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05B1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05B1
KR101426005B1 KR1020140027327A KR20140027327A KR101426005B1 KR 101426005 B1 KR101426005 B1 KR 101426005B1 KR 1020140027327 A KR1020140027327 A KR 1020140027327A KR 20140027327 A KR20140027327 A KR 20140027327A KR 101426005 B1 KR101426005 B1 KR 10142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ir
adapter
contact surface
wi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김경수
남경종
양청모
이준모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05B1/ko
Priority to CN201410350694.1A priority patent/CN10489063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05B1/ko
Priority to US14/619,445 priority patent/US98559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08Spoiler integral with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pivot pin mounted betwee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3Snap-fit, e.g. elastic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6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n, or holes in, the side walls to create a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arm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83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flat end
    • B60S1/408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flat end the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2001/405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separate locking element, e.g. in addition to an intermediat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일러가 레버 조립체에 일체로 되고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부분 스포일러가 마련된 레버 조립체와,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내지 제6 결합요소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가진다. 커넥터 조립체는 레버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어댑터와, 어댑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와, 어댑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로크 커버를 가진다. 슬라이드 커버는,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이동방향에서 어댑터로 이동되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을 덮는다. 어댑터는 제4 결합요소에 끼워맞춤된다. 어댑터는 사이드 로크 커버를 관통하는 사이드 핀을 통해 제5 및 제6 결합요소와 연결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본 발명은 스포일러가 일체로 된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와이퍼 러버와, 와이퍼 러버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를 가진다.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 레버와, 메인 레버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요크 레버로 구성된다. 요크 레버는 그 중앙에서 메인 레버 또는 다른 요크 레버에 연결된다.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는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를 관통하는 핀 또는 리벳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주행시에 그 길이방향에 걸쳐 윈드실드에 부딪히는 바람 또는 기류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바람 또는 기류가 발생시키는 힘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드실드의 표면으로부터 부상시키도록 작용한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수록, 이러한 부상력이 커지게 되고, 이는 와이퍼 러버와 윈드실드의 표면 간의 접촉을 약화시켜 와이핑 성능을 저하시킨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상으로 인한 와이핑 성능의 저하에 대처하기 위해, 바람 또는 기류와 상호작용하여 부상에 반대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는 스포일러를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하는 것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0699호는 스포일러가 메인 레버에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안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메인 레버, 요크 레버를 덮도록 형성되고 스포일러 형상을 갖춘 커버를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하는 것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1763호는 이러한 커버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안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06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1763호
와이퍼 러버를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는 그 전고가 작을수록 공기의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는 레버들의 분기 형태의 연결 구조 때문에 전고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스포일러가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스포일러가 별개로 준비되어야 한다. 이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조원가의 상승, 스포일러의 탈락 등을 야기한다. 또한, 메인 레버 또는 요크 레버를 덮는 커버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는, 커버의 결합을 위한 부품을 필요로 한다. 이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품 수를 증대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에서는, 메인 레버와 요크 레버가 리벳이나 핀과 같은 연결요소를 사용해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요소를 사용하는 연결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품 수를 증대시키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용이한 조립을 실현하지 못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에 마련된 연결요소와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마련된 결합요소와의 분리 가능한 연결에 의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각기 다른 형상의 결합요소를 갖춘 다양한 유형의 와이퍼 아암이 당해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는 결합요소의 각각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형상의 연결요소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메이커로서는, 와이퍼 아암의 결합요소 별로 적합한 다양한 연결요소를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하며, 이는 연결유닛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수를 증대시키고 적절한 관리를 어렵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자동차에 설치된 와이퍼 아암의 결합요소에만 적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선택해야 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선택시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에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어 있고 전고가 작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 조립체가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가지면서 적어도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에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고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러버와, 인접한 레버들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제1 내지 제4 결합요소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요소는 전방 접촉면,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결합요소는 전방 접촉면,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를 가지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3 결합요소는 상방 접촉면 및 하방 접촉면이 형성된 바와 상기 바에 뚫린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제4 결합요소는 전방 접촉면,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이 형성된 한 쌍의 클로를 가지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와,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이동방향과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제2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고 제1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 또는 후방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삽입부에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요소의 로테이터가 면접촉으로 끼워맞춤되는 로테이터 시트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하방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에 형성되고 상에 제3 결합요소의 개구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햐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4 결합요소의 각 클로의 전방 접촉면 또는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과 접촉하는 클로 홈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고정위치와,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을 덮지 않는 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스냅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드 클로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 클로가 상기 제1 스냅 구멍에 스냅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드를 구비하고, 상기 후드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의 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상방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을 로킹하는 래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에서 상기 제2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슬릿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에서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상기 래치는 하방으로 돌출한 한 쌍의 쐐기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클로 홈은 상기 쐐기 돌기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표면에서 상기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쐐기 돌기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표면이 상기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을 로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한 쌍의 내측벽과 상기 한 쌍의 내측벽의 상단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과, 상기 한 쌍의 내측벽과 각각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과 상기 한 쌍의 외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 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한 쌍의 내측벽에서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외측벽에서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수용부 또는 상기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지지면은 상기 삽입 슬롯 각각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면 또는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단부면을 포함한다. 상기 로테이터 시트는 상기 내측벽, 상기 상벽 및 상기 한 쌍의 외측벽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상벽의 상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측벽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과 상기 한 쌍의 외측벽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이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벽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이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로테이터 시트는 상기 제2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전방 표면과 상기 제1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후방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로테이터 시트의 전방 표면은 상기 로테이터의 전방 접촉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로테이터 시트의 후방 표면은 상기 로테이터의 후방 접촉면과 면접촉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내측벽은 상기 축돌기가 끼워맞춤되는 베어링 홀을 구비한다. 상기 축돌기는 상기 브라켓을 정면에서 볼 때 반원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3 결합요소는 상기 바의 선단에서 연장하는 만곡된 텅을 더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상기 텅이 안착하는 만곡면을 구비한다.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조립체는, 사이드 핀과 상기 사이드 핀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자유단에 클립을 가지는 클립핑 래치를 구비하는 제5 결합요소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전방 접촉면,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 시트에 면접촉으로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끼워맞춤부를 관통해 연장하고 상기 제5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이 삽입되는 베어링홀을 구비하는 사이드 로크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로크 커버의 삽입부의 상방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로크 커버는 상기 끼워맞춤부에서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연장하고 내면이 상기 삽입부의 외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을 구비한다. 상기 제5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의 클립은 상기 사이드 로크 커버의 한 쌍의 측벽 중 하나의 외면에 접촉한다.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조립체는, 사이드 핀과 상기 제5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자유단에 클립을 가지는 클립핑 래치를 구비하는 제6 결합요소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삽입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 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제6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은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6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의 클립은 상기 어댑터의 삽입부의 한 쌍의 삽입슬롯 중 하나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이격된 두 개의 제1 사면을 갖고 상기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에 상기 제1 사면 사이에 마련되는 커넥터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브라켓이 안착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안착면을 분리시키는 단차면과,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면에 인접하게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스냅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단차면 상에 포개지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고 상기 플랜지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스냅슬롯의 각각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제1 레버의 하단 사이에 상기 단차면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단차면은 상기 스냅돌기의 아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2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각각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또는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사면을 갖는 한 쌍의 제3 레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버와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과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을 갖는다. 상기 제3 레버의 단차면은 상기 제2 레버의 단차면보다 작은 각도로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부분 스포일러를 갖춘 레버가 일직선으로 연이어져 레버 조립체를 구성하므로,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고 전고가 작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실현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에서는, 인접한 레버들은 끼워맞춤 돌기와 끼워맞춤 구멍 간의 끼워맞춤에 의해 힌지연결되므로, 용이한 조립이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를 실현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들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는 슬라이드 작용을 이용하여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커넥터 조립체와 와이퍼 아암을 연결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퍼 러버와 스프링 레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와이퍼 러버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1 레버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2 레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3 레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8의 레버 조립체의 제3 레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레버 조립체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26은 레버 조립체의 커넥터 시트와 커넥터 조립체의 브라켓의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31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33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35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슬라이드 커버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사이드 로크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37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사이드 로크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사이드 로크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39는 도 21의 커넥터 조립체의 사이드 로크 커버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40은 슬라이드 커버가 장착된 어댑터와 브라켓의 조립예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커버가 어댑터에 고정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41은 사이드 로크 커버와 어댑터의 조립예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커버가 어댑터에 해제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42는 조립된 커넥터 조립체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1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4 내지 도 46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1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47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2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8 내지 도 50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2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5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3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2 내지 도 54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3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55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4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6 및 도 57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4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58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5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9 및 도 60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5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61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6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2 및 도 63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6 와이퍼 아암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레버 조립체가 와이퍼 러버에 대해 놓인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달리 놓일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길이방향의 내단”은 일 요소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에 가까운 끝을 의미하고, “길이방향의 외단”은 일 요소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으로부터 먼 끝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하는 와이퍼 러버(1100)를 포함하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와,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 조립체(2000)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시키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포함한다.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복수개의 레버로 구성된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는,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면과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을 직접 힌지연결하는 힌지연결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가 연결되면,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은 상기 인접한 레버 중 하나의 내면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부에 은닉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레버 중 하나의 내면은 스포일러부의 내면이고, 상기 인접한 레버 중 다른 하나의 외면은 레버에 형성된 아암부의 외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1, 2412)와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의 끼워맞춤으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 돌기(2411, 2412)는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은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는 그에 힌지연결된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가 요동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다른 하나에 폭방향에서 접촉가능한 요소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인접한 두개의 레버 중 하나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바람 또는 기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는 반력을 생성하는 스포일러(2600L, 2600R)를 구비하며, 상기 스포일러는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레버 조립체(2000)에 일체로 되어 있다. 스포일러(2600L, 2600R)는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부딪히는 바람 또는 기류에 반작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부상을 방지하는 반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력은 스포일러(2600L, 2600R)를 형성하는 레버 조립체(2000)의 횡단면 윤곽 형상과 바람 또는 기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의 복수개의 레버 중 하나 이상의 레버에는 상기 스포일러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가 일체로 되어 있다. 각 레버의 부분 스포일러가 직선으로 연이어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상기 부분 스포일러는 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레버의 폭방향에서는 레버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적어도 하나의 사면(斜面) 또는 한 쌍의 사면(斜面)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사면은 레버의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한다. 레버가 하나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사면의 반대쪽의 레버의 측면은 수직면으로 될 수 있다. 레버가 한 쌍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사면이 레버의 양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로 될 수 있다. 상기 레버를 측면에서 또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사면은 평면,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레버가 하나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직선, 오목 곡선 또는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레버가 한 쌍의 사면을 가지는 경우,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레버 조립체(2000)의 폭방향에 있어서 대칭인 한 쌍의 직선, 한 쌍의 오목 곡선 또는 한 쌍의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버를 측면에서 또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사면은 레버의 폭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면은 레버 조립체의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일정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 중 둘 이상은 상기 사면이 형성된 스포일러부와 상기 스포일러부로부터 대략 직선형으로 반대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가진다. 상기 아암부의 말단에 상기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요소인 핑거가 마련된다. 이웃하는 레버들이 상호 연결되면 이들 레버 중 하나의 아암부는 다른 하나의 레버의 스포일러부의 내에 은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양단에 또는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 와이퍼 러버를 붙잡는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외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내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또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 는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로 이루어진다. 레버 조립체의 또 다른 예로서, 레버 조립체(200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2 레버와, 제2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한 쌍의 제3 레버와, 제3 레버 각각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핑거가 마련된 제4 레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레버 조립체의 예에 있어서, 제1 레버(2100)는 그 하나의 측면에 부분 스포일러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이격된 두개의 사면을 갖는다. 또는, 제1 레버(2100)는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그 양 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고, 길이방향의 타단부에서 그 양 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는다. 전술한 레버 조립체의 예에 있어서, 제2 내지 제4 레버는 그 일 측면에 하나의 사면 또는 그 양측면에 한 쌍의 사면을 갖는다.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200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기초를 구성하는 부품인 브라켓(3100)을 그 위에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시트(2500)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에 마련된다.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하는 안착면(2510)을 구비하고, 브라켓(3100)은 상기 안착면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접촉면(3131, 3132, 3133)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안착면(2510)은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하방으로 오목한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커넥터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에 낮게 위치할 수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작은 전고를 가질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안착면(2510)은 제1 레버(2100)를 평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하는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커넥터 시트(2500)를 제1 레버(2100)와 분리시키는 단차면(2520)을 구비하며, 브라켓은 상기 단차면에 포개지도록 단차면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접촉면(3131, 3132, 313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3130)를 구비한다. 상기 단차면에 상기 플랜지가 맞물려서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안착하므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정확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3100)은 그 일단을 대응하는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에 삽입하는 식으로 커넥터 시트(2500)에 위치설정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그 일단에 삽입슬롯(2531)을 구비하며, 브라켓(3100)은 삽입슬룻(25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41)를 구비한다. 또, 브라켓(3100)은 그 일단이 커넥터 시트(2500)에 삽입된 후 커넥터 시트(2500) 쪽으로 회전되어, 브라켓(3100)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스냅결합에 의해 커넥터 시트(250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2500)는 그 타단 부근에 폭방향으로 돌출한 스냅돌기(2532)를 가지며, 브라켓(3100)은 스냅돌기(2532)가 스냅결합하는 스냅슬롯(3142)을 구비한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의 길이방향에서 내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과 상기 삽입돌기의 반대쪽의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따라서, 브라켓(3100)은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하는 식으로만 상기 커넥터 시트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켓(3100)은 상기 스냅슬롯에 대응하고 플랜지(313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3134)를 구비한다. 상기 이어부는 브라켓(3100)의 커넥터 시트(2500)에 대한 안착 위치를 한정하며, 브라켓(3100)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터 조립체(3000)는 말단에 각기 다른 형상의 결합요소를 갖춘 적어도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200, 300, 400, 500, 600, 70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의 제1 내지 제6 결합요소와 커넥터 조립체(3000)는 전후방향에서의 고정, 전후방향에 수직한 수직방향에서의 고정 및 전후방향에 직교하고 수직방향에 수직한 수평방향에서의 고정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커넥터 조립체(3000)는 레버 조립체(200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어댑터(3200)와, 어댑터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3300)와, 어댑터(3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로크 커버(3400)를 구비한다. 사이드 로크 커버(3400)는 어댑터에 상기 전후방향, 상기 수직방향 및 상기 수평방향에서 고정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 어댑터(3200)는 수직방향에서 고정된다. 상기 제5 및 제6 결합요소의 일부가 사이드 로크 커버(3400)에 상기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어댑터(3200)와 상기 전후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고정된다. 어댑터(3200)는 상기 제4 결합요소에 상기 전후방향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4 결합요소의 일부와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4 결합요소와 상기 전후방향, 상기 수직방향 및 상기 수평방향에서 고정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어댑터(3200)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사용자는 커넥터 조립체(3000)와 상기 결합요소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와이퍼 러버를 구비하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하고 지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와, 레버 조립체(20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퍼 아암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3000)를 구비한다.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는 차량의 윈드실드의 표면에 놓이는 와이퍼 스트립 또는 와이퍼 러버(1100)와, 와이퍼 러버(1100)에 끼워져 와이퍼 러버(1100)에 강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레일(1200)을 구비한다.
