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55A -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55A
KR20110000855A KR1020090058155A KR20090058155A KR20110000855A KR 20110000855 A KR20110000855 A KR 20110000855A KR 1020090058155 A KR1020090058155 A KR 1020090058155A KR 20090058155 A KR20090058155 A KR 20090058155A KR 20110000855 A KR20110000855 A KR 20110000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lement
adapter
side wall
locking
wi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7384B1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에이디엠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에이디엠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384B1/ko
Priority to US12/500,153 priority patent/US8286298B2/en
Priority to JP2009163367A priority patent/JP4852711B2/ja
Priority to CA2671767A priority patent/CA2671767C/en
Priority to ES09165244T priority patent/ES2391241T3/es
Priority to PL09165244T priority patent/PL2143603T3/pl
Priority to EP09165244A priority patent/EP2143603B1/en
Priority to CN2009101589830A priority patent/CN101624043B/zh
Priority to RU2009138759/11A priority patent/RU2416536C1/ru
Publication of KR2011000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2001/402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able to receive pivot pins of different di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와이퍼블레이드를 다양한 와이퍼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조인트와, 조인트에 스냅결합으로 장착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장착되는 어댑터를 가진다. 브라켓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피봇보어가 뚫린 피봇축을 가진다. 어댑터는 끼움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를 구비하며, 브라켓의 피봇축의 양단부가 끼움구멍에 스냅결합되는 방식으로 브라켓에 장착된다. 어댑터는 와이퍼아암의 다양한 형상의 말단부에 모두 적합하도록 형성된다. 어댑터와 피봇축을 통해 연결장치는 하나의 플랫와이퍼블레이드를 다양한 와이퍼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한다.
와이퍼, 와이퍼아암, 플랫와이퍼블레이드, 와이퍼스트립, 프레임, 어댑터

Description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본 발명은 와이퍼블레이드에 장착되어 와이퍼블레이드를 와이퍼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플랫와이퍼블레이드를 여러 유형의 와이퍼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기 위한 와이퍼장치가 통상 설치된다. 와이퍼장치는, 예컨대, 구동모터와, 와이퍼아암과, 윈드실드의 표면에 위치하는 와이퍼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구동모터는 왕복회동을 발생시키도록 기능한다. 와이퍼아암은 기단부에서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결합된다. 와이퍼블레이드는 와이퍼아암의 말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퍼아암의 기단부에는 와이퍼아암의 말단부를 윈드실드 쪽으로 가압하는 요소가 설치된다. 따라서, 와이퍼블레이드는 와이퍼아암의 가압력 하에서 윈드실드의 표면에 밀착되고, 구동모터의 왕복 회동에 의해 윈드실드의 표면을 슬라이드하면서 윈드실드의 표면을 닦아낸다.
와이퍼블레이드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길다란 와이퍼스트립과, 와이 퍼스트립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및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다. 프레임 부재는 복수개의 레버를 가진 조립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최근,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부재로서, 얇고 길다란 바 형태의 하나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와이퍼블레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퍼블레이드는 당해 분야에 플랫와이퍼블레이드(flat wiper blade) 또는 플랫바와이퍼블레이드(flat bar wiper blade)로 알려져 있다. 플랫와이퍼블레이드는 와이퍼장치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고, 균일한 하중으로 와이퍼스트립을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플랫와이퍼블레이드는 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연결장치를 설치하고 와이퍼아암의 말단부와 상기 연결장치를 직접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플랫와이퍼블레이드를 와이퍼아암에 결합시키고 있다. 와이퍼아암 메이커들마다 자사의 고유한 플랫와이퍼블레이드용 와이퍼아암을 시판하고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와이퍼아암 메이커들 또는 와이퍼장치 메이커들마다 각종 와이퍼아암에 적합한 연결장치를 시판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플랫와이퍼블레이드용 와이퍼아암과 이들의 각각에 적합하게 구성된 연결장치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플랫와이퍼블레이드용 와이퍼아암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와이퍼아암은 그 말단부가 수용부와 수용부의 후단에 형성된 오목부와 수용부의 선단에 돌출된 텅을 구비하고 있으며, "탑로크(top lock) 와이퍼아암" 또는 "핀치탭(pinch tab) 와이퍼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공개특허 제10-2005-0085129호 및 제10-2005-0007446호는 탑로크 와이퍼아암과 플랫와 이퍼블레이드의 결합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면, 연결장치는 텅(13, 13')을 일측에 걸고 타측에서 오목부(14a, 14b, 14a', 14b')에 스냅결합되는 방식으로 와이퍼아암(1, 1')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와이퍼아암은 그 말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크(hook) 와이퍼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후크와이퍼아암은 레버 조립체로 구성되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와이퍼블레이드에도 사용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05-0033046호는 후크와이퍼아암과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결합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면, 연결장치는 후크부에 걸림방식으로 결합되어 와이퍼아암(2)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와이퍼아암은 그 말단부가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베이어닛(bayonet) 와이퍼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등록특허 제10-725988호는 베이어닛 와이퍼아암과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결합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의 의하면, 연결장치가 베이어닛 와이퍼아암(3)의 말단부의 삽입공간 내로 끼워맞춤되어, 서로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와이퍼아암은 와이퍼아암의 말단부에 와이퍼아암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돌출한 사이드핀(side pin)과 클립아암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이드판(side pin) 와이퍼아암", "사이드로크(side lock) 와이퍼아암", "슬라이드핀(slide pin) 와이퍼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공개특허 제10-2008-0059225호는 사이드로크 와이퍼아암과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결합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면, 사이드핀(41)을 관형 요소에 관통시키고 클립아암(42)을 연결장치에 스내 결합시킴으로써, 연결장치와 와이퍼아암이 서로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와이퍼아암은 와이퍼아암의 말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핀(51)과 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52)을 구비하며, "핀 와이퍼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핀 와이퍼아암은 레버 조립체로 구성되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와이퍼블레이드에도 사용되고 있다. 핀 와이퍼아암은 핀과 환상홈에 맞물림 방식으로 연결장치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예시한 여러 와이퍼아암들(1, 1', 2, 3, 4, 5)은 각 와이퍼아암의 말단부의 형상에 적합하게 구성된 연결장치를 사용해야만 플랫와이퍼블레이드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플랫와이퍼블레이드에 설치되는 연결장치가 와이퍼아암의 말단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준비되어야 한다. 