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232A - 자동차용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1232A KR20080081232A KR1020080079473A KR20080079473A KR20080081232A KR 20080081232 A KR20080081232 A KR 20080081232A KR 1020080079473 A KR1020080079473 A KR 1020080079473A KR 20080079473 A KR20080079473 A KR 20080079473A KR 20080081232 A KR20080081232 A KR 200800812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door
- glass plate
- sliding member
- dru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75 Eboni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549 Ipomoea eri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46 Ipomoea eriocar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two cable connections to the window g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cable tensio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05F2011/387—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using arrangements in the window glass, e.g. ho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05Y2201/642—Trackless c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Deflectors;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유리판을 상하구동하는 구동장치는, 베이스 패널의 상하에 와이어가 설치된 복수개의 풀리를 배치하고, 와이어를 구동하여 유리판을 상하구동시키는, 도어를 닫았을 때에 유리판 (10) 가 차내 방향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또 유리판을 큰 스트로크로 상하구동시켜도 와이어 고정 장착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와이어를 구동, 정지할 때 와이어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한다.
수단으로는, 유리판의 상하구동 궤적을 따라 지지바를 설치하고, 유리판의 하부에, 지지바와 접촉되지 않는 맞댐부재를 설치한다. 또 와이어 고정 장착부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나팔형상의 가이드부를 형성한다. 또 와이어의 느슨해짐 제거용 텐셔너의 둘레면의 형상을 V자형상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에 설치하는 상하구동이 자유로운 유리판을, 창의 전후에 설치되는 2지점의 창틀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예로서는, 힌지 도어나 슬라이드 도어의 예가 있다 (예컨대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2001-1756호 참조). 도 9 를 이용하여 종래의 힌지 도어의 예를 설명한다.
자동차용 도어 (1) 는, 도어 패널 유닛과, 도어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도어 패널 유닛은, 도어 (1) 의 외벽면을 구성하는 아우터패널 (13) 과, 도어 (1) 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힌지부재 (1a) 와, 아우터패널 (13) 의 차량 내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한 이너패널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어 모듈의 골격을 이루는 틀체는, 차량 전측에 위치하는 전섀시 (6a) 와, 차량 후측에 위치하는 후섀시 (6b) 와, 도어 모듈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섀시 (6c) 와, 상부 섀시 (6c) 의 하방에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틀 (6d) 과, 이들의 섀시로 둘러싸인 창 (5) 을 갖고, 또한 중틀 (6d) 과, 도어 모듈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틀 (6e) 과, 이들 사이의 공간 (4) 을 갖는 요부 (腰 部;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섀시 (6c) 는 도어유리 (10) 의 위 가장자리 (10a) 를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틀체는 유리판 상하구동용의 구동장치 (20) 나, 도어 래치 기구, 래치 조작기구 (도어 인사이드 핸들) 등을 구비한다.
또한 섀시 (6a, 6b, 6c) 와, 구동장치 (20) 및 도어유리 (10) 등은, 도어유리 승강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장치 (20) 는, 중틀 (6d) 과 하부 틀 (6e) 사이에 설치된 강재성의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패널이라고도 함; 21) 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 (21) 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1쌍의 프레임 (22, 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22, 23) 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중틀 (6d) 과 하부 틀 (6e) 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 (22, 23) 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부 풀리 (26, 28) 와 하부 풀리 (27, 29) 가 설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 (21) 에, 구동 풀리 (25) 와, 구동 풀리 (25) 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24)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 (24) 는, 차재 배터리 (도시생략) 를 전원으로 하는 정역회전가능한 감속기어부착 모터이다.
이들의 풀리에, 와이어 케이블로도 불리는 1개의 와이어가 X형상으로 크로스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와이어는, 전측의 상부 풀리 (26) 와 하부 풀리 (27)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전측 이동체부 (31a) 와, 후측의 상부 풀리 (28) 와 하부 풀리 (29)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후측 이동체부 (31b) 와, 상부 풀리 (28) 와 구동 풀리 (25) 사이에 비스듬하게 설치된 제 1 사상부 (斜狀部 ;31c) 와, 하부 풀리 (27) 와 구동 풀리 (25) 사이에 비스듬하게 설치된 제 2 사상부 (31d) 와, 상부 풀리 (26) 와 하부 풀리 (29) 사이에 비스듬하게 설치된 제 3 사상부 (31e)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사상부 (31c, 31d) 와, 제 3 사상부 (31e) 가 X형상으로 크로스되어 있다, 제 1 사상부 (31c) 와 제 2 사상부 (31d) 에는, 와이어 전체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의 늘어짐이나 느슨해짐을 흡수하는 텐션 부재 (30) 가 설치되어 있다.
전측 이동체부 (31a) 와 후측 이동체부 (31b) 의 각각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도어유리 (10) 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플레이트 (38) 가, 대략 수평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41 은 캐리어플레이트 (38) 에 고착되어 있는 U자형상의 유리 지지부의 부재를 나타낸다.
이 캐리어플레이트 (38) 에 대한 와이어 (31a) 의 고정수단으로는, 도 9 의 (B), (C)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캐리어플레이트의 장착장소 (39) 에 뚫린 구멍에 와이어 (31a) 를 통과시켜, 코킹 등 임의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 1 사상부 (31c) 의 단부는 구동 풀리 (25) 에 걸리고, 또한 도어유리 (10) 의 승강 스트로크를 허용할 수 있는 길이의 분량이 구동 풀리 (25) 에 감겨 있다. 제 2 사상부 (31d) 의 단부도 구동 풀리 (25) 에 걸리고, 또한 도어유리 (10) 의 승강 스트로크를 허용할 수 있는 길이의 분량이 구동 풀리 (25) 에서의 복수회의 나선홈 (25a) 에 감겨 있다.
따라서 구동 풀리 (25) 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와이어의 제 1 사상 부 (31c) 가 구동 풀리 (25) 로부터 풀려나옴과 동시에, 제 2 사상부 (31d) 가 구동 풀리 (25) 에 감겨들어감으로써, 이동체부 (31a, 31b) 가 서로 동기하여 상승한다. 이 상승에 의해 캐리어플레이트 (38) 와 도어유리 (10) 가 일체로 되어 하강한다. 또 구동 풀리 (25) 가 반대로 회전했을 때에, 제 1 사상과, 제 2 사상부와, 이동체부는 반대로 움직여, 캐리어플레이트 (38) 와 도어유리 (10) 는 상승한다.
다음으로 도 10 에 나타낸 주지된 텐션 부재 (텐셔너라고도 함;30) 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텐셔너 (30) 는, 요동 부재 (60) 와,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를 구비한다. 이들 부재는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예컨대 나일론, 폴리아세탈 등의 미끄러지기 쉽고 미끄러지는 소리도 나지 않는 재료로 일체로 소성형성되어 있다.
요동 부재 (60) 는,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를 이들 상호간에 상기 와이어 (33) 의 통과로가 되는 간극 (63) 을 형성하는 상태로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요동 부재 (60) 는, 텐셔너 (30) 의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가 좌우를 향하여 진자(振子)와 같은 왕복운동이 가능해지도록 베이스 패널 (21) 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65 는 베이스 패널 (21) 에 형성한 고정장착구멍, 66 은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의 중공부 (61d) 에 형성된 투과구멍, 64 는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를 베이스 패널 (21) 에 장착하기 위한 코킹 핀으로 구성되는 추축을 나타낸다.
