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704B1 -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704B1
KR101804704B1 KR1020160136586A KR20160136586A KR101804704B1 KR 101804704 B1 KR101804704 B1 KR 101804704B1 KR 1020160136586 A KR1020160136586 A KR 1020160136586A KR 20160136586 A KR20160136586 A KR 20160136586A KR 101804704 B1 KR101804704 B1 KR 10180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ir
fitting
adapt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남경종
김상우
이준모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6013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Abstract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제1 레버와,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제2 레버와,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하는 조인트를 가진다. 제1 레버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가지며, 제2 레버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을 가진다. 조인트의 한 쌍의 탄성 플랩에는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탄성 플랩은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하다. 조인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에는 제1 레버의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가 각각 삽입된다. 슬라이드 홈 내에는 끼워맞춤 러그가 걸리는 끼워맞춤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LEVER ASSEMBLY FOR WIPER BLADE AND WIPER BLADE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이러한 레버 조립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왕복운동하는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윈드실드의 표면과 접촉하는 와이퍼 러버와, 와이퍼 러버를 그 종방향을 따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레버 조립체와 와이퍼 아암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어댑터를 가진다.
레버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 레버와, 메인 레버에 연결되고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복수개의 서브 레버로 이루어진다. 서브 레버는 메인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서브 레버와 메인 레버 간의 회전가능한 연결을 위해 핀 또는 리벳과 같은 부품이 채용되는 레버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또한, 서브 레버와 메인 레버 간의 회전가능한 연결을 위해 이 두 레버에 결합되는 하나의 연결 부품이 채용되는 레버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5816호는, 메인 레버에 길이방향에서의 삽입에 의해 결합되고 서브 레버에 누름에 의해 결합되어 메인 레버와 서브 레버 간의 회전가능한 연결을 달성하는 연결 부품을 제안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5816호
메인 레버 또는 서브 레버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메인 레버와 서브 레버 간의 회전가능한 연결을 위한 연결 부품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제의 연결 부품은 금속 제의 메인 레버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된다. 연결 부품을 메인 레버에 억지끼워맞춤 시킬 때, 금속 제의 메인 레버가 플라스틱 제의 연결 부품을 변형 또는 손상시킬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기간 작동하면, 변형되거나 손상된 연결 부품의 내구성이 악화되고, 연결 부품과 메인 레버 간의 끼워맞춤된 부분에서 유격이 커진다. 따라서, 변형된거나 손상된 연결 부품이 메인 레버와 서브 레버를 확고하게 결합시키지 못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 중 서브 레버가 메인 레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결함을 해결한다. 본 개시는 두 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품이 손상 없이 두 레버에 결합될 수 있고 연결 부품이 용이하게 두 레버에 결합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의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또한, 본 개시는 전술한 레버 조립체를 가지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의 실시예에 관련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는 종방향으로 와이퍼 러버를 유지한다. 상기 레버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제1 레버와,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제2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은닉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를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하는 조인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 중 하나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을 구비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한 한 쌍의 탄성 플랩과,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 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러그가 각각 걸리는 한 쌍의 끼워맞춤 리세스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이 가각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 플랩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뚫린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이 상기 탄성 플랩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이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위치하는 조인트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은 상기 조인트 시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 쪽으로 압박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 시트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플랩 각각의 일부가 안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플랩 시트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 중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와 상기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또 하나의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구비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 각각에 상기 끼워맞춤 러그와 상기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의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상기 제2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레버를 더 구비한다.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측면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들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러버와, 종방향으로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상기 레버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어댑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조립체는, 제1 레버와, 한 쌍의 제2 레버와, 한 쌍의 조인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레버는 중앙에 상기 어댑터 조립체가 결합되는 어댑터 시트와 상기 종방향의 각 외단에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의 각각은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의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조인트의 각각은,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은닉되고, 각각 상기 제1 레버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의 각각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를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한다. 상기 한 쌍의 조인트의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과,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한 한 쌍의 탄성 플랩과, 상기 한 쌍의 측벽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 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가 걸리는 한 쌍의 끼워맞춤 리세스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뚫린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이 상기 탄성 플랩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이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위치하는 조인트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은 상기 조인트 시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 쪽으로 압박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 시트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플랩 각각의 일부가 안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플랩 시트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와 상기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또 하나의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 각각에 상기 끼워맞춤 러그와 상기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의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상기 제2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레버를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는 내측으로 경사진 스포일러 표면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조립체는, 상기 어댑터 시트에 끼워맞춤되고 회전축을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퍼 아암의 아암 어댑터와 접촉하는 블레이드 어댑터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대향하여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암 어댑터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로킹하는 로킹 위치와 상기 아암 어댑터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 간의 로킹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어댑터 래치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시트는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끼워맞춤 엣지를 구비한다. 상기 어댑터 조립체는 상기 어댑터 시트에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브라켓을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어댑터 시트의 끼워맞춤 엣지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홈과, 상기 끼워맞춤 엣지에 탄성 결합하는 브라켓 래치를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 래치는 상기 끼워맞춤 홈의 일부로 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하면, 휘어짐 가능한 조인트가 제1 레버의 내면에 끼워맞춤되고, 휘어짐 가능한 조인트의 탄성 플랩을 통해 조인트가 제2 레버에 결합된다. 조인트와 제1 레버 간의 결합 또는 조인트와 제2 레버 간의 결합에는 억지끼워맞춤이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조인트는 제1 레버 또는 제2 레버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으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장기간 작동에 충분한 레버 간의 확고한 결합을 달성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레버 조립체의 제3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레버 조립체의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조인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하는 조인트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XV-XV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조인트와 제1 레버 간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조인트와 제1 레버 간의 또 하나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조인트가 장착된 제1 레버와 제2 레버 간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조인트를 통해 연결된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도시한다.
도 20은 조인트를 통해 연결된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도시한다.
도 21은 어댑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어댑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어댑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어댑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어댑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어댑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어댑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어댑터 조립체의 블레이드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어댑터 조립체의 블레이드 어댑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블레이드 어댑터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1은 어댑터 조립체의 어댑터 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어댑터 조립체의 어댑터 래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후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후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35는 후크 와이퍼 아암의 아암 어댑터와 블레이드 어댑터와 어댑터 래치를 도시한다.
