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106Y1 -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 Google Patents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106Y1
KR200182106Y1 KR2019990029212U KR19990029212U KR200182106Y1 KR 200182106 Y1 KR200182106 Y1 KR 200182106Y1 KR 2019990029212 U KR2019990029212 U KR 2019990029212U KR 19990029212 U KR19990029212 U KR 19990029212U KR 200182106 Y1 KR200182106 Y1 KR 200182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late
bumper
window regulator
stopp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광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90029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1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설치되는 범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가 풀다운(Full-Down)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내구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접촉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범퍼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되어 캐리어플레이트의 완전 하강시 상기 범퍼와 접촉되면서 더 이상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그 중심부에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으로부터 돌설된 끼움돌기가 결합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의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충격흡수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캐리어플레이트의 완전하강에 따른 스토퍼와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이 캐리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설치된 범퍼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흡수 및 분산됨에 따라 캐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내구성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캐리어플레이트의 풀다운시 스토퍼와의 접촉소음이 현저하게 저감되며, 그 접촉감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SHOCK ABSORBING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WINDOW REGULATOR}
본 고안은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방식(Cable-Drum Type)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캐리어플레이트(Carrier Plate)의 내면에 설치되는 범퍼(Bumper)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가 풀다운(Full-Down)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접촉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도어의 인너패널과 아웃터패널사이에는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가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레귤레이터는 그 구동메카니즘에 따라 케이블방식과 아암방식(Arm Type)으로 분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10)는 도어내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4)와,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드럼(16)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의 일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8)과, 양쪽 끝부분이 상기 드럼(16)의 바깥쪽 둘레면상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되는 케이블(20)과,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20)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당김방향쪽으로 이동되면서 윈도우글래스(22)를 승강·개폐시켜주는 캐리어플레이트(2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윈도우레귤레이터(10)에서 상기 구동모터(14)는 자동차내부의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스위칭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드럼(16)은 구동모터(14)의 축과 기계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그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은 적어도 윈도우글래스(22)의 승강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윈도우글래스(22)의 형상에 맞추어 바깥쪽을 향하여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완만하게 만곡(灣曲)진 형태로 구성되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캐리어플레이트(24)의 승강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가이드리브(18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상단부와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각 가이드리브(18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인 채널(Channel : 18b) 내부에서의 케이블(2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안내편(26)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안내편(26)의 일측에는 캐리어플레이트(24)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28)가 일체로 설치된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 일측에는 케이블(20)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캐리어플레이트(24)가 완전 하강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레일(18) 하단의 스토퍼(28)와의 충돌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30)가 끼워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탑승자가 윈도우글래스(22)를 개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작동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스위칭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4)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드럼(16)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16)의 외측 둘레면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20)이 가이드레일(18)상의 채널(18b) 내부에서 윗쪽 또는 아랫쪽 당겨지며, 상기 가이드레일(18)상의 가이드리브(18a)에 결합된 캐리어플레이트(24)가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상에 결합된 윈도우글래스(22)가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승강되면서 닫혀지거나 또는 열려지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가 가이드레일(18)의 하단까지 완전 하강되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 설치된 범퍼(30)가 상기 스토퍼(28)에 부딪히게 되면서 캐리어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충격력이 흡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에 설치되는 범퍼(30)가 단순한 육면체형의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중심에는 캐리어플레이트(24)로부터 돌출되는 끼움돌기(32)가 끼워지는 장착공(34)이 형성된 구조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돌기(32)는 경질의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토퍼(28)와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이 제대로 분산·흡수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경도가 낮은 고무를 적용할 경우에는 반복되는 충격에 견디지 못하고 부서지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나타난다.
