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035B1 -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035B1
KR100959035B1 KR1020100012991A KR20100012991A KR100959035B1 KR 100959035 B1 KR100959035 B1 KR 100959035B1 KR 1020100012991 A KR1020100012991 A KR 1020100012991A KR 20100012991 A KR20100012991 A KR 20100012991A KR 100959035 B1 KR100959035 B1 KR 10095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wiper
connection
sidewalls
wi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942A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0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made in two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7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the connector being suitable for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adapter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프레임에 고정된 조인트와, 조인트에 설치되는 어댑터와, 와이퍼 아암에 구비되고 어댑터에 연결되는 어댑터연결부재를 가진다. 조인트는 와이퍼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축을 가진다. 어댑터는 조인트의 피봇축의 양단부에 스냅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제1 어댑터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는 제1 어댑터와 이에 장착되는 제2 어댑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어댑터와 어댑터연결부재는 이들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일단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어댑터와 어댑터연결부재는 와이퍼 아암의 길이방향의 삽입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조인트에 장착되는 제1 어댑터를 기본으로 하여 여러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되어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와이퍼 장치는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과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퍼 아암의 기단부는 구동모터에 링크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부착되어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동차의 유리면에 접촉되는 와이퍼 스트립을 가진다. 구동모터의 회전은 와이퍼 아암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왕복회동운동으로 전환되며, 와이퍼 스트립에 의해 유리면이 닦아진다.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 일예로서,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와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에 메인링크와 메인링크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서브링크로 구성되는 링크구조물을 설치하고 서브링크의 단부와 와이퍼 블레이드를 길이방향의 다수 개소에서 고정시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장치가 있다.
최근, 소정 곡률로 휘어진 하나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와이퍼 스트립을 고정시킨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flat wiper blade)가 사용되고 있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균일한 하중으로 와이퍼 스트립을 자동차의 유리면에 접촉시켜 닦임성을 향상하고 이물질을 더욱 쉽게 제거한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종래의 링크구조물을 사용한 연결방식 대신,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간지점에 커넥팅요소를 설치하고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에 커플링요소를 설치하여 양자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 세가지 형태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용 와이퍼 아암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퍼 아암에는, 커넥팅요소와 커플링요소가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탑로크(top lock)” 타입의 와이퍼 아암, 커넥팅요소와 커플링요소가 삽입 및 회동에 의해 결합되는 “사이드핀(side pin)” 타입의 와이퍼 아암, 커넥팅요소와 커플링요소가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베이어닛(bayonet)” 타입의 와이퍼 아암이 있다.
상기 탑로크 타입의 와이퍼 아암과 플랫 와이퍼 아암의 스냅결합 방식의 일 예로서, 도 1a 및 도 1b는 공개특허 제10-2005-85129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도시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와이퍼 아암(20a)은 그 자유단부에 U자형 단면의 커플링요소(40a)를 구비하며, 커플링요소(40a)의 선단에는 만곡된 텅(44a)이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요소(40a)의 좌우 레그(41a, 42a)의 후단부에는 쐐기 형상의 작동부(4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자동차의 유리면에 접촉하는 와이퍼 스트립(11)과 와이퍼 스트립(11)을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12)을 구비한다. 프레임(12)의 중간에는 지지요소(13a)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요소(13a)에 커플링요소(40)와의 결합을 위한 커넥팅요소(30a)가 장착된다. 커넥팅요소(30a)는 측벽(31a)에 형성된 베어링구멍(32a)에 핀(14a)이 끼워져 지지요소(13a) 상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넥팅요소(30a)의 후단부에는 안쪽으로 탄성변위 가능하고 쐐기 형상을 가지는 작동부(3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33a)의 전방에는 커플링요소(40a)의 로킹부(43a)와 결합되는 로킹에지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팅요소(30a)의 전단부에는 텅(44a)이 삽입되는 개구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연결장치에서는, 텅(44a)을 개구부(35a)에 삽입하여 개구부(35a)의 내벽에 대하여 텅(44a)을 지지시키고 와이퍼 블레이드(10)를 회동시켜서 커플링요소(40a)의 로킹부(43a)와 작동부(33a)의 로킹에지부(34a)를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스냅결합시켜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와이퍼 아암(20a)을 상호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탑로크 타입의 와이퍼 아암과 플랫 와이퍼 아암의 스냅결합 방식의 다른 예로서, 도 2a 및 도 2b는 공개특허 제10-2005-7446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용 와이퍼 아암(20b)은 그 자유단부에 단면이 U자형인 커플링요소(40b)를 구비하고 있고, 커플링요소(40b)는 그 좌우 측벽(41b, 42b)의 후단에 로킹부(43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커플링요소(40b)의 선단에는 제1 텅(44b)이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요소(40b)의 상측 벽에는 개구부(46b)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6b)의 가장자리에 전방을 향해 돌출한 제2 텅(45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프레임(12)의 중간에 배치된 지지요소(13b) 상에 커넥팅요소(30b)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팅요소(30b)의 각 측벽 후단에는 안쪽으로 탄성변위 가능하고 쐐기 형상의 작동부(33b)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부(33b)의 전방에는 로킹에지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팅요소(30b)의 전방에는 제1 텅수납부(35b)가 뚫어져 있고, 후방에는 작동부(33b)와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제2 텅수납부(36b)를 형성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연결장치에서는, 제1 텅(44b)이 제1 텅수납부(35b)에 삽입되고 제2 텅(45b)이 제2 텅수납부(36b)에 삽입되도록 와이퍼 블레이드(10)를 커플링요소(40b)에 삽입시킨다. 삽입이 완료하면, 작동부(33b)의 로킹에지부(34b)와 커플링요소(40b)의 로킹부(43b)가 서로 맞물리면서 스냅결합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와이퍼 아암(20b)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핀 타입의 와이퍼 아암과 플랫 와이퍼 아암의 삽입 및 회동결합 방식의 일 예로서, 도 3은 공개특허 제10-2007-105677호에 개시된 다른 종래기술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요소(13c) 상에 커넥팅요소(30c)가 설치되며, 지지요소(13c)는 일단에 홈(미도시)을 구비하고 타단에 후크형상의 잠금요소(14c)를 구비한다. 커넥팅요소(30c)는 일단에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32c)를 가지며 타단에 잠금요소(14c)가 맞물리는 홈(33c)을 가진다. 또한, 커넥팅요소(30c)는 관통공(31c)을 가진다. 커플링요소(40c)는 와이퍼 아암(20c)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있고, 관통공(31c)에 끼워지는 피봇축(41c)과 커넥팅요소(30c)의 상측 벽에 안착하는 스토퍼(42c)와 스토퍼(42c)의 말단에 형성된 만곡부(43c)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연결장치에서는, 커플링요소(40c)의 피봇축(41c)을 관통공(31c)에 삽입하고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를 피봇축(41c)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스토퍼(42c)를 커넥팅요소(30c)의 상측에 안착시킴으로써,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와이퍼 아암(20c)이 연결된다.
상기 베이어닛 타입의 와이퍼 아암과 플랫 와이퍼 아암의 끼워맞춤결합 방식의 일 예로서, 도 4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도시한다.
