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995Y1 -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995Y1
KR200188995Y1 KR2019990029213U KR19990029213U KR200188995Y1 KR 200188995 Y1 KR200188995 Y1 KR 200188995Y1 KR 2019990029213 U KR2019990029213 U KR 2019990029213U KR 19990029213 U KR19990029213 U KR 19990029213U KR 200188995 Y1 KR200188995 Y1 KR 200188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carrier plate
window regulator
hol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광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90029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캐리어플레이트에 대한 범퍼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가 풀다운(Full-Down)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하여 범퍼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접촉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승강되면서 윈도우글래스를 개폐시켜주는 캐리어플레이트에 대한 범퍼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상에 소정 형상의 범퍼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범퍼의 일측면에는 상기 범퍼장착공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보스가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상기 범퍼로부터 돌출된 결합보스가 캐리어플레이트상에 형성된 범퍼장착공에 끼워져 걸리는 방식으로 캐리어플레이트에 대한 범퍼의 장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범퍼자체의 충격흡수기능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범퍼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캐리어플레이트의 풀다운시 스토퍼와의 접촉소음이 현저하게 저감되며, 그 접촉감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BUMPER FOR WINDOW REGULATOR}
본 고안은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방식(Cable-Drum Type)의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캐리어플레이트(Carrier Plate)에 대한 범퍼(Bumper)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가 풀다운(Full-Down)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하여 범퍼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접촉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도어의 인너패널과 아웃터패널사이에는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가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레귤레이터는 그 구동메카니즘에 따라 케이블방식과 아암방식(Arm Type)으로 분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10)는 도어내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4)와,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드럼(16)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의 일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8)과, 양쪽 끝부분이 상기 드럼(16)의 바깥쪽 둘레면 상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되는 케이블(20)과,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20)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당김방향쪽으로 이동되면서 윈도우글래스(22)를 승강·개폐시켜주는 캐리어플레이트(2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윈도우레귤레이터(10)에서 상기 구동모터(14)는 자동차내부의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스위칭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드럼(16)은 구동모터(14)의 축과 기계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그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은 적어도 윈도우글래스(22)의 승강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윈도우글래스(22)의 형상에 맞추어 바깥쪽을 향하여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완만하게 만곡(灣曲)진 형태로 구성되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캐리어플레이트(24)의 승강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가이드리브(18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상단부와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각 가이드리브(18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인 채널(Channel : 18b) 내부에서의 케이블(2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안내편(26)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안내편(26)의 일측에는 캐리어플레이트(24)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28)가 일체로 설치된다.
또,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는 하강완료시 가이드레일(18) 하단의 스토퍼(28)와 접촉될 때의 충격력을 흡수하는 고무재의 범퍼(30)가 끼워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탑승자가 윈도우글래스(22)를 개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작동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스위칭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4)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드럼(16)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16)의 외측 둘레면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20)이 가이드레일(18)상의 채널(18b) 내부에서 윗쪽 또는 아랫쪽 당겨지며, 상기 가이드레일(18)상의 가이드리브(18a)에 결합된 캐리어플레이트(24)가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상에 결합된 윈도우글래스(22)가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승강되면서 닫혀지거나 또는 열려지는 것이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가 가이드레일(18)의 하단까지 완전 하강되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 설치된 범퍼(30)가 상기 스토퍼(28)에 부딪히게 되면서 캐리어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충격력이 흡수된다.
한편, 상기한 종래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플레이트(24)상에 범퍼(30)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 소정 위치로부터 소정 형상의 끼움돌기(32)를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범퍼(30)에는 그 끼움돌기(32)가 끼워지는 장착공(34)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상의 끼움돌기(32)가 장착공(34)내에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압입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범퍼장착구조에서는 상기 끼움돌기(32)가 캐리어플레이트(24)와 같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캐리어플레이트(24)가 풀다운되어 가이드레일(18)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28)에 부딪힐 때 범퍼(30)자체 가 갖는 충격흡수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은 부딪힘동작이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피로하중에 의하여 범퍼(30)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스토퍼(28)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이 제대로 분산 또는 흡수되지 못하고, 그대로 캐리어플레이트(24)에 반복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캐리어플레이트(24)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장치 전체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스토퍼(28)와 충돌할 때 접촉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며, 캐리어플레이트(24)의 풀다운시의 접촉감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윈도우레귤레이터에서 캐리어플레이트에 대한 범퍼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가 풀다운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하여 범퍼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접촉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범퍼장착구조에서 범퍼장착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에 의하여 범퍼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윈도우레귤레이터 18 : 가이드레일
20 : 케이블 24 : 캐리어플레이트
28 : 스토퍼 30 : 범퍼
50 : 장착공 52 : 확장공
54 : 끼움공 56 : 네크(Neck)부
60 : 결합보스 62 : 확장부
