40) 오른쪽끝측의 대기위치(R 스페이션)(75R)까지 이동되면, 스테이지(71)가 자동적으로 위로 이동하여 건조방지부재(72)에 의해 각 헤드모듈(62)의 아랫면이 덮여 잉크분사구멍(62a)이 캡핑된다. 이 때문에, 각 헤드모듈의 잉크분사구멍이 바깥공기로부터 차단되어, 잉크 건조에 의한 잉크분사구멍(62a)의 막힘이 방지되고, 잉크의 토출성능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헤드(50, 60)들을 가이드레일(40)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는 헤드구동장치(80)가 바디(10)에 설치되어 있다. 헤드구동장치(80)는, 각각 가이드레일(40)의 좌우측 끝부분에 근접하여 설치된 구동도르래(81) 및 종동도르래(82)와, 구동도르래(81)를 회전구동하는 전기모터(83), 구동도르래와 종동도르래(82)에 걸쳐진 엔드리스 벨트형상의 구동벨트(85), 및 커팅헤드(50)와 프린터헤드(60)를 연결시키는 슬라이더(200) 등으로 구성된다. 전기모터(82)는 예를 들어, 스템핑 모터나 서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도르래(81)의 회전(회전방향, 회전속도, 회전각도 위 치 등)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구동벨트(85)에는 내주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타이밍 벨트가 사용되고, 구동 및 종동도르래(81, 82)에는 타이밍 도르래가 사용되어, 전기모터(83)의 회전이 미끄러지지 않고 구동벨트(85)에 전달되며, 구동벨트가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로 (평면에서 보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제어된다.
커팅헤드(50)와 프린터헤드(60)는 모두 가이드레일(40)에 지지되어 각각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이 두 헤드(50, 60)를 모두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한쪽 벨트,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헤드(60)가 구동벨트(85)에 결합되어 항상 구동벨트(85)와 일체로 구동되며, 커팅헤드(50)는 커팅헤드(50)와 프린터헤드(60) 사이에 위치하여 가이드레일(40)에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200)에 의해 프린터헤드(60)와 연결되었을 때, 프린터헤드(60)와 함께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더(200)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으로 돌출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한 연결후크(250, 260)가 설치되며, 좌우의 연결후크가 슬라이더(200)에 내장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구동된다. 한편, 커팅헤드(50)에는 왼쪽 연결후크(250)를 수용하여 걸어맞추는 L후크 맞물림부가 설치되어, 상기 내장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커팅헤드(50)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프린터헤드(60)에는 오른쪽 연결후크(260)를 수용하여 걸어맞추는 R후크 맞물림부가 설치되어, 내장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프린터헤드(60)와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40)의 왼쪽끝에 위치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한 보유후크(255)가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요동구동된다. 커팅헤드(50)에는 보유후크(255)를 수용하여 걸어맞추는 보유후크 맞물림부가 설치되어 있어, 커팅헤드(50)(및 커팅헤드(50)에 연결된 슬라이더(200))를 가이드레일 왼쪽끝측의 대기위치(L 스테이션)(75)에 걸어맞추어 보유시키거나, 슬라이더(200)에 의해 프린터헤드(60)와 연결하여 프린터헤드(60)와 함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프린터·플로터 장치(P)에서는, 보유후크(255)에 의해 커팅헤드(50)를 왼쪽의 L 스테이션(75L)에 걸어 보유시키고, 왼쪽의 걸어맞춤 후크(250)에 의해 슬라이더(200)를 커팅헤드(50)에 연결시켜 커팅헤드(50)와 함께 L 스테이션(75L)에 걸어 보유시킨 상태로 하여, 프린터헤드(60)만을 구동기구(80)에 의해 좌우로 이동시켜 시트형상 매체(M)의 윗면에 인쇄가공을 할 수 있는 것 외에, 프린터헤드(60)에 슬라이더(200)를 연결시켜 슬라이더(200)를 이동 작동시키는 것, 및 프린터헤드(60)에 슬라이더(200) 및 커팅헤드(50)를 연결시켜 커팅헤드(50)에 의한 커팅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디부(10)의 우측 사이드 커버부에, 이 프린터·플로터 장치(P)의 각 부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90)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90)는 이 프린터·플로터 장치(P)에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 및 가공대상에 따라 판독된 가공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반송기구(20), 커팅헤드(50), 프린터헤드(60), 헤드구동장치(80), 슬라이더(200) 등의 각 부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제어 장치(90)에 의해 시트형상 매체(M)의 가공을 시작함으로써, 가공 프로그램에 따른 인쇄나 절결가공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개요 구성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P)에 있어서, 롤러 어셈블리(100)는, 도 4에 외관도를 나타내고, 도 5에 좌우중앙에서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어셈블리의 프레임을 이루는 어셈블리 케이스(110), 어셈블리 케이스(110)의 하부에 좌우로 뻗은 요동축(114)을 통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클램프 베이스(120), 클램프 베이스(120)의 앞끝부에 롤러핀(124)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피봇(pivot) 지지된 핀치롤러(130), 한쪽 끝이 클램프 베이스측의 스프링 지지축(123)에 걸리고 다른쪽 끝이 어셈블리 케이스측의 스프링 지지축(163)에 걸려 요동축(114)에 지지된 클램프 베이스(120)를 도 5에서의 시계방향으로(핀치롤러(130)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좌우 한쌍의 코일 스프링(140), 각각 어셈블리 케이스(110)의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레버(155, 165)를 가지고 롤러 어셈블리에 의한 클램프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클램프 계탈기구(150), 및 클램프압을 전환하는 클램프압 설정기구(16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어셈블리 케이스(11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부분이 벽면으로 상하 3단으로 나뉘어 있으며, 가운데단에 클램프 계탈기구(150)의 레버(클램프 레버라고 함)(155), 윗단에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의 레버(클램프압 설정레버라고 함)(165)가, 상하로 뻗은 레버축(115)에 의해 피봇장착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어셈블리 케이스(110)의 뒷부분에는 롤러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에 걸어맞추어지는 샤프트 맞물림부(116)가 형성되는 동시에, 케이스 앞쪽의 상부에 롤러 어셈블리(10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삽입구멍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부(117)가 좌우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베이스(120)는, 어셈블리 케이스(110)의 좌우 측벽 사이를 이어 설치된 요동축(114)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앞뒤로 뻗은 평탄한 베이스 플레이트부(12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부(12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여 요동축(114)과 평행하게 뻗은 벽면형상의 레버 맞물림부(122)와, 레버 맞물림부(122)의 위끝을 좌우로 관통하는 지지축 구멍에 축지지된 스프링 지지축(123)을 가지고 구성된다. 어셈블리 케이스(110)의 좌우 측벽에는, 스프링 지지축(123)을 삽입통과시키는 지지축 삽입구멍(113)이 스프링 지지축(123)의 요동궤적에 맞추어 개구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지지축(123)의 좌우 끝부분이 어셈블리 케이스(110)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스프링 지지축(123)의 좌우 끝부분에는 E링이 끼워져 있어, 스프링 지지축(123)에 걸린 코일 스프링(140)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40)의 다른쪽 끝은,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의 캠 슬라이더(168)에 끼워져 들어간 스프링 지지축(163)에 걸려 있으며, 클램프 베이스측의 스프링 지지축(123)과 어셈블리 케이스측의 스프링 지지축(163)의 축간 거리에 따른 스프링력(장력)에 의해 스프링 지지축(123)이 당겨지고, 요동축(114)에 지지된 클램프 베이스(120)가 도 5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핀치롤러(13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스프링 지지축(163)의 좌우 끝부분에도 E링이 끼워져 있어, 걸린 코일 스프링(140)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압 설치된 클램프 베이스(120)에 대하여, 클램프 계탈기구(150) 는, 핀치롤러(130)를 이송롤러(21)에 밀어붙여 시트형상 매체(M)를 사이에 끼우는 클램프위치(클램프 온(ON))와, 핀치롤러(130)를 이송롤러(21)의 위쪽으로 이격시켜 시트형상 매체(M)의 끼움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클램프 오프)로 전환가능한 클램프 상태 설정기구이다.