프레임(12)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요소(13d) 상에 커넥팅요소(30d)가 핀(14d)을 매개로 장착되어 있다. 와이퍼 아암(20d)의 자유단부에 구비된 커플링요소(40d)는 커넥팅요소(30d)가 끼워맞춤될 수 있는 크기의 측벽(41d, 42d)을 가지며, 측벽(41d, 42d)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커넥팅요소(30d)의 하측 가장자리(31d)가 안착하는 지지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팅요소(30d)가 커플링요소(40d)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를 삽입시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와이퍼 아암(20d)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연결하는 장치에서는, 각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요소(40, 40b, 40c, 40d)의 형상에 적합한 각각의 커넥팅요소들(30a, 30b, 30c, 30d)이 사용되고 있을뿐만 아니라, 커넥팅요소들(30a, 30b, 30c, 30d)의 형상에 적합한 각각의 지지요소들(13a, 13b, 13c, 13d)도 사용되고 있다. 즉,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이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요소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준비되어야 하며, 결국, 주어진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특정되는 전용의 커넥팅요소들과 이들 커넥팅요소들에 각각 적합한 전용의 지지요소들이 무수히 필요하다. 따라서, 와이프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생산하는 제조업자로서는, 상기 형태의 와이퍼 아암별로 적합한 다양한 커넥팅요소들과 지지요소들을 각각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하므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경우의 수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제조원가 및 물류비용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자동차에 설치된 와이퍼 아암의 형태에 적합한 연결장치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만을 선택해야 하므로, 선택의 폭이 제한되고 선택시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주게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러므로, 여러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범용적으로 사용될뿐만 아니라 표준화되어 있고 각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대하여 호환 가능한 부품으로 구성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한 종래기술의 연결장치의 경우, 커플링요소(40a, 40b)는 그 전방 단부에서 커넥팅요소(30a, 30b)에 접촉해 있고 로킹부(43a, 43b)는 안쪽으로 탄성변위 가능한 작동부(33a, 33b)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커플링요소(40a, 40b)는 안쪽으로 탄성변위가능한 작동부(33a, 33b)에 의해 커넥팅요소(30a, 30b)에 결합되는데, 작동부(33a, 33b)의 구조상 로킹부(43a, 43b)와의 물림이 헐거워질 수 있다. 즉, 와이퍼 아암(20a, 20b)이 작동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0)가 왕복운동할 때, 와이퍼 아암(20a, 20b)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0)에는 그 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작동부(33a, 33b)가 와이프 블레이드(10)의 안쪽으로 탄성변위되어 작동부(33a, 33b)와 로킹부(43a, 43b) 사이에 정확한 물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유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퍼 아암(20a)을 장시간 사용하면 그러한 유격이 점점 커져 와이퍼 블레이드(10)가 와이퍼 아암(20a)에서 탈락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작동부(33a, 33b)가 커넥팅요소(30a, 30b)의 후방에서 돌출해 있으므로, 운반 및 조립시에 작동부(33a, 33b)가 꺾여져 커네팅요소(30a, 30b)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종래기술의 연결장치의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커플링요소(40c)에 구비된 피봇축(41c)을 중심으로 와이퍼 아암(20c)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다. 그러나, 스토퍼(42c)에 의해 커넥팅요소(30c)의 운동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가 자동차의 유리면에 접촉하여 이동될 때 유리면의 곡률에 따라서 원활하게 피봇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연결장치에서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와이퍼 아암이 확고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피봇 운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확고하게 결합시키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피봇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품으로 구성되어 와이퍼 아암의 형태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면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견고한 결합과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원활한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하는 장치이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고, 피봇축이 형성된 조인트, 피봇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과 제1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1 상벽을 구비하고, 피봇축의 양단부와 피봇구멍이 끼움결합되어 조인트에 장착되는 제1 어댑터,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에 배치되는 어댑터연결부재, 제1 어댑터의 일다부와 어댑터연결부재의 일단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그리고 제1 어댑터가 어댑터연결부재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1 어댑터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제1 어댑터가 제1 지지수단에 의해 어댑터연결부재 쪽으로 회동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어댑터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제1 측면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제1 지지수단은 제1 어댑터의 타단부의 각 측벽에 배치된 제1 지지요소와 어댑터연결부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요소와 접촉되는 제2 지지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요소 및 제2 지지요소 중 하나는 지지돌기로 다른 하나는 지지돌기의 외주면에 상보적으로 접촉되는 오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결합수단은 제1 어댑터의 일단부에 배치된 제1 결합요소와 어댑터연결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된 제2 결합요소로 구성될 수 있ㄱ고, 제1 결합요소와 제2 결합요소는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요소는 제1 어댑터의 일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가요부와 가요부의 대면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결합요소는 어댑터연결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텅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텅은 가요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걸림돌기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제1 어댑터는 일단부에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바와 지지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와 연결바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뚜껑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가요부는 연결바에 배치되고, 뚜껑부재는 지지바와 가요부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연결하는 장치이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고, 피봇축이 형성된 조인트, 피봇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과 제1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1 상벽을 구비하고, 피봇축의 양단부와 피봇구멍이 끼움결합되어 조인트에 장착되는 제1 어댑터, 제1 측벽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측벽과 제2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2 상벽을 구비하고, 제1 어댑터에 장착되는 제2 어댑터, 제2 어댑터를 제1 어댑터에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 그리고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에 배치되고, 제2 측벽이 접촉되는 제3 측벽과 제3 측벽에 형성되고 제2 측벽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어댑터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제1 어댑터에 장착된 제2 어댑터가 어댑터연결부재에 끼워맞춤되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제2 측면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피봇축은 중공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어댑터는 제2 측벽의 각각에 피봇구멍에 대응하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어댑터는 제2 측벽의 내면에 피봇축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연결하는 장치이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고, 중공의 피봇축이 형성된 조인트, 피봇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과 제1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1 상벽을 구비하고, 피봇축의 양단부와 피봇구멍이 끼움결합되어 조인트에 장착되는 제1 어댑터, 제1 측벽에 각각 대응하고 피봇구멍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측벽과 제2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2 상벽을 구비하며, 제1 어댑터에 장착되는 제2 어댑터,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에 배치되고, 피봇축에 끼움결합되는 삽입축과 제2 측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토퍼아암을 구비하는 어댑터연결부재, 제2 어댑터를 제1 어댑터에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 그리고 어댑터연결부재를 제2 어댑터에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어댑터연결부재가 제1 어댑터에 장착된 제2 어댑터에 피봇축에 끼워진 삽입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2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제2 또는 제3 측면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제1 고정수단은 제1 어댑터의 일단부와 제2 