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987B1 -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987B1
KR100363987B1 KR1020000032931A KR20000032931A KR100363987B1 KR 100363987 B1 KR100363987 B1 KR 100363987B1 KR 1020000032931 A KR1020000032931 A KR 1020000032931A KR 20000032931 A KR20000032931 A KR 20000032931A KR 100363987 B1 KR100363987 B1 KR 10036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glass
door
carrier
carri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390A (ko
Inventor
우치카타도시아키
사카구치마사토시
고지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미쓰비시 지도샤 고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967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60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967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385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미쓰비시 지도샤 고교(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Publication of KR2001000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cable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two cable connections to the window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05F2011/387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using arrangements in the window glass, e.g.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는 도어 글래스(70)의 하단부(70b)에 부착된 캐리어 플레이트(71)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글래스(70)는 도어의 전후에 설치된 새시(41, 42)를 따라서 승강한다. 캐리어 플레이트(71)는 도어 글래스(70)의 하단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소정 개소의 계지부에 색조체(67)의 이동부(67a, 67b)가 고정된다. 캐리어 플레이트(71)는 도어 글래스(70)의 하단 전후 방향 중간부를 지지하는 글래스 지지부(74)와, 나사 부재(75)를 갖는 전후 한 쌍의 글래스 고정부(77, 78)를 구비하고 있다. 글래스 고정부(77, 78)에 있어서 도어 글래스(70)에 형성하는 부착 구멍은 나사 부재(75)를 느슨하게 하였을 때 도어 글래스(70)가 상대 이동하도록 나사 부재(75)의 축부 외경 보다도 충분히 큰 치수로 하고 있다.
또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는 글래스 승강체(162)를 승강시키기 위해 색조체(150)를 구비하고 있다. 색조체(150)는 복수의 풀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풀리 중에 하측에 위치하는 풀리(142, 143)는 각각 풀리축(182)에 의해 프레임 부재(136, 13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풀리축(182)에 스톱퍼 고무(18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스톱퍼 고무(184)는 글래스 승강 장치(162)가 하강단에 도달한 때에, 글래스 승강 장치(162)의 하단 면이 스톱퍼 고무(184)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Door glass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에 사용하기 적합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등의 타는 것에는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가 각종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10-102902호 공보(종래기술 1)에는 도어 글래스를 전후의 새시에 의해 습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전후 한 쌍의 와이어 로프 이동 부분에 캐리어 플레이트를 계지시키며, 각 캐리어 플레이트에 의해 도어 글래스의 전부와 후부를 지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11-44151호 공보(종래기술 2)에는 전후 한 쌍의 와이어 로프 이동 부분에 계지된 전후 한 쌍의 글래스 지지 부재에 의해서 도어 글래스의 전부와후부를 지지하는 것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후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의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는 전후 한 쌍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도어 글래스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선 전후 캐리어 플레이트가 각각 독립하여 와이어의 축선회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더구나 도어 전후 방향 및 도어 안쪽 방향으로 비교적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글래스 측면에서 보아서 글래스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기 쉬운 상태에 있다. 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전후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글래스를 부착하는 것은 한쪽 캐리어 플레이트의 위치 및 자세를 작업자가 글래스에 일치시켜서 부착하고, 그 중 다른 쪽의 캐리어 플레이트를 동일하게 부착할 필요가 있으며, 부착 작업에 시간과 노력이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 2의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글래스가 승강할 때에, 글래스의 전단 가장자리와 후단 가장자리가 도어의 전후 새시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들 가이드 부재와 새시와의 평행도의 정밀도가 나쁘면, 글래스의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글래스에 과잉한 응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더구나 상당히 긴 가이드 부재를 2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도모하기에 불리하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부착이 용이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는 도어 글래스의 하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의해서 지지되고, 모터 등에 의해서 색조체의 전후 이동부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 글래스가 도어 전후에 설치된 새시에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소정 개소에 설치된 전후 한 쌍의 계지부에 의해서 색조체의 전측 이동부와 후측 이동부 등에 안정한 상태로 부착되고, 캐리어 플레이트에 대한 도어 글래스의 부착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는 글래스의 자세 조정을 행하기 위해선 글래스 고정부의 나사 부재를 체결하기 전에 도어 글래스를 상부 새시로 향해서 상승시킨다. 