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319B1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319B1
KR101511319B1 KR20140020678A KR20140020678A KR101511319B1 KR 101511319 B1 KR101511319 B1 KR 101511319B1 KR 20140020678 A KR20140020678 A KR 20140020678A KR 20140020678 A KR20140020678 A KR 20140020678A KR 101511319 B1 KR101511319 B1 KR 101511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or
assembl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김경수
남경종
양청모
이준모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2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319B1/ko
Priority to CN201410355979.4A priority patent/CN104859595B/zh
Priority to US14/615,946 priority patent/US986235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2001/403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the connection being covered by a removable cover mounted on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ng part of, or an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wiper blade
    • B60S2001/40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ng part of, or an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wiper blade the connecting part or the intermediat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holes for different diameters of pivoting pin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일러가 레버 조립체에 일체로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러버와,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레버 조립체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와, 커넥터 시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가진다. 커넥터 시트는, 커넥터 조립체가 안착하는 안착면과,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안착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스냅돌기를 가진다.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시트의 안착면 상에 안착되는 접촉면과,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가진다. 커넥터 조립체는 삽입돌기가 삽입슬롯에 삽입되고 커넥터 시트 쪽으로 회전되어 스냅돌기가 스냅슬롯에 스냅결합함으로써 커넥터 시트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본 발명은 스포일러가 일체로 된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와이퍼 러버와, 와이퍼 러버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를 가진다.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 레버와, 메인 레버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요크 레버로 구성된다. 요크 레버는 그 중앙에서 메인 레버 또는 다른 요크 레버에 연결된다.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는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를 관통하는 핀 또는 리벳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주행시에 그 길이방향에 걸쳐 윈드실드에 부딪히는 바람 또는 기류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바람 또는 기류가 발생시키는 힘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드실드의 표면으로부터 부상시키도록 작용한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수록, 이러한 부상력이 커지게 되고, 이는 와이퍼 러버와 윈드실드의 표면 간의 접촉을 약화시켜 와이핑 성능을 저하시킨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상으로 인한 와이핑 성능의 저하에 대처하기 위해, 바람 또는 기류와 상호작용하여 부상에 반대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는 스포일러를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하는 것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0699호는 스포일러가 메인 레버에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안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메인 레버, 요크 레버를 덮도록 형성되고 스포일러 형상을 갖춘 커버를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하는 것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1763호는 이러한 커버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안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06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1763호
와이퍼 러버를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는 그 전고가 작을수록 공기의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는 레버들의 분기 형태의 연결 구조 때문에 전고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스포일러가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스포일러가 별개로 준비되어야 한다. 이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조원가의 상승, 스포일러의 탈락 등을 야기한다. 또한, 메인 레버 또는 요크 레버를 덮는 커버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는, 커버의 결합을 위한 부품을 필요로 한다. 이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품 수를 증대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에서는,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가 리벳이나 핀과 같은 연결요소를 사용해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요소를 사용하는 연결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품 수를 증대시키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용이한 조립을 실현하지 못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에 마련된 연결 요소와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마련된 결합요소와의 분리 가능한 연결에 의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다양한 형상의 와이퍼 아암의 결합요소가 당해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결합요소의 각각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형상의 연결요소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메이커로서는, 와이퍼 아암의 결합요소 별로 적합한 다양한 연결요소를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연결요소는 그 기초를 이루는 기초부품과 이에 부착되고 상기 결합요소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용 부품을 가지는데, 상기 기초부품 또한 상기 연결용 부품의 다양한 설계에 대응하도록 다양하게 설계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연결요소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종류 및 수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과대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에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어 있고 전고가 작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 조립체가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가지면서 커넥터 조립체의 기초부품이 레버 조립체에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조립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에 스포일러가 일체로 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러버와,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레버 조립체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와, 커넥터 시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조립체는 인접한 레버들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레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스포일러를 형성하는 사면을 갖는다.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에 마련된다.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가 안착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스냅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의 말단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시트 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냅돌기가 상기 스냅슬롯에 스냅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시트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안착면을 분리시키는 단차면을 더 구비한다. 또,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접촉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단차면 상에 포개지는 플랜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스냅슬롯은 상기 플랜지의 하단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스냅슬롯의 각각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의 상단보다 낮은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서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경사부 중 하나에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리세스 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의 길이방향에서 내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과 상기 삽입돌기의 반대쪽의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또한, 상기 단차면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높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러버와, 제1 레버와, 한 쌍의 제2 레버와, 한 쌍의 제3 레버와, 제1 레버에 마련되는 커넥터 시트와, 커넥터 시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이격된 두 개의 제1 사면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의 각각은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또는 외단에 상기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핑거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사면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제3 레버의 각각은, 상기 제2 레버의 핑거의 반대쪽의 상기 제2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또는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핑거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제1 레버에 상기 제1 사면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브라켓이 안착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안착면을 분리시키는 단차면과,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면에 인접하게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스냅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의 말단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은,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단차면 상에 포개지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스냅슬롯의 각각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제1 레버의 하단 사이에 상기 단차면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단차면은 상기 스냅돌기의 아래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의 상벽보다 낮은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서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경사면 중 하나에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리세스 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은 상기 평탄면과 상기 경사면의 측방 가장자리에 접하는 측단차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 상단차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상단차면은 상기 삽입슬롯에 인접하며 상기 제2 상단차면보다 높다. 또한, 상기 제1 상단차면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과 상기 제2 상단차면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과 상기 삽입돌기의 반대쪽의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또한,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평탄면에서 돌출한 위치설정용 릿지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접촉면에 상기 위치설정용 릿지가 끼워지는 위치설정용 슬롯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레버와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의 핑거는 상기 제2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사면을 갖고 상기 제2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레버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는 핑거에 대향하게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상기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는 핑거에 압박하는 압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고,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과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고,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을 갖는다. 상기 제3 레버의 단차면은 상기 제2 레버의 단차면보다 작은 각도로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부분 스포일러를 갖춘 레버가 일직선은 연이어져 레버 조립체를 구성하므로,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어 있고 전고가 작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실현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에서는, 인접한 레버들은 끼워맞춤 돌기와 끼워맞춤 구멍 간의 끼워맞춤에 의해 힌지연결되므로, 용이한 조립이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를 실현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조립체의 기초 부품은 레버 조립체에 하나의 위치에서만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커넥터 조립체를 레버 조립체에 쉽고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퍼 러버와 스프링 레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와이퍼 러버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3 레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3 레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레버 조립체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커넥터 조립체의 종단면도 및 제1 레버의 부분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좌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28은 레버 조립체의 커넥터 시트와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29는 브라켓이 커넥터 시트에 조립되지 않는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배면도이다.
