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547B1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547B1
KR101201547B1 KR1020120033293A KR20120033293A KR101201547B1 KR 101201547 B1 KR101201547 B1 KR 101201547B1 KR 1020120033293 A KR1020120033293 A KR 1020120033293A KR 20120033293 A KR20120033293 A KR 20120033293A KR 101201547 B1 KR101201547 B1 KR 10120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over
support
wiper blade
bla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준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2003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547B1/ko
Priority to US13/542,867 priority patent/US2013025502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3Connectors having a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7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the connector being suitable for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7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interior of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단부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받침부 및 상기 탄성부재가 하측을 지지하는 수평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와이퍼의 작동시에 탄성부재의 변형이 용이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A Wiper Blade Assembly}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의 작동시에 탄성부재의 변형이 용이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윈드 쉴드(wind shield)에는 우천시에 빗물을 닦아 내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차량측 와이퍼 구동 모터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와이퍼 암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때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커넥터를 통해 결합되는데,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는 클램프라는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프에 커넥터 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가 클램프에 체결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이 커넥터 부재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종류는 블레이드의 구조에 따라 크게 컨벤셔널 타입(Conventional Type)과 플랫 타입(Flat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컨벤셔널 타입은 활 모양으로 굴곡하여 제공되는 복수 개의 요크를 상하위 구조로 체결하여 차량 윈드 쉴드에 닿는 고무 스트립에 차량 윈드 쉴드를 압박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형태로서 그 예는 기존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서 널리 찾아볼 수 있다.
한편, 플랫 타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크가 제공되지 아니하고 단일 또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가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미관이 수려하여 점차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는 와이퍼의 비 작동시에는 일정 곡률을 포함하여 휘어있다가 와이퍼의 작동시에는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곡률이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서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와이퍼의 작동시에 탄성부재의 변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와이퍼의 작동시에 탄성부재의 변형이 용이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단부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받침부 및 상기 탄성부재가 하측을 지지하는 수평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받침부의 상부면과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면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받침부는 상기 제1단부의 측면부의 일부이며, 상기 수평받침부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받침부는 상기 제1단부의 정면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출입부까지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를 커버하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결합커버; 및 상기 결합커버의 수용부에 착탈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합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회동시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이 상기 출입부를 통해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댑터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커버에 지지되는 지지돌기;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커버에 걸려서 지지되는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수용부의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및 상기 수용부의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수용부의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돌기와 체결되기 위한 제1결합홈; 및 상기 수용부의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돌기와 체결되기 위한 제2결합홈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은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퍼의 작동시에 탄성부재의 변형이 용이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어댑터와 결합커버의 체결에 있어서, LH 차량과 RH 차량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커넥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밀착부재, 탄성부재 및 클램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플랫 타입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종류는 블레이드의 구조에 따라 크게 컨벤셔널 타입(Conventional Type)과 플랫 타입(Flat Type)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컨벤셔널 타입은 활 모양으로 굴곡하여 제공되는 복수 개의 요크를 상하위 구조로 체결하여 차량 윈드 쉴드에 닿는 고무 스트립에 차량 윈드 쉴드를 압박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형태이고, 플랫 타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크가 제공되지 아니하고 단일의 탄성 지지 부재가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종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차량 윈드 쉴드에 맞닿는 고무재질의 밀착부재(110),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길이 방향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와이퍼 커넥터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 커넥터부(300)는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클램프(미도시), 상기 클램프를 커버하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결합커버(320) 및 상기 결합커버의 수용부에 착탈되는 어댑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상기 와이퍼 커넥터부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길이 방향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중심 영역 또는 외곽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 커넥터부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a에서는 커버부재와 함께 밀착부재 및 탄성부재를 함께 도시하였으며, 도 2b 및 도 2c에서는 밀착부재와 탄성부재를 생략하고 커버부재만을 도시하였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커버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120)의 끝단을 커버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양끝단에 한 쌍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커버부재의 어느 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위치하는 커버부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120)의 어느 일측의 끝단, 예를 들면, 우측 끝단을 커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의 영역을 제1단부(210)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120)의 끝단을 커버하는 제1단부(210)를 포함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제1단부(210)는 정면부(211) 및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부(212)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정면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부(21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110)와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20)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커버부재(200)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는 와이퍼의 비 작동시에는 일정 곡률을 포함하여 휘어있다가 와이퍼의 작동시에는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곡률이 변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가 와이퍼의 작동시에는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곡률이 변화함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213)는 상기 탄성부재(120)의 길이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와이퍼의 비작동시에는 일정 크기의 곡률을 바탕으로 탄성부재가 만곡 상태이다가, 와이퍼의 작동시에는 밀착부재와 윈도우의 긴밀한 밀착을 위해, 탄성부재가 평평해지게 되는데, 이 경우, 탄성부재를 끝단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로 인하여, 탄성부재가 평평해지는 것을 방해받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커버부재의 정면부에 출입부를 둠으로써, 상기 출입부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밀착부재와 윈도우의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부는 상기 탄성부재(12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탄성부재(120)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받침부(220a) 및 상기 탄성부재(120)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가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받침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에는 대략 "┗" 자 또는 "┛" 자 형상의 받침부(220)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탄성부재(120)의 측면 및 하측을 각각 지지하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 및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220)는 대략 "┃" 자 형상의 수직받침부(220a)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받침부(220)는 대략 "━"자 형상의 수평받침부(220b)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탄성부재가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면이 상기 수평받침부의 상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받침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 또는 하측으로 이탈하는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탄성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으로써의 기능이 가능하다.