이 도어 글래스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글래스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글래스 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기 때문에, 도어 글래스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부 새시에 가압 부착된 시점에서 도어 글래스의 상부 가장자리 전체가 상부 새시에 대해서 균등하게 접하도록 자세가 자동 조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 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도어 글래스가 새시와 캐리어 플레이트에 대해서 정규 자세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글래스 지지부가 도어 글래스의 중심 하방에 있으면, 상기 자세 조정시에 도어 글래스가 글래스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용이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고, 자세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는 도어 글래스가 하사점에 도달한 때에, 글래스 승강체가 풀리축에 설치된 스톱퍼 고무에 접촉하여, 스톱퍼 고무를 압축하면서 정지한다. 이 때 글래스 승강체는 스톱퍼 고무를 거쳐서 풀리축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된다. 즉 글래스 승강체를 수용하여 정지하는 힘의 전달 경로가 실질적으로 풀리축에만 있기 때문에, 힘의 전달 경로가 극히 짧은 것이다. 그리고, 스톱퍼 고무를 누르는 방향의 힘과, 풀리를 당기는 방향의 힘 즉, 색조체를 상방으로 구동하는 힘이 풀리축을 거쳐서 상쇄되는 것으로 되어 글래스 승강체가 확실하게 정지하는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를 갖는 도어 모듈을 차량 외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모듈을 갖는 차량용 도어를 차량 내측으로부터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모듈을 도어 패널 유니트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모듈의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에 사용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6은 도 4중의 F6-F6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중의 F7-F7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의 캐리어 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의 풀리 유니트와 캐리어 글래스 승강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풀리 유니트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1 : 도어 패널
12 : 모듈 41, 42, 43 : 새시
50 : 도어 글래스 승강 기구 67, 150 : 색조체
70 : 도어 글래스 71 : 캐리어 플레이트
74 : 글래스 지지부 75 : 나사 부재
77, 78 : 글래스 고정부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등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10)는 도어 패널 유니트(11)와 도어 모듈(12)을 구비하고 있다. 도어 패널 유니트(11)는 도어(10)의 외벽 면을 구성하는 아우터 패널(13)과, 아우터 패널(13)의 차량 내측에 설치된 보강 부재(14)와, 도어(10)를 차체에 부착하기 위한 힌지 부재(15)와, 아우터 패널(13)의 차량 내측의 원주부에 설치된 인너 패널(20, 21, 22)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어 모듈(12)은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모듈(12)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4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도어 모듈(12)을 차량 외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기 때문에, 도 2와 도 3은 좌우의 위치 관계가 역으로 되어 있다. 이 프레임 구조(40)는 차량 전측에 위치하는 전방 새시(41)와, 차량 후측에 위치하는 후방 새시(42)와, 도어 모듈(12)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새시(43)와, 상부 새시(43)의 하방에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프레임(44)과, 도어 모듈(12)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새시(43)는 후술하는 도어 글래스(70)의 상부 가장자리(70a)를 따라 연장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40)에 도어 글래스 승강 기구(50)나, 도어 래치 기구(51), 래치 조작 기구(도어 인사이드 핸들 ; 52)등이 부착되어 있다. 새시(41, 42, 43)와 도어 글래스 승강 기구(50) 및 도어 글래스(70)등은 본 발명인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 도어 모듈(12)을 도어 패널(13)에 밀어 넣는 것은 도어 모듈(12)의 후단부(12a)를 아우터 패널(13)과 후부 인너 패널(20)과의 사이에 삽입한 후, 도어 모듈(12)의 전단부(12b)를 차량 내측으로부터 도어 패널 유니트(11)의 전방부 인너 패널(21)에 겹치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모듈(12)의 하단부(12c)는 아우터 패널(13)과 하부 인너 패널(22)과의 사이에 들어간다. 그리고, 도어 모듈(12)의 전방 단부(12b)를 볼트(53)로 고정하고, 도어 모듈(12)의 후방 단부(12a)를 볼트(54)로 도어 패널 유니트(11)에 고정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글래스 승강 기구(50)는 중간 프레임(44)과 하부 프레임(45)과의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55)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55)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후 한 쌍의 프레임(56, 57)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6, 57)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45)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56, 5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부 풀리(60, 61)와 하부 풀리(62, 6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55)에 구동 풀리(64)와, 이 구동 풀리(64)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65)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도시 생략)를 전원으로 하는 정역 회전 가능한 감속 기어 부착 DC 모터이다.
