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218A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9218A KR20180059218A KR1020160158519A KR20160158519A KR20180059218A KR 20180059218 A KR20180059218 A KR 20180059218A KR 1020160158519 A KR1020160158519 A KR 1020160158519A KR 20160158519 A KR20160158519 A KR 20160158519A KR 20180059218 A KR20180059218 A KR 201800592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pressure
- point
- elastic member
- region
-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점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고,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탄성부재 누름압의 분포 및 밀착부재의 밀착력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부재 누름압의 분포 및 밀착부재의 밀착력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윈드 쉴드(wind shield)에는 우천시에 빗물을 닦아 내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차량측 와이퍼 구동 모터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와이퍼 암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때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커넥터를 통해 결합되는데,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는 클램프라는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프에 커넥터 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가 클램프에 체결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이 커넥터 부재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종류는 블레이드의 구조에 따라 크게 컨벤셔널 타입(Conventional Type)과 플랫 타입(Flat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커버는 어댑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경우,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넥터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와이퍼 암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핑 작용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퍼 암은 일정 가압력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누르게 되며,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차량의 윈드실드에 밀착하게 된다.
즉,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와이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와 차량의 윈드실드의 밀착특성이 우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누름압의 분포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성부재 누름압의 분포 및 밀착부재의 밀착력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점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고,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는 것은, 상기 일정 상수로부터,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이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이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은,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제1누름압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증가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 누름압의 분포 및 밀착부재의 밀착력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누름압의 분포를 제어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 제어를 통해, 차량의 윈드에 밀착하는 밀착부재의 밀착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밀착부재의 차량의 윈드실드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와이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탄성부재의 곡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탄성부재의 길이에 따른 곡률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7 내지 도 10은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1 내지 도 14는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5는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6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7은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8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9는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20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탄성부재의 곡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탄성부재의 길이에 따른 곡률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7 내지 도 10은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1 내지 도 14는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5는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6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7은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8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9는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20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차량 윈드 쉴드에 맞닿는 고무재질의 밀착부재(600),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00) 및 상기 탄성부재(700)의 길이 방향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와이퍼암이 체결되는 와이퍼암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와어퍼암 체결부(400)는 상기 탄성부재(700)의 길이 방향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수용부를 포함하는 결합커버(200) 및 상기 결합커버(200)의 수용부에 착탈되는 어댑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어댑터(300)는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미도시)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와이퍼암은 상기 어댑터(300)와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커넥터(미도시)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암은 상기 어댑터(300)와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커넥터(미도시)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와이핑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암 체결부(400)가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심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결합커버(200)가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심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결합커버(200)의 수용부에 착탈되는 어댑터(300)도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암과 체결되는 상기 와이퍼암 체결부(400)가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암은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심 영역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 암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힘을 가압력이라고 정의하기로한다.