도 31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회전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34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회전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회전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36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회전 커버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37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후크 와이퍼 아암의 후크부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38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의 핀부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39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의 또 하나의 핀부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레버 조립체가 와이퍼 러버에 대해 놓인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달리 놓일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길이방향의 내단”은 일 요소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에 가까운 끝을 의미하고, “길이방향의 외단”은 일 요소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으로부터 먼 끝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하는 와이퍼 러버(1100)를 포함하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와,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 조립체(2000)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시키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포함한다.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복수개의 레버로 구성된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는,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면과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을 직접 힌지연결하는 힌지연결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가 연결되면,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은 상기 인접한 레버 중 하나의 내면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부에 은닉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레버 중 하나의 내면은 스포일러부의 내면이고, 상기 인접한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은 레버에 형성된 아암부의 외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1, 2412)와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의 끼워맞춤으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 돌기(2411, 2412)는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은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는 그에 힌지연결된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가 요동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에 폭방향에서 접촉가능한 요소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바람 또는 기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는 반력을 생성하는 스포일러(2600L, 2600R)를 구비하며, 상기 스포일러는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레버 조립체(2000)에 일체로 되어 있다. 스포일러(2600L, 2600R)는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부딪히는 바람 또는 기류에 반작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부상을 방지하는 반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력은 스포일러(2600L, 2600R)를 형성하는 레버 조립체(2000)의 횡단면 윤곽 형상과 바람 또는 기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의 복수개의 레버 중 하나 이상의 레버에는 상기 스포일러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어 있다. 각 레버의 부분 스포일러가 직선으로 연이어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상기 부분 스포일러는 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레버의 폭방향에서는 레버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적어도 하나의 사면(斜面) 또는 한 쌍의 사면(斜面)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사면은 레버의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한다. 레버가 하나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사면의 반대쪽의 레버의 측면은 수직면으로 될 수 있다. 레버가 한 쌍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사면이 레버의 양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로 될 수 있다. 상기 레버를 측면에서 또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사면은 평면,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레버가 하나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직선, 오목 곡선 또는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레버가 한 쌍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레버 조립체(2000)의 폭방향에 있어서 대칭인 한 쌍의 직선, 한 쌍의 오목 곡선 또는 한 쌍의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버를 측면에서 또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사면은 레버의 폭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면은 레버 조립체의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일정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 중 둘 이상은 상기 사면이 형성된 스포일러부와 상기 스포일러부로부터 대략 직선형으로 반대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가진다. 상기 아암부의 말단에 상기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요소인 핑거가 마련된다. 이웃하는 레버들이 상호 연결되면 이들 레버 중 하나의 아암부는 다른 하나의 레버의 스포일러부의 내에 은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양단에 또는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내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또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 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또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와, 제3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제4 레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레버 조립체의 예에 있어서, 제1 레버(2100)는 그 하나의 측면에 부분 스포일러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이격된 두개의 사면을 갖는다. 또는, 제1 레버(2100)는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그 양 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고, 길이방향의 타단부에서 그 양 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는다. 전술한 레버 조립체의 예에 있어서, 제2 내지 제4 레버는 그 일 측면에 하나의 사면 또는 그 양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는다.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200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기초를 구성하는 부품을 그 위에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시트(2500)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기초를 구성하는 부품은 와이퍼 아암의 결합요소를 고정하는 부품들이 부착되는 브라켓(3100)이다. 커넥터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에 마련된다.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하는 안착면(2510)을 구비하고, 브라켓(3100)은 상기 안착면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접촉면(3131, 3132, 3133)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안착면(2510)은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하방으로 오목한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커넥트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에 낮게 위치할 수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작은 전고를 가질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트 시트의 안착면(2510)은 제1 레버(2100)를 평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하는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커넥터 시트(2500)를 제1 레버(2100)와 분리시키는 단차면(2520)을 구비하며, 브라켓은 상기 단차면에 포개지도록 단차면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접촉면(3131, 3132, 313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3140)를 구비한다. 상기 단차면에 상기 플랜지가 맞물려서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안착하므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정확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3100)은 그 일단을 대응하는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에 삽입하는 식으로 커넥터 시트(2500)에 위치설정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를 위한 요소로서, 커넥터 시트(2500)는 그 일단에 삽입슬롯(2531)을 구비하며, 브라켓(3100)은 삽입슬룻(25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51)를 구비한다. 또, 브라켓(3100)은 그 일단이 커넥터 시트(2500)에 삽입된 후 커넥터 시트(2500) 쪽으로 회전되어, 브라켓(3100)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스냅결합에 의해 커넥터 시트(250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를 위한 요소로서, 커넥터 시트(2500)는 그 타단 부근에 폭방향으로 돌출한 스냅돌기(2532)를 가지며, 브라켓(3100)은 스냅돌기(2532)가 스냅결합하는 스냅슬롯(3152)을 구비한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의 길이방향에서 내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과 상기 삽입돌기의 반대쪽의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따라서, 브라켓(3100)은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하는 식으로 상기 커넥터 시트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삽입돌기의 반대쪽인 브라켓(3100)의 타단을 상기 삽입슬롯의 반대쪽인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에 맞추는 식으로는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안착하지 못하므로, 브라켓의 커넥터 시트에 대한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켓(3100)은 상기 스냅슬롯에 대응하여 플랜지(314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3144)를 구비한다. 상기 이어부는 브라켓(3100)의 안착 위치를 한정하며, 브라켓(3100)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6를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와이퍼 러버를 구비하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와, 레버 조립체(20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퍼 아암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3000)를 구비한다.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는 차량의 윈드실드의 표면에 놓이는 와이퍼 스트립 또는 와이퍼 러버(1100)와, 와이퍼 러버(1100)에 끼워져 와이퍼 러버(1100)에 강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레일(1200)을 구비한다.
와이퍼 러버(1100)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와이퍼 러버(1100)는 기다란 바디부(1110)와, 바디부(1110)의 아래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와이퍼립(1120)을 가진다. 또한, 와이퍼 러버(1100)는 바디부(1110)의 각 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줄의 홈(1130, 1140)을 가진다. 제1 홈(1130)은 바디부(1110)의 상면 바로 아래에서 바디부(1110)를 따라 연장한다. 제2 홈(1140)은 제1 홈(1130)의 아래에서 바디부(1110)를 따라 연장한다. 제1 홈(1130)에는 스프링 레일(1200)이 각각 삽입된다. 제2 홈(1140)에는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에 마련된 핑거가 삽입된다. 와이퍼 러버(1100)의 일단 부근에는 바디부(1110)의 상면과 제1 홈(1130)의 사이에 스토퍼(1150)가 돌출해 있고, 스토퍼(1150)에 의해 바디부(1110)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리세스(1160)가 형성된다. 또, 리세스(1160)의 하측에는,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에 마련된 핑거 중 최외측 핑거의 선단이 끼워지는 삽입홈(1170)이 제2 홈(1140)의 일단 부근에서 제2 홈(1140) 내에 형성된다. 레버 조립체(2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조립될 때, 상기 최외측 핑거의 선단이 삽입홈(1170)에 삽입되고 다른 핑거들이 제2 홈(1140)에 삽입되어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레버 조립체(2000)에 유지된다.
스프링 레일(1200)(당해 분야에 있어서, 스프링 레일은 버티브라(vertebra)로서 참조될 수 있다)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1 홈(1130)에 각각 끼워진다. 스프링 레일(1200)은 와이퍼 아암에 의해 레버 조립체(2000)를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시킨다. 스프링 레일(120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얇고 기다란 바의 형태를 가진다. 스프링 레일(1200)의 일단에는 노치(1210)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홈(1130) 내에는 노치(1210)에 대응하는 돌기(1180)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 레일(1200)은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될 수도 있다.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즉, 스프링 레일(1200)이 끼워진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하고 와이퍼 아암에 대하여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지지한다. 와이퍼 아암은 그 기단에서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와이퍼 모터의 작동에 의해 왕복회동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레버 조립체(20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통해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와이퍼 아암의 왕복회동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윈드실드의 표면 상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윈드실드의 표면을 닦아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는 길이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2 레버(2200L, 2200R)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레버(2300L, 2300R)를 포함한다. 제1 레버(2100)에는 와이퍼 아암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30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레버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레버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가공하여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기다랗고 속이 빈 형태를 가진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는 이들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거의 틈이 없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 조립체(2000)를 평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의 폭은 제1 레버(2100)의 중앙에서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또한, 레버 조립체(2000)의 폭은 레버 조립체(20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 구간에서는 일정하고,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레버 조립체(2000)를 평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는 그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그 전후 반부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레버 조립체(2000)를 정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는 그 길이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하여 제1 레버(2100)의 상벽을 제외하고는 그 좌우 반부가 대칭이다..
이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2000)는 한 쌍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도 13,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레버 조립체(2000)의 폭방향에 있어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 곡선을 포함한다. 각 스포일러(2600L, 2600R)는 제1 레버(2100),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에 위치하는 부분 스포일러로 이루어진다. 각 레버의 부분 스포일러가 직선으로 연이어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레버(2100)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로 참조되고, 제2 레버(2200L, 2200R)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로 참조되며, 제3 레버(2300L, 2300R)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로 참조된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레버(2100)는 상벽(2110L, 2110R)과 한 쌍의 측벽(2120F, 2120R)을 가진다. 또한, 제1 레버(2100)에는 그 중간에 커넥터 조립체(30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커넥터 시트(2500)가 배치된다.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하측 가장자리는 직선이거나 또는 약간의 곡률로 위로 볼록하다. 또,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측벽(2120F, 2120R)의 높이는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상벽(2110L)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이 상벽(2110R)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보다 높다. 또, 제1 레버(2100)를 상면 또는 저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는 중앙의 폭이 길이방향의 외단에서의 폭보다 좁다. 다른 예의 제1 레버(2100)에서는, 상벽(2110L)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과 상벽(2110R)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의 높이가 동일하다. 또, 제1 레버(2100)의 중앙의 폭이 길이방향의 외단에서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넓다.