결국, 주어진 형태의 와이퍼아암에 특정되는 전용의 연결장치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연결장치를 생산하는 메이커로서는, 와이퍼아암별로 적합한 다양한 연결장치를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하므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수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개발 및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원가 및 물류비용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자동차에 설치된 와이퍼아암의 말단부의 형상에만 적용되는 연결장치를 선택해야 하므로, 연결장치의 선택시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러므로, 여러 형태의 와이퍼아암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구성된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5-0085129호 및 제10-2005-0007446호에 기술된 종래 기술의 연결장치의 경우, 와이퍼아암(1, 1')의 오목부(14a, 14b, 14a', 14b')에 길다랗고 탄성변형가능한 바 형태의 부품으로 스냅결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바 형태의 부품은 그 구종상 오목부와의 물림이 헐거워질 수 있다. 즉, 와이퍼아암(1, 1')이 구동하여 플랫와이퍼블레이드가 왕복운동할 때, 와이퍼아암(1, 1')에 의해 플랫와이퍼블레이드에는 그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바형태의 부품이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안쪽으로 탄성변형되어 정확한 물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유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퍼아암(1, 1')을 장시간 사용하면 그러한 유격이 점점 커져 플랫와이퍼블레이드가 와이퍼아암(1, 1')에서 탈락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상기 바 형태의 부품은 연결장치의 후방으로 돌출해 있으므로, 운반 및 조립시에 상기 바 형태의 부품이 꺾여져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8-0059225호에 기술된 종래기술의 연결장치의 경우, 사이드핀(51)이 연결장치에 대하여 원활하게 피봇하지 못해, 플랫와이퍼블레이드가 자동차의 윈드실드의 표면에에 접촉하여 이동될 때 윈드실드의 표면의 곡률에 순응하면서 원활하게 피봇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연결장치에서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이 확고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 운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을 확고하게 결합시키면서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와이퍼의블레이드에 설치되어 플랫와이퍼블레이드를 여러 유형의 와이퍼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면서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을 확고하게 결합시키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텅(13, 13')과 한 쌍의 오목부(14a, 14b, 14a', 14b')를 구비하는 제1 결합요소(10, 10'), 후크부(21)를 구비하는 제2 결합요소(20), 상판(31)과 한 쌍의 측판(32a, 32b)을 구비하는 제3 결합요소(30), 사이드핀(41)과 클립아암(42)을 구비하는 제4 결합요소(40) 및 핀(51)과 상기 핀(51)에 형성된 환상홈(52)을 구비하는 제5 결합요소(50) 중 하나를 갖춘 와이퍼아암(1, 1', 2, 3, 4, 5)에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100)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장치는 조인트(110)와, 브라켓(120)과, 어댑터(130)를 포함한다. 조인트(110)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9b)에 결합된다. 브라켓(120)은 한 쌍의 이격된 수직벽부(122a, 122b)와 수직벽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피봇보어(123a)가 형성된 피봇축(123)을 구비하고, 조인트에 장착된다. 어댑터(130)는 끼움구멍(134a, 134b)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131, 132)와 측벽부를 서로 연결하 고 끼움구멍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133a)와 끼움구멍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133b)를 구비하고, 브라켓의 피봇축의 양단부가 끼움구멍에 각각 끼워져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어댑터(130)는, 제1 결합요소의 오목부를 측벽부에 위치시키고 제1 결합요소의 텅을 측벽부에 로킹시키는 제1 로킹장치(135a, 135b, 135c)와, 제2 결합요소의 후크부를 측벽부 사이에서 제1 연결부에 대하여 로킹하는 제2 로킹장치(131a, 132a, 136a, 136b)와, 측벽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고 제3 결합요소의 측판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슬라이드레일(137a, 137b) 및 측벽부 중 하나의 후방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측판 중 하나의 후방단부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래칭레버(137e)와, 제5 결합요소의 핀을 상기 측벽부에 횡으로 상기 측벽부에 고정시키고 제5 결합요소의 환상홈을 측벽부에 로킹시키는 제5 로킹장치(138a, 138b, 138c)를 구비한다. 제4 결합요소의 사이드핀은 피봇보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다.
제1 로킹장치는 측벽부의 대면하는 내면에 각각 구비된 제1 로킹돌기(135a, 135b)와 측벽부 중 하나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피봇돌기(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요소의 오목부(14b, 14b')에 피봇돌기가 끼워지고 어댑터가 제1 결합요소로 회동되어 텅이 상기 제1 로킹돌기에 로킹된다.
제2 로킹장치는 측벽부에 대면하는 내면에 제1 연결부에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는 제2 로킹돌기(136a, 136b)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의 각각은 상단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고 측벽부의 내외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한 클램핑바(131a, 132a)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로킹돌기는 클램핑바의 대면하는 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는 측벽부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결합요소의 일부와 제2 결합요소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140)와, 커버(140)를 어댑터에 로킹시키기 위한 커버로킹장치(131e, 132e, 142a, 14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커버의 내면에 배치되고 커버가 어댑터에 로킹될 때 제1 로킹돌기가 위치한 측벽부의 일부의 외면과 클램핑바의 외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지지판(144a, 144b)를 구비할 수 있다.
제5 로킹장치는 측벽부의 각각에 끼움구멍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제5 결합요소의 핀이 통과가능한 베어링홀(138a, 138b)과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5 결합요소의 환상홈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래칭요소(138c, 138d)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칭요소는 제2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래칭바(138d)와 래칭바(138d)에 배치되고 상기 환상홈에 탄성적으로 물림가능한 래치부(138c)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는 프레임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요소(111a, 111b, 113)를 구비하고, 조인트와 프레임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어댑터는 측벽부의 후방단부에 위치하고 브라켓의 수직벽부 사이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제4 연결부(133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은 전방단부에 측벽부 사이에 삽입가능하게 돌출한 릿지부(121d)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어댑터를 사용해 여러 유형의 와이퍼아암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어댑터가 그 전방단부에서 제1 결합요소에 제1 로킹돌기에 의해 로킹되고 후방단부에서 피봇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므로, 어댑터와 제1 결합요소를 갖춘 와이퍼아암 사이에 간단하고 확실한 결합이 얻어진다. 또한, 어댑터가 와이퍼아암의 구동방향으로 힘이 걸리지 않도록 연결되므로, 와이퍼아암의 구동중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이 분리될 가능성이 없다.
또한, 어댑터가 제2 로킹장치에 의해 제2 결합요소에 고정된 후 커버에 의해 제2 로킹장치의 변형가 방지되므로, 제2 결합요소를 구비한 와이퍼아암과 어댑터 사이에 확고한 결합이 유지된다.