이 클램프 계탈기구(15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의 (a), (b)에 클램프 레버(155)를 왼쪽 요동각도 위치에 위치시켜 롤러 어셈블리(100)를 클램프위치에 설정한 클램프 온 상태와, 클램프 레버(155)를 오른쪽 요동각도 위치에 위치시켜 롤러 어셈블리(100)를 개방위치에 설정한 클램프 오프 상태에 대하여, 도 6의 (a)는 도 5에서의 VI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 (b)는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로서 각각 나타낸다. 한편, 각 도면에서는, 클램프 레버(155)의 각도 위치와, 이에 의해 요동되는 클램프 베이스(120)의 각도 위치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하여, 클램프 케이스(110)나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의 각 부분 구성 등에 대하여 적절히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클램프 계탈기구(150)는 주로, 클램프 베이스(120)의 레버 맞물림부(122)와 클램프 레버(155)에 의해 구성된다.
클램프 레버(155)는, 레버축(115)을 사이에 끼우고 앞뒤로 뻗은 지레형상을 이루고, 레버축(115)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클램프 케이스(110)에 피봇지지된다. 레버축(115)으로부터 앞쪽으로 뻗은 클램프 레버(155)의 앞끝측은, 핀치롤러(130)의 위쪽에 위치하여 클램프 케이스(110)의 앞쪽으로 돌출 설치되며, 손가락 조작이 가능한 레버부(156)가 형성된다. 클램프 레버(155)의 뒤끝측은, 캠 형상(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Y자 캠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른쪽에 레버축(115)으로 부터의 반경치수가 큰 오프 걸어맞춤면(157f), 왼쪽에 레버축(115)으로부터의 반경치수가 작은 온 걸어맞춤면(157n)이 형성되어 있다.
오프 걸어맞춤면(157f)은, 클램프 레버(155)를 오른쪽 오프 위치에 설정했을 때 클램프 베이스(120)의 레버 맞물림부(122)와 걸어맞추어지고, 코일 스프링(140)의 가압력에 반하여 레버 맞물림부(122)를 뒤쪽으로 누르며, 클램프 베이스 앞끝의 핀치롤러(130)를 이송롤러(21)의 위쪽으로 이격시킨 개방위치(클램프 오프)에 보유시킨다. 온 걸어맞춤면(157n) (및 오프 걸어맞춤면(157f)의 왼쪽끝 각부(157p))는, 클램프 레버(155)를 왼쪽 온측에 설정했을 때 레버 맞물림부(122)와 걸어맞출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코일 스프링(140)의 가압력에 의해 핀치롤러(130)를 이송롤러(21)의 둘레면(윗면)에 밀어붙인 클램프위치(클램프 온)에 보유시킨다.
즉, 레버축(115)으로부터 레버 맞물림부에 세운 법선위에, 오프 걸어맞춤면(157f)의 왼쪽끝 각부(157p)가 위치할 때의 클램프 레버(155)의 요동각도 위치(이하, 온/오프 전환각도라고 함)를 경계로 하여, 이 온/오프 전환각도보다 왼쪽에 클램프 레버(155)를 위치시키면, 코일 스프링(140)의 가압력에 의해 클램프 레버(155)가 클램프 온측으로 요동하여 롤러 어셈블리가 클램프위치에 설정되고, 온/오프 전환각도보다 오른쪽에 클램프 레버(155)를 위치시키면, 클램프 레버(155)가 클램프 오프 위치로 요동하여 롤러 어셈블리가 개방위치에 설정된다.
여기서, 도 6의 (a)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오프 걸어맞춤면(157f)은 레버축(115)으로부터 오프 걸어맞춤면(157f)에 세운 법선에 대하여 왼쪽끝측이 짧게(즉, 레버축(115)으로부터 왼쪽끝 각부(157p)로 끈 직선과 상기 법선이 이루는 각 도가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온/오프 전환각도는 클램프 레버(155)를 오른쪽끝의 클램프 오프 위치로부터 약간 왼쪽으로 요동시킨 각도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램프 계탈기구(150)에서는 클램프 레버(155)를 오프 위치로부터 약간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롤러 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로부터 클램프위치로 전환하도록(역설적으로는, 클램프 레버(155)를 확실하게 오프 위치까지 오른쪽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롤러 어셈블리가 개방위치가 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온 걸어맞춤면(157n)은 롤러 어셈블리(100)를 단독체로(즉, 이송롤러(21)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클램프 레버(155)를 온 측에 설정했을 때 레버 맞물림부(122)와 걸어맞추어지는데, 롤러 어셈블리(100)가 프린터·플로터 장치(P)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레버 맞물림부(122)가 온 걸어맞춤면(157n)에 맞물릴는 바로 앞의 각도 위치에서 핀치롤러(130)가 이송롤러(21)와 맞닿아, 후술하는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에 의해 설정된 가압력으로 눌려, 온 걸어맞춤면(157n)과 레버 맞물림부(122)가 맞물리지 않고 약간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게 되어 있다.