와이퍼 러버(1100)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와이퍼 러버(1100)는 기다란 바디부(1110)와, 바디부(1110)의 아래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와이퍼립(1120)을 가진다. 또한, 와이퍼 러버(1100)는 바디부(1110)의 각 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줄의 홈(1130, 1140)을 가진다. 제1 홈(1130)은 바디부(1110)의 상면 바로 아래에서 바디부(1110)를 따라 연장한다. 제2 홈(1140)은 제1 홈(1130)의 아래에서 바디부(1110)를 따라 연장한다. 제1 홈(1130)에는 스프링 레일(1200)이 각각 삽입된다. 제2 홈(1140)에는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에 마련된 핑거가 삽입된다. 와이퍼 러버(1100)의 일단 부근에는 바디부(1110)의 상면과 제1 홈(1130)의 사이에 스토퍼(1150)가 돌출해 있고, 스토퍼(1150)에 의해 바디부(1110)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리세스(1160)가 형성된다. 또, 리세스(1160)의 하측에는, 레버 조립체(2000)의 레버에 마련된 핑거 중 최외측 핑거의 선단이 끼워지는 삽입공(1170)이 제2 홈(1140)의 일단 부근에서 제2 홈(1140) 내에 형성된다. 레버 조립체(2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조립될 때, 상기 최외측 핑거의 선단이 삽입공(1170)에 삽입되고 다른 핑거들의 선단이 제2 홈(1140)에 삽입되어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레버 조립체(2000)에 유지된다.
스프링 레일(1200)(당해 분야에 있어서, 스프링 레일은 버티브라(vertebra)로서 참조될 수 있다)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1 홈(1130)에 각각 끼워진다. 스프링 레일(1200)은 와이퍼 아암에 의해 레버 조립체(2000)를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시킨다. 스프링 레일(120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얇고 기다란 바의 형태를 가진다. 스프링 레일(1200)의 일단에는 노치(1210)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홈(1130) 내에는 노치(1210)에 대응하는 돌기(1180)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 레일(1200)은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될 수도 있다.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즉, 스프링 레일(1200)이 끼워진 와이퍼 러버(1100))를 유지하고 와이퍼 아암에 대하여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지지한다. 와이퍼 아암은 그 기단에서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와이퍼 모터의 작동에 의해 왕복회동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레버 조립체(20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통해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와이퍼 아암의 왕복회동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윈드실드의 표면 상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윈드실드의 표면을 닦아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 조립체(2000)는 길이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2100)와,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2 레버(2200L, 2200R)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레버(2300L, 2300R)를 포함한다. 제1 레버(2100)에는 와이퍼 아암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30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레버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레버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가공하여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기다랗고 속이 빈 형태를 가진다. 인접한 두개의 레버는 이들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거의 틈이 없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 조립체(2000)를 평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의 폭은 제1 레버(2100)의 중앙에서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또한, 레버 조립체(2000)의 폭은 레버 조립체(20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 구간에서는 일정하고,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레버 조립체(2000)를 평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는 그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그 전후 반부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레버 조립체(2000)를 정면에서 볼 때, 레버 조립체(2000)는 그 길이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하여 제1 레버(2100)의 상벽을 제외하고는 그 좌우 반부가 대칭이다..
이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2000)는 한 쌍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도 13,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포일러(2600L, 260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레버 조립체(2000)의 폭방향에 있어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 곡선을 포함한다. 각 스포일러(2600L, 2600R)는 제1 레버(2100),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에 위치하는 부분 스포일러로 이루어진다. 각 레버의 부분 스포일러가 직선으로 연이어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레버(2100)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로 참조되고, 제2 레버(2200L, 2200R)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로 참조되며, 제3 레버(2300L, 2300R)에 일체로 되어 스포일러(2600L, 2600R)의 일부로 되는 부분 스포일러는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로 참조된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레버(2100)는 상벽(2110L, 2110R)과 한 쌍의 측벽(2120F, 2120R)을 가진다. 또한, 제1 레버(2100)에는 그 중간에 커넥터 조립체(30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커넥터 시트(2500)가 배치된다.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하측 가장자리는 직선이거나 또는 약간의 곡률로 위로 볼록하다. 또,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측벽(2120F, 2120R)의 높이는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상벽(2110L)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이 상벽(2110R)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보다 높다. 또, 제1 레버(2100)를 상면 또는 저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는 중앙의 폭이 길이방향의 외단에서의 폭보다 좁다. 다른 예의 제1 레버(2100)에서는, 상벽(2110L)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일단과 상벽(2110R)에 인접한 커넥터 시트(2500)의 타단의 높이가 동일하다. 또, 제1 레버(2100)의 중앙의 폭이 길이방향의 외단에서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넓다.
제1 레버(2100)는 좌측 및 우측의 측벽에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에서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까지 연장하고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에서는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레버(2100)를 측면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의 측벽은 역 V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제1 레버(2100)에는 제1 사면(2121F, 2121R)에 의해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110L, 2110R)의 폭은 커넥터 시트(2500)로부터 급격히 좁아진 후 일정하다. 제1 사면(2121F, 2121R)은 이러한 상벽(2110L, 2110R)의 폭에 맞추어 오목하다. 따라서, 제1 사면(2121F, 2121R)이 한정하는 제1 부분 스포일러(2610L, 261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제1 레버(2100)는 제2 레버(2200L, 220R)의 일부를 수용하여 은닉시키는 아암수용부(2123)를 가진다. 아암수용부(2123)는 제1 사면(2121F, 2121R) 사이의 공간에 의해 한정된다.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는,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측 가장자리에는 예각으로 하측 가장자리에는 둔각으로 기울어진, 즉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2122)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제1 레버(2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과 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사면(2121F, 2121R)의 사이에서 제1 레버(2100)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예컨대 후술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기초를 이루는 브라켓(3100)을 그 위에 안착시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브라켓(3100)이 안착되는 안착면(2510)을 구비한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2510)을 제1 레버(2100)와 분리시키는 단차면(2520)을 구비한다. 단차면(2520)은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착면(2510)은 단차면(2520)에 의해 제1 레버의 상벽(2110L, 2110R)보다 낮게 또한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은 안착면(2510) 상에 안착되고 단차면(2520)에 의해 위치설정 및 유지되어 제1 레버(2100)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트의 안착면(2510)은 상벽(2110L, 2110R)으로부터 측벽(2120F, 2120R)으로 소정 깊이로 들어간 형상을 가진다.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안착면(2510)은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단차면(2520)은 안착면(2510)의 둘레를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안착면(2510)은 상벽(2110L, 2110R) 및 측벽(2120F, 2120R)에 대하여 단차면(2520)을 경계로 하여 분리된다.
안착면(25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2511)과 평탄면(2511)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에서 연장하는 제1 경사면(2512) 및 제2 경사면(2513)으로 이루어진다. 평탄면(2511)은 제1 레버(2100)의 상단(상벽(2100L, 2100R))보다 낮게 위치한다.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은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외단 쪽으로 평탄면(2511)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단차면(2520)은 평탄면(2511)과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측방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측방 가장자리에 접하는 측단차면(2521)과,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상단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의 상단에 각각 접하는 제1 상단차면(2522) 및 제2 상단차면(2523)으로 이루어진다. 측단차면(2521)은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기다란 U자 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 상단차면(2522, 2523)은 제1 레버의 상벽(2110L, 2110R)의 최정점보다 하방으로 소정 깊이로 들어가 있고, 측단차면(2521)은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보다 소정 깊이로 들어가 있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단차면(2520)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2524)을 구비한다. 보조단차면(2524)은 측단차면(2521)과 측벽(2120F, 2120R)의 하단 사이에서 제2 경사면(2513)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2120F, 2120R)은 보조단차면(2524)에서 감소된 두께를 가진다.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3)에 리세스를 가진다. 상기 리세스에는 상기 브라켓의 일부가 삽입되며, 제1 레버(2100)를 정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2512)에는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쪽으로 오목한 제1 리세스(2514)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경사면(2513)에는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오목한 한 쌍의 제2 리세스(2515)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251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는 제1 리세스(2514)에 한 쌍의 삽입슬롯(2531)을 구비한다. 삽입슬롯(2531)에는 브라켓(3100)에 마련되는 삽입돌기가 끼워진다. 단차면(2520)에서, 삽입슬롯(2531)에 인접한 제1 상단차면(2522)은 삽입슬롯(2531)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2 상단차면(2523)보다 높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평탄면(2511)의 각 측방 가장자리에 한 쌍의 스냅돌기(2532)를 구비한다. 스냅돌기(2532)는 삽입슬롯(2531)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탄면(2511)에 인접하게 측단차면(2521)에 위치한다. 스냅돌기(2532)는 보조단차면(2524) 위에 위치하며, 안착면(25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스냅돌기(2532)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대응하는 스냅슬롯에 스냅결합하여 커넥터 조립체(3000)를 커넥터 시트(2500)에 고정한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안착면의 평탄면(2511)에서 돌출한 한 쌍의 위치설정용 릿지(2533)를 구비한다. 위치설정용 릿지(2533)는 보조단차면(2524)과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위치설정용 슬롯에 끼워진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는 한 쌍의 삽입슬롯(2531) 사이에서 돌출한 삽입돌기(2534)를 구비한다. 삽입돌기(2534)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브라켓(3100)의 삽입돌기 사이에 삽입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제1 레버(21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한다. 도 8, 도 9,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2 레버(2200L)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를 가진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조립시, 아암부(2210)는 제1 레버(2100)의 아암수용부(2123) 내에 위치하며, 스포일러부(2220)는 아암부(222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부터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연장한다. 아암부(2210)는 역 U자형 횡단면을 가지고, 스포일러부(2220)는 역 V자형 횡단면을 가진다. 아암부(22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스포일러부(2220)의 하측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 또는 약간의 곡률로 오목한 곡선을 이룬다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의 경계에는,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과 대향하는 단차면(2212)이 형성되어 있고, 단차면(22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의 경사각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2 레버(2200L, 2200R)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즉 스포일러부(222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단부면(2224)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은 단차면(2212) 또는 제1 레버의 단부면(2122)의 경사각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각도로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아암부(221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붙잡기 위한 한 쌍의 핑거(2211)를 구비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를 측면에서 볼 때, 핑거(2211)는 L자 형상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조립 시, 핑거(2211)의 선단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을 따라 제2 홈(1140)에 삽입된다. 핑거(2211)가 와이퍼 러버(1100)에 끼워지면, 핑거(2211)의 위쪽에 있는 아암부(2210)의 하면과 핑거(2211)의 사이에 스프링 레일(1200)과 이에 인접한 와이퍼 러버(1100)의 일부가 협지된다.