제1 레버(2100)는 좌측 및 우측의 측벽에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에서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까지 연장하고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에서는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레버(2100)를 측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측벽은 역 V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제1 레버(2100)에는 제1 사면(2121F, 2121R)에 의해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110L, 2110R)의 폭은 커넥터 시트(2500)로부터 급격히 좁아진 후 일정하다. 제1 사면(2121F, 2121R)은 이러한 상벽(2110L, 2110R)의 폭에 맞추어 오목하다. 따라서, 제1 사면(2121F, 2121R)이 한정하는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제1 레버(2100)는 제2 레버(2200L, 220R)의 일부를 수용하여 은닉시키는 아암수용부(2123)를 가진다. 아암수용부(2123)는 제1 사면(2121F, 2121R) 사이의 공간에 의해 한정된다.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는,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측 가장자리에는 예각으로 하측 가장자리에는 둔각으로 기울어진, 즉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2122)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과 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의 사이에서 제1 레버(2100)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예컨대 후술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기초를 이루는 브라켓(3100)을 그 위에 안착시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되는 안착면(2510)을 구비한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2510)을 제1 레버(2100)와 분리시키는 단차면(2520)을 구비한다. 단차면(2520)은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착면(2510)은 단차면(2520)에 의해 제1 레버의 상벽(2110L, 2110R)보다 낮게 또한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은 안착면(2510) 상에 안착되고 단차면(2520)에 의해 위치설정 및 유지되어 제1 레버(2100)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안착면(2510)은 상벽(2110L, 2110R)으로부터 측벽(2120F, 2120R)으로 소정 깊이로 들어간 형상을 가진다.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안착면(2510)은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단차면(2520)은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안착면(2510)은 상벽(2110L, 2110R) 및 측벽(2120F, 2120R)에 대하여 단차면(2520)을 경계로 하여 분리된다.
안착면(25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2511)과 평탄면(2511)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에서 연장하는 제1 경사면(2512) 및 제2 경사면(2513)으로 이루어진다. 평탄면(2511)은 제1 레버(2100)의 상단(상벽(2100L, 2100R))보다 낮게 위치한다.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은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외단 쪽으로 평탄면(2511)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단차면(2520)은 평탄면(2511)과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측방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측방 가장자리에 접하는 측단차면(2521)과,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상단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상단에 각각 접하는 제1 상단차면(2522) 및 제2 상단차면(2523)으로 이루어진다. 측단차면(2521)은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 상단차면(2522, 2523)은 제1 레버의 상벽(2110L, 2110R)의 최정점보다 하방으로 소정 깊이로 들어가 있고, 측단차면(2521)은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보다 소정 깊이로 들어가 있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단차면(2520)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2524)을 구비한다. 보조단차면(2524)은 측단차면(2521)과 측벽(2120F, 2120R)의 하단 사이에서 제2 경사면(2513)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2120F, 2120R)은 보조단차면(2524)에서 감소된 두께를 가진다.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에 리세스를 가진다. 상기 리세스에는 상기 브라켓의 일부가 삽입되며,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2512)에는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쪽으로 오목한 제1 리세스(2514)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경사면(2513)에는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오목한 한 쌍의 제2 리세스(2515)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251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는 제1 리세스(2514)에 한 쌍의 삽입슬롯(2531)을 구비한다. 삽입슬롯(2531)에는 브라켓(3100)에 마련되는 삽입돌기가 끼워진다. 단차면(2520)에서, 삽입슬롯(2531)에 인접한 제1 상단차면(2522)은 삽입슬롯(2531)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2 상단차면(2523)보다 높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평탄면(2511)의 각 측방 가장자리에 한 쌍의 스냅돌기(2532)를 구비한다. 스냅돌기(2532)는 삽입슬롯(2531)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탄면(2511)에 인접하게 측단차면(2521)에 위치한다. 스냅돌기(2532)는 보조단차면(2524) 위에 위치하며, 안착면(25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스냅돌기(2532)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대응하는 스냅슬롯에 스냅결합하여 커넥터 조립체(3000)를 커넥터 시트(2500)에 고정한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평탄면(2511)에서 돌출한 한 쌍의 위치설정용 릿지(2533)를 구비한다. 위치설정용 릿지(2533)는 보조단차면(2524)과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위치설정용 슬롯에 끼워진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한 쌍의 삽입슬롯(2531) 사이에서 돌출한 삽입돌기(2534)를 구비한다. 삽입돌기(2534)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삽입돌기 사이에 삽입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제1 레버(21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한다. 도 8, 도 9,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2 레버(2200L)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를 가진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조립시, 아암부(2210)는 제1 레버(2100)의 아암수용부(2123) 내에 위치하며, 스포일러부(2220)는 아암부(222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부터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연장한다. 아암부(2210)는 역 U자형 횡단면을 가지고, 스포일러부(2220)는 역 V자형 횡단면을 가진다. 아암부(22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스포일러부(2220)의 하측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 또는 약간의 곡률로 오목한 곡선을 이룬다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의 경계에는,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과 대향하는 단차면(2212)이 형성되어 있고, 단차면(22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과 대략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2 레버(2200L, 2200R)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즉 스포일러부(222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단부면(2224)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은 단차면(2212) 또는 제1 레버의 단부면(2122)의 경사각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각도로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아암부(221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붙잡기 위한 한 쌍의 핑거(2211)를 구비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를 측면에서 볼 때, 핑거(2211)는 L자 형상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조립 시, 핑거(2211)의 선단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을 따라 제2 홈(1140)에 삽입된다. 핑거(2211)가 와이퍼 러버(1100)에 끼워지면, 핑거(2211)의 위쪽에 있는 아암부(2210)의 하면과 핑거(2211)의 사이에 스프링 레일(1200)과 이에 인접한 와이퍼 러버(1100)의 일부가 협지된다.
스포일러부(2220)는 상벽(2221)과 한 쌍의 측벽(2222F, 2222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220)는 그 측벽에 단차면(2212)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외단까지(즉, 단부면(2224)까지) 연장하고 스포일러부(2220)의 폭방향에서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2 사면(2223F, 2223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220)에는 제2 사면(2223F, 2223R)에 의해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221)의 폭은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단차면(2212))으로부터 길이방향에서의 외단(단부면(2224))까지 대략 일정하다. 제2 사면(2223F, 2223R)이 한정하는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스포일러부(2220)의 폭방향에서(제2 레버(2200L, 2200R)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스포일러부(2220)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를 수용하여 은닉시키는 아암수용부(2225)를 가진다. 아암수용부(2225)는 제2 사면(2223F, 2223R) 사이의 공간에 의해 한정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배향된 복수개의 횡리브(2213)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횡리브(2213)와 교차하는 종리브(2214)를 가진다. 횡리브(2213)와 종리브(2214)는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에 걸쳐 위치하며,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돌출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는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의 내측과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의 외측의 힌지연결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가 연결되면, 제2 레버의 아암부(2210)는 제1 레버(2100)의 측벽(2120F, 2120R) 내측의 아암수용부(2123)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 내에 은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는, 제1 레버(2100)의 아암수용부(2123)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1)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아암부(2210)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1)을 포함한다.