클램프압 설정기구(160)는, 핀치롤러(130)를 이송롤러(21)에 밀어붙여 시트형상 매체(M)를 끼워넣는 클램프위치에 있어서, 핀치롤러(130)의 압착력을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는 클램프 상태의 설정기구이다.
이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클램프압 설정기구(160)를 강/중/약의 3단계로 변화시켜 설정하였을 때의 클램프압 설정기구(165)와 코일 스프링(140)의 설정상황의 관계를, 도 7의 (a)에 도 5에서의 V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로서, 도 7의 (b)에 롤러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각각 나타낸다. 한편, 본 도면에서도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각도 위치와 이에 의해 변하는 스프링 지지축(163)의 위치관계를 명시하기 위하여, 클램프 케이스(110)나 클램프 계탈기구(150)의 각 부분의 구성 등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하여 표시한다.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는 평면에서 보아 레버축(115)으로부터 앞쪽으로 부채모양으로 펼쳐진 후 테이퍼 형상으로 좁아지는 마름모꼴을 이루고, 클램프 계탈기구의 클램프 레버(155)의 위쪽에 위치하며, 레버축(115)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피봇지지된다.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앞끝측은 클램프 케이스(110)의 앞쪽으로 돌출설치되며, 손가락 조작이 가능한 레버부(166)가 형성된다.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는 기단측이 레버부(166)보다 두꺼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단차의 세워진 면쪽에 평면에서 보아 물결모양의 캠면(167)이 형성된다. 캠면(167)에는 캠 슬라이더(168) 선단의 맞물림 볼록부(169)와 걸어맞추어져 캠 슬라이더(168)를 걸어고정하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3군데 형성되어 있고, 오른쪽으로부터 차례로 레버축(115)으로부터의 반경치수가 작은 약(弱)걸어맞춤 오목부(167w), 중간인 중(中)걸어맞춤 오목부(167m), 큰 강(强)걸어맞춤 오목부(167s)로 되어 있다.
이 캠면(167)과 맞물리는 캠 슬라이더(168)는, 앞뒤로 긴 단면이 직사각형인 바디부(168a)와, 이 바디부(168a)로부터 좌우로 돌출하여 클램프압 설정레버의 윗면과 클램프 케이스의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부(168b)를 가지며, 바디부(168a)를 좌우로 관통하는 지지축 구멍에 스프링 지지축(163)이 끼워져 들어가 있다(도 5 참조). 클램프 케이스(110)에는 좌우 측벽에 스프링 지지축(163)을 삽입통과시키는 지지축 삽입홈이 앞쪽으로 열려 형성되는 동시에, 윗벽에는 캠 슬라이더(168)의 바 디부(168a)의 폭에 맞춘 슬릿 형상의 슬라이드홈(118)이 형성되어 있어, 바디부 상부가 슬라이드홈(118)에 끼워져 들어가 캠 슬라이더(168)가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윗면과 클램프 케이스(110)의 윗벽면 사이에 앞뒤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변위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 지지축(123~163)에 걸쳐진 코일 스프링(140)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뒤쪽으로 가압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바디부(168)의 뒤끝에는,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인 맞물림 볼록부(16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맞물림 볼록부(169)가 클램프압 설정레버의 캠면(167)과 걸어맞추어져, 캠면에 형성된 3군데의 걸어맞춤 오목부(167w, 167m, 167s)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140)의 스프링력에 반하여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를 좌우로 요동시키면, 클램프압 설정레버의 캠면(167)과 걸어맞추어지는 맞물림 볼록부(169)가 캠면 위를 미끄러져 앞뒤로 슬라이드 변위하고, 캠면(167)에 형성된 3군데의 걸어맞춤 오목부(167w, 167m, 167s)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린 각도 위치에서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를 걸어 보유시킬 수 있다.
이 3군데의 걸어맞춤 오목부(167w, 167m, 167s)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축(115)으로부터의 반경치수가 다르며, 반경방향 치수는 약걸어맞춤 오목부(167w) < 중걸어맞춤 오목부(167m) < 강걸어맞춤 오목부(167s)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맞물림 볼록부(169)를 각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 보유시켰을 때, 스프링 지지축(163)의 설치위치가 앞뒤로 변하여 스프링 지지축(123~163) 사이에 걸쳐진 코일 스프링(140)의 설정길이(d)가 변한다. 즉,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를 왼쪽으로 요동시켜 맞물림 볼록부(169)를 약걸어맞춤 오목부(167w)에 걸어맞추 어 보유시켰을 때의 설정길이를 dw,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를 중앙에 위치시켜 맞물림 볼록부(169)를 중걸어맞춤 오목부(167m)에 걸어맞추어 보유시켰을 때의 설정길이를 dm,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를 오른쪽으로 요동시켜 맞물림 볼록부(169)를 강걸어맞춤 오목부(167s)에 걸어맞추어 보유시켰을 때의 설정길이를 ds라고 하면, dw<dm<ds이고, 이 설정길이에 대응하는 스프링력 즉, 핀치롤러(130)를 이송롤러(21)에 밀어붙이는 압착력(클램프압)이 상기 설정길이에 따라 약/중/강의 3단계로 변한다.
이와 같이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에서는,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를 좌우로 요동시켜 맞물림 볼록부(169)를 걸어맞춤 오목부(167w, 167m, 167s)에 걸어맞추어 보유시킴으로써, 클램프압을 약/중/강의 3단계로 전환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후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맞물림 볼록부(169)가 약걸어맞춤 오목부(167w)에 걸어맞춤 보유된 상태에서의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각도 위치를 약위치, 중걸어맞춤 오목부(167m)에 걸어맞춤 보유된 상태의 각도 위치를 중위치, 강걸어맞춤 오목부(167s)에 걸어맞춤 보유된 상태의 각도 위치를 강위치라고 한다.