스포일러부(2220)는 상벽(2221)과 한 쌍의 측벽(2222F, 2222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220)는 그 측벽에 단차면(2212)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외단까지(즉, 단부면(2224)까지) 연장하고 스포일러부(2220)의 폭방향에서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2 사면(2223F, 2223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220)에는 제2 사면(2223F, 2223R)에 의해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221)의 폭은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단차면(2212))으로부터 길이방향에서의 외단(단부면(2224))까지 대략 일정하다. 제2 사면(2223F, 2223R)이 한정하는 제2 부분 스포일러(2620L, 262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스포일러부(2220)의 폭방향에서(제2 레버(2200L, 2200R)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스포일러부(2220)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를 수용하여 은닉시키는 아암수용부(2225)를 가진다. 아암수용부(2225)는 제2 사면(2223F, 2223R) 사이의 공간에 의해 한정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배향된 복수개의 횡리브(2213)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횡리브(2213)와 교차하는 종리브(2214)를 가진다. 횡리브(2213)와 종리브(2214)는 아암부(2210)와 스포일러부(2220)에 걸쳐 위치하며, 제3 레버(2300L, 2300R)의 일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돌출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는 제1 레버의 측벽(2120F, 2120R)의 내측과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의 외측의 힌지연결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가 연결되면, 제2 레버의 아암부(2210)는 제1 레버(2100)의 측벽(2120F, 2120R) 내측의 아암수용부(2123)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제1 레버(2100) 내에 은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는, 제1 레버(2100)의 아암수용부(2123)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1)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아암부(2210)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1)을 포함한다.
제1 레버(2100)는 그에 힌지연결된 제2 레버(2200L, 2200R)를 요동 없이 제1 레버(2100)에 대하여 유지하도록 좌측 및 우측에 두 쌍의 평평한 접촉면(2126, 2127)을 가진다. 접촉면(2126, 2127)은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에 폭방향에서 접촉가능하다. 접촉면(2126, 2127)은 측벽(2120F, 2120R)의 내면 하단에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며,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융기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2411)는 접촉면(2126)에서 제1 레버(2100)의 내측으로 제1 레버(2100)의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가 연결되면, 아암부(2210)는 각 쌍의 접촉면(2126, 2127) 사이에 삽입된다. 각 쌍의 접촉면 (2126, 2127) 사이의 간격은 아암부(2210)의 폭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끼워맞춤 구멍(2421)은 제2 레버(2200L, 2200R)의 폭방향으로 아암부(2210)의 측부를 관통하여서 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 구멍(2421)은 제1 레버의 단부면(2122)과 끼워맞춤 돌기(2411) 사이의 거리만큼 제2 레버의 단차면(221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2 레버(2200L, 2200R)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한다. 도 8, 도 9,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여, 제3 레버(2200L)에 대해 설명한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를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의 조립시, 아암부(2310)는 제2 레버의 아암수용부(2225) 내에 위치하며, 스포일러부(2320)는 아암부(2310)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부터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연장한다. 아암부(2310)는 역 U자형 횡단면을 가지고, 스포일러부(2320)는 역 V자형 횡단면을 가진다. 아암부(23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스포일러부(2320)의 하측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을 이룬다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의 경계에는,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과 대향하는 단차면(2312)이 형성되어 있고, 단차면(23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제2 레버의 단부면(2224)의 경사각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붙잡기 위한 두 쌍의 핑거(2324, 2311)를 구비한다. 길이방향 내측의 핑거(2311)는 아암부(2310)의 길이방향의 내단에 형성되어 있다. 핑거(2311)는 제2 레버의 핑거(2211)와 동일한 형상이다. 길이방향 외측의 핑거(2324)는 스포일러부(2320)의 길이방향의 외단 측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핑거(2324)는 스포일러부(2320)의 하측 가장자리에 L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레버(2300L, 2300R)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조립 시, 핑거(2311, 2324)의 선단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 내에 삽입된다. 핑거(2324)가 마련된 스포일러부(232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리브(2325)가 형성되어 있고, 핑거(2324)의 선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리브(2325)의 부분이 아래로 돌출하여 압박부(2326)를 형성한다. 레버 조립체(2000)와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조립되면, 압박부(2326)는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의 상면을 하방으로(핑거(2324)의 선단 쪽으로) 압박한다. 또는, 압박부(2326)는 와이퍼 러버(1100)의 바디부(1110)의 상면 상에 거의 틈이 없이 위치한다. 따라서, 핑거(2324)는 압박부(2326)를 통해 와이퍼 러버(1100)를 견고하게 클램핑한다.
스포일러부(2320)는 상벽(2321)과 한 쌍의 측벽(2322F, 2322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320)는 그 측벽에 단차면(2312)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외단까지 연장하고 스포일러부(2320)의 폭방향에서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제3 사면(2323F, 2323R)을 가진다. 스포일러부(2320)에는 제3 사면(2323F, 2323R)에 의해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벽(2321)의 폭은 그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단차면(2312))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에서의 외단까지 대략 일정하다. 제3 사면(2323F, 2323R)이 한정하는 제3 부분 스포일러(2630L, 2630R)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스포일러부(2320)의 폭방향에서(제3 레버(2300L, 2300R)의 폭방향에서) 대칭인 한 쌍의 오목한 곡선을 포함한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한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2 레버(2200L, 2200R)의 제2 사면(2223F, 2223R)의 곡률과 같은 곡률 또는 그로부터 변하는 곡률로 만곡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3 레버(2300L, 2300R)의 제3 사면(2323F, 2323R)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에서의 제2 사면(2223F, 2223R)의 곡률보다 큰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3 사면(2323F, 2323R)의 하측 가장자리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길이방향의 외단에서 서로 근접하여, 제3 레버의 상벽(2310)와 함께 레버 조립체(2000)의 둥근 외단을 형성한다.
제3 레버(2300L, 2300R)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배향된 복수개의 횡리브(2313)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횡리브(2313)와 교차하는 종리브(2314)를 가진다. 횡리브(2313)와 종리브(2314)는 아암부(2310)와 스포일러부(2320)에 걸쳐 위치한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2 레버의 측벽(2222F, 2222R)의 내측과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외 외측의 힌지연결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가 연결되면, 제3 레버의 아암부(2310)는 제2 레버(2200L, 2200R)의 측벽(2222F, 2222R) 내측의 아암수용부(2225)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제2 레버(2200L, 2200R) 내에 은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는, 제2 레버의 스포일러부(2220)의 아암수용부(2225)에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2412)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돌기(2412)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2422)을 포함한다.
제2 레버(2200L, 2200R)는, 그에 힌지연결된 제3 레버(2300L, 2300R)가 요동 없이 제2 레버(2200L, 2200R)에 대하여 유지되도록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폭방향에서의 접촉가능한 두 쌍의 평평한 접촉면(2226, 2227)을 가진다. 접촉면 (2226, 2227)은 제2 레버의 스포일러부(2220)의 내면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며, 제2 레버의 내측으로 융기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2412)는 접촉면(2226)에서 제2 레버의 내측으로 제2 레버의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끼워맞춤 돌기(2412)는 그 선단의 하측에 끼워맞춤 구멍(2422)에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위한 경사면을 가진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가 연결되면, 제3 레버의 아암부(2310)는 접촉면(2226, 2227) 사이에 삽입되거나 끼워진다. 각 쌍의 접촉면(2226, 2227) 사이의 간격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의 폭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끼워맞춤 구멍(2422)은 제3 레버(2300L, 2300R)의 폭방향으로 아암부(2310)의 측부를 관통하여서 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 구멍(2422)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과 끼워맞춤 돌기(2412) 사이의 거리만큼 제3 레버의 단차면(231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의 상면과 끼워맞춤 구멍(2422)에는 끼워맞춤 돌기(2412)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24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레버 조립체(2000)의 조립예 및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의 조립예를 설명한다.
제1 레버(2100)의 길이방향의 외단에 위치한 단부면(2122)과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을 근접시키고,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양방 중 일방을 타방 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제1 레버(2100)의 끼워맞춤 돌기(2411)가 제2 레버(2200F)의 아암부(2210)의 상부를 압박하면서 아암부(2210)의 끼워맞춤 구멍(2421)으로 진입한다. 이어서, 끼워맞춤 돌기(2411)가 끼워맞춤 구멍(2421)에 스냅결합식으로 끼워맞춤되어,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R)가 힌지연결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R)가 연결되면,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의 끼워맞춤 구멍(2421)의 주변 부분 및 그보다 내측 부분은 접촉면(2126)의 사이 및 접촉면(2127)의 사이에 협지된다. 제2 레버(2200R)와 제3 레버(2300R)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제2 레버의 단부면(2224)과 제3 레버(2300R)의 단차면(2312)을 근접시키고, 제2 레버와 제3 레버의 양방 중 일방을 타방 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제2 레버(2200R)의 끼워맞춤 돌기(2412)가 제3 레버(2300R)의 아암부(2310)의 끼워맞춤 구멍(2422)에 스냅결합식으로 끼워맞춤되어 제2 레버(2200R)와 제3 레버(2300R)가 힌지연결된다.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사이의 힌지연결, 제2 레버(2200L)와 제3 레버(2300L) 사이의 힌지연결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는 제3 레버(2300L, 2300R)의 핑거(2324, 2311)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핑거(2211)가 와이퍼 러버(1100)의 제2 홈(1140)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조립된다. 예컨대, 와이퍼 러버의 제2 홈(1140)에 제3 레버(2300R)의 핑거(2324, 2311), 제2 레버(2200R)의 핑거(2211), 제2 레버(2200L)의 핑거(2211), 제3 레버(2300L)의 핑거(2311, 2324)를 차례로 삽입하면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레버 조립체(2000)를 따라 슬라이드시킨다. 제3 레버(2300R)의 핑거(2324)의 선단이 삽입공(1170)에 끼워지면,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가 레버 조립체(2000)에 고정된다.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200)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레버 조립체(2000)는 핑거(2324, 2311)와 핑거(2211)를 매개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6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고 지지한다. 또한, 중앙 레버(2100), 제2 레버(2200L, 2200R) 및 제3 레버(2300L, 2300R)는 와이퍼 러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고, 와이퍼 러버(1100)로부터 동일 높이로 위치한다. 또한,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100)에서는, 제1 레버의 제1 사면(2121F, 2121R), 제2 레버의 제2 사면(2223F, 2223R) 및 제3 레버의 제3 사면(2323F, 2323R)이 직선으로 연이어져 횡단면 윤곽 형상이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하고 높이치수가 감소하는 스포일러(2600L, 2600R)를 한정한다.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 및 단부면(2224), 그리고 제3 레버(2300L, 2300R)의 단차면(2312)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레버 조립체(200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1 레버(2100)의 단부면(2122)과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차면(2212)의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이 있고, 제2 레버(2200L, 2200R)의 단부면(2224)과 제3 레버(2300L, 2300R)의 단차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이 있다.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는 제1 레버(2100)의 상방으로 약간만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하방을 향하는 부하가 가해질 때,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윈드실드에 강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레버의 단차면(2212)은 제1 레버의 단부면(2122)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제3 레버의 단차면(2312)은 제2 레버의 단부면(2224)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하방으로 부하가 가해질 때, 레버 조립체(2000)는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의 양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크기가 아니라, 거의 균등한 크기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이음부를 구성하는 끼워맞춤 돌기(2411, 2412)는 제2 레버의 아암부(2210)와 제3 레버의 아암부(2310)에 배치될 수 있고, 끼워맞춤 구멍(2421, 2422)은 제1 레버의 아암수용부(2123)와 제2 레버의 아암수용부(2225)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전술한 구성의 힌지이음부를 이용하여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4개의 압력점, 8개의 압력점 또는 그 이상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4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는 제1 레버(2100)와 이에 전술한 힌지이음부로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레버(2300L, 2300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와이퍼 러버 조립체를 8개의 압력점에서 유지하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레버 조립체(2000)는, 제1 레버(2100)와 제2 레버(2200L, 2200R)의 사이 또는 제2 레버(2200L, 2200R)와 제3 레버(2300L, 2300R)의 사이에 제2 레버(2200L, 2200R)와 유사한 형상 및 구조의 추가의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와 레버 조립체(2000)를 구비하는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통해 적어도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상기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은 그 말단에 각기 다른 형상의 결합요소를 갖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여섯 가지 유형의 와이퍼 아암은 제1 내지 제6 와이퍼 아암으로 각각 참조되고, 이들의 말단에 구비된 결합요소는 제1 내지 제6 결합요소로 각각 참조된다. 커넥터 조립체(30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합요소와 접촉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와 상기 어댑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5 및 제6 결합요소와 접촉하는 사이드 로크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 결합요소와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는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과, 상기 전후방향(FRD)에 수직한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과, 상기 전후방향(FRD)에 직교하고 상기 수직방향(VD)에 수직한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후방향(FRD)은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 상기 어댑터의 상기 수직방향에서의 고정을 달성한다. 상기 사이드 로크 커버는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5 및 제6 결합요소와의 연결에 관여한다.
