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01B1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01B1
KR101426001B1 KR1020140027325A KR20140027325A KR101426001B1 KR 101426001 B1 KR101426001 B1 KR 101426001B1 KR 1020140027325 A KR1020140027325 A KR 1020140027325A KR 20140027325 A KR20140027325 A KR 20140027325A KR 101426001 B1 KR101426001 B1 KR 101426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dapter
slide cover
wiper blad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김경수
남경종
양청모
이준모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01B1/ko
Priority to CN201410351137.1A priority patent/CN10489063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01B1/ko
Priority to US14/620,294 priority patent/US98450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08Spoiler integral with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8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ex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back part of the arm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일러가 레버 조립체에 일체로 되고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부분 스포일러가 마련된 레버 조립체와,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가진다.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의 말단의 결합요소가 접촉하는 어댑터와, 어댑터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가진다. 슬라이드 커버는,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이동방향에서 어댑터로 이동되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어댑터에 고정하고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서 제1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제2 이동방향에서 어댑터로부터 이동되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 어댑터 사이의 고정을 해제한다. 어댑터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지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가지며, 슬라이드 커버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접촉면에 접촉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어댑터의 지지돌기 쪽으로 미는 누름면을 가진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본 발명은 스포일러가 일체로 된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와이퍼 러버와, 와이퍼 러버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를 가진다.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 레버와, 메인 레버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요크 레버로 구성된다. 요크 레버는 그 중앙에서 메인 레버 또는 다른 요크 레버에 연결된다.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는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를 관통하는 핀 또는 리벳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주행시에 그 길이방향에 걸쳐 윈드실드에 부딪히는 바람 또는 기류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바람 또는 기류가 발생시키는 힘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드실드의 표면으로부터 부상시키도록 작용한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수록, 이러한 부상력이 커지게 되고, 이는 와이퍼 러버와 윈드실드의 표면 간의 접촉을 약화시켜 와이핑 성능을 저하시킨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상으로 인한 와이핑 성능의 저하에 대처하기 위해, 바람 또는 기류와 상호작용하여 부상에 반대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는 스포일러를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하는 것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0699호는 스포일러가 메인 레버에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안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메인 레버, 요크 레버를 덮도록 형성되고 스포일러 형상을 갖춘 커버를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하는 것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1763호는 이러한 커버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안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06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1763호
와이퍼 러버를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는 그 전고가 작을수록 공기의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는 레버들의 분기 형태의 연결 구조 때문에 전고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스포일러가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스포일러가 별개로 준비되어야 한다. 이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조원가의 상승, 스포일러의 탈락 등을 야기한다. 또한, 메인 레버 또는 요크 레버를 덮는 커버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는, 커버의 결합을 위한 부품을 필요로 한다. 이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품 수를 증대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에서는,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가 리벳이나 핀과 같은 연결요소를 사용해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요소를 사용하는 연결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품 수를 증대시키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용이한 조립을 실현하지 못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에 마련된 연결요소와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마련된 결합요소와의 분리 가능한 연결에 의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각기 다른 형상의 결합요소를 갖춘 다양한 유형의 와이퍼 아암이 당해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는 결합요소의 각각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형상의 연결요소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메이커로서는, 와이퍼 아암의 결합요소 별로 적합한 다양한 연결요소를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하며, 이는 연결유닛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수를 증대시키고 적절한 관리를 어렵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자동차에 설치된 와이퍼 아암의 결합요소에만 적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선택해야 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선택시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에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어 있고 전고가 작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 조립체가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가지면서 적어도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에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고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러버와, 인접한 레버들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용부와, 상기 전후방향에서의 고정을 위한 접촉면 및 지지면과, 상기 전후방향에 수직한 수직방향에서의 고정을 위한 텅을 각각 가진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어댑터에 고정하고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제2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 상기 어댑터 사이의 고정을 해제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소의 지지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지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소의 접촉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소를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 상기 제1 지지돌기로 미는 제1 누름면과,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접촉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 상기 제2 지지돌기로 미는 제2 누름면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소의 텅을 덮는 후드와,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텅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래치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어댑터에 고정할 때 상기 슬라이드 커버를 로킹하는 로킹 래치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킹 래치는 측방의 내측으로 휘어지고 상기 측벽에서 상기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핑거와 상기 핑거의 선단에 형성된 래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래치 돌기가 결합하는 래치 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를 상면에서 볼 때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 홈은 상기 곡면부에 위치한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어댑터에 고정할 때, 상기 래치 돌기는 상기 곡면부의 측방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치 돌기는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만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 돌기는 상기 만곡면에서 상기 래치 홈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측방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걸림 핀을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측벽의 하단에 상기 걸림 핀이 수용되는 핀 홈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 핀이 상기 핀 홈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에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상기 제2 이동방향의 이동이 한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측방의 내측 및 외측으로 휘어지는 탄성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핀은 상기 탄성 아암의 선단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걸림 핀은 상기 핀 홈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과 접촉하는 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3 결합요소는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텅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한 클로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클로가 통과하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통과 홈을 상기 삽입부의 측벽에 구비한다. 상기 걸림 핀이 상기 핀 홈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에 접촉할 때, 상기 제2 누름면은 상기 통과 홈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 떨어져 위치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어댑터에 고정할 때, 상기 걸림 핀은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텅의 상면의 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면과 상기 래치면은 접해 있으며, 서로 직각을 이룬다.
상기 제2 결합요소의 텅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후드는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후드는 상기 제1 결합요소의 텅 또는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제1 텅을 덮고, 상기 제2 후드는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제2 텅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상기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핸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후드는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후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어댑터의 삽입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이 슬라이드 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끼워져 상기 어댑터의 삽입부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지지면은 V자형 노치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지지면은 L자형 노치의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의 제1 지지돌기는 상기 V자형 노치 또는 상기 L자형 노치를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이격된 두 개의 제1 사면을 갖고 상기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에 상기 제1 사면 사이에 마련되는 커넥터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브라켓이 안착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안착면을 분리시키는 단차면과,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면에 인접하게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스냅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단차면 상에 포개지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고 상기 플랜지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스냅슬롯의 각각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제1 레버의 하단 사이에 상기 단차면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단차면은 상기 스냅돌기의 아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2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각각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또는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사면을 갖는 한 쌍의 제3 레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버와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과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을 갖는다. 상기 제3 레버의 단차면은 상기 제2 레버의 단차면보다 작은 각도로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부분 스포일러를 갖춘 레버가 일직선으로 연이어져 레버 조립체를 구성하므로,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고 전고가 작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실현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에서는, 인접한 레버들은 끼워맞춤 돌기와 끼워맞춤 구멍 간의 끼워맞춤에 의해 힌지연결되므로, 용이한 조립이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를 실현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들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는 슬라이드 작용을 이용하여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커넥터 조립체와 와이퍼 아암을 연결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퍼 러버와 스프링 레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와이퍼 러버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3 레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3 레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레버 조립체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26은 레버 조립체의 커넥터 시트와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32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36은 브라켓과 이에 장착된 슬라이드 커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슬라이드 커버 및 브라켓에 어댑터가 조립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8은 조립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슬라이드 커버가 어댑터에 고정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39는 조립된 커넥터 조립체의 종단면도 및 제1 레버의 부분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0은 조립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슬라이드 커버가 어댑터에 해제위치에서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1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 내지 도 44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1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45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2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6 내지 도 48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2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49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3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0 내지 도 52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3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레버 조립체가 와이퍼 러버에 대해 놓인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달리 놓일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길이방향의 내단”은 일 요소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에 가까운 끝을 의미하고, “길이방향의 외단”은 일 요소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으로부터 먼 끝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하는 와이퍼 러버(1100)를 포함하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와,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 조립체(2000)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시키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포함한다.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복수개의 레버로 구성된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는,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면과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을 직접 힌지연결하는 힌지연결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가 연결되면,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은 상기 인접한 레버 중 하나의 내면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부에 은닉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레버 중 하나의 내면은 스포일러부의 내면이고, 상기 인접한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은 레버에 형성된 아암부의 외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1, 2412)와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의 끼워맞춤으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 돌기(2411, 2412)는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은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는 그에 힌지연결된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가 요동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에 폭방향에서 접촉가능한 요소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바람 또는 기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는 반력을 생성하는 스포일러(2600L, 2600R)를 구비하며, 상기 스포일러는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레버 조립체(2000)에 일체로 되어 있다. 스포일러(2600L, 2600R)는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부딪히는 바람 또는 기류에 반작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부상을 방지하는 반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력은 스포일러(2600L, 2600R)를 형성하는 레버 조립체(2000)의 횡단면 윤곽 형상과 바람 또는 기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의 복수개의 레버 중 하나 이상의 레버에는 상기 스포일러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어 있다. 각 레버의 부분 스포일러가 직선으로 연이어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상기 부분 스포일러는 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레버의 폭방향에서는 레버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적어도 하나의 사면(斜面) 또는 한 쌍의 사면(斜面)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사면은 레버의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한다. 레버가 하나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사면의 반대쪽의 레버의 측면은 수직면으로 될 수 있다. 레버가 한 쌍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사면이 레버의 양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로 될 수 있다. 상기 레버를 측면에서 또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사면은 평면,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레버가 하나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직선, 오목 곡선 또는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레버가 한 쌍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레버 조립체(2000)의 폭방향에 있어서 대칭인 한 쌍의 직선, 한 쌍의 오목 곡선 또는 한 쌍의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버를 측면에서 또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사면은 레버의 폭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면은 레버 조립체의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일정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 중 둘 이상은 상기 사면이 형성된 스포일러부와 상기 스포일러부로부터 대략 직선형으로 반대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가진다. 상기 아암부의 말단에 상기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요소인 핑거가 마련된다. 이웃하는 레버들이 상호 연결되면 이들 레버 중 하나의 아암부는 다른 하나의 레버의 스포일러부의 내에 은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양단에 또는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내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또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 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또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와, 제3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제4 레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레버 조립체의 예에 있어서, 제1 레버(2100)는 그 하나의 측면에 부분 스포일러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이격된 두개의 사면을 갖는다. 또는, 제1 레버(2100)는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그 양 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고, 길이방향의 타단부에서 그 양 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는다. 전술한 레버 조립체의 예에 있어서, 제2 내지 제4 레버는 그 일 측면에 하나의 사면 또는 그 양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는다.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200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기초를 구성하는 부품인 브라켓(3100)을 그 위에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시트(2500)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에 마련된다.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하는 안착면(2510)을 구비하고, 브라켓(3100)은 상기 안착면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접촉면(3131, 3132, 3133)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안착면(2510)은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하방으로 오목한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커넥트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에 낮게 위치할 수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작은 전고를 가질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트 시트의 안착면(2510)은 제1 레버(2100)를 평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하는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커넥터 시트(2500)를 제1 레버(2100)와 분리시키는 단차면(2520)을 구비하며, 브라켓은 상기 단차면에 포개지도록 단차면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접촉면(3131, 3132, 313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3130)를 구비한다. 상기 단차면에 상기 플랜지가 맞물려서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안착하므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정확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3100)은 그 일단을 대응하는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에 삽입하는 식으로 커넥터 시트(2500)에 위치설정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그 일단에 삽입슬롯(2531)을 구비하며, 브라켓(3100)은 삽입슬룻(25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41)를 구비한다. 또, 브라켓(3100)은 그 일단이 커넥터 시트(2500)에 삽입된 후 커넥터 시트(2500) 쪽으로 회전되어, 브라켓(3100)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스냅결합에 의해 커넥터 시트(250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그 타단 부근에 폭방향으로 돌출한 스냅돌기(2532)를 가지며, 브라켓(3100)은 스냅돌기(2532)가 스냅결합하는 스냅슬롯(3142)을 구비한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의 길이방향에서 내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과 상기 삽입돌기의 반대쪽의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따라서, 브라켓(3100)은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하는 식으로만 상기 커넥터 시트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켓(3100)은 상기 스냅슬롯에 대응하고 플랜지(313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3134)를 구비한다. 상기 이어부는 브라켓(3100)의 커넥터 시트(2500)에 대한 안착 위치를 한정하며, 브라켓(3100)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조립체(3000)는 말단에 각기 다른 형상의 결합요소를 갖춘 적어도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200, 300, 40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의 결합요소와 커넥터 조립체(3000)는 전후방향에서의 고정, 전후방향에 수직한 수직방향에서의 고정 및 전후방향에 직교하고 수직방향에 수직한 수평방향에서의 고정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커넥터 조립체(3000)는 상기 결합요소와 접촉하는 어댑터(3200)와 어댑터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3300)를 구비한다. 상기 전후방향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로 이동하여, 어댑터(3200)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결합요소를 상기 전후방향에서 협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수직방향에서의 고정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커버(3300)의 일부가 상기 결합요소에 마련된 돌기부를 위에서 덮는 식으로 달성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어댑터(3200)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어댑터(3200)와 상기 결합요소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커넥터 조립체(3000)와 상기 결합요소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와이퍼 러버를 구비하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와, 레버 조립체(20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퍼 아암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3000)를 구비한다.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는 차량의 윈드실드의 표면에 놓이는 와이퍼 스트립 또는 와이퍼 러버(1100)와, 와이퍼 러버(1100)에 끼워져 와이퍼 러버(1100)에 강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레일(1200)을 구비한다.
