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045B1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045B1
KR101511045B1 KR20130139275A KR20130139275A KR101511045B1 KR 101511045 B1 KR101511045 B1 KR 101511045B1 KR 20130139275 A KR20130139275 A KR 20130139275A KR 20130139275 A KR20130139275 A KR 20130139275A KR 101511045 B1 KR101511045 B1 KR 101511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ail
rubber
elastic member
rail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웅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2013013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045B1/ko
Priority to US14/133,195 priority patent/US20150135467A1/en
Priority to EP14861966.1A priority patent/EP3078553B1/en
Priority to CN201480062235.1A priority patent/CN105848971A/zh
Priority to PCT/KR2014/010749 priority patent/WO201507271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81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in additional element, e.g. spoiler

Abstract

본 발명은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체결되는 러버레일; 및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고, 상기 러버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러버레일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상기 스포일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와 상기 러버레일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와 상기 러버레일을 플라스틱 재질로 함으로써, 이들의 밀착면(또는 접촉면)에서의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로부터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A Wiper Blade Assembly}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착부재와 스포일러로의 움직임이 상호간에 자유로울 수 있는 구조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윈드 쉴드(wind shield)에는 우천시에 빗물을 닦아 내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차량측 와이퍼 구동 모터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와이퍼 암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때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커넥터를 통해 결합되는데,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는 클램프라는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프에 커넥터 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가 클램프에 체결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이 커넥터 부재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종류는 블레이드의 구조에 따라 크게 컨벤셔널 타입(Conventional Type)과 플랫 타입(Flat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커버는 어댑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201547호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한국등록특허의 도 4a 내지 도 4d는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를 커버하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결합커버 및 상기 결합커버의 수용부에 착탈되는 어댑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국등록특허의 도 5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밀착부재는 탄성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클램프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클램프는 도 4b의 결합커버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한국등록특허의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시, 상기 커버부재(본 발명에서의 스포일러)의 움직임이 상기 밀착부재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는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밀착부재가 일정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있어, 와이퍼의 미작동시에는 차량의 윈도우면과 밀착부재의 일부 끝단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와이퍼의 작동시에는 차량의 윈도우면에 밀착부재의 모든 끝단이 접촉하면서, 밀착부재가 차량의 윈도우면을 와이핑을 하게 된다.
즉, 밀착부재의 경우, 와이퍼의 미작동과 작동에 따라 그 곡률이 변화하게 되는데, 커버부재의 움직임이 밀착부재의 움직임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경우에는 이러한 밀착부재의 곡률 변화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로 인하여, 커버부재에 손상이 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커버부재의 움직임의 제한은, 결국 밀착부재의 곡률 변화를 방해하게 되어, 밀착부재에 의한 와이핑 특성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한국등록특허와는 상이한 구조의 밀착부재와 탄성부재 및 클램프의 결합구조를 개시하는 새로운 구조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착부재와 스포일러의 움직임이 상호간에 자유로울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체결되는 러버레일; 및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고, 상기 러버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러버레일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상기 스포일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와 상기 러버레일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버레일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삽입홀에 상기 러버레일의 일정 영역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기 러버레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러버레일은 몸체부 및 상단부에 위치하는 러버레일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를 연결하기 위한 러버레일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상기 러버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러버레일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및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와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버레일 연결부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러버레일 연결부 삽입홀에 상기 러버레일 연결부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는 하측면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는 상측면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러버레일 지지부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 접촉면과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접촉면이 상호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와 상기 러버레일을 플라스틱 재질로 함으로써, 이들의 밀착면(또는 접촉면)에서의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상기 러버레일과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호 간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러버레일와 결합하는 상기 밀착부재의 움직임과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의 상호 간에이동특성이 향상됨을 의미하며, 결국,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와 일체화된 상기 스포일러와 상기 밀착부재의 상호 간의 움직임의 이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중, 스포일러, 탄성부재 및 러버레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중, 스포일러, 탄성부재 및 러버레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I-I선에 따른 단면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a의 I-I선에 따른 단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1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2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3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4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5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6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a의 I-I선에 따른 단면의 