도 4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1 와이퍼 아암(200)은 그 말단에 제1 결합요소(210)를 구비한다. 제1 결합요소(21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11)를 구비한다. 수용부(211)는 상판(212)과 상판(21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213F, 213R)에 의해 한정된다. 제1 결합요소(210)의 수용부(211)에는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한 전방 접촉면(214) 및 후방 접촉면(215)과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한 상방 접촉면(216)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접촉면(214)과 후방 접촉면(215)은 전후방향(FRD)에서 이격되어 있다. 제1 결합요소(210)의 전방 접촉면(214)은 측판(213F, 213R)의 전방 표면을 포함하고, 제1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215)은 측판(213F, 213R)의 후방 표면을 포함한다. 제1 결합요소(210)의 상방 접촉면(216)은 상판(212)의 상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요소(210)는 측판(213F, 213R)의 각 전단에서 연장하는 전방 후크(217)와 전방 후크부(217)와 이격되어 있는 후방 후크(218)를 가진다.
도 4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2 와이퍼 아암(300)은 그 말단에 제2 결합요소(310)를 구비한다. 제2 결합요소(31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311)를 구비한다. 수용부(311)는 한 쌍의 측판(312F, 312R)에 의해 한정된다. 수용부(311)는 측판(312F, 312R)의 전단부에 측판(312F, 312R)과 핀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313)를 가진다. 측판(312F, 312R)의 전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아, 로테이터(313)의 상면이 측판(312F, 312R)의 전단부 사이에서 노출된다. 로테이터(313)의 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종단면 형상은 등변사다리꼴이다. 제2 결합요소(310)의 로테이터(313)에는,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한 전방 접촉면(314) 및 후방 접촉면(315)과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한 상방 접촉면(216)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접촉면(314)과 후방 접촉면(315)은 전후방향(FRD)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로테이터(313)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을 포함한다. 상방 접촉면(316)은 로테이터(313)의 상방 표면을 포함한다.
도 5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3 와이퍼 아암(400)은 그 말단에 제3 결합요소(410)를 구비한다. 제3 결합요소(41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의 일부에 안착하는 바(411)와 바(411)에 수직방향(VD)에서 뚫린 개구(415)를 구비한다. 제3 결합요소(410)의 바(411)에는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해 수직방향(VD)에서 이격된 상방 접촉면(412)과 하방 접촉면(413)이 형성되어 있다. 상방 접촉면(412)은 바(411)의 상방 표면을 포함하고, 하방 접촉면(413)은 바(411)의 하방 표면을 포함한다. 제3 결합요소(410)의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에 관여하는 전방 및 후방 접촉면은 개구(415)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이다. 또한, 제3 결합요소(410)는 바(411)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만곡된 텅(414)을 구비한다.
도 5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4 와이퍼 아암(500)은 그 말단에 제4 결합요소(510)를 구비한다. 제4 결합요소(510)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어댑터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11)를 구비한다. 수용부(511)는 상판(512)과 상판(51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513F, 513R)에 의해 한정된다. 도 55에 도시하는 제4 결합요소(510)의 수용부(511)는 측판(513F, 513R)의 하단에서 측방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전방 클로(514F, 514R)와 한 쌍의 후방 클로(515F, 515R)를 가진다. 다른 예의 제4 결합요소(510)는 각 측벽(513F, 513R)에 하단에 측방의 내측으로 돌출한 하나의 클로만을 가져, 한 쌍의 클로만을 구비한다. 제4 결합요소(510)의 전방 및 후방 클로(514F, 514R, 515F, 515R)에는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한 전방 접촉면(516) 및 후방 접촉면(517)과,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한 상방 접촉면(518)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접촉면(516)은 전방 클로(514F, 514R)의 전방 표면을 포함하고, 후방 접촉면(517)은 후방 클로(515F, 515R)의 후방 표면을 포함한다. 상방 접촉면(518)은 전방 클로(514F, 514R)의 상방 표면과 후방 클로(515F, 515R)의 상방 표면을 포함한다.
도 58 및 도 6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5 와이퍼 아암(600)은 그 말단에 제5 결합요소(610)를 구비하고,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제6 와이퍼 아암(700)은 제6 결합요소(710)를 구비한다. 제5 결합요소(610)는 제5 와이퍼 아암(600)의 전후방향(FRD)에 직교하는 수평방향(HD)으로 연장하는 사이드 핀(611)과 사이드 핀(611)에 인접하여 사이드 핀(611)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클립핑 래치(612)를 구비한다. 클립핑 래치(612)는 그 자유단에 L자형으로 절곡된 클립(613)을 가진다. 제6 결합요소(710)는 제6 와이퍼 아암(700)의 전후방향(FRD)에 직교하는 수평방향(HD)으로 연장하는 사이드 핀(711)과 사이드 핀(711)에 인접하여 사이드 핀(711)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클립핑 래치(712)를 구비한다. 클립핑 래치(712)는 그 자유단에 L자형으로 절곡된 클립(713)을 가진다. 제6 결합요소(710)의 클립핑 래치(712)의 길이(클립핑 래치(712)의 고정단과 자유단 사이의 거리)는 제5 결합요소(610)의 클립핑 래치(612)의 길이보다 짧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21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커넥터 조립체(3000) 및 이를 구성하는 부품을 설명한다.
커넥터 조립체(3000)는 와이퍼 러버 조립체(1000)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2000)를 전술한 제1 내지 제6 결합요소(210, 310, 410, 510, 610, 7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3000)는 레버 조립체(2000)의 제1 레버(2100)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250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라켓(3100)과, 브라켓(3100)에 마련된 축요소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3200)와, 어댑터(3200)에 커넥터 조립체(3000) 또는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3300)와, 어댑터(3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로크 커버(3400)를 구비한다. 어댑터(3200)는 제1 내지 제6 결합요소(210, 310, 410, 510, 610, 710)를 지지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에 대하여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로 진입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을 덮고, 제2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후퇴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을 덮지 않도록 어댑터(320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1 이동방향(MD1)과 제2 이동방향(MD2)은 서로 상반하는, 즉 180도를 이루는 방향이며, 레버 조립체(20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다. 어댑터(3200)가 제1 이동방향(MD1)에서 제4 결합요소(510)의 수용부(511)에 삽입되어, 어댑터(4200)와 제4 결합요소(510)가 고정된다. 어댑터(3200)에 사이드 로크 커버(3400)를 결합시키고 제5 및 제6 결합요소(610, 710)와 사이드 로크 커버(3400)를 결합시킴으로써, 어댑터(3200)와 제5 및 제6 결합요소(610, 710)가 고정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기초로서 기능하며 어댑터(3200)와 슬라이드 커버(3300)를 지지한다. 브라켓(3100)은 제1 레버(2100)에 마련된 커넥터 시트(2500)에, 그 길이방향의 일단을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삽입하고 그 길이방향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길이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커넥터 시트(2500)의 길이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스냅결합하는 식으로 결합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 상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1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부(3111)와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각 외단에서 평탄부(3111)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1 경사부(3112) 및 제2 경사부(3113)를 가진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110)는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대략 L자형으로 연장하는 제1 절곡부(3114)와, 평탄부(3111)의 길이방향의 일단의 반대쪽에 있는 타단에서 평탄부(3111)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연장하는 제2 절곡부(3115)를 가진다. 따라서, 브라켓(3100)을 정면에서 볼 때, 베이스 플레이트(3110)는 기다란 U자형을 가진다. 평탄부(3111)가 제1 및 제2 절곡부(3114, 3115)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어댑터(3200)와 슬라이드 커버(3300)는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곡부(3114)의 상면은 평탄부(3111)에 대하여 2 절곡부(3115)의 상면보다 높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안착면(2510)과 접촉하는 접촉면(3121, 3122, 3123)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베이스 플레이트(3110)의 평탄부(3111)의 하면을 형성하는 평탄면(3121)과, 베이스 플레이트(3110)의 제1 및 제2 경사부(3112, 3113)의 외면을 형성하는 경사면(3122, 3123)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21)이 커넥터 시트(2500)의 안착면(2510)의 평탄면(2511)과 면접촉하고, 상기 접촉면의 경사면(3112, 3113)은 안착면(2510)의 제1 및 제2 경사면(2512, 2512)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접촉면(3121, 3122, 312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3130)를 구비한다.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플랜지(3130)는 단차면(2520) 상에 포개지거나 단차면(2520)의 전체 또는 일부와 접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3130)는 상기 단차면의 측단차면(2521)과 포개지는 측플랜지(3131)와, 상기 단차면의 제1 상단차면(2522)과 포개지는 제1 상플랜지(3132)와, 상기 단차면의 제2 상단차면(2523)과 포개지는 제2 상플랜지(3133)을 가진다. 측플랜지(3131)는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21) 및 경사면(3122, 3122)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측단차면(2521)의 돌출 높이 정도로 돌출한다. 제1 및 제2 상플랜지(3132, 3133)는 제1 절곡부(3114)의 길이방향의 외단 및 제2 절곡부(3115)의 길이방향의 외단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상단차면(2522, 2523)의 돌출 거리 정도로 돌출한다.
브라켓(3100)은 레버 조립체(2000)의 커넥터 시트(2500)에 삽입 및 회전에 의해 결합된다.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141)와, 커넥터 시트(2500)의 스냅돌기(2532)가 스냅결합하는 스냅슬롯(3142)를 가진다. 또한,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대한 위치설정을 위해 위치설정용 슬롯(3143)을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10)는 커넥터 시트의 제1 리세스(2514)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3144)와 커넥터 시트의 제2 리세스(2515)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3145)를 가진다. 제1 삽입부(3144)는 제1 절곡부(3114)로부터 제1 경사부(3112)를 지나 돌출하는 한 쌍의 핀(fin)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부(3144)의 선단에 삽입돌기(314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3100)을 정면에서 볼 때 삽입돌기(3141)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삽입부(3144)를 구성하는 상기 핀의 사이에, 커넥터 시트의 삽입돌기(2534)가 끼워지는 삽입슬롯(314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부(3145)는 제2 절곡부(3115)로부터 제2 경사부(3113)를 지나 돌출하는 한 쌍의 핀(fin)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냅슬롯(3142)은 측플랜지(3131)의 표면에 베이스 플레이트(3110)의 상기 접촉면의 평탄면(3121)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스냅슬롯(3142)의 길이는 커넥터 시트(2500)의 한 쌍의 스냅돌기(2532) 간의 거리보다 길다. 스냅슬롯(3142)의 하방의 측플랜지(3131)의 일부(스냅슬롯(3142)에 대향하는 측플랜지(3131)의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플랜지(3130)는 한 쌍의 이어부(3134)(ear portion)를 구비한다. 플랜지의 이어부(3134)는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에 형성된 보조단차면(25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 회동시킬 때, 스냅돌기(2532)는 이어부(3134)를 지나 스냅슬롯(3142)에 스냅결합한다. 위치설정용 슬롯(3143)은 베이스 플레이트(3110)의 평탄부(3111)에 평탄부(31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 회전시키면, 커넥터 시트의 위치설정용 릿지(2533)가 브라켓(3100)의 위치설정용 슬롯(3143)에 삽입되거나 끼워진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할 때, 먼저 삽입돌기(3141)가 위치하는 브라켓(3100)의 일단을 그 타단보다 낮게 하고 브라켓의 삽입돌기(3141)를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한다. 제1 절곡부(3114)에 위치한 제1 삽입부(3144)가 커넥터 시트의 제1 리세스(2514)의 벽면에 접촉하면 삽입이 완료한다. 삽입이 완료하면, 브라켓의 삽입돌기(3141)는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2531)에 삽입되어 있고, 커넥터 시트의 삽입돌기(2534)는 브라켓의 삽입슬롯(3146)에 삽입되어 있다. 이후, 삽입돌기(3141)를 중심으로 하여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 쪽으로 회전시킨다. 브라켓(3100)의 회전에 따라, 스냅돌기(2532)가 스냅슬롯(3142)에 스냅결합하고 위치설정용 릿지(2533)가 위치설정용 슬롯(3143)에 삽입되며, 제2 삽입부(3145)는 제2 리세스(2515)에 끼워진다.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브라켓(3100)의 플랜지(3130)는 커넥터 시트의 단차면(2520) 상에 포개지고, 플랜지(3130)의 이어부(3134)는 보조단차면(2524)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플랜지(3130)의 이어부(3134)와 커넥터 시트(2500)의 보조단차면(2524)을 대응시킴으로써, 브라켓(3100)의 커넥터 시트(2500)에 대한 결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100)이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면, 이어부(3134)는 보조단차면(2524)의 위에서 브라켓(3100)의 외부로 돌출한다. 따라서, 브라켓(3100)을 커넥터 시트(2500)로부터 분리시킬 때 이어부(3134)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 수 있는 부분 또는 임의의 공구가 보조단차면(2524)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시트(2500) 및 커넥터 조립체(3000)에 있어서, 제1 상단차면(2522)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과 제2 상단차면(2523)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사이의 거리는, 삽입돌기(3141)의 선단과 삽입돌기(3141)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상플랜지(3132)의 길이방향의 외단의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또한, 단차면(2520)의 제1 상단차면(2522)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이 제2 상단차면(2523)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보다 제1 레버(2100)의 하단에 대하여 높다. 따라서, 브라켓(3100)의 제2 삽입부(3145)를 제2 리세스(2515)에 삽입하고 제2 상플랜지(3132)를 제2 상단차면(2523)과 접촉시키는 것으로는, 브라켓(3100)은 커넥터 시트(2500)에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커네터 시트(2500)에의 브라켓(310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브라켓(3100)은 어댑터(3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축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축요소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탄부(3111)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지지벽(3152)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요소는 지지벽(3152)을 관통한 관통공(3153)의 하측 외주에 형성된 축돌기(3151F, 3151R)를 포함한다. 축돌기(3151F, 3151R)는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브라켓(3100)을 정면에서 볼 때 반원호 형상을 가진다.