어댑터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요소와 제2 어댑터가 제1 어댑터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제2 어댑터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요소는 제1 어댑터의 일단부에 배치된 단차부와 제2 어댑터의 단차부에 접촉되는 일단부를 포함하고, 제2 지지수단은 제1 어댑터의 타단부의 각 제1 측벽에 배치된 제1 지지요소와 제2 어댑터의 타단부의 각 제2 측벽에 배치되고 제1 지지요소와 접촉되는 제3 지지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댑터의 일단부에는 제2 측벽의 두께보다 두꺼운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요소 및 제3 지지요소 중 하나는 지지돌기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지지돌기의 외주면에 상보적으로 접촉되는 오목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어댑터는 제2 측벽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탄성연결판과 탄성연결판에 결합되고 제2 측벽이 외측으로 돌출한 끼움돌기를 가지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제2 측벽 중 하나에는 끼움돌기가 끼움결합 가능한 슬롯이 형성되고, 탄성연결판은 지지부의 회동조작에 의해 파단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제2 고정수단은 어댑터연결부재에 배치되고 제2 어댑터의 제2 측벽에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 측벽접촉요소로 구성되고, 어댑터연결부재의 회동에 의해 제1 및 제2 측벽접촉요소가 제2 어댑터의 각 제2 측벽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 측벽접촉요소는 삽입축의 기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제2 측벽접촉요소는 스토퍼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제2 어댑터는 제2 측벽의 내면의 통공의 둘레 일부에 형성되고 피봇구멍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2 측면 중 어는 하나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제1 어댑터는 타단부의 상벽에 배치된 래치돌기와 래치돌기를 탄성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탄성변위수단을 더 구비하고, 어댑터연결부재는 래치돌기가 끼워지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변위수단은 제1 어댑터의 타단부의 상벽에서 연장하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래치돌기는 탄성판의 자유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변위수단은 제1 측벽의 각각에 래치돌기 보다 안쪽에 형성된 절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래치돌기가 배치된 제1 상벽의 일부는 절결부 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피봇축의 양단부에는 제1 어댑터의 장착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 어댑터는 제1 측벽 내면에 경사면에 대응하고 피봇구멍에 통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고, 조인트는 와이퍼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조인트는 와이퍼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는 제1 반부와 제2 반부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반부와 제2 반부 중 하나는 고정요소를 구비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고정요소에 결합되는 맞물림결합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제1 어댑터에 와이퍼 아암이 직접 결합되거나 혹은 제2 어댑터를 제1 어댑터에 추가로 장착하여 와이퍼 아암이 제2 어댑터에 결합되므로, 조인트와 제1 어댑터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여러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둘째, 제1 어댑터는 조인트에 구비된 피봇축의 양단부가 피봇구멍에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조인트에 스냅결합되므로, 피봇운동이 자유롭고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합되는 구조가 조인트와 제1 어댑터 사이에 얻어진다.
셋째, 제1 어댑터와 어댑터연결부재 또는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는 그 일단부에서 서로 결합하고 그 타단부에서 와이퍼 아암의 운동방향으로 힘이 걸리지 않도록 상호 지지되므로, 와이퍼 아암의 구동중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이 분리될 가능성이 없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조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어댑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어댑터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어댑터연결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어댑터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와이퍼 아암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상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1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제1 어댑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2 어댑터의 후면도이다.
도 21은 제2 어댑터를 제1 어댑터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한 어댑터연결부재의 전면도이다
도 23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2 어댑터를 어댑터연결부재에 삽입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2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2 실시예의 연결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제2 어댑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제2 어댑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2 어댑터가 제1 어댑터에 끼워져 있고 와이퍼 아암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어댑터연결부재를 제2 어댑터에 설치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1은 어댑터연결부재가 제2 어댑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2는 뚜껑부재를 구비한 제1 어댑터와 지지부를 구비한 제2 어댑터가 채용된 제3 실시예의 연결장치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3 및 도 34는 제2 어댑터의 지지부의 파단 및 부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2에 도시한 연결장치에서 어댑터연결부재가 제2 어댑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이하, ‘연결장치’라 한다)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되는 조인트와 이것에 장착되는 제1 어댑터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적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연결장치(100)는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구성하는 와이퍼 프레임(112)에 고정되어 와이퍼 프레임(112)을 잡고 있는 조인트(130), 조인트(130)에 스냅결합으로 설치되는 제1 어댑터(140), 그리고 제1 어댑터(140)와 와이퍼 아암(120)을 연결하는 어댑터연결부재(160)를 포함한다. 어댑터연결부재(160)는 와이퍼 아암(120)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조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자동차의 유리면에 접촉되는 와이퍼 스트립(111)과 와이퍼 스트립(111)이 고정되고 지지되는 와이퍼 프레임(112)을 구비한다. 와이퍼 스트립(111)은 고무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길다란 밴드의 형상을 가진다. 와이퍼 프레임(112)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길다란 판의 형상을 가진다. 와이퍼 프레임(112)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간에 슬릿(11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112a)에 와이퍼 스트립(11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해 와이퍼 스트립(111)을 끼워서 와이퍼 스트립이 와이퍼 프레임(112)에 결합된다. 와이퍼 프레임(112)은 와이퍼 스트립(111)이 유리면에 접촉될 때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곡률로 휘어져 있다.
조인트(130)는 와이퍼 프레임(112)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조인트(130)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피봇중심으로 작용하는 피봇축(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130)는 조인트몸체(132)와 조인트몸체(132)의 하부에 구비되고 와이퍼 프레임(112)의 양측 가장자리에 맞물림결합하는 2개의 클로부(133a, 133b)를 구비한다. 피봇축(131)은 조인트몸체(132)의 상부에 와이퍼 프레임(1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봇축(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1a)이 구비된 중공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중실축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피봇축(131)의 양단부는 조인트몸체(132)에서 와이퍼 프레임(112)의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피봇축(131)은 그 양단부에 제1 어댑터(140)의 스냅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131b)을 가진다. 경사면(131b)은 제1 어댑터(140)의 장착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조인트(130)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30)는 사출물로 형성된 제1 반부(130a)와 제2 반부(13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반부(130a)와 제2 반부(130b)는 와이퍼 프레임(112)을 그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된다. 이 경우, 각 반부(130a, 130b)는 조인트몸체(132)의 절반과 클로부(133a, 133b) 중 하나를 구비한다. 또한, 각 반부(130a, 130b)중 하나는 고정요소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이 고정요소에 결합되는 맞물림결합요소를 구비한다. 예컨대, 제1 반부(130a)에는 상기 맞물림결합요소로서 탄성변형가능한 후크부재(134a, 134b)가 형성되며, 제2 반부(130b)에는 상기 고정요소로서 각각의 후크부재(134a, 134b)가 결합되는 홈(135a, 135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부(130a)와 제2 반부(130b)는 와이퍼 프레임(112)을 사이에 두고 후크부재(134a, 134b)와 홈(135a, 135b)이 서로에게 맞물림으로써 와이퍼 프레임(112)에 고정된다.
도 8은 제1 어댑터의 하방 사시도이고, 도 9는 제1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어댑터(140)는 한 쌍의 제1 측벽(141, 142)과, 측벽(141, 142)의 상단을 서로 결합하고 있는 상벽(143)과, 측벽(141, 142)의 전방 단부를 결합하고 있는 전방벽(144)과 측벽(141, 142)의 후방 단부를 결합하고 있는 연결바(145)를 가진다. 측벽(141, 142), 상벽(143), 전방벽(144) 및 연결바(145)로 한정되는 공간(140a)에 조인트몸체(132)가 수용된다.
