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694B1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694B1
KR101879694B1 KR1020170034547A KR20170034547A KR101879694B1 KR 101879694 B1 KR101879694 B1 KR 101879694B1 KR 1020170034547 A KR1020170034547 A KR 1020170034547A KR 20170034547 A KR20170034547 A KR 20170034547A KR 101879694 B1 KR101879694 B1 KR 101879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wiper blade
connector
wi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성
안재혁
김관희
Original Assignee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7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the connector being suitable for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arm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2001/405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separate locking element, e.g. in addition to an intermediat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2001/4093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pivot on the main yoke of the blade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커넥터; 캡;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에 형성된 캡 결합부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연결홀더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고, 상기 캡은 상기 캡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제1 전방 걸림부, 제2 전방 걸림부, 제1 후방 걸림부 및 제2 후방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방 걸림부 및 상기 제1 후방 걸림부에는 제1 탑락 와이퍼암이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제1 전방 걸림부 및 상기 제2 후방 걸림부에는 제2 탑락 와이퍼암이 체결 가능하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WIPER BLADE ASSEMBLY}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와이퍼암이 장착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동차 운행 중에 이물질이나 눈 또는 비를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계가 방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인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와이퍼 암에 의해 연결된 링크장치를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부채꼴 모양으로 반복적인 왕복운동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암은 제조사 또는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따라 그 형태나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 전용의 와이퍼 장치만 사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었다. 즉, 종래의 차량용 구동 암은 크게 걸림 구조를 갖는 ′U′자형 클립 타입, 플러그 형태로 꽂는 베이어닛(bayonet) 타입, 측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이 돌기에 의한 끼움 구조를 취하는 핀(Pin) 타입과, 보쉬사(Bosch社)에서 개발된 것으로 와이퍼 장치의 측부에서 끼움 결합하는 방식의 사이드 홀(side hole) 타입 및 와이퍼 장치의 상부측에서 감싸는 구조로 결합하는 방식의 엠 락(M Lock) 타입 및 탑 락(Top Lock) 타입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여러 종류의 구동 암은 그 형태나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 전용의 와이퍼 장치만 사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와이퍼 장치에 대한 제품의 표준화가 어려워 결과적으로 제품 디자인 및 설계의 자유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와이퍼 암에 대응되는 각각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만들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와이퍼암이 장착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와이퍼 암에 장착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mdl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커넥터; 캡;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에 형성된 캡 결합부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연결홀더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고, 상기 캡은 상기 캡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제1 전방 걸림부, 제2 전방 걸림부, 제1 후방 걸림부 및 제2 후방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방 걸림부 및 상기 제1 후방 걸림부에는 제1 탑락 와이퍼암이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제1 전방 걸림부 및 상기 제2 후방 걸림부에는 제2 탑락 와이퍼암이 체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와이퍼 암이 장착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와이퍼 스트립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커넥터부가 결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커넥터부가 결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6f는 도 6e에 도시된 커넥터의 A-A’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측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배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1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3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1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1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2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3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1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2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는 와이퍼 블레이드(10) 및 커넥터부(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부(20)는 후술하게될 어댑터(200), 커넥터(300) 및 캡(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20)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부(20)에 포함된 어댑터(200)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더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와이퍼 스트립(110), 한 쌍의 요크레버(120), 한 쌍의 보조레버(130) 및 주레버(140)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는 와이퍼 암의 선단에 연결되고, 와이퍼 암으로부터 차량 유리의 유리면 방향으로 가압력을 받는다. 와이퍼 암은 와이퍼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왕복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차량 유리의 유리면(와이핑면)을 소정 각도 범위로 와이핑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와이퍼 스트립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1a,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와이퍼 스트립(110)에 장착되는 두 개의 배킹 플레이트(111)를 더 포함한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110)은 직접 유리면에 접촉하여 와이핑을 하는 와이핑 립(lip)부(113)와 상기 요크레버(120) 및/또는 보조레버(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베이스부(112)를 포함한다. 와이퍼 스트립(110)은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그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1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탄성재료 즉 고무재와 같은 탄성재료 또는 탄성 합성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12)는 요크레버(120) 및/또는 보조레버(130)의 체결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체결구들은 요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2) 및 와이핑 립부(113)는 와이퍼 스트립(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부(112)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두 개의 배킹 플레이트(11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14)이 형성된다. 스프링 특성을 갖는 장방형 금속재 플레이트인 두 개의 배킹 플레이트(111)는 두 개의 배킹 플레이트 수용홈(114) 각각에 수용된다. 유지부(115)는 상기 체결구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용되는 부분이다.