와이퍼 러버(1100)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와이퍼 러버(1100)는 기다란 바디부(1110)와, 바디부(1110)의 아래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와이퍼립(1120)을 가진다. 또한, 와이퍼 러버(1100)는 바디부(1110)의 각 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줄의 홈(1130, 1140)을 가진다. 제1 홈(1130)은 바디부(1110)의 상면 바로 아래에서 바디부(1110)를 따라 연장한다. 제2 홈(1140)은 제1 홈(1130)의 아래에서 바디부(1110)를 따라 연장한다. 제1 홈(1130)에는 스프링 레일(1200)이 각각 삽입된다. 제2 홈(1140)에는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에 마련된 핑거가 삽입된다. 와이퍼 러버(1100)의 일단 부근에는 바디부(1110)의 상면과 제1 홈(1130)의 사이에 스토퍼(1150)가 돌출해 있고, 스토퍼(1150)에 의해 바디부(1110)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리세스(1160)가 형성된다. 또, 리세스(1160)의 하측에는,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에 마련된 핑거 중 최외측 핑거의 선단이 끼워지는 삽입공(1170)이 제2 홈(1140)의 일단 부근에서 제2 홈(1140) 내에 형성된다. 레버 조립체(2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조립될 때, 상기 최외측 핑거의 선단이 삽입공(1170)에 삽입되고 다른 핑거들의 선단이 제2 홈(1140)에 삽입되어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레버 조립체(2000)에 유지된다.
스프링 레일(1200)(당해 분야에 있어서, 스프링 레일은 버티브라(vertebra)로서 참조될 수 있다)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1 홈(1130)에 각각 끼워진다. 스프링 레일(1200)은 와이퍼 아암에 의해 레버 조립체(2000)를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시킨다. 스프링 레일(120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얇고 기다란 바의 형태를 가진다. 스프링 레일(1200)의 일단에는 노치(1210)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홈(1130) 내에는 노치(1210)에 대응하는 돌기(1180)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 레일(1200)은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될 수도 있다.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즉, 스프링 레일(1200)이 끼워진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하고 와이퍼 아암에 대하여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지지한다. 와이퍼 아암은 그 기단에서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와이퍼 모터의 작동에 의해 왕복회동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레버 조립체(20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통해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와이퍼 아암의 왕복회동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윈드실드의 표면 상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윈드실드의 표면을 닦아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는 길이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2 레버(2200L, 2200R)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레버(2300L, 2300R)를 포함한다. 제1 레버(2100)에는 와이퍼 아암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30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레버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레버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가공하여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기다랗고 속이 빈 형태를 가진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는 이들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거의 틈이 없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 조립체(2000)를 평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의 폭은 제1 레버(2100)의 중앙에서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또한, 레버 조립체(2000)의 폭은 레버 조립체(20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 구간에서는 일정하고,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레버 조립체(2000)를 평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는 그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그 전후 반부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레버 조립체(2000)를 정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는 그 길이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하여 제1 레버(2100)의 상벽을 제외하고는 그 좌우 반부가 대칭이다..
이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2000)는 한 쌍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도 13,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레버 조립체(2000)의 폭방향에 있어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 곡선을 포함한다. 각 스포일러(2600L, 2600R)는 제1 레버(2100),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에 위치하는 부분 스포일러로 이루어진다. 각 레버의 부분 스포일러가 직선으로 연이어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레버(2100)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로 참조되고, 제2 레버(2200L, 2200R)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로 참조되며, 제3 레버(2300L, 2300R)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로 참조된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레버(2100)는 상벽(2110L, 2110R)과 한 쌍의 측벽(2120F, 2120R)을 가진다. 또한, 제1 레버(2100)에는 그 중간에 커넥터 조립체(30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커넥터 시트(2500)가 배치된다.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하측 가장자리는 직선이거나 또는 약간의 곡률로 위로 볼록하다. 또,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측벽(2120F, 2120R)의 높이는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상벽(2110L)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이 상벽(2110R)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보다 높다. 또, 제1 레버(2100)를 상면 또는 저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는 중앙의 폭이 길이방향의 외단에서의 폭보다 좁다. 다른 예의 제1 레버(2100)에서는, 상벽(2110L)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과 상벽(2110R)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의 높이가 동일하다. 또, 제1 레버(2100)의 중앙의 폭이 길이방향의 외단에서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넓다.
제1 레버(2100)는 좌측 및 우측의 측벽에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에서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까지 연장하고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에서는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레버(2100)를 측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측벽은 역 V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제1 레버(2100)에는 제1 사면(2121F, 2121R)에 의해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110L, 2110R)의 폭은 커넥터 시트(2500)로부터 급격히 좁아진 후 일정하다. 제1 사면(2121F, 2121R)은 이러한 상벽(2110L, 2110R)의 폭에 맞추어 오목하다. 따라서, 제1 사면(2121F, 2121R)이 한정하는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제1 레버(2100)는 제2 레버(2200L, 220R)의 일부를 수용하여 은닉시키는 아암수용부(2123)를 가진다. 아암수용부(2123)는 제1 사면(2121F, 2121R) 사이의 공간에 의해 한정된다.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는,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측 가장자리에는 예각으로 하측 가장자리에는 둔각으로 기울어진, 즉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2122)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과 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의 사이에서 제1 레버(2100)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예컨대 후술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기초를 이루는 브라켓(3100)을 그 위에 안착시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되는 안착면(2510)을 구비한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2510)을 제1 레버(2100)와 분리시키는 단차면(2520)을 구비한다. 단차면(2520)은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착면(2510)은 단차면(2520)에 의해 제1 레버의 상벽(2110L, 2110R)보다 낮게 또한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은 안착면(2510) 상에 안착되고 단차면(2520)에 의해 위치설정 및 유지되어 제1 레버(2100)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안착면(2510)은 상벽(2110L, 2110R)으로부터 측벽(2120F, 2120R)으로 소정 깊이로 들어간 형상을 가진다.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안착면(2510)은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단차면(2520)은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안착면(2510)은 상벽(2110L, 2110R) 및 측벽(2120F, 2120R)에 대하여 단차면(2520)을 경계로 하여 분리된다.