각 측벽(141, 142)에는 피봇축(131)의 양단부가 끼움결합하는 피봇구멍(141a, 142a)이 뚫어져 있다. 측벽들(141, 142)의 외면 사이의 거리는 피봇축(131)의 양단 사이의 거리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제1 어댑터(140)가 조인트(130)에 장착될 때, 측벽(141, 142)의 표면과 피봇축(131)의 양단은 대체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또한, 측벽(141, 142)의 내면에는 그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피봇구멍(141a, 142a)에 각각 통하는 경사면(141c, 142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어댑터(140)가 조인트(130)에 장착될 때, 피봇축(131)은 그 양단부의 경사면(131b)에서 경사면(141c, 142c)과 접촉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1 어댑터(140)를 조인트(130)에 누르면, 측벽(141, 142)이 제1 어댑터(140)의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약간 변형되며, 피봇축(131)의 양단부가 피봇구멍(141a, 142a) 내로 완전히 진입하면 다시 탄성적으로 복귀함으로써, 피봇축(131)의 양단부와 각 피봇구멍(141a, 142a)은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어댑터(140)는 조인트(130)의 위쪽에서 눌러서 스냅결합에 의해 조인트(130)에 장착된다. 피봇축(131)에 경사면(13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봇축(131)이 피봇구멍(141a, 142a)에 끼움결합하면 피봇구멍(141a, 142a)의 위쪽 부분과 경사면(131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피봇축(131)이 와이퍼 프레임(122)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조인트(130)의 상면 위로 나와 있으므로,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제1 어댑터(140)가 조립되었을 때, 양자는 피봇축(1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와이퍼 아암(120)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자동차의 유리면 상에서 이동될 때,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유리면의 곡면에 순응하면서 유리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연결장치(100)는 제1 어댑터(140)의 일단부와 어댑터연결부재(160)의 일단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결합수단은 스냅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제1 결합요소와 제2 결합요소로 구성된다. 제1 결합요소는 제1 어댑터(140)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2 결합요소는 제1 결합요소에 대응하도록 어댑터연결부재(16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결합요소는 측벽(141, 142)의 일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가요부(146a, 146b)와 가요부(146a, 146b)의 서로 대면하는 내면에서 각각 돌출한 걸림돌기(146c, 146d)를 포함한다. 가요부(146a, 146b)는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 핑거의 형상이다. 상기 핑거 형상의 가요부(146a, 146b)는 제1 측벽(141, 142)의 각각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그 기단 부분은 제1 측벽(141, 142)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가요부(146a, 146b)와 제1 측벽(141, 142) 사이에는 단차부(147a, 147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장치(100)는 제1 어댑터(140)가 어댑터연결부재(16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1 어댑터(140)의 타단부를 어댑터연결부재(160)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수단은 제1 어댑터(140)의 타단부의 각 측벽(141, 142)에 배치된 제1 지지요소와 어댑터연결부재(160)의 타단부에 제1 지지요소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1 지지요소에 상보적으로 접촉되는 제2 지지요소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요소는 제1 측벽(141, 142)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하며 대체로 삼각형이고 모서리가 둥근 지지돌기(141b, 142b)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어댑터(140)는 상벽(143) 상에 어댑터연결부재(160)에 삽입되는 래치돌기(148)와 래치돌기(148)를 탄성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탄성변위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탄성변위수단은 제1 상벽(143)의 후방 부분에 2개의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판(143a)을 포함한다. 탄성판(143a)의 자유단부에 래치돌기(148)가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어댑터연결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어댑터연결부재의 정면도이다.
어댑터연결부재(160)는 와이퍼 아암(120)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와이퍼 아암(120)은 그 기단부(미도시)에서 와이퍼 구동 장치의 구동 기구(미도시)에 연결된다.
어댑터연결부재(160)는 대략 U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어댑터(140)의 각 제1 측벽(141, 142)에 대응하는 측벽(161, 162)과 측벽(161, 162)을 결합하고 있는 상벽(163)을 구비한다. 측벽(161, 162)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제1 어댑터(140)의 측벽(141, 142)의 외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크다.
어댑터연결부재(160)는 일단부에 상기 결합수단의 제1 결합요소(142)에 탄성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2 요소로서 텅(164)을 구비한다. 텅(164)은 어댑터연결부재(160)의 일단부에서 상벽(16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텅(1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도 있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어댑터연결부재(160)는 제1 어댑터(140)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제2 지지요소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요소는 어댑터연결부재(160)의 타단부의 측벽(161, 162)의 하단에 형성된 오목부(165)이다. 오목부(165)는 삼각형의 지지돌기(141b, 142b)의 외주면이 상보적으로 접촉하도록 모서리가 둥근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 어댑터(140)가 설치된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와이퍼 아암(120)의 어댑터연결부재(160) 부근에 위치시킨다. 제1 어댑터(140)의 지지돌기(141b, 142b)를 어댑터연결부재(160)의 오목부(165)에 삽입한다(도 12 참조). 그 후,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와이퍼 아암(120) 쪽으로(도 12의 화살표 방향) 회동시킨다. 이 경우, 서로 접촉하고 있는 지지돌기(141b, 142b)와 오목부(165)는 제1 어댑터(140)의 회동중심으로 작용한다. 텅(164)이 걸림돌기(146c, 146d)에 접촉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더 회전시켜 제1 어댑터(140)를 어댑터연결부재(160)의 안쪽으로 더 밀어넣는다. 그러면, 가요부(146a, 146b)가 벌어졌다가 다시 오므려지면서 걸림돌기(146c, 146d)의 아래쪽에 텅(164)이 걸려, 어댑터연결부재(160)와 제1 어댑터(140)의 결합이 완료된다. 