이때, 상기 와이퍼 암이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는 일정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 암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압력을 누름압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상기 누름압은 상기 밀착부재(600)에 전달되며, 상기 밀착부재(600)에는 일정한 압력이 발생하여, 차량 윈드 쉴드면을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차량 윈드 쉴드면을 가압하는 힘을 밀착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 암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누름압이 발생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누름압에 의하여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차량 윈드 쉴드면을 가압하는 밀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누름압 및 밀착력의 분포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와이핑 특성을 달성하고자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탄성부재(7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커버부재(미도시, 일반적으로 스포일러라고도 명칭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3a 및 도 3b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영역을 정의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700)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7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710)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72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710)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720b)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700)는 중심부(710)와 상기 중심부(710)를 기준으로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는 단부(720a, 720b)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바디부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700)는 탄성부재 영역(A)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 영역은 제1탄성부재 영역(A1) 및 제2탄성부재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심부(710)를 시작으로 상기 제1단부(720a)에 이르는 영역을 제1탄성부재 영역(A1)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심부(710)를 시작으로 상기 제2단부(720b)에 이르는 영역을 제2탄성부재 영역(A2)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1단부(720a)까지 길이, 즉, 제1바디부 길이의 1/2 지점을 제1바디부 중심점(730a)이라 정의시, 상기 제1탄성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1바디부 중심점(730a)까지의 영역인 제1바디부의 1/2영역(C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2단부(720b)까지 길이, 즉, 제2바디부 길이의 1/2 지점을 제2바디부 중심점(730b)이라 정의시, 상기 제2탄성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2바디부 중심점(730b)까지의 영역인 제2바디부의 1/2영역(C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 영역(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바디부의 1/2영역(C1) 및 제2바디부의 1/2영역(C2)은 바디부의 1/2영역(C)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은 상기 제1바디부 중심점(73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의 중심점(73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1단부(720a)까지 길이, 즉, 제1바디부 길이의 2/3지점을 제1바디부 2/3지점(740a)이라 정의시, 상기 제1탄성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1바디부 2/3지점(740a)까지의 영역인 제1바디부의 2/3영역(B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2단부(720b)까지 길이, 즉, 제2바디부 길이의 2/3지점을 제2바디부 2/3지점(740b)이라 정의시, 상기 제2탄성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2바디부 2/3지점(740b)까지의 영역인 제2바디부의 2/3영역(B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 영역(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바디부의 2/3영역(B1) 및 제2바디부의 2/3영역(B2)은 바디부의 2/3영역(B)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은 상기 제1바디부 2/3지점(74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2/3지점(74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1단부(720a)까지 길이, 즉, 제1바디부 길이의 1/3지점을 제1바디부 1/3지점(750a)이라 정의시, 상기 제1탄성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1바디부 1/3지점(750a)까지의 영역인 제1바디부의 1/3영역(D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2단부(720b)까지 길이, 즉, 제2바디부 길이의 1/3지점을 제2바디부 1/3지점(750b)이라 정의시, 상기 제2탄성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2바디부 1/3지점(750b)까지의 영역인 제2바디부의 1/3영역(D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 영역(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바디부의 1/3영역(D1) 및 제2바디부의 1/3영역(D2)은 바디부의 1/3영역(D)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은 상기 제1바디부 1/3지점(75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1/3지점(75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1단부(720a)까지 길이, 즉, 제1바디부 길이의 3/4지점을 제1바디부 3/4지점(760a)이라 정의시, 상기 제1탄성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1바디부 3/4지점(760a)까지의 영역인 제1바디부의 3/4영역(E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2단부(720b)까지 길이, 즉, 제2바디부 길이의 3/4지점을 제2바디부 3/4지점(760b)이라 정의시, 상기 제2탄성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710)에서 상기 제2바디부 3/4지점(760b)까지의 영역인 제2바디부의 3/4영역(E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 영역(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바디부의 3/4영역(E1) 및 제2바디부의 3/4영역(E2)은 바디부의 3/4영역(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은 상기 제1바디부 3/4지점(76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3/4지점(76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의 영역의 정의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 암이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는 일정한 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 암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압력을 누름압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은 상기 제1바디부 중심점(73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의 중심점(73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제1바디부 중심점(730a)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720a)의 영역 및 상기 제2바디부 중심점(730b)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720b)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은 상기 제1바디부 2/3지점(74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2/3지점(74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제1바디부 2/3지점(740a)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720a)의 영역 및 상기 제2바디부 2/3지점(740b)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720b)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일한 논리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점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점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고,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누름압은 9 내지 14gf/cm 중 어느 하나의 일정 상수일 수 있다.