어댑터(3200)는 브라켓(3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제2 및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211, 311, 511)에 삽입되는 삽입부(3210)를 구비한다. 삽입부(3210)는 그 내측에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내측벽(3211F, 3211R)과, 한 쌍의 내측벽(3211F, 3211R)의 상단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3211T)을 포함한다. 또한, 삽입부(3210)는 한 쌍의 내측벽(3211F, 3211R)과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각각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외측벽(3212F, 3212R)을 구비한다. 따라서, 내측벽(3211F, 3211R)과 외측벽(3212F, 3212R) 사이에는 한 쌍의 삽입 슬롯(3213F, 3213R)이 한정된다. 삽입 슬롯(3213F, 3213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단부 부근에는 내측벽(3211F, 3211R)과 외측벽(3212F, 3212R)을 연결하는 제1 스페이서(3214LF, 3214LR)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 슬롯(3213F, 3213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에는 내측벽(3211F, 3211R)과 외측벽(3212F, 3212R)을 연결하는 제2 스페이서(3214RF, 3214RR)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슬롯(3213F, 3213R)의 중간에는 제3 스페이서(3214MF, 3214MR)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페이서(3214LF, 3214LR)는 외측벽(3212F, 3212R)의 하단에 위치한다. 제2 스페이서(3214RF, 3214RR)는 삽입부(3210)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를 형성한다. 제3 스페이서(3214MF, 3214MR)는 후술하는 로테이터 시트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벽(3211T)은 외측벽(3212F, 3212R)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각 외측벽(3212F, 3212R)은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원호형으로 볼록한 만곡부(3219)를 가진다. 각 외측벽(3212F, 3212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 부근의 외면에는 스냅 릿지(3218)가 돌출되어 있다. 스냅 릿지(3218)는 만곡부(3219)의 아래에 위치하며,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측벽에 마련된 스냅 릿지와 스냅결합한다. 삽입부(3210)는 내측벽(3211F, 3211R)에서 제1 결합요소의 수용부(211)에 삽입된다. 또한, 삽입부(3210)는 외측벽(3212F, 3212R)에서 제2 결합요소의 수용부(311) 및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511)에 삽입된다.
내측벽(3211F, 3211R)의 사이에 브라켓의 축돌기(3151F, 3151R)와 지지벽(3152)의 일부가 삽입된다. 각 내측벽(3211F, 3211R)에는 브라켓의 축돌기(3151F, 3151R)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베어링 홀(3217F, 3217R)이 내측벽을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홀(3217F, 3217R)은 상기 로테이터 시트로부터 제1 이동방향(MD1)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어댑터(3200)는 축돌기(3151F, 3151R)가 결합되는 내측벽(3211F, 3211R)에 의해 브라켓(3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측벽(3211F, 3211R)의 길이는 외측벽(3212F, 3212R)의 길이보다 짧으며, 내측벽(3211F, 3211R)은 외측벽(3212F, 3212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으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으로 연장한다. 내측벽(3211F, 3211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과 외측벽(3212F, 3211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이 어댑터(3200) 또는 삽입부(3210)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을 형성하고, 외측벽(3212F, 3212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이 어댑터(3200)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을 형성한다. 어댑터(3200)는 외측벽(3212F, 3212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과 내측벽(3211F, 3211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의 사이에 외측벽(3212F, 3212R)의 상단을 연결하는 브릿지부(3215)를 가진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으로부터 제1 이동방향(MD1)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어댑터(3200)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고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의 외측벽(3212F, 3212R)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커버(3300)는 레버 조립체(2000) 또는 커넥터 조립체(3000)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제1 이동방향(MD1)과 180도로 반대되는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어댑터(3200)는 한 쌍의 가이드 홈(3221F, 3221R)을 구비한다. 가이드 홈(3221F, 3221R)은 각 외측벽(3212F, 3212R)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며 외측벽(3212F, 3212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으로부터 어댑터(3200)의 길이방향(제1 이동방향(MD1))으로 연장한다. 가이드 홈(3221F, 3221R)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클로가 삽입된다. 또, 어댑터(3200)는 브릿지부(3215)의 중간에 브릿지부(3215)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에서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까지 연장하는 릿지 홈(3222)을 가진다. 릿지 홈(3222)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릿지가 위치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한정하기 위해, 어댑터(3200)는 한 쌍의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과 한 쌍의 제2 스냅 구멍(3224F, 3224R)을 구비한다.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과 제2 스냅 구멍(3224F, 3224R)은 가이드 홈(3221F, 3221R) 내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서 이격되어 있다. 즉, 가이드 홈(3221F) 내에 제1 스냅 구멍(3223F)과 제2 스냅 구멍(3224F)이 배치되고, 가이드 홈(3221R) 내에 제1 스냅 구멍(3223R)과 제2 스냅 구멍(3223R)이 배치된다.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과 제2 스냅 구멍(3224F, 3224R)에 슬라이드 커버(3300)의 상기 슬라이드 클로가 스냅결합한다.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은 가이드 홈(3221F, 3221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상기 슬라이드 클로가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에 스냅 결합하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의 일부를 덮도록 위치하면서 어댑터(3300)에 로킹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과 그 슬라이드 클로의 스냅 결합에 의해 어댑터(3300)에 로킹되는 위치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고정위치로 참조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에 있어서 후퇴함에 따라,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을 덮지 않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2 이동방향(MD2)으로 이동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을 덮지 않는 위치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해제위치로 참조된다. 상기 해제 위치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에서 벗어난 위치와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최대 이동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이다.
어댑터(3200)는 제1 결합요소(210)의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해 제1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214) 또는 후방 접촉면(215)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3231LF, 3231LR, 3231RF, 3231RR)을 구비한다. 제1 지지면(3231LF, 3231LR, 3231RF, 3231RR)은 제2 이동방향(MD2)에 위치하는 제1 전방 지지면(3231LF, 3231LR)과 제1 이동방향(MD1)에 위치하는 제1 후방 지지면(3231RF, 3231RR)을 포함한다. 어댑터(3200)와 제1 결합요소(210)의 연결 시, 제2 이동방향(MD2)에 위치하는 제1 전방 지지면(3231LF, 3231LR)은 제1 결합요소의 수용부(211)의 전방 접촉면(214)과 접촉하고, 제1 이동방향(MD1)에 위치하는 제1 후방 지지면(3231RF, 3231RR)은 후방 접촉면(215)과 접촉한다. 제1 전방 지지면(3231LF, 3231LR)은 삽입 슬롯(3213F, 3213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단부면을 포함한다. 제1 후방 지지면(3231RF, 3231RR)은 삽입 슬롯(3213F, 3213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면을 포함한다. 즉, 제1 후방 지지면(3231RF, 3231RR)은 제2 스페이서(3214RF, 3214RR)의 제2 이동방향(MD2)에 면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3200)는 제2 결합요소(310)의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해 제2 결합요소의 로테이터(323)가 면접촉으로 끼워맞춤되는 로테이터 시트(3232)를 구비한다. 어댑터(3200)를 정면에서 볼 때, 로테이터 시트(3232)는 제2 결합요소의 로테이터(323)가 그에 안착하여 끼워맞춤될 수 있는 형상, 즉 등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로테이터 시트(3232)는 내측벽(3211F, 3211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외측벽(3212F, 3211R)에 마련된 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리세스(3233O)와 내측벽(3211F, 3211R)에 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리세스(3233I)가 로테이터 시트(3232)를 형성한다. 로테이터 시트(3232)는 내측벽(3211F, 3211R), 상벽(3211T) 및 외측벽(3212F, 3212R)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즉, 로테이터 시트(3232)는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로테이터 시트(3232)의 제2 이동방향(MD2)에 위치하는 전방 표면(3232L)이 로테이터(323)에 형성된 전방 접촉면(314)과 면접촉하고, 제1 이동방향(MD1)에 위치하는 후방 표면(3232R)이 로테이터(323)에 형성된 후방 접촉면(315)과 면접촉한다. 로테이터 시트(3232)의 바닥면(3232B)은 로테이터(323)의 하면과 면접촉하거나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로테이터 시트(3232)의 바닥면(3232B)은 제3 스페이서(3214MF, 3214MR)의 상면이다. 로테이터 시트의 전방 표면(3232L) 및 후방 표면(3232R)은 외측벽의 리세스(3233O)의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서 마주하는 한 쌍의 표면 또는 내측벽의 리세스(3233I)의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서 마주하는 한 쌍의 표면을 포함한다.
어댑터(3200)는 제3 결합요소(410)의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해 제3 결합요소의 바(411)의 하방 접촉면(413)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3234)을 구비한다. 제2 지지면(3234)은 상벽(3211T)의 상면을 포함한다. 어댑터(3200)는 제3 결합요소(410)의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해 제3 결합요소의 개구(415)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3235)를 구비한다. 삽입 돌기(3235)는 상벽(3211T)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에서 상방으로 돌출한다. 삽입 돌기(3235)가 제3 결합요소(410)의 개구(415)에 삽입되면, 삽입 돌기(3235)의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서의 표면이 개구(415)의 전방 및 후방 표면과 접촉될 수 있으므로, 어댑터(3200)와 제3 결합요소(410)는 전후방향(FRD)에서 고정될 수 있다. 어댑터(3200)의 제2 지지면(3234)은 제3 결합요소의 바(4110)에서 연장하는 텅(414)이 안착하는 만곡면(3236)을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단부에 가진다.
제4 결합요소(510)에 대한 전후방향(FRD) 및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해, 어댑터(3200)는 제4 결합요소의 전방 및 후방 클로(514F, 514R, 515F, 515R)가 스냅결합하는 클로 홈(3237F, 3237R)을 구비한다. 클로 홈(3237F, 3237R)은 로테이터 시트(3232)로부터 제1 이동방향(MD1)으로 떨어져 있으며, 삽입부의 외측벽(3212F, 3212R)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클로 홈(3237F, 3237R)의 길이는 제4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516)과 후방 접촉면(517)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이보다 약간 길다. 어댑터(3200)와 제4 결합요소(510)가 연결되면, 클로 홈(3237F, 3237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이 제4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516)과 접촉할 수 있고,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표면이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517)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클로 홈(3237F, 3237R)의 상면은 제4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518)과 접촉한다.