도 36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3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38은 또 하나의 실시예의 레버 조립체의 좌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레버 조립체가 와이퍼 러버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와이퍼 아암에서 말단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종방향"은 와이퍼 러버 또는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며, 상기 전방 방향 및 상기 후방 방향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수직방향"은 상기 종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이며, 상기 상방 방향 및 상기 하방 방향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횡방향"은 상기 종방향 및 상기 수직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종방향의 내”는 상기 종방향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종방향의 외”는 상기 종방향의 내에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8은 실시예들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00, 100A, 100B)는 윈드실드의 표면과 접촉하는 와이퍼 러버(1100)와,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 2000A, 2000B, 2000C)와, 레버 조립체(2000, 2000A, 2000B, 2000C)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어댑터 조립체(3000)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2를 참조해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와이퍼 러버(1100)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와이퍼 러버(1100)는 그 하단에 윈드실드의 표면과 접촉하여 윈드실드를 닦아내는 와이퍼 립(1110)을 가진다. 와이퍼 러버(1100)는 와이퍼 립(1110)의 상측에서 각 측면에 두 줄의 홈을 가진다. 상기 두 줄의 홈 중 하측의 홈(1121)에는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에 마련된 핑거가 삽입되어, 레버 조립체(2000)가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한다. 상기 두 줄의 홈 중 상측의 홈(1122)에는 와이퍼 러버(1100)에 강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레일(1130)이 삽입된다. 스프링 레일(113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와이퍼 아암에 의해 레버 조립체(2000)를 통해 와이퍼 러버(1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종방향(D1)을 따라 분산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레버 조립체(2000)는 스프링 레일(1130)이 끼워진 와이퍼 러버(1100)를 종방향(D1)으로 유지한다.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아암에 의해 와이퍼 러버(1100)를 윈드실드의 표면으로 누른다. 레버 조립체(2000)는 어댑터 조립체(3000)를 통해 와이퍼 아암의 아암 어댑터에 연결된다. 와이퍼 아암의 왕복운동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윈드실드의 표면 상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윈드실드의 표면을 닦아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는 중앙에 위치하고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2100)의 종방향(D1)의 각 외단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레버(2200)와, 제2 레버(2200)의 종방향(D1)의 내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3 레버(2300)와, 제1 레버(2100)와 한 쌍의 제2 레버(2200)를 힌지연결(hinge connection)에 의해 결합하는 한 쌍의 조인트(240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레버(2100)와 제3 레버(2300)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가공하여 제조된다. 제2 레버(2200)와 조인트(2400)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가공하여 제조된다.
이 실시예의 레버 조립체(2000)는, 바람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는 반력을 생성하는 스포일러 표면(2011F, 2011R, 2012F, 2012R)을 구비한다. 스포일러 표면(2011F, 2011R, 2012F, 2012R)은 레버 조립체(2000)의 각 측면에 위치하며 레버 조립체의 종방향(D1)으로 연장한다. 스포일러 표면(2011F, 2011R)은 제1 레버(2100)의 좌측 및 우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볼록하다. 스포일러 표면(2012F, 2012R)은 제2 레버(2200)에 형성되어 있고 제2 레버(2200)의 내측으로 볼록하다.
제1 레버(2100)에는 어댑터 조립체(3000)가 제거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레버(2100)는 종방향(D1)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2111)과, 한 쌍의 측벽(2111) 사이에서 연장하는 좌측 상벽(2112L) 및 우측 상벽(2112R)을 가진다. 어댑터 조립체(3000)가 결합되는 어댑터 시트(2120)가 제1 레버(2100)의 중간에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 시트(2120)는 좌측 상벽(2112L)과 우측 상벽(2112R)의 사이에서 측벽(2111)의 일부까지 뚫려 있다. 어댑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이 어댑터 시트(2120)에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제1 레버(2100)의 각 측벽(2111)의 하단에는 기다란 릿지(2113)가 돌출해 있다. 릿지(2113)는 어댑터 시트(2120)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제1 레버(2100)는 그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스포일러 표면(2011F, 2011R)을 가진다. 스포일러 표면(2011F, 2011R)은 어댑터 시트(2120)의 종방향(D1)의 끝 부근으로부터 제1 레버(2100)의 종방향(D1)의 외단까지 연장하고 폭방향(D2)에서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1 레버(2100)를 전방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는 스포일러 표면(2011F, 2011R)에서 역 V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스포일러 표면(2011F)과 스포일러 표면(2011R) 사이의 제1 레버(2100)의 내부 공간이, 조인트(2400)와 제2 레버(2200)의 일부는 수용하는 조인트 수용부(2115)이다.
어댑터 시트(2120)는 좌측 상벽(2112L)과 우측 상벽(2112R)으로부터 측벽(2111)으로 소정 깊이로 들어가 있다. 어댑터 시트(2120)가 제1 레버(2100)에 뚫려 있으므로, 어댑터 시트(2120)는 어댑터 시트(2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끼워맞춤 엣지(2121, 2122, 2123)를 구비한다. 끼워맞춤 엣지(2121, 2122, 2123)가 브라켓(3100)의 대응하는 부분에 끼워맞춤 되어 브라켓(3100)이 어댑터 시트(2120)에 안착한다. 끼워맞춤 엣지(2121, 2122, 2123)는 우측 상벽(2112R)과 어댑터 시트(2120) 간의 전방 끼워맞춤 엣지(2121)와, 좌측 상벽(2112L)과 어댑터 시트(2120) 간의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와, 측벽(2111)과 어댑터 시트(2120) 간의 측방 끼워맞춤 엣지(2123)를 포함한다. 또한, 어댑터 시트(2120)는 한 쌍의 걸림 러그(2124)를 구비하며, 걸림 러그(2124)는 전방 끼워맞춤 엣지(2121)와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에 위치한다.
제1 레버(2100)를 측방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상측 길이는 하측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제1 레버(2100)의 종방향(D1)의 각 외단에는 상측 가장자리에는 대해서는 예각으로 하측 가장자리에 대해서는 둔각으로 기울어진, 즉 레버 조립체(2000)의 말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21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레버(2100)와 조인트(2400)는 종방향(D1), 수직방향(D3) 또는 종방향(D1)과 수직방향(D3)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의 끼워맞춤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2400)와의 끼워맞춤을 위해, 제1 레버(2100)는 종방향(D1)의 외단 각각에 위치하고 하단으로부터 폭방향(D2)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2131)를 구비한다. 끼워맞춤 러그(2131)는 단부면(211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1 레버(2100)는 조인트(2400)와의 끼워맞춤을 위해 외단 각각의 하단에 한 쌍의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2132)를 구비한다. 끼워맞춤 러그(2132)는 끼워맞춤 러그(2131)와 이격되어 있으며, 폭방향(D2)으로 내측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끼워맞춤 러그(2131)와 끼워맞춤 러그(2132)의 사이에는 절결부(2133)가 형성된다. 끼워맞춤 러그(2131)와 끼워맞춤 러그(2132)는 단부면(2114)에 인접한 제1 레버(2100)의 하단부를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버(2200)는 제1 레버(2100)에 조인트(2400) 통해 각각 연결되며,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 레버(2200)에 대해 설명한다. 한 쌍의 제2 레버(2200)는 레버 조립체(2000)의 종방향(D1)에 있어서 제1 레버(2100)에 대하여 대칭이다.
제2 레버(2200)는 아암부(2210)와 조인트부(2220)를 구비한다. 제2 레버(2200)가 제1 레버(2100)에 결합되면, 조인트부(2220)는 제1 레버(2100)의 조인트 수용부(2115)에 위치하며, 아암부(2210)는 조인트부(2220)로부터 연장한다. 아암부(2210)와 조인트부(2220)는 단차면(2211)에 의해 분리된다. 단차면(2211)은 조인트부(2220)의 종방향(D1)의 외단에 또는 아암부(2210)의 종방향(D1)의 내단에 위치한다. 단차면(2211)은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14)과 대향하며, 단차면(2221)은 레버 조립체(2000)의 종방향(D1)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조인트부(2220)는 아암부(2210)로부터 연장하는 조인트 시트(2221)와 조인트 시트(2221)로부터 연장하는 레버 연결부(2223)를 가진다. 또한, 조인트부(2220)는 조인트 시트(2221)와 레버 연결부(2223)의 내부에 종방향(D1)으로 연장하는 레버 수용홈(2222)을 가진다. 조인트 시트(2221)는 역 V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조인트(2400)(상세하게는, 조인트(2400)의 측벽(2410))는 조인트 시트(2221)에 안착된다. 레버 연결부(2223)에 제3 레버(2300)가 연결된다. 레버 수용홈(2222)에는 제3 레버(2300)의 일부가 수용된다. 레버 연결부(2223)는 역 V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조인트 시트(2221)의 폭방향(D2)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연결부(2223)의 높이 치수는 제1 레버(2100)의 끼워맞춤 러그(2131)와 좌측 상벽(2112L) 또는 우측 상벽(2112R)의 하면 간의 거리보다 약간 크다.