도 3a에 도시된 상기 와이퍼 스트립(110) 일단의 유지부(115)는 상기 체결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형이나, 도 3b에 도시된 타단은 요크레버(120) 또는 보조레버(130) 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타단을 지지하는 체결구는 상기 유지부(115)의 타단에만 마련된 슬로프(116)의 벽과 결합부(117)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의 길이방향 움직임은 돌기부(118)에 의해 제한된다.
배킹 플레이트(111)는 상기 와이퍼 립부(113)에 탄성과 강성을 인가한다. 와이퍼 암으로부터 가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가압력은 레버들을 통해 상기 와이퍼 스트립(110)으로 분배된다. 이 때 상기 가압력은 상기 배킹 플레이트(111)에 의해 상기 와이퍼 스트립(110)의 길이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상기 배킹 플레이트(111)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1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배킹 플레이트(111) 및 배킹 플레이트 수용홈(114)은 와이퍼 스트립의 강성 또는 탄성 정도에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실시예>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레버(140)는 와이퍼 암(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을 보조레버(130)에 인가하고, 보조레버(130)는 가압력의 적어도 일부를 요크레버(120)에 인가한다. 보조레버(130)와 요크레버(120)는 와이퍼 스트립(110)을 가압함으로써, 와이퍼 스트립(110)이 차량의 유리면을 안정적으로 와이핑할 수 있도록 한다.
요크레버(120)는 와이퍼 스트립(110)을 가압하고, 와이퍼 스트립(1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요크레버(120)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조레버(130)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사이드 핀부(131)는 보조레버(130) 일부분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핀부(131)는 보조레버(130)의 상부면의 형상을 가공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핀부(131)는 보조레버(130)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에 선단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와이퍼 스트립(110) 방향으로 오목지도록 차량의 전방측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핀부(131)는 와이핑 동작시 자동차 유리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보조레버(130)를 자동차 유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한다. 사이드 핀부(131)는 요크레버(12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연장부(132)는 주레버(140)의 하측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연장부(132)에는 주레버(140)와의 상대회전시 회전축이 되는 제1 힌지축(133)이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2 힌지축(미도시)이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축(133) 및 제2 힌지축(미도시)은 후술할 주레버(14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힌지홈(미도시) 및 제2 힌지홈(미도시)에 결합된다. 특히, 제1 힌지축(133)의 적어도 일부의 돌출된 정도는 점점 증가하거나 점점 감소하도록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힌지축(133)은 후술할 주레버(140)의 제1 힌지홈(미도시)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어서 조립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보조레버(130)의 사이드 핀부(131)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 내측은 요크레버(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커넥터부가 결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커넥터부가 결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주레버(140)는 후술할 어댑터(200)가 장착되는 연결홀더부(143)와 상측의 적어도 일부에 선단(142)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와이퍼 스트립(110) 방향으로 오목지도록 차량의 전방측 외측에 주레버(140)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핀부(141)를 포함한다. 중앙핀부(141)는 주행풍이 불어오는 방향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바라볼 때, 좌측에 형성되는 제1 핀부(141a)와 우측에 형성되는 제2 핀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핀부(141a)와 제2 핀부(141b)는 연결홀더부(143)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핀부(141a)와 제2 핀부(141b)의 형상이 대칭이므로 좌측 핸들용 차량과 우측 핸들용 차량에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좌측 핸들용 차량과 우측 핸들용 차량에 모두 이용되기 위해서 와이퍼 암이 연결되는 커넥터부의 결합된 방향이 선택되어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홀더부(143)는 주레버(14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홀더부(143)는 와이퍼 스트립(110) 방향으로 오목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보조레버(130)나 요크레버(120)를 수용하지 않는다. 연결홀더부(143)의 형태는 사다리꼴 이거나 U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더부(143)의 중앙에는 개구부(144)가 형성되고, 개구부(144)의 둘레에는 어댑터(20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45)가 형성된다. 와이퍼 암이 어댑터(200) 및 커넥터(300)와 결합된 후에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가 와이핑 동작을 하면, 커넥터(300)도 와이퍼 암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때, 연결홀더부(143)는 개구부(144)를 가지므로, 커넥터(300)는 상하로 간섭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연결홀더부(143)는 개구부(144)의 주위에 형성되는 결합돌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부(146)는 어댑터(20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부(231)에 끼워지며, 이로써 어댑터(200)는 연결홀더부(143)에 장착된다. 결합돌부(146)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부(146)는 복수의 돌부를 포함하며, 이 복수의 돌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더부(143)의 일단에는 후술하게될 어댑터(2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끼움쇠(210)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홈(147)이 형성되고, 연결홀더부(143)의 타단에는 후술하게될 어댑터(20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끼움쇠(220)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홈(148)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200)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연결홀더부(143)에 끼워질 때, 제1 끼움쇠(210) 및 제2 끼움쇠(220) 중 적어도 하나는 는 제1 끼움홈(147) 또는 제2 끼움홈(148)에 탄성결합 될 수 있다.