클로 홈(3237F, 3237R)이 어댑터(3200)의 중심에서 제1 이동방향(MD1)으로 떨어져 위치하므로, 어댑터(3200)는 제1 이동방향(MD1)에서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511)에 삽입되는 식으로 제4 결합요소(510)에 연결된다. 또한, 어댑터(3200)가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511)에 삽입되면, 제4 결합요소의 전방 및 후방 클로(514F, 514R, 515F, 515R)가 클로 홈(3237F, 3237R)에 끼워맞춤되고, 어댑터(3200)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가 탄성적으로 제4 결합요소(510)의 전방 클로(514F, 514R)의 후단면(후방 접촉면(517))을 로킹한다.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는 제1 이동방향(MD1)의 끝에서 제2 이동방향(MD2)으로 형성된 슬릿(3216)을 구비한다. 슬릿(3216)은 삽입부(3210)를 폭방향에서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슬릿(3216)은 삽입부(3210)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끝에서 클로 홈(3237F, 3237R)의 대략 중간까지 연장한다. 슬릿(3216)에 의해 슬릿(3216)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삽입부(3210)의 일부가 상방 및 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어,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517)을 로킹하는 래치(3241)를 형성한다.
래치(3241)는 슬릿(3216)에 의해 상방으로 휘어질 수있다. 래치(3241)는 슬릿(3216)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끝에서 제1 이동방향(MD1)으로 연장한다. 래치(3241)는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한 한 쌍의 쐐기 돌기(3242F, 3242R)를 구비한다. 쐐기 돌기(3242F, 3242R)는 클로 홈(3237F, 3237R)의 제1 이동방향(MD1)의 끝과 접해 있다. 즉, 쐐기 돌기(3242F, 3242R)의 제2 이동방향(MD2)의 표면(3243)이 클로 홈(3237F, 3237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표면을 형성한다. 또한, 클로 홈(3237F, 3237R)은 쐐기 돌기(3242F, 3242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3243)에서 제2 이동방향(MD2)으로 연장한다. 쐐기 돌기(3242F, 3242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표면(3244)이 상방으로 경사하고 있으며, 쐐기 돌기(3242F, 3242R)는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표면(3244)에서 제4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516)과 상방 접촉면(518) 사이의 전방 클로(514F, 514R)의 모서리와 접촉한다. 어댑터의 삽입부(3210)가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511)로 삽입될 때, 쐐기 돌기의 표면(3244)의 경사로 인해, 전방 클로(514F, 514R)는 쐐기 돌기(3242F, 3242R)에 상방의 힘을 가하여, 래치(3241)를 상방으로 휘게 한다. 어댑터의 삽입부(3210)를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511)에 삽입함에 따라, 전방 클로(514F, 514R)가 쐐기 돌기(3242F, 3242R)를 지나고 후방 클로(515F, 515R)가 쐐기 돌기(3242F, 3242R)를 지나면 래치(3241)가 하방으로 복귀하여, 쐐기 돌기(3242F, 3242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3243)이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517)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래치(3241)가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517)을 로킹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에 제1 이동방향(MD1)과 제2 이동방향(MD2)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의 외측벽(3212F, 3212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일부와 브릿지부(3215)를 덮도록 형성되어, 어댑터의 외측벽(3212F, 3212R)과 브릿지부(3215)의 외측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로 이동되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고정위치와, 제2 이동방향(MD2)에서 어댑터(3200)로부터 이동되어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을 덮지 않는 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의 외측벽(3212F, 3212R)과 각각 대면하는 한 쌍의 측벽(3311F, 3311R)과, 측벽(3311F, 3311R)의 상단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3312)을 가져, 슬라이드 커버(3300)를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역 U자형을 가진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측벽(3311F, 3311R)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단부에 측방의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R)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R)는 어댑터의 가이드 홈(3221F, 3221R)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3300)는 상벽(3312)의 하면에서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릿지(3322)를 가진다. 가이드 릿지(3322)는 어댑터의 브릿지부(3215)에 형성된 릿지 홈(3222) 내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R)가 어댑터의 가이드 홈(3221F, 3221R)에 삽입되고 가이드 릿지(3322)가 어댑터의 릿지 홈(32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어댑터(3200)에 대하여 제1 이동방향(MD1) 및 제2 이동방향(MD2)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있어서,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R)가 가이드 홈(3221F, 3221R)의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에 스냅결합하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어댑터(3200)에 로킹된다. 또한,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R)가 가이드 홈(3221F, 3221R)의 제2 스냅 구멍(3224F, 3224R)에 스냅결합하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어댑터(3200)에 유지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상벽(3312)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가장자리에서 제1 이동방향(MD1)으로 연장하는 후드(3331)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되면, 후드(3331)는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의 위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고정위치에서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상방 접촉면(216, 316, 412)이 후드(3331)에 걸리게 되므로, 커넥터 조립체(3000)와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210, 310, 410)의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이 달성된다.
커넥터 조립체(3000)는 제5 결합요소(610) 및 제6 결합요소(710)와의 연결을 위해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로크 커버(3400)를 구비한다. 어댑터(3200)와 사이드 로크 커버(3400)는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과,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과,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사이드 로크 커버(3400)는 어댑터의 삽입부(3210)에 마련된 로테이터 시트(3232)에 면접촉으로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3411)를 구비한다. 끼워맞춤부(3411)는 로테이터 시트(3232)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끼워맞춤부(3411)의 종단면 형상은 등변 사다리꼴 형상이며, 끼워맞춤부(3411)의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길이는 로테이터 시트(3232)의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을 위한 전방 접촉면(3412) 및 후방 접촉면(3413)과,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을 위한 상방 접촉면(3414)이 끼워맞춤부(3411)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3411)의 전방 표면이 전방 접촉면(3412)을 형성하고 끼워맞춤부(3411)의 후방 표면이 후방 접촉면(3413)을 형성하며, 끼워맞춤부(3411)의 상방 표면이 상방 접촉면(3414)을 형성한다.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끼워맞춤부(3411)가 어댑터의 로테이터 시트(3232)에 끼워맞춤되면, 전방 접촉면(3412)이 로테이터 시트(3232)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3232L)과 면접촉하고 후방 접촉면(3413)이 로테이터 시트(3232)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표면(3232R)과 면접촉하여, 사이드 로크 커버(3400)가 어댑터의 삽입부(3210)에 전후방향(FRD)에서 고정된다. 끼워맞춤부(3411)의 하방 표면은 로테이터 시트의 바닥면(3232B)과 면접촉하거나, 하지않을 수 있다.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에 의해 달성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로 제1 이동방향(MD1)에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되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끼워맞춤부(3411)의 상방 접촉면(3414)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커버(3300)의 후드(3331)가 상기 고정위치에서 끼워맞춤부(3411)의 상방 접촉면(3414)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되면, 사이드 로크 커버(3400)와 어댑터의 삽입부(3210) 사이에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이 달성된다.
사이드 로크 커버(3400)는 끼워맞춤부(3411)에서 제1 이동방향(MD1)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3415F, 3415R)과 측벽(3415F, 3415R)을 연결하는 브릿지(3416)를 구비한다. 브릿지(3416)는 끼워맞춤부(3411)에서 제1 이동방향(MD1)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또한, 사이드 로크 커버(3400)는 각 측벽(3415F, 3415R)의 내면에 브릿지(3416)의 하측에 스냅 릿지(3417)를 가진다. 사이드 로크 커버의 끼워맞춤부(3411)가 어댑터(3200)의 로테이터 시트(3232)에 끼워맞춤되어 사이드 로크 커버(3400)가 어댑터(3200)에 위치하면, 사이드 로크 커버의 측벽(3415F, 3415R)은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과 각각 접촉하거나 약간의 틈을 두고 대면한다. 즉,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측벽(3415F, 3415R)은 그 내면이 삽입부(3210)의 외면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측벽(3415F, 3415R)의 스냅 릿지(3417)는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의 스냅 릿지(3218)와 스냅결합한다. 따라서, 사이드 로크 커버의 측벽(3415F, 3415R)과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의 접촉에 의해, 사이드 로크 커버(3400)와 어댑터의 삽입부(3210) 사이에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이 달성된다.
사이드 로크 커버(3400)는 제5 결합요소(610) 및 제6 결합요소(710)의 사이드 핀(611, 711)을 수용하는 베어링 홀(3421)을 구비한다. 베어링 홀(3421)은 끼워맞춤부(3411) 및 측벽(3415F, 3415R)을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관통해 연장한다. 베어링 홀(3421)은 사이드 핀(611, 711)이 베어링 홀(3421)에 삽입되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각 측벽(3415F, 3415R)의 외면에는 베어링 홀(3421)을 감싸고 있는 링형상의 접촉면(3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면(3422)은 각 측벽(3415F, 3415R)에서 측방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돌출한 링형상의 접촉면(3422)으로 인해, 제5 결합요소(610) 및 제6 결합요소(710)에서 사이드 핀(611, 711)의 기단 둘레의 부분만이 사이드 로크 커버(3400)와 접촉한다.
커넥터 조립체(3000)와 제5 결합요소(610)의 연결 시, 사이드 핀(611)은 베어링 홀(3411)에 삽입되고, 클립핑 래치(612)의 클립(613)은 사이드 로크 커버의 측벽(3415F, 3415R)중 하나에 외면에 접촉하거나 스냅 결합한다. 커넥터 조립체(3000)와 제6 결합요소(710)의 연결 시, 사이드 핀(711)은 베어링 홀(3411)에 삽입되고, 클립핑 래치(712)의 클립(713)은 어댑터의 삽입부(3210)에 형성된 삽입 슬롯(3213F, 3213R) 중 하나에 삽입되거나 끼워맞춤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1 이동방향(MD1)에서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R)를 어댑터(3200)의 가이드 홈(3221F, 3221R)에 삽입하는 식으로 어댑터(3200)에 결합된다.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300)가 결합된 어댑터(3200)는 어댑터의 내측벽(3211F, 3211R)을 브라켓(3100)의 축돌기(3151F, 3151R) 위에 놓고 어댑터의 삽입부(3210)를 브라켓(3100) 쪽으로 누름으로써 브라켓(3100)에 결합된다.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로크 커버(3400)와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결합은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2 이동방향(MD)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드 커버(3300)를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실행된다.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끼워맞춤부(3411)를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로테이터 시트(3232)에 끼워맞추면서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을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측벽(3415F, 3415R) 사이로 삽입한다. 그 후,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로 이동시켜, 후드(3331)가 사이드 로크 커버의 끼워맞춤부(3411)의 상방 접촉면(3414)을 덮게 한다. 그러면,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로크 커버(3400)는 상기 고정위치에 유지된 슬라이드 커버(3300)에 의해 어댑터의 삽입부(3210)에 장착된다.
도 44 내지 도 46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1 와이퍼 아암(2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300)를 어댑터(3200)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에서 이동시켜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고정위치에 유지된 슬라이드 커버(3300)에 제2 이동방향(MD)으로 힘이 가하면,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에 스냅결합한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R)가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으로부터 빠지게 되며, 슬라이드 커버(3300)는 제2 이동방향(MD2)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R)가 제2 스냅 구멍(3224F, 3224R)에 스냅 결합하면, 슬라이드 커버(3300)는 어댑터(3200)에 대하여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된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1 결합요소(210)의 수용부(211)에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를 삽입한다. 이 때, 제1 결합요소의 측판(213R, 213R)은 삽입 슬롯(3213F, 3213R)에 각각 삽입되며, 제1 결합요소의 전방 후크(217)와 후방 후크(218) 사이의 공간에 삽입부(3210)의 제3 스페이서(3214MF, 3214MR)가 삽입된다. 삽입부(3210)가 수용부(211)에 완전히 삽입되면, 후방 후크(218)의 상면이 제3 스페이서(3214MF, 3214MR)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벽(3211T)의 삽입 돌기(3235)가 상판(212)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고, 제1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214)은 제2 이동방향(MD2)에 위치하는 제1 전방 지지면(3231LF, 3231LR)과 접촉하거나 거의 틈이 없이 대면하고, 제1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215)은 제1 이동방향(MD1)에 위치하는 제1 후방 지지면(3231RF, 3231RR)과 접촉하거나 거의 틈이 없이 대면하게 된다. 또한, 제1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216)은 제1 전방 지지면(3231LF, 3231LR)과 로테이터시트(3232)의 후방 표면(3232R) 사이에 위치한다. 이후, 제1 결합요소(210)와 어댑터(3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슬라이드 커버(3300)를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시킨다. 슬라이드 커버(3300)의 제1 이동방향(MD1)에서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드 클로(3321F, 3321)가 제1 스냅 구멍(3223F, 3223R)에 스냅 결합하면, 슬라이드 커버(3300)가 어댑터(3200)에 대하여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되며, 슬라이드 커버의 후드(3331) 및 후드(3331)에 인접한 슬라이드 커버의 상벽(3312)이 제1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216)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결합요소(210)와 어댑터(3200)는 전후방향(FRD), 수직방향(VD) 및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은 제1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214) 또는 후방 접촉면(215)이 제2 이동방향(MD2)에 위치하는 제1 전방 지지면(3231LF, 3231LR) 또는 제1 이동방향(MD1)에 위치하는 제1 후방 지지면(3231RF, 3231RR)에 접촉하는 상태이고,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3300)가 제1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216)을 덮는 상태이고,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제1 결합요소의 측판(213F, 213R)이 어댑터의 삽입 슬롯(3213F, 3213R)에 삽입된 상태이다. 연결된 제1 결합요소(2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2 이동방향(MD2)으로 이동시켜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시킨 후,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를 제1 결합요소의 수용부(211)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48 내지 도 50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2 와이퍼 아암(3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2 결합요소(310)의 수용부(311)에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를 삽입하면서, 제2 결합요소의 로테이터(323)를 삽입부(3210)의 로테이터 시트(3232)에 끼워맞춘다. 이 때, 삽입부(3210)는 그 외측벽(3212F, 3212R)에서 제2 결합요소의 수용부(311) 내로 삽입된다. 삽입부(3210)가 수용부(311)에 삽입되고 로테이터(323)가 로테이터 시트(3232)에 완전히 끼워맞춤 되면, 제2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314)은 로테이터 시트의 전방 표면(3232L)과 면접촉하고, 제2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315)은 로테이터 시트의 후방 표면(3232R)과 면접촉하여, 로테이터(323)는 로테이터 시트(3232)에 제1 및 제2 이동방향(MD1, MD2)에서 고정되고, 로테이터(323)의 상방 접촉면(316)은 상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후, 제2 결합요소(310)와 어댑터(3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슬라이드 커버(3300)를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시킨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되면, 슬라이드 커버의 후드(3331)가 제2 결합요소의 로테이터(323)의 상방 접촉면(316)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결합요소(310)와 어댑터(3200)는 전후방향(FRD), 수직방향(VD) 및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은 로테이터(323)의 전방 접촉면(314) 및 후방 접촉면(315)이 로테이터 시트(3232)의 전방 표면(3232L) 및 후방 표면(3232R)과 각각 면접촉하는 상태이고,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의 후드(3331)가 로테이터(323)의 상방 접촉면(316)을 덮는 상태이고,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제2 결합요소의 측판(312F, 3123R)의 내면이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의 외면과 접촉하는 상태이다. 연결된 제2 결합요소(3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2 이동방향(MD2)으로 이동시켜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시킨 후, 제2 결합요소의 로테이터(323)로부터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를 분리시킨다.