제2 레버(2200)는 조인트 시트(2221)의 양 측면에 조인트(2400)와의 힌지연결(hinge connection)을 위한 끼워맞춤 핀(2231)을 구비한다. 끼워맞춤 핀(2231)은 레버 조립체(2000)의 폭방향(D2)으로 돌출한다. 끼워맞춤 핀(2231)은 그 선단 상측에 조인트 시트(2221) 쪽으로 기울어진 사면을 가진다. 또한, 조인트 시트(2221)는 그 양 측면에 끼워맞춤 핀(2231)과 동심으로 위치하는 반원형의 플랩 시트(2232)를 구비한다. 플랩 시트(2232)는 조인트 시트(2221)에서 수직방향(D3)으로 위치하며, 조인트 시트(2221)의 각 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다. 제2 레버(2200)는 종방향(D1)의 내단 부근에 조인트 시트(2221)의 레버 수용홈(2222)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폭방향(D2)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핀(2233)를 가진다. 끼워맞춤 핀(2233)은 제2 레버(2200)와 제3 레버(2300) 간의 힌지연결에 의한 결합에 관여한다.
아암부(2210)는 종방향(D1)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2212)과, 한 쌍의 측벽(2213)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2213)을 가진다. 스포일러 표면(2012F, 2012R)은 측벽(2212)에 위치하며, 단차면(2211)으로부터 제2 레버의 종방향(D1)의 외단을 향해 연장한다. 스포일러 표면(2012F, 2012R)은 폭방향(D2)으로 제2 레버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2 레버(2200)를 전방에서 볼 때, 제2 레버(2200)는 스포일러 표면(2012F, 2012R)에서 역 V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제2 레버(2200)는 아암부(2210)의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서의 하측 가장자리에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핑거(2241)를 구비한다. 핑거(2241)는 아암부(2210)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아암부(2210)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와이퍼 러버(1100)가 제2 레버(2200)에 결합될 때, 제2 레버(2200)의 핑거(2241)는 와이퍼 러버(1100)의 하측 홈(1121)에 삽입되어 하측 홈(1121) 내의 리세스에 끼워진다.
또한, 제2 레버(2200)는 한 쌍의 핑거(2241) 사이에서 아암부(2210)의 상벽(2213)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누름 리브(2242)를 구비한다. 와이퍼 러버(1100)가 제2 레버(2200)에 결합되면, 누름 리브(2242)와 핑거(2241)에 의해 와이퍼 러버(1100)의 단부가 압박되어, 와이퍼 러버(1100)가 제2 레버(2200)에 고정된다.
제3 레버(2300)는 제2 레버(2200) 각각의 조인트 시트(2221)에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된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레버(2300)는 역 U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의 끼워맞춤 구멍(2310)로부터 상반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아암(2320L, 2320R)을 포함한다. 제2 레버(2200)와 제3 레버(2300)는 핀과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즉, 제2 레버(2200)의 길이방향의 내단에 위치하고 조인트 시트(2221)의 내측에 형성된 끼워맞춤 핀(2233)을 제3 레버(2300)의 끼워맞춤 구멍(2310)에 끼워맞춤하여, 제3 레버(2300)가 제2 레버(2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레버(2300)가 제2 레버(2200)에 연결되면, 제3 레버의 아암(2320L)은 제2 레버(2200)의 레버 수용홈(2222) 내에 위치하고, 제3 레버의 아암(2320R)은 제1 레버(2100)의 조인트 수용부(2115) 내에 위치한다.
제3 레버(2300)의 아암(2320L, 2320R) 각각의 말단에는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하는 한 쌍의 핑거(232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핑거(2321)는 대략 C자형을 가지며, 그 선단이 내측으로 돌출한다. 와이퍼 러버(1100)가 제3 레버(2300)에 결합될 때, 핑거(2321)는 와이퍼 러버(1100)의 하측 홈(1121)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들 중 인접한 레버들은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된다. 제2 레버(2200)와 제3 레버(2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핀(2233)과 끼워맞춤 구멍(2310)이 만드는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되며, 제3 레버(2300)는 조인트 시트(2221)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2 레버(2200)는 제1 레버(2100)의 종방향(D1)의 각 외단에 조인트(2400)를 통해 결합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인트(2400)는 제2 레버(2200)의 조인트 시트(2221)에 안착되고 제1 레버(2100)의 조인트 수용부(2115) 내에 수용된다. 또한, 조인트(2400)는 제1 레버(2100)의 내면과 제2 레버(2200)의 외면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은닉되어 개재된다. 도 3 및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조인트(2400)를 설명한다.
조인트(2400)를 전방에서 볼 때, 조인트(2400)는 대략 역 V자형, 또는 요크(yoke)의 형상을 취한다. 조인트(2400)는 종방향(D1)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2410)과 한 쌍의 측벽(2410)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2420)을 가진다. 따라서, 한 쌍의 측벽(2410)은 상벽(2420)에 대하여 폭방향(D2)으로 휘어짐 가능하다. 즉, 조인트(2400)는 한 쌍의 측벽(2410) 간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히도록 휘어질 수 있다. 측벽(2410)과 상벽(2420)이 한정하는 공간에 제2 레버(2200)의 조인트 시트(2221)가 삽입되며, 측벽(2410)이 조인트 시트(2221)에 안착된다. 측벽(2410)과 상벽(2420)이 한정하는 공간의 형상은 조인트 시트(2221)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며, 그 치수는 조인트 시트(2221)의 횡단면 형상의 치수보다 약간 크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측벽(2410)의 길이는 상벽(2420) 보다 짧아, 상벽(2420)과 측벽(2410)의 사이에 슬롯(2421)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2400)는 하단과 종방향(D1)의 외단을 따라, 즉 측벽(2410)과 상벽(24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2430)를 구비한다. 조인트(2400)의 종방향(D1)의 외단에서의 끝면(즉, 플랜지(2430)의 종방향(D1)에 있어서의 외면(2431))은 레버 조립체(2000)의 말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조인트(2400)는 플랜지(2430)의 종방향(D1)의 외면(2431)에서 제2 레버(2200)의 단차면(2221)과 접촉할 수 있다. 조인트(2400)가 제2 레버(2200)에 결합될 때, 조인트(2400)는 플랜지(2430)의 외면(2431)과 제2 레버(2200)의 단차면(2221)과의 사이의 약간의 간극을 두고 위치한다.