즉, 와이퍼 블레이드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을 설계시, 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는 구간의 누름압을 9 내지 14gf/cm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2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다부의 1/2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2/3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다부의 2/3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3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다부의 1/3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3/4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다부의 3/4지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그 이외의 영역, 즉,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누름압의 증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의 영역을 정의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본원발명의 밀착부재의 영역도 정의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보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밀착부재(600)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61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62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620b)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600)는 중심부(610)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는 단부(620a, 620b)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바디부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각 구성의 영역에 대응하는 밀착부재의 각 구성의 영역에 '을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탄성부재에서의 A영역은 밀착부재에서의 A'영역에 대응함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600)는 밀착부재 영역(A')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밀착부재 영역은 제1밀착부재 영역(A1') 및 제2밀착부재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심부를 시작으로 상기 제1단부에 이르는 영역을 제1밀착부재 영역(A1')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심부를 시작으로 상기 제2단부에 이르는 영역을 제2밀착부재 영역(A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밀착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1단부(620a)까지 길이, 즉, 제1바디부 길이의 1/2 지점을 제1바디부 중심점(630a)이라 정의시, 상기 제1밀착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1바디부 중심점(630a)까지의 영역인 제1바디부의 1/2영역(C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밀착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2단부(620b)까지 길이, 즉, 제2바디부 길이의 1/2 지점을 제2바디부 중심점(630b)이라 정의시, 상기 제2밀착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600)에서 상기 제2바디부 중심점(630b)까지의 영역인 제2바디부의 1/2영역(C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 영역(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바디부의 1/2영역(C1') 및 제2바디부의 1/2영역(C2')은 바디부의 1/2영역(C')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은 상기 제1바디부 중심점(63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6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의 중심점(63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밀착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1단부까지 길이(620a), 즉, 제1바디부 길이의 2/3지점을 제1바디부 2/3지점(640a)이라 정의시, 상기 제1밀착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1바디부 2/3지점(640a)까지의 영역인 제1바디부의 2/3영역(B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밀착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2단부(620b)까지 길이, 즉, 제2바디부 길이의 2/3지점을 제2바디부 2/3지점(640b)이라 정의시, 상기 제2밀착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2바디부 2/3지점(640b)까지의 영역인 제2바디부의 2/3영역(B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 영역(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바디부의 2/3영역(B1') 및 제2바디부의 2/3영역(B2')은 바디부의 2/3영역(B')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은 상기 제1바디부 2/3지점(64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6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2/3지점(64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밀착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1단부(620a)까지 길이, 즉, 제1바디부 길이의 1/3지점을 제1바디부 1/3지점(650a)이라 정의시, 상기 제1밀착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1바디부 1/3지점(650a)까지의 영역인 제1바디부의 1/3영역(D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밀착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2단부(620b)까지 길이, 즉, 제2바디부 길이의 1/3지점을 제2바디부 1/3지점(650b)이라 정의시, 상기 제2밀착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2바디부 1/3지점(650b)까지의 영역인 제2바디부의 1/3영역(D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 영역(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바디부의 1/3영역(D1') 및 제2바디부의 1/3영역(D2')은 바디부의 1/3영역(D')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은 상기 제1바디부 1/3지점(65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6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1/3지점(650a)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밀착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1단부(620a)까지 길이, 즉, 제1바디부 길이의 3/4지점(660a)을 제1바디부 3/4지점이라 정의시, 상기 제1밀착부재 영역(A1')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1바디부 3/4지점(660a)까지의 영역인 제1바디부의 3/4영역(E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밀착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2단부(620b)까지 길이, 즉, 제2바디부 길이의 3/4지점(660b)을 제2바디부 3/4지점이라 정의시, 상기 제2밀착부재 영역(A2')은 상기 중심부(610)에서 상기 제2바디부 3/4지점(660b)까지의 영역인 제2바디부의 3/4영역(E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 영역(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바디부의 3/4영역(E1') 및 제2바디부의 3/4영역(E2')은 바디부의 3/4영역(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은 상기 제1바디부 3/4지점(66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6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3/4지점(66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착부재의 영역의 정의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의 밀착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상기 누름압은 상기 밀착부재(600)에 전달되며, 상기 밀착부재(600)에는 일정한 압력이 발생하여, 차량 윈드 쉴드면을 가압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차량 윈드 쉴드면을 가압하는 힘을 밀착력으로 정의한 바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 암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누름압이 발생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누름압에 의하여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차량 윈드 쉴드면을 가압하는 밀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재의 접촉력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점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점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밀착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밀착력은 상기 제1밀착력보다 증가하고,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밀착력은 상기 제1밀착력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2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다부의 1/2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2/3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다부의 2/3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3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다부의 1/3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3/4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다부의 3/4지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의 밀착부재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밀착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그 이외의 영역, 즉,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밀착력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밀착력은 상기 제1밀착력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5는 일반적인 탄성부재의 곡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탄성부재의 길이에 따른 곡률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의 경우, X에서와 같이 곡률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Y 및 Z의 경우와 같이, 각각 상이한 곡률을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종류는 블레이드의 구조에 따라 크게 컨벤셔널 타입(Conventional Type)과 플랫 타입(Flat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플랫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탄성부재에 곡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플랫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탄성부재에 곡률을 포함하는 것은, 와이퍼 암에 의해 가해지는 누름압의 분포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부재의 길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곡률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6은 탄성부재의 길이에 따라,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곡률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하기 표 1은 각 인치별 k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k=1/R로써, R은 탄성부재 중앙부의 곡률을 의미한다.