한편,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약위치~강위치 사이의 요동각도 범위는, 약걸어맞춤 오목부(167w) 및 강걸어맞춤 오목부(167s)의 각 오목부 중심보다 바깥쪽까지 캠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프 레버(155)의 오프 위치~온 위치 사이의 요동각도 범위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래서, 두 레버의 요동끝부분에서 레버부(156, 166)의 앞끝위치가 대략 같아지도록,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레버축(115) ~ 레버부(166) 선단까지의 길이가, 클램프 레버(155)의 레버축(115) ~ 레 버부(156)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6 및 후술하는 도 9 내지 도 13 등 참조).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듯이, 클램프 기구(150)와 클램프압 설정기구(160)는 각각 별개의 설정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각 레버(155, 165)를 요동조작함으로써 클램프의 온/오프, 클램프압의 약/중/강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 어셈블리(100)의 앞쪽에 위치하여 슬라이더가 가이드레일(40)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더에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와 계탈가능한 암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롤러 어셈블리(100)와 슬라이더(200) 및 이 슬라이더(200)에 설치된 암(210)의 위치관계를 플래튼(30) 위쪽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암(210)은 슬라이더(200)를 관통하여 앞뒤로 뻗은 샤프트 형상을 이루고, 슬라이더(200)에 내장된 암 구동기구에 의해, 슬라이더(200)를 가이드레일(40)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켰을 때 암 선단이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와 걸어맞추어져 각 레버를 요동시키는 맞물림위치(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210)의 선단부를 돌출시킨 위치)와, 이 레버(155, 165)들과 맞물리지 않고 통과하는 대피위치(암(210)의 선단부를 슬라이더(200)측으로 끌어넣은 위치)로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암(210)은 레버(155, 165)와 계탈 가능하게 이 레버들과 대략 같은 높이위치에서 롤러 어셈블리(100)의 앞쪽에 위치하고, 프린터헤드(60)와 연결상태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더(200)로부터 앞뒤로 출몰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암(210)을 앞뒤로 이동시키는 암 구동기구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데, 예를 들어 슬라이더(210) 내부에 직동 솔레노이드나 에어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암(210)을 직접 구동하거나, 혹은 링크 기구나 캠 기구, 기어열 등을 통하여 직동 솔레노이드, 로터리 솔레노이드, 전기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암(210)을 간접적으로 구동하는 등, 공지의 여러가지 구동형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물림위치와 대피위치에 정지시키는 구성은, 예를 들어 슬라이더 안에 위치하는 암에 링형상의 고리(collar)를 고정하는 동시에, 슬라이더 내부의 고리의 앞뒤에 위치결정용 스톱퍼를 맞물림위치와 대피위치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등, 공지의 여러가지 위치결정 형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앞뒤로 이동되는 암(210)의 선단에, 레버(155, 165)와 맞물리는 맞물림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예시한 암(210)의 선단부를 확대한 사시도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재(220)는, 암(210)의 축선위에 형성되어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맞물림부재(221)와, 레버(155, 165)의 걸어맞춤 각도를 고려한 소정의 간격(레버가 왼쪽끝측 또는 오른쪽끝측으로 기울어진 각도 상태로 간섭하지 않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맞물림부재(221)의 오른쪽에 형성된 제2 맞물림부재(222), 및 왼쪽에 형성된 제3 맞물림부재(223)로 이루어진다.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맞물림부재(221)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 모두와 걸어맞추어져 이 레버(155, 165)들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요동작동시킬 수 있는 높이폭을 가지고 좌우 벽면이 평행한 연직 평판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다. 한편, 제1 맞물림부재(221)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 맞물림부재(222)는, 클램프 레버(155)와 걸어맞추어져 클램프 레버(155)를 요동시킬 수 있는데,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와는 맞물리지 않도록 제1 맞물림부재(221)보다 높이폭이 좁고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맞물림부재(221)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3 맞물림부재(223)는, 제1 맞물림부재(221)와 같은 높이폭을 가지고 있는데 앞쪽으로의 돌출길이가 짧고,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와는 맞물리지 않으며, 클램프 레버(155)와는 상기 레버의 요동 궤적위의 중앙영역(클램프압 설정레버(165)에서의 중위치를 사이에 끼우는 좌우영역)에서 맞물릴 수 있는데, 좌우의 측부영역에서는 맞물리지 않고, 예를 들어 클램프 레버(155)가 중앙영역을 넘어 왼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제3 맞물림부재(22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코일 스프링(140)의 스프링력에 의해 클램프 레버(155)가 왼쪽끝의 온 측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9의 (1), (2) 참조).
슬라이더(200) 및 암(210)의 작동 즉, 걸어맞춤 후크(260)에 의해 프린터헤드(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헤드구동장치(80)의 작동, 및 암구동기구에 의한 암(210)의 전후이동은, 상술한 제어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더(200) 및 암(210)에 의한 클램프 상태(클램프의 온/오프, 및 클램프압의 약/중/강)의 설정작용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3의 각 도면을 차례로 참조하면서 5개의 기본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9는 시트형상 매체를 도입 또는 반송하는 클램프 '오프'; 클램프압 '강'의 대기상태로 부터 클램프 '온'; 클램프압 '약'의 기준상태로 전환설정하는 경우의 암(210)의 작동과, 이에 의해 전환되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위치변화를, (1), (2), (3)의 순서로 시계열적으로 각각 사시도(a)와 평면도(b)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한편, 롤러 어셈블리(100)는 플래튼(30) 위쪽에 위치하고 좌우로 나란히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태의 설정변경은, 설정된 시트형상 매체(M)의 두께(부분적인 두께가 다른 경우를 포함)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이 복수개의 롤러 어셈블리들 중에 해당하는 범위의 롤러 어셈블리에 대하여 제어장치(90)에 의해 차례로 전환조작이 이루어지는데, 이것들은 이후 설명하는 롤러 어셈블리의 전환작동의 반복 또는 조합에 해당하기 때문에, 하나의 롤러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1)의 클램프 '오프'; 클램프압 '강'의 대기상태에서는, 클램프 레버(155)가 오른쪽 끝의 오프 위치,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도 오른쪽의 강위치에 있다. 제어장치(90)는 미리 설정 기억된 각 롤러 어셈블리(100)의 좌우방향 위치에 근거하여, 암 선단의 제1 맞물림부재(221)가 클램프 레버(155)의 레버부(156)의 오른쪽이 되는 위치로 슬라이더(2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시에, 암(210)을 맞물림위치까지 내밀어,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200)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 맞물림부재(221)의 좌측면이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각 레버부(156, 166)와 맞물려, 이 레버(155, 165)들을 왼쪽(평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2) 제어장치(90)는 슬라이더(200)를 왼쪽의 약상당 위치(클램프압 설정레 버(165)의 약위치에 상당하는 좌우방향 위치, 이하 동일)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클램프 레버(155)는 온/오프 전환각도를 넘은 시점에서 코일 스프링(140)의 스프링력에 의해 왼쪽으로 요동되는데, 이 레버(155)의 요동궤적에서의 중앙영역에서는, 레버부(156)의 선단이 제3 맞물림부재(223)에 걸어맞추어져 지지되고, 슬라이더가 약상당 위치 근방까지 이동했을 때, 맞물림이 해제되어 온 측까지 요동하여, 핀치롤러(130)가 이송롤러(21)에 밀린 클램프위치로 설정된다. 즉, 제3 맞물림부재(223)로 레버부(156)를 받아 지지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압요동되는 클램프 베이스(120)의 요동각도를 줄여, 핀치롤러(130)가 이송롤러(21)에 충격적으로 충돌하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에서는,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왼쪽으로의 요동에 동반하여 캠 슬라이더(168)가 캠면(167)에 따라 뒤쪽(암(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슬라이더(200)가 약상당 위치에 도달했을 때, 캠 슬라이더의 맞물림 볼록부(169)가 캠면의 약걸어맞춤 오목부(167w)와 맞물린다.