또한, 어댑터는 피봇축의 양단부가 끼움구멍에 끼워맞춤되는 방식으로 브라켓에 장착되므로, 브라켓과 어댑터 사이에 자유로운 피봇운동과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합되는 구조가 달성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이하, 간단히 ‘연결장치’라 한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이라는 지시어는 와이퍼아암의 말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참조되고, "후방"이라는 지시어는 "전방"의 반대반향으로 참조된다. 또한, "상방" 또는 "상측"이라는 지시어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조립체에서 와이퍼 아암을 향하는 방향으로 참조되고, "하방" 또는 "하측"이라는 지시어는 "상방" 또는 "상측"의 반대방향으로 참조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목적하는 여러 유형의 와이퍼아암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와이퍼아암들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결합요소들 모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어댑터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적용되는 제1 내지 제5 결합요소(10, 10', 20, 30, 40, 5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결합요소(10)는 상판(11)과 상판(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12a, 12b)을 구비하여, 이들의 내측에 상기 어댑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판(11)은 상기 어댑터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고, 측판(12a, 12b)은 상기 어댑터의 측면에 각각 대면하게 된다. 또한, 제1 결합요소(10)는 상판(11)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된 텅(13)과, 대체로 측판(12a, 12b)의 후방 단부가 일부 절결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4a, 14b)를 구비한다.
제1 결합요소(10')는 상판(11')에 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1a')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또 하나의 텅(15')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4a', 14b')가 대체로 직각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결합요소(10)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결합요소(10')의 다른 예에서는, 상기 또 하나의 텅(15')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결합요소(20)는 대체로 180도로 만곡된 후크부(21)와 후크부(21)에서 와이퍼아암(2)에 대체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2)를 구비한다. 후크부(21)는 볼록한 모양의 바깥쪽인 외면(21a)과 그 안쪽인 내면(21b)을 가진다.
제3 결합요소(30)는 상판(31)과 상판(3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판(31)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된 측판(32a, 32b)을 구비하여, 이들의 내측에 상기 어댑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판(31)은 개구부(31a)를 구비한다. 또한, 제3 결합요소(30)는 각 측판(32a, 32b)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돌출한 스토퍼부(33a, 33b)를 더 구비한다. 스토퍼부(33a, 33b)는 대체로 측판(32a, 32b)의 후방 부분에 위치한다.
제4 결합요소(40)는 와이퍼아암(4)의 말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사이드핀(41)과 사이드핀(41)에 인접하게 사이드핀(41)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클립아암(42)을 구비한다. 클립아암(42)은 스토퍼부(42a)와 스토퍼부(42a)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클립부(42b)를 구비한다.
제5 결합요소(50)는 와이퍼아암(5)의 말단부에서 와이퍼아암(5)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핀(51)과 핀(51)의 중간에 위치하고 핀(5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환상홈(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연결장치의 구성요소를 사용해 상이한 구성의 제1 내지 제5 결합요소(10, 10', 20, 30, 40, 50) 중 하나를 말단부에 갖춘 와이퍼아암(1, 1', 2, 3, 4, 5)에 플랫와이퍼블레이드를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상기 어댑터에만 구비되거나 어댑터 및 다른 구성요소와 조합되어 구비되고, 각기 상기 제1 내지 제5 결합요소와의 로킹을 실행하기 위한 제1 내지 제5 로킹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킹장치는 어댑터에 구비되어, 어댑터와 제1 결합요소(10, 10')의 걸림 및 스냅결합에 의한 로킹을 실행한다.
상기 제2 로킹장치는 어댑터에 구비되어, 어댑터와 제2 결합요소(20)의 후크결합 및 스냅결합에 의한 로킹을 실행한다.
상기 제3 로킹장치는 어댑터에 구비되고 어댑터와 제3 결합요소(30)의 끼워맞춤에 의한 로킹을 실행한다.
상기 제4 로킹장치는 어댑터와 어댑터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에 구비되고, 제4 결합요소(40)와 삽입 및 회동에 의한 로킹을 실행한다.
상기 제5 로킹장치는 어댑터에 구비되고 어댑터와 제5 결합요소(50)의 삽입 및 스냅결합에 의한 로킹을 실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예시적 일 실시예로서, 연결장치(100)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9)와 결합되는 조인트(110), 조인트(110)에 스냅결합으로 장착되는 브라켓(120), 브라켓(120)에 장착되는 어댑터(130), 그리고 어댑터(130)에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40)를 구비한다.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와이퍼스트립(9a)과 와이퍼스트립(9a)을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9b)을 구비한다. 와이퍼스트립(9a)은 예컨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어지는 삼각형 단면의 첨단부를 가진다. 프레임(9b)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얇고 길다란 바의 형상을 가진다. 와이퍼스트립(9a)은 프레임(9b)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도시하지 않음)에 끼워맞춤에 의해 프레임(9b)에 고정된다. 프레임(9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곡률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조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조인트의 측면도이다. 조인트(110)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9)에 결합되어, 와이퍼아암(1, 1', 2, 3, 4, 5)과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를 연결한다. 상세하게는, 조인트(110)는 프레임(9b)의 중간에 배치되며, 예컨대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으로 프레임(9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조인트(110)는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으로 이루어진 조인트바디(111)와, 프레임(9b)을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유지돌기(112)와, 브라켓(120)과의 스냅결합을 위한 스냅요소(113)를 포함한다. 조인트바디(111)는 길이방향에서의 양측 가장자리에 프레임유지레그(111a, 111b)를 가진다. 프레임유지레그(111a, 111b)의 하단에서 조인트바디(111)의 안쪽으로 프레임유지돌기(112)가 돌출되어 있다. 프레임유지돌기(112)와 프레임유지레그(111a, 111b)에 프레임(9b)이 억지끼워맞춤으로 유지된다. 즉, 프레임(9b)의 일단으로부터 프레임(9b)을 조인트바디(111)의 하면에서 프레임유지레그(111a, 111b) 사이에 끼움으로써, 조인트(110)와 프레임(9b)이 결합될 수 있다. 연결장치(100)는 프레임(9b)의 억지끼워맞춤을 보강하기 위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인트바디(111)의 양측에 구멍(114a)이 안쪽으로 뚫려있다. 이 구멍(114a)에 후술하는 브라켓(130)의 가압돌기(121e)가 삽입된다. 삽입된 가압돌기(121e)는 프레임유지레그(111a, 111b) 보다 안쪽으로 약간 돌출하여 프레임(9b)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하게 된다. 조인트바디(11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냅요소(113)가 형성되어 있다. 스냅요소(113)는 조인트바디(111)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는 클로 또는 후크의 형상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유지돌기(112)와 스냅요소(113)는 조인트바디(111)의 일측 가장자리에 2개씩 마련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수의 프레임유지돌기(112)와 스냅요소(113)가 조인트바디(11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조인트바디(111)의 하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홈 또는 리세스(111c)가 형성된다. 이러한 홈 또는 리세스(111c)는 프레임(9b)에 끼워진 와이퍼스트립(9a)의 위쪽 부분이 놓일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도 10은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브라켓(120)은 조인트(110) 위에 배치되며 조인트(110)에 스냅결합에 의해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서, 브라켓(120)은 조인트(110)를 덮기에 충분한 크기의 기부(121)와, 기부(121) 상에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부(122a, 122b)와, 수직벽부(122a, 122b)의 상부에 위치한 피봇축(123)과, 피봇축(123)에 인접하게 수직벽부(122a, 122b)의 각각에 형성된 베어링노치(124a, 124b)를 가진다.