70 은 코일스프링을 나타내고,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의 동체부에 형성된 하측 개구의 중공부 (61e) 에 들어가 있고, 일단은 동체부의 상방에 설치된 스프링 발의 고정장착구멍에 삽입고정장착되고, 타단은 베이스 패널 (21) 에 설치된 스프링 발의 고정장착구멍에 삽입고정장착되고, 항상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를 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와이어 (33) 로부터 발생되는 느슨해짐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사이에서의 와이어의 통과로 (63) 를 통과시키는 와이어 (33) 에 대향하는 둘레면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단면이 외향의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 단면이 외향의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슬라이딩면 (61a) 과, 제 2 슬라이딩면 (62a) 에 있어서는, 양측에 악(鍔)부 (61b, 62b) 를 구비하고, 중앙의 평탄부에서는 통과하는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는, 상기 나선홈 (25a) 을 구비하는 드럼 (25) 이 회전구동함으로써, 그 드럼 (25) 과 풀리 (27) 사이를 움직이는 와이어 (33) 의 이동궤적이, 도 10 과 같이 드럼 (25) 의 축방향 (화살표 90 방향) 으로 변동된 경우에는,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의 상호간의 상기 와이어 통과로 (63) 를 통과하는 와이어 (33) 는 항상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의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평탄한 면 (61a, 62a) 으로 안내되면서 화살표 90 방향을 향하여 왕복구동하면서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도 9 의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풀리 (25) 를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고, 도어유리 (10) 를 하강시킬 때, 와이어의 제 2 사상부 (31d) 는 강하게 당기는 상태로 되어, 와이어의 제 1 사상부 (31c) 에는 약간이지만 느슨해지는 조건이 첨가된다
특히 구동 풀리 (25) 를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시켜, 와이어 (33) 를 통하여 도어유리 (10) 를 하강 (상승) 시킬 때, 도어유리 (10) 는 하사점 (10d ; 상사점 (10c)) 에 이르러 도어유리 (10) 의 움직임이 멈추더라도, 구동 풀리 (25) 는 약간 회전을 계속하여, 와이어의 제 1 사상부 (31c ; 제 2 사상부 (31d)) 를 풀어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텐션 부재 (30) 에서의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는 화살표 59 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느슨해지려고 하는 와이어의 제 1 사상부 (31c ; 제 2 사상부 (31d)) 를 당겨 느슨해짐을 흡수한다.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에서는, 유리판 (10) 은, 유리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창틀에서의 전후 2개의 섀시 (6a, 6b) 의 홈내에 설치한 탄성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1) 를 세게 닫아, 도어가 승강구의 틀가장자리에 닿아 급정지한 순간에는, 힌지 도어에서나, 슬라이드 도어에서도 유리판 (10) 이 관성에 의해 차내측으로 휘거나 또는 섀시내의 탄성재 (블레이드) 를 찌그러뜨리는 상태에서 차내측으로 이동하고 유리판 (10) 의 하부가 요부 (3) 의 공간 (4) 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부품에 닿는다. 이에 의해 충격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도어 (1) 에서의 요부 (3) 내에서,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로서의 섀시 (6a, 6b) 의 중간위치에 다른 1개의 가이드레일을 설 치하고, 이들 3개의 레일로 유리판 (10) 을 지지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구동시키는 자동차용 도어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어를 닫았을 때의 안정성이 양호해진다. 그러나 사용시에서 유리판 (10) 의 상하구동에 레일 3개 정도의 저항부하가 걸린다. 그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유리판의 상하구동이 전체적으로 무거워진다. 따라서 구동장치는 고출력을 필요로 하고, 구동장치를 대형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3개째의 레일을 유리판의 이동궤적에 합치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창틀에서의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로서의 섀시 (6a, 6b) 에 의해 정해지는 유리판의 이동궤적에 대응시켜,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의 중간위치에, 3개째의 레일로 유리의 이동궤적에 접하는 안내면을 만드는 것은 고도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이 작업을 위해 도어의 조립에서 특별한 숙련공을 배치할 필요성이 생기는 등, 인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 작업자의 숙련도가 나쁜 경우에는,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의 중간위치에 추가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면이 유리판의 이동궤적에 합치되지 않고, 유리판을 상하구동시킬 때,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유리판의 움직임이 무겁고,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도어에서의 창 (5) 이 큰 경우, 도어유리 (10) 도 창 (5) 에 대응한 큰 것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유리를 지지하는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상하의 스트로크도 크게 하여야 된다. 또한 요부 (3) 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20) 에서의 와이어 (31a) 를 지지하기 위한 상하 풀리 (26, 27) 의 간격은 한정된 요부 (3) 의 내부공간의 범위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 풀리사이에서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고자 하면,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상사점 위치 (하사점 위치) 는 풀리에 접근한다.
캐리어플레이트 (38) 가 풀리 (26) 에 접근하면,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등에서, 탄력성이 있는 블레이드로 지지되어 있는 유리 (10) 의 하단이 도 9 의 (C)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내 및 차외의 방향 (73, 73') 으로 반복하여 흔들린 경우, 캐리어플레이트 (38) 에서의 와이어 (31a) 의 고정점 (39) 에는 큰 굽힘각도 (56) 로 굽힘력이 반복되고, 마침내는 고정점 (39) 에서 와이어 (31a) 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상사점 위치 (하사점 위치) 를 풀리 (26) 에 접근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상하의 스트로크가 더욱 작아져, 창을 작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에서는, 도 10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텐션 부재 (30) 의 제 1 슬라이딩면 (61a), 제 2 슬라이딩면 (62a) 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나선홈 (25a) 을 구비하는 드럼 (25) 이 회전구동함으로써, 그 드럼 (25) 과 풀리의 사이를 움직이는 와이어 (33) 의 이동궤적이, 드럼 (25) 의 축방향 (화살표 90 방향) 으로 변동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면 (61a), 제 2 슬라이딩면 (62a) 을 축심방향 (화살표 90 방향) 을 향하여 빈틈없이 왕복 슬라이딩 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면은 균등하게 마모되어, 장기간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생긴다.
그러나 장시간의 이용에 의해 유리판 (10) 의 상하구동의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 1 슬라이딩면 (61a), 제 2 슬라이딩면 (62a) 의 일부가 강하게 마모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그곳이 국부적으로 오목해져, 도 10의 (B), (C) 에서의 화살표 90 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와이어 (33) 가 그곳의 오목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가 깊어짐에 따라 그 오목부로부터 와이어가 탈출될 때에 「탁」하는 이상음이 나게 된다. 그러면 운전자는 그 「탁」하는 이상음을 고장으로 알고, 불안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건 출원의 자동차용 도어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본건 출원의 목적은, 도어의 유리판을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로 가이드함으로써, 유리판을 안정된 궤적으로 상하구동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도어의 유리판을 안내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후 2개로 가이드레일로 가이드함으로써, 슬라이딩 저항이 적고 유리판을 가볍게 상하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장치의 출력을 작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종래와 같이 유리판의 이동궤적에 대응시켜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의 중간위치에, 다른 1개의 가이드레일을 정확하게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장착이 간단한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유리판 (10) 을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로 가이드하는 것이더라도, 도어 (1) 를 세게 닫아, 도어가 틀가장자리에 닿아 급정지한 순간에, 유리판 (10) 이 관성으로 차내측으로 휘거나, 내지는 가이드레일내의 탄성재 (블레이드) 를 찌그러뜨리는 상태에서 유리판의 하부가 차내 방향으로 과잉 동작하기 시작한 상태일 때, 유리판 (10) 의 휨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유리판의 하부가 요부의 공간 (4) 내의 