64 : 끼움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승강되면서 윈도우글래스를 개폐시켜주는 캐리어플레이트에 대한 범퍼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내면상에 소정 형상의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범퍼의 일측면에는 상기 장착공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보스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범퍼상의 결합보스는 그 끝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와 범퍼의 내면사이에는 확장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공은 그 일측에 상기 범퍼상의 결합보스를 구성하는 확장부와 동일한 직경의 확장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확장공과 연통되면서 상기 결합보스상의 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장착공을 구성하는 확장공과 끼움공의 경계부에는 끼움보스의 외경보다 다소 작은 간격을 갖는 네크(Neck)부가 형성되어 끼움공에 끼워진 끼움부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 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범퍼장착구조에서 범퍼장착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에 의하여 범퍼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18)의 상단부와 후단부에 드럼(16)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20)을 가이드레일상의 채널(18b)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안내편(26)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8)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케이블안내편의 일측에는 스토퍼(28)가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또, 상기 스토퍼(28)의 설치위치와 동일선상에 해당되는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는 범퍼(30)가 끼워져 설치되는 데,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상에 소정 형상의 장착공(50)이 형성되고, 상기 범퍼(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장착공(50)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보스(6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범퍼(30)상의 결합보스(60)는 그 끝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확장부(62)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62)와 범퍼(30) 내면사이에 확장부(6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끼움부(64)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결합보스(60)에 대응하여 캐리어플레이트(24)상에 형성된 장착공(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상기 범퍼(50)상의 결합보스(60)를 구성하는 확장부(62)와 동일한 직경의 확장공(5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확장공(52)과 연통되면서 상기 결합보스(60)상의 끼움부(64)가 끼워지는 끼움공(5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범퍼장착공(50)을 구성하는 확장공(52)과 끼움공(54)의 경계부에는 상기 끼움공(54)에 끼워진 결합보스(60)상의 끼움부(64)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끼움부(64)의 외경보다 다소 작은 간격을 갖는 네크(56)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 5 및 도 6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상의 장착공(50)에 범퍼(30)상의 결합보스(60)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결합보스(60)상의 확장부(62)를 장착공(50)상의 확장공(52)의 내측에 끼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보스(60)를 구성하는 끼움부(64)를 장착공(50)상의 끼움공(54)쪽으로 밀면, 상기 끼움부(64)가 확장공(52)과 끼움공(54)사이의 넥크부(56)를 타고 넘어 끼움공(54)이 끼워져 걸림에 따라 범퍼(3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범퍼(30)가 캐리어플레이트(24)에 장착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윈도우글래스(22)를 열거나 닫고자 하는 경우에, 작동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정해진 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스위칭동작에 의하여 구동모터(14)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드럼(16)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케이블(20)이 드럼(16)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이와 같이 케이블(20)이 드럼(16)에 감겨지면, 가이드레일(18)상의 채널(18b)에 놓여진 케이블(20)이 아랫쪽 또는 윗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캐리어플레 이트(24)가 가이드레일(18)을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면서 윈도우글래스(22)가 개방되거나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케이블(20)이 아랫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캐리어플레이트(24)가 아랫쪽으로 완전 하강되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에 끼워져 결합된 범퍼(30)가 가이드레일(18)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토퍼(28)에 부딪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범퍼(30)가 스토퍼(28)에 부딪히는 순간에 발생되는 충격력은 범퍼(30)자체의 충격흡수기능에 의하여 흡수·분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상기 범퍼로부터 돌출된 결합보스가 캐리어플레이트상에 형성된 장착공에 끼워져 걸리는 방식으로 캐리어플레이트에 대한 범퍼의 장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범퍼자체의 충격흡수기능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범퍼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캐리어플레이트의 풀다운시 스토퍼와의 접촉소음이 현저하게 저감되며, 그 접촉감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18)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20)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승강되면서 윈도우글래스(22)를 개폐시켜주는 캐리어플레이트(24)에 대한 범퍼(30)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24)의 내면상에 소정 형상의 장착공(50)이 형성되고, 상기 범퍼(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장착공(50)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보스(60)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30)상의 결합보스(60)는 그 끝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확장부(62)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62)와 범퍼(30)의 내면사이에는 확장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끼움부(6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공(50)은 그 일측에 상기 결합보스(60)를 구성하는 확장부(62)와 동일한 직경의 확장공(5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확장공(52)과 연통되면서 상기 결합보스(60)상의 끼움부(64)가 끼워지는 끼움공(5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50)을 구성하는 확장공(52)과 끼움공(54)의 경계부에는 끼움보 스(64)의 외경보다 다소 작은 간격을 갖는 네크(56)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KR2019990029213U 1999-12-22 1999-12-22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KR200188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13U KR200188995Y1 (ko) 1999-12-22 1999-12-22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13U KR200188995Y1 (ko) 1999-12-22 1999-12-22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995Y1 true KR200188995Y1 (ko) 2000-07-15

Family

ID=1960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213U KR200188995Y1 (ko) 1999-12-22 1999-12-22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9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337A (en) Window-regulator module for a motor-vehicle door wherein a lower end of a slider projects beyond a lower end of at least one rail
EP0174830B1 (en) A wire compensator for a wire driving window regulator
KR200188995Y1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범퍼장착구조
KR200182106Y1 (ko)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완충구조
KR100867847B1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20000012744A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400812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428389B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KR200337417Y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안내장치
KR200220800Y1 (ko)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유동방지구조
JP2002309841A (ja)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KR0115978Y1 (ko) 도어유리의 유동방지용 댐퍼
KR100298696B1 (ko) 자동차의 레귤레이터
JP3781359B2 (ja) 車両用ドア
JP3482859B2 (ja) 窓ガラス昇降装置
KR19990011519U (ko) 프레임레스도어의 도어글래스 승강 안내장치
KR10038779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지지구조
KR20050036378A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안내장치
KR100373119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20000004536U (ko) 자동차의 윈도우 케이블 가이드 구조
KR100551837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파워윈도우의 레귤레이터 장치
KR100422688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가이드 레일 구조
JPH0546516U (ja) 車両用窓ガラス開閉機構
KR19980050511U (ko) 자동차 파워 윈도우의 레귤레이터 스톱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