인치(inch) | k | 인치 | k |
14 | 0.00201 | 20 | 0.00382 |
15 | 0.00227 | 21 | 0.00418 |
16 | 0.00254 | 22 | 0.00456 |
17 | 0.00284 | 24 | 0.00537 |
18 | 0.00315 | 26 | 0.00626 |
19 | 0.00347 | 28 | 0.00721 |
즉, 본 발명에서는 각 인치별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인치별 k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인치별 k 값은 예시적인 것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를 기재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은 하기 실험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7 내지 도 10은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도 7에서의 탄성부재는 16인치(4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254에 해당한다.
또한, 도 8에서의 탄성부재는 20인치(5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382에 해당한다.
또한, 도 9에서의 탄성부재는 24인치(6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537에 해당한다.
또한, 도 10에서의 탄성부재는 28인치(7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721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16, 20, 24, 28인치의 길이를 갖는 탄성부재에서, 상기 각각의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은 상기 제1바디부 2/3지점(74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2/3지점(74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제1바디부 2/3지점(740a)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720a)의 영역 및 상기 제2바디부 2/3지점(740b)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720b)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일정 상수인 11.5gf/cm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설계상으로 동일한 누름압으로 설계했다 하더라도, 제조상에서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일정 상수로부터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 전체에 걸쳐, 일정 상수±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11.5gf/cm로 설계하였음을 가정시,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누름압은 11±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11.5 gf/cm의 누름압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은 15.5 내지 17.5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설정됨을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1 내지 도 14는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도 11에서의 탄성부재는 16인치(4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254에 해당한다.
또한, 도 12에서의 탄성부재는 20인치(5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382에 해당한다.
또한, 도 13에서의 탄성부재는 24인치(6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537에 해당한다.
또한, 도 14에서의 탄성부재는 28인치(7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721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일정상수인 11.5gf/cm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설계상으로 동일한 누름압으로 설계했다하더라도, 제조상에서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때,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 전체에 걸쳐, 일정 상수±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보다 +4 내지 +6 gf/cm 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때,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2/3영역(B)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일정 상수 11.5±1.5 gf/cm)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5는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도 15에서의 탄성부재는 20인치(5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382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 15는 20인치의 길이를 갖는 탄성부재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은 상기 제1바디부 중심점(73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의 중심점(73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제1바디부 중심점(730a)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720a)의 영역 및 상기 제2바디부 중심점(730b)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720b)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일정 상수인 11.5gf/cm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설계상으로 동일한 누름압으로 설계했다하더라도, 제조상에서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 전체에 걸쳐, 일정 상수±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11.5gf/cm로 설계하였음을 가정시,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누름압은 11.5±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11.5 gf/cm의 누름압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은 15.5 내지 17.5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설정됨을 의미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6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일정 상수인 11.5gf/cm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설계상으로 동일한 누름압으로 설계했다하더라도, 제조상에서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때,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 전체에 걸쳐, 일정 상수±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일정 상수 11.5±1.5 gf/cm)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때,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1/2영역(C)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일정 상수 11.5±1.5 gf/cm)보다 +4 내지 +_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7은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도 17에서의 탄성부재는 20인치(5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382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 17은 20인치의 길이를 갖는 탄성부재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도 3b을 참조하여,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은 상기 제1바디부 1/3지점(75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1/3지점(75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제1바디부 1/3지점(750a)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720a)의 영역 및 상기 제2바디부 1/3지점(750b)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720b)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일정 상수인 11.5gf/cm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설계상으로 동일한 누름압으로 설계했다하더라도, 제조상에서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 전체에 걸쳐, 일정 상수±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11.5gf/cm로 