안착면(25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2511)과 평탄면(2511)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에서 연장하는 제1 경사면(2512) 및 제2 경사면(2513)으로 이루어진다. 평탄면(2511)은 제1 레버(2100)의 상단(상벽(2100L, 2100R))보다 낮게 위치한다.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은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외단 쪽으로 평탄면(2511)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단차면(2520)은 평탄면(2511)과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측방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측방 가장자리에 접하는 측단차면(2521)과,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상단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상단에 각각 접하는 제1 상단차면(2522) 및 제2 상단차면(2523)으로 이루어진다. 측단차면(2521)은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 상단차면(2522, 2523)은 제1 레버의 상벽(2110L, 2110R)의 최정점보다 하방으로 소정 깊이로 들어가 있고, 측단차면(2521)은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보다 소정 깊이로 들어가 있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단차면(2520)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2524)을 구비한다. 보조단차면(2524)은 측단차면(2521)과 측벽(2120F, 2120R)의 하단 사이에서 제2 경사면(2513)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2120F, 2120R)은 보조단차면(2524)에서 감소된 두께를 가진다.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에 리세스를 가진다. 상기 리세스에는 상기 브라켓의 일부가 삽입되며,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2512)에는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쪽으로 오목한 제1 리세스(2514)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경사면(2513)에는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오목한 한 쌍의 제2 리세스(2515)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251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는 제1 리세스(2514)에 한 쌍의 삽입슬롯(2531)을 구비한다. 삽입슬롯(2531)에는 브라켓(3100)에 마련되는 삽입돌기가 끼워진다. 단차면(2520)에서, 삽입슬롯(2531)에 인접한 제1 상단차면(2522)은 삽입슬롯(2531)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2 상단차면(2523)보다 높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평탄면(2511)의 각 측방 가장자리에 한 쌍의 스냅돌기(2532)를 구비한다. 스냅돌기(2532)는 삽입슬롯(2531)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탄면(2511)에 인접하게 측단차면(2521)에 위치한다. 스냅돌기(2532)는 보조단차면(2524) 위에 위치하며, 안착면(25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스냅돌기(2532)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대응하는 스냅슬롯에 스냅결합하여 커넥터 조립체(3000)를 커넥터 시트(2500)에 고정한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평탄면(2511)에서 돌출한 한 쌍의 위치설정용 릿지(2533)를 구비한다. 위치설정용 릿지(2533)는 보조단차면(2524)과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위치설정용 슬롯에 끼워진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한 쌍의 삽입슬롯(2531) 사이에서 돌출한 삽입돌기(2534)를 구비한다. 삽입돌기(2534)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삽입돌기 사이에 삽입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제1 레버(21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한다. 도 8, 도 9,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2 레버(2200L)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를 가진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조립시, 아암부(2210)는 제1 레버(2100)의 아암수용부(2123) 내에 위치하며, 스포일러부(2220)는 아암부(222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부터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연장한다. 아암부(2210)는 역 U자형 횡단면을 가지고, 스포일러부(2220)는 역 V자형 횡단면을 가진다. 아암부(22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스포일러부(2220)의 하측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 또는 약간의 곡률로 오목한 곡선을 이룬다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의 경계에는,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과 대향하는 단차면(2212)이 형성되어 있고, 단차면(22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의 경사각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2 레버(2200L, 2200R)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즉 스포일러부(222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단부면(2224)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은 단차면(2212) 또는 제1 레버의 단부면(2122)의 경사각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각도로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아암부(221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붙잡기 위한 한 쌍의 핑거(2211)를 구비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를 측면에서 볼 때, 핑거(2211)는 L자 형상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조립 시, 핑거(2211)의 선단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을 따라 제2 홈(1140)에 삽입된다. 핑거(2211)가 와이퍼 러버(1100)에 끼워지면, 핑거(2211)의 위쪽에 있는 아암부(2210)의 하면과 핑거(2211)의 사이에 스프링 레일(1200)과 이에 인접한 와이퍼 러버(1100)의 일부가 협지된다.
스포일러부(2220)는 상벽(2221)과 한 쌍의 측벽(2222F, 2222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220)는 그 측벽에 단차면(2212)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외단까지(즉, 단부면(2224)까지) 연장하고 스포일러부(2220)의 폭방향에서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2 사면(2223F, 2223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220)에는 제2 사면(2223F, 2223R)에 의해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221)의 폭은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단차면(2212))으로부터 길이방향에서의 외단(단부면(2224))까지 대략 일정하다. 제2 사면(2223F, 2223R)이 한정하는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스포일러부(2220)의 폭방향에서(제2 레버(2200L, 2200R)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스포일러부(2220)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를 수용하여 은닉시키는 아암수용부(2225)를 가진다. 아암수용부(2225)는 제2 사면(2223F, 2223R) 사이의 공간에 의해 한정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배향된 복수개의 횡리브(2213)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횡리브(2213)와 교차하는 종리브(2214)를 가진다. 횡리브(2213)와 종리브(2214)는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에 걸쳐 위치하며,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돌출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는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의 내측과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의 외측의 힌지연결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가 연결되면, 제2 레버의 아암부(2210)는 제1 레버(2100)의 측벽(2120F, 2120R) 내측의 아암수용부(2123)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 내에 은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는, 제1 레버(2100)의 아암수용부(2123)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1)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아암부(2210)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1)을 포함한다.
제1 레버(2100)는 그에 힌지연결된 제2 레버(2200L, 2200R)를 요동 없이 제1 레버(2100)에 대하여 유지하도록 좌측 및 우측에 두 쌍의 평평한 접촉면(2126, 2127)을 가진다. 접촉면(2126, 2127)은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에 폭방향에서 접촉가능하다. 접촉면(2126, 2127)은 측벽(2120F, 2120R)의 내면 하단에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며,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융기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2411)는 접촉면(2126)에서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가 연결되면, 아암부(2210)는 각 쌍의 접촉면(2126, 2127) 사이에 삽입된다. 각 쌍의 접촉면 (2126, 2127) 사이의 간격은 아암부(2210)의 폭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끼워맞춤 구멍(2421)은 제2 레버(2200L, 2200R)의 폭방향으로 아암부(2210)의 측부를 관통하여서 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 구멍(2421)은 제1 레버의 단부면(2122)과 끼워맞춤 돌기(2411) 사이의 거리만큼 제2 레버의 단차면(221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2 레버(2200L, 2200R)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한다. 도 8, 도 9,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여, 제3 레버(2200L)에 대해 설명한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를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의 조립시, 아암부(2310)는 제2 레버의 아암수용부(2225) 내에 위치하며, 스포일러부(2320)는 아암부(231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부터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연장한다. 아암부(2310)는 역 U자형 횡단면을 가지고, 스포일러부(2320)는 역 V자형 횡단면을 가진다. 아암부(23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스포일러부(2320)의 하측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을 이룬다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의 경계에는,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과 대향하는 단차면(2312)이 형성되어 있고, 단차면(23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제2 레버의 단부면(2224)의 경사각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붙잡기 위한 두 쌍의 핑거(2324, 2311)를 구비한다. 길이방향 내측의 핑거(2311)는 아암부(2310)의 길이방향의 내단에 형성되어 있다. 핑거(2311)는 제2 레버의 핑거(2211)와 동일한 형상이다. 길이방향 외측의 핑거(2324)는 스포일러부(2320)의 길이방향의 외단 측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핑거(2324)는 스포일러부(2320)의 하측 가장자리에 L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조립 시, 핑거(2311, 2324)의 선단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 내에 삽입된다. 핑거(2324)가 마련된 스포일러부(232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리브(2325)가 형성되어 있고, 핑거(2324)의 선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리브(2325)의 부분이 아래로 돌출하여 압박부(2326)를 형성한다. 레버 조립체(2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조립되면, 압박부(2326)는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의 상면을 하방으로(핑거(2324)의 선단 쪽으로) 압박한다. 또는, 압박부(2326)는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의 상면 상에 거의 틈이 없이 위치한다. 따라서, 핑거(2324)는 압박부(2326)를 통해 와이퍼 러버(1100)를 견고하게 클램핑한다.
스포일러부(2320)는 상벽(2321)과 한 쌍의 측벽(2322F, 2322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320)는 그 측벽에 단차면(2312)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외단까지 연장하고 스포일러부(2320)의 폭방향에서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3 사면(2323F, 2323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320)에는 제3 사면(2323F, 2323R)에 의해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321)의 폭은 그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단차면(2312))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에서의 외단까지 대략 일정하다. 제3 사면(2323F, 2323R)이 한정하는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스포일러부(2320)의 폭방향에서(제3 레버(2300L, 2300R)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한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2 레버(2200L, 2200R)의 제2 사면(2223F, 2223R)의 곡률과 같은 곡률 또는 그로부터 변하는 곡률로 만곡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3 레버(2300L, 2300R)의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에서의 제2 사면(2223F, 2223R)의 곡률보다 큰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R)의 하측 가장자리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에서 서로 근접하여, 제3 레버의 상벽(2310)와 함께 레버 조립체(2000)의 둥근 외단을 형성한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배향된 복수개의 횡리브(2313)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횡리브(2313)와 교차하는 종리브(2314)를 가진다. 횡리브(2313)와 종리브(2314)는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에 걸쳐 위치한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2 레버의 측벽(2222F, 2222R)의 내측과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외 외측의 힌지연결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가 연결되면, 제3 레버의 아암부(2310)는 제2 레버(2200L, 2200R)의 측벽(2222F, 2222R) 내측의 아암수용부(2225)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제2 레버(2200L, 2200R) 내에 은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는, 제2 레버의 스포일러부(2220)의 아암수용부(2225)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2)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돌기(2412)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2)을 포함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그에 힌지연결된 제3 레버(2300L, 2300R)가 요동 없이 제2 레버(2200L, 2200R)에 대하여 유지되도록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폭방향에서의 접촉가능한 두 쌍의 평평한 접촉면(2226, 2227)을 가진다. 접촉면 (2226, 2227)은 제2 레버의 스포일러부(2220)의 내면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며, 제2 레버의 내측으로 융기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2412)는 접촉면(2226)에서 제2 레버의 내측으로 제2 레버의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끼워맞춤 돌기(2412)는 그 선단의 하측에 끼워맞춤 구멍(2422)에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위한 경사면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가 연결되면, 제3 레버의 아암부(2310)는 접촉면(2226, 2227) 사이에 삽입되거나 끼워진다. 각 쌍의 접촉면(2226, 2227) 사이의 간격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의 폭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끼워맞춤 구멍(2422)은 제3 레버(2300L, 2300R)의 폭방향으로 아암부(2310)의 측부를 관통하여서 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 구멍(2422)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과 끼워맞춤 돌기(2412) 사이의 거리만큼 제3 레버의 단차면(231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의 상면과 끼워맞춤 구멍(2422)에는 끼워맞춤 돌기(2412)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24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레버 조립체(2000)의 조립예 및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의 조립예를 설명한다.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한 단부면(2122)과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을 근접시키고,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양방 중 일방을 타방 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제1 레버(2100)의 끼워맞춤 돌기(2411)가 제2 레버(2200F)의 아암부(2210)의 상부를 압박하면서 아암부(2210)의 끼워맞춤 구멍(2421)으로 진입한다. 이어서, 끼워맞춤 돌기(2411)가 끼워맞춤 구멍(2421)에 스냅결합식으로 끼워맞춤되어,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R)가 힌지연결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R)가 연결되면,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의 끼워맞춤 구멍(2421)의 주변 부분 및 그보다 내측 부분은 접촉면(2126)의 사이 및 접촉면(2127)의 사이에 협지된다. 제2 레버(2200R)와 제3 레버(2300R)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제2 레버의 단부면(2224)과 제3 레버(2300R)의 단차면(2312)을 근접시키고, 제2 레버와 제3 레버의 양방 중 일방을 타방 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제2 레버(2200R)의 끼워맞춤 돌기(2412)가 제3 레버(2300R)의 아암부(2310)의 끼워맞춤 구멍(2422)에 스냅결합식으로 끼워맞춤되어 제2 레버(2200R)와 제3 레버(2300R)가 힌지연결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사이의 힌지연결, 제2 레버(2200L)와 제3 레버(2300L) 사이의 힌지연결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핑거(2324, 2311)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핑거(2211)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조립된다. 예컨대, 와이퍼 러버의 제2 홈(1140)에 제3 레버(2300R)의 핑거(2324, 2311), 제2 레버(2200R)의 핑거(2211), 제2 레버(2200L)의 핑거(2211), 제3 레버(2300L)의 핑거(2311, 2324)를 차례로 삽입하면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레버 조립체(2000)를 따라 슬라이드시킨다. 제3 레버(2300R)의 핑거(2324)의 선단이 삽입공(1170)에 끼워지면,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레버 조립체(2000)에 고정된다.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200)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레버 조립체(2000)는 핑거(2324, 2311)와 핑거(2211)를 매개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6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고 지지한다. 또한, 중앙 레버(2100),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는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고, 와이퍼 러버(1100)로부터 동일 높이로 위치한다. 또한,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100)에서는, 제1 레버의 제1 사면(2121F, 2121R), 제2 레버의 제2 사면(2223F, 2223R) 및 제3 레버의 제3 사면(2323F, 2323R)이 직선으로 연이어져 횡단면 윤곽 형상이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하고 높이치수가 감소하는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 및 단부면(2224), 그리고 제3 레버(2300L, 2300R)의 단차면(23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레버 조립체(200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과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의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이 있고,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과 제3 레버(2300L, 2300R)의 단차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이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1 레버(2100)의 상방으로 약간만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하방을 향하는 부하가 가해질 때,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윈드실드에 강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레버의 단차면(2212)은 제1 레버의 단부면(2122)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제3 레버의 단차면(2312)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하방으로 부하가 가해질 때,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양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크기가 아니라, 거의 균등한 크기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이음부를 구성하는 끼워맞춤 돌기(2411, 2412)는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배치될 수 있고,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은 제1 레버의 아암수용부(2123)와 제2 레버의 아암수용부(2225)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전술한 구성의 힌지이음부를 이용하여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4개의 압력점, 8개의 압력점 또는 그 이상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4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는 제1 레버(2100)와 이에 전술한 힌지이음부로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레버(2300L, 2300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8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2000)는,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사이 또는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의 사이에 제2 레버(2200L, 2200R)와 유사한 형상 및 구조의 추가의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를 구비하는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통해 적어도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상기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은 그 말단에 각기 다른 형상의 결합요소를 갖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세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은 제1 내지 제3 와이퍼 아암으로 각각 참조되고, 이들의 말단에 구비된 결합요소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로 각각 참조된다. 커넥터 조립체(30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 접촉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는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과, 상기 전후방향(FRD)에 수직한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과, 상기 전후방향(FRD)에 직교하고 상기 수직방향(VD)에 수직한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후방향(FRD)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전후방향에서의 고정 및 상기 수직방향에서의 고정을 달성한다.