결합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의 변형예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는 차량 윈드 쉴드에 맞닿는 고무재질의 밀착부재(900),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00) 및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한 쌍(500a, 500b)의 스포일러(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는 상기 탄성부재(700)와 연결되는 클램프(100) 및 상기 클램프(100)와 체결되는 어댑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200)는 커넥터(300)와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300)를 통해, 차량의 와이퍼 암이 체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밀착부재(900)와 체결되는 러버레일(800)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800)은 상기 탄성부재(700)와 체결된 상태에서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에 의해, 러버레일이 탄성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러버레일(800)의 일정 영역이 상기 탄성부재의 일정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러버레일의 일정 영역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의 일정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커넥터(300)에는 와이퍼 암이 체결되어,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와이핑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포일러(500)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포일러(500)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은 이중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도 1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스포일러(500)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포일러(500)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가 이중압출에 의해 제조되어, 상호 고정되어 있는 구조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와 상기 러버레일(800)이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와 상기 러버레일(800)의 밀착면의 이동특성을 향상시켜,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와 상기 러버레일(800)의 상호 간에 이동되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와 상기 러버레일(800)을 플라스틱 재질로 함으로써, 이들의 밀착면(또는 접촉면)에서의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상기 러버레일과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호 간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러버레일과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호 간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함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기 러버레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러버레일(800)와 결합하는 상기 밀착부재(900)의 움직임과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의 상호 간의 이동특성이 향상됨을 의미하며, 결국,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와 일체화된 상기 스포일러(500)와 상기 밀착부재(900)의 상호 간의 움직임의 이동특성이 향상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커버부재의 움직임이 밀착부재의 움직임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밀착부재의 곡률 변화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의 움직임이 제한되며, 이로 인하여, 커버부재에 손상이 가고, 더 나아가, 커버부재의 움직임의 제한은, 결국 밀착부재의 곡률 변화를 방해하게 되어, 밀착부재에 의한 와이핑 특성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포일러(500)와 상기 밀착부재(900)의 상호 간의 움직임의 이동특성이 향상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400a, 400b는 상기 스포일러(500)와 체결되는 단부 커버부로,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단부 커버부(400a, 400b)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중, 스포일러, 탄성부재 및 러버레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중, 스포일러, 탄성부재 및 러버레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 및 도 1b의 밀착부재(600)의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러버레일(800)의 일정 영역에 상기 밀착부재의 일정영역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러버레일(800)은 밀착부재 삽입부(80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밀착부재 삽입부(801)에 상기 밀착부재의 일정 영역이 삽입됨으로써, 러버레일과 밀착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포일러(500a, 500b)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가 이중압출에 의해 제조되어, 상호 고정되어 있는 구조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러버레일(800)은 상기 탄성부재(700)와 체결된 상태에서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에 의해, 러버레일이 탄성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상술하기로 한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스포일러(500a, 500b)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a, 600b)가 일체화되어 상호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러버레일(800)이 상기 탄성부재(700)와 체결된 상태로, 상기 러버레일의 일정 영역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됨으로써, 러버레일이 탄성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 탄성부재 및 러버레일의 결합 상태와 이들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도 2a의 I-I선에 따른 단면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a의 I-I선에 따른 단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스포일러(500b)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b)가 일체화되어 상호 고정된 상태이며, 이들은 공지된 이중압출방법에 의해 일체화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700)는 제1탄성부재(701a) 및 상기 제1탄성부재(701a)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701b)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부재(701a)와 상기 제2탄성부재(701b)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버레일 삽입홀(702)을 포함한다.
또한, 러버레일(800)은 몸체부(807)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영역에는 밀착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밀착부재 삽입부(801)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 삽입부(801)에 상기 밀착부재의 일정 영역이 삽입됨으로써, 러버레일과 밀착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버레일(80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러버레일 고정부(600b)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러버레일 지지돌출부(803)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807)와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803)을 연결하기 위한 러버레일 연결부(80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803)는 하측면에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접촉면(805)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러버레일과 체결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601)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601)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80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상기 러버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러버레일 지지부(603)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603)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603a) 및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603a)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60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603a)와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603b)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버레일 연결부 삽입홀(602)을 포함한다.