연결홀더부(143)의 차량 전방측 외측은 하단부에 연결홀더부 핀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홀더부 핀부(149)의 상측선단은 연결홀더부(143)의 하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양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주레버(140)의 상측선단과 만나는 곡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연결홀더부(143)의 내측에는 커넥터(300)와 결합될 수 있는 어댑터(200)가 결합된다. 연결홀더부(143)의 개구부(144)는 모서리의 형상이 곡률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홀더부(143)의 개구부(144)에 집중되는 응력을 주레버(140)로 전달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20)는 어댑터(200), 커넥터(300) 및 캡(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댑터(200)가 주레버(140)의 연결홀더부(143)와 결합될 수 있고, 커넥터(300)가 어댑터(300)와 결합될 수 있고, 캡(400)이 후술하게될 커넥터(300)의 캡 결합부(35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어댑터(200)는 제1 끼움쇠(210), 제2 끼움쇠(220), 어댑터 플랜지부(230) 및 커넥터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쇠(210)는 어댑터(20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홀더부(143)의 제1 끼움홈(147)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끼움쇠(220)는 어댑터(20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홀더부(143)의 제2 끼움홈(148)과 결합할 수 있다.
어댑터 플랜지부(230)는 커넥터 결합부(24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방향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홀더부(143)의 결합돌부(146)가 끼워지는 결합홈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결합부(240)는 어댑터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판상부재(241), 한 쌍의 판상부재(241) 사이에 형성된 어댑터 개구부(242), 한 쌍의 판상부재(241) 각각의 내측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어댑터 힌지축(243) 및 한 쌍의 판상부재(241)의 상측 일부에 형성된 어댑터 오목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댑터 힌지축(243)의 적어도 일부의 돌출된 정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어댑터 힌지축(243)이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판상부재(241)는 후술하게될 커넥터(300)의 커넥터 개구부(38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어댑터 개구부(242)에는 후술하게될 커텍터(300)의 돌출끼움부(37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힌지축(243)은 후술하게될 커넥터(300)의 돌출끼움부(370)에 형성된 커넥터 힌지홈(372)에 삽입되어 어댑터(200)와 커넥터(300)를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어댑터(244)는 후술하게될 커넥터(300)의 커넥터 핀홀(325) 및 후술하게될 커버(500)의 커버 핀홀(521)과 정렬되어 후술하게될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에 형성된 핀(913, 923)이 삽입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저면사시도이고,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6f는 도 6e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면, 커넥터(300)는 상벽(310), 한 쌍의 커넥터 측벽(320), 해제 돌기(330), 한 쌍의 후방 암 결합부(340), 캡 결합부(350), 커넥터 플랜지부(360), 돌출끼움부(370) 및 커넥터 개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상벽(310)은 커넥터(300)의 중앙부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 상벽(310)에는 후술하게될 커버(500)가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터 측벽(320)은 커넥터 상벽(310)의 와이퍼 블레이드(10)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커넥터 측벽(320)은 제1 측면(321), 제2 측면(322) 및 제3 측면(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322)은 후술하게될 제1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의 측벽(713)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고, 제1 측면(321)은 후술하게될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의 측벽(813)의 내측면 또는 후술하게될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의 측벽(823)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고, 제3 측면(323)은 후술하게될 제2 탑락 타입 와이퍼암(720)의 측벽(723)의 내측면 또는 후술하게될 제3 탑락 타입 와이퍼암(730)의 측벽(733)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각각의 커넥터 측벽(32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개방된 슬롯(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롯(324)은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이 커넥터(300)에 결합할 때,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에 형성된 결합돌기(714, 724, 734)가 통과할 수 있다.