차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부품에 닿는 것에 의한 큰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 상태일 때, 유리판 (10) 의 휨을 작게 함으로써, 도어 (1) 의 요부 (3) 에서의 공간 (4) 의 대부분을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 큰 내부 부품이 배치가능하게 되는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유리판을 큰 스트로크로 상하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리판과 일체적으로 움직이는 캐리어플레이트의 스트로크도 크게 하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캐리어플레이트를 상사점 위치 (하사점 위치) 로 상승 (하강) 시킨 상태에서는, 캐리어플레이트에서의 와이어 고정 장착부는 풀리에 접근한다, 그 접근상태에서 캐리어플레이트가 차의 내외방향으로 흔들리면, 캐리어플레이트에서의 와이어 지작부에 큰 굽힙력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이더라도, 상기 고정 장착부에서 와이어의 절단의 위험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유리판 (10) 의 상하구동의 회수가 장시간의 이용에 의해 증가함에 따라, 와이어가 텐셔너 (30) 의 제 1 슬라이딩면 (61a), 제 2 슬라이딩면 (62a) 을 반복하여 슬라이딩하고, 마모되는 경우이더라도, 와이어는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의 각각 대략 V자형상의 홈의 바닥을 따라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마모되는 지점는 1지점만으로 하고, 슬라이딩면에서는 종래와 같이 와이어가 옆으로 어긋나 이상음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베이스 패널과 베이스 패널에 대한 텐셔너에서의 제 1 슬라이 딩면 (V자홈 ; 61a), 제 2 슬라이딩면 (V자홈 ; 62a) 의 이간상태를, 와이어의 슬라이딩력이 가장 작아지는 위치에 선정함으로써, 그것의 슬라이딩면의 마모가 현저하게 작아지도록 하고, 오랫 동안, 수명을 길게 하여 애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도면 및 그것에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명확해질 것이다.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어의 유리판 (10) 을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 (7, 8) 로 가이드함으로써, 유리판을 안정된 궤적으로 상하구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도어의 유리판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은, 최소한의 전후 2개로 가이드하는 것이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이 적고 유리판을 가볍게 상하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장치의 출력이 작아도 되고, 구동장치가 작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리판 (10) 을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 (7, 8) 로 가이드하는 것이더라도, 도어 (1) 를 세게 닫아 도어가 급정지한 순간에 유리판 (10) 이 관성으로 차내측 (화살표 57 방향) 으로 휘어, 유리판의 하부 (12) 가 차내방향으로 과잉 동작하기 시작했을 때, 유리판 (10) 의 휨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유리판의 하부 (12) 가 요부 (3) 내의 차내측의 공간 (4b) 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부품에 닿는 것에 의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유리판 (10) 의 휨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어 (1) 의 요부 (3) 의 차내측에서의 한정되는 공간 (4b) 을 넓고,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큰 내부 부품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내부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의 유리판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7, 8) 은 최소한의 전후 2개의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유리판의 이동궤적에 대응시켜 전후 2개의 가이드레일의 중간위치에, 유리 흔들림 방지용의 다른 1개의 가이드레일을 정확하게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장착이 간단하고 기계 장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리판의 진동방지수단 (49) 을 구비하는 것이더라도, 도어 (1) 의 요부 (3) 에서의 공간 (4) 에 구동장치 (20) 를 장착할 때, 맞댐부재 (51) 는, 유리판 (10) 의 하부에 대하여 구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분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캐리어플레이트를 상사점 위치 (하사점 위치) 로 상승 (하강) 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 장착부 (39) 의 구성에 의해, 와이어의 극부위치에서의 절단 위험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부터 상기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 (39) 에서의 절단 우려가 없고, 큰 창에, 큰 스트로크로 상하구동시키는 유리판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다.
또 유리판 (10) 의 상하구동의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와이어가 텐셔너 (30) 의 제 1 슬라이딩면 (61a), 제 2 슬라이딩면 (62a) 을 반복하여 슬라이딩 마찰하 여, 점점 마모시키는 경우이더라도, 마모되는 지점은 홈 바닥의 1지점만으로 되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슬라이딩면에서는 종래와 같이 와이어가 옆으로 어긋나 이상음을 발생시킬 우려는 없고, 또 운전자의 불안을 야기하는 이상음의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면에 대한 와이어의 슬라이딩력이 현저하게 작아지는 위치를 선정함으로써, 마모의 정도를 작게 하여 오랫 동안, 수명을 길게 하여 애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8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 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9, 도 10 과 동일 부호를 사용한 구성, 부재 등의 기능, 성질, 특징 등은, 이하에서 추가하는 신규 부재구성, 조합 등의 설명에 관련되는 사항을 제외하고, 전술한 설명과 동 취지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일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 에 있어서, 1 은 자동차의 승강구에 대하여 전측의 일단 (1a) 을 장착하고, 타단 (1b) 을 수평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한 도어이다.
도어 (1) 에서의 상방은 창 (5) 을 나타내고, 그 하측은 요부 (3) 를 나타낸다. 요부 (3) 는 중틀 (6d) 과 하부 틀 (6e) 과, 이들 사이의 공간 (4) 을 구비한다.
창 (5) 에 있어서, 6 은 창틀을 나타내고, 각각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강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전틀 (6a), 후틀 (6b), 상틀 (6c), 중틀 (6d) 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전틀 (6a), 후틀 (6b) 에는 유리판 (10) 을 안내하기 위한 1쌍의 가이드레 일 (7, 8) 을 구비한다. 가이드레일 (7, 8) 에는 도 3 의 (C) 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단면 U자형상의 안내홈 (8b) 이 형성되어 있고, 유리판 (10) 에 대하여 예정되어 있는 상하구동 궤적 (11) 을 유리판 (10) 이 상하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틀 (6c) 에는 유리판 (10) 을 지지하기 위한 단면 U자형상의 지지 홈 (9) 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 (7, 8) 의 내측의 가이드홈 (8b) 은, 주지된 예를 도 3 의 (C)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U자형상의 런 채널로 불리는 비교적 경질의 탄성이 있는 부재로 둘러싸인다. 각 런 채널은 내측에 탄성이 있는 블레이드 (8a, 8a) 를 구비한다. 상틀 (6c) 에서의 지지 홈 (9) 의 단면의 구성은, 도 3 의 (C) 의 가이드홈 (8b) 의 구성과 동일하도록 한다.
요부 (3) 에 있어서, 13 은 외틀을 구성하는 아우터패널, 14, 15 는 도 2 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 (13) 에 연결시킨 내틀과, 작업용 투과구멍을 나타내고, 항상 탈부착이 자유로운 패널 (15a ; 이점쇄선 (15a) 의 위치에 설치됨) 에 의해 덮여진다. 공간 (4) 에 있어서, 4a 는 유리 수납 공간을 나타내고, 4b 는 그것보다 차내 가까이의 공간이고, 4c 는 차외 가까이의 공간으로 임팩트 바 (17) 등이 배치된다. 16 은 중틀 (6d) 에 형성한 유리 출입구를 나타내고,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된 벨트 라인 몰의 블레이드 (16a) 가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1) 에 있어서는, 상하구동이 자유로운 유리판 (10) 의 상부 (10a) 가 지지 홈 (9) 에 들어가고, 상사점 (10c) 에 이르는 상승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1) 에서의 창 (5) 을 막고, 유리판 (10) 의 하부 (10b) 가 하사점 (10d) 에 이르는 하강 상태에서는 유리판 (10) 은 상기 도어 (1) 의 유리판 수납공간 (4a) 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요부 (3) 의 공간 (4) 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판 (10) 을 상하로 구동하기 위한 주지된 구성에 의한 구동장치 (20) 에 있어서, 베이스 패널 (21) 은, 각각 강재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의 판체와, 양측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 (22, 23) 를 구비한다. 스테이의 상하 부분 (22a, 22b, 23a, 23b) 은 내틀 (14) 에 대하여 볼트를 사용하여 탈부착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 (21) 의 본체부에는, 와이어 구동용의 드럼 (25) 이 장착되어 있고, 한편 스테이 (22, 23) 의 상하 부분 (22a, 22b, 23a, 23b) 에는 각각 풀리 (26, 27, 28, 29) 가 설치되어 있다.
33, 34, 35 는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풀리 등에 걸쳐진 와이어를 나타낸다.