이들 풀리(60 내지 64)에 와이어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1개의 색조체(67)가 X형상으로 크로스한 상태로 감겨져 있다. 즉, 이 색조체(67)는 전측의 상부 풀리(60)와 하부 풀리(62)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걸쳐진 전측 이동부(67a)와, 후측의 상부 풀리(61)와 하부 풀리(63)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걸쳐진 후측 이동부(67b)와, 상부 풀리(61)와 구동 풀리(64)와의 사이에 경사지게 걸쳐진 제 1 경사형부(67c)와, 하부 풀리(62)와 구동 풀리(64)와의 사이에 경사지게 걸쳐진 제 2 경사형부(67d)와, 상부 풀리(60)와 하부 풀리(63)와의 사이에 경사지게 걸쳐진 제 3 경사형부(67e)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경사형부(67c, 67d)와, 제 3 경사형부(67e)가 X 형상으로 크로스되어 있다. 제 1 경사형부(67c)와 제 2 경사형부(67d)에는 색조체(67) 전체에 적합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색조체(67)의 신장이나 굽힘을 흡수하는 텐션 부재(68, 69)가 설치되어 있다.
전측 이동부(67a)와 후측 이동부(67b)의 각각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도어 글래스(70)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플레이트(71)가 대체로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들 도어 글래스(70)와 캐리어 플레이트(7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색조체(67)의 일단측, 즉 제 1 경사형부(67c)의 단부는 구동 풀리(64)에 계지되고, 또한 도어 글래스(70)의 승강 스트로크를 허용할 수 있는 길이 만큼 구동 풀리(64)에 권취되어 있다. 색조체(67)의 타단측, 즉 제 2 경사형부(67d)의 단부도 구동 풀리(64)에 계지되고, 또한 도어 글래스(70)의 승강 스트로크를 허용할 수 있는 길이 만큼 구동 풀리(64)에 권취되어 있다.
그 결과, 구동 풀리(64)가 도 4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색조체(67)의 제 1 경사형부(67c)가 구동 풀리(64)로부터 풀어나오는 동시에, 제 2 경사형부(67d)가 구동 풀리(64)에 권취되고, 이동부(67a, 67b)가 상호 동기하여 하강하는 것에 의해 캐리어 플레이트(71)와 도어 글래스(70)가 일체로 되어서 하강한다. 또한, 구동 풀리(64)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제 1 경사형부(67c)가 구동 풀리(64)에 권취됨과 동시에 제 2 경사부(67d)가 구동 풀리(64)로부터 풀어지며, 이동부(67a, 67b)가 상호 동기하여 상승하는 것에 의해 캐리어 플레이트(71)와 도어 글래스(70)가 일체로 상승하는 것으로 된다.
도 4 및 도 5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71)는 도어 글래스(70)의 하단(70e)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캐리어 플레이트(71)의 소정 개소(일예로서 전후 2개소)에 색조체(67)의 이동부(67a, 67b)를 고정하기 위한 계지부(72, 7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플레이트(71)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1개소에 글래스 지지부(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글래스 지지부(74)는 도어 글래스(70)의 중심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캐리어 플레이트(71)의 양단부에 각각 나사 부재(75 ; 도 7에 도시됨)를 구비한 글래스 고정부(77, 7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글래스 지지부(74)와 글래스 고정부(77, 78)와의 사이에 보강 지지부(79, 80)가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 플레이트(71)의 적합한 개소에 경량화를 위한 프레스에 의해 천공된 얇은 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지지부(74)는 캐리어 플레이트(71)의 일부를 굽혀 세우는 것에 의해서 위를 향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글래스지지부(74)의 상방으로부터 도어 글래스(70)의 하단부(70b)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글래스 지지부(74)의 저면(74a)에 의해서 도어 글래스(70)의 하단(70e)이 하측으로부터 지지된다.
보조 지지부(79, 80)는 캐리어 플레이트(71)의 일부를 굽혀 세운는 것에 의해서 위를 향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 글래스(70)를 판두께 방향으로 끼울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보조 지지부(79, 80)의 저면(79a, 80a)은 글래스 지지부(74)의 저면(74a) 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이때문에 도어 글래스(70)의 하단(70e)은 보조 지지부(79, 80)의 저면(79a, 80a)으로부터 조금 부상한 상태로 되어 실질적으로 글래스 지지부(74)의 저면(74a)만이 도어 글래스(70)의 하단(70a)에 당접하는 것으로 된다.
