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328A -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 Google Patents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328A
KR20100009328A KR1020080070171A KR20080070171A KR20100009328A KR 20100009328 A KR20100009328 A KR 20100009328A KR 1020080070171 A KR1020080070171 A KR 1020080070171A KR 20080070171 A KR20080070171 A KR 20080070171A KR 20100009328 A KR20100009328 A KR 2010000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module
window regulator
guide rail
pl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이학준
이한종
정태윤
윤남희
유찬훈
임승휘
Original Assignee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328A/ko
Priority to PCT/KR2009/001671 priority patent/WO2010008128A1/ko
Publication of KR2010000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 및 조인트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원가 및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Description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Window regulator module with integrated rail}
본 발명은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 레일 및 조인트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원가 및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자동차 부품의 기술개발은 경량화, 조립효율성의 향상 및 원가 절감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경우가 동일한 성격과 성능을 지향하는 부품들을 모듈화시켜 개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은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도어 내부의 주변 부품을 모두 스틸플레이트에 장착하여 집적도를 향상시켰다.
그러나, 중량감소를 위해 상기 스틸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재질로 변경되고 있으나, 가이드 레일은 현재에도 스틸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을 제조할 때 플레이트에 스틸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의 부착공정이 추가되며, 또 이러한 스틸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로 인해 경량화 추세에 부합되지 않고, 가격면에서도 불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가능하면서도 캐리어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습동부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인트를 가이드 레일에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원가 및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에 있어서, 윈도우를 지지하는 캐리어가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캐리어를 지지하도록 한쌍의 습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쌍의 습동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선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쌍의 습동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습동부는 상기 플레이트 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 또는 상기 플레이트 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부분과 상기 수직하게 돌출된 부분의 단부에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을 가지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와이어가 걸릴 수 있는 조인트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인트의 측부에는 상기 와이어와 미끄럼접촉하는 슬립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의 중량 및 비용을 낮추고,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은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은 사출성형용 유리장섬유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으로써, 초박판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기존의 스틸플레이트와 비교해도 형상자유도를 얻을 수 잇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100)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예1은 2개의 캐리어(110,11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전방도어에 사용되는 형식이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1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된 플레이트(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102)에는 자동차 도어에 필요한 공지의 각종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02)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 레일(114,116)이 상기 플레이트(102)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114,116)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14,116)의 단면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레일(114,116)은 한쌍의 습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습동부는 실시예1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14,11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쌍의 습동부 중 일방은 상기 가이드 레일(114)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118)와, 상기 수직부(118)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1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상기 돌출된 부분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을 가지는 절곡부(1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습동부 중 타방은 상기 가이드 레일(116)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124)와, 상기 수직부(124)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1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상기 돌출된 부분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을 가지는 절곡부(122)로 이루어진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수직부(118,124)가 최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절곡부(120,122)가 상기 수직부(118,124)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 상기 절곡부(120,12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14,116)의 상부와 하부에는 조인트(136,138,140,142)가 상기 플레이트(102)와 동일한 재질로써, 일체의 형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와이어와 접촉하면서 함께 회전하는 조인트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조인트(136,138,140,142)는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미도시)와 미끄럼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미도시)를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 가이더(126,128,130,132)가 상기 플레이트(10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02)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미도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34)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102), 상기 가이드 레일(110,112), 및 상기 조인트(136,138,140,142)는 파이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조인트(136,138,140,142)의 측부에는 와이어와의 접촉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한 POM 또는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진 슬립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200)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윈도유 레귤레이터 모듈(100)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실시예 2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윈도유 레귤레이터 모듈(100)과 습동부가 다르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200)의 가이드 레일(214,216)은 한쌍의 습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습동부는 실시예2에서 비대칭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쌍의 습동부 중 일방은 상기 가이드 레일(214)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218)와, 상기 수직부(218)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2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상기 돌출된 부분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을 가지는 절곡부(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습동부 중 타방은 상기 가이드 레일(216)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2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습동부의 형상은 일체로 형성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200)의 제작시 금형 설계 등의 면에서 유리하고, 또 캐리어(110,112) 장착시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30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300)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300)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윈0도 우 레귤레이터 모듈(300)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예 3은 1개의 캐리어(31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후방도어에 사용되는 형식이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3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된 플레이트(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302)에는 자동차 도어에 필요한 공지의 각종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302)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12)이 상기 플레이트(302)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12)의 단면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레일(312)은 한쌍의 습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습동부는 실시예3에서 비대칭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쌍의 습동부 중 일방은 상기 가이드 레일(312)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3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30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습동부 중 타방은 상기 가이드 레일(312)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3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상기 돌출된 부분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을 가지는 절곡부(3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상부와 하부에는 조인트(308,316)가 상기 플레이트(302)와 동일한 재질로써, 일체의 형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와이어와 접촉하면서 함께 회전하는 조인트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조인트(308,316)는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314)와 미끄럼접촉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02)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314)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18)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302), 상기 가이드 레일(312), 및 상기 조인트(308,316)는 파이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308,316)의 측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14)와의 접촉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한 POM 또는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진 슬립부재(309)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립부재(309)에는 상기 와이어(314)가 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102,202,302: 플레이트
110,112,310: 캐리어 114,116,214,216,312: 가이드레일
118,124,218,222,306: 수직부 120,122,220,304: 절곡부
126,128,140,132: 와이어 가이더 134,318: 구동부
136,138,140,142,308,316: 조인트 309: 슬립부재
314: 와이어