제1 어댑터(140)의 래치돌기(148)가 와이퍼 아암의 상벽(120c)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어도, 래치돌기(148)가 탄성판(143a)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위되므로, 어댑터연결부재(160)의 제2 결합요소와 제1 어댑터(140)의 제1 결합요소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쪽으로 휘어진 래치돌기(148)에 의해 어댑터연결부재(120)에 위쪽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지만, 오목부(165)와 지지돌기(141b, 142b)의 서로 접촉되는 면이 이러한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하여 어댑터연결부재(160)와 제1 어댑터(140)가 분리되지 않는 방향으로(와이퍼 프레임(112)의 종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양자 사이에 확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120)을 분리하는 경우, 양자를 서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텅(164)이 가요부(146a, 146b)에서 분리되고 제1 어댑터(140)가 어댑터연결부재(160)로부터 타단부에서 회동되면서 떨어져 나와 양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14는 어댑터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어댑터연결부재를 가진 와이퍼 아암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어댑터연결부재(160′)는 그 상벽(163′)에 제1 어댑터의 래치돌기(148)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요소로서의 오목부(165′)는 어댑터연결부재(160′)의 타단부의 측벽(161′, 162′)의 하단에 ‘ㄱ’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어댑터연결부재(160′)를 갖춘 와이퍼 아암(120′)에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결합할 때, 래치돌기(148)가 개구부(166′)에 삽입되면서 어댑터연결부재(160′)의 텅(164′)이 제1 어댑터(140)의 걸림돌기(146c, 146d)에 걸려, 더욱 쉽게 연결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제1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제1 어댑터(140′)는 제1 어댑터(140)와 비교할 때 연결바가 생략되는 대신 조인트몸체의 수용을 허용하는 위치에 후방벽(14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어댑터(140′)의 래치돌기(148)를 탄성변위시키는 탄성변위수단은 제1 어댑터(140′)의 측벽(141, 142) 각각에 후방벽(145) 외측에서 측벽(141, 142)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절결된 V자 형의 절결부(141c′, 142c′)를 포함한다. 절결부(141c′, 142c′)의 입구에는 아치형의 얇은 연결대(141d′, 142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돌기(148)에 상방에서 힘이 가해지면, 래치돌기(148)가 위치하는 상벽(143)의 부분이 절결부(141c′, 142c′) 쪽으로 휘어질 수 있고 힘이 제거되면 다시 제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7은 제1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제1 어댑터의 부분평면도이다. 도시한 제1 어댑터(140″)는 제1 어댑터(140′)와 비교할 때 결합수단의 제1 결합요소가 변형되어 있다. 제1 어댑터(140″)의 제1 결합요소는 제1 측벽(141, 142)의 각각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바(146e″, 146f″)와, 지지바(146e″, 146f″)의 단부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바(146g″)와, 연결바(146g″)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뚜껑부재(146h″)를 더 구비한다. 가요부(146a, 146b)는 연결바(146g″)에 배치되어 있다. 뚜껑부재(146h″)는 지지바(146e″, 146f″) 사이의 공간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재(146h″)의 내면에는 가요부(146a, 146b)와 지지바(146e″, 146f″)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46i″)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돌기(146i″)의 두께는 가요부(146a, 146b)와 지지바(146e″, 146f″) 사이의 틈새에 끼워질 정도로 정해진다.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와이퍼 아암(120)에 연결될 때, 가요부(146a, 146b)가 벌어졌다가 오므려지면서 어댑터연결부재의 텅(164)이 걸림돌기(146c, 146d)에 걸리게 된다. 그 후, 뚜껑부재(146h″)를 회동시켜 끼움돌기(146i″)를 상기 틈새에 끼우면, 가요부(146a, 146b)는 변형될 수 없고 뚜껑부재(146h″)는 가요부(146a, 146b)와 지지바(146e″, 146f″)에 의해 닫혀진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돌기(146i″)는 가요부(146a, 146b)의 탄성변형을 저지하는 작용과 뚜껑부재(146h″)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결합수단에 충격이 가해져도, 제1 어댑터(140″)의 일단부와 어댑터연결부재(160, 160′)의 일단부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 19는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연결장치(200)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와이퍼 아암(220)에 그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맞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연결장치(200)는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220)의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제1 어댑터(140)에 장착되는 제2 어댑터(250)를 포함한다. 제2 어댑터(250)는 제1 어댑터(140)의 제1 측벽(141, 142)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측벽(251, 252)과 제2 측벽(251, 252)을 결합하고 있는 제2 상벽(253)을 구비한다.
연결장치(200)는 제2 어댑터(250)를 제1 어댑터(140)에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제1 어댑터(140)의 일단부와 제2 어댑터(25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요소와, 제2 어댑터(250)가 제1 어댑터(14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제2 어댑터(25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요소는 제1 어댑터(140)의 제1 측벽(141, 142)의 일단에 형성된 단차부(147a, 147b)와, 제2 어댑터(250)가 제1 어댑터(140)에 장착될 때 단차부(147a, 147b)에 접촉하는 제2 어댑터(250)의 제2 측벽(251, 252)의 일단부를 포함한다.
제2 어댑터(250)의 일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벽(251, 252)과 제2 상벽(253)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플랜지부(25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254)와 제2 측벽(251, 252) 및 상벽(253) 사이에는 단차부(255)가 형성된다. 제2 상벽(253)의 후방에는 제2 어댑터가 제1 어댑터에 결합될 때 제1 어댑터의 래치돌기(148)가 노출되도록 절결부(25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은 제2 어댑터(250)의 배면도이다. 제2 어댑터(250)는 제2 측벽(251, 252)의 내면 상에 제1 어댑터의 피봇구멍(141a, 142a)을 통해 피봇축(131)의 관통공(131a)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51a, 252a)를 가진다. 걸림돌기(251a, 252a)에는 제2 어댑터(250)의 제1 어댑터(140)로의 끼움을 용이하게 하도록 경사면(251b, 252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장치(200)는 제2 어댑터(250)가 제1 어댑터(14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2 어댑터(250)의 타단부를 제1 어댑터(140)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제1 어댑터(140)의 타단부의 각 측벽(141, 142)에 배치된 제1 지지요소와 제2 어댑터(250)의 타단부에 제1 지지요소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1 지지요소에 상보적으로 접촉되는 제3 지지요소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지지요소는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100)의 제1 지지요소와 동일한다. 제2 어댑터(250)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3 지지요소는 제2 어댑터(250)의 타단부의 제2 측벽(251, 252)의 하단에 형성된 오목부(256)이다. 오목부(256)는 제1 지지요소인 삼각형의 지지돌기(141b, 142b)의 외주면이 상보적으로 접촉하도록 모서리가 둥근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1은 제2 어댑터를 제1 어댑터에 장착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제1 어댑터의 지지돌기(141b, 142b)가 제2 어댑터(250)의 오목부(256)에 삽입되도록 제2 어댑터(250)를 제1 어댑터(140) 상에 배치하고 제2 어댑터(250)를 제1 어댑터(140) 쪽으로 (도 2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걸림돌기(251a, 252a)의 경사면(251b, 252b)이 제1 어댑터의 측벽(141, 142)의 상단과 접촉하면서 제2 어댑터의 제2 측벽(251, 252)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더 회전시키면 걸림돌기(251a, 252a)가 피봇축(131)의 양단을 통해 관통공(131a)에 끼워진다. 이 때, 플랜지부(254)의 전방 단부(즉, 제2 어댑터의 일단부)가 제1 어댑터의 단차부(147a, 147b)에 접촉되어 제2 어댑터(250)와 제1 어댑터(140)의 고정 및 결합이 완료된다. 이를 위해, 제2 어댑터(250)의 길이는 제2 어댑터(250)와 제1 어댑터(140)의 결합이 완료될 때 플랜지부(254)의 전방 단부가 단차부(147a, 147b)에 접촉하도록 정해져 있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한 어댑터연결부재(260)의 전면도이다. 도 19와 도 22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어댑터연결부재(260)를 설명한다.