즉, 와이퍼의 작동시에, 상기 출입부를 통해 탄성부재의 끝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수직받침부 및 수평받침부에 지지되면서, 이들이 안내하는 방향을 따라, 출입부를 통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제1단부(21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단부의 내측 일정영역에는 결합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부는 후술하는 결합커버와 체결되는 영역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결합커버는 결합홀 또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결합홀 또는 결합홈은 상기 제2단부(230)의 결합돌기(231)와 체결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는 후술할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커버부재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재는 대략 "┗" 자 또는 "┛" 자 형상의 받침부가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수평받침부 및 수직받침부가 상기 출입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재(250)는 수직받침부(251a) 및 수평받침부(251b)를 포함하는 받침부(251)가 상기 제1단부(210)의 정면부(213)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출입부까지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는 후술할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커버부재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재는 대략 "┗" 자 또는 "┛" 자 형상의 받침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수직받침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부의 일부일 수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부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면부를 통해 탄성부재의 측면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수직받침부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받침부의 구성이 생략되는 경우, 수평받침부(261)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커버부재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커버부재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평받침부가 상기 제1단부의 정면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출입부까지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커버부재의 내측면에는 대략 "┗" 자 또는 "┛" 자 형상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있다는 개념은 상술한 예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에 대략 "┗" 자 또는 "┛" 자 형상의 별도의 받침부가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직받침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부의 일부이면서, 상기 수평받침부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 자 또는 "┛" 자 형상의 받침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수평받침부 및 수직받침부가 상기 제1단부의 정면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대략 "┗" 자 또는 "┛" 자 형상의 받침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부재는 후술할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커버부재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재는 정면부에 형성되는 출입부가 출입홀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정면부의 하측부가 개방된 개구부의 형태도 가능하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정면부의 하측부에 커버부재의 일정 면이 존재하여, 출입부의 형태가 출입홀의 형태이나, 제4실시예에서는 정면부(211)의 하측부에는 커버부재의 면이 존재하지 않는 개구부(213') 형태의 출입부가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커버부재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커버부재와 마찬가지로, 수평받침부 및 수직받침부가 상기 제1단부의 정면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출입부까지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3실시예의 커버부재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부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면부를 통해 탄성부재의 측면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수직받침부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커넥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a의 와이퍼 커넥터부에서 어댑터부를 제외하고 도시하였으며, 도 4c 및 도 4d에서는 어댑터부만을 도시하였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커넥터부(300)는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결합되는 클램프(310), 상기 클램프를 커버하며, 수용부(321)를 포함하는 결합커버(320) 및 상기 결합커버의 수용부에 착탈되는 어댑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커버(320)는 양측 끝단에 결합홀 또는 결합홈(32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합홀 또는 결합홈은 상기 제2단부의 결합돌기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커버(320)와 상기 커버부재의 제2단부가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합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는 와이퍼의 비 작동시에는 일정 곡률을 포함하여 휘어있다가 와이퍼의 작동시에는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곡률이 변화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가 와이퍼의 작동시에는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곡률이 변화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회동함으로써, 탄성부재의 형상 변형을 방해하지 않게 되며,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출입부를 통해 길이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의 작동시에, 탄성부재가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곡률이 변화하는 것, 결합커버가 커버부재로부터 회동하는 것, 탄성부재의 끝단이 출입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출입하는 것이 연속적 또는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와이퍼의 작동시에 탄성부재의 변형이 용이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커버(320)는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클램프(310)를 커버하면서, 상기 클램프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어댑터가 착탈될 수 있는 수용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c 및 도 4d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를 설명하면, 상기 어댑터(330)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몸체부(331),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커버에 지지되는 지지돌기(332)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커버에 걸려서 지지되는 탄성돌기(333)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커버를 설명하면,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수용부의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323a) 및 상기 수용부의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32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수용부의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돌기와 