도어 글래스(70)와 캐리어 플레이트(71)는 상기 2개소의 글래스 고정부(77, 78)에 있어서 각각 예를들면 볼트 등으로 대표되는 나사 부재(75)와 너트(85; 도 7에 도시됨)에 의해 고정된다. 나사 부재(75)는 도어 글래스(70)에 형성된 부착 구멍(87)에 삽통되는 축부(90)를 갖고, 이 축부(90)에 형성된 숫 나사 너트(85)를 나사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나사 부재(75)의 축부(90)의 외경(D1)에 대해서, 부착 구멍(87)의 상하 방향의 치수(D2)는 충분히 크고, D2와 D1의 치수 차이에 따른 부분 만큼 도어 글래스(70)가 캐리어 플레이트(71)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나사 부재(75)의 축부(90)를 부착 구멍(87)과 캐리어 플레이트(71)의 구멍(91)에 삽입하여, 축부(90)에 너트(85)를 나사 결합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해 나사 부재(75)의 시트면(75a)과 캐리어 플레이트(71)와의 사이에서 도어 글래스(70)가 두께 방향으로 유지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글래스(70)의 전방 가장자리부(70c)는 도어 모듈(12)의 전방 새시(41)에 설치된 웨지 스트립(100)에 상하 방향으로 습동가능하게 접하고 있다. 도어 글래스(70)의 후방 가장자리부(70d)는 도어 모듈(20)의 후방 새시(42)에 설치된 웨지 스트립(101)에 상하 방향으로 습동가능하게 접하고 있다. 즉, 이 도어 글래스(70)는 캐리어 플레이트(71)의 승강에 따라 웨지 스트립(100, 101)과의 밀접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 한 쌍의 새시(41, 42)를 따라 가이드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하에, 도어 글래스(70)를 캐리어 플레이트(71)에 고정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 글래스(70)의 하단부(70b)를 글래스 지지부(74)와 보조 지지부(79, 80)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글래스 지지부(74)의 저면(74a)에 의해서 도어 글래스(70)의 하단(70e)을 지지한다. 이때, 글래스 고정부(77, 78)의 나사 부재(75)와 너트(85)는 체결되지 않고, 도어 글래스(70)가 캐리어 플레이트(71)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는 상태로 하여 둔다. 그리고, 도어 글래스(7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모터(65)를 회전시키고, 도어 글래스(70)를 상부 새시(43)로 향해서 한번 상승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어 글래스(70)의 상부 가장자리(70a)가 상부 새시(43)에 당접한다. 이때 글래스 고정부(77, 78)의 나사 부재(75)가 비교적 느슨하기 때문에, 도어 글래스(70)가 글래스 지지부(74)를 지점으로 하여 글래스 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도어 글래스(70)의 상부 가장자리(70a)가 상부 새시(43)에 가압되면, 도어 글래스(70)의 상부 가장자리(70a) 전체가 상부 새시(43)에 대해서 간극 없이 당접하도록 도어 글래스(70)의 자세(글래스 면을 따라 상하 방향의 경사)가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이 상태, 즉 도어 글래스(70)의 자세 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글래스 고정부(77, 78)에 있어서 각 나사 부재(75)에 너트(8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도어 글래스(70)를 캐리어 플레이트(7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글래스(70)를 캐리어 플레이트(71)에 고정한 후에는 도어 글래스(70)를 하강시켜도 도어 글래스(70)의 자세는 조정후의 정규 상태로 유지되며, 재차 도어 글래스(70)를 전폐 위치까지 상승시키면, 도어 글래스(70)의 상부 가장자리(70a)가 상부 새시(43)에 대해서 간극 없이 균등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캐리어 플레이트(71)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글래스 지지부(74)는 도어 글래스(70)의 하단(70e)을 단순히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어 글래스나 캐리어 플레이트를 비롯하여 글래스 지지부나 글래스 고정부, 부착 구멍, 색조체, 새시 등,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각각 적합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의 하부에 상기 풀리(142, 143)를 포함하는 풀리 유니트(180, 18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풀리 유니트(180, 181)는 도 9에 한쪽을 대표로 하여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36, 137)에 각각 고정된 풀리축(182)과 각 풀리축(18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풀리(142, 143)와, 풀리축(182)에 부착된 스톱퍼 브래킷(183)과, 이 스톱퍼 브래킷(183)에 의해 유지된 스톱퍼 고무(184)와, 색조체(150)의 권취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8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톱퍼 브래킷(183)은 스톱퍼 고무(184)의 하부측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스톱퍼 고무(184)의 상면(184a)은 예를들면 파형이던가, 원형, 그 이외의 다른 적합한 형상의 스톱퍼 고무가 채용되어도 좋다.