삽입과 끼워맞춤에 의해 제2 어댑터(250)와 결합되는 어댑터연결부재(260)는 와이퍼 아암(220)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어댑터연결부재(260)는 제2 어댑터의 제2 측벽(251, 252)이 끼워맞춤되는 제3 측벽(261, 262)과 제3 측벽(261, 262)의 상단을 결합하고 있는 제3 상벽(263)을 구비한다. 어댑터연결부재(260)는 제3 측벽(261, 262)이 와이퍼 아암(22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제3 측벽(261)의 일부가 와이퍼 아암(220)의 일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각 제3 측벽(261, 262)의 하단에는 제2 어댑터의 측벽(251, 252)의 하측 가장자리부분이 슬라이드하면서 안착하는 안착부(261a, 262a)가 돌출되어 있다. 제3 상벽(263)에는 제1 어댑터의 래치돌기(148)가 끼워맞춤되는 개구부(263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63a)는 래치돌기(148)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23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2 어댑터를 어댑터연결부재에 삽입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 어댑터(250)가 설치된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제2 어댑터(250)가 어댑터연결부재(260)에 끼워맞춤되도록 와이퍼 아암(220)에 삽입한다. 어댑터연결부재(260)의 일단부가 제2 어댑터(250)의 단차부(255)에 접촉할 때까지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제2 어댑터의 제2 측벽(251, 252)의 하측 가장자리부분은 어댑터연결부재의 안착부(261a, 262a)에 안착되고 제1 어댑터의 래치돌기(148)는 어댑터연결부재의 개구부(263a)에 끼워맞춤된다. 이렇게 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220)의 연결이 달성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220)의 분리는 래치돌기(148)를 누르고 제2 어댑터(250)를 어댑터연결부재(260)에서 빼냄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5는 도 19에 도시된 제2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2 실시예의 연결장치(2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제2 어댑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제2 어댑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한 제2 어댑터(250′)는 제2 측벽 중 하나에 분리가능한 요소가 마련되고 각 제2 측벽에 통공이 형성된 점에서 제2 어댑터(250)와 구별된다.
제2 어댑터(250′)의 각 제2 측벽(251′, 252′)에는 제2 어댑터(250′)가 제1 어댑터(140″)에 장착될 때 제1 어댑터(140″)의 피봇구멍(141a, 142a)과 동축을 이루며 대응하는 통공(251b′, 252b′)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측벽(251′, 252′)의 내면의 통공(251b′, 252b′)의 위쪽 가장자리에는 제2 어댑터(250′)를 제1 어댑터(140)에 걸리게하는 걸림돌기(251a′, 252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251a′, 252a′)는 피봇구멍과 피봇축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130a)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진다.
제2 어댑터(250′)의 제2 측벽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2 어댑터(250′)는 짧게 형성된 제2 측벽(252′)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 탄성연결판(257′)과 탄성연결판(257′)에 결합된 지지부(258′)를 더 가진다. 지지부(258′)의 외면에는 끼움돌기(259′)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돌기(259′)에는 어댑터연결부재(260)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경사면(259a′)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252′)에는 끼움돌기(259′)가 끼워지는 슬롯(252c′)이 관통되어 있다. 탄성연결판(257′)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지지부(258′)의 제2 어댑터(250) 내외측으로 탄성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제1 어댑터(140)의 제1 지지요소와 상보적으로 접촉하는 제2 지지요소로서의 오목부(256′)는 제2 측벽(251′)의 후방 하단과 지지부(258′)의 후방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8은 이러한 제2 어댑터(250′)가 제1 어댑터(140″)에 장착되어 있고 와이퍼 아암(220)에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 어댑터(250′)가 어댑터연결부재(260) 내로 삽입에 의해 끼워질 때 지지부(258′)가 탄성 변위되므로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29는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연결장치(300)는 어댑터연결부재에 피봇축에 끼움결합하는 삽입축이 구비되고 삽입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조작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조인트(130)에는 관통공(131a)이 형성된 중공의 피봇축(131)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130)에 제1 어댑터(140)가 장착되고, 제1 어댑터(140)에 제2 어댑터(350)가 고정된다.
제2 어댑터(350)는 제1 어댑터의 제1 측벽(141, 142)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측벽(351, 352)과 제2 측벽(351, 352)의 상단을 결합하고 있는 제2 상벽(353)을 가진다. 제2 상벽(353)은 제1 어댑터(140)의 래치돌기(148)가 노출되도록 제2 측벽(351, 352)의 일부만을 덮고 있다.
연결장치(300)는 제2 어댑터(350)를 제1 어댑터(140)에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제1 어댑터(140)의 일단부와 제2 어댑터(35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요소와, 제2 어댑터(350)가 제1 어댑터(14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제2 어댑터(35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요소는 제1 어댑터(140)의 단차부(147a, 147b)와, 제2 어댑터(350)가 제1 어댑터(140)에 장착될 때 단차부(147a, 147b)에 접촉하는 제2 어댑터(350)의 제2 측벽(351, 352)의 일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제2 실시예의 연결장치(200)와 같이, 제1 어댑터(140)의 타단부의 각 측벽(141, 142)에 배치된 제1 지지요소와 제2 어댑터(350)의 타단부에 제1 지지요소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1 지지요소에 상보적으로 접촉되는 제3 지지요소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지지요소는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100)의 제1 지지요소와 동일하다. 제2 어댑터(350)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3 지지요소는 제2 어댑터(350)의 타단부의 제2 측벽(351, 352)의 하단에 형성되고 지지돌기(141b, 142b)의 외주면이 상보적으로 접촉하도록 모서리가 둥근 V자형의 오목부(356)이다. 제2 어댑터(350)를 제1 어댑터(140)에 끼우는 방식은 제2 어댑터(250, 250′)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2 어댑터(350)의 제2 측벽(351)에는 통공(351a)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351a)은 제2 어댑터(350)가 제1 어댑터(140)에 끼워졌을 때 제1 어댑터(140)의 피봇구멍(141a, 142a)과 동축을 이루도록 제2 측벽(351)에 위치한다. 통공(351a)은 제2 측벽(351)에서 제2 어댑터(350)의 외측으로 돌출해 있는 볼록부(351b)에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연결부재(360)는 ‘ㄱ’자 단면 형상의 길다란 몸체부(361)와, 몸체부(361)의 일단에 형성되고 피봇축(131)의 관통공(131a)에 끼움결합되는 삽입축(362)과, 몸체부(361)의 타단에서 삽입축(36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퍼 아암(320)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결합부(363)와, 어댑터연결부재(360)의 삽입축(362)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아암(364)을 구비한다.
삽입축(362)은 제2 어댑터의 통공(351a)과 제1 어댑터의 피봇구멍(141a)과 피봇축(131)의 관통공(131a)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어댑터연결부재(360)는 삽입축(362)이 피봇축(131)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다. 스토퍼아암(364)은 삽입축(362)에 평행하게 몸체부(361)에서 연장되며, 어댑터연결부재(360)가 제2 어댑터(350)에 장착될 때 제2 어댑터(350)의 측벽(351, 352)과 상벽(353) 사이의 빈 공간에 놓이도록 몸체부(361)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장치(300)는 어댑터연결부재(360)를 제2 어댑터(350)에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어댑터연결부재(360)에 배치되고 제2 어댑터(350)의 제2 측벽(351, 352)의 각각의 외면에 접촉하는 제1 측벽접촉요소와 제2 측벽접촉요소로 구성된다. 어댑터연결부재(360)를 회동시켜 제2 어댑터(350) 상에 어댑터연결부재(360)가 안착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측벽접촉요소는 제2 어댑터(350)의 측벽(351, 352)의 외면에 각각 탄성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제1 측벽접촉요소로서, 어댑터결합부재(360)에는 삽입축(362)의 기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62a)(도 30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벽접촉요소로서, 스토퍼아암(364)의 일단을 수직으로 구부려 형성된 절곡부(364a)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364a)는 어댑터연결부재(360)가 제2 어댑터(350)에 장착될 때 제2 어댑터(350)의 측벽(352)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한다.