(3) 그리고, 이 약상당 위치에서 암(210)이 대피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에 의해, 클램프 계탈기구(150)가 개방위치로부터 클램프위치로 전환되고(클램프: '오프'에서 '온'으로), 클램프압 설정기구(160)는 핀치롤러(130)의 압착력이 '강'에서 '약'으로 전환 설정되어(클램프압: '강'에서 '약'으로), 도시하지 않은 시트형상 매체가 이송롤러(21)와 핀치롤러(130)의 사이에 '약' 설정의 클램프압으로 클램프되는 기준상태로 설정된다.
도 10은 클램프 '온'; 클램프압 '중'의 상태로부터 클램프압을 '약'으로 전 환설정하는 경우의 슬라이더(200) 및 암(210)의 작동과, 이에 의해 요동되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위치변화를, 도 9와 마찬가지로 (1), (2), (3)의 순서로 시계열적으로 각각 사시도(a)와 평면도(b)에 의해 나타낸 것이다.
(1)의 클램프 '온'; 클램프압 '중'의 상태에서는, 클램프 레버(155)가 왼쪽의 '온' 위치,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중앙의 중위치에 있다. 제어장치(90)는 제1 맞물림부재(221)의 좌측면이 중상당 위치에 있는 레버(166)의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2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시에, 암(210)을 맞물림위치까지 내밀어, 이 상태로 슬라이더(200)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2) 그러면, 제1 맞물림부재(221)의 좌측면이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레버부(166)와 맞물려, 클램프압 설정레버(165)를 왼쪽으로 요동시킨다.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왼쪽으로 요동되면, 중걸어맞춤 오목부(167m)에 맞물려 보유되어 있던 맞물림 볼록부(169)가 이 오목부를 타고 넘어 캠 슬라이더(168)가 캠면(167)에 따라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슬라이더(200)가 약상당 위치에 도달했을 때, 맞물림 볼록부(169)가 약걸어맞춤 오목부(167w)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때, 제3 맞물림부재(223)가 클램프 레버(155)의 레버부(156) 앞쪽으로 접근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맞물림부재(223)는 클램프 레버(155)의 요동 궤적에서의 좌우 옆쪽에서 레버부(156)와 맞물리지 않는 돌출 치수로 설정되어 있어, 제3 맞물림부재(223)가 레버부(156)와 간섭하지 않는다.
(3) 그리고, 이 약상당 위치에서 암(210)이 대피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에 의 해, 클램프 계탈기구(150)는 클램프위치 그대로 이고, 클램프압 설정기구(160)가 '중'에서 '약'으로 전환 설정되어, 도시하지 않은 시트형상 매체가 '약' 설정의 클램프압으로 클램프된다.
도 11은 클램프 '온'; 클램프압 '약'의 기준상태로부터 클램프압을 '중'으로 전환설정하는 경우의 암(210)의 작동과, 이에 의해 요동되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4)의 위치변화를, 상술한 각 도면과 마찬가지로 (1), (2), (3)의 순서로 시계열적으로 사시도(a) 및 평면도(b)에 의해 나타낸 것이다.
(1)의 클램프 '온'; 클램프압 '약'의 상태에서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모두 왼쪽에 위치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레버(155)와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요동각도는 같지 않고,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약위치~강위치 사이의 요동각도 범위는, 클램프 레버(155)의 오프 위치 ~ 온 위치 사이의 요동각도 범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 '온'; 클램프압 '약'의 상태에서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모두 왼쪽에 위치하는데, 각 레버부의 선단은 클램프 레버의 레버부(156)가 클램프압 설정레버의 레버부(166)보다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레버부(155, 165) 선단의 앞뒤방향 위치는 대략 같다.
제어장치(90)는, 제1 맞물림부재(221)의 우측면이 온 위치에 있는 레버부(156)보다 약간 왼쪽에 위치하도록 (제1 맞물림부재(221)와 제2 맞물림부재(222)의 사이에 레버부(156)가 들어가도록) 슬라이더(200)를 이동시켜, 암(210)을 맞물림위치까지 내민다. 그리고, 슬라이더(20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평 면에서 보아 제2 맞물림부재(222)가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레버부(166)에 접근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맞물림부재(222)는 클램프압 설정레버의 레버부(166)와 맞물리지 않도록 높이폭이 좁고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따라서, 상기 암(210)의 돌출작용이나 슬라이더(200)의 오른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 맞물림부재(222)가 레버부(166)와 간섭하지 않고, 레버부(166)의 아래쪽을 이동한다.
(2) 슬라이더(20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제1 맞물림부재(221)의 우측면이 먼저 클램프 레버(155)의 레버부(156)와 맞물리고, 이어서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레버부(166)와 맞물려, 이 레버(155, 165)들을 함께 오른쪽(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 때, 약걸어맞춤 오목부(167w)에 걸어맞춤 보유되어 있던 맞물림 볼록부(169)가 오목부를 타고 넘어 캠면(167)에 따라 앞쪽(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슬라이더(200)가 중상당 위치에 도달했을 때, 맞물림 볼록부(169)가 중걸어맞춤 오목부(167m)에 걸어맞추어져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중위치에 걸어맞춤 보유된다. 이 때, 클램프 레버(155)는 온/오프 전환각도까지 요동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40)의 스프링력에 의해 왼쪽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어, 레버부(156)가 제1 맞물림부재(221)에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제어장치(90)는 슬라이더(200)를 중상당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이번에는 슬라이더(200)를 반대인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레버부(156)가 제1 맞물림부재(221)에 지지된 상태의 클램프 레버(155)는, 암(210)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왼쪽의 온 측으로 요동하여, 핀치롤러(130)가 이송롤러(21)에 밀린 클램프위치 까지 되돌아간다. 이 때의 클램프 베이스(120)의 요동은, 슬라이더(200)의 왼쪽으로의 이동속도에 따른 각속도가 비교적 느린 요동운동이며, 핀치롤러(130)가 천천히 하강하여 이송롤러에 착좌(着座)한다. 따라서, (1), (2)의 과정에서, 핀치롤러(130)가 승강하지만 그 움직임이 모두 느려, 플래튼 위의 시트형상 매체(M)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맞물림부재(222)는 레버부(166)와 맞물리지 않고 그 아래쪽을 이동하기 때문에,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중위치로부터 약위치 방향으로 요동되지 않는다.