제1 레버(2100)는 그에 힌지연결된 제2 레버(2200L, 2200R)를 요동 없이 제1 레버(2100)에 대하여 유지하도록 좌측 및 우측에 두 쌍의 평평한 접촉면(2126, 2127)을 가진다. 접촉면(2126, 2127)은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에 폭방향에서 접촉가능하다. 접촉면(2126, 2127)은 측벽(2120F, 2120R)의 내면 하단에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며,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융기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2411)는 접촉면(2126)에서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가 연결되면, 아암부(2210)는 각 쌍의 접촉면(2126, 2127) 사이에 삽입된다. 각 쌍의 접촉면 (2126, 2127) 사이의 간격은 아암부(2210)의 폭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끼워맞춤 구멍(2421)은 제2 레버(2200L, 2200R)의 폭방향으로 아암부(2210)의 측부를 관통하여서 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 구멍(2421)은 제1 레버의 단부면(2122)과 끼워맞춤 돌기(2411) 사이의 거리만큼 제2 레버의 단차면(221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2 레버(2200L, 2200R)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한다. 도 8, 도 9,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여, 제3 레버(2200L)에 대해 설명한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를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의 조립시, 아암부(2310)는 제2 레버의 아암수용부(2225) 내에 위치하며, 스포일러부(2320)는 아암부(231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부터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연장한다. 아암부(2310)는 역 U자형 횡단면을 가지고, 스포일러부(2320)는 역 V자형 횡단면을 가진다. 아암부(23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스포일러부(2320)의 하측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을 이룬다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의 경계에는,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과 대향하는 단차면(2312)이 형성되어 있고, 단차면(23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제2 레버의 단부면(2224)과 대략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붙잡기 위한 두 쌍의 핑거(2324, 2311)를 구비한다. 길이방향 내측의 핑거(2311)는 아암부(2310)의 길이방향의 내단에 형성되어 있다. 핑거(2311)는 제2 레버의 핑거(2211)와 동일한 형상이다. 길이방향 외측의 핑거(2324)는 스포일러부(2320)의 길이방향의 외단 측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핑거(2324)는 스포일러부(2320)의 하측 가장자리에 L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조립 시, 핑거(2311, 2324)의 선단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 내에 삽입된다. 핑거(2324)가 마련된 스포일러부(232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리브(2325)가 형성되어 있고, 핑거(2324)의 선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리브(2325)의 부분이 아래로 돌출하여 압박부(2326)를 형성한다. 레버 조립체(2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조립되면, 압박부(2326)는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의 상면을 하방으로(핑거(2324)의 선단 쪽으로) 압박한다. 또는, 압박부(2326)는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의 상면 상에 거의 틈이 없이 위치한다. 따라서, 핑거(2324)는 압박부(2326)를 통해 와이퍼 러버(1100)를 견고하게 클램핑한다.
스포일러부(2320)는 상벽(2321)과 한 쌍의 측벽(2322F, 2322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320)는 그 측벽에 단차면(2312)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외단까지 연장하고 스포일러부(2320)의 폭방향에서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3 사면(2323F, 2323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320)에는 제3 사면(2323F, 2323R)에 의해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321)의 폭은 그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단차면(2312))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에서의 외단까지 대략 일정하다. 제3 사면(2323F, 2323R)이 한정하는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스포일러부(2320)의 폭방향에서(제3 레버(2300L, 2300R)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한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2 레버(2200L, 2200R)의 제2 사면(2223F, 2223R)의 곡률과 같은 곡률 또는 그로부터 변하는 곡률로 만곡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3 레버(2300L, 2300R)의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에서의 제2 사면(2223F, 2223R)의 곡률보다 큰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1R)의 하측 가장자리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에서 서로 근접하여, 제3 레버의 상벽(2310)와 함께 레버 조립체(2000)의 둥근 외단을 형성한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배향된 복수개의 횡리브(2313)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횡리브(2313)와 교차하는 종리브(2314)를 가진다. 횡리브(2313)와 종리브(2314)는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에 걸쳐 위치한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2 레버의 측벽(2222F, 2222R)의 내측과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외 외측의 힌지연결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가 연결되면, 제3 레버의 아암부(2310)는 제2 레버(2200L, 2200R)의 측벽(2222F, 2222R) 내측의 아암수용부(2225)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제2 레버(2200L, 2200R) 내에 은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는, 제2 레버의 스포일러부(2220)의 아암수용부(2225)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2)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돌기(2412)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2)을 포함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그에 힌지연결된 제3 레버(2300L, 2300R)가 요동 없이 제2 레버(2200L, 2200R)에 대하여 유지되도록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폭방향에서의 접촉가능한 두 쌍의 평평한 접촉면(2226, 2227)을 가진다. 접촉면 (2226, 2227)은 제2 레버의 스포일러부(2220)의 내면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며, 제2 레버의 내측으로 융기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2412)는 접촉면(2226)에서 제2 레버의 내측으로 제2 레버의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끼워맞춤 돌기(2412)는 그 선단의 하측에 끼워맞춤 구멍(2422)에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위한 경사면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가 연결되면, 제3 레버의 아암부(2310)는 접촉면(2226, 2227) 사이에 삽입되거나 끼워진다. 각 쌍의 접촉면(2226, 2227) 사이의 간격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의 폭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끼워맞춤 구멍(2422)은 제3 레버(2300L, 2300R)의 폭방향으로 아암부(2310)의 측부를 관통하여서 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 구멍(2422)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과 끼워맞춤 돌기(2412) 사이의 거리만큼 제3 레버의 단차면(231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의 상면과 끼워맞춤 구멍(2422)에는 끼워맞춤 돌기(2412)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24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레버 조립체(2000)의 조립예 및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의 조립예를 설명한다.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한 단부면(2122)과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을 근접시키고,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양방 중 일방을 타방 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제1 레버(2100)의 끼워맞춤 돌기(2411)가 제2 레버(2200F)의 아암부(2210)의 상부를 압박하면서 아암부(2210)의 끼워맞춤 구멍(2421)으로 진입한다. 이어서, 끼워맞춤 돌기(2411)가 끼워맞춤 구멍(2421)에 스냅결합식으로 끼워맞춤되어,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R)가 힌지연결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R)가 연결되면,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의 끼워맞춤 구멍(2421)의 주변 부분 및 그보다 내측 부분은 접촉면(2126)의 사이 및 접촉면(2127)의 사이에 협지된다. 제2 레버(2200R)와 제3 레버(2300R)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제2 레버의 단부면(2224)과 제3 레버(2300R)의 단차면(2312)을 근접시키고, 제2 레버와 제3 레버의 양방 중 일방을 타방 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제2 레버(2200R)의 끼워맞춤 돌기(2412)가 제3 레버(2300R)의 아암부(2310)의 끼워맞춤 구멍(2422)에 스냅결합식으로 끼워맞춤되어 제2 레버(2200R)와 제3 레버(2300R)가 힌지연결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사이의 힌지연결, 제2 레버(2200L)와 제3 레버(2300L) 사이의 힌지연결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핑거(2324, 2311)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핑거(2211)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조립된다. 예컨대, 와이퍼 러버의 제2 홈(1140)에 제3 레버(2300R)의 핑거(2324, 2311), 제2 레버(2200R)의 핑거(2211), 제2 레버(2200L)의 핑거(2211), 제3 레버(2300L)의 핑거(2311, 2324)를 차례로 삽입하면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레버 조립체(2000)를 따라 슬라이드시킨다. 제3 레버(2300R)의 핑거(2324)의 선단이 삽입공(1170)에 끼워지면,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레버 조립체(2000)에 고정된다.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200)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레버 조립체(2000)는 핑거(2324, 2311)와 핑거(2211)를 매개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6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고 지지한다. 또한, 중앙 레버(2100),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는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고, 와이퍼 러버(1100)로부터 동일 높이로 위치한다. 또한,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100)에서는, 제1 레버의 제1 사면(2121F, 2121R), 제2 레버의 제2 사면(2223F, 2223R) 및 제3 레버의 제3 사면(2323F, 2323R)이 직선으로 연이어져 횡단면 윤곽 형상이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하고 높이치수가 감소하는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 및 단부면(2224), 그리고 제3 레버(2300L, 2300R)의 단차면(23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레버 조립체(200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과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의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이 있고,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과 제3 레버(2300L, 2300R)의 단차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이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1 레버(2100)의 상방으로 약간만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하방을 향하는 부하가 가해질 때,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윈드실드에 강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레버의 단차면(2212)은 제1 레버의 단부면(2122)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제3 레버의 단차면(2312)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하방으로 부하가 가해질 때,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양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크기가 아니라, 거의 균등한 크기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이음부를 구성하는 끼워맞춤 돌기(2411, 2412)는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배치될 수 있고,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은 제1 레버의 아암수용부(2123)와 제2 레버의 아암수용부(2225)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전술한 구성의 힌지이음부를 이용하여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4개의 압력점, 8개의 압력점 또는 그 이상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4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는 제1 레버(2100)와 이에 전술한 힌지이음부로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레버(2300L, 2300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8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2000)는,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사이 또는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의 사이에 제2 레버(2200L, 2200R)와 유사한 형상 및 구조의 추가의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를 구비하는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통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후크형의 결합요소를 말단에 갖춘 “후크 와이퍼 아암” 또는 핀 형상의 결합요소를 말단에 갖춘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에 적용된다. 도 3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후크 와이퍼 아암(200)은 그 말단에 후크 결합요소(210)를 가진다. 후크 결합요소(210)는 직선부(211)와, 직선부(211)에서 연장하고 대체로 반원형으로 만곡된 후크부(212)와, 후크부(212)에서 직선부(211)에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13)를 가진다. 후크부(212)는 반원형 모양의 바깥쪽인 외면(214)과 그 안쪽인 내면(215)을 가진다. 또한,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300)은 말단에 핀 결합요소(310, 320)를 가진다. 핀 결합요소(310)는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300)으로부터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핀부(311)와 핀부(311)의 중간에 핀부(311)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환상홈(312)을 가진다. 또, 핀 결합요소(320)는 핀부(3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핀부(321)와, 핀부(321)의 중간에 핀부(321)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환상홈(322)을 가진다.