체결되기 위한 제1결합홈(324a) 및 상기 수용부의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돌기와 체결되기 위한 제2결합홈(324b)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은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커버의 수용부에는 상기 어댑터가 수용되어 착탈될 수 있는데, 상기 어댑터가 착탈됨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지지돌기는 상기 결합커버의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어댑터의 탄성돌기는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제2결합홈에 체결되어 어댑터가 수용부에 부착될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에 체결되어 어댑터가 수용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일정형상의 지지돌기가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은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일정형상의 탄성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에 체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와이퍼 암은 차량측 와이퍼 구동 모터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퍼 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암의 구동에 있어서, LH 차량(운전자가 왼쪽에 위치하는 차량)인지 또는 RH 차량(운전자가 오른쪽에 위치하는 차량)인지에 따라, 와이퍼 암의 구동축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LH 차량인지 또는 RH 차량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어댑터가 수용부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LH 차량과 RH 차량의 어댑터의 부착위치는 서로 반대방향에 해당한다.
이로 인하여, LH 차량과 RH 차량 각각에 적용될 수 있는 어댑터 및 결합커버를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은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LH 차량과 RH 차량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H 차량에서는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제2결합홈에 체결되어 어댑터가 수용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RH 차량에 적용할 때는 이와는 반대로 하여,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에 체결되어 어댑터가 수용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어댑터와 결합커버의 체결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은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LH 차량과 RH 차량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밀착부재, 탄성부재 및 클램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밀착부재(110)는 탄성부재(120)과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120)는 클램프(310)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클램프(310)는 도 4b의 결합커버와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재, 탄성부재 및 클램프의 체결상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10 : 밀착부재
120 : 탄성부재 200 : 커버부재
210 : 제1단부 211 : 정면부
213 : 출입부 230 : 제2단부
231 : 결합돌기 300 : 와이퍼 커넥터부
320 : 결합커버 330 : 어댑터
331 : 몸체부 332 : 지지돌기
333 : 탄성돌기

Claims (9)

  1.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단부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받침부 및 상기 탄성부재가 하측을 지지하는 수평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회동시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이 상기 출입부를 통해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받침부의 상부면과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면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3.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단부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받침부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수평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받침부는 상기 제1단부의 측면부의 일부이며, 상기 수평받침부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4.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을 커버하는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단부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받침부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수평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받침부는 상기 제1단부의 정면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출입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출입부까지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를 커버하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결합커버; 및
    상기 결합커버의 수용부에 착탈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합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커버에 지지되는 지지돌기;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커버에 걸려서 지지되는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수용부의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및
    상기 수용부의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수용부의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돌기와 체결되기 위한 제1결합홈; 및
    상기 수용부의 제2측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돌기와 체결되기 위한 제2결합홈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은 형상 및 위치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120033293A 2012-03-30 2012-03-3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20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293A KR101201547B1 (ko) 2012-03-30 2012-03-3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3/542,867 US20130255025A1 (en) 2012-03-30 2012-07-06 Wiper bla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293A KR101201547B1 (ko) 2012-03-30 2012-03-3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547B1 true KR101201547B1 (ko) 2012-11-15

Family

ID=4756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293A KR101201547B1 (ko) 2012-03-30 2012-03-3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55025A1 (ko)
KR (1) KR10120154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38B1 (ko) *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8935825B2 (en) 2012-06-25 2015-01-20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CN104442720A (zh) * 2013-09-16 2015-03-25 Kcw株式会社 扁平雨刮器组件及其耦合方法