또한 드럼 (25) 은 모터 (24) 에 의해 구동한다. 그러나 종래품과 같이 주지된 수동 핸들에 의해 드럼 (25) 을 구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동장치 (20) 는, 유리판 (10) 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주지된 경질재로 형성된 캐리어플레이트 (38) 를 구비한다.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일단에는 와이어 (33) 와, 와이어 (35) 의 일단이, 캐리어플레이트의 타단에는 와이어 (34) 의 일단과, 와이어 (35) 의 타단이 각각 고착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33)와, 와이어 (34) 의 각각의 타단은, 각 5∼7회 감긴 나선상의 와이어 홈을 구비하는 드럼 (25) 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고정 장착되어 있다. 이들의 구동용의 모터 (24) 와, 와이어 구동용의 드럼 (25) 과, 풀리 (26, 27, 28, 29) 와, 캐리어플레이트 (38) 와, 와이어 (33, 34, 35) 의 위치관계 및 설치상태는, 종래품과 동일하도 록, 모터 (24) 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드럼 (25) 이 한 방향으로 돌고, 예컨대 와이어 (33, 34, 35) 가 각각 화살표 58 방향으로 이동하고, 캐리어플레이트 (38) 를 상승시킨다. 모터 (24) 를 역전시키면 와이어는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캐리어플레이트를 하강시킨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 (38) 에는, 유리판 (10) 의 하단 (10b) 이 종래품의 유리 지지부 (41) 와 동일한 후크 부재로 지지됨 (후크 부재는 도 1 에서의 화살표 41 의 장소에 존재하지만 도시는 생략함) 과 동시에,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양측 (38b) 에서는 유리 홀더 등 임의의 부재 (42) 를 통하여 유리판 (10) 이 일체적인 상하구동을 가능하게 탈부착자유로운 구성으로 고착되어 있다.
38 은 유리판 (10) 의 하부에 그것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는 캐리어플레이트로, 도 4, 도 5 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것의 일부분인 전후단에는 각각 연장부 (38a) 를 형성하고, 그 중의 전단측에는 와이어 (33) 와 와이어 (35) 의 일단이, 캐리어플레이트의 후단측에는 와이어 (34) 의 일단과, 와이어 (35) 의 타단이 각각 고착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33) 와, 와이어 (34) 의 각각의 타단은, 종래와 동일하게, 각각 5∼7회 감긴 나선상의 와이어 홈을 구비하는 드럼 (25) 의 양측에 개별로 고정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 (38) 에서의 후단의 연장부 (38a) 에 설치한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 (39, 40) 에 있어서는, 연장부 (38a) 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투과구멍 (39a, 40a) 을 형성한다. 그곳에는 와이어의 자유단 (34a, 35a) 을 관통시키고, 관통시킨 와이어의 자유단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빠짐방 지부재 (34b, 35b) 를 고착한다. 이 고착수단은 임의의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면 된다. 예컨대 빠짐방지부재 (34b, 35b) 를 미리 투과구멍의 가장자리부에 형성해 놓고, 그곳에 와이어를 통과시켜, 빠짐방지부재 (34b, 35b) 를 끼워붙여 찌그려, 그 소성변형에 의해 일체화시켜도 된다.
또한 빠짐방지부재 (34b, 35b) 에서의 상기 투과구멍 (39a, 40a) 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 즉 풀리 (28, 29) 측에 각각 대향하는 부분에는, 와이어를 중심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팔형상 (39b, 40b ; 나팔꽃과 같은 위로 퍼진 만곡면을 구비하는 깔때기형상) 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깔때기형상의 열림각은 도 5 의 (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내방향을 향하여 부동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풀리 (28) 에 대하여, 상사점 위치에 있는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차내방향 (화살표 57 방향) 으로 향한 움직임 폭에 의해 생기는 와이어의 흔들림각 (56) 에 대응시킨 것이면 된다.
즉 도 5 의 (A) 에서의 와이어의 흔들림각 (56) 이 좌우를 향하여 각각 최대의 상태로까지 흔들리는 과정에서 빠짐방지부재 (34b) 의 상부에 형성된 양측의 만곡사면이 순차적으로 하측으로부터 각각 와이어 둘레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빠짐방지부재 (34b) 의 구성으로서는 도 5 의 (A) 와 같이 하여도 되지만,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에 고착하기 위한 부재 (34c) 와,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 (34d) 로 둘로 나누고, 빠짐방지부재 (34b) 에서의 부재 (34d) 에 대하여, 열림각 (39c) 의 나팔형상의 가이드부 (39b) 를 형성하여도 된 다.
또 도 5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재 (34b) 는, 와이어에 고착하기 위한 부재 (34c) 와,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 (34d) 로 둘로 나누고, 가이드부 (39b) 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 (34b) 는,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연장부 (38a) 에서의 투과구멍 (39a) 의 둘레 가장자리를 버링에 의해 열림각 (39c) 의 나팔형상으로 형성하고, 이것을 가이드부 (39b) 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만곡시켜 놓은 유리판 (10 ; 도 2 참조) 이 가이드레일 (7, 8) 의 곡면을 따라 상하구동하는 경우, 풀리 (28) 에 대한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궤적이 차의 내외방향으로 완만한 움직임으로 변화한다. 이에 의해, 풀리 (28) 에 대하여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 (39) 가 차의 내외방향으로 전후하고, 상기 흔들림각 (56) 에 의해 와이어 (34) 가 차의 내외방향으로 흔들린다.
이와 같은 유리판의 상하구동의 반복에 의해 와이어가 차의 내외방향으로 반복하여 흔들리는 경우도, 상기 가이드부 (39b) 에 관련되는 구성은 와이어의 반복 금속피로에 의한 절단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음에 상측 풀리 (28) 에 캐리어플레이트 (38) 를 더욱 접근시키고자 하는 경우, 캐리어플레이트 (38) 에서의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는, 상방에 위치하는 풀리 (28) 에 대하여 고정 장착부 (39) 가 멀어지도록 캐리어플레이트 (38) 에서의 하방위치에, 측방을 향한 연장 부재 (38a) 를 형성하고, 그곳에 상측 풀리 (28) 를 따르게 하는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 (39) 를 구성하면 된다.
이것은, 상측 풀리 (28) 에 캐리어플레이트 (38) 를 접근시켜도 풀리 (28) 와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 (39) 사이의 간격은 비교적 넓어지고, 와이어의 흔들림각 (56) 을 작게 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캐리어플레이트 (38) 를 하사점에 놓았을 때,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 (40) 가 하측 풀리 (29) 에 접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자동차의 냉난방설비가 갖춰진 에어콘 보급시대에 있어서는, 창닫힘상태 (상사점 위치) 에서의 도어 개폐빈도는, 창열림상태 (하사점 위치) 에서의 도어 개폐빈도에 비하여 현저하게 그 빈도는 높다.
따라서 하사점에서의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진동에 의해 와이어가 끊어지는 문제의 확률은 매우 낮고, 그것보다도 상사점에 있어서의 캐리어플레이트 (38) 의 진동에 의한 와이어 고정 장착부의 진동 끊어짐 대책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정으로부터 상기 구성은 유익하다.
이와 같이 유리판 (10) 을 큰 스트로크로 상하구동시키는 경우, 이것과 일체적으로 움직이는 유리판 지지용의 캐리어플레이트 (38) 는,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상하의 풀리 (28, 29) 사이의 전역을 이용하여 작동시켜야 한다 (도 2 의 (C)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캐리어플레이트를 상사점 위치 (하사점 위치) 로 상승 (하강) 시킨 상태에서는, 캐리어플레이트에서의 와이어 고정 장착부 (39) 는 풀리에 접근한다. 그 접근상태에서 캐리어플레이트 (38) 가 차의 내외방향으로 흔들리면, 캐리어플레이트에서의 와이어 고정 장착부 (39) 의 극부에 굽힘력이 가해져, 그 고정 장착부에서 와이어가 절단될 위험이 생긴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도, 캐리어플레이트에서의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 (39) 에 투과구멍을 형성하고, 그것에 풀리를 따르고 있는 와이어의 자유단을 관통시키고, 그것에 와이어의 빠짐방지부재를 고착함과 동시에, 상기 투과구멍 (39a) 의 풀리측의 구멍 가장자리 (39d) 에는 상기 관통시킨 와이어를 중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풀리측을 대경으로 한 나팔형상의 가이드부 (39b) 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상황하에 있어도, 상기 고정 장착부 (39) 에서는 와이어의 극부위치에서의 절단 위험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특단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부터 본원발명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의 고정 장착부 (39) 에서의 절단 우려가 없고, 큰 창에, 큰 스트로크로 상하구동시키는 유리판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우수한 유용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주로 풀리 (28) 와 캐리어플레이트 (38) 후단측의 와이어 (34) 고정 장착부 (39) 의 구성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풀리 (29) 와 와이어 (35) 의 고정 장착부 (40), 풀리 (26) 와 와이어 (35) 의 고정 장착부, 및 풀리 (27) 와 와이어 (33) 의 고정 장착부의 각각의 구성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풀리 (28) 와 와이어 (34) 의 고정 장착부 (39) 의 구성 관계의 설명과 동일한 취지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공간 (4) 내에 있고, 지지바 (50) 와 맞댐부재 (51) 를 구비하는 유리판의 진동방지수단 (49 ; 도 2 참조) 은, 평상시에는 유리판 (10) 의 상하구동에 대하여, 조금도 실질적인 부하를 수반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유리판 (10) 에 차내방향 57 을 향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유리판 (10) 이 그 압력에 견디어 런채널에서의 블레이드 (8a, 16a) 를 눌러찌그러뜨려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유리판 자체의 굽힘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진동방지수단 (49) 에 있어서, 지지바 (50) 는, 유리판 (10) 의 상하구동 궤적 (11) 보다도 차내측 (4b ; 화살표 57 방향) 이고, 유리판 (10) 의 상하구동 궤적 (11) 을 따라 상하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베이스 패널 (21) 의 양측에 있는 1 또는 2개의 스테이 (22, 23) 의 표면을, 유리판 (10) 이 만곡된 상하구동 궤적 (11) 에 대응시킨 곡면에 형성해 놓고, 그 표면을 지지바로서 이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독립되고 상하로 긴 부재를 스테이 (22) 가 인접하는 위치에서 베이스 패널 (21) 에 고착시켜 구성하여도 된다.