조인트(2400)는 제2 레버(2200)에 수직방향(D3)으로 끼워맞춤된다. 상세하게는, 수직방향(D3)의 누름에 의해 스냅결합 식으로 조인트(2400)가 제2 레버(2200)에 결합된다. 제2 레버(2200)와 조인트(2400)는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된다. 조인트(2400)는 제2 레버의 끼워맞춤 핀(2231)이 끼워맞춤되어 끼워맞춤 핀(2231)과 함께 힌지연결을 만드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41)을 구비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41)은 폭방향(D2)으로 휘어짐 가능한 한 쌍의 탄성 플랩(244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탄성 플랩(2440)은 각 측벽(2410)으로부터 돌출한다. 조인트(2400)의 각 측벽(2410)은 측벽(2410)에 반원호 형상으로 폭방향(D2)으로 뚫린 슬롯(2442)을 구비한다. 따라서, 슬롯(2442)에 의해 탄성 플랩(2440)이 측벽(2410)에 형성된다. 탄성 플랩(2440)이 측벽(2410)의 슬롯(2442)에 의해 한정되므로, 탄성 플랩(2440)은 그 고정단에서 측벽(2410)에 연결되며 자유단을 가진다. 따라서, 탄성 플랩(2440)은 폭방향(D2)으로 측벽(2410)의 내측 및 외측으로 그 고정단에 대하여 휘어짐 가능하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플랩(2440)은 끼워맞춤 구멍(2441)과 그 자유단 사이의 부분이 그 고정단과 끼워맞춤 구멍(2441) 사이의 부분에 대하여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탄성 플랩(2440)의 끼워맞춤 구멍(2441)과 자유단 사이의 부분은 대략 반원형을 가지며, 조인트 시트(2221)의 플랩 시트(2232)에 안착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플랩(2440)의 하부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탄성 플랩(2440)은 하부의 내면에서 제2 레버의 끼워맞춤 핀(2231)과 접촉한다. 탄성 플랩(2440)은 수직방향(D3)에서의 힘에 응해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고, 상기 수직방향에서의 힘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조인트(2400)는 제1 레버(2100)에 종방향(D1), 수직방향(D3) 또는 종방향(D1)과 수직방향(D3)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의 끼워맞춤에 의해 스냅결합 식으로 결합된다. 조인트(2400)는 제1 레버의 끼워맞춤 러그(2131)가 종방향(D1)으로 삽입되는 또는 수직방향(D3)으로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2451)을 구비한다. 한 쌍의 슬라이드 홈(2451)은 측벽(2410)의 각각에 위치하며, 종방향(D1)으로 연장한다. 슬라이드 홈(2451)은 조인트(2400)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으로부터 측벽(24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측벽(2410)은 종방향(D1)으로 연장하는 릿지(2411)를 가지며, 슬라이드 홈(2451)은 플랜지(2440)의 상면(2442)과 릿지(2411)의 사이에 한정되어 있다.
조인트(2400)는 슬라이드 홈(2451) 내에 형성되고 제1 레버의 끼워맞춤 러그(2131)가 걸리는 끼워맞춤 리세스(2452)를 구비한다. 제1 레버의 끼워맞춤 러그(2131)가 슬라이드 홈(2451)에 종방향(D3)으로 끼워맞춰지면, 끼워맞춤 러그(2131)는 끼워맞춤 리세스(2452)에 걸린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2400)는 각 슬라이드 홈(2451) 내에 전방 스토퍼(2453)와 후방 스토퍼(2454)를 구비한다. 전방 스토퍼(2453)와 후방 스토퍼(2454)는 끼워맞춤 러그(2131)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있어서, 이들의 사이에서 끼워맞춤 리세스(2452)가 한정된다. 조인트(2400)가 제1 레버(2100)에 결합되면, 제1 레버의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2132)는 후방 스토퍼(2454)에 걸린다. 따라서, 조인트(2400)가 제1 레버(2100)에 결합되면, 후방 스토퍼(2454)는 끼워맞춤 러그(2131)와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2132)의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2133)에 끼워맞춤 된다.
도 6, 도 8 및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1 레버(2100), 조인트(2400) 및 제2 레버(2200)를 조립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2400)는 제1 레버(2100)에 종방향(D1)으로 끼워맞춤된다. 예컨대, 제1 레버의 끼워맞춤 러그(2131)가 슬라이드 홈(2451)에 삽입되도록 조인트(2400)가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14)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된다. 조인트의 측벽(2410)은 조인트의 상벽(2420)에 대하여 폭방향(D2)으로 휘어짐 가능하다. 따라서, 끼워맞춤 러그(2131)가 슬라이드 홈(2451)을 따라 조인트(2400)의 외단을 향해 슬라이드하는 도중, 끼워맞춤 러그(2131)는 측벽(2410)의 폭방향(D2)의 휘어짐에 의해 후방 스토퍼(2454)를 지나 전방 스토퍼(2453)와 후방 스토퍼(2454)의 사이에서 끼워맞춤 리세스(2452)에 걸림결합한다. 또한, 후방 스토퍼(2454)는 끼워맞춤 러그(2131)와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2132)의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2133)에 끼워맞춤 되고,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2132)는 후방 스토퍼(2454)에 걸린다. 끼워맞춤 러그(2131),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2132), 끼워맞춤 리세스(2452)에 의해 달성되는 걸림 결합에 의해, 조인트(2400)는 제1 레버(2100)에 대해 종방향(D1)으로 고정된다. 조인트의 측벽(2410)의 휘어짐으로 인해, 한 쌍의 측벽(2410) 간의 거리를 좁힌 채로 조인트(2400)가 제1 레버(2100)에 단부면(2114)으로부터 종방향(D1)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2410)의 휘어짐에 의해 조인트(2400)는 제1 레버(2100)에 수직방향(D3)으로 끼워맞춤된다. 또는, 측벽(2410)의 휘어짐에 의해 조인트(2400)는 제1 레버(2100)에 종방향(D1)과 수직방향(D3)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2400)가 제1 레버(2100)에 결합되면, 제1 레버(2100)를 측방에서 볼 때 조인트의 플랜지(2430)만이 노출된다.
조인트(2400)와 제2 레버(2200) 간의 결합에 의해, 조인트(2400)는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를 힌지연결(hinge connection)에 의해 결합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 간의 결합은, 조인트(2400)가 결합된 제1 레버(2100)의 단부를 제2 레버의 조인트 시트(2221)에 수직방향(D3)으로 누름으로써, 또는 제2 레버의 조인트 시트(2221)를 조인트(2400)가 결합된 제1 레버(2100)의 단부에 수직방향(D3)으로 누름으로써 행해진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2400)가 결합된 제1 레버(2100)의 단부가 제2 레버의 조인트 시트(2221)에 수직방향(D3)으로 눌러지면, 조인트 시트의 끼워맞춤 핀(2231)이 탄성 플랩(2440)의 하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탄성 플랩(2440)을 외측으로 민다. 계속해서 눌러짐에 따라, 끼워맞춤 핀(2231)이 끼워맞춤 구멍(2441)에 진입하고 탄성 플랩(2440)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조인트(2400)와 제2 레버(2200)간의 끼워맞춤이 행해진다.