도 1, 도 5 및 도 21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3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를 전술한 후크 결합요소(210) 또는 핀 결합요소(310, 320)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3000)는 레버 조립체(2000)의 제1 레버(2100)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250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라켓(3100)과, 브라켓(3100)에 마련된 축요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브라켓(3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어댑터(3200)와, 어댑터(3200)에 대향하여 브라켓(3100) 내부에 위치하고 브라켓(3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커버(3300)를 구비한다. 어댑터(3200)는 후크 결합요소(210)를 지지하고 핀 결합요소(320)를 고정한다. 회전 커버(3300)는 후크 결합요소(210) 또는 핀 결합요소(310)를 브라켓(3100) 또는 어댑터(3200)에 대하여 고정한다.
도 21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브라켓(3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기초로서 기능하며 어댑터(3200)와 회전 커버(3300)가 그에 부착된다. 브라켓(3100)은 제1 레버(2100)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2500)에, 그 길이방향의 일단을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삽입하고 그 길이방향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길이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스냅결합하는 식으로 결합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 상에 안착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벽(3110)과 바닥벽(3110)의 각 측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3120F, 3120R)을 가진다. 바닥벽(31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부(3111)와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서 평탄부(3111)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1 경사부(3112) 및 제2 경사부(3113)를 가진다. 또한, 바닥벽(3110)은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대략 L자형으로 연장하는 제1 절곡부(3114)와,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일단의 반대쪽에 있는 타단에서 평탄부(3111)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연장하는 제2 절곡부(3115)를 가진다. 제2 절곡부(3115)의 상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 측벽(3120F, 3120R)은 평탄부(3111), 제1 경사부(3112), 제1 절곡부(3114), 제2 경사부(3113) 및 제2 절곡부(3115)의 측방 가장자리에서 바닥벽(3110)과 일체로 되어 있다. 제1 절곡부(3114), 제2 절곡부(3115) 및 측벽(3120F, 3120R)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어댑터(3200)와 회전 커버(3300)가 수용된다. 브라켓(3100)을 정면에서 볼 때, 측벽(3120F, 3120R)의 상측 가장자리는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제2 절곡부(3115)의 상면은 상기 원호형과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30)에 결합되면, 제1 절곡부(3114)의 상면의 끝과 이에 마주하는 제1 레버(2100)의 상벽(2110L)은 대략 동일 높이로 위치하고 제2 절곡부(3115)의 상면의 끝과 이에 마주하는 제1 레버(2100)의 상벽(2110R)은 대략 동일 높이로 위치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안착면(2510)과 접촉하는 접촉면(3131, 3132, 3233)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바닥벽(3110)의 평탄부(3111)의 하면을 형성하는 평탄면(3131)과, 바닥벽(3110)의 제1 및 제2 경사부(3112, 3113)의 외면을 형성하는 경사면(3132, 3233)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31)이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의 평탄면(2511)과 면접촉하고, 상기 접촉면의 경사면(3112, 3113)이 안착면(2510)의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2)과 각각 접촉 가능한다. 또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접촉면(3131, 3132, 313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3140)를 구비한다.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플랜지(3140)는 단차면(2520) 상에 포개지거나 단차면(2520)의 전체 또는 일부와 접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3140)는 상기 단차면의 측단차면(2521)과 포개지는 측플랜지(3141)와, 상기 단차면의 제1 상단차면(2522)과 포개지는 제1 상플랜지(3142)와, 상기 단차면의 제2 상단차면(2523)과 포개지는 제2 상플랜지(3143)을 가진다. 측플랜지(3141)는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31) 및 경사면(3132, 3132)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측단차면(2521)의 돌출 높이 정도로 돌출한다. 제1 및 제2 상플랜지(3142, 3143)는 제1 절곡부(3114)의 길이방향의 외단 및 제2 절곡부(3115)의 길이방향의 외단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상단차면(2522, 2523)의 돌출 거리 정도로 돌출한다.
브라켓(3100)은 레버 조립체(2000)의 커넥터 시트(2500)에 삽입 및 회전에 의해 결합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51)와, 커넥터 시트(2500)의 스냅돌기(2532)가 스냅결합하는 스냅슬롯(3152)를 가진다. 또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대한 위치설정을 위해 위치설정용 슬롯(3153)을 구비한다.
바닥벽(3110)은 커넥터 시트의 제1 리세스(2514)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3154)와 커넥터 시트의 제2 리세스(2515)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3155)를 가진다. 제1 삽입부(3154)는 제1 절곡부(3114)로부터 제1 경사부(3112)를 지나 돌출하는 한 쌍의 핀(fin)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부(3154)의 선단에 삽입돌기(315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3100)을 정면에서 볼 때 삽입돌기(3151)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삽입부(3154)를 구성하는 상기 핀의 사이에, 커넥터 시트의 삽입돌기(2534)가 끼워지는 삽입슬롯(311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부(3155)는 제2 절곡부(3115)로부터 제2 경사부(3113)를 지나 돌출하는 한 쌍의 핀(fin)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냅슬롯(3152)은 측플랜지(3141)의 표면에 바닥벽(3110)의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31)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스냅슬롯(3152)의 길이는 커넥터 시트(2500)의 한 쌍의 스냅돌기(2532) 간의 거리보다 길다. 스냅슬롯(3152)의 하방의 측플랜지(3141)의 일부(스냅슬롯(3152)에 대향하는 측플랜지(3141)의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플랜지(3140)는 한 쌍의 이어부(3144)(ear portion)를 구비한다. 플랜지의 이어부(3144)는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에 형성된 보조단차면(25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 회동시킬 때, 스냅돌기(2532)는 이어부(3144)를 지나 스냅슬롯(3152)에 스냅결합한다. 위치설정용 슬롯(3153)은 바닥벽(3110)의 평탄부(3111)에 평탄부(31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 회전시키면, 커넥터 시트의 위치설정용 릿지(2533)가 브라켓(3100)의 위치설정용 슬롯(3153)에 삽입되거나 끼워진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할 때, 먼저 삽입돌기(3151)가 위치하는 브라켓(3100)의 일단을 그 타단보다 낮게 하고 브라켓의 삽입돌기(3151)를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한다. 제1 절곡부(3114)에 위치한 제1 삽입부(3154)가 커넥터 시트의 제1 리세스(2514)의 벽면에 접촉하면 삽입이 완료한다. 삽입이 완료하면, 브라켓의 삽입돌기(3151)는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되어 있고, 커넥터 시트의 삽입돌기(2534)는 브라켓의 삽입슬롯(3117)에 삽입되어 있다. 이후, 삽입돌기(3151)를 중심으로 하여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 쪽으로 회전시킨다. 브라켓(3100)의 회전에 따라, 스냅돌기(2532)가 스냅슬롯(3152)에 스냅결합하고 위치설정용 릿지(2533)가 위치설정용 슬롯(3153)에 삽입되며, 제2 삽입부(3155)는 제2 리세스(2515)에 끼워진다.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브라켓(3100)의 플랜지(3140)는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 상에 포개지고, 플랜지(3140)의 이어부(3144)는 보조단차면(2524)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플랜지(3140)의 이어부(3144)와 커넥터 시트(2500)의 보조단차면(2524)을 대응시킴으로써, 브라켓(3100)의 커넥터 시트(2500)에 대한 결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이어부(3144)는 보조단차면(2524)의 위에서 브라켓(3100)의 외부로 돌출한다. 따라서,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부터 분리시킬 때 이어부(3144)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 수 있는 부분 또는 임의의 공구가 보조단차면(2524)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 및 커넥터 조립체(3000)에 있어서, 단차면(2520)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즉, 제1 상단차면(2522)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과 제2 상단차면(2523)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사이의 거리는, 삽입돌기(3151)의 선단과 삽입돌기(3151)의 반대쪽에 있는 플랜지(3140)의 가장자리(제2 상플랜지(3142)의 길이방향의 외단)의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또한, 제1 및 제2 상단차면(2522, 2523) 중 삽입슬롯(2531)에 인접한 제1 상단차면(2522)이 삽입슬롯(2531)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2 상단차면(2523)보다 높다. 즉, 단차면(2520)의 제1 상단차면(2522)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이 제2 상단차면(2523)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보다 제1 레버(2100)의 하단에 대하여 높다. 따라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켓(3100)의 제2 삽입부(3155)를 제2 리세스(2515)에 삽입하고 제2 상플랜지(3142)를 제2 상단차면(2523)과 접촉시키는 것으로는,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커네터 시트(2500)에의 브라켓(310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브라켓(3100)은 어댑터(3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피봇축(3121)을 가진다. 피봇축(3121)은 각 측벽(3120F, 3120R) 사이에서 브라켓(310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연장하며, 어댑터(3200)의 회전중심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브라켓(3100)은 회전 커버(3300)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3118)를 가지며, 끼워맞춤 돌기(3118)는 바닥벽의 제1 절곡부(3114)의 중간에 형성된 삽입슬롯(3117)의 내면에서 돌출한다.