다음에 유리판 (10) 의 하부에 설치한 맞댐부재 (51) 는, 항상 상기 지지바 (50) 와 접촉되지 않는 간극 (53) 을 유지하면서 유리판 (10) 과 함께 상하구동하도록, 예컨대 유리판 (10) 의 하단에, 또는 유리판 (10) 과 일체화시키는 캐리어플레이트 (38) 에 대하여 접착 등의 임의의 장착수단으로 탈부착 자유롭게 설치한다. 맞댐부재 (51) 의 재료로서는 지지바 (50) 에 충돌했을 때에 큰 소리가 나지 않는 소음재, 예컨대 경질 고무 또는 합성수지제품이면 된다.
상기 간극 (53) 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도어 (1) 를 화살표 57 방향을 향하여 세게 닫고, 도어가 승강구의 가장자리에 닿아 순간적으로 유리판 (10) 의 하부 (12) 가 관성으로 차내방향 (화살표 57 방향) 으로 과잉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것을 방치해 두면, 유리판 (10) 의 하부 (12) 는 차내방향으로 과잉 동작하고, 도 3 의 (A) 의 내부 부품 (예컨대 드럼 (25)) 에 닿아 충격음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내방향으로 과잉 동작하기 시작하는 상태일 때, 맞댐부재 (51) 는 부호 51a 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간극 (53) 은 없어져 맞댐부재 (51) 의 끝이 지지바 (50) 에 닿아, 소프트하게 지지되어 유리판 (10) 의 하부 (12) 의 과잉 동작이 방지된다. 이 때에는, 도 3 의 (A) 와 같이 유리판 (10) 의 하부 (12) 에서의 캐리어플레이트 (38) 와, 내부 부품 (예컨대 드럼 (25)) 은 간극 (G) 이 남아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간극 (53) 은, 맞댐부재 (51) 의 탄력성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충격방지동작에 상응하는 임의의 치수로 하면 된다 (예컨대 5㎜∼10㎜ 정도의 치수).
또한 유리판 (10) 의 상사점 (10c) 및 하사점 (10d) 에 이른 상태에서는 차내방향을 향한 흔들림은 최대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는, 지지바 (50) 의 구성을 도 2 의 (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지바 표면을 유리판 (10) 의 상하구동 궤적 (11) 의 방향으로 만곡시키면 된다. 그렇게 하면, 그곳의 상사점 대응위치 (50a ; 하사점 대응위치 (50b)) 에서의 간극 (53) 을, 각각 중간위치 (도 2 의 (A)) 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 에서의 간극 (53) 보다도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상하위치에서의 간극 (53) 은, 약간, 예컨대 맞댐부재 (51) 가 지지바 (50) 에 대하여 소프트 터치가 되는 상태이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유리판 (10) 이 상사점 (10c) 및 하사점 (10d) 에 이른 상태에서는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거의 없앨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요부 (3) 에서의 공간 (4) 에 구동장치 (20) 를 장착할 때, 상기와 같이 유리판의 진동방지수단 (49) 을 구비하는 것이더라도, 맞댐부재 (51) 는 캐리어플레이트 (38) 와 일체로 되어 있고, 한편 지지바 (50) 는 별체로 스테이의 측에 있고, 양자는 따로 떨어진 구성이기 때문에, 일체화된 것보다도 간단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지지바 (50) 를 장착할 때, 유리판 (10) 의 하부에서의 맞댐부재 (51) 에 대하여 지지바 (50) 의 표면은 간극 (53) 을 통하여 대응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그 간극 (53) 의 간격에 다소의 오차가 있더라도 (지지바 (50) 의 제작 정밀도가 나빠도, 또한 장착 작업이 조금 조잡하고 간극의 정밀도가 나빠도) 상기 기능에는 조금도 지장을 주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나는 텐셔너 (30) 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상세는 도 6 내지 도 8 에 나타남). 텐셔너 (30) 는 도 7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 (60) 와,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를 구비한다. 이들의 부재는 합성수지 예컨대 나일론, 폴리아세탈 등의 미끄러지기 쉽고 또한 미끄러지는 소리가 나지 않는 재료로 일체로 소성형성되어 있다.
요동 부재 (60) 는,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를 이들 상호간에 상기 와이어의 통과로가 되는 간극 (63) 을 형성하는 상태로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요동 부재 (60) 는, 도 6 에 나타나는 텐셔너 (30) 의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가 좌우를 향하여 진자와 같은 왕복구동을 할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 (21) 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65 (도 7 참조) 는 베이스 패널 (21) 에 형성한 고정장착구멍 (66) 은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에 형성된 상방 개구의 중공부 (61d) 의 바닥 부재 (61g) 에 형성된 투과구멍 (64) 은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를 베이스 패널 (21) 에 장착하기 위한 코킹 핀으로 구성되는 추축을 나타낸다.
또한 도 8 은 코킹에 의한 추축의 구성이 도 7 의 것과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므로, 바닥 부재 (61g) 로부터 통상체 (67) 를 돌출시키고, 이것을 베이스 패널 (21) 의 고정장착구멍 (65) 에 회전구동 자유롭게 삽입하여 추축을 구성한 것이다. 68 은 빠짐방지용 클릭을 나타내고, 주위에 간극 (69) 을 형성함으로써 클릭 (68) 이 반경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도록 되어 있다.
70 은 코일스프링을 나타내고,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의 동체부에 형성한 하측 개구의 중공부 (61e) 에 들어가 있고, 일단 (70a) 은 동체부의 상방에 설치된 스프링 발의 고정장착구멍 (72) 에 삽입고정장착되고, 타단 (70b) 은 베이스 패널 (21) 에 설치된 스프링 발의 고정장착구멍 (71) 에 삽입고정장착되고, 항상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를 화살표 59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와이어 (33, 34) 로부터 발생되는 느슨해짐을 흡수하도록, 항상 와이어 (33, 34) 의 흔들림에 대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추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사이에서의 와이어의 통과로 (63) 를 통과시키는 와이어 (33) 에 대향하는 둘레면의 형상은, 각각 단면이 대략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각각 단면이 대략 V자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슬라이딩면 (V자홈 ; 61a) 과, 제 2 슬라이딩면 (V자홈 ; 62a) 에 있어서는, 양측에 경사시킨 구배를 갖는 와이어 안내면 (61b, 62b) 을 구비하고, 중앙의 심부에는 통과하는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한 홈 바닥 (61f, 62f) 를 구비시 키고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의 구성에 의하면, 도 7 의 (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나선홈 (25a) 을 구비하는 드럼 (25) 이 회전구동함으로써, 그 드럼 (25) 과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사이를 움직이는 와이어 (33) 의 이동궤적이, 드럼 (25) 의 축방향 (화살표 56a 방향) 으로 변동한다. 그러나,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의 상호간의 와이어 통과로를 통과하는 와이어 (33) 는, 항상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의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 바닥 (61f, 62f) 을 따라 왕복구동한다. 또 와이어 (33) 는, 양측에 경사시킨 구배를 갖는 와이어 안내면 (61b, 62b) 에 안내되면서 통과한다.