도 30은 어댑터연결부재(360)를 제2 어댑터(350)에 설치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1은 어댑터연결부재(360)가 제2 어댑터(35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 어댑터(350)가 제1 어댑터(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댑터연결부재(360)의 삽입축(362)을 제2 어댑터(350)의 통공(351a)을 통해 피봇축(131)의 관통공(131a)에 삽입한다. 삽입축(362)이 피봇축(131)에 완전히 삽입된 후, 몸체부(361)를 와이퍼 블레이드(110) 쪽으로 회동시켜 스토퍼아암(364)을 제2 어댑터(350)의 측벽(351, 352) 상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플랜지부(362a)가 제2 어댑터(350)의 제2 측벽(351)의 외면에 접촉하고 절곡부(364a)가 제2 측벽(352)의 외면에 안착되면서, 어댑터연결부재(360)가 제2 어댑터(350)에 고정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320)이 연결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320)의 분리는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320)을 삽입축(362)을 중심으로 서로에게 회전시키고 삽입축(362)을 피봇축(131)에서 빼냄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2는 뚜껑부재를 구비한 제1 어댑터(140″)와 지지부를 구비한 제2 어댑터(250′)가 채용된 다른 형태의 제3 실시예의 연결장치(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 형태에서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어댑터(250′)의 지지부(258′)를 분리하여 제2 측벽(252′)에 부착한다. 지지부(258′)를 제2 측벽(252′)의 내외측으로 회동시키면 탄성연결판(257′)이 파단되어 지지부(258′)가 제2 측벽(25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지지부(258′)의 끼움돌기(259′)를 제2 측벽(252′)의 슬롯(252c′)에 끼움으로써 지지부(258′)가 측벽(25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2 어댑터(250′)는 어댑터연결부재(360)의 절곡부(364a)가 측벽(2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5는 도 32에 도시한 연결장치(300′)에서 어댑터연결부재(360)가 제2 어댑터(25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어댑터연결부재(360)의 삽입축(362)을 피봇축(131)에 삽입하고 플랜지부(362a)가 제2 어댑터의 측벽(251′)에 접촉된 후, 와이퍼 블레이드(110) 쪽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스토퍼아암(364)이 제2 어댑터(250′)의 상벽(253′)에 접촉하고 절곡부(364a)가 제2 어댑터(250′)의 지지부(258′)의 외면에 접촉한다. 어댑터연결부재(360)는 플랜지부(362a)에서 제2 어댑터의 측벽(251′)에 의해 지지되고 절곡부(364a)에서 지지부(258′)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어댑터(250′)에 고정된다.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100)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어댑터연결부재(160, 160′)에 접촉시키고 회동시켜 양자를 연결하는 경우, 제1 어댑터(140, 140′, 140″)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연결장치(200, 200′)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와이퍼 아암(22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시켜 양자를 끼워맞춤에 의해 연결하는 경우, 제1 어댑터(140, 140′, 140″)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제2 어댑터(250, 250′)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연결장치(300, 300′)와 같이, 어댑터연결부재(360)의 삽입축(362)을 중공의 피봇축(131)에 삽입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320)을 연결하는 경우, 제1 어댑터(140, 140′, 140″)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제2 어댑터(250′, 350)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조인트(130)와 제1 어댑터(140, 140′, 140″)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회동 조작, 끼워맞춤 조작, 삽입 조작 등으로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에 관련된 각각의 조작에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이 호환가능하다.
한편, 제2 및 제3 실시예의 연결장치(200, 200′, 300, 300′)에 사용된 제1 어댑터가 그 일단부에 와이퍼 아암과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요소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 19 내지 도 35에 도시되었지만, 제2 및 제3 실시예의 연결장치의 제1 어댑터는 이러한 제1 결합요소를 일단부에 구비하지 않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연결장치(300, 300′)에 사용된 제1 어댑터는 그 타단부 부근에 래치돌기(148)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 29 내지 도 35에 도시되었지만, 제3 실시예의 연결장치의 제1 어댑터는 타단부에 래치돌기를 구비하지 않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여러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연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100, 200, 300 :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10 : 와이퍼 블레이드
111 : 와이퍼 프레임
120, 220, 320 : 와이퍼 아암
130 : 조인트
131 : 피봇축
140, 140′, 140″ : 제1 어댑터
141, 142 : 제1 측벽
141a, 142a : 피봇구멍
141b, 142b : 지지돌기
146a, 146b : 가요부
146c, 146d : 걸림돌기
146h″ : 뚜껑부재
146i″: 끼움돌기
147a, 147b : 단차부
148 : 래치돌기
160, 160′, 260, 360 : 어댑터연결부재
164 : 텅
165 : 오목부
166, 166′ : 개구부
250, 250′, 350 : 제2 어댑터
251, 252 : 제2 측벽
254 : 플랜지부
255 : 단차부
261, 262 : 제3 측벽
261a, 262a : 안착부
362 : 삽입축
363 : 아암결합부
364 : 스토퍼아암

Claims (18)

  1.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220)을 연결하는 장치(200, 200′, 300′)이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고, 피봇축(131)이 형성된 조인트(130),
    피봇구멍(141a, 142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141, 142)과 상기 제1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1 상벽(143)을 구비하고, 상기 피봇축의 양단부와 상기 피봇구멍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인트에 장착되는 제1 어댑터(140, 140′, 140″),
    상기 제1 측벽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측벽(251, 252, 251′, 252′)과 상기 제2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2 상벽(253, 25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어댑터에 장착되는 제2 어댑터(250, 250′),
    상기 제2 어댑터를 상기 제1 어댑터에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147a, 147b, 141b, 142b, 256, 256′), 그리고
    상기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벽이 접촉되는 제3 측벽(261, 262)과 상기 제3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261a, 262a)를 구비하는 어댑터연결부재(2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댑터에 장착된 제2 어댑터가 상기 어댑터연결부재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은 중공축이고,
    상기 제2 어댑터는 제2 측벽의 내면에 상기 피봇축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51a, 252a)를 더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은 중공축이고,
    상기 제2 어댑터는 상기 제2 측벽의 각각에 상기 피봇구멍에 대응하는 통공(251b′, 252b′)을 가지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4.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아암(320)을 연결하는 장치(200′, 300, 300′)이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고, 중공의 피봇축(131)이 형성된 조인트(130),
    피봇구멍(141a, 142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141, 142)과 상기 제1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1 상벽(143)을 구비하고, 상기 피봇축의 양단부와 상기 피봇구멍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인트에 장착되는 제1 어댑터(140, 140′, 140″),
    상기 제1 측벽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피봇구멍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251b′, 252b′, 351a)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측벽(251′, 252′, 351, 352)과 상기 제2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제2 상벽(253′, 35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어댑터에 장착되는 제2 어댑터(250′, 350),
    상기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봇축에 끼움결합되는 삽입축(362)과 상기 제2 측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토퍼아암(364)을 구비하는 어댑터연결부재(360),
    상기 제2 어댑터를 상기 제1 어댑터에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147a, 147b, 141b, 142b, 256′, 356), 그리고
    상기 어댑터연결부재를 상기 제2 어댑터에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258′, 362a, 364a)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연결부재는 상기 제1 어댑터에 장착된 상기 제2 어댑터에 상기 피봇축에 끼워진 상기 삽입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어댑터의 일단부와 상기 제2 어댑터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요소(147a, 147b, 254, 254′)와 상기 제2 어댑터가 상기 제1 어댑터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제2 어댑터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141b, 142b, 256, 256′, 356)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요소는 상기 제1 어댑터의 일단부에 배치된 단차부(147a, 147b)와 상기 제2 어댑터의 상기 단차부에 접촉되는 일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상기 제1 어댑터의 타단부의 각 제1 측벽에 배치된 제1 지지요소(141b, 142b)와 상기 제2 어댑터의 타단부의 각 제2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요소와 접촉되는 제3 지지요소(256, 256′, 356)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의 일단부에 상기 제2 측벽의 두께보다 두꺼운 플랜지부(254, 254′)가 형성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요소 및 제3 지지요소 중 하나는 지지돌기(141b, 142b)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돌기의 외주면에 상보적으로 접촉되는 오목부(256, 256′, 356)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는 제2 측벽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탄성연결판(257′)과 