도 4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1 와이퍼 아암(200)은 그 말단에 제1 결합요소(210)를 구비한다. 제1 결합요소(21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11)를 구비한다. 수용부(211)는 상판(212)과 상판(21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213F, 213R)에 의해 한정된다. 제1 결합요소(210)는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한 접촉면(214) 및 지지면(215)을 가진다. 접촉면(214)과 지지면(215)은 전후방향(FRD)에서 이격되어 있다. 제1 결합요소(210)의 접촉면(214)은 상판(212)의 전단면의 일부 및 측판(213F, 213R)의 전단면을 포함한다. 제1 결합요소(210))의 지지면(215)은 측판(213F, 213R)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측판(213F, 213R)의 후단에는 V자형 노치(217F, 217R)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요소(210)의 지지면(215)은 V자형 노치(217F, 217R)의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요소(210)는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한 텅(216)을 구비한다. 텅(216)은 상판(211)의 선단에서 L자형으로 연장한다. 제1 결합요소(210)의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에는 측판(213F, 213R)의 내면이 관여한다. 제1 결합요소(210)와 커넥터 조립체(3000)가 연결되면, 상판(212)은 그 하면에서 상기 어댑터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대면하게 되고, 측판(213F, 213R)은 그 내면에서 상기 어댑터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대면하게 된다.
도 4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2 와이퍼 아암(300)은 그 말단에 제2 결합요소(310)를 구비한다. 제2 결합요소(31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311)를 구비한다. 수용부(311)는 상판(312)과 상판(31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313F, 313R)에 의해 한정된다. 제2 결합요소(310)는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한 접촉면(314) 및 지지면(315)을 가진다. 접촉면(314)과 지지면(315)은 전후방향(FRD)에서 이격되어 있다. 제2 결합요소(310)의 접촉면(314)은 상판(312)의 전단면의 일부 및 측판(313F, 313R)의 전단면을 포함한다. 제2 결합요소(310))의 지지면(315)은 측판(313F, 313R)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측판(313F, 313R)의 후단에는 L자형 노치(318F, 318R)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요소(310)의 지지면(315)은 L자형 노치(318F, 318R)의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2 결합요소(310)는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한 제1 텅(316)과 제2 텅(317)을 구비한다. 제1 텅(316)은 상판(312)의 선단에서 L자형으로 연장한다. 제2 텅(317)은 제1 텅(316)과 전후방향(FRD)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상판(312)에 형성된 개구(319)의 후방 가장자리에서 L자형으로 연장한다. 제2 결합요소(310)의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에는 측판(313F, 313R)의 내면이 관여한다. 제2 결합요소(310)와 커넥터 조립체(3000)가 연결되면, 상판(312)은 그 하면에서 상기 어댑터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대면하게 되고, 측판(313F, 313R)은 그 내면에서 상기 어댑터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대면하게 된다.
도 4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3 와이퍼 아암(400)은 그 말단에 제3 결합요소(410)를 구비한다. 제3 결합요소(41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411)를 구비한다. 수용부(411)는 상판(412)과 상판(41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413F, 413R)에 의해 한정된다. 제3 결합요소(410)는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한 요소로서, 각 측판(413F, 413R)의 하단에서 측방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텅(416F, 416R)과, 각 텅(416F, 416R)의 전단에서 수용부(411)의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클로(417)를 가진다.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한 제3 결합요소(410)의 접촉면(414)은 텅(416F, 416R)의 전단면을 포함한다.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해 접촉면(414)과 이격된 제3 결합요소(410)의 지지면(415)은 텅(416F, 416R)의 후단면을 포함한다. 제3 결합요소(410)의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에는 측판(413F, 413R)의 내면이 관여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21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커넥터 조립체(3000) 및 이를 구성하는 부품을 설명한다.
커넥터 조립체(3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를 전술한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3000)는 레버 조립체(2000)의 제1 레버(2100)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250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라켓(3100)과, 브라켓(3100)에 마련된 축요소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3200)와, 어댑터(3200)에 커넥터 조립체(3000) 또는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3300)를 구비한다. 어댑터(3200)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를 지지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에 대하여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로 진입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를 어댑터(3200)에 고정하고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후퇴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와 어댑터(320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어댑터(320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1 이동방향(MD1)과 제2 이동방향(MD2)은 서로 상반하는, 즉 180도를 이루는 방향이며,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기초로서 기능하며 어댑터(3200)와 슬라이드 커버(3300)를 지지한다. 브라켓(3100)은 제1 레버(2100)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2500)에, 그 길이방향의 일단을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삽입하고 그 길이방향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길이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스냅결합하는 식으로 결합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 상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1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부(3111)와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서 평탄부(3111)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1 경사부(3112) 및 제2 경사부(3113)를 가진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110)는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대략 L자형으로 연장하는 제1 절곡부(3114)와,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일단의 반대쪽에 있는 타단에서 평탄부(3111)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연장하는 제2 절곡부(3115)를 가진다. 따라서, 브라켓(3100)을 정면에서 볼 때, 베이스 플레이트(3110)는 기다란 U자형을 가진다. 평탄부(3111)가 제1 및 제2 절곡부(3114, 3115)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어댑터(3200)와 슬라이드 커버(3300)는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곡부(3114)의 상면은 평탄부(3111)에 대하여 2 절곡부(3115)의 상면보다 높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안착면(2510)과 접촉하는 접촉면(3121, 3122, 3123)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베이스 플레이트(3110)의 평탄부(3111)의 하면을 형성하는 평탄면(3121)과, 베이스 플레이트(3110)의 제1 및 제2 경사부(3112, 3113)의 외면을 형성하는 경사면(3122, 3123)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21)이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의 평탄면(2511)과 면접촉하고, 상기 접촉면의 경사면(3112, 3113)은 안착면(2510)의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2)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접촉면(3121, 3122, 312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3130)를 구비한다.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플랜지(3130)는 단차면(2520) 상에 포개지거나 단차면(2520)의 전체 또는 일부와 접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3130)는 상기 단차면의 측단차면(2521)과 포개지는 측플랜지(3131)와, 상기 단차면의 제1 상단차면(2522)과 포개지는 제1 상플랜지(3132)와, 상기 단차면의 제2 상단차면(2523)과 포개지는 제2 상플랜지(3133)을 가진다. 측플랜지(3131)는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21) 및 경사면(3122, 3122)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측단차면(2521)의 돌출 높이 정도로 돌출한다. 제1 및 제2 상플랜지(3132, 3133)는 제1 절곡부(3114)의 길이방향의 외단 및 제2 절곡부(3115)의 길이방향의 외단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상단차면(2522, 2523)의 돌출 거리 정도로 돌출한다.