각각의 커넥터 측벽(320)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커넥터 핀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핀홀(325)에는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에 형성된 핀(913, 923)이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커넥터 측벽(320)은 하단부의 커넥터(300) 타단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형성된 제1 후방 걸림부(326) 및 제2 후방 걸림부(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후방 걸림부(326) 및 제2 후방 걸림부(327)는 커넥터 플랜지부(36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후방 걸림부(326) 또는 제2 후방 걸림부(327)와 커넥터 플랜지부(360) 사이의 갭에는,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이 커넥터(300)에 결합할 때,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에 형성된 결합리브(715, 725, 735)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후방 걸림부(327)가 제1 후방 걸림부(326)보다 더 커넥터(30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후방 걸림부(327)가 제1 후방 걸림부(326)보다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후방 걸림부(327)가 제1 후방 걸림부(326)보다 와이퍼 블레이드(10) 폭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후방 걸림부(326)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하는 제1 후방 걸림면(326-1)을 포함하고, 제2 후방 걸림부(327)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하는 제2 후방 걸림면(327-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후방 걸림면(326-1)이 위치한 높이가 제2 후방 걸림면(327-1)이 위치한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각각의 커넥터 측벽(320)은 하단부의 커넥터(300) 일단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형성된 제1 전방 걸림부(328) 및 제2 전방 걸림부(3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 걸림부(328) 및 제2 전방 걸림부(329)는 커넥터 플랜지부(36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전방 걸림부(328) 또는 제2 전방 걸림부(329)와 커넥터 플랜지부(360) 사이의 갭은 슬롯(324)과 연결되어,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이 커넥터(300)에 결합할 때,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에 형성된 결합돌기(714, 724, 734)가 슬롯(324)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전방 걸림부(329)가 제1 전방 걸림부(328)보다 더 커넥터(30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전방 걸림부(329)가 제1 전방 걸림부(328)보다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 걸림부(328)가 제2 전방 걸림부(329)보다 와이퍼 블레이드(10) 폭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 걸림부(328)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하는 제1 전방 걸림면(328-1)을 포함하고, 제2 전방 걸림부(329)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하는 제2 전방 걸림면(32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전방 걸림면(329-1)이 위치한 높이가 제1 전방 걸림면(328-1)이 위치한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전방 걸림면(328-1)에는 제2 탑락 와이퍼암(720)에 형성된 결합돌기(724) 또는 제3 탑락 와이퍼암(730)에 형성된 결합돌기(734)가 걸릴 수 있고, 제2 후방 걸림면(327-1)에는 제2 탑락 와이퍼암(720)에 형성된 결합리브(725) 또는 제3 탑락 와이퍼암(730)에 형성된 결합리브(735)가 걸릴 수 있다.
제2 전방 걸림면(329-1)에는 제1 탑락 와이퍼암(710)에 형성된 결합돌기(714)가 걸릴 수 있고, 제1 후방 걸림면(326-1)에는 제1 탑락 와이퍼암(710)에 형성된 결합리브(715)가 걸릴 수 있다.
즉, 제2 전방 걸림부(329) 및 제1 후방 걸림부(326)에는 제1 탑락 와이퍼암(710)이 체결 가능하고, 제1 전방 걸림부(328) 및 제2 후방 걸림부(327)에는 제2 탑락 와이퍼암(720) 및 제3 탑락 와이퍼암(730)이 체결 가능하다.
해제 돌기(330)는 커넥터(30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에 형성된 해제 개구부(826)에 삽입되고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에 형성된 잠금돌기(821)에 걸릴 수 있다. 즉, 해제 돌기(330)에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이 체결 가능하다.
한 쌍의 후방 암 결합부(340)는 각각의 커넥터 측벽(320)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부(341) 및 오목부(341)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341)와 돌출부(342)와의 경계가 하방으로 갈수록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에 형성되도록 오목부(341)가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41)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341)에는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지지돌출부(814, 824)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부(342)에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지지돌출부(814, 824)가 걸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의 지지돌출부(814)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및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되기 때문에, 지지돌출부(814)가 돌출부(342)에 접하여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이 커넥터(300)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및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의 지지돌출부(824)는 하방으로 수직한 형태로 돌출되기 때문에, 지지돌출부(824)가 오목부(341)의 돌출부(342)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에 지지되어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이 커넥터(300)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후방 암 결합부(340)에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및 제2 엠락 타입 와이퍼 암(820)이 체결 가능하다.
캡 결합부(350)는 커넥터(30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캡 해제돌기(351), 삽입공간(352), 캡 이동 슬롯(353), 캡 이탈 방지 슬롯(354) 및 캡 조립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캡 해제돌기(351)는 캡 결합부(350)의 상부에 배치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캡 해제돌기(351)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만 캡 결합부(350)에 연결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캡 해제돌기(351)는 후술하게될 캡(400)의 걸림턱(413)에 걸릴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캡(400)의 해제부(41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캡(400)의 해제부(412)와 연동하여 캡 해제돌기(351)가 하방으로 이동하게되고, 그에 따라 캡 해제돌기(351)와 캡(400)의 걸림턱(413)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삽입공간(352)은 한 쌍의 캡 해제돌기(3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삽입공간(352)에는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돌부(815, 825)가 수용될 수 있다.