설계하였음을 가정시,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누름압은 11.5±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11.5 gf/cm의 누름압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은 15.5 내지 17.5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설정됨을 의미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8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일정 상수인 11.5gf/cm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설계상으로 동일한 누름압으로 설계했다하더라도, 제조상에서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때,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 전체에 걸쳐, 일정 상수±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일정 상수 11.5±1.5 gf/cm)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때,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1/3영역(D)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일정 상수 11.5±1.5 gf/cm)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19는 이론상의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도 19에서의 탄성부재는 20인치(500mm)의 길이에 해당하며, 이때의 탄성부재의 중앙부의 곡률(R)을 산출하기 위한 k 값은 0.00382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 19는 20인치의 길이를 갖는 탄성부재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도 3b을 참조하여,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은 상기 제1바디부 3/4지점(760a)으로부터 상기 중심부(710)를 거쳐 상기 제2바디부 3/4지점(760b)까지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제1바디부 3/4지점(760a)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720a)의 영역 및 상기 제2바디부 3/4지점(760b)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720b)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일정 상수인 11.5gf/cm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설계상으로 동일한 누름압으로 설계했다하더라도, 제조상에서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 전체에 걸쳐, 일정 상수±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11.5gf/cm로 설계하였음을 가정시,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누름압은 11.5±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11.5 gf/cm의 누름압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은 15.5 내지 17.5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설정됨을 의미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20은 실측된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를 설명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누름압은 일정하고,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누름압은 일정하다 함은,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 전체에 걸쳐 동일한 누름압, 예를 들어, 일정 상수인 11.5gf/cm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설계상으로 동일한 누름압으로 설계했다하더라도, 제조상에서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때,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 전체에 걸쳐, 일정 상수±1.5 gf/cm로 누름압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이 증가하는 것은,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에서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일정 상수 11.5±1.5 gf/cm)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때,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이외의 영역은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 보다 누름압이 증가하되, 상기 바디부의 3/4영역(E)의 전체에 걸친 누름압(일정 상수 11.5±1.5 gf/cm)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누름압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점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점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고,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그 이외의 영역, 즉,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 제어를 통하여, 밀착부재의 밀착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점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점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밀착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밀착력은 상기 제1밀착력보다 증가하고,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밀착력은 상기 제1밀착력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국, 본 발명에서의 밀착부재는,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밀착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그 이외의 영역, 즉,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밀착력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밀착력은 상기 제1밀착력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재의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밀착력이 일정하게 분포된다 함은,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에 걸쳐 동일한 밀착력이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만, 일정 오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밀착력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의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밀착력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밀착력이 상기 제1밀착력보다 증가하는 것은, 상기 제1밀착력보다 밀착력이 증가하되, 상기 밀착력의 최대값이 상기 제1밀착력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밀착력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는 상술한 탄성부재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 및 밀착부재의 밀착력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밀착부재의 차량의 윈드실드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와이퍼 암은 일정 가압력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누르게 되며,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차량의 윈드실드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와이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와 차량의 윈드실드의 밀착특성이 우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누름압의 분포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누름압의 분포를 제어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분포 제어를 통해, 차량의 윈드에 밀착하는 밀착부재의 밀착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밀착부재의 차량의 윈드실드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와이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추종성의 향상"이란, 차량의 글래스 끝의 곡률이 심하게 휘어진 부분에서도 밀착부재가 최대한 글래스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의 누름압은 