도 52 내지 도 54는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3 와이퍼 아암(4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3 결합요소의 바(411)를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삽입부(3210)의 상벽(3211T)에 형성된 제2 지지면(3234)을 바(411)의 하방 접촉면(413)과 접촉시킨다. 또한, 제3 결합요소의 텅(414)은 제2 지지면(3234)의 만곡면(3236) 상에 안착시키고, 제2 지지면(3234)의 삽입 돌기(3235)를 제3 결합요소의 개구(415)에 삽입시킨다. 바(411)가 외측벽(3212F, 3212R) 사이에서 상벽(3211T)에 안착하면, 제3 결합요소의 하방 접촉면(413)은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 사이에서 제2 지지면(3234)과 면접촉하고, 제3 결합요소의 개구(415)에는 삽입부(3210)의 삽입 돌기(3235)가 끼워진다. 또한,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412)은 삽입부(3210)의 로테이터 시트(3232) 위에 위치한다. 이후, 제3 결합요소(410)와 어댑터(3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1 이동방향(MD1)에서 어댑터(320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슬라이드 커버(3300)를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시킨다.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되면, 슬라이드 커버의 후드(3331)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412)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3 결합요소(410)와 어댑터(3200)는 전후방향(FRD), 수직방향(VD) 및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은 삽입부(3210)의 삽입 돌기(3235)가 제3 결합요소의 개구(415)에 삽입된 상태이고,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슬라이드 커버의 후드(3331)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412)을 덮는 상태이고,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제3 결합요소의 바(411)의 텅(414)의 측방 표면이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의 내면과 접촉하고 제3 결합요소의 개구(415)의 측방 표면이 삽입부(3210)의 삽입 돌기(3235)와 접촉하는 상태이다. 연결된 제3 결합요소(4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커버(3300)를 제2 이동방향(MD2)으로 이동시켜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시킨 후, 제3 결합요소의 바(411)로부터 어댑터(3200)의 삽입부(3210)를 분리시킨다.
도 56 및 도 57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4 와이퍼 아암(5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300)가 상기 고정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어댑터의 삽입부(3210)를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511)로 제1 이동방향(MD1)에서 삽입한다. 어댑터의 삽입부(3210)가 수용부(511)로 삽입됨에 따라, 수용부(511)의 상판(512)의 하면과 삽입부(3210)의 제1 이동방향(MD2)에서의 단부에 위치한 만곡부(3219)가 접촉하고 제4 결합요소의 전방 클로(514F, 514R)가 쐐기 돌기(3242F, 3242R)의 표면(3244)과 접촉한다. 삽입부(3210)를 수용부(511)로 계속 삽입함에 따라, 쐐기 돌기(3242F, 3242R)와 전방 클로(514F, 514R)의 작용으로 래치(3241)가 상방으로 휘어지면서 전방 클로(514F, 514R)가 쐐기 돌기(3242F, 3242R)를 지난다. 또한, 후방 클로(515F, 515R)가 전방 클로(514F, 514R)와 동일한 작용으로 쐐기 돌기(3242F, 3242R)를 지난다.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511)에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클로(514F, 514R)와 후방 클로(515F, 515R)는 모두 클로 홈(3237F, 3237R)에 끼워맞춤되고, 래치(3241)는 후방 클로(515F, 515R)의 후방 표면을 로킹한다. 즉, 제4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516)은 클로 홈(3237F, 3237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과 접촉하고,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517)은 래치(3241)의 쐐기 돌기(3242F, 3242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3243)과 접촉하고, 제4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518)은 클로 홈(3237F, 3237R)의 상면과 접촉한다. 또한, 제4 결합요소의 상판(512)의 상면은 상기 고정위치에 유지된 슬라이드 커버(3300)의 후드(3331)의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4 결합요소(510)와 어댑터(3200)는, 삽입부(3210)를 수용부(511)에 제1 이동방향(MD1)에서 삽입하여 전방 클로(514F, 514R) 및 후방 클로(515F, 515R)가 삽입부(3210)의 클로 홈(3237F, 3237R)에 스냅 결합함으로써, 전후방향(FRD), 수직방향(VD) 및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에서의 고정은 제4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516)이 클로 홈(3237F, 3237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촉면(517)이 클로 홈(3237F, 3237R)의 제1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쐐기 돌기의 표면(3243))과 접촉하는 상태이고,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제4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518)이 클로 홈(3237F, 3237R)의 상면과 접촉하고 제4 결합요소의 상판(512)의 상면이 슬라이드 커버의 후드(3331)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또한,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제4 결합요소의 측판(513F, 513R)의 내면과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F, 3212R)의 외면이 접촉하는 상태이다. 연결된 제4 결합요소(510)와 어댑터(3200)를 분리시킬 때에는, 래치(3241)를 상방으로 밀어서 쐐기 돌기(3242F, 3242R)의 제2 이동방향(MD2)에서의 표면(3243)을 후방 클로(515F, 515R)로부터 분리시키고, 어댑터의 삽입부(3210)를 제2 이동방향(MD2)으로 빼낸다.
도 59 및 도 60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5 와이퍼 아암(6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제5 와이퍼 아암(600)과 어댑터(3200)의 연결을 위해서는, 사이드 로크 커버(3400)가 어댑터(3200)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커버(3200)가 상기 고정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이드 로크 커버(3400)는 어댑터(3200)에 전후방향(FRD), 수직방향(VD) 및 수평방향(HD)에서 고정되어 있다. 도 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로크 커버(3400)가 장착된 어댑터(3200)에, 사이드 로크 커버의 베어링 홀(3421)에 제5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611)을 삽입한다. 상기 삽입은 사이드 핀(611)의 기단 둘레의 제5 결합요소의 표면과 링형상 지지면(3422)이 접촉하면 완료된다. 사이드 핀(611)이 베어링 홀(34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어댑터(3200)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3000)는 제5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6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삽입이 완료된 후, 커넥터 조립체(3000)를 제5 와이퍼 아암(600) 쪽으로 회전시켜, 클립핑 래치(611)를 사이드 로크 커버의 측벽(3415F, 3415R)의 상단에 접촉시키고, 재1 클립핑 래치(611)의 클립(612)을 사이드 로크 커버의 측벽(3415R)에 접촉시키거나 스냅결합시킨다. 따라서, 사이드 로크 커버(3400)가 장착된 어댑터(3200)와 제5 결합요소(610)는, 사이드 핀(611)을 베어링 홀(3421)에 삽입하고 클립핑 래치(612)를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측벽(3415R)에 접촉시킴으로써, 전후방향(FRD), 수직방향(VD) 및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 및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제5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611)이 베어링 홀(3421)에 삽입된 상태이고,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제5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612)의 클립(613)이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측벽(3415R)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이다. 연결된 제5 결합요소(610)와 사이드 로크 커버(3400)를 분리시킬 때에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회전시켜 클립핑 래치(612)의 클립(613)을 사이드 로크 커버(3400)의 측벽(3415R)에서 분리시키고, 커넥터 조립체(3000)를 사이드 핀(611)으로부터 빼낸다.
도 62 및 도 63은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제6 와이퍼 아암(700) 간의 연결예를 도시한다.