조인트(2400)를 통해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가 결합되면, 조인트(2400)와 레버 연결부(2223)는 제1 레버(2100)의 조인트 수용부(2115) 내에 수용된다. 또한, 조인트 시트(2221)의 하단에서의 폭은 조인트(2400)의 한 쌍의 측벽(2410)의 하단에서의 거리와 거의 같으므로, 조인트의 한 쌍의 측벽(2410)이 조인트 시트(2221)와 제1 레버(2100)의 끼워맞춤 러그(2131)의 사이에서 폭방향에서 유격 없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조인트 시트(2221)의 하단에서의 폭이 조인트(2400)의 한 쌍의 측벽(2410)의 하단에서의 거리보다 약간 작은 경우, 조인트의 한 쌍의 측벽(2410)의 슬라이드 홈(2451)이 조인트 시트(2221)에 의해, 제1 레버(2100)의 끼워맞춤 러그(2131) 쪽으로 압박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워맞춤 러그(2131)가 끼워맞춤 리세스(2452)로부터 폭방향(D2)에 있어서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조인트(2400)가 제1 레버(2100)로부터 종방향(D1)길이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조인트(2400)가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가 결합되면, 탄성 플랩(2440)의 끼워맞춤 구멍(2441)과 자유단 사이의 부분이 조인트 시트(2221)의 플랩 시트(2232)에 안착된다. 탄성 플랩(2440)의 끼워맞춤 구멍(2441)과 자유단 사이의 부분과 플랩 시트(2232)가 수직방향(D3)으로 위치하므로, 탄성 플랩(2440)은 더욱 넓은 범위에서 휘어질 수 있고, 제2 레버(2200)의 끼워맞춤 핀(2231)과 탄성 플랩(2440)의 끼워맞춤 구멍(2441)은 더욱 긴 거리에서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2 레버의 레버 연결부(2223)의 하단에서의 폭은 조인트(2400)의 하단에서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제2 레버(2200)는 조인트(2400)가 결합된 제1 레버(2100)에 종방향(D1)으로 결합될 수 없다. 즉,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레버(2200)는 조인트(2400)가 결합된 제1 레버(2100)에 수직방향(D3)에서만 결합된다. 또한, 탄성 플랩(2440)의 휘어짐과 복원에 의해 끼워맞춤 핀(2231)과 끼워맞춤 구멍(2441) 간의 결합이 달성된다. 따라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조인트(2400)를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조인트(2400)는 과도한 힘이나 변형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도 19와 도 20은 제1 레버(2100)에 대한 제2 레버(2200)의 회전 범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2400)는 제1 레버(2100)에 고정되어 있고, 제2 레버(2200)가 제1 레버(2100) 및 조인트(2400)에 대하여 회전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레버의 단차면(2211)이 조인트(2400)의 플랜지(2430)에 접촉하여, 제2 레버(2200)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레버의 조인트 시트(2221)가 조인트(2400)의 슬롯(2421)을 통해 조인트(2400)의 상벽(2420)에 접촉하여, 제2 레버(2200)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제2 레버(2200)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조인트(2400)는 플랜지(2430)와 단차면(2211)이 접촉하는 위치와 조인트 시트(2221)의 일부가 한 쌍의 측벽(2410) 사이의 슬롯(2421)에 위치하여 상벽(2420)과 접촉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전술한 레버 조립체(2000)를 구비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 100A, 100B)는 레버 조립체(2000, 2000A, 2000B, 2000C)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 조립체를 통해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어댑터 조립체(3000)를 통해 후크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될 수 있는 후크 와이퍼 아암(200)은 그 말단에 후크 형상의 아암 어댑터(210)를 가진다. 아암 어댑터(210)는 직선부(211)와, 직선부(211)로부터 대체로 반원형으로 만곡된 후크부(212)와, 후크부(212)로부터 직선부(211)에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13)를 가진다. 후크부(212)는 반원형 모양의 바깥쪽인 외면(214)과 그 안쪽인 내면(215)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어댑터 조립체(3000)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후크 와이퍼 아암(200)의 아암 어댑터(210)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21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어댑터 조립체(3000)는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를 아암 어댑터(2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한다. 어댑터 조립체(3000)는 제1 레버(2100)의 어댑터 시트(2120)에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회전축(3130)을 가지는 브라켓(3100)과, 브라켓(3100) 내부에 끼워맞춤되고 브라켓(3100)의 회전축(3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 어댑터(3200)와, 블레이드 어댑터(3200)에 대향하여 브라켓(3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후크 와이퍼 아암(200)의 아암 어댑터(210)를 블레이드 어댑터(3200)에 로킹하는 어댑터 래치(3300)를 구비한다.
도 4, 도 5 및 도 2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브라켓(3100)을 설명한다. 브라켓(3100)은 블레이드 어댑터(3200)와 어댑터 래치(3300)의 부착을 위한 기초로서 기능한다. 브라켓(3100)은 종방향(D1)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3110)과, 한 쌍의 측벽(3110)의 전단들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전방 리브(3121, 3122)와, 한 쌍의 측벽(3110)의 후단들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후방 리브(3123, 3124)를 구비한다.
각 측벽(3110)은 브라켓(3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3111)과, 브라켓(3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3112)과, 외측벽(3111)과 내측벽(3112)의 상단에서 연장하는 연결부(3113)를 구비한다. 내측벽(3112)은 외측벽(311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외측벽(3111)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각 측벽(3110)은 외측벽(3111)과 내측벽(3112)을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리브(3114)를 가진다. 연결부(3113)의 전방 측에는 어댑터 래치(330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홈(3115)이 형성되어 있다. 전단(3101)에 인접하는 내측벽(3112)의 하단에는 리세스(3116)가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3116)에는 어댑터 래치(3300)의 걸림 돌기가 걸린다.
제1 전방 리브(312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외측벽(3111)의 전단들을 연결한다. 어댑터 래치(3300)가 제1 전방 리브(3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전방 리브(3122)는 제1 전방 리브(3121)의 후방에 위치하며, 내측벽(3112)의 전단들을 연결한다. 제2 전방 리브(3122)는 L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125)와 돌출부(3125)의 위쪽에 위치하고 전방을 향하는 평평면(3126)을 가진다. 제1 후방 리브(3123)는 한 쌍의 외측벽(3111)의 후단과 일체로 되어 있다. 제2 후방 리브(3124)는 제1 후방 리브(3123)의 전방에 위치하며, L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측벽(3110), 제2 전방 리브(3122) 및 제2 후방 리브(3124)가 한정하는 공간에 블레이드 어댑터(3200)와 어댑터 래치(3300)가 수용된다. 제2 후방 리브(3124)의 전방에 각 내측벽(3112)의 하단 부근에 스토퍼(3117)가 내측벽(3112)으로부터 돌출한다. 스토퍼(3117)에 블레이드 어댑터(3200)가 걸려, 블레이드 어댑터(3200)의 브라켓(3100)에 대한 회전이 제한된다.
브라켓(3100)은 와이퍼 아암(200)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회전중심으로 기능하는 회전축(3130)을 구비한다. 회전축(2130)은 브라켓(3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중간에서 한 쌍의 내측벽(3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3130)에 블레이드 어댑터(2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브라켓(3100)은 어댑터 시트(2120)에, 끼워맞춤 엣지(2121, 2122, 2123)에 대한 끼워맞춤, 전방 끼워맞춤 엣지(2121)와 브라켓(3100)의 전단(3101) 간의 걸림 및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와 브라켓(3100)의 후단(3102)간의 스냅식 결합에 의해 제거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라켓(3100)은 가장자리(예컨대, 측벽(3110)의 가장자리, 전방 브릿지(3121) 및 후방 브릿지(3122))를 따라 연장하는 끼워맞춤 홈(3141, 3142, 3143)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끼워맞춤 홈(3141, 3142, 3143)은 브라켓(3100)의 전단(3101) 부근에 위치하는 전방 끼워맞춤 홈(3141)과, 브라켓(3100)의 후단(3102) 부근에 위치하는 후방 끼워맞춤 홈(3142)과, 브라켓(3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방 끼워맞춤 홈(3143)을 포함한다. 전방 끼워맞춤 엣지(2121)는 전방 끼워맞춤 홈(3141)에 끼워지고,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는 후방 끼워맞춤 홈(3142)에 끼워지며, 측방 끼워맞춤 엣지(2123)는 측방 끼워맞춤 홈(3143)에 끼워진다.