피봇축(123)은 플랫와이퍼블레이드(9)와 와이퍼아암(1, 1', 2, 3, 4, 5)의 조립체에서 피봇중심으로 작용한다. 피봇축(123)은 수직벽부(122a, 122b)의 상부에 프레임(9b)의 길이방향에 대체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봇축(123)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이를 관통하는 피봇보어(123a)를 한정하고 있다. 피봇축(123)의 일단(123b)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123c)은 폐쇄되어 있다. 피봇보어(123a)는 제4 결합요소(40)를 말단부에 갖춘 와이퍼아암(4)과의 연결에 관여한다. 피봇축(123) 의 양단부(123b, 123c)는 수직벽부(122a, 122b)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피봇축(123)의 양단부에는 어댑터(130)와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123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브라켓의 안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조인트와 브라켓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120)은 브라켓(120)이 조인트(110)에 결합될 때 브라켓(120)의 결합위치를 한정해 주는 위치한정요소를 가진다. 상기 위치한정요소로서, 브라켓(120)의 기부(121)의 양측 가장자리의 중간에는 절결부(12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21a)는 조인트바디(111)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정합돌기(115a, 115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기부(121)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 또는 리세스(121c)가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121c)는 조인트바디(111)의 홈 또는 리세스(111c)의 형상과 일치한다. 리세스(121c)는 프레임(9b)의 위로 나오게 되는 와이퍼스트립(9a)의 일부가 놓이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또한, 기부(121)의 하단의 양 가장자리에는 가압돌기(121e)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120)이 조인트(110)에 장착되면, 가압돌기(121e)는 조인트바디(111)의 구멍(114a)을 통해 프레임유지레그(111a, 111b) 보다 안쪽으로 돌출하여, 프레임(9b)과 조인트(110) 사이의 억지끼워맞춤을 보강한다. 절결부(121a)에 인접하게, 상세하게는, 절결부(121a)의 양측에 조인트(110)의 스냅요소(113)와 스냅결합하는 스냅통공(12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인트(110)의 스냅요소(113)가 스냅통공(125)에 스냅결합하여, 브라켓(120)이 조인트(110) 상에 장착된다. 브라 켓(120)과 조인트(110)가 결합할 때, 기부(121)의 하면과 조인트바디(111)의 하면은 대체로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정합돌기(115a, 115b)와 절결부(121a)가 위치되어 있다.
베어링노치(124a, 124b)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각 수직벽부(122a, 122b)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대체로 반원형으로 절결되어 있다. 베어링노치(124)에는 제5 결합요소(50)의 핀(51)이 지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피봇축(123) 후방의 수직벽부(122a, 122b)가 낮게 형성되는 경우, 베어링노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3은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어댑터의 안쪽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어댑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서, 어댑터(130)는 한 쌍의 측벽부(131, 132)와, 측벽부들(131, 132)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133a, 133b, 133c, 133d)를 구비한다. 측벽부들(131, 132) 사이에 피봇축(123)을 포함하는 브라켓(120)의 일부가 놓인다. 또한, 브라켓(120)의 기부(121)의 전방에 상방으로 돌출한 릿지부(121d)는 측벽부들(131, 132)의 전방 부분 사이에 놓일 수 있으며, U자형으로 절곡된 제4 연결부(133d)는 측벽부들(131, 132)의 후방 부분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릿지부(121d)와 제4 연결부(133d)에 의해, 어댑터(130)가 브라켓(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어댑터(130)가 피봇축(123)의 축선에 대하여 횡으로 요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각 측벽부(131, 132)에는 피봇축(123)의 양단부(123b, 123c)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끼움구멍(134a, 134b)이 뚫어져 있다. 측벽부들(131, 132)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브라켓(120)의 수직벽부(122a, 122b)의 외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크다. 또한, 각 측벽부(131, 132)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제1 결합요소(10, 10')의 텅(13, 13')과 제2 결합요소(20)의 후크부(21)의 폭을 충분히 수용하도록 정해져 있다. 어댑터(130)가 브라켓(120)에 장착될 때, 피봇축(123)은 그 양단부의 경사면(123d)에서 측벽부(131, 132)의 하단과 접촉하게 된다. 계속해서 어댑터(130)를 브라켓(120)에 누르면, 측벽부들(131, 132)이 어댑터(130)의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약간 휘어지고, 피봇축(123)의 양단부가 끼움구멍(134a, 134b) 내로 완전히 진입하면 다시 탄성적으로 복귀함으로써, 피봇축(123)의 양단부와 각 끼움구멍(134a, 134b)은 끼워맞춤된다. 어댑터(130)가 브라켓(120)에 장착될 때, 측벽부(131, 132)의 외면과 피봇축(123)의 양단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대체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이와 같이, 어댑터(130)는 브라켓(120)의 위쪽에서 눌러서 스냅결합 및 끼워맞춤에 의해 브라켓(120)에 장착된다. 피봇축(123)이 프레임(9b)에 직교하게 배치되어 있고 어댑터(130)에는 와이퍼아암들이 피봇축(123)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플랫와이퍼블레이드(9)와 와이퍼아암(1, 1', 2, 3, 4, 5)이 연결되었을 때, 양자는 피봇축(12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와이퍼아암(1, 1', 2, 3, 4, 5)에 의해 플랫와이퍼블레이드(9)가 윈드실드의 표면 상에서 이동될 때,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는 윈드실드 표면의 곡률에 순응하면서 윈드실드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3a)는 끼움구멍(134a, 134b)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1 연결부(133a)의 전방 부분은 제2 결합요소(20)의 후크부(21)의 내면(21b)이 안착되도록 라운드되어 있다. 제2 연결부(133b)는 끼움구멍(134a, 134b)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3 연결부(133c)는 측벽부(131, 132)의 전방단부에 위치한다. 제3 연결부(133c)의 부근의 각 측벽부(131, 132)에 후술하는 커버(140)의 회동결합을 위한 회동공(131c, 132c)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연결부(133d)는 측벽부(131, 132)의 후방 단부에 대체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4 연결부(133d)의 양측 외면과 측벽부(131, 132)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어댑터(130)가 브라켓(120)에 장착될 때, 브라켓(120)의 수직벽부(122a, 122b)의 후방 일부는 상기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킹장치는 제1 결합요소(10, 10')의 텅(13, 13')에 탄성적으로 물리는 제1 로킹돌기(135a, 135b)와, 제1 결합요소(10, 10')의 오목부(14a, 14b, 14a', 14b')에 끼워지는 피봇돌기(135c)를 포함한다.