또한, 브라켓(3100)은 회전 커버(3300)를 고정하기 위해, 각 측벽(3120F, 3120R)의 내면에 라이너 돌기(3122)와 라이너 돌기(3122)의 하측에 스냅개구(3123)를 구비한다. 라이너 돌기(3124)는 평판의 형상이다. 스냅개구(3123)는 라이너 돌기(3122)에서 바닥벽의 평탄부(3111)에 걸쳐 뚤어져 있다. 라이너 돌기(3122)의 상단에는 회전 커버(3300)의 가장자리부분에 안착하고, 스냅개구(3123)의 상단에 회전 커버(3300)의 스냅돌기가 스냅결합한다.
또, 브라켓(3100)은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300)의 핀부(311, 321)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가진다. 측벽(3120F, 3120R)에는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의 핀부(311)가 통과하는 한 쌍의 한 쌍의 제1 관통공(3124)과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의 핀부(321)가 통과하는 한 쌍의 제2 관통공(3125)이 브라켓(31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공(3124)은 라이너 돌기(3122)와 피봇축(3121) 사이에 위치한다. 제2 관통공(3125)은 피봇축(3121)에 대하여 제2 관통공(3123)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제1 관통공(3124)보다 작다.
도 21, 도 22 및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어댑터(3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댑터(3200)는 브라켓(3100)의 측벽(3120F, 3120R) 사이에 끼워맞춤되며 브라켓(3100)의 피봇축(3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어댑터(3200)는 후크 결합요소(210)의 직선부(211)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후크부(212)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3200)는 핀 결합요소(320)의 핀부(321)와 결합하여 핀부(321)를 브라켓(3100)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댑터(3200)는 한 쌍의 측벽(3210F, 3210R)과, 측벽(3210F, 3210R)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부(3220)를 가진다. 측벽(3210F, 3210R) 사이에 후크 결합요소(210)의 직선부(211) 및 후크부(212)가 위치하고, 브릿지부(3220)의 아래에 후크 결합요소(210)의 연장부(213)가 위치한다. 각 측벽(3210F, 3210R)의 외면에는 브라켓(3100)의 측벽(3120F, 3120R)의 내면과 마찰접촉하는 복수개의 원호형의 릿지(3211)가 돌출되어 있다. 브릿지부(3220)는 측벽(3210F, 3210R)의 사이에서 측벽(3210F, 3210R)의 후단에서 전단 부근까지 연장한다. 측벽(3210F, 3210R)의 전단과 브릿지부(3220)의 전단은 이격되어 있다.
브릿지부(3220)는 후크 결합요소(210)의 직선부(211)가 놓이는 안착평면(3221)을 구비한다. 안착평면(3221)은 브릿지부(3220)의 평평한 상면이며, 측벽(3210F, 3210R)의 상단 가장자리에 비하여 약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안착평면(3221)과 측벽부(3210F, 3210R)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는 단차부(3223F, 3223R)가 형성된다. 단차부(3223F, 3223R)는 후크 결합요소(210)의 직선부(211)와 측방에서 접촉하여, 와이퍼 아암(200)의 왕복 회동시 회동방향에 따른 힘을 받는다. 또한, 브릿지부(3220)는 후크 결합요소(210)의 후크부(212)와 접촉하는 안착곡면(3222)을 구비한다. 안착평면(3221)에서 연장되는 브릿지부(3220)의 전방면이 후크부(212)의 내면(214)이 그 위에 안착하도록 라운드되어, 후크부(212)의 고정을 위한 안착곡면(3222)을 형성한다. 측벽(3210F, 3210R)은 그 전단에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걸림 돌기(3212)를 가지며, 걸림 돌기(3212)는 안착곡면(3222)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걸림 돌기(3212)는 후크 결합요소(210)의 후크부(212)의 외면(214)에 걸린다.
어댑터(3200)는 브라켓(3100)의 피봇축(3121)과의 결합을 위한 슬롯(3230)을 구비한다. 어댑터(3200)를 측면에서 볼 때, 슬롯(3230)은 측벽(3210F, 3210R)의 하단으로부터 브릿지부(3220)의 전단 부근까지 연장한다. 슬롯(3230)의 내면은 라운드되어 있으며, 브라켓(3100)의 피봇축(3121)이 슬롯(3230)에 끼워맞춤된다. 측벽(3210F, 3210R)의 상단으로부터 슬롯(3230)까지의 거리는, 어댑터(3200)가 피봇축(3121)에 결합하여 브라켓(3100)의 최내측으로 회전될 때, 측벽(3210F, 3210R)의 상단 가장자리가 브라켓의 측벽(3120F, 3120R)의 상단 가장자리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정해져 있다.
어댑터(3200)는 슬롯(3230)에 인접하게 베어링 홀(3240)을 구비한다. 베어링 홀(3240)에는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300)의 핀 결합요소(320)의 핀부(321)가 끼워진다. 베어링 홀(3240)의 내면에는 대략 그 폭방향에서의 중간에 그 원주방향으로 걸림 돌기(3241)가 마련되어 있다. 어댑터(3200)를 정면에서 볼 때, 걸림 돌기(3241)는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3241)는 핀 결합요소(320)의 핀부(321)의 환상홈(322)에 맞물린다. 슬롯(3230)으로부터 베어링 홀(3240)까지의 거리는, 브라켓(3100)의 피봇축(3121)과 제2 관통공(3125)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도 21, 도 22 및 도 33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회전 커버(3300)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커버(3300)는 브라켓(310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회전 커버(3300)는 후크 결합요소(210)의 후크부(212)와 어댑터(3200)의 고정 및 핀 결합요소(310)의 핀부(311)와 브라켓(3100)의 고정에 관여한다.
회전 커버(3300)는 상벽(3310)과 상벽(3310)의 측방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3320F, 3320R)을 가진다. 상벽(3310)의 전단은 측벽(3320F, 3320R)의 전단보다 더 돌출하여, 회전 커버(33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벽(3310)의 전단과 측벽(3320F, 3320R)의 전단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커버(3300)는 상벽(3310)과 측벽(3320F, 3320R)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삽입부(3330)를 가진다.
회전 커버(3300)는 삽입부(3330)에 브라켓(3100)과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3331)을 구비한다. 브라켓(3100)의 끼워맞춤 돌기(3118)가 삽입부(3330)의 끼워맞춤 구멍(3331)에 끼워맞춤되어, 회전 커버(3300)가 브라켓(3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삽입부(3330)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끼워맞춤 구멍(3331)으로 안내홈(33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홈(3332)은 끼워맞춤 돌기(3118)의 삽입을 안내한다.