캡 이동 슬롯(353)은 캡 결합부(350)의 와이퍼 블레이드(10) 폭 방향 양측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캡(400)의 리브(4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캡(400)이 후술하게될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 사이를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될 수 있다. 캡 이동 슬롯(353)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캡(400)이 커넥터(300)의 캡 이동 슬롯(353)을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으로 이동할 때, 캡(400)이 주레버(140)에 형성된 중앙핀부(141)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 이탈 방지 슬롯(354)은 캡 이동 슬롯(353)의 와이퍼 블레이드(10) 폭 방향 안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이탈 방지 슬롯(354)이 커넥터(300)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관통하지 않고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 이탈 방지 슬롯(354)에는 캡(400)의 리브(421)의 걸림부(421-1)가 삽입될 수 있다. 캡 이탈 방지 슬롯(354)에 캡(400)의 리브(421)의 걸림부(421-1)가 삽입되면 캡(400)의 캡 측벽(420)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캡(400)이 커넥터(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 조립부(355)는 캡 이동 슬롯(353)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캡 이동 슬롯(353)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는 공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 조립부(355)의 높이는 캡(400)의 리브(421)의 높이 및 걸림부(421-1)의 높이를 합한 것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캡 조립부(355)에 캡(400)의 리브(421) 및 걸림부(421-1)가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 플랜지부(360)는 각각의 커넥터 측벽(320) 하단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결합홈부(36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결합홈부(361)에는 커버(500)의 커버 결합돌부(523)이 삽입될 수 있다.
돌출끼움부(370)는 커넥서 상벽(31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가운데의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돌출부(371) 및 힌지돌출부(371) 상부에 위치하는 힌지홈(372)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돌출부(371)는 돌출끼움부(370)의 측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방향으로 돌촐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돌출부(371)의 돌출된 정도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힌지돌출부(371)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30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어댑터(200)에 결합할 때, 돌출끼움부(370)가 어댑터 개구부(242)에 삽입되고, 어댑터(200)의 힌지축(243)이 커넥터(300)의 힌지돌출부(371)와 접하게 되고, 힌지축(243) 및/또는 힌지돌출부(371)의 테이퍼진 면이 접하면서 어댑터(200)의 한 쌍의 판상부재(241)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으로 벌려지게 되고, 이후 어댑터(200)의 힌지축(243)이 커넥터(300)의 힌지홈(372)에 삽입되면 어댑터(200)의 한 쌍의 판상부재(241)가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되고, 이로써 커넥터(300)가 어댑터(200)에 결합된다.
커넥터 개구부(380)는 한 쌍의 커넥터 측벽(320) 사이에 위치하고 하방으로 열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댑터(200)의 한 쌍의 판상부재(241)가 삽입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측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배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캡(400)은 캡 상벽(410) 및 한 쌍의 캡 측벽(4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 상벽(410)은 캡(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절개부(411), 해제부(412) 및 걸림턱(413)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41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제부(41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해제부(412)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만 캡 상멱(410)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해제부(412)를 하방으로 누르면 해제부(412)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이 하방으로 이동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해제부(412)가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할 수 있다.
걸림턱(413)은 캡 상벽(410)의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걸림턱(413)은 커넥터(300)의 캡 해제돌기(351)에 대응되도록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캡 측벽(420)은 캡 상벽(410)의 와이퍼 블레이드(10)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캡 측벽(420)은 리브(421), 걸림부(421-1) 및 유격조절턱(42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421)는 캡 측벽(420)의 내측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300)의 캡 이동 슬롯(352)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421-1)는 리브(421)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내측 폭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300)의 캡 이탈 방지 슬롯(354)에 삽입될 수 있다.
유격조절턱(422)은 캡 측벽(420)의 내측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내측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300)의 캡 결합부(350)와 캡 측벽(420) 사이의 유격을 줄여 캡(400)이 커넥터(300)의 캡 이동 슬롯(353)을 통하여 이동할 때,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캡(400)이 커넥터(300)의 캡 이동 슬롯(353)을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걸림턱(413)이 커넥터(300)의 캡 해제돌기(351)를 하방으로 누른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후, 캡(400)이 커넥터(300)의 캡 결합부(350)와 완전히 결합되는 잠금상태가 되면, 걸림턱(413)의 위치가 커넥터(300)의 캡 해제돌기(351)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를 이탈하게되고, 그에 따라 캡 해제돌기(351)가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300)의 캡 해제돌기(351)가 걸림턱(413)에 걸리게 되어 잠금상태에서는 캡(400)이 다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일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해제부(412)를 하방으로 누르면 해제부(412)가 커넥터(300)의 캡 해제돌기(351)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 해제돌기(351)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만 캡 결합부(35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해제부(412)를 하방으로 누르면 캡 해제돌기(351)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이 하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캡 해제돌기(351)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가 걸림턱(413)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캡(400)을 와이펴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으로 이동시키면 캡(400)이 커넥터(300)의 캡 결합부(350)와 결합되지 않은 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캡(400)을 커넥터(300)에 조립할 때는, 캡(400)의 양 리브(421) 간의 거리가 커넥터(300)의 양 캡 이동 슬롯(353)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캡 측벽(420)을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으로 약간 벌린 상태에서 리브(421)가 커넥터(300)의 캡 조립부(355)에 위치시킨다. 