제1 로킹돌기(135a, 135b)는 각 측벽부(131, 132)의 상단 내면상에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3c) 사이에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131, 132)의 제1 및 제3 연결부(133a, 133c) 사이의 부분은 대체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로킹돌기(135a, 135b)가 위치하는 부분은 어댑터(130)의 내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피봇돌기(135c)는 측벽부(13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피봇돌기(135c)는 제1 결합요소(10, 10')의 측판(12b, 12b')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14b, 14b')에 삽입되어 그 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봇돌기(135c)는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을 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피봇돌기(135c)가 측벽부(132)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측벽부(131)의 후 방단부에도 피봇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로킹장치는 각 측벽부(131, 132)의 내면에 제1 연결부(133a)에 인접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 로킹돌기(136a, 136b)를 포함한다.
제2 로킹돌기(136a, 136b)는 제2 결합요소(20)의 후크부(21)의 삽입이 쉽고 탈락이 어렵도록 쐐기형상을 가지며, 그 경사면은 어댑터(130)의 전방을 향하고 그 걸림면은 어댑터(13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로킹돌기(136a, 136b)의 걸림면과 제1 연결부(133a)의 전방 표면 사이의 간극은 대체로 후크부(21)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로킹돌기(136a, 136b)는 어댑터(130)의 내외측으로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로서, 각 측벽부(131, 132)가 탄성변형 가능한 한 쌍의 클램핑바(131a, 132a)를 구비하며, 제2 로킹돌기(136a, 136b)는 클램핑바(131a, 132a)의 대면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클램핑바(131a, 132a)는 측벽부(131, 132)의 상단 부근의 일부가 예컨대 측벽부(131, 132)의 상단에 평행하게 절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클램핑바(131a, 132a)의 후방의 측벽부(131, 132) 상단에 노치(131b, 132b)가 형성되어 있어, 클램핑바(131a, 132a)는 더욱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클램핑바(131a, 132a)의 전방 자유단부에는 후술하는 커버(140)의 지지판(144a, 144b)과 접촉가능한 단차부(131f, 132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커버(140)의 안쪽이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8은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조인트, 브라켓, 어댑터 및 커버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커버(140)는 상기 제1 및 제2 로킹장치의 로킹 기능을 돕고 연결후 와이퍼아암(1, 1', 2)의 말단부 일부와 어댑터(130)를 덮어 가리도록 기능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서, 커버(140)는 대체로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측벽부(131, 132)의 상부에 놓이는 상판(141c)과, 측벽부(131, 132)와 각각 대면하는 한 쌍의 측판(141a, 141b)을 가진다. 커버(140)의 일단부, 즉 측판(141a, 141b)의 전방단부에는 커버(140)를 어댑터(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핀(143a, 143b)이 커버(140)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동핀(143a, 143b)은 어댑터(130)의 제3 연결부(133c) 부근에 형성된 회동공(131c, 132c)에 각각 끼움결합된다. 끼움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동핀(143a, 143b)의 하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핀(143a, 143b)을 측벽부(131, 132)의 전방단부에 접촉시키고 커버(140)를 어댑터(130)의 안쪽으로 눌러서, 커버(140)는 간단하게 어댑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장치(100)는 커버(140)를 어댑터(130)에 로킹시키기 위한 커버로킹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로킹장치는 커버(140)의 각 측판(141b, 141c)의 하단에 오목한 클로시트(142a)와, 커버(140)가 어댑터(130)로 회동되었을 때 클로시트(142a)과 스냅결합하도록 측벽부(131, 132)에 각각 제공된 로킹클로(131e, 132e)를 포함한다.
로킹클로(131e, 132e)는 각 측벽부(131, 132) 상에 클로시트(142a)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로킹클로(131e, 132e)는 각 측벽부(131, 132)의 외면에 형성된 스토퍼월(131d, 132d)로부터 측벽부(131, 132)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킹클로(131e, 132e)를 커버(140)의 측판(141b, 141c)의 하단을 지나 클로시트(142a)에 스냅결합함으로써 커버(140)는 어댑터(130)에 고정된다. 로킹클로(131e, 132e)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측판(141b, 141c)의 하단에는 클로시트(142a)에 정렬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클로시트(142a)와 로킹클로(131e, 132e)의 결합 위치는 커버(140)의 상판(141c)의 하면과 측벽부(131, 132)의 상면 사이에 제1 결합요소(10, 10')의 상판(11, 11') 또는 제2 결합요소(20)의 후크부(21)의 후방 부분이 유격없이 개재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커버(140)는 제1 결합요소(10, 10')와 제2 결합요소(20)가 측벽부(131, 132)에 로킹될 때 제1 로킹돌기(135a, 135b)와 제2 로킹돌기(136a, 136b)가 측벽부(131, 132)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와이퍼아암(1, 1', 2)과의 로킹을 보완하는 요소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요소는 예컨대 커버(140)에 마련되어 커버(140)가 어댑터(130)에 결합되면 상기 보완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요소는 커버(140)의 측판(141, 142)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판(144a, 144b)을 포함한다. 지지판(144a, 144b) 사이의 거리는 제1 로킹돌기(135a, 135b)가 위치하는 측벽부(131, 132) 부분의 외면 사이의 거리와 단차부(131f, 132f)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크다. 