전방 끼워맞춤 홈(3141)은 외측벽(3111)의 전단과 내측벽(3112)의 전단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전방 리브(3122)의 돌출부(3125)와 평평면(3126)이 전방 끼워맞춤 홈(3141)의 일부를 형성한다. 측방 끼워맞춤 홈(3143)은 외측벽(3111)과 내측벽(3112)의 사이에 위치한다. 각 측벽(3110)에서 외측벽(3111)과 내측벽(3112) 사이의 공간이 측방 끼워맞춤 홈(3143)을 형성한다.
브라켓(3100)은 후단(3102) 부근에 어댑터 시트(2120)의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에 스냅식으로 탄성 결합하는 브라켓 래치(3150)를 구비한다. 브라켓 래치(3150)는 제1 후방 리브(3123)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2 후방 리브(3124)로부터 후방으로 종방향(D1)의 외측으로 연장한다. 브라켓(3100)을 측방에서 볼 때, 브라켓 래치(3150)는 J자 형상을 가진다. 다른 예로서, 브라켓 래치(3150)는 I자 또는 C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래치(3150)는 종방향(D1)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브라켓 래치(3150)는, 일단에서 후방 리브(3155)의 하단에 일체로 되고 자유단을 가지는 래치 바(3151)와, 래치 바(3151)의 후면에 위치하고 래치 바(3151)의 자유단의 아래에 쐐기형의 걸림 돌기(3152)를 구비한다. 브라켓 래치(3150)의 걸림 돌기(3152)와 걸림 돌기(3152)의 위쪽의 브라켓 래치(3150)의 표면(3153)이 후방 끼워맞춤 홈(3142)의 일부로 된다. 브라켓 래치(3150)는 걸림 돌기(3152)의 상면에서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의 걸림 러그(2124)에 결합한다.
브라켓(3100)의 전단(3101)에 위치한 전방 끼워맞춤 홈(3141)에 어댑터 시트(2120)의 전방 끼워맞춤 엣지(2121)를 끼워맞춘다. 그러면, 제2 전방 리브(3122)의 돌출부(3125)가 전방 끼워맞춤 엣지(2121)의 걸림 러그(2124)에 걸린다. 그 후, 전단(3101)을 지지점으로 하여 브라켓(3100)이 회전되어 후단(3102)에 위치한 브라켓 래치(3150)가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의 걸림 러그(2124)에 스냅식으로 탄성 결합된다. 브라켓(3100)이 어댑터 시트(2120)로 회전되면서, 측방 끼워맞춤 엣지(2123)가 측방 끼워맞춤 홈(3143)에 끼워맞춤된다. 브라켓 래치(3150)가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에 탄성 결합되어,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가 후방 끼워맞춤 홈(3142)에 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3100)은 간단한 수순과 적은 힘으로 어댑터 시트(2120)에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 시트(2120)에 결합된 브라켓(3100)은 브라캣 래치(3150)를 후방 끼워맞춤 엣지(2122)로부터 해제시키고 전술한 회전에서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어댑터 시트(2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 도 5, 도 21 내지 도 23, 도 28 내지 도 30 및 도 33을 참조하여 블레이드 어댑터(3200)를 설명한다. 블레이드 어댑터(3200)는 아암 어댑터(210)와 접촉한다. 블레이드 어댑터(3200)는 브라켓(3100)의 한 쌍의 내측벽(3112) 사이에 끼워맞춤되며 회전축(3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레이드 어댑터(3200)는 아암 어댑터(210)의 직선부(211)의 적어도 일부 및 아암 어댑터(210)의 후크부(212)가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 어댑터(3200)는 브라켓(3100)의 한 쌍의 내측벽(3112)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삽입체(3210)를 구비한다. 삽입체(3210)에는 브라켓(3100)의 회전축(3130)이 끼워맞춤되는 베어링 홀(3211)이 폭방향으로 뚫려있다. 또한, 삽입체(3210)에는, 회전축(3130)을 베어링 홀(3211)로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3212)이 삽입체(3210)의 하단으로부터 베어링 홀(3211)까지 형성되어 있다. 삽입체(3210)의 양 측면에는 복수개의 원호형 릿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체(3210)는 상기 릿지를 통해 브라켓(3100)의 내측벽(3112)과 마찰 접촉한다. 삽입체(3210)는 베어링 홀(3211)의 후방에 한 쌍의 리세스(3216)를 가진다. 리세스(3216)는 그 표면에서 브라켓(3100)의 스토퍼(3117)와 접촉한다. 따라서,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어댑터(3200)가 회전축(3130)에 대하여 회전하는 도중, 블레이드 어댑터(3200)가 리세스(3216)에서 스토퍼(3117)에 걸려, 블레이드 어댑터(3200)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어댑터(3200)의 회전이 제한되면, 블레이드 어댑터(3200)는 아암 어댑터(2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 어댑터(3200)는 삽입체(3210)의 상단, 전단 및 하단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3220)을 구비한다. 측벽(3220) 사이에 아암 어댑터(210)의 직선부(211), 후크부(212) 및 연장부(213)가 위치한다. 측벽(3220)의 전단과 삽입체(3210)의 전단은 이격되어 있다. 측벽(3220)은 그 전단에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걸림 돌기(3221)를 가진다. 아암 어댑터(210)의 후크부(212)의 외면(214)이 걸림 돌기(3221)에 걸린다.
삽입체(3210)는 아암 어댑터(210)의 직선부(211)와 접촉하는 접촉 평면(3213)을 구비한다. 접촉 평면(3213)은 삽입체(3210)의 평평한 상면이며, 측벽(3220)의 상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약간의 각도로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접촉 평면(3213)과 측벽부(3210)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는 단차부(3222)가 형성된다. 아암 어댑터(210)의 직선부(211)는 단차부(3222)에 협지되어 접촉 평면(3213)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3222)는 아암 어댑터(210)의 직선부(211)와 측방에서 접촉하여, 와이퍼 아암(200)의 왕복 회동시 회동방향에 따른 힘을 받는다. 삽입체(3210)는 아암 어댑터(210)의 후크부(212)와 접촉하는 접촉 곡면(3214)을 구비한다. 접촉 평면(3213)으로부터 연장하는 삽입체(3210)의 전면이 후크부(212)의 내면(214)이 그 위에 안착하도록 라운드되어, 후크부(212)의 내면(215)과 접촉하는 접촉 곡면(3214)을 형성한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어댑터(3200)가 스토퍼(3117)에 걸려 브라켓(3100)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향된 상태에서, 아암 어댑터(210)의 후크부(212)에 삽입체(3210)의 접촉 곡면(3214)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체(3210)는 아암 어댑터(210)의 연장부(213)가 걸리는 걸림 평면(3215)를 구비한다. 걸림 평면(3215)은 접촉 곡면(321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도 4, 도 5, 도 21 내지 도 23 및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어댑터 래치(3300)를 설명한다. 어댑터 래치(3300)는 브라켓(3100)에 레버 조립체(2000)의 종방향(D1)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어댑터 래치(3300)는 아암 어댑터(210)의 후크부(212)와 블레이드 어댑터(3200)의 로킹 및 해제에 관여한다.