브라켓(3100)은 레버 조립체(2000)의 커넥터 시트(2500)에 삽입 및 회전에 의해 결합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41)와, 커넥터 시트(2500)의 스냅돌기(2532)가 스냅결합하는 스냅슬롯(3142)를 가진다. 또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대한 위치설정을 위해 위치설정용 슬롯(3143)을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10)는 커넥터 시트의 제1 리세스(2514)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3144)와 커넥터 시트의 제2 리세스(2515)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3145)를 가진다. 제1 삽입부(3144)는 제1 절곡부(3114)로부터 제1 경사부(3112)를 지나 돌출하는 한 쌍의 핀(fin)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부(3144)의 선단에 삽입돌기(314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3100)을 정면에서 볼 때 삽입돌기(3141)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삽입부(3144)를 구성하는 상기 핀의 사이에, 커넥터 시트의 삽입돌기(2534)가 끼워지는 삽입슬롯(314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부(3145)는 제2 절곡부(3115)로부터 제2 경사부(3113)를 지나 돌출하는 한 쌍의 핀(fin)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냅슬롯(3142)은 측플랜지(3131)의 표면에 베이스 플레이트(3110)의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21)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스냅슬롯(3142)의 길이는 커넥터 시트(2500)의 한 쌍의 스냅돌기(2532) 간의 거리보다 길다. 스냅슬롯(3142)의 하방의 측플랜지(3131)의 일부(스냅슬롯(3142)에 대향하는 측플랜지(3131)의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플랜지(3130)는 한 쌍의 이어부(3134)(ear portion)를 구비한다. 플랜지의 이어부(3134)는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에 형성된 보조단차면(25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 회동시킬 때, 스냅돌기(2532)는 이어부(3134)를 지나 스냅슬롯(3142)에 스냅결합한다. 위치설정용 슬롯(3143)은 베이스 플레이트(3110)의 평탄부(3111)에 평탄부(31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 회전시키면, 커넥터 시트의 위치설정용 릿지(2533)가 브라켓(3100)의 위치설정용 슬롯(3143)에 삽입되거나 끼워진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할 때, 먼저 삽입돌기(3141)가 위치하는 브라켓(3100)의 일단을 그 타단보다 낮게 하고 브라켓의 삽입돌기(3141)를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한다. 제1 절곡부(3114)에 위치한 제1 삽입부(3144)가 커넥터 시트의 제1 리세스(2514)의 벽면에 접촉하면 삽입이 완료한다. 삽입이 완료하면, 브라켓의 삽입돌기(3141)는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되어 있고, 커넥터 시트의 삽입돌기(2534)는 브라켓의 삽입슬롯(3146)에 삽입되어 있다. 이후, 삽입돌기(3141)를 중심으로 하여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 쪽으로 회전시킨다. 브라켓(3100)의 회전에 따라, 스냅돌기(2532)가 스냅슬롯(3142)에 스냅결합하고 위치설정용 릿지(2533)가 위치설정용 슬롯(3143)에 삽입되며, 제2 삽입부(3145)는 제2 리세스(2515)에 끼워진다.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브라켓(3100)의 플랜지(3130)는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 상에 포개지고, 플랜지(3130)의 이어부(3134)는 보조단차면(2524)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플랜지(3130)의 이어부(3134)와 커넥터 시트(2500)의 보조단차면(2524)을 대응시킴으로써, 브라켓(3100)의 커넥터 시트(2500)에 대한 결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이어부(3134)는 보조단차면(2524)의 위에서 브라켓(3100)의 외부로 돌출한다. 따라서,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부터 분리시킬 때 이어부(3134)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 수 있는 부분 또는 임의의 공구가 보조단차면(2524)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 및 커넥터 조립체(3000)에 있어서, 제1 상단차면(2522)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과 제2 상단차면(2523)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사이의 거리는, 삽입돌기(3141)의 선단과 삽입돌기(3141)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상플랜지(3132)의 길이방향의 외단의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또한, 단차면(2520)의 제1 상단차면(2522)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이 제2 상단차면(2523)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보다 제1 레버(2100)의 하단에 대하여 높다. 따라서, 브라켓(3100)의 제2 삽입부(3145)를 제2 리세스(2515)에 삽입하고 제2 상플랜지(3132)를 제2 상단차면(2523)과 접촉시키는 것으로는,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커네터 시트(2500)에의 브라켓(310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브라켓(3100)은 어댑터(3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3151)을 구비한다. 회전축(3151)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탄부(3111)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지지벽(3152)의 상단에 위치하며, 레버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회전축(3151)은 지지벽(3152)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회전축(3151)의 양단은 그 둘레방향으로 둥글게 모따기되어 있다. 회전축(3151)은 어댑터(3200)의 회전중심으로 기능한다. 지지벽(3152)은 브라켓(3100)을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을 취한다. 따라서, 지지벽(3152)의 전방부와 후방부는 평탄부(3111) 쪽으로 경사하고 있다. 지지벽(3152)의 양 측면에는, 리세스(3153F, 3153R)가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3153F, 3153R)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걸림 핀이 수용되어 걸림 핀과 지지벽(3152)과 간섭을 방지한다.
어댑터(3200)는 브라켓(3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어댑터(3200)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수용부(211, 311, 411)에 삽입되는 삽입부(3210)를 구비한다. 삽입부(3210)는 한 쌍의 측벽(3211F, 3211R)과, 측벽(3211F, 3211R)을 서로 연결하는 상벽(3212)을 구비한다. 측벽(3211F, 3211R) 사이에 브라켓의 회전축(3151)과 지지벽(3152)의 일부가 삽입된다.
각 측벽(3211F, 3211R)에는 브라켓의 회전축(3151)의 양단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베어링홀(3213F, 3213R)이 측벽을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베어링홀(3213F, 3213R)은 측벽(3211F, 3211R)을 관통하지 않는 깊이로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3200)는 회전축(3151)이 결합되는 측벽(3211F, 3211R)에 의해 브라켓(3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어댑터(3200)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고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3300)의 일부가 어댑터(3200)의 측벽(3211F, 3211R) 및 상벽(3212)이 한정하는 공간 내에 위치하여, 슬라이드 커버(3300)는 레버 조립체(2000) 또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이동방향(MD1)과 제1 이동방향(MD1)과 180도로 반대되는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로 또한 어댑터(320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어댑터(320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3221F, 3221R)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3221F, 3221R)은 각 측벽(3211F, 3211R)의 내면에서 돌출하며 어댑터(3200)의 길이방향(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한정하기 위해, 어댑터(3200)는 한 쌍의 로킹 래치(3222F, 3222R)와 한 쌍의 핀 홈(3226F, 3226R)과 한 쌍의 스토퍼(3227F, 3227R)를 구비한다. 로킹 래치(3222F, 3222R)는 각 측벽(3211F, 3211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에서 제2 이동방향(MD2)으로 연장한다. 로킹 래치(3222F, 3222R)는 각 측벽(3211F, 3211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 연장하는 기다란 핑거(3223)와 핑거(3223)의 선단에 형성된 래치 돌기(3224)를 구비한다. 핑거(3223)는 측벽(3211F, 3211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일단에서 연장하는 기다란 바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핑거(3223)는 어댑터(3200)의 측방에서의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핑거(3223)의 탄성 휨을 보조하기 위해, 측벽(3211F, 3211R)의 상단의 일부가 절결되어 슬롯(3214)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에 제1 이동방향(MD1)에서 이동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를 어댑터(3200)에 고정하면, 로킹 래치(3222F, 3222R)는 래치 돌기(3224)에서 슬라이드 커버(3300)의 래치 홈과 결합하여 슬라이드 커버(3300)를 어댑터(3200)에 로킹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3200)를 평면에서 볼 때, 래치 돌기(3224)는 핑거(3223)에 대하여 어댑터(3200)의 측방에서의 외측으로 각도(θ)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래치 돌기(3224)는 그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에 오목한 만곡면(3225)을 구비한다. 래치 돌기(3224)의 만곡면(3225)이 상기 래치 홈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에 접촉한다. 핀 홈(3226F, 3226R)은 각 측벽(3211F, 3211R)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핀 홈(3226F, 3226R)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걸림 핀이 위치한다. 스토퍼(3227F, 3227R)는 핀 홈(3226F, 3227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227F, 3227R)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연결 러그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표면이 접촉하여,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이동을 한정한다.
어댑터(3200)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에 대한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위치설정부를 구비한다. 어댑터(3200)는 삽입부(3210)에 전방 리세스(3231)와, 후방 리세스(3232)와, 한 쌍의 통과 홈(3233F, 3233R)을 구비한다. 전방 리세스(3231)는 상벽(3212)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요소(210) 또는 제2 결합요소(310)와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3200)의 연결시, 제1 리세스(3211)에 제1 결합요소(210)의 텅(216) 또는 제2 결합요소(310)의 제1 텅(316)이 수용된다. 후방 리세스(3232)는 상벽(3212)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상기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단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단부)에서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요소(310)와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3200)의 연결시, 제2 결합요소(310)의 제2 텅(317)은 후방 리세스(3232)에 위치한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에 결합되면,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2 후드가 후방 리세스(3232) 내에 위치한다. 통과 홈(3233F, 3233R)은 각 측벽(3211F, 3211R)의 외면에서 측벽(3211F, 3211R)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한다. 통과 홈(3233F, 3233R)은 베어링홀(3213F, 3213R)과 겹치며, 베어링홀(3213F, 3213R)은 그 일부가 통과 홈(3233F, 3233R) 내에 위치한다.
어댑터(3200)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지지면(215, 315, 415)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어댑터(3200)는 제1 및 제2 결합요소(210, 310)의 지지면(215, 315, 415)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돌기(3241F, 3241R)을 구비한다.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는 삽입부(3210)이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 즉 각 측벽(3211F, 3211R)의 후단에서 측방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어댑터(32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는 삼각형을 가진다.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는 제1 결합요소(210)의 V자형 노치(217F, 217R) 또는 제2 결합요소(310)의 L자형 노치(318F, 318R)에 끼워지며, 이들을 제2 이동방향(MD2)으로 지지한다. 제1 지지돌기(3241F, 3241R)가 측벽(3211F, 3211R)의 후단에 위치하므로, 제1 결합요소(210) 또는 제2 결합요소(310)는 어댑터(3200)의 측벽(3211F, 3211R)의 후방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어댑터(3200)는 제3 결합요소(410)의 지지면(415)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돌기(3242F, 3242R)를 구비한다. 제2 지지돌기(3242F, 3242R)는 삽입부(3210)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 즉 각 측벽(3211F, 3211R)의 후단에 위치하며, 측벽(3211F, 3211R)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측방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제3 결합요소(410)와 커넥터 조립체(3000)가 연결되면, 제3 결합요소의 텅(416F, 416R)의 후단면에 위치하는 지지면(415)이 제2 지지돌기(3242F, 3242R)와 접촉하여, 제2 지지돌기(3242F, 3242R)가 제3 결합요소의 지지면(415)을 제2 이동방향(MD2)으로 지지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에 제1 이동방향(MD1)과 제2 이동방향(MD2)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3300)의 일부가 브라켓(3100)의 지지벽(3152)과 어댑터(3200) 사이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회전축(3151)과 어댑터(3200)에 의해 유지되면서 어댑터(3200)에 대하여 제1 이동방향(MD1)과 제2 이동방향(MD2)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이동방향(MD1)으로 어댑터(3200)로 슬라이드 되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를 어댑터(3200)에 고정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2 이동방향(MD2)으로 슬라이드 되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와 어댑터(3200)는 분리될 수 있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더(3310)를 구비한다. 슬라이더(3310)는 한 쌍의 측벽(3311F, 3311R)과 측벽(3311F, 3311R)의 상단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3312)을 가진다. 또, 슬라이드 커버(3300)는 슬라이더(3310)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으로 연장하는 핸들(3320)을 구비한다. 핸들(3320)은 판상의 핸들 바디(3321)를 가지며, 핸들 바디(3321)는 한 쌍의 연결 레그(3322F, 3322R)에 의해 슬라이더(3310)와 일체로 되어 있다. 핸들 바디(3321)는 그 양측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오목한 곡면부(3323F, 3323R)를 가진다. 곡면부(3323F, 3323R)는 슬라이드 커버(3300)를 상면에서 볼 때 내측으로 오목하다. 또, 핸들 바디(3321)는 그 측면에 한 쌍의 래치 홈(3324F, 3324R)을 가지며, 래치 홈(3324F, 3324R)은 곡면부(3323F, 3323R)에 위치한다. 래치 홈(3324F, 3324R)은 핸들 바디(332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3200)의 로킹 래치(3222F, 3222R)의 래치 돌기(3224)가 래치 홈(3324F, 3324R)에 걸린다.