이 때, 캡 조립부(355)의 높이는 리브(421) 및 걸림부(421-1)가 모두 수용될 수 있으므로, 리브(421) 및 걸림부(421-1)를 모두 캡 조립부(355)에 삽입시키고, 이 때 외력을 제거하면 캡 측벽(420)이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 후, 캡(400)을 약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421-1)가 캡 이탈 방지 슬롯(354)에 삽입되고, 걸림부(421-1)가 캡 이탈 방지 슬롯(354)에 삽입된 상태에서 캡(400)을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으로 이동시키면 리브(421)가 캡 이동 슬롯(353)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리브(421) 및 캡 이동 슬롯(353)에 의해 캡(400)이 커넥터(30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걸림부(421-1) 및 캡 이탈 방지 슬롯(354)에 의해 캡 측벽(420)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으로 벌려져서 캡(400)이 커넥터(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600)는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커버(500)는 커넥터(3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커버(500)는 커버 상벽(510) 및 한 쌍의 커버 측벽(5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상벽(510)은 커버(5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 돌부(511) 및 커버 개구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돌부(511)는 커버 상벽(51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개구부(512)는 커버 상벽(5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개부부(512)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폭이 한 쌍의 커버 측벽(520)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 측벽(520)은 커버 상벽(510)의 와이퍼 블레이드(10)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커버 측벽(520)은 커버 핀홀(521), 커버 지지돌출부(522) 및 커버 결합돌부(52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핀홀(521)은 각각의 커버 측벽(520)에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핀홀(521)에는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에 형성된 핀(913, 923)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커버 핀홀(521)에 제1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및 제2 핀앤홀 타입 와이퍼 암(920)이 체결 가능하다.
커버 지지돌출부(522)는 각각의 커버 측벽(520)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300)의 오목부(34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500)가 커넥터(300)와 결합하게되면, 커넥터(300)의 오목부(341)에 배치되고, 돌출부(342)에 걸릴 수 있다.
커버 결합돌부(523)는 각각의 커버 측벽(52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커버(500)가 커넥터(300)와 결합하게되면, 커넥터(300)의 커버 결합홈부(361)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500)가 커넥터(300)와 결합되면, 커넥터(300)의 오목부(341) 및 돌출부(342)에 의해 커버(500)가 커넥터(300)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41)가 상술한 경사부를 포함하므로, 커버(50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가 커넥터(30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캡(400)이 커넥터(300)와 결합하여 잠금상태가 되면, 커버 돌부(511)가 캡(400)의 캡 상벽(410) 하부에 배치되게 되어, 커버(50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가 커넥터(30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300), 캡(400) 및 커버(500)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1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3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은 개구부(711, 721, 731), 상벽(712, 722, 732), 한 쌍의 측벽(713, 723, 733), 결합돌기(714, 724, 734), 결합리브(715, 725, 7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벽(712, 722, 732)은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711, 721, 731)는 상벽(712, 722, 73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713, 723, 733)은 상벽(712, 722, 732)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714, 724, 734)는 한 쌍의 측벽(713, 723, 7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부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714, 724)가 한 쌍의 측벽(713, 723)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734)가 각각의 측벽(733)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리브(715, 725, 735)는 각각의 측벽(713, 723, 733)의 하단부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714, 724, 734)가 돌출된 정도가 결합리브(715, 725, 735)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탑락 타입 와이퍼 암(710)의 양 측벽(713) 사이의 거리는 도 10에 도시된 제2 탑락 타입 와이퍼암(720)의 양 측벽(723) 사이의 거리 및 도 11에 도시된 제3 탑락 타입 와이퍼암(730)의 양 측벽(733)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은 상벽(812, 822), 한 쌍의 측벽(813, 823), 지지돌출부(814, 824) 및 돌부(815, 8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벽(812, 822)은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813, 823)은 상벽(812, 822)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출부(814, 824)는 각각의 측벽(813, 823)에서 하방으로 서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의 지지돌출부(814)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및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의 지지돌출부(824)는 하방으로 수직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돌부(815, 825)는 상벽(812, 822)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은 개구부(826) 및 잠금 돌기(82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826)는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의 상벽(82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잠금 돌기(821)는 상벽(822)에서 개구부(826)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1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면,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은 홀딩부(911, 921), 홀딩 돌기(912, 922), 핀(913, 923), 상벽(914, 924) 및 한 쌍의 측벽(915, 9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벽(914, 924)은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915, 925)은 상벽(914, 924)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핀(913, 923)은 한 쌍의 측벽(914, 924) 중 어느 하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딩부(911, 921)는 상벽(914, 915)으로부터 핀(913, 923)이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홀딩 돌기(912, 922)는 홀딩부(911, 921)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와이퍼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결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 및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경우,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0) 및 캡(400)이 포함된 커넥터부(20)에 결합 가능하고,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의 경우,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0), 캡(400) 및 커버(500)가 포함된 커넥터부(20)에 결합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1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2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3 