(3) 슬라이더(200)가 클램프 레버의 온 위치까지 도달하면, 암(210)이 대피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클램프 계탈기구(150)는 클램프압의 변경과정에서 일단 핀치롤러(130)가 약간 떠오르는 승강운동을 하는데, 다시 클램프위치로 설정되어, 클램프압 설정기구(160)가 '약'에서 '중'으로 전환 설정되고, 시트형상 매체가 '중' 설정의 클램프압으로 클램프된다.
이어서, 도 12는 클램프 '온'; 클램프압 '약'의 기준상태로부터 클램프압을 '강'으로 전환설정하는 경우의 암(210)의 작동과, 이에 의해 요동되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위치변화를, 각 도면와 마찬가지로 (1), (2), (3)의 순서로 시계열적으로 사시도(a)와 평면도(b)에 의해 나타낸 것이다.
(1)의 클램프 '온'; 클램프압 '약'의 상태에서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도 11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왼쪽의 각 레버위치에 위치한다. 제어장치(90)는 제1 맞물림부재(221)와 제2 맞물림부재(222)의 사이에 레버부(156)가 들어가도록 슬라이더(200)를 이동시켜 암(210)을 맞물림위치까지 내밀고, 슬라이더(20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2 맞물림부재(222)는 레버부(166)와 간섭하지 않고 그 아래쪽을 이동한다.
(2) 슬라이더(200)가 오른쪽으로 이동되면, 제1 맞물림부재(221)의 우측면이 먼저 클램프 레버(155)의 레버부(156)와 맞물리고, 이어서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레버부(166)와 맞물려, 이 레버(155, 165)들을 함께 오른쪽으로 요동시킨다. 이 요동에 의해 약걸어맞춤 오목부(167w)에 걸어맞춤 보유되어 있던 맞물림 볼록부(169)가 오목부를 타고 넘어 캠면(167)에 따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또한 중걸어맞춤 오목부(167m)의 오목부도 타고 넘어 슬라이더(200)가 강상당 위치에 도달했을 때, 맞물림 볼록부(169)가 강걸어맞춤 오목부(167s)에 걸어맞추어져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강위치에 걸어맞춤 보유된다. 이 때, 클램프 레버(155)는 온/오프 전환각도 근방에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램프 레버(155)의 오프 걸어맞춤면(157f)의 왼쪽끝 각부(157p)가 레버축(115)으로부터 레버 맞물림부(122)에 세워진 법선 근방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제어장치(90)는 슬라이더(200)를 강상당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슬라이더(200)를 반대인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예를 들어, 오프 걸어맞춤면(157f)의 왼쪽끝 각부(157p)에 원호형상의 R부가 형성되고, 이 R부와 레버 맞물림부(122)의 맞물림에 의해 온 방향으로도 오프 방향으로도 가압되지 않고 중립상태가 된 경우에도(또한 오프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이어도), 왼쪽으로 이동하는 제3 맞물림부재(223)에 레버부(156)가 눌려 왼쪽으로 요동되며, 그 결과 레버부(156)가 제1 맞물림부재(221)에 지지된 상태가 되어 암(210)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온 측으로 요동하여 클램프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이 때의 클램프 베이스(120)의 요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느린 요동운동이며, 핀치롤러(130)가 천천히 하강하여 이송롤러에 착좌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핀치롤러(130)가 승강하지만 그 움직임이 모두 느려, 플래튼 위의 시트형상 매체(M)가 위치 어긋남 등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맞물림부재(222)는 레버부(166)와 맞물리지 않고 아래쪽을 이동하기 때문에, 클램프압 설정레버(165)가 강위치로부터 약위치 방향으로 요동되지 않는다.
(3) 그리고, 슬라이더(200)가 클램프 레버의 온 위치까지 도달하면, 암(210)이 대피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클램프 계탈기구(150)는 클램프압의 변경과정에서 일단 핀치롤러(130)가 약간 떠오르는 승강운동을 하는데, 다시 클램프위치로 설정되어, 클램프압 설정기구(160)가 '약'에서 '강'으로 전환 설정되고, 시트형상 매체가 '강' 설정의 클램프압으로 클램프된다.
이어서, 도 13은 클램프 '온'; 클램프압 '약'의 기준상태로부터 클램프 '오프'; 클램프압 '강'의 대기상태로 전환설정하는 경우의 슬라이더(200) 및 암(210)의 작동과, 이에 의해 요동되는 클램프 레버(155)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165)의 위치변화를, 각 도면과 마찬가지로 (1), (2), (3)의 순서로 시계열적으로 사시도(a)와 평면도(b)에 의해 나타낸 것이다.