따라서 장시간의 이용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 (61) 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의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 바닥 (61f, 62f) 을 따라 와이어가 왕복하여, 바닥의 부위를 마모시켜도, 실질적으로는 그곳의 기체형상은 변하지 않게 되어, 와이어가 옆으로 어긋나는 것에 의한 튀어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 (21) 에 대한 텐셔너의 제 1 슬라이딩면 (V자 홈 ; 61a) 과, 제 2 슬라이딩면 (V자홈 ; 62a) 에서의 도 7 의 화살표 56a 방향의 이간상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드럼과 풀리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 (33) 의 이동궤적이, 상기 드럼이 왕복 회전 구동함으로써, 드럼의 축방향으로 일정한 변동폭으로 왕복이동한다.
따라서, 그 변동폭의 중심위치보다도 약간 장력이 가장 많이 걸리는 측, 예 컨대 도 7 의 (A) 에서는 약간 좌측에 가까운 위치에 텐셔너의 대략 V자형상의 홈이 위치하도록 설정하면 된다.
상기 텐셔너에 있어서는, 도 6 의 (A) 에 나타나는 와이어 걸림 상태에서 드럼을 회전시키고, 와이어를 화살표 58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유리 기판을 상승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와이어는 부분적으로 강하게 당기는 상태로 되고, 와이어에는 약간이지만 부분적으로 느슨해지는 조건이 추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텐셔너 (30) 에서의 제 2 슬라이딩 부재 (62) 는 화살표 59 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느슨해지려고 하는 와이어를 당긴다.
특히 드럼 (25) 을 회전시켜, 와이어 (33, 34, 35) 를 통하여 유리판 (10) 을 올리는 (내리는) 조작을 하고 있을 때, 유리판 (10) 은 상사점 (10c ; 하사점 (10d))에 이르러 유리판 (10) 의 움직임이 멈춰도, 드럼 (25) 은 약간 회전을 계속하여, 와이어 (33(34)) 를 풀어낼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때 텐셔너 (30) 가 회전구동하여, 빠진 와이어 (33(34)) 로부터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 느슨해짐을 흡수하여, 와이어 (33(34)) 가 풀리 (27(28)) 로부터 어긋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도 1 은 도어에서의 창틀과, 유리판, 구동장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차량의 외측에서 본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 의 (A) 는 도 1 에서의 A-A 단면도, (B) 는 도 2 의 (A) 에서의 맞댐부재를 중심으로 하는 부분확대도, (C) 는 캐리어플레이트가 상사점 위치 또는 하사점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1 에서의 A-A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3 의 (A) 는 도 1 에서의 B-B 단면도, (B) 는 도 1 에서의 C-C 단면도, (C) 는 도 1 에서의 D-D 단면도이다.
도 4 의 (A) 는 도 1 에서의 E 방향에서 본 일부파단도이고, 유리판 하부에서의 캐리어플레이트를 와이어로 늘어뜨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B) 는 풀리와, 상사점에서의 캐리어플레이트와, 맞댐부재와, 지지바와, 와이어의 고정위치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의 (A) 는 풀리와, 상사점 위치에 있는 캐리어플레이트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파단한 부분확대도, (B) 는 빠짐방지부재 (34b)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파단한 부분확대도, (C) 는 빠짐방지부재 (34b)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파단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6 의 (A) 는 베이스 패널과, 풀리, 구동장치에서의 드럼과, 와이어, 텐셔너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B) 는 텐셔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의 (A) 는 도 6 의 (A) 에 있어서, 나선홈 (25a) 을 갖는 드럼 (25) 과 텐셔너 (30) 와 풀리 (27) 와 그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 (33) 의 관계를 나 타낸 좌측에서 본 설명도, (B) 는 (A) 에서의 B-B 단면도, (C) 는 (A) 에서의 C-C 단면도, (D) 는 도 6 의 (A) 에서의 D-D 단면도.
도 8 은 도 7 의 (D) 와는 다른 텐셔너의 단면도이다.
도 9 의 (A) 종래품에서의 도어의 창틀과, 유리판, 구동장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차량의 외측에서 본 설명용 측면도, (B) 는 그 종래품에서의 풀리와, 상사점 위치에 있는 캐리어플레이트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와이어와, 고정 장착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파단한 부분확대도, (C) 는 풀리와, 상사점 위치에 있는 캐리어플레이트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파단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0 의 (A) 는 나선홈 (25a) 을 갖는 드럼 (25) 과 텐셔너 (30) 와 풀리 (27) 와 그 사이에 걸쳐져 있는 와이어 (33) 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B) 는 (A) 에서의 B-B 단면도, (C) 는 (A) 에서의 C-C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 4 공간
5 창 10 유리판(도어유리)
24 모터 25 드럼
27 풀리 30 텐셔너
33, 34와이어 38 캐리어 플레이트
Claims (2)
- 자동차의 승강구에 대하여 개폐 자유롭게 장착한 도어에는,상방에는 창을, 하방에는 요부를 구비하고,또한 상기 도어에는, 상승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창을 막고, 하강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요부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상하구동 자유로운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상하구동 궤적의 전후에 각각 배치된 유리판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도어의 요부내에 구비시킨 상기 유리판 상하구동용 구동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유리판 상하구동용 구동장치는,상하위치에 유리판 구동용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풀리를 구비하는 베이스 패널과,베이스 패널에 구비시킨 와이어 구동용 드럼과,상기 유리판의 하방을 지지하여, 상하에 위치하는 풀리 상호간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캐리어플레이트와,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하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풀리에 설치됨과 동시에, 일부는 상기 와이어 구동용 드럼에 감기고, 단부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된 와이어를 구비하고,또한 상기 풀리와 드럼 사이에는 와이어가 느슨해지려는 상황에 놓인 경우에 와이어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긴장시키기 위한 텐셔너를 설치하고,상기 와이어 구동용 드럼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풀리에 설치된 와이어를 이동시켜 캐리어플레이트를 상하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상기 텐셔너의 본체는, 상호 병설상태에서 연결된 제 1 슬라이딩 부재와 제 2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고,제 1 슬라이딩 부재와 제 2 슬라이딩 부재의 상호간에는 상기 와이어의 통과로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을 구비시키고,제 1 슬라이딩 부재는 베이스 패널에 대하여 제 2 슬라이딩 부재가 진자와 같은 왕복구동을 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와 제 2 슬라이딩 부재의 둘레면으로, 또한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와 제 2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서의 와이어의 통과로를 통과시키는 와이어에 대향하는 둘레면의 형상은, 대략 V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양측에 와이어 안내면, 중앙에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한 홈 바닥을 구비시키고,상기 나선홈을 구비하는 드럼이 회전구동함으로써, 그 드럼과 풀리 사이를 움직이는 와이어의 이동궤적이, 드럼의 축방향으로 변동되어도, 제 1 슬라이딩 부재와 제 2 슬라이딩 부재의 상호간의 상기 와이어 통과로를 통과하는 와이어는 항상 제 1 슬라이딩 부재와 제 2 슬라이딩 부재의 각각의 홈 바닥을 따라 통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패널과 베이스 패널에 대한 텐셔너에서의 대략 V자형상으로 형성한 홈과의 이간상태는, 드럼과 풀리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이동궤적이, 상기 나선홈을 구비하는 드럼이 회전구동함으로써, 드럼의 축방향으로 변동되는 상태에서, 그 변동폭의 중심위치보다도 약간 장력이 가장 많이 걸리는 측에 접근시킨 위치에 텐셔너의 대략 V자형상의 홈이 위치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209572 | 2001-07-10 | ||
JP2001209572A JP4754111B2 (ja) | 2001-07-10 | 2001-07-10 | 自動車用ドア |
JPJP-P-2001-00238130 | 2001-08-06 | ||
JP2001238130A JP4739597B2 (ja) | 2001-08-06 | 2001-08-06 | 自動車用ドア |
JPJP-P-2001-00299842 | 2001-09-28 | ||
JP2001299842A JP4689115B2 (ja) | 2001-09-28 | 2001-09-28 | 自動車用ドア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9308A Division KR100885150B1 (ko) | 2001-07-10 | 2008-05-27 | 자동차용 도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1232A true KR20080081232A (ko) | 2008-09-09 |
KR100892896B1 KR100892896B1 (ko) | 2009-04-15 |
Family
ID=2734713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9322A KR20030007052A (ko) | 2001-07-10 | 2002-07-08 | 자동차용 도어 |
KR1020080049308A KR100885150B1 (ko) | 2001-07-10 | 2008-05-27 | 자동차용 도어 |
KR1020080079473A KR100892896B1 (ko) | 2001-07-10 | 2008-08-13 | 자동차용 도어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9322A KR20030007052A (ko) | 2001-07-10 | 2002-07-08 | 자동차용 도어 |
KR1020080049308A KR100885150B1 (ko) | 2001-07-10 | 2008-05-27 | 자동차용 도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3) | US7234274B2 (ko) |