스톱퍼 고무(184)는 캐리어 플레이트(161)의 하단 면(161a)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도어 글래스(160)가 소정 위치 즉, 하강단 부근까지 하강한때, 캐리어 플레이트(161)의 하단 면(161a) 즉, 글래스 승강체(162)의 하단 면이 스톱퍼 고무(184)의 상면(184a)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는 도어 글래스의 하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의해서 지지되고, 모터 등에 의해서 색조체의 전후 이동부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 글래스가 도어 전후에 설치된 새시에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소정 개소에 설치된 전후 한 쌍의 계지부에 의해서 색조체의 전측 이동부와 후측 이동부 등에 안정한 상태로 부착되고, 캐리어 플레이트에 대한 도어 글래스의 부착도 용이하다.

Claims (10)

  1. (삭제)
  2. 도어의 전후에 설치된 새시를 따라서 승강하는 도어 글래스와, 상기 도어 글래스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하단부에 부착됨과 함께 소정 개소에서 계지부를 갖는 캐리어와, 상기 계지부에 고정되는 전후 한 쌍의 이동부를 갖고 또한 이들 이동부가 서로 동기하여 상기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색조체를 구비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도어 글래스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지지하는 글래스 지지부와,
    상기 캐리어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도어 글래스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구멍의 치수를 상기 나사 부재의 축부 외경 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어 글래스를 상기 캐리어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도어 글래스를 도어의 상부 새시의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 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어 글래스를 상기 캐리어에 고정하는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지지부가 도어 글래스의 중심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지지부가 도어 글래스의 전후 방향 거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글래스가 상기 글래스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이 도어 글래스의 하부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글래스 보조 지지부를 구비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글래스 지지부는 상기 캐리어의 일부를 굽혀 세워서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7. 도어의 전후에 설치된 새시에 따라서 승강하는 글래스 승강체와,
    상기 글래스 승강체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도어의 프레임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래스 승강체를 구동하는 색조체와,
    상기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축과,
    상기 풀리축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글래스 승강체가 소정 위치까지 하강한때에 상기 글래스 승강체의 하단 면이 당접하는 탄성 스톱퍼를 구비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톱퍼는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톱퍼가 스프링으로 형성된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톱퍼는 상기 수지 재료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톱퍼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스톱퍼 브래킷이 상기 풀리축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KR1020000032931A 1999-06-16 2000-06-15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KR100363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69679 1999-06-16
JP16967999A JP3626039B2 (ja) 1999-06-16 1999-06-16 ドアガラス昇降装置
JP16967799A JP3833851B2 (ja) 1999-06-16 1999-06-16 ドアガラス昇降装置
JP99-169677 1999-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390A KR20010007390A (ko) 2001-01-26
KR100363987B1 true KR100363987B1 (ko) 2002-12-11

Family

ID=2649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31A KR100363987B1 (ko) 1999-06-16 2000-06-15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397524B1 (ko)
KR (1) KR100363987B1 (ko)
DE (1) DE10029701A1 (ko)
TW (1) TW5055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23691T2 (de) * 2000-03-10 2007-08-23 Arvin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Zusammenbau einer Türplatte
WO2001096131A1 (fr) * 2000-06-16 2001-12-2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orte de vehicule et module de porte de vehicule
US7363750B2 (en) * 2000-07-25 2008-04-29 Alcoa Inc. Sliding vehicle door with a moveable window assembly
JP3798937B2 (ja) * 2000-11-09 2006-07-1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ケーブル案内構造
GB0030532D0 (en) * 2000-12-14 2001-01-31 Meritor Automotive Gmbh Window regulator assembly
DE10063417A1 (de) * 2000-12-19 2002-07-04 Wagon Automotive Gmbh Leichtbautür für Kraftfahrzeuge
GB0102987D0 (en) * 2001-02-07 2001-03-2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n assembly
JP2004524469A (ja) * 2001-04-26 2004-08-12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万能型の車両用ケーブル付き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組立体