그 결과, 스토퍼(28)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이 캐리어플레이트(24)에 반복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범퍼(30)는 물론 캐리어플레이트(24)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스토퍼(28)와 충돌시 접촉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며, 캐리어플레이트(24)의 풀다운시의 접촉감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설치되는 범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가 풀다운(Full-Down)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내구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접촉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범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윈도우레귤레이터 18 : 가이드레일
20 : 케이블 24 : 캐리어플레이트
28 : 스토퍼 30 : 범퍼
34 : 장착공 50 : 충격흡수공
60 : 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범퍼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되어 캐리어플레이트의 완전 하강시 상기 범퍼와 접촉되면서 더 이상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그 중심부에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으로부터 돌설된 끼움돌기가 결합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의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충격흡수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범퍼에 형성된 각 충격흡수공의 일측 내면에는 충격흡수공을 통하여 흡수되고 남은 잔여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18)의 상단부와 후단부에 드럼(16)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20)을 가이드레일상의 채널(18b)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안내편(26)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케이블안내편의 일측에는 스토퍼(28)가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또, 상기 스토퍼(28)의 설치위치와 동일선상에 해당되는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는 범퍼(30)가 끼워져 설치되는 데, 상기 범퍼(30)는 중심부에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으로부터 돌설된 끼움돌기(32)가 결합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의 장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34)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충격흡수공(5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의 본 고안에 따른 범퍼(30)는 폴리우레탄을 재질로 하여 사출성형되며,그 면상에 형성된 각 충격흡수공(50)의 일측 내면에는 스토퍼(28)와의 접촉시 1차 흡수되고 남은 잔여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돌기(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 4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를 참조하면, 탑승자가 윈도우글래스(22)를 열거나 닫고자 하는 경우에, 작동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정해진 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스위칭동작에 의하여 구동모터(14)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드럼(16)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케이블(20)이 드럼(16)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이와 같이 케이블(20)이 드럼(16)에 감겨지면, 가이드레일(18)상의 채널(18b)에 놓여진 케이블(20)이 아랫쪽 또는 윗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캐리어플레이트(24)가 가이드레일(18)을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면서 윈도우글래스(22)가 개방되거나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케이블(20)이 아랫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캐리어플레이트(24)가 아랫쪽으로 완전 하강되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 끼워져 결합된 범퍼(30)가 가이드레일(18)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토퍼(28)에 부딪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범퍼(30)가 스토퍼(28)에 부딪히는 순간에 발생되는 충격력은 범퍼의 면상에 형성된 충격흡수공(50)에 의하여 1차로 흡수·분산된다.
한편, 상기 1차 충격흡수작용 후 남는 잔여 충격력은 충격흡수공(50)을 구성하는 바깥쪽 내면과 안쪽 내면이 서로 접촉될 때 상기 안쪽 내면에 형성된 돌기(60)에 의하여 2차로 분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캐리어플레이트의 완전하강에 따른 스토퍼와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이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설치된 범퍼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흡수 및 분산됨에 따라 캐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내구성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캐리어플레이트의 풀다운시 스토퍼와의 접촉소음이 현저하게 저감되며, 그 접촉감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범퍼(30)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8)의 하단에 설치되어 캐리어플레이트(24)의 완전 하강시 상기 범퍼(30)와 접촉되면서 더 이상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28)로 이루어지는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30)는 그 중심부에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으로부터 돌설된 끼움돌기(32)가 결합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의 장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34)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충격흡수공(5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30)에 형성된 각 충격흡수공(50)의 일측 내면에는 그 충격흡수공을 통하여 흡수되고 남은 잔여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돌기(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KR2019990029212U 1999-12-22 1999-12-22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KR200182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12U KR200182106Y1 (ko) 1999-12-22 1999-12-22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12U KR200182106Y1 (ko) 1999-12-22 1999-12-22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106Y1 true KR200182106Y1 (ko) 2000-05-15

Family

ID=1960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212U KR200182106Y1 (ko) 1999-12-22 1999-12-22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1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50B1 (ko) 2001-07-10 2009-02-23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자동차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50B1 (ko) 2001-07-10 2009-02-23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자동차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07507A1 (en) Window regulator
KR200182106Y1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KR100867847B1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200188995Y1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JP3792529B2 (ja)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KR200153382Y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스톱퍼 장착구조
KR20000012744A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200337417Y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안내장치
KR100400812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428389B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KR100373119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100862719B1 (ko)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0220800Y1 (ko)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KR200147672Y1 (ko) 차량의 파워 윈도우장치
KR20050036378A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안내장치
KR0181189B1 (ko) 자동차용 도어 변형량 축소장치
KR200142063Y1 (ko) 자동차의 이중 리프트암 작동형 윈도우 리프터
KR20000004536U (ko) 자동차의 윈도우 케이블 가이드 구조
KR100422688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가이드 레일 구조
KR10038779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지지구조
KR100298696B1 (ko) 자동차의 레귤레이터
KR20050118317A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파워윈도우의 레귤레이터 장치
KR19980050511U (ko) 자동차 파워 윈도우의 레귤레이터 스톱퍼 구조
KR100380357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