즉,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601)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803)가 삽입되고, 상기 러버레일 연결부 삽입홀(602)에 상기 러버레일 연결부(804)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603)는 상측면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803)의 일면과 접촉하는 러버레일 지지부 접촉면(60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 접촉면(604)과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접촉면(805)이 상호 접촉한 상태이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b)와 상기 러버레일(800)이 플라스틱 재질이기 때문에, 이들의 밀착면(또는 접촉면)에서의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상기 러버레일과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호간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러버레일과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호 간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함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기 러버레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 접촉면(604)이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접촉면(805)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b)와 상기 러버레일(800)이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특별한 재질의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와 상기 러버레일은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P(폴리프로필렌) 재질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PP 재질이고, 상기 러버레일은 PC 재질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포일러(500b)와 러버레일 고정부(600b)가 일체화되어 상호 고정된 상태이며, 또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상기 러버레일과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러버레일 지지부(603) 및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601)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b)와 상기 러버레일(800)을 플라스틱 재질로 함으로써, 이들의 밀착면(또는 접촉면)에서의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로부터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까지의 사항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인 사항에 해당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60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603a)와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603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603a)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603b)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0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05a) 및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05b)를 수직방향 연장체(605)로 명칭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05b)를 연결하는 수직연장부 연결체(606)는 포함한다. 상술한, 수직방향 연장체(605), 수직연장부 연결체(606)는 상기 스포일러(500b)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b)가 일체화되어 상호 고정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들의 유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1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2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3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4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5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6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1변형예는 러버레일 지지부(1603) 만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즉, 제1러버레일 지지부(1603a)와 제2러버레일 지지부(1603b)를 포함하고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2변형예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2603a)와 제2러버레일 지지부(260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2603a)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2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2603b)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260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수직방향 연장체(2605)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3변형예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3603a)와 제2러버레일 지지부(360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3603a)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3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3603b)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360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수직방향 연장체(3605)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3603a)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평연장부(3607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3603b)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평연장부(3607b)를 포함하며, 즉, 제1수평방향 연장체(3607)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4변형예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4603a)와 제2러버레일 지지부(460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4603a)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4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4603b)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460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수직방향 연장체(4605)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4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4605b)에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연결체(4606)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수직 연장부 연결체(4606)는 상기 도 3a에서와 같이, 단일구성일 수 있으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4605a)에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제1연결체(4606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4605b)에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제2연결체(4606b)로 분리된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5변형예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5603a)와 제2러버레일 지지부(560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5603a)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5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5603b)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560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수직방향 연장체(5605)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5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5605b)에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연결체(5606)는 포함하며, 즉,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5605a)에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제1연결체(5606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5605b)에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제2연결체(560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5603a)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평연장부(5607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5603b)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평연장부(5607b)를 포함하며, 즉, 제1수평방향 연장체(5607)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도 4f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버레일 고정부의 제6변형예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6603a)와 제2러버레일 지지부(660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6603a)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6603b)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60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수직방향 연장체(6605)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6603a)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평연장부(6607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6603b)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평연장부(6607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평연장부(6607a) 및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평연장부(6607b)를 제1수평방향 연장체(6607)로 명칭하도록 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605a) 및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 수직연장부(6605b)에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연결체(6606)는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장부 연결체(6606)는 상기 수직 연장부 연결체(6606)의 일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1수직 연장부 연결체 수평연장부(6608a) 및 상기 수직 연장부 연결체(6606)의 타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2수직 연장부 연결체 수평연장부(6608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수직 연장부 연결체 수평연장부(6608a) 및 제2수직 연장부 연결체 수평연장부(6608b)를 제2수평방향 연장체(6608)로 명칭하도록 한다.도 5는 도 2a의 I-I선에 따른 단면의 결합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의 변형예에 해당한다.