이 전환설정에 있어서, (1)에 나타내는 암(210)의 접근(approach), 및 레버(155, 165)의 오른쪽으로의 요동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1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단, 이 전환동작에 있어서, (2) 슬라이더(200)가 강상당 위치를 약간 넘은 오 프 위치까지 이동된다(도 12의 (2)의 (b)와 도 13의 (2)의 (b)를 대비하여 참조). 즉, 상술한 중립 위치를 가지는 경우에도, 클램프 레버(155)가 확실하게 오프 위치가 되도록(오프 걸어맞춤면(157f)이 레버 맞물림면(122)과 맞물린 도 6의 (a)의 상태가 되도록) 온/오프 전환각도를 넘어 오프 위치까지 레버(155, 165)가 오른쪽으로 요동된다. 이 때,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에서는, 캠 슬라이더(168)의 맞물림 볼록부(169)가 강걸어맞춤 오목부(167s)의 오목부 중심을 넘어 약간 오목부 반대측의 빗면으로 올라앉는데, 캠면(167)을 이탈하지 않고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3) 그리고, 슬라이더(200)가 클램프 레버의 오프 위치까지 도달하면, 암(210)이 대피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클램프 계탈기구(150)는 핀치롤러(130)가 이송롤러(21)의 위쪽으로 이격한 개방위치로 설정되고(클램프 오프), 클램프압 설정기구(160)는 '약'에서 '강'으로 전환 설정되어, 롤러 어셈블리(100)가 도 9의 (1)에 나타낸 클램프 '오프'; 클램프압 '강'의 대기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상의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낸 5개의 기본동작을 조합함으로써, 클램프 계탈기구(150)에서의 클램프의 온/오프, 클램프압 설정기구(160)에서의 클램프압의 약/중/강의 전환설정이 모두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모든 롤러 어셈블리에 대하여 하나하나 각 레버를 전환조작하지 않고, 가공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것만으로, 가공대상이 되는 시트형상 매체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에 따라 미세하게 클램프 상태를 조정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200)에 앞뒤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암(210)을 설치한 구성예를 나타내었는데, 암(210)은 슬라이더(200)를 가이드레 일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켰을 때 레버(155, 165)에 걸어맞추어 레버들을 요동시키는 맞물림위치와, 레버(155, 165)와 맞물리지 않고 통과하는 대피위치로 변위할 수 있으면 좋고, 예를 들어 암(210)의 기단측을 슬라이더(200)에 피봇결합하여 선단측(맞물림부재(220))을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는 형태나, 암(210)을 수직 승강시키는 형태로 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암(210)의 선단에 제1 내지 제3 맞물림부재(221, 222, 223)를 형성하고, 1개의 암이라는 간단명료한 구성으로 클램프 계탈기구(150)와 클램프압 설정기구(160) 모두의 설정을 전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슬라이더(200)에 각 설정기구에 대응한 복수개의 암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전환해야 할 조건에 따른 암을 단독 또는 복수개 작동시켜 클램프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더구나, 커팅헤드(50) 및 프린터헤드(60)를 모두 구비한 프린터·플로터 장치에 있어서, 커팅헤드(50)와 프린터헤드(60)를 연결시키는 슬라이더(200)에 암(210)을 설치한 구성예를 나타내었는데, 프린터헤드 또는 커팅헤드의 어느 한쪽을 구비한 프린터 장치 또는 플로터 장치에, 클램프 상태의 전환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더를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되고, 혹은 이와 같은 슬라이더의 기능을 프린터헤드 또는 커팅헤드에 일체로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개요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예로서 나타내는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장치에서의 커버 내부의 개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장치에 사용되는 롤러 어셈블리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롤러 어셈블리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롤러 어셈블리에 설치된 클램프 계탈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롤러 어셈블리에 설치된 클램프압 설정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암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클램프 '오프'; 클래프압 '강'의 상태로부터 클램프 '온'; 클램프압 '약'으로 전환설정하는 경우의 암의 작동과, 이에 의해 전환되는 클램프 레버 및 클램프압 설정레버의 위치변화를 (1), (2), (3)의 순서로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0은 클램프 '온'; 클래프압 '중'의 상태로부터 클램프압을 '약'으로 전환설정하는 경우의 도 9와 같은 사시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1은 클램프 '온'; 클래프압 '약'의 상태로부터 클램프압을 '중'으로 전 환설정하는 경우의 도 9와 같은 사시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2는 클램프 '온'; 클래프압 '약'의 기준상태로부터 클램프압을 '강'으로 전환설정하는 경우의 도 9와 같은 사시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3은 클램프 '온'; 클래프압 '약'의 상태로부터 클램프 '오프'; 클램프압을 '강'으로 전환설정하는 경우의 도 9와 같은 사시도(a) 및 평면도(b)이다.
**부호의 설명**
P: 프린터·플로터 장치 10: 바디
20: 반송기구 21: 이송롤러
30: 플래튼 40: 가이드레일
50: 커팅헤드(헤드) 60: 프린터헤드(헤드)
100: 롤러 어셈블리 130: 핀치롤러
150: 클램프 계탈기구
155: 클램프 레버(레버, 제1 레버)
160: 클램프압 설정기구
165: 클램프압 설정레버(레버, 제2 레버)
200: 슬라이더 210: 암
220: 맞물림부재(221: 제1 맞물림부재, 222: 제2 맞물림부재)

Claims (7)

  1. 플래튼 윗면과 대략 같은 높이 위치에 좌우로 뻗어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는 이송롤러, 및 각각 회전가능한 핀치롤러를 가지고 상기 이송롤러의 위쪽에 좌우로 나란히 복수개 설치된 롤러 어셈블리를 가지고, 상기 플래튼 위에 놓인 시트형상 매체를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핀치롤러 사이에 끼우고 앞뒤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플래튼의 위쪽에 상기 이송롤러와 평행하게 좌우로 뻗어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좌우로 요동가능한 레버를 가지고, 상기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핀치롤러와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끼워넣는 상기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레버에 걸어맞추어져 상기 레버를 요동시키는 맞물림위치와, 상기 레버와 맞물리지 않고 통과하는 대피위치로 변위할 수 있게 설치된 암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암을 상기 맞물림위치와 상기 대피위치로 변위시켜 상기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롤러 어셈블리에 의한 상기 시트형상 매체의 클램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핀치롤러를 상기 이송롤러에 밀어붙여 상기 시트형상 매체를 끼워넣는 클램프위치와, 상기 핀치롤러를 상기 이송롤러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로 전환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상기 핀치롤러의 압착력을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1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와 상하로 나란히 설치되어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2 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암에 의해 요동된 상기 제1 레버의 요동각도 위치가 소정의 클램프 각도보다 클 때 상기 핀치롤러를 상기 이송롤러에 밀어붙여 상기 시트형상 매체를 끼우는 클램프위치와, 상기 소정의 클램프 각도보다 작을 때 상기 핀치롤러를 상기 이송롤러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 계탈기구와,
    상기 클램프 각도보다 큰 요동각도범위에서 상기 제2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상기 핀치롤러의 압착력을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압 설정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암을 상기 맞물림위치와 상기 대피위치로 변위시켜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롤러 어셈블리에 의한 상기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 및 상기 핀치롤러의 압착력을 변경설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1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와 상하로 나란히 설치되어 좌우로 요동가능한 제2 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핀치롤러를 상기 이송롤러에 밀어붙여 상기 시트형상 매체를 끼우는 클램프위치와, 상기 핀치롤러를 상기 이송롤러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 계탈기구와,