슬라이더(3310)는 그 측벽(3311F, 3311R)의 하단에서 측벽(3311F, 3311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을 지나 연장하는 한 쌍의 연결 러그(3313F, 3313R)를 가진다. 연결 레그(3322F, 3322R)는 핸들 바디(3321)의 측면과 연결 러그(3313F, 3313R)의 측면을 연결한다. 핸들 바디(3321)의 상면은 슬라이더(3310)의 상벽(3312)보다 높게 위치한다. 연결 레그(3322F, 3322R)는 연결 러그(3313F, 3313R)에 의해 슬라이더의 측벽(3311F, 3311R)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레그(3322F, 3322R)와 측벽(3311F, 3311R) 사이에는 삽입공간(3325)이 한정되며, 이 삽입공간(3325)을 통해 어댑터(3200)의 로킹 래치(3222F, 3222R)가 핸들(3320) 쪽으로 삽입된다. 연결 러그(3313F)의 전방 하부는 하방으로 돌출하여 쐐기형 돌기(3315)를 형성한다. 연결 러그(3313F, 3313R)의 제1 이동방향(MD1)의 단부면(3314)은 어댑터(3200)의 스토퍼(3227F, 3227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과 접촉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슬라이더의 측벽(3311F, 3311R)의 중간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 슬롯(3331F, 3331R)과, 각 측벽(3311F, 3311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에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3332F, 3332R)을 구비한다. 슬라이드 슬롯(3331F, 3331R)은 측벽(3311F, 3311R)을 관통해 형성되어 있고, 일직선으로 연장한다. 슬라이드 슬롯(3331F, 3331R)에 브라켓의 회전축(3151)의 양단이 각각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310)는 회전축(3151)이 슬라이드 슬롯(3331F, 3331R)에 끼워져 어댑터의 삽입부3210) 내측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레일(3332F)은 측벽(3311F)의 외면에서 돌출하고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서 연장한다. 슬라이드 레일(3332R)은 측벽(3311R)의 외면에서 돌출하고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서 연장한다. 슬라이드 레일(3332F)의 사이에 어댑터의 가이드 레일(3231F)이 삽입되고, 슬라이드 레일(3332R)의 사이에 어댑터의 가이드 레일(3231R)이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커버(3300)는, 브라켓의 회전축(3151)이 슬라이드 슬롯(3331F, 3331R)에 끼워지고 어댑터의 가이드 레일(3221F, 3221R)이 슬라이드 레일(3332F, 3332R)에 삽입된 상태로, 어댑터(3200)의 길이방향(제1 이동방향(MD1) 및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를 따라 슬라이동 가능하다.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접촉면에 접촉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밀거나 가압하는 누름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결합요소(210)의 접촉면(214) 또는 제2 결합요소(310)의 접촉면(314)에 접촉하여, 제1 결합요소 또는 제2 결합요소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미는 제1 누름면(3341F, 3341R)과, 제3 결합요소(410)의 접촉면(414)에 접촉하여 제3 결합요소(410)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미는 제2 누름면(3342F, 3342R)을 구비한다. 제1 누름면(3341F, 3341R)은 핸들 바디(3211)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이동하면, 제1 누름면(3341F, 3341R)은 제1 결합요소(210)의 접촉면(214) 또는 제2 결합요소(310)의 접촉면(314)에 접촉하여, 제1 결합요소(210) 또는 제2 결합요소(310)를 어댑터(3200) 쪽으로(제1 지지돌기(3241F, 3241R) 쪽으로) 밀거나 누른다. 제2 누름면(3342F, 3342R)은 연결러그(3313F, 3313R)의 쐐기형 돌기(3315)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이동하면, 제2 누름면(3342F, 3342R)은 제3 결합요소(410)의 텅(416F, 416R)의 전단에 위치한 접촉면(414)에 접촉하여, 제3 결합요소(410)를 제2 지지돌기(3242F, 3242R) 쪽으로 민다.
제1 및 제2 결합요소(210, 310)의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결합요소의 텅(216) 또는 제2 결합요소의 제1 및 제2 텅(316, 317)을 덮는 후드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결합요소(210)의 텅(216) 또는 제2 결합요소(310)의 제1 텅(316)을 덮는 제1 후드(3343)와, 제1 후드(3343)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이격되어 있고 제2 결합요소(310)의 제2 텅(317)을 덮는 제2 후드(3344)를 구비한다. 제1 후드(3343)는 핸들 바디(3321)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면과 핸들 바디(3321)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정면에서 볼 때 L자형을 가진다. 제2 후드(3344)는 슬라이더의 상벽(3312)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정면에서 볼 때 L자형을 가진다. 제1 결합요소(210)와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3200)의 연결 시,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으로 이동하면, 제1 후드(3343)는 제1 결합요소(210)의 텅(216)을 덮는다. 제2 결합요소(310)와 커넥터 조립체(3000)의 연결 시,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으로 이동하면, 제1 후드(3343) 및 제2 후드(3344)는 제2 결합요소(310)의 제1 및 제2 텅(316, 317)을 각각 덮는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결합요소(210, 310)를 어댑터(3300)에 고정할 때, 상기 후드와 상기 텅은 약간의 틈을 두고서 위치할 수도 있고 접촉할 수도 있다.
제3 결합요소(410)의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3 결합요소의 텅(416F, 416R)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래치면(3345F, 3345R)을 구비한다. 래치면(3345F, 3345R)은 제2 누름면(3342F, 3342R)에 접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래치면(3345F, 3345R)은 연결 러그(3313F, 3313R)의 쐐기형 돌기(3315)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표면(제2 누름면(3342F, 3342R)과 연결 러그(3313F, 3313R)의 단부면(3314) 사이에 있는 연결 러그(3313F, 3313R)의 하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누름면(3342F, 3342R)과 래치면(3345F, 3345R)은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정면에서 볼 때 L자형, 즉 직각을 이룬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으로 이동하여 제3 결합요소(410)를 어댑터(3300)에 고정할 때, 래치면(3345F, 3345R)은 제3 결합요소의 텅(416F, 416R)의 접촉면(414)의 후방에 위치하는 텅(416F, 416R)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다. 따라서, 제3 결합요소의 텅(416F, 416R)의 상면이 래치면(3345F, 3345R)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이 달성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2 이동방향(MD2)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드 커버(3300)의 일부가 어댑터(3200)의 일부에 걸려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저지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의 핀 홈(3226F, 3226R)에 수용되는 한 쌍의 걸림 핀(3351F, 3351R)을 구비한다. 걸림 핀(3351F, 3351R)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에 끼워지면 핀 홈(3226F, 3226R) 내에 놓이도록 마련되어 있다. 걸림핀(3351F, 3351R)은 슬라이더(3310)의 측방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의 측벽(3311F, 3311R)의 하단부가 하단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절결되어 탄성 아암(3353F, 3353R)을 형성한다. 따라서, 탄성 아암(3353F, 3353R)은 측벽(3311F, 3311R)의 측방의 내측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걸림 핀(3351F, 3351R)은 탄성 아암(3353F, 3353R)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측벽(3311F, 3311R)의 측방 외측으로 돌출한다. 탄성 아암(3353F, 3353R)이 측벽(3311F, 3311R)의 내측 및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걸림 핀(3351F, 3351R)은 측벽(3311F, 3311R)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고, 탄성 아암(3353F, 3353R)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걸림 핀(3351F, 3351R)은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면에 사면(3352)을 구비한다. 걸림 핀(3351F, 3351R)은 사면(3352)에서 핀 홈(3226F, 3226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과 접촉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으로 이동하면, 사면(3352)과 핀 홈(3226F, 3226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이 접촉하며, 탄성 아암(3353F, 3353R)이 측벽(3311F, 3311R)의 내측으로 휘어져 걸림 핀(3351F, 3351R)이 측벽(3311F, 3311R)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로부터 제1 이동방향(MD2)으로 이동하면, 측벽(3311F, 3311R)의 내측으로 들어간 걸림 핀(3351F, 3351R)이 탄성 아암(3353F, 3353R)의 복원력에 의해 측벽(3311F, 3311R)의 측방 외측으로 돌출하여, 제3 결합요소의 텅(416F, 416R)의 상면의 위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슬라이더(3310)의 측벽(3311F, 3311R)을 브라켓(3100)의 회전축(3151) 위에 놓고 슬라이드 커버(3310)를 브라켓(3100) 쪽으로 누름으로써 브라켓(3100)에 결합된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300)가 브라켓(3100)에 장착되면, 브라켓의 회전축(3151)은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드 슬롯(3331F, 3331R)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슬라이드 슬롯(3331F, 3331R)의 길이가 한정하는 범위 내에서 제1 이동방향(MD1)과 제2 이동방향(MD2)으로 브라켓(3100)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어댑터(3200)는 슬라이드 커버(3300) 위에 위치하는 식으로 브라켓의 회전축(3151)과 결합된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3200)의 로킹 래치(3222F, 3222R)를 슬라이드 커버(3300)의 삽입공간(3325)에 삽입하면서, 어댑터(3200)를 슬라이드 커버(3300) 쪽으로 누른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슬롯(3331F, 3331R)의 측방으로 돌출한 브라켓의 회전축(3151)의 양단부가 어댑터의 베어링홀(3213F, 3213R)에 끼워맞춤되면,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3200)가 브라켓(3100)에 장착된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에 고정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위치는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로 이동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를 어댑터(3200)에 고정하는 위치이다. 상기 고정위치에서는, 로킹 래치(3222F, 3222R)의 래치 돌기(3224)는 슬라이드 커버의 래치 홈(3344F, 3344R)에 끼워져 있고, 걸림 핀(3351F, 3351R)은 어댑터의 핀 홈(3226F, 3226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에 인접해 있다. 상기 고정위치에서는, 래치 돌기(3224)가 그 만곡면(3225)에서 래치 홈(3344F, 3344R)의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과 접촉하므로, 래치 돌기(3224)가 래치 홈(3344F, 3344R)에 완전히 끼워지지 않아도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에 로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위치에서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상면에서 볼 때, 래치 돌기(3224)가 슬라이드 커버(3300)의 핸들(3320)에 형성된 곡면부(3323F, 3323R)로부터 측방의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래치 돌기(3224)를 안쪽으로 눌러서 로킹 래치(3222F, 3222R)를 안쪽으로 변형시키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이동가능하다. 도 40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로부터 이동되어 어댑터(3200)에 해제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상기 해제위치는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에서 최대로 이동된 위치이다. 상기 해제위치에서는, 걸림 핀(3351F, 3351R)은 핀 홈(3226F, 3226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에 접촉해 있고, 걸림 핀(3351F, 3351R)의 선단은 어댑터(3200)의 측벽(3211F, 3211R)의 외측으로 거의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이동이 한정된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30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해제위치에서는, 제2 누름면(3342F, 3342R)이 통과 홈(3233F, 3233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가장자리보다 제2 이동방향(MD2)에서 떨어져 위치한다.