탄성부재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하여, 일반적인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설계, 즉, 탄성부재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누름압 분포되는 경우, 차량의 글래스 끝의 곡률이 심하게 휘어진 부분에서는 밀착부재가 차량의 글래스 면에 밀착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일정구간에서의 누름압은 일정하게 분포하도록 설계하고, 일정구간 이외의 구간에서는 누름압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의 누름압의 설계에 있어서, 일정구간 이외의 구간에서는 누름압이 증가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차량의 글래스 끝의 곡률이 심하게 휘어진 부분에서도 밀착부재가 최대한 글래스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밀착부재의 차량의 윈드실드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 밀착부재; 및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단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점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까지는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며,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고,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은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바디부의 1/3 지점 내지 3/4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압이 일정하게 분포되는 것은,
상기 일정 상수로부터, ±1.5 gf/cm의 오차범위 내에서 누름압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이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이 상기 제1누름압보다 증가하는 것은,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단부까지의 누름압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까지의 누름압의 최대값이 상기 제1누름압보다 +4 내지 +6 gf/cm의 범위내에서 증가하는 것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8519A KR20180059218A (ko) | 2016-11-25 | 2016-11-25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US15/405,464 US10112583B2 (en) | 2016-11-25 | 2017-01-13 | Wiper blad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8519A KR20180059218A (ko) | 2016-11-25 | 2016-11-25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3512A Division KR20180109784A (ko) | 2018-09-21 | 2018-09-21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9218A true KR20180059218A (ko) | 2018-06-04 |
Family
ID=6219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8519A KR20180059218A (ko) | 2016-11-25 | 2016-11-25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112583B2 (ko) |
KR (1) | KR20180059218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1547B1 (ko) | 2012-03-30 | 2012-11-15 | 주식회사 캐프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06018A (en) * | 1958-09-26 | 1961-10-31 | Golab Leo | Windshield wiper |
US3192551A (en) * | 1964-08-31 | 1965-07-06 | Walter D Appel |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
GB1212131A (en) * | 1968-06-12 | 1970-11-11 | Ennyd Hull | Wind-shield wiper |
IT1032660B (it) * | 1975-04-11 | 1979-06-20 | Arman Sas Di Dario Arman Ec | Supporto lamellare per spazzole tergenti negli impianti tergivetro abordo di autoveicoli in genere |
US4028770A (en) * | 1975-09-15 | 1977-06-14 | Appel Walter D | Windshield wiper assembly |
JPH056216Y2 (ko) * | 1987-02-20 | 1993-02-17 | ||
DE69203303T2 (de) * | 1991-08-16 | 1996-03-14 | Anglo American Industrial Corp. Ltd., Johannesburg, Transvaal | Scheibenwischer. |
DE29712293U1 (de) * | 1997-07-11 | 1998-11-05 | Robert Bosch Gmbh, 70469 Stuttgart |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
MXPA01002497A (es) * | 1999-07-09 | 2003-03-12 | Bosch Gmbh Robert | Tira limpiaparabrisas para paneles especialmente de vehiculos, asi como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
JP2002362329A (ja) | 2001-06-07 | 2002-12-18 | Asmo Co Ltd | ワイパブレード |
-
2016
- 2016-11-25 KR KR1020160158519A patent/KR201800592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
- 2017-01-13 US US15/405,464 patent/US1011258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1547B1 (ko) | 2012-03-30 | 2012-11-15 | 주식회사 캐프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148017A1 (en) | 2018-05-31 |
US10112583B2 (en) | 2018-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26143B2 (en) | Joint structure of door edge member | |
KR101511044B1 (ko)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
CN104908716B (zh) | 平雨刮片及连接方法 | |
WO2007014395A8 (en) |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with axial translation prevention system | |
US9499131B2 (en) | Wiper blade adapter device | |
JP2010260527A (ja) | 回転型補助ビームを用いたワイパーブレード組立体 | |
EP1604886A2 (fr) | Ensemble de carrosserie d'un véhicule automobile | |
CA2721538A1 (en) | Vehicle window wiper assembly | |
CN108626214B (zh) | 定位保持销 | |
ATE412564T1 (de) | Verbindung zwischen einem wischarm und einem wischblatt sowie scheibenwischeranordnung | |
US10737371B2 (en) | Sprinkler wrench protective cover | |
US7828365B2 (en) | Window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 |
US20130152324A1 (en) | Connector Device For Coupling Wiper Arm | |
JP5272256B2 (ja) | 接着によってその支持部と一体にグレージングを組み立て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手段 | |
KR20180109784A (ko)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
KR20180059218A (ko)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
US6286898B1 (en) | Vehicle sunroof with weatherstrip mounting flange | |
US10118474B2 (en) | Sealing assembly for automotive glass | |
US20170240140A1 (en) | Wiper blade assembly | |
JP6328092B2 (ja) | ワイパーブレード | |
JP2001310238A (ja) | 工作機械用スクレーパ | |
CN110030240B (zh) | 定位和止动销 | |
WO2021086776A3 (en) | Glass decking system, adaptable end effector and methods | |
US9713951B2 (en) | Window trim for use with a fixed window of a vehicle | |
CN207842844U (zh) | 密封条及通风饰板的密封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94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21 Effective date: 202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