회전 커버(3300)는 브라켓(3100)에의 고정을 위해 각 측벽(3320F, 3320R)의 외면에 오목한 리세스(3321)를 가진다. 따라서, 리세스(3321)의 상단과 상벽(3310)의 사이에는 스토퍼(3322)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 커버(3300)는 리세스(3321)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한 스냅돌기(3323)를 가진다. 회전 커버(3300)가 브라켓(3100)으로 회전하면, 브라켓(3100)의 라이너 돌기(3122)의 상단은 스토퍼(3322)와 접촉하게 되고, 회전 커버(3300)의 스냅돌기(3323)는 라이너 돌기(3122)의 하단에 형성된 스냅개구(3123)의 상단에 스냅결합한다. 그러면, 회전 커버(3300)는 라이너 돌기(3122)와 스토퍼(3322)의 접촉과 스냅돌기(3323)와 스냅개구(3123)의 걸림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회전 커버(3300)는, 스토퍼(3322)가 라이너 돌기(3122)와 접촉하고 스냅 돌기(3323)가 스냅개구(3123)에 스냅결합한 고정 위치와, 이러한 고정위치로부터 브라켓(3100)의 상방으로 회전한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상기 고정 위치에서는, 회전 커버(3300)는 후크 결합요소(210)의 후크부(212)를 어댑터(3200)에 고정하고, 핀 결합요소(310)의 핀부(311)를 브라켓(3100)에 고정한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3000)를 정면에서 볼 때,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는, 브라켓의 측벽(3120F, 3120R)의 상측 가장자리와 회전 커버(3300)의 상벽(3310)의 상측 가장자리는 회전 커버(3300)의 고정 위치에서 동일 높이로 위치한다. 회전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로부터 브라켓(3100)의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후크부(212) 또는 핀부(311)와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해제 위치는 회전 커버(3300)의 스냅 돌기(3323)가 스냅개구(3123)로부터 벗어난 위치 및 회전 커버(3300)의 브라켓(3100)에 대한 최대 회전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가 될 수 있다.
회전 커버(3300)는 핀 결합요소(310)의 핀부(311)를 브라켓(3100)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1 탄성 래치(3340)와 후크 결합요소(210)의 후크부(212)를 어댑터(3200)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2 탄성 래치(335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탄성 래치(3340, 3350)는 회전 커버(3300)의 상벽(33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탄성의 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래치(3340)는 상벽(33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고, 제2 탄성 래치(3350)는 제1 탄성 래치(3340)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돌출한다.
회전 커버(33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탄성 래치(3340)는 그 하단에 회전 커버(3300)의 후단 쪽으로 볼록한 만곡부(3341)를 가진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3000)를 정면에서 볼 때, 회전 커버(3300)가 브라켓(3100)에 고정 위치에서 고정되면, 제1 탄성 래치(3340)는 브라켓(3100)의 제1 관통공(3124)의 안에 위치한다(도 22 참조). 핀 결합요소(310)의 핀부(311)는 브라켓(3100)의 제1 관통공(3124)을 관통하는 식으로 커넥터 조립체(3000)에 삽입된다. 회전 커버(3300)가 브라켓(3100)에 고정 위치에서 고정되면, 제1 탄성 래치(3340)가 핀 결합요소(310)의 환상홈(312)에 만곡부(3341)에서 맞물려, 핀 결합요소(310)가 커넥터 조립체(3000)에 클램핑된다.
제2 탄성 래치(3350)는 후크 결합요소(210)의 후크부(212)를 어댑터(3200)의 안착곡면(3222)에 고정한다. 회전 커버(3300)가 브라켓(3100)에 고정 위치에서 고정되면, 제2 탄성 래치(3350)의 전방 표면이 후크부(212)의 외면(214)과 접촉하여, 후크부(212)는 제2 탄성 래치(3350)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곡면(3222)에 압박되어 밀착된다. 회전 커버(33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2 탄성 래치(3350)는 제1 탄성 래치(3340)로부터 연장하고 전방으로 만곡한 제1 만곡부(3351)와, 제1 만곡부(3351)로부터 연장하고 제1 만곡부(3351)와는 역으로 만곡된 제2 만곡부(3352)와, 제2 만곡부(3352)로부터 연장하고 제1 만곡부(3351)와 같이 전방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한 제3 만곡부(3353)를 구비한다. 회전 커버(3300)가 브라켓(3100)에 고정 위치에서 고정되면, 제2 탄성 래치(3350)의 제2 만곡부(3352)가 후크 결합요소(210)의 후크부(212)의 외면(214)과 접촉된다. 제2 탄성 래치(3350)가 제1 내지 제3 만곡부(3351, 3352, 3353)에 의해 파형으로 연장하므로, 제2 탄성 래치(3350)는 강한 압박력으로 후크 결합요소(210)의 후크부(212)를 어댑터(3200)의 안착곡면(3222)에 압박할 수 있다.
도 37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후크 와이퍼 아암(200) 사이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회전 커버(3300)가 브라켓(3100)로부터 젖혀져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후크 결합요소(210)의 연장부(213)를 어댑터(3200)의 측벽(3210F, 3210R)의 사이를 통해 측벽(3210F, 3210R)의 전단으로부터 브릿지부(3220)의 아래로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후크 결합요소(210)의 직선부(211)는 단차부(3223F, 3223R)의 사이에서 브릿지부(3220)의 안착평면(3221) 상에 안착되고 후크부(212)의 내면(215)은 브릿지부(3220)의 안착곡면(3222) 상에 안착되며, 연장부(213)는 브릿지부(3220)의 아래쪽에 놓인다. 또한, 삽입이 완료되면, 측벽(3210F, 3210R)의 걸림 돌기(3212)가 후크부(212)의 외면(214)에 걸린다. 그 후, 회전 커버(3300)를 브라켓(3100) 쪽으로 회동시켜서 회전 커버(3300)를 브라켓(3100)에 고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회전 커버(3300)의 고정이 완료되면, 회전 커버(3300)의 제2 탄성 래치(3350)는 제2 만곡부(3352)의 전면에서 후크부(212)의 외면(214)에 접촉하여, 제2 탄성 래치(3350)가 후크부(212)를 안착곡면(3222)에 압박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후크 결합요소(210)는 직선부(211)가 어댑터(3200)의 단차부(3223F, 3223R) 사이에 위치하고 후크부(212)가 어댑터(3200)의 안착곡면(3222)에 압박된 상태로 커넥터 조립체(3000)와 고정된다.