지지판(144a, 144b)은 커버(140)가 어댑터(130)에 결합되면 제1 로킹돌기(135a, 135b)가 위치하는 측벽부(131, 132)의 외면과 클램핑바(131a, 132a)에 형성된 단차부(131f, 132f)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40)는 커버(140)가 어댑터(130)에 로킹될 때 제1 결합요소의 측 판(12a, 12b, 12a', 12b')의 외면과 약간의 유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는 지지돌기를 각 측판(141a, 141b)의 내면에 구비할 수 있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로킹장치는 제3 결합요소(30)에 구비된 한 쌍의 측판(32a, 32b)의 내면으로 슬라이드하여 내면과 끼워맞춤되는 슬라이드레일(137a, 137b)과, 측판(32a, 32b)의 전방 단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된 스토퍼월(131d, 132d)과, 측판(32b)의 후방 단부에 탄성적으로 래칭되는 래칭레버(137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슬라이드레일(137a, 127b)은 각 측벽부(131, 132)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로킹장치는 어댑터(130)의 제3 결합요소(30) 안으로의 삽입을 한정하는 정지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지요소는 제3 결합요소의 측판(32a, 32b)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돌출한 스토퍼부(33a, 33b)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스토퍼부(137c, 137d)를 포함한다. 스토퍼부(137c, 137d)는 슬라이드레일(137a, 137b)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슬라이드레일(137a, 137b)의 아래쪽에서 슬라이드레일(137a, 137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일(137b)과 스토퍼부(137d)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래칭레버(137e)는 측벽부(132)의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측벽부(132)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벽부(132)의 후방단부는 회동돌기(135c)의 하측 일부가 절결되어 래칭레버(137e)의 탄성변형를 실행한다. 래칭레버(137e)는 그 전방 단부가 어댑터(130)가 제3 결합요소(30)의 내부로 완전히 끼워지면 측판(32b)의 후방단부에 걸리도록 위치되어 있다. 어 댑터(130)와 제3 결합요소(30)의 분리시에는, 래칭레버(137e)를 하측으로 젖혀 래칭레버(137e)를 측판(32b)의 후방단부에서 분리시키면, 연결장치(100)는 제3 결합요소(30)와 분리될 수 있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4 로킹장치는 제4 결합요소(40)의 사이드핀(41)이 회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피봇축(123)과 제4 결합요소(40)의 클립아암(42)이 스냅결합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부분은 측벽부(132)의 외면이다. 측벽부(131, 132)의 외면 사이의 거리는 클립아압(42)이 측벽부(132)의 외면에 스냅결합가능하도록 정해져 있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5 로킹장치는 어댑터(130)에 구비되고 제5 결합요소의 핀(51)을 지탱하는 베어링홀(138a, 138b)과, 제5 결합요소의 환상홈(52)에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래치부(138c)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베어링홀(138a, 138b)은 각 측벽부(131, 132)에 끼움구멍(134a, 134b)에 인접하게 뚫어져 있고, 래치부(138c)는 일단에서 제2 연결부(133b)에 일체로 형성된 래칭바(138d)에 구비되어 있다. 래칭바(138d)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래칭바(138d)는 제2 연결부(133b)를 중심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래치부(138c)는 환상홈(52)의 외주형상에 대응하도록 라운드된 접촉면을 구비한다. 또한, 래치부(138c)는 래칭바(138d)의 자유 상태에서 베어링홀(138a, 138b)의 영역 보다 안쪽에 놓이도록 래칭바(138d)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5 결합요소(50)의 핀(51)은 측벽부(131)의 베어링홀(138a)을 통해 측벽부(131, 132) 사이로 진입하고 측벽부(132)의 베어링홀(138b)을 통해 돌출될 수 있 다. 핀(51)이 베어링홀(138a, 138b)을 통과하는 도중, 래칭바(138d)가 휘어지고, 환상홈(52)이 래칭바(138d)에 도달하면 래치부(138c)가 환상홈(52)에 탄성적으로 물리게 된다. 어댑터(130)와 제5 결합장치의 분리시에는, 래칭바(138d)를 상측으로 젖혀 환상홈(52)과의 물림을 해제하면, 핀(51)은 측벽부(131, 132)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20과 도 21은 제1 결합요소(10)를 말단부에 구비한 와이퍼아암(1)과 연결장치(100)의 로킹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와이퍼아암(1)과 플랫와이퍼블레이드(9)의 예시적 연결예를 설명한다.
커버(140)가 어댑터(130)로부터 젖혀진 상태에서, 어댑터(130)의 피봇돌기(135c)를 대응하는 제1 결합요소(10)의 오목부(14b)에 접촉시킨다. 피봇돌기(135c)가 오목부(14b)에 접촉된 상태에서, 어댑터(130)(어댑터(130)가 장착된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는 피봇돌기(135c)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제1 결합요소(10) 쪽으로 회동될 수 있다. 완전히 회동되면, 텅(13)은 측벽부(131, 132)의 전방부분의 제1 로킹돌기(135a, 135b) 사이에 제1 로킹돌기(135a, 135b)에 의해 로킹되고, 상판(11)은 측벽부(131, 132)의 상부에 접촉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140)를 어댑터(130)쪽으로 젖혀서 클로시트(142a)와 로킹클로(131e, 132e)가 서로 맞물리게 한다. 그러면, 커버의 상판(141c)의 하면의 일부가 제1 결합요소(10)의 상판(11)의 상면의 일부에 접촉되고, 지지판(144a, 144b)이 제1 로킹돌기(135a, 135b)가 위치한 측벽부(131, 132)의 외면에 인접하게 되어, 제1 로킹돌기(135a, 135b)의 외측 변형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는 제1 결합요소(10)를 구비 한 와이퍼아암(1)에 어댑터(130)의 후방단부에서 피봇돌기(135c)에 의해 제1 결합요소(10)에 지지되고 전방단부에서 제1 로킹돌기(135a, 135b)에 의해 로킹되어 연결된다.
도 22와 도 23은 또 하나의 제1 결합요소(10')를 말단부에 구비한 와이퍼아암(1')과 연결장치(100)의 로킹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커버(140)가 어댑터(130)로부터 젖혀진 상태에서, 오목부(14b')에 피봇돌기(135c)를 끼운다. 계속해서, 연결장치(100)가 장착된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를 제1 결합요소(10') 쪽으로 회동시켜, 제1 결합요소(10')와 어댑터(130)를 서로 대응하는 부분끼리 접촉시킨다. 그 후, 커버(140)를 다시 어댑터(130) 쪽으로 젖혀서, 로킹을 완료한다. 제1 결합요소(10')를 구비한 와이퍼아암(1')은 상술한 제1 결합요소(10)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장치(100)와 로킹된다.
도 24 및 도 25는 제2 결합요소(20)를 말단부에 구비한 와이퍼아암(2)과 연결장치(100)의 로킹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커버(140)가 어댑터(130)로부터 젖혀진 상태에서, 제2 결합요소의 연장부(22)를 어댑터(130)의 클램핑바(131a, 132a) 사이를 통해 어댑터(130) 안쪽으로 삽입한다. 삽입 도중, 클램핑바(131a, 132a)는 후크부(21)와 제2 로킹돌기(136a, 136b)가 접촉되면서 바깥쪽으로 휘어지고, 후크부(21)가 제2 로킹돌기(136a, 136b)를 지나면 다시 복귀하여 제2 로킹돌기(136a, 136b)가 후크부(21)의 외면(21a)에 걸린다. 이 때, 후크부(21)의 내면(21b)은 제1 연결부(133a)의 외면에 접촉되고, 연장부(22)는 제1 연결부(133a)와 피봇축(123)의 아래쪽에 놓인다.