KR101511319B1 (ko) 2014-02-21 2015-04-14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WO2015072712A1 (ko) 2013-11-15 2015-05-21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108594B2 (en) 2009-08-26 2015-08-18 Cap Corporation Multi-adapter for a vehicle wiper
WO2016036068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160062435A (ko) 2014-11-25 2016-06-02 권한중 높이조절 의자
KR20160062363A (ko) 2014-11-25 2016-06-02 차민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160062409A (ko) 2014-11-25 2016-06-02 이효준 높낮이 의자
KR20160062987A (ko) 2014-11-26 2016-06-03 김민희 변형 의자
KR20160063672A (ko) 2014-11-27 2016-06-07 조성술 높이 조절 의자
KR20160064512A (ko) 2014-11-28 2016-06-08 박예솔 높이 조정 의자
KR20180059218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6648A1 (en) * 2015-08-07 2017-02-09 Dongguan Hongyi Wiper Co., Ltd. Window wiper mechanism
WO2017075066A1 (en) * 2015-10-26 2017-05-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3063700B1 (fr) * 2017-03-07 2022-01-21 Valeo Systemes Dessuyage Carenage pour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451A (ja) * 2002-04-17 2003-11-06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連結部材
JP2006312457A (ja) * 2004-01-30 2006-11-16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KR100889958B1 (ko) 2007-05-30 2009-03-20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605B2 (ja) * 2003-10-23 2008-07-02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US7603742B2 (en) * 2004-01-30 2009-10-20 Asmo Co., Ltd. Wiper blade and wiper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451A (ja) * 2002-04-17 2003-11-06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連結部材
JP2006312457A (ja) * 2004-01-30 2006-11-16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KR100889958B1 (ko) 2007-05-30 2009-03-20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8594B2 (en) 2009-08-26 2015-08-18 Cap Corporation Multi-adapter for a vehicle wiper
US8935825B2 (en) 2012-06-25 2015-01-20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WO2015002405A1 (ko) * 2013-07-01 2015-01-08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701283B2 (en) 2013-07-01 2017-07-11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KR101474838B1 (ko) *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N105339218A (zh) * 2013-07-01 2016-02-17 广东可普汽车配件有限公司 雨刮器刮片总成
JP2016523208A (ja) * 2013-07-01 2016-08-08 キャップ コーポレイション ワイパーブレード組立体
KR101591651B1 (ko) * 2013-09-16 2016-02-11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그 결합방법
US9988019B2 (en) 2013-09-16 2018-06-05 Kbws Corporation Flat wiper blade assembly
KR20150032355A (ko) * 2013-09-16 2015-03-26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그 결합방법
CN104442720A (zh) * 2013-09-16 2015-03-25 Kcw株式会社 扁平雨刮器组件及其耦合方法
WO2015072712A1 (ko) 2013-11-15 2015-05-21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N104859595A (zh) * 2014-02-21 2015-08-26 Adm21有限公司 刮水片
KR101511319B1 (ko) 2014-02-21 2015-04-14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US9862356B2 (en) 2014-02-21 2018-01-09 The Korea Development Bank Wiper blade
KR20160029492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656717B1 (ko) 2014-09-05 2016-09-13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6036068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369970B2 (en) 2014-09-05 2019-08-06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KR20160062409A (ko) 2014-11-25 2016-06-02 이효준 높낮이 의자
KR20160062363A (ko) 2014-11-25 2016-06-02 차민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160062435A (ko) 2014-11-25 2016-06-02 권한중 높이조절 의자
KR20160062987A (ko) 2014-11-26 2016-06-03 김민희 변형 의자
KR20160063672A (ko) 2014-11-27 2016-06-07 조성술 높이 조절 의자
KR20160064512A (ko) 2014-11-28 2016-06-08 박예솔 높이 조정 의자
KR20180059218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112583B2 (en) 2016-11-25 2018-10-30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55025A1 (en)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54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5110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0868798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US9751499B2 (en) Wiper blade
US2013009779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0471936B2 (en) Adapter, nozzle structure, assembly consisting of the adapter and the nozzle structure and the assembling method thereof
US9889821B2 (en) Wiper blad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0611343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KR20140000779A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A2843644A1 (en) Wiper blade connector
US20150166018A1 (en) Wiper device for cleaning vehicle windows
JP2013502347A (ja) 自動車ワイパー用マルチアダプター
RU257315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для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US11077831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RU2603430C2 (ru)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к ее рычагу, прежде всего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CN104691510A (zh) 用于将流体循环管紧固至车辆风挡擦拭器的驱动臂的夹具
KR101126713B1 (ko)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KR10059901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8834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N210554679U (zh) 一种雨刷接头及适配该雨刷接头的雨刷
KR101369629B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10151104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20150353056A1 (en) Wiper blade and adaptor thereof
KR101693960B1 (ko) 차량의 와이퍼용 채터링 방지장치
US20170282863A1 (en) Wiper blad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