도 38 및 도 39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300)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커넥터 조립체(3000)에 핀 결합요소(310, 320)의 핀부(311, 321)를 관통시키는 식으로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300)과 연결된다.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버(3300)가 브라켓(3100)로부터 젖혀져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핀 결합요소(310)의 핀부(311)는 브라켓(3100)의 제1 관통공(3124)을 통해 브라켓(3100) 내로 삽입되고, 반대쪽에 위치한 제1 관통공(3124)을 통해 돌출한다. 핀 결합요소(310)의 핀부(311)가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을 관통하면, 회전 커버(3300)를 브라켓(3100) 쪽으로 회전시켜 회전 커버(3300)를 브라켓(3100)에 고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회전 커버(3300)의 제1 탄성 래치(3340)의 만곡부(3341)가 핀부(311)의 환상홈(312)에 맞물려, 핀 결합요소(310)의 핀부(311)가 커넥터 조립체(3000)에 고정된다.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3200)가 브라켓(3100)으로부터 그 후단이 위로 들려진 상태에서, 핀 결합요소(320)의 핀부(321)가 브라켓(3100)의 제2 관통공(3224)을 통해 브라켓(3100) 내로 삽입되고, 반대쪽의 제2 관통공(3224)을 통해 돌출한다. 그 후, 어댑터(3200)를 브라켓(3100) 쪽으로 회동시켜, 어댑터(3200)의 베어링 홀(3240)에 핀부(321)를 끼워맞춤한다. 핀부(321)가 베어링 홀(3240)에 끼워지면, 베어링 홀(3240)의 걸림 돌기(3241)가 핀부(321)의 환상홈(322)에 맞물려서, 핀 결합요소(320)의 핀부(321)와 커넥터 조립체(3000)가 고정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 조립체(3000) 이외에 다른 커넥터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전술한 후크 와이퍼 아암(200)과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300) 이외의 다른 유형의 와이퍼 아암과의 연결에 적합한 커넥터 조립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는, 전술한 브라켓(3100)과 공통의 요소를 가지며 상기 다른 유형의 와이퍼 아암과의 연결을 위한 부품이 부착되거나 일체로 될 수 있는 브라켓을 구비한다. 즉, 다른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은, 제1 레버(2100)의 커넥터 시트(2500)와의 결합을 위한 요소, 예컨대 삽입돌기(3151), 스냅슬롯(3152), 측플랜지(3141), 제1 및 제2 상플랜지(3142, 3143), 이어부(3144) 등을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와이퍼 블레이드 200: 후크 와이퍼 아암
212: 후크부 300: 사이드 핀 와이퍼 아암
311, 321: 핀부 1000: 와이퍼 러버 조립체
1100: 와이퍼 러버 1200: 스프링 레일
2000: 레버 조립체 2100: 제1 레버
2121F, 2121R: 제1 사면 2122: 단부면
2200L, 2200R: 제2 레버 2210: 아암부
2211: 핑거 2212: 단차면
2220: 스포일러부 2223F, 2223R: 제2 사면
2224: 단부면 2300L, 2300R: 제3 레버
2310: 아암부 2311: 핑거
2312: 단차면 2320: 스포일러부
2323F, 2323R: 제3 사면 2324: 핑거
2411, 2412: 끼워맞춤 돌기 2421, 2422: 끼워맞춤 구멍
2500: 커넥터 시트 2510: 안착면
2520: 단차면 2524: 보조단차면
2531: 삽입슬롯 2532: 스냅돌기
2533: 위치설정용 릿지 2600L, 2600R: 스포일러
2610L, 2610R: 제1 부분 스포일러 2620L, 2620R: 제2 부분 스포일러
2630L, 2630R: 제3 부분 스포일러 3000: 커넥터 조립체
3100: 브라켓 3110: 바닥벽
3115: 삽입부 3116: 삽입부
3118: 끼워맞춤 돌기 3121: 피봇축
3122: 라이너 돌기 3123: 스냅개구
3124: 제1 관통공 3125: 제2 관통공
3130: 접촉면 3140: 플랜지
3144: 이어부 3151: 삽입돌기
3152: 스냅슬롯 3153: 위치설정용 슬롯
3200: 어댑터 3212: 걸림 돌기
3221: 안착평면 3222: 안착곡면
3230: 슬롯 3240: 베어링 홀
3300: 회전 커버 3322: 스토퍼
3323: 스냅돌기 3331: 끼워맞춤 구멍
3340: 제1 탄성 래치 3341: 만곡부
3350: 제2 탄성 래치 3351: 제1 만곡부
3352: 제2 만곡부 3353: 제3 만곡부

Claims (14)

  1. 와이퍼 러버와,
    인접한 레버들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상기 복수개의 레버 중 상기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에 마련되는 커넥터 시트와,
    상기 커넥터 시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퍼 아암의 말단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레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스포일러를 형성하는 사면을 갖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가 안착하고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안착면을 분리시키는 단차면과,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면에 인접하게 상기 단차면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스냅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단차면 상에 포개지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고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단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스냅슬롯의 각각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면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과 상기 삽입돌기의 반대쪽의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시트 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냅돌기가 상기 스냅슬롯에 스냅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시트에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의 상단보다 낮은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서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경사면 중 하나에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리세스 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중 하나는 상기 내단 중 다른 하나보다 높은
    와이퍼 블레이드.
  6. 와이퍼 러버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이격된 두 개의 제1 사면을 갖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또는 외단에 상기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핑거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사면을 갖는 한 쌍의 제2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핑거의 반대쪽의 상기 제2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또는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핑거를 가지는 한 쌍의 제3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에 상기 제1 사면 사이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와,
    상기 커넥터 시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와이퍼 아암의 말단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브라켓이 안착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안착면을 분리시키는 단차면과,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면에 인접하게 상기 단차면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스냅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단차면 상에 포개지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고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스냅슬롯의 각각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면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의 상단보다 낮은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서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면은 상기 평탄면과 상기 경사면의 측방 가장자리에 접하는 측단차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 상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단차면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과 상기 제2 상단차면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과 상기 삽입돌기의 반대쪽의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시트 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냅돌기가 상기 스냅슬롯에 스냅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시트에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제1 레버의 하단 사이에 상기 단차면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단차면은 상기 스냅돌기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커넥터 시트에 결합되면, 상기 이어부는 상기 보조단차면의 위에서 상기 브라켓의 외부로 돌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경사면 중 하나에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리세스 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차면은 상기 삽입슬롯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상단차면보다 높은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평탄면에서 돌출한 위치설정용 릿지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접촉면에 상기 위치설정용 릿지가 끼워지는 위치설정용 슬롯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버와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의 핑거는 상기 제2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사면을 갖고 상기 제2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레버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는 핑거에 대향하게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상기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는 핑거에 압박하는 압박부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고,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과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고,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을 갖고,
    상기 제3 레버의 단차면은 상기 제2 레버의 단차면보다 작은 각도로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와이퍼 블레이드.
KR20140020678A 2014-02-21 2014-02-21 와이퍼 블레이드 KR10151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0678A KR101511319B1 (ko) 2014-02-21 2014-02-21 와이퍼 블레이드
CN201410355979.4A CN104859595B (zh) 2014-02-21 2014-07-24 刮水片
US14/615,946 US9862356B2 (en) 2014-02-21 2015-02-06 Wiper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0678A KR101511319B1 (ko) 2014-02-21 2014-02-21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319B1 true KR101511319B1 (ko) 2015-04-14

Family

ID=5303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0678A KR101511319B1 (ko) 2014-02-21 2014-02-21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62356B2 (ko)
KR (1) KR101511319B1 (ko)
CN (1) CN1048595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5029A (zh) * 2015-06-15 2015-09-23 厦门富可汽车配件有限公司 雨刷的改进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1307B1 (fr) * 2015-09-23 2017-09-15 Valeo Systemes Dessuyage Organe d’essuie-glace comprenant un capot articule
FR3091238B1 (fr) * 2018-12-27 2020-12-18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monture de balai d’essuyage de véhicule automobile
FR3095625B1 (fr) * 2019-04-30 2021-04-30 Valeo Systemes Dessuyage Embase de connexion destiné à coopérer avec des moyens d’adaptation pour former avec ceux-ci un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un balai d’essuie-glace
FR3135680A1 (fr) * 2022-05-19 2023-11-24 Valeo Systèmes D’Essuyage Module de connexion d’un système d’essuyage.
FR3137885A1 (fr) * 2022-07-13 2024-01-19 Valeo Systè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are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77B1 (ko) 2011-01-28 2011-05-24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KR101201547B1 (ko) 2012-03-30 2012-11-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245514B1 (ko) * 2011-12-01 2013-04-02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20140000779A (ko) * 2012-06-25 2014-01-06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69550T3 (es) 1997-09-25 2002-07-01 Nippon Wiper Blade Co Ltd Escobilla de limpiaparabrisas y deflector de aire.
JP4316463B2 (ja) 2004-09-28 2009-08-19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KR100903374B1 (ko) 2008-07-11 2009-06-2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장치
US8286298B2 (en) 2008-07-11 2012-10-16 Adm21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CN101767572B (zh) * 2010-02-09 2011-12-07 程宝来 风挡玻璃万用车型清洁装置
KR101170905B1 (ko) 2010-09-10 2012-08-06 김인규 후크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130977B1 (ko) 2010-09-10 2012-03-29 김인규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130039B1 (ko) 2010-09-10 2012-03-28 김인규 스포일러를 갖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207768B1 (ko) * 2010-10-15 2012-12-05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용 케이스
KR101238492B1 (ko) * 2010-12-22 2013-03-11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구조
CN102582584B (zh) * 2011-01-14 2014-08-27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架及其制造方法
CN102582582A (zh) * 2011-01-14 2012-07-18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
CN202098382U (zh) * 2011-06-03 2012-01-04 厦门市美途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雨刷刷杆与连接器的配合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77B1 (ko) 2011-01-28 2011-05-24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KR101245514B1 (ko) * 2011-12-01 2013-04-02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101201547B1 (ko) 2012-03-30 2012-11-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140000779A (ko) * 2012-06-25 2014-01-06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5029A (zh) * 2015-06-15 2015-09-23 厦门富可汽车配件有限公司 雨刷的改进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9431A1 (en) 2015-08-27
CN104859595B (zh) 2017-06-06
CN104859595A (zh) 2015-08-26
US9862356B2 (en)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01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2600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51131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5581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8689389B2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KR10124551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8615841B2 (en) Connecting unit for hook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EP1681216A1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880009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10265280A1 (en) Devic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of a windshield wiper
US20070113366A1 (en) Relative axial translation prevention system
KR1018047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US11608033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16490408A (zh) 挡风玻璃雨刷刮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