도 42 내지 도 44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1 와이퍼 아암(2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300)를 어댑터(3200)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에서 이동시켜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고정위치에 유지된 슬라이드 커버(3300)는 래치 돌기(3224)를 내측으로 누르면 래치 돌기(3224)가 래치 홈(3344F, 3344R)으로부터 빠지게 되며, 그러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2 이동방향(MD2)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1 결합요소(210)의 수용부(211)에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를 삽입한다. 이 때,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는 제1 결합요소(210)의 지지면(215)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약간의 틈을 두고 위치하거나 지지면(215)과 접촉할 수 있다. 삽입부(3210)가 완전히 삽입되면,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3210)의 상벽(3212)은 제1 결합요소(210)의 상판(212)의 하면과 접촉하고, 삽입부(3210)의 측벽(3211F, 3211R)은 제1 결합요소(210)의 측판(213F, 213R)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거의 틈이 없이 대면한다. 또한, 제1 결합요소(210)의 텅(216)은 어댑터(3200)의 전방 리세스(3231)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는 V자형 노치(217F, 217R)에 끼워지거나 V자형 노치(217F, 217R)와 약간의 틈을 두고 대면한다. 이후, 제1 결합요소(210)와 어댑터(3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커버의 제1 후드(3343)가 제1 결합요소(210)의 텅(216) 위에 위치하게 되고, 슬라이드 커버의 제1 누름면(3341F, 3341R)이 제1 결합요소(210)의 접촉면(214)과 접촉하게 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더욱 더 슬라이드 이동되면,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누름면(3341F, 3341R)과 접촉면(214)을 통해 제1 결합요소(210)를 제1 지지돌기(3241F, 3241R) 쪽으로 밀어붙이게 되며,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1 후드(3343)는 제1 결합요소(210)의 텅(216)을 덮게 된다. 따라서, 제1 결합요소(210)와 커넥터 조립체(3000)는 슬라이드 커버(3300)에 의해 전후방향(FRD) 및 수직방향(VD)에서 고정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누름면(3341F, 3341R)을 통해 제1 결합요소(210)를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로 미는 상태이고,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1 후드(3343)가 제1 결합요소의 텅(216)을 덮고 있고 제1 지지돌기(3241F, 3241R)가 V자형 노치(217F, 217R)에 걸린 상태이다. 제1 결합요소(210)와 어댑터(3200)의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측벽(3211F, 3211R)의 외면과 제1 결합요소의 측판(213F, 213R)의 내면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결된 제1 결합요소(2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킬 때에는, 래치 돌기(3224)를 측방에서의 내측으로 누르고,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 후드(3343)가 텅(216)에서 멀어지고 제1 누름면(3341F, 3341R)이 제1 결합요소(210)의 접촉면(21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전술한 바의 역의 순서로 제1 결합요소(2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킨다.
도 46 내지 도 48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2 와이퍼 아암(3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2 결합요소(310)의 수용부(311)에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를 삽입한다. 이 때,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는 제2 결합요소(310)의 지지면(315)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약간의 틈을 두고 위치하거나 지지면(315)과 접촉할 수 있다.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가 완전히 삽입되면,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3210)의 상벽(3212)은 제2 결합요소(310)의 상판(312)의 하면과 접촉하고, 삽입부(3210)의 측벽(3211F, 3211R)은 제2 결합요소(310)의 측판(313F, 313R)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거의 틈이 없이 대면한다. 또한, 제2 결합요소(310)의 제1 텅(316)은 어댑터(3200)의 전방 리세스(3231)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제2 결합요소(310)의 제2 텅(317)은 어댑터(3200)의 후방 리세스(3232)와 대면한다. 또한, 어댑터의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는 L자형 노치(318F, 318R)에 끼워지거나 L자형 노치(318F, 318R)와 약간의 틈을 두고 대면한다. 이후, 제2 결합요소(310)와 어댑터(3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커버의 제1 후드(3343) 및 제2 후드(3344)가 제2 결합요소(310)의 제1 텅(316) 및 제2 텅(317)의 위에 위치하게 되고, 슬라이드 커버의 제1 누름면(3341F, 3341R)이 제2 결합요소(310)의 접촉면(314)에 접촉하게 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제1 이동방향(MD2)에서 더욱 더 슬라이드 이동되면,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누름면(3341F, 3341R)과 접촉면(314)을 통해 제2 결합요소(310)를 제1 지지돌기(3241F, 3241R) 쪽으로 밀어붙이게 되며,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1 후드(3343) 및 제2 후드(3344)는 제2 결합요소(310)의 제1 텅(316) 및 제2 텅(317)을 덮게 된다. 따라서, 제2 결합요소(310)와 커넥터 조립체(3000)는 슬라이드 커버(3300)에 의해 전후방향(FRD) 및 수직방향(VD)에서 고정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누름면(3341F, 3341R)을 통해 제2 결합요소(310)를 제1 지지돌기(3241F, 3241R)로 미는 상태이고,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1 후드(3343)가 제2 결합요소의 제1 텅(316)을 덮고 있고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2 후드(3344)가 제2 결합요소의 제2 텅(317)을 덮고 있는 상태이다. 제2 결합요소(310)와 어댑터(3200)의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측벽(3211F, 3211R)의 외면과 제2 결합요소의 측판(413F, 413R)의 내면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결된 제2 결합요소(3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킬 때에는, 래치 돌기(3224)를 측방에서의 내측으로 누르고,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이동시켜, 제1 후드(3343)와 제2 후드(3344)를 제1 및 제2 텅(316, 317)으로부터 이동시킨다. 이후, 전술한 바의 역의 순서로 제2 결합요소(3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킨다.
도 50 내지 도 52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3 와이퍼 아암(4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슬라이드 커버(3300)를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시킨다. 슬라이드 커버(3300)를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때, 걸림 핀(3351F, 3351R)은 핀 홈(3226F, 3226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과 사면(3352)의 작용에 의해 삽입부(321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걸림 핀(3351F, 3351R)이 핀 홈(3226F, 3226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에 닿으면,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2 누름면(3342F, 3342R)은 통과 홈(3233F, 3233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가장자리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에서 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제3 결합요소(410)의 클로(417)는 통과 홈(3233F, 3233R)을 지나 제2 누름면(3342F, 3342R)까지 삽입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커버(3300)를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3 결합요소(410)의 수용부(410)에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를 삽입시키며, 제3 결합요소(410)의 클로(417)는 어댑터(3200)의 통과 홈(3233F, 3233R)을 지나게 한다. 어댑터(3200)의 제3 결합요소(410)에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3210)의 상벽(3212)은 제3 결합요소(410)의 상판(412)의 하면과 접촉하고, 삽입부(3210)의 측벽(3211F, 3211R)은 제3 결합요소(410)의 측판(413F, 413R)의 내면과 대면한다. 또한, 클로(417)가 위치한 제3 결합요소(410)의 접촉면(414)은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2 누름면(3342F, 3342R)과 제1 이동방향(MD1)에서 대면하게 되고, 제3 결합요소(410)의 텅(416F, 416R)의 상면은 슬라이드 커버(3300)의 래치면(3345F, 3345R) 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텅(416F, 416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표면(제3 결합요소의 지지면(415))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제2 지지돌기(3242F, 3242R)와 대면하게 된다. 이후, 제3 결합요소(410)와 어댑터(3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2 누름면(3342F, 3342R)이 제3 결합요소(410)의 접촉면(414)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3 결합요소(410)의 텅(416F, 416R)을 어댑터(3200)의 제2 지지돌기(3242F, 3242R) 쪽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그 후, 제3 결합요소(410)의 텅(416F, 416R)의 상면 위에 슬라이드 커버(3300)의 래치면(3345F, 3345R)이 위치하고, 제3 결합요소(410)의 텅(416F, 416R)에 형성된 지지면(415)이 제2 지지돌기(3242F, 3242R)와 접촉하여, 제3 결합요소(410)와 어댑터(3200)가 고정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 핀(3351F, 3351R)은 탄성 아암(3353F, 3353R)의 복원력에 의해 핀 홈(3226F, 3226R)의 측방 외측으로 돌출하여, 제3 결합요소(410)의 텅(416F, 416R)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커버(3300)의 상기 고정위치에서, 제3 결합요소의 텅(416F, 416R)은 걸림 핀(3351F, 3351R)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3 결합요소(410)와 커넥터 조립체(3000)는 슬라이드 커버(3300)에 의해 전후방향(FRD) 및 수직방향(VD)에서 고정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200)가 제2 누름면(3342F, 3342R)과 접촉면(414)을 통해 제3 결합요소(410)를 제2 지지돌기(3242F, 3242R)로 미는 상태이고,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제3 결합요소의 텅(416F, 416R)의 상면이 래치면(3345F, 3345R) 및 걸림 핀(3351F, 3351R)에 걸리는 상태이다. 제3 결합요소(410)와 어댑터(3200)의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측판(413F, 413R)의 내면과 어댑터(3200)의 측벽(3211F, 3211R) 또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연결 러그(3313F, 3313R)의 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결된 제3 결합요소(4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이동시키고, 전술한 바의 역의 순서로 제3 결합요소(4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와이퍼 블레이드 1000: 와이퍼 러버 조립체
1100: 와이퍼 러버 1200: 스프링 레일
2000: 레버 조립체 2100: 제1 레버
2121F, 2121R: 제1 사면 2122: 단부면
2200L, 2200R: 제2 레버 2210: 아암부
2211: 핑거 2212: 단차면
2220: 스포일러부 2223F, 2223R: 제2 사면
2224: 단부면 2300L, 2300R: 제3 레버
2310: 아암부 2311: 핑거
2312: 단차면 2320: 스포일러부
2323F, 2323R: 제3 사면 2324: 핑거
2411, 2412: 끼워맞춤 돌기 2421, 2422: 끼워맞춤 구멍
2500: 커넥터 시트 2510: 안착면
2520: 단차면 2524: 보조단차면
2531: 삽입슬롯 2532: 스냅돌기
2533: 위치설정용 릿지 2600L, 2600R: 스포일러
2610L, 2610R: 제1 부분 스포일러 2620L, 2620R: 제2 부분 스포일러
2630L, 2630R: 제3 부분 스포일러 3000: 커넥터 조립체
3100: 브라켓 3110: 베이스 플레이트
3121, 3122, 3123: 접촉면 3130: 플랜지
3134: 이어부 3141: 삽입돌기
3142: 삽입슬롯 3143: 위치설정용 슬롯
3151: 회전축 3152: 지지벽
3200: 어댑터 3210: 삽입부
3211F, 3211R: 측벽 3212: 상벽
3213F, 3213R: 베어링홀 3221F, 3221R: 가이드 레일
3222F, 3222R: 로킹 래치 3223: 핑거
3234: 래치 돌기 3226F, 3226R: 핀 홈
3231: 전방 리세스 3232: 후방 리세스
3233F, 3233R: 통과 홈 3241F, 3241R: 제1 지지돌기
3242F, 3242R: 제2 지지돌기 3300: 슬라이드 커버
3310: 슬라이더 3320: 핸들
3322F, 3322R: 연결 레그 3323F, 3323R: 곡면부
3324F, 3324R: 래치 홈 3331F, 3331R: 슬라이드 슬롯
3332F, 3332R: 슬라이드 레일 3341F, 3341R: 제1 누름면
3342F, 3342R: 제2 누름면 3343: 제1 후드
3344: 제2 후드 3345F, 3345R: 래치면
3351F, 3351R: 걸림 핀 3352: 사면
3353F, 3353R: 탄성 아암 200: 제1 와이퍼 아암
210: 제1 결합요소 211: 수용부
214: 접촉면 215: 지지면
216: 텅 217F, 217R: V자형 노치
300: 제2 와이퍼 아암 310: 제2 결합요소
311: 수용부 314: 접촉면
315: 지지면 316: 제1 텅
317: 제2 텅 318F, 318R: L자형 노치
400: 제3 와이퍼 아암 410: 제3 결합요소
411: 수용부 414: 접촉면
415: 지지면 416F, 416R: 텅
417: 클로 FRD: 전후방향
VD: 수직방향 HD: 수평방향

Claims (18)

  1. 와이퍼 러버와,