    상기 제2 레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이송롤러에 밀어붙이는 상기 핀치롤 러의 압착력을 변화시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 클램프압 설정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암에는, 해당 암을 상기 맞물림위치에 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의 적어도 한 쪽과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재와,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의 다른 쪽과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재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암을 상기 맞물림위치와 상기 대피위치로 변위시켜 상기 제1 맞물림부재 및 상기 제2 맞물림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의 각도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롤러 어셈블리에 의한 상기 시트형상 매체의 끼움 및 상기 핀치롤러의 압착력을 변경설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해당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플래튼 위를 앞뒤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형상 매체에 소정의 동작을 하는 헤드가 설치되는 레일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프린터헤드와 커팅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프린터헤드와 상기 커팅헤드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KR1020070094152A 2007-03-28 2007-09-17 프린터·플로터 장치 KR101321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84243 2007-03-28
JP2007084243A JP4909785B2 (ja) 2007-03-28 2007-03-28 プリンタ/プロッ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339A true KR20080088339A (ko) 2008-10-02
KR101321037B1 KR101321037B1 (ko) 2013-10-22

Family

ID=3952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152A KR101321037B1 (ko) 2007-03-28 2007-09-17 프린터·플로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75213B2 (ko)
EP (1) EP1974938B1 (ko)
JP (1) JP4909785B2 (ko)
KR (1) KR101321037B1 (ko)
CN (1) CN100588554C (ko)
AT (1) ATE455650T1 (ko)
DE (1) DE602008000557D1 (ko)
ES (1) ES234000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3915B2 (ja) * 2008-12-25 2013-02-13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タ装置
CN102300797B (zh) * 2009-01-30 2014-07-02 株式会社御牧工程 喷墨打印机
JP5572857B2 (ja) * 2009-09-11 2014-08-20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タ装置及びローラアッセンブリ
EP2338688B1 (en) * 2009-12-28 2013-02-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69535B2 (ja) * 2010-11-29 2015-02-12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切り抜き加工装置
JP5909372B2 (ja) * 2012-01-19 2016-04-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
JP2013215967A (ja) * 2012-04-06 2013-10-24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5218009A (ja) * 2014-05-14 2015-12-07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媒体の搬送装置
US11174114B2 (en) 2016-08-18 2021-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amps
CN108422469A (zh) * 2017-02-15 2018-08-21 罗兰Dg有限公司 事务机
JP6408182B1 (ja) * 2017-10-18 2018-10-17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カッティングヘッド付き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7299082B2 (ja) * 2019-06-27 2023-06-27 武藤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の記録媒体搬送装置
US11214078B2 (en) * 2019-07-03 2022-01-04 Primera Technology, Inc. Label printer and cutter assembly
JP7461190B2 (ja) 2020-03-24 2024-04-03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7407137B2 (ja) 2021-02-02 2023-12-28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カッティ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2654C2 (de) * 1979-01-24 1980-11-13 Control Commerce Ag, Ilanz, Graubuenden (Schweiz) Papiertransportvorrichtung für Registrierkassen, Datenverarbeitungsmaschinen o.dgl
JPS6021278A (ja) * 1983-07-15 1985-02-02 Brother Ind Ltd プリンタの用紙押え装置
JPS6132778A (ja) * 1984-07-26 1986-02-15 Canon Inc 記録装置
DE3906611A1 (de) * 1989-03-02 1990-09-06 Philips Patentverwaltung Anordnung zur verstellung eines druckers
JPH03112697A (ja) * 1989-09-27 1991-05-14 Mutoh Ind Ltd 用紙駆動型自動製図機における加圧ローラ間隔自動調整方法
JPH06199094A (ja) * 1992-12-29 1994-07-19 Roland D G Kk ピンチロールの組み付け構造
JP3333312B2 (ja) * 1994-03-24 2002-10-15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画像作成および切り抜き装置
JP2800687B2 (ja) * 1994-07-11 1998-09-21 富士通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JP3817361B2 (ja) * 1997-03-13 200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DE60025175T2 (de) * 1999-03-18 2006-06-22 Canon Finetech Inc., Mitsukaido Tintenstrahl-bilderzeugungsgerät
JP3772966B2 (ja) 2000-10-20 2006-05-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排紙従動ローラ用ホルダおよび排紙装置並びに該排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2005015165A (ja) 2003-06-26 2005-01-20 Canon Finetech Inc 記録装置
JP4208673B2 (ja) * 2003-08-29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556419B2 (ja) * 2003-11-04 2010-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ローラ押圧装置
JP2006193303A (ja) 2005-01-14 2006-07-2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450209B2 (ja) * 2005-01-20 2010-04-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4213686B2 (ja) * 2005-03-18 2009-01-21 ヒョス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ハイブリッドコードを用いたディップコード及びこれを利用したラジアルタイヤ
JP2007062936A (ja) * 2005-08-31 2007-03-15 Seiko I Infotech Inc 媒体搬送機構及び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40004T3 (es) 2010-05-27
EP1974938A1 (en) 2008-10-01
US8075213B2 (en) 2011-12-13
KR101321037B1 (ko) 2013-10-22
JP2008238671A (ja) 2008-10-09
ATE455650T1 (de) 2010-02-15
CN100588554C (zh) 2010-02-10
JP4909785B2 (ja) 2012-04-04
US20080240834A1 (en) 2008-10-02
EP1974938B1 (en) 2010-01-20
CN101274545A (zh) 2008-10-01
DE602008000557D1 (de)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037B1 (ko) 프린터·플로터 장치
JP6136392B2 (ja) プラテ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US20130251435A1 (en) Cutter device and printing apparatus
EP3241679B1 (en) Inkjet recording device
US5037016A (en) Apparatus for supplying web-like material to a processing system
US4909497A (en) Printer paper feed apparatus
US5100251A (en) Paper tractor mechanism
US5263699A (en) Sheet feeder aligning apparatus
JP4273194B2 (ja) 長尺印字媒体のカット装置を備えた印字装置
JP4782920B2 (ja) シートを案内するためのガイド装置およびガイド装置を運転する方法
US5887987A (en) Image recording device
KR920010610B1 (ko) 프린터의 용지반송장치
JPS62263079A (ja) プリンタ装置
JP2015218009A (ja) 媒体の搬送装置
KR950011934B1 (ko)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JP2010247915A (ja) プリンタ・プロッタ装置
JP2021509362A (ja) 媒体切断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7439715B2 (ja) 装置
JPH09248896A (ja) 案内要素の軸方向移動調整装置
JP4770108B2 (ja) プリンタ
JP2726833B2 (ja) プリンタ
JPS59209173A (ja) 印字装置の紙送り機構
JP5458379B2 (ja) プリンタ装置及びローラアッセンブリ
JPH10181902A (ja) カットシート給紙機構を有する自動給紙装置
JPS61279570A (ja) 印字機のプラテ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