탑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a), 도 17의 (a) 및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의 결합돌기(714, 724, 734)를 커넥터(300)의 슬롯(324)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도 16의 (b), 도 17의 (b) 및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의 결합돌기(714, 724, 734)가 커넥터(300)의 슬롯(324)에 삽입된 상태에서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후, 도 16의 (c), 도 17의 (c) 및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을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의 결합리브(715, 725, 735)의 일부가 도 6에 도시된 제1 후방 걸림면(326-1) 또는 제2 후방 걸림면(327-1)에 걸리게 되고,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의 결합돌기(714, 724, 734)가 도 6에 도시된 제1 전방 걸림면(328-1) 또는 제2 전방 걸림면(329-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이 커넥터(3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이 후, 도 16의 (d), 도 17의 (d) 및 도 1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00)을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으로 이동시켜 잠금상태가 되면, 캡(400)의 캡 측벽(42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와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의 측벽(713, 723, 733)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이 커넥터(300)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이 때,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탑락 타입 와이퍼암(730)의 경우, 제3 탑락 타입 와이퍼암(730)의 측벽(733)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타단측 단부(736)가 커넥터(300)의 오목부(341)에 위치할 수 있다.
탑락 타입 와이퍼암(710, 720, 730)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상술한 결합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a) 및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지지돌출부(814, 824)를 커넥터(300)의 오목부(341)에 위치시킨다. 그 상태에서 도 19의 (b) 및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돌부(815, 825)가 커넥터(300)의 삽입공간(352)에 삽입된다. 이 때, 커넥터(300)의 오목부(341) 및 돌출부(342)에 의해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가 커넥터(300)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41)가 상술한 경사부를 포함하므로,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가 커넥터(30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후, 도 19의 (c) 및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00)을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으로 이동시켜 잠금상태가 되면,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돌부(815, 825)가 캡(400)의 캡 상벽(410) 하부에 배치되게 되어,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 82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가 커넥터(30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810)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상술한 결합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 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의 경우, 커넥터(300)의 해제 돌기(330)가 개구부(826)에 삽입되고, 잠금돌기(821)에 걸릴 수 있다. 커넥터(300)의 해제 돌기(330)이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의 잠금돌기(821)에 걸림으로써,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타단측 단부가 커넥터(30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엠락 타입 와이퍼암(820)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해제돌기(330)와 잠금돌기(821)의 걸림을 해제한 후, 상술한 결합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분리가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1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제2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a) 및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의 홀딩부(911, 921) 및 홀딩 돌기(912, 922)를 커버(500)의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와이퍼암(910, 920)의 핀(913, 923)을 커버(500)의 핀홀(521)에 정렬시킨 후, 와이퍼암(910, 920)을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퍼암(910, 920)의 핀(913, 923)을 커버(500)의 핀홀(521)에 삽입시킨다. 그 상태에서 도 21의 (b) 및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21의 (c) 및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이 커넥터부(600)에 고정된다. 이 때,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의 홀딩부(911, 921)는 커버(500)의 커버 개구부(51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 920)의 홀딩 돌기(912, 922)는 커버부(500) 및/또는 커넥터(300)에 걸림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10)의 경우, 홀딩 돌기(912)가 커버부(500)의 커버 측벽(520)의 외측에 배치되고, 커버부(500)의 커버 측벽(520)에 의해 제1 핀앤홀 타입 와이퍼 암(910)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제2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920)의 경우, 홀딩 돌기(912)가 커버 개구부(512)를 통해 커버부(500)의 커버 측벽(520)의 내측면과 커넥터(300)의 측벽(320)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커버부(500)의 커버 측벽(520)과 커넥터(300)의 측벽(320)에 의해 제2 핀앤홀 타입 와이퍼 암(920)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이상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8점 지지 구조의 와이퍼 블레이드 (10)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한 쌍의 보조레버와 한 쌍의 요크레버를 갖고, 보조레버의 일단이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6점 지지 구조의 와이퍼 블레이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레버와, 핀부가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컨벤셔널(conventional)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도 1b에 도시된 플랫(flat)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0: 와이퍼 블레이드
20: 커넥터부
110: 와이퍼 스트립
120: 요크레버
130: 보조레버
140: 주레버
200: 어댑터
300: 커넥터
400: 캡
500: 커버
710, 720, 730: 탑락 타입 와이퍼암
810, 820: 엠락 타입 와이퍼암
910, 920: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

Claims (12)

  1.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커넥터;
    캡;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 일단측 단부에 형성된 캡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연결홀더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고,
    상기 캡은 상기 캡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제1 전방 걸림부, 제2 전방 걸림부, 제1 후방 걸림부 및 제2 후방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방 걸림부 및 상기 제1 후방 걸림부에는 제1 탑락 와이퍼암이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제1 전방 걸림부 및 상기 제2 후방 걸림부에는 제2 탑락 와이퍼암이 체결 가능하며,