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의 변형예는 후술할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3a 및 도 3b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500b)는 상술한 탄성부재를 커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러버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러버레일 고정부(600b)를 내부 일정 영역에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스포일러(500b)는 하부 영역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탄성부재 삽입부(51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 삽입부(510)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의 구성에 의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는 탄성부재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수직지지부(511) 및 탄성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수평지지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도 3a 및 도 3b와도 공통적인 사항에 해당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포일러(500b)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b)가 이중압출에 의해 제조되어, 상호 일체화되어 고정된 구조에 해당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의 변형예는 상기 탄성부재 수평지지부(512)와 상기 탄성부재 수직지지부(511)가 이중압출에 의해 제조되어, 상호 일체화되어 고정된 구조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 수직지지부(511)는 Santoprene과 같은 일반적인 스포일러의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 수평지지부(512)는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600b)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PC 또는 PP 재질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삽입부(510)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 수평지지부(512)에 의해, 탄성부재가 스포일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때, 가장 크게 힘이 작용하는 부분이 탄성부재 수평지지부(512)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 수평지지부(512)의 구성을 상기 스포일러의 재질보다 더 큰 경도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탄성부재의 지지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수평방향 연장체, 수직방향 연장체, 수직연장부 연결체 및 제2수평방향 연장체의 유무에 따라 다양하게 러버레일 고정부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러버레일 고정부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00 : 클램프 200 : 어댑터
300 : 커넥터 400 : 단부커버부
500 : 스포일러 600 : 러버레일고정부
700 : 탄성부재 800 : 러버레일
900 : 밀착부재

Claims (7)

  1.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체결되는 러버레일; 및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고, 상기 러버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러버레일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상기 스포일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와 상기 러버레일은 플라스틱 재질이고,
    상기 스포일러와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압출에 의해 제조되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와 상기 러버레일은 PC 또는 PP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버레일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삽입홀에 상기 러버레일의 일정 영역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기 러버레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레일은 몸체부 및 상단부에 위치하는 러버레일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를 연결하기 위한 러버레일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는 상기 러버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러버레일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는 제1러버레일 지지부 및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러버레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버레일 지지부와 상기 제2러버레일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버레일 연결부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삽입부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러버레일 연결부 삽입홀에 상기 러버레일 연결부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러버레일이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는 하측면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는 상측면에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러버레일 지지부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레일 지지부 접촉면과 상기 러버레일 지지돌출부 접촉면이 상호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레일 고정부가 상기 러버레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130139275A 2013-11-15 2013-11-15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51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9275A KR101511045B1 (ko) 2013-11-15 2013-11-15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4/133,195 US20150135467A1 (en) 2013-11-15 2013-12-18 Wiper blade assembly
EP14861966.1A EP3078553B1 (en) 2013-11-15 2014-11-10 Wiper blade assembly
CN201480062235.1A CN105848971A (zh) 2013-11-15 2014-11-10 雨刮器刮片总成
PCT/KR2014/010749 WO2015072712A1 (ko) 2013-11-15 2014-11-1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9275A KR101511045B1 (ko) 2013-11-15 2013-11-15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045B1 true KR101511045B1 (ko) 2015-04-13

Family

ID=5303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9275A KR101511045B1 (ko) 2013-11-15 2013-11-15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35467A1 (ko)
EP (1) EP3078553B1 (ko)
KR (1) KR101511045B1 (ko)
CN (1) CN105848971A (ko)
WO (1) WO2015072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44B1 (ko) * 2013-11-19 2015-04-10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928Y1 (ko) 2005-10-25 2006-02-07 주식회사 캐프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KR100629161B1 (ko) 2005-06-20 2006-09-27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JP2008526613A (ja) * 2005-02-16 2008-07-24 シーエー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車用ワイパーブレード装置
KR20130119553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2594B1 (en) * 2003-09-05 2006-08-23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DE102007012924A1 (de) * 2007-03-19 2008-09-25 Robert Bosch Gmbh Wischgummi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R2923785B1 (fr) * 2007-11-19 2009-12-2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yage pour vitres de vehicule.
US20100139026A1 (en) * 2008-12-04 2010-06-10 Chin Pech Co., Ltd. Wiper Blade Spoiler Assembly
JP2011201446A (ja) * 2010-03-26 2011-10-13 Mitsuba Corp ワイパブレード
DE102011078185A1 (de) * 2011-06-28 2013-01-03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Kraftfahrzeugscheibenwischvorrichtung
KR101148999B1 (ko) * 2012-02-08 2012-05-22 유병갑 차량용 플랫 와이퍼
KR101201547B1 (ko) 2012-03-30 2012-11-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130132088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6613A (ja) * 2005-02-16 2008-07-24 シーエー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車用ワイパーブレード装置
KR100629161B1 (ko) 2005-06-20 2006-09-27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407928Y1 (ko) 2005-10-25 2006-02-07 주식회사 캐프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KR20130119553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8553A1 (en) 2016-10-12
EP3078553B1 (en) 2019-05-15
WO2015072712A1 (ko) 2015-05-21
CN105848971A (zh) 2016-08-10
EP3078553A4 (en) 2017-07-19
US20150135467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0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434353B2 (en) Flat wiper blade
CA2569176C (en) Wiper blade
KR10143322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533658B2 (en) Wiper connector for vehicle
EP2560847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US8196252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592626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20150258965A1 (en)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US8881337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A2843637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4114419A (zh) 雨刮装置
WO201206563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30340195A1 (en) Wiper blade adapt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51104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20150375716A1 (en) Wiper blade
US20130247325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70197592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0259428B2 (en) Wiper blade
JP2019051852A (ja) ワイパブレード
US9032586B2 (en) Wiper blade
KR10178664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1027704B2 (en) Wiper blade assembly
KR200373660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01074135B1 (ko)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