도 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로크 커버(3400)가 장착된 어댑터(3200)에, 사이드 로크 커버의 베어링 홀(3421)에 제6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711)을 삽입한다. 상기 삽입은 사이드 핀(711)의 기단 둘레의 제6 결합요소의 표면과 링형상 지지면(3422)이 접촉하면 완료된다. 사이드 핀(711)이 베어링 홀(342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 조립체(3000)를 제6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71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제6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712)의 클립(713)을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삽입 슬롯(3213R)에 삽입한다. 따라서, 사이드 로크 커버(3400)가 장착된 어댑터(3200)와 제6 결합요소(710)는, 사이드 핀(711)을 베어링 홀(3421)에 삽입하고 클립핑 래치(712)를 어댑터의 삽입부(3210)에 결합시킴으로써, 전후방향(FRD), 수직방향(VD) 및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전후방향(FRD) 및 수직방향(VD)에서의 고정은 제6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711)이 베어링 홀(3421)에 삽입된 상태이고, 수평방향(HD)에서의 고정은 제6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712)의 클립(713)이 어댑터의 삽입부(3210)의 외측벽(3212R)과 내측벽(3211R)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이다. 연결된 제6 결합요소(710)와 사이드 로크 커버(3400)를 분리시킬 때에는, 커넥터 조립체(3000)를 회전시켜 클립핑 래치(712)의 클립(713)을 어댑터의 삽입부(3210)로부터 분리시키고, 커넥터 조립체(3000)를 사이드 핀(711)으로부터 빼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와이퍼 블레이드 1000: 와이퍼 러버 조립체
1100: 와이퍼 러버 1200: 스프링 레일
2000: 레버 조립체 2100: 제1 레버
2121F, 2121R: 제1 사면 2122: 단부면
2200L, 2200R: 제2 레버 2210: 아암부
2211: 핑거 2212: 단차면
2220: 스포일러부 2223F, 2223R: 제2 사면
2224: 단부면 2300L, 2300R: 제3 레버
2310: 아암부 2311: 핑거
2312: 단차면 2320: 스포일러부
2323F, 2323R: 제3 사면 2324: 핑거
2411, 2412: 끼워맞춤 돌기 2421, 2422: 끼워맞춤 구멍
2500: 커넥터 시트 2510: 안착면
2520: 단차면 2524: 보조단차면
2531: 삽입슬롯 2532: 스냅돌기
2533: 위치설정용 릿지 2600L, 2600R: 스포일러
2610L, 2610R: 제1 부분 스포일러 2620L, 2620R: 제2 부분 스포일러
2630L, 2630R: 제3 부분 스포일러 3000: 커넥터 조립체
3100: 브라켓 3110: 베이스 플레이트
3121, 3122, 3123: 접촉면 3130: 플랜지
3134: 이어부 3141: 삽입돌기
3142: 삽입슬롯 3143: 위치설정용 슬롯
3151F, 3151R: 축돌기 3152: 지지벽
3200: 어댑터 3210: 삽입부
3211F, 3211R: 내측벽 3211T: 상벽
3212F, 3212R: 외측벽 3213F, 3213R: 삽입 슬롯
3215: 브릿지부 3216: 슬릿
3217F, 3217R: 베어링 홀 3219: 만곡부
3221F, 3221R: 가이드 홈 3222: 릿지 홈
3223F, 3223R: 제1 스냅 구멍 3224F, 3224R: 제2 스냅 구멍
3231LF, 3231LR: 제1 전방 지지면 3231RF, 3231RR: 제1 후방 지지면
3232: 로테이터 시트 3232L: 전방 표면
3232R: 후방 표면 3234: 제2 지지면
3235: 삽입 돌기 3236: 만곡면
3237F, 3237R: 클로 홈 3241: 래치
3242F, 3242R: 쐐기 돌기 3300: 슬라이드 커버
3321F, 3321R: 슬라이드 클로 3322: 가이드 릿지
3331: 후드 3400: 사이드 로크 커버
3411: 끼워맞춤부 3412: 끼워맞춤부의 전방 접촉면
3413: 끼워맞춤부의 후방 접촉면 3414: 끼워맞춤부의 상방 접촉면
3415F, 3415R: 측벽 3421: 베어링 홀
3422: 링형상 접촉면 200: 제1 와이퍼 아암
210: 제1 결합요소 211: 수용부
214: 전방 접촉면 215: 후방 접촉면
216: 상방 접촉면 300: 제2 와이퍼 아암
310: 제2 결합요소 311: 수용부
313: 로테이터 314: 전방 접촉면
315: 후방 접촉면 316: 상방 접촉면
400: 제3 와이퍼 아암 410: 제3 결합요소
411: 바 412: 상방 접촉면
413: 하방 접촉면 415: 개구
500: 제4 와이퍼 아암 510: 제4 결합요소
511: 수용부 514F, 514R: 전방 클로
515F, 515R: 후방 클로 516: 전방 접촉면
517: 후방 접촉면 518: 상방 접촉면
600: 제5 와이퍼 아암 610: 제5 결합요소
611: 사이드 핀 612: 클립핑 래치
613: 클립 700: 제6 와이퍼 아암
710: 제6 결합요소 711: 사이드 핀
712: 클립핑 래치 713: 클립

Claims (18)

  1. 와이퍼 러버와,
    인접한 레버들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 러버를 유지하는 레버 조립체와,
    전방 접촉면,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요소, 전방 접촉면,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를 가지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요소, 상방 접촉면 및 하방 접촉면이 형성된 바와 상기 바에 뚫린 개구를 구비하는 제3 결합요소 및 전방 접촉면,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이 형성된 한 쌍의 클로를 가지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4 결합요소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레버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와,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 이동방향과 상기 레버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제2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고 제1 결합요소의 전방 접촉면 또는 후방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삽입부에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요소의 로테이터가 면접촉으로 끼워맞춤되는 로테이터 시트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하방 접촉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에 형성되고 상에 제3 결합요소의 개구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4 결합요소의 각 클로의 전방 접촉면 또는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과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클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고정위치와,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 상기 어댑터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을 덮지 않는 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스냅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드 클로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클로가 상기 제1 스냅 구멍에 스냅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드를 구비하고,
    상기 후드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상기 고정위치에 로킹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의 상방 접촉면의 위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상방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을 로킹하는 래치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에서 상기 제2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슬릿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에서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하방으로 돌출한 한 쌍의 쐐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클로 홈은 상기 쐐기 돌기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표면에서 상기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쐐기 돌기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표면이 상기 제4 결합요소의 후방 접촉면을 로킹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한 쌍의 내측벽과 상기 한 쌍의 내측벽의 상단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벽과, 상기 한 쌍의 내측벽과 각각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과 상기 한 쌍의 외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한 쌍의 내측벽에서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외측벽에서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수용부 또는 상기 제4 결합요소의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지지면은 상기 삽입 슬롯 각각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단부면 또는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터 시트는 상기 내측벽, 상기 상벽 및 상기 한 쌍의 외측벽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상벽의 상면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측벽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과 상기 한 쌍의 외측벽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이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제1 이동방향에서의 끝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벽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이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 시트는 상기 제2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전방 표면과 상기 제1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후방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로테이터 시트의 전방 표면은 상기 로테이터의 전방 접촉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로테이터 시트의 후방 표면은 상기 로테이터의 후방 접촉면과 면접촉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축돌기는 상기 브라켓을 정면에서 볼 때 반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내측벽은 상기 축돌기가 끼워맞춤되는 베어링 홀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요소는 상기 바의 전단에서 연장하는 만곡된 텅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제2 이동방향에서의 단부에 상기 텅이 안착하는 만곡면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사이드 핀과 상기 사이드 핀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자유단에 클립을 가지는 클립핑 래치를 구비하는 제5 결합요소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전방 접촉면, 후방 접촉면 및 상방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 시트에 면접촉으로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끼워맞춤부를 관통해 연장하고 상기 제5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이 삽입되는 베어링홀을 구비하는 사이드 로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방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로크 커버는 상기 끼워맞춤부에서 상기 제1 이동방향으로 연장하고 내면이 상기 삽입부의 외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5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의 클립은 상기 사이드 로크 커버의 한 쌍의 측벽 중 하나의 외면에 접촉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사이드 핀과 상기 제5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자유단에 클립을 가지는 클립핑 래치를 구비하는 제6 결합요소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의 삽입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제6 결합요소의 사이드 핀은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6 결합요소의 클립핑 래치의 클립은 상기 어댑터의 삽입부의 한 쌍의 삽입슬롯 중 하나에 삽입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이격된 두 개의 제1 사면을 갖고 상기 레버 조립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에 상기 두 개의 제1 사면 사이에 마련되는 커넥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브라켓이 안착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안착면을 분리시키는 단차면과,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마련된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면에 인접하게 상기 안착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스냅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단차면 상에 포개지는 플랜지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커넥터 시트의 한 쌍의 스냅돌기가 각각 스냅결합하고 상기 플랜지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스냅슬롯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스냅슬롯의 각각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시트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제1 레버의 하단 사이에 상기 단차면과 이어지는 보조단차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단차면은 상기 스냅돌기의 아래에 위치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상기 제1 레버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2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각각의 길이방향에서의 내단 또는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사면을 갖는 한 쌍의 제3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버와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제2 및 제3 레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그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고,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과 길이방향의 외단에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부면을 갖고,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레버의 단부면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단차면을 갖고,
    상기 제3 레버의 단차면은 상기 제2 레버의 단차면보다 작은 각도로 상기 제3 레버의 길이방향의 외단 쪽으로 기울어진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40027327A 2014-03-07 2014-03-07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26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27A KR101426005B1 (ko) 2014-03-07 2014-03-07 와이퍼 블레이드
CN201410350694.1A CN104890634B (zh) 2014-03-07 2014-07-22 刮水片
US14/619,445 US9855923B2 (en) 2014-03-07 2015-02-11 Wiper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27A KR101426005B1 (ko) 2014-03-07 2014-03-07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005B1 true KR101426005B1 (ko) 2014-08-05

Family

ID=5174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27A KR101426005B1 (ko) 2014-03-07 2014-03-07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55923B2 (ko)
KR (1) KR101426005B1 (ko)
CN (1) CN10489063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8070A1 (fr) * 2015-07-17 2017-01-18 Valeo Systèmes d'Essuyage Organe pour un système de connexion d'un balai d'essuie-glace
WO2017036576A1 (de) * 2015-08-28 2017-03-09 Daimler Ag Wischblatt für eine scheibenwischanlage eines fahrzeugs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wischblatt und einem wischarm
KR101820592B1 (ko) * 2016-03-23 2018-01-19 한국산업은행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20591B1 (ko) * 2016-03-23 2018-01-19 한국산업은행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8595B2 (en) * 2014-07-17 2018-11-06 Valeo Systè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EP3159225B1 (fr) * 2015-10-22 2019-06-05 Valeo Systè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balai d'essuie-glace
FR3042757B1 (fr) * 2015-10-22 2018-07-27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balai d'essuie-glace
DE102015224634A1 (de) * 2015-12-08 2017-06-08 Robert Bosch Gmbh Wischarmvorrichtung
CN105564382B (zh) * 2016-01-18 2018-08-07 浙江图腾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雨刷接头以及使用该雨刷接头的雨刷
CN106515673A (zh) * 2016-12-07 2017-03-22 丹阳市龙威汽配有限公司 雨刷用连接元件及应用其的雨刷
CN108382359B (zh) * 2018-04-16 2023-08-01 宁波市叶兴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雨刮板
DE102019210722A1 (de) * 2019-07-19 2021-01-21 Robert Bosch Gmbh Blattanbindung mit Schieber
CN110843730B (zh) * 2019-11-22 2021-07-23 厦门富可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雨刮器连接装置
WO2022035883A1 (en) * 2020-08-10 2022-02-1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22036135A1 (en) * 2020-08-12 2022-02-1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4762A1 (en) 2000-12-23 2003-04-24 Peter De Block Wiper device, especially for windshields of automobiles
US20040216260A1 (en) 2001-05-08 2004-11-04 Sophie Genet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00102877A (ko) * 2009-03-12 2010-09-27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JP2013507285A (ja) 2009-11-17 2013-03-0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にフラットバー構造のワイパブレードにワイパアームの端部に設けられた結合要素を結合するための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9921A1 (fr) * 1981-02-13 1982-08-20 Marchal Equip Auto Balai d'essuie-glace a armature metallique comportant des organes antibruit
DK1015288T3 (da) 1997-09-25 2002-03-25 Nippon Wiper Blade Co Ltd Vinduesviskerblad med vindafbøjningselement
JP4091493B2 (ja) * 2003-07-08 2008-05-28 アスモ株式会社 連結装置、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4316463B2 (ja) 2004-09-28 2009-08-19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TWM288871U (en) * 2005-09-23 2006-03-21 Shih-Hsien Huang Special connector for car wiper arm
TW200736100A (en) 2006-03-25 2007-10-01 Shih-Hsien Huang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DE102007021333A1 (de) 2007-05-07 2008-11-13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KR100891195B1 (ko) 2008-04-30 2009-04-02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범용 와이퍼 장치
KR100920169B1 (ko) 2009-01-14 2009-10-06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범용 와이퍼 장치
DE102009000860A1 (de) * 2009-02-13 2010-08-1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mit einer Adaptereinheit zur Befestigung an einem Wischraum
US20100205763A1 (en) * 2009-02-18 2010-08-19 Chin Pech Co., Ltd. Universal Adaptors for Connecting Wiper Blades to Wiper Arms
KR101036577B1 (ko) 2011-01-28 2011-05-24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CN202115476U (zh) * 2011-06-14 2012-01-18 杨志铭 可防止驱动刷臂松脱的雨刷结合座
US9108595B2 (en) *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245514B1 (ko) 2011-12-01 2013-04-02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33220B1 (ko) 2012-06-25 2014-08-2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189722B1 (ko) * 2012-06-29 2012-10-11 유병갑 차량용 와이퍼의 멀티 어댑터
KR101335312B1 (ko) 2012-10-26 2013-12-05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CN203391736U (zh) * 2013-06-29 2014-01-15 贵阳万江航空机电有限公司 六合一雨刮连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4762A1 (en) 2000-12-23 2003-04-24 Peter De Block Wiper device, especially for windshields of automobiles
US20040216260A1 (en) 2001-05-08 2004-11-04 Sophie Genet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00102877A (ko) * 2009-03-12 2010-09-27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JP2013507285A (ja) 2009-11-17 2013-03-0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にフラットバー構造のワイパブレードにワイパアームの端部に設けられた結合要素を結合するためのアダプ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8070A1 (fr) * 2015-07-17 2017-01-18 Valeo Systèmes d'Essuyage Organe pour un système de connexion d'un balai d'essuie-glace
FR3038877A1 (fr) * 2015-07-17 2017-01-20 Valeo Systemes Dessuyage Organe pour un systeme de connexion d’un balai d’essuie-glace
CN106627499A (zh) * 2015-07-17 2017-05-10 法雷奥系统公司 用于风挡雨刮器刷的连接系统的元件
WO2017036576A1 (de) * 2015-08-28 2017-03-09 Daimler Ag Wischblatt für eine scheibenwischanlage eines fahrzeugs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wischblatt und einem wischarm
KR101820592B1 (ko) * 2016-03-23 2018-01-19 한국산업은행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20591B1 (ko) * 2016-03-23 2018-01-19 한국산업은행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51635A1 (en) 2015-09-10
US9855923B2 (en) 2018-01-02
CN104890634B (zh) 2017-04-12
CN104890634A (zh)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0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26001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11565661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45581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10766462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200282956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689389B2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KR10151131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24551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4418840B2 (ja) ワイパブレード
CA2898928C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JP2013538733A (ja) フックワイパーアーム用連結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
KR100959035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182059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7969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908551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KR1018047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레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US11608033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78941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WO2022035883A9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EP2639120A1 (en) Wiper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