어댑터(130)가 제2 로킹장치(상세하게는, 클램핑바(131a, 132a)와 제2 로킹돌기(136a, 136b))에 의해 후크부(21)에 로킹된 상태에서, 커버(140)를 어댑터(130)쪽으로 젖혀 폐쇄한다. 그러면, 클로시트(142a)와 로킹클로(131e, 132e)가 맞물리면서, 지지판(144a, 144b)이 클램핑바의 단차부(131f, 132f)에 위치하고, 클램핑바(131a, 132a)가 고정되고 어댑터(130)와 와이퍼아암(2)의 로킹이 완료된다.
도 26 및 도 27는 제3 결합요소(30)를 말단부에 구비한 와이퍼아암(3)과 연결장치(100)의 로킹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와이퍼블레이드(9)에 장착된 어댑터(130)를 그 후방단부로부터 제3 결합요소(30) 내로 삽입한다. 그러면, 슬라이드레일(137a, 137b)이 측판(32a, 32b)의 내면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어댑터(130)가 제3 결합요소(30) 내로 끼워진다. 측판(32a, 32b)의 전방 단부가 스토퍼월(131d, 132d)에 접촉되고, 스토퍼부(33a, 33b)가 슬라이드레일(137a, 137b)의 스토퍼부(137c, 137d)에 접촉되고, 래칭레버(137e)가 측판(32b)의 후방단부에 걸리면, 끼워맞춤 로킹이 완료된다. 측판(32b)의 후방단부에 래칭레버(137e)가 걸리게 되므로, 제3 결합요소(30)와 어댑터(130)의 분리가 방지된다.
도 28 및 도 29는 제4 결합요소(40)를 말단부에 구비한 와이퍼아암(4)과 연결장치(100)의 로킹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30)가 장착된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를 피봇축(123)에 사이드핀(41)이 끼워지는 식으로 와이퍼아암(4)에 결합한다. 이러한 끼움은 사이드핀(41)의 기부 부근의 제4 결합요소(40)의 부분이 측벽부(131)의 외면에 접촉하면 완료된다. 사이드핀(41)이 피봇축(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어댑터(130)(또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는 사이드핀(4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계속해서, 어댑터(130)를 와이퍼아암(4) 쪽으로 회동시켜 클립아암(42)의 스토퍼부(42a)를 측벽부(131, 132)의 상부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클립부(42b)가 측벽부(132)의 외면에 스냅 결합된다. 도 29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이드핀(41)은 피봇축(123)에 끼워져 있고, 클립부(42a)는 측벽부(132)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4 결합요소(40)와 연결장치(100) 사이의 끼움 및 스냅 로킹이 달성된다.
도 30은 제5 결합요소(50)를 말단부에 구비한 와이퍼아암(5)과 연결장치(100)의 로킹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어댑터(130)가 장착된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를 측벽부(131, 132)의 베어링홀(138a)에 핀(51)을 삽입시키는 식으로 와이퍼아암(5)에 결합한다. 핀(51)이 삽입되는 도중, 제5 로킹장치의 래칭바(138b)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핀(51)의 삽입이 완료되면 래치부(138c)가 환상홈(52)에 래칭바(138d)에 의해 물리게 된다. 핀(51)과 베어링홀(138a)의 결합과 환상홈(52)과 래치부(138c)의 결합에 의해, 와이퍼아암(5)과 어댑터(130)의 삽입 및 스냅 로킹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종래의 플랫와이퍼블레이드용 와이퍼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조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조인트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브라켓의 종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조인트와 브라켓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어댑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어댑터의 종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어댑터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커버의 안쪽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조인트, 브라켓, 어댑터 및 커버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탑로크 와이퍼아암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또 하나의 탑로크 와이퍼아암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후크 와이퍼아암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베이어닛 와이퍼아암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사이드로크 와이퍼아암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핀 와이퍼아암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탑로크 와이퍼아암 2 : 후크 와이퍼아암
3 : 베이어닛 와이퍼아암 4 : 사이드로크 와이퍼아암
5 : 핀 와이퍼아암 9 : 플랫와이퍼블레이드
9a : 와이퍼스트립 9b : 프레임
100 : 연결장치 110 : 조인트
111 : 조인트바디 112 : 스냅요소
113 : 프레임유지돌기 120 : 브라켓
122a, 122b : 수직벽부 123 : 피봇축
123a : 피봇보어 130 : 어댑터
131, 132 : 측벽부 131a, 132a : 클램핑바
131e, 132e : 로킹클로 133a : 제1 연결부
133b : 제2 연결부 135a, 135b : 제1 로킹돌기
135c : 회동돌기 136a, 136b : 제2 로킹돌기
137a, 137b : 슬라이드레일 137e : 래칭레버
138a, 138b : 베어링홀 138c : 래치부
138d : 래칭레버 140 : 커버
142a, 142b : 클로시트 144a, 144b : 지지판

Claims (11)

  1. 텅(13, 13')과 한 쌍의 오목부(14a, 14b, 14a', 14b')를 구비하는 제1 결합요소(10, 10'), 후크부(21)를 구비하는 제2 결합요소(20), 상판(31)과 한 쌍의 측판(32a, 32b)을 구비하는 제3 결합요소(30), 사이드핀(41)과 클립아암(42)을 구비하는 제4 결합요소(40) 및 핀(51)과 상기 핀(51)에 형성된 환상홈(52)을 구비하는 제5 결합요소(50) 중 하나를 갖춘 와이퍼아암(1, 1', 2, 3, 4, 5)에 플랫와이퍼블레이드(9)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100)이며,
    상기 플랫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9b)에 결합되는 조인트(110)와,
    한 쌍의 이격된 수직벽부(122a, 122b)와 상기 수직벽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피봇보어(123a)가 형성된 피봇축(123)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에 장착되는 브라켓(120)과,
    끼움구멍(134a, 134b)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131, 132)와 상기 측벽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끼움구멍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133a)와 상기 끼움구멍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133b)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의 피봇축의 양단부가 상기 끼움구멍에 각각 끼워져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13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오목부를 상기 측벽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텅을 상기 측벽부에 로킹시키는 제1 로킹장치(135a, 135b, 135c)와,
    상기 제2 결합요소의 후크부를 상기 측벽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하여 로킹하는 제2 로킹장치(131a, 132a, 136a, 136b)와,
    상기 측벽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측판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슬라이드레일(137a, 137b) 및 상기 측벽부 중 하나의 후방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측판 중 하나의 후방단부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래칭레버(137e)와,
    상기 제5 결합요소의 핀을 상기 측벽부에 횡으로 상기 측벽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5 결합요소의 환상홈을 상기 측벽부에 로킹시키는 제5 로킹장치(138a, 138b, 138c)를 구비하고,
    상기 제4 결합요소의 사이드핀은 상기 피봇보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한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장치는 상기 측벽부의 대면하는 내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로킹돌기(135a, 135b)와 상기 측벽부 중 하나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피봇돌기(135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오목부(14b, 14b')에 상기 피봇돌기가 끼워지고 상기 어댑터가 상기 제1 결합요소로 회동되어 상기 텅이 상기 제1 로킹돌기에 로킹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킹장치는 상기 측벽부에 대면하는 내면에 상기 제1 연결부에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는 제2 로킹돌기(136a, 136b)를 포함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각각은 상단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외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한 클램핑바(131a, 132a)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로킹돌기는 상기 클램핑바의 대면하는 면에 각각 위치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일부와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140)와,