Claims (7)

  1.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에 있어서,
    윈도우를 지지하는 캐리어가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캐리어를 지지하도록 한쌍의 습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습동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선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습동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동부는 상기 플레이트 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 또는 상기플레이트 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부분과 상기 수직하게 돌출된 부분의 단부에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을 가지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와이어가 걸릴 수 있는 조인트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측부에는 상기 와이어와 미끄럼접촉하는 슬립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KR1020080070171A 2008-07-18 2008-07-18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KR20100009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171A KR20100009328A (ko) 2008-07-18 2008-07-18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PCT/KR2009/001671 WO2010008128A1 (ko) 2008-07-18 2009-04-01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171A KR20100009328A (ko) 2008-07-18 2008-07-18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28A true KR20100009328A (ko) 2010-01-27

Family

ID=4155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171A KR20100009328A (ko) 2008-07-18 2008-07-18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9328A (ko)
WO (1) WO20100081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4691A (zh) * 2016-11-17 2017-05-24 中山市毅马五金有限公司 一种组合冲模
KR20220093986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광진 발포성형가능한 실링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모듈판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5893B2 (ja) * 2000-06-23 2010-09-15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
US7234274B2 (en) * 2001-07-10 2007-06-26 Kabushikikaisha Ansei Vehicle door
KR200430946Y1 (ko) * 2006-08-28 2006-11-14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모듈패널 및 도어인너패널과의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4691A (zh) * 2016-11-17 2017-05-24 中山市毅马五金有限公司 一种组合冲模
KR20220093986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광진 발포성형가능한 실링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모듈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8128A1 (ko)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5888B2 (en) Wiper blade
US8176594B2 (en) Wiper blade
CN103148183A (zh) 用于连续牵引机构的板簧张紧器
US20110041280A1 (en) Method of assembling metal clamp and body springs of wiper blade for vehicle and assembly
KR100931019B1 (ko) 마운팅 클립 어셈블리
US20120180245A1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US5771637A (en) Plastic lower sash for vehicle window glass
CN104329420A (zh) 链条导件
US8209910B2 (en) Motor vehicle door
GB2368613A (en) Window panel supporting structure of a window regulator
KR20100009328A (ko) 레일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US20170096053A1 (en) Door module for installation into a motor vehicle door
CN102256855B (zh) 轨道车用外风挡的结构
JP5463986B2 (ja) 車両用ルーフの排水装置
CN104048009A (zh) 链条导件
KR10151104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N214564506U (zh) 汽车推拉窗
KR101318353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KR100452591B1 (ko) 차량의 도어글라스 가이드클립
CN213329705U (zh) 新中定位结构
KR101163473B1 (ko)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CN217401388U (zh) 一种卡扣
CN211943553U (zh) 车轮扰流板安装结构及具有其的车辆
KR100683221B1 (ko) 헤드램프 장착장치
KR100693620B1 (ko) 윈드실드 글래스 몰딩의 마운팅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