KR (3) | KR20030007052A (ko) |
DE (3) | DE10262356B4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02614B2 (ja) * | 2001-09-26 | 2010-12-22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自動車用ドア |
FR2832753B1 (fr) * | 2001-11-29 | 2004-10-01 |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 Leve-vitre compact a cable |
FR2841286B1 (fr) * | 2002-06-19 | 2005-10-14 |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 Leve-vitre et porte de vehicule avec le leve vitre |
DE10230073A1 (de) * | 2002-07-01 | 2004-01-22 | Sai Automotive Sal Gmbh | Kraftfahrzeugtür |
US7591104B2 (en) * | 2003-07-23 | 2009-09-22 | Ohi Seisakusho Co., Ltd. | Mounting structure of a power window apparatus |
JP2005212646A (ja) * | 2004-01-30 | 2005-08-11 | Hirotec Corp | 車両用ドア |
ES1057714Y (es) * | 2004-06-08 | 2004-12-16 | Castellon Melchor Daumal | Dispositivo de polea para elevalunas de vehiculos. |
DE102004031805A1 (de) * | 2004-07-01 | 2006-01-26 | Daimlerchrysler Ag | Fensterhebeeinrichtung |
ATE392329T1 (de) * | 2005-06-16 | 2008-05-15 | Antolin Grupo Ing Sa | Modulträger für fahrzeugtüren, tür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modulträgers auf einem türrahmen |
US7802401B2 (en) * | 2005-06-30 | 2010-09-28 | Hi-Lex Corporation | Window regulator with improved carrier |
US20070006533A1 (en) * | 2005-07-11 | 2007-01-11 | Faurecia Interior Systems U.S.A., Inc. | Vehicle window lift plate |
JP2007056501A (ja) * | 2005-08-23 | 2007-03-08 | Johnan Seisakusho Co Ltd | ワイヤドラム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US7958676B2 (en) * | 2005-09-12 | 2011-06-14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 Deflection device for an adjustment device of a motor vehicle |
JP4573768B2 (ja) * | 2005-12-13 | 2010-11-04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
DE102006007679A1 (de) * | 2006-01-30 | 2007-08-02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Vorrichtung zur Reduktion von Schwingungen und Schallabstrahlungen von Systembauteilen eines Kraftfahrzeugs |
JP4529922B2 (ja) * | 2006-03-09 | 2010-08-25 |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 車両用窓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窓ガラスホルダー |
KR100861113B1 (ko) | 2007-02-28 | 2008-09-30 |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트 장치 |
EP2132054B1 (en) * | 2007-03-13 | 2018-12-26 | Inteva Products, LLC. | Cable regulator rail and carrier with snap-in pulley |
CN106014069B (zh) * | 2007-05-09 | 2017-11-17 | 马格纳·克劳祖雷斯有限公司 | 用于车辆的车窗调节器组件 |
US20090051193A1 (en) * | 2007-08-22 | 2009-02-26 | Hernandez Everardo A | Window regulator system for a vehicle door assembly |
JP5063266B2 (ja) * | 2007-09-10 | 2012-10-31 | 矢崎総業株式会社 | 給電構造 |
FR2933037B1 (fr) * | 2008-06-26 | 2011-04-15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ouvrant |
KR20100009328A (ko) * | 2008-07-18 | 2010-01-27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
DE102009010439A1 (de) * | 2009-02-26 | 2010-09-09 | Henkel Ag & Co. Kgaa | Dämpfungsvorrichtung für flächige Bauteile |
US20100293864A1 (en) * | 2009-05-19 | 2010-11-25 | Staser Brian H | Attachment method for window lift system |
US8341890B2 (en) * | 2009-05-19 | 2013-01-01 | Inteva Products, Llc | Dual channel cable drive window lift system |
FR2956069A1 (fr) * | 2010-02-05 | 2011-08-12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Element de carrosserie equipe d'un moyen de reduction des bruits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element. |
US9796250B2 (en) | 2011-12-26 | 2017-10-24 | Hi-Lex Corporation | Vehicle window regulator, and vehicle door structure comprising the vehicle window regulator |
FR2989037B1 (fr) * | 2012-04-10 | 2017-02-10 | Inteva Products France Sas | Leve-vitre comprenant un support pour la fixation d'un brin de cable entre deux extremites de premier et deuxieme rails de guidage |
JP5681164B2 (ja) * | 2012-12-12 | 2015-03-04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DE102013017794A1 (de) * | 2013-10-25 | 2015-04-30 | Küster Holding GmbH | Türmodul für einen Seilzugfensterheber |
JP6328542B2 (ja) * | 2014-11-26 | 2018-05-23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スライドドアモジュール |
US9796314B2 (en) | 2015-08-13 | 2017-10-2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Track cover for moving axis compartment door |
JP6260611B2 (ja) * | 2015-12-21 | 2018-01-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ドア構造および車両用ドアの製造方法 |
JP6724990B2 (ja) * | 2016-07-28 | 2020-07-15 | 日本製鉄株式会社 | 自動車の外装パネル |
TWI621547B (zh) * | 2017-01-26 | 2018-04-21 | 信昌機械廠股份有限公司 | 車用玻璃升降機的可調式玻璃夾持裝置 |
US10647183B2 (en) * | 2017-06-02 | 2020-05-12 | Magna Closures Inc. | Vehicle closure panel assembly and carrier assembly therefor |
DE112018003417T5 (de) * | 2017-07-03 | 2020-03-26 | AGC Inc. | Gürtellinienabschnitt-schallisolierstruktur für ein automobil und türscheibe für ein automobil |
DE102019215093B3 (de) * | 2019-10-01 | 2021-03-18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sowie Fensterheber |
US11851926B1 (en) | 2021-09-23 | 2023-12-26 | Apple Inc. | Panel with pivoting and translational motion |
Family Cites Families (4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35774A (en) * | 1967-05-04 | 1972-01-18 | Hitachi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semiconductor device obtained thereby |
US3591982A (en) * | 1970-03-24 | 1971-07-13 | Gen Motors Corp | Window regulator |
US4551372A (en) * | 1983-03-31 | 1985-11-05 | Saint-Gobain Vitrage | Laminated safety glass |
DE8315959U1 (de) * | 1983-05-31 | 1983-11-17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 Vorrichtung zum anheben und absenken einer fensterscheib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fensters |
US4771575A (en) * | 1987-08-21 | 1988-09-20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Vehicle flush glass door assembly having a bi-pivot living hinge guide means |
GB2223797B (en) * | 1988-09-01 | 1992-08-19 | Kuester & Co Gmbh | Window pane displacing device |
JPH0645030Y2 (ja) * | 1989-03-29 | 1994-11-16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ウインドレギユレータ装置 |
US5104819A (en) * | 1989-08-07 | 1992-04-14 | Intel Corporation | Fabrication of interpoly dielctric for EPROM-related technologies |
JPH03209042A (ja) * | 1990-01-08 | 1991-09-12 | Koito Mfg Co Ltd | 昇降装置 |
US5087584A (en) * | 1990-04-30 | 1992-02-11 | Intel Corporation | Process for fabricating a contactless floating gate memory array utilizing wordline trench vias |
US5054238A (en) * | 1990-05-21 | 1991-10-08 | Ford Motor Company | Window panel position regulating assembly |
JP3118903B2 (ja) * | 1990-09-28 | 2000-12-18 |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データコネクタ |
US5235187A (en) * | 1991-05-14 | 1993-08-10 | Cornell Research Foundation | Methods of fabricating integrated, aligned tunneling tip pairs |
US5371659A (en) * | 1993-02-01 | 1994-12-06 | Donnelly Corporation | Remote-actuated exterior vehicle security light |