    상기 커버(140)를 상기 어댑터에 로킹시키기 위한 커버로킹장치(131e, 132e, 142a, 142b)를 더 포함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어댑터에 로킹 될 때 상기 제1 로킹돌기가 위치한 상기 측벽부의 일부의 외면과 상기 클램핑바의 외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지지판(144a, 144b)를 구비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로킹장치는 상기 측벽부의 각각에 상기 끼움구멍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5 결합요소의 핀이 통과가능한 베어링홀(138a, 138b)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5 결합요소의 환상홈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래칭요소(138c, 138d)를 포함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는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래칭바(138d)와 상기 래칭바(138d)에 배치되고 상기 환상홈에 탄성적으로 물림가능한 래치부(138c)를 포함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프레임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요소(111a, 111b, 113)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와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측벽부의 후방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의 수직벽부 사이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제4 연결부(133c)를 더 구비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전방단부에 상기 측벽부 사이에 삽입가능하게 돌출한 릿지부(121d)를 구비하는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KR1020090058155A 2008-07-11 2009-06-29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KR101027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55A KR101027384B1 (ko) 2009-06-29 2009-06-29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US12/500,153 US8286298B2 (en) 2008-07-11 2009-07-09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CA2671767A CA2671767C (en) 2008-07-11 2009-07-10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ES09165244T ES2391241T3 (es) 2008-07-11 2009-07-10 Dispositivo para conectar una escobilla plana de limpiaparabrisas a unos brazos de limpiaparabrisas
JP2009163367A JP4852711B2 (ja) 2008-07-11 2009-07-10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の連結装置
PL09165244T PL2143603T3 (pl) 2008-07-11 2009-07-10 Urządzenie do łączenia płaskiego pióra wycieraczki z ramionami wycieraczki
EP09165244A EP2143603B1 (en) 2008-07-11 2009-07-10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CN2009101589830A CN101624043B (zh) 2008-07-11 2009-07-13 用于将扁平型刮水片连接至刮水臂的装置
RU2009138759/11A RU2416536C1 (ru) 2009-06-29 2009-10-20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лоской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рычагам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55A KR101027384B1 (ko) 2009-06-29 2009-06-29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55A true KR20110000855A (ko) 2011-01-06
KR101027384B1 KR101027384B1 (ko) 2011-04-11

Family

ID=4360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155A KR101027384B1 (ko) 2008-07-11 2009-06-29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7384B1 (ko)
RU (1) RU2416536C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79B1 (ko) * 2012-11-07 2013-04-15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KR101254778B1 (ko) * 2012-11-07 2013-04-15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WO2014003258A1 (ko) * 2012-06-29 2014-01-03 Yu Byeng-Gab 차량용 와이퍼의 멀티 어댑터
KR101350277B1 (ko) * 2012-01-27 2014-01-14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023154B2 (en) 2013-03-15 2018-07-17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KR101879694B1 (ko) * 2017-03-20 2018-07-19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118596B2 (en) 2013-03-15 2018-11-06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384652B2 (en) 2017-02-22 2019-08-20 Adm21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wiper blade to wiper arm
EP3808613A1 (en) * 2019-10-14 2021-04-21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ing adapter,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D727238S1 (en) 2013-12-13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Cover used for windshield wiper connectors
KR101455816B1 (ko) 2013-12-31 2014-11-0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RU195194U1 (ru) * 2019-09-23 2020-01-1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коммерческая фирма "Хорс"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рычагом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8622C (zh) * 1998-03-26 2005-04-27 植物药物公共有限公司 用于治疗阿尔茨海默病的甾类皂苷及其衍生物
FR2879986B1 (fr) 2004-12-23 2008-07-11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plat universel et connecteur amovible associe
KR100891195B1 (ko) 2008-04-30 2009-04-02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범용 와이퍼 장치
KR100903374B1 (ko) 2008-07-11 2009-06-2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0463B2 (en) 2012-01-27 2015-09-01 Kcw Corporation Flat wiper blade and flat wiper blade assembly
KR101350277B1 (ko) * 2012-01-27 2014-01-14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4003258A1 (ko) * 2012-06-29 2014-01-03 Yu Byeng-Gab 차량용 와이퍼의 멀티 어댑터
KR101254778B1 (ko) * 2012-11-07 2013-04-15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US8857008B2 (en) 2012-11-07 2014-10-14 Hs Technology Co., Ltd. Clip member for assembling various mounting types of wiper arms
US9067569B2 (en) 2012-11-07 2015-06-30 Hs Technology Co., Ltd. Wiper blade apparatus capable of assembling various mount types of wiper arms
KR101254779B1 (ko) * 2012-11-07 2013-04-15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US10023154B2 (en) 2013-03-15 2018-07-17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118596B2 (en) 2013-03-15 2018-11-06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384652B2 (en) 2017-02-22 2019-08-20 Adm21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wiper blade to wiper arm
KR101879694B1 (ko) * 2017-03-20 2018-07-19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EP3808613A1 (en) * 2019-10-14 2021-04-21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ing adapter,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apparatus
US11230268B2 (en) 2019-10-14 2022-01-25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ing adapter,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6536C1 (ru) 2011-04-20
KR101027384B1 (ko) 201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84B1 (ko)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US8689389B2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JP4852711B2 (ja)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の連結装置
KR100903374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장치
US8615841B2 (en) Connecting unit for hook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KR100959035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096166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US8544137B2 (en) Universal flat windscreen-wiper blade and associated removable connector
JP5665962B2 (ja) ワイパアームの端部に設けら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ワイパブレードの接続エレメントにジョイント式に結合するためのアダプタ
US9855923B2 (en) Wiper blade
US6353962B1 (en) Wiper and wiper blade for vehicles
US4343062A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holder to a wiper arm
JP4594249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12525296A (ja) ワイパアームに固く結合さ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枢着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KR10182059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US11529931B2 (en) Windshield wiper arm adapter, coupler and assembly
JP4114564B2 (ja) バーティブラ及びクリップベース
KR101908551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CN107433931B (zh) 将风挡玻璃擦拭器固定在驱动臂上的固定装置及擦拭系统
KR101820591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8941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