상기 탄성연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한 끼움돌기(259′)를 가지는 지지부(258′)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벽 중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결합 가능한 슬롯(252c′)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연결판은 상기 지지부의 회동조작에 의해 파단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어댑터연결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어댑터의 제2 측벽에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 측벽접촉요소(362a, 364a)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연결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측벽접촉요소가 상기 제2 어댑터의 각 제2 측벽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안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접촉요소는 상기 삽입축의 기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62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접촉요소는 상기 스토퍼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364a)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는 제2 측벽의 내면의 상기 통공의 둘레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봇구멍에 걸리는 걸림돌기(251a′, 252a′)를 더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는 타단부의 상벽에 배치된 래치돌기(148)와 상기 래치돌기를 탄성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탄성변위수단(143a, 141c′, 142c′)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연결부재는 상기 래치돌기가 끼워지는 개구부(263a)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위수단은 상기 제1 어댑터의 타단부의 상벽에서 연장하는 탄성판(143a)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돌기는 상기 탄성판의 자유단부에 배치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위수단은 상기 제1 측벽의 각각에 상기 래치돌기 보다 안쪽에 형성된 절결부(141c′, 142c′)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돌기가 배치된 상기 제1 상벽의 일부가 상기 절결부 쪽으로 휘어지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어댑터의 장착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13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어댑터는 상기 제1 측벽의 내면에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고 상기 피봇구멍에 통하는 경사면(141c, 142c)을 가지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프레임(112)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와이퍼 프레임에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와이퍼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는 제1 반부(130a)와 제2 반부(13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반부와 제2 반부 중 하나는 고정요소(135a, 135b)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요소에 결합되는 맞물림결합요소(134a, 134b)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20100012991A 2010-02-11 2010-02-11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095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91A KR100959035B1 (ko) 2010-02-11 2010-02-11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91A KR100959035B1 (ko) 2010-02-11 2010-02-11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529A Division KR100961662B1 (ko) 2008-03-21 2008-03-21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942A KR20100023942A (ko) 2010-03-04
KR100959035B1 true KR100959035B1 (ko) 2010-05-20

Family

ID=4217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91A KR100959035B1 (ko) 2010-02-11 2010-02-11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0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8967A1 (en) * 2014-03-11 2015-09-17 llI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and cove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023154B2 (en) 2013-03-15 2018-07-17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118596B2 (en) 2013-03-15 2018-11-06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977B1 (ko) * 2010-09-10 2012-03-29 김인규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FR2979875B1 (fr) * 2011-09-12 2013-09-27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a languettes flexibles pour systeme d'essuyage
DE102011090100A1 (de) * 2011-12-29 2013-07-0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US10029652B2 (en) * 2012-06-13 2018-07-24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adapter system
WO2013186140A1 (de) * 2012-06-13 2013-12-1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system
KR101637662B1 (ko) 2014-07-14 2016-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셔 노즐 일체형 와이퍼 장치
JP6359141B1 (ja) 2017-03-23 2018-07-18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の結合構造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
WO2023165712A1 (en) * 2022-03-04 2023-09-07 Trico Belgium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of the flat blade ty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3156A1 (en) * 2002-09-24 2004-03-31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50007446A (ko) * 2002-03-21 2005-01-18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의 아암을 포함하는와이퍼 장치
KR20050085129A (ko) * 2002-11-26 2005-08-29 발레오 비셔시스테메 게엠베하 와이퍼 블레이드를 피동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연결하기 위한 장치
WO2007128677A1 (en) 2006-04-28 2007-11-15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446A (ko) * 2002-03-21 2005-01-18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의 아암을 포함하는와이퍼 장치
EP1403156A1 (en) * 2002-09-24 2004-03-31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50085129A (ko) * 2002-11-26 2005-08-29 발레오 비셔시스테메 게엠베하 와이퍼 블레이드를 피동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연결하기 위한 장치
WO2007128677A1 (en) 2006-04-28 2007-11-15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3154B2 (en) 2013-03-15 2018-07-17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118596B2 (en) 2013-03-15 2018-11-06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20150258967A1 (en) * 2014-03-11 2015-09-17 llI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and cove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942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035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096166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1027384B1 (ko)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US8689389B2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JP4852711B2 (ja)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の連結装置
RU2561173C2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переход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для ее шарни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ее рычагом
KR100903374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장치
RU252677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арни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соедин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неподвижно соединенным с рычагом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JP5642185B2 (ja) ワイパアームにおける枢着のためのアダプタユニットを備えたワイパブレード
KR102022329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9108595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RU2394706C2 (ru) Плоская универсальная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ъем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US20170334403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42600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20110039390A (ko) 차량 앞유리 와이퍼의 와이퍼 암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관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JP4594249B2 (ja) ワイパブレード
PL211790B1 (pl) Element złączny stosowany do połączenia ramienia wycieraczki z piórem wycieraczki
US9862356B2 (en) Wiper blade
US11345318B2 (en) Adapter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blade to a driving arm
CN106335472B (zh) 用于将擦拭器刮片连接到驱动臂的适配器
US11529931B2 (en) Windshield wiper arm adapter, coupler and assembly
US20020174504A1 (en) Adapter for windshield wiper arms
CN108569252B (zh) 帽、用于安装风挡擦拭器的连接装置和风挡擦拭系统
US11608033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230034932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to a driving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