JP2765418B2 (ja) * | 1992-12-18 | 1998-06-1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の昇降機構 |
JP3252518B2 (ja) * | 1993-03-19 | 2002-02-04 | ソニー株式会社 |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
US5672539A (en) * | 1994-01-14 | 1997-09-30 | Micron Technology, Inc. | Method for forming an improved field isolation structure using ozone enhanced oxidation and tapering |
US5469663A (en) * | 1994-11-04 | 1995-11-28 | Chrysler Corporation | Snap-in attachment of window pane lift plate to window regulator |
FR2733292B1 (fr) * | 1995-04-20 | 1997-07-11 | Rockwell Body & Chassis Syst | Dispositif tendeur de cable |
EP0751560B1 (en) * | 1995-06-30 | 2002-11-27 | STMicroelectronics S.r.l. | Process for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non-volatile memory cells and side transistors of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and corresponding IC |
DE19528467C2 (de) * | 1995-08-03 | 2003-06-12 | Brose Fahrzeugteile | Fahrzeugtür |
US5771534A (en) * | 1995-08-11 | 1998-06-30 | Consolidated Industrial Corporation | Slider block assembly for a vehicle window |
US5617675A (en) * | 1995-10-31 | 1997-04-08 | Excel Industries, Inc. | Collapsible cable window regulator |
JP3364375B2 (ja) * | 1995-11-30 | 2003-01-08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スライダベース |
KR970035269A (ko) * | 1995-12-29 | 1997-07-22 | 한승준 | 자동차 도어의 글래스 조절기 |
JP3512933B2 (ja) * | 1996-01-25 | 2004-03-31 | 株式会社東芝 | 電界放出型冷陰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WO1997037099A2 (en) * | 1996-03-29 | 1997-10-09 | Excel Industries, Inc. | Window regulator with improved glider assembly |
US5791088A (en) * | 1996-10-25 | 1998-08-11 |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 Weatherstrip apparatus for vehicle door window |
KR0182106B1 (ko) * | 1996-11-08 | 1999-05-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승용 및 소형 상용차의 테일게이트의 개폐내구 시험기 |
JP3750235B2 (ja) * | 1996-11-29 | 2006-03-0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
US6073395A (en) * | 1996-12-09 | 2000-06-13 | Fenelon; Paul J. | Window lift mechanism |
DE19654851C1 (de) * | 1996-12-30 | 1998-06-10 | Brose Fahrzeugteile | Seilfensterheber mit einer Führungsschiene |
US5885903A (en) * | 1997-01-22 | 1999-03-23 | Micron Technology, Inc. | Process for selectively etching silicon nitride in the presence of silicon oxide |
FR2758850B1 (fr) * | 1997-01-24 | 1999-03-19 | Mecaplast Sam | Cassette leve-vitre de porte de vehicule |
JP3332803B2 (ja) * | 1997-05-19 | 2002-10-0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ドアガラスの昇降装置 |
DE19824131C1 (de) * | 1998-05-29 | 1999-07-22 | Kuester & Co Gmbh | Spannvorrichtung für den Seilzug eines Fensterhebers |
JP3833851B2 (ja) | 1999-06-16 | 2006-10-18 | 株式会社アンセイ | ドアガラス昇降装置 |
KR100363987B1 (ko) * | 1999-06-16 | 2002-12-11 |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
US6044589A (en) * | 1999-09-14 | 2000-04-04 | Saturn Corporation | Motor vehicle window mounting apparatus |
US6117730A (en) * | 1999-10-25 | 2000-09-12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Integrated method by using high temperature oxide for top oxide and periphery gate oxide |
KR200182106Y1 (ko) | 1999-12-22 | 2000-05-15 | 주식회사광진엔지니어링 |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
US6465306B1 (en) * | 2000-11-28 | 2002-10-15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Simultaneous formation of charge storage and bitline to wordline isolation |
WO2002075090A1 (fr) * | 2001-03-19 | 2002-09-26 | Nippon Cable System Inc. | Structure de soutien pour vitre incurvee et gouverneur d'enroulement |
CA2445436C (en) * | 2001-04-26 | 2009-06-09 |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 Universal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vehicles |
JP4859290B2 (ja) * | 2001-06-21 | 2012-01-25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
US6758013B2 (en) * | 2002-01-25 | 2004-07-06 | Delphi Technologies, Inc. | Integrated roller cable assembly |
US6642573B1 (en) * | 2002-03-13 | 2003-11-04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Use of high-K dielectric material in modified ONO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
-
2002
- 2002-07-03 US US10/188,334 patent/US723427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7-08 KR KR1020020039322A patent/KR200300070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7-09 DE DE10262356.2A patent/DE10262356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7-09 DE DE10230888A patent/DE10230888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7-09 DE DE10262355A patent/DE10262355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12-01 US US10/724,078 patent/US71040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11-12 US US10/986,667 patent/US726380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5-27 KR KR1020080049308A patent/KR1008851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8-13 KR KR1020080079473A patent/KR1008928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30888A1 (de) | 2003-04-10 |
US20040107644A1 (en) | 2004-06-10 |
US7104009B2 (en) | 2006-09-12 |
KR100892896B1 (ko) | 2009-04-15 |
KR20030007052A (ko) | 2003-01-23 |
KR100885150B1 (ko) | 2009-02-23 |
DE10230888B4 (de) | 2011-07-21 |
US20030009948A1 (en) | 2003-01-16 |
KR20080055769A (ko) | 2008-06-19 |
US20050081448A1 (en) | 2005-04-21 |
DE10262355B4 (de) | 2012-10-11 |
US7263804B2 (en) | 2007-09-04 |
DE10262356B4 (de) | 2015-03-19 |
US7234274B2 (en) | 2007-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2896B1 (ko) | 자동차용 도어 | |
US5505022A (en) | Window regulator | |
JP4928498B2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US20090000203A1 (en) | Universal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vehicles | |
US20140007507A1 (en) | Window regulator | |
JP2020165087A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KR102160208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KR100680740B1 (ko) |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 |
CN114423923B (zh) | 驱动装置及窗玻璃升降装置 | |
KR102463049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KR102163077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JPH08226277A (ja) | ウインドウガラスレギュレータ | |
JP2015063839A (ja) |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 |
JP4689115B2 (ja) | 自動車用ドア | |
JP2014088670A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JP2021070929A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JP4142622B2 (ja) | 索条の往復移動装置 | |
JP4249682B2 (ja) | 索条の往復移動装置における索条のたるみ防止装置 | |
WO2024181481A1 (ja) |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US20040221509A1 (en) | Door module | |
KR100422689B1 (ko) |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밸런스 암 레일 장착구조 | |
KR100422688B1 (ko) |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가이드 레일 구조 | |
JP2024092443A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JP2021067095A (ja) | 窓ガラス昇降装置 | |
JP2005113441A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