    상기 제1 전방 걸림부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하는 제1 전방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방 걸림부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하는 제2 전방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방 걸림면이 위치한 높이가 상기 제1 전방 걸림면이 위치한 높이보다 높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걸림부 및 상기 제2 후방 걸림부에는 제3 탑락 와이퍼암이 체결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후방 암 결합부 및 해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암 결합부에 제1 엠락 타입 와이퍼암이 체결 가능하고, 상기 해제 돌기에 제2 엠락 타입 와이퍼 암이 체결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커버 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핀홀에 제1 핀앤홀 타입 와이퍼암 및 제2 핀앤홀 타입 와이퍼 암이 체결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방 걸림부가 상기 제1 전방 걸림부보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 걸림부가 상기 제1 후방 걸림부보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 걸림부가 상기 제1 후방 걸림부보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걸림부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하는 제1 후방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방 걸림부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하는 제2 후방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방 걸림면이 위치한 높이가 상기 제2 후방 걸림면이 위치한 높이보다 높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캡 상벽 및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캡 상벽의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 결합부는 캡 해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해제돌기는 상기 캡 결합부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일단측만 연결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캡이 상기 캡 결합부와 완전히 결합된 잠금상태에서 상기 캡 해제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캡 측벽 및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캡 측벽의 내측면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 결합부는 캡 이동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캡 이동 슬롯은 상기 캡 결합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바깥쪽 외면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상기 캡 이동 슬롯에 삽입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리브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 결합부는 캡 이탈 방지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이탈 방지 슬롯은 상기 캡 이동 슬롯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안쪽에서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캡 이탈 방지 슬롯에 삽입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170034547A 2017-03-20 2017-03-2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87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47A KR101879694B1 (ko) 2017-03-20 2017-03-2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47A KR101879694B1 (ko) 2017-03-20 2017-03-2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694B1 true KR101879694B1 (ko) 2018-07-19

Family

ID=6305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547A KR101879694B1 (ko) 2017-03-20 2017-03-2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6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5625A1 (fr) * 2019-04-30 2020-11-06 Valeo Systemes D'essuyage Embase de connexion destiné à coopérer avec des moyens d’adaptation pour former avec ceux-ci un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un balai d’essuie-glace
EP3808614A1 (en) * 2019-10-14 2021-04-21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ing adapter,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855A (ko) * 2009-06-29 2011-01-06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KR101254582B1 (ko) * 2010-12-14 2013-04-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장치
KR20130038817A (ko) * 2010-03-25 2013-04-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와이퍼 암의 단부에 있는 결합 부재를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부재와 연접식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855A (ko) * 2009-06-29 2011-01-06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KR20130038817A (ko) * 2010-03-25 2013-04-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와이퍼 암의 단부에 있는 결합 부재를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부재와 연접식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
KR101254582B1 (ko) * 2010-12-14 2013-04-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5625A1 (fr) * 2019-04-30 2020-11-06 Valeo Systemes D'essuyage Embase de connexion destiné à coopérer avec des moyens d’adaptation pour former avec ceux-ci un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un balai d’essuie-glace
EP3808614A1 (en) * 2019-10-14 2021-04-21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ing adapter,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apparatus
US11299131B2 (en) 2019-10-14 2022-04-12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ing adapter,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2956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426001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53252B1 (ko) 와이퍼 암의 단부에 있는 결합 부재를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부재와 연접식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
CA2590443C (en) Adaptor of wiper blade
US9120463B2 (en) Flat wiper blade and flat wiper blade assembly
US9855923B2 (en) Wiper blade
US20110047742A1 (en) Automobile wiper-blade
KR20140106688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20150166017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87969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JP2002541009A (ja) 自動車の板ガラス用のワイパ装置
KR20170005815A (ko) 자동차 앞유리 와이퍼 장치
KR20170071551A (ko) 자동차 앞유리 와이퍼 장치
KR10151131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60837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2059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US2295011A (en) Windshield wiper
US20020174504A1 (en) Adapter for windshield wiper arms
US11608033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74295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2558179Y2 (ja) ジャック型コネクタ
US11465590B2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KR101645258B1 (ko) 와이퍼 블레이드
CN107433931B (zh) 将风挡玻璃擦拭器固定在驱动臂上的固定装置及擦拭系统
KR101987876B1 (ko) 트림 고정용 클립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