US7234274B2 (en) * 2001-07-10 2007-06-26 Kabushikikaisha Ansei Vehicle door
JP4602614B2 (ja) * 2001-09-26 2010-12-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
DE10151068B4 (de) * 2001-10-05 2005-09-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von einem doppelsträngigen Seilfensterheber bewegten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US20030097798A1 (en) * 2001-11-27 2003-05-29 Staser Brian Hale Vehicle door module
US6966149B2 (en) * 2003-03-27 2005-11-22 Fenelon Paul J Window bracket for a window lift mechanism
FR2841286B1 (fr) * 2002-06-19 2005-10-14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eve-vitre et porte de vehicule avec le leve vitre
JP3912744B2 (ja) * 2002-07-03 2007-05-0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JP2004175171A (ja) * 2002-11-26 2004-06-24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ドア
US6910730B2 (en) * 2002-12-25 2005-06-28 Shiroki Corporation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 cable-operated window regulator
KR100520202B1 (ko) * 2003-09-02 2005-10-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가이드
DE102004004380B4 (de) * 2004-01-29 2019-01-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ür für ein Fahrzeug
DE102004048924C5 (de) * 2004-10-06 2014-11-27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Heben und Senken einer Fensterscheibe
US20060086049A1 (en) * 2004-10-25 2006-04-27 Freightliner Llc Door module for vehicle door
DE102004062167B4 (de) * 2004-12-17 2007-07-05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ensterheberanordnung
DE102005025087A1 (de) * 2005-01-14 2006-07-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system für eine Kraftfahrzeugtür
AU2006200582B2 (en) 2005-02-23 2008-09-2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US7802401B2 (en) * 2005-06-30 2010-09-28 Hi-Lex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with improved carrier
US20070006533A1 (en) * 2005-07-11 2007-01-11 Faurecia Interior Systems U.S.A., Inc. Vehicle window lift plate
JP2007056501A (ja) * 2005-08-23 2007-03-08 Johnan Seisakusho Co Ltd ワイヤドラム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DE102006012634B4 (de) * 2006-03-17 2009-09-03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Führungsschiene für einen Seilzugfensterheber
US7610720B2 (en) * 2006-04-26 2009-11-03 Magna Closures Inc Railless window regulator
JP4649370B2 (ja) * 2006-05-26 2011-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ワイヤ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US20080005971A1 (en) * 2006-06-21 2008-01-10 Dickie Robert Boyer Single Rail No Pulley Window Regulator
DE102006030650A1 (de) * 2006-07-03 2008-01-10 Arvinmeritor Gmbh Türmodul für ein Kraftfahrzeug
KR100861113B1 (ko) * 2007-02-28 2008-09-30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트 장치
DE102007032435A1 (de) * 2007-07-10 2009-01-15 Bos Gmbh & Co. Kg Hebelrollo mit Anschlagdämpfer
US8020345B2 (en) * 2007-07-19 2011-09-20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window glass lift plate
KR100897108B1 (ko) * 2007-10-16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스토퍼 구조
DE102008000477A1 (de) * 2008-02-29 2009-09-17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Türmodul für einen schienenlosen Fensterheber
FR2940344B1 (fr) * 2008-12-18 2011-04-01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Procede de fabrication d'un leve-vitre et leve-vitre
WO2010135442A2 (en) * 2009-05-19 2010-11-25 Inteva Products Llc. Carrier supported pull-cup
DE202010007547U1 (de) * 2010-05-31 2011-10-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ahrzeugtür mit einem Multifunktionsträger
EP2447456B1 (en) * 2010-11-02 2014-01-15 Fiat Group Automobiles S.p.A. Method for self-adaptive regist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window pane of a motor-vehicle door with frameless window, and motor-vehicle door provided for this method
FR2989037B1 (fr) * 2012-04-10 2017-02-10 Inteva Products France Sas Leve-vitre comprenant un support pour la fixation d'un brin de cable entre deux extremites de premier et deuxieme rails de guidage