어댑터 래치(3300)는 브라켓(3100)의 내측벽(3112)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체(3310)를 구비한다. 삽입체(3310)는 그 전단에 브라켓(3100)의 제1 전방 리브(3121)와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핑거(3311, 3312)를 구비한다. 각 핑거(3311, 3312)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있어 탄성을 가진다. 한 쌍의 핑거(3311, 3312)의 사이에 제1 전방 리브(3121)가 끼워맞춤 되어, 어댑터 래치(3300)가 브라켓(3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삽입체(3310)는 상단 가장자리에 한 쌍의 스토퍼 엣지(3313)를 가진다. 스토퍼 엣지(3311)는 브라켓(3100)의 홈(3115)에 접촉한다. 삽입체(3310)는 전단에 상방으로 만곡한 탭(3314)을 가진다. 어댑터 래치(3300)를 브라켓(3100)으로부터 해제시킬 때, 탭(3314)이 사용될 수 있다. 삽입체(3310)는 그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한 쐐기형의 한 쌍의 걸림 돌기(3315)를 구비한다. 어댑터 래치(3300)가 브라켓(3100)으로 회전하면, 걸림 돌기(3315)가 브라켓(3100)의 리세스(3116)에 스냅결합한다.
어댑터 래치(3300)는 아암 어댑터(210)의 후크부(212)를 블레이드 어댑터 (3200)에 고정하는 로킹부(3320)를 구비한다. 로킹부(3320)는 삽입체(3310)로부터 연장하며 T자 형상을 가진다. 로킹부(3320)는 후크부(212)의 외면(214)과 접촉하거나 외면(214)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풋(3321)을 구비한다. 풋(3321)은 후크부(212)의 구부러진 형상에 대응하도록 만곡된 부분을 포함한다.
어댑터 래치(3300)는 아암 어댑터(210)를 블레이드 어댑터(3200)에 로킹하는 로킹 위치와 아암 어댑터(210)와 블레이드 어댑터(3200) 간의 로킹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상기 로킹 위치에서는, 스토퍼 엣지(3313)가 브라켓(3100)의 홈(3115)에 안착되고 걸림 돌기(3315)가 브라켓(3100)의 리세스(3116)에 스냅결합한다. 또한, 상기 로킹 위치에서는, 풋(3321)이 후크부(212)의 외면(214)과 접촉하거나, 후크부(212)의 외면(214)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따라서, 상기 로킹 위치에서는, 아암 어댑터(210)의 후크부(212)는 블레이드 어댑터(3200)의 접촉 곡면(3214)과 어댑터 래치(3300)의 풋(3321) 사이에서 로킹된다. 어댑터 래치(3300)가 상기 고정위치로부터 브라켓(3100)의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후크부(212)와 블레이드 어댑터(3200) 간의 로킹이 해제된다. 상기 해제 위치는 어댑터 래치(3300)의 회전 위치 중 걸림 돌기(3315)가 리세스(3116)로부터 분리되고 풋(3321)이 후크부(212)와 접촉하지 않는 임의의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후크 와이퍼 아암(200) 간의 연결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래치(3300)가 브라켓(3100)로부터 젖혀져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아암 어댑터(210)의 연장부(213)를 블레이드 어댑터(3200)의 측벽(3220)의 사이를 통해 측벽(3220)의 전단으로부터 삽입체(3210)의 아래로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직선부(211)는 단차부(3222)의 사이에서 삽입체(3210)의 접촉 평면(3213) 상에 안착되고, 후크부(212)의 내면(215)은 삽입체(3210)의 접촉 곡면(3214) 상에 접촉되며, 연장부(213)는 삽입체(3210)의 걸림 평면(3215)의 아래쪽에 놓인다. 또한, 삽입이 완료되면, 측벽(3220)의 걸림 돌기(3221)가 후크부(212)의 외면(214)에 걸린다.
그 후, 어댑터 래치(3300)를 브라켓(3100) 쪽으로 회동시켜서,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래치(3300)를 브라켓(3100)에 로킹 위치에 고정시킨다. 어댑터 래치(3300)가 브라켓(3100)에 고정되면,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래치(3300)의 풋(3321)은 후크부(212)의 외면(214)과 접촉하거나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따라서, 후크부(212)가 블레이드 어댑터(3200)의 삽입체(3210)와 어댑터 랩치의 풋(3321)의 사이에서 로킹된다. 또한, 연장부(213)는 삽입체(3210)의 걸림 평면(3215)에 걸리며, 직선부(211)는 삽입체(3210)의 접촉 평면(3213)에 접촉된 채로 블레이드 어댑터의 한 쌍의 측벽(3220) 사이에서 협지된다.
전술한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2000)는 제2 레버(2200)의 한 쌍의 핑거(2241)와 제3 레버(2300)의 두 쌍의 핑거(2321)에 의해 와이퍼 러버(1100)를 6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는 와이퍼 러버(1100)를 4개의 압력점 또는 8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한다.
도 36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다. 도 36에 도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100A)는 전술한 와이퍼 블레이드(10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와이퍼 블레이드(100A)의 레버 조립체(2000A)는, 제1 레버(2100A)와, 한 쌍의 제2 레버(2200A)와, 제1 레버(2100A)와 한 쌍의 제2 레버(2200A)를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하는 한 쌍의 조인트(2400)를 구비한다. 제1 레버(2100A)는 레버 조립체(2000)의 제1 레버(2100)보다 짧으며, 제1 레버(2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2 레버(2200A)는 레버 조립체(2000)의 제2 레버(2200)보다 짧다. 제2 레버(2200)의 레버 연결부(2223)를 제외하고는, 제2 레버(2200A)는 제2 레버(2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2 레버(2200A)는 조인트 시트로부터 연장하는 아암(2224)과 아암(2224)의 말단에 한 쌍의 핑거(2225)를 가진다. 레버 조립체(2000A)는 제2 레버(2200A)의 4쌍의 핑거(2225, 2241)에 의해 와이퍼 러버(1100)를 4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한다.
도 3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다. 도 37에 도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100B)는 전술한 와이퍼 블레이드(100)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와이퍼 블레이드(100B)의 레버 조립체(2000B)는, 제1 레버(2100B)와, 한 쌍의 제2 레버(2200B)와, 제1 레버(2100B)와 한 쌍의 제2 레버(2200A)를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하는 한 쌍의 조인트(2400)와, 제2 레버(2200B)의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두개의 제3 레버(2300B)를 구비한다.