    인접한 레버들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용부와, 상기 전후방향에서의 고정을 위한 접촉면 및 지지면과, 상기 전후방향에 수직한 수직방향에서의 고정을 위한 텅을 각각 가지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와,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어댑터에 고정하고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제2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 상기 어댑터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소의 지지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지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소의 접촉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소를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 상기 제1 지지돌기로 미는 제1 누름면과,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접촉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 상기 제2 지지돌기로 미는 제2 누름면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요소의 텅을 덮는 후드와,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텅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래치면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어댑터에 고정할 때 상기 슬라이드 커버를 로킹하는 로킹 래치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래치는 측방의 내측으로 휘어지고 상기 측벽에서 상기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핑거와 상기 핑거의 선단에 형성된 래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래치 돌기가 결합하는 래치 홈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를 상면에서 볼 때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 홈은 상기 곡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어댑터에 고정할 때, 상기 래치 돌기는 상기 곡면부의 측방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돌기는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만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 돌기는 상기 만곡면에서 상기 래치 홈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에 접촉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측방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걸림 핀을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측벽의 하단에 상기 걸림 핀이 수용되는 핀 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핀이 상기 핀 홈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에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상기 제2 이동방향의 이동이 한정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측방의 내측 및 외측으로 휘어지는 탄성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핀은 상기 탄성 아암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 핀은 상기 핀 홈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과 접촉하는 사면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요소는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텅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한 클로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클로가 통과하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통과 홈을 상기 삽입부의 측벽에 구비하고,
    상기 걸림 핀이 상기 핀 홈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에 접촉할 때 상기 제2 누름면은 상기 통과 홈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결합요소를 상기 어댑터에 고정할 때, 상기 걸림 핀은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텅의 상면의 위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면과 상기 래치면은 접해 있고 직각을 이루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요소의 텅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텅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후드는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드는 상기 제1 결합요소의 텅 또는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제1 텅을 덮고, 상기 제2 후드는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제2 텅을 덮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상기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후드는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후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어댑터의 삽입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끼워져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지지면은 V자형 노치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지지면은 L자형 노치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돌기는 상기 V자형 노치 또는 상기 L자형 노치를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 지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이격된 두 개의 제1 사면을 갖고 상기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에 상기 두 개의 제1 사면 사이에 마련되는 커넥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브라켓이 안착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안착면을 분리시키는 단차면과,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면에 인접하게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스냅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단차면 상에 포개지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고 상기 플랜지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스냅슬롯의 각각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제1 레버의 하단 사이에 상기 단차면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단차면은 상기 스냅돌기의 아래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2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각각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또는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사면을 갖는 한 쌍의 제3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버와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고,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과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고,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을 갖고,
    상기 제3 레버의 단차면은 상기 제2 레버의 단차면보다 작은 각도로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40027325A 2014-03-07 2014-03-07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26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25A KR101426001B1 (ko) 2014-03-07 2014-03-07 와이퍼 블레이드
CN201410351137.1A CN104890635B (zh) 2014-03-07 2014-07-22 刮水片
US14/620,294 US9845074B2 (en) 2014-03-07 2015-02-12 Wiper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25A KR101426001B1 (ko) 2014-03-07 2014-03-07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001B1 true KR101426001B1 (ko) 2014-08-05

Family

ID=5174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25A KR101426001B1 (ko) 2014-03-07 2014-03-07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45074B2 (ko)
KR (1) KR101426001B1 (ko)
CN (1) CN10489063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6618A (zh) * 2015-06-19 2016-12-28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装置
CN109070845A (zh) * 2016-02-05 2018-12-21 特瑞克产品公司 擦拭器转接器和具有其的擦拭器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MX345011B (es) 2011-07-28 2017-01-11 Pylon Mfg Corp Adaptador, conector y conjunto de limpiaparabrisas.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O2013126907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723322B2 (en) 2012-02-24 2020-07-28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10363905B2 (en) 2015-10-26 2019-07-3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O2017201485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WO2017201473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blade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7201470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560124B2 (en) 2018-09-18 2023-01-24 Denso Corporation Wiper lever assembly and wiper blade
JP7131239B2 (ja) * 2018-09-20 2022-09-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7131226B2 (ja) * 2018-09-18 2022-09-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7131257B2 (ja) * 2018-09-27 2022-09-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2023007741A (ja) * 2021-07-02 2023-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ブレー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7740A1 (en) 2011-06-14 2012-12-20 Chih-Ming Yang Windshield wiper assemb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loose attachment of driven wiper arm
JP2013507285A (ja) 2009-11-17 2013-03-0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にフラットバー構造のワイパブレードにワイパアームの端部に設けられた結合要素を結合するためのアダプタ
KR101245514B1 (ko) 2011-12-01 2013-04-02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20140000779A (ko) * 2012-06-25 2014-01-06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D24119A (id) 1997-09-25 2000-07-06 Nippon Wiper Blade Co Ltd Sudu penyapu dengan pembelok angin
US6859971B2 (en) * 2002-05-31 2005-03-01 M Management-Tex, Ltd.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a winter boot
JP4316463B2 (ja) 2004-09-28 2009-08-19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DE102005016486A1 (de) * 2005-04-08 2006-10-1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eines Scheibenwischers
TW200736100A (en) 2006-03-25 2007-10-01 Shih-Hsien Huang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KR100812773B1 (ko) 2007-05-04 2008-03-12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장치
DE102007021333A1 (de) 2007-05-07 2008-11-13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KR100891195B1 (ko) 2008-04-30 2009-04-02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범용 와이퍼 장치
DE202009018933U1 (de) * 2008-09-13 2014-09-04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KR100920169B1 (ko) 2009-01-14 2009-10-06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범용 와이퍼 장치
US7921504B1 (en) * 2009-12-29 2011-04-12 Fu Gang Co., Ltd. Frame coupling structure of windshield wiper
KR101134152B1 (ko) * 2010-05-03 2012-04-09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DE102010030880A1 (de) * 2010-07-02 2012-01-05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arms mit einem Wischblatt
TWM404153U (en) * 2010-09-07 2011-05-21 Zhi-Ming Yang Joining structure applicable for windshield wiper
KR101130977B1 (ko) 2010-09-10 2012-03-29 김인규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036577B1 (ko) 2011-01-28 2011-05-24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US9108595B2 (en) *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189722B1 (ko) * 2012-06-29 2012-10-11 유병갑 차량용 와이퍼의 멀티 어댑터
KR101335312B1 (ko) 2012-10-26 2013-12-05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7285A (ja) 2009-11-17 2013-03-0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にフラットバー構造のワイパブレードにワイパアームの端部に設けられた結合要素を結合するためのアダプタ
US20120317740A1 (en) 2011-06-14 2012-12-20 Chih-Ming Yang Windshield wiper assemb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loose attachment of driven wiper arm
KR101245514B1 (ko) 2011-12-01 2013-04-02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20140000779A (ko) * 2012-06-25 2014-01-06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6618A (zh) * 2015-06-19 2016-12-28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装置
CN106256618B (zh) * 2015-06-19 2021-10-1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装置
CN109070845A (zh) * 2016-02-05 2018-12-21 特瑞克产品公司 擦拭器转接器和具有其的擦拭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51636A1 (en) 2015-09-10
CN104890635A (zh) 2015-09-09
US9845074B2 (en) 2017-12-19
CN104890635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01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2600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8689389B2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KR10151131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20200282956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JP5238080B2 (ja) ワイパブレードをウインドウワイパのワイパアームにヒンジ結合するための装置
JP5101612B2 (ja) ワイパブレード用の接続エレメント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4418840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10124551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EP0240357B1 (en) Pivot joint
US20100005609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JP5750771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US20150166017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2012525296A (ja) ワイパアームに固く結合さ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枢着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KR20100023942A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18047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US11608033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820591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8941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WO2022035883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