US8943750B2 (en) * 2012-06-22 2015-02-0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lift plate
CN109577787B (zh) * 2018-12-29 2024-05-07 江苏三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房车专用升降窗框
DE102019131348B4 (de) 2019-11-20 2024-02-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Zweistrang-Fensterheber
JP7294262B2 (ja) * 2020-07-13 2023-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7268652B2 (ja) 2020-07-21 2023-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151A (ja) * 1997-07-29 1999-02-1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ドアの窓ガラス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51003A (en) * 1923-08-27 1927-11-29 Harry M Tichenor Window-control mechanism
US1801115A (en) * 1928-05-09 1931-04-14 Herbert W Semisch Window-operating mechanism
US3400489A (en) * 1966-11-22 1968-09-10 Gen Motors Corp Window regulator
US3702041A (en) * 1971-09-13 1972-11-07 Gen Motors Corp Window regulator
US4119341A (en) * 1977-12-08 1978-10-10 Cook Eddie G Rear window assembly for a truck cab
US4246726A (en) * 1979-08-28 1981-01-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ndow guide arrangement
IT1144416B (it) * 1981-07-22 1986-10-29 Fiat Auto Spa Dispositivo di collegamento tra il cristallo ed il gruppo alzacristallo nelle portiere degli autoveicoli
JPH02221580A (ja) * 1989-02-22 1990-09-04 Mazda Motor Corp 車両の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H03129077A (ja) * 1989-10-13 1991-06-03 Hiruta Kogyo Kk 自動車窓ガラスの昇降方法およびその機構。
JPH03209042A (ja) * 1990-01-08 1991-09-12 Koito Mfg Co Ltd 昇降装置
FR2693535B1 (fr) * 1992-07-10 1994-09-30 Rockwell Abs France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lève-vitre électriques de véhicule à câble.
FR2699589B1 (fr) * 1992-12-21 1995-05-19 Rockwell Abs France Dispositif lève-vitre pour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une sécurité anti-pincement adaptée pour amortir un choc de la vitre contre un obstacle.
US5505024A (en) * 1993-11-22 1996-04-0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door assembly
US5502926A (en) * 1994-09-26 1996-04-02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door glass liftplate mounting arrangement
US5497578A (en) * 1994-10-07 1996-03-1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with cushioned up stop
US5657580A (en) * 1995-09-29 1997-08-19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with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FR2758850B1 (fr) * 1997-01-24 1999-03-19 Mecaplast Sam Cassette leve-vitre de porte de vehicule
US5809695A (en) 1997-01-27 1998-09-22 Hi-Lex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US5966872A (en) * 1997-08-08 1999-10-1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door glass liftplate assembly with frangible slee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151A (ja) * 1997-07-29 1999-02-1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ドアの窓ガラス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390A (ko) 2001-01-26
DE10029701A1 (de) 2001-01-18
US20030159357A1 (en) 2003-08-28
US6640497B2 (en) 2003-11-04
TW505583B (en) 2002-10-11
US6397524B1 (en)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987B1 (ko)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
US75975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 object in multiple directions
KR20080013282A (ko) 차량의 도어 조립용 장치
CN2246087Y (zh) 可调式汽车后窗遮阳装置
KR100295075B1 (ko) 윈도레귤레이터의장착구조및방법
CN213363840U (zh) 一种检测设备位置姿态调整支架
JP3833851B2 (ja) ドアガラス昇降装置
CN115874245A (zh) 一种发动机盖支撑装置及其操作流程
CN112563992B (zh) 一种带位置调节功能的电缆固定防护装置
CN217322969U (zh) 一种带缓冲机构的驱动轮组件
CN220434296U (zh) 建筑施工用电梯井安全架
CN220104826U (zh) 一种金属缓冲器支架包橡胶产品拉力机粘结测试装置
CN210260557U (zh) 一种便于安装的纸张牵引装置
CN112582950B (zh) 一种电缆固定防护实验装置
CN115741550B (zh) 柔性定位组装设备及其使用方法
CN219652053U (zh) 一种电池模组装配辅助机构
JPH08165092A (ja) リフターの支柱構造
CN211769632U (zh) 一种新型建筑用电动升降滑板
CN218908315U (zh) 一种带有防护机构的汽车玻璃铁架支撑管
CN214685158U (zh) 一种自动化装饰装修施工设备
KR100214380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JP2003341358A (ja) 自動車用ドアの組立方法及びその組立方法に用いる治具
JPH0321714B2 (ko)
JPH0323018Y2 (ko)
JP2002114116A (ja) 荷受台昇降装置付車両におけるリヤバ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