제1 레버(2100B)는 레버 조립체(2000)의 제1 레버(2100)보다 길며, 제1 레버(2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2 레버(2200B)는 레버 조립체(2000)의 제2 레버(2200)보다 길며, 제2 레버(2200)의 핑거(2241)를 갖지 않는다. 제2 레버(2200B)는 그 아암부의 내측에, 제2 레버(2200)의 한 쌍의 끼워맞춤 핀(2233)과 유사한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을 가진다. 제3 레버(2300B)는 레버 조립체(2000)의 제3 레버(2300)보다 짧으며, 레버 조립체(2000)의 제3 레버(23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각각의 제2 레버(2200B)에 두개의 제3 레버(2300B)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나의 제2 레버(2200B)에 있어서, 제3 레버(2300B) 중 하나는 레버 연결부에 연결되고, 제3 레버(2300B) 중 다른 하나는 끼워맞춤 핀에 의해 아암부에 연결된다. 레버 조립체(2000B)는 제3 레버(2300B)의 8쌍의 핑거(2321B)에 의해 와이퍼 러버(1100)를 8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레버 조립체(2000, 2000A, 2000B)는 제1 레버(2100, 2100A, 2100B)에 종방향(D1), 수직방향(D3) 또는 종방향(D1)과 수직방향(D3)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끼워맞춤된 후 제2 레버(2200, 2200A, 2200B)에 수직방향(D3)으로 끼워맞춤되는 조인트(2400)를 포함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레버 조립체는 제2 레버에 결합된 후 제1 레버에 결합되는 조인트를 포함한다. 도 38에 도시하는 레버 조립체(2000C)에 의하면, 조인트(2400)는 제2 레버(2200C)에 종방향(D1) 또는 수직방향(D3)으로 끼워맞춤 된 후, 제1 레버(2100C)에 수직방향(D3)으로 끼워맞춤되어, 제1 레버(2100C)와 제2 레버(2200C)를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한다. 도 38에 도시하는 레버 조립체에 있어서, 전술한 조인트 시트(2221)와 끼워맞춤 핀(2232)은 제1 레버(2100C)의 종방향(D1)의 외단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전술한 끼워맞춤 러그(2131)와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2132)는 제2 레버(2200C)의 종방향(D1)의 내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6에 도시하는 레버 조립체(2200C)의 제1 레버, 제2 레버 및 조인트의 연결 구성은, 전술한 와이퍼 블레이드(100A, 100B)의 레버 조립체(2000A, 2000B)에 채용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와이퍼 블레이드, 100A: 와이퍼 블레이드, 100B: 와이퍼 블레이드, 200: 후크 와이퍼 아암, 210: 아암 어댑터, 1100: 와이퍼 러버, 2000: 레버 조립체, 2000A: 레버 조립체, 2000B: 레버 조립체, 2000C: 레버 조립체, 2011F: 스포일러 표면, 2011R: 스포일러 표면, 2012F: 스포일러 표면, 2012R: 스포일러 표면, 2100: 제1 레버, 2100A: 제1 레버, 2100B: 제1 레버, 2100C: 제1 레버, 2120: 어댑터 시트, 2121: 전방 끼워맞춤 엣지, 2122: 후방 끼워맞춤 엣지, 2123: 측방 끼워맞춤 엣지, 2131: 끼워맞춤 러그, 2132: 끼워맞춤 러그, 2200: 제2 레버, 2200A: 제2 레버, 2200B: 제2 레버, 2200C: 제2 레버, 2211: 단차면, 2221: 조인트 시트, 2231: 끼워맞춤 핀, 2300: 제3 레버, 2300B: 제3 레버, 2400: 조인트, 2410: 측벽, 2420: 상벽, 2421: 슬롯, 2430: 플랜지, 2440: 탄성 플랩, 2442: 끼워맞춤 구멍, 2451: 슬라이드 홈, 2452: 끼워맞춤 리세스, 2453: 전방 스토퍼, 2454: 후방 스토퍼, 3000: 어댑터 조립체, 3100: 브라켓, 3130: 회전축, 3141: 전방 끼워맞춤 홈, 3142: 후방 끼워맞춤 홈, 3143: 측방 끼워맞춤 홈, 3150: 브라켓 래치, 3152: 걸림 돌기, 3200: 블레이드 어댑터, 3300: 어댑터 래치

Claims (16)

  1. 종방향으로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이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제1 레버와,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제2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은닉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를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하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 중 하나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한 한 쌍의 탄성 플랩과,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 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가 각각 걸리는 한 쌍의 끼워맞춤 리세스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이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플랩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으로부터 돌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뚫린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이 상기 탄성 플랩을 형성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이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위치하는 조인트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은 상기 조인트 시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 쪽으로 압박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시트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플랩 각각의 일부가 안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플랩 시트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 중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와 상기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또 하나의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 각각에 상기 끼워맞춤 러그와 상기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의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레버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8. 와이퍼 러버와, 종방향으로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상기 레버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어댑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이며,
    상기 레버 조립체는,
    중앙에 상기 어댑터 조립체가 결합되는 어댑터 시트와 상기 종방향의 각 외단에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가지는 제1 레버와,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을 각각 가지며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한 쌍의 제2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은닉되고, 각각 상기 제1 레버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의 각각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를 힌지연결에 의해 결합하는 한 쌍의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조인트의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과,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폭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한 한 쌍의 탄성 플랩과,
    상기 한 쌍의 측벽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 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가 각각 걸리는 한 쌍의 끼워맞춤 리세스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뚫린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이 상기 탄성 플랩을 형성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이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핀이 위치하는 조인트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은 상기 조인트 시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 쪽으로 압박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시트는 상기 한 쌍의 탄성 플랩 각각의 일부가 안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플랩 시트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와 상기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또 하나의 한 쌍의 끼워맞춤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홈 각각에 상기 끼워맞춤 러그와 상기 또 하나의 끼워맞춤 러그의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상기 제2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레버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한 쌍의 제2 레버는 내측으로 경사진 스포일러 표면을 가지는
    와이퍼 블레이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조립체는,
    상기 어댑터 시트에 끼워맞춤되고 회전축을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퍼 아암의 아암 어댑터와 접촉하는 블레이드 어댑터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대향하여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암 어댑터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로킹하는 로킹 위치와 상기 아암 어댑터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 간의 로킹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어댑터 래치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시트는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끼워맞춤 엣지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 조립체는 상기 어댑터 시트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끼워맞춤 엣지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홈과 상기 끼워맞춤 엣지에 탄성 결합하는 브라켓 래치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 래치는 상기 끼워맞춤 홈의 일부로 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60136586A 2016-10-20 2016-10-20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04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86A KR101804704B1 (ko) 2016-10-20 2016-10-20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86A KR101804704B1 (ko) 2016-10-20 2016-10-20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704B1 true KR101804704B1 (ko) 2017-12-04

Family

ID=6092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586A KR101804704B1 (ko) 2016-10-20 2016-10-20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7928A (zh) * 2018-10-15 2019-01-11 厦门宇进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一体化速配多功能雨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514B1 (ko) 2011-12-01 2013-04-02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55816B1 (ko) 2013-12-31 2014-11-0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514B1 (ko) 2011-12-01 2013-04-02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55816B1 (ko) 2013-12-31 2014-11-0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7928A (zh) * 2018-10-15 2019-01-11 厦门宇进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一体化速配多功能雨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389B2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KR101426001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8615841B2 (en) Connecting unit for hook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JP5335133B2 (ja) ワイパアームに固く結合さ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枢着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US8286298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US8522393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8429786B2 (en) Connection devic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US8484794B2 (en) Devic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of a windshield wiper
KR10145581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RU2561173C2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переход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для ее шарни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ее рычагом
US880009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5377772B2 (ja) 接続装置
US9855923B2 (en) Wiper blade
KR101691427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KR10151131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047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US11529931B2 (en) Windshield wiper arm adapter, coupler and assembly
US11608033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11845644B (zh) 一种适配u